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6915B1 - 훅크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훅크의 안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96915B1 KR100896915B1 KR1020070105422A KR20070105422A KR100896915B1 KR 100896915 B1 KR100896915 B1 KR 100896915B1 KR 1020070105422 A KR1020070105422 A KR 1020070105422A KR 20070105422 A KR20070105422 A KR 20070105422A KR 100896915 B1 KR100896915 B1 KR 1008969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ok
- weight
- safety device
- locking
- p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66C1/36—Crane hooks with means, e.g. spring-biased detents, for preventing inadvertent disengagement of loa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1—Cab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훅크의 고리부에 설치된 중량의 물체가 고리부의 개구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훅크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훅크의 안전장치는 직선부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회동하도록 설치되어 고리부의 개구부를 록킹하는 록킹암을 포함하는 작동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부재는 회동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고리부에 접촉하는 록킹암이 타측에 형성된 중량부의 자중에 의하여 회동하여 록킹암이 고리부에 접촉하도록 이루어진다.
훅크, 안전장치
Description
본 발명은 크레인과 같은 중량의 물체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중량의 물체를 연설하는 훅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훅크의 고리부에 연설되는 중량의 물체가 이탈되지 않도록 중량을 이용한 훅크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체에서는 공장의 천정에 천정크레인 및 호이스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천정 크레인 및 호이스트에는 훅크가 연결되어 있으며, 중량의 물체(구조물)이 고정된 연결 와이어로프를 상기 훅크에 연결하여 중량의 물체(구조물) 등을 이동시키기고 있다.
이와 같은 크레인 및 호이스트에는 스톱플레이트, 록크플레이트 및 훅크 등이 구성되어, 중량의 물체의 이동 시에 연결 와이어로프가 이탈하지 않도록 훅크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장치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중량의 물체의 이동 시에 연결 와이어로프가 이탈하지 않도록 훅크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장치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종래기술들이 제시되어 있 다.
등록실용신안 제325809호의 훅크 록킹장치에는 훅크의 개구부를 록킹시키기 위한 록킹판과; 상기록킹판의 후단 상측에 횡설된 작동바와; 상기 작동바의 중앙에 설치되며 상단이 훅크의 외주면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상기 작동바와 연동회전되는 고정바와; 상기 작동바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바를 회전시키는 핸들과; 상기 록킹판의 양단을 상기 훅크의 목부위에서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밴딩장치와; 상기 록킹판의 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판의 해지동작시 상기 핸들을 홀딩하는 핸들잠금장치; 및 상기 록킹판의 후단 하측에 설치되어 훅크와의 거리 및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거리조정용 웨이트;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대형구조물의 운반시 사용되는 와이어로프의 해지동작을 한 사람의 작업자가 간편하게 핸들 조작으로 실시할 수 있고, 와이어로프 교체후에는 버튼타입으로 핸들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록킹동작을 실시하게 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325809호의 훅크 록킹장치에 제시되어 있는 기술은 그 구성이 복잡하여 록킹 및 해지 작동을 많이 하거나 장기간 외부에 노출되면 그 내부에 구성되어 있는 스프링이 부식됨으로써 스프링의 탄성력이 저하되어 훅크의 록킹장치로써 재역할을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훅크의 안전장치는 그 구성을 간소화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또한,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피로하중과 장기간 외부노출에 의하여 부식 등로 인하여 재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스프링과 같은 구성요소를 삭제하여 장기간 사용과 장기간 외부노출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훅크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고정부재의 상측으로 작동부재를 설치함으로써 훅크의 고리부의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인 훅크의 고리부에 설치된 중량의 물체가 고리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훅크의 안전장치는 훅크의 직선부에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암이 형성된 밴드부가 체결부재의 조임력으로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암에 회동하도록 설치되어 고정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는 훅크의 개구부를 록킹시키는 작동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부재는 회동중심으로 개구부를 록킹하는 록킹암과, 타측인 중량부로 구성되며, 상기 중량부의 자중에 의하여 회동중심으로 회동하여 록킹암이 고리부에 접촉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고정부재는 직선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밴드부와, 작동부재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도록 단부에 핀 구멍이 형성된 암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부재는 고정부재의 암에 회동가능하도록 상측에 핀으로 설치되고, 상기 중량부는 훅크의 