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0387A - 적층 세라믹 부품 제조용 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적층 세라믹 부품 제조용 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0387A
KR20110030387A KR1020100090821A KR20100090821A KR20110030387A KR 20110030387 A KR20110030387 A KR 20110030387A KR 1020100090821 A KR1020100090821 A KR 1020100090821A KR 20100090821 A KR20100090821 A KR 20100090821A KR 20110030387 A KR20110030387 A KR 20110030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er
glycol
acetate
ceramic component
propylene glyc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유키 아카이
Original Assignee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57083A external-priority patent/JP5514022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30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038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3/00Ethers;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3/02Ethers
    • C07C43/03Ethers having all ether-oxygen atom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43/04Saturated ethers
    • C07C43/13Saturated ethers containing hydroxy or O-metal grou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2Ceramic dielectr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32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layers of a stacked or rolled capaci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eramic Capacitors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틸셀룰로오스 등의 결합제 수지의 결합제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고, 피도포면 부재로의 침식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미세 패턴 또는 박막을 정밀도 좋게 형성할 수 있고, 증발 건조가 용이하고 적층 세라믹 부품의 생산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적층 세라믹 부품 제조용 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층 세라믹 부품 제조용 용제 조성물은 알킬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말단 에테르쇄 비대칭), 디알킬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말단 에테르쇄 비대칭), 및 락트산알킬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한다.

Description

적층 세라믹 부품 제조용 용제 조성물{SOLVENT-CONTAINING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LAMINATED CERAMIC COMPONENT}
본 발명은 적층 세라믹 부품 제조 공정에서, 피도포면을 갖는 부재(이후, 「피도포면 부재」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에 도포함으로써 배선 또는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페이스트에 함유되는 적층 세라믹 부품 제조용 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적층 세라믹 부품으로서는 컨덴서, 인덕터, 바리스터, 서미스터, 스피커, 액튜에이터, 안테나,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SOFC)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은 세라믹층 또는 세라믹층과 도체층을 포함하는 박층을 중첩시켜 형성된다. 컨덴서, 인덕터, 바리스터, 서미스터, 스피커, 액튜에이터, 안테나는 세라믹층과 도체층을 조합하여 적층한 것이 주가 되고,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SOFC)는 세라믹층만을 복수층 적층한 것이 주가 된다.
세라믹층 등의 박층을 적층하는 방법으로서는 소성한 층 위에 배선 또는 도막을 형성하는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소성하는 공정을 반복하는 방법(연속 소성 방법)이나, 배선 또는 도막을 형성하는 페이스트의 도포, 건조를 반복하여 행함으로써 적층 시트를 형성하고, 그 후 일괄해서 소성하는 방법, 상기 적층 시트를 추가로 중첩시켜 압착함으로써 고적층화하고, 그 후 일괄해서 소성하는 방법 등의 일괄 소성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들 적층 방법 중에서도 생산성이 우수하고, 비용 삭감에 연결되는 점에서, 소성 처리를 실시하기 전에 다층 적층하고, 그 후 일괄해서 소성하는 방법(일괄 소성 방법)이 일반적이다.
적층 세라믹 부품의 일례로서 적층 세라믹 컨덴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1: 세라믹의 분말을 폴리비닐부티랄 등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 등의 결합제 수지와 용제에 분산시켜 슬러리로 하고, 시트상으로 형성하여 그린 시트를 얻는다.
2: 니켈, 팔라듐 등의 도전성 금속 재료, 에틸셀룰로오스 및 터피네올 등의 유기 용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도체 페이스트를 그린 시트 상에 스크린 인쇄법 등에 의해 도포하여 배선 또는 도막을 형성한다.
3: 상기 도체 페이스트 중의 유기 용제를 건조시킨다.
4: 배선 또는 도막이 형성된 그린 시트를 소정 치수로 절단하고, 복수매 중첩하고 가열 압착하여 적층체로 한다.
5: 상기 적층체에 전극 등을 부착하여, 고온에서 소성시키면 적층 세라믹 컨덴서가 얻어진다.
