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1821A - 터치패널용 면상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패널용 면상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1821A
KR20110041821A KR1020090098822A KR20090098822A KR20110041821A KR 20110041821 A KR20110041821 A KR 20110041821A KR 1020090098822 A KR1020090098822 A KR 1020090098822A KR 20090098822 A KR20090098822 A KR 20090098822A KR 20110041821 A KR20110041821 A KR 20110041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layer
touch panel
ito
sio
peroxid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8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2609B1 (ko
Inventor
김병수
서충원
이근식
조지원
홍혁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8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2609B1/ko
Priority to JP2012534118A priority patent/JP5535327B2/ja
Priority to CN201080057347.XA priority patent/CN102667683B/zh
Priority to US13/501,980 priority patent/US9417751B2/en
Priority to TW099135284A priority patent/TW201127623A/zh
Priority to PCT/KR2010/007088 priority patent/WO2011046390A2/en
Publication of KR20110041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기판상에 순차로 적층된 중간 투명층 및 도전성 투명층을 포함하되, 상기 중간 투명층 및/또는 도전성 투명층은 과산화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용 면상부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해, 패턴무늬 사이에 얼룩이 방지되고, 중간 투명층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터치패널의 전기적 특성 및 광학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TO, 헤이즈, 면저항, 투과율

Description

터치패널용 면상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PLANER MEMBER FOR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본 발명은 터치패널용 면상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노트북 컴퓨터, OA 기기, 의료기기 또는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 등의 전자기기에서는, 이들 디스플레이에 입력수단 (포인팅 디바이스 (pointing device))을 함께 구비하기 위한 터치 패널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터치 패널엔는 저항막 방식, 전자 유도 방식, 광학식 등 외에도 정전용량 방식 (capacitive type) (용량 결합방식이라고도 함) 이 알려져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ITO 패터닝된 터치패널의 상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터치패널의 멀티 저항막 방식과 정전용량 방식의 경우, 도전성 투명층인 ITO (Iidium-Tin Oxide)를 패터닝하여 제작을 하게 된다.
그러나, ITO 패터닝시 도면과 같이 도전성 패턴 (110) 사이에 얼룩 또는 헤이즈가 (Haze) (120)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그 이유는, ITO 를 패턴닝시 사용되는 ITO 에칭액은 염산에 클리콜산 또는 아세트산등이 혼합된 강산이 사용되기 때문 이다. 따라서, 이러한 강산 성분인 애칭액은 ITO 를 에칭할 뿐만 아니라, ITO 층 아래에 있는 투명 산화물 (예를 들어, SiO2) 층까지 손상을 입힌다.
그 결과, 투명 터치창에 헤이즈 또는 얼룩 현상이 발생하며, 손상을 입은 중간층 (SiO2층) 에서 시작된 크랙이 ITO 까지 전파되어 내구성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 터치창에 얼룩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전기적 특성 및 광학특성을 향상시키는 터치패널용 면상 부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용 면상 부재는, 투명기판상에 순차로 적층된 중간 투명층 및 도전성 투명층을 포함하되, 상기 중간 투명층 및/또는 도전성 투명층은 과산화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얼룩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특히, 상기 중간 투명층은 SiO2 에 O2 가 더 결합된 SiO3 또는 SiO4 과산화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성 투명층은 ITO (Iidium-Tin Oxide) 에 O2 가 더 결합된 과산화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기판은 플라스틱 시트 또는 플라스틱 필름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용 면상 부재 제조 방법은, (a) 산화물 기체에 O2 가스를 주입하여 과산화 조성물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과산화 조성물을 투명기판에 증착하여 중간 투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중간 투명층상에 도전성 투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a) 단계는, SiO2 기체에 O2 가스를 주입하여 SiO3 또는 SiO4 과 산화 조성물을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c1) ITO 기체에 O2 가스를 주입하여 O2 가 더 결합된 ITO 과산화 조성물을 생성하는 단계; (c2) 상기 중간 투명층상에 상기 ITO 과산화 조성물을 증착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의 투명기판은 플라스틱 시트 또는 플라스틱 필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패턴무늬 사이에 얼룩이 방지되고, 중간 