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6131A - 접기식 손수레 - Google Patents

접기식 손수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6131A
KR20100116131A KR1020100035193A KR20100035193A KR20100116131A KR 20100116131 A KR20100116131 A KR 20100116131A KR 1020100035193 A KR1020100035193 A KR 1020100035193A KR 20100035193 A KR20100035193 A KR 20100035193A KR 20100116131 A KR20100116131 A KR 20100116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open state
link member
lock mechanism
longitudin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5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치로 오니시
Original Assignee
아프리카 칠드런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프리카 칠드런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프리카 칠드런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16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1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6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the handle bar being parallel to the front leg
    • B62B7/06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the handle bar being parallel to the front leg the handle bar moves in parallel relation during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2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foldable widthw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6Arrangements for standing up in fold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6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by sliding a bushing along a rod, e.g. like folding means of an umbrell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과제]
안전성을 유지하면서, 열린 상태의 로크 해제 조작을 보다 간단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접기식 손수레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접기식 손수레는, 배면측에서 평행한 위치 관계에서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한 쌍의 제1 종프레임 부재(4, 4)와, X자 모양으로 교차하는 2개의 봉 부재(81, 82)를 포함하고, 그 위쪽 단부가 한 쌍의 제1 종프레임 부재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아래쪽 단부가 한 쌍의 제1 종프레임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크로스 부재(8)와, 한쪽 단이 제1 크로스 부재의 한편의 봉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링크 부재(13)와, 한쪽 단이 제1 크로스 부재의 다른 방향의 봉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쪽 단이 제1 링크 부재의 다른 방향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링크 부재(12)와, 제1 링크 부재와 제2 링크 부재의 굴곡을 금지하는 것에 의하여 제1 크로스 부재의 2개의 봉 부재 사이의 교차 각도를 고정하는 제1 열린 상태 로크 기구(30)와, 제1 링크 부재와 제1 크로스 부재의 한편의 봉 부재와의 교차 각도를 고정하는 제2 열린 상태 로크 기구(4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접기식 손수레{Foldable handcart}
이 발명은, 손수레에 관한 것이고, 특히 전후 방향 및 폭방향의 사이즈가 축소하고 절첩된 접기식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또한, 손수레는, 유모차나 짐 운반차등을 포함한 넓은 의미를 갖는다.
높이 방향 및 폭방향의 사이즈가 축소하고 절첩된 유모차는, 예를 들면 일본 실개소57-111659호 공보(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된 유모차는, 좌우의 전각 및 좌우의 후각의 폭방향 간격을 작게 하면서, 전각과 후각과의 전후 방향 간격을 작게 하고 절첩의 형태를 얻도록 하고 있다.
상기의 공보에 개시된 유모차는, 기본적인 구성 요소로서, 한 쌍의 후각간을 연결한 배면 크로스 부재를 구비한다. 배면 크로스 부재는, X자 모양으로 교차하는 2개의 봉 부재를 포함하고, 그 위쪽 단부가 한 쌍의 후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아래쪽 단부가 한 쌍의 후각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배면 크로스 부재를 구비한다. 이 배면 크로스 부재의 2개의 봉 부재간의 교차 각도를 고정한 것에 의하여, 유모차의 열린 상태가 록된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유모차에 있어서는, 유모차의 열린 상태는, 2겹의 로크 기구에 의하여 유지된다. 제1 열린 상태 로크 기구는, 제1 크로스 부재의 2개의 봉 부재의 상방 부분을 연결하도록 놓여진 좌우의 링크 부재와, 좌우의 링크 부재의 연결점에 위치하고, 좌우의 링크 부재의 직선 정렬 상태를 고정한 중앙 로크 수단과, 한편의 링크 부재와 한편의 후각과의 사이의 교차 각도를 고정한 측부 로크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실시 형태로는, 중앙 로크 수단과 측부 로크 수단을 연동하도록 구성하고, 중앙 로크 수단의 록을 해제하면 측부 로크 수단의 록이 자동적으로 해제되게 되어 있다. 그렇지만, 1개의 로크 수단에 대한 로크 해제 조작에 의하여 다른 편의 로크 수단의 록이 자동적으로 해제된 구성은, 안전상의 관점에서 보면 바람직하지 않는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실시 형태에 있어, 안전성을 고려하고, 중앙 로크 수단과 측부 로크 수단을 연동시키지 않고 각각 별개로 로크 해제 조작을 하도록 변경한 것은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중앙 로크 수단과 측부 로크 수단이 떨어져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한편의 손으로 측부 로크 수단의 록을 해제하고, 다른 편의 손으로 중앙 로크 수단의 록을 해제 조작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또는, 먼저 측부 로크 수단의 록을 해제하고, 다음에 측부 로크 수단으로부터 손을 떼고 중앙 로크 수단의 록을 해제하는 조작이 필요해진다. 이와 같은 로크 해제 조작은, 번잡하고, 보다 간단한 로크 해제 조작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목적은, 안전성을 유지하면서, 열린 상태의 로크 해제 조작을 보다 간단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접기식 손수레를 제공한 것이다.
