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2567B1 - 샤클 - Google Patents

샤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2567B1
KR101712567B1 KR1020160101747A KR20160101747A KR101712567B1 KR 101712567 B1 KR101712567 B1 KR 101712567B1 KR 1020160101747 A KR1020160101747 A KR 1020160101747A KR 20160101747 A KR20160101747 A KR 20160101747A KR 101712567 B1 KR101712567 B1 KR 101712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ckle
hook
opening
shackle body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호
Original Assignee
김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호 filed Critical 김중호
Priority to KR1020160101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5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5/00Chain couplings, Shackles; Chain joints; Chain links; Chain bushes
    • F16G15/04Quickly-detachable chain couplings; Shackles chain links with rapid junction mean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kind of chain
    • F16G15/06Shackles designed for attachment by joint pins to chain elements, e.g. D-shackles so called harp links; the D-chain link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kind of ch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샤클에 관한 것으로서, 인양대상물을 인양 가능하도록 일단이 개구된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후크; 상기 후크의 상단 연결홈 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 과정에서 단부의 개폐돌출부가 상기 후크의 개구 부위를 개폐하는 샤클 몸체; 상기 샤클 몸체의 상단 장착홈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인양줄이 상기 샤클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감기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후크에 지지되어 상기 샤클 몸체의 개폐돌출부가 상기 후크의 개구 부위를 개방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및 상기 후크에 탄지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이 일시 정지되도록 상기 샤클 몸체의 회전을 간섭하고 있다가 인위적으로 회전되면 상기 샤클 몸체의 회전을 간섭 해제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후크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샤클 몸체의 장착홈 내부에 인양줄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도르래 형태의 회전체를 구비하면서 회전체를 관통한 샤클 몸체의 상단에 인양줄의 단부를 밴딩할 수 있도록 인양줄 연결홀이 관통 형성되어 호이스트크레인이나 타워크레인 등에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회전체의 외곽에 인양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인양줄 이탈방지부재를 구비하여 이웃한 구성을 간섭함을 방지하고, 인양줄 이탈방지부재에 샤클 몸체의 장착홈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오므림 방지부재를 삽입시켜 외력에 의해 장착홈 간격이 줄어듬을 방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샤클 {SHACKLE}
본 발명은 샤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공사현장이나 선박 제조 현장 등에서 고중량의 피인양체를 원활하게 인양하기 위해 피인양체에 연결하여 사용되는 샤클에 관한 것이다.
건설 산업의 추세에 따른 대형 건축물의 건설 과정에 있어서, 기초를 이루는 철골 공사가 가장 중요한 공정으로 인식되고 있다. 철골 공사는 대형 건축물의 건축 과정에서 필수적인 공사로서, 건물의 뼈대를 이루는 과정이며, 이와 같은 철골 공사의 기본 작업은 현장에 설치된 타워 크레인으로 각종 철공 구조물을 인양하고 작업자에 의해 조립하면서 올라가는 것이다.
이렇게, 각종 철공 구조물과 갱폼 및 선박 부품 등 인력으로 이동 및 인양하기 어려운 피인양체들은 크레인을 통해 인양되게 되는데, 크레인에는 후크가 구비되고, 물품에는 샤클이 구비되어 상기 후크를 샤클에 연결하여 피인양체를 인양하게 된다.
이러한 샤클과 관련된 기술이 등록특허공보 제1254502호 및 공개특허공보 제2016-0076616호에 제안된 바 있다.