상기 공정에서, 도체 페이스트를 그린 시트 상에 도포하면, 도체 페이스트 중의 유기 용제가 그린 시트에 포함되는 결합제 수지를 용해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현상은 시트 어택 현상이라고 불리고 있다. 시트 어택 현상은 적층 세라믹 컨덴서의 세라믹층에 구멍이나 주름을 발생시켜, 배선 또는 도막 형성의 불량이나 쇼트 등에 의한 수율의 저하를 야기하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는 일괄 소성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다른 적층 세라믹 부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생긴다. 종래는 각 층의 막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피도포면 부재로의 침식의 문제는 그다지 크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들어, 적층 세라믹 부품의 고성능화, 소형화에 따라, 장치를 구성하는 도체층, 세라믹층의 박층화가 요구되게 되어, 그의 결과로서 피도포면 부재로의 침식이 현저히 인정되게 되었다.
피도포면 부재로의 침식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배선 또는 도막을 형성하는 페이스트에 사용하는 유기 용제의 개선이 다양하게 검토되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2에는 유기 용제로서 터피네올 수소 첨가물, 터피네올의 아세테이트 또는 터피네올 수소 첨가물의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유기 용제를 사용하는 것만으로는 피도포면 부재로의 침식을 완전히 막는 것이 어렵고, 피도포면 부재를 구성하는 결합제 수지로서 범용되는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에 있어서도 부티랄화도가 낮은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배선 또는 도막을 형성하는 페이스트의 결합제 수지로서 에틸셀룰로오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에틸셀룰로오스의 용해성이 낮기 때문에, 상기 페이스트의 경시적 점도 변동이 크고, 인쇄시에 불량을 야기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는 배선 또는 도막을 형성하는 페이스트에 사용하는 유기 용제로서, 헥산산에틸, 아세트산2-에틸헥실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헥산산에틸, 아세트산2-에틸헥실 등의 유기 용제는 건조 공정에서의 온도 상승에 의해 피도포면 부재에 포함되는 결합제 수지의 용해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피도포면 부재로의 침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 문헌 4에는 배선 또는 도막을 형성하는 페이스트에 사용하는 유기 용제로서, 폴리비닐부티랄 등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나 아크릴 수지 등의 결합제 수지, 및 에틸셀룰로오스가 불용성을 나타내고, 제조 공정에서 사용 가능한 온도대의 상한 근처에 비점을 갖는 트리아세틴(비점: 260 ℃)을 베이스로 하여, 이것에 에틸셀룰로오스가 가용성을 나타내는 저비점의 유기 용제를 특정한 비율로 가한 용제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피도포면 부재로의 침식을 방지하는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용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페이스트를 도포한 후, 상압 가열 건조하는 경우에는 장시간의 가열을 요하지만, 장시간의 가열에 의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결합제 수지로 하는 적층 시트가 연화, 변형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인정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적층 세라믹 부품 1층당의 두께가 얇아져 적층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고, 1층당에 종래와 같은 건조 시간을 가하면 적층 세라믹 부품 1개당의 제조 시간이 연장되는 점에서, 생산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도 지적되고 있다. 그 때문에, 배선 또는 도막을 형성하는 페이스트를 피도포면 부재에 도포할 때에는 증발되는 것이 없고, 저온 건조 조건(예를 들면, 40 내지 100 ℃)에 있어서, 단시간에 증발하는 용제가 요구되고 있지만, 특허 문헌 4에 기재된 용제 조성물에는 상기 저온 건조 조건에서는 증발 속도가 느린 트리아세틴을 많이 포함하기 때문에, 저온 조건에서의 건조 시간을 단축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일본 특허 공개 (평)07-240340호 공보 특허 제297626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1650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47202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에틸셀룰로오스 등의 결합제 수지의 결합제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고, 피도포면 부재로의 침식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미세 패턴 또는 박막을 정밀도 좋게 형성할 수 있고, 증발 건조가 용이하고 적층 세라믹 부품의 생산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적층 세라믹 부품 제조용 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에틸셀룰로오스의 용해성은 높고,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대해서는 넓은 부티랄화도의 것이 불용성을 나타내는 용제 조성물, 즉 에틸셀룰로오스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대한 용해성의 균형이 우수한 용제로서, 비점이 그다지 높지 않은 알킬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말단 에테르쇄 비대칭), 디알킬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말단 에테르쇄 비대칭), 및 락트산알킬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적층 세라믹 부품 제조용 용제 조성물로서 사용하면, 미세 패턴 또는 박막을 정밀도 좋게 형성할 수 있고, 피도포면 부재로의 침식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증발 건조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적층 시트의 연화,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적층 세라믹 부품의 제조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들 지견에 기초하여 완성시킨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알킬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말단 에테르쇄 비대칭), 디알킬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말단 에테르쇄 비대칭), 및 락트산알킬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적층 세라믹 부품 제조용 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적층 세라믹 부품 제조용 용제 조성물로서는 그 중에서도, 프로필렌글리콜메틸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부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메틸펜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프로필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부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펜틸에테르, 및 락트산에틸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 세라믹 부품으로서는 적층 세라믹 컨덴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세라믹 부품 제조용 용제 조성물은 피도포면 부재 형성에 결합제 수지로서 사용되는 폴리비닐부티랄 등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등을 용해하는 것 없이, 배선 또는 도막을 형성하는 페이스트에 결합제 수지로서 사용되는 에틸셀룰로오스 등을 용해하는 성질을 갖는 알킬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말단 