이 발명은, 전후 방향 및 폭방향의 사이즈가 축소하고 절첩된 접기식 손수레를 전제로 한다. 손수레는, 해당 손수레의 배면측에서 평행한 위치 관계에서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한 쌍의 제1 종프레임 부재와, X자 모양으로 교차하는 2개의 봉 부재를 포함하고, 그 위쪽 단부가 한 쌍의 제1 종프레임 부재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아래쪽 단부가 한 쌍의 제1 종프레임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크로스 부재와, 한쪽 단이 제1 크로스 부재의 한편의 봉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링크 부재와, 한쪽 단이 제1 크로스 부재의 다른 방향의 봉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쪽 단이 제1 링크 부재의 다른 방향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링크 부재와, 제1 링크 부재와 제2 링크 부재와의 굴곡을 금지한 것에 의하여 제1 크로스 부재의 2개의 봉 부재간의 교차 각도를 고정한 제1 열린 상태 로크 기구와, 제1 링크 부재와 제1 크로스 부재의 한편의 봉 부재와의 교차 각도를 고정한 제2 열린 상태 로크 기구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열린 상태 로크 기구와 제2 열린 상태 로크 기구가 근접하고 위치하기 때문에, 한 쪽의 손으로 양 로크 기구의 로크 해제 조작을 행할 수 있다.
1개의 실시 형태로는, 제2 열린 상태 로크 기구는, 제1 크로스 부재의 한편의 봉 부재에 고정된 계지핀와, 계지핀에 계지되는 계지 홈부 바닥을 갖고, 제1 링크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훅을 구비한다. 바람직한 것은, 제2 열린 상태 로크 기구는, 훅을 계지핀에 계합시키는 방향으로 가세한 가세 수단을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는, 훅은, 축을 통하여 제1 링크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이 훅은, 축으로부터 계지핀에 근접한 방향으로 늘어나는 외측부분과, 축으로부터 외측부분과 역방향으로 늘어나는 내측부분을 포함한다. 내측부분을 아래쪽으로 압하한 것에 의하여, 계지 홈부 바닥은 계지핀로부터 떨어지고 제2 열린 상태 로크 기구의 로크 상태가 해제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는, 제1 열린 상태 로크 기구는, 제1 링크 부재와 제2 링크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연결축과, 연결축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 조작한 조작 수단을 구비한다. 조작 수단에 의하여 연결축을, 제1 링크 부재와 제2 링크 부재가 직선상에 정렬한 사안점을 넘도록 아래쪽으로 이동시킬 때에, 제1 열린 상태 로크 기구에 의하여 로크 상태가 유지되고, 연결축을 사안점을 넘도록 상방으로 이동시킬 때에, 제1 열린 상태 로크 기구에 의한 로크 상태가 해제된다.
바람직한 것은, 조작 수단은, 연결축을 지지한 중앙부재와, 이 중앙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손잡이 부재를 포함한다. 훅은, 축을 통하여 제1 링크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이 훅은, 축으로부터 계지핀에 근접한 방향으로 늘어나는 외측부분과, 축으로부터 외측부분과 역방향으로 늘어나는 내측부분을 포함한다. 내측부분을 아래쪽으로 압하한 것에 의하여, 계지 홈부 바닥은 계지핀로부터 떠나고 제2 열린 상태 로크 기구의 로크 상태가 해제된다. 훅의 내측부분과 손잡이 부재란, 손잡이 부재를 쥐고 있는 손의 손가락에 의하여 훅의 내측부분을 압입한 것을 할 수 있는 위치 관계로 되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관계된 손수레는, 평행한 위치 관계에서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한 쌍의 제1 종프레임 부재의 상방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제2 종프레임 부재와, 평행한 위치 관계에서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고, 그 한쪽 단부가 상기 제1 크로스 부재의 상방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밖에방 단부가 한 쌍의 제2 종프레임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부재를 또한 구비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는, 평행한 위치 관계에서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한 쌍의 제1 종프레임 부재의 상방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제2 종프레임 부재와, X자 모양으로 교차하는 2개의 봉 부재를 포함하고, 그 한쪽 단부가 한 쌍의 제2 종프레임 부재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아래쪽 단부가 한 쌍의 제1 종프레임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크로스 부재를 또한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의 차체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의 유모차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의 황부 차체 프레임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의 황부 차체 프레임의 절첩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한 쌍의 후각 및 배면 크로스 부재를 배면측에서 보는 도면.
도 6은 유모차의 절첩 상태에 있어서 한 쌍의 후각 및 배면 크로스 부재를 배면측에서 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의 주요 부분을 배면측에서 보는 도면.
도 8은 유모차의 열린 상태의 록을 해제한 조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손수레의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손수레의 절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 내지 도 4는, 손수레의 일례로서의 접기식 유모차의 전체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은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을 나타내고, 도 2는 좌석 해먹(23), 휘장(17) 및 물품 수납 주머니(22)를 장착한 상태의 유모차를 나타내고, 도 3은 열린 상태의 유모차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4는 절첩한 상태의 유모차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유모차는, 높이 방향 및 폭방향의 사이즈가 축소하고 절첩된 것이다. 유모차는, 차체 프레임의 주요 구성 요소로서, 한 쌍의 전각(1)과, 한 쌍의 후각(4)과, 한 쌍의 압봉(5)과, 한 쌍의 핸들 부재(6)와, 한 쌍의 좌부 지지봉(10)과, 배면 크로스 부재(8)와, 바닥면 크로스 부재(9)를 구비한다.