종래기술 1의 반자동 샤클은 크레인과 연결되는 고리부와 고리부 일방에 형성되어 갱폼의 인양고리를 거는 후크를 구비하여서 된 샤클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와 후크가 일체로 형성된 양측의 측면판과, 상기 고리부와 후크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리부와 후크 사이에 요홈이 형성된 내판이 상기 측면판 사이에 적층되되, 상기 요홈 내에서 탄성체에 탄성력으로 회동이 제한되어 상기 후크 내에 출입되는 인양고리를 단속하는 래치(LATCH)가 구비되고, 상기 후크 내경의 중심에서 중력 방향과 30도 내지 60도 기울어진 상기 내판의 후크 외측에 로프 고리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후크 하방의 로프 고리에 로프가 고정되어 상기 로프를 통해 전해지는 인력에 의하여 상기 후크가 끌리는 반대방향으로 인양고리가 이동되며 상기 래치를 밀어내어 인양고리가 후크와 분리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 1의 반자동 샤클은 홀이 형성된 고리부에 크레인의 케이블을 통과시켜 고정하는데 이는 케이블의 단부에 샤클을 고정시켜 사용하는 타워크레인에 한정적으로 사용 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기술 2의 반자동 샤클은 상부에는 크레인의 인양 와이어가 결속될 수 있는 제1연결구멍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후크의 내부를 폐쇄하는 폐쇄돌기가 형성되는 몸체; 고리나 로프를 결속할 수 있도록 낚시 바늘 형상을 갖는 것으로, 상기 몸체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에 핀 결합되는 후크; 상기 후크의 위치를 결속하여 상기 몸체의 폐쇄돌기를 통해 상기 후크의 내부가 견고히 폐쇄되도록 하는 결속수단; 및 상기 결속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결속수단을 통한 상기 후크의 결속을 해제하여 상기 후크를 자유롭게 회동시키는 해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 2의 반자동 샤클 역시 종래기술 1과 마찬가지로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제1연결구멍을 통해 크레인의 인양 와이어를 결속시키는데 이 역시 타워크레인에 한정적으로 적용 가능하여 해당 크레인에 따라 적용이 가능하도록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5450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7661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후크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샤클 몸체의 장착홈 내부에 인양줄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도르래 형태의 회전체를 구비하면서 회전체를 관통한 샤클 몸체의 상단에 인양줄의 단부를 밴딩할 수 있도록 인양줄 연결홀이 관통 형성되어 호이스트크레인(Hoist crane)이나 타워크레인(tower crane) 등에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한 샤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체의 외곽에 인양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인양줄 이탈방지부재를 구비하여 이웃한 구성을 간섭함을 방지하고, 인양줄 이탈방지부재에 샤클 몸체의 장착홈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오므림 방지부재를 삽입시켜 외력에 의해 장착홈 간격이 줄어듬을 방지 가능한 샤클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양대상물을 인양 가능하도록 일단이 개구된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후크; 상기 후크의 상단 연결홈 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 과정에서 단부의 개폐돌출부가 상기 후크의 개구 부위를 개폐하는 샤클 몸체; 상기 샤클 몸체의 상단 장착홈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인양줄이 상기 샤클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감기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후크에 지지되어 상기 샤클 몸체의 개폐돌출부가 상기 후크의 개구 부위를 개방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및 상기 후크에 탄지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이 일시 정지되도록 상기 샤클 몸체의 회전을 간섭하고 있다가 인위적으로 회전되면 상기 샤클 몸체의 회전을 간섭 해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샤클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체는 외주면에 상기 인양줄이 밀착된 상태로 감기는 감김홈이 형성되며, 내주면에 베어링에 의해 자유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가 매립된 상기 샤클 몸체의 상단에는 인양줄의 단부를 밴딩할 수 있도록 인양줄 연결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샤클 몸체의 장착홈 내에 상기 회전체를 중심으로 방사상의 인양줄 이탈방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양줄 이탈방지부재에는 원통 형상의 오므림 방지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후크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샤클 몸체의 장착홈 내부에 인양줄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도르래 형태의 회전체를 구비하면서 회전체를 관통한 샤클 몸체의 상단에 인양줄의 단부를 밴딩할 수 있도록 인양줄 연결홀이 관통 형성되어 호이스트크레인(Hoist crane)이나 타워크레인(tower crane) 