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6392A - 블라스트 실 - Google Patents

블라스트 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6392A
KR20110016392A KR1020100067136A KR20100067136A KR20110016392A KR 20110016392 A KR20110016392 A KR 20110016392A KR 1020100067136 A KR1020100067136 A KR 1020100067136A KR 20100067136 A KR20100067136 A KR 20100067136A KR 20110016392 A KR20110016392 A KR 20110016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unit
dust collecting
opening
abra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이지 마세
료지 키쿠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후지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후지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후지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10016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3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9/00Appurtenances of 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e.g. working chambers, arrangements for handling used abrasiv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9/00Appurtenances of 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e.g. working chambers, arrangements for handling used abrasive material
    • B24C9/006Treatment of used abrasiv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일한 작업실에서 워크피스에 블라스트 가공에 이어 도장을 실시할 수 있는 블라스트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블라스트 작업 시에 본체(10) 내를 환기하는 집진 유니트(20)와 도장 공정 시에 본체 내를 환기하는 환기 유니트(30)을 구비한다. 본체의 측벽(11)에는 출입구(11a)와 동 출입구를 개폐하는 개폐체(11b)를 구비해 이 측벽과 대향하는 측벽(12)에 가까운 위치에 상기 집진 유니트를 천판(15)으로부터 마루판(16)을 향해 돌출되도록 하여 본체 내부를 구획해, 본체 내에 작업 공간(10a)과 환기 덕트(10b)를 구분짓는다. 작업 공간 위편의 천판(15)에는 흡기구멍(17)을 형성하고, 상기 집진 유니트에는 환기 덕트와 연통하는 흡입구(22)를 구비한다. 상기 측벽(12)에는 환기 유니트와 환기 덕트를 연통하는 통로(12a)를 구비해 블라스트 가공 시에 출입구를 닫아 집진 유니트에 의해 환기를 실시하고, 도장 시에는 상기 출입구를 개방해 환기 유니트에 의한 환기를 실시한다.

Description

블라스트 실{BLASTING CHAMBER}
본 발명은 블라스트 실 내지 블라스트 가공용의 작업실 (본 명세서에서는, 모두 「블라스트 실」이라고 한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교적 대형의 워크피스(workpiece)를 처리 대상으로 한 블라스트 가공을 실시할 때에, 워크피스와 함께 작업원이 단수 또는 복수 들어가서 작업을 할 수 있는 크기의 작업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블라스트 실에 있어, 블라스트 가공뿐만 아니라, 블라스트 가공 후에 워크피스에 대해서 공통의 공간 내에서 도장도 실시할 수 있도록 된 블라스트 가공 및 도장 작업의 양자에게 적용 가능한 블라스트 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블라스트 가공」에는, 최 광의로, 소위 블라스트 처리, 샷 핀닝 (shot peening) 처리 등, 연마재를 압축 공기 등과의 혼합 유체로서 분사하는 소위 건식의 분사 내지는 투사 (이하, 투사도 포함해 「분사」라고 한다.) 등 각종 형식의 것을 포함하며, 또한, 원심력에 의해 투사재를 분사하는 것, 회전하는 임펠러 등에 의한 타격에 의해 연마재 내지 투사재를 분사하는 것 등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기 블라스트 가공에 대응해서, 본 발명의 연마재에는, 연마 내지 절삭을 목적으로 한 연마용 입자, 그 외의 연마재 외에도, 워크피스에 대한 잔류 응력의 부여 등을 목적으로 분사되는 강구(鋼球), 유리·플라스틱·세라믹 구슬(beads) 등의 소위 「쇼트(shot)」, 그 외 각종의 목적으로 분사되는 종자껍질 또는 곡식 가루 등의 분체 내지는 입자체를 넓게 포함한다.
연마재를 분사해 워크피스와 충돌시켜, 워크피스의 절삭 또는 클리닝을 실시하거나, 또는, 강구 등의 쇼트를 워크피스에 충돌시켜 워크피스에 잔류 응력의 부여 등을 실시하는 등, 분체 내지 입자체를 워크피스에 대해서 분사하는 블라스트 가공이 각종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블라스트 가공에서는, 분사한 연마재, 또는 연마재가 워크피스와 충돌했을 때에 생긴 파쇄분, 워크피스의 절삭가루 등으로 된 분진의 비산에 의해 작업 환경이 오염된다. 그리고, 일단 사용한 연마재를 재사용하기 위하여는 이것을 회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다른 공간으로부터 격리된 작업실을 형성해서, 이 작업 공간 내에서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도장에 있어서도, 스프레이 등으로 분무된 도료 입자의 비산 또는 도료에 포함되는 용제의 휘발 등에 의해 주위가 오염됨과 동시에, 이것과는 반대로 주위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이 작업 공간 내부로 들어가 도장된 도막(塗膜)에 부착되면 도장의 질이 큰 폭으로 저하되기 때문에,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다른 공간으로부터 격리된 작업실을 형성해서, 이 작업 공간 내에서 도장 공정을 수행한다.
또한 상술한 블라스트 가공을 도장 전의 공정으로서 실시하는 경우, 블라스트 가공에 연이어 도장 공정을 실시할 수 있도록 된 장치 구성도 제안되고 있는 바, 일례로서 LP가스 용기(가스 실린더) 등의 고압 가스 용기를 재검사한 후 녹을 떼어내고 계속하여 도장을 가능하게 한 것으로서, 블라스트 가공을 행하기 위한 부스와 도장을 행하기 위한 부스를 각각 구비해 컨베이어 등에 의해 반송된 워크피스를, 블라스트 가공용 부스를 통과시킬 때에 블라스트 가공한 후, 도장용 부스로 이송해서 도장을 실시하도록 구성된 장치도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제 H08-28793호).
상술한 일본 특허공개 제H10-28793호와 같이, 처리 대상으로 하는 워크피스가 LP가스 용기와 같이 비교적 소형의 것이고, 또한, 형상도 동일하여 처리 내용도 공통되는 것이라면, 블라스트 가공용 부스와 도장용 부스를 각각 별개로 설치하고, 각 공정마다 워크피스를 다른 부스로 이송해서 가공을 실시하는 것도 비교적 용이하다.
그러나, 예를 들면 형체가 큰 소량 생산품을 워크피스로 하는 경우에는, 각 회마다 처리 대상으로 하는 워크피스의 재질 또는 형상, 처리 내용이 다른 경우도 많아, 상술한 것 같은 컨베이어 등으로 라인을 구축해 획일적인 흐름 작업으로 일을 처리하는 것에 친숙해 지지 않고 작업원 등이 각 워크피스마다 각각 수작업으로 일을 처리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그 때문에, 이러한 워크피스를 대상으로 가공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작업원이 워크피스와 함께 내부에 들어가 작업할 수 있는 비교적 넓은 작업 공간을 갖춘 대형의 작업실이 필요하다. 또한 블라스트 가공용의 작업실과 도장용의 작업실을 각각 별개로 구비하려면, 광대한 설치 스페이스의 확보 또는 각 처리에 필요한 설비의 준비 등이 필요하고 다대한 초기 투자가 필요하다. 따라서, 블라스트 가공에 대해서는 대형의 워크피스에 대한 블라스트 가공에 대응할 수 있는 시설 내지 설비를 갖춘 블라스트 가공업자가, 도장에 대해서는 대형의 워크피스에 대한 도장에 대응할 수 있는 시설 내지 설비를 갖춘 도장 업자가 각각 분담하여 협력 방식으로 수행하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각 공정마다 다른 가공업자가 그들 사이에 작업을 분담해서 실시하는 경우에는, 작업 공정마다 워크피스의 수송 및 반송이 필요하고, 이에 수반하는 시간적인 손실 또는 비용의 부담이 발생한다.
또한, 블라스트 가공으로부터 도장까지의 수송 내지 반송에 시간이 걸리면, 워크피스의 표면에 녹 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또한, 수송 내지 반송을 실시할 때에 작업원 또는 반송 기기 등이 워크피스와 접촉해 워크피스 표면에 유지 등의 더러운 물체가 부착되는 경우도 있어, 이러한 녹의 발생 또는 더러운 물체의 부착이 생기면, 도장 전에 녹 또는 더러움을 제거하기 위한 선행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점을 고려할 때, 도장의 사전 처리로서 대형의 워크피스에 블라스트 가공을 실시하는 경우, 워크피스에 대해서 블라스트 가공을 실시한 후, 워크피스를 이동 또는 반출하는 일 없이, 블라스트 가공을 실시한 작업실 내에서 그대로 도장을 실시할 수 있으면 유리하다.
그러나, 블라스트 가공을 실시한 작업실 내에는, 블라스트 가공 시에 사용한 연마재 또는, 블라스트 가공 시에 생긴 분진 등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 작업실 내에서 그대로 워크피스에 도장을 실시하면, 연마재 또는 분진이 이물로서 이미 도장이 완료된 도막에 부착될 우려가 있어, 이러한 이물의 부착은 도장의 질을 큰 폭으로 저하시킴과 동시에, 경우에 따라서는 도장 자체의 반복 실시를 필요하게 한다.
또한, 작업실 내에서 분사된 연마재를 회수해 재사용하는 경우, 이 연마재 중에 도료가 혼입되면 연마재의 착색 또는 도료에 의한 연마재 입자끼리의 부착 등이 생기는 경우가 있어, 일단 사용한 연마재를 회수해 재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블라스트 가공 시 및 도장 시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작업실 내에는 분진 또는 미세한 도료의 미립자가 비산하여 오염되기 때문에, 작업실 내를 환기해 청정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오염된 공기를 작업실 외로 배출하기 전에 오염의 원인 물질인 분진 또는 도료의 미립자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 있어서는, 블라스트 가공 및 도장의 어느 작업을 하는 작업실에 대해서도 공통된다.
