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6578A - 정제 불출 장치 - Google Patents

정제 불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6578A
KR20100126578A KR1020107024181A KR20107024181A KR20100126578A KR 20100126578 A KR20100126578 A KR 20100126578A KR 1020107024181 A KR1020107024181 A KR 1020107024181A KR 20107024181 A KR20107024181 A KR 20107024181A KR 20100126578 A KR20100126578 A KR 20100126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shooter
tablets
contain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4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6591B1 (ko
Inventor
쇼오지 유야마
나오끼 고이께
다까후미 이마이
요시노리 구마노
아끼라 마에다
미쯔히로 미따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00126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6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18Recessed draw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6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in which the articles are stored in compartments in fixed recepta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Abstract

장치 본체(1)와, 종류별로 복수의 정제가 수용되고, 장치 본체(1)의 전방면에 상하 방향으로 병설되어, 정제의 불출 방향을 측방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정제 카세트(2)와, 각 정제 카세트(2)에 대응하여, 장치 본체(1)의 전방면에, 정제 카세트(2)가 병설되는 측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병설되어, 불출된 정제를 일단 저류하고, 하방부에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정제 용기(6)로 불출 가능하게 하는 불출부를 갖는 복수의 슈터(3)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제 불출 장치 {TABLET DISPENSING DEVICE}
본 발명은, 정제 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정제 불출 장치로서, 원통 챔버로부터 호퍼로 정제를 불출하여 일단 저류하고, 이 호퍼로부터 정제 용기에 저류한 약제를 불출하도록 한 반자동 구성의 것이 공지이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다른 반자동의 정제 불출 장치로서, 고형 제제 공급 장치로부터 슈트에 공급되는 다양한 고형 제제를 병으로 불출하도록 한 것도 공지이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참조).
또한, 다른 정제 불출 장치로서, 정제 용기의 공급을 자동화한 것도 공지이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3 참조).
[특허 문헌 1] : 미국 특허 제7412302호 공보 [특허 문헌 2] : 미국 특허 제6595384호 공보 [특허 문헌 3] : 미국 특허 제6644504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정제 불출 장치에서는, 원통 챔버의 전방으로 호퍼가 돌출하여, 전후 방향으로 대형화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그래서, 원통 챔버의 구조가 복잡하고, 대형화하는 것을 피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정제 불출 장치에서는, 다양한 고형 제제가 전부 동일한 슈트를 지나 배출되므로, 슈트에 이전 고형 제제의 잔류물이 부착된다고 하는 문제(소위 오염물 : contamination)가 있다. 그리고 특허 문헌 1 및 2 중 어떠한 구성이라도, 최종적인 약제의 불출에서, 배출구로의 정제 용기의 배치와는 별도로, 즉 정제 용기를 잡는 손과는 다른 손에 의한 조작이 필요해진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2에서는 구획판(27)을 조작할 필요가 있음].
또한,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정제 불출 장치에서는, 정제 용기의 공급도 자동화하기 위해 구조가 복잡해지고, 고가인 것이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고, 저렴하면서 또한, 콤팩트한 구성이며, 게다가 정제 용기로의 정제의 불출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정제 불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정제 불출 장치를,
장치 본체와,
종류별로 복수의 정제가 수용되고, 상기 장치 본체의 전방면에 상하 방향으로 병설되어, 정제의 불출 방향을 측방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정제 카세트와,
상기 각 정제 카세트에 대응하여, 상기 장치 본체의 전방면에, 상기 정제 카세트가 병설되는 측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병설되어, 불출된 정제를 일단 저류하고, 하방부에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정제 용기로 불출 가능하게 하는 불출부를 갖는 복수의 슈터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장치 본체에 대하여 정제 카세트와 슈터를 열을 바꾸어 상하 방향으로 각각 병설할 수 있다. 즉, 장치 본체로의 정제 카세트와 슈터의 세트 작업을 간소화해서 신속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체 구성을 전후 방향으로 얇게 형성할 수 있는데다가, 정제 카세트나 슈터의 교환이나 청소 등의 보수 작업을, 모든 전방면 측에서 행할 수 있어 작업성이 우수하다.
상기 슈터는 장치 본체의 전방면 측에 비스듬히 하방을 향해 돌출하고, 상기 슈터 중, 상하 방향으로 병설되는 슈터는 하방측에 위치하는 슈터의 상방 부분에, 그 상방측에 위치하는 슈터의 하방 부분이 겹침으로써, 상방측에 위치하는 슈터로부터 정제를 불출할 때, 하방측에 위치하는 슈터가 정제 용기를 안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특별한 구성을 추가하는 일 없이, 수작업에 의한 정제 용기로의 정제의 불출 작업을 용이하면서도 또한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슈터의 불출부는, 상기 불출부에 배치되는 정제 용기에 압박됨으로써, 상기 정제 용기의 개구부의 사이즈에 따라서 개구 면적을 조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정제 용기의 개구부의 사이즈가 작으면 불출부의 개구 면적을 작게 하고, 반대로 크면 크게 함으로써, 정제가 주위로 흘러 떨어지기 어렵게 해서 확실하게 정제 용기 내로 정제를 불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슈터는 정제 용기의 일부를 압박한 상태에서, 상기 슈터의 하방부에 배치함으로써 개방하고, 상기 슈터 내에 저류한 정제를 정제 용기로 불출 가능하게 하는 개폐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슈터의 하단부에 정제 용기를 배치하는 것만으로, 다른 조작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작업을 효율적으로 정제 용기 내에 슈터 내에 저류한 정제를 단번에 배출할 수 있다.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슈터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슈터의 하단부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는 개폐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 플레이트는 정제 용기의 개구부 외면에 의해 압입 가능한 압박 받침부를 구비하도록 하면 좋다.
이 구성에 의해, 정제 용기를 거의 수평 방향으로 압입하는 것만으로 압박 받침부를 통해서 개폐 플레이트를 개방할 수 있고, 사용하는 정제 용기의 개구부의 사이즈에 따라서 필요량만큼 개방하여, 정제를 주위로 흘러 떨어지는 일 없이 신속하면서도 또한 단번에 정제 용기로 불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슈터는 개폐 플레이트가 회전할 때, 슈터의 하방부에서의 위치가 변화되지 않도록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정제 용기로 개폐 플레이트의 압박 받침부를 압입하면, 슈터의 개구부에 대하여 정제 용기의 개구부의 위치를 평행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슈터의 개구부가 개방되어 감에 따라서, 그 개구 부분에 대하여 항상 정제 용기의 개구부를 위치시킬 수 있어, 안정된 불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슈터 내를 개폐 플레이트의 움직임에 연동해서 이동하는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정제를 주위로 흘러 떨어지는 일 없이 신속하게 정제 용기로 불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슈터 내의 정제의 막힘을 방지하여, 슈터 내의 정제를 확실하게 정제 용기로 불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슈터 및 상기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는, 상방측으로부터 서로 대향하는 폭이 넓은부와, 상기 폭이 넓은부로부터 서서히 대향 방향에 접근하는 폭이 좁은부를 구비하고,
상기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가 상방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의 폭이 좁은부가, 상기 슈터의 폭이 넓은부에 대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를 이동시킴으로써, 정제의 막힘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는 폭이 좁은 영역을 없앨 수 있다.
상기 슈터는 슈터 본체와, 상기 슈터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한 커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커버를 제거해서 내부 청소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슈터 본체는, 상기 커버를 슈터 본체에 장착한 상태에서 로크하는 로크 기구를 구비하도록 하면 좋다.
상기 슈터는 슈터 본체와, 상기 슈터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한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슈터 본체는 상기 커버를 슈터 본체에 장착한 상태에서 로크하여, 상기 개폐 플레이트를 개방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로크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슈터 본체에 걸림 받침부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에, 상기 걸림 받침부에 결합 분리하는 걸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부에 의해 회전하고, 걸림 갈고리부를 구비한 회전편과,
상기 개폐 플레이트에 형성되고, 회전편의 걸림 갈고리부가 결합 분리하는 걸림 받침부로 이루어지는 제2 로크 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오조작에 의해 로크 기구에 의한 로크 상태가 해제되었다고 해도 제2 로크 기구에 의해 로크 상태가 유지되므로, 개폐 플레이트가 폐쇄 위치로 회전하여, 잘못하여 정제가 불출되어 버린다고 하는 등의 문제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폐 플레이트가 폐쇄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검출되고 있지 않은 동안은, 슈터로의 정제의 불출을 중지하도록 하면 좋다.
처방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해당하는 정제가 수용된 정제 카세트를 구동함으로써 슈터로 정제를 불출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슈터로 이미 불출된 정제가 있는 경우, 그 후의 처방 데이터에, 상기 슈터로 불출하는 정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대기 처방으로서, 상기 슈터로부터 정제가 배출될 때까지, 해당하는 정제의 불출을 일시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처방 데이터를 체류시키는 일 없이 처리할 수 있어, 다른 슈터로의 정제의 불출을 먼저 진행시켜 둠으로써, 효율적으로 불출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슈터로 불출된 정제를 정제 용기로 회수하는 작업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 다른 정제 카세트를 구동해서 정제를 슈터로 불출해 둔다. 이에 의해, 동시에 복수의 카세트가 구동하지 않으므로, 급격한 전압 상승이나, 서지에 의한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된 운전을 행할 수 있다.
상기 대기 처방의 수를 판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제 용기는 사이즈가 다른 복수 종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제 용기에 수용 가능한 정제 수의 최대치인 최대 정제 수를, 사이즈가 다른 정제 용기마다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한 각 정제 용기의 최대 정제 수를 기초로 하여, 처방된 정제의 수량에 대하여 어떠한 정제 용기를 선택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정제 용기 결정 수단과,
상기 정제 용기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정제 용기를 나타내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사이즈가 다른 복수의 정제 용기에 대하여, 처방된 정제의 수량에 따라서 자동으로 적절한 사이즈의 정제 용기를 선정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환자에 대하여 처방한 약제를 제공할 경우, 이 약제를 수용하는 정제 용기의 수량을 필요 최소한의 값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정제 용기는 사이즈가 다른 복수 종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제 용기에 수용 가능한 정제 수의 최대치인 최대 정제 수를, 사이즈가 다른 정제 용기마다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정제의 처방된 정제의 수량이,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한 최대 정제 수보다도 큰지의 여부를 기초로 하여 분할 처방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분할 유무 판정 수단과,
상기 분할 유무 판정 수단에 의한 판정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분할 유무 판정 수단에서 얻어진 판정 결과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단일의 정제 용기에서는 수용 불가능한 양의 정제라도 대응할 수 있어, 그다지 사용되는 일이 없는 대형의 정제 용기를 준비해 둘 필요가 없어져 재고 관리가 편해진다. 또한, 환자에 대하여 처방한 약제를 제공할 경우, 이 약제를 수용하는 정제 용기의 수량을 필요 최소한의 값으로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사이즈도 필요 이상으로 커지는 일이 없다.
상기 분할 유무 판정 수단에 의해 분할 처방해야 한다고 판정된 경우, 처방된 정제의 수량이 최대 정제 수의 몇 배인지를 기초로 하여 분할 수를 결정하는 분할 수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분할 수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분할 수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도록 하면 좋다.
