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8774A - 갱폼 인양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갱폼 인양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8774A
KR20170098774A KR1020170105125A KR20170105125A KR20170098774A KR 20170098774 A KR20170098774 A KR 20170098774A KR 1020170105125 A KR1020170105125 A KR 1020170105125A KR 20170105125 A KR20170105125 A KR 20170105125A KR 20170098774 A KR20170098774 A KR 20170098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gang
bolt
pulling
gang 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옥순
Original Assignee
이옥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옥순 filed Critical 이옥순
Priority to KR1020170105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8774A/ko
Publication of KR20170098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7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 외벽시공을 위해 사용하는 갱폼의 사용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고자 설치하는 것으로, 갱폼 해체시 갱폼 고정볼트의 두부가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갱폼 고정볼트가 상,하로 움직이는데, 이러한 상기 갱폼 고정볼트를 수용할 수 있는 상기 갱폼 고정볼트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베이스 판재;와 상기 베이스 판재의 중심부에 고정되는 고정축 볼트;와 상기 고정축 볼트에 회동 구속 결합하는 한 쌍의 안전커버;와 상기 고정축 볼트에 외감하며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안전커버에 탄성력을 가하는 토션 스프링;과 일단은 상기 안전커버의 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당김 볼트에 회동 구속 결합하는 한쌍의 당김 브래킷;과 일단은 상기 당김 브래킷에 회동 구속 결합 되고, 타단은 고정 부재에 볼트 고정되는 당김 볼트;와 상기 당김 볼트와 안전고리를 연결 고정하는 고정 부재;및 상기 고정 부재에 관통결합하는 상기 안전고리;를 포함하는 갱폼 인양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Description

갱폼 인양 안전장치 {LIFTING SAFETY DEVICE OF GANG FORM}
본 발명은 갱폼의 사용 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갱폼 인양 안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갱폼 고정볼트의 두부를 잠그거나 개방시키되 이러한 것은 갱폼의 인양고리에 타워크레인의 샤클이 연결되었을 때 작용할 수 있는 특징으로 작업자가 임의조작할 수 없는 것이다.
아파트 외벽 시공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갱폼에 있어서 작업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안전장치의 사용은 필수 요건이 되고 있다.
갱폼 고정볼트는 수직재에 고리로 고정하는데, 사용중 상기 갱폼 고정볼트는 상,하로 일정간격 움직일 수 있고, 갱폼 고정볼트 두부를 해체할 경우 갱폼 수직재의 전면부를 기준으로 상기 갱폼 고정볼트 두부는 전면방향으로 약 40MM정도 돌출하는데, 이러한 상기 갱폼 고정볼트의 두부를 수용하며 잠그거나 개방시킬 수 있으며 상기 갱폼 고정볼트에 L앙카볼트를 설치할 때 상기 갱폼 고정볼트를 잡아줄 수 있는 안전커버와 원가절감 및 설치시간 단축을 위해 가이드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안전고리를 포함하는 갱폼 인양 안전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갱폼 인양 안전장치를 갱폼 제작시 공장에서 설치하여 납품 후에 현장에서 갱폼 고정볼트를 설치하더라도 자동으로 갱폼 고정볼트를 상기 갱폼 인양 안전장치가 잠그는 기술적 원리의 갱폼 인양 안전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갱폼의 수직재 전면에 설치되는 갱폼 고정볼트는 상,하로 일정간격 움직일 수 있고, 갱폼 고정볼트 두부를 해체할 경우 갱폼 수직재의 전면부를 기준으로 상기 갱폼 고정볼트 두부가 전면방향으로 약 40MM정도 돌출하는데, 이러한 갱폼 고정볼트의 두부를 수용하며 잠그거나 개방시킬 