그러나, 블라스트 가공 시에 있어서의 작업 공간 내의 오염은, 파쇄된 연마재 또는 워크피스의 절삭가루 등으로 구성된 분진에 의해 생기는 것이고, 또한, 도장 시에 있어서의 작업 공간 내의 오염은 스프레이 등으로 분무된 미세한 도료의 미립자에 의해 생기는 것이다. 이와 같이 오염의 원인 물질이 다르기 때문에, 블라스트 가공 시와 도장 시와는, 각각 적절한 환기 방법, 오염 원인 물질의 포집 방법이 다르게 된다.
이상과 같은 이유 때문에, 블라스트 가공과 도장은 하나의 공통의 작업실 내에서 실시되고 있지 않으며, 또한, 블라스트 가공과 도장을 모두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작업실도 제안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으로, 공통의 작업실 내에서 블라스트 가공과 도장을 연이어서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블라스트 가공 및 도장의 각 공정마다, 적절한 환기 방법, 적절한 오염 원인물질의 포집방법에 의해 환기를 실시할 수가 있으며, 따라서, 블라스트 가공에 연이어서 동일한 공간 내에서 도장도 실시할 수가 있는 블라스트 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요약을 기술한다. 여기에는,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부호도 함께 기재한다. 이 부호는, 특허 청구 범위의 기재와 발명의 실시예의 기재와의 대응을 분명히 하기 위한 것일 뿐, 물론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의 해석에 제한적인 방법으로 이용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블라스트실 1은, 본체(10)와 집진 유니트(20)와 환기 유니트(30)로 이루어진 블라스트실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측벽(11~14)과 천판(15) 및 마루판(16)에 의해 직방체 등의 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본체(10)의 어느 쪽이든 하나의 측벽(11)에, 워크피스(W)의 반출입 및 작업자(M)의 입퇴실을 가능케 하는 출입구(11a)와 당해 출입구(11a)를 개폐하는 문 또는 셔터 등의 개폐체(11b)를 구비하며, 상기 하나의 측벽(11)과 대향하는 다른 측벽(12) 쪽의 상기 본체(10) 내에는 상기 천판(15)으로부터 마루판(16)을 향해 돌출되고, 또한, 그 하단(25a)이 상기 마루판(16)에 대해서 소정의 높은 위치에 이격되게 배치된 격벽(25)를 구비하여, 당해 격벽(25)에 의해 상기 본체(10) 내의 공간을 구분하는 것으로, 상기 하나의 측벽(11)과 상기 격벽(20) 간에 작업 공간(10a)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격벽(20)과 상기 다른 측벽(12) 간의 간격으로, 하단 측을 상기 작업 공간(10a)에 연통시킨 환기 덕트(10b)를 형성하며, 상기 작업 공간(10a)의 윗쪽에 있는 상기 천판(15)에는, 상기 작업 공간(10a) 내로 바깥 공기를 유입시키는 다수의 흡기구멍(17)을 형성하고, 상기 환기 덕트(10b)에 상기 집진 유니트(20)와 상기 환기 유니트(30)를 각각 연통함과 동시에, 상기 집진 유니트(20)는, 블라스트 작업 시에 작동되어 상기 환기 덕트(10b) 내의 흡인 풍속을, 빨라도, 사용되는 연마재의 부유 속도 미만이 되도록 설정되어 상기 본체(10) 내를 부유 하는 분진을 상기 본체(10) 내의 공기와 함께 흡인해, 공기중의 분진을 포집해 청정한 공기를 배출함과 동시에, 상기 환기 유니트(30)는, 도장 공정 시에 작동되어 소정의 흡인 풍속에 의해, 상기 본체(10) 내를 부유 하는 도료 입자를 상기 본체(10) 내의 공기와 함께 흡인하여, 공기중의 도료 입자를 포집해 도료 입자가 제거된 청정한 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블라스트실 1에 있어, 상기 집진 유니트(20) 또는 상기 환기 유니트(30)의 어느 쪽이든 한편(실시예에 있어서는 집진 유니트(20))을 상기 본체(10) 내에 돌설 배치함으로써 상기 격벽(25)을 형성해, 상기 격벽(25)의 상기 다른 측벽(12)과의 대향 면에, 상기 격벽(25)을 구성하는 상기 집진 유니트(20) 또는 상기 환기 유니트(30)의 흡입구(실시예에서는, 집진 유니트(20)의 흡입구(22))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다른 측벽(12)에, 상기 집진 유니트(20) 또는 상기 환기 유니트(30)의 한편(실시예에 있어 환기 유니트(30))를 상기 환기 덕트(10b)에 연통시키는 통로(12a)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 상기 통로(12a)를 개폐하는 제1 개폐 수단(실시예에 있어 통로(12a)를 개폐하는 커버판) 12 b를 구비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집진 유니트(20)에 의한 1분간 당의 흡인 풍량을, 상기 본체(10) 내부 용적의 1. 5배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기 환기 유니트(30)는 도료 입자의 포집 수단(32)으로서 배플판(32a)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환기 유니트(30)에 의한 환기에 의해 생기는 작업 공간(10a) 내의 기류 속도가 0. 4 m/s 이상이 되도록 하고, 상기 환기 유니트(30)에 의한 흡인 풍량을, 상기 집진 유니트(20)에 의한 흡인 풍량의 2 ~ 7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어는 것이던 하나의 측벽(실시예에 있어 다른 측벽 12)의 하단 위치에서 상기 작업 공간(10a)을 향해 일단을 열어놓은 연마재의 회수 덕트(41)와, 상기 연마재 회수 덕트(41)의 타단에 도입구(42a)를 연통한 사이클론(42)과, 상기 사이클론(42)의 배기구(42b)에 일단을 연통함과 동시에, 타단을 상기 환기 덕트(10b)에 연통한 배기 덕트(43)로 구성된 연마재 회수 유니트(40)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 덕트(43)와 상기 집진 유니트(20)의 흡입구(22) 간을 연통 또는 차단하는 제2 개폐수단(44)과, 상기 집진 유니트(20) 및 상기 환기 유니트(30)가 연통하는 위치의 하부에서, 상기 환기 덕트(10b) 내의 유로를 개폐하는 제3 개폐수단(45)을 구비할 수가 있다.
이 경우, 가요성의 연마재 회수 호스(47)를 상기 연마재 회수 덕트(41)의 개구부에 연결 가능하게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작업 공간(10a) 내의 마루판(16) 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그레이팅 등의 개공판(61)을 부설해, 상기 마루판(16)과 개공판(61) 사이에 연마재 회수 공간(62)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회수 공간(62)을 향해 열려 있는 연마재 회수 덕트(41’)를 사이클론(42’)의 도입구에 연통하고, 상기 사이클론(42’)의 배기구에 연통된 배기 덕트(43’)를, 배풍기(51)을 갖춘 더스트 수집기(50)에 연통하여 연마재의 회수 유니트(40’)을 형성 함과 동시에, 도장 공정 시, 상기 개공판(61)의 트인 구멍을 막는 폐쇄 수단(63)을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블라스트실은, 블라스트 가공 시에는 출입구(11a)를 폐쇄해 집진 유니트(20)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도장 시에는 출입구(11a)를 개방해 환기 유니트(30)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블라스트 가공 시에는 상기 집진 유니트(20)에 의해 블라스트 가공 시의 작업실(1) 내의 오염 상태에 대응한 환기와 분진의 포집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도장 시에는 환기 유니트(30)에 의해 작업실(1) 내의 도장 시의 오염 상태에 대응한 환기와 도료 입자의 포집을 실시할 수 있어, 공통의 작업실(1)을 블라스트 가공 및 도장의 어느 경우에도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작업실(1)의 구성에 의해, 출입구(11a)를 닫은 상태로 행해지는 블라스트 작업 시에는, 작업실(1) 내에는 본체(10)의 천판(15)에 형성된 흡기구(17)을 통해서 바깥 공기를 도입함과 동시에, 격벽(25)의 하단(25a)과 마루판(16) 간의 비교적 낮은 위치에서 작업 공간(10a)과 연통하는 환기 덕트(10b)를 통해서 작업 공간(10a) 내부를 흡인함으로써, 작업실(1) 내에는 일례로서 도 1에 나타나 있듯이 작업 공간(10a) 내에서 분사된 연마재 또는 블라스트 가공에 수반해 발생한 연삭분, 연마재의 파쇄분 등의 분진을 마루판(16) 측에 눌러 내리듯이 작용하는 아래로 향한 공기류가 생겨 그 결과, 연마재 또는 분진의 부유에 의한 오염을 조기에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천판(15) 또는 측벽(11~14)등에 대해서 연마재 또는 분진이 부착 하기 어렵고, 이러한 위치에 부착한 연마재 또는 분진이, 그 후의 도장 시에 낙하해서 도막에 부착하는 등의 폐해도 방지한다.
또한, 환기 덕트(10b) 내의 풍속이, 연마재의 부유 속도 미만이 되도록 상기 집진 유니트(20)의 흡인 풍속을 설정한 것에 의해, 집진 유니트(20)에 의한 환기 시에 연마재가 집진 유니트(20)에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별도로 연마재를 회수해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구(11a)를 개방한 상태로 환기 유니트(30)에 의한 도장시의 환기를 실시해, 도장 시에는 도 3에 나타나 있듯이, 작업 공간(10a) 내에 동 도면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흐르는 공기류를 발생시킴으로써, 도료 입자를 비교적 긴 거리의 작업 공간(10a) 내를 이동시킬 수 있어 그 사이에 도료 입자가 건조해, 환기 유니트(30)에서의 도료 입자의 포집이 용이하다.
또한, 출입구(11a)를 개방한 상태로 환기를 실시함으로써, 작업 공간(10a) 내에는 다량의 공기가 도입되어 작업 공간(10a) 내부를 깨끗하고 위생적인 환경으로 유지한다. 따라서, 단일의 작업실을 사용해 블라스트 가공과 도장이라는 두 가지 공정을 실시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블라스트 가공 시 및 도장 시 각각의 최적화된 상황에서 환기를 실시한다.
