KR101894157B1 - 위치지정기구 및 이를 이용한 도어 개폐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위치지정기구 및 이를 이용한 도어 개폐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157B1
KR101894157B1 KR1020160176431A KR20160176431A KR101894157B1 KR 101894157 B1 KR101894157 B1 KR 101894157B1 KR 1020160176431 A KR1020160176431 A KR 1020160176431A KR 20160176431 A KR20160176431 A KR 20160176431A KR 101894157 B1 KR101894157 B1 KR 101894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door
unit
cas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6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3035A (ko
Inventor
이분이
Original Assignee
이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분이 filed Critical 이분이
Priority to KR1020160176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157B1/ko
Publication of KR20180073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21/00Arrangements or combinations of wing fastening, securing, or holding devices, not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main group; Locking ki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6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6Positioning, e.g. re-positioning, or pre-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위치와 제2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제1유닛 및 제2유닛에 대해서, 상기 제1유닛에 배치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2유닛이 배치될 부분과의 접촉을 통하여 상기 제1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2위치를 지정하는 위치지정자를 포함하는 위치지정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위치지정기구를 이용하는 도어 개폐 가이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도어 개폐 가이드 장치는 문틀에 설치되는 제1가이드부, 및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를 상기 문틀에 대해 개폐할 때 상기 제1가이드부와 결합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가이드부는 일단(一端)으로부터 소정 길이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제1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도어의 개폐시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제2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치지정기구 및 이를 이용한 도어 개폐 가이드 장치{POSITION DESIGNATOR AND GUID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DO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위치지정기구 및 이를 이용한 도어 개폐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호 연관된 복수의 유닛들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도록 작용하는 위치지정기구 및 이를 이용한 도어 개폐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유닛들이 조합하여 작용하는 장치들이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도어록의 경우 도어에 설치되는 부품과 문틀에 설치되는 부품의 상호작용으로 도어에 대한 잠금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도어용 부품과 문틀용 부품은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작업자가 경험에 의지하여 눈대중으로 설치하기 때문에, 도어용 부품과 문틀용 부품이 부정확하게 설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록이 원활하게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아무리 경험있는 작업자라 하더라도, 눈대중에 의지하여 설치하려고 하면 실수의 가능성도 있고 작업의 효율도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복수의 유닛들이 조합하여 작용하는 다른 예로서, 도어 클로저(door closure)가 있다. 도어 클로저는 대부분의 아파트의 각 가구의 출입문에 설치되며, 도어를 열어두고 고정시키지 않은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도어가 닫히도록 작동한다. 아파트의 도어는 철제문으로 형성되는데, 이 철제문이 화재발생시 방화문의 역할을 한다. 방화문으로서 올바르게 동작하기 위해서는 철제문이 닫혀 있어야 하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어 클로저는 철제문이 닫혀 있도록 작용하는 것이다. 도어 클로저에 대한 기술은 하기의 특허문헌을 비롯한 다수의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도어 클로저의 경우에도, 도어록과 마찬가지로 도어에 설치되는 부품과 문틀에 설치되는 부품이 있기 때문에, 양 부품을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대부분의 도어 클로저는 출입문에만 설치되고, 집안 내의 각 방에 사용되는 도어에는 도어 클로저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그런데, 일상생활에서 집안 내의 도어가 갑자기 강하게 닫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창문을 열어 둔 상태에서 강한 바람이 불어와 도어가 갑자기 닫힐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어 사이에 손이나 발 등 신체의 일부가 끼여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유아나 노인들은 신체의 반응속도나 위기상황에서의 대처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큰 부상을 당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사용되는 도어 클로저는 위와 같은 사고를 막을 수 있는 수단이 전무하여,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2692호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상호 연관된 복수의 유닛들을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게 작동하는 위치지정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위치지정기구를 이용하는 장치로서, 간단한 구조만으로도 갑작스런 문 닫힘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도어 개폐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심장가압장치는 몸체 및 위치지정자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는 제1위치와 제2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제1유닛 및 제2유닛에 대해서, 상기 제1유닛에 배치된다. 상기 위치지정자는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2유닛이 배치될 부분과의 접촉을 통하여 상기 제1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2위치를 지정한다.
상기 위치지정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2유닛은 상기 제2위치에서 체결부재에 의하여 고정되며, 상기 위치지정자는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위치를 나타낸다.
