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4194A - 차량용 안전 장치가 구비된 핸들 - Google Patents

차량용 안전 장치가 구비된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4194A
KR20110044194A KR1020117000318A KR20117000318A KR20110044194A KR 20110044194 A KR20110044194 A KR 20110044194A KR 1020117000318 A KR1020117000318 A KR 1020117000318A KR 20117000318 A KR20117000318 A KR 20117000318A KR 20110044194 A KR20110044194 A KR 20110044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cker
pendulum
axis
steering wheel
car ste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0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5699B1 (ko
Inventor
피오렌조 사반트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발레오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10044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4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4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05B77/06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by means of inertial for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42Means for damping the movement of lock parts, e.g. slowing down the return movement of a hand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22Inertia oper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57Operators with knobs or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2)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는 제 1 로커(rocker)(1)를 포함하는 차량용 핸들로서, 상기 프레임(2)은 상기 제 1 로커(1)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레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레버가 구동될 때 상기 제 1 로커(1)는 제 1 축선(3, 22)의 주위를 회전할 수 있으며, 관성 질량체(8)가 구비된 진자(6)가 제 2 축선(7)의 주위에서 요동하도록 상기 프레임(2) 또는 상기 프레임과 일체인 보디(body)에 피벗 연결되고, 상기 제 1 로커(1)는 상기 제 1 로커(1)의 회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정지 부재(12)에 의해 저지되기에 적합한 쇼울더(shoulder)(9)를 구비하며, 상기 정지 부재(12)가 구비된 제 2 로커(10)가, 상기 진자(6)가 상기 제 2 축선(7)의 주위에서 요동할 때 제 3 축선(11)의 주위에서 요동하도록 상기 진자(6)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차량용 핸들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안전 장치가 구비된 핸들{HANDLE WITH SAFETY DEVICE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안전 장치가 구비된 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의 도어를 언로크하는 동시에 개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사고시에 이 도어의 우발적인 개방을 방지하는 관성 안전 장치가 제공된 레버가 구비된 핸들에 관한 것이다.
국제공개공보 제 WO 2004/042177 호는, 로커(rocker)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레버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에 대해 회전할 수 있고 따라서 레버가 구동될 때 회전할 수 있는 로커를 포함하는 차량용 핸들로서, 관성 질량체가 구비된 진자가 예를 들어 충돌에 의한 강한 가속의 경우에 요동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피벗 연결되는 차량용 핸들을 개시하고 있다. 로커는 로커의 회전, 핸들의 작동 및 그로 인한 도어의 우발적인 개방을 방지하기 위해 진자와 일체인 정지 부재에 의해 저지되기에 적합한 쇼울더를 구비한다.
그러나, 충돌 중에, 상기 가속의 방향은 일정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정현파와 같은 파형 발생에 의해 요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진자의 정지 부재는 충돌이 끝나기 전에 핸들의 레버를 언로크하기 위해 쇼울더로부터 멀리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단점이 없는 핸들, 즉 강한 가속으로 인해 진자가 양 방향으로 요동칠 때 로커가 로크될 수 있는 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그 주요 특징이 제 1 항에 개시되어 있고 다른 특징들은 나머지 청구항에 개시되어 있는 핸들에 의해 달성된다.
정지 부재 중 하나로부터의 진자 운동을 해방시키는 특정 제 2 로커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핸들의 제 1 로커는 진자가 일 방향으로 및 반대 방향으로 요동할 때 로크될 수 있다.
진자의 부분들과 제 2 로커의 특정한 상호 배치, 상대 치수 및 기계적 연결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핸들은 공지의 핸들보다 컴팩트하고 가벼우며, 보다 빠른 반응 시간을 가능하게 한다.
