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355B1 - 셀프 빌레이 - Google Patents

셀프 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355B1
KR102042355B1 KR1020180108614A KR20180108614A KR102042355B1 KR 102042355 B1 KR102042355 B1 KR 102042355B1 KR 1020180108614 A KR1020180108614 A KR 1020180108614A KR 20180108614 A KR20180108614 A KR 20180108614A KR 102042355 B1 KR102042355 B1 KR 102042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fixing means
hole
uni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동석
Original Assignee
허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동석 filed Critical 허동석
Priority to KR1020180108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3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75Details of ropes or similar equipment, e.g. between the secured person and the lifeline or anch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2Mountain guy-ropes or accessories, e.g. avalanche ropes; Means for indicating the location of accidentally buried, e.g. snow-buried, pers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프 빌레이와 관한 것으로, 오토빌레이의 연결된 로프와 결합되어 승강작동하며 사용자가 착용한 안전벨트의 연결고리가 결합되는 체결고정수단과, 경첩을 통해 벽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전가드와, 상기 체결고정수단과의 결합을 통해 상기 체결고정수단의 승강이동을 제한함과 동시에 연결고리의 탈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탈착고정수단을 구성하되, 상기 체결고정수단은 제1몸체와, 제1, 2결합홈과, 제1수직바와, 제1연결대와, 제1끼움돌부와, 제1체결돌부를 구성한 제1브라켓부; 중심축과, 회전체와, 열십자형상의 고정구와, 조절구와, 탄성제어구를 구성한 작동제어부; 제2몸체와, 제3결합홈과, 제2수직바와, 제2연결대와, 제2끼움돌부와, 제2체결돌부를 구성한 제2브라켓부; 상기 제1, 2체결홀에 체결되는 체결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셀프 빌레이{The self belay}
본 발명은 셀프 빌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2브라켓부 사이에 작동제어부를 끼워넣은 상태로 볼트결합하는 것만으로 체결고정수단을 손쉽게 조립할 수 있어 제작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체결고정과 해제를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하여 유지관리를 간편히 할 수 있으며, 체결고정수단과 탈착고정수단의 결합시 걸쇠의 쐐기가 체결축에 자동으로 걸리되어 오토빌레이에 의한 체결고정수단의 상승이동을 방지할 수 있고, 체결고정수단의 간단한 분리와 더불어, 탈착고정수단을 체결고정수단에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체결고정수단에 안전벨트의 연결고리를 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손쉬우면서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연결고리를 체결할 수 있게 되는 셀프 빌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레이(Belay)는 등산에서 위험한 암벽이나 빙벽, 또는 눈 쌓인 계곡을 등반할 때 등반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일을 바위 모서리나 나무, 또는 하켄에 건 카라비너에 통과시키거나 고정하여 다른 등반자를 확보하는 것을 뜻하며, 이러한 빌레이는 근래에 들어 레저과 산업용으로 개발되어 많이 이용되고 있다.
US 6,083,142 A1은 등반 배열체를 개시하고 있는데, 사용자가 벽으로부터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등반 벽과 사용자는 로프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로프는 안내 풀리를 통해서 안내되고, 풀리는 벽의 상단부에 장착되며, 벽 배열체는 로프를 항상 인장화(tensioning)하기 위한 오토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데, 사용자가 벽에서 떨어질 때, 오토빌레이는 사용자를 고정한 상태로 사용자를 지면까지 제어된 하강 속도(down-lifting rate)로 하강시키는 작용을 한다.
아울러 오토빌레이를 이용하여 로프를 수직 방향으로 인장화하기 위해서는, 로프를 최소의 힘으로 항상 사전 응력화(pre-stressed)해야 하는데, 사용자가 잠금장치를 해제하는 경우에는 자동빌레이의 힘에 의해 벽의 상단부까지 자동으로 이되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잠금 장치를 안전 하니스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29057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KR 제10-2018-0029057호 (2018.03.19) A "등반 용도를 위한 자가 빌레이 배열체" - 세이프티 엔지니어링 리미티드
하지만 전술한 종래의 기술은 잠금 장치를 보유부 요소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연결부 요소가 잠금 장치에 반드시 커플링됨으로써 잠금장치와 상호작용하게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그 구성이 복잡해 질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제작단가가 높아지고, 고장에 따른 유지보수가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안전하니스와 연결설치되어 있는 보유부요소에 잠금장치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로만 연결부요소를 결합해야 하므로,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잠금장치와 연결부요소를 결합하는데 있어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도 지적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2브라켓부 사이에 작동제어부를 끼워넣은 상태로 볼트결합하는 것만으로 체결고정수단을 손쉽게 조립할 수 있어 제작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회전체의 톱니에 탄성제어구가 밀착되게 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체결고정이 이루어지며, 외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작동하는 고정구에 의해 탄성제어구가 밀림으로써 회전체의 체결고정이 해제되는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되어 있어 고장발생이 업고, 유지관리가 간편한 셀프 빌레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돌기가 삽입홀에 끼워지도록 체결고정수단과 탈착고정수단을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미는 동작만으로, 