등에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회전체의 외곽에 인양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인양줄 이탈방지부재를 구비하여 이웃한 구성을 간섭함을 방지하고, 인양줄 이탈방지부재에 샤클 몸체의 장착홈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오므림 방지부재를 삽입시켜 외력에 의해 장착홈 간격이 줄어듬을 방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샤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샤클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샤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샤클에서 샤클 몸체가 회전되어 후크의 개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샤클에서 후크의 개구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샤클에서 샤클 몸체가 회전되어 후크의 개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샤클에서 후크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샤클에서 샤클 몸체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샤클에서 샤클 몸체의 장착홈에 인양줄 이탈방지부재 및 오므림 방지부재가 부가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샤클에서 샤클 몸체의 중심 장착홀에 인양줄을 통과시켜 밴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샤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샤클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샤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샤클에서 샤클 몸체가 회전되어 후크의 개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샤클에서 후크의 개구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샤클에서 샤클 몸체가 회전되어 후크의 개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샤클에서 후크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샤클에서 샤클 몸체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샤클에서 샤클 몸체의 장착홈에 인양줄 이탈방지부재 및 오므림 방지부재가 부가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샤클에서 샤클 몸체의 중심 장착홀에 인양줄을 통과시켜 밴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샤클(100)은 후크(110), 샤클 몸체(120), 회전축(130), 탄성체(140), 스토퍼(150), 스토퍼 탄성체(160), 회전체(170), 연결축(180) 및 인양줄 이탈방지부재(190)를 포함한다.
후크(hook: 110)는 피인양체인 인양대상물(10)을 인양하기 위해 상기 인양대상물(10)의 상면에 연결된 인양대상고리(20)에 걸 수 있도록 일단이 개구(111) 형성된 고리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후크(110)는 개구(111), 연결홈(112), 외측 결속공(113), 제1 탄성체축(114), 제2 탄성체축(115), 탄성체 단부 삽입홈(116), 와이어로프 통과홀(117) 및 안내롤러(118)를 세부적으로 포함한다.
개구(111)는 후크(110)의 하단에 인양대상물(10)의 인양대상고리(20)에 걸 수 있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형성된다.
연결홈(112)은 후크(110)의 상단 중심에 상면이 개구 형성되어 후술할 샤클 몸체(120)의 개페돌출부(121)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직립 형성되며, 이격된 상단은 상기 샤클 몸체(120)의 회전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외측 결속공(113)은 연결홈(112)의 상단에 연통되도록 관통 형성되어 후크(110)에 후술할 샤클 몸체(120)를 연결하도록 회전축(130)이 구비된다.
제1 탄성체축(114)은 스토퍼 탄성체(160)의 권취부가 삽입되도록 연결홈(112)의 내부 일단에 삽입된 핀이다.
제2 탄성체축(115)은 탄성체(140)의 권취부가 삽입되도록 연결홈(112)의 내부 타단에 삽입된 핀이다.
탄성체 단부 삽입홈(116)은 연결홈(112)의 하부 내벽면에 종 방향으로 형성되어 탄성체(140)의 일단부가 지지되는 홈이다.
와이어로프 통과홀(117)은 연결홈(112)의 단부에서 후크(110)의 하단까지 직선 형태로 관통 형성되어 후술할 스토퍼(150)에 선단이 고정된 와이어로프(40)가 통과하는 통로이다.
안내롤러(118)는 와이어로프 통과홀(117)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작업자 등에 의한 외부의 힘에 의해 와이어로프(40)가 유동될 때 그 유동을 안내한다.
샤클 몸체(120)는 후크(110)의 상단에 형성된 연결홈(112) 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 과정에서 상기 후크(110)의 개구(111) 부위를 개폐하면서 상부에 설치된 후술할 회전체(170)에 의해 인양줄(30)이 걸리도록 하여 호이스트크레인(Hoist crane)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인양줄(30)은 와이어 또는 로프 등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샤클 몸체(120)는 개폐 돌출부(121), 탄성체 단부 삽입홈(122), 내측 결속공(123), 장착홈(124), 중심 장착홀(125) 및 외측 장착홀(126)이 세부적으로 구성된다.
개폐 돌출부(121)는 샤클 몸체(120)의 하단에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샤클 몸체(120)의 회전 과정에서 후크(110)의 개구(111) 부분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게 된다.