제 1 로커는, 충돌의 경우에 연장되는 작동 중지로 인한 그 기능 장애를 방지하기 위해 정상 사용 중에 진자와 제 2 로커를 구동하도록 진자의 태핏(tappet)이 그 위를 슬라이딩할 수 있는 캠 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들의 추가 장점 및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두 가지 실시예의 상세한 비제한적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휴지 위치에 있는 핸들의 제 1 실시예의 부분 측면도,
도 2는 도 1의 핸들의 부분 평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에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정상 사용 위치에 있는 도 1의 핸들의 부분 평면도,
도 5는 도 4의 V-V에서 취한 단면도,
도 6은 제 1 충돌 위치에 있는 도 1의 핸들의 부분 평면도,
도 7은 도 6의 Ⅶ-Ⅶ에서 취한 단면도,
도 8은 제 2 충돌 위치에 있는 도 1의 핸들의 부분 평면도,
도 9는 도 8의 Ⅸ-Ⅸ에서 취한 단면도,
도 10은 휴지 위치에 있는 핸들의 제 2 실시예의 부분 측면도,
도 11은 도 10의 핸들의 부분 평면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핸들이 공지의 방식으로, 자동차의 도어를 언로크하는 동시에 개방하기 위해 당겨질 수 있는 레버(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2)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제 1 로커(1)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레버는 제 1 로커(1)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따라서 제 1 로커는 레버가 구동될 때 제 1 축선(3) 주위로 회전할 수 있다. 제 1 로커(1)는 이어서 도어의 언로킹 기구에 연결되며, 따라서 레버를 더 당김으로써 상기 언로킹 기구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연결은 예를 들어, 제 1 로커(1)의 회전 중에 제 1 로커에 의해 당겨지는 케이블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 1 로커(1)는, 프레임(2) 또는 그와 일체적인 보디에 피벗 연결되는 진자(6)의 제 1 아암(6a)에 배치된 태핏(5)이 제 1 로커(1)의 회전 축선인 제 1 축선(3)에 거의 수직한 제 2 축선(7) 주위로 요동하도록 그 위를 슬라이딩할 수 있는 캠 면(4)을 구비한다. 제 2 축선(7)에 대해 제 1 아암(6a)과 대향하는 진자(6)의 제 2 아암(6b)은 관성 질량체(8)를 구비한다. 제 1 로커(1)는, 캠 면(4)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진자(6)의 태핏(5)의 높이보다 높이 배치되는 쇼울더(9)를 구비한다. 태핏(5)은 캠 면(4) 상을 슬라이딩할 경우 쇼울더(9)를 터치하지 않고 쇼울더 아래를 통과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2 로커(10)는 진자가 제 2 축선(7) 주위로 요동할 때 진자(6)의 제 2 회전축선(7)에 거의 평행한 제 3 축선(11) 주위로 요동하도록 진자(6)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제 2 로커(10)는 제 1 로커(1)의 회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제 2 로커(10)의 요동 중에 쇼울더(9)를 저지하기에 적합한 정지 부재(12)가 구비된 아암(10a)을 포함한다. 제 2 로커(10)는 제 3 축선(11)에 대해 아암(10a)과 대향하는 측에 배치되는 텅(10b)을 추가로 포함한다. 진자(6)는 제 2 축선(7)에 대해 제 1 아암(6a)과 동일한 측에 배치되는 텅(6c)을 구비한다. 진자(6)와 제 2 로커(10) 사이의 기계적 연결은 진자(6)의 텅(6c)과 제 2 로커(10)의 텅(10b)의 결합, 특히 접촉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 1 기계적 연결을 통해서, 진자(6)의 일 방향(13), 예를 들어 도 2에서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은 제 2 로커(10)의 반대 방향(14), 예를 들어 반시계방향 회전을 초래한다.
진자(6)와 제 2 로커(10) 사이의 제 2 기계적 연결은 진자(6)의 제 1 아암(6a)과 제 2 로커(10)의 아암(10a)의 결합, 특히 접촉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 2 기계적 연결을 통해서, 진자(6)의 일 방향(15), 예를 들어 도 2에서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은 제 2 로커(10)의 동일 방향(14), 예를 들어 반시계방향 회전을 초래한다. 따라서, 제 2 로커(10)는, 진자(6)가 이 동일 방향(15)으로 또는 관성 질량체(8)에 작용하는 가속으로 인해 반대 방향(13)으로 회전할 때 정지 부재(12)가 쇼울더(9)를 향해서 이동하는 일 방향(14)으로만 회전하도록 진자(6)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탄성 수단(16), 특히 제 3 축선(11) 주위에 배치된 나선형 스프링은 정지 부재(12)가 쇼울더(9)로부터 멀어지도록 제 2 로커(10)를 방향(14)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압박한다.