상기 위치지정기구에 있어서, 상기 위치지정자는 상기 제2유닛이 배치될 부분과 접촉하는 부위에 첨단부(尖端部)를 구비한다.
상기 위치지정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유닛에는 상기 제2유닛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장착홈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가이드 장치는, 문틀에 설치되는 제1가이드부, 및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를 상기 문틀에 대해 개폐할 때 상기 제1가이드부와 결합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가이드부는 일단(一端)으로부터 소정 길이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제1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도어의 개폐시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제2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 개폐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는 그 내부에 상기 제1가이드 부재가 구비되어 있고, 그 외부면이 상기 문틀에 부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커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제2가이드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는, 상기 장착홈에 장착될 수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도어와의 접촉을 통하여 상기 제1가이드부에 대응하는 상기 제2가이드부의 설치위치를 지정하는 위치지정자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 개폐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지정자는 상기 도어와 접촉하는 부위에 첨단부(尖端部)를 구비한다.
상기 도어 개폐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1가이드 부재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된 부분이 상기 케이스로부터 출입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가이드 부재는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된 부분의 반대쪽 단부(端部)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반대쪽 단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된 부분이 회전하면서 상기 케이스로부터 출입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폐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제2가이드 부재를 상기 도어에 부착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부착판과, 상기 부착판으로부터 돌출하는 밑판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의 상기 위치지정자는 상기 부착판이 고정되는 위치를 지정한다.
본 발명의 위치지정기구에 따르면, 상호 연관된 복수의 유닛들을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어 개폐 가이드 장치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만으로도 갑작스런 문 닫힘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지정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도 1의 위치지정기구를 이용하여 대상제품을 특정 위치에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가이드 장치 중 제1가이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가이드 장치 중 제2가이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도 7 및 도 8의 도어 개폐 가이드 장치를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도 7 및 도 8의 도어 개폐 가이드 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요소들(elements)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상기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단지 상기 요소들을 서로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또,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요소 위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더욱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지정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로 상호 작용을 하는 제1유닛(10)과 제2유닛(20)이 제1장소(1)와 제2장소(2)에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유닛(10, 20)은 도어록 또는 도어 클로저 등을 구성하는 구성부품이 될 수 있다. 도어록이나 도어 클로저의 구성부품에 해당하는 경우, 제1 및 제2유닛(10, 20)이 설치되는 제1 및 제2 장소(1, 2)는 도어와 문틀이 될 수 있다. 여기서, 도어는 출입문과 같은 '문' 그 자체를 의미하는 것이고, 문틀은 '도어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서는 '벽면'도 문틀에 포함될 수 있다. 어쨌든, 본 발명의 위치지정기구(30)는 도어록이나 도어 클로저 뿐만 아니라 서로 조합하여 특정기능을 수행하는 임의의 복수유닛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서 위치지정기구(30)는 제1유닛(10)에 배치되어 있는데, 위치지정기구(30)는 제2유닛(20)에 배치되더라도 상관없다. 위치지정기구(30)가 제2유닛(20)에 배치되는 경우, 위치지정기구(30)는 제1유닛(10)이 설치될 위치를 지정하게 된다. 위치지정기구(30)를 장착하기 위해서, 제1유닛(10)은 제1유닛(10)을 구성하는 바디(11)에 장착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위치지정기구(30)는 장착홈(12)에 삽입됨으로써 제1유닛(10)에 장착되고, 위치지정기구(30)를 제1유닛(10)으로부터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장착홈(12)에서 빼내면 된다. 즉, 위치지정기구(30)는 장착홈(12)을 통하여 제1유닛(10)에 착탈가능하게 된다. 위치지정기구(30)는 몸체(31)와 위치지정자(32)를 포함하는데, 몸체(31)는 장착홈(12)에 장착될 수 있는 외형을 갖고 있다. 위치지정자(32)는 몸체(31)에서 제2유닛(20)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위치지정자(32)는 제2유닛(20)이 설치될 정확한 위치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위치지정자(32)는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이나 구조든지 가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31)로부터 제2유닛(20)을 향하여 신장하는 돌기의 형태를 갖는다. 위치지정자(32)의 단부는 뽀쪽한 첨단부(尖端部)로 형성될 수 있다. 위치지정자(32)를 이용하여 제2유닛(20)을 설치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6은 도 1의 위치지정기구를 이용하여 대상제품을 특정 위치에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제1유닛(10)을 제1장소(1)에 설치한다. 제1 및 제2유닛(10, 20)의 설치위치에 있어서, 중요한 점은 제1유닛(10)을 설치한 후 제1유닛(10)의 위치에 대응되게 제2유닛(20)을 설치하는 것이므로, 2개의 유닛 중 먼저 설치되는 제1유닛(10)의 경우에는 설치위치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따라서, 제1유닛(10)의 설치위치는 사용자가 임의대로 선정하면 된다. 제1유닛(10)에는 위치지정기구(30)가 장착되어 있다. 위치지정기구(30)는 제1유닛(10)을 제1장소(1)에 설치하기 전에 제1유닛(10)에 장착시켜도 되고, 제1유닛(10)을 제1장소(1)에 설치한 후에 제1유닛(10)에 장착시켜도 된다.