상기 표시 수단은 채용하는 정제 용기 중, 기준이 되는 사이즈의 기준 정제 용기의 최대 정제 수에 대한, 기준 정제 용기 이외의 다른 정제 용기의 최대 정제 수의 비율을 표시하는 설정 화면을 표시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억 수단은, 기준이 되는 사이즈의 기준 정제 용기에 수용하는 각 정제의 최대 정제 수에 대한, 다른 정제 용기로의 최대 정제 수의 비율을 각각 기억하고,
상기 정제 용기 결정 수단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한 비율을 기초로 하여, 상기 다른 정제 용기에 수용 가능한 최대 정제 수를 환산하고, 처방된 정제의 수량에 대하여 어떠한 정제 용기를 선택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채용하는 정제 용기가 어떠한 사이즈의 것이라도, 데이터 등록의 수고가 번잡해지는 일 없이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대기 처방이 다음 처방의 것인지, 혹은 동일 처방에 있어서의 분할 처방인 것인지를, 상기 표시 수단에 식별 가능하게 표시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제 용기와 슈터를 열을 다르게 하여 상하 방향으로 병설하도록 했으므로, 장치 본체로의 세트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정제 불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정제 불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 도 1의 정제 카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4] 도 1의 정제 카세트의 저면도이다.
[도 5] 도 1의 정제 카세트의 저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 도 1의 정제 카세트 및 슈터(2단분)의 사시도이다.
[도 7] 도 1에 도시한 슈터의 제2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도 7의 슈터를 다른 각도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정제 불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0]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불출 처리의 내용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 도 1의 액정 모니터에 표시시키는 메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도 11의 메인 화면에 팝업 표시시키는 인포메이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도 11의 메인 화면에서 정제 카세트 영역을 터치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불출 인포메이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도 1의 액정 모니터에 표시시키는 매뉴얼 입력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정제 카세트 및 슈터(1단분)의 사시도이다.
[도 16] 도 15에서 원통 안내부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슈터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 도 16에서 다시 노즐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 도 5의 노즐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19]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슈터의 사시도이다.
[도 20] 도 19에서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 도 20의 하단부측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2] 도 20으로부터 제2 절반부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 도 21을 반대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4] 도 19의 커버를 반대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5] 도 19의 제1 절반부 및 제2 절반부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26] 도 11의 메인 화면에 표시되는 카세트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 도 1의 액정 모니터에 표시하는 우선 순위 결정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 도 1의 액정 모니터에 표시하는 초기화 완료 화면으로, 슈터에 정제 카세트가 잔류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 도 9의 제어 유닛의 기억부에 기억하는, 바이알병에 수용 가능한 정제의 최대 정제 수의 비율을 도시한 리스트 표이다.
[도 30]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분할 처방 처리의 내용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1]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분할 처방 처리의 내용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을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특정한 방향이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예를 들어, 「상」, 「하」, 「측」, 「단부」를 포함하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그들 용어의 사용은 도면을 참조한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이며, 그들 용어의 의미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정제 불출 장치를 도시한다. 이 정제 불출 장치는, 장치 본체(1)에 정제 카세트(2)와 슈터(3)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불출 유닛(4)을 상하 좌우로 병설한 것으로, 정제 카세트(2)로부터의 정제의 불출 처리 등은 제어 유닛(5)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정제 카세트(2)로부터 배출된 정제는 슈터(3)에 저류되어, 정제 용기(6)로 수동에 의해 회수된다. 여기에서는, 정제 용기(6)로서 합성 수지로 된 바닥이 있는 통 형상(횡단면 원형 외에, 사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인 것도 포함함)의 것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개구단부 근방의 외주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정제 용기(6)에는 수용하는 정제의 크기나 정제 수의 차이에 따라서, 사이즈가 다른 복수 종류의 것이 있다.
장치 본체(1)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불출 유닛(4)이 상하 좌우로 정렬되어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정제 카세트(2)와 슈터(3)는 좌우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상하로 정렬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정제 카세트(2)는 상하 방향으로 거의 간극 없이 배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슈터(3)는 비스듬히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하방측에 위치하는 슈터(3)의 상부에, 상방측에 위치하는 슈터(3)의 하부가 포개어져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방측에 위치하는 슈터(3)로부터 정제를 불출할 때, 하방측에 위치하는 슈터(3)를 정제 용기(6)의 안내부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장치 본체(1)의 상면에는 아암(7)이 설치되고, 아암(7)의 선단부에는 액정 모니터(8)가 설치되어 있다.
액정 모니터(8)는 터치 패널로 구성되어, 초기 상태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메인 화면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메인 화면에는 장치 본체(1)에 설치한 각 정제 카세트(2)에 대응해서 카세트 정보(카세트 번호, 약품명, 인디케이터 등)가 표시되어 있다. 인디케이터는, 예를 들어 3개의 다른 색으로 발광하는 표시부(도시하지 않음)로 구성하고, 복수의 처방 데이터에서 동일한 정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다음의 불출 처리가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점등시키도록 하면 좋다. 구체적으로, 2 처방분이 대기하고 있으면, 표시부를 2 군데에서 점등시키도록 하면 좋다.
정제 카세트(2)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세트 본체(9)에 개폐 가능한 덮개(10)를 설치한 구성으로, 종류별로 정제가 다수 수용되어 있다. 단, 어떤 정제가 자주 불출되는 경우, 복수의 정제 카세트(2)에서 그 약제를 수용하도록 해도 좋다. 정제 카세트(2)는 장치 본체(1)의 지지대에 착탈되지만, 장착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로크 기구에 의해 자유롭게 제거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카세트 본체(9)는 원통 형상의 로터 수용부(11)와, 그 상방에 위치하는 직사각형의 통 형상의 정제 수용부(12)로 이루어진다. 정제 수용부(12)에는 로터(13)의 상면[원뿔면(13a)]과 측벽에 의해 정제를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다.
로터 수용부(1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 부분에 정제 배출구(15)와 슬릿(16)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16)의 근방에는 구획 부재(17)가 고정되고, 그 브러시부(17a)가 슬릿(16)을 통해서 로터 수용부(11) 내로 돌출하고 있다.
또한, 로터 수용부(11)의 저면에는 중심부에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고, 그 근방에는 중간 기어(18)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중간 기어(18)는 제1 기어(18a)와 제2 기어(18b)를 축심 방향으로 병설 일체화한 구조이다.
또한, 로터 수용부(11)의 저면에는 상기 중간 기어(18)의 제2 기어(18b)와 맞물리는 웜 기어(19)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웜 기어(19)를 지나 모터(20)로부터의 구동력이 중간 기어(18)로 전달되어, 로터(13)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로터(13)는 원기둥 형상으로, 상면이 중심부를 향해 돌출하는 원뿔면(13a)으로 구성되어 있다. 로터(13)의 외주면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고, 정제가 상하로 차례로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안내 홈 내의 정제는 상기 구획 부재(17)의 브러시부(17a)에 의해 상하로 분리되어, 하방측의 1개의 정제만이 상기 정제 배출구(15)를 지나 낙하된다. 로터(13)의 저면 중앙부에는 회전축이 일체화되어, 상기 로터 수용부(11)의 저면에 형성한 관통 구멍을 관통하고, 그 돌출 부분에는 종동 기어(21)가 고정되어 있다. 종동 기어(21)는 상기 중간 기어(18)의 제1 기어(18a)와 맞물려 있다. 이에 의해, 웜 기어(19)를 회전시키면, 중간 기어(18)를 통해 종동 기어(21) 및 로터(13)가 회전한다.
슈터(3)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로 2 분할된 제1 케이스(22)와 제2 케이스(23)로 형성되는 전방을 향해 비스듬히 하방으로 돌출하는 안내 통로(2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슈터(3)의 상면에는, 프린트 기판에 각종 전자 부품을 실장해서 이루어지는 제어부(25)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25)에서는, 모터(20)의 구동 상태를 검출하거나, 도시하지 않은 정제 검출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정제의 저류 유무나, 슈터(3)로부터의 배출수를 검출하거나 해서, 그 결과를 제어 유닛(5)으로 출력한다. 또한, 제어 유닛(5)으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받아서 모터(20)를 구동 제어해서 로터(13)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배출되는 정제에 대하여, 정제의 파편이나 분진으로 구별하기 위해, 상기 도시하지 않은 정제 검출 센서를 정제가 통과하는 통과 타이밍에 의해 판단하고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로서는, 상기 정제 검출 센서를 5개 설치하고, 각 센서에 있어서의 AD 변환치와 긴 주기 평균 AD 변환치와의 차분을 적분해서 얻어진 값의 합계치와, 미리 각 카세트에 수용된 정제의 크기나 형상에 대응해서 설정된 정제의 통과 타이밍(임계치)을 비교하고, 이 설정된 통과 타이밍을 벗어난, 예를 들어 상기 적분해서 얻어진 합계치가 설정한 통과 타이밍보다 작을 경우에는 조각 등의 정제 이외의 것이라고 판단해서 계수하지 않는다(생략함).
더욱 구체적으로는, 설정 주기마다 정제(또는 조각 등)가 각 센서를 통과한 AD 변환치의 피크치를 기억해 두고, 정제 없음이라 간주할 수 있는 값이 되었을 때, 미리 설정한 통과 타이밍(예를 들어 약의 종류에 따라 4 단계의 임계치를 설정)과 비교하여, 피크치의 합계가 상기 통과 타이밍을 초과한 경우에는 적절하게 정제가 통과했다고 판단해서 계수하고,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조각 등이 통과했다고 판단해서 계수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센서 중 몇 개인가가 동시에 변동했을 때에는 노이즈라고 판단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안내 통로(24)는, 전방을 향해서 비스듬히 하방으로 돌출하고, 그 내부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플레이트(26)와,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27)가 부착되어 있다. 안내 통로(24)에는 상면의 정제 카세트(2)측에 개구가 형성되고, 그곳에는 정제 카세트(2)로부터 불출된 정제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28)가 장착되어 있다. 안내부(28)는 자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정제 카세트(2)의 정제 배출구(15)를 향해 비스듬히 연장되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그곳에는 정제의 배출 방향을 따라서 복수 열의 돌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내 통로(24)는 중간부로부터 하방측이 서서히 단면적(예를 들어, 폭 치수)이 작아지는 통로 제한부(29)가 형성되어 있다. 즉, 안내 통로(24)의 상방 부분은 단면적이 커서 대량의 정제를 저류할 수 있고, 하방 부분은 서서히 단면적이 작아져서, 하단부 개구부의 개구 면적은 정제 용기(6)로의 정제의 불출에 적합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안내 통로(24)는 적어도 전방면 부분이 투광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고, 거기에는 수용되는 정제 수를 나타내는 눈금이 표시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정제 피더로부터 공급된 정제가 어느 정도 저류되어 있는지를 한눈에 판단할 수 있어, 불출하는 정제 용기(6)의 사이즈가 틀린 것은 아닌지 판단하는 기준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게다가 또한, 안내 통로(24)의 전방면 부분에는 적색과 청색의 2개의 LED를 구비한 표시부(30)가 설치되고, 정제 카세트(2)로부터 정제가 불출되는 것 등에 의해, LED가 점등하거나, 점멸하거나 한다.