프레임(2)과 진자(6) 사이에 배치되는 유압, 공압 또는 전기 댐퍼(17)는 진자의 요동을 감쇠시킨다. 제 1 로커(1)의 캠 면(4)에는 추가로, 태핏(5)을 자유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에 적합한 중공부(18)가 제공된다. 진자(6)의 텅(6c), 제 2 로커(10)의 아암(10a) 및 텅(10b)은 제 2 축선(7) 및/또는 제 3 축선(11)에 거의 수직한 제 4 축선(19)을 따라서 배치된다. 태핏(5)과 정지 부재(12)는 제 1 축선(3)에 거의 수직한 제 5 축선(20)을 따라서 배치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핸들이 정상적으로 사용될 때, 즉 그 레버가 사용자에 의해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당겨질 때, 제 1 로커(1)가 제 1 축선(3) 주위로 방향(21), 예를 들어 도 5에서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따라서 태핏(5)이 제 1 로커(1)의 캠 면(4) 상을 슬라이딩하여, 진자(6)를 방향(15)으로 약간 회전시키고, 이에 의해 진자(6)의 제 1 아암(6a)과 제 2 로커(10)의 아암(10a) 사이의 기계적인 연결을 통해서 제 2 로커(10)를 방향(14)으로 약간 회전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1 로커(1)가 제 1 축선(3) 주위로 회전하는 도중에, 태핏(5)과 정지 부재(12)가 차지하는 높이 공간(H)은 제 1 로커(1)의 캠 면(4)과 쇼울더(9) 사이의 거리보다 짧으며, 따라서 정지 부재(12)가 쇼울더(9)를 저지할 수 없다. 핸들의 레버가 더 이상 당겨지지 않으면, 탄성 수단은 제 1 로커(1)를 방향(21)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핸들이 예를 들어 충돌에 의해 제 1 방향으로 가속을 겪을 때, 관성 질량체(8)가 진자(6)를 방향(15)으로 회전시키고, 이에 의해 진자(6)의 제 1 아암(6a)과 제 2 로커(10)의 아암(10a) 사이의 기계적 연결을 통해서 제 2 로커(10)의 동일 방향(14) 회전을 초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요동 중에, 태핏(5)은 제 5 축선(20)을 따라서 제 1 로커(1)의 캠 면(4)으로부터 멀리 이동하며, 정지 부재(12)는 제 1 로커(1)의 방향(21)으로의 회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즉 제 1 로커(1)를 로크시키거나 방향(21)으로의 최소 회전만을 허용하기 위해 제 5 축선(20)을 따라서 태핏(5)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1 로커(1)의 쇼울더(9)를 저지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핸들이, 예를 들어 충돌에 의해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가속을 겪을 때, 관성 질량체(8)가 진자(6)를 방향(13)으로 회전시키고, 이에 의해 진자(6)의 텅(6c)과 제 2 로커(10)의 텅(10b) 사이의 기계적 연결을 통해서 제 2 로커(10)의 반대 방향(14) 회전을 초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요동 중에, 태핏(5)은 중공부(18)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도록 제 5 축선(20)을 따라서 제 1 로커(1)의 캠 면(4)에 근접 이동하는 반면, 정지 부재(12)는 제 1 로커(1)의 방향(21)으로의 회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제 5 축선(20)을 따라서 태핏(5)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1 로커(1)의 쇼울더(9)를 저지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핸들의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지만, 제 1 로커(1)가 진자(6)의 제 2 축선(7) 및 제 2 로커(10)의 제 3 축선(11)에 거의 평행한 제 1 축선(22) 주위로 회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정지 부재(12)는 제 2 로커(10)의 아암(10a) 옆에 배치되는 쇼울더(9)를 저지하기 위해, 제 2 로커(10)의 아암(10a)에 대해 횡방향으로, 특히 제 3 축선(11)에 거의 평행한 축선을 따라서 돌출한다.
