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6725A - 시트의 워크인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의 워크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66725A KR20240066725A KR1020220147879A KR20220147879A KR20240066725A KR 20240066725 A KR20240066725 A KR 20240066725A KR 1020220147879 A KR1020220147879 A KR 1020220147879A KR 20220147879 A KR20220147879 A KR 20220147879A KR 20240066725 A KR20240066725 A KR 202400667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k
- locking
- cushion frame
- puller
- pi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 B60N2/12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and provided with memory lo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09—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longitudinal displacement of the cushion, e.g. back-rest hinged on the bottom to the cushion and linked on the top to the vehicle fram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18—Transversally moving lo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 B60N2002/1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the backrest being maintained in its tilted position until the seat has slided to its memoris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의 워크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리클라이너 동작시 회전하며 워크인 작동핀을 구비하는 홀더 브래킷, 쿠션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워크인 동작시 워크인 작동핀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구비하여 홀더 브래킷과 연동하는 워크인 풀러, 쿠션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워크인 동작에 따라 쿠션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시 워크인 풀러를 록킹하여 홀더 브래킷의 회전을 고정하고 쿠션프레임이 최후방으로 이동해야 워크인 풀러와 록킹 해제되는 록킹 브래킷을 포함하여 워크인 작동시 쿠션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한 경우 백프레임이 전방으로 회전한 상태로 록킹되며, 쿠션프레임이 최후방으로 이동해야만 백프레임의 록킹이 해제되어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트의 워크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워크인 작동시 쿠션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한 경우 백프레임이 전방으로 회전한 상태로 록킹되며, 쿠션프레임이 최후방으로 이동해야만 백프레임의 록킹이 해제되어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시트의 워크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는 탑승자의 하중을 지지하고, 실내의 바닥면에 앞뒤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트쿠션과, 이 시트쿠션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시트에는 운전자나 승차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추어 시트쿠션을 전후방으로 당기거나 밀어 시트의 전후방 위치를 조절하고, 시트쿠션에 대하여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하여 시트에 앉았을 때 가장 쾌적한 자세가 되도록 시트쿠션에 대하여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리클라이너가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의 리클라이너 장치의 일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3115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리클라이너 장치는 시트의 측부에 구비되는 리클라이너 레버를 조작하여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리클라이너 장치가 상기 등록특허공보에 상세하게 나타나 있는바, 그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3도어 차량이나 쿠페 차량의 시트에는 상기와 같은 리클라이너 장치와 함께 뒷좌석 탑승자의 탑승을 용이하게 하거나 공간의 확장을 극대화 하기 위하여 전방시트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워크인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이렇게 워크인 기능을 구비한 워크인 시트의 일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109683호(이하 '선행특허'라 한다)에 개시되어 있다.
이 선행특허에 개시된 워크인 시트는 시트백에 장착되는 워크인 레버를 탑승자가 동작시키면 워크인 케이블이 당겨져서 리클라이닝 장치를 동작시키고, 리클라이너 장치의 작동에 의해 시트백이 전방으로 접히면, 시트백의 연동브래킷에 의해 워크인 브래킷이 회전되면서 슬라이딩 케이블을 당기게 되고, 슬라이딩 케이블이 당겨지면 시트레일과 시트 사이를 고정하는 록킹레버가 해제되어 워크인 시트를 차량의 전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워크인 시트는 시트의 워크인시 워크인 레버가 리클라이닝 장치 사이에 워크인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고, 워크인 레버의 조작 중에 리클라이닝 장치의 록킹이 해제되어 시트백이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데, 워크인 레버를 조작하면서 시트를 전방으로 밀게 된다.