개폐 플레이트(26)는 지지축(31)을 중심으로 해서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지지축(31)은 안내 통로(24)를 구성하는 측벽에 형성한 안내 홈(32)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다. 개폐 플레이트(26)의 선단부 부분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하면에는 안내 통로(24)의 하단부 개구부로부터 돌출하는 압박 받침부(3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압박 받침부(33)의 근방에는 안내 핀(26a)이 설치되고, 이 안내 핀(26a)은 안내 통로(24)에 형성한 안내 홈(24a)을 따라 하단부 개구부와 평행하게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해, 개폐 플레이트(26)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회전시킬 때, 안내 통로(24)의 하단부 개구부로부터 돌출하는 압박 받침부(33)의 치수(하단부 개구부로부터의 돌출 치수)가 변화되는 일은 없다. 압박 받침부(33)는 선단부 부분에 전방측으로 직각으로 굴곡한 걸림 갈고리(34)를 구비한다. 걸림 갈고리(34)는 정제 용기(6)로 압박 받침부(33)를 압입할 때, 그 개구단부 외주에 접촉하고, 압박 받침부(33)에 대한 정제 용기(6)(주로, 상하 방향의)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한다. 또한, 압박 받침부(33)의 전방면에는 고무 등을 점착해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미끄럼 방지부(35)는 정제 용기(6)의 개구단부에 형성한 플랜지부의 외주연이 접촉하여, 정제 용기(6)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한다. 개폐 플레이트(26)는 안내 통로(24)의 배면측을 향해 압박 받침부(33)를 압입함으로써, 개폐판이 지지축(31)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여, 안내 통로(24)의 하단부 개구부를 개방한다. 또한, 개폐 플레이트(26)는 배면측에 설치한 폐쇄용 스프링(36)에 의해 전방측 즉 폐쇄 위치로 압박되고 있다. 폐쇄용 스프링(36)은 개폐 플레이트(26)가 폐쇄 방향으로 회전해서 안내 핀(26a)이 안내 홈(24a)을 슬라이드할 때, 개폐 플레이트(26)가 코일 스프링(39)으로부터 받는 하방으로의 압박력에 의해 안내 핀(26a)이 받는 부하를 경감하여, 개폐 플레이트(26)의 폐쇄 동작을 원활하게 행하게 한다.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27)는, 안내 통로(24)의 내면 중, 정제 카세트(2)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측면부(27a)와, 배면측의 약 절반에 위치하는 배면부(27b)로 이루어지는 대략 L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을 하고 있다.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27)는, 중간부보다도 하방측이, 안내 통로(24)의 형상에 맞추어 만곡시킴으로써, 정제를 개폐 플레이트 측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27)의 하단부는, 상기 개폐 플레이트(26)의 지지축(31)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27)는 안내 홈(32)을 따라 이동하는 지지축(31)과 함께 안내 통로(24)를 승강한다. 이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27)의 승강 동작에 의해, 안내 통로(24) 내에 저류된 정제가, 예를 들어 가교 상태가 되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27)의 배면부의 배면에는 스프링 받침부(37)와 결합 받침부(38)가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 받침부(37)에는 코일 스프링(39)이 보유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39)은, 제1 케이스(22) 및 제2 케이스(23)의 천장면과의 사이에 압박 접촉 상태가 되어,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27)를 하방측으로 압박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개폐 플레이트(26)의 압박 받침부(33)의 압입 동작을 해제하면,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27)는 자동으로 원래의 하방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결합 받침부(38)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솔레노이드를 여자·소자함으로써 진퇴하는 로드의 선단부에 설치한 결합부(40)가 결합 분리하도록 되어 있다.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27)에는, 하방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결합 받침부(38)에 결합부(40)가 결합 가능하게 되어,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27)와 연동하는 개폐 플레이트(26)는 폐쇄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이 상태에서 정제를 마음대로 배출하는 것은 불가능해진다.
제어 유닛(5)은, 서버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처방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해당하는 정제 카세트(2)를 구동 제어해서 슈터(3)로 정제를 불출시키는 등,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련의 정제 불출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정제 불출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도 10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따라서 설명한다.
도시하지 않은 서버 등으로부터 처방 데이터가 입력되면(스텝 S1), 그 처방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해당하는 정제 카세트(2)를 특정한다(스텝 S2). 이 경우, 처방 데이터의 입력은 자동으로 행하도록 하고 있지만, 도 14에 도시하는 매뉴얼 입력 화면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입력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특정한 정제 카세트(2)에서, 모터(20)를 구동해서 로터(13)를 회전시킴으로써 정제의 불출을 개시한다(스텝 S3). 이때, 슈터(3)의 적색 LED[표시부(30)]를 점등하고(스텝 S4), 오퍼레이터에 대하여 슈터(3)로 정제가 불출되고 있는 것을 통지한다. 또한, 액정 모니터(8)에는, 도 11에 도시하는 메인 화면(41)을 표시한다. 메인 화면(41)은 정제 카세트(2)의 레이아웃을 표시하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카세트란(41a)과, 그 하방측의 각종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 카세트란(41a)의 표시 형태(배경색, 표시 문자색 등)는, 정제 카세트(2)의 상태에 따라서 변경한다. 여기에서는, 배경의 프레임부를 청색 표시하고, 거기에 카세트 번호를 표시하는 동시에, 중앙부에 약제 이름을 표시하고 있다.
계속해서, 슈터(3)로 불출된 정제의 수량이,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정제 수에 도달하면(스텝 S5), 모터(20)를 정지해서 정제의 불출을 중지한다(스텝 S6). 이 경우, 적색의 LED는 점등 상태로 유지해 둔다. 또한, 적색의 LED는 점등 상태로 유지해 둔다. 불출 도중에 정제에 결함이 있는 제품이 발생한 경우, 카세트란(41a)의 프레임부를 적색 표시로 변경한다. 처방이 취소된 경우, 프레임부를 청색 표시로 한 상태에서, 약제 이름을 적색으로 변경한다. 그 밖에, 처방 에러, 처방 취소, 약제가 미등록, 정제 카세트(2)가 미장착 등에 의해서도, 사용자가 식별 가능해지도록 표시 형태를 변경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한눈에 각 정제 카세트(2)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어떤 처방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정제 카세트(2)로부터 슈터(3)로 정제를 불출해 그 슈터(3)로부터 정제가 정제 용기(6)로 회수되기 전에, 그 슈터(3)로 불출해야 할 정제를 포함하는 다음의 처방 데이터의 입력이 있었던 경우(대기 처방), 다음과 같이 해서 카세트란(41a)의 표시를 변경한다. 즉, 카세트란(41a)에는 인디케이터(여기에서는, 5개의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블랭크를 횡 방향으로 병설한 것)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다음의 처방 데이터를 제어 유닛(5)의 기억부에 일시적으로 기억시키는 한편, 액정 모니터(8)의 메인 화면(41)(도 11 참조)의 카세트란(41a)(도 26 참조)에 표시시킨 인디케이터(41b)를 점등한다. 여기에서는, 5개 중 1개째의 블랭크를(예를 들어, 녹색으로) 점등시킴으로써, 1개의 처방이 대기 상태인 것을 통지한다. 다시 다음의 처방 데이터가 있으면, 2개째의 블랭크도 점등시키도록 하면 좋고, 최대 5개 처방분까지 대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이 경우도, 기억부에는 차례로 처방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시킴).
1개의 슈터(3)에 대기 처방이 복수 개 있는 경우, 미리 설정한 우선 순위에 따라서 정제의 불출을 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27에 도시하는 우선 순위 결정란을 표시시켜, 처방 데이터의 우선 랭크(여기에서는, 5단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면 좋다. 이에 의해, 어떤 슈터(3)에 대하여 복수의 대기 처방이 있는 경우, 그 대기 순서에 관계없이, 앞서 불출하는 정제를 우선 순위에 따라서 불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인디케이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분할 처방 시에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정제를 불출하는 정제 용기(6)에 점착한 바코드(처방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별도로 인쇄한 것)가 바코드 스캐너로 판독되면(스텝 S7), 이 바코드에 대응하는 정제가 수용된 슈터(3)의 청색 LED[표시부(30)]를 점멸시킨다(스텝 S8). 이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어떤 슈터(3)로부터 정제를 불출하면 되는 것인지 한눈에 알 수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를 구동해서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27)의 결합 받침부(38)로의 결합부(40)의 결합 상태를 해제한다(스텝 S9). 이에 의해, 슈터(3)에서 개폐 플레이트(26)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액정 모니터(8)에는, 도 12에 도시하는 인포메이션 화면을 팝업 표시시킨다. 인포메이션 화면에는, 정제 카세트(2)로부터 슈터(3)로 불출된 정제 수를 기초로 하여, 사용하는 정제 용기(6)의 가장 적절한 사이즈를 산출하고,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예를 들어, "40DR is the best!" 등). 또한, 다음의 불출 대기 처방이 복수 입력되어 있으면, 「Work Queue」란(42)에 표시시켜, 「Next」 버튼(43)의 조작에 의해 순서를 교체하도록 해도 좋다.
그래서, 슈터(3)로부터 정제 용기(6)로의 정제의 불출 작업을 개시하지만, 안내 통로(24)의 전방면이 투광성을 갖고, 눈금이 표시되어 있으므로, 상기 정제 용기(6)가 안내 통로(24) 내의 정제를 전부 불출하는데 적합한 것인지의 여부를 한눈에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하는 정제 용기(6)의 사이즈를 틀릴 우려가 없다.
정제의 불출 작업에서는, 정제 용기(6)의 개구부측을, 청색의 LED[표시부(30)]가 점멸하는 슈터(3)의 압박 받침부(33)에 접촉시킨다. 이때, 정제 용기(6)의 외주면에 걸림 갈고리(34)를, 플랜지부에 미끄럼 방지부(35)를 각각 접촉시킨다. 이에 의해, 압박 받침부(33)에 대하여 정제 용기(6)를 압입했다고 해도, 정제 용기(6)가 위치 어긋나는 일은 없다. 계속해서, 정제 용기(6)로 압박 받침부(33)를 압입하면, 개폐 플레이트(26)는 지지축(31)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고, 안내 통로(24)의 하단부 개구부를 서서히 개방시킨다. 이때, 개폐 플레이트(26)의 회전에 수반하여 안내 핀(26a)이 안내 홈(24a)을 이동한다. 따라서, 정제 용기(6)의 압입 방향이 변화되지 않고, 안내 통로(24)의 하단부 개구부에 대하여, 정제 용기(6)의 상방 개구부의 위치를 평행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불출된 정제가 원활하게, 게다가 단번에 정제 용기(6) 내로 수용되어 주위로 흘러 떨어지는 일이 없다. 또한, 지지축(31)이 안내 홈(32)을 이동하고,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27)가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안내 통로(24) 내에 저류되어 있는 정제가 상방측에서 막혀 있었다고 해도, 그 막힘 상태를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27)에 의해 강제적으로 해소할 수 있어, 안내 통로(24) 내에 정제가 잔류하는 일이 없다. 그리고 정제 용기(6)의 개구부 내면에 안내 통로(24)의 하단부에 설치한 용기 걸림부(24b)가 접촉함으로써 개폐 플레이트(26)의 회전이 저지되어, 정제 용기(5)의 개구부의 개구 면적에 따른 개방도를 얻을 수 있다. 즉, 정제 용기(6)의 개구부의 사이즈에 따른 개방도를 얻을 수 있어, 정제가 주위로 흘러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일이 없고, 게다가 정제 용기(6) 내로 정제를 단번에 불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해서 안내 통로(24)로부터 정제 용기(6)로의 정제의 불출이 완료되면, 액정 모니터(8)에, 불출이 완료된 정제의 처방 데이터(환자 데이터 등을 포함하도록 해도 좋음)를 표시시킨다(스텝 S10). 오퍼레이터는 표시된 내용을 확인하여 액정 모니터(8)에 표시된, 예를 들어 「확인」 버튼을 터치 조작하는 확인 조작을 행하면 좋다. 확인 조작이 실행되면(스텝 S11), 솔레노이드를 구동해서 개폐 플레이트(26)를 폐쇄 위치에 로크 상태로 한다(스텝 S12). 이에 의해, 일련의 정제 불출 처리가 완료된다.
