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3124A - 압봉 슬라이드식 유모차 - Google Patents
압봉 슬라이드식 유모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33124A KR20130133124A KR1020130017403A KR20130017403A KR20130133124A KR 20130133124 A KR20130133124 A KR 20130133124A KR 1020130017403 A KR1020130017403 A KR 1020130017403A KR 20130017403 A KR20130017403 A KR 20130017403A KR 20130133124 A KR20130133124 A KR 201301331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t
- pair
- push rod
- olfactory
- reg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62B7/083—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the wheel axes being moved from each other during fol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62B7/08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becoming smaller in all three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석 시트를 압축할 필요를 없애고, 적은 힘으로 절첩할 수 있는 압봉 슬라이드식 유모차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수단으로서, 압봉 슬라이드식 유모차는 한 쌍의 전각(11)과, 한 쌍의 후각(14)과,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하단 영역이 전각(1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함께 상단 영역이 전각(11)보다도 더욱 상방으로 늘어나는 한 쌍의 압봉(15)과,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고 후단부가 후각(1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함께 전단 영역 또는 중간 영역이 압봉(15)의 하단 영역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좌부 지지봉(17)과, 압봉(15)의 상단 영역 및 좌부 지지봉(17)에 부착되는 좌석 시트(31)를 구비한다.
이를 위한 수단으로서, 압봉 슬라이드식 유모차는 한 쌍의 전각(11)과, 한 쌍의 후각(14)과,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하단 영역이 전각(1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함께 상단 영역이 전각(11)보다도 더욱 상방으로 늘어나는 한 쌍의 압봉(15)과,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고 후단부가 후각(1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함께 전단 영역 또는 중간 영역이 압봉(15)의 하단 영역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좌부 지지봉(17)과, 압봉(15)의 상단 영역 및 좌부 지지봉(17)에 부착되는 좌석 시트(31)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압봉이 전각(前脚)에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된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압봉이 전각에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고, 전개 상태에서 압봉의 상단 영역이 전각보다도 상방으로 늘어나는 위치가 되고, 절첩 상태에서 압봉의 상단 영역이 하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전각에 겹쳐지는 위치가 되는 절첩 가능한 유모차가 보급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유모차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9-120182호 공보(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유모차는, 좌석 시트를 구성하는 천이, 좌우 한 쌍의 차체 프레임에 해먹과 같이 매달려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좌석 시트의 등받이부가, 전각보다도 상방으로 늘어나는 압봉의 상단 영역에 부착되고, 좌석 시트의 좌부(座部)가,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는 좌석 지지봉에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와 같은 압봉 슬라이드식 유모차에서는, 더욱 개선하여야 할 점이 있는 것을 본 발명자는 발견하였다. 즉, 좌석 지지봉의 전단부가 추축(樞軸)을 통하여 전각의 중앙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유모차를 절첩할 때에는, 이 추축을 중심으로 하여 좌석 지지봉이 전각에 접근함과 함께, 압봉이 전각에 따라 하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압봉의 상단 영역과 좌석 지지봉이 전각을 향하여 집약하도록 접근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개 상태에서는, 좌석 시트의 등받이부가 부착된 압봉의 상단 영역은, 좌석 시트의 좌부가 부착된 좌석 지지봉보다도 상방에 위치한다. 이것에 대해 절첩 상태에서는, 압봉의 상단 영역이 좌석 지지봉에 접근하여 좌석 시트가 압축된다. 즉, 절첩 조작에 수반하여 압봉이 하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좌석 시트가 절첩 조작에 대한 저항이 된다.