각 전각(1)은,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있고, 그 하단부에 전륜을 갖고, 그 상단부에 연결 부재(2)를 갖고 있다. 연결 부재(2)는, 전각(1)에 고정되고 있고, 그 전방부에 통상체(2a)를 갖고, 그 후 방부에 장출 부분(2b)을 갖고 있다. 각 전각(1)의 중간 영역에는, 안내 슬리브(3)이 고정하고 장착되고 있다. 이 안내 슬리브(3)는, 그 전방부에 통상체(3a)를 갖고 있다.
각 후각(4)은,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있고, 그 하단부에 후륜을 갖고 있다. 각 후각(4)의 상단부는, 전각(1)에 고정된 연결 부재(2)의 장출 부분(2b)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있다. 유모차가 절첩하고 동작에 수반하고 각 후각(4)는 각 전각(1)에 근접한 방향으로 회동하고, 도 4에 나타내는 절첩 상태에 있어서는, 각 후각(4)과 각 전각(1)과 평행한 관계에서 위치하고, 후륜은 전륜의 상방에 위치한다.
각 압봉(5)은, 그 아래쪽 영역이 각 전각(1) 위에 겹쳐지도록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 압봉(5)은, 전각(1)에 고정된 연결 부재(2) 및 안내 슬리브(3)의 통상체(2a, 3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유모차가 절첩하고 동작에 수반하고 각 압봉(5)은 각 전각(1) 위를 아래쪽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하고, 도 4에 나타내는 절첩 상태에 있어서는, 각 압봉(5)의 아래쪽단이 지면에 접합하게 된다. 지면에 접한 압봉(5)의 아래쪽단과 전륜에 의하여, 절첩 상태의 유모차는 자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은, 한 쌍의 후각(4) 및 배면 크로스 부재(8)을 배면측에서 보는 도 이고, 도 5는 유모차의 열린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은 유모차의 절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한 쌍의 후각(4)의 상방 영역상에, 한 쌍의 슬라이드 부재(7)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고 있다. 유모차가 절첩하고 동작에 수반하고 각 슬라이드 부재(7)는 각 후각(4) 위를 상방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한다.
배면 크로스 부재(8)는, X자 모양으로 교차한 제 1봉 부재(81)와 제 2봉 부재(82)를 포함하고, 그 상단부가 한 쌍의 슬라이드 부재(7)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하단부가 한 쌍의 후각(4)의 아래쪽 영역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있다. 제 1봉 부재(81)와 제 2봉 부재(82)는, 그러한 교차부에 있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있다. 도 5 및 도 6을 비교하면 명확한 것처럼, 유모차의 절첩 상태에 있어서는, 배면 크로스 부재(8)의 상하단의 거리가 길어지고, 한 쌍의 후각(4)의 간격이 좁아지고 있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면 크로스 부재(9)는, X자 모양으로 교차한 제1의 봉 부재(91)와 제2의 봉 부재(92)를 포함하고, 그 전단부가 한 쌍의 압봉(5)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후단부가 한 쌍의 후각(4)의 중간 영역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있다. 유모차가 절첩하고 동작에 수반하고 한 쌍의 압봉(5)이 전각(1)에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압봉(5)의 하단부에 연결된 바닥면 크로스 부재(9)의 전단부도 그것에 추종하여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그것에 수반하고, 바닥면 크로스 부재(9)의 후단부에 연결된 한 쌍의 후각(4)을 전각(1)을 향하여 회동시킨다. 또, 압봉(5)의 하단부의 아래쪽에의 이동량이 커지는 것에 동반하여, 바닥면 크로스 부재(9)의 전단부와 후단부와의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한 쌍의 전각(1) 사이의 간격 및 한 쌍의 후각(4) 사이의 간격이 좁아진다.
한 쌍의 좌부 지지봉(10)은, 좌석 해먹(23)의 좌부를 지지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고 있고, 그 앞쪽 영역 또는 중간 영역이 한 쌍의 전각(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후단부가 한 쌍의 슬라이드 부재(7)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있다. 유모차가 절첩하고 동작에 수반하고 슬라이드 부재(7)가 후각(4) 위를 상방을 향하고 이동하면, 좌부 지지봉(10)은 도 3에 있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유모차의 절첩 상태로는, 전각(1)의 내측에 따라 위치하게 된다.