그런데, 시트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 리클라이닝 장치가 록킹 해제된 상태라서 시트백을 원래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즉, 레일이 록킹되지 않은 상태에서 시트백을 원래 위치로 회전시킨 후 사용자가 시트에 탑승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데, 레일이 록킹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탑승할 경우 안전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선행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시트의 워크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워크인 작동시 쿠션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한 경우 백프레임이 전방으로 회전한 상태로 록킹되며, 쿠션프레임이 최후방으로 이동해야만 백프레임의 록킹이 해제되어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시트의 워크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워크인 장치는 리클라이너 동작시 회전하며 워크인 작동핀을 구비하는 홀더 브래킷, 쿠션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워크인 동작시 워크인 작동핀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구비하여 홀더 브래킷과 연동하는 워크인 풀러, 쿠션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워크인 동작에 따라 쿠션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시 워크인 풀러를 록킹하여 홀더 브래킷의 회전을 고정하고 쿠션프레임이 최후방으로 이동해야 워크인 풀러와 록킹 해제되는 록킹 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시트의 워크인 장치는 쿠션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워크인 풀러와 워크인 케이블을 통해 연동하여 워크인 동작시 트랙록커의 록킹을 해제하도록 작동하는 워크인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트의 워크인 장치는 쿠션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록킹 브래킷과 록킹 케이블을 통해 연동하고, 고정레일에 구비된 록킹해제핀과 워크인 레버에 지지되어 회전 고정되다가, 워크인 동작에 따라 쿠션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시 록킹 브래킷이 워크인 풀러를 록킹하도록 회전하는 록킹캐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워크인 풀러는 폴딩 동작시 리클라이너의 워크인 로드와의 접촉을 통해 연동하는 단턱지지부, 워크인 동작시 워크인 작동핀의 회전경로 상으로 돌출되며 삽입구가 형성된 작동부, 워크인 동작에 따라 쿠션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시 록킹 브래킷과 록킹되도록 형성된 록킹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록킹 브래킷은 워크인 동작에 따라 쿠션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시 록킹함몰부에 삽입되어 록킹되도록 형성된 록킹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워크인 레버는 트랙록커가 연결되며 워크인 동작시 회전하여 상측으로 이동하는 록커 연결핀, 록킹캐치를 지지하다가 워크인 동작시 록킹캐치에서 이격되는 록킹해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록킹캐치는 워크인 레버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록킹해제 지지부에 지지되며 워크인 동작시 록킹해제 지지부와 이격되는 록킹해제 돌출부, 록킹해제핀에 지지되며 쿠션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시 록킹해제핀과 이격되는 핀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워크인 풀러는 폴딩 동작시 워크인 로드가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며 홀더 브래킷과 연동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의 워크인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의 워크인 장치는 워크인 작동시 쿠션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한 경우 백프레임이 전방으로 회전한 상태로 록킹되며, 쿠션프레임이 최후방으로 이동해야만 백프레임의 록킹이 해제되어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트랙레버의 시트레일 록킹과 함께 록킹캐치를 지지하는 워크인 레버가 구비되어 부품 수가 감소되고 작동 구조가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록킹캐치와 록킹 브래킷이 고정레일에 구비된 록킹해제핀에 의해 작동함에 따라 쿠션프레임이 최후방에 위치할 때 백프레임의 록킹이 해제되고, 백프레임이 원래 상태로 돌아와야 워크인 작동이 완료되므로 사용자가 워크인 작동 방법을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워크인 장치에 대한 설치상태를 일부분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워크인 장치에 대한 설치상태를 일부분 보여주는 타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워크인 장치를 보여주는 타측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워크인 장치의 폴딩 작동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워크인 장치의 워크인 작동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워크인 장치가 설치된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작동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워크인 장치에 대한 설치상태를 일부분 보여주는 타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워크인 장치를 보여주는 타측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워크인 장치의 폴딩 작동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워크인 장치의 워크인 작동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워크인 장치가 설치된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작동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워크인 장치에 대한 설치상태를 일부분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워크인 장치에 대한 설치상태를 일부분 보여주는 타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워크인 장치를 보여주는 타측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워크인 장치의 폴딩 작동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워크인 장치의 워크인 작동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워크인 장치가 설치된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작동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시트의 워크인 장치는 리클라이너 동작시 회전하며 워크인 작동핀(43)을 구비하는 홀더 브래킷(41), 쿠션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워크인 동작시 워크인 작동핀(43)이 삽입되는 삽입구(113)를 구비하여 홀더 브래킷(41)과 연동하는 워크인 풀러(110), 쿠션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워크인 동작에 따라 쿠션프레임(20)이 전방으로 이동시 워크인 풀러(110)를 록킹하여 홀더 브래킷(41)의 회전을 고정하고 쿠션프레임(20)이 최후방으로 이동해야 워크인 풀러(110)와 록킹 해제되는 록킹 브래킷(130)을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은 시트의 쿠션프레임(20)에 대해 백프레임(30)의 경사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동작하는 리클라이너(40), 시트의 쿠션프레임(20)에 대한 전후방향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트랙록커(13)의 동작을 조절하는 워크인 디바이스(100)와 워크인 트랙레버 아세이(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워크인 디바이스(100)는 워크인 트랙레버 아세이(200)와 워크인 케이블(201)로 연결되며 워크인시 리클라이너(40)와 상호 연동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다.
시트레일 록킹장치는 일반적인 시트레일(10)에 적용되는 것으로, 시트레일 록킹장치에서 트랙록커(13)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시트레일(10)이 록킹 해제되며 트랙록커(13)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시트레일(10)이 록킹되는 구조 및 구성은 공지된 기술이라서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트랙록커(13)는 로크후크(13a)가 워크인 레버(210)의 록커 연결핀(212)에 안착되어 워크인 동작시 워크인 레버(210)와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여 시트레일(10)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으며, 걸림핀(13c)이 로크구동부(미도시)에 안착되어 트랙레버 동작시 상측으로 이동하여 시트레일(10)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일예로, 트랙록커(13)는 이동레일(12)에 구비되며 트랙록커(13)의 하단에 형성된 로크투스(13b)가 고정레일(11)에 형성된 결합부에 삽입되며 시트레일(10)이 록킹될 수 있다.