조절구에 외력을 가하여 탄성제어구를 톱니에서 탈착시킬 수 있어 연결고리를 장착홈에서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체결고정수단과 탈착고정수단의 결합시 걸쇠의 쐐기가 체결축에 걸리는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오토빌레이에 의한 체결고정수단의 상승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셀프 빌레이를 제공하려는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걸쇠에 형성된 조작부를 하측방향으로 가압하는 동작만으로 쐐기가 체결축에서 탈착되게 할 수 있어 체결고정수단과 탈착고정수단의 분리를 손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탈착고정수단을 체결고정수단에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체결고정수단의 제1, 2장착홈에 안전벨트의 연결고리를 걸 수 있고, 작동제어부에 구성된 회전체가 탄성제어구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만 회동작동하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손쉬우면서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연결고리를 체결할 수 있는 셀프 빌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토빌레이의 연결된 로프와 결합되어 승강작동하며 사용자가 착용한 안전벨트의 연결고리가 결합되는 체결고정수단과, 경첩을 통해 벽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전가드와, 상기 체결고정수단과의 결합을 통해 상기 체결고정수단의 승강이동을 제한함과 동시에 연결고리의 탈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탈착고정수단을 구성하되, 상기 체결고정수단은, 일측에 설치홈을 형성하는 제1작동공간을 내측면에 구성하며 후방에는 상기 제1작동공간과 연통되는 삽입홀을 형성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작동공간과 연통되도록 제1몸체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 2결합홈과, 제1장착홈이 형성되도록 제1몸체의 전방으로 이격배치되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수직바와, 상기 제1몸체와 제1수직바의 하부을 연결하는 제1연결대와, 제1끼움홀을 형성하여 상기 제1몸체의 외측 상부로 돌출되는 제1끼움돌부와, 제1체결홀을 형성하여 상기 제1몸체의 외측 후방 하부에 형성되는 제1체결돌부를 구성한 제1브라켓부; 일측이 제1브라켓부의 제1결합홈에 끼워지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에 결합되어 제1작동공간에 배치되며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톱니를 등 간격으로 경사지게 형성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일측에 밀착된 상태로 연동되도록 중심축에 결합되어 일부가 제1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열십자형상의 고정구와, 제2결합홈에 축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회동하는 ㄱ자 형상의 조절구와, 일측이 설치홈에 결합된 상태로 타측이 회전체의 톱니에 밀착되어 상기 회전체의 시계방향 회동을 제한하는 탄성제어구를 구성한 작동제어부; 작동제어부의 고정구가 회동작동하는 제2작동공간을 내측면에 형성하되, 전방에는 고정구의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작동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를 형성하여 제1몸체와 조립되는 제2몸체와, 상기 제1브라켓부의 제1결합홈에 대응되도록 제2몸체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중심축의 타측이 끼워지는 제3결합홈과, 상기 작동제어부에 구성된 고정구의 일부가 돌출되어 위치되는 제2장착홈이 형성되도록 제2몸체의 전방으로 이격배치되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수직바와, 상기 제2몸체와 제2수직바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대와, 상기 제1브라켓부의 제1끼움홀에 대응되는 제2끼움홀을 형성하여 제2몸체의 외측 상부로 돌출되는 제2끼움돌부와, 상기 제1체결홀에 대응되는 제2체결홀을 형성하여 상기 제2몸체의 외측 후방 하부에 형성되는 제2체결돌부를 구성한 제2브라켓부; 상기 제1, 2체결돌부의 제1, 2체결홀에 체결되는 체결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빌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셀프 빌레이는 제1, 2브라켓부 사이에 작동제어부를 끼워넣은 상태로 볼트결합하는 것만으로 체결고정수단을 손쉽게 조립할 수 있어 제작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회전체의 톱니에 탄성제어구가 밀착되게 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체결고정이 이루어지며, 외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작동하는 고정구에 의해 탄성제어구가 밀림으로써 회전체의 체결고정이 해제되는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고장발생이 업고, 유지관리가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돌기가 삽입홀에 끼워지도록 체결고정수단과 탈착고정수단을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미는 동작만으로, 조절구에 외력을 가하여 탄성제어구를 톱니에서 탈착시킬 수 있어 연결고리를 장착홈에서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체결고정수단과 탈착고정수단의 결합시 걸쇠의 쐐기가 체결축에 걸리는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오토빌레이에 의한 체결고정수단의 상승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걸쇠에 형성된 조작부를 하측방향으로 가압하는 동작만으로 쐐기가 체결축에서 탈착되게 할 수 있어 체결고정수단과 탈착고정수단의 분리를 손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탈착고정수단을 체결고정수단에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체결고정수단의 제1, 2장착홈에 안전벨트의 연결고리를 걸 수 있고, 작동제어부에 구성된 회전체가 탄성제어구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만 회동작동하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손쉬우면서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연결고리를 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셀프빌레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체결고정수단과 탈착고정수단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셀프 빌레이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체결고정수단과 탈착고정수단의 결합에 의해 작동제어부의 체결이 해제되어 연결고리를 분리할 수 있게 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탈착고정수단에 구성된 걸쇠를 이용하여 체결고정수단을 탈착고정수단에서 분리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6은 도 5의 A와 B를 