그려면 유모차의 조작자는, 유모차를 절첩할 때에, 좌석 시트를 압축하기 위한 힘을 압봉에 가하여야 한다. 이 때문에, 유모차를 절첩할 때에는, 좌석 시트를 압축하기 위한 힘을 필요로 하여, 유모차의 조작자에게 부담을 강요하여 버린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정을 감안하여, 좌석 시트를 압축할 필요를 없애고, 적은 힘으로 절첩할 수 있는 압봉 슬라이드식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압봉 슬라이드식 유모차는,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사이즈가 축소하여 절첩되는 유모차로서,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한 쌍의 전각과,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상단부가 전각의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후각과,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하단 영역이 전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함께 상단 영역이 전각보다도 더욱 상방으로 늘어나는 한 쌍의 압봉과,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고 후단부가 후각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함께 전단(前端) 영역 또는 중간 영역이 압봉의 하단 영역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좌부 지지봉과, 한 쌍의 압봉 사이 및 한 쌍의 좌부 지지봉 사이에 배치되고, 압봉의 상단 영역 및 좌부 지지봉에 부착되는 좌석 시트를 구비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모차를 전개 상태로부터 절첩 상태로 절첩할 때, 좌부 지지봉의 전단이 압봉과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고, 압봉의 하단 영역은 좌부 지지봉에 접근하지만, 압봉의 상단 영역은 좌부 지지봉으로부터 떨어진 채가 된다. 따라서 압봉의 상단 영역 및 좌부 지지봉에 부착되는 좌석 시트는 절첩 상태에서 압축되는 일이 없고, 유모차를 절첩할 때에 저항으로 되지 않는다.
절첩식 유모차는 그 차체 프레임이 생각지 않게 절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로크 기구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로서, 좌부 지지봉을 후각 또는 압봉에 대해 회동 불능으로 유지하는 전개 상태 로크 기구를 또한 구비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압봉과 좌부 지지봉과 후각으로 삼각형을 변형 불능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전개 상태에서 좌부 지지봉이 덜컹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좌석 시트가 덜컹거림을 방지하여 승차감이 향상한다. 다른 실시 형태로서, 전개 상태 로크 기구를 다른 프레임 부재에 마련하여, 2개의 프레임 부재의 상대 이동 내지 상대 회동을 규제하여도 좋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전개 상태 로크 기구는, 일단이 좌부 지지봉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후각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프레임 부재이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좌석 시트의 후방 공간에 전개 상태 로크 기구를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좌부 지지봉과 후각과의 회동 각도가 단단히 고정된다. 다른 실시 형태로서, 이 프레임 부재의 일단이 좌부 지지봉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후각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또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X자 형상으로 교차하는 2개의 봉재를 포함하고, 봉재의 상단이 한 쌍의 후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봉재의 하단이 한 쌍의 후각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배면 크로스 부재를 또한 구비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폭방향으로도 축소할 수가 있어서, 압봉 슬라이드식 유모차를 한층 작게 절첩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로서, 폭방향으로 축소하지 않는 프레임 부재로, 한 쌍의 후각을 연결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유모차를 절첩할 때에 좌석 시트를 압축하는 일 없이, 유모차의 조작자는 종래보다도 적은 힘으로 유모차를 편안하게 절첩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자는 한 손으로 절첩 조작할 수 있고, 조작성이 향상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가 되는 압봉 슬라이드식 유모차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을 도시하는 배면도.
도 3은 절첩 상태의 유모차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절첩 상태의 차체 프레임을 도시하는 배면도.
도 5는 전개 상태 로크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6은 전개 상태 로크 기구의 해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을 도시하는 배면도.
도 3은 절첩 상태의 유모차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절첩 상태의 차체 프레임을 도시하는 배면도.
도 5는 전개 상태 로크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6은 전개 상태 로크 기구의 해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가 되는 압봉 슬라이드식 유모차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을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 및 도 2는 유모차의 전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절첩 상태의 유모차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절첩 상태의 차체 프레임을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유모차는, 도 1 및 도 3을 대비하여 분명한 바와 같이, 상하 방향 및 폭방향의 사이즈가 축소하여 절첩되는 것이다. 유모차는, 차체 프레임의 주요 구성 요소로서, 한 쌍의 전각(11)과, 한 쌍의 후각(14)과, 한 쌍의 압봉(15)과, 한 쌍의 핸들 부재(16)와, 한 쌍의 좌부 지지봉(17)과, 배면 크로스 부재(18)와, 저면 크로스 부재(19)라는 프레임 부재를 포함한다.
