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5304A - 원자력용 고강도 Ni기 합금관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원자력용 고강도 Ni기 합금관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5304A
KR20100135304A KR1020107026142A KR20107026142A KR20100135304A KR 20100135304 A KR20100135304 A KR 20100135304A KR 1020107026142 A KR1020107026142 A KR 1020107026142A KR 20107026142 A KR20107026142 A KR 20107026142A KR 20100135304 A KR20100135304 A KR 20100135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ngth
based alloy
nuclear power
alloy tube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6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1166B1 (ko
Inventor
데츠오 요코야마
히로유키 아나다
Original Assignee
수미도모 메탈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미도모 메탈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수미도모 메탈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00135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5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1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02Making uncoated products
    • B21C23/04Making uncoated products by direct extrusion
    • B21C23/08Making wire, bars,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00Preparing metal stock or similar ancillary operations prior, during or post forging, e.g. heating or cooling
    • B21J1/02Preliminary treatment of metal stock without particular shaping, e.g. salvaging segregated zones, forging or pressing in the rough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4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and N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7/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 C21D7/1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hot wor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tubular 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tubular bodies or pip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9/00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 C22C19/03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 C22C19/05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9/00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 C22C19/03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 C22C19/05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 C22C19/058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without Mo and W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1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nickel or cobalt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23/00Obtaining nickel or cobalt
    • C22B23/06Refi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9/00General processes of refining or remelting of metals; Apparatus for electroslag or arc remelting of metals
    • C22B9/16Remelting metals
    • C22B9/18Electroslag remel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Extrusion Of Metal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관전체 길이에서 균일한 고온 강도를 가지는 원자력용 고강도 Ni기 합금관을 얻기 위해서, 질량%로, C: 0.04% 이하, Si: 0.10~0.50%, Mn: 0.05~0.50%, Ni: 55~70%, Cr: 26% 초과하며 35% 이하, Al: 0.005~0.5%, N: 0.02~0.10%, 및 Ti: 0.01~0.5% 및 Nb: 0.02~1.0% 중 1종 이상을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Ni기 합금 소재를, 2차 용해한 다음 열간 단조한 후, 1000~1160℃로 가열 후에 압출비가 4 이상인 가공도로 열간 압출 가공하고, 또한 고용화 열처리와 시효 처리를 실시하여, Ni기 합금관의 결정 입경을 JIS G0551에서의 입도 번호 6 또는 그 이상의 미세립으로 한다.

Description

원자력용 고강도 Ni기 합금관 및 그 제조 방법{HIGH-STRENGTH NI-BASE ALLOY PIPE FOR USE IN NUCLEAR POWER PLANTS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의 고온 고압수 환경 하에서의 내식성이 우수한 Ni기 합금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가압수형 원자로(PWR)의 원자로 용기의 뚜껑용 관대(管臺) 등의 구조 부재에 적합한 Ni기 합금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자로 용기의 구조 부재는, 고온 고압수 환경 하에서의 내응력 부식 깨짐성 등의 내식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내식성이 우수한 Ni기 합금으로서 인코넬 600(15%Cr-75%Ni)이나 인코넬 690(30%Cr-60%Ni)이 이용되어 왔다.
