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7876A - 시트 및 시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시트 및 시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7876A
KR20110017876A KR1020107027606A KR20107027606A KR20110017876A KR 20110017876 A KR20110017876 A KR 20110017876A KR 1020107027606 A KR1020107027606 A KR 1020107027606A KR 20107027606 A KR20107027606 A KR 20107027606A KR 20110017876 A KR20110017876 A KR 20110017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range
force
displaced
operat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7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4559B1 (ko
Inventor
게이따 이와사끼
데이지 마부찌
오사무 후지모또
마꼬또 이또오
요시히로 오오이시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보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보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17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96Central command actuator to selectively switch on or engage one of several special purpose circuits o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6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transversally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시트는, 시트 본체(12)와, 각각 상기 시트 본체에 제공되고 조작력에 의해 조정 가능 상태에 위치되는 제1 및 제2 피조정부(14, 16, 18)와,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변위되는 조작 부재(40)와, 상기 조작 부재가 제1 범위로 변위될 때 조작 부재의 조작력을 제1 피조정부(14)로 전달하기 위한 제1 조작력 전달부(66A)와, 상기 조작 부재가 제2 범위로 변위될 때 조작 부재의 조작력을 제2 피조정부(16, 18)로 전달하기 위한 제2 조작력 전달부(68)와, 상기 조작 부재가 입력된 조작력에 의해 제2 범위로 변위될 때, 상기 제1 피조정부를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제1 범위로 변위된 때의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조작 반력 회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트 및 시트 제어 방법 {SEAT AND SEAT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탑승원을 착석시키기 위해 자동차 등에 제공되는 시트 및 시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일본공개특허공보 평8-26007호(JP-A-8-26007) 및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평6-49159호(JP-U-6-49159)에는 공지된 차량용 시트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평8-26007호는 시트의 등받이의 경사 각도를 제어하는 로크 장치가 리클라이닝 레버의 제1 단계의 조작에 의해 로크 해제되고 시트의 높이를 제어하는 로크 장치가 리클라이닝 레버의 제2 단계의 조작에 의해 로크 해제되는 시트를 개시한다.
그러나, 일본공개특허공보 평8-26007호에 기재된 시트에 따르면, 시트의 등받이의 경사 각도를 제어하는 로크 장치의 조작 반력 및 시트의 높이를 제어하는 로크 장치의 조작 반력이 모두 리클라이닝 레버에 작용한다. 따라서, 리클라이닝 레버의 제2 단계의 조작 동안 리클라이닝 레버에 작용하는 조작 반력이 증가하여, 그 결과 복수의 로크 장치의 조작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의 피조정부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시트 및 시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은, 탑승원을 착석시키기 위한 시트 본체와, 각각 상기 시트 본체에 제공되고 전달되는 조작력에 의해 조정 가능 상태에 위치되거나 전달되는 조작력에 의해 조정되는 제1 피조정부 및 제2 피조정부와, 조작자에 의해 수행되는 조작으로부터 입력된 조작력에 의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변위되는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가 입력된 조작력에 의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제1 범위로 변위될 때 조작 부재의 조작력을 제1 피조정부로 전달하기 위한 제1 조작력 전달부와, 상기 조작 부재가 입력된 조작력에 의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범위와 다른 제2 범위를 적어도 포함하는 범위로 변위될 때 조작 부재의 조작력을 제2 피조정부로 전달하기 위한 제2 조작력 전달부와, 상기 조작 부재가 입력된 조작력에 의해 제1 범위로 변위된 후에 제2 범위로 변위될 때, 상기 제1 피조정부를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제1 범위로 변위된 때의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제1 피조정부로부터 상기 조작 부재로 전달되는 조작 반력의 증가를 회피하기 위한 조작 반력 회피부를 포함하는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른 시트에서는, 조작 부재가 입력된 조작력에 의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제1 범위로 변위될 때, 조작 부재의 조작력은 제1 조작력 전달부를 통해 제1 피조정부로 전달된다. 이 조작력은 제1 피조정부를 조정 가능 상태에 위치시키거나 제1 피조정부를 조정한다. 또한, 조작 부재가 입력된 조작력에 의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제1 범위와 다른 제2 범위를 적어도 포함하는 범위로 변위될 때, 조작 부재의 조작력은 제2 조작력 전달부를 통해 제2 피조정부로 전달된다. 이 조작력은 제2 피조정부를 조정 가능 상태에 위치시키거나 제2 피조정부를 조정한다.
이 시트에 따르면, 조작 부재가 제1 범위로 변위된 후 제2 범위로 변위될 때, 제1 피조정부는 조작 반력 회피부에 의해서 조작 부재가 제1 범위로 변위된 때의 상태(즉, 조정 가능 상태 또는 조정되는 상태)로 유지된다. 그 결과, 제1 피조정부로부터 조작 부재에 전달되는 조작 반력은 증가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예시 실시예에 따른 시트에서는, 조작 부재가 제2 단계인 제2 범위로 변위될 때, 제1 피조정부로부터 조작 부재로 전달되는 조작 반력은 증가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조작 부재가 제2 범위로 변위될 때 제1 피조정부로부터의 조작 반력이 증가하는 경우에 비해, 복수의 피조정부의 조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술된 시트에서, 상기 제2 조작력 전달부는 상기 조작 부재가 입력된 조작력에 의해 제1 범위로 변위될 때 상기 조작 부재로부터 상기 제2 피조정부로의 조작력의 전달을 차단하고, 상기 조작 부재가 입력된 조작력에 의해 제2 범위로 변위될 때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력을 상기 제2 피조정부로 전달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종류의 시트에서는, 조작 부재가 입력된 조작력에 의해서 제1 범위로 변위될 때, 제1 조작력 전달부는 조작 부재로부터의 조작력을 제1 피조정부로 전달하지만, 제2 조작력 전달부는 조작 부재로부터 제2 피조정부로의 조작력의 전달을 차단한다. 따라서, 제1 피조정부는, 제2 피조정부가 초기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동안, 조정 가능 상태에 위치될 수 있거나 조정될 수 있다. 한편, 조작 부재가 제1 범위로 변위된 후 제2 범위로 변위될 때, 제2 조작력 전달부가 조작 부재로부터 제2 피조정부로 조작력을 전달하는 동안, 조작 반력 회피부는 제1 피조정부로부터 조작 부재로 전달되는 조작 반력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 결과, 제1 피조정부는 조작 부재가 제1 범위로 변위된 때의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제2 피조정부는 조정 가능 상태에 위치될 수 있거나 조정될 수 있다.
이 시트에 따르면, 조작 부재의 단일 조작에 의해 제1 피조정부 및 제2 피조정부가 조작되는 타이밍이 상이하다.
시트는 또한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1 피조정부에 조작력을 전달할 수 있고 시트 본체에 대하여 변위가능하게 제공되는 전달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조작력 전달부 및 조작 반력 회피부는 조작 부재와 연속적이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어, 함께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와 결합하는 피결합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시트에 따르면, 제1 조작력 전달부 및 조작 반력 회피부는 조작 부재와 연속적이고 일체로 형성된다. 그 결과, 부품 수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간단한 구조로 복수의 피조정부의 조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술된 시트에서, 피결합부는, 결합부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되는 조작 부재의 긴 구멍일 수도 있다.
이 시트에서는, 결합부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되는 피결합부로서 역할을 하는 긴 구멍이 작동 부재에 형성되는 간단한 구조가 채용된다. 그 결과 비용이 감소된다.
상술된 시트에서, 피결합부는 결합부가 이동 가능하게 인접하여 결합되는 조작 부재의 외형부일 수도 있다.
이 시트에서는, 결합부가 이동 가능하게 인접하여 결합되는 피결합부로 역할을 하는 외형부가 작동 부재에 형성되는 간단한 구조가 채용된다. 그 결과, 비용이 감소된다.