시트레일(10)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차체에 설치되는 고정레일(11)과 고정레일(11)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쿠션프레임(20)이 고정되는 이동레일(12)로 구성된다.
쿠션프레임(20)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후단이 상향 경사지게 돌출되어 백프레임(30)과 리클라이너(40)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쿠션프레임(20)은 리클라이너(40)의 워크인 로드(44)에 대한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향 경사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라이드홀을 구비하고, 슬라이드홀에 워크인 로드(44)의 하단에 형성된 지지돌기(45)가 삽입된다.
이러한 워크인 로드(44)는 쿠션프레임(20)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지지돌기(45)가 쿠션프레임(20)을 관통하여 쿠션프레임(20)의 타측으로 돌출되어 후술할 워크인 풀러(110)의 단턱지지부(115)를 지지한다.
그리고, 워크인 로드(44)는 폴딩 동작시 리클라이너(40)의 릴리즈케이블이 당겨지게 되면 릴리즈레버의 회전에 의해 리클라이너(40)의 잠금상태는 서서히 해제상태로 전환되면서 워크인 로드(44)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또한, 워크인 로드(44)는 폴딩 동작시 지지돌기(45)가 가이드홀(21)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며 워크인 동작시 지지돌기(45)가 가이드홀(21)의 하단에 위치하며 가이드홀(21)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그리고, 리클라이너(40)는 동작시 리클라이너(40)의 복원스프링을 압축시키며 백프레임(30)과 함께 회전하는 홀더 브래킷(41)을 구비하며, 홀더 브래킷(41)은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워크인 작동핀(43)이 구비된 돌출부(42)를 구비한다.
워크인 디바이스(100)는 워크인 풀러(110)와 록킹 브래킷(130)을 포함하며 쿠션프레임(20)의 후단 상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워크인 트랙레버 아세이(200)는 워크인 레버(210)와 록킹래치를 포함하며 쿠션프레임(20)의 하측에 시트레일(10)과 인접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워크인 풀러(110)와 워크인 레버(210)는 워크인 케이블(201)을 통해 연동하며 록킹 브래킷(130)과 록킹캐치(230)는 록킹 케이블(202)을 통해 연동하도록 마련된다.
먼저, 워크인 풀러(110)는 쿠션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워크인 동작시 워크인 작동핀(43)이 삽입되는 삽입구(113)를 구비하여 홀더 브래킷(41)과 연동하고, 풀러 회동핀(111), 작동부(112), 워크인 케이블 일측 연결부(114), 단턱지지부(115), 록킹함몰부(116)를 구비한다.
풀러 회동핀(111)은 워크인 풀러(110)가 쿠션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일예로 워크인 풀러(110)에 고정되며 쿠션프레임(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워크인 풀러(110)와 쿠션프레임(20) 사이에는 워크인 풀러(110)에 리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풀러 스프링(120)이 연결된다.
풀러 스프링(120)은 일예로, 풀러 회동핀(111)에 감겨 구비되며 일단부가 워크인 풀러(110)에 형성된 홈부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쿠션프레임(20) 또는 쿠션프레임(20)에 고정되는 부품에 고정되어 워크인 풀러(110)가 회전시 그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단턱지지부(115)는 워크인 로드(44)가 안착되도록 회전방향에 수직한 면으로 구성되며, 일예로 워크인 풀러(110)의 외주면에서 돌기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면에 워크인 로드(44)가 지지된다.
이러한 단턱지지부(115)는 폴딩 동작시 리클라이너(40)의 워크인 로드(44)와의 접촉을 통해 연동한다. 즉, 단턱지지부(115)는 풀러 스프링(120)의 탄성력에 의해 일측면에 지지된 워크인 로드(44)를 회전방향으로 지지하고, 워크인 로드(44)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풀러 스프링(120)이 풀리면서 워크인 풀러(110)가 회전하며 워크인 로드(44)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풀러 스프링(120)이 감기면서 압축되고 워크인 풀러(110)가 회전한다.