이들 Ni기 합금의 내식성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음에 서술하는 다양한 수법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및 2에는, 압출 가공과 냉간 가공 후에, 가열 온도와 유지 시간을 규정하여 최종 소둔을 실시함으로써 내응력 부식 깨짐성을 개선한 Ni기 합금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에는, 표층에 아모퍼스화된 합금층을 형성함으로써, 입계를 소실시켜, 내(耐)입계 손상성을 개선한 Ni기 합금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4에는, γ기지에 γ'상 및 γ''상의 적어도 1종을 함유시켜, 결정 입계에 M23C6를 반연속 형상으로 우선적으로 석출시킨 조직으로 함으로써, 내응력 부식 깨짐성을 향상시켜 이루어지는 고강도 Ni기 합금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5에는, C, N, Nb의 각 성분의 함유량을 적절히 밸런스시킴으로써, 용접열 영향부에 있어서의 내입계 부식성, 내입계 응력 부식 깨짐성 및 기계적 강도를 개선한 Ni기 합금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6에는, 결정 입계에 있어서의 저각 입계 비율을 4% 이상의 조직으로 함으로써, 내입계 응력 부식 깨짐성을 향상시켜 이루어지는 Ni기 합금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공개특허 소60-245773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국 공개특허 소58-67854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국 공개특허 소61-69938호 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국 공개특허 소62-167836호 공보 특허 문헌 5 : 일본국 공개특허 평1-132731호 공보 특허 문헌 6 : 일본국 공개특허 2004-218076호 공보
이와 같이 Ni기 합금관의 내식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제안은 많이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Ni기 합금관에 있어서는, 고용화(固溶化) 열처리나 그 후의 탄화물 석출을 위한 시효 처리의 결과, 그 결정 입도나 강도 불균일이 커지기 때문에, 예를 들면 관 단부 등에서는 강도가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불량부를 잘라낼 수 밖에 없는 경우가 있어, 수율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원자력용 고강도 Ni기 합금관에 있어서, 관전체 길이에서 균일한 고온 강도를 가지는 Ni기 합금관과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원자력용 고강도 Ni기 합금관에 있어서, 고온 강도를 향상시키는 요인에 대해서 다양하게 검토와 실험을 행한 결과, 다음의 (a)~(j)에 나타낸 지견을 얻었다.
(a) 원자력용 고강도 Ni기 합금관의 고온 강도를 향상시키려면, Ti와 Nb를 함유시키는 것이 좋다. Ti와 Nb는 C나 N과 결합하여, 결정립을 미세화하는 효과가 있는 탄질화물을 석출시킨다.
(b) 열간 압출 가공 전의 가열 온도로서는, 결정이 조립화(粗粒化)되지 않는 온도로서, 또한 Cr탄질화물은 고용되지만, 결정립을 미세화하는 효과가 있는 Ti나 Nb의 탄질화물은 고용되지 않는 온도로 하는 것이 좋다.
(c) 결정의 미세립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열간 압출 가공에서의 압출 온도를 규제할 뿐만 아니라, 가공비를 높이는 것이 좋다.
(d) 열간 압출 가공 소재에 Cr편석이 존재하면, Cr탄질화물의 완전 고용 온도가 국소적으로 상이하기 때문에, 국소적으로 Cr탄질화물이 석출되어 버리게 된다. 그리고, 국소적으로 Cr탄질화물이 석출되면, 그 만큼, 국소적으로 Ti나 Nb의 탄질화물의 석출이 저해된다는 결과가 된다. 따라서, 열간 압출 가공 소재에 Cr편석이 존재하면, Ti와 Nb를 함유시켜도 Ti와 Nb의 탄질화물의 석출이 저해되는 개소가 생기기 때문에, 결정의 입(粒)미세화가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e) 또한, Ti, Nb, C,
N에 대해서도 편석이 존재하면, 마찬가지로 Ti와 Nb의 탄질화물은 균일하게는 석출되지 않기 때문에, 미세한 결정립이 균일하게 분산된 조직을 얻을 수 없다.
(f) 즉, 원자력용 고강도 Ni기 합금관의 관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고온 강도를 향상시키려면, Ti와 Nb를 함유시킬 뿐만 아니라, Ni기 합금관을 구성하는 각 원소의 편석도 억제한 다음, 열간 압출 가공 전의 가열 온도 및 열간 압출 가공시의 가공비를 관리함으로써, Ti나 Nb의 탄질화물을 분산 석출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원자력용 고강도 Ni기 합금관의 결정 입경의 목표값으로서는, JIS G 0551에서의 입도 번호 6 또는 그 이상의 미세립이 요구된다.
