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4385B1 - 안전로프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안전로프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4385B1
KR101824385B1 KR1020170120287A KR20170120287A KR101824385B1 KR 101824385 B1 KR101824385 B1 KR 101824385B1 KR 1020170120287 A KR1020170120287 A KR 1020170120287A KR 20170120287 A KR20170120287 A KR 20170120287A KR 101824385 B1 KR101824385 B1 KR 101824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rame
pin
fixed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0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성
Original Assignee
쓰리에스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에스코리아(주) filed Critical 쓰리에스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70120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43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68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75Details of ropes or similar equipment, e.g. between the secured person and the lifeline or anch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로프 고정장치에 대한 것으로, 작업현장의 로프, 철근 및 전선볼트 등과 같은 작업부재에 체결 및 고정되어, 작업자의 안전로프와 직접 체결될 수 있고,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안전로프 고정장치{APPARATUS OF FIXING SAFETY ROPE}
본 발명은 안전로프 고정장치에 대한 것으로, 작업현장의 로프, 철근 및 전선볼트 등과 같은 작업부재에 체결 및 고정되어, 작업자의 안전로프와 직접 체결될 수 있고,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장에는 다양한 구조물이 구비되게 되고,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전선관을 지지하기 위한 행거트레이가 있을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행거트레이를 설치하기 위한 전선볼트가 대표적인 것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행거트레이는 케이블 트레이 행거라고도 칭해지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06086호(케이블 트레이 행거, 2005년 07월 07일 출원)에서와 같이 전선볼트에 체결되는 행거프레임 및 상기 행거프레임상에 배치되는 트레이로 구성되는 형태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트레이 행거의 경우 작업자가 배선작업 등을 시행할 때 트레이를 지지하며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작업자의 실수로 낙상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러한 낙상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통상의 고소작업용 사다리 또는 우마라고 불리우는 작업대를 이용하게 되나, 작업공간이 협소하고, 이동이 용이하지 않아 대부분의 현장작업자는 트레이를 지지하며 연속작업을 시행하게 되고, 이로 인해, 추락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06086호 (2007.01.11.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작업현장의 로프, 철근, 전선볼트 등과의 체결이 용이하고, 우수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안전로프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작업자가 추락을 방지할 수 있고, 추락 방지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쓰임이 가능한 안전로프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작업현장에 구비된 작업부재와 결합되는 안전로프 고정장치에 있어서,
고정 프레임(10),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결합되며, 회동되는 회동 프레임(20) 및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상기 회동 프레임(20) 결합시 사이에 구비되며 작업부재와 밀착하여 고정되는 제1 고정구(30)와 제2 고정구(40)로 구성되되, 상기 회동 프레임(20)은 회동을 통해 개방되고, 한 쌍의 고정구 사이에 작업부재가 위치하여 밀착 고정되며, 상기 회동 프레임(20)을 회동하여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상기 회동 프레임(20) 사이에 작업부재를 위치시켜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상기 회동 프레임(20)과 상기 제1 고정구(30)를 관통하여 결합시키는 제1 회동핀(50) 및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상기 제2 고정구(40)를 관통하여 결합시키고, 상기 회동 프레임(20)이 회전을 방지하는 제2 회동핀(60)으로 구성되되, 상기 회동 프레임(20)은 상기 제1 회동핀(50)을 통해 회동되고, 상기 제2 회동핀(60)에 걸려 고정된다.
이때, 회동 프레임(20)은 측면이 중심측으로 함몰된 가이드홈(2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22)은 상기 회동 프레임(20)이 회동 시 상기 제2 회동핀(60)이 내측을 따라 인입될 수 있고, 상기 회동 프레임(20)이 상기 제2 회동핀(60)에 걸려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 프레임(10)은 원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측면이 돌출된 제1 돌출부(13) 및 상기 제1 돌출부(13)와 연결되며 부채꼴 형상으로 확장되고, 중앙에 제1 연결홀(141)이 관통형성된 제1 확장부(14)를 형성하며, 상기 회동 프레임(20)은 상기 고정 프레임(1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되, 상기 제1 돌출부(13)가 돌출된 방향과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23) 및 상기 제2 돌출부(23)와 연결되며 부채꼴 형상으로 확장되고, 중앙에 제2 연결홀(241)이 관통형성된 제2 확장부(24)를 형성하고, 작업부재와 상기 안전로프 고정장치가 체결시 상기 제1 연결홀(141)과 상기 제2 연결홀(241)은 연통된다.