에테르쇄 비대칭), 디알킬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말단 에테르쇄 비대칭), 및 락트산알킬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기 때문에, 니켈, 팔라듐 등의 도전성 금속 재료나 세라믹 재료와 에틸셀룰로오스 등의 결합제 수지를 혼합함으로써 얻어지는 배선 또는 도막을 형성하는 페이스트는 미세 패턴 또는 박막을 정밀도 좋게 형성할 수 있고, 배선 패턴 또는 도막의 미세화, 고밀도 배선화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우수한 피도포면 부재로의 침식 억제 또는 방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게다가, 알킬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말단 에테르쇄 비대칭), 디알킬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말단 에테르쇄 비대칭), 및 락트산알킬아세테이트는 저온 조건에서도,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어, 건조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것에 따라, 가열 건조 공정에서의 적층 시트의 연화,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적층 세라믹 부품의 제조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세라믹 부품 제조용 용제 조성물은 알킬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말단 에테르쇄 비대칭), 디알킬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말단 에테르쇄 비대칭), 및 락트산알킬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세라믹 부품 제조용 용제 조성물은 트리아세틴을 배합할 필요는 없고, 배합했다고 해도 1 중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세라믹 부품 제조용 용제 조성물 중의 알킬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말단 에테르쇄 비대칭), 디알킬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말단 에테르쇄 비대칭), 및 락트산알킬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함유량(2종 이상 함유하는 경우에는 그의 합계 함유량)은, 예를 들면 50 중량% 이상이고, 그 중에서도 80 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특히 90 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95 중량%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알킬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말단 에테르쇄 비대칭)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에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메틸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부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메틸펜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에틸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부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에틸펜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부틸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펜틸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부틸펜틸에테르 등의 말단 에테르쇄 부분이 다른 에틸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직쇄, 분지쇄의 차이도 다른 종으로 함); 프로필렌글리콜에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메틸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부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메틸펜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에틸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부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에틸펜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부틸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펜틸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부틸펜틸에테르 등의 말단 에테르쇄 부분이 다른 프로필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직쇄, 분지쇄의 차이도 다른 종으로 함)(이성체도 포함함)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프로필렌글리콜메틸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부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메틸펜틸에테르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디알킬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말단 에테르쇄 비대칭)로서는, 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에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메틸프로필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부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메틸펜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에틸프로필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부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에틸펜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부틸프로필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펜틸프로필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부틸펜틸에테르 등의 말단 에테르쇄 부분이 다른 디에틸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직쇄, 분지쇄의 차이도 다른 종으로 함); 디프로필렌글리콜에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프로필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부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펜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에틸프로필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부틸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에틸펜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부틸프로필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펜틸프로필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부틸펜틸에테르 등의 말단 에테르쇄 부분이 다른 디프로필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직쇄, 분지쇄의 차이도 다른 종으로 함)(이성체도 포함함)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프로필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부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펜틸에테르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락트산알킬아세테이트로서는 알킬기가 직쇄 알킬기 또는 분지 알킬기의 어느 것일 수도 있고, 예를 들면 락트산메틸아세테이트, 락트산에틸아세테이트, 락트산프로필아세테이트, 락트산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 락트산부틸아세테이트, 락트산 t-부틸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들 중에서도 락트산에틸아세테이트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알킬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말단 에테르쇄 비대칭), 디알킬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말단 에테르쇄 비대칭), 및 락트산알킬아세테이트로서는 그 중에서도, 비점이 125 ℃ 이상, 250 ℃ 이하의 것이 바람직하다. 