작동부(112)는 워크인 풀러(11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돌출된 단부에 돌출된 단부 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삽입구(113)가 형성되어 워크인 작동핀(43)이 삽입구(113)로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작동부(112)는 일예로 단턱지지부(115)의 반대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폴딩 동작시 리클라이너(40)의 워크인 로드(44)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단턱지지부(115)가 상측으로 회전하며 상대적으로 작동부(112)의 위치가 하측으로 변경되어 워크인 작동핀(43)의 회전경로 상에 배치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워크인 풀러(110)는 폴딩 동작시 일정 각도 회전할 수는 있으나 홀더 브래킷(41)과 연동하지 않으며, 뿐만 아니라 백프레임(30)이 후방으로 회전시 워크인 작동핀(43)은 홀더 브래킷(41) 측의 반대측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작동부(112)는 워크인 동작시 워크인 로드(44)의 지지돌기(45)가 가이드홀(21)의 하단에 위치하여 단턱지지부(115)가 하측에 위치하며, 작동부(112)가 워크인 작동핀(43)의 회전경로 상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이 상태에서 백프레임(30)이 전방으로 회전하면 홀더 브래킷(41)이 회전하여 워크인 작동핀(43)이 삽입구(113)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워크인 풀러(110)는 워크인 작동핀(43)과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고, 워크인 케이블 일측 연결부(114)에 연결되는 워크인 케이블(201)을 당기며 워크인 레버(210)를 작동시킨다.
이처럼 워크인 풀러(110)는 워크인 작동시 백프레임(30)에 전방으로 회전하면서 작동부(112)가 워크인 작동핀(43)과 연동하여 회전하며 워크인 케이블(201)을 당긴다. 그리고, 백프레임(30)이 원래 상태로 회전될 때 워크인 풀러(110)는 워크인 작동핀(43)과 연동하여 회전하다가 삽입구(113)에서 워크인 작동핀(43)이 분리되면 풀러 스프링(120)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 상태로 돌아가며 워크인 케이블(201)이 풀리게 된다. 즉, 워크인 케이블(201)을 당겼던 외력이 제거되며 원래 상태로 돌아간다.
또한, 워크인 풀러(110)는 워크인 동작시 록킹 브래킷(130)과 마주보는 외주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는 록킹함몰부(116)를 구비하며, 쿠션프레임(20)이 전방으로 이동시 후술할 록킹돌출부(133)가 삽입되어 백프레임(30)이 접힌 상태를 고정한다.
록킹 브래킷(130)은 쿠션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워크인 동작에 따라 쿠션프레임(20)이 전방으로 이동시 워크인 풀러(110)를 록킹하여 홀더 브래킷(41)의 회전을 고정하고, 쿠션프레임(20)이 최후방으로 이동해야 워크인 풀러(110)와 록킹 해제되도록 마련되고, 브래킷 회동핀(131), 록킹 케이블 일측 연결부(132), 록킹돌출부(133)를 구비한다.
브래킷 회동핀(131)은 록킹 브래킷(130)이 쿠션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일예로 록킹 브래킷(130)에 고정되며 쿠션프레임(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록킹 브래킷(130)과 쿠션프레임(20) 사이에는 록킹 브래킷(130)에 리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브래킷 스프링(140)이 연결된다.
브래킷 스프링(140)은 일예로, 브래킷 회동핀(131)에 감겨 구비될 수 있으며, 일단부가 록킹 브래킷(130)에 형성된 고정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타단부가 쿠션프레임(20) 또는 쿠션프레임(20)에 고정되는 부품에 고정되어 록킹 브래킷(130)이 회전시 그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또한, 록킹 브래킷(130)은 록킹 케이블 일측 연결부(132)를 구비하여 록킹 케이블(202)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록킹 케이블(202)이 당겨져 브래킷 회동핀(131)을 중심으로 록킹돌출부(133)가 워크인 풀러(11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지지되며, 록킹 케이블(202)이 풀리면 브래킷 스프링(140)의 탄성력에 의해 록킹돌출부(133)가 록킹함몰부(116)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지지된다.
록킹돌출부(133)는 워크인 동작에 따라 쿠션프레임(20)이 전방으로 이동시 록킹함몰부(116)에 삽입되어 록킹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록킹돌출부(133)는 워크인 동작시 백프레임(30)을 전방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쿠션프레임(20)을 전방으로 이동할 때, 고정레일(11)에 이동레일(12)이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백프레임(30)의 회전을 고정하며, 보다 정확하게는 쿠션프레임(20)이 최후방으로 이동하기 전까지는 백프레임(30)의 회전을 고정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한다.
워크인 레버(210)는 쿠션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워크인 풀러(110)와 워크인 케이블(201)을 통해 연동하여 워크인 동작시 트랙록커(13)의 록킹을 해제하도록 작동하고, 레버 회동핀(211), 록커 연결핀(212), 워크인 케이블 타측 연결부(213), 스프링 연결부(214), 록킹해제 지지부(215)를 구비한다.
레버 회동핀(211)은 워크인 레버(210)가 쿠션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일예로 워크인 레버(210)에 고정되며 쿠션프레임(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워크인 레버(210)와 쿠션프레임(20) 사이에는 워크인 레버(210)에 리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레버 스프링(220)이 연결된다.