도3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장소(1, 2) 중 어느 하나를 상대방에게 이동시켜서 서로 접촉시킨다. 이러한 접촉과정을 통하여, 제1유닛(10)에서 가장 외부로 나와있는 위치지정자(32)가 제2장소(2)에 접촉하게 된다. 위치지정자(32)에 있어서 접촉하는 부분이 첨단부로 되어 있는 경우, 첨단부가 제2장소(2)의 표면에 파고들게 되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장소(2)에는 위치지정자(32)와 접촉한 부위에 표식(2a)이 남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지정자(32)는 첨단부를 이용하여 제2장소(2)에 표식(2a)을 남기도록 하고 있지만, 위치지정자(32)의 구성은 이러한 첨단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위치지정자(32)는 그 단부(端部)에 컬러로 마킹을 할 수 있는 물질이 구비되어, 상기 접촉시 제2장소(2)에 접촉된 부분이 컬러로 마킹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식(2a)이 형성된 위치에 맞추어 제2유닛(20)을 설치한다. 제2유닛(20)을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21)로 제2장소(2)에 고정하는 경우, 표식(2a)은 체결부재(21)가 체결되는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나사 이외의 다른 방법으로 제2유닛(20)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표식(2a)의 형태도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유닛(20)의 배면에 접착성 물질을 도포하여 제2장소(2)에 부착한다면, 표식(2a)은 제2유닛(20)의 배면의 테두리 윤곽을 나타내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때에는 상기한 테두리 윤곽을 나타낼 수 있도록 위치지정자(32)의 형상도 변경될 필요가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유닛(10, 20)의 설치가 완료되어 위치지정기구(30)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경우, 위치지정기구(30)는 제1유닛(10)으로부터 탈착된다. 제2유닛(20)은 위치지정기구(30)를 이용하여 설치되었기 때문에 제1유닛(10)에 대응하는 위치게 정확하게 위치하게 된다. 제1 및 제2유닛(10, 20)의 동작과정에서, 상호작용을 위하여 제2유닛(20)은 제1유닛(1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에서 언급한 도어록이나 도어 클로저의 경우라면, 상기 상호작용시 제2유닛(20)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1유닛(10)에 삽입될 수 있다. 제2유닛(20)이 삽입되는 경우에, 위치지정기구(30)를 장착시키기 위하여 형성되어 있는 장착홈(12)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제2유닛(20)의 적어도 일부가 제1유닛(10)에 삽입됨으로써 제1 및 제2유닛(10, 20)이 상호작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장착홈(12)을 제2유닛(20)이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위치지정기구(30)의 몸체(31)도 제2유닛(20)이 삽입되는 부분의 형상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함으로써, 위치지정기구(30)를 장착홈(12)에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다. 결국, 장착홈(12)을 제2유닛(20)과 위치지정기구(30)의 2가지 모두를 각각 수용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함으로써, 공간의 활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핀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는 상호작용하는 임의의 2개의 물품을 위치지정기구를 사용하여 설치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서는 위치지정기구에 의하여 설치되는 대상제품이 특정제품(도어의 개폐시 작동하는 도어 개폐 가이드 장치)으로 한정되어 있는 경우의 실시예를 살펴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가이드 장치 중 제1가이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가이드 장치 중 제2가이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가이드 장치는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가이드부의 상호작용으로 도어의 개폐시 도어를 가이드하는데, 상기 가이드부들의 설치시에 이들이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서도 앞의 실시예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은 위치지정기구(본 실시예에서는 커버에 해당)가 사용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가이드부(100)는 케이스(110), 제1가이드 부재(120) 및 커버(130)를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제1가이드부(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에 해당하며,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제1가이드 부재(120)가 구비되어 있다. 