각 전각(11)은,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직선형상의 봉재이고, 그 하단부에 전륜(11w)을 가지며, 그 상단부에 연결 부재(12)를 갖고 있다. 연결 부재(12)는, 전각(11)에 고정되어 있고, 그 앞측에 통형상체(12a)를 가지며, 그 후측에 장출부(張出部)(12b)를 갖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전각(11)의 하단부는, 중앙 부분에서 굴곡 가능한 발판 부재(2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유모차가 펼쳐진 전개 상태에서는, 발판 부재(26)는 폭방향에 따라 거의 직선적으로 늘어난다.
각 후각(14)은,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직선형상의 봉재이고, 그 하단부에 후륜(14w)을 갖고 있다. 각 후각(14)의 상단부는, 연결 부재(12)의 장출부(12b)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유모차의 전개 상태에서, 후각(14)은 전각(11)에 대해 소정 각도로 열려 있다. 유모차의 절첩 동작에 수반하여 각 후각(14)은 각 전각(1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하고,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절첩 상태에서는, 각 후각(14)과 각 전각(11)은 평행한 관계로 위치하고, 후륜(14w)은 전륜(11w)의 상방에 위치한다.
각 압봉(15)은,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직선형상의 봉재이다. 유모차의 전개 상태에서, 각 압봉(15)의 하단 영역이 각 전각(11)상에 겹쳐지도록 배치되고, 각 압봉(15)의 상단 영역이 전각(11)의 상단보다도 상방으로 늘어나 있다. 압봉(15)은, 연결 부재(12)의 통형상체(12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유모차의 절첩 동작에 수반하여 각 압봉(15)은 각 전각(11)상을 하방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하고, 도 3에 도시하는 절첩 상태에서는, 각 압봉(15)의 하단이 지면(G)에 맞닿게 된다. 지면(G)에 접하는 압봉(15)의 하단과 전륜(11w)에 의해, 절첩 상태의 유모차는 자립(自立)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압봉(15)의 하단 영역에는, 안내 슬리브(13)가 고정하여 부착되어 있다. 이 안내 슬리브(13)는, 그 후측에 통형상체(13a)를 가지며, 그 폭방향 내측에 비어져 나온 장출부(13b)를 갖고 있다. 통형상체(13a)에는 전각(11)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다. 장출부(13b)는 추축(32)를 통하여 좌부 지지봉(17)의 전단 영역 또는 중간 영역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각 압봉(15)의 상단에는, 핸들 부재(16)가 연설(延設)되어 있다. 한 쌍의 핸들 부재(16)는 압봉(15)의 상단보다도 전방으로 굴곡하여 늘어난다. 이 때문에, 압봉(15) 및 핸들 부재(16)는 전체로서 개략 L자 형상이 된다.
각 후각(14)의 상단 영역에는, 한 쌍의 슬라이드 부재(21)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슬라이드 부재(21)에는 배면 크로스 부재(18)의 2개의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각각 연결된다. 배면 크로스 부재(18)는 2개의 봉재를 X자 형상으로 교차시켜서, 교차점을 추축으로 서로 연결한 것이다. 배면 크로스 부재(18)의 2개의 하단은, 한 쌍의 후각(14)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다. 이러한 양태로 한 쌍의 후각(14)에는, 배면 크로스 부재(18)가 가설(架設)되고, 배면 크로스 부재(18)의 2개의 상단은 한 쌍의 후각(14)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다.
저면 크로스 부재(19)는, X자 형상으로 교차하는 제1의 봉재와 제2의 봉재를 포함하고, 그 전단부가 한 쌍의 압봉(15)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고, 그 후단부가 한 쌍의 후각(14)의 중간 영역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있다.
한 쌍의 좌부 지지봉(17)은,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고 있고, 그 전단 영역 또는 중간 영역이 압봉(15)의 하단 영역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후단부가 후각(1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좌부 지지봉(17)의 후단 영역에는 브래킷(17b)이 고정된다. 브래킷(17b)에는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는 프레임 부재(33)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프레임 부재(33)의 타단은 후각(14)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한다. 구체적으로는 프레임 부재(33)의 타단이, 후각(14)에 부착된 슬라이드 부재(2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고, 이들 프레임 부재(33)와, 좌부 지지봉(17)의 후단 영역과, 후각(14)의 중간 영역이 삼각형을 구성한다. 그리고 유모차의 전개 상태에서, 이 삼각형은 변형 불능으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프레임 부재(33) 및 슬라이드 부재(21)는 제1의 전개 상태 로크 기구를 구성한다.