(g) Ni기 합금관을 구성하는 각 원소의 편석을 억제하는 수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일렉트로 슬러그 재용해(ESR)법이나 진공 아크 용해(VAR)법에 의한 2차 용해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일렉트로 슬러그 재용해(ESR)법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그 평균 용해 속도는 200~600kg/hr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00kg/hr를 넘는 속도에서는 용해시의 불순물의 부상이 불충분해져, 편석의 억제가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며, 또, 200kg/hr 미만의 속도에서는 생산성이 너무 낮기 때문이다.
(h) 그리고, 열간 압출 가공 전의 가열 온도와 열간 압출 가공시의 가공비의 조건은, 일렉트로 슬러그 재용해(ESR)법이나 진공 아크 용해(VAR)법에 의한 2차 용해법에 의해 얻어진 Ni기 합금 소재를 열간 단조 후, 1000~1160℃로 가열하고 나서, 압출비가 4 이상인 가공도로 열간 압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출비란, [압출 가공 전의 단면적]/[압출 가공 후의 단면적]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열간 압출 가공 전의 가열 온도의 상한을 1160℃로 하는 것은, Cr탄질화물은 고용되지만, Ti나 Nb의 탄질화물은 고용되지 않는 온도로 하기 위해서이며, 열간 압출 가공 전의 가열 온도의 하한을 1000℃로 하는 것은, 1000℃ 미만에서는 열간 압출 가공시의 변형 저항이 너무 크기 때문이다. 또, 열간 압출 가공의 가공도를 압출비로 4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은, 충분한 가공을 가하여 균일하게 재결정시킬 수 있어, 결정립이 충분히 미세화되기 때문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압출비로 5 이상이다. 압출비의 상한은 특별히 규정되지 않지만, 압출비가 클 수록, 제품에 흠집 등의 결함이 생기기 쉬워짐과 함께, 설비의 대형화가 필요해지기 때문에, 압출비를 3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 또, 열간 압출 가공 후에는 고용화 열처리와 시효 처리를 행하는 것이 좋다.
고용화 열처리의 목적은, 탄화물을 충분히 고용시키는 것이며, 그를 위한 가열 온도는 980~12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980℃ 이상으로 가열하면 탄화물을 고용시킬 수 있으므로 내식성이 향상되는 한편, 1200℃를 초과하면 조립화에 의한 강도 저하의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더 바람직한 상한 온도는 1090℃이다.
시효 처리의 목적은, 입계에 탄화물을 석출시키는 것이다. 그를 위한 가열 온도는 550~8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온도 범위에서 가열하면 입계에 탄화물을 충분히 석출시킬 수 있다.
또한, 소직경의 Ni기 합금관을 얻고자 하는 경우에는, 열간 압출 후에 냉간 드로잉이나 냉간 압연을 행한 후, 고용화 열처리와 시효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j) 그리고, 본 발명에 관련된 원자력용 Ni기 합금관의 고온 강도의 목표값은, 예를 들면, 발전용 원자력 설비 규격 JSME S NC-1로 규정되는 350℃에서의 설계 항복점(내력)이 199MPa, 설계 인장 강도(인장 강도)가 530MPa이다. 그리고, 이 목표값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고용화 열처리와 시효 처리 후의 원자력용 고강도 Ni기 합금관의 결정 입경이, JIS G0551에서의 입도 번호 6 또는 그 이상의 미세립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지견을 기초로 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요지는 하기의 원자력용 고강도 Ni기 합금관 및 그 제조 방법에 있다.
(1) 질량%로, C: 0.04% 이하, Si: 0.10~0.50%, Mn: 0.05~0.50%, Ni: 55~70%, Cr: 26% 초과하며 35% 이하, Al: 0.005~0.5%, N: 0.02~0.10%, 및 Ti: 0.01~0.5% 및 Nb: 0.02~1.0% 중 1종 이상을 함유하며, 잔부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결정 입경이 JIS G 0551에서의 입도 번호 6 또는 그 이상의 미세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용 고강도 Ni기 합금관.