상술한 격벽(25)을, 본체(10) 내에 돌설 배치한 집진 유니트(20) 또는 환기 유니트(30)의 어느 쪽이든 한편(실시예에 있어서는 집진 유니트(20))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집진 유니트(20)와 환기 유니트(30)를 모두 본체(10) 외부에 배치하는 경우와 비교해 작업실(1) 전체를 컴팩트(compact)하게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 도장 시에 다른 측벽(12)에 구비된 통로(12a)를 통해서 환기 유니트(30)에 의해 환기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작업 공간(10a)으로부터의 공기의 흐름은 도 3 중에 흰색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집진 유니트(20)의 흡입구(22) 측에 들어가기 전에 통로(12a)를 통해서 환기 유니트(30) 측으로 도입되기 때문에, 집진 유니트(20)의 흡입구(22)를 개방한 상태로 환기 유니트(30)에 의한 환기를 실시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집진 유니트(20) 측으로 도료 입자가 들어가기 어렵도록 되어 있다.
한편, 블라스트 가공 시에 집진 유니트(20)에 의한 환기를 실시하는 경우, 작업 공간(10a) 내의 공기는 도 1 중에 흰색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환기 덕트(10b) 내에 도입된 후, 다른 측벽(12)에 충돌해 흐름을 굽힌 후에 흡입구(22)로 도입되기 때문에, 다른 측벽(12)에 구비된 통로(12a)를 개방한 채로 환기를 실시하면, 이 기류 중에 포함된 분진이, 통로(12a)를 통해서 환기 유니트(30)의 배플판(32a)이나 2차 필터(32b) 등의 포집 수단(32)에 충돌해 포집 수단(32)의 여과 수명을 단축시켜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것처럼 통로(12a)를 개폐하는 제1 개폐 수단(실시예에 있어 통로(12a)를 개폐하는 커버판) (12b)를 구비함으로써, 집진 유니트(20)에 의해 환기를 실시할 때에 제1 개폐 수단(12b)으로 통로(12a)를 막으면, 환기 유니트(30)로 분진이 도입되지 않고, 상술한 바와 같이 환기 유니트(30)에 구비된 배플판(32a)이나 2차 필터(32b) 등 포집 수단(32)의 여과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무엇보다, 도시한 구성에 있어서, 환기 유니트(30)에 의한 환기를 실시할 때에 집진 유니트(20)의 흡입구(22)내로 도료 입자가 들어가는 것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집진 유니트(20)의 흡입구(22)에도 개폐 수단을 구비해 환기 유니트(30)에 의한 환기 시, 집진 유니트(20)의 흡입구(22)를 닫아도 좋다.
또한 집진 유니트(20)와 환기 유니트(30)의 배치를 도시의 실시예와는 역으로 한 구성에 있어서, 통로(12a)에 제1 개폐 수단(12b)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환기 유니트(30)에 의한 환기 때, 집진 유니트(20)에 도입되어 집진 유니트(20)의 수명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이 경우에도, 환기 유니트(30) 측에 그 흡입구를 개폐하는 개폐 수단을 구비해도 좋다.
상기 집진 유니트(20)에 의한 1분 당 흡인 풍량을, 상기 본체(10) 내의 용적의 1. 5배 이상으로 한 것에 의해, 분진 등이 발생해도 비교적 단시간에 작업 공간(10a) 내부를 환기해서 깨끗한 상태로 유지한다.
환기 유니트(30)에 구비되는 도료 입자의 포집 수단(32)으로 배플판(32a)을 갖춘 구성에 있어서는, 도료 입자는 배플판(32a)과의 충돌에 의해 포집되는 것이기 때문에, 여과 방식의 필터로 포집하는 경우와 같이 막힘에 의하여 흡인 풍속이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의 발생이 없고, 장시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환기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배플판(32a)를 사용한 건식의 방법으로 도료 입자의 포집을 실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습식의 포집 방법, 즉, 수조 속에 부은 물 속에 배기를 통과시켜 도료 입자를 포집하는 수단을 채용하는 경우에 필요로 하는, 배수 처리 등의 번잡한 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없고, 배플판(32a)의 교환이라고 하는 비교적 간단한 작업에 의해 유지보수를 실시할 수 있다.
더욱, 상기 환기 유니트(30)에 의한 환기에 의해 생기는 작업 공간(10a) 내의 기류 속도가 0. 4 m/s이상, 또한, 상기 환기 유니트(30)에 의한 흡인 풍량을, 상기 집진 유니트(20)에 의한 흡인 풍량의 2 ~ 7배로 한 구성에 있어서는, 출입구(11a)를 개방한 상태에서, 도료 입자가 출입구(11a)로부터 작업 공간(10a) 밖으로 누설될 염려가 없다. 또한, 작업 공간(10a) 내부로 대량의 바깥 공기가 도입되므로 작업 공간(10a) 내부를 청정한 공간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료 입자를 이 기류에 실어 보냄으로써, 도료 입자가 마루판(16) 위에 낙하, 부착하기 전에, 보다 확실히 환기 유니트(30)로 인입시켜 포집한다.
또한, 상기 회수 유니트를 구성 함과 동시에, 제2 개폐수단(44)과 제3 개폐수단(45)을 구비한 구성에 있어서는, 제2 개폐수단(44)에 의해 배기 덕트(43)와 집진 유니트(20)의 흡입구(22) 간을 연통하고, 제3 개폐수단(45)에 의해 집진 유니트(20)의 흡입구(22)의 하부에 있어서의 환기 덕트(10b) 내의 유로를 막는다. 이렇게 함과 동시에, 집진 유니트(20)를 작동시킴으로써, 집진 유니트(20)에 의해 환기 덕트(10b), 배기 덕트(43), 사이클론(42) 및 회수 덕트(41)를 통해서 작업 공간(10a) 내부의 흡기가 실시되기 때문에, 마루판(16) 위에 퇴적된 연마재와 분진을 예를 들면 빗자루 등에 의해 쓸어 모아 회수 덕트(41)의 개구부에 투입함으로써, 작업 공간(10a) 내의 연마재와 분진을 회수한다. 그리고, 이 속에서 재사용되는 연마재를 사이클론(42)에 의해 회수한다.
또한, 연마재 회수용 호스(47)를 회수 덕트(41)의 개구부에 연결해 회수 덕트(41)를 연장함으로써, 연마재 회수 호스(47)의 개방된 끝부분을 작업 공간(10a) 내의 적당의 위치로 이동시켜 마루판(16)의 연마재 또는 분진을 흡인시키는 것에 의해, 상술한 것처럼 작업원(M)이 빗자루 등을 사용해 마루판(16) 위에 퇴적된 연마재 또는 분진을 쓸어모으는 작업도 불필요해졌다.
또한 상기 마루판(16)과 개공판(61) 간에 연마재의 회수 공간(62)을 형성하고, 한편, 배풍기(51)를 갖춘 더스트 수집기(50)에 의해 회수 유니트(40’)를 형성함과 동시에, 도장 공정 시, 상기 개공판(61)의 트인 구멍을 막는 폐쇄 수단(63)을 구비한 구성에 있어서는, 더스트 수집기(50)의 배풍기(51)에 의해 회수 공간(62) 내부를 흡인함으로써, 블라스트 가공 시에, 집진 유니트(20)에 의한 작업 공간(10a) 내부의 환기와 동시에 연마재의 회수를 실시할 수 있어 보다 한층, 작업 공간(10a) 내부를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장 시, 폐쇄 수단(63)에 의해 개공판(62)의 트인 구멍을 막는 것으로, 도료 입자가 회수 공간(62)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연마재에 대한 도료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회수 공간(62) 내에 연마재 또는 분진이 남아 있을 경우에 있어서도, 이 연마재 또는 분진이 날아 올라가 페인트가 필해진 도막 속에 혼입되는 것도 매우 적합하게 방지한다.
도 1: 본 발명의 블라스트실 (실시예 1)의 블라스트 가공 시의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2: 도 하나의 II-II선 단면도,
도 3: 본 발명의 블라스트실 (실시예 1)의 도장 시의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4: 환기 유니트의 사시도,
도 5: 본 발명의 블라스트실 (실시예 2)의 블라스트 가공 시의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6: 본 발명의 블라스트실 (실시예 2)의 연마재 회수 시의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7: 본 발명의 블라스트실 (실시예 2)의 도장 시의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8: 본 발명의 블라스트실 (실시예 3)의 블라스트 가공 시 (연마재 회수를 병용)의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9: 본 발명의 블라스트실 (실시예 3)의 도장 시의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블라스트실 1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전체 구성]
도 1 ~ 도 3 중의 부호 1은, 본 발명의 블라스트 실이다. 이 작업실(1)은, 특별히 그 전체 형상은 한정되지 않지만,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듯이 작업자(M)가 워크피스(W)와 함께 내부에 들어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측벽(11~14)과 천판(15) 및 마루판(16)에 의해 둘러싸인 대략 박스형의 본체(10)와, 블라스트 가공 시에 상기 본체(10) 내의 환기를 실시하는 집진 유니트(20)와, 도장 시에 상기 본체(10) 내의 환기를 실시하는 환기 유니트(30)를 갖추고 있다.
[본체]
본 발명의 작업실(1)을 구성하는 상술한 본체(10)는, 대향(對向)하는 2조의 측벽(11, 12 및 13, 14)과 천판(15) 및 마루판(16)에 의해 형성된 예를 들면 금속제의 박스체이고, 이 본체(10) 내에는, 워크피스(W)와 함께 작업자(M)가 들어가서, 블라스트 가공 및 도장을 할 수 있는 작업 공간(10a)이 형성된다.
이 본체(10)의 천판(15)에는, 본체(10)의 작업 공간(10a) 내에 바깥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흡기구멍(17)이 다수, 바람직하게는 작업 공간(10a)상에 위치 하는 천판(15) 전체에 균일하게 등 간격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집진 유니트(20) 및 도장배기 유니트(30)에 의해 환기를 실시하기 위하여 본체(10) 내의 공간이 흡인되면, 천판(15)에 구비된 상술한 흡기구멍(17)을 통하여 본체(10) 내에 하방을 향하여 바깥 공기가 도입된다.