도 5 및 도 6은 제1의 전개 상태 로크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고, 도 5는 록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은 록을 해제한 상태를 나타낸다. 전개 상태에서 프레임 부재(33)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부 지지봉(17)과 후각(14)에 가설되어, 이들 2개의 프레임 부재(14, 17)의 상대 이동을 규제한다. 프레임 부재(33)는 좌부 지지봉(17)보다도 상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늘어난다, 프레임 부재(33)의 일단과 좌부 지지봉(17)과의 사이에는 비틀림 스프링(34)이 축설(縮設)된다. 비틀림 스프링(34)은 브래킷(17b)에 지지되고 프레임 부재(33)를 상방으로 가세한다.
프레임 부재(33)의 타단에는 노치부(35)가 형성된다. 노치부(35)는 상방으로 개구한 형상으로서, 슬라이드 부재(21)에 형성된 돌기부(21p)와 계합 가능하다. 그리고 비틀림 스프링(34)의 가세력에 의해 이 계합이 유지된다. 이에 의해 프레임 부재(33)는 후각(14)과 연결한다. 비틀림 스프링(34)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프레임 부재(33)가 압하되면 이 계합이 해제되고 프레임 부재(33)는 후각(14)으로부터 분리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압봉(15) 및 한 쌍의 좌부 지지봉(17)에는, 포제(직포제)의 좌석 시트(31)가 부착되어 있다. 좌석 시트(31)는, 상단부(31a)와, 상단부(31a)로부터 하방으로 늘어나 유소아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31b)와, 등받이부(31b)의 하단과 접속하여 유소아의 엉덩이, 태퇴를 지지하는 좌부(31c)를 가지며, 이들이 상단부(31a), 등받이부(31b), 및 좌부(31c)가 연속하는 해먹형상의 봉제품이다. 그리고 좌석 시트(31)의 상단부(31a)는 한 쌍의 압봉(15)의 상단 영역에 건너지러지고, 좌부(31c)는 한 쌍의 좌부 지지봉(17)의 전단 영역에 건너지러지고, 등받이부(31b)는 상단부(31a)로부터 좌부(31c)까지 늘어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단부(31a)가 압봉(15)중 통형상체(12a)보다도 상방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단부(31a)가 압봉(15)의 상단부에 부착된다. 또한 좌부 지지봉(17)의 전단은 압봉(15)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하여 있고, 좌부 지지봉(17)의 중앙부는 압봉(15)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고, 좌부(31c)는, 압봉(15)의 전단 및 중앙부에 각각 부착된다.
설명을 배면 크로스 부재(18)로 되돌리면, 배면 크로스 부재(18)의 상단 영역에는, 유모차의 전개 상태에서 제1의 봉재와 제2의 봉재와의 교차 각도를 고정하는 제2의 전개 상태 로크 기구(22)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전개 상태 로크 기구(22)는, 일단이 제2의 봉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링크봉(22m)과, 일단이 제1의 봉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링크봉(22n)과, 조작 부재(24)를 구비한다. 제1 링크봉(22m)의 타단과 제2 링크봉(22n)의 타단은 추축(23)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이들 제1 링크봉(22m) 및 제2 링크봉(22n)은 전체로서 폭방향으로 늘어난다. 추축(23)에는 조작 부재(24)가 또한 연결된다. 조작 부재(24)는 힌지(25)를 통하여 추축(23)에 지지되고, 상향 자세 또는 하향 자세가 된다.
유모차의 전개 상태에서는, 제1 링크봉(22m)과 제2 링크봉(22n)은 사안점(思案点)을 약간 넘은 위치에서 고정한 관계가 되어, 제1의 봉재와 제2의 봉재와의 교차 각도를 고정한다. 유모차를 절첩할려고 할 때에는, 도 2에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24)를 손으로 끌어올린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링크봉(22m)과 제2 링크봉(22n)을 상방으로 굴곡시킨 상태가 되도록 한다.
본 실시례의 압봉 슬라이드식 유모차의 절첩 조작에 관해 설명한다.