또한, 제1 고정구(30)와 상기 제2 고정구(40)는 동일한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구성된다.
또한, 제1 고정구(30)는 일측면이 긴 삼각형 형상을 가지며, 중앙에는 높이방향으로 관통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상기 회동 프레임(20)과 결합되는 제1 회동핀 인입홀(31) 및 상기 일측면에는 복수 개의 돌출된 제1 고정구 돌기(32);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고정구 돌기(32)가 상기 작업부재와 결합시 밀착 고정된다.
이때, 제2 고정구(40)는 일측면이 긴 삼각형 형상을 가지며, 중앙에는 높이방향으로 관통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결합되는 제2 회동핀 인입홀(41) 및 상기 일측면에는 복수 개의 돌출된 제2 고정구 돌기(42)로 구성되며, 상기 제2 고정구 돌기(42)가 상기 작업부재와 결합시 밀착 고정되며, 상기 제1 고정구(30)와 상기 제2 고정구(40)는 상기 제1 고정구 돌기(32)와 상기 제2 고정구 돌기(42)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고정 프레임(10)과 상기 고정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회동시키는 탄성부재(70)가 추가로 구성되되, 상기 탄성부재(70)는 상기 제1 회동핀(50)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상기 제1 고정구(30) 사이에 설치되며, 일단은 고리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정 프레임(10)을 관통한 탄성부재 고정핀(16)에 걸려 고정되는 걸이구(71) 및 말단은 상측으로 휘어져 있으며, 상기 제1 고정구(30)의 측면과 맞닿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고정구(30)를 회동시키는 굴곡구(72)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로프 고정장치는, 인력에 의해 용이하게 회동되는 한 쌍의 고정구를 통해 작업부재에 밀착 고정함으로써 작업부재와의 체결이 용이하고, 우수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회동되는 회동 프레임을 통해 작업부재와 체결 후 내부 구성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폐쇄함으로써 안정성이 향상되고,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로프 고정장치의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로프 고정장치의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로프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로프 고정장치의 작업부재와의 결합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로프 고정장치의 다른 사용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 당업자가 본 발명의 안전로프 고정장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첨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작업부재에는 작업현장에 구비되어 있는 전선볼트, 철근, 로프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안전로프 고정장치가 고정될 수 있는 봉 형상의 부재를 뜻함을 미리 밝힌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로프 고정장치의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로프 고정장치의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로프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로프 고정장치의 작업부재와의 결합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로프 고정장치의 다른 사용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현장에 구비된 작업부재에 직접 체결되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로프가 결합될 수 있는 안전로프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정 프레임(10), 회동 프레임(20), 제1 고정구(30), 제2 고정구(40), 제1 회동핀(50), 제2 회동핀(60) 및 탄성부재(70)로 구성된다.
고정 프레임(10)은 타원형의 판형태를 가지되, 판 형태를 관통하는 제1 체결홀(11)과 제2 체결홀(1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체결홀(11)은 제1 회동핀(50)이 인입되고, 제2 체결홀(12)은 제2 회동핀(60)이 인입되어 고정 프레임(10), 회동 프레임(20), 제1 고정구(30) 및 제2 고정구(4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정 프레임(10)의 일측면에는 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13)와 상기 제1 돌출부(13)와 연결된 제1 확장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1 확장부(14)는 제1 돌출부(13)와 연결된 부위를 중심으로 부채꼴 형상으로 확장되며, 제1 확장부(14) 중앙에는 제1 연결홀(141)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연결홀(141)은 후술된 제2 연결홀(241)과 연통되면서 고리나 로프 등이 체결되어 안전로프 고정장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회동 프레임(20)은 고정 프레임(10)과 동일한 형상 및 형태를 가지며 제1 체결홀(11)과 대응되는 곳에 회동핀 체결홀(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회동핀 체결홀(21)에는 제1 회동핀(50)이 관통되어 회동 프레임(20)이 제1 회동핀(50)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회동 프레임(20)에는 가이드홈(22)이 형성되어 있는데, 가이드홈(22)은 회동 프레임(20)의 측면에서부터 제2 회동핀(60)의 너비에 맞춰 함몰되어 형성된 것으로, 제1 회동핀(60)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회동 프레임(20)이 360°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도 2와 같이 제1 및 2 고정구(30, 40)와 같은 내부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고정 프레임(10)과 회동 프레임(20)이 올바르게 합형될 수 있도록 제2 회동핀(60)이 내측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회동 프레임(20)은 고정 프레임(10)과 합형시 일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23)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돌출부(23)의 돌출방향 말단에는 제2 확장부(24)가 형성된다.