시트는 또한 조작 부재가 자유롭게 피봇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피봇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피결합부의 외형부는, 미리 정해진 곡률을 갖는 제1 원호부, 및 상기 피봇부와 동심인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원호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된 시트에서는, 조작 부재 및 전달 부재는 각각 시트 본체에 피봇가능하게 제공될 수도 있고, 조작 반력 회피부에 의해 형성되는 피결합부의 부분이 조작 부재의 피봇부와 동심인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시트에 따르면, 조작 반력 회피부에 의해 형성된 피결합부의 부분이 조작 부재의 피봇부와 동심인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결합부가 조작 반력 회피부에 의해 형성된 피결합부의 부분을 이동시킬 때 조작력은 조작 부재로부터 전달 부재로 전달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어, 전달 부재는 고정된 피봇 각도에서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피조정부는 조작 부재가 제1 범위로 변위된 때의 상태에서 유지될 수 있다.
상술된 시트에서, 조작 부재 및 전달 부재는 각각 상기 시트 본체에 피봇가능하게 제공될 수도 있고, 조작 반력 회피부에 의해 형성되는 피결합부의 부분이 전달 부재의 접선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시트에 따르면, 조작 반력 회피부에 의해 형성된 피결합부의 부분이 전달 부재의 접선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부가 조작 반력 회피부에 의해 형성된 피결합부의 부분을 이동시킬 때 조작 부재로부터 전달 부재로 조작력이 전달되는 것이 억제되어, 전달 부재는 고정된 피봇 각도에서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피조정부는 조작 부재가 제1 범위로 변위된 때의 상태에서 유지될 수 있다.
상술된 시트에서, 제1 피조정부 및 제2 피조정부는, ⅰ) 시트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전후 슬라이드 위치 조정 기구와, ⅱ) 시트 본체의 회전 방향으로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회전 위치 조정 기구와, ⅲ) 시트 본체의 가로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가로 슬라이드 위치 조정 기구 중에서 적어도 2개의 조합일 수도 있다.
이 시트에 따르면, 전후 슬라이드 위치 조정 기구, 회전 위치 조정 기구 및 가로 슬라이드 위치 조정 기구 중에서 적어도 2개의 조합인 복수의 피조정부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된 시트에서, 제1 피조정부 또는 제2 피조정부 중 적어도 하나는 시트 본체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높이 위치 조정 기구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은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이 시트는, 탑승원을 착석시키기 위한 시트 본체와, 각각 상기 시트 본체에 제공되고 전달되는 조작력에 의해 조정 가능 상태에 위치되거나 전달되는 조작력에 의해 조정되는 제1 피조정부 및 제2 피조정부와, 조작자에 의해 수행되는 조작으로부터 입력된 조작력에 의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변위되는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가 입력된 조작력에 의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제1 범위로 변위될 때 조작 부재의 조작력을 제1 피조정부로 전달하기 위한 제1 조작력 전달부와, 상기 조작 부재가 입력된 조작력에 의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범위와 다른 제2 범위를 적어도 포함하는 범위로 변위될 때 조작 부재의 조작력을 제2 피조정부로 전달하기 위한 제2 조작력 전달부와, 상기 조작 부재가 입력된 조작력에 의해 제1 범위로 변위된 후에 제2 범위로 변위될 때, 상기 조작 부재가 제1 범위로 변위될 때와 비교하여, 상기 조작 부재의 변위의 양 당 제1 피조정부의 이동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제1 피조정부로부터 상기 조작 부재로 전달되는 조작 반력의 증가를 억제하기 위한 조작 반력 회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은 시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시트의 제어 방법은, 탑승원을 착석시키기 위한 시트 본체와, 각각 상기 시트 본체에 제공되고 전달되는 조작력에 의해 조정 가능 상태에 위치되거나 전달되는 조작력에 의해 조정되는 제1 피조정부 및 제2 피조정부와, 조작자에 의해 수행되는 조작으로부터 입력된 조작력에 의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변위되는 조작 부재를 포함하는 시트에 관한 것이다. 제어 방법은, 상기 조작 부재가 입력된 조작력에 의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제1 범위로 변위될 때 조작 부재의 조작력을 제1 피조정부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조작 부재가 입력된 조작력에 의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범위와 다른 제2 범위를 적어도 포함하는 범위로 변위될 때 조작 부재의 조작력을 제2 피조정부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조작 부재가 입력된 조작력에 의해 제1 범위로 변위된 후에 제2 범위로 변위될 때, 상기 제1 피조정부를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제1 범위로 변위된 때의 상태로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은 시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제어 방법은 탑승원을 착석시키기 위한 시트 본체와, 각각 상기 시트 본체에 제공되고 전달되는 조작력에 의해 조정 가능 상태에 위치되거나 전달되는 조작력에 의해 조정되는 제1 피조정부 및 제2 피조정부와, 조작자에 의해 수행되는 조작으로부터 입력된 조작력에 의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변위되는 조작 부재를 포함하는 시트에 관한 것이다. 제어 방법은, 상기 조작 부재가 입력된 조작력에 의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제1 범위로 변위될 때 조작 부재의 조작력을 제1 피조정부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조작 부재가 입력된 조작력에 의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범위와 다른 제2 범위를 적어도 포함하는 범위로 변위될 때 조작 부재의 조작력을 제2 피조정부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조작 부재가 입력된 조작력에 의해 제1 범위로 변위된 후에 제2 범위로 변위될 때, 상기 조작 부재가 제1 범위로 변위될 때와 비교하여, 상기 조작 부재의 변위의 양 당 제1 피조정부의 이동의 양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식으로, 본 발명의 이들 태양에 따른 시트 및 시트 제어 방법은 복수의 피조정부의 조작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상술한 그리고 추가의 특징 및 장점이 동일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동일 요소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는 예시 실시예의 후속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예시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전체 구성의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예시 실시예에서의 로크 해제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예시 실시예에서의 로크 해제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4는 도3에 도시된 로크 해제 기구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5는 도3에 도시된 로크 해제 기구의 다른 동작 설명도이다.
도6은 도3에 도시된 로크 해제 기구의 또 다른 동작 설명도이다.
도7은 도3의 Ⅶ-Ⅶ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8은 도3의 Ⅷ-Ⅷ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9는 도3의 Ⅸ-Ⅸ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10은 도1에 도시된 조작 레버의 인상 각도와 각각의 로크부에 의해 발생되는 조작 반력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11은 슬라이드되어 피봇된 도1에 도시된 시트 본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1 예시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변형예의 도면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1 예시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다른 변형예의 도면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1 예시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또 다른 변형예의 도면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제1 예시 실시예에서의 로크 해제 기구의 변형예의 도면이다.
도16은 도15에 도시된 로크 해제 기구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제1 예시 실시예에서의 로크 해제 기구의 다른 변형예의 도면이다.
도18은 도17에 도시된 로크 해제 기구의 저면도이다.
도19는 도17에 도시된 로크 해제 기구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20은 도19에 도시된 로크 해제 기구의 저면도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예시 실시예에 따른 시트(10)의 전체 구성의 도면이다. 또한, 도면 및 후속 설명에서, 화살표 UP은 시트(10)에 대하여 차량의 상하 방향에서의 상측 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 FR은 시트(10)에 대하여 차량의 전후 방향에서 전방측 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 OUT은 시트(10)에 대하여 차량의 폭 방향에서 외측 방향을 나타낸다.
도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예시 실시예에 따른 시트(10)는 예를 들어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3열의 시트가 있는 미니밴과 같은 차량에서의 2번째 열의 시트에서 시트로서 사용된다. 시트(10)의 구성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다.