(개입 처리)
그런데 어떤 슈터(3)로 불출한 어떤 정제가 정제 용기(6)로 불출되기 전에, 다른 슈터(3)로 불출한 다른 정제를 불출하는 개입 처리를 행할 경우, 다음과 같이 해서 행한다. 즉, 다른 약제를 불출하는 정제 용기(6)의 바코드를 판독하게 한다. 그리고 이 바코드가 판독되면, 앞의 슈터(3)에서 LED를 소등하고, 솔레노이드를 구동해서 개폐 플레이트(26)를 폐쇄 위치로 유지하는 로크 상태로 한다. 이에 의해, 실수로 앞의 정제가 다른 정제 용기(6)로 불출되어 버린다고 하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단, 앞의 슈터(3)로 정제가 불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별도로 다른 색의 LED를 점등하는 등에 의해 오퍼레이터에 통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러블 처리)
또한, 정제 카세트(2)에서 정제의 불출 중에 막힘(잼)이 발생하거나, 정제가 없어지거나(결함이 있는 제품) 한 경우, 해당하는 정제 카세트(2)를 액정 모니터(8)로 특정하거나(예를 들어, 배경을 적색 표시로 해서 식별이 용이하게 함), 해당하는 정제 카세트(2)의 부착부에 설치한 LED(2a)를 점등시키거나 한다. 이 경우, 잼과 결함이 있는 제품으로 통지 방법을 다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잼은 모터(20)로의 통전 상태, 혹은 모터(20)의 출력축의 회전 상태 등을 기초로 하여, 결함이 있는 제품은 정제 검출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각각 검출하면 좋다. 이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문제가 있는 정제 카세트(2)를 바로 특정해서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액정 모니터(8)의 해당하는 정제 카세트(2)의 영역을 터치 조작함으로써, 도 13에 도시하는 불출 인포메이션 화면을 표시시키도록 해도 좋다. 불출 인포메이션 화면에는, 「Reset」 버튼(44) 등을 표시시켜, 필요한 처리를 행하도록 하면 좋다.
(처방 중지 처리)
또한, 정제의 불출이 도중에 중지된 경우(처방 중지), 즉 처방을 취소로 하는 신호가 입력된 경우, 로터(13)의 회전을 정지하여, 불출 도중의 정제가 저류된 슈터(3)의 LED를 점등한다. 오퍼레이터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하여, 안내 통로(24)로부터 정제 용기(6)에 저류되어 있는 정제를 불출하면 좋다. 그리고 액정 모니터(8)에 처방 취소 완료를 나타내는 「완료」 버튼을 표시시켜, 이 버튼을 터치 조작함으로써 처방 중지 처리가 완료된다.
(동일 종류의 약제 연속 불출 처리)
동일 종류의 약제를 연속해서 불출할 경우, 슈터(3)에는 앞서 불출한 정제가 저류되어 있어, 다음 정제를 불출할 수 없다. 그래서, 슈터(3)로부터 정제 용기(6)로 정제가 불출될 때까지, 정제 카세트(2)의 동작을 중지하고, 액정 모니터(8)에 그 취지를 표시시키도록 하면 좋다. 이 경우, 액정 모니터(8)에는 상기 정제 카세트(2)에서 정제의 불출이 대기 상태에 있는 것을 표시하는 것 외에, 정제의 불출 수 등의 다른 정보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정제를 실수로 다른 정제 용기(6)로 불출하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약제 회수 처리)
약제가 슈터(3)로 불출된 상태에서, 정전 등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지 않아 장치가 정지한 경우, 다음과 같이 해서 약제 회수 처리를 실행한다.
즉, 각 슈터(3)에는 입력되는 처방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정제가 불출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장치가 정지되면, 이미 슈터(3) 내로 정제가 불출되고 있음에도, 불출된 정제에 관한 장치측에서의 데이터가 소실된다. 이로 인해, 전력 공급이 복귀된 후, 장치의 정지 전의 상태로부터 계속해서 처리를 이어갈 수 없다.
이 경우, 수동으로, 이미 각 슈터(3)로 불출된 정제를 회수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액정 모니터(8)에 초기화 요구(INITIALIZATION REQUIRED) 화면을 표시하고, 초기화(INITIALIZE) 버튼이 터치 조작됨으로써 모든 슈터(3)의 로크 상태를 해제하여, 초기화 완료 화면으로 절환한다. 그리고 슈터(3)로부터 불출된 정제를 회수한다. 회수 작업이 종료되면, 초기화 완료 화면에서 OK 버튼을 터치 조작함으로써 약제 회수 처리를 종료한다. 단, 슈터(3)로 불출된 정제가 남아 있는 경우, 초기화 완료 화면에서 경고 표시한다. 여기에서는,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제가 남아 있는 슈터(3)에 대응하는 카세트란(41a)의 배경을 적색으로 표시한다. 또한, 각 슈터(3)의 LED를 점등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한눈에 어떤 슈터(3)의 정제가 남아 있는 것인지를 간단하게 판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정전 등에 의한 정지로부터 복귀할 때라도, 어떤 슈터(3)에 정제가 남아 있는지를 한눈에 판별할 수 있으므로, 간단하게 정제의 회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슈터(3)에 정제가 남는 일이 없어, 장치의 재기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고, 그 후에 처방한 약제를 불출할 때에, 수량 차이 등의 트러블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권장병 사이즈 표시 처리)
제어 유닛(5)의 기억부에는, 사용하는 각 사이즈의 정제 용기(6)(바이알병)에 각각 수용 가능한 정제의 최대 정제 수가, 정제의 종류별로 각각 기억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29에 도시한 리스트 표에서는, 사이즈 20DR의 바이알병에 수용 가능한 정제 A의 최대 정제 수가 100정인 경우, 그때의 비율(Rate)을 1로 하고, 20DR의 바이알병을 기준 정제 용기로 하고 있다. 이 기준 정제 용기에 대하여, 사이즈 30DR의 바이알병은 비율 1.5로 기억되고, 최대 정제 수는 150정이라 계산된다. 또한, 사이즈 40DR의 바이알병은 비율 2로 기억되고, 최대 정제 수는 200정이라 계산된다.
여기서,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어떤 정제(예를 들어, 정제 A)의 불출 수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해서 불출하는 바이알병을 결정한다. 즉, 가장 작은 사이즈의 바이알병으로부터 차례로 수용하는 정제 수의 범위를 구획하여, 각 범위에 각 사이즈의 바이알병을 관련짓는다. 그리고 불출 수가 어떠한 범위에 속하는지에 의해, 바이알병의 사이즈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예에서는 불출 수 N이 N < 100이면 결정하는 바이알병의 사이즈를 20DR로 하고, 100 ≤ N < 150이면 30DR로 하고, 150 ≤ N < 200이면 40DR로 한다. 그리고 결정된 권장병 사이즈를 액정 모니터(8)에 표시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처방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자동으로 결정되어 표시된 사이즈에 따라 해당하는 바이알병을 준비하면 돼 효율적으로 정제의 불출 작업을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불출 수가 200정을 초과할 경우, 에러 보고하거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분할 처리를 실행하거나 하면 좋다. 또한, 정제 B, C 등의 종류가 다른 정제에 대해서는, 상기 정제 A와 마찬가지로, 정제 B, C마다 사용자가 채용하고 있는 20DR의 정제 용기(6)에 수용 가능한 최대 정제 수를 기억시켜도 좋고, 정제 A의 최대 정제 수에 대한 비율로서 기억시켜도 좋다. 후자의 경우, 기억된 비율에 따라서 바이알병을 결정하면 좋다. 또한, 해당하는 사이즈의 바이알병의 재고가 없는 경우, 그 재고 정보를 기초로 하여 1개 사이즈의 큰 바이알병을 자동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점포 채용 병 정보 등록 처리)
그런데 점포에 따라 채용하고 있는 바이알병의 메이커나 사이즈가 다르다. 그러나 각 메이커의 다양한 사이즈의 바이알병의 개개에 대해서, 모든 약제의 최대 정제 수를 각각 등록하는 것은, 그 수가 방대하므로 매우 수고스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새롭게 바이알병이나 정제를 등록할 경우에도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마스터 데이터에는 기준 정제 용기에 대한 각 약제의 최대 정제 수를 기억시켜, 다른 바이알병(동일 메이커의 다른 사이즈의 바이알병뿐만 아니라, 다른 메이커의 각종 다른 사이즈의 바이알병)에 대해서는, 이 값에 대한 각 바이알 병의 비율을 기억시킨다. 그리고 수용하는 정제의 종류에 따라서, 기준 정제 용기의 최대 정제 수에 상기 비율을 승산하여, 다른 바이알병의 최대 정제 수를 산출한다. 이에 의해, 다른 바이알병에 정제마다 최대 정제 수를 기억시킬 필요가 없어져, 번잡한 등록의 수고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새롭게 등록하는 바이알병이나 정제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분할 처방 처리)
또한, 채용하고 있는 바이알병 중, 수용 가능한 정제 수가 최대의 것이라도, 어떤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어떤 정제의 모든 불출 수를 전부 수용할 수 없는 경우, 다음과 같이 해서 복수의 바이알병으로 나누어 분할 처방한다.
즉, 도 30 및 도 31의 흐름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처방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정제의 처방 수(처방된 정제의 수량)를 읽어 들여(스텝 S21), 처방전을 출력한다(스텝 S22).
여기서, 정제의 처방 수 S가 가장 큰 바이알병에 수용 가능한 정제 수 T(최대 정제 수 Tmax)를 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3). 처방 수 S가 최대 정제 수 Tmax 이하이면, 그 처방 수를 기초로 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권장병 사이즈를 결정한다(스텝 S24). 처방 수 S가 최대 정제 수 Tmax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 다시 처방 수 S가 최대 정제 수의 2배를 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5). 처방 수가 최대 정제 수의 2배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 다시 그 처방 수가 최대 정제 수의 3배를 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6).
처방 수 S가 최대 정제 수 Tmax의 2배 이하일 경우, 처방 수를 기초로 하여 가장 적절한 바이알병의 사이즈를 결정한다(스텝 S27). 여기에서는, 처방 수를 2 분할하고, 얻게 된 값을 기초로 하여, 상기 스텝 S22와 마찬가지로 하여 바이알병의 사이즈를 결정한다. 바이알병의 사이즈가 결정되면, 그 취지를 액정 모니터(8)에 표시한다(스텝 S28). 그리고 바코드 리더에 의해 처방전에 인쇄된 바코드가 판독되면(스텝 S29), 해당하는 정제를 슈터(3)로 불출한다(스텝 S30). 이 경우, 동일 정제가 복수의 정제 카세트(2)에 수용되어 있는 것이면, 그 2 군데에서 각각 불출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1 군데밖에 없으면, 우선 분할된 정제 수를 불출하도록 하면 좋다. 그리고 정제를 불출한 슈터(3)의 LED를 점등한다(스텝 S31). 이 경우, LED를 2회 점멸시킴으로써, 2 분할인 취지를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회의 점멸을 소정 시간마다 행하도록 하면, 사용자가 놓치는 일도 없다. 2 군데로 불출할 경우와, 1 군데로 불출할 경우에서 식별 가능한 표시(색을 변경하는 등)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군데로 불출할 경우, 2개의 바이알병을 사용해서 각 슈터(3)로부터 회수하도록 하면 좋다. 1 군데로 불출할 경우, 처방 수의 절반이 불출된 슈터(3)로부터의 바이알병으로의 회수 작업이 완료된 후, 다시 슈터(3)에 남은 절반의 정제를 불출하도록 하면 좋다. 이때, LED를 1회 점멸시킴으로써(소정 시간마다 행하는 것이 바람직함), 나머지 절반의 회수 작업이 남아 있는 것을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처방 수가 최대 정제 수의 3배 이하일 경우, 처방 수를 3 분할하고, 얻게 된 값을 기초로 하여, 상기 스텝 S27과 마찬가지로 하여 바이알병의 사이즈를 결정한다(스텝 S32). 그리고 바이알병의 사이즈가 결정된 후는, 2 분할하는 경우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한다(스텝 S33 내지 스텝 S36). 또한, 약제를 동일한 정제 카세트(2)로부터 슈터(3)로 불출할 경우(1 군데로 불출할 경우), 분할 수를 슈터(3)에 설치한 인디케이터의 점등 수로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의해, 한눈에 분할 수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바이알병으로 불출될 때마다, 인디케이터의 점등 수를 줄여 가면 된다. 이에 의해, 바이알병으로의 회수 작업의 나머지 수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2 분할할 경우나 3 분할할 경우, 카세트란(41a)의 인디케이터에서, 분할 수에 따른 블랭크 수를 점등하면 좋다.