도 5, 도 6,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면 크로스 부재(8)에는, 유모차의 열린 상태를 록한 제1 열린 상태 로크 기구(30)와, 제2 열린 상태 로크 기구(40)가 마련되어 있다. 도시하도록, 유모차는, 한쪽 단이 배면 크로스 부재(8)의 한편의 봉 부재(8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링크 부재(13)와, 한쪽 단이 배면 크로스 부재의 다른 방향의 봉 부재(8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쪽 단이 연결축(31)을 이용하여 제1 링크 부재(13)의 다른 방향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링크 부재(12)를 구비한다. 제1 열린 상태 로크 기구(30)는, 제1 링크 부재(13)와 제2 링크 부재(12)와의 굴곡을 금지한 것에 의하여 배면 크로스 부재의 2개의 봉 부재(81, 82)권의 교차 각도를 고정한다. 제2 열린 상태 로크 기구(40)는, 제1 링크 부재(13)와 배면 크로스 부재(8)의 한편의 봉 부재(81)와의 교차 각도를 고정한다. 유모차의 열린 상태의 록을 해제하는데는, 제1 열린 상태 로크 기구(30)의 로크 상태 및 제2 열린 상태 로크 기구(40)의 로크 상태를 해제하지 않으면 안된다.
제2 열린 상태 로크 기구(40)는, 배면 크로스 부재(8)의 한편의 봉 부재(81)에 고정된 계지핀(41)과, 축(43)을 이용하고 제1 링크 부재(13)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훅(42)을 구비한다. 훅(42)은, 축(43)으로부터 계지핀(41)에 근접한 방향으로 늘어나는 외측부분(42a)과, 축(43)으로부터 외측부분(42a)와는 역방향으로 늘어나는 내측부분(42b)을 포함한다. 훅(42)의 외측부분(42a)에는, 계지핀(41)에 계지되는 계지 홈부 바닥이 마련되어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훅(42)을 계지핀(41)에 계합시키는 방향으로 가세한 용수철 등의 가세 수단을 설치해도 좋다. 다른 실시 형태로서, 가세 수단을 설치하지 않고, 훅(42)가 자중으로 계지 방향으로 복귀하는 것으로도 좋다.
유모차의 열린 상태에 있어서는, 훅(42)과 계지핀(41)이 계합하고 있고, 제1 링크 부재(13)와 배면 크로스 부재(8)의 한편의 봉 부재(81)와의 교차 각도가 고정 유지된다. 훅(42)의 내측부분(42b)을 아래쪽으로 압하하면, 훅(42)의 계지 홈부 바닥은 계지핀(41)으로부터 떨어지고 제2 열린 상태 로크 기구의 로크 상태가 해제된다.
제1 열린 상태 로크 기구(30)는, 제1 링크 부재(13)와 제2 링크 부재(12)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연결축(31)과, 연결축(31)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 조작한 조작 수단을 구비한다. 조작 수단에 의하여 연결축(31)을, 제1 링크 부재(13)와 제2 링크 부재(12)가 직선상에 정렬한 사안점을 넘도록 아래쪽으로 이동시킬 때에, 제1 열린 상태 로크 기구(30)에 의한 로크 상태가 유지된다. 그 역으로, 연결축(31)을 아래쪽 위치에서 사안점을 넘고 상방에 이동시키면, 제1 열린 상태 로크 기구(30)에 의한 로크 상태가 해제된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축(31)의 이동 조작을 용이하게 행하도록 하기 위해, 조작 수단은, 연결축(31)을 지지한 중앙부재(32)와, 이 중앙부재(3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링형상의 손잡이 부재(33)를 포함한다.
유모차를 절첩한 때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 부재(33)를 손으로 잡고 상방에 회동시키고, 손잡이 부재(33)를 손으로 쥔 채로 엄지손가락을 훅(42)의 내측부재(42b)에 눌러대고 아래쪽으로 압입한다. 이 내측부재(42b)가 압입되는 조작에 의하여, 제2 열린 상태 로크 기구(40)의 로크 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그대로 손잡이 부재(33)를 상방으로 끌어올리면 제1 열린 상태 로크 기구(30)에 의한 로크 상태도 해제된다.
상기와 같이 도시한 실시 형태로는, 제1 열린 상태 로크 기구(30)에 대한 로크 해제 조작은, 손잡이 부재(33)의 인상 동작을 필요로 하고, 제2 열린 상태 로크 기구(40)에 대한 로크 해제 조작은, 훅(42)의 내측부재(42b)가 압입 동작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이 2개의 로크 기구에 대하여 상이한 로크 해제 조작을 필요로 하도록 구성한 것은, 안전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것이다. 또, 손잡이 부재(33)과 훅(42)의 내측부재(42b)는 근접하여 위치하기 때문에, 한 손만으로 양 로크 기구의 로크 해제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전각(1)의 아랫부분은, 중앙 부분에 있어 굴곡 가능한 발받침부재(15)에 의하여 연결되고 있다. 유모차가 열린 상태에서는, 발받침부재(15)는 폭방향으로 따라 거의 직선적으로 연재되지만, 유모차의 절첩 상태로는, 발받침부재(15)는 V자 모양으로 굴곡한 형태로 된다.