즉, 시트(10)는 시트 본체(12)와, 전후 슬라이드 위치 조정 기구(14)와, 회전 위치 조정 기구(16)와, 가로 슬라이드 위치 조정 기구(18)와, 로크 해제 기구(20)를 포함한다. 시트 본체(12)는 시트 쿠션(22) 및 등받이(24)를 가져서, 탑승원이 착석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전후 슬라이드 위치 조정 기구(14)는 전후 슬라이드 지지부(26)와 전후 슬라이드 로크부(28)를 갖는 기구이다. 전후 슬라이드 지지부(26)는 차체에 대하여 차량의 전후 방향(즉, 도1에서 화살표 L의 방향)으로 시트 본체(12)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한다. 전후 슬라이드 로크부(28)는 전후 슬라이드 지지부(26)가 조정될 수 없는 로크 상태와, 전후 슬라이드 지지부(26)가 조정될 수 있는 로크 해제 상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회전 위치 조정 기구(16)는 회전 지지부(30)와 회전 로크부(32)를 갖는 기구이다. 회전 지지부(30)는, 위에서 볼 때의 시트 쿠션(22)의 중앙부를 회전 중심으로 한 상태에서, 차체에 대하여 도1의 화살표 R의 방향으로 시트 본체(1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회전 로크부(32)는 회전 지지부(30)가 조정될 수 없는 로크 상태와, 회전 지지부(30)가 조정될 수 있는 로크 해제 상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가로 슬라이드 위치 조정 기구(18)는 가로 슬라이드 지지부(34)와 가로 슬라이드 로크부(36)를 포함한다. 가로 슬라이드 지지부(34)는 시트 본체(12)를 차체에 대하여 차량의 폭 방향(즉, 도1에서 화살표 W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한다. 가로 슬라이드 로크부(36)는 가로 슬라이드 지지부(34)가 조정될 수 없는 로크 상태와, 가로 슬라이드 지지부(34)가 조정될 수 있는 로크 해제 상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전후 슬라이드 로크부(28), 회전 로크부(32), 가로 슬라이드 로크부(36)는 모두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 등과 같은 압박 부재에 의해 로크측으로 압박되도록 구성되어, 조작 레버(46)측으로부터 조작력이 전달되지 않고 있을 때 로크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로크 해제 기구(20)는 전후 슬라이드 로크부(28), 회전 로크부(32) 및 가로 슬라이드 로크부(36)를 로크 해제하는 역할을 하고, 시트 쿠션(22)의 측부에 제공된 커버 부재(38) 내부에 제공된다.
도2 내지 도9는 로크 해제 기구(20)를 상세하게 도시한다. 또한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 도2는 조작 레버(46)가 당겨져 있는 각도("인상 각도"로도 참조됨)가 0°일 때의 로크 해제 기구(20)의 사시도이고, 도3은 동일한 경우에서의 로크 해제 기구(20)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4, 도5 및 도6은 조작 레버(46)의 인상 각도가 각각 θ1,θ2,θ3(θ1<θ2<θ3)일 때의 로크 해제 기구(20)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7은 도3의 Ⅶ-Ⅶ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8은 도3의 Ⅷ-Ⅷ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9는 도3의 Ⅸ-Ⅸ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해제 기구(20)는 메인 아암(40)과, 서브 아암(42)과, 기부판(44)을 포함한다.
메인 아암(40)은 조작 레버(46)(즉, 로크 해제 레버)와, 아암 본체부(48)를 포함한다. 아암 본체부(48)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이고, 그 내의 적절한 위치에 형성된 관통 구멍(50)을 갖는다. 메인 아암(40)은 후속 구성에 따라 기부판(44)에 대하여 피봇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기부판(44)에 고정된 브래킷(52) 내에 관통 구멍(54)이 아암 본체부(48) 내의 관통 구멍(50)과 정렬된 상태에서, 원통형 칼라(56)가 관통 구멍(50)에 설치되고, 볼트(60)가 관통 구멍(50, 54) 및 칼라(56)의 구멍(58)을 통해 삽입되고, 너트(62)가 볼트(60) 상으로 나사 결합된다.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구멍(66) 및 한 쌍의 원호 구멍(68, 70)이 칼라(56), 볼트(60) 및 너트(62)에 의해 형성된 피봇부(64)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긴 구멍(66)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직선부(66A)와, 메인 아암(40)의 피봇부(64)와 동심인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원호부(66B)를 포함한다.
한편, 한 쌍의 원호 구멍(68, 70)은 모두 메인 아암(40)의 피봇부(64)와 동심인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회전 로크부(32)로부터 연장하는 회전 로크 해제 케이블(72)의 단부에 제공된 이동 핀(74)이 원호 구멍(68)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유사하게, 상술된 가로 슬라이드 로크부(36)로부터 연장하는 회전 로크 해제 케이블(76)의 단부에 제공된 이동 핀(78)이 원호 구멍(70) 내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한 쌍의 원호 구멍(68, 70)은,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회전 로크부(32) 및 가로 슬라이드 로크부(36)가 한 쌍의 이동 핀(74, 78)에 의해 전후 슬라이드 로크부(28)에 대하여 로크 해제되는 타이밍(즉, 로크 해제 타이밍)을 지연하기 위한 타이밍 변경 기구를 형성한다.
서브 아암(42)은 상술된 긴 구멍(66)과 함께 캠 구조를 형성한다. 서브 아암(42)은 아암 본체부(80)와 롤러부(82)를 갖는다. 아암 본체부(80)는 측면(즉, 차량의 폭 방향)에서 볼 때 삼각형 판과 같은 형상이고, 메인 아암(40)과 기부판(44)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 본체부(80)의 적절한 위치에 관통 구멍(84)이 형성된다. 서브 아암(42)은 다음의 구성에 따라 기부판(44)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기부판(44)에 형성된 관통 구멍(86)이 아암 본체부(80)의 관통 구멍(84)과 정렬된 동안, 볼트(88)가 이들 관통 구멍(84, 86)을 통해 삽입되고 너트(90)가 볼트(88)에 나사 결합된다.
또한, 도2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된 전후 슬라이드 로크부(28)로부터 연장하는 전후 슬라이드 로크 해제 케이블(94)의 단부에 제공된 피봇 핀(96)이 상술된 볼트(88) 및 너트(90)에 의해 형성되는 피봇부(9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아암 본체부(80)에 피봇 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아암 본체부(80)와 일체로 형성된 롤러부(82)는, 아암 본체부(8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아암 본체부(80)에 장착된 축부(98)와, 이 축부(9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롤러(100)를 갖는다. 이 롤러부(82)는 상술된 긴 구멍(66) 내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긴 구멍(66)의 에지부와 결합한다. 롤러(100)는 메인 아암(40)이 피봇함에 따라 긴 구멍(66)의 에지부를 따라 구름 이동한다.
또한, 이 메인 아암(40) 및 서브 아암(42)을 피봇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부판(44)은 예를 들어 도1의 시트 쿠션(22) 내부에 배치된 도시되지 않은 쿠션 프레임에 일체로 고정된다. 또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레버(46)는 착석한 탑승원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시트 쿠션(22)의 차량 폭 방향으로의 외측 측부 상에 제공된 커버 부재(38)로부터 돌출한다.