유모차의 조작자는 우선, 프레임 부재(33)의 타단을 슬라이드 부재(21)로부터 분리시켜서, 제1의 전개 상태 로크 기구를 해제한다. 그러면, 좌부 지지봉(17)이 후각(14)에 대해 회동 가능해진다. 다음에,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작 부재(24)를 끌어올려서 제2의 전개 상태 로크 기구를 해제한다. 이에 의해 차체 프레임의 구성 요소인 각 프레임 부재는 회동 가능하게 된다. 계속해서 유모차의 조작자가 핸들 부재(16)를 하방으로 누르면서 조작 부재(24)를 더욱 끌어올리면, 각 슬라이드 부재(21)는 각 후각(14)상을 상방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하고,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 크로스 부재(18)가 폭방향에 축소한다. 이와 동시에 각 프레임 부재가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회동 내지 슬라이드 이동하여, 유모차가 전개 상태로부터 절첩 상태로 변화한다.
즉 유모차를 절첩할 때, 조작자가 핸들 부재(16)를 하방으로 누르면, 압봉(15)은 도 1에 화살표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하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또한 좌부 지지봉(17)은 도 1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좌부 지지봉(17)과 압봉(15)과의 각도가 작아지고, 좌부 지지봉(17)과 후각(14)과의 각도가 커진다. 따라서 유모차는 도 1의 전개 상태로부터 도 3의 절첩 상태가 된다. 절첩 상태에서, 좌부 지지봉(17)은 압봉(15)의 하단 영역의 폭방향 내측에 따라 위치하게 된다.
또한 유모차를 절첩할 때, 압봉(15)의 하단부에 연결된 저면 크로스 부재(19)의 전단부도, 압봉(15)의 하방 이동에 추종하여 하방으로 이동하고, 그에 수반하여, 저면 크로스 부재(19)의 후단부에 연결된 한 쌍의 후각(14)을 전각(11)을 향하여 회동시킨다. 압봉(15)의 하단부의 하방으로의 이동량이 커짐에 따라, 저면 크로스 부재(19)의 전단부와 후단부와의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저면 크로스 부재(19)는 폭방향으로 축소한다.
유모차의 절첩 상태에서는, 발판 부재(26)는 V자 형상으로 굴곡한 형태가 된다. 좌석 시트(31)는 천으로 이루어지는 봉제품이기 때문에, 굴곡 자유롭고, 절첩할 때에는 압봉(15)의 슬라이드 이동 및 좌부 지지봉(17)의 회동에 추종하여 굴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절첩 조작에 의해 압봉 슬라이드식 유모차의 각 프레임 부재가 슬라이드 이동 및 회동하고, 압봉 슬라이드식 유모차는, 폭방향,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축소한다. 절첩 상태의 유모차를 전개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조작과는 반대의 조작이 행하여진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좌부 지지봉(17)이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고, 그 후단부가 후각(1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함께 그 전단 영역 또는 중간 영역이 추축(32)를 통하여 압봉(15)의 하단 영역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좌석 시트(31)가 압봉(15)의 상단 영역 및 좌부 지지봉(17)에 부착된다. 따라서 절첩 상태에서, 압봉(15)의 하단 영역이 좌부 지지봉(17)과 개략 겹쳐지고, 압봉(15)의 상단 영역이 좌부 지지봉(17)보다도 상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좌석 시트(31)의 상단부(31a)는 압봉(15)의 상단 영역에 부착되고, 좌석 시트(31)의 좌부(31c)는 좌부 지지봉(17)의 전단 영역 및 중간 영역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절첩 상태에서도 상단부(31a)는 좌부(31c)로부터 상방으로 떨어진 채가 된다. 따라서 절첩 상태에서 좌석 시트(31)가 압봉(15)의 상단 영역과 좌부 지지봉(17)에 의해 압축되는 일이 없고, 절첩할 때에 좌석 시트(31)가 저항으로 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유모차의 전개 상태에서, 좌부 지지봉(17)을 후각(14)에 대해 회동 불능으로 유지하는 제1의 전개 상태 로크 기구로서, 프레임 부재(33) 및 돌기부(21p)를 구비한다. 따라서 좌부 지지봉(17)을 단단히와 후각(14)에 연결할 수 있고, 프레임 부재(33)와 좌부 지지봉(17)과 후각(14)으로 구성된 삼각형이 변형 불능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전개 상태에서, 좌부 지지봉(17)에 지지된 좌석 시트(31)의 덜컹거림을 방지하고, 안정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의 전개 상태 로크 기구는, 일단이 좌부 지지봉(17)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후각(14)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프레임 부재(33)를 포함하기 때문에, 좌석 시트(31)의 후방 공간에 전개 상태 로크 기구를 마련할 수 있고, 전개 상태 로크 기구가 좌석 시트(31)에 착좌한 유소아의 방해가 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X자 형상으로 교차하는 2개의 봉재를 포함하고, 봉재의 상단이 한 쌍의 후각(14)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봉재의 하단이 한 쌍의 후각(1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배면 크로스 부재(18)를 또한 구비함으로써, 압봉 슬라이드식 유모차를 폭방향으로도 축소할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 발명은, 도시한 실시의 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이 발명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또는 균등한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이 되는 압봉 슬라이드식 유모차는, 육아 기구 및 손수레에 있어서 유리하게 이용된다.