하기 청구범위의 범위를 벗어나는 일 없이 전술한 실시예에 대한 추가적인 변형 및/또는 추가가 당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21)

  1. 프레임(2)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는 제 1 로커(rocker)(1)를 포함하는 차량용 핸들로서, 상기 프레임(2)은 상기 제 1 로커(1)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레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레버가 구동될 때 상기 제 1 로커(1)는 제 1 축선(3, 22)의 주위를 회전할 수 있으며, 관성 질량체(8)가 구비된 진자(6)가 제 2 축선(7)의 주위에서 요동하도록 상기 프레임(2) 또는 상기 프레임과 일체인 보디(body)에 피벗 연결되고, 상기 제 1 로커(1)는 상기 제 1 로커(1)의 회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정지 부재(12)에 의해 저지되기에 적합한 쇼울더(shoulder)(9)를 구비하는, 차량용 핸들에 있어서,
    상기 정지 부재(12)가 구비된 제 2 로커(10)가, 상기 진자(6)가 상기 제 2 축선(7)의 주위에서 요동할 때 제 3 축선(11)의 주위에서 요동하도록 상기 진자(6)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축선(11)은 상기 제 2 축선(7)에 사실상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로커(10)는 상기 진자(6)가 동일 방향(15) 또는 반대 방향(13)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정지 부재(12)가 상기 쇼울더(9)를 향해 이동하는 방향(14)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진자(6)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커(1)는 상기 진자(6)의 태핏(tappet)(5)이 상기 진자를 상기 제 2 축선(7)의 주위에서 요동시키기 위해 슬라이딩할 수 있는 캠 면(4)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커(1)의 캠 면(4)은 상기 태핏(5)을 적어도 일부 수용하기에 적합한 중공부(1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자(6)와 상기 제 2 로커(10) 사이의 상기 기계적 연결은, 상기 진자(6)의 텅(tongue)(6c)과 상기 제 2 로커(10)의 텅(10b)의 결합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연결을 통해 상기 진자(6)의 방향(13)으로의 회전은 상기 제 2 로커(10)의 반대 방향(14)으로의 회전을 초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들.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자(6)와 상기 제 2 로커(10) 사이의 상기 기계적 연결은, 상기 진자(6)의 제 1 아암(6a)과 상기 제 2 로커(10)의 아암(10a)의 결합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연결을 통해 상기 진자(6)의 방향(15)으로의 회전은 상기 제 2 로커(10)의 동일 방향(14)으로의 회전을 초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들.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태핏(5)은 상기 진자(6)의 제 1 아암(6a) 상에 배치되는 반면, 상기 관성 질량체(8)는 상기 제 2 축선(7)에 대해서 상기 제 1 아암(6a)의 맞은편의 상기 진자(6)의 제 2 아암(6b)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들.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자(6)의 텅(6c)은 상기 제 2 축선(7)에 대해서 상기 진자(6)의 제 1 아암(6a)의 동일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들.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로커(10)의 아암(10a)은 상기 정지 부재(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들.
  13. 제 8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로커(10)의 텅(10b)은 상기 제 3 축선(11)에 대해서 상기 제 2 로커(10)의 아암(10a)의 맞은편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들.
  14. 제 8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자(6)의 텅(6c), 상기 제 2 로커(10)의 아암(10a) 및 텅(10b)은 상기 제 2 축선(7) 및/또는 상기 제 3 축선(11)에 사실상 수직한 축선(19)을 따라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들.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태핏(5) 및 상기 정지 부재(12)는 상기 제 1 축선(3, 22)에 사실상 수직한 축선(20)을 따라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들.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부재(12)를 상기 쇼울더(9)로부터 멀리 이동시키기 위해 탄성 수단(16)이 상기 제 2 로커(10)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들.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과 상기 진자(6) 사이에 배치된 댐퍼(17)가 상기 진자의 요동을 감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들.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선(3)은 상기 제 2 축선(7)에 사실상 수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들.
  19.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선(22)은 상기 제 2 축선(7)에 사실상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들.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부재(12)는 상기 제 2 로커(10)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들.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쇼울더(9)는 상기 제 2 로커(10)의 옆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들.
KR1020117000318A 2008-07-07 2009-07-02 차량용 안전 장치가 구비된 핸들 KR1015356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MI2008A001235A IT1390596B1 (it) 2008-07-07 2008-07-07 Maniglia con dispositivo di sicurezza per veicoli
ITMI2008A001235 2008-07-07
PCT/EP2009/058365 WO2010003881A1 (en) 2008-07-07 2009-07-02 Handle with safety device for veh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194A true KR20110044194A (ko) 2011-04-28
KR101535699B1 KR101535699B1 (ko) 2015-07-09

Family

ID=40568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0318A KR101535699B1 (ko) 2008-07-07 2009-07-02 차량용 안전 장치가 구비된 핸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857866B2 (ko)
EP (1) EP2318628B1 (ko)
JP (1) JP5281159B2 (ko)
KR (1) KR101535699B1 (ko)
CN (1) CN102089487B (ko)
ES (1) ES2426242T3 (ko)
IT (1) IT1390596B1 (ko)
WO (1) WO20100038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14811B1 (fr) * 2009-10-26 2012-07-04 Valeo S.p.A. Poignée de type à palette comprenant un système d'inertie
ITMI20112367A1 (it) * 2011-12-22 2013-06-23 Valeo Spa Dispositivo di sicurezza per una maniglia di portiera di veicolo.