도 3으로부터 명확한 것처럼, 휘장(17)은, 그 폭방향 양단이 한 쌍의 연결 부재(2)보다도 아래쪽의 위치에서 한 쌍의 압봉(5)에 연결 지지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압봉(5)은, 연결 부재(2)보다도 아래쪽의 위치에 고정된 휘장 지지 슬리브(16)을 갖고 있다. 휘장(17)은, 휘장 지지 슬리브(16)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휘장 뼈대(18, 19)와, 여러의 휘장 뼈대 간에 덮인 휘장천(20)을 구비한다. 도시한 실시 형태의 휘장(17)은, 돔 형상이고, 제 1휘장 뼈대(18)와 제 2휘장 뼈대(19)를 구비한다. 제 1휘장 뼈대(18) 및 제 2휘장 뼈대(19)는, 유모차의 절첩시에 폭방향 간격을 축소한 구조 또는 재질로 구성되고 있다.
도시한 실시 형태의 휘장(17)은, 좌우의 측면에, 제 1휘장 뼈대(81)과 제 2휘장 뼈대(82)와의 열림 각도를 고정하기 위한 열림 각도 고정 수단(21)을 구비한다. 이 열림 각도 고정 수단(21)은, 한 끝이 제 1휘장 뼈대(18)에 연결된 제1 링크 플레이트(21a)와, 한 끝이 제 2휘장 뼈대(19)에 연결된 제2 링크 플레이트(21b)와, 휘장의 절첩을 위해 제1 및 제2 링크 플레이트(21a, 21b)를 굴곡한 위치 관계에 가져오기 위한 조작 손잡이(21c)를 구비한다.
휘장(17)은, 그 양단부가 한 쌍의 압봉(5)에 고정된 휘장 지지 슬리브(16)에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유모차가 절첩하는 동작에 수반하여 한 쌍의 압봉이 하강하면, 그것에 추종하여 휘장(17)도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도 4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절첩 상태에 있어서는, 휘장(17)도 절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도시한 실시 형태로는, 휘장(17)을 유모차 차체에 설치한 상태 그대로라도, 휘장(17)이 압봉(5)과 함께 하강하기 때문에 유모차의 절첩 상태의 높이 치수를 축소할 수 있다.
이 발명은, 유모차나 짐 운반차등을 포함한 넓은 의미의 손수레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9 및 도 10은, 이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9는 손수레의 열린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은 손수레의 절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손수레는, 전후 방향 및 폭방향의 사이즈가 축소하고 절첩된 것이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손수레는, 평행한 위치 관계에서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한 쌍의 제1 종프레임 부재(101)와, 평행한 위치 관계에서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한 쌍의 제1 종프레임 부재(101)의 상방부에 연결 부재(105)를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제2 종프레임 부재(102)와, 제1 크로스 부재(103)와,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부재(104)를 구비한다. 각 제1 종프레임 부재(101)의 하단에는 후륜(108)이 설치되고, 각제2 종프레임 부재(102)의 하단에는 전륜(107)이 설치되고 있다.
제1 크로스 부재(103)은, 전술의 실시례와 마찬가지로, X자 모양으로 교차하는 2개의 봉 부재를 포함한다. 2개의 봉 부재는, 그 위쪽 단부가 한 쌍의 제1 종프레임 부재(101)에 한 쌍의 슬라이드 부재(106)을 이용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아래쪽 단부가 한 쌍의 제1 종프레임(101)의 아랫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있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부재(104)는, 평행한 관계에서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고, 그 한쪽 단부가 제1 크로스 부재(103)의 상방 단부에 한 쌍의 슬라이드 부재(106)을 이용하고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밖에방 단부가 한 쌍의 제2 종프레임 부재(10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있다.
손수레를 절첩한 때에는, 한 쌍의 슬라이드 부재(106)을 상방에 이동시키도록 조작한다. 슬라이드 부재(106)의 상방에의 이동에 수반하여, 제1 크로스 부재(103)의 폭 치수가 축소하고, 한 쌍의 제1 종프레임 부재(101)의 간격이 작아진다. 또,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부재(104)의 뒤쪽 단부가 슬라이드 부재(106)과 동시에 상방에 이동하기 때문에, 한 쌍의 제2 종프레임 부재(102)의 아랫부분은 사이드 프레임 부재(104)에 의하여 한 쌍의 제1 종프레임 부재(101)의 아랫부분에 근접하도록 끌어당겨진다. 이렇게, 손수레의 절첩 상태에 있어서는, 전후 방향 및 폭방향의 사이즈가 축소한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실시 형태에 있어, 전술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2 크로스 부재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2 크로스 부재는, X자 모양으로 교차하는 2개의 봉 부재를 포함하고, 그 한쪽 단부가 한 쌍의 제2 종프레임 부재(10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밖에 다른쪽 단부가 한 쌍의 제1 종프레임 부재(10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손수레는, 전술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제3 종프레임 부재를 구비한 것이고도 좋다. 한 쌍의 제3 종프레임 부재는, 한 쌍의 제2 종프레임 부재에 부분적으로 겹쳐지고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그 아래쪽 단부가 제2 크로스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실시 형태로는, 손수레가 절첩하고 동작시, 제3 종프레임 부재의 하단부와 제2 크로스 부재의 한쪽 단부가 함께 제2 종프레임 부재(102)에 따라 아래쪽에 슬라이드 이동한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실시 형태의 변형례로서,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부재(104)를 생략하고, 제2 크로스 부재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2 크로스 부재는, X자 모양으로 교차하는 2개의 봉 부재를 포함하고, 그 한쪽 단부가 한 쌍의 제2 종프레임 부재(10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밖에 다른쪽 단부가 한 쌍의 제1 종프레임 부재(10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해 이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이 발명은, 도시한 실시 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 대하고, 이 발명과 동일한 범위내에 있어, 또는 균등의 범위내에 있어, 여러 가지의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 발명은, 전후 방향 및 폭방향의 사이즈가 축소하고 절첩된 손수레로서, 용이하게 이용된다.