케이스(110)는 사출성형 등을 통하여 일체로 형성하거나, 또는 상부측과 하부측을 각각 성형한 후 이를 결합하여 형성할 수 있고, 또는 기타 다양한 공지기술을 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전면에 장착홈(111)과 개구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10)의 표면에는 제1가이드부(100)를 고정할 때 체결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다수의 체결구멍(113)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구멍(113)의 개수나 위치는 적정하게 선택될 수 있다. 가령 케이스(110)의 고정시 강한 체결력이 필요하다면 체결구멍(113)을 가능한 많이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는 체결구멍(113)을 가능한 많은 개수로 형성해두고, 실제 케이스(110)를 고정할 때 필요에 따라 형성되어 있는 모든 체결구멍(113)에 체결부재를 결합시키거나 또는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멍(113) 중 일부에 체결부재를 결합시키거나 할 수 있다. 개구부(112)는 케이스(110)의 수직방향에 있어서 대략 중간부분에 수평방향을 따라 신장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장착홈(111)은 개구부(112)와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부분에 위치하는데, 수평방향으로는 개구부(112)의 길이가 장착홈(111)의 길이보다 길고, 수직방향으로는 반대로 개구부(112)의 길이가 장착홈(111)의 길이보다 짧다. 따라서, 케이스(110)에 있어서 개구되는 영역의 크기는 다른 영역에서는 개구부(112)의 크기와 동일하지만 상기 중첩되는 부분에서는 장착홈(111)의 크기만큼 확장하게 된다.
제1가이드 부재(120)는 개구부(112)를 통하여 제1가이드부(100)로부터 출입하게 된다. 다만, 제1가이드 부재(110)는 수평방향으로 신장하는 블레이드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신장하는 부분의 일단이 케이스(110)내에 고정되어 있어서, 이 고정부분을 회전축으로 하여 나머지 부분이 회전할 수 있고, 이러한 회전운동을 통하여 해당부분이 케이스(110) 밖으로 나가거나 케이스(110) 내로 들어올 수 있다. 케이스(110) 내부에는 이러한 회전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공지기술로 구현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장착홈(111)에는 커버(130)가 장착된다. 따라서, 장착홈의 형상이나 크기는 커버(130)에 있어서 장착홈(111)에 장착되는 부분의 형상이나 크기와 대응하게 된다. 커버(130)는 몸체(131)와 위치지정자(132)를 포함한다. 몸체(131)는 후면부분이 장착홈(111)에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홈(11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장착홈(111)은 윗면이나 밑면부분 등이 대략 사디리꼴의 형상을 하고 있는데, 커버(130)의 몸체(131)도 윗면이나 밑면부분 등이 사다리꼴의 형상을 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커버(130)가 장착되었을 때, 장착위치가 제1가이드 부재(120)의 위치와 중첩될 수 있다. 왜냐하면,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장착홈(111)은 개구부(112)와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는데, 장착홈(111)에는 커버(130)가 장착되고 개구부(112)를 통하여 출입하는 제1가이드 부재(120)는 개구부(112)의 근방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가이드 부재(120)가 수평방향으로 신장하는 블레이드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 커버(130)의 몸체(131)에는 블레이드가 삽입되어 협지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도면에는 미도시). 한편, 커버(130)는 제1가이드부(100)와 제2가이드부(200, 도 8 참조)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제1가이드부(100)로부터 제거되는데, 이때에는 몸체(131)의 윗면과 밑면을 잡고 바깥으로 잡아당겨서 커버(130)를 빼내게 된다. 몸체(131)의 윗면과 밑면에는 손으로 잡고 잡아당길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빗살무늬의 요철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몸체(131)의 전면부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몸체(131)의 전면부분은 장착홈(11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홈(111)의 형상에 제한받지 않고 형성될 수 있다. 