더욱이, 상기 개폐 돌출부(121)는 외벽면 하부와 상부에 폐쇄홈(121a)과 개방홈(121b)이 소정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폐쇄홈(121a)은 샤클 몸체(120)의 개폐 돌출부(121)가 후크(110)의 개구(111) 부분을 폐쇄한 상태에서 후술할 스토퍼(150)의 간섭돌기(151)에 의해 간섭하게 되어 상기 샤클 몸체(120)의 회전됨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방홈(121b)은 스토퍼(150)를 회전시켜 간섭돌기(151)가 폐쇄홈(121a)에서 분리되면 후술할 탄성체(140)의 탄성력에 의해 샤클 몸체(120)가 회전되면서 상기 간섭돌기(151)가 내부에 위치된다.
탄성체 단부 삽입홈(122)은 개폐 돌출부(121)의 경사진 저면에 종 방향으로 형성되어 탄성체(140)의 타단부가 지지되는 홈이다.
내측 결속공(123)은 개폐돌출부(121)에 수평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후크(110)의 연결홈(112) 내에 샤클 몸체(120)의 개폐돌출부(121)가 삽입되면 상기 연결홈(112)의 외측 결속공(113)과 중첩되면서 그 중첩된 내부에 회전축(130)으로 삽입 고정한다.
장착홈(124)은 샤클 몸체(120)의 상단 중심에 상면이 개구 형성되어 후술할 회전체(17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직립 형성된다.
중심 장착홀(125)은 후술할 회전체(170)의 관통홀(171)과 동심을 이루도록 한 상태에서 연결축(180)을 삽입하여 상기 회전체(170)를 샤클 몸체(120)의 장착홈(124)에 장착하도록 형성된다.
외측 장착홀(126)은 샤클 몸체(120)의 상단에 중심 장착홀(125)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와 상부에 각각 형성되어 후술할 인양줄 이탈방지부재(190)의 양단이 지지되도록 한다.
회전축(130)은 후크(110)의 연결홈(112)에 형성된 외측 결속공(113)과 샤클 몸체(120)의 개폐돌출부(121)의 내측 결속공(123)이 동심을 이루도록 한 상태에서 삽입하여 상기 샤클 몸체(120)를 상기 후크(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볼트부재(131) 및 이탈방지링(132)을 포함한다.
볼트부재(131)는 후크(110)의 연결홈(112)에 형성된 외측 결속공(113)과 샤클 몸체(120)의 개폐돌출부(121)의 내측 결속공(123)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삽입되도록 상기 외측 결속공(113)과 상기 내측 결속공(123)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으로 형성된다.
이탈방지링(132)은 볼트부재(131)의 삽입측 선단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볼트부재(131)가 상기 외측 결속공(113)과 상기 내측 결속공(123)에서 분리됨을 방지하는 스냅링(snap ring)이다.
탄성체(140)는 제2 탄성체축(115) 상에 권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일단부는 후크(110)의 탄성체 단부 삽입홈(116)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샤클 몸체(120)의 개폐돌출부(121)에 형성된 탄성체 단부 삽입홈(122)에 지지되어 상기 샤클 몸체(120)의 개폐돌출부(121)가 상기 후크(110)의 개구(111) 부분을 개방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텐션스프링이다. 결국, 상기 탄성체(140)는 샤클 몸체(120)의 개폐돌출부(121)가 후크(110)의 개구(111) 부분을 폐쇄시키면 압축되고, 상기 개폐돌출부(121)가 상기 후크(110)의 개구(111) 부분을 개방시키면 신장된다.