직선부가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단면이 '⊃'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훅크의 안전장치는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피로하중과 장기간 외부노출에 의한 부식과 같은 영향을 받지않고 중량부의 자중에 의하여 록킹암이 고리부의 개구부를 안전하게 록킹할 수 있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작동부재가 고정부재의 상측에 위치하여 작동하도록 형성됨으로써 훅크의 고리부의 공간을 최대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구성요서의 간소화로 인하여 고장이 적고 수리보수가 용이한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안전장치가 설치된 훅크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안전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훅크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안전장치의 고정부재에 대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안전장치의 작동부재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대한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안전장치(4)는 훅크(1)의 직선부(2)의 둘레에 체결부재(13)의 조임력으로 고정되는 밴드부(11,11')와, 상기 밴드부(11,11')의 일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암(12,12')으로 이루어진 고정부재(10)와, 상기 고정부재(1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암(12,12')의 일측에 핀(71)으로 결합되어 핀(71)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훅크(1)의 개구부(31)를 록킹하는 작동부재(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재(20)는 핀(7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구부(31)를 록킹하는 록킹암(21,21')과, 상기 록킹암(21,2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훅크(1)의 직선부(2)의 둘레의 반을 감싸도록 단면이 '⊃'로 형성된 중량부(22,22')로 구성되며, 중량의 물체를 고리부(3)에 설치시 록킹암(21,21')은 핀(71)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중량의 물체를 고리부(3)에 설치되도록 한 후 중량부(22,22')의 자중에 의해 회동되고, 중량부(22,22')의 서로 간 간섭으로 고정하여 고리부(3)에 접촉되게 함으로써 중량의 물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훅크의 안전장치(4)는 크게 훅크(1)의 직선부(2)에 설치되는 고정부재(10)와, 고리부(3)의 개구부(31)를 록킹하는 작동부재(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재(20)는 핀(7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구부(31)를 록킹하는 록킹암(21,21')과, 상기 록킹암(21,2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훅크(1)의 직선부(2)의 둘레의 반을 감싸도록 단면이 '⊃'로 형성된 중량부(22,22')로 구성되며, 중량의 물체를 고리부(3)에 설치시 록킹암(21,21')은 핀(71)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중량의 물체를 고리부(3)에 설치되도록 한 후 중량부(22,22')의 자중에 의해 회동되고, 중량부(22,22')의 서로 간 간섭으로 고정하여 고리부(3)에 접촉되게 함으로써 중량의 물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훅크의 안전장치(4)는 크게 훅크(1)의 직선부(2)에 설치되는 고정부재(10)와, 고리부(3)의 개구부(31)를 록킹하는 작동부재(20)로 구성된다.
도 2와 같이 상기 작동부재(20)는 직선부(2)에 설치된 고정부재(10)에 회동하도록 설치되어 자중에 의하여 개구부(31)를 록킹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4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체결부재(13)로 직선부(2)에 고정되는 것으로, 직선부(2)에 접촉하는 밴드부(11,11')와, 상기 밴드부(11,11')의 양끝단에는 체결부재(13)가 설치될 수 있도록 관통 구멍이 형성된 플랜지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밴드부(11,11')의 중앙부분에는 핀 구멍(12-1,12'-1)이 형성된 암(12,12')이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체결부재(13)에 의하여 직선부(2)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10)는 직선부(2)의 임의의 위치에서 고성설치되며,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암(12,12')에 형성된 핀 구멍(12-1,12'-1)을 이용하여 후설되는 작동부재(20)가 회동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작동부재(20)가 고정부재(10)의 상측에 설치된다.
도 5와 도 6과 같이 상기 작동부재(20)는 암(12,12')의 핀 구멍(12-1,12'-1)과 대응되게 형성된 핀 구멍(12-1,12'-1)에 핀(71)으로 결합되어 고정부재(10)의 상측에 회동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고리부(3)의 개구부(31)를 록킹하는 록킹암(21,21')과, 상기 록킹암(21,21')이 회동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회동하여 개구부(31)를 록킹할 수 있도록 하는 중량부(22,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량부(22,22')는 내측으로 직선부(2)가 삽입되도록 '⊃'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작동부재(20)는 중량의 물체를 고정시나 해체시 작동부재(20)의 록킹암(21,21')에 힘을 가하여 회동시켜 개구부(31)를 열고, 중량의 물체를 고정시키고 또는 해체 후 작동부재(20)의 록킹암(21,21')에 힘을 제거하게 되면, 중량부(22,22')의 자중에 의하여 작동부재(20)가 회동하여 록킹암(21,21')이 개구부(31)를 록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부재(20)가 고정부재(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작동부재(20)가 고정부재(10)의 상측에서 회동함으로써 고리부(3)의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훅크의 안전장치는 중량의 물체를 훅크(1)의 고리부(3)에 설치 또는 해제시 적은 힘으로 작동부재(20)를 핀(71)을 기준으로 하여 회동시켜 록킹암(21,21')이 고리부(3)의 개구부(31)를 개방할 수 있으며, 설치 또는 해제 후 힘을 제거하게 되면 작동부재(20)가 핀(71)을 기준으로 중량부(22,22')의 자중에 의하여 회동하여 록킹암(21,21')이 개구부(31)를 