몸체(131)의 전면부에는 위치지정자(132)가 배치되어 있다. 위치지정자(132)는 제2가이드부(200)가 설치될 정확한 위치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위치지정자(132)는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이나 구조든지 가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131)로부터 제2가이드부(200)를 향하여 신장하는 한 쌍의 돌기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 돌기의 끝부분은 뾰쪽한 첨단부(尖端部)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처음부터 위치지정대상의 설치위치가 특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위치지정자(132)를 구성하는 돌기는 몸체의 특정위치에 고정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만약, 위치지정대상의 설치위치가 특정되어 있지 않고, 위치지정대상의 규격에 따라 그 설치위치가 달라질 수 있는 경우에는. 위치지정자(132)를 위치지정대상이 특정된 후에 몸체(131)에 고정시킬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하여 몸체(131)의 전면에는 위치지정자(132)를 고정시킬 수 있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서 몸체(131)에는 수평방향으로 2개씩의 구멍이 수직방향으로 3행 형성되어 있고, 위치지정자(132)는 수평방향으로 나란한 2개의 구멍에 배치되어 있다. 하지만, 위치지정자(132)는 제1행의 좌측 구멍과 제2행의 우측 구멍과 같은 식으로 비대칭의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특히, 위치지정대상이 동일한 물품이지만 그 설치위치가 규격별로 다소 상이한 경우에는, 몸체(131)에 형성되는 구멍의 배치를 예를 들면 하기와 같이 다양하게 구성한 후,
○ ○
○ ○
○ ○
대상물품의 규격에 따라 설치간격이 좁은 경우에는 제1행의 2개의 구멍에 위치지정자(132)를 배치하고, 설치간격이 넓은 경우에는 제2행의 2개의 구멍에 위치지정자(132)를 배치하며, 설치간격이 아주 넓은 경우에는 제3행의 2개의 구멍에 위치지정자(132)를 배치할 수 있다.
도8을 참조하면, 제2가이드부(200)는 고정부재(210)와 제2가이드 부재(220)를 포함한다. 고정부재(210)는 제2가이드부(200)를 특정장소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대략 'L자'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210)는 'L자' 형상에 있어서 수직한 부분에 해당하는 부착판(211)과 'L자' 형상에 있어서 수평한 부분에 해당하는 밑판(212)을 포함한다. 부착판(211)에는 체결구멍(211a)이 형성되어 있고, 이를 통하여 부착판(211)을 설치장소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부착판(211)은 제2가이드부(200)를 설치장소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밑판(212)은 부착판(211)의 하면에 연결되어 있고, 밑판(212)상에는 체결부재(221) 등을 통하여 제2가이드 부재(220)가 배치된다. 제2가이드 부재(220)는 대략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가이드 부재(220)는 회전체(220b)를 포함하여, 회전체(220b)가 머리부분(220a)으로부터 약간의 갭을 가지고 머리부분(220a)에 연결된 축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전체(220b)가 회전할 수 있다. 또는, 제2가이드 부재(220)는 머리부분(220a)과 회전체(220b)의 구분없이 일체형의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및 제2가이드부(100, 200)는 도어와 문틀 등에 각각 설치된 후 상호작용을 통하여 도어의 개폐시 도어를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가이드부(100, 200)는 원활한 상호작용을 위하여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이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가이드부(100)에 설치되는 커버(130)에 의하여 실현되는데, 그 구체적인 과정은 이하에서 살펴본다.
도 9 내지 도 12는 도 7 및 도 8의 도어 개폐 가이드 장치를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가이드부(100)를 문틀(150)에 설치한다. 여기서, 문틀(150)은 '도어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포괄적으로 나타내는 의미이며, 방의 출입구에 형성되는 통상의 문틀뿐만 아니라 '벽면'도 문틀에 포함될 수 있다. 제1가이드부(100)는 제1가이드부(100)의 케이스(110)에 형성된 체결구멍(113)에 체결부재(114)를 결합하는 것으로 설치할 수 있다.