확대하여 도시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회전체가 탄성제어구에 의하 반시계방향으로만 회동이 가능하게 되어, 연결고리를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체결고정수단에 연결고리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2몸체가 제1, 2, 3, 4, 5, 6플레이트로 분할제작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토빌레이의 연결된 로프(1)와 결합되어 승강작동하며 사용자가 착용한 안전벨트의 연결고리(3)가 결합되는 체결고정수단(10)과, 경첩(5)을 통해 벽체(6)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전가드(7)와, 상기 체결고정수단(10)과의 결합을 통해 상기 체결고정수단(10)의 승강이동을 제한함과 동시에 연결고리(3)의 탈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탈착고정수단(50)을 구성한 셀프 빌레이(1000)에 관한 것으로, 상기 체결고정수단(10)이, 일측에 설치홈(111)을 형성하는 제1작동공간(112)을 내측면에 구성하며 후방에는 상기 제1작동공간(112)과 연통되는 삽입홀(113)을 형성하는 제1몸체(110)와, 상기 제1작동공간(112)과 연통되도록 제1몸체(11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 2결합홈(120, 130)과, 제1장착홈(141)이 형성되도록 제1몸체(110)의 전방으로 이격배치되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수직바(140)와, 상기 제1몸체(110)와 제1수직바(140)의 하부을 연결하는 제1연결대(150)와, 제1끼움홀(161)을 형성하여 상기 제1몸체(110)의 외측 상부로 돌출되는 제1끼움돌부(160)와, 제1체결홀(171)을 형성하여 상기 제1몸체(110)의 외측 후방 하부에 형성되는 제1체결돌부(170)를 구성한 제1브라켓부(100); 일측이 제1브라켓부(100)의 제1결합홈(120)에 끼워지는 중심축(210)과, 상기 중심축(210)에 결합되어 제1작동공간(112)에 배치되며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톱니(221)를 등 간격으로 경사지게 형성한 회전체(220)와, 상기 회전체(220)의 일측에 밀착된 상태로 연동되도록 중심축(210)에 결합되어 일부가 제1몸체(1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열십자형상의 고정구(230)와, 제2결합홈(130)에 축(241)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회동하는 ㄱ자 형상의 조절구(240)와, 일측이 설치홈(111)에 결합된 상태로 타측이 회전체(220)의 톱니(221)에 밀착되어 상기 회전체(220)의 시계방향 회동을 제한하는 탄성제어구(250)를 구성한 작동제어부(200); 작동제어부(200)의 고정구(230)가 회동작동하는 제2작동공간(311)을 내측면에 형성하되, 전방에는 고정구(230)의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작동공간(311)과 연통되는 개구(312)를 형성하여 제1몸체(110)와 조립되는 제2몸체(310)와, 상기 제1브라켓부(100)의 제1결합홈(120)에 대응되도록 제2몸체(31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중심축(210)의 타측이 끼워지는 제3결합홈(320)과, 상기 작동제어부(200)에 구성된 고정구(230)의 일부가 돌출되어 위치되는 제2장착홈(341)이 형성되도록 제2몸체(310)의 전방으로 이격배치되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수직바(340)와, 상기 제2몸체(310)와 제2수직바(340)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대(350)와, 상기 제1브라켓부(100)의 제1끼움홀(161)에 대응되는 제2끼움홀(361)을 형성하여 제2몸체(310)의 외측 상부로 돌출되는 제2끼움돌부(360)와, 상기 제1체결홀(171)에 대응되는 제2체결홀(371)을 형성하여 상기 제2몸체(310)의 외측 후방 하부에 형성되는 제2체결돌부(370)를 구성한 제2브라켓부(300); 상기 제1, 2체결돌부(170, 370)의 제1, 2체결홀(171, 371)에 체결되는 체결축(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오토빌레이(미도시)는 암벽 등반 등을 위하여 벽체(6)의 상부에 설치되어 로프(1)를 자동으로 승강시키는 작동을 하는 구성으로, 종래에 공지된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안전가드(7)는 경첩(5)을 통해 벽체(6)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 탈착고정수단(50)을 고정설치하기 위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벽체(6)에는 등반을 위한 통상의 돌출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안전벨트(미도시)는 등반을 하는 사용자가 낙하시 다치지 않게 몸을 지탱해지는 구성으로, 오토빌리지의 로프(1)와 연결된 체결고정수단(10)에 장착되는 연결고리(3)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 구성 역시 종래에 공지된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제1브라켓부(100)와, 작동제어부(200)와, 제2브라켓부(300)와, 체결축(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체결고정수단(1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첫째, 제1브라켓부(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작동제어부(2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오토빌레이에 연결된 로프(1) 및 안전벨트에 연결된 연결고리(3)의 사이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일측에 설치홈(111)을 형성하는 제1작동공간(112)을 내측면에 구성한 제1몸체(110)를 구비하며, 상기 제1몸체(110)의 후방에는 제1작동공간(112)과 연통되는 삽입홀(11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몸체(110)의 내측면에는 중심축(210) 및 조절구(240)의 결합설치를 위하여, 제1작동공간(112)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 2결합홈(120, 130)이 구성되고, 상기 제1몸체(110)의 전방에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수직바(140)가 전방으로 이격배치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몸체(110)와 제1수직바(140) 사이에 안전벨트의 연결고리(3)가 장착되는 제1장착홈(141)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장착홈(141)은 제1몸체(110)와 제1수직바(140)의 하부을 연결하는 제1연결대(150)에 의해 하부가 폐쇄되어 형성됨으로써 상측의 개구를 통해 연결고리(3)가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110)에는 오토빌레이의 로프(1)와의 결합을 위한 구성과, 탈착고정수단(50)이 체결고정수단(10)에 결합된 상태로 임의 탈착되지 않게 하는 구성이 추가로 구비되어야 하는데, 이는 로프(1)와 연결된 연결축의 일측이 끼워져 결합되는 제1끼움홀(161)을 형성하여 상기 제1몸체(110)의 외측 상부로 돌출되는 제1끼움돌부(160)와, 체결축(400)의 일측이 결합되는 제1체결홀(171)을 형성하여 상기 제1몸체(110)의 외측 후방 하부에 형성되는 제1체결돌부(17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통해 이룰 수 있다.