또한, 상술한 2조의 대향하는 측벽 11, 12와 13, 14의 조(pair) 중의 한편의 조(11, 12)를 구성하는 하나의 측벽 11에는, 본체(10) 내부로의 워크피스(W)의 반출입 및 작업자(M)의 입퇴실을 가능하게 하는 출입구(11a)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 출입구(11a)를 개폐하는 문 또는 셔터 등인 개폐체(11b)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나의 측벽 11과 대향하는 다른 측벽 12에는 통로(12a)가 구비되며, 이 통로(12a)를 통하여 후술하는 환기 유니트(30)가 본체(10) 내부를 흡인한다.
이 통로(12a)에는, 당해 통로(12a)를 개폐하는 커버 플레이트(cover plate)인 제1 개폐수단(12b)이 설치되어 있어, 이 제1 개폐수단(12b)에 의해 블라스트 가공 시 상기 통로(12a)를 막음과 동시에, 도장 시 상기 통로(12a)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이 통로(12a)를 통하여 환기 유니트(30)를 연통시키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 구성에 대신해서, 후술하는 집진 유니트(20)를 연통시키는 것으로 해서, 도시한 구성과 달리 집진 유니트(20)와 환기 유니트(30)의 배치를 역전시켜도 좋다.
상술한 본체(10) 내에는, 상술한 다른 측벽 12에 근접한 위치에, 상기 천판(15)으 로부터 마루판(16)을 향해 돌출됨과 동시에, 하단(25a)이 상기 마루판(16)에 대해서 소정의 높은 위치에 떨어지게 배치된 격벽(25)이 구비된다.
이 격벽(25)에는, 도 2에 나타나 있듯이 출입구(11a)가 설치된 하나의 측벽 11과 직교 방향으로 배치된 측벽(13, 14) 간의 간격에 대응하는 폭을 가져, 이 격벽(25)에 의해 상기 본체(10) 내의 공간이 나누어 지고 있다. 그리고, 이 격벽(25)에 대해서 하나의 측벽 11 옆의 본체(10) 내부로 워크피스(W)와 함께 작업원(M)이 들어가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 공간(10a)이 형성됨과 동시에, 격벽(25)에 대해서 다른 측벽 12 측에, 하단을 작업 공간(10a)에 연통시킨 환기 덕트(10b)가 형성된다.
또한 본체의 다른 측벽 12의 하단 부분은, 도 1 및 도 3에 나타나 있듯이 하부를 향해 감에 따라 작업 공간(10a)측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하여, 후술하는 집진 유니트(20) 또는 환기 유니트(30)에 의해 환기 덕트(10b) 내를 흡인했을 때, 작업 공간(10a) 측으로부터 환기 덕트(10b) 내로 유입되는 공기류를 원활하게 환기 덕트(10b) 내부로 끌어들일 수 있다.
상술한 격벽(25)은,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집진 유니트(20)를 본체(10) 내에 돌출 형성하는 것으로써 형성된 것이고, 이 격벽(25)은 집진 유니트(20)의 케이싱을 겸하고 있다. 따라서, 격벽(25)의 두께 내에는, 필터(도시하지 않음) 등의 집진 유니트(20)의 부속품 들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격벽(25)을 집진 유니트(20)의 케이싱에 의해 형성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격벽(25)과 집진 유니트(20)와는 완전히 별개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체(10)의 측벽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도록 상기 환기 덕트(10b)를 연통시켜도 좋다.
또한, 도시한 구성에 대신해, 상술한 바와 같이 집진 유니트(20)와 환기 유니트(30)의 배치를 역전시켜, 본체(10) 내에 환기 유니트(30)를 돌출 배치하는 것으로써 격벽(25)을 형성해도 좋다.
또한 본체(10)의 마루판(16)에는, 도시하지 않은 개공판(開孔板), 바람직하게는 그레이팅(grating) 등의 비교적 두께가 있는 개공판을 부설함으로써, 블라스트 가공 시에 분사된 연마재 또는, 연마재의 분사에 의해 발생한 분진이 낙하하여 마루판(16) 상에 도달하면, 이 개공판에 형성된 구멍 내로 들어가 재 부유 등을 일으키기 어렵도록 형성하는 것도 좋다.
이 경우, 개공판은, 마루판(16) 상에 단순히 올려 놓는 것으로 해서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도록 해 둠으로써, 연마재 회수 시에는 이 개공판을 마루판(16) 상에서 들어내고 마루판(16) 위에 퇴적된 연마재를, 예를 들면 빗자루 등으로 쓸어 모아 회수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집진 유니트]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체(10)에는, 블라스트 가공 시, 상기 본체(10) 내부를 환기하는 집진 유니트(20)가 설치된다.
이 집진 유니트(20)는, 이 집진 유니트(20)에 구비된 배풍기(21; 排風機)의 작동에 의해, 상술의 환기 덕트(10b)를 통해서 작업 공간(10a) 내의 공기를 흡인함과 동시에, 흡인한 작업 공간(10a) 내의 공기를, 내부에 설치된 필터 등의 분진 포집 수단 (도시하지 않음)을 통과시켜 분진을 제거한 후에 배기하는 것이다. 상술한 것처럼,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 집진 유니트(20)를 본체(10) 내의 천판(15) 측에서 돌출 배치함으로써, 집진 유니트(20)의 케이싱이 상술한 격벽(25)을 겸한다.
그리고, 이 집진 유니트(20)의 케이싱인 격벽(25)의 환기 덕트(10b) 측의 측면에는, 도 2에 나타나 있듯이 흡입구(22)가 구비되고, 배풍기(21)의 작동에 의해, 이 흡입구(22)로부터 환기 덕트(10b)를 통해서 작업 공간(10a) 내의 공기를 집진 유니트(20) 내부로 끌어들인다.
도시한 구성 중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집진 유니트(20)에 의한 환기 시에는 상기 흡입구(22)를 열고, 후술하는 환기 유니트(30)에 의한 환기 때에는, 상기 흡입구(22)를 닫는, 예를 들면 커버판(cover plate) 등의 개폐 수단이 구비된다.
집진 유니트(20)에 설치되는 배풍기(21)는, 환기 덕트(10b)를 통해서 작업 공간(10a) 내부의 환기를 실시할 때에, 작업 공간(10a)의 마루판(16) 상에 퇴적되어 있는 연마재가 집진 유니트(20)내로 흡인되지 않도록, 환기 덕트(10b) 내의 흡인 풍속이, 사용하는 연마재의 부유 속도를 넘지 않게 (동등 또는 그 이상) 설정된다, 한편, 작업 공간(10a) 내의 환기를 비교적 단시간에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1분간에 작업실(1) 내의 용적의 1.5배 이상의 흡인 풍량을 가지는 배풍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기 유니트]
도 1, 3, 4 중의 부호 30은, 도장 시에 본체(10) 내의 환기를 실시하는 환기 유니트이고, 상술한 본체(10)의 다른 측벽 12에 설치된 통로(12a)를 통해서 본체(10) 내의 환기 덕트(10b)와 연통되어, 이 환기 덕트(10b)를 통해서 작업 공간(10a) 내의 공기를 흡입한다.
이 환기 유니트(30)는, 배풍기(31)의 구동에 의해 본체(10)의 작업 공간(10a) 내의 공기를 흡인함과 동시에, 이 공기 중에 포함되는 도료 입자를 포집하기 위한 포집 수단(32)에 의해 공기 중에 안개 상태로 존재하는 도료 입자를 포집하고 청정한 공기를 배기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료 입자를 포집하는 상술한 포집 수단(32)으로서 배플판(32a) (baffle plate; 일차 필터)과 이 배플판(32a)의 후방에 배치된 2차 필터(32b)를 구비한다.
이 중 배플판(32a)은, 도 4에 나타나 있듯이 공기흐름의 통로 중에 입설된 판체이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폭 방향의 단면이 대략 U자 형으로 형성된 배플판(32a)을 교대로 역 방향에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해, 공기류가 배플판(32a) 간에 형성된 틈새를 도면 중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사행해 통과할 때에, 공기 중의 도료 입자를 배플판(32a)의 표면에 충돌시켜 포집 함으로써, 공기중의 도료 입자의 대부분을 포집 할 수 있다.
또한 배플판(32a)에 의해 포집하지 못하고 공기 중에 근소하게 남는 도료 입자는, 배플판(32a)의 후방에 배치된, 예를 들면 부직포 등으로 구성된 기존의 여과식 필터인 2차 필터로 여과 포집된다.
이 환기 유니트(30)에 설치되는 상술한 배풍기(31)는, 작업 공간(10a) 내에 0. 4 m/s 이상의 기류 속도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을 사용하고, 또한, 상술한 집진 유니트(20)에 설치된 배풍기에 대해서 2~7 배의 흡인 풍량 발생이 가능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분무된 도료의 미립자가 작업 공간 내의 마루 면 등에 도달하기 전에 흡인해서 도장 배기 유니트로 포집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술한 배플판(32a)의 표면에 도료 입자의 포집 효율을 높이기 위한 특수 가공을 함으로써, 상술한 배플판(32a)에 의한 도료 입자의 포집 효율이 높고, 상술한 배플판(32a)과 2차 필터(32b)와의 조합에 의한 이중 여과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멜라민 도료 (melamine paint)의 90% 이상, 래커 프라이머 (lacquer primer)의 85% 이상이라고 하는 높은 포집 효율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일차 필터인 배플판(32a)과 2차 필터(32b)와의 조합에 의해 도료 입자의 포집을 실시하는 것으로 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는, 도료 입자의 대부분이 배플판(32a)에 의해 포집되기 때문에, 2차 필터(32b)에 의해 포집되는 도료 입자의 양이 적어, 2차 필터(32b)의 막힘 현상이 생기기 어렵고, 그 결과, 비교적 장시간에 걸쳐 계속적으로 사용했을 경우에도, 환기 유니트(30)의 흡인 풍속의 저하는 생기지 않고, 작업실 내의 환기를 양호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배플판(32a)과 2차 필터(32b)를 이용한 건식 방법에 의해 도료 입자를 포집하기 때문에, 배기를 수조에 담긴 물 속을 통과시켜 수중에 도료 입자를 포집하는 습식 포집 방법을 채용하는 경우와 같이, 포집에 사용한 물의 처리 등 번잡한 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배플판(32a) 또는 2차 필터(32b)를 교환하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유지보수(maintenance)를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작용 등]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업실(1)을 사용해, 워크피스(W)에 대해 블라스트 가공을 실시함과 동시에, 이 블라스트 가공 후의 워크피스에 대해서 도장을 실시하는 경우에 대해, 작업실(1)의 각부의 동작 등을 설명한다.