처방 수가 최대 수용 정제 수의 3배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 「불출 불가」의 신호를 출력하여(스텝 S37),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분할 처방을 가능하게 했으므로, 대량의 정제를 불출할 필요가 있는 경우라도, 복수의 바이알병으로 나누어 불출할 수 있어,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3 분할할 때까지로 했지만, 4 분할 이상으로 해도 상관없다. 또한, 분할 처방은 일부 사이즈의 바이알병이 결함이 있는 제품일 경우에, 사이즈가 작은 바이알병으로의 불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이용해도 좋다.
(다른 실시 형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기재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슈터(3)의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 대신에,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하는 슈터(50)는 좌우로 2 분할된 제1 케이스(51)와 제2 케이스(52)로 형성되는 전방을 향해 비스듬히 하방으로 돌출하는 안내 통로(53)로 구성되어 있다. 안내 통로(53)는, 전방을 향해 비스듬히 하방으로 돌출하고, 적어도 전방면이 투광성을 갖고, 거기에는 수용되는 정제 수를 나타내는 눈금이 표시되어 있다. 단, 안내 통로(53)는 상기 실시 형태와는 달리, 하방측의 단면적은 상방측과 동일하다.
안내 통로(53)의 외주측에는, 적어도 전방면측이 투광성을 갖는 원통 안내부(54)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안내 통로(53)의 내측에는 로크 링(55)이 부착되고, 그 내측에는 노즐 케이스(56)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노즐 케이스(56)에는 4매의 노즐 플레이트(57)가 부착되어 있다. 각 노즐 플레이트(57)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부(58)와, 이 축부(58)로부터 연장되는 대략 삼각 형상의 폐쇄편(59)과, 이 폐쇄편(59)으로부터 측방의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편(60)과, 폐쇄편(59)의 외면으로부터 외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압박 받침부(61)로 구성되어 있다. 각 노즐 플레이트(57)는, 로크 링(55)의 내주측에 배치되어, 축부(58)를 로크 링(55)의 내주측 베어링부(55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로크 링(55)이 안내 통로(53)의 선단부 플랜지부(53a)와의 사이에 설치한 코일 스프링(62)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노즐 플레이트(57)는, 압박 받침부(61)의 외면이 로크 링(55)의 개구연부에 접촉하여, 축부(58)를 중심으로 해서 내경측으로 회전하고, 폐쇄편(59)의 외연끼리를 서로 접촉시켜서 슈터(50)의 하단부 개구부를 폐쇄한다. 또한, 노즐 케이스(56)의 일부가 안내 통로(53)의 외주면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어, 그 선단부 부분에는 걸림 받침부(56a)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 받침부(56a)에는 슈터(50)의 배면측에 설치한 솔레노이드(도시하지 않음)의 로드(63)가 결합 분리하도록 되어 있다. 결합 시에는, 로크 링(55)의 상방측으로의 이동이 저지되어, 노즐 플레이트(57)의 폐쇄편(9)이 개방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슈터(50)에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처방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슈터(50) 안내 통로(53) 내로 소정수의 정제가 불출되면, 슈터(50)에 설치한 적색 LED[표시부(64)]가 점등한다. 그리고 안내 통로(53) 내에 수용된 정제 수에 따른 사이즈의 정제 용기(6)(도 15 내지 도 17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에 점착한 바코드를 바코드 스캐너로 판독하게 함으로써, 슈터(50)에 설치한 청색 LED[표시부(64)]가 점멸하고, 솔레노이드가 구동함으로써 로드(63)가 로크 링(55)의 걸림 받침부(55a)로부터 이탈하여, 노즐 플레이트(57)의 로크 상태가 해제된다.
그래서, 정제 용기(6)의 상방 개구부를 슈터(50)의 하단부 개구부에 위치시켜, 상방으로 압박한다. 이에 의해, 노즐 플레이트(57)가 코일 스프링(62)의 압박력에 저항해서 로크 링(55)을 밀어 올려, 노즐 플레이트(57)의 압박 받침부(61)는 외경측으로 확대되게 된다. 이에 의해, 폐쇄편(59)이 분리되어, 안내 통로(53) 내에 저류되어 있는 정제가 정제 용기(6)로 배출된다. 이때, 폐쇄편(59)은 정제 용기(6) 내로 확대되어, 정제 용기(6)로의 정제의 배출은 원활하게 행해진다. 또한, 노즐 플레이트(57)가 확대되면, 인접하는 폐쇄편(59)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지만, 이 부분에는 안내편(60)이 위치하게 되어, 정제가 정제 용기(6) 이외로 흘러 떨어지는 일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한 구성의 슈터(50)에 따르면, 하단부 개구부에 대하여 정제 용기(6)를 상방측, 즉 하단부 개구부에 압박하도록 하여 정제 용기(6)로 정제를 불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정제 용기(6)의 개구연부를 노즐 플레이트(57)에 압박함으로써, 정제 용기(6)의 개구부의 사이즈에 따라서 폐쇄편(59)을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제 용기(6)의 개구부 사이즈의 차이에 상관없이, 개방도를 적절한 값으로 하여 정제가 흘러 떨어지거나, 불출 속도가 저하되거나 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내 통로(53)는 똑바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노즐 플레이트(57)를 개방하는 것만으로 안내 통로(53)에 정제를 잔류시키는 일이 없어, 확실하면서도 또한 단번에 정제 용기(6)로 불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슈터(3)의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 대신에, 도 19 내지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슈터 본체(71)의 전방면측에 커버(72)를 착탈 가능한 구성의 슈터(70)로 할 수도 있다.
슈터 본체(71)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절반부(73)와 제2 절반부(74)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절반부(73)의 측벽 내면은 중간 부분으로부터 서서히 내측을 향해 팽출하는 본체측 제1 안내 벽(75)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본체측 제1 안내 벽(75)은 상방측으로부터 연속되는, 제1 직선부(75a), 만곡부(75b) 및 제2 직선부(75c)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측 제1 안내 벽(75)의 더욱 내측에는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93)의 측연부를 안내하는 돌조부(76)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절반부(74)는 측벽 내면이 중간 부분으로부터 서서히 내측을 향해 팽출하고,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93)의 측면을 안내하는 본체측 제2 안내 벽(77)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절반부(73)의 하방 부분에는 제1 보조 부재(78)가, 제2 절반부(74)의 하방 부분에는 제2 보조 부재(79)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제1 절반부(73)와 제1 보조 부재(78) 사이에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LED(80)가 부착되어 있다. LED(80)는 슈터 본체(71)에 커버(72)가 장착되어, 후술하는 개폐 플레이트(102)에 의해 하단부 개구부가 폐쇄된 상태가 됨으로써 점등한다. 즉, 슈터(70)로의 정제의 불출 준비가 완료됨으로써 점등한다. 또한, LED(80)는 정제가 불출됨으로써 점멸하고, 정제 용기(6)(도 19 내지 도 25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에 의한 회수가 가능해진 것을 통지한다.
제1 절반부(73)와 제1 보조 부재(78)로 구성되는 하단부에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결합 구멍(8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결합 구멍(81) 내에는 로크 기구(8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로크 기구(82)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축(83a)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회전편(83)과, 이 회전편(83)을 압박하는 코일 스프링(84)을 구비한다. 회전편(83)의 선단부에는 갈고리부(85)가, 중간부 측연에는 걸림 돌기부(8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갈고리부(85)는 제1 결합 구멍(81)에 삽입되는 커버(72)의 제1 결합 돌기부(110)(후술함)에 의해 압박된다. 또한, 걸림 돌기부(86)는 후술하는 개폐 플레이트(102)의 걸림 받침부(106)에 결합 분리된다. 코일 스프링(84)은 걸림 돌기부(86)의 걸림 받침부(106)로의 걸림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개폐 플레이트(102)를 압박한다. 그리고 슈터 본체(71)에 커버(72)가 장착되고, 갈고리부(85)가 제1 걸림 돌기부(90)에 압박되어, 코일 스프링(84)의 압박력에 저항해서 회전편(83)이 회전함으로써, 걸림 돌기부(86)가 걸림 받침부(106)로부터 탈락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걸림 돌기부(86)의 선단부 하면에는 테이퍼면이 형성되고, 개폐 플레이트(102)의 걸림 받침부(106)로의 걸림이 원활하게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 절반부(73)의 전방면에는 LED(80)로부터의 빛을 안내하는 축 형상의 안내부(73a)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절반부(74)와 제2 보조 부재(79) 사이에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 센서(87)가 배치되어 있다. 검출 센서(87)는, 후술하는 개폐 플레이트(102)의 피검출부(98)를 검출하고,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93)가 상방 위치[개폐 플레이트(102)가 폐쇄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의 판단에 이용된다.
제2 보조 부재(79)와 제2 절반부(74)로 구성되는 하단부에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결합 구멍(8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보조 부재(79)의 외측면에는 노브(89)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노브(89)의 회전축은,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절반부(74)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하고, 거기에는 아암부(90)가 고정되어 있다. 아암부(90)의 중간부에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절반부(74)에 형성한 절결부(74a)를 통해서 출몰 가능한 걸림편(91)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아암부(90)의 선단부 측연부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개폐 플레이트(102)의 돌출부(105)에 접촉하고, 이 개폐 플레이트(102)를 개폐 동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아암부(90)의 선단부에는 오목부(90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90a)는, 후술하는 개폐 플레이트(102)의 돌출부(105)에 결합 분리한다. 그리고 결합 상태에서 개폐 플레이트(102)를 개방 위치에 위치 결정한다. 제1 절반부(73)와 제2 절반부(74)로 구성되는 슈터 본체(71)의 구획벽 중앙부에는 직사각 형상의 개구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고, 그 배면측 공간에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100)가 배치되어 있다.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93)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측의 제1 안내 벽(94)과, 제2 절반부(74)측의 제2 안내 벽(95)을 구비한다.
본체측 제1 안내 벽(94)에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배면을 따라 평행하게 상방으로 연장되는 통 형상의 스프링 받침부(96)와, 배면 방향으로 대략 U자 형상으로 돌출하는 걸림 받침부(97)와, 축 배면 방향으로 통 형상으로 돌출하는 피검출부(9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받침부(96), 걸림 받침부(97) 및 피검출부(98)는, 상기 슈터 본체(71)에 형성한 개구부를 지나 배면측 공간으로 돌출하고 있다. 스프링 받침부(96)에는, 슈터 본체(71)의 배면측 공간을 구성하는 상면과의 사이에 배치한 코일 스프링(99)이 부착되어 있다. 이 코일 스프링(99)의 압박력을 받은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93)는, 제1 안내 벽(94)의 측연부가 슈터 본체(71)의 제1 절반부(73)에 형성한 돌조부(76)에 접촉하고, 제2 안내 벽(95)의 외면이 슈터 본체(71)의 제2 절반부(74)의 내면에 접촉하는 하방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걸림 받침부(97)에는 솔레노이드(100)의 로드(101)가 결합 분리된다. 피검출부(98)는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93)가 상방 위치에 위치할 때, 검출 센서(87)에 의해 검출된다.