둘째, 작동제어부(200)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2브라켓부(100, 300) 사이에 배치되어 연결고리(3)의 장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일측이 제1브라켓부(100)의 제1결합홈(120)에 끼워지는 중심축(210)과, 제1작동공간(112)에 배치되도록 상기 중심축(210)에 결합되는 회전체(220)와, 상기 회전체(220)의 일측에 밀착된 상태로 연동되도록 중심축(210)에 결합되어 일부가 제1몸체(110)의 전방 즉, 제1장착홈이 위치한 부분으로 돌출되는 열십자형상의 고정구(230)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 상기 회전체(220)의 외주면에는 일측에만 경사가 형성된 복수 개의 톱니가 등 간격으로 형성됨으로써, 탄성제어구(250)와의 연계를 통해 회전체(220)의 시계방향이 회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제어부에는 제2결합홈(130)에 축(241)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회동하는 ㄱ자 형상의 조절구(240)와, 일측이 설치홈(111)에 결합된 상태로 타측이 회전체(220)의 톱니(221)에 밀착되는 탄성제어구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탄성제어구(2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체(220)의 톱니(221)에 밀착됨으로써 회동체(220)의 시계방향 회동을 제한 즉, 상기 회동체(220)가 반시계방향으로만 회동되게 하는 작용을 하며, 이때 상기 탄성제어구(250)의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조절구(240)는 그 일단이 탄성제어구(250)의 하면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조절구(240)가 조작되지 않을 때에는, 탄성제어구(250)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회전체(220) 및 상기 회전체(220)와 연동하는 고정구(230)가 시계방향으로만 회동하게 되어 연결고리(3)의 장착만 가능하게 되고, 외력에 의해 조절구(240)가 시계방향으로 조작되어 탄성제어구(250)가 상측방향으로 들리게 되면, 회전체(220)의 체결고정이 해제되게 되어 상기 회전체(220) 및 고정구(230)가 반시계방향으로도 회동할 수 있게 되므로, 체결고정수단(10)에 장착된 연결고리(3)를 탈착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제2브라켓부(300)는 도 2, 3,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된 통상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결합을 통해 제1브라켓트(100)와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2브라켓트(100, 300)의 사이에 작동제어부(200)가 설치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작동제어부(200)의 고정구(230)가 회동작동하는 제2작동공간(311)을 내측면에 형성하여 제1몸체(110)와 조립되는 제2몸체(310)를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제2몸체(310)의 전방에는 고정구(230)의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작동공간(311)과 연통되는 개구(31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여기서 상기 개구(312)는 작동제어부(200)에 구성되는 열십자 형상의 고정구(230) 일부가 제2장착홈(341)이 위치한 부분으로 돌출되게 하는 구성이다.
더불어, 상기 제2몸체(310)의 내측면에는 중심축(210)의 타측이 끼워지도록 하는 제3결합홈(320)이 제1브라켓부(100)의 제1결합홈(22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310)의 전방으로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수직바(340)가 전방으로 이격되치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몸체(310)와 제2수직바(340) 사이에 고정구(230)의 일부가 돌출되어 위치함과 동시에, 안전벨트의 연결고리(3)가 장착되는 제2장착홈(341)이 형성되며, 상기 제2장착홈(341)은 제2몸체(310)와 제2수직바(340)의 하부을 연결하는 제2연결대(350)에 의해 하부가 폐쇄되어 형성됨으로써 상측의 개구를 통해 연결고리(3)가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몸체(310)의 외측 상부에는 제1브라켓부(100)의 제1끼움홀(161)에 대응되는 제2끼움홀(361)을 형성한 제2끼움돌부(361)가 구성되어 오토빌레이의 로프(1)와 연결된 연결축이 제1, 2끼움홀(161, 361)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몸체(310)의 외측 후방 하부에는 제1체결홀(171)에 대응되는 제2체결홀(371)을 형성한 제2체결돌부(370)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1, 2체결홀(171, 371) 사이에 체결축(400)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넷째, 체결축(400)은 도 2 내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고정수단(50)과의 결합시 체결고정수단(10)이 상기 탈착고정수단(50)에서 임의로 탈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2체결돌부(170, 370)의 제1, 2체결홀(171, 371)에 체결되는 구성으로, 공지된 통상의 볼트와 너트의 결합을 통해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탈착고정수단(50)은 도 1 내지 도 2 및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고정수단(10)과의 결합을 통해 상기 체결고정수단(10)의 승강이동을 제한함과 동시에, 작동제어부(300)를 조작함으로써 제1, 2장착홈(141, 341)에 장착된 안전벨트의 연결고리(3)의 탈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고정지지부(510)와, 받침부(520)와, 기준축(530)과, 걸쇠(540)와, 코일스프링(5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첫째, 고정지지부(510)는 체결고정수단(10)에 구성된 삽입홀(113)에 끼워짐으로써, 작동제어부(200)의 조작을 통해 안전벨트의 연결고리(3)가 제1, 2장착홈(141, 341)에서 탈착될 수 있게 하는 구성으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기둥(511)과, 제1브라켓부(100)의 삽입홀(113)에 대응되도록 수직기둥(511)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체결고정수단(10)과의 결합시 제1작동공간(112)의 내부에 위치되는 조절구(240)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조작하는 가압돌기(513)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부(510)에는 체결고정수단(10)과의 결합시 상기 체결고정수단(10)과 탈착고정수단(510)의 탈착을 방지하는 구성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홀(515)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관통홀(515)은 상기 수직기둥(511)의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관통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지지부(510)에는 안전가드(7)와의 결합을 위한 연결홀(517)이 구성되는데, 상기 연결홀(517)은 상기 수직기둥(511)의 후방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돌기(519)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통상의 카라비너를 통해 안전가드(7)와 결합 설치된다.