이때, 제2 돌출부(23) 및 제2 확장부(24)는 고정 프레임(10)과 회동 프레임(20)이 제1 회동핀(50)에 의해 결합시 제1 돌출부(13) 및 제1 확장부(1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1 연결홀(141)과 동일하게 제2 확장부(24)에도 제2 연결홀(24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 및 회동 프레임(10,20)이 결합시 제1 및 2 연결홀(141, 241)이 연통되어 고리나 로프 등이 제1 및 2 연결홀(141,241)을 관통하여 안전로프 고정장치(1)와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10)과 회동 프레임(20)이 제1 및 2 회동핀(50,60)에 의해 결합하게 되면 한 쌍의 고정구가 고정 및 회동 프레임(10,20) 사이에 적층되어 결합되는데, 이러한 고정구는 제1 고정구(30)와 제2 고정구(40)로 나뉠 수 있다.
제1 고정구(30)와 제2 고정구(40)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데, 한 측면이 긴 삼각형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제1 고정구(30)는 중심에 제1 회동핀 인입홀(31)이 형성되고, 제2 고정구(40)는 중앙에 제2 회동핀(60)이 관통될 수 있는 제2 회동핀 인입홀(41)이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 및 회동 프레임(10,20)이 결합시 제1 회동핀 인입홀(31)로 제1 회동핀(50)이 관통결합되고, 제2 회동핀 인입홀(41)에는 제2 회동핀(60)이 관통결합됨으로써 제1 및 2 고정구(30,40)는 고정 및 회동 프레임(10,20)의 사이에 결합되어 구비되고, 각각 제1 및 2 회동핀(50,60)를 중심으로 제1 및 2 고정구(30,40)가 회동되어 작업부재와 결속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2 고정구(30,40)의 가장 긴 측면이 서로 마주한 상태로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제1 고정구(30)의 일측면에는 제1 고정구 돌기(32)가 형성되는데 형상 및 위치에 따라 제1 톱니돌기(321)와 제1 원형돌기(322)로 나뉘어진다.
제1 원형돌기(322)는 일측면 양말단에 반원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이고, 한 쌍의 제1 원형돌기(322)의 사이에는 복수 개의 제1 톱니돌기(321)가 삼각형태로 돌출형성된 돌기이다. 이러한 제1 고정구 돌기(32)를 통해 제1 고정구(30) 일측면과 맞닿는 작업부재가 밀접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고정구(40) 또한 제1 고정구(30)와 동일하게 일측면에는 제2 고정구 돌기(42)가 형성되는데, 형상 및 위치에 따라 제2 톱니돌기(421), 제2 원형돌기(422) 및 걸림홈(423)으로 나뉘어진다.