도3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0)의 각각의 부분은 조작 레버(46)가 당겨지는 각도에 따라서(즉, 인상 각도에 따라서), 이하에 기재된 방식으로 이동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이 예시 실시예에서, 전후 슬라이드 위치 조정 기구(14)는 본 발명의 제1 피조정부로서 생각될 수도 있고, 회전 위치 조정 기구(16) 및 가로 슬라이드 위치 조정 기구(18)는 본 발명의 제2 피조정부로서 생각될 수도 있다. 또한, 메인 아암(40)은 본 발명의 조작 부재로서 생각될 수도 있고, 직선부(66A)는 본 발명의 제1 조작력 전달부로서 생각될 수도 있다. 또한, 한 쌍의 원호 구멍(68, 70)은 본 발명의 제2 조작력 전달부로서 생각될 수 있고, 원호부(66B)는 본 발명의 조작 반력 회피부로서 생각될 수도 있다. 또한, 서브 아암(42)은 본 발명의 전달 부재로서 생각될 수도 있고, 롤러부(82)는 본 발명의 결합부로서 생각될 수도 있고, 긴 구멍(66)은 본 발명의 피결합부로서 생각될 수도 있다. 또한, 0°로부터 θ3까지의 조작 레버(46)의 인상 각도는 본 발명의 미리 정해진 범위로서 생각될 수도 있고, 0°에서부터 θ1까지의 조작 레버(46)의 인상 각도는 본 발명의 제1 범위로서 정해질 수도 있고, θ1에서부터 θ3까지의 조작 레버(46)의 인상 각도는 본 발명의 제2 범위로서 정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예시 실시예에 따른 시트(10)의 동작을 이의 작용 및 효과와 함께 설명할 것이다.
(로크 상태) 본 발명의 제1 예시 실시예에 따른 시트(10)에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레버(46)가 조작되지 않고 있을 때, 즉 조작 레버(46)의 인상 각도가 0°일 때, 롤러부(82)는 긴 구멍(66)의 직선부(66A)측의 에지부에 위치설정되고 이동 핀(74, 78)은 원호 구멍(68, 70)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 위치설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전후 슬라이드 로크부(28), 회전 로크부(32) 또는 가로 슬라이드 로크부(36)에 작용하는 로크 해제를 위한 조작력이 없고, 따라서 전후 슬라이드 로크부(28), 회전 로크부(32) 및 가로 슬라이드 로크부(36)는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과 같은 압박 부재 등에 의해 로크측에 압박됨으로써 로크 상태에 있다.
(전후 슬라이드 로크 해제) 한편,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자가 조작 레버(46)를 화살표 A1의 방향으로 당겨서 인상 각도가 0°로부터 θ1으로 변경될 때, 긴 구멍(66)이 롤러(100)를 따라 구름 이동하면서 롤러부(82)는 긴 구멍(66)의 직선부(66A)측의 에지부로부터 직선부(66A)와 원호부(66B) 사이의 연결부까지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서브 아암(42)은 화살표 A2의 방향으로 피봇하고 전후 슬라이드 로크 해제 케이블(94)은 화살표 B1의 방향으로 당겨진다. 그런 후, 이 방식으로, 메인 아암(40)의 조작력이 전후 슬라이드 로크부(28)에 전달됨으로써, 전후 슬라이드 로크부(28)를 로크 해제한다.
또한, 한 쌍의 원호 구멍(68, 70)은 메인 아암(40)의 피봇부(64)와 동심인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 결과, 조작자가 조작 레버(46)를 당겨서 인상 각도가 0°으로부터 θ1로 변경될 때, 이동 핀(74, 78)은 상술된 바와 같이 원호 구멍(68, 70)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로부터 일 단부의 에지부까지 각각 자유롭게 이동한다. 따라서, 조작력은 메인 아암(40)으로부터 회전 로크부(32) 및 가로 슬라이드 로크부(36)로 전달되지 않아(즉, 조작력의 전달이 차단되어), 회전 로크부(32) 및 가로 슬라이드 로크부(36)는 로크 상태로 유지된다.
(회전 로크 해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자가 조작 레버(46)를 화살표 A1의 방향으로 당겨서 인상 각도가 θ1로부터 θ2로 변경될 때, 이동 핀(74, 78)은 원호 구멍(68, 70)의 길이 방향으로 일 단부의 에지부와 결합한 상태에서 이동한다. 그 결과, 회전 로크 해제 케이블(72) 및 가로 슬라이드 로크 해제 케이블(76)은 화살표 B2 및 B3의 방향으로 각각 당겨진다. 이 방법으로, 메인 아암(40)의 조작력은 회전 로크부(32) 및 가로 슬라이드 로크부(36)에 전달되어 회전 로크부(32)를 로크 해제하도록 작용한다. 또한, 이 단계에서, 가로 슬라이드 로크부(36)는, 이전과 같이, 로크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조작자가 조작 레버(46)를 당겨서 인상 각도가 θ1로부터 θ2로 변경된 때, 긴 구멍(66)의 에지부가 롤러(100)를 따라 구름 이동하는 동안 롤러(82)는 직선부(66A)와 원호부(66B)의 연결부로부터 원호부(66B)의 길이 방향으로 중간부까지 자유롭게 이동한다. 원호부(66B)는 메인 아암(40)의 피봇부(64)와 동심인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브 아암(42)에 피봇 방향으로 어떠한 힘도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서브 아암(42)은 고정된 피봇 각도로 유지되어 전후 슬라이드 로크부(28)는 로크 해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전후 슬라이드 로크부(28)로부터 조작 레버(46)로 전달되는 조작 반력(즉,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 등과 같은 압박 부재로부터의 압박력)이 증가되지 않는다.
(가로 슬라이드 로크 해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자가 조작 레버(46)를 화살표 A1의 방향으로 당겨서 인상 각도가 θ2로부터 θ3으로 변경될 때, 가로 슬라이드 로크 해제 케이블(76)은 화살표 B3의 방향으로 더 멀리 당겨져서 가로 슬라이드 로크부(36)를 로크 해제한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조작자가 조작 레버(46)를 화살표 A1의 방향으로 당겨서 인상 각도가 θ2로부터 θ3으로 변경될 때, 롤러부(82)는 원호부(66B)에 대항하여 자유롭게 이동한다. 따라서, 전후 슬라이드 로크부(28)로부터 조작 레버(46)로 전달되는 조작 반력(즉,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 등과 같은 압박 부재로부터의 압박력)이 증가되지 않는다.
또한, 도10은 조작 레버(46)의 인상 각도와 각 로크부에 의해 발생되는 조작 반력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면에서, 그래프 G1은 전후 슬라이드 로크부(28)에 의해 발생되는 조작 반력을 나타내고, 그래프 G2는 회전 로크부(32)에 의해 발생되는 조작 반력을 나타내고, 그래프 G3는 가로 슬라이드 로크부(36)에 의해 발생되는 조작 반력을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슬라이드 로크부(28)에 의해 발생되는 조작 반력은 조작 레버(46)가 당겨져서 인상 각도가 0°로부터 θ1로 변경될 때 증가하지만, 조작 레버(46)가 당겨져서 인상 각도가 θ1로부터 θ3까지 변경될 때는 거의 일정하다. 한편, 회전 로크부(32)에 의해 발생되는 조작 반력 및 가로 슬라이드 로크부(36)에 의해 발생되는 조작 반력은 조작 레버(46)가 당겨져서 인상 각도가 0°로부터 θ1로 변경될 때 실질적으로 0이지만, 조작 레버(46)가 당겨져서 인상 각도가 θ1로부터 θ3으로 변경될 때 증가한다.
(작용 및 효과)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예시 실시예에 따른 시트(10)에서는, 조작 레버(46)의 단일 조작에 의해 전후 슬라이드 로크부(28), 회전 로크부(32) 및 가로 슬라이드 로크부(36)가 모두 로크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전후 슬라이드 위치 조정 기구, 회전 위치 조정 기구 및 가로 슬라이드 위치 조정 기구의 각각에 대하여 조작 레버가 제공되는 구성에 비해, 조작 레버의 잘못된 선택을 방지할 수 있고 전후 슬라이드 위치 조정 기구, 회전 위치 조정 기구 및 가로 슬라이드 위치 조정 기구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예시 실시예에 따른 시트(10)에서는, 조작 레버(46)의 인상 각도를 단계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전후 슬라이드 로크부(28), 회전 로크부(32) 및 가로 슬라이드 로크부(36)가 순서대로 로크 해제될 수 있다. 즉, 조작 레버(46)의 단일 조작에 의해 전후 슬라이드 로크부(28), 회전 로크부(32) 및 가로 슬라이드 로크부(36)가 상이한 타이밍에서 로크 해제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전후 슬라이드 로크부(28), 회전 로크부(32) 및 가로 슬라이드 로크부(36)가 모두 동시에 로크 해제되고 탑승원이 차량 내로 탑승할 때 차량의 외부로부터 시트 본체(12)의 측부 등에 가해진 힘으로부터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시트 본체(12)가 슬라이드될 때, 시트 본체(12)는 회전하고 차량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도 있다. 그 결과, 시트 본체(12)는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드될 수 없을 수도 있다.