둘째, 받침부(530)는 고정지지부(510)의 하측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체결고정수단(10)과 탈착고정수단(50)의 체결시, 상기 체결고정수단(10)에 구성된 제1, 2브라켓부(100, 300)의 하면에 밀착됨으로써 체결을 지지하는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 상기 관통홀(515)과 연결돌기(519)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고정지지부(5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셋째, 기준축(530)은 걸쇠(540) 및 코일스프링(550)의 설치를 위하여 상기 관통홀(515)의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구성으로, 공지된 통상의 볼트축과 상기 볼트축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로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넷째, 걸쇠(540)는 체결고정수단(10)과 탈착고정수단(50)의 체결 및 체결 해제를 조작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기준축(5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체결고정수단(10)과 탈착고정수단(50)의 체결시 체결축(400)에 걸리는 쐐기(541)를 고정지지부(510)의 전방으로 돌출형성하고,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543)를 고정지지부(510)의 후방으로 돌출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섯째, 코일스프링(500)은 상기 걸쇠(540)의 쐐기(541)부분이 하측방향으로 당겨지는 힘을 받도록 탄성작용하는 구성으로, 상기 기준축(530)과 걸쇠(540)가 연결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체결고정수단(10)과 탈착고정수단(50)의 체결시 기준축(230)에 걸린 걸쇠(540)의 체결이 임의로 풀리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상기 탈착고정수단(50)에 구성된 가압돌기(513)가 체결고정수단(10)에 구성된 삽입홀(113)을 통과하는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가압돌기(513)에 의해 조절구(24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탄성제어구(250)를 미는 작용을 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제어구(250)가 회전체(220)의 톱니(221)에서 이탈하는 작용이 이루어지므로, 회전체(220)의 시계방향 회동제한이 해제되어 안전벨트의 연결고리(3)를 체결고정수단(10)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걸쇠(540)에 형성된 쐐기(541)가 기준축(530)에 걸린 상태로 코일스프링(550)에 의한 탄성력을 받음과 더불어, 고정지지부(50)의 수직기둥(511) 및 받침부(520)에 의한 견고한 밀착지지가 이루어지므로, 체결고정수단(10)이 탈착고정수단(50)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작용효과가 가지게 되며, 이로 인해 로프(1)와 결합되어 있는 체결고정수단(10)이 오토빌레이에 의해 자동으로 상승 이동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고정수단(10)에 구성되는 제1, 2브라켓부(100, 300)의 제1, 2몸체(110, 310)를 각각 여러 개로 분할 구성하여 서로 조립하는 방법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이는, 일측에 설치홈(111)을 형성하는 제1작동공간(112)을 형성하며 후방에는 상기 제1작동공간(112)과 연통하는 삽입홀(113)을 형성하는 제1플레이트(110a)와, 상기 제1작동공간(1112)과 연통되는 제1, 2결합홈(120, 130)을 형성하는 제2플레이트(110b)와, 상부에는 제1끼움홀(161)을 형성한 제1끼움돌부(160)를 구성하고 하부에는 제1체결홀(171)을 형성한 제1체결돌부(170)를 구성하는 제3플레이트(110c)로 분할 구성하는 것으로, 제1몸체(110)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을 것이며, 이때에는 상기 제1, 2, 3플레이트(110a, 110b, 110c)에 제1수직바(140)와 제1연결대(150)가 각각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제2몸체(310)는 제2장착홈(331)과 연통되도록 전방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제2작동공간(331)을 형성하는 제4플레이트(310a)와, 제2작동공간(331)과 연통되는 제3결합홈(320)을 형성하는 제5플레이트(310b)와, 상부에는 제2끼움홀(361)을 형성한 제2끼움돌부(360)를 구성하고 하부에는 제2체결홀(371)을 형성한 제2체결돌부(370)를 구성하는 제6플레이트(310c)로 분할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을 것이며, 이때 상기 제2, 3, 4플레이트(310a, 310b, 310c)에도 제2수직바(340)와 제2연결대(350)가 각각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작동제어부를 사이에 둔 상태로, 상기 제1, 2, 3플레이트(110a, 110b, 110c)로 구성된 제1몸체(110) 및 상기 제4, 5, 6플레이트(310a, 310b, 310c)로 구성된 제2몸체(310)를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볼트 조립하는 것을 통해 체결고정수단(10)의 제작을 이룰 수도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안전가드(7)에 연결된 카라비너를 탈착고정수단(50)의 고정지지부(510)에 형성된 연결홀(517)에 결합하여 상기 탈차고정수단(50)을 안전가드(7)에 연결설치한다.
그 후에는, 회전체(220)와 고정구(230)가 연동되도록 상기 회전체(220)와 고정구(230)를 중심축(210)에 끼워서 결합한 다음, 제1브라켓부(100)에 형성된 제1, 2결합홈(120, 130)에 상기 중심축(210)의 일측과 조절구(240)의 축(241)을 결합하고, 삽입홈(113)에 탄성제어구(250)를 결합하여 상기 탄성제어구(250)가 회전축(220)의 톱니(221)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상기 회전축(220)이 시계방향으로는 회동하지 못하게 한다.