한편, 상기 탄성체(140)는 탄성력 강화를 위해 2단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150)는 후크(110)의 연결홈(112) 내에서 제1 탄성체축(114)에 스토퍼 탄성체(160)와 함께 지지되어 탄성체(140)의 탄성력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고 있다가 후크(110)의 개구(112)를 폐쇄하고 있던 샤클 몸체(120)의 개폐돌출부(121)를 개방시키기 위해 회전되며, 개폐돌출부(121)측 외벽면에 간섭돌기(151)가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스토퍼(150)는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간섭돌기(151)가 샤클 몸체(120)의 개폐돌출부(121) 하단에 형성된 폐쇄홈(121a) 내에 위치되면 상기 샤클 몸체(120)의 회전을 제한하고 있으므로 탄성체(140)의 탄성력 역시 일지 정지된 상태가 되고, 회전되어 상기 간섭돌기(151)가 상기 폐쇄홈(121a)에서 분리되면 상기 샤클 몸체(120)에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탄성체(140)의 탄성력 정지를 해제시키게 된다.
결국, 상기 스토퍼(150)는 후크(110)에 탄지된 상태로 구비되어 탄성체(140)의 탄성력이 일시 정지되도록 샤클 몸체(120)의 회전을 간섭하고 있다가 작업자가 와이어로프(40)를 당겨 스토퍼 탄성체(160)에 의해 회전되게 하면 상기 샤클 몸체(120)의 회전을 간섭 해제하게 된다.
여기서, 와이어로프(40)는 인양대상물(10)이 인양 배치된 위치는 작업자가 근접하기 곤란한 곳일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상기 인양대상물(10)과 원거리에서 잡아당겨 인양대상고리(20)에서 후크(110)를 간편하게 탈거할 수 있게 된다.
스토퍼 탄성체(160)는 제1 탄성체축(114)에 권취된 부분이 삽입된 상태에서 일단은 스토퍼(150)에 지지되고, 타단은 샤클 몸체(120)의 장착홈(124) 바닥에 지지되어 상기 스토퍼(150)가 항시 하향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더욱이, 상기 스토퍼 탄성체(160) 역시 탄성체(140)와 마찬가지로 탄성력 강화를 위해 2단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회전체(170)는 샤클 몸체(120)의 상단 장착홈(124)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인양줄(30)의 도중이 감긴 상태를 유지하게 하므로 샤클을 호이스트크레인(Hoist crane)에 적용할 수 있으며, 관통홀(171), 감김홈(172), 베어링 장착홀(173) 및 베어링(174)을 포함한다.
관통홀(171)은 회전체(170)의 중심에 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연결축(180)에 구성된 볼트부재(181)의 외주면에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내경으로 형성된다.
감김홈(172)은 회전체(170)의 외주면에 함몰된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인양줄(30)이 감기게 된다.
베어링 장착홀(173)은 관통홀(171)의 일부 내주면에 단차 형태로 형성되어 베어링(174)이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베어링(174)은 내륜이 연결축(180)에 삽입 고정되고 외륜이 베어링 장착홀(173)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회전체(170)가 자유 회전되도록 한다.
연결축(180)은 샤클 몸체(120)의 중심 장착홀(125)과 회전체(170)의 관통홀(171)을 연결하는 축으로, 볼트부재(181), 이탈방지링(182) 및 마감캡(183)을 포함한다.
볼트부재(181)는 샤클 몸체(120)의 중심 장착홀(125)과 회전체(170)의 관통홀(171) 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삽입되도록 중심 장착홀(125)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볼트부재(181)의 중심에 회전체(170)가 매립된 샤클 몸체(120)의 상단에는 인양줄(30)의 단부를 밴딩할 수 있도록 인양줄 연결홀(181a)이 관통 형성된다. (도 10 참조)
여기서, 인양줄(30)을 회전체(170)의 감김홈(172)에 감는 경우 호이스트크레인에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인양줄(30)을 상기 회전체(170)에 감기게 하지 않고 인양줄 연결홀(181a)에 통과시켜 단부를 밴딩시키면 샤클을 타워크레인(tower crane)에 사용할 수 있다.
이탈방지링(182)은 볼트부재(181)의 삽입측 선단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볼트부재(181)가 중심 장착홀(125)에서 분리됨을 방지하는 스냅링이다.
마감캡(183)은 이탈방지링(182)이 설치된 연결축(180)의 단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캡이다.