레버 스프링(220)은 일단부가 워크인 레버(210)의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스프링 연결부(214)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이동레일(12) 또는 쿠션프레임(20)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워크인 레버(210)는 스프링 연결부(214)의 반대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워크인 케이블 타측 연결부(213)를 구비하며, 워크인 케이블(201)의 타측단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워크인 케이블(201)이 당겨지면 레버 스프링(220)이 늘어나면서 변형되고 워크인 케이블(201)의 당김이 해제되면 레버 스프링(220)이 원래 상태로 돌아가면서 워크인 레버(210)가 원래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이러한 워크인 레버(210)는 워크인 케이블(201)이 당겨질 때 트랙록커(13)를 들어올리기 위해 록커 연결핀(212)이 고정되며, 록커 연결핀(212)은 워크인 케이블(201)이 당겨질 때 레버 회동핀(21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록커 연결핀(212)은 워크인 레버(210)에 고정되며 트랙록커(13)의 갈고리 형상의 로크후크(13a)가 안착되어 트랙록커(13)와 연결되고, 워크인 케이블(201)이 당겨지면 트랙록커(13)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고정레일(11)에서 분리시키킨다. 이에 따라 이동레일(12)은 고정레일(11)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워크인 레버(210)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후술할 록킹캐치(230)를 지지하는 록킹해제 지지부(215)를 구비한다.
이러한 록킹해제 지지부(215)는 평상시에는 록킹 케이블(202)이 풀리지 않도록 록킹캐치(230)를 지지하고 워크인 작동시에는 워크인 레버(210)가 회전하며 록킹캐치(230)에서 이격된다.
록킹캐치(230)는 쿠션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록킹 브래킷(130)과 록킹 케이블(202)을 통해 연동한다.
이러한 록킹캐치(230)는 고정레일(11)에 구비된 록킹해제핀(11a)과 워크인 레버(210)에 지지되어 회전 고정되다가, 워크인 동작에 따라 쿠션프레임(20)이 전방으로 이동시 록킹 브래킷(130)이 워크인 풀러(110)를 록킹하도록 회전하고, 캐치 회동핀(231), 록킹 케이블 타측 연결부(232), 록킹해제 돌출부(233), 핀지지부(234)를 구비한다.
캐치 회동핀(231)은 록킹캐치(230)가 쿠션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일예로 록킹캐치(230)에 고정되며 쿠션프레임(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록킹캐치(230)와 쿠션프레임(20) 사이에는 록킹캐치(230)에 리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캐치 스프링(240)이 연결된다.
캐치 스프링(240)은 일예로, 캐치 회동핀(231)에 감겨 구비될 수 있으며, 일단부가 록킹캐치(230)에 형성된 홈부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쿠션프레임(20) 또는 쿠션프레임(20)에 고정되는 부품에 고정되어 록킹캐치(230)가 회전시 그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록킹캐치(230)는 워크인 레버(210) 보다 후방에 배치되며, 캐치 회동핀(231)에서 후방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록킹 케이블(202)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록킹 케이블 타측 연결부(232)를 구비한다.
그리고, 록킹캐치(230)는 워크인 레버(210)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록킹해제 지지부(215)에 지지되며 워크인 동작시 록킹해제 지지부(215)와 이격되는 록킹해제 돌출부(233)를 구비한다.
이러한 록킹해제 돌출부(233)는 보다 정확하게는 전방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록킹해제 지지부(215)에 들어올려지며 지지되어 록킹캐치(230)가 록킹 케이블(202)을 당긴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록킹캐치(230)는 록킹해제핀(11a)에 지지되며 쿠션프레임(20)이 전방으로 이동시 록킹해제핀(11a)과 이격되는 핀지지부(234)를 구비한다.
이러한 핀지지부(234)는 록킹캐치(230)의 전방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즉, 록킹캐치(230)에서 케이블 연결부의 반대측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록킹해제핀(11a)은 고정레일(11)의 후방 측에 고정되며 핀지지부(234)를 전방으로 지지하여 록킹캐치(230)가 록킹 케이블(202)을 당긴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록킹캐치(230)는 록킹해제핀(11a)이 핀지지부(234)를 전방으로 지지하고 있으며 록킹해제 지지부(215)가 록킹해제 돌출부(233)를 지지하고 있어서 캐치 스프링(240)을 압축시키며 록킹 케이블(202)을 당기게 된다.
여기서, 워크인 작동에 따라 워크인 케이블(201)이 당겨지며 워크인 레버(210)가 회전하면 록킹해제 돌출부(233)에서 록킹해제 지지부(215)가 이격되고, 쿠션프레임(20)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록킹해제핀(11a)이 핀지지부(234)에서 이격되며 캐치 스프링(240)의 탄성력에 의해 록킹캐치(23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록킹 케이블(202)은 풀리면서 록킹 케이블(202)과 연결된 록킹 브래킷(130)이 브래킷 스프링(14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여 록킹돌출부(133)가 록킹함몰부(116)에 삽입된다.