그리고 중심축(210)의 타측이 제2브라켓부(300)의 제3결합홈(320)에 끼워지도록 제1, 2브라켓부(100, 300)를 밀착 결합함으로써 상기 중심축(210)에 결합된 고정구(230)가 제2브라켓부(300)의 제2작동공간(311)에 위치하도록 하고, 이 후, 통상의 볼트 및 너트 결합을 통해 제1, 2브라켓부(100, 300)를 견고히 결합과 동시에, 통상의 볼트 및 너트 결합을 이용하여 제1, 2체결홀(171, 371)에 체결축(400)을 체결하는 것으로 체결고정수단(10)의 조립을 간단히 완료한다.
이와 같이 체결고정수단(10)의 조립을 완료한 다음에는, 로프(1)에 설치된 연결축을 체결고정수단(10)의 제1, 2끼움홀(161, 361)에 장착하여 체결하는 것으로 오토빌레이와 체결고정수단(10)을 견고한다.
이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착용한 안전벨트의 연결고리(3)를 체결고정수단(10)의 제1, 2장착홈(141, 341)에 삽입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고리(3)를 체결고정수단(10)에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탄성제어구(250)에 의해 회전체(220) 및 고정구(230)가 반시계방향으로만 회동되는 것에 의한 것이다. 즉, 연결고리(3)를 제1, 2장착홈(141, 341)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연결고리(3)가 고정구(23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면서 장착이 이루어진 후, 시계방향으로는 회동이 제한되는 고정구(230)에 의해 탈착이 방지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연결고리(30를 체결고정수단(10)에 장착한 다음에는, 사용자가 벽체(6)를 안전하게 등반할 수 있으며, 등반을 완료하여 연결고리(3)를 체결고정수단(10)에서 탈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안전가드(7)와 연결된 탈착고정수단(50)의 가압돌기(513)를 체결고정수단(10)의 삽입홀(113)에 삽입시켜 미는 동작만으로 상기 연결고리(3)의 탈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가압돌기(513)가 삽입홀(13)에 삽입되면, 가압돌기(513)가 제1작동공간(112)에 위치한 조절구(240)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조절구(240)가 탄성제어구(250)를 상측방향으로 미는 작용을 하여, 중심축(210)에 결합된 회전체(220)와 고정구(230)의 시계방향 회동 제한이 해제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연결고리(3)를 상측방향으로 들어올리는 동작만으로 고정구(230)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연결고리(3)를 체결고정수단(10)에서 탈착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체결고정수단(10)에 탈착고정수단(50)이 밀착되게 될 때에는, 걸쇠(540)에 형성된 쐐기(541)의 형상에 의해 탄성작용이 이루어져 체결축(400)에 걸리게 됨과 동시에, 체결고정수단(10)의 후면과 하면이 탈착고정수단(50)에 구성된 고정지지부(510)와 받침부(520)에 밀착된 상태로 지지되므로, 사용자가 체결고정수단(10)을 붙잡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체결고정수단(10)이 오토빌레이에 의해 상승 이동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편리한 사용을 이룰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사용자가 본 발명을 재이용하고자 할 때에는, 안전벨트의 연결고리(3)를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고정수단(10)의 제1, 2장착홈(141, 341)에 장착하여 체결한 다음, 카라비너를 통해 안전가드(7)에 연결된 탈착고정수단(50)의 걸쇠(540) 즉, 조작부(543)를 하측방향으로 당기는 동작만으로 체결축(400)에 걸린 걸쇠(540)의 쐐기(541)를 분리하여, 상기 탈착고정수단(50)에서 체결고정수단(10)을 손쉽게 탈착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편의성이 높아져, 사용자가 등반을 하는데 있어 기다리는 시간의 지루함을 줄일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안전벨트의 연결고리(3)와 탈착고정수단(50)이 별개로 작동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탈착고정수단(50)에서 체결고정수단(10)을 먼저 탈착시킨 상태에서도 체결고정수단(10)에 안전벨트의 연결고리(3)를 장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셀프 빌레이(1000)를 이용하면, 제1, 2브라켓부(100, 300) 사이에 작동제어부(200)를 끼워넣은 상태로 볼트결합하는 것만으로 체결고정수단(10)을 손쉽게 조립할 수 있어 제작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체결고정과 해제를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하여 유지관리를 간편히 할 수 있으며, 체결고정수단(10)과 탈착고정수단(50)의 결합시 걸쇠(540)의 쐐기(541)가 체결축(400)에 자동으로 걸리되어 오토빌레이에 의한 체결고정수단(10)의 상승이동을 방지할 수 있고, 체결고정수단(10)의 간단한 분리와 더불어, 탈착고정수단(50)을 체결고정수단(10)에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체결고정수단(10)에 안전벨트의 연결고리(3)를 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손쉬우면서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연결고리를 체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더하여 위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통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1 : 로프 3 : 연결고리 5 : 경첩 6 : 벽체 7 : 안전가드
10 : 체결고정수단
100 : 제1브라켓부 110 : 제1몸체 110a, 110b, 110c : 제1, 2, 3플레이트 111 : 설치홈 112 : 제1작동공간 113 : 삽입홀 120, 130 : 제1, 2결합홈 140 : 제1수직바 141 : 제1장착홈 150 : 제1연결대 160 : 제1끼움돌부 161 : 제1끼움홀 170 : 제1체결돌부 171 : 제1체결홀