록킹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훅크(1)의 고리부(3)가 일측에만 형성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안전장치가 설치된 훅크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안전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훅크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대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안전장치의 고정부재에 대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안전장치의 작동부재에 대한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대한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안전장치가 설치된 훅크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훅크 2 : 직선부
3 : 고리부 4 : 안전장치
10 : 고정부재 11,11' : 밴드부
12,12' : 암 13 : 체결부재
20 : 작동부재 21,21' : 록킹암
22,22' : 중량부
Claims (2)
- 훅크(1)의 고리부(3)에 설치된 중량의 물체가 고리부(3)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훅크(3)의 안전장치(4)에 있어서,상기 안전장치(4)는 훅크(1)의 직선부(2)의 둘레에 체결부재(13)의 조임력으로 고정되는 밴드부(11,11')와, 상기 밴드부(11,11')의 일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암(12,12')으로 이루어진 고정부재(10)와;상기 고정부재(1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암(12,12')의 일측에 핀(71)으로 결합되어 핀(71)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훅크(1)의 개구부(31)를 록킹하는 작동부재(20);로 이루어지며,상기 작동부재(20)는 핀(7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구부(31)를 록킹하는 록킹암(21,21')과, 상기 록킹암(21,2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훅크(1)의 직선부(2)의 둘레의 반을 감싸도록 단면이 '⊃'로 형성된 중량부(22,22')로 구성하여,중량의 물체를 고리부(3)에 설치시 록킹암(21,21')은 핀(71)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중량의 물체를 고리부(3)에 설치되도록 한 후 중량부(22,22')의 자중에 의해 회동되고, 중량부(22,22')의 서로 간 간섭으로 고정하여 고리부(3)에 접촉되게 함으로써 중량의 물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크의 안전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5422A KR100896915B1 (ko) | 2007-10-19 | 2007-10-19 | 훅크의 안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5422A KR100896915B1 (ko) | 2007-10-19 | 2007-10-19 | 훅크의 안전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39925A KR20090039925A (ko) | 2009-04-23 |
KR100896915B1 true KR100896915B1 (ko) | 2009-05-12 |
Family
ID=40763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05422A KR100896915B1 (ko) | 2007-10-19 | 2007-10-19 | 훅크의 안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9691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774744A (zh) * | 2012-06-19 | 2012-11-14 | 宁波雄狮机械制造有限公司 | 设有自锁机构的双面对称起重钩 |
CN108190731B (zh) * | 2017-12-31 | 2019-07-05 | 北京金风科创风电设备有限公司 | 吊钩加宽工装、吊运装置以及吊运设备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195Y1 (ko) * | 2000-05-12 | 2000-10-16 | 한국산업안전공단 | 크레인용 걸고리 |
KR200233096Y1 (ko) | 2001-03-09 | 2001-10-06 | 김덕신 | 크레인용 훅의 스토퍼 구조 |
KR200317673Y1 (ko) * | 2003-04-09 | 2003-06-25 | (주)한국산업안전 | 크레인 및 호이스트의 훅크 록킹장치 |
-
2007
- 2007-10-19 KR KR1020070105422A patent/KR10089691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195Y1 (ko) * | 2000-05-12 | 2000-10-16 | 한국산업안전공단 | 크레인용 걸고리 |
KR200233096Y1 (ko) | 2001-03-09 | 2001-10-06 | 김덕신 | 크레인용 훅의 스토퍼 구조 |
KR200317673Y1 (ko) * | 2003-04-09 | 2003-06-25 | (주)한국산업안전 | 크레인 및 호이스트의 훅크 록킹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39925A (ko) | 2009-04-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96915B1 (ko) | 훅크의 안전장치 | |
JP2007153583A (ja) | フック装置 | |
KR20170098774A (ko) | 갱폼 인양 안전장치 | |
KR101712567B1 (ko) | 샤클 | |
KR100925068B1 (ko) |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완금 및 전주 교체기구 | |
KR20120080505A (ko) | 크레인 후크의 안전 고리 장치 | |
JPH0539188A (ja) | 重量物吊上げ用フツク装置 | |
KR100609950B1 (ko) | 와이어통 밴드 | |
JP2015212185A (ja) | 外れ止め付きフック、吊り具押え部材 | |
KR20120055515A (ko) | 갱폼 인양용 반자동 샤클 | |
US2617677A (en) | Pipe sling | |
JPH07215658A (ja) | クレーン用吊り下げフック装置 | |
KR100609951B1 (ko) | 와이어통 밴드를 이용한 전선이선 교체 가선기구 | |
JP2018146065A (ja) | 抜け止め装置 | |
JP5947681B2 (ja) | クランプ | |
JPH02286593A (ja) | 鉄塔用鋼管の吊り金具 | |
KR20140000267U (ko) | 후크해제 레버를 갖는 크레인용 후크 | |
JP2000335875A (ja) | 吊り具及びパネル | |
KR200317673Y1 (ko) | 크레인 및 호이스트의 훅크 록킹장치 | |
JP2006076686A (ja) | フック用外れ止め装置 | |
KR101518869B1 (ko) | 크레인 후크 | |
KR200200195Y1 (ko) | 크레인용 걸고리 | |
JP2007309087A (ja) | 施錠装置 | |
JP5282066B2 (ja) | ハンドホール等の点検蓋旋錠装置 | |
KR102279255B1 (ko) | 반자동 샤클 조립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