워크피스(W)에 대해서 가공을 실시하기에 앞서, 작업실(1)의 본체(10)의 하나의 측벽 11에 설치된 개폐체(11b)를 개방해, 처리 대상인 워크피스(W)를 작업 공간(10a) 내로 반입함과 동시에,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자(M)가 작업 공간(10a) 내로 입실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워크피스(W)에 대한 작업은, 모두 작업자(M)가 실시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지만, 예를 들면 작업자(M)에 대신해 워크피스(W)와 함께 작업 로봇(robot) 등을 작업 공간(10a) 내로 반입해, 작업 공간(10a) 내에서 무인 작업을 실시 해도 좋다.
워크피스(W)에 대해서 블라스트 가공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도 1에 나타나 있듯이 하나의 측벽 11에 형성된 출입구(11a)를 개폐체(11b)에 의해 닫아 연마재 또는 분진이 작업실(1) 외로 새어 나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한편의 측벽 12에 구비된 통로(12a)를 제1 개폐 수단(12b)으로 닫아 집진 유니트(20)의 배풍기(21)를 온(ON), 환기 유니트(30)의 배풍기(31)를 오프(OFF)로 한 상태로, 작업 공간(10a) 내의 작업원(M)은, 도시하지 아니한 연마재 압송장치로부터 공급된 연마재를, 손에 들고 있는 블라스트 건(blast gun)으로부터 워크피스(W) 표면의 필요한 곳에 분사해 블라스트 가공을 실시한다.
집진 유니트(20)에 구비된 배풍기(21)의 온(ON)에 의해, 집진 유니트(20)는 흡입구(22)로부터 환기 덕트(10b)를 통해서 작업 공간(10a) 내의 공기를 흡입 함과 동시에 본체(10) 외부로 배기함으로써, 이 집진 유니트(20)에 의한 흡인에 의해 부압(負)이 된 작업 공간(10a) 내에는, 본체(10)의 천판(15)에 설치된 흡기구멍(17)을 통해서 도 1 중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방을 향해 바깥 공기가 도입된다.
그리고, 작업 공간(10a) 내의 공기는, 본체(10)의 마루판(16)과 격벽(25)의 하단 (25a) 사이로부터 환기 덕트(10b)를 통해서, 집진 유니트(20)의 흡입구(22)내로 흡인되어 집진 유니트(20) 내에서 공기 중에 포함된 분진이 제거된 후, 청정한 공기가 배기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일례로서 집진 유니트(20)에 구비된 배풍기(21)의 성능을, 1분당 본체(10)내 공간의 체적의 1. 5배의 공기를 배기할 수 있는 풍량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고 있어, 그 결과, 블라스트 가공에 의해 발생한 분진 등을 즉시 제거할 수 있어 작업 공간(10a) 내를 깨끗하고 쾌적한 공간으로 유지한다.
이와 같이, 작업 공간(10a) 내에 대한 바깥 공기의 도입을, 천판(15)에 형성된 흡기구멍(17)을 통해서 시현함과 동시에, 작업 공간(10a)내의 공기의 흡인을, 마루판(16)에 가까운 위치에 개구부를 구비한 환기 덕트(10b)를 통해서 실시함으로써, 작업 공간(10a) 내에는, 도 1 중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천판(15) 측으로부터 마루판(16) 측으로 향하는 아래로 향한 공기의 흐름이 생긴다.
그 때문에, 분사된 연마재 및 블라스트 가공 시에 발생한 분진은, 이 공기류에 의해 마루판(16) 쪽으로 꽉 눌려 깔리는 형태로 이동해, 비교적 단시간에 마루판(16) 위에 낙하해 퇴적됨과 동시에, 일단 마루판(16) 위에 낙하해 퇴적된 연마재 및 분진 등은 환기에 수반해 발생하는 공기류에 의해 감아 올려져서 재 부유하기 어려운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블라스트 가공이 종료된 후, 마루판(16) 위에 퇴적된 연마재 및 분진은, 필요에 따라 이것을 빗자루 등으로 쓸어모으는 등으로 해서 제거한다. 상술한 것처럼, 마루판(16) 상에 그레이팅 등의 개공판을 부설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 개공판을 일단 떼어낸 후, 마루판(16) 표면에 퇴적된 연마재 및 분진을 회수 해도 좋다.
또한 이와 같이 빗자루로 쓸어모으는 등에 의해 연마재 및 분진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이 작업 시에 마루판(16) 상에 퇴적된 분진 등이 재차 부유해 작업 공간을 오염할 우려가 있으므로, 출입구(11a)를 닫은 상태로 하고, 제1 개폐 수단(12b)으로 통로(12a)의 폐쇄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집진 유니트(20)의 배풍기(21)를 온(ON) (환기 유니트(30)의 배풍기(31)는 오프(OFF))로 한 상태를 유지해, 작업 공간(10a) 내의 환기를 계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연마재의 회수를 실시하지 아니하고, 예를 들면 연마재 및 분진이 퇴적된 상태의 마루판(16) (또는 그레이팅 등의 개공판을 부설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 개공판) 위에 예를 들면 보호용의 시트 등을 씌움으로써, 다음 공정으로서 도장을 실시하는 도중에, 마루판 상에 퇴적된 분진 등이 부유 해서 도막에 붙어 이를 오염시키거나, 후에 회수해 재 사용되는 마루판 상에 퇴적된 연마재 중에 도료가 혼입되는 것을 방지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해서, 마루판(16) 상에 퇴적된 연마재 및 분진의 제거를 완료하고, 및/또는, 마루판(16) 위를 보호 시트 등으로 가린 상태에서, 블라스트 처리가 종료된 워크피스(W)에 대해서 도장을 실시한다.
도장 시에는, 도 3에 나타나 있듯이 제1 개폐 수단(12b)의 조작에 의해 본체의 다른 측벽 12에 구비되어 있는 통로(12a)를 열어, 환기 유니트(30)를 환기 덕트(10b)에 연통시킴과 동시에, 환기 유니트(30)에 구비된 배풍기(31)를 온(ON), 집진 유니트(20)에 구비된 배풍기(21)를 오프(OFF)로 해서, 환기 유니트(30)에 의한 작업 공간(10a)내의 환기를 실시한다.
이 때, 본체(10)의 하나의 측벽 11에 구비된 개폐문(11b)을 열어, 출입구(11a)를 개방해, 도 3 중에 하얀 (두꺼운)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출입구(11a)로부터 통로(12a)를 향해 흐르는 공기류를 발생시킨 상태에서 도료를 분무해 워크피스(W)에 대한 도장을 실시한다.
이와 같이, 출입구(11a)를 연 상태로 환기 유니트(30)에 구비된 배풍기(31)를 온(ON)으로 하면, 작업 공간(10a) 내에는, 천판(15)에 구비된 흡기구멍(17)을 통해서 바깥 공기가 도입될 뿐 아니라, 출입구(11a)를 통해서 보다 대량의 바깥 공기가 도입되어 작업 공간(10a) 내에는 도 3 중에 하얀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도면의 좌측에서 우측을 향해 흐르는 공기류가 발생된다.
여기서, 작업 공간(10a) 내에서 분무된 도료는, 미세한 입자 상태이고, 연마재 등과 비교해 경량이기 때문에, 환기 유니트(30)에 의해 작업 공간(10a) 내에 생긴 공기류를 타기 쉽고, 출입구(11a)를 개방한 상태에서도 출입구(11a)측으로부터 통로(12a) 측으로 향하는 공기류의 발생에 의해 본체(10) 외로 도료 입자가 누출되지 않고, 도료 입자는 이 기류를 타고 마루판(16)에 도달하기 전에 작업 공간(10a), 환기 덕트(10b)를 거쳐 통로(12a)를 통해서 환기 유니트(30) 내로 흡인되어, 상술한 배플판(32a)과 2차 필터(32b)에 의해 도료 입자가 포집되고 청정한 공기가 바깥으로 배출된다.
또한, 도료 입자는, 출입구(11a) 측으로부터 통로(12a) 측을 향해 비교적 긴 거리의 작업 공간(10a)을 이동하기 때문에, 이동 시에 쉽게 건조되어, 환기 유니트(30)에 의한 포집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상술한 것처럼 작업 공간(10a) 내에는, 출입구(11a) 측으로부터 통로(12a) 측을 향해 흐르는 기류가 발생되고 있기 때문에, 연마재 및 분진의 회수 시에 남겨둔 연마재 및 분진 등이 마루판(16) 위에 남아 있었다고 해도, 이들 연마재 및 분진은 마루판(16) 상에 깔려서 이동하므로 감아 오르기 어렵고, 따라서, 도막이 연마재 및 분진에 의해 오염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환기 유니트(30)에 구비된 배풍기(31)의 흡인 풍량을, 집진 유니트(20)에 구비된 배풍기(21)에 의한 흡인 풍량보다 많게, 일례로서 2~7배로 한 것에 의해, 작업 공간(10a) 내로 대량의 바깥 공기를 도입해 깨끗한 상태로 유지 함과 동시에, 개방된 출입구(11a)를 통한 도료 입자의 누출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어 더욱, 도료 입자를 마루판(16) 상에 도달시키는 일 없이, 보다 확실히 환기 유니트(30)로 끌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작업실(1)의 다른 구성 예(실시예 2)를 도 5 ~ 도 7을 참조해 설명한다.