200 : 작동제어부 210 : 중심축 220 : 회전체 221 : 톱니 230 : 고정구 240 : 조절구 241 : 축 250 : 탄성제어구
300 : 제2브라켓부 310 : 제2몸체 310a, 310b, 310c : 제4, 5, 6플레이트 311 : 제2작동공간 312 : 개구 320 : 제3결합홈 340 : 제2수직바 341 : 제2장착홈 350 : 제2연결대 360 : 제2끼움돌부 361 : 제2끼움홀 370 : 제2체결돌부 371 : 제2체결홀
400 : 체결축
50 : 탈착고정수단
510 : 고정지지부 511 : 수직기둥 513 : 가압돌기 515 : 관통홀 517 : 연결홀 519 : 연결돌기
520 : 받침부 530 : 기준축
540 : 걸쇠 541 : 쐐기 543 : 조작부
550 : 코일스프링
1000 : 셀프 빌레이

Claims (3)

  1. 오토빌레이의 연결된 로프(1)와 결합되어 승강작동하며 사용자가 착용한 안전벨트의 연결고리(3)가 결합되는 체결고정수단(10)과, 경첩(5)을 통해 벽체(6)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전가드(7)와, 상기 체결고정수단(10)과의 결합을 통해 상기 체결고정수단(10)의 승강이동을 제한함과 동시에 연결고리(3)의 탈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탈착고정수단(50)을 구성하되,
    상기 체결고정수단(10)은,
    일측에 설치홈(111)을 형성하는 제1작동공간(112)을 내측면에 구성하며 후방에는 상기 제1작동공간(112)과 연통되는 삽입홀(113)을 형성하는 제1몸체(110)와, 상기 제1작동공간(112)과 연통되도록 제1몸체(11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 2결합홈(120, 130)과, 제1장착홈(141)이 형성되도록 제1몸체(110)의 전방으로 이격배치되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수직바(140)와, 상기 제1몸체(110)와 제1수직바(140)의 하부을 연결하는 제1연결대(150)와, 제1끼움홀(161)을 형성하여 상기 제1몸체(110)의 외측 상부로 돌출되는 제1끼움돌부(160)와, 제1체결홀(171)을 형성하여 상기 제1몸체(110)의 외측 후방 하부에 형성되는 제1체결돌부(170)를 구성한 제1브라켓부(100);
    일측이 제1브라켓부(100)의 제1결합홈(120)에 끼워지는 중심축(210)과, 상기 중심축(210)에 결합되어 제1작동공간(112)에 배치되며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톱니(221)를 등 간격으로 경사지게 형성한 회전체(220)와, 상기 회전체(220)의 일측에 밀착된 상태로 연동되도록 중심축(210)에 결합되어 일부가 제1몸체(1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열십자형상의 고정구(230)와, 제2결합홈(130)에 축(241)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회동하는 ㄱ자 형상의 조절구(240)와, 일측이 설치홈(111)에 결합된 상태로 타측이 회전체(220)의 톱니(221)에 밀착되어 상기 회전체(220)의 시계방향 회동을 제한하는 탄성제어구(250)를 구성한 작동제어부(200);
    작동제어부(200)의 고정구(230)가 회동작동하는 제2작동공간(311)을 내측면에 형성하되, 전방에는 고정구(230)의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작동공간(311)과 연통되는 개구(312)를 형성하여 제1몸체(110)와 조립되는 제2몸체(310)와, 상기 제1브라켓부(100)의 제1결합홈(120)에 대응되도록 제2몸체(31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중심축(210)의 타측이 끼워지는 제3결합홈(320)과, 상기 작동제어부(200)에 구성된 고정구(230)의 일부가 돌출되어 위치되는 제2장착홈(341)이 형성되도록 제2몸체(310)의 전방으로 이격배치되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수직바(340)와, 상기 제2몸체(310)와 제2수직바(340)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대(350)와, 상기 제1브라켓부(100)의 제1끼움홀(161)에 대응되는 제2끼움홀(361)을 형성하여 제2몸체(310)의 외측 상부로 돌출되는 제2끼움돌부(360)와, 상기 제1체결홀(171)에 대응되는 제2체결홀(371)을 형성하여 상기 제2몸체(310)의 외측 후방 하부에 형성되는 제2체결돌부(370)를 구성한 제2브라켓부(300);
    상기 제1, 2체결돌부(170, 370)의 제1, 2체결홀(171, 371)에 체결되는 체결축(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탈착고정수단(50)은,
    수직기둥(511)과, 상기 제1브라켓부(100)의 삽입홀(113)에 대응되도록 수직기둥(511)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가압돌기(513)와, 상기 수직기둥(511)의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관통홀(515)과, 안전가드(7)와의 결합을 위한 연결홀(517)을 구성하여 상기 수직기둥(511)의 후방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돌기(519)를 구비한 고정지지부(510);
    상기 관통홀(515)과 연결돌기(519)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고정지지부(5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체결고정수단(10)과의 결합시 제1, 2브라켓부(100, 300)의 하면에 밀착되어 지지하는 받침부(520);
    상기 관통홀(515)의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는 기준축(530);
    상기 기준축(5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체결축(400)에 걸리는 쐐기(541)를 고정지지부(510)의 전방으로 돌출형성하고, 조작을 위한 조작부(543)를 고정지지부(510)의 후방으로 돌출형성하는 걸쇠(540);