반대로, 본 발명의 제1 예시 실시예에 따른 시트(10)에서는, 조작 레버(46)를 당겨서 인상 각도가 θ1이도록 함으로써 회전 로크부(32) 및 가로 슬라이드 로크부(36)는 로크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전후 슬라이드 로크부(28)만을 로크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탑승원이 차량 내로 탑승할 때 차량의 외부로부터 시트 본체(12)의 측부 등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시트 본체(12)는 차량 폭 방향으로 회전 또는 슬라이드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시트 본체(12)는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드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본 발명의 제1 예시 실시예에 따른 시트(10)에서는, 전후 슬라이드 로크부(28), 회전 로크부(32) 및 가로 슬라이드 로크부(36)는 상이한 시간에 로크 해제될 수 있어서, 전후 슬라이드 위치 조정 기구(14), 회전 위치 조정 기구(16) 및 가로 슬라이드 위치 조정 기구(18)의 조작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예시 실시예에 따른 시트(10)에 따르면, 조작자가 조작 레버(46)를 당겨서 인상 각도가 θ1로부터 θ3으로 변경될 때, 전후 슬라이드 로크부(28)가 로크 해제 상태로 유지되어, 전후 슬라이드 로크부(28)로부터 조작 레버(46)로 전달되는 조작 반력의 증가가 회피될 수 있다. 그 결과, 전후 슬라이드 위치 조정 기구(14), 회전 위치 조정 기구(16) 및 가로 슬라이드 위치 조정 기구(18)의 조작성은, 조작 레버(46)가 당겨져서 인상 각도가 θ1로부터 θ3으로 변경될 때 전후 슬라이드 로크부(28)로부터의 조작 반력이 증가되는 때에 비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예시 실시예에 따른 시트(10)에서는, 직선부(66A) 및 원호부(66B)에 의해 캠 구조를 형성하는 긴 구멍(66)이 제공되고 직선부(66A) 및 원호부(66B)는 메인 아암(40)과 연속적이고 일체로 형성된다. 그 결과, 부품 개수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간단한 구성으로 전후 슬라이드 위치 조정 기구(14), 회전 위치 조정 기구(16) 및 가로 슬라이드 위치 조정 기구(18)의 조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제1 예시 실시예에 따른 시트(10)는, 롤러부(82)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롤러부(82)가 결합되는 긴 구멍(66)이 메인 아암(40)에 형성되는 간단한 구조를 채용하여,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예시 실시예에 따른 시트(10)에서는, 전후 슬라이드 로크부(28), 회전 로크부(32) 및 가로 슬라이드 로크부(36)가 모두 조작 레버(46)를 당겨서 인상 각도가 θ3이 되게 함으로써 로크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본체(12)가 차량의 전후 방향에서 후방으로(즉, 화살표 L1의 방향으로) 그리고 차량의 폭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즉, 화살표 W1의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차량의 내측을 향해(즉, 화살표 R1의 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다. 그 결과, 시트 본체(12)의 중앙부인 피봇 중심(P1)은 본질적으로 보통 동일한 것인 차량의 전후 위치의 후방부를 향해 그리고 시트 본체(12)의 차량의 폭 방향으로의 외측을 향해 회전 중심(P2)의 위치로 이동한다. 이는 시트 본체(12)가 전방 시트 또는 도어 트림 등을 때리는 것을 억제하고, 차량의 내측을 향한 시트 본체(12)의 피봇 각도가 확대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예시 실시예에 따른 시트(10)에 따르면, 전후 슬라이드 로크부(28)의 스트로크가 조작 레버(46)의 스트로크보다도 짧고, 이는 전후 슬라이드 로크부(28)의 긴 스트로크가 구조적으로 가능하지 않을 경우에 또한 유리하다.
비록 본 발명의 예시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 예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이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된 예시 실시예에서, 시트(10)는 전후 슬라이드 위치 조정 기구(14), 회전 위치 조정 기구(16) 및 가로 슬라이드 위치 조정 기구(18)로 형성된다. 다르게는, 예를 들어, 시트(10)는 전후 슬라이드 위치 조정 기구(14) 및 가로 슬라이드 위치 조정 기구(18)로, 전후 슬라이드 위치 조정 기구(14) 및 회전 위치 조정 기구(16)로, 또는 회전 위치 조정 기구(16) 및 가로 슬라이드 위치 조정 기구(18)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된 예시 실시예에서, 회전 로크부(32) 및 가로 슬라이드 로크부(36)는 조작 레버(46)가 당겨져서 인상 각도가 θ1로부터 θ3으로 변경될 때 로크 해제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다르게는, 회전 로크부(32) 및 가로 슬라이드 로크부(36)는 조작 레버(46)가 당겨져서 인상 각도가 0°로부터 θ3으로 변경될 때 로크 해제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된 예시 실시예에서, 전후 슬라이드 로크부(28), 회전 로크부(32) 및 가로 슬라이드 로크부(36)는 조작 레버(46)가 당겨져서 인상 각도가 0°으로부터 θ3으로 변경될 때 순서대로 로크 해제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다르게는, 전후 슬라이드 로크부(28), 회전 로크부(32) 및 가로 슬라이드 로크부(36)는 조작 레버(46)가 당겨져서 인상 각도가 0°으로부터 θ3으로 변경될 때 다른 순서로 로크 해제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된 예시 실시예에서, 전후 슬라이드 위치 조정 기구(14), 회전 위치 조정 기구(16) 및 가로 슬라이드 위치 조정 기구(18)는 조작 레버(46)로부터 전달된 조작력에 의해 조정(즉, 로크 해제)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르게는 위치는 예를 들어 높이 위치 조정 기구(즉, 리프트 기구)처럼 조작 레버(46)로부터 전달된 조작력에 의해 조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된 예시 실시예에서, 시트(10)는 본 발명의 제1 피조정부로서의 전후 슬라이드 위치 조정 기구(14)와 본 발명의 제2 피조정부로서의 회전 위치 조정 기구(16) 및 가로 슬라이드 위치 조정 기구(18)로 형성된다. 그러나, 다르게는 예를 들어 시트 본체부(12)의 높이 방향으로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높이 위치 조정 기구 등이 이들 셋, 즉 전후 슬라이드 위치 조정 기구(14), 회전 위치 조정 기구(16) 및 가로 슬라이드 위치 조정 기구(18) 중 하나 대신에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된 예시 실시예에서, 조작 레버(46)는 소위 리클라이닝 타입의 레버이지만, 또한 도12에 도시된 풀업 타입의 레버 또는 도13에 도시된 루프 핸들(즉, 바아) 타입의 레버일 수도 있다.