11 : 전각 12 : 연결 부재
13 : 안내 슬리브 14 : 후각
15 : 압봉 16 : 핸들 부재
17 : 좌부 지지봉 18 : 배면 크로스 부재
19 : 저면 크로스 부재 21 : 슬라이드 부재
22 : 전개 상태 로크 기구 26 : 발판 부재
31 : 좌석 시트 31a : 좌석 시트 상단부
31b : 등받이부 31c : 좌부
32 : 추축 33 : 프레임 부재
13 : 안내 슬리브 14 : 후각
15 : 압봉 16 : 핸들 부재
17 : 좌부 지지봉 18 : 배면 크로스 부재
19 : 저면 크로스 부재 21 : 슬라이드 부재
22 : 전개 상태 로크 기구 26 : 발판 부재
31 : 좌석 시트 31a : 좌석 시트 상단부
31b : 등받이부 31c : 좌부
32 : 추축 33 : 프레임 부재
Claims (4)
-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사이즈가 축소하여 절첩되는 유모차로서,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한 쌍의 전각과,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상단부가 상기 전각의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후각과,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하단 영역이 상기 전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함께 상단 영역이 상기 전각보다도 더욱 상방으로 늘어나는 한 쌍의 압봉과,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고 후단부가 상기 후각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함께 전단 영역 또는 중간 영역이 상기 압봉의 하단 영역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좌부 지지봉과,
상기 한 쌍의 압봉 사이 및 상기 한 쌍의 좌부 지지봉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압봉의 상단 영역 및 상기 좌부 지지봉에 부착되는 좌석 시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봉 슬라이드식 유모차. - 제 1항에 있어서,
유모차의 전개 상태에서, 상기 좌부 지지봉을 상기 후각 또는 상기 압봉에 대해 회동 불능으로 유지하는 전개 상태 로크 기구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봉 슬라이드식 유모차.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 상태 로크 기구는, 일단이 상기 좌부 지지봉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후각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봉 슬라이드식 유모차. - 제 1항에 있어서,
X자 형상으로 교차하는 2개의 봉재를 포함하고, 상기 봉재의 상단이 상기 한 쌍의 후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봉재의 하단이 상기 한 쌍의 후각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배면 크로스 부재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봉 슬라이드식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2121218A JP5953123B2 (ja) | 2012-05-28 | 2012-05-28 | 押し棒スライド式乳母車 |
JPJP-P-2012-121218 | 2012-05-2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3124A true KR20130133124A (ko) | 2013-12-06 |
Family
ID=49731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17403A KR20130133124A (ko) | 2012-05-28 | 2013-02-19 | 압봉 슬라이드식 유모차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5953123B2 (ko) |
KR (1) | KR20130133124A (ko) |
CN (1) | CN103448776A (ko) |
TW (1) | TW201348046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64227A1 (zh) * | 2020-02-19 | 2021-08-26 |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 儿童推车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526278A (ja) * | 2015-09-02 | 2018-09-13 | ラークテイル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 | 折り畳み式ベビーカー |
CA3088264A1 (en) * | 2018-01-12 | 2019-07-18 | Yeti Coolers, Llc | Portable chair |
USD903305S1 (en) | 2019-01-14 | 2020-12-01 | Yeti Coolers, Llc | Bag |
USD912423S1 (en) | 2019-01-14 | 2021-03-09 | Yeti Coolers, Llc | Portable chair |