투명층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터치패널의 전기적 특성 및 광학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패널용 면상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상 (on)"과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패널용 면상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패널용 면상 부재는 투명기판 (210), 중간 투명층 (220), 및 도전성 투명층 (230)을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투명기판 (210)은 플라스틱 시트 또는 플라스픽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플라스틱은, 예를 들어,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수지,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rthylene napthalate) 수지,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수지, 폴리 프로필렌 (Poly Propylene) 수지, 폴리 아릴(Poly aryl) 수지, 폴리에테르설폰 (PES; Polyether sulfone) 수지, 폴리메틸펜텐 (PolyMethly Pentene) 수지,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 (Poly Ether Ether Ketone) 수지, 폴리설폰 (PSF; Polysulfone) 수지, 초산셀로스 수지, 비정질 폴리올레핀 (amorphous polyolefin) 수지,폴리 에틸렌(Polyethylene)수지, 폴리에스테르(Polyester)수지, 에폭시 (Epoxy)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PAI)수지, 폴리페닐렌 셀파이드 (PPS) 수지, 포리에이테르이미드 (PEI) 수지, 올레핀 (Olefin) 수지, 비닐계 수지, 및 불소계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투명기판 (110) 위에 형성된 중간 투명층 (220)은 투명한 산화물 계열, 예를 들어, SiO2, Al2O3, SiO, InO3, HfO2, Pb5O11, TiO2, Ta2O5 등과 같은 산화물에 O2 가 더 결합된 조성물이다. 이하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이러한 투명 산화물 계열의 조성물에 O2 가 더 결합된 조성물을 과산화 조성물이라 지칭한다. 여기서, 결합은 산소가 결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다양한 화학 결합, 예를 들어, 이온겨합, 공유결합, 금소 결합, 배위결합 등을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과산화 조성물로 형성된 중간 투명층 (220)은 SiO3 또는 SiO4 층 (2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중간 투명층 (220)은 기존의 SiO2 층에 비해 내화학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구조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SiO2 와 같은 산화물 계열의 투명 유전체의 경우, 일정량의 O2 함량이 높아지면 원자와 산화물 원자간의 결합각이 높아져 결정 구조가 수축되어 치밀화된다. 또한, O2 원자와의 결합이 증가함으로써 투명성이 높아진다. 즉, 기존의 SiO2 에 비해 내구성이 및 투명성이 증가한다.
또한, 투명 중간층 (220) 상에는 도전성 투명층 (230)이 형성되며, 도전성 투명층 (230)은 ITO 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ITO 층에도 O2 가 추가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ITO 층에 일정량의 O2 를 함유시킴으로써, 전기 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SiO2 ,에 O2 를 함유시킴으로써 나타나는 내화학성 및 광학성 특성 변화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낸다.
샘플 O2 함량
광학특성 표면 손상 여부
넘버 박막층 헤이즈 투과율
비교예 SiO2 없음
1.33 91.42 손상됨
실시예 1 SiO2 + O2 2~3%
0.38 90.63 손상 안됨
실시예 2 SiO2 + O2 7%
0.44 91.56 손상 안됨
실시예 3 SiO2 + O2 15%
0.71 92.97 손상 안됨
표 1은 내화학성 및 광학성 특성을 실험한 표이다. 여기서 내화학성 실험의 조건은 45℃ 에서 1분동안 에칭용액에 담근 것이다. 표 1을 참조하면, 기존의 SiO2 층만으로 구성된 박막을 에칭액에 노출시킨 경우, 헤이즈(얼룩)가 1.33 으로서 매우 높게 나타나며, 표면 또한 손상된다. 이러한 표면 손상 사진을 도 4에 도시한다.
도 4의 좌측 사진은 SMT6 로 200배 촬영한 것이며, 우측사진은 동일한 장비로 600배로 촬영한 것이다. 이와 같이, 기존의 산화물을 에칭하는 경우,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ITO 층의 크랙을 유발할 수 있어 내구성을 크게 열화시킨다.
그러나, O2 를 함유시킴으로써 헤이즈가 현저히 낮아졌으며, 투과율도 90 이상 높게 유지됨을 알 수 있다. 특히, 표면 손상이 나타나지 않아 내구성이 크게 개선되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ITO 층에 O2 를 함유시킴으로써 나타나는 광학성 특성 변화 및 면저항 특성 변화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낸다.
샘플 공정조건 주요 관리치
넘버 박막층 O2(Sccm) 압력
(Torr)
투과율(%) 균일도(%) 헤이즈 예로우시 면저항
(Ω)
실시예1 ITO + O2 3(2.9) 5m 84.72 1.07 0.36 2.9925 410.27
실시예2 ITO + O2 4(3.9) 5m 85.99 0.58 0.23 2.680625 293.46
실시예3 ITO + O2 5(4.9) 5m 86.52 0.62 0.30 2.49875 307.65
실시예4 ITO + O2 6(5.9) 5m 86.53 0.31 0.18 2.679375 310.80
실시예5 ITO + O2 7(6.9) 5m 86.30 0.32 0.15 2.88 400.28
표 2를 참조하면, ITO 층에 O2 를 함유시키는 경우, 면저항은 실시예 2가 가장 적어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광학적 특성을 고려하면, 투과율이 86.52 를 나타내는 실시예 3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표1 및 표 2를 참조하면, 각각 표 1에서는 헤이즈가 가장 낮은 실시예 1이 바람직하며, 표 2에서는 광학적 특성과 전기적 특성을 고려할때 실시예 3이 바람직하다. 두 경우 모두에 적합한 양의 O2 함유량은 약 3% 이다.