    상기 기준축(530)과 걸쇠(540)를 연결하여 상기 걸쇠(540)가 기준축(530)에 걸리도록 탄성작용하는 코일스프링(55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체결고정수단(10)과 탈착고정수단(50)의 결합시, 삽입홀(113)을 통과하여 조절구(240)를 가압하는 가압돌기(513)에 의해 탄성제어구(250)가 톱니(221)에서 탈착되는 작동이 이루어져 회전체(220)의 시계방향 회동 제한이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기준축(530)에 걸리는 걸쇠(540)에 의해 체결고정수단(10)과 탈착고정수단(50)의 임의 분리가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빌레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부(100)의 제1몸체(110)는 일측에 설치홈(111)을 형성하는 제1작동공간(112)을 형성하며 후방에는 상기 제1작동공간(112)과 연통하는 삽입홀(113)을 형성하는 제1플레이트(110a)와, 상기 제1작동공간(112)과 연통되는 제1, 2결합홈(120, 130)을 형성하는 제2플레이트(110b)와, 상부에는 제1끼움홀(161)을 형성한 제1끼움돌부(160)를 구성하고 하부에는 제1체결홀(171)을 형성한 제1체결돌부(170)를 구성하는 제3플레이트(110c)로 분할 구성되어,
    상기 제2브라켓부(300)의 제2몸체(310)는 제2장착홈(331)과 연통되도록 전방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제2작동공간(331)을 형성하는 제4플레이트(310a)와, 제2작동공간(331)과 연통되는 제3결합홈(320)을 형성하는 제5플레이트(310b)와, 상부에는 제2끼움홀(361)을 형성한 제2끼움돌부(360)를 구성하고 하부에는 제2체결홀(371)을 형성한 제2체결돌부(370)를 구성하는 제6플레이트(310c)로 분할 구성되어,
    상기 제1, 2, 3플레이트(110a, 110b, 110c) 및 상기 제4, 5, 6플레이트(310a, 310b, 310c)가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빌레이.
KR1020180108614A 2018-09-12 2018-09-12 셀프 빌레이 KR102042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614A KR102042355B1 (ko) 2018-09-12 2018-09-12 셀프 빌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614A KR102042355B1 (ko) 2018-09-12 2018-09-12 셀프 빌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355B1 true KR102042355B1 (ko) 2019-11-07

Family

ID=68578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614A KR102042355B1 (ko) 2018-09-12 2018-09-12 셀프 빌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3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54181A (zh) * 2020-12-23 2022-06-24 航天科工惯性技术有限公司 将表芯自壳体中分离的装置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7418A (ja) * 1994-01-13 1997-07-29 バロー・ヘップバーン・サラ・リミテッド 主に落下防止装置に用いられる速度応答型係止デバイス
KR101283056B1 (ko) * 2012-06-11 2013-07-05 조웅현 연속 빌레이의 셔틀
KR101824385B1 (ko) * 2017-09-19 2018-02-01 쓰리에스코리아(주) 안전로프 고정장치
KR20180029057A (ko) 2015-07-08 2018-03-19 세이프티 엔지니어링 리미티드 등반 용도를 위한 자가 빌레이 배열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7418A (ja) * 1994-01-13 1997-07-29 バロー・ヘップバーン・サラ・リミテッド 主に落下防止装置に用いられる速度応答型係止デバイス
KR101283056B1 (ko) * 2012-06-11 2013-07-05 조웅현 연속 빌레이의 셔틀
KR20180029057A (ko) 2015-07-08 2018-03-19 세이프티 엔지니어링 리미티드 등반 용도를 위한 자가 빌레이 배열체
KR101824385B1 (ko) * 2017-09-19 2018-02-01 쓰리에스코리아(주) 안전로프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54181A (zh) * 2020-12-23 2022-06-24 航天科工惯性技术有限公司 将表芯自壳体中分离的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6569B2 (en) Operating and mounting system for a window covering
US8800715B2 (en) Retractable fall arrest with component assembly and cantilevered main shaft
US20110139382A1 (en) System for operating and positioning a roller shade
US10688323B2 (en) Safety device with fall arrest and descending modes
JP4955019B2 (ja) 引張装置
US20110139381A1 (en) System for operating and positioning a roller shade
US20110168338A1 (en) Active tension device for a window covering
KR102042355B1 (ko) 셀프 빌레이
US20110315482A1 (en) Preassembled and pretorqued friction brake and method of making a safety device containing such a friction brake
US9238156B2 (en) Personal fall limiter arrangement and user connection arrangement therefor
CN106063429B (zh) 温室用高位栽培装置
US4867276A (en) Fast-lowering hydraulic equipment
US20180281512A1 (en) Add-on wheel weight for a vehicle
US5562174A (en) Wheel assembly for a wheelchair
KR20110005997A (ko) 건축용 안전벨트 텐션장치
US401003A (en) Brake-handle
JP2010506773A (ja) 様々な機能位置で異なる荷重伝達を有する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CN104648190A (zh) 一种增加滑轨锁止强度和剥离强度的机构
KR20090001280U (ko) 인공암벽용 홀드 풀림방지 체결시스템
JP3953824B2 (ja) 巻上牽引機
KR20010018617A (ko) 탈,부착이 용이한 타이어 체인
CN220770062U (zh) 工程机械和空调压缩机的皮带涨紧机构
CN108103650B (zh) 一种调线器旋转调节装置
KR200361071Y1 (ko) 각도조절장치를 갖는 사다리
JP5465418B2 (ja) 張力装置を備えた自動引き締め式牽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