USD911731S1 (en) | 2019-01-14 | 2021-03-02 | Yeti Coolers, Llc | Portable chair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033309B (en) * | 1978-09-30 | 1983-02-16 | Priestley J B | Collapsible framework for a pushchair seat or trolley |
JPS5816943Y2 (ja) * | 1980-12-27 | 1983-04-05 | 株式会社ト−キヨ−ベビ− | ベビ−カ− |
US5938230A (en) * | 1998-08-04 | 1999-08-17 | Link Treasure Limited | Foldable stroller |
JP5230317B2 (ja) * | 2007-10-22 | 2013-07-10 |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 折畳式手押し車および折畳式乳母車 |
JP2009120183A (ja) * | 2007-10-22 | 2009-06-04 | Graco Childrens Prod Inc | 折畳式手押し車および折畳式乳母車 |
CN201296267Y (zh) * | 2008-09-26 | 2009-08-26 | 袁文彬 | 童车折叠锁定机构 |
JP5301342B2 (ja) * | 2009-04-21 | 2013-09-25 |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 折畳式手押し車 |
CN102079324B (zh) * | 2009-12-01 | 2015-08-19 |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 婴儿车及婴儿车与汽车座椅的组合 |
-
2012
- 2012-05-28 JP JP2012121218A patent/JP5953123B2/ja active Active
-
2013
- 2013-02-19 KR KR1020130017403A patent/KR2013013312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3-03-18 TW TW102109435A patent/TW201348046A/zh unknown
- 2013-05-03 CN CN2013101597551A patent/CN103448776A/zh active Pending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64227A1 (zh) * | 2020-02-19 | 2021-08-26 |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 儿童推车 |
US11919559B2 (en) | 2020-02-19 | 2024-03-05 | Goodbaby Child Products Co., Ltd. | Stroll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3244909A (ja) | 2013-12-09 |
JP5953123B2 (ja) | 2016-07-20 |
TW201348046A (zh) | 2013-12-01 |
CN103448776A (zh) | 2013-12-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133124A (ko) | 압봉 슬라이드식 유모차 | |
US8210562B2 (en) | Canopied foldable baby carriage | |
US8740243B2 (en) | Foldable stroller frame | |
KR102393208B1 (ko) | 절첩식 유모차 | |
US8066300B2 (en) | Foldable pushcart and foldable baby carriage | |
JP5301342B2 (ja) | 折畳式手押し車 | |
JP5230317B2 (ja) | 折畳式手押し車および折畳式乳母車 | |
EP2052945A1 (en) | Foldable pushcart | |
CN107444457B (zh) | 可折叠的婴儿推车 | |
KR20070028220A (ko) | 접이식 좌석 운반 차체 | |
KR102037861B1 (ko) | 유모차 및 시트 유닛 | |
JP6378991B2 (ja) | 乳母車 | |
KR20110106788A (ko) | 절첩식 유모차 | |
JP2015058930A (ja) | ベビーカー用シャーシ | |
US11840272B2 (en) | Frame structure and baby stroller | |
EP2700559B1 (en) | Foldable stroller frame | |
JP2018043710A (ja) | ベビーカー | |
JP2009269495A (ja) | 手押し車の折りたたみロック装置 | |
JP6027367B2 (ja) | 折り畳み式手押し車 | |
KR20100104787A (ko) | 절첩식 손수레 및 절첩식 유모차 | |
EP1972522B1 (en) | A foldable pushchair for babies and small children | |
CA2657144A1 (en) | Foldable pushcart and foldable baby carriage | |
GB2426231A (en) | Pushchair or stroller with scissor folding action | |
TWI503247B (zh) | 折疊式手推車及折疊式嬰兒車 | |
CN213199878U (zh) | 用于童车的车架和童车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