비점이 상기 범위를 상회하면, 저온 조건에 있어서 빠르게 건조시키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고, 한편 비점이 상기 범위를 하회하면, 용매가 배선 또는 도막을 형성하는 페이스트 조정시 또는 도포시에 휘발하여, 조성이 변동될 우려가 있고, 이것에 의해서 안정된 배선 또는 도막 형성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알킬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말단 에테르쇄 비대칭), 디알킬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말단 에테르쇄 비대칭), 및 락트산알킬아세테이트 이외에 반드시 다른 용제를 첨가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그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이면, 다른 유기 용제,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고, 용도에 맞추어 물성을 조정할 수 있다. 첨가할 수 있는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시클로알킬알코올, 시클로알킬아세테이트, 알킬렌글리콜, 알킬렌글리콜디아세테이트, 알킬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 상기 이외의 알킬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 알킬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 디알킬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 상기 이외의 디알킬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 디알킬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 트리알킬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 트리알킬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 3-메톡시부탄올, 3-메톡시부탄올아세테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알코올,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알코올아세테이트, 테르펜계 화합물과 그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시클로알킬알코올로서는, 예를 들면 시클로헥산올, 시클로펜탄올, 시클로옥틸알코올, 메틸시클로헥실알코올, 에틸시클로헥실알코올, 프로필시클로헥실알코올, 이소프로필시클로헥실알코올, 부틸시클로헥실알코올, 이소부틸시클로헥실알코올, s-부틸시클로헥실알코올, t-부틸시클로헥실알코올, 펜틸시클로헥실알코올 등의 C1-5알킬기 등의 치환기를 갖고 있는 시클로알킬알코올; 3원 내지 15원의 시클로알킬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시클로알킬아세테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시클로헥실아세테이트, 시클로펜틸아세테이트, 시클로옥틸아세테이트, 메틸시클로헥실아세테이트, 에틸시클로헥실아세테이트, 프로필시클로헥실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시클로헥실아세테이트, 부틸시클로헥실아세테이트, 이소부틸시클로헥실아세테이트, s-부틸시클로헥실아세테이트, t-부틸시클로헥실아세테이트, 펜틸시클로헥실아세테이트 등의 C1-5알킬기 등의 치환기를 갖고 있는 시클로알킬아세테이트; 3원 내지 15원의 시클로알킬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알킬렌글리콜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3-부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등을 들 수 있다.
알킬렌글리콜디아세테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디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아세테이트, 1,3-프로판디올디아세테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아세테이트, 1,4-부탄디올디아세테이트, 1,5-펜탄디올디아세테이트, 1,6-헥산디올디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알킬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펜틸에테르 등의 에틸렌글리콜모노C1-5알킬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펜틸에테르 등의 프로필렌글리콜모노C1-5알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알킬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펜틸에테르 등의 에틸렌글리콜C1-5알킬C1-5알킬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펜틸에테르 등의 프로필렌글리콜C1-5알킬C1-5알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알킬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펜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에틸렌글리콜모노C1-5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펜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프로필렌글리콜모노C1-5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이성체를 포함함).
디알킬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펜틸에테르 등의 디에틸렌글리콜모노C1-5알킬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펜틸에테르 등의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C1-5알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이성체를 포함함).
디알킬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프로필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펜틸에테르 등의 디에틸렌글리콜C1-5알킬C1-5알킬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프로필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펜틸에테르 등의 디프로필렌글리콜C1-5알킬C1-5알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이성체를 포함함).
디알킬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펜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디에틸렌글리콜모노C1-5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펜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C1-5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이성체를 포함함).
트리알킬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펜틸에테르 등의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C1-5알킬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펜틸에테르 등의 트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C1-5알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이성체를 포함함).
트리알킬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펜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C1-5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펜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트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C1-5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이성체를 포함함).