-폴딩 동작
아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워크인 장치에서 폴딩 조작시 동작상태를 설명한다.
도 4를 참고하면, 폴딩 동작시 수동식의 워크인레버 또는 자동식 액츄에이터 중 어느 하나에 의한 동작에 의해 리클라이너(40)의 릴리즈케이블이 당겨지게 되면, 릴리즈레버의 회전에 의해 리클라이너(40)의 잠금상태는 서서히 해제상태로 전환되면서 워크인 로드(44)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워크인 로드(44)의 상승이 이루어지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돌기(45)가 가이드홀(21)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감겨있던 풀러 스프링(120)이 풀리면서 워크인 풀러(1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워크인 풀러(1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작동부(112)가 워크인 작동핀(43)의 회전경로 상에 배치되지 않게 된다. 즉, 백프레임(30)이 전방으로 회전하며 홀더 브래킷(41)이 회전하여 워크인 작동핀(4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도 워크인 작동핀(43)이 작동부(112)에 지지되지 않으며 삽입구(113)에 삽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프레임(30)이 전방으로 회전할 때 워크인 풀러(110)가 연동하여 회전하지 않게 된다.
단, 워크인 풀러(110)는 워크인 로드(44)와 연동하여 일정 각도 회전할 수는 있으나 워크인 케이블(201)을 당기도록 회전하지 않으며 워크인 케이블(201)과 연결된 워크인 레버(210)는 록킹캐치(230)를 지지한 상태를 유지하고 트랙록커(13)는 시트레일(10)을 록킹한 상태를 유지한다.
-워크인 동작
아래에서는 도 7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워크인 장치에서 워크인 조작시 동작상태를 설명한다.
도 7을 참고하면, 워크인 동작시 수동식의 레버 또는 자동식의 액츄에이터 중 어느 하나에 의한 동작에 의해 리클라이너(40)의 홀더 브래킷(4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워크인 작동핀(43)이 워크인 작동핀(43)의 회전경로 상으로 돌출되게 배치된 작동부(112)의 삽입구(113)에 지지되며 삽입된다.
이때, 워크인 로드(44)의 지지돌기(45)는 가이드홀(21)의 하단에 위치하며 지지돌기(45)와 연동하는 단턱지지부(115)에 의해 워크인 풀러(110)의 작동부(112)는 워크인 작동핀(43)의 회전경로 상으로 돌출되도록 회전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 브래킷(4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워크인 작동핀(43)이 삽입구(113)에 삽입되어 작동구와 연동하면, 워크인 풀러(1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워크인 케이블(201)을 잡아당긴다.
이때, 워크인 풀러(1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도 워크인 작동핀(43)은 삽입구(113)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며 워크인 풀러(1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워크인 케이블(201)이 잡아당겨지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크인 레버(210)의 워크인 케이블 타측 연결부(213)가 도면상 우측으로 지지되면서 워크인 레버(2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스프링 지지부가 레버 스프링(220)을 인장시키며 록커 연결핀(212)이 트랙록커(13)를 상측으로 들어올려 시트레일(10)의 록킹을 해제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록킹해제 지지부(215)가 록킹캐치(230)의 록킹해제 돌출부(233)와 이격되며 록킹캐치(230)를 지지하던 지지력이 사라지게 된다. 단, 록킹캐치(230)는 록킹해제 지지부(215)가 이격되어도 핀지지부(234)가 고정레일(11)의 록킹해제핀(11a)에 지지되어 회전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쿠션프레임(20)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캐치(230)도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록킹해제 지지부(215)와 록킹해제핀(11a)의 지지력이 사라지므로 캐치 스프링(240)의 탄성력과 록킹 케이블(202)에 의해 록킹캐치(2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록킹 케이블(202)이 풀린다.
이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브래킷(130)은 브래킷 스프링(140)의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록킹돌출부(133)가 록킹함몰부(116)에 삽입된다.
이렇게 록킹돌출부(133)가 록킹함몰부(116)에 삽입되면 워크인 풀러(1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는 록킹 상태가 되며 워크인 풀러(110)의 삽입구(113)에 삽입된 워크인 작동핀(43)이 고정되며 홀더 브래킷(41)도 회전할 수 없어서 백프레임(30)을 고정하는 록킹 상태가 된다.
따라서 워크인 작동에 따라 쿠션프레임(20)이 전방으로 이동시에는 백프레임(30)을 록킹하며 쿠션프레임(20)의 전후 방향 이동중에 사용자가 시트에 탑승하여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록킹돌출부(133)는 록킹 케이블(202)이 당겨지며 록킹 브래킷(130)이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해야 록킹함몰부(116)에서 분리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쿠션프레임(20)이 최후방으로 이동하여 고정레일(11)의 록킹해제핀(11a)이 핀지지부(234)를 지지해야 한다.