도 5 ~ 도 7에 나타낸 본 실시예의 작업실(1)에서는, 회수 덕트(41), 사이클론(42), 및 배기 덕트(43)에 의해 구성되는 회수 유니트(4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환기 덕트(10b) 중에 제2, 제3 개폐 수단(44, 45)을 갖추고 있는 점에서, 도 1 ~ 도 4를 참조해 설명한 상기 실시예 1의 작업실(1)과는 다르지만,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 ~ 도 4를 참조해 설명한 실시예 1의 작업실(1)과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공통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회수 유니트(40)를 구성하는 사이클론(42)은,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류에 의해 내부에서 선회류(swirling flow)를 일으키게 해서 비교적 중량이 무거운 연마재를 원심력에 의해 공기류 중에서 탈락시켜, 분리·낙하시켜 회수함과 동시에, 연마재와 비교해 경량인 분진을 공기류에 실어 배출함으로써, 재 사용되는 연마재를 분리, 회수한다.
또한 이 사이클론(42)의 하단에는, 회수된 연마재를 저장하기 위한 연마재 탱크(42c)를 구비할 수 있고 또한, 이 탱크(42c) 내에 회수된 연마재를 작업 공간(10a) 내에 배치된 블라스트 건으로 압송하기 위한 연마재 압송 수단(도시하지 않음) 등을 설치해도 좋다.
이 사이클론(42)의 도입구(42a)는, 도 5 ~ 도 7에 나타나 있듯이 회수 덕트(41)를 통해서 작업 공간(10a) 내부로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사이클론(42)의 배기구(42b)가, 배기 덕트(43)를 통해서 본체(10) 내에 형성된 상술한 환기 덕트(10b)에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회수 덕트(41)의 개구부 하단이, 본체(10)의 마루판(16)과 동일 높이가 되도록 작업 공간(10a)을 향해 열려있도록 하여, 도 6에 나타나 있듯이 마루판(16) 위에 퇴적된 연마재 및 분진을 회수 덕트(41)의 개구부로 작업자(M)가 빗자루 등을 사용해 쓸어 모아, 연마재 및 분진을 회수 덕트(41)내로 흡인시킨다.
또한, 사이클론(42)의 배기구(42b)에 연통된 배기 덕트(43)를, 본체(10)의 천판(15)을 통해서 상술한 환기 덕트(10b)에 연통시키고 있다.
환기 덕트(10b) 내에는, 상술한 제2 개폐수단(44)및 제3 개폐수단(45)가 설치되고 있다. 이 중, 제2 개폐수단(44)은, 배기 덕트(43)와 집진 유니트(20)의 흡입구(22)간의 유로를 개폐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판체인 제2 개폐수단(44)에 의해 집진 유니트(20)의 흡입구(22)의 윗쪽 위치에서 환기 덕트(10b)를 개폐함으로써, 집진 유니트(20)의 흡입구(22)와 배기 덕트(43)간의 연통 및 차단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제3 개폐 수단은, 집진 유니트(20)의 흡입구(22) 및 통로(12a)의 쌍방에 대해서 하부 위치에서 상기 환기 덕트(10b) 내의 유로를 개폐하는 것으로, 이 제3 개폐 수단에 의해 작업 공간(10a)으로부터 집진 유니트(20)에 대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한다.
또한 상술한 회수 덕트(41)의 개구부에는, 도 6 중에 변형 예로 나타나 있듯이 어댑터(46) 등을 통해서 가요성(flexible)의 회수 호스(47)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것에 의해, 회수 덕트(41)의 개구부를 연장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회수 덕트(41)의 개구부를 연장함으로써, 회수 호스(47)의 개방된 끝부분을 연마재 및 분진이 퇴적한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본체(10)의 마루판(16) 위에 퇴적된 연마재 및 분진을 쓸어모으지 않고, 연마재를 회수할 수있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업실(1)에 있어, 블라스트 가공 시에는, 도 5에 나타나 있듯이 제2 개폐수단(44)은 배기 덕트(43)와 집진 유니트(20)의 흡입구(22)간의 연통을 차단하는 위치에, 제3 개폐수단(45)은 환기 덕트(10b)를 열어 놓는 위치로 한다.
그리고, 이 상태로 출입구(11a)를 닫아 통로(12a)를 제1 개폐 수단(12b)으로 닫아 집진 유니트(20)의 배풍기(21)를 온(ON), 환기 유니트(30)의 배풍기(31)를 오프(OFF)로 하면, 도 1을 참조해 설명한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작업실과 같이, 집진 유니트(20)에 의한 작업 공간(10a)내의 환기를 한다.
그리고 블라스트 가공의 종료 후, 작업 공간(10a)의 마루판(16) 위에 퇴적된 연마재 및 분진을 회수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나타나 있듯이 제2 개폐수단(44)을 조작해 배기 덕트(43)와 집진 유니트(20)의 흡입구(22) 사이를 연통시킴과 동시에, 제3 개폐수단(45)을 조작해, 환기 덕트(10b) 내의 유로를 폐쇄한다.
이 때, 통로(12a)는 제1 개폐 수단(12b)에 의해 폐쇄한 상태로 유지 함과 동시에, 집진 유니트(20)의 배풍기(21)를 온(ON), 환기 유니트(30)의 배풍기(31)를 오프(OFF)로 한 상태로 유지한다.
이와 같이 해서, 제3 개폐수단(45)에 의해 집진 유니트(20)의 흡입구(22)와 작업 공간(10a)간의 연통이 끊어지면, 집진 유니트(20)는 환기 덕트(10b)를 통해서 직접, 작업 공간(10a)내를 흡인할 수 없게 되는 한편, 배기 덕트(43)와 집진 유니트(20)의 흡입구(22) 사이가 연통됨으로써, 집진 유니트(20)는, 배기 덕트(43), 사이클론(42), 및 회수 덕트(41)를 통해서, 작업 공간(10a) 내의 흡인을 개시한다.
따라서, 마루판(16) 위에 퇴적된 연마재 및 분진을 쓸어 모으는 등으로 해서 회수 덕트(41)의 개구부 내로 투입하면, 투입된 연마재 및 분진은 작업 공간(10a) 내의 공기와 함께 회수 덕트(41)를 통해서 사이클론(42) 내부로 인입되어 사이클론(42) 내에서 생긴 선회류에 의해 이 중의 연마재가 제거 회수되어, 사이클론의 하부에 설치된 탱크(42c) 내로 회수된다.
한편, 연마재가 제거 회수된 후의 분진을 포함한 공기는, 사이클론(42)의 배기구(42b)를 통해서 배기 덕트(43)내로 인입되어 환기 덕트(10b)를 통해서 집진 유니트(20) 내부로 끌려 들어온다. 그리고, 이 집진 유니트(20) 내에서 더욱 분진이 제거되어, 청정한 공기가 실외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해서 연마재의 회수가 종료된 후, 블라스트 가공 후의 워크피스(W)에 대해서 도장을 실시할 때에는, 도 7에 나타나 있듯이 제2 개폐수단(44)을 배기 덕트(43)와 집진 유니트(20)의 흡입구(22) 간의 연통을 차단하는 위치에, 제3 개폐수단(45)을 환기 덕트(10b)가 열린 위치로 한다.
또한, 제1 개폐 수단(12b)에 의해 폐쇄되고 있던 통로(12a)를 개방하고, 또한, 출입구(11a)를 개방하는 한편, 집진 유니트(20)의 배풍기(21)를 오프(OFF), 환기 유니트(30)의 배풍기(31)를 온(ON)으로 하면, 도 3을 참조해 설명한 실시예 1의 경우와 같이 도장 중의 작업 공간(10a) 내의 환기가 양호하게 실행됨과 동시에, 분사된 도료 입자가 환기 유니트(30)에 설치된 배플판(32a)과 2차 필터(32b)에 의해 포집되어, 청정한 공기가 실외로 배기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술한 회수 유니트(40)와 제1, 제3 개폐 수단 (44, 45)을 구비한 것에 의해, 집진 유니트(20)에 의해 발생된 부압을 이용해서 작업 공간(10a)의 마루판(16) 위에 퇴적된 연마재 및 분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 중 재사용 가능한 연마재를 비교적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연마재 회수 후에 공기 중에 남는 분진도 집진 유니트(20)에 의해 제거한 후에 실외로 배기할 수 있다.
<실시예 3>
이상, 도 5 ~ 도 7을 참조해 설명한 실시예 2에 있어서는, 집진 유니트(20)에 의한 환기 덕트(10b)를 개입시킨 작업 공간(10a) 내의 환기와 회수 유니트(40)를 개입시킨 연마재의 회수가 택일적으로 행해지도록 되어 있었지만, 작업 공간(10a)로부터의 연마재의 회수는, 상술의 집진 유니트(20)에 의한 작업 공간(10a) 내의 환기와 동시에 실시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한 작업실(1)의 구성 예를, 실시예 3으로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해 설명한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는, 회수 덕트(41’), 사이클론(42’) 및 배기 덕트(43’) 외에, 회수 유니트(40’)의 구성에 배풍기(51)를 갖춘 더스트 수집기(50)를 구비해 이 더스트 수집기(50)의 흡입구에 배기 덕트(43’)를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본체(10)의 마루판(16) 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그레이팅 등의 개공판(61)을 부설함으로써, 마루판(16)과 개공판(61) 간에 낙하된 연마재 및 분진이 포집되는 회수 공간(62)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8, 9에 나타낸 본 실시예의 작업실(1)의 구성에서는, 도 5 ~ 도 7을 참조해 설명한 실시예 2의 작업실(1)의 환기 덕트(10b) 내에 구비되어 있던 제2, 제3 개폐 수단(44, 45)에 대응하는 부재는 설치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업실(1)에 있어, 블라스트 가공 시에는, 도 8에 나타나 있듯이 통로(12a)를 제1 개폐 수단(12b)으로 닫은 상태로 하고, 집진 유니트(20)의 배풍기(21)과 더스트 수집기(50)의 배풍기(51)를 모두 온(ON)으로 함과 동시에, 환기 유니트(30)의 배풍기를 오프(OFF)로 하면, 분진이 부유하는 작업 공간(10a) 내의 공기는, 환기 덕트(10b)를 통해서 집진 유니트(20)에 의해 환기를 함과 동시에, 개공판(61)의 트인 구멍을 통과해 마루판(16) 위에 낙하해 회수 공간(62) 내에 회수된 연마재 및 분진은, 더스트 수집기(50)에 의해 발생한 부압에 의해 회수 유니트(40’)내에 도입되어, 회수 유니트(40’)의 사이클론(42’)으로 연마재가 회수된다.