수 있으며 상기 갱폼 고정볼트에 L앙카볼트를 설치할 때 상기 갱폼 고정볼트를 잡아줄 수 있는 안전커버와 원가절감 및 설치시간 단축을 위해 가이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갱폼 인양 안전장치를 갱폼 제작시 공장에서 설치하여 납품 후에 현장에서 갱폼 고정볼트를 설치하더라도 자동으로 갱폼 고정볼트를 상기 갱폼 인양 안전장치의 안전커버가 잠금시킬 수 있는 기술적 원리의 갱폼 인양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갱폼 인양 안전 장치는 갱폼의 수직재에 설치되는 갱폼 고정볼트에 있어서, 상기 갱폼 고정볼트에 인접하여 상기 수직재의 전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판재;와 상기 베이스 판재의 중심부에 고정되는 고정축 볼트;와 상기 고정축 볼트에 회동 구속 결합하는 한 쌍의 안전커버;와 상기 고정축 볼트를 외감하며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안전커버에 탄성력을 가하는 토션 스프링;과 일단은 상기 안전커버의 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당김 볼트에 회동 구속 결합하는 한 쌍의 당김 브래킷;과 일단은 상기 당김 브래킷에 회동 구속 결합되고, 타 단은 고정부재에 볼트 고정되는 당김 볼트;와 상기 당김 볼트와 안전고리를 연결 고정하는 고정 부재;및 상기 고정 부재에 관통결합하는 상기 안전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안전커버는 하부를 박스형태로 개방시키거나, "T"자형태로 개방시키는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갱폼 인양 안전장치에 의하면, 갱폼 고정볼트는 상,하로 일정간격 움직일 수 있고, 갱폼 고정볼트 두부를 해체할 경우 갱폼 수직재의 전면부를 기준으로 상기 갱폼 고정볼트 두부가 전면방향으로 약 40MM정도 돌출하는데, 이러한 갱폼 고정볼트의 두부를 수용하며 잠그거나 개방시킬 수 있고, 상기 갱폼 고정볼트에 L앙카볼트를 설치할 때 상기 갱폼 고정볼트를 잡아줄 수 있는 특징의 안전커버를 가이드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안전고리로 설치시간을 단축 시킬수 있고, 상기 갱폼 인양 안전장치를 갱폼 제작시 공장에서 설치하여 납품 후에 현장에서 갱폼 고정볼트를 설치하더라도 자동으로 갱폼 고정볼트를 상기 갱폼 인양 안전장치의 안전커버가 잠금시킬 수 있는 기술적 원리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갱폼 인양 안전장치를 갱폼에 설치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갱폼 인양 안전장치를 하부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갱폼 인양 안전장치를 갱폼에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갱폼 인양 안전장치를 갱폼에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갱폼 인양 안전장치를 갱폼에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갱폼 인양 안전장치의 안전고리를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상부로 당겼을 때 한 쌍의 안전커버가 좌,우로 벌어지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갱폼 인양 안전장치의 안전고리를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상부로 당겼을 때 한 쌍의 안전커버가 좌,우로 벌어지며 갱폼 고정볼트 두부를 개방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갱폼 인양 안전장치의 안전고리를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상부로 당겼을 때 한 쌍의 안전커버가 좌,우로 벌어지며 갱폼 고정볼트 두부를 개방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도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상세도이다.
본 실시례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도1내지 도9를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거나 공지기술로부터 당 업자에게 일반화된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고층 건축물 또는 아파트 외벽 시공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갱폼(100)에 있어서 상기 갱폼(100)을 인양할 때 사용되는 인양고리(101)가 설치되는 구간의 수직재(102)에는 갱폼 고정볼트(200)를 설치하는데, 상기 갱폼 고정볼트(200)를 작업자가 임의로 해체할 수 없도록 상기 갱폼 고정볼트(200)의 상부에 인접하여 갱폼 인양 안전장치를 설치한다.