쿠션프레임(20)이 최후방으로 이동하여 고정레일(11)의 록킹해제핀(11a)이 핀지지부(234)를 지지하면 록킹 케이블 타측 연결부(232)가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록킹 케이블(202)을 잡아당기게 되고 록킹 브래킷(130)이 록킹 케이블(202)에 의해 회전할 수 있어서 워크인 풀러(110)의 록킹이 해제된다.
결국, 도 12의 (a)의 상태에서 워크인 작동하여 도 12의 (b)와 같이 백프레임(30)을 전방으로 회전시킨 후 쿠션프레임(20) 전방으로 이동하면, 도 12의 (c)와 같이 쿠션프레임(20)이 최후방으로 이동하기 전까지는 백프레임(30)이 전방으로 회전된 상태로 록킹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2의 (d)와 같이 쿠션프레임(20)이 최후방으로 이동한 후에는 백프레임(30)의 록킹이 해제되어 후방으로 회전시키며 워크인 작동을 완료하게 된다.
이러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워크인 작동시 쿠션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한 경우 백프레임이 전방으로 회전한 상태로 록킹되며, 쿠션프레임이 최후방으로 이동해야만 백프레임의 록킹이 해제되어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트랙레버의 시트레일 록킹과 함께 록킹캐치를 지지하는 워크인 레버가 구비되어 부품 수가 감소되고 작동 구조가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록킹캐치와 록킹 브래킷이 고정레일에 구비된 록킹해제핀에 의해 작동함에 따라 쿠션프레임이 최후방에 위치할 때 백프레임의 록킹이 해제되고, 백프레임이 원래 상태로 돌아와야 워크인 작동이 완료되므로 사용자가 워크인 작동 방법을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시트레일
11: 고정레일
11a: 록킹해제핀 12: 이동레일
13: 트랙록커 20: 쿠션프레임
21: 가이드홀 30: 백프레임
40: 리클라이너 41: 홀더 브래킷
42: 돌출부 43: 워크인 작동핀
44: 워크인 로드 45: 지지돌기
100: 워크인 디바이스 110: 워크인 풀러
111: 워크인 회동핀 112: 작동부
113: 삽입구 114: 워크인 케이블 일측 연결부
115: 단턱지지부 116: 록킹함몰부
120: 풀러 스프링 130: 록킹 브래킷
131: 브래킷 회동핀 132: 록킹 케이블 일측 연결부
133: 록킹돌출부 140: 브래킷 스프링
200: 워크인 트랙레버 아세이 201: 워크인 케이블
202: 록킹 케이블 210: 워크인 레버
211: 레버 회동핀 212: 록커 연결핀
213: 워크인 케이블 타측 연결부 214: 스프링 연결부
215: 록킹해제 지지부 220: 레버 스프링
230: 록킹캐치 231: 캐치 회동핀
232: 록킹 케이블 타측 연결부 233: 록킹해제 돌출부
234: 핀지지부 240: 캐치 스프링
11a: 록킹해제핀 12: 이동레일
13: 트랙록커 20: 쿠션프레임
21: 가이드홀 30: 백프레임
40: 리클라이너 41: 홀더 브래킷
42: 돌출부 43: 워크인 작동핀
44: 워크인 로드 45: 지지돌기
100: 워크인 디바이스 110: 워크인 풀러
111: 워크인 회동핀 112: 작동부
113: 삽입구 114: 워크인 케이블 일측 연결부
115: 단턱지지부 116: 록킹함몰부
120: 풀러 스프링 130: 록킹 브래킷
131: 브래킷 회동핀 132: 록킹 케이블 일측 연결부
133: 록킹돌출부 140: 브래킷 스프링
200: 워크인 트랙레버 아세이 201: 워크인 케이블
202: 록킹 케이블 210: 워크인 레버
211: 레버 회동핀 212: 록커 연결핀
213: 워크인 케이블 타측 연결부 214: 스프링 연결부
215: 록킹해제 지지부 220: 레버 스프링
230: 록킹캐치 231: 캐치 회동핀
232: 록킹 케이블 타측 연결부 233: 록킹해제 돌출부
234: 핀지지부 240: 캐치 스프링
Claims (8)
- 리클라이너 동작시 회전하며 워크인 작동핀을 구비하는 홀더 브래킷;
쿠션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워크인 동작시 상기 워크인 작동핀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구비하여 상기 홀더 브래킷과 연동하는 워크인 풀러; 및
상기 쿠션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워크인 동작에 따라 쿠션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시 상기 워크인 풀러를 록킹하여 상기 홀더 브래킷의 회전을 고정하고, 상기 쿠션프레임이 최후방으로 이동해야 상기 워크인 풀러와 록킹 해제되는 록킹 브래킷;
을 포함하는 시트의 워크인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워크인 풀러와 워크인 케이블을 통해 연동하여 워크인 동작시 트랙록커의 록킹을 해제하도록 작동하는 워크인 레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워크인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록킹 브래킷과 록킹 케이블을 통해 연동하고, 고정레일에 구비된 록킹해제핀과 상기 워크인 레버에 지지되어 회전 고정되다가, 워크인 동작에 따라 상기 쿠션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시 상기 록킹 브래킷이 상기 워크인 풀러를 록킹하도록 회전하는 록킹캐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워크인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인 풀러는,
폴딩 동작시 상기 리클라이너의 워크인 로드와의 접촉을 통해 연동하는 단턱지지부;
워크인 동작시 상기 워크인 작동핀의 회전경로 상으로 돌출되며 상기 삽입구가 형성된 작동부; 및
워크인 동작에 따라 상기 쿠션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시 상기 록킹 브래킷과 록킹되도록 형성된 록킹함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워크인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브래킷은,