본체측 제2 안내 벽(95)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72) 및 제2 절반부(74)의 측벽 내면을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2 안내 벽(95)은 제1 직선부(95a)와, 그 하방측에 연속되는 만곡부(95b)와, 다시 그 하방측에 연속되는 제2 직선부(95c)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93)는, 슈터 본체(71)의 배면을 따라 승강한다.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93)가 하방 위치에 위치할 경우, 제2 안내 벽(95)의 내면이 제1 절반부(73)의 측벽 내면 및 전방면 커버(72)로 약제 통로를 구성한다. 상세하게는, 제1 직선부(75a, 95a 및, 후술하는 112a)에 의해 폭이 넓은 통로가 형성되고, 만곡부(75b, 95b 및, 후술하는 112b)에 의해 서서히 통로 단면적이 작아져, 제2 직선부(75c, 95c 및, 후술하는 112c)에 의해 폭이 좁은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93)가 상방 위치에 위치할 경우, 제2 직선부(95c)가, 제1 직선부(75a, 112a)의 대향 위치로부터 만곡부(75b, 112b), 혹은 제2 직선부(75c, 112c)의 대향 위치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는, 폭이 좁은 통로를 구성하는 제1 직선부(95c)가 이동함으로써, 통로 단면적이 작아지는 부분이 없어져, 정제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93)에는 제1 안내 벽(94)의 하단부에 개폐 플레이트(102)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개폐 플레이트(102)는 반원통 형상으로,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 부분이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 서서히 하방측으로 경사져 있다. 개폐 플레이트(102)의 상단부에는 회전축(103)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103)은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93)의 제1 안내 벽(94)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개폐 플레이트(102)의 배면측 중앙부는 지지축(104a)을 지나 보조 플레이트(104)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보조 플레이트(104)의 타단부는, 지지축(104b)을 지나 제1 절반부(73)와 제2 절반부(74)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개폐 플레이트(102)의 회전 동작에 의해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93)가 승강 동작한다.
개폐 플레이트(102)의 회전축(103)의 일단부측은,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05)로 되어 있다. 돌출부(105)에는, 노브(89)에 고정한 아암부(90)의 선단부 부분에 의해 압박된다. 그리고 아암부(90)의 선단부의 오목부(90a)에 돌출부(105)가 결합됨으로써, 개폐 플레이트(102)가 개방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개폐 플레이트(102)의 배면측 측연부로부터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을 향해 걸림 받침부(106)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걸림 받침부(97)는 단면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강성이 높아져 있다. 걸림 받침부(106)의 상면은 만곡면이 형성되고, 슈터 본체(71)에 설치한 회전편(83)의 걸림 돌기부(67)가 걸리기 쉽게 되어 있다.
개폐 플레이트(102)는,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93)가 하방 위치에 위치할 때는, 회전축(103)이 하방측으로 위치 규제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개폐 플레이트(102)는 제1 절반부(73),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93) 및 커버(72)에 의해 형성된 정제 통로의 하단부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또한, 개폐 플레이트(102)는 노브(89)를 조작하면, 아암부(90)의 선단부에서 돌출부(105)가 압박됨으로써,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회전한다. 또한, 개폐 플레이트(102)의 선단부측 배면에는, 하단부보다도 하방측으로 돌출하는 압박 받침부(10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압박 받침부(108)는,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정제 용기(6)의 상방 개구부에 의해 압입되어, 개폐 플레이트(102)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회전시킨다.
커버(72)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 형상으로, 투광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72)의 상단부에는 단차부(109)가 형성되어 있다. 단차부(109)는 정제 카세트(2)측의 받침부에 결합한다. 또한, 커버(72)의 하단부 양측에는 제1 결합 돌기부(110)와 제2 결합 돌기부(11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결합 돌기부(110, 111)는 슈터 본체(71)에 설치한 결합 구멍(81, 88)에 각각 결합 분리한다. 제1 결합 돌기부(110)는 제1 결합 구멍(81)에 삽입됨으로써, 회전편(83)의 갈고리부(85)를 압박하고, 회전편(83)을 코일 스프링(84)의 압박력에 저항해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회전편(83)의 갈고리부(85)가 개폐 플레이트(102)의 걸림 받침부(106)와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커버(72)는 슈터 본체(71)에 장착됨으로써 정제 통로의 전방면측을 구성한다. 커버(72)의 표면에는 눈금이 형성되어, 시각에 의한 확인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저류된 정제 수가 적절한 것인지 여부의 판단이나, 저류된 정제를 불출하기 위한 정제 용기(6)의 선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커버(72)에는, 측벽의 내측에 슈터 본체(71)의 본체측 제1 안내 벽(75) 및 본체측 제2 안내 벽(77)으로, 하방측을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단면적이 작아지는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측 제1 안내 벽(112) 및 커버측 제2 안내 벽(11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커버측 제1 안내 벽(112) 및 커버측 제2 안내 벽(113)은, 상방측으로부터 제1 직선부(112a, 113a), 만곡부(112b, 113b) 및 제2 직선부(112c, 113c)로 구성되어 있다. 측벽과 커버측 제2 안내 벽(113) 사이에는 걸림 받침 벽(114)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 받침 벽(114)에는, 노브(89)에 의해 회전하는 아암부(90)에 설치한 걸림편(91)이 걸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단차부(109)와 제1 결합 돌기부(110)에 의해, 커버(72)는 슈터 본체(71)에 대하여 전방으로의 탈락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걸림 상태에 의해, 커버(72)는 슈터 본체(71)에 대하여 하방측으로의 탈락이 방지된다. 이에 의해, 노브(89)를 조작하는 일 없이 슈터 본체(71)로부터 커버(72)를 제거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슈터(70)에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처방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정제 카세트(2)로부터 슈터(70)로 소정수의 정제가 불출된다. 슈터(70)에서는, 개폐 플레이트(102)가 폐쇄 위치에 위치하고, 정제 카세트(2)로부터 불출된 정제가 저류된다. 사용자는 정제 용기(6)의 상방 개구부에서 개폐 플레이트(102)의 압박 받침부(108)를 압입함으로써 개폐 플레이트(102)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회전시켜, 저류된 정제를 정제 용기(6) 내로 불출한다.
그런데 상기 슈터(70)에서는 사용에 의해, 정제에서 탈락한 미세 분말이 내면에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그 슈터(70)를 다른 정제의 불출에 이용하면, 오염물(contamination)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슈터(70)의 청소가 필요해진다. 그래서, 슈터 본체(71)로부터 커버(72)를 제거해서 부착한 미세 분말의 청소를 행한다. 이때, 노브(89)를 조작하여, 아암부(90)의 걸림편(91)을 커버(72)의 걸림 받침 벽(114)으로부터 이탈시킨다. 이에 의해, 커버(72)는 슈터 본체(71)에 대하여 하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제거 가능해진다. 또한, 개폐 플레이트(102)는 노브(89)을 조작함으로써, 돌출부(105)가 아암부(90)의 선단부에 형성한 오목부(90a)에 결합하여, 개방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이에 수반하여,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93)는 상방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커버(72)를 슈터 본체(71)로부터 제거할 때, 동시에 결합 돌기부(110, 111)가 결합 구멍(81, 88)으로부터 각각 이탈한다. 제1 결합 돌기부(110)가 제1 결합 구멍(81)으로부터 이탈할 때, 회전편(83)이 제1 결합 돌기부(110)에 의한 지지를 잃어 코일 스프링(84)의 압박력에 의해 회전하고, 걸림 돌기부(86)가 개폐 플레이트(102)의 걸림 받침부(106)에 걸린다. 이에 의해, 상기 오목부(90a)와 돌출부(105)의 결합에다가, 개폐 플레이트(102)의 회전이 저지되어, 제2 로크 기구로서 기능을 한다(소위 더블 로크 기구).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93)는 피검출부(98)가 검출 센서(87)에 의해 검출됨으로써, 상방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있다고 판단된다. 이 상태에서는, 검출 센서(87)에 의한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정제 카세트(2)로부터의 정제의 불출이 중지된다.
슈터 본체(71)로부터 커버(72)가 제거되면, 닦아내기나 흡인 등에 의해 미세 분말이 부착된 부위 등을 청소한다. 슈터(2)의 전방면측 전체를 차지하는 커버(72)를 제거한 상태에서 청소할 수 있으므로, 작업을 효율적으로 전 영역에서의 청소가 가능해진다.
청소 작업이 종료되면, 슈터 본체(71)에 커버(72)를 장착한다. 즉, 슈터 본체(71)에 대하여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 커버(72)를 접근시켜, 커버(72)의 단차부(109)를 정제 카세트(2)측의 받침부에 결합시키는 동시에, 결합 돌기부(110, 111)를 결합 구멍(81, 88)에 각각 삽입한다. 제1 결합 돌기부(110)가 제1 결합 구멍(81)에 삽입됨으로써, 회전편(83)이 코일 스프링(99)의 압박력에 저항해서 압입된다. 그리고 걸림 돌기부(86)가 개폐 플레이트(102)의 걸림 받침부(106)로부터 이탈하고,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93)는 코일 스프링(99)의 압박력에 의해 하방 위치로 회전한다. 이에 수반하여, 개폐 플레이트(102)는 폐쇄 위치로 회전한다. 그리고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93)가 하방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피검출부(98)가 검출 센서(87)에 의해 검출된다. 이에 의해, 정제 카세트(2)로부터 슈터(70)로의 정제의 불출이 가능해진다.
또한, 청소 작업 중에, 실수로 노브(89)에 접촉했다고 해도, 개폐 플레이트(102)는, 그 걸림 받침부(106)에 회전편(83)의 걸림 돌기부(86)가 걸려 있기 때문에, 개방 위치를 유지하여 폐쇄 위치로 회전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검출 센서(87)에 의해 피검출부(98)가 검출되는 일이 없어, 정제 카세트(2)로부터의 정제의 불출은 거부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장치 본체(1)를 1개만 설치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장치를 2개 이상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2개 이상의 장치 본체(1)에 대하여 액정 모니터(8)를 겸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도 11에 도시한 메인 화면(41)에서, 화면 절환 버튼을 터치 조작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장치 본체(1)의 정제 카세트(2)의 상태를 도시하는 화면으로 절환하도록 하면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상기 정제 불출 장치로부터 정제가 불출된 경우의 처방 수를 카운트하고, 월 단위로 집계해서 화면에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불출의 상세를 일 단위, 주 단위, 월 단위 등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솔레노이드에 의해 슈터(3, 50, 70)를 로크 상태로 하여, 정제가 마음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지만, 각 슈터(3, 50, 70)의 솔레노이드의 구동 제어는 제어 유닛(5)에 의해 자유롭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각 슈터(3, 50, 70)의 로크 상태를, 개별로, 혹은 열 단위로 해제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로크 상태가 해제된 것은, 메인 화면(41)에 표시시킨 카세트란(41a)의 표시 형태를 변경함으로써 식별 가능하게 하면 좋다. 이에 의해, 슈터(3, 50, 70)를 청소할 경우 등, 로크의 해제를 희망하는 슈터(3, 50, 70)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처방 데이터를 기초로 하는 정제의 불출을,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입력순으로 행하도록 했지만, 약속 처방 시간을 설정하여, 대기 시간이 긴 처방을 우선적으로 불출하도록 해도 좋다(약속 처방). 즉, 약속 처방 시간(예를 들어, 60분)을 설정하여, 처방 데이터의 수신으로부터 약속 처방 시간이 지나면, 그 처방 데이터를 기초로 하는 정제의 불출을 다른 처방보다도 우선해서 행하게 하도록 하면 좋다. 이에 의해, 어떤 처방에 대해서, 장시간에 걸쳐서 기다리게 된다고 하는 등의 문제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동일한 정제 카세트(2)에 대하여 정제의 불출 요구가 연속된 경우(대기 처방), 액정 모니터(8)의 메인 화면(41)의 카세트란(41a)에 표시시킨 인디케이터의 수를 변경만 하는 것으로 했지만, 다음과 같은 구성을 추가해도 좋다.