1: 전각
2: 연결 부재
2a: 통상체
2b: 장출 부분
3: 안내 슬리브
3a: 통상체
4: 후각
5: 압봉
6: 핸들 부재
7: 슬라이드 부재
8: 배면 크로스 부재
81: 제 1봉 부재
82: 제 2봉 부재
9: 바닥면 크로스 부재
91: 제 1봉 부재
92: 제 2봉 부재
10: 좌부 지지봉
11: 열린 상태 로크 기구
12: 제2 링크 부재
13: 제1 링크 부재
15: 발받침 부재
16: 휘장 지지 슬리브
17: 휘장
18: 제 1휘장 뼈대
19: 제 2휘장 뼈대
20: 휘장천
21: 열림 각도 고정 수단
21a: 제1 링크 플레이트
21b: 제2 링크 플레이트
21c: 조작 손잡이
22: 물품 수납 주머니
23: 좌석 해먹
30: 제1 열린 상태 로크 기구
31: 연결 축
32: 중앙부재
33: 손잡이 부재
40: 제2 열린 상태 로크 기구
41: 계지핀
42: 훅,
42a: 외측부분
42b: 내측부분
43: 축
101: 제1 종프레임 부재
102: 제2 종프레임 부재
103: 제1 크로스 부재
104: 사이드 프레임 부재
105: 연결 부재
106: 슬라이드 부재
107: 전륜
108: 후륜

Claims (8)

  1. 전후 방향 및 폭방향의 사이즈가 축소하여 절첩되는 접기식 손수레에 있어서,
    해당 손수레의 배면측에서 평행한 위치 관계에서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한 쌍의 제1 종프레임 부재와,
    X자 모양으로 교차하는 2개의 봉 부재를 포함하고, 그 위쪽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제1 종프레임 부재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아래쪽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제1 종프레임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크로스 부재와,
    한쪽 단이 상기 제1 크로스 부재의 한편의 봉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링크 부재와,
    한쪽 단이 상기 제1 크로스 부재의 다른 방향의 봉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쪽 단이 상기 제1 링크 부재의 다른 방향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링크 부재와,
    상기 제1 링크 부재와 상기 제2 링크 부재의 굴곡을 금지한 것에 의하여 상기 제1 크로스 부재의 2개의 봉 부재간의 교차 각도를 고정하는 제1 열린 상태 로크 기구와,
    상기 제1 링크 부재와 상기 제1 크로스 부재의 한편의 봉 부재와의 교차 각도를 고정한 제2 열린 상태 로크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기식 손수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린 상태 로크 기구는,
    상기 제1 크로스 부재의 한편의 봉 부재에 고정된 계지핀와,
    상기 계지핀에 계지되는 계지 홈부 바닥을 갖고, 상기 제1 링크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훅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기식 손수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훅을 상기 계지핀에 계합시키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가세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기식 손수레.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훅은, 축을 통해 상기 제1 링크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훅은, 상기 축으로부터 상기 계지핀에 근접한 방향으로 늘어나는 외측부분과, 상기 축으로부터 상기 외측부분과 역방향으로 늘어나는 내측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부분을 아래쪽으로 압하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계지 홈부 바닥은 상기 계지핀로부터 멀어지고 제2 열린 상태 로크 기구의 로크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기식 손수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린 상태 로크 기구는, 상기 제1 링크 부재와 상기 제2 링크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 조작하는 조작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 수단에 의하여 상기 연결축을, 상기 제1 링크 부재와 상기 제2 링크 부재가 직선상에 정렬한 사안점을 넘도록 아래쪽으로 이동시킬 때에, 상기 제1 열린 상태 로크 기구에 의한 로크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연결축을 상기 사안점을 넘도록 상방으로 이동시킬 때에, 상기 제1 열린 상태 로크 기구에 의한 로크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기식 손수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단은, 상기 연결축을 지지한 중앙부재와, 이 중앙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손잡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훅은, 축을 통하여 상기 제1 링크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훅은, 상기 축으로부터 상기 계지핀에 근접한 방향으로 늘어나는 외측부분과, 상기 축으로부터 상기 외측부분과 역방향으로 늘어나는 내측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부분을 아래쪽으로 압하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계지 홈부 바닥은 상기 계지핀로부터 멀어지고 제2 열린 상태 로크 기구의 로크 상태가 해제되는 것이고,
    상기 훅의 내측부분과 상기 손잡이 부재는, 상기 손잡이 부재를 쥐고 있는 손의 손가락에 의하여 상기 훅의 내측부분을 압입할 수 있는 위치 관계로 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기식 손수레.