제2 원형돌기(422)는 제1 원형돌기(322)와 동일하게 제2 고정구(40)의 길이가 가장 긴 측면 양말단에 형성되며, 이러한 제2 원형돌기(422)의 사이에는 복수 개의 제2 톱니돌기(421)와 걸림홈(423)이 형성된다. 이때, 제2 톱니돌기(421)는 제1 톱니돌기(321)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도 4와 같이 안전로프 고정장치(1)와 결합되는 작업부재는 제1 및 2 고정구(30,40)에 각각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및 2 톱니돌기(321,421)가 작업부재의 외면 즉, 전선볼트의 나사산과 맞물려 결합됨으로써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선볼트 외에도 철근이나 일반 로프 등에도 안전로프 고정장치(1)를 사용할 수 있는데, 로프의 외측면에 복수 개의 제1 및 2 톱니돌기(321,421)가 철근이나 일반 로프의 외면에 꽂혀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2 원형돌기(322,422)는 제1 및 2 고정구(30,40)가 회동시 충돌할 경우 파손되거나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2를 살펴보면 알 수 있듯이, 제1 고정구(30)는 탄성부재(70)를 통해 탄성력을 이용하여 회동될 수 있는데, 평상시에는 제1 고정구(30)가 회동될 방향측에 위치한 제1 원형돌기(321)가 걸림홈(423)에 걸려 정지되어 있다. 그러나 작업부재와 체결시 제1 및 2 고정구(30,40)는 회동하게 되며, 제1 및 2 고정구(30,40)의 사이에 작업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전선볼트와 미체결시에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 고정구(30)가 회동하게 되고, 제1 원형돌기(322)가 걸림홈(423)과 맞닿아 회동이 정지된다.
한편, 제1 및 2 고정구(30,40)는 단일의 부재가 아닌 동일한 형상으로 복수개 이루어지며, 서로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부재와의 체결시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하나의 부재가 작업부재와 분리되더라도 나머지 부재가 작업부재와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안정성 또한 향상되며, 안전로프 고정장치(1)의 하중을 분산시켜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복수 개로 적층 구성된 제1 및 2 고정구(30,40)는 각각 부재를 관통하며, 적층시 서로 연통되는 제1 결속홈(33)과 제2 결속홈(43)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및 2 결속홈(33,43)의 내측으로 결속부재(80)가 인입되어 복수개가 적층 구성된 제1 및 2 고정구(30,40)가 서로 분리되지 않고 단일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결속부재(80)는 제1 및 2 결속홈(33,43)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하여 억지끼움결합됨으로써 결속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회동핀(50)은 고정 프레임(10), 제1 고정구(30) 및 회동 프레임(20) 순으로 관통하여 상기 구성들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회동 프레임(20)은 제1 회동핀(50)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제2 회동핀(60)은 고정 프레임(10)과 제2 고정구(40)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회동 프레임(20)이 회동시 가이드홈(22) 내측에 제2 회동핀(60)이 구비되면서 회동 프레임(20)이 용이하게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이드홈(22)의 함몰된 정도를 통해 회동 프레임(20)이 회동될 수 있는데, 제2 회동핀(60)이 가이드홈(22)의 내측 말단에 다다를 경우 안전로프 고정장치(1)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제2 회동핀(60)의 말단 중 회동 프레임(20)이 구비되는 측 말단은 제2 회동핀(60)의 내경보다 넓은 구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회동 프레임(20)이 가이드홈(22)에 의해 회동되되, 제2 회동핀(60)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제1 및 2 고정구(30,40)는 작업부재와 밀착하여 체결되는데 제1 및 2 고정구(30,40)가 작업부재에 밀착할 수 있는 구성이 필요하다.
따라서, 제1 고정구(30)와 결합되며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 고정구(30)를 회동시키는 탄성부재(70)가 구성된다.
탄성부재(70)는 고정 프레임(10)과 제1 고정구(30) 사이에 구비되며, 제1 회동핀(50)을 통해 관통되어 고정 프레임(10) 및 제1 고정구(30)와 결합된다.