(2) Ni기 합금 소재가 2차 용해법에 의해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원자력용 고강도 Ni기 합금관.
(3) 질량%로, C: 0.04% 이하, Si: 0.10~0.50%, Mn: 0.05~0.50%, Ni: 55~70%, Cr: 26% 초과하며 35% 이하, Al: 0.005~0.5%, N: 0.02~0.10%, 및 Ti: 0.01~0.5% 및 Nb: 0.02~1.0% 중 1종 이상을 함유하며, 잔부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2차 용해법에 의해 얻어진 Ni기 합금 소재를, 열간 단조 후, 1000~1160℃로 가열한 후에 압출비가 4 이상인 가공도로 열간 압출 가공하고, 또한 고용화 열처리와 시효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용 고강도 Ni기 합금관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관전체 길이에서 균일한 고온 강도를 가지는 원자력용 고강도 Ni기 합금관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에, 본 발명에 관련된 원자력용 고강도 Ni기 합금관을 구성하는 화학 조성과 각각의 함유량의 한정 이유를 설명한다. 또한, 함유량에 관한 「%」는 「질량%」를 의미한다.
C: 0.04% 이하
C는, 강도를 확보하는데 필요한 원소이지만, 함유량이 0.04%를 초과하면, Cr탄화물이 증가하여, 내응력 부식 깨짐성이 저하된다. 이 때문에, C의 함유량의 상한은, 0.04%로 했다. 바람직한 상한은 0.03% 이하이다. 또한, C를 함유시킴으로써 강도 확보를 행하는 경우는, 0.01% 이상의 C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Si: 0.10~0.50%
Si는, 탈산제로서 사용되는 원소이며, 이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10% 이상 함유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0.50%를 초과하여 함유시키면, 용접성이 악화됨과 함께, 청정도가 저하된다. 이 때문에, Si의 함유량은 0.10~0.50%로 했다. 보다 바람직한 Si함유량은 0.22~0.45%이다.
Mn: 0.05~0.50%
Mn는, 불순물인 S를 MnS로서 고정함으로써 열간 압출 가공성의 향상 효과를 가짐과 함께, 탈산제로서도 유효한 원소이다. 합금의 열간 압출 가공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Mn를 0.05% 이상 함유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0.50%를 초과하여 과잉하게 함유시키면, 합금의 청정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Mn의 함유량은 0.05~0.50%로 했다.
Ni: 55~70%
Ni는, 합금의 내식성을 확보하는데 유효한 원소이다. 특히, 내산성 및 염소 이온 함유 고온수 중에 있어서의 내입계 응력 부식 깨짐성을 향상시키는데 현저한 작용을 발휘하기 때문에, 55% 이상 함유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함유량의 상한은, Cr, Mn, Si 등의 타원소의 필요 함유량과의 관계로 70%가 된다. 이 때문에, Ni함유량은 55~70%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보다 바람직한 Ni 함유량의 범위는 58%를 초과하며 65% 이하이다. 더 바람직한 Ni함유량의 범위는 60%를 초과하며 65% 이하이다.
Cr: 26%를 초과하며 35% 이하
Cr는, 합금의 내식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원소이며, 요구되는 내식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그 Cr의 함유량을 26% 초과로 할 필요가 있다. 한편, 그 함유량이 35%를 초과하면, 열간 압출 가공성이 현저하게 악화된다. 이 때문에, Cr함유량은, 26%를 초과하며 35% 이하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바람직하게는 27% 초과하며 3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8~31%이다.
Al: 0.005~0.5%
Al는, 상기 Si와 마찬가지로, 탈산제로서 작용하는 원소이며, 0.005% 이상의 함유가 필요하다. 한편, 그 함유량이 0.5%를 초과하면, 합금의 청정도를 저하시키므로, Al의 함유량은 0.5% 이하로 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0.3%이다.