즉, 동일한 정제 카세트(2)에 대하여 정제의 불출 요구가 연속된 경우, 현재 슈터(3, 50, 70)로 불출되고 있는 정제가 어떠한 처방에 대한 것인지를, 처방전에 인쇄된 바코드를 바코드 리더로 판독함으로써, 액정 패널(8)에 그 처방전에 관한 것인지의 여부를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어, 슈터(3, 50, 70)로 불출된 정제가 처방전에 인쇄된 것과 합치하지 않으면, 액정 패널(8)에 「그 약제는 아직 불출되지 않았습니다」라고 표시하도록 하면 좋다. 또한, 그 처방이 몇 번째인지를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불출된 정제가 어떤 처방전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불출 요구가 연속되는 경우로서는, 통상 처방, 약속 처방, 혹은 우선 처방이 단독 혹은 복합되어 연속되는 경우가 해당한다.
1 : 장치 본체
2 : 정제 카세트
3 : 슈터
4 : 불출 유닛
5 : 제어 유닛
6 : 정제 용기
7 : 아암
8 : 액정 모니터
9 : 카세트 본체
10 : 덮개
11 : 로터 수용부
12 : 정제 수용부
13 : 로터
15 : 정제 배출구
16 : 슬릿
17 : 구획 부재
18 : 중간 기어
19 : 웜 기어
20 : 모터
21 : 종동 기어
22 : 제1 케이스
23 : 제2 케이스
24 : 안내 통로
25 : 제어부
26 : 개폐 플레이트
27 :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
28 : 안내부
29 : 통로 제한부
30 : 표시부
31 : 지지축
32 : 안내 홈
33 : 압박 받침부
34 : 걸림 갈고리
35 : 미끄럼 방지부
36 : 폐쇄용 스프링
37 : 스프링 받침부
38 : 결합 받침부
39 : 코일 스프링
40 : 결합부
41 : 메인 화면
41a : 카세트란
41b : 인디케이터
42 : 「Work Queue」란
43 : 「Next」버튼
44 : 「Reset」버튼
50 : 슈터
51 : 제1 케이스
52 : 제2 케이스
53 : 안내 통로
53a : 선단부 플랜지부
54 : 원통 안내부
55 : 로크 링
55a : 내주측 베어링부
56 : 노즐 케이스
56a : 걸림 받침부
57 : 노즐 플레이트
58 : 축부
59 : 폐쇄편
60 : 안내편
61 : 압박 받침부
62 : 코일 스프링
63 : 로드
70 : 슈터
71 : 슈터 본체
72 : 커버
73 : 제1 절반부
74 : 제2 절반부
74a : 절결부
75 : 본체측 제1 안내 벽
75a : 제1 직선부(폭이 넓은부)
75b : 만곡부(폭이 넓은부)
75c : 제2 직선부(폭이 좁은부)
76 : 돌조부
77 : 본체측 제2 안내 벽
78 : 제1 보조 부재
79 : 폐쇄편
80 : LED
81 : 제1 결합 구멍
82 : 로크 기구
83 : 회전편
83a : 지지축
84 : 코일 스프링
85 : 갈고리부
86 : 걸림 돌기부
87 : 검출 센서
88 : 제2 결합 구멍
89 : 노브
90 : 아암부
91 : 걸림편
93 :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
94 : 제1 안내 벽
95 : 제2 안내 벽
95a : 제1 직선부(폭이 넓은부)
95b : 만곡부(폭이 넓은부)
95c : 제2 직선부(폭이 좁은부)
96 : 스프링 받침부
97 : 걸림 받침부
98 : 피검출부
99 : 코일 스프링
100 : 솔레노이드
101 : 로드
102 : 개폐 플레이트
103 : 회전축
104 : 보조 플레이트
104a : 지지축
104b : 지지축
105 : 돌출부
106 : 걸림 받침부
108 : 압박 받침부
109 : 단차부
110 : 제1 결합 돌기부
111 : 제2 결합 돌기부
112 : 커버측 제1 안내 벽
112a : 제1 직선부(폭이 넓은부)
112b : 만곡부(폭이 넓은부)
112c : 제2 직선부(폭이 좁은부)
113 : 커버측 제2 안내 벽
113a : 제1 직선부
113b : 만곡부
113c : 제2 직선부
114 : 걸림 받침 벽

Claims (19)

  1. 장치 본체와,
    종류별로 복수의 정제가 수용되고, 상기 장치 본체의 전방면에 상하 방향으로 병설되어, 정제의 불출 방향을 측방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정제 카세트와,
    상기 각 정제 카세트에 대응하여, 상기 장치 본체의 전방면에, 상기 정제 카세트가 병설되는 측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병설되어, 불출된 정제를 일단 저류하고, 하방부에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정제 용기로 불출 가능하게 하는 불출부를 갖는 복수의 슈터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불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터는 장치 본체의 전방면측에 비스듬히 하방을 향해 돌출하고, 상기 슈터 중, 상하 방향으로 병설되는 슈터는 하방측에 위치하는 슈터의 상방 부분에, 그 상방측에 위치하는 슈터의 하방 부분이 겹침으로써, 상방측에 위치하는 슈터로부터 정제를 불출할 때, 하방측에 위치하는 슈터가 정제 용기를 안내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불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슈터의 불출부는, 상기 불출부에 배치되는 정제 용기에 압박됨으로써, 상기 정제 용기의 개구부의 사이즈에 따라서 개구 면적을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불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슈터는 정제 용기의 일부를 압박한 상태에서, 상기 슈터의 하방부에 배치함으로써 개방하고, 상기 슈터 내에 저류한 정제를 정제 용기로 불출 가능하게 하는 개폐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불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슈터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슈터의 하단부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는 개폐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 플레이트는 정제 용기의 개구부 외면에 의해 압입 가능한 압박 받침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불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슈터는 개폐 플레이트가 회전할 때, 슈터의 하방부에서의 위치가 변화되지 않도록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불출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슈터 내를 개폐 플레이트의 움직임에 연동해서 이동하는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불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슈터 및 상기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는, 상방측으로부터 서로 대향하는 폭이 넓은부와, 상기 폭이 넓은부로부터 서서히 대향 방향에 접근하는 폭이 좁은부를 구비하고,
    상기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가 상방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의 폭이 좁은부가, 상기 슈터의 폭이 넓은부에 대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불출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슈터는 슈터 본체와, 상기 슈터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한 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불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슈터 본체는 상기 커버를 슈터 본체에 장착한 상태에서 로크하는 로크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불출 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슈터는 슈터 본체와, 상기 슈터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한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슈터 본체는 상기 커버를 슈터 본체에 장착한 상태에서 로크하여, 상기 개폐 플레이트를 개방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로크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슈터 본체에 걸림 받침부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에, 상기 걸림 받침부에 결합 분리하는 걸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부에 의해 회전하고, 걸림 갈고리부를 구비한 회전편과,
    상기 개폐 플레이트에 형성되고, 회전편의 걸림 갈고리부가 결합 분리하는 걸림 받침부로 이루어지는 제2 로크 기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불출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처방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해당하는 정제가 수용된 정제 카세트를 구동함으로써 슈터로 정제를 불출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슈터로 이미 불출된 정제가 있는 경우, 그 후의 처방 데이터에, 상기 슈터로 불출하는 정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대기 처방으로서, 상기 슈터로부터 정제가 배출될 때까지, 해당하는 정제의 불출을 일시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불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처방의 수를 판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불출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용기는 사이즈가 다른 복수 종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제 용기에 수용 가능한 정제 수의 최대치인 최대 정제 수를, 사이즈가 다른 정제 용기마다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한 각 정제 용기의 최대 정제 수를 기초로 하여, 처방된 정제의 수량에 대하여 어떠한 정제 용기를 선택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정제 용기 결정 수단과,
    상기 정제 용기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정제 용기를 나타내는 표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불출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용기는 사이즈가 다른 복수 종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정제 용기에 수용 가능한 정제 수의 최대치인 최대 정제 수를, 사이즈가 다른 정제 용기마다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정제의 처방된 정제의 수량이,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한 최대 정제 수보다도 큰지의 여부를 기초로 하여 분할 처방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분할 유무 판정 수단과,
    상기 분할 유무 판정 수단에 의한 판정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분할 유무 판정 수단에서 얻어진 판정 결과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불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유무 판정 수단에 의해 분할 처방해야 한다고 판정된 경우, 처방된 정제의 수량이 최대 정제 수의 몇 배인지를 기초로 하여 분할 수를 결정하는 분할 수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분할 수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분할 수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불출 장치.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채용하는 정제 용기 중, 기준이 되는 사이즈의 기준 정제 용기의 최대 정제 수에 대한, 다른 정제 용기의 최대 정제 수의 비율을 표시하는 설정 화면을 표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불출 장치.
  18.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기준이 되는 사이즈의 기준 정제 용기에 수용하는 각 정제의 최대 정제 수에 대한, 기준 정제 용기 이외의 다른 정제 용기로의 최대 정제 수의 비율을 각각 기억하고,
    상기 정제 용기 결정 수단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한 비율을 기초로 하여, 상기 다른 정제 용기에 수용 가능한 최대 정제 수를 환산하고, 처방된 정제의 수량에 대하여 어떠한 정제 용기를 선택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불출 장치.
  19.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대기 처방이 다음의 처방인 것인지, 혹은 동일 처방에 있어서의 분할 처방인 것인지를, 상기 표시 수단에 식별 가능하게 표시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불출 장치.