이때, 탄성부재(70)의 일측말단에는 걸이구(71)가 형성되며, 고정 프레임(10)에 형성된 탄성부재 고정홀(15)에 탄성부재 고정핀(16)이 관통할 때 걸이구(71)를 먼저 관통하고, 탄성부재 고정홀(15)을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70)의 타측말단에는 굴곡구(72)가 형성되어 제1 고정구(30)의 제1 돌기(32)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측면과 높이방향으로 밀접하게 접해짐으로써 탄성부재(70)의 탄성복원력으로 제1 고정구(30)를 회동시킬 시 굴곡구(72)가 제1 고정구(30)로 탄성복원력을 쉽게 전달 및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2 고정구(40)와 고정 프레임(10) 사이에도 별도의 탄성스프링(도면에 미도시) 등을 구비하여 제2 고정구(40) 또한 쉽게 회동되어 작업부재와 체결되도록 하고, 작업부재에서 분리시에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은 안전로프 고정장치(1)는 작업부재와 결합된 상태로 폐쇄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고, 폐쇄된 상태에서는 제1 및 2 연결홀(141, 241)가 연통되는데 연통된 곳을 통해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대 고리를 걸어 안전로프를 고정할 수 있고(도 5의 A 참조), 복수 개의 작업부재마다 안전로프 고정장치(1)를 설치하고 이를 로프로 연결함으로써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2 연결홀(141, 241) 외에도 제1 및 2 돌출부(13,23)에도 로프를 묶어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2 확장부(14,24)로 인해 제1 및 2 돌출부(13,23)에 묶인 로프는 초기 설치위치를 벗어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안전로프 고정장치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5를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5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 안전로프 고정장치
10: 고정 프레임 11: 제1 체결홀
12: 제2 체결홀 13: 제1 돌출부
14: 제1 확장부 141: 제1 연결홀
15: 탄성부재 고정홀 16: 탄성부재 고정핀
20: 회동 프레임 21: 회동핀 체결홀
22: 가이드홈 23: 제2 돌출부
24: 제2 확장부 241: 제2 연결홀
30: 제1 고정구 31: 제1 회동핀 인입홀
32: 제1 고정구 돌기 321: 제1 톱니돌기
322: 제1 원형돌기 33: 제1 결속홈
40: 제2 고정구 41: 제2 회동핀 인입홀
42: 제2 고정구 돌기 421: 제2 톱니돌기
422: 제2 원형돌기 423: 걸림홈
43: 제2 결속홈 50: 제1 회동핀
60: 제2 회동핀 70: 탄성부재
71: 걸이구 72: 굴곡구
80: 결속부재

Claims (8)

  1. 작업현장에 구비된 작업부재와 결합되는 안전로프 고정장치에 있어서,
    고정 프레임(10);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결합되며 회동에 의해 개방 및 고정되는 회동 프레임(20);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상기 회동 프레임(20) 내측에 각각 구비되며 작업부재와 밀착되어 결합시키는 한 쌍의 제1 고정구(30);와 제2 고정구(40);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상기 회동 프레임(20)과 상기 제1 고정구(30)를 관통하여 결합시키는 제1 회동핀(50); 및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상기 제2 고정구(40)를 관통하여 결합시키는 제2 회동핀(60);으로 구성되되,
    상기 회동 프레임(20)은 작업부재와 결합시 상기 제1 회동핀(50)을 통해 회동되고, 상기 제2 회동핀(60)에 걸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로프 고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프레임(20)은,
    측면이 중심측으로 함몰된 가이드홈(2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22)은 상기 회동 프레임(20)이 회동 시 상기 제2 회동핀(60)이 내측을 따라 인입될 수 있고, 상기 회동 프레임(20)이 상기 제2 회동핀(60)에 걸려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로프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10)은,
    원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측면이 돌출된 제1 돌출부(13); 및
    상기 제1 돌출부(13)와 연결되며 부채꼴 형상으로 확장되고, 중앙에 제1 연결홀(141)이 관통형성된 제1 확장부(14);를 형성하며,
    상기 회동 프레임(20)은,
    상기 고정 프레임(1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되, 상기 제1 돌출부(13)가 돌출된 방향과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23); 및 상기 제2 돌출부(23)와 연결되며 부채꼴 형상으로 확장되고, 중앙에 제2 연결홀(241)이 관통형성된 제2 확장부(24);를 형성하고,
    작업부재와 상기 안전로프 고정장치가 체결시 상기 제1 연결홀(141)과 상기 제2 연결홀(241)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로프 고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구(30)와 상기 제2 고정구(40)는,
    동일한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로프 고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제1 고정구(30)는,
    일측면이 긴 삼각형 형상을 가지며,