N: 0.02~0.10%
N는 C와 함께, Ti 또는 Nb의 탄질화물을 형성하여 합금의 강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2차 용해법에 의한 N, C, Ti, Nb의 편석 억제 효과와 병행됨으로써, 그들 탄질화물을 균일하게 분산 석출시켜, 열간 압출 가공 후의 조직을 미세립화할 수 있다. 그 효과를 얻으려면, 0.02% 이상 함유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0.10%를 초과하면 질화물이 너무 증가하여 역으로 열간 압출 가공성이나 연성을 열화시킨다. 이 때문에, N함유량은 0.02~0.10%로 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0.06%이다.
Ti: 0.01~0.5% 및 Nb: 0.02~1.0% 중 1종 이상
Ti는, 탄질화물을 형성하여 합금의 강도를 높여, 열간 압출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이 있다. 이들 효과를 얻으려면, Ti를 0.01% 이상 함유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Ti의 함유량이 0.5%를 초과하면, 그 효과가 포화될 뿐만 아니라 금속간 화합물의 생성에 의해 연성을 손상시킨다. 이 때문에, Ti의 함유량은 0.01~0.5%로 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0.3%이다.
Nb는, Ti와 마찬가지로, 탄질화물을 형성하여 합금의 강도를 높여, 열간 압출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이 있다. 이들 효과를 얻으려면, Nb를 0.02% 이상 함유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Nb의 함유량이 1.0%를 초과하면, 그 효과가 포화될 뿐만 아니라 금속간 화합물의 생성에 의해 연성을 손상시킨다. 이 때문에, Nb의 함유량은 0.02~1.0%로 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6%이다.
<실시예 1>
표 1에 나타낸 화학 조성의 Ni기 합금을 전기로에서 용제한 후, AOD 및 VOD에 의해 정련하고, 그 후 용해 평균 속도가 500kg/hr인 조건에서 ESR에 의해 재용해하여, Ni기 합금 소재를 얻었다. 그것을 1270℃로 가열하여, 단조비 5로 열간 단조한 후, 열간 압출용 빌렛으로 가공했다. 그 빌렛의 가열 온도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가열한 후에 압출비 5의 열간 압출을 행하고, 외직경 115mm, 두께 27.5mm의 Ni기 합금관으로 했다. 그것을 1075℃×30분의 고용화 열처리 및 700℃×900분의 시효 처리를 행하여 최종 제품을 얻었다. 또한, 비교를 위해, ESR에 의한 재용해를 생략한 Ni기 합금 소재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하여 최종 제품을 얻었다.
Figure pct00001
표 2에, ESR법에 의한 2차 용해법의 유무, 및 열간 압출 전의 가열 온도를 변경한 조건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얻어진 Ni기 합금관의 관 끝으로부터 150mm위치로부터 입도 측정용 시험편 및 인장 시험편을 채취하여, JIS G 0551에 따른 결정 입도 시험 및 JIS G 0567에 따른 350℃에서의 인장 시험을 행했다. 그 결과도 아울러 표 2에 나타낸다.
표 2의 결과로부터, ESR법에 의한 2차 용해법의 적용 및 열간 압출 전의 가열 온도를 적정하게 선택함으로써, 조직이 미세립화되고, 고온(350℃)에서의 강도가 높은 Ni기 합금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
이상 대로, 본 발명에 의하면, 관전체 길이에서 균일한 고온 강도를 가지는 원자력용 고강도 Ni기 합금관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질량%로, C: 0.04% 이하, Si: 0.10~0.50%, Mn: 0.05~0.50%, Ni: 55~70%, Cr: 26% 초과하며 35% 이하, Al: 0.005~0.5%, N: 0.02~0.10%, 및 Ti: 0.01~0.5% 및 Nb: 0.02~1.0% 중 1종 이상을 함유하며, 잔부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결정 입경이 JIS G0551에서의 입도 번호 6 또는 그 이상의 미세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용 고강도 Ni기 합금관.