KR1020107024181A 2008-11-21 2009-11-18 정제 불출 장치 KR1010565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98122 2008-11-21
JPJP-P-2008-298122 2008-11-21
JP2009048442 2009-03-02
JPJP-P-2009-048442 2009-03-02
JP2009193142 2009-08-24
JPJP-P-2009-193142 2009-08-24
PCT/JP2009/006195 WO2010058568A1 (ja) 2008-11-21 2009-11-18 錠剤払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578A true KR20100126578A (ko) 2010-12-01
KR101056591B1 KR101056591B1 (ko) 2011-08-11

Family

ID=42198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4181A KR101056591B1 (ko) 2008-11-21 2009-11-18 정제 불출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8579153B2 (ko)
EP (1) EP2392512A4 (ko)
JP (1) JP4521064B2 (ko)
KR (1) KR101056591B1 (ko)
CN (1) CN102083691B (ko)
CA (1) CA2714014C (ko)
TW (1) TWI485093B (ko)
WO (1) WO20100585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532A (ko) * 2019-11-13 2019-11-22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포장기의 조제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2170B2 (ja) * 2007-06-21 2011-09-28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充填装置
EP2218055B1 (en) 2007-11-14 2014-07-16 Varcode Ltd. A system and method for quality management utilizing barcode indicators
US8769915B2 (en) * 2008-09-30 2014-07-08 Panasonic Healthcare Co., Ltd. Tablet supply apparatus
TWI485093B (zh) * 2008-11-21 2015-05-21 Yuyama Mfg Co Ltd Lozenge delivery device
US9790017B2 (en) 2008-11-21 2017-10-17 Yuyama Mfg. Co., Ltd. Tablet feeder and pharmacy system
JP5290269B2 (ja) * 2010-12-28 2013-09-18 株式会社エルクエスト 錠剤供給装置および除包システム
US10308386B2 (en) 2011-06-02 2019-06-04 Yuyama Manufacturing Co., Ltd.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JP5824769B2 (ja) * 2011-09-07 2015-12-02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固形製剤包装装置
WO2013105198A1 (ja) * 2012-01-11 2013-07-18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株式会社 薬剤供給装置、並びに薬剤供給装置における薬剤鑑査方法
PT2702979E (pt) 2012-08-31 2015-09-10 Carefusion Switzerland 317 Sarl Um equipamento para empacotamento de quantidades receitadas de porções de medicamentos sólidos
EP2716552B1 (de) * 2012-10-08 2014-12-31 UHLMANN PAC-SYSTEME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überwachten Abfüllen von Tabletten in Näpfe eines Folienbandes
US20140108027A1 (en) 2012-10-12 2014-04-17 Mckesson Automation Inc.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in a healthcare facility
US9150119B2 (en) 2013-03-15 2015-10-06 Aesynt Incorporated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anticipating and deliver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using a track based transport system
KR101439986B1 (ko) * 2013-01-11 2014-09-1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조제장치
CN103112625B (zh) * 2013-02-04 2015-02-18 广东广益科技实业有限公司 投包装置、投包机及投包方法
JP5696822B1 (ja) * 2013-07-01 2015-04-08 株式会社湯山製作所 混注管理装置、混注装置、混注管理プログラム
WO2015041220A1 (ja) * 2013-09-18 2015-03-2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カセット及び薬剤包装装置
US10198556B2 (en) * 2014-10-16 2019-02-05 Randy HERMAN Medicament compilation and dispensation system
KR20170060869A (ko) * 2015-11-25 2017-06-02 (주)제이브이엠 약품 자동 포장장치
JP2017114517A (ja) * 2015-12-24 2017-06-29 株式会社タカゾノテクノロジー 薬剤供給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薬剤包装装置
JP6988965B2 (ja) * 2016-03-08 2022-01-05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認識装置
CN105730722B (zh) * 2016-03-21 2019-09-10 天津森雅医疗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摆药设备的暂存装置
EP3473232A4 (en) * 2016-06-17 2020-04-29 Yuyama Mfg. Co., Ltd. INSPECTION SUPPORT SYSTEM AND DRUG DISPENSER
JP6736064B2 (ja) * 2017-01-04 2020-08-05 株式会社トーショー 薬剤フィーダ
US10380824B2 (en) 2017-02-03 2019-08-13 Becton Dickinson Rowa Germany Gmbh Storage and dispensing station for blister packaging machine
JP6975382B2 (ja) 2017-03-28 2021-12-01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棚装置及び薬剤分包ユニット
US11104518B2 (en) * 2018-03-07 2021-08-31 Freeosk, Inc. Remote hopper system
CN108806101B (zh) * 2018-06-08 2021-05-18 广东南粤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自动售药系统
JPWO2020004423A1 (ja) * 2018-06-26 2021-07-08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装置
CN109472931B (zh) * 2018-12-30 2024-02-20 深圳洛可可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散装货物售卖装置
US11583477B2 (en) 2019-06-28 2023-02-21 Papapill, Llc Medication dispensing system
US11613389B2 (en) 2020-03-10 2023-03-28 Blue Sky Ventures (Ontario) Inc. Bulk feeding apparatus and filling machine and method
USD979649S1 (en) * 2020-10-02 2023-02-28 Ethicon, Inc. Medical product storage device
USD989176S1 (en) * 2020-10-02 2023-06-13 Ethicon, Inc. Combined storage and dispensing device for medical product
CN112396755B (zh) * 2020-11-27 2022-06-21 深圳市智莱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自动售卖设备的货道、货道组件和自动售卖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1024A (en) * 1981-04-24 1985-11-05 Clapp Thomas R Mixing apparatus for cementitious materials
US4664289A (en) * 1985-06-03 1987-05-12 Sanyo Electric Co, Ltd. Drug dispensing apparatus
JPH0449044Y2 (ko) * 1985-06-19 1992-11-18
JPH049044Y2 (ko) 1986-11-12 1992-03-06
JPH0532408Y2 (ko) * 1989-11-22 1993-08-19
JPH0449044A (ja) 1990-06-19 1992-02-18 Mitsubishi Heavy Ind Ltd 分割版胴の見当合せ方法
US5709063A (en) * 1994-09-01 1998-01-20 Kabushiki Kaisha Yuyama Seisakusho Tablet packing machine
JP2872603B2 (ja) * 1995-01-10 1999-03-17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包装装置
JPH09253169A (ja) * 1996-03-19 1997-09-30 Tokyo Shokai:Kk 回転式薬品庫用ユニット
JP2909433B2 (ja) * 1996-05-31 1999-06-23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フィーダ
US5787678A (en) * 1997-05-01 1998-08-04 Kabushiki Kaisha Yuyama Seisakusho Drug packaging device
US5860563A (en) * 1997-06-23 1999-01-19 Scriptpro, Llc Medicine vial dispenser
US6176392B1 (en) * 1997-12-05 2001-01-23 Mckesson Automated Prescription Systems, Inc. Pill dispensing system
KR200247469Y1 (ko) * 1998-07-14 2002-02-19 김준호 정제자동분포기용정제카셋트
JP2000095201A (ja) * 1998-09-25 2000-04-04 Sanyo Electric Co Ltd 錠剤供給装置
JP2000103404A (ja) * 1998-09-29 2000-04-11 Sanyo Electric Co Ltd 薬剤供給装置
EP1857365A1 (en) * 1998-10-08 2007-11-21 Yuyama Mfg. Co., Ltd. Tablet packing apparatus
JP2001233306A (ja) * 1999-12-13 2001-08-28 Sanyo Electric Co Ltd 薬剤供給装置及びタブレットケース収納装置
JP2001287702A (ja) * 2000-04-11 2001-10-16 Yuyama Manufacturing Co Ltd 錠剤充填装置
TW522009B (en) 2000-05-31 2003-03-01 Sanyo Electric Co Solid drug product supply device
JP4360744B2 (ja) * 2000-07-19 2009-11-11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容器供給装置
US6497339B1 (en) * 2001-05-31 2002-12-24 Kirby-Lester, Inc. Systems for feeding, counting and dispensing discrete objects
US6554157B2 (en) * 2001-05-31 2003-04-29 Kirby-Lester, Inc. Cassette systems for feeding, counting and dispensing discrete objects
US7040077B2 (en) * 2001-09-28 2006-05-09 Yuyama Mfg. Co. Ltd. Medicine packing apparatus
KR20030040039A (ko) * 2001-11-14 2003-05-22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피이더
JP2003237712A (ja) * 2002-02-20 2003-08-27 Sanyo Electric Co Ltd 薬剤供給装置
TWI225836B (en) 2002-02-20 2005-01-01 Sanyo Electric Co Medicine supply apparatus
JP2003291901A (ja) * 2002-03-28 2003-10-15 Sanyo Electric Co Ltd 薬剤供給装置
JP3373505B2 (ja) * 2002-04-12 2003-02-04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包装装置
US7014063B2 (en) * 2002-08-09 2006-03-21 Mckesson Automation Systems, Inc. Dispensing device having a storage chamber, dispensing chamber and a feed regulator there between
TWI295573B (en) * 2002-10-18 2008-04-11 Yuyama Mfg Co Ltd Feeding device of drug
US6988464B1 (en) * 2003-02-04 2006-01-24 Jerry Donald Rutledge Animal food and treat dispenser
US20040176873A1 (en) * 2003-02-25 2004-09-09 Kim Jun Ho Pharmaceutical automation system
KR100611949B1 (ko) * 2003-05-16 2006-08-11 (주)제이브이엠 정제 자동분배 포장장치
EP2343688A1 (en) * 2003-10-21 2011-07-13 Asahi Seiko Co. Ltd. Automatic coin aligning apparatus and method
US7747345B2 (en) * 2004-01-05 2010-06-29 Tosho Inc. Automatic drug dispenser and drug feeder
US8141330B2 (en) * 2004-05-20 2012-03-27 KNAPP Logistics Automation, Inc. Systems and methods of automated tablet dispensing, prescription filling, and packaging
JP4520814B2 (ja) * 2004-10-15 2010-08-11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品払出装置
US7930064B2 (en) * 2004-11-19 2011-04-19 Parata Systems, Llc Automated drug discrimination during dispensing
JP4821130B2 (ja) * 2005-02-16 2011-11-24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充填装置
US7412302B2 (en) * 2005-04-08 2008-08-12 Jm Smith Corporation Pharmaceutical singulation counting and dispensing system
US7571023B2 (en) * 2007-04-12 2009-08-04 Jm Smith Corporation Pharmaceutical singulation counting and dispensing system
JP2009023731A (ja) * 2007-06-21 2009-02-05 Yuyama Manufacturing Co Ltd 錠剤充填装置
US20090012813A1 (en) * 2007-07-06 2009-01-08 Mckesson Financial Holdings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medical information
US8061560B2 (en) * 2007-08-10 2011-11-22 Parata Systems, Llc Passive device for staging and dispensing objects
US8714405B2 (en) * 2007-08-10 2014-05-06 Parata Systems, Llc Device for staging and dispensing tablets useful in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prescriptions
TWI485093B (zh) * 2008-11-21 2015-05-21 Yuyama Mfg Co Ltd Lozenge deliver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532A (ko) * 2019-11-13 2019-11-22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포장기의 조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58568A1 (ja) 2010-05-27
KR101056591B1 (ko) 2011-08-11
US20130103188A1 (en) 2013-04-25
US20110178634A1 (en) 2011-07-21
CN102083691B (zh) 2013-01-02
US8579153B2 (en) 2013-11-12
US8944280B2 (en) 2015-02-03
TW201022099A (en) 2010-06-16
CA2714014A1 (en) 2010-05-27
EP2392512A1 (en) 2011-12-07
JPWO2010058568A1 (ja) 2012-04-19
CN102083691A (zh) 2011-06-01
TWI485093B (zh) 2015-05-21
CA2714014C (en) 2011-05-10
JP4521064B2 (ja) 2010-08-11
EP2392512A4 (en)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6591B1 (ko) 정제 불출 장치
US9790017B2 (en) Tablet feeder and pharmacy system
US9493290B2 (en) Tablet dispenser
KR100582610B1 (ko) 고형 제제 충전 장치
KR100744882B1 (ko) 고형 제제 충전 장치
US10045914B2 (en)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method of dispensing medicines, medicine dispensing program and storage medium
EP1755433B1 (en) Tablet dispenser with isolated delivery sensor
JP5533711B2 (ja) 分注装置
US20030183642A1 (en) Pill dispensing apparatus
WO2007091375A1 (ja) 薬剤手撒き装置
KR20010032552A (ko) 약제 공급 장치
CN111787900B (zh) 发药装置
JP2010280509A (ja) 小分け装置、小分け装置から物品を供給する方法、及び小分け装置に物品を導入する方法
JP4484527B2 (ja) 自動調剤装置
KR100905313B1 (ko) 정제피이더
CN107530225B (zh) 药剂配发盒
CN113677308A (zh) 药品排出系统、药品排出程序
JP2005342122A (ja) 薬剤フィーダ及び自動調剤装置
JP2008178630A (ja) メダルセレ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る遊技台
JP2001129058A (ja) 固形製剤充填装置
JP3778744B2 (ja) 固形製剤充填装置
JP2001233306A (ja) 薬剤供給装置及びタブレットケース収納装置
WO2022250024A1 (ja) 薬剤分包機
AU2022257736A1 (en) Medicine packag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