제1 및 제2가이드부(100, 200)의 설치위치에 있어서, 중요한 점은 제1가이드부(100)를 설치한 후 제1가이드부(100)의 위치에 대응되게 제2가이드부(200)를 설치하는 것이므로, 먼저 설치되는 제1가이드부(100)의 경우에는 설치위치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따라서, 제1가이드부(100)의 설치위치는 사용자가 임의대로 선정하면 된다. 다만, 문틀(150)이 통상의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경우, 사각형의 윗변에 해당하는 위쪽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문틀(150)에 있어서 위쪽에 설치하는 경우, 제1가이드부(100)의 커버(130)는 제1가이드부(100)를 문틀(150)에 설치하기 전에 제1가이드부(100)에 장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도어(250)에 표식(251)이 나타나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표식(251)은 도어(250)를 이동시켜 문틀(150)에 설치된 제1가이드부(100)와 접촉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즉, 상기 접촉과정을 통하여, 제1가이드부(100)에서 가장 외부로 나와있는 위치지정자(132)가 도어(250)에 접촉하게 된다. 위치지정자(132)에 있어서 접촉하는 부분이 첨단부로 되어 있는 경우, 첨단부가 도어(250)의 표면에 파고들게 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50)에는 위치지정자(132)와 접촉한 부위에 표식(251)이 남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지정자(132)는 첨단부를 이용하여 도어(250)에 표식(251)을 남기고 있지만, 위치지정자(132)는 첨단부를 갖는 것으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위치지정자(132)는 그 단부(端部)에 컬러로 마킹을 할 수 있는 물질이 구비되어, 상기 접촉시 도어(250)에 접촉된 부분이 컬러로 마킹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표식(251)이 형성된 위치에 맞추어 제2가이드부(200)를 설치한다. 구체적으로는, 고정부재(210)의 부착판(211)에 형성된 체결구멍(211a)을 표식(251)의 위치에 맞춘 후, 체결구멍(211a)을 통하여 체결부재(211b)를 체결함으로써, 제2가이드부(200)는 제1가이드부(100)와 정확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만약,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211b)가 아닌 다른 방법으로 제2가이드부(20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표식(251)의 형태도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가이드부(200)의 부착판(211)에 접착성 물질을 도포하여 도어(250)에 부착한다면, 표식(251)은 부착판(211)의 테두리 윤곽을 나타내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때에는 상기한 테두리 윤곽을 나타낼 수 있도록 위치지정자(132)의 형상도 변경될 필요가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가이드부(100, 200)의 설치가 완료되어 위치지정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면, 커버(130)는 제1가이드부(100)로부터 탈착된다. 커버(130)는 개구부(112)와 중첩되는 장착홈(111)에 장착되기 때문에, 커버(130)가 장착되면 제1가이드 부재(100)가 개구부(112)를 통하여 출입하는 것이 차단된다. 제1가이드 부재(100)의 출입은 도어(250)에 대한 가이드 작용시 필요하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 작용에 장애가 될 수 있는 커버(130)는 설치완료 후 제거될 필요가 있다. 제1가이드 부재(120)는 수평방향으로 신장하는 블레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커버(130)가 제거된 영역에 있는 제1가이드 부재(120)의 일단부(121)는 회전을 하면서 개구부(112)를 통하여 출입할 수 있고, 그 타단부(122)는 케이스(110)내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시 회전축의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제1 및 제2가이드부(100, 200)에 의하여 도어(250)가 가이드되는 구체적인 작동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도 13 내지 도 15는 도 7 및 도 8의 도어 개폐 가이드 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도어(250) 및 문틀(150)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관점에서 작동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어(250)가 닫히기 시작할 때, 제2가이드부(200)는 문틀(150)을 향하여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때, 제1 및 제2가이드부(100, 200)는 서로에 대해 이격되어 있고, 제1가이드부(100)에 있어서 제1가이드 부재(120)의 일단부(121)가 케이스(110)로부터 외부로 나와 있다. 제1가이드 부재(120)의 일단부(121)에는 가이드홈(121a)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121a)은 일단부(121)로부터 반대쪽을 향하여 소정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어(250)가 회전하여 더 닫히게 되면, 제2가이드부(200)의 제2가이드 부재(220)가 제1가이드 부재(120)의 가이드홈(121a)에 결합한다. 이와 같이, 결합하기 위해서는 제2가이드 부재(220)의 외형의 크기가 가이드홈(121a)보다는 작아야 한다. 