  2. 청구항 1에 있어서,
    Ni기 합금 소재가 2차 용해법에 의해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용 고강도 Ni기 합금관.
  3. 질량%로, C: 0.04% 이하, Si: 0.10~0.50%, Mn: 0.05~0.50%, Ni: 55~70%, Cr: 26% 초과하며 35% 이하, Al: 0.005~0.5%, N: 0.02~0.10%, 및 Ti: 0.01~0.5% 및 Nb: 0.02~1.0% 중 1종 이상을 함유하며, 잔부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2차 용해법에 의해 얻어진 Ni기 합금 소재를, 열간 단조 후, 1000~1160℃로 가열한 후에 압출비가 4 이상인 가공도로 열간 압출 가공하고, 또한 고용화 열처리와 시효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용 고강도 Ni기 합금관의 제조 방법.
KR1020107026142A 2008-05-22 2009-05-20 원자력용 고강도 Ni기 합금관 및 그 제조 방법 KR1011811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34549 2008-05-22
JP2008134549 2008-05-22
PCT/JP2009/059249 WO2009142228A1 (ja) 2008-05-22 2009-05-20 原子力用高強度Ni基合金管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304A true KR20100135304A (ko) 2010-12-24
KR101181166B1 KR101181166B1 (ko) 2012-09-18

Family

ID=41340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6142A KR101181166B1 (ko) 2008-05-22 2009-05-20 원자력용 고강도 Ni기 합금관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246766B2 (ko)
EP (1) EP2281908B1 (ko)
JP (1) JP4433230B2 (ko)
KR (1) KR101181166B1 (ko)
CN (1) CN102016090B (ko)
CA (1) CA2723526C (ko)
ES (1) ES2758825T3 (ko)
WO (1) WO20091422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6333A (ko) * 2017-06-08 2020-02-14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원자력용 Ni기 합금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21929A1 (en) 2003-05-09 2004-11-11 Hebda John J. Processing of titanium-aluminum-vanadium alloys and products made thereby
US7837812B2 (en) 2004-05-21 2010-11-23 Ati Properties, Inc. Metastable beta-titanium alloys and methods of processing the same by direct aging
US10053758B2 (en) 2010-01-22 2018-08-21 Ati Properties Llc Production of high strength titanium
JP5550374B2 (ja) * 2010-02-05 2014-07-16 Mmcスーパーアロイ株式会社 Ni基合金およびNi基合金の製造方法
US9255316B2 (en) 2010-07-19 2016-02-09 Ati Properties, Inc. Processing of α+β titanium alloys
US8499605B2 (en) 2010-07-28 2013-08-06 Ati Properties, Inc. Hot stretch straightening of high strength α/β processed titanium
US9206497B2 (en) 2010-09-15 2015-12-08 Ati Properties, Inc. Methods for processing titanium alloys
US8613818B2 (en) 2010-09-15 2013-12-24 Ati Properties, Inc. Processing routes for titanium and titanium alloys
US10513755B2 (en) 2010-09-23 2019-12-24 Ati Properties Llc High strength alpha/beta titanium alloy fasteners and fastener stock
CN102463273A (zh) * 2010-11-08 2012-05-23 北京有色金属研究总院 一种大口径镍基合金薄壁管材的制备方法
CN102463272A (zh) * 2010-11-08 2012-05-23 北京有色金属研究总院 一种小口径镍基合金薄壁管材的短流程制备方法
US8652400B2 (en) * 2011-06-01 2014-02-18 Ati Properties, Inc. Thermo-mechanical processing of nickel-base alloys
RU2492958C2 (ru) * 2011-08-17 2013-09-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Централь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Конструкционных Материалов "Прометей"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заготовки обечайки активной зоны корпуса реактора типа ввэр