또한, 상술된 예시 실시예에서, 조작 레버(46)는 차량의 폭 방향으로 시트 쿠션(22)의 외측부에 배치된다. 다르게는, 예를 들어, 조작 레버(46)는 시트 쿠션(22)의 차량의 폭 방향으로 내측의 측부, 시트 쿠션(22)의 차량의 전후 방향의 전방부의 하부에, 또는 등받이(24)의 차량의 폭 방향의 내측 또는 외측의 측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된 예시 실시예에서, 로크 해제 기구(20)는 전후 슬라이드 로크 해제 케이블(94)을 통해 전후 슬라이드 로크부(28), 회전 로크 해제 케이블(72)을 통해 회전 로크부(32), 그리고 가로 슬라이드 로크 해제 케이블(76)을 통해 가로 슬라이드 로크부(36)에 평행하게 연결된다. 그러나, 다르게는, 예를 들어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해제 기구(20)는 전후 슬라이드 로크 해제 케이블(94)을 통해 전후 슬라이드 로크부(28), 가로 슬라이드 로크 해제 케이블(76)을 통해 가로 슬라이드 로크부(36), 그리고 회전 로크 해제 케이블(72)을 통해 회전 로크부(32)에 직렬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도14에 도시된 구조에서, 서브 아암(42)과 긴 구멍(66)으로 형성된 캠 구조, 및 한 쌍의 이동 핀(74, 78)과 한 쌍의 원호 구멍(68, 70)으로 형성된 타이밍 변경 기구(또는 이들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캠 구조, 및 타이밍 변경 기구)가 예를 들어 케이블과 로크부 사이의 연결부 등에 적절하게 제공된다. 또한, 도14에 도시된 구조에서, 전후 슬라이드 로크부(28), 회전 로크부(32) 및 가로 슬라이드 로크부(36)가 배치되는 순서는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된 예시 실시예에서, 로크 해제 기구(2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도15 및 도16에 도시된 변형예에서, 로크 해제 기구(20)는 메인 아암(110) 및 서브 아암(112)을 포함한다. 메인 아암(110)은 상술된 본 발명의 제1 예시 실시예에 따른 메인 아암(40)의 긴 구멍(66) 대신에 외형부(116)를 갖는다. 메인 아암(110)의 나머지 구성은 상술된 본 발명의 제1 예시 실시예에 따른 메인 아암(40)에서와 동일하다. 외형부(116)는, 미리 정해진 곡률을 갖는 제1 원호부(116A) 및 메인 아암(110)의 피봇부(64)와 동심인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제2 원호부(116B)로 형성된다.
서브 아암(112)은, 상술된 외형부(116)와 함께, 캠 구조를 형성한다. 이 서브 아암(112)은 상술된 시트 본체(12)에 의해 피봇식으로 지지된다. 외형부(116)에 대항하여 이동 가능하게 인접하여 결합하는 외형부(122)가 서브 아암(112)에 형성된다. 외형부(122)는 미리 정해진 곡률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이 변형예에서, 메인 아암(110)은 본 발명의 조작 부재로서 생각될 수도 있고, 제1 원호부(116A)는 본 발명의 제1 조작력 전달부로서 생각될 수도 있고, 제2 원호부(116B)는 본 발명의 조작 반력 회피부로서 생각될 수도 있다. 또한, 서브 아암(112)은 본 발명의 전달 부재로서 생각될 수도 있고, 서브 아암(112)의 외형부(122)는 본 발명의 결합부로서 생각될 수도 있고, 메인 아암(110)의 외형부(116)는 본 발명의 피결합부로서 생각될 수도 있다.
이 변형예에서, 또한 조작자가 조작 레버(46)를 화살표 A1의 방향으로 당겨서 인상 각도가 0°으로부터 θ1로 변경될 때, 서브 아암(112)의 외형부(122)는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아암(110)의 외형부(116)의 제1 원호부(116A)을 이동시킨다. 그 결과, 서브 아암(112)은 화살표 A2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전후 슬라이드 로크 해제 케이블(94)이 화살표 B1의 방향으로 당겨진다. 이 방식으로, 메인 아암(110)의 조작력이 전후 슬라이드 로크부(28)에 전달되어, 전후 슬라이드 로크부(28)를 로크 해제한다.
또한, 이 때, 이동 핀(74, 78)은 원호 구멍(68, 70)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한다. 그 결과, 조작력이 메인 아암(110)으로부터 회전 로크부(32) 및 가로 슬라이드 로크부(36)로 전달되지 않아서, 회전 로크부(32) 및 가로 슬라이드 로크부(36)는 로크 상태로 유지된다.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자가 조작 레버(46)를 화살표 A1의 방향으로 당겨서 인상 각도가 θ1로부터 θ3으로 변경될 때, 메인 아암(110)의 조작력은 회전 로크부(32) 및 가로 슬라이드 로크부(36)에 전달되어, 회전 로크부(32) 및 가로 슬라이드 로크부(36)를 이 순서로 로크 해제한다.
또한, 조작자가 조작 레버(46)를 화살표 A1의 방향으로 당겨서 인상 각도가 θ1로부터 θ3으로 변경될 때, 서브 아암(112)의 외형부(122)는 제2 원호부(116B)와 미끄럼 접촉한다. 제2 원호부(116B)는 메인 아암(110)의 피봇부(64)와 동심인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브 아암(112)에 피봇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서브 아암(112)은 고정된 피봇 각도에서 유지되고 전후 슬라이드 로크부(28)는 로크 해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전후 슬라이드 로크부(28)로부터 조작 레버(46)로 전달되는 조작 반력(즉,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 등과 같은 압박 부재로부터의 압박력)은 증가되지 않는다.
이 방식에서, 상술된 본 발명의 제1 예시 실시예에 의해 얻어진 것과 동일한 작용 효과가 이 구성에 의해서 또한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도17 내지 도20에 도시된 변형예에서, 로크 해제 기구(20)는 메인 아암(130)과 서브 아암(132)을 포함한다. 메인 아암(130)은 상술된 본 발명의 제1 예시 실시예에 따른 메인 아암(40)의 긴 구멍(66) 대신에 외형부(136)를 갖는다. 메인 아암(130)의 나머지 구성은 상술된 본 발명의 제1 예시 실시예에 따른 메인 아암(40)에서와 동일하다. 외형부(136)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차량의 전후 방향에서 전방으로 향하는 제1 벽부(136A), 및 서브 아암(132)의 접선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차량의 폭 방향에서 내측으로 향하는 제2 벽부(136B)로 형성된다.
서브 아암(132)은, 상술된 외형부(136)과 함께, 캠 구조를 형성한다. 이 서브 아암(132)은 차량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피봇부(146)[즉, 메인 아암(130)의 피봇부(64)에 대해서 90°회전되어 배치된 피봇부(146)]에 의해 시트 본체부(12) 상에 피봇식으로 지지된다. 외형부(136)에 대항하여 이동 가능하게 인접하고 이와 결합하는 외형부(142)가 서브 아암(132) 상에 형성된다. 외형부(142)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이 변형예에서, 메인 아암(130)은 본 발명의 조작 부재로서 생각될 수도 있고, 제1 벽부(136A)는 본 발명의 제1 조작력 전달부로서 생각될 수도 있고, 제2 벽부(136B)는 본 발명의 조작 반력 회피부로서 생각될 수도 있다. 또한, 서브 아암(132)은 본 발명의 전달 부재로서 생각될 수도 있고, 서브 아암(132)의 외형부(142)는 본 발명의 결합부로서 생각될 수도 있고, 메인 아암(130)의 외형부(136)는 본 발명의 피결합부로서 생각될 수도 있다.
이 변형예에서 또한 조작자가 조작 레버(46)를 화살표 A1의 방향으로 당겨서 인상 각도가 0°로부터 θ1로 변할 때, 서브 아암(132)의 외형부(142)는, 도17 및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벽부(136A)와의 미끄럼 접촉을 통해 메인 아암(130)의 외형부(136)의 제1 벽부(136A)를 이동시킨다. 그 결과, 서브 아암(132)은 화살표 A2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전후 슬라이드 로크 해제 케이블(94)이 화살표 B1의 방향으로 당겨진다. 이 방식으로, 메인 아암(130)의 조작력이 전후 슬라이드 로크부(28)에 전달되어, 전후 슬라이드 로크부(28)를 로크 해제한다.