인양줄 이탈방지부재(190)는 샤클 몸체(120)의 장착홈(124) 내에 회전체(170)를 중심으로 방사상 위치에 볼트 형태로 구비되어 인양줄(30)이 상기 회전체(170)와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하면서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인양줄 이탈방지부재(190)에는 샤클 몸체(120)의 장착홈(124) 내에 위치되도록 원통 형상의 오므림 방지부재(191)가 삽입되어 인양줄(30)을 인양줄 연결홀(181a)에 감아 고정시킬 때 상기 장착홈(124)의 간격이 줄어듦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샤클(100)을 통해 피인양체를 인양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샤클 몸체(120)를 후크(110)에서 회전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 후크(110)에 인양대상물(10)의 인양대상고리(20)를 걸게 한 후 상기 샤클 몸체(102)를 회전시켜 개폐돌출부(121)가 상기 후크(110)의 개구(111)를 폐쇄시키도록 한다.
다음으로, 크레인을 구동시켜 원하는 위치로 인양대상물(10)을 이동시킨 후 상기 인양대상물(10)을 설치대상물에 고정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인양대상물(10)의 고정이 완료되면 작업자가 와이어로프(40)를 잡아당긴다.
다음으로, 와이어로프(40)가 당겨지면 홀(117)을 통해 스토퍼(150)가 제1 탄성체축(114)을 기점으로 하향 회전되면서 간섭돌기(151)가 샤클 몸체(120)의 개폐돌출부(121)에 형성된 폐쇄홈(121a)에서 분리된다.
다음으로, 탄성체(140)의 탄성력에 의해 샤클 몸체(120)가 상향 회전되면서 개폐돌출부(121)가 후크(110)의 개구(111)에서 개방되며, 상기 샤클 몸체(120)의 개방홈(121b)에 스토퍼(150)의 간섭돌기(151)가 위치된다.
이때, 작업자가 와이어로프(40)를 놓으면 스토퍼 탄성체(160)의 복원력에 의해 스토퍼(150)가 상향 회전되면서 간섭돌기(151)가 상기 샤클 몸체(120)의 개방홈(121b)에 위치된다.
다음으로, 인양대상물(10)의 인양대상고리(20)에서 후크(110)를 분리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샤클 110: 후크
111: 개구 112: 연결홈
113: 외측 결속공 114: 제1 탄성체축
115: 제2 탄성체축 116: 탄성체 단부 삽입홈
117: 와이어로프 통과홀 118: 안내롤러
120: 샤클 몸체 121: 개폐 돌출부
122: 탄성체 단부 삽입홈 123: 내측 결속공
124: 장착홈 125: 중심 장착홀
126: 외측 장착홀 130: 회전축
140: 탄성체 150: 스토퍼
160: 스토퍼 탄성체 170: 회전체
171: 관통홀 172: 감김홈
173: 베어링 장착홀 174: 베어링
180: 연결축 190: 인양줄 이탈방지부재

Claims (5)

  1. 인양대상물을 인양 가능하도록 일단이 개구된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후크;
    상기 후크의 상단 연결홈 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 과정에서 단부의 개폐돌출부가 상기 후크의 개구 부위를 개폐하는 샤클 몸체;
    상기 샤클 몸체의 상단 장착홈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인양줄이 상기 샤클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감기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후크에 지지되어 상기 샤클 몸체의 개폐돌출부가 상기 후크의 개구 부위를 개방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및
    상기 후크에 탄지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이 일시 정지되도록 상기 샤클 몸체의 회전을 간섭하고 있다가 인위적으로 회전되면 상기 샤클 몸체의 회전을 간섭 해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되,
    상기 샤클몸체(120)는 상기 개폐돌출부(121)의 일단에서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두개의 판재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장착홈(124)를 형성시키고,
    상기 샤클몸체(120)에서 상기 판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중심장착홀(125)과 상기 회전체(170)의 관통홀(171)을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연결축(180)의 중심에 연결홀(18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샤클몸체(120)의 상부에는 상기 인양줄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샤클몸체(120)이 전후로 흔들리는 경우 상기 샤클몸체(120)의 흔들림을 저지하는 인양줄 이탈방지부재(190)를 구비하는 샤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외주면에 상기 인양줄이 밀착된 상태로 감기는 감김홈이 형성되며, 내주면에 베어링에 의해 자유 회전되는 샤클.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줄 이탈방지부재에는 원통 형상의 오므림 방지부재가 삽입되는 샤클.