CN103128129A (zh) * 2011-11-24 2013-06-05 北京有色金属研究总院 一种Ni-Cr-Mo耐蚀合金管材的短流程制备方法
CN102758096B (zh) * 2012-08-08 2013-09-25 贵州航天新力铸锻有限责任公司 核电站流量限制器用镍基高温合金材料的制备方法
US9050647B2 (en) 2013-03-15 2015-06-09 Ati Properties, Inc. Split-pass open-die forging for hard-to-forge, strain-path sensitive titanium-base and nickel-base alloys
US9869003B2 (en) 2013-02-26 2018-01-16 Ati Properties Llc Methods for processing alloys
US9192981B2 (en) 2013-03-11 2015-11-24 Ati Properties, Inc. Thermomechanical processing of high strength non-magnetic corrosion resistant material
US9777361B2 (en) 2013-03-15 2017-10-03 Ati Properties Llc Thermomechanical processing of alpha-beta titanium alloys
CN103286154B (zh) * 2013-06-30 2014-12-24 西安诺博尔稀贵金属材料有限公司 一种gh3600镍合金挤压管材的制备方法
CN103556003A (zh) * 2013-09-27 2014-02-05 贵州航天新力铸锻有限责任公司 核电站设备零部件用的镍基合金的制备方法
US11111552B2 (en) 2013-11-12 2021-09-07 Ati Properties Llc Methods for processing metal alloys
CN103882266B (zh) * 2014-03-26 2016-01-20 中国科学院上海应用物理研究所 用于熔盐反应堆的镍基合金及其制备方法
US10094003B2 (en) 2015-01-12 2018-10-09 Ati Properties Llc Titanium alloy
CA2987569C (en) 2015-06-26 2019-12-24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Ni-based alloy pipe or tube for nuclear power
US10502252B2 (en) 2015-11-23 2019-12-10 Ati Properties Llc Processing of alpha-beta titanium alloys
CN105779698B (zh) * 2016-03-17 2018-01-09 周海彬 含铌的铬镍铁合金的冶炼方法
WO2018061540A1 (ja) * 2016-09-29 2018-04-05 日立金属株式会社 Ni基超耐熱合金の熱間押出成形方法およびNi基超耐熱合金押出材の製造方法
EP3520915A4 (en) * 2016-09-30 2020-06-10 Hitachi Metals,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NI HEAT-RESISTANT ALLOY EXTRUDED MATERIAL, AND NI HEAT-RESISTANT ALLOY EXTRUDED MATERIAL
KR101850966B1 (ko) 2016-10-28 2018-04-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니켈계 석출경화형 초내열합금의 열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하여 구현된 고온 밸브용 초내열 스프링
CN107322003B (zh) * 2017-06-29 2019-07-09 厦门朋鹭金属工业有限公司 一种制备低杂质含量钨粉的工业方法
CN109321781A (zh) * 2018-10-09 2019-02-12 北京金达太钢石化配件有限公司 一种新的镍基合金及其制备方法
CN114309131A (zh) * 2021-12-28 2022-04-12 江阴市恒业锻造有限公司 一种均匀细晶镍基合金n08825大型厚壁管坯锻件的制造方法
CN115228964B (zh) * 2022-06-15 2024-03-26 江苏银环精密钢管有限公司 核反应堆压力容器密封圈用镍基合金小口径管的制造方法
CN116079347A (zh) * 2023-02-17 2023-05-09 河北亚都管道装备集团有限公司 镍基合金大口径厚壁无缝热压弯头的制造方法及弯头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3108B2 (ja) 1981-10-16 1985-11-22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耐応力腐食割れ性にすぐれたニツケル基高クロム合金の製造方法
JPS58177444A (ja) * 1982-04-12 1983-10-18 Sumitomo Metal Ind Ltd Ni−Cr合金の熱処理法
JPS59211545A (ja) * 1983-05-18 1984-11-30 Sumitomo Metal Ind Ltd 耐応力腐食割れ性の優れたニツケル基合金
JPS60245773A (ja) 1984-05-18 1985-12-05 Sumitomo Metal Ind Ltd 高耐食性Ni基合金の製造方法
JPS6169938A (ja) 1984-09-14 1986-04-10 Sumitomo Metal Ind Ltd 耐粒界損傷性Ni基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JPS62167836A (ja) 1986-01-20 1987-07-24 Mitsubishi Heavy Ind Ltd Ni基合金及びその製造法