그러나, 제조자는 SiO2 또는 ITO 층에 함유되는 O2 의 양을 각각 조절함으로써, 투과성과 전기전도성 중 어느 하나에 우선순위를 두어 제조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어느 경우에도 애칭액에 의한 표면 손상이 종래의 기술보다 현저히 줄어든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패널용 면상부재를 제조하는 방법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산화물 기체에 O2 가스를 주입하여 과산화 조성물을 생성한다 (S1). 여기서, 산화물 기체를 SiO2 기체로 하여 O2 가스를 주입하여 SiO3 또는 SiO4 과산화 조성물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과산화 조성물을 투명기판에 증착하여 중간 투명층을 형성한다 (S2). 그 다음, 중간 투명층상에 도전성 투명층을 형성한다 (S3). 여기서, 도전성 투명층은 ITO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ITO 층은 O2 에는 더 결합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O2 를 더 함유시키는 방법은, ITO 기체에 O2 가스를 주입하여 O2 가 더 결합된 ITO 과산화 조성물을 생성한 후, 상기 증착된 투명 중간층상에 ITO 과산화 조성물을 증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ITO 패터닝된 터치패널의 상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패널용 면상 부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패널용 면상부재를 제조하는 방법 순서도.
도 4는 기존의 터치패널용 면상부재를 에칭용액에 담근 후의 손상 사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0: 도전성 투명패턴 (ITO 패턴) 120: 헤이즈 (얼룩)
210: 투명 기판 220: 중간 투명층
230: 도전성 투명층 (ITO 층)

Claims (8)

  1. 투명기판상에 순차로 적층된 중간 투명층 및 도전성 투명층을 포함하되,
    상기 중간 투명층 및/또는 도전성 투명층은 과산화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용 면상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투명층은 SiO2 에 O2 가 더 결합된 SiO3 또는 SiO4 과산화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용 면상 부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투명층은 ITO (Iidium-Tin Oxide) 에 O2 가 더 결합된 과산화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용 면상 부재.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판은 플라스틱 시트 또는 플라스틱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용 면상 부재.
  5. (a) 산화물 기체에 O2 가스를 주입하여 과산화 조성물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과산화 조성물을 투명기판에 증착하여 중간 투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중간 투명층상에 도전성 투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용 면상 부재 제조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SiO2 기체에 O2 가스를 주입하여 SiO3 또는 SiO4 과산화 조성물을 생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용 면상 부재 제조 방법.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ITO 기체에 O2 가스를 주입하여 O2 가 더 결합된 ITO 과산화 조성물을 생성하는 단계;
    (c2) 상기 중간 투명층상에 상기 ITO 과산화 조성물을 증착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용 면상 부재 제조 방법.
  8.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투명기판은 플라스틱 시트 또는 플라스틱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용 면상 부재 제조 방법.
KR1020090098822A 2009-10-16 2009-10-16 터치패널용 면상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82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822A KR101082609B1 (ko) 2009-10-16 2009-10-16 터치패널용 면상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2534118A JP5535327B2 (ja) 2009-10-16 2010-10-15 タッチパネル用板状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201080057347.XA CN102667683B (zh) 2009-10-16 2010-10-15 用于触摸面板的板件及其制造方法
US13/501,980 US9417751B2 (en) 2009-10-16 2010-10-15 Plate member for touch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099135284A TW201127623A (en) 2009-10-16 2010-10-15 Plate member for touch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CT/KR2010/007088 WO2011046390A2 (en) 2009-10-16 2010-10-15 Plate member for touch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822A KR101082609B1 (ko) 2009-10-16 2009-10-16 터치패널용 면상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821A true KR20110041821A (ko) 2011-04-22
KR101082609B1 KR101082609B1 (ko) 2011-11-15

Family

ID=43876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8822A KR101082609B1 (ko) 2009-10-16 2009-10-16 터치패널용 면상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17751B2 (ko)
JP (1) JP5535327B2 (ko)
KR (1) KR101082609B1 (ko)
CN (1) CN102667683B (ko)
TW (1) TW201127623A (ko)
WO (1) WO201104639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2294A1 (ko) * 2012-02-15 2013-08-22 Yu Heung Sang 진공코팅층이 형성된 터치스크린 패널 및 터치스크린 패널의 진공코팅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14641B4 (de) * 2011-09-30 2021-08-12 OSRAM Opto Semiconductors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Optoelektronisches Halbleiterbau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optoelektronischen Halbleiterbauelements
CN104094200B (zh) * 2012-02-15 2017-02-22 刘兴商 形成有白色涂层的触摸屏面板及触摸屏面板的白色涂膜真空涂覆方法
EP2831707B1 (en) * 2012-03-30 2018-03-14 Applied Materials, Inc. Transparent body for use in a touch screen panel manufacturing method and system