그리고, 연마재가 회수된 후의 분진을 포함한 공기는, 배기 덕트(43’)를 통해서 더스트 수집기(50) 내에 인입되어, 이 더스트 수집기(50)에 설치된 필터에 의해 포집되어 분진이 제거된 청정한 공기가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도장 시에는, 개공판(61) 상에 보호 시트 등을 씌우는 등으로 해서 작업 공간(10a)과 회수 공간(62)을 분리해서, 회수 공간(62)으로 도료 입자가 들어가지 않게 한 상태로, 통로(12a)를 제1 개폐 수단(12b)으로 닫고, 집진 유니트(20)의 배풍기(21)와 더스트 수집기(50)의 배풍기(51)를 모두 오프(OFF)로 함과 동시에, 환기 유니트(30)의 배풍기(31)를 온(ON)으로 하면, 실시예 1, 2에서 설명한 경우와 같이, 환기 유니트(30)에 의한 작업 공간(10a)내의 환기를 매우 적합하게 실시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개공판(61) 위에 보호 시트를 씌우는 것으로 작업 공간(10a)과 회수 공간(62)을 분리하도록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개공판(61)의 아래쪽 면에서 슬라이드(slide)하는 셔터(shutter) 같은 부재를 설치해, 이것에 의해 양 공간을 분리하도록 구성해도 좋고, 또한, 양 공간이 자동식으로 분리 되도록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업실(1)에서는, 블라스트 가공으로부터 도장으로 이행할 때에, 작업 공간(10a) 내의 연마재를 제거 회수하기 위한 공정을 거칠 필요가 없고, 블라스트 가공 후 즉시 도장을 실시할 수가 있어 처리 시간을 더욱 단축할 수가 있는 유리한 점이 있다.
또한, 블라스트 가공 시에, 마루판(16) 위에 퇴적된 연마재 및 분진이 적합하게 회수되기 때문에, 마루판(16) 위에 퇴적된 연마재 및 분진이 재 부유 함에 따른 작업 공간(10a) 내의 오염이 한층 발생되기 어렵다.
또한 상기 회수 공간(62) 내에, 자세한 것은 생략하지만, 일본 특허공개 2009-95892호 공보에서 출원인이 제안한, 연마재가 통과 가능한 망상체(網狀體) 로 마루판을 형성해서, 상기 망상체를 마루 면으로 하는 블라스트 실을 형성하고, 상기 망상체 밑에, 대략 역사각뿔 형상의 호퍼를, 상부가 상기 망상체를 향해 열려 있도록 복수 정렬 배치하고, 상기 각 호퍼의 하단을, 회수관을 통해서 집진기 등의 흡인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연통시킨 연마재 회수기구를 설치함으로써 바닥이 낮아지지 않도록 하면서도, 연마재 및 분진 회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1: 블라스트 실 (블라스트 가공실 겸 도장 공정실) 또는, 작업실
 10: 본체  10a: 작업 공간 10b: 환기 덕트
 11: 측벽(본체(10) 긴 방향 한편) 11a: 출입구 11b: 개폐체
 12: 측벽(긴 방향 한편) 12a: 통로 12b: 제1 개폐 수단
 13: 측벽(본체(10) 폭 방향) 14: 측벽(본체(10) 폭 방향)
 15: 천판 16: 마루판 17: 흡기구멍 20: 집진 유니트
 21: 배풍기 22: 흡입구 25: 격벽(집진 유니트의 케이싱)
 25a: 하단(격벽(25)의) 30: 환기 유니트 31: 배풍기
 32: 포집 수단 32a: 배플판 32b: 2차 필터
 40: 연마재 회수 유니트 40': 연마재 회수 유니트
 41: 연마재 회수 덕트 41': 연마재 회수 덕트
 42: 사이클론 42': 사이클론
 42a: 도입구 42b: 배기구 42c: 연마재 탱크
 43: 배기 덕트 43': 배기 덕트 44: 제2 개폐 수단
 45: 제3 개폐 수단 46: 어댑터 47: 연마재 회수 호스
 50: 더스트 수집기 51: 배풍기 61: 개공판
 62: 회수 공간 63: 폐쇄 수단
 M: 작업자 W: 워크피스

Claims (12)

  1. 본체와 집진 유니트와 환기 유니트로 이루어진 블라스트 실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측벽과 천판 및 마루판에 의해 직방체 등의 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본체의 어느 쪽이든 하나의 측벽에, 워크피스의 반출입 및 작업자의 입퇴실을 가능케 하는 출입구와 당해 출입구를 개폐하는 문 또는 셔터 등의 개폐체를 구비하며,
    상기 하나의 측벽과 대향하는 다른 측벽 쪽의 상기 본체 내에는 상기 천판으로부터 마루판으로 향해 돌출되고, 또한, 그 하단은 상기 마루판에 대해 띄워서 배치된 격벽을 구비하여, 당해 격벽에 의해 상기 본체 내의 공간을 구분하는 것으로, 상기 하나의 측벽과 상기 격벽 간에 작업 공간을 형성 함과 동시에,
    상기 격벽과 상기 다른 측벽 간에, 하단 측을 상기 작업 공간에 연통시킨 환기 덕트를 형성하며,
    상기 작업 공간의 윗쪽에 있는 상기 천판에는, 상기 작업 공간 내로 바깥 공기를 유입하는 다수의 흡기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환기 덕트에 상기 집진 유니트와 상기 환기 유니트를 각각 연통 함과 동시에,
    상기 집진 유니트는, 환기 덕트 내의 설정 풍속을, 사용되는 연마재의 부유 속도 미만으로 해서 블라스트 작업 시에 작동되고,
    상기 환기 유니트는, 소정의 흡인 풍속에 의해, 도장 공정 시에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트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진 유니트 또는 상기 환기 유니트의 어느 쪽이든 한편을 상기 본체 내에 돌설 배치함으로써 상기 격벽을 형성하고, 상기 격벽의 상기 다른 측벽과의 대향 면에, 상기 격벽을 구성하는 상기 집진 유니트 또는 상기 환기 유니트의 흡입구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다른 측벽에, 상기 집진 유니트 또는 상기 환기 유니트의 한편을 상기 환기 덕트에 연통시키는 통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트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로를 개폐하는 제1 개폐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트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진 유니트에 의한 1분간 당의 흡인 풍량을, 상기 본체 내부 용적의 1. 5배 이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트실.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환기 유니트는 도료 입자의 포집 수단으로서 배플판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트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기 유니트에 의한 환기에 의해 생기는 작업 공간 내의 기류 속도는 0. 4 m/s 이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트실.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환기 유니트에 의한 환기에 의해 생기는 작업 공간 내의 기류 속도는 0. 4 m/s 이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트실.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기 유니트에 의한 흡인 풍량을, 상기 집진 유니트에 의한 흡인 풍량의 2 ~ 7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트실.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환기 유니트에 의한 흡인 풍량을, 상기 집진 유니트에 의한 흡인 풍량의 2 ~ 7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트실.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어느 것이던 하나의 측벽의 하단 위치에서 상기 작업 공간을 향해 일단을 열어놓은 연마재 회수 덕트와, 상기 연마재 회수 덕트의 타단에 도입구를 연통한 사이클론과, 상기 사이클론의 배기구에 일단을 연통함과 동시에, 타단을 상기 환기 덕트에 연통한 배기 덕트로 구성된 연마재 회수 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 덕트와 상기 집진 유니트의 흡입구간을 연통 또는 차단하는 제2 개폐 수단과,
    상기 집진 유니트 및 상기 환기 유니트가 연통하는 위치의 하부에서, 상기 환기 덕트 내의 유로를 개폐하는 제3 개폐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트실.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가요성의 연마재 회수 호스를 상기 연마재 회수 덕트의 개구부에 연결 가능하게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트실.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작업 공간 내의 마루판 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개공판을 부설해, 상기 마루판과 개공판 간에 연마재의 회수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회수 공간을 향해 열려 있는 연마재 회수 덕트를 사이클론의 도입구에 연통하고, 상기 사이클론의 배기구에 연통된 배기 덕트를, 배풍기를 갖춘 더스트 수집기에 연통하여 연마재의 회수 유니트를 형성함과 동시에,
    도장 공정 시, 상기 개공판의 트인 구멍을 막는 폐쇄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트실.

