다만, 제2가이드 부재(220)가 가이드홈(121a)에 접촉하여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제2가이드 부재(220)의 외형의 크기가 가이드홈(121a)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도어(250)가 닫혀짐에 따라 제2가이드 부재(220)는 가이드홈(121a)을 따라 점점 더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8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제2가이드 부재(220)는 밑판(212)상에 설치된 원통형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원통형 부분은 회전하는 회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전체(220b)가 머리부분(220a)으로부터 약간의 갭을 가지고 머리부분(220a)에 연결된 축에 결합되어 있어서, 도어(250)가 닫혀지면서 제2가이드 부재(220)가 가이드홈(121a)에 접촉하여 슬라이드 될 때 회전체(220b)가 상기 슬라이드에 따른 병진운동과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다. 하지만, 제2가이드 부재(220)의 회전은 도어(250)의 개폐동작을 보다 원활하게 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일 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제2가이드 부재(220)는 가이드홈(121a)을 따라 슬라이드 되어 이동하는 것만으로도 도어(250)의 개폐동작에 있어서 도어(250)를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제2가이드 부재(220)는 머리부분(220a)과 회전체(220)의 구분없이 일체형의 원통형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어(250)가 더더욱 닫혀짐에 따라, 제2가이드 부재(220)는 가이드홈(121a)의 내측으로 점점 더 슬라이드 되고, 제1가이드 부재(120)도 개구부(112)를 통하여 케이스(11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어(250)가 완전히 닫혔을 때에는, 제2가이드 부재(220)는 가이드홈(121a)의 가장 안쪽까지 이동하고 제1가이드 부재(120)는 케이스(110)의 내부로 완전히 들어가게 된다. 또한, 제2가이드부(200)도 제1가이드부(100)의 장착홈(111)에 삽입된다. 도어(250)가 열릴 때는 도 13 내지 도 15의 반대과정을 거치게 된다.
본 발명의 도어 개폐 가이드 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도어(250)를 닫을 때 제2가이드 부재(220)가 가이드홈(121a)에 접촉하여 슬라이드 되면서, 도어(250)를 닫는 속도를 늦출 수 있다. 이는 일상생활에서 도어(250)가 갑자기 닫힐 때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면, 창문을 열어 둔 상태에서 강한 바람이 불어와 도어(250)가 갑자기 닫힐 수 있는데, 이때 도어(250)와 문틀(150) 사이에 손이나 발 등 신체의 일부가 끼여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유아나 노인들은 신체의 반응속도나 위기상황에서의 대처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위와 같은 경우에 큰 부상을 당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가이드 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이러한 사고를 확실하게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사고예방 효과를 발휘하려면 제1 및 제2가이드 부재(120, 220)간 상호작용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제2가이드 부재(220)가 가이드홈(121a)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되도록, 제1 및 제2가이드부(100, 200)가 서로 대응되도록 정확하게 위치하여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지정의 기능을 갖는 커버(130)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소할 수 있다.
특히, 커버(130)는 제2가이드부(200)를 설치할 때까지만 필요한 것이고, 설치가 종료된 후 도어(250)의 개폐시에 제2가이드부(200)가 제1가이드부(100)에 삽입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커버(130)와 제2가이드부(200)가 제1가이드부(100)에 작용하는 시점이 설치 전후로서 상이하다는 점에 착안함으로써, 제1가이드부(100)에 있어서 제2가이드부(200)가 삽입되는 장소(장착홈(111))를 제2가이드부(200)의 설치 전에 커버(130)가 장착되는 장소(장착홈(111))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제2가이드부(200)에 있어서 장착홈(111)에 삽입되는 부분의 형상을 장착홈(111)에 대응되게 하고, 마찬가지로 커버(130)에 있어서 장착홈(111)에 장착되는 부분의 형상도 장착홈(111)에 대응되게 한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홈(111)의 사다리꼴 형상에 맞추어 커버(130)의 몸체(131)도 사다리꼴의 형상을 갖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가이드부(200)의 밑판(212)은 사디리꼴은 아니지만 장착홈(111)에 삽입가능한 사다리꼴에 유사한 형상(꼭지점 부분이 라운드진 대략 삼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결국, 장착홈(111)을 제2가이드부(200)와 커버(130)의 2가지 모두를 수용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제1유닛 20: 제2유닛
30: 위치지정기구 100: 제1가이드부
120: 제1가이드 부재 130: 커버
200: 제2가이드부 210: 고정부재
220: 제2가이드 부재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문틀에 설치되는 제1가이드부, 및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를 상기 문틀에 대해 개폐할 때 상기 제1가이드부와 결합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부는 일단(一端)으로부터 소정 길이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제1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도어의 개폐시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제2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부는,