또한, 이 때, 이동 핀(74, 78)은 원호 구멍(68, 70)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한다. 그 결과, 조작력이 메인 아암(130)으로부터 회전 로크부(32) 및 가로 슬라이드 로크부(36)로 전달되지 않아서, 회전 로크부(32) 및 가로 슬라이드 로크부(36)는 로크 상태로 유지된다.
도19 및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자가 조작 레버(46)를 화살표 A1의 방향으로 당겨서 인상 각도가 θ1로부터 θ3으로 변경될 때, 메인 아암(130)의 조작력은 회전 로크부(32) 및 가로 슬라이드 로크부(36)로 전달되어, 회전 로크부(32) 및 가로 슬라이드 로크부(36)를 이 순서대로 로크 해제시킨다.
또한, 조작자가 조작 레버(46)를 당겨서 인상 각도가 θ1로부터 θ3으로 변경될 때, 서브 아암(132)의 외형부(142)는 제2 벽부(136B)에 미끄럼 접촉한다. 제2 벽부(136B)는 서브 아암(132)의 접선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서브 아암(132)은 고정된 피봇 각도에서 유지되어 전후 슬라이드 로크부(28)는 로크 해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전후 슬라이드 로크부(28)로부터 조작 레버(46)로 전달되는 조작 반력(즉,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 등과 같은 압박 부재로부터의 압박력)은 증가되지 않는다.
이 방식으로, 상술된 본 발명의 제1 예시 실시예에 의해 얻어지는 것들과 동일한 작용 효과가 이 구성에 의해 또한 얻어질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예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 또는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반대로,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및 등가의 구성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개시된 발명의 다양한 요소가 다양한 예시 조합 및 구성으로 도시되지만, 더 많은, 더 적은 또는 오직 하나의 요소를 포함하는 다른 조합 및 구성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있다.

Claims (13)

  1. 탑승원을 착석시키기 위한 시트 본체와,
    각각 상기 시트 본체에 제공되고 전달되는 조작력에 의해 조정 가능 상태에 위치되거나 전달되는 조작력에 의해 조정되는 제1 피조정부 및 제2 피조정부와,
    조작자에 의해 수행되는 조작으로부터 입력된 조작력에 의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변위되는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가 입력된 조작력에 의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제1 범위로 변위될 때 조작 부재의 조작력을 제1 피조정부로 전달하기 위한 제1 조작력 전달부와,
    상기 조작 부재가 입력된 조작력에 의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범위와 다른 제2 범위를 적어도 포함하는 범위로 변위될 때 조작 부재의 조작력을 제2 피조정부로 전달하기 위한 제2 조작력 전달부와,
    상기 조작 부재가 입력된 조작력에 의해 제1 범위로 변위된 후에 제2 범위로 변위될 때, 상기 제1 피조정부를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제1 범위로 변위된 때의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제1 피조정부로부터 상기 조작 부재로 전달되는 조작 반력의 증가를 회피하기 위한 조작 반력 회피부를 포함하는,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작력 전달부는 상기 조작 부재가 입력된 조작력에 의해 제1 범위로 변위될 때 상기 조작 부재로부터 상기 제2 피조정부로의 조작력의 전달을 차단하고, 상기 조작 부재가 입력된 조작력에 의해 제2 범위로 변위될 때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력을 상기 제2 피조정부로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피조정부에 조작력을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시트 본체에 대하여 변위가능하게 제공되는 전달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작력 전달부 및 상기 조작 반력 회피부는 상기 조작 부재와 연속적이고 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와 결합하는 피결합부를 형성하는, 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결합부는, 상기 결합부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되는 상기 조작 부재의 긴 구멍인, 시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결합부는, 상기 결합부가 이동 가능하게 인접하여 결합되는 조작 부재의 외형부인, 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가 자유롭게 피봇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피봇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결합부의 외형부는, 미리 정해진 곡률을 갖는 제1 원호부, 및 상기 피봇부와 동심인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원호부를 포함하는, 시트.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 및 상기 전달 부재는 각각 상기 시트 본체에 피봇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조작 반력 회피부에 의해 형성되는 피결합부의 부분이 상기 조작 부재의 상기 피봇부와 동심인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시트.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 및 상기 전달 부재는 각각 상기 시트 본체에 피봇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조작 반력 회피부에 의해 형성되는 피결합부의 부분이 상기 전달 부재의 접선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시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조정부 및 상기 제2 피조정부는, ⅰ) 상기 시트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전후 슬라이드 위치 조정 기구와, ⅱ) 상기 시트 본체의 회전 방향으로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회전 위치 조정 기구와, ⅲ) 상기 시트 본체의 가로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가로 슬라이드 위치 조정 기구 중에서 적어도 2개의 조합인, 시트.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조정부 또는 상기 제2 피조정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시트 본체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높이 위치 조정 기구인, 시트.
  11. 탑승원을 착석시키기 위한 시트 본체와,
    각각 상기 시트 본체에 제공되고 전달되는 조작력에 의해 조정 가능 상태에 위치되거나 전달되는 조작력에 의해 조정되는 제1 피조정부 및 제2 피조정부와,
    조작자에 의해 수행되는 조작으로부터 입력된 조작력에 의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변위되는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가 입력된 조작력에 의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제1 범위로 변위될 때 조작 부재의 조작력을 제1 피조정부로 전달하기 위한 제1 조작력 전달부와,
    상기 조작 부재가 입력된 조작력에 의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범위와 다른 제2 범위를 적어도 포함하는 범위로 변위될 때 조작 부재의 조작력을 제2 피조정부로 전달하기 위한 제2 조작력 전달부와,
    상기 조작 부재가 입력된 조작력에 의해 제1 범위로 변위된 후에 제2 범위로 변위될 때, 상기 조작 부재가 제1 범위로 변위될 때와 비교하여, 상기 조작 부재의 변위의 양 당 제1 피조정부의 이동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제1 피조정부로부터 상기 조작 부재로 전달되는 조작 반력의 증가를 억제시키기 위한 조작 반력 회피부를 포함하는, 시트.
  12. 탑승원을 착석시키기 위한 시트 본체와, 각각 상기 시트 본체에 제공되고 전달되는 조작력에 의해 조정 가능 상태에 위치되거나 전달되는 조작력에 의해 조정되는 제1 피조정부 및 제2 피조정부와, 조작자에 의해 수행되는 조작으로부터 입력된 조작력에 의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변위되는 조작 부재를 포함하는 시트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조작 부재가 입력된 조작력에 의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제1 범위로 변위될 때 조작 부재의 조작력을 제1 피조정부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조작 부재가 입력된 조작력에 의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범위와 다른 제2 범위를 적어도 포함하는 범위로 변위될 때 조작 부재의 조작력을 제2 피조정부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조작 부재가 입력된 조작력에 의해 제1 범위로 변위된 후에 제2 범위로 변위될 때, 상기 제1 피조정부를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제1 범위로 변위된 때의 상태로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트의 제어 방법.
  13. 탑승원을 착석시키기 위한 시트 본체와, 각각 상기 시트 본체에 제공되고 전달되는 조작력에 의해 조정 가능 상태에 위치되거나 전달되는 조작력에 의해 조정되는 제1 피조정부 및 제2 피조정부와, 조작자에 의해 수행되는 조작으로부터 입력된 조작력에 의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변위되는 조작 부재를 포함하는 시트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조작 부재가 입력된 조작력에 의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제1 범위로 변위될 때 조작 부재의 조작력을 제1 피조정부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조작 부재가 입력된 조작력에 의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범위와 다른 제2 범위를 적어도 포함하는 범위로 변위될 때 조작 부재의 조작력을 제2 피조정부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조작 부재가 입력된 조작력에 의해 제1 범위로 변위된 후에 제2 범위로 변위될 때, 상기 조작 부재가 제1 범위로 변위될 때와 비교하여, 상기 조작 부재의 변위의 양 당 제1 피조정부의 이동의 양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트의 제어 방법.