  7. 제 1항에 있어서,
    평행한 위치 관계에서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상기 한 쌍의 제1 종프레임 부재의 상방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제2 종프레임 부재와,
    평행한 위치 관계에서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고, 그 한쪽 단부가 상기 제1 크로스 부재의 상방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밖에 다른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제2 종프레임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기식 손수레.
  8. 제 1항에 있어서,
    평행한 위치 관계에서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상기 한 쌍의 제1 종프레임 부재의 상방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제2 종프레임 부재와,
    X자 모양으로 교차하는 2개의 봉 부재를 포함하고, 그 한쪽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제2 종프레임 부재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아래쪽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제1 종프레임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크로스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기식 손수레.
KR1020100035193A 2009-04-21 2010-04-16 접기식 손수레 KR201001161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02975A JP5301342B2 (ja) 2009-04-21 2009-04-21 折畳式手押し車
JPJP-P-2009-102975 2009-04-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131A true KR20100116131A (ko) 2010-10-29

Family

ID=42235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5193A KR20100116131A (ko) 2009-04-21 2010-04-16 접기식 손수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264628A1 (ko)
EP (1) EP2243684A1 (ko)
JP (1) JP5301342B2 (ko)
KR (1) KR20100116131A (ko)
CN (1) CN101870301B (ko)
TW (1) TWI4761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05423B2 (en) 2011-11-09 2016-11-29 Thorley Industries Llc Lightweight collapsible stroller
DE102008022379B4 (de) * 2008-05-06 2013-05-29 Airbus Operations Gmbh Einklappbarer Transportwagen
JP5489834B2 (ja) * 2010-04-16 2014-05-14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折り畳み式乳母車
CN102416974B (zh) * 2010-09-27 2013-08-14 宝钜(中国)儿童用品有限公司 可收合式婴儿车
JP5963394B2 (ja) * 2011-03-03 2016-08-03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合同会社 折畳式乳母車
JP5889551B2 (ja) * 2011-06-27 2016-03-22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合同会社 乳母車
US8919806B2 (en) * 2011-09-26 2014-12-30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Foldable stroller and frame assembly
JP5769586B2 (ja) * 2011-10-31 2015-08-26 ピジョン株式会社 折畳み式ベビーカーの開閉装置及びこの開閉装置を備えるベビーカー
EP2760725A4 (en) 2011-11-09 2016-04-13 Thorley Ind Llc LIGHT FOLDING STROLLER
US8985617B2 (en) 2011-11-09 2015-03-24 Thorley Industries Llc Lightweight collapsible stroller
JP5953123B2 (ja) * 2012-05-28 2016-07-20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合同会社 押し棒スライド式乳母車
CN103569183B (zh) * 2012-07-24 2016-09-14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收合机构及具有该机构的婴儿车
JP6027367B2 (ja) * 2012-08-10 2016-11-16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合同会社 折り畳み式手押し車
US8888123B1 (en) * 2013-06-28 2014-11-18 Pao-Hsien Cheng Folding structure of baby stroller and method for folding the baby stroller
DE102013107139A1 (de) * 2013-07-05 2015-01-08 Pao-Hsien Chen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Zusammenfalten eines Kinderwagens durch eine Gleitbewegung
US10752274B2 (en) * 2015-10-01 2020-08-25 Michael McAleenan Wheeled backpack cargo hauler
JP6713168B2 (ja) * 2016-08-09 2020-06-24 株式会社スワニー 車椅子
CN106697031B (zh) * 2017-01-03 2023-05-23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折叠推车
US10220869B1 (en) * 2018-02-09 2019-03-05 Delta Enterprise Corp. Stroller with expandable rear wheel positioning and adjustable footboard
CN109017956A (zh) * 2018-09-18 2018-12-18 中山市西区青原贸易代理服务部 一种推车车架
JP6916996B2 (ja) * 2019-07-12 2021-08-11 株式会社chibito 自転車用チャイルドシートカバー
DE102019125729B3 (de) * 2019-09-25 2020-04-02 Elvent Gmbh Faltbarer Strukturrahmen für einen Wagen
KR102153108B1 (ko) * 2019-11-01 2020-09-07 최경애 접이식 운반카트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92076A (en) * 1946-09-30 1949-12-20 Jack A Wahle Window
GB1462122A (en) * 1974-05-08 1977-01-19 Ftm Ltd Collapsible structure
JPS562597Y2 (ko) * 1976-12-07 1981-01-21
JPS555406Y2 (ko) * 1976-12-17 1980-02-07
JPS53109273U (ko) * 1977-02-08 1978-09-01