KR1020100067136A 2009-08-10 2010-07-13 블라스트 실 KR201100163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86126 2009-08-10
JP2009186126A JP5401206B2 (ja) 2009-08-10 2009-08-10 ブラスト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392A true KR20110016392A (ko) 2011-02-17

Family

ID=43535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136A KR20110016392A (ko) 2009-08-10 2010-07-13 블라스트 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034119A1 (ko)
JP (1) JP5401206B2 (ko)
KR (1) KR20110016392A (ko)
CN (1) CN101992426B (ko)
TW (1) TWI50048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61220B2 (en) 2017-06-30 2021-11-02 Sintokogio, Ltd. Shot treatment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05335B (zh) * 2011-04-23 2016-06-22 中通客车控股股份有限公司 无地基式打磨室排尘系统
CN102284914B (zh) * 2011-07-22 2013-01-02 盐城市丰特铸造机械有限公司 抛丸机迷宫式进风解压方法及装置
AU2014273837A1 (en) * 2013-05-28 2015-12-17 Fusion Hvac Pty Ltd Packaged heatpump with integrated smokespill
ITFI20130042U1 (it) 2013-09-16 2015-03-17 Marcela Grohova Parete aspirante per lavorazioni industriali quali in particolare ma non esclusivamente lavorazioni di saldatura
JP5829256B2 (ja) * 2013-11-21 2015-12-09 中国電力株式会社 ホーニングハウス
JP6010197B1 (ja) * 2015-07-31 2016-10-19 株式会社カシワバラ・コーポレーション 多点回収装置及び多点回収方法
SE538643C2 (sv) * 2015-09-29 2016-10-11 Pivab Ab Work booth safety system for an automotive body repair shop
US11774139B2 (en) * 2017-09-06 2023-10-03 Miller Industries, Llc Air handling apparatus for HVAC systems
JP6954362B2 (ja) * 2017-09-28 2021-10-27 新東工業株式会社 ショット処理装置
CN109432885A (zh) * 2018-12-29 2019-03-08 佛山市山高峰包装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低能耗高效油气分离收集柜
CN109805736B (zh) * 2019-01-31 2021-12-24 珠海优特智厨科技有限公司 下料方法和装置
US11878316B2 (en) * 2020-12-15 2024-01-23 Gallagher-Kaiser Corporation Sliding drawer dry filtration system for a paint booth
WO2022128828A1 (en) * 2020-12-16 2022-06-23 Koninklijke Philips N.V. Wickless humidifier
EP4015923A1 (en) * 2020-12-16 2022-06-22 Koninklijke Philips N.V. Wickless humidifier
DE102021101036A1 (de) * 2021-01-19 2022-07-21 Eisenwerk Würth GmbH Vorrichtung zum Behandeln einer Oberfläche eines Werkstücks mit einem Strahlmittel
CN114260280B (zh) * 2021-12-06 2022-12-06 深圳金鹏建筑装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建筑装饰施工用除尘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44519A (en) * 1919-09-26 1925-06-30 Willys Overland Co Sand-blast equipment
US2696910A (en) * 1948-06-09 1954-12-14 Svenska Flaektfabriken Ab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waste particles from media used in sandblasting
US2829582A (en) * 1954-01-18 1958-04-08 Lockheed Aircraft Corp Apparatus useful in painting aircraft
US2912918A (en) * 1957-06-25 1959-11-17 William H Mead Blast room with uniform down-draft ventilation
US2935820A (en) * 1957-10-22 1960-05-10 William H Mead Air-solids separation system for blast room
NL270629A (ko) * 1959-12-03
US3876399A (en) * 1974-05-08 1975-04-08 Joseph P Saponaro Eliminator section for spray booths
US4300318A (en) * 1980-01-28 1981-11-17 Knox Manufacturing Co. Cabinet for use in abrasive blasting system
US4515072A (en) * 1981-12-14 1985-05-07 Spraybake Limited Spraybooth
JPS58195675U (ja) * 1982-06-17 1983-12-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塗装ブ−ス
JPS6172947A (ja) * 1984-09-18 1986-04-15 Takasago Thermal Eng Co Ltd クリ−ンル−ムの形成法およびこの方法に使用する空気調和設備ユニツト
US4664061A (en) * 1984-10-26 1987-05-12 Taikisha Ltd. Spraying booth
US4926746A (en) * 1988-01-05 1990-05-22 Smith Clyde M Work chamber with shifting ventilation zone
JPH03216598A (ja) * 1990-01-23 1991-09-24 Toshiba Corp 放射性物質放出低減設備
US5231804A (en) * 1990-04-03 1993-08-03 Stripping Technologies Inc. Hose cleaning system
US5074238A (en) * 1990-05-23 1991-12-24 Binks Manufacturing Company Production line paint spray booth with dual slots
JPH0726742B2 (ja) * 1990-06-07 1995-03-29 株式会社大氣社 航空機用建屋における換気空調設備
JPH0813680B2 (ja) * 1990-06-15 1996-02-14 株式会社大氣社 航空機用作業設備
JP2523214B2 (ja) * 1990-07-17 1996-08-07 株式会社大氣社 塗料除去処理用洗浄設備
US5095811A (en) * 1990-10-09 1992-03-17 Nordson Corporation Automotive powder coating booth with modulated air flow
US5107756A (en) * 1991-01-11 1992-04-28 Reclaim Spray booth with alternative filtering systems
US5178679A (en) * 1991-05-20 1993-01-12 Abb Flakt, Inc. Paint spray booth with longitudinal air flow
JPH0539674U (ja) * 1991-11-08 1993-05-28 東京パネルバツク販売株式会社 換気装置付き塗装室
JP2908644B2 (ja) * 1992-08-14 1999-06-21 ホーチキ株式会社 Catv用増幅器の自動利得制御回路の制御方法及びcatv用増幅器
US5468174A (en) * 1992-11-13 1995-11-21 Ipec Advanced Systems, Inc. Recyclable abrasive blasting system
US5233796A (en) * 1992-12-10 1993-08-10 Mazalewski Jr Robert J Mobile containerized sandblasting multi-unit
US5397394A (en) * 1993-09-09 1995-03-14 The Fishing Group Powder coating booth
US5766355A (en) * 1994-09-28 1998-06-16 Abb Flexible Automation Inc. Exhaust arrangements for powder spray booth
US5556324A (en) * 1995-02-17 1996-09-17 Church & Dwight Co., Inc. Blasting cabinet
US5676753A (en) * 1995-10-25 1997-10-14 Abb Flexible Automation Inc. Exhaust systems for powder spray booth
US5749779A (en) * 1995-11-09 1998-05-12 Wilburn's Body Shop, Inc. Movable overhead ventilation assembly and filtering method
US6102157A (en) * 1997-02-19 2000-08-15 Metro Machine Corporation Self-contained staging system for cleaning and painting bulk cargo holds
US6186273B1 (en) * 1997-02-19 2001-02-13 Metro Machine Corporation Self-contained staging system for cleaning and painting bulk cargo holds
US6099395A (en) * 1999-01-13 2000-08-08 Guseman; Benny Collapsible sandblasting cabinet
US6264745B1 (en) * 1999-06-14 2001-07-24 Wagner Systems, Inc. Powder spray apparatus
US6533654B2 (en) * 2001-02-26 2003-03-18 Garmat Usa Inc. Integrated air flow booth and methods
JP3716791B2 (ja) * 2001-12-18 2005-11-16 三菱電機株式会社 手乾燥装置
ITPD20020309A1 (it) * 2002-12-04 2004-06-05 Solvay Chimica Italia Spa Impianto per pulitura industriale con cabina
US20050087073A1 (en) * 2003-10-24 2005-04-28 D'altena Adrien D.B. Paint spray booth having scrubbing solution flow control
JP4720973B2 (ja) * 2004-11-05 2011-07-13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気流内ブラスト装置
DE102007040898A1 (de) * 2007-08-24 2009-10-01 Dürr System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bringen von Hilfsmaterial
US7666077B1 (en) * 2007-11-13 2010-02-23 Global Finishing Solutions, L.L.C. Paint booth arrangement and method for directing airflow
JP5145016B2 (ja) * 2007-11-19 2013-02-13 株式会社不二製作所 ブラスト加工方法及びブラスト加工装置
CA2753531C (en) * 2009-02-24 2017-09-12 Michael Giarrizzo, Jr. Vehicle collision repair booth
JP4738539B1 (ja) * 2010-03-30 2011-08-03 株式会社大気社 フィルタ装置、そのフィルタ装置を用いた塗装ブース、そのフィルタ装置を用いた簡易塗装ブー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61220B2 (en) 2017-06-30 2021-11-02 Sintokogio, Ltd. Shot treatme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01206B2 (ja) 2014-01-29
CN101992426A (zh) 2011-03-30
TW201105462A (en) 2011-02-16
TWI500483B (zh) 2015-09-21
JP2011036950A (ja) 2011-02-24
CN101992426B (zh) 2015-09-09
US20110034119A1 (en) 201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6392A (ko) 블라스트 실
CA2347041C (en)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especially cleaning, abrasive clearing or stripping of coatings, graffiti or other superficial soiling on parts, work pieces or surfaces
US7074274B1 (en) Quick color change powder coating system
KR102269478B1 (ko) 필터링 시스템, 페인팅 시스템, 및 필터링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
US7421872B2 (en) Shot-blasting installation for blasting work pieces made from light metal alloys
EP0974400B1 (en) Powder coating system
US9511479B2 (en) Apparatus for processing an object by projecting shots thereon
US5556324A (en) Blasting cabinet
JPH07503665A (ja) 研磨性ブラストキャビネット
WO2012056597A1 (ja) ブラスト加工装置
KR101938852B1 (ko) 쇼트 및 에어 블라스트 장치용 세퍼레이터
EP1480785B1 (en) Abrasive cleaning plant with single-block plastic booth and integrated feeding and filtering device
KR100796946B1 (ko) 철구조물을 처리하기 위한 쇼트 블라스트 장치
JPH06296818A (ja) 集塵装置
CN109475894B (zh) 排气排水机构
KR19980073622A (ko) 에어 나이프(Air Knife)를 이용한 이동식 분진비산억제장치 및 방법
JPH0413029B2 (ko)
GB156724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statically powder sprayingparticularly of enamel
CN207238351U (zh) 一种金属粉自动喷涂装置
CN110000040A (zh) 一种smc制品自动喷涂生产线
JPWO2012056597A1 (ja) ブラスト加工装置
JPS60114466A (ja) 密閉ブラスチング装置
US6837931B1 (en) Fluid washer for a spray booth
KR100835740B1 (ko) 에어커튼이 제공되는 페인트 분진처리용 페인트부스
CN111107963A (zh) 喷丸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