    중앙에는 높이방향으로 관통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상기 회동 프레임(20)과 결합되는 제1 회동핀 인입홀(31); 및
    상기 일측면에는 복수 개의 돌출된 제1 고정구 돌기(32);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고정구 돌기(32)가 상기 작업부재와 결합시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로프 고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제2 고정구(40)는,
    일측면이 긴 삼각형 형상을 가지며,
    중앙에는 높이방향으로 관통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결합되는 제2 회동핀 인입홀(41); 및
    상기 일측면에는 복수 개의 돌출된 제2 고정구 돌기(42);로 구성되며,
    상기 제2 고정구 돌기(42)가 상기 작업부재와 결합시 밀착 고정되며,
    상기 제1 고정구(30)와 상기 제2 고정구(40)는 상기 제1 고정구 돌기(32)와 상기 제2 고정구 돌기(42)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로프 고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상기 고정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회동시키는 탄성부재(70);가 추가로 구성되되,
    상기 탄성부재(70)는,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상기 제1 고정구(30) 사이에 설치되며,
    일단은 고리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정 프레임(10)을 관통한 탄성부재 고정핀(16)에 걸려 고정되는 걸이구(71); 및
    말단은 상측으로 휘어져 있으며, 상기 제1 고정구(30)의 측면과 맞닿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고정구(30)를 회동시키는 굴곡구(7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로프 고정장치.
KR1020170120287A 2017-09-19 2017-09-19 안전로프 고정장치 KR101824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287A KR101824385B1 (ko) 2017-09-19 2017-09-19 안전로프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287A KR101824385B1 (ko) 2017-09-19 2017-09-19 안전로프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4385B1 true KR101824385B1 (ko) 2018-02-01

Family

ID=61232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287A KR101824385B1 (ko) 2017-09-19 2017-09-19 안전로프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43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355B1 (ko) * 2018-09-12 2019-11-07 허동석 셀프 빌레이
KR20220022334A (ko) 2020-08-18 2022-02-25 제일레스텍 주식회사 소방관 안전 보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186B1 (ko) 2012-05-07 2012-10-02 (주)협신통신 전주용 안전로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186B1 (ko) 2012-05-07 2012-10-02 (주)협신통신 전주용 안전로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355B1 (ko) * 2018-09-12 2019-11-07 허동석 셀프 빌레이
KR20220022334A (ko) 2020-08-18 2022-02-25 제일레스텍 주식회사 소방관 안전 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80635B1 (en) Sprinkler mounting device
US8100368B2 (en) Clamp and seismic sway brace
JP7256129B2 (ja) ファスナアセンブリ、メッシュパネル及び障壁システム
KR101824385B1 (ko) 안전로프 고정장치
JP7489182B2 (ja) イージーロックp字型クランプ
AU2005243401A1 (en) Suspension plate for fixing to ceiling
JP2010529392A (ja) クランプおよび耐震遥動補強
US9394712B2 (en) Aseismic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a panel to a beam
KR20160012717A (ko) 스프링쿨러 조인트 고정용 사이드 브라켓
WO2007117077A1 (en) Device for fixing objects to ceiling
JP6416317B1 (ja) 吊りボルト用取付機構および吊りボルト取付用ケーブル支持具
KR20170098774A (ko) 갱폼 인양 안전장치
EP2505741A1 (en) Joint for installation of scaffolding tubes, and scaffold comprising said joint
KR101928994B1 (ko) 전선볼트용 안전로프 고정장치
JP5439094B2 (ja) ボルト体への取着体及びナット体
KR20190003213U (ko) 래칫버클
US9662667B2 (en) Fastening system for installation shower heads
JP4287352B2 (ja) 親綱連結用台付けベルト
KR200280302Y1 (ko) 케이블 보호용 체인
CN106871077B (zh) 抱箍
JP5700800B2 (ja) 端子のボルト締結構造
US7478509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profiles
KR200350014Y1 (ko) 구축물용 난간 클램프어셈블리
KR102334208B1 (ko) 케이블 캐리어 브래킷
JP5851144B2 (ja) 落下防止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