KR1020107027606A 2008-06-09 2009-05-25 시트 및 시트 제어 방법 KR1012045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50769A JP4505028B2 (ja) 2008-06-09 2008-06-09 シート
JPJP-P-2008-150769 2008-06-09
PCT/IB2009/005695 WO2009150502A1 (en) 2008-06-09 2009-05-25 Seat and seat control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876A true KR20110017876A (ko) 2011-02-22
KR101204559B1 KR101204559B1 (ko) 2012-11-23

Family

ID=41010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606A KR101204559B1 (ko) 2008-06-09 2009-05-25 시트 및 시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976104B2 (ko)
EP (1) EP2293959B1 (ko)
JP (1) JP4505028B2 (ko)
KR (1) KR101204559B1 (ko)
CN (1) CN102015359B (ko)
AT (1) ATE542704T1 (ko)
WO (1) WO20091505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56536B2 (ja) * 2010-09-24 2014-07-2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シート装置
JP5591664B2 (ja) * 2010-11-29 2014-09-17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5594092B2 (ja) * 2010-11-29 2014-09-2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5955169B2 (ja) * 2012-09-05 2016-07-20 日本発條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及び車両用シート調整機構への操作量入力装置
DE102012112138B3 (de) 2012-12-12 2014-05-15 Grammer Ag Fahrzeugsitz
DE102012112557B4 (de) * 2012-12-18 2018-07-05 Grammer Ag Fahrzeugsitz, insbesondere für Nutzfahrzeuge, mit einem Sitzteil und einer Rückenlehne und gemeinsam nutzbaren Funktionen
DE102012112528B4 (de) 2012-12-18 2014-09-18 Grammer Ag Nutzfahrzeugsitz mit einer Drehverstelleinrichtung-Überlastsicherungseinheit
DE102012112523B4 (de) 2012-12-18 2020-11-12 Grammer Aktiengesellschaft Nutzfahrzeugsitz mit drehbarem Sitzteil
DE102012112525B4 (de) * 2012-12-18 2017-12-28 Grammer Ag Nutzfahrzeugsitz mit doppelarretierbarem Querschlittenteil
DE102012112527B3 (de) 2012-12-18 2014-06-05 Grammer Ag Nutzfahrzeugsitz mit integrierter Drehverstelleinrichtung
US9033088B2 (en) 2013-02-14 2015-05-19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Ergonomic work oper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3738206B (zh) * 2013-11-30 2016-01-27 天津博信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抗挤压电动座椅
US9168847B2 (en) * 2014-01-16 2015-10-27 Sears Manufacturing Co. Horizontal action seat tilt mechanism and bezel
DE102014107816B4 (de) 2014-06-03 2018-05-03 Grammer Aktiengesellschaft Nutzfahrzeugsitz mit arretierbarem Querschlittenteil
US9242581B2 (en) * 2014-06-25 2016-01-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utomatic presentable swiveling seat
DE102014109191B8 (de) 2014-07-01 2018-12-20 Grammer Aktiengesellschaft Federungssystem für Fahrzeugsitze und Verfahren zum Federn von Fahrzeugsitzteilen
US9758059B2 (en) * 2014-08-26 2017-09-12 Ami Industries, Inc. Multi-function seat actuator
JP6629501B2 (ja) * 2014-08-27 2020-01-15 株式会社タチエス 車両用シート
CN105416104B (zh) * 2015-12-14 2018-02-16 襄阳寒桦精机有限公司 一种车辆座椅装置
US10988054B1 (en) * 2019-05-24 2021-04-27 Seating Technologies, Inc. Vehicle swivel seat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636Y2 (ko) * 1988-03-15 1993-04-12
JP2568778Y2 (ja) * 1992-01-13 1998-04-15 アラコ株式会社 車両用回転シート
JPH0649159A (ja) 1992-07-29 1994-02-22 Sumitomo Durez Co Ltd 摩擦材用ノボラック型フェノール樹脂組成物
JPH0826007A (ja) * 1994-07-19 1996-01-30 Isuzu Motors Ltd 車両用シートのリフタ機構
JP3342276B2 (ja) * 1995-12-30 2002-11-05 株式会社タチエス 跳上げシートのロック装置
DE19641652C1 (de) * 1996-10-09 1998-03-12 Brose Fahrzeugteile Fahrzeugsitz
JP3578905B2 (ja) * 1998-02-27 2004-10-20 富士機工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3634628B2 (ja) * 1998-06-22 2005-03-30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ズ株式会社 自動車シートのウォークイン装置
WO2001032463A1 (fr) * 1999-11-05 2001-05-10 Chuo Hatsujo Kabushiki Kaisha Siege de vehicule
DE10015772C1 (de) * 2000-03-30 2001-06-07 Faure Bertrand Sitztech Gmbh Betätigungsvorrichtung zum Verstellen von Einstellpositionen eines Kraftfahrzeugsitzes
JP2003182415A (ja) * 2001-12-25 2003-07-03 Aisin Seiki Co Ltd シート装置
JP4151006B2 (ja) * 2003-02-19 2008-09-17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インターロック機構を備える自動車用チップアップシート
JP2006175947A (ja) * 2004-12-21 2006-07-06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シート装置およびシートバックの連結解除方法
JP4104601B2 (ja) * 2005-02-14 2008-06-18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DE102005044555B3 (de) * 2005-09-17 2007-02-01 Faurecia Autositze Gmbh & Co.Kg Fahrzeugsitz
JP4185935B2 (ja) * 2006-01-27 2008-11-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ート
DE102006017774B4 (de) * 2006-04-15 2014-02-13 Grammer Aktiengesellschaft Fahrzeugsitz mit einem höhenverstellbaren Sitzgeste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93959B1 (en) 2012-01-25
JP2009292435A (ja) 2009-12-17
WO2009150502A8 (en) 2010-09-30
ATE542704T1 (de) 2012-02-15
US7976104B2 (en) 2011-07-12
WO2009150502A1 (en) 2009-12-17
JP4505028B2 (ja) 2010-07-14
KR101204559B1 (ko) 2012-11-23
US20110074198A1 (en) 2011-03-31
CN102015359B (zh) 2013-03-20
EP2293959A1 (en) 2011-03-16
CN102015359A (zh) 201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559B1 (ko) 시트 및 시트 제어 방법
US8777316B2 (en) Recliner mechanism
KR100778590B1 (ko) 자동차용 리어시트의 리클라이너 조절구조
US7862121B2 (en) Seat
US7270375B2 (en) Push/pull disengage mechanism for use with a rear row seat for selective seat tumble or removal from a vehicle
WO2007086467A1 (ja) シート
EP2001702A1 (en) Stand up seat
KR101547105B1 (ko)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KR101884741B1 (ko) 래치회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
JP4758779B2 (ja) シートの操作装置及びシート
KR100636026B1 (ko) 차량용 시트의 높이조절기구
EP4037932B1 (en) Seat assembly with return interlock element
KR101884744B1 (ko) 스트라이커 이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
JP4047048B2 (ja) シート
KR102185136B1 (ko) 자동차용 워크-인 시트의 케이블 이탈 방지 장치
JP4260570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2005034327A (ja) 車両用シート
KR102003986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KR200386997Y1 (ko) 차량용 시트의 높이조절기구
KR101337941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KR20190138531A (ko) 쿠션시트 팁업과 동시에 슬라이딩하는 차량용 시트
KR0129626B1 (ko) 전, 후 수평이동 가능한 시트 백을 갖는 시트
KR20240066725A (ko) 시트의 워크인 장치
KR200196785Y1 (ko) 차량의 시트설치구조
KR20230166436A (ko) 2열 수동 릴렉션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