JPH01132731A (ja) 1988-05-20 1989-05-25 Nippon Yakin Kogyo Co Ltd 溶接部高温熱影響部における耐粒界腐食性,耐応力腐食割れ性および機械的強度に優れるNi基合金
JPH0674475B2 (ja) * 1990-11-29 1994-09-21 工業技術院長 耐応力腐食割れ性に優れたNi基合金
US5378427A (en) * 1991-03-13 1995-01-03 Sumitomo Metal Industries, Ltd. Corrosion-resistant alloy heat transfer tubes for heat-recovery boilers
JPH0674475A (ja) 1992-08-31 1994-03-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面状暖房装置
EP1325965B1 (en) * 2001-12-21 2005-10-05 Hitachi Metals, Ltd. Ni-based alloy improved in oxidation-resistance, high temperature strength and hot workability
JP2004137549A (ja) * 2002-10-17 2004-05-13 Sumitomo Metal Ind Ltd Ni−Cr合金
JP3976003B2 (ja) 2002-12-25 2007-09-12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ニッケル基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475429B2 (ja) * 2004-06-30 2010-06-09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Ni基合金素管及びその製造方法
JP4702096B2 (ja) * 2006-02-24 2011-06-15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含Crニッケル基合金管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6333A (ko) * 2017-06-08 2020-02-14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원자력용 Ni기 합금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83151A1 (en) 2011-07-28
ES2758825T3 (es) 2020-05-06
JPWO2009142228A1 (ja) 2011-09-29
CA2723526A1 (en) 2009-11-26
EP2281908A4 (en) 2017-07-19
EP2281908B1 (en) 2019-10-23
WO2009142228A1 (ja) 2009-11-26
CA2723526C (en) 2013-07-23
JP4433230B2 (ja) 2010-03-17
CN102016090B (zh) 2012-09-26
CN102016090A (zh) 2011-04-13
EP2281908A1 (en) 2011-02-09
US8246766B2 (en) 2012-08-21
KR101181166B1 (ko) 2012-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1166B1 (ko) 원자력용 고강도 Ni기 합금관 및 그 제조 방법
KR101280114B1 (ko) 오스테나이트계 내열 합금 및 이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내열 내압 부재와 그 제조 방법
CN106048309B (zh) Ni基耐热合金焊接接头的制造方法及使用其得到的焊接接头
JP6477252B2 (ja) オーステナイト系耐熱合金および耐熱耐圧部材
JP6816779B2 (ja) オーステナイト系耐熱合金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255198A (ja)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管の製造方法及び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管
JP2020105572A (ja) オーステナイト系耐熱鋼
US11339461B2 (en) Austenitic stainless steel
JP2017036477A (ja) オーステナイト系耐熱合金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1021778B2 (en) Austenitic stainless steel weld metal and welded structure
JP6547599B2 (ja) オーステナイト系耐熱鋼
JP6690359B2 (ja) オーステナイト系耐熱合金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772735B2 (ja) Ni基耐熱合金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3142197A (ja) −196℃におけるシャルピー試験値が母材、溶接継手共に100J以上である靭性と生産性に優れたNi添加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822563B2 (ja) 原子力用Ni基合金管
JPWO2016208569A1 (ja) 原子力用Ni基合金管
JP2020164919A (ja) オーステナイト系耐熱鋼
CN109844148B (zh) 镍材及镍材的制造方法
EP3797013A1 (en) An austenitic nickel-base alloy
JP2004137549A (ja) Ni−Cr合金
JPH0995748A (ja) 高温延性および耐焼鈍脆性に優れた耐食銅合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