KR101402823B1 (ko) * 2012-06-29 2014-06-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0563A (en) * 1982-02-22 1983-10-1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Repellent coatings for optical surfaces
US5167000A (en) * 1990-08-28 1992-11-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wavelength converter
DE69531917T2 (de) * 1994-08-31 2004-08-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invertierten Domänen und eines optischen Wellenlängenkonverters mit denselben
DE19625991A1 (de) * 1996-06-28 1998-01-02 Philips Patentverwaltung Bildschirm mit haftungsvermittelnder Silikatschicht
JP4217842B2 (ja) * 1997-12-24 2009-02-0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ッチパネル一体型表示装置用接着剤組成物及び接着剤フィルム並びにタッチパネル一体型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055228A (ja) * 2000-08-09 2002-02-20 Kanegafuchi Chem Ind Co Ltd 光学フィルム
JP2002260447A (ja) 2000-11-17 2002-09-13 Furuya Kinzoku:Kk 透明導電膜形成用材料とその製造方法、透明導電膜、タッチ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とその製造方法、太陽電池とその製造方法、導電性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熱線反射ガラスとその製造方法、液晶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無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とその製造方法、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とその製造方法
JP3770194B2 (ja) * 2001-04-27 2006-04-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6692832B2 (en) * 2002-03-25 2004-02-17 Guardian Industries Corporation Anti-reflective hydrophobic coatings and methods
JP2004192003A (ja) * 2004-01-26 2004-07-08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投射型表示装置
US8153033B2 (en) * 2005-03-09 2012-04-10 Idemitsu Kosan Co., Ltd. Amorphous transparent conductive film, target and production method for amorphous conductive film
JP4730768B2 (ja) * 2005-05-18 2011-07-20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透明導電膜の形成方法及び透明導電膜
JP2007134293A (ja) * 2005-11-07 2007-05-31 Hs Planning:Kk 透明導電性フィルム及び透明導電性フィルム製造方法
JP2007298732A (ja) * 2006-04-28 2007-11-15 Mitsubishi Chemicals Corp 透明多層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基板
US9181124B2 (en) 2007-11-02 2015-11-10 Agc Flat Glass North America, Inc.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coating for thin film photovoltaic applica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EP2308093B1 (en) * 2008-08-04 2020-04-15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Hybrid dielectric material for thin film transistors
JP2011504618A (ja) 2008-09-26 2011-02-10 トヴィ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強化ガラスを利用したタッチパネル
KR100893499B1 (ko) 2008-09-26 2009-04-17 주식회사 토비스 터치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2294A1 (ko) * 2012-02-15 2013-08-22 Yu Heung Sang 진공코팅층이 형성된 터치스크린 패널 및 터치스크린 패널의 진공코팅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17751B2 (en) 2016-08-16
CN102667683A (zh) 2012-09-12
WO2011046390A2 (en) 2011-04-21
JP5535327B2 (ja) 2014-07-02
CN102667683B (zh) 2015-11-25
TW201127623A (en) 2011-08-16
KR101082609B1 (ko) 2011-11-15
JP2013508802A (ja) 2013-03-07
WO2011046390A3 (en) 2011-07-14
US20120202077A1 (en) 201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3413B1 (ko) 플라즈마 표면 처리를 이용한 투명 기체 차단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투명 기체 차단 필름
KR101082609B1 (ko) 터치패널용 면상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43281B1 (ko) 투명 도전성 적층체 및 투명 터치 패널
CN100442083C (zh) 透明导电性膜及触摸屏
EP2618336A2 (en) Transparent conductive film with superior visibilit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881052A (zh) 透明导电性层叠体
KR20110038517A (ko) 터치 패널용 면상 부재 및 그 제조방법
JP5906562B2 (ja) 視認性に優れた両面透明伝導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064303A (ja) 透明導電膜付ガスバリアフィルムとこ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
CN103093863B (zh) 透明导电性薄膜
JP2011076802A (ja) 透明導電性フィルム
WO2016131231A1 (zh) 透明导电氧化物图案消隐结构、触控面板及显示装置
KR101512546B1 (ko) 시인성이 개선된 투명 도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65855B1 (ko) 패턴 비시인성이 우수한 투명 전도성 광학시트
TW202035128A (zh) 透明導電膜
KR101398385B1 (ko) 도전성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도전성 필름을 포함하는 터치패널
JP7198096B2 (ja) 透明導電性フィルム
JP7378938B2 (ja) 光透過性導電フィルム
JP2023160846A (ja) 光透過性導電フィルム
KR101828646B1 (ko) 알루미늄 패턴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5166877A (zh) 具备抗静电的ar薄膜、显示组件及显示设备
KR20160147880A (ko) 투명 도전성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