테르펜계 화합물과 그의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면 터피네올, 터피네올아세테이트, 디히드로터피네올, 디히드로터피닐아세테이트, 디히드로터피닐프로피오네이트, 리모넨, 멘탄, 멘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세라믹 부품 제조용 용제 조성물은 상기 구성에 의해, 에틸셀룰로오스 등의 결합제 수지의 결합제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어, 피 도포면 부재로의 침식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미세 패턴 또는 박막을 정밀도 좋게 형성할 수 있고, 증발 건조가 용이하고 적층 세라믹 부품의 생산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세라믹 부품 제조용 용제 조성물은, 예를 들면 컨덴서, 인덕터, 바리스터, 서미스터, 스피커, 액튜에이터, 안테나,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SOFC) 등의 적층 세라믹 부품(특히, 적층 세라믹 컨덴서) 제조용 용제 조성물로서 유용하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어떠한 한정이 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7, 비교예 1 내지 6
하기 표 1에 기재된 용제 조성물 중에, 폴리비닐부티랄 수지로서 상품명 「에스렉 BL-S」(세키스이 가가꾸(주) 제조), 상품명 「에스렉 BL-1」(세키스이 가가꾸(주) 제조), 상품명 「에스렉 BH-3」(세키스이 가가꾸(주) 제조) 및 에틸셀룰로오스로서 상품명 「에토셀 STD」(다우ㆍ케미컬사 제조)를 각각 수지 농도가 5 중량%가 되도록 첨가하고, 액체 온도 65 ℃에서 3시간 가열 용해하여, 방냉하였다.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액체 온도 65 ℃에서 3시간 가열 용해 조작을 행한 시점(하기 표에서 「65 ℃」라고 표기)과, 그 후 실온(25 ℃)에서 방냉한 시점(하기 표에서 「실온」이라고 표기)에 있어서, 육안 관찰에 의해 각 수지가 각 용제 조성물에 대하여 용해성을 나타내는지 아닌지를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함과 동시에, 각 용제 조성물의 용제 성능을 하기의 기준으로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수지 용해성의 평가 기준>
◎: 수지가 전부 용해되었다.
○: 수지가 거의 용해되었다.
△: 수지가 일부 용해되었다.
×: 수지가 불용이었다.
<용제 조성물의 용제 성능의 평가 기준>
「에스렉 BL-S」, 「에스렉 BL-1」, 「에스렉 BH-3」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실온(25 ℃)에서 불용해성(△ 또는 ×)을 나타내고, 「에토셀 STD」를 완전히 용해하는(◎) 용제 조성물: ○(시트 어택 현상이 발생하기 어렵고, 에틸셀룰로오스의 결합제 성능을 발휘시킬 수 있음)
상기 이외의 용제 조성물: ×
Figure pat00001
표 중의 약호는 이하와 같다.
DPNMP: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프로필에테르(다이셀 가가꾸 고교(주) 제조)
ELA: 락트산에틸아세테이트(다이셀 가가꾸 고교(주) 제조)
PNBM: 프로필렌글리콜부틸메틸에테르(다이셀 가가꾸 고교(주) 제조)
PNMP: 프로필렌글리콜메틸프로필에테르(다이셀 가가꾸 고교(주) 제조)
DPNBM: 디프로필렌글리콜부틸메틸에테르(다이셀 가가꾸 고교(주) 제조)
PNMPE: 프로필렌글리콜메틸펜틸에테르(다이셀 가가꾸 고교(주) 제조)
DPNMPE: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펜틸에테르(다이셀 가가꾸 고교(주) 제조)
α-TPO: α-터피네올(도쿄 가세이 고교(주) 제조, 시약)
멘타놀: 디히드로터피네올(닛본 코료 야꾸힝(주) 제조)
멘타놀 AC: 디히드로터피닐아세테이트(닛본 코료 야꾸힝(주) 제조)
트리아세틴: 글리세린트리아세테이트(다이셀 가가꾸 고교(주) 제조)
DMM: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다이셀 가가꾸 고교(주) 제조)
디글라임: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와코 준야꾸 고교(주) 제조, 시약)

Claims (3)

  1. 알킬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말단 에테르쇄 비대칭), 디알킬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말단 에테르쇄 비대칭), 및 락트산알킬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적층 세라믹 부품 제조용 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프로필렌글리콜메틸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부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메틸펜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프로필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부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펜틸에테르, 및 락트산에틸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적층 세라믹 부품 제조용 용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층 세라믹 부품이 적층 세라믹 컨덴서인 적층 세라믹 부품 제조용 용제 조성물.