ES2625533T3 (es) * 2012-07-18 2017-07-19 U-Shin Italia S.P.A.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manija de puerta de vehículo
EP2703582B1 (en) * 2012-08-30 2019-08-07 U-Shin Italia S.p.A. Vehicle panel handle for opening a panel of an automotive vehicle
JP2014190094A (ja) * 2013-03-27 2014-10-06 Teru Inc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DE102013105801A1 (de) * 2013-06-05 2014-12-1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Türgriff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3106610A1 (de) * 2013-06-25 2015-01-0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Türgriff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3112706A1 (de) * 2013-11-18 2015-05-21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 aus einem Türgriff und einer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den Türgriff
KR101628499B1 (ko) * 2014-10-17 2016-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측면 충돌시 도어 열림이 방지되는 구조 및 그 방법
WO2017158416A1 (en) * 2016-03-16 2017-09-21 Klekert Ag Opening device with lock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latch
CN108193956B (zh) * 2016-12-08 2019-09-10 开开特股份公司 机动车门锁
EP3447218B1 (fr) * 2017-08-23 2020-06-03 U-Shin Italia S.p.A. Système de verrouillage équipé d'une poignée et d'un système inertiel déporté
ES2765822T3 (es) * 2017-08-23 2020-06-11 U Shin Italia Spa Sistema de enclavamiento para batiente de vehículo automóvil que incluye una manija del tipo a ra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54026A1 (de) * 2000-11-01 2002-05-08 Bayerische Motoren Werke Ag Schloss mit Sicherungseinrichtung an einer Tür oder dergleichen, insbesondere Fndraumtür eines Kraftfahrzeugs
ITMI20022250A1 (it) 2002-10-23 2004-04-24 Valeo Sicurezza Abitacolo Spa Maniglia per portiere, sportelli o simili, in particolare
DE10319153B3 (de) * 2003-04-29 2004-11-1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Türaußengriff, insbesondere für Fahrzeuge
ITRM20040337A1 (it) * 2004-07-07 2004-10-07 Valeo Sicurezza Abitacolo Spa Maniglia di portiera, in particolare di autoveicolo, con sistema di sicurezza inerziale.
US7070216B2 (en) * 2004-09-09 2006-07-04 Siegel-Robert, Inc. Vehicle door handle assembly
US8038185B2 (en) * 2005-08-01 2011-10-18 Magna Closures Inc Locking device
ITRM20060660A1 (it) * 2006-12-06 2008-06-07 Valeo Sicurezza Abitacolo Spa Maniglia per veicoli con dispositivo di sicurezza
KR100792931B1 (ko) * 2006-12-12 2008-01-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도어아웃사이드핸들의 측면충돌시 도어열림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89487B (zh) 2013-09-18
ITMI20081235A1 (it) 2010-01-08
WO2010003881A1 (en) 2010-01-14
US8857866B2 (en) 2014-10-14
KR101535699B1 (ko) 2015-07-09
CN102089487A (zh) 2011-06-08
IT1390596B1 (it) 2011-09-09
JP5281159B2 (ja) 2013-09-04
US20110156412A1 (en) 2011-06-30
JP2011527393A (ja) 2011-10-27
ES2426242T3 (es) 2013-10-22
EP2318628B1 (en) 2013-05-29
EP2318628A1 (en) 201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4194A (ko) 차량용 안전 장치가 구비된 핸들
KR101801399B1 (ko) 자동차 문짝용 핸들
JP5601837B2 (ja) 安全装置を備えた車両ハンドル
CN101426994B (zh) 一种用于机动车的外部门把手
JP2013527345A (ja) 車両の開閉式部分のための安全装置付きハンドル
JP2006504016A (ja) 慣性による安全システムを備える車両用のドアハンドル
JP5087090B2 (ja) 安全装置を備えた車両ハンドル
KR20090102046A (ko) 자동차용 도어래치의 댐핑장치
CN104395137B (zh) 锁定装置和车辆座椅
JP5437309B2 (ja) 回転レバーの位置保持装置および該回転レバーの位置保持装置を備える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2020531718A (ja) フラッシュハンドルを備える自動車のドアリーフの施錠システム
CN105765143A (zh) 机动车门锁
JP6618861B2 (ja) ドアロック装置
CN104234547A (zh) 用于机动车的门把手装置
CN110234825A (zh) 车门闩锁装置
JP7127242B2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JP6972452B2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WO2013105408A1 (ja) ドアロック装置
JP2009041233A (ja) 自動車ドアハンドル構造
CN116848310A (zh) 机动车锁
JP6252180B2 (ja) 車両用ドア構造
JP6091966B2 (ja) コンソールドア用操作装置
JP5090233B2 (ja) 車両用開閉体のロック装置
JP5033030B2 (ja) 車両用開閉体のロック装置
KR20080091616A (ko) 자동차용 도어 래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