JPS5599967U (ko) * 1978-12-29 1980-07-11
JPS5816943Y2 (ja) * 1980-12-27 1983-04-05 株式会社ト−キヨ−ベビ− ベビ−カ−
US4616844A (en) * 1983-07-15 1986-10-14 Aprica Kassai Kabushikikaisha Mechanism for locking opened state of baby carriage
FR2581299B1 (fr) * 1985-05-06 1988-07-15 Poirier Ets Dispositif pour verrouiller et deverrouiller un fauteuil pliable, notamment un fauteuil pour handicapes
FR2600962B1 (fr) * 1986-07-03 1992-04-10 Ampafrance Dispositif de securite pour poussette pliante ou analogue
US4765645A (en) * 1987-01-30 1988-08-23 Louis Shamie Safety spreader bar lock for umbrella stroller
US5062179A (en) * 1991-03-11 1991-11-05 Huang Ming Tai Handle assembly for doll carriages
US5499831A (en) * 1993-10-01 1996-03-19 Worth Pfaff Innovations, Inc. Folding stroller for child's car seat
US5845925A (en) * 1997-01-28 1998-12-08 Huang; Ming-Tai Safety device for a stroller
DE29706250U1 (de) * 1997-04-08 1997-05-22 Chen, Hung-Tsun, Taichung Kinderwagen
US5857688A (en) * 1997-07-02 1999-01-12 Swearingen; Judson S. Portable wheelchair
US6422586B1 (en) * 1999-08-31 2002-07-23 Cosco Management, Inc. Stroller latch apparatus
ITVR20010022A1 (it) * 2001-02-20 2002-08-20 Inglesina Baby Spa L Telaio ripiegabile ad ombrello particolarmente per passeggini
JP3980349B2 (ja) * 2001-12-25 2007-09-26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CN2550232Y (zh) * 2002-05-13 2003-05-14 中山隆顺日用制品有限公司 婴儿车之安全锁结构
US6767027B2 (en) * 2002-08-28 2004-07-27 Pao-Hsien Cheng Folding structure for basket support of a stroller
US6843499B2 (en) * 2003-01-29 2005-01-18 Jyan-Tsai Guo Foldable baby stroller
US7367358B2 (en) * 2005-02-02 2008-05-06 Universal Infusion Technology, Llc Medical fluid delivery system and method relating to the same
TWM257306U (en) * 2003-11-12 2005-02-21 Link Treasure Ltd Framework structure for baby carriage
FR2870500B1 (fr) * 2004-05-19 2006-08-04 Equipbaby Uk Ltd Plateforme a roulettes attelable a une poussette
US7267358B2 (en) * 2004-10-26 2007-09-11 Wonderland Nurserygoods Co, Ltd. Foldable frame with a locking device
CN2752128Y (zh) * 2004-11-09 2006-01-18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可横向折叠的童车
US7523954B2 (en) * 2005-01-21 2009-04-28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Collapsible stroller with foot rest
CN200967494Y (zh) * 2006-10-29 2007-10-31 中山市隆成日用制品有限公司 婴儿伞车收折的安全锁结构
US7731220B2 (en) * 2006-12-19 2010-06-08 Wonderland Nurserygoods Co., Ltd. Frame assembly for double-seat baby stroller
JP5232437B2 (ja) * 2007-10-22 2013-07-10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幌付折畳式乳母車
US8100429B2 (en) * 2008-03-31 2012-01-24 Artsana Usa, Inc. Three dimensional folding stroller with infant carrier attachment and one hand actuated seat recline
CN101844574B (zh) * 2009-03-23 2013-02-13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推车
USD616792S1 (en) * 2009-07-17 2010-06-01 Wonderland Nurserygoods Hong Kong Company Limited St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70301A (zh) 2010-10-27
CN101870301B (zh) 2015-07-22
TWI476121B (zh) 2015-03-11
JP2010253976A (ja) 2010-11-11
JP5301342B2 (ja) 2013-09-25
TW201038429A (en) 2010-11-01
EP2243684A1 (en) 2010-10-27
US20100264628A1 (en) 201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16131A (ko) 접기식 손수레
JP5230317B2 (ja) 折畳式手押し車および折畳式乳母車
EP2052943B1 (en) Foldable pushcart and foldable baby carriage
EP2441645B1 (en) Baby buggy
JP5889551B2 (ja) 乳母車
US20120223508A1 (en) Foldable Stroller
TWI680073B (zh) 折疊式嬰兒車
EP2441646A1 (en) Carrier and baby carriage
EP2052945A1 (en) Foldable pushcart
JP2009101790A (ja) 幌付折畳式乳母車
JPS59202974A (ja) 乳母車
KR20110114571A (ko) 개선된 접이식 유모차
CN100379624C (zh) 一种可折叠成三层的婴孩车
JP2004291661A (ja) 折畳式乳母車
JP4299016B2 (ja) 折畳式乳母車
JP5020655B2 (ja) ベビーカー
JP6027367B2 (ja) 折り畳み式手押し車
KR20100104787A (ko) 절첩식 손수레 및 절첩식 유모차
KR20130133124A (ko) 압봉 슬라이드식 유모차
CA2657144A1 (en) Foldable pushcart and foldable baby carriage
TWI503247B (zh) 折疊式手推車及折疊式嬰兒車
JP2009120183A (ja) 折畳式手押し車および折畳式乳母車
JP2008149750A (ja) 折畳式乳母車
AU2009200839B2 (en) Foldable pushcart and foldable baby carriage
JP2014034348A (ja) 折り畳み式手押し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