상기 갱폼 인양 안전장치는 상기 수직재(102)의 전면에 설치고정되는 베이스 판재(50)와 상기 베이스 판재(50)의 중심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축 볼트(30)와 상기 고정축 볼트(30)에 회동구속 결합하여 좌,우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안전커버(10)와 상기 한 쌍의 안전커버(10)를 잠금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토션 스프링(40)과 상기 한 쌍의 안전커버(10)의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당김 브레킷(20)으로 작업자가 임의로 갱폼 고정볼트 두부(201)에 접근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한 쌍의 안전커버(10)의 하부는 밀폐시키거나 개방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토션 스프링(40)은 상기 고정축 볼트(30)를 외감 하여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안전커버(10)가 항상 닫혀있도록 힘을 가하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 판재(50)와 고정축 볼트(30)와 토션 스프링(40)과 한 쌍의 안전커버(10)와 당김 브래킷(20)이 일체로 구성되고 이것을 상기 갱폼 고정볼트(200)에 인접하여 직결 피스등으로 고정 시킬 수 있다.
상기 갱폼(100)의 인양고리(101)와 타워크레인이 연결되어 일정한 힘으로 당겼을 때 상기 한 쌍의 안전커버(10)를 좌,우로 회전하며 상기 갱폼 고정볼트 두부(201)를 개방시키기 위해 상기 당김 브래킷(20)에 회동구속 결합하는 당김 볼트(60)와 상기 당김 볼트(60)와 안전고리(80)를 연결 고정하는 고정 부재(70)를 일체로 할 수 있다.
상기 안전커버(10)의 하부를 도 2와 같이 개방시켜 상기 갱폼 고정볼트(200)가 상,하로 일정거리 움직이더라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고, 내부에서 L앙카 볼트를 상기 갱폼 고정볼트(200)에 설치할 때 잡아줄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안전버커(10)의 하부를 개방시켜 상기 갱폼 고정볼트(200)에 L앙카 볼트를 설치할 때 상기 갱폼 고정볼트(200)가 함께 도는 현상이 발생할 경우 상기 갱폼 고정볼트 두부(201)를 잡아줄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안전커버(10)가 좌,우로 회전할 때 상기 안전고리(80)가 좌,우로 벌어지며 상부로 이동하며 상기 안전커버(10)를 개방시키는 기술적 특징으로 상기 안전커버(10)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당김 브래킷(20)에 상기 고정축 볼트(30)와 고정 부재(70)및 안전고리(80)가 고정되더라도 작동할 수 있으며, 종래는 상기 안전고리(80)에 가이드를 사용하였으나 가이드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특징으로 재료의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고, 설치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는 것이다.
도 9와 같이 상기 안전커버(10)의 하부를 "T"자 형으로 개방시켜 공장에서 상기 갱폼(100)제작시 함께 설치 후 현장에 납품할 경우 상기 갱폼 고정볼트(200)를 상기 안전커버(10)의 하부 T형 홈(11)을 통해 상기 갱폼 고정볼트(200)를 설치할 수 있고, 상기 갱폼 고정볼트(200)가 설치되고 상기 갱폼 고정볼트(200)에 상기 L앙카 볼트가 체결되면 자동으로 상기 갱폼 고정볼트 두부(201)가 잠겨지는 원리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례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례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안전커버 80: 안전고리
20: 당김 브래킷 100: 갱폼
30: 고정축 볼트 101: 인양고리
40: 토션 스프링 102: 수직재
50: 베이스 판재 200: 갱폼 고정볼트
60: 당김 볼트 201: 갱폼 고정볼트 두부
70: 고정 부재 11: T형 홈

Claims (2)

  1. 아파트 외벽 시공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갱폼의 수직재에 설치되는 인양고리와 갱폼 고정볼트에 있어서,
    상기 갱폼 고정볼트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수직재의 전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판재;와 상기 베이스판재의 전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전면부 상측에 상기 배이스 판재을 관통하여 너트 체결, 고정되는 고정축 볼트; 및 상기 고정축 볼트에 의해 회동 구속 결합되어 상기 고정축 볼트를 중심으로 하부가 양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ㄷ’형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안전커버;와 상기 고정축 볼트가 삽입된 상기 안전커버의 내측에 형성되고, 양단이 한 쌍의 안전커버의 상측단부에 밀착되어 상기 안전커버에 탄성력을 가하게 형성되는 토션 스프링;과 상기 안전커버의 양측에는 ‘L’형태로 절곡되어 고정된 당김 브래킷;과 상기 당김 브래킷의 단부를 관통하여 회동구속 결합되는 당김 볼트;와 상기 인양고리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안전고리; 및 상기 당김 볼트와 상기 안전고리를 연결, 결합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안전고리가 관통하는 통공;과 상기 당김 볼트와 직교하여 결합되고,
    상기 당김 볼트의 일단은 상기 당김 브래킷에 관통되어 회동구속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부재에 직교하여 상기 안전고리의 외주면을 가압하며 고정되어 상기 안전고리가 상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당김 브래킷이 외측으로 벌어지며 상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안전커버의 하측이 상기 고정축 볼트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인양 안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안전커버는 하부를 개방시키거나 밀폐시킬 수 있는 특징을 포함하는 갱폼 인양 안전장치.