KR1020100090821A 2009-09-17 2010-09-16 적층 세라믹 부품 제조용 용제 조성물 KR201100303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15274 2009-09-17
JP2009215274 2009-09-17
JP2010140268 2010-06-21
JPJP-P-2010-140268 2010-06-21
JP2010157083A JP5514022B2 (ja) 2009-09-17 2010-07-09 積層セラミック部品製造用溶剤組成物
JPJP-P-2010-157083 2010-07-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387A true KR20110030387A (ko) 2011-03-23

Family

ID=43865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821A KR20110030387A (ko) 2009-09-17 2010-09-16 적층 세라믹 부품 제조용 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10030387A (ko)
CN (1) CN102024562B (ko)
TW (1) TWI46615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09050A (zh) * 2011-03-28 2012-10-03 株式会社大赛璐 用于制造叠层陶瓷部件的溶剂组合物
KR20180076824A (ko) * 2016-12-28 2018-07-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막 제조 방법 및 패턴형성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2187A (ja) * 2010-10-26 2012-05-17 Daicel Corp 印刷用溶剤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8030A (ja) * 2000-10-06 2002-04-19 Alps Electric Co Ltd 誘電体薄膜及び薄膜コンデンサ並びに薄膜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WO2004019134A1 (ja) * 2002-08-22 2004-03-04 Daikin Industries, Ltd. 剥離液
JP3841085B2 (ja) * 2004-01-29 2006-11-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キャパシタとそ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
TW200537243A (en) * 2004-01-30 2005-11-16 Zeon Corp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and resin film
TWI383271B (zh) * 2004-03-03 2013-01-21 Daicel Chem 微影後之洗淨步驟用洗淨劑及沖洗液
TW200604226A (en) * 2004-03-31 2006-02-01 Zeon Corp Radiation-sensitive composition, multilayer bod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electronic component
JP2008103524A (ja) * 2006-10-19 2008-05-01 Sekisui Chem Co Ltd 回路基板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部品装置及び多層基板
KR101500770B1 (ko) * 2007-03-26 2015-03-09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경화성 수지 조성물, 보호막 및 보호막의 형성 방법
KR101371878B1 (ko) * 2007-05-11 2014-03-07 가부시끼가이샤 다이셀 광 및/또는 열 경화성 공중합체,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경화물
JP4952918B2 (ja) * 2007-05-23 2012-06-13 Jsr株式会社 感放射線性樹脂組成物、液晶表示素子のスペーサーおよび保護膜ならびにそれらの形成方法
JP5079484B2 (ja) * 2007-12-17 2012-11-21 株式会社ダイセル 積層コンデンサ製造用溶剤組成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09050A (zh) * 2011-03-28 2012-10-03 株式会社大赛璐 用于制造叠层陶瓷部件的溶剂组合物
KR20180076824A (ko) * 2016-12-28 2018-07-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막 제조 방법 및 패턴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24562B (zh) 2016-03-09
CN102024562A (zh) 2011-04-20
TW201117243A (en) 2011-05-16
TWI466151B (zh) 2014-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90036B2 (ja) 導電性ペースト組成物
JP7420076B2 (ja) 導電性ペースト、電子部品、及び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TWI434307B (zh) 積層電容器製造用溶劑組成物
WO2020137290A1 (ja) 導電性ペースト、電子部品、及び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2018198202A (ja) 導電性ペースト、電子部品及び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KR20110013279A (ko) 적층 세라믹 부품 제조용 용제 조성물
KR20120110046A (ko) 적층 세라믹 부품 제조용 용제 조성물
JP5973739B2 (ja) 積層セラミック部品製造用溶剤又は溶剤組成物
KR20110030387A (ko) 적층 세라믹 부품 제조용 용제 조성물
WO2014057846A1 (ja) 電気デバイス製造用溶剤組成物
JP5508173B2 (ja) 積層セラミック部品製造用溶剤組成物
JP4711178B2 (ja) 積層電子部品の製造方法
CN111902882B (zh) 导电性浆料、电子部件以及叠层陶瓷电容器
TW202042252A (zh) 導電性漿料、電子零件、及積層陶瓷電容器
JP5514022B2 (ja) 積層セラミック部品製造用溶剤組成物
TW202008394A (zh) 導電性漿料、電子零件以及積層陶瓷電容器
TW201910449A (zh) 導電性糊劑
WO2016117392A1 (ja) 印刷法による電子部品製造用溶剤
JP6584837B2 (ja) 導体用ペースト、セラミック電子部品及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KR20090014121A (ko) 니켈 페이스트
JP2019157089A (ja) 有機ビヒクルの製造方法、及び、導電性ペース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