워크인 동작에 따라 상기 쿠션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시 상기 록킹함몰부에 삽입되어 록킹되도록 형성된 록킹돌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워크인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인 레버는,
상기 트랙록커가 연결되며 상기 워크인 동작시 회전하여 상측으로 이동하는 록커 연결핀; 및
상기 록킹캐치를 지지하다가 워크인 동작시 상기 록킹캐치에서 이격되는 록킹해제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워크인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캐치는,
상기 워크인 레버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록킹해제 지지부에 지지되며 워크인 동작시 상기 록킹해제 지지부와 이격되는 록킹해제 돌출부; 및
상기 록킹해제핀에 지지되며 상기 쿠션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시 상기 록킹해제핀과 이격되는 핀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워크인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인 풀러는 폴딩 동작시 상기 워크인 로드가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홀더 브래킷과 연동하지 않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워크인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47879A KR20240066725A (ko) | 2022-11-08 | 2022-11-08 | 시트의 워크인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47879A KR20240066725A (ko) | 2022-11-08 | 2022-11-08 | 시트의 워크인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66725A true KR20240066725A (ko) | 2024-05-16 |
Family
ID=91276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47879A KR20240066725A (ko) | 2022-11-08 | 2022-11-08 | 시트의 워크인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66725A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3115B1 (ko) | 2008-07-04 | 2008-10-14 | 대원정밀공업(주) | 차량용 시트 리클라이너 |
KR20090109683A (ko) | 2008-04-16 | 2009-10-21 | 주식회사다스 | 워크인 시트 |
-
2022
- 2022-11-08 KR KR1020220147879A patent/KR2024006672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09683A (ko) | 2008-04-16 | 2009-10-21 | 주식회사다스 | 워크인 시트 |
KR100863115B1 (ko) | 2008-07-04 | 2008-10-14 | 대원정밀공업(주) | 차량용 시트 리클라이너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77316B2 (en) | Recliner mechanism | |
EP2261078B1 (en) | Erroneous operation preventing device and stowable seat for vehicle | |
KR101054778B1 (ko) |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장치 | |
US8465096B2 (en) | Stowable vehicle seat | |
EP1568536B1 (en) | Vehicle seat | |
CN108349412B (zh) | 车辆座椅 | |
KR101210155B1 (ko) | 차량용 시트의 쿠션 연동 백 리클라이닝 장치 | |
WO2017110438A1 (ja) | 自動車用シート | |
JP2019081517A (ja) | シートスライド機構 | |
US10843594B2 (en) | Adjustable seat with entry tip slide plus pitch slide | |
KR102705796B1 (ko) | 2열 수동 릴렉션시트 | |
KR20240066725A (ko) | 시트의 워크인 장치 | |
CN216610972U (zh) | 一种扶手箱组件及汽车 | |
KR20060010948A (ko) | 자동차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 |
US20230398909A1 (en) | Vehicle seat with a locking element | |
CN114572069A (zh) | 带有可倾斜座椅底部和座椅靠背以改善后排位置的车辆座椅 | |
KR20220143298A (ko) | 차량용 워크-인 시트의 록킹 장치 | |
JP3419681B2 (ja) | 自動車のシート | |
CN114906029A (zh) | 一种扶手箱组件及汽车 | |
KR100461116B1 (ko) |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너 록킹 장치 | |
JP3639537B2 (ja) | 車両のスライドシート | |
KR20190138531A (ko) | 쿠션시트 팁업과 동시에 슬라이딩하는 차량용 시트 | |
KR102623415B1 (ko) | 차량용 시트백 구속장치 | |
KR101337941B1 (ko) |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 |
JP4206844B2 (ja) | 車両用シート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