KR1020170105125A 2017-08-19 2017-08-19 갱폼 인양 안전장치 KR201700987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125A KR20170098774A (ko) 2017-08-19 2017-08-19 갱폼 인양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125A KR20170098774A (ko) 2017-08-19 2017-08-19 갱폼 인양 안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0422 Division 2016-0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774A true KR20170098774A (ko) 2017-08-30

Family

ID=59760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125A KR20170098774A (ko) 2017-08-19 2017-08-19 갱폼 인양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877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791A (ko) 2018-08-31 2020-03-10 방건웅 갱폼 추락 방지장치
KR102331575B1 (ko) 2020-12-15 2021-12-01 이양선 갱폼 추락 방지 장치
CN113928967A (zh) * 2021-11-03 2022-01-14 晟通科技集团有限公司 模板吊装方法
KR20230120054A (ko) * 2022-02-08 2023-08-16 유대식 갱폼 추락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갱폼 추락 방지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791A (ko) 2018-08-31 2020-03-10 방건웅 갱폼 추락 방지장치
KR102331575B1 (ko) 2020-12-15 2021-12-01 이양선 갱폼 추락 방지 장치
CN113928967A (zh) * 2021-11-03 2022-01-14 晟通科技集团有限公司 模板吊装方法
KR20230120054A (ko) * 2022-02-08 2023-08-16 유대식 갱폼 추락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갱폼 추락 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98774A (ko) 갱폼 인양 안전장치
KR20130001547U (ko) 갱폼의 추락방지를 위한 앵커볼트 잠금장치
KR102389099B1 (ko) 잠금장치를 구비한 자동식 후크
EP2385202A1 (en) Locking hinge
KR101766443B1 (ko) 갱폼 인양 안전 시스템
KR101809815B1 (ko) 갱폼 인양 안전장치
JP2008127947A (ja) 建具
KR101547519B1 (ko) 갱폼의 하부케이지 고정 및 해체를 위한 안전장치
KR101438449B1 (ko) 층고 변화용 갱폼 인양 안전장치
KR101879679B1 (ko) 수직형 추락 방망 설치구
KR101824385B1 (ko) 안전로프 고정장치
KR101712567B1 (ko) 샤클
KR20190002968A (ko) 슬라이딩 도어용 피봇홀더 선택 설치형 연동장치
KR20180060003A (ko) 갱폼 고정볼트 잠금장치
KR101640580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KR200476122Y1 (ko) 국기 게양장치
KR101381992B1 (ko) 대형거푸집의 본체볼트 다중 잠금장치
KR102331575B1 (ko) 갱폼 추락 방지 장치
JP2011042947A (ja) 足場用扉
KR101710775B1 (ko) 도어용 경첩
KR100945240B1 (ko) 갱폼의 작업자 추락 방지 도어
CN203865788U (zh) 一种施工升降机吊笼的门锁
KR101835069B1 (ko) 게이트 닫힘 장치
KR20170003116U (ko) 안전인양장치를 갖춘 갱 폼
CN203865794U (zh) 一种施工升降机层门的锁紧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