KR1020160101747A 2016-08-10 2016-08-10 샤클 KR101712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747A KR101712567B1 (ko) 2016-08-10 2016-08-10 샤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747A KR101712567B1 (ko) 2016-08-10 2016-08-10 샤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2567B1 true KR101712567B1 (ko) 2017-03-06

Family

ID=58398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747A KR101712567B1 (ko) 2016-08-10 2016-08-10 샤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25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0719A (ko) * 2020-09-03 2022-03-11 김중호 잠금장치를 구비한 자동식 후크
WO2023163255A1 (ko) * 2022-02-28 2023-08-31 김중호 잠금장치를 구비한 자동식 후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8267A (ja) * 1984-11-27 1986-06-16 Minolta Camera Co Ltd 複写機
JP2000219478A (ja) * 1999-01-29 2000-08-08 Furukawa Co Ltd クレーンのフック装置
KR101254502B1 (ko) 2010-11-10 2013-04-12 권종규 반자동 샤클
KR101376975B1 (ko) * 2013-03-06 2014-04-01 김중호 갱폼 인양용 샤클
KR20160076616A (ko) 2014-12-23 2016-07-01 편상득 반자동 샤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8267A (ja) * 1984-11-27 1986-06-16 Minolta Camera Co Ltd 複写機
JP2000219478A (ja) * 1999-01-29 2000-08-08 Furukawa Co Ltd クレーンのフック装置
KR101254502B1 (ko) 2010-11-10 2013-04-12 권종규 반자동 샤클
KR101376975B1 (ko) * 2013-03-06 2014-04-01 김중호 갱폼 인양용 샤클
KR20160076616A (ko) 2014-12-23 2016-07-01 편상득 반자동 샤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0719A (ko) * 2020-09-03 2022-03-11 김중호 잠금장치를 구비한 자동식 후크
KR102389099B1 (ko) * 2020-09-03 2022-04-21 김중호 잠금장치를 구비한 자동식 후크
WO2023163255A1 (ko) * 2022-02-28 2023-08-31 김중호 잠금장치를 구비한 자동식 후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3931B2 (en) Pipelayer machine with symmetrical winches
US8763993B2 (en) Crane hook assembly having a hook weight arrangement
KR101712567B1 (ko) 샤클
US20180312376A1 (en) Hoisting and lowering device
KR102389099B1 (ko) 잠금장치를 구비한 자동식 후크
KR20170098774A (ko) 갱폼 인양 안전장치
JP7137115B2 (ja) クレーンの過巻検出用重錘
US11795037B2 (en) Overhead travelling crane assembly
JP2022528167A (ja) 可搬式動力駆動システム
KR101342322B1 (ko) 갱폼 인양용 반자동 샤클
JP6917048B2 (ja) 介錯アーム、および介錯アームを備えたクレーンアーム
JP6335351B1 (ja) 据付工事用治具
KR102097607B1 (ko) 핸드레일의 포스트 결속장치
KR100896915B1 (ko) 훅크의 안전장치
KR101254502B1 (ko) 반자동 샤클
KR200366335Y1 (ko) 크레인 후크의 연결구조
KR20180074908A (ko) 시브 와이어 탈선 방지 장치
CA2983834C (en) Pipelayer with quick attach counterweights
JP2016023021A (ja) 柱吊り治具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1381992B1 (ko) 대형거푸집의 본체볼트 다중 잠금장치
KR101376975B1 (ko) 갱폼 인양용 샤클
JP3212405U (ja) 電柱吊具
JP5805240B2 (ja) エレベータ及びシーブカバー取付方法
CN212687341U (zh) 吊钩装置及起重设备
KR200441463Y1 (ko) 고소 작업줄용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