    그 내부에 상기 제1가이드 부재가 구비되어 있고, 그 외부면이 상기 문틀에 부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도어 개폐 가이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제2가이드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는,
    상기 장착홈에 장착될 수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도어와의 접촉을 통하여 상기 제1가이드부에 대응하는 상기 제2가이드부의 설치위치를 지정하는 위치지정자를
    포함하는 도어 개폐 가이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지정자는 상기 도어와 접촉하는 부위에 첨단부(尖端部)를 구비하는 도어 개폐 가이드 장치.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1가이드 부재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된 부분이 상기 케이스로부터 출입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가이드 부재는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된 부분의 반대쪽 단부(端部)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반대쪽 단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된 부분이 회전하면서 상기 케이스로부터 출입할 수 있는 도어 개폐 가이드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제2가이드 부재를 상기 도어에 부착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부착판과, 상기 부착판으로부터 돌출하는 밑판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의 상기 위치지정자는 상기 부착판이 고정되는 위치를 지정하는 도어 개폐 가이드 장치.
KR1020160176431A 2016-12-22 2016-12-22 위치지정기구 및 이를 이용한 도어 개폐 가이드 장치 KR101894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431A KR101894157B1 (ko) 2016-12-22 2016-12-22 위치지정기구 및 이를 이용한 도어 개폐 가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431A KR101894157B1 (ko) 2016-12-22 2016-12-22 위치지정기구 및 이를 이용한 도어 개폐 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035A KR20180073035A (ko) 2018-07-02
KR101894157B1 true KR101894157B1 (ko) 2018-08-31

Family

ID=62914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6431A KR101894157B1 (ko) 2016-12-22 2016-12-22 위치지정기구 및 이를 이용한 도어 개폐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15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688B1 (ko) * 2006-04-20 2007-05-11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디지털 도어록
KR101085433B1 (ko) * 2011-02-14 2011-11-21 인제식 도어의 보조 잠금 장치
KR101170869B1 (ko) * 2008-05-15 2012-08-02 (주)엘지하우시스 스트라이커 체결부재의 위치 유도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2692Y1 (ko) 2006-08-10 2006-12-07 원희섭 도어클로저의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688B1 (ko) * 2006-04-20 2007-05-11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디지털 도어록
KR101170869B1 (ko) * 2008-05-15 2012-08-02 (주)엘지하우시스 스트라이커 체결부재의 위치 유도핀
KR101085433B1 (ko) * 2011-02-14 2011-11-21 인제식 도어의 보조 잠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035A (ko) 2018-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2970B2 (ja) 引戸クローザーセット
KR101894157B1 (ko) 위치지정기구 및 이를 이용한 도어 개폐 가이드 장치
JP4018773B2 (ja) 窓ステー
KR20170098774A (ko) 갱폼 인양 안전장치
JP6461489B2 (ja) 建具
US20160090778A1 (en) Endless loop cord safety device
KR101245186B1 (ko) 미닫이창문의 자동잠금장치
JP2014105525A (ja) 天井点検口
KR101576596B1 (ko) 창문 자동 잠금장치
JP5328746B2 (ja) 建具
KR200484451Y1 (ko)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CN218092579U (zh) 推拉窗和工程机械驾驶室
ITGE20100007A1 (it) Sistema ad ante per l'apertura e/o la chiusura di un varco
TWI573922B (zh) Double linkage lock
KR101750254B1 (ko) 경첩안전장치
TWM511535U (zh) 雙重聯動鎖
CN210439840U (zh) 一种用于门护栏的锁定装置
JP2016041892A (ja) 施錠装置
EP3124732B1 (en) A window with an opening restrictor having a gripping mechanism
JP2008308866A (ja) 網戸用戸車
JP6734527B2 (ja) 閉鎖器具及びドア
CN210918820U (zh) 一种三锁卷帘门
KR20120005647U (ko) 자력을 이용한 도어 스톱퍼
KR20180026192A (ko) 미닫이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
KR200298366Y1 (ko) 도어의 닫힘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