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208B1 - 절첩식 유모차 - Google Patents

절첩식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208B1
KR102393208B1 KR1020160092390A KR20160092390A KR102393208B1 KR 102393208 B1 KR102393208 B1 KR 102393208B1 KR 1020160092390 A KR1020160092390 A KR 1020160092390A KR 20160092390 A KR20160092390 A KR 20160092390A KR 102393208 B1 KR102393208 B1 KR 102393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eat
lower slider
handle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5167A (ko
Inventor
다케시 데라우치
마사시 다니자키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15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5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62Coupling unit between front wheels, rear wheels and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6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the handle bar being parallel to the front leg
    • B62B7/06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the handle bar being parallel to the front leg the handle bar moves in parallel relation during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3Perambulators; Buggies; St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절첩식의 유모차(1)는, 전륜(5) 및 후륜(6)을 지지한 프레임 본체(2)와, 프레임 본체(2)에 지지된 시트(3)를 구비한다. 프레임 본체(2)는, 전륜(5)을 지지한 전각 프레임(10)과, 전각 프레임(10)에 대해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상측 슬라이더(30) 및 하측 슬라이더(40)를 통해 전각 프레임(10)에 부착된 핸들 프레임(50)과, 후륜(6)을 지지함과 함께, 하측 슬라이더(40)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후각 프레임(20)과, 상측 슬라이더(30)와 후각 프레임(20)의 중간 부분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링크 브래킷(60)을 갖는다.

Description

절첩식 유모차{FOLDING STROLLER}
본 발명은, 사용 상태와 절첩 상태 사이에서 변형 가능한 절첩식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JP2004-58986A나 JP2013-95237A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절첩 가능한 유모차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JP2004-58986A나 JP2013-95237A에 개시된 유모차는, 사용 상태에서 절첩 상태로 변형시키면, 전각(前脚) 프레임과 후각(後脚) 프레임이 접근해서 전후 방향의 치수가 작아지도록 절첩된다.
최근에는, 유모차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다 경량이고 부품수가 적은 유모차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JP2004-58986A나 JP2013-95237A에 개시된 유모차는, 부품수가 많아 경량화의 니즈에 충분히 부응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이고, 부품수가 적고 경량인 절첩식의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는, 사용 상태와 절첩 상태 사이에서 변형 가능하게 한 절첩식의 유모차로서, 전륜 및 후륜을 지지한 프레임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에 지지된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본체는, 상기 전륜을 지지한 전각 프레임과, 상기 전각 프레임에 대해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상측 슬라이더 및 하측 슬라이더를 통해 상기 전각 프레임에 부착된 핸들 프레임과, 상기 후륜을 지지함과 함께, 상기 하측 슬라이더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후각 프레임과,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상측 슬라이더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다른 측에 있어서, 상기 후각 프레임 중의 상기 하측 슬라이더에 접속된 부분보다도 상기 후륜측으로 되는 부분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링크 브래킷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는, 상기 하측 슬라이더에 지지된 시트 지지체를 더 갖고, 상기 시트는, 상기 시트 지지체와 상기 핸들 프레임 사이에 가설(架設)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시트 지지체는, 좌우의 상기 하측 슬라이더에 지지된 좌우의 전후 프레임 요소와, 상기 좌우의 전후 프레임 요소의 뒤쪽 부분끼리를 연결하는 후측 연결 프레임 요소를 포함하는 시트 지지 프레임이고, 상기 시트는, 상기 좌우의 전후 프레임 요소 및 상기 후측 연결 프레임 요소의 각각에 가설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 각 전후 프레임 요소의 앞쪽 부분은, 자유단으로 되어 있고, 각 전후 프레임 요소는, 그 앞쪽 부분과 뒤쪽 부분 사이로 되는 중간 부분에서, 대응하는 하측 슬라이더에 핀을 통해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상측 슬라이더는, 상기 전각 프레임에 고정되며, 또한, 상기 핸들 프레임이 헐겁게 삽입되는 가이드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측 슬라이더는, 상기 핸들 프레임에 고정되며, 또한, 상기 전각 프레임이 헐겁게 삽입되는 가이드 구멍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사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각 프레임을 상기 하측 슬라이더에 대해서 구속하는 로크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로크 수단은, 상기 전각 프레임에 설치된 걸어 맞춤부와, 상기 하측 슬라이더에 설치되어, 상기 걸어 맞춤부와 걸어 맞춰지는 피걸어 맞춤부를 가져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사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핸들 프레임을 상기 상측 슬라이더에 대해서 구속하는 로크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로크 수단은, 상기 핸들 프레임에 설치된 걸어 맞춤부와, 상기 상측 슬라이더에 설치되어, 상기 걸어 맞춤부와 걸어 맞춰지는 피걸어 맞춤부를 가져도 된다.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기 절첩 상태로 변형시키면, 상기 핸들 프레임이 상기 전각 프레임과 겹치는 범위가 넓어지도록 당해 전각 프레임에 대해서 슬라이딩함과 함께, 상기 후각 프레임이 상기 후륜을 상기 핸들 프레임에 접근시키도록 상기 하측 슬라이더에 대해서 상대 회동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수가 적고 경량인 절첩식의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를 사용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프레임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은 도 3에 나타내는 프레임 본체의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선 V-V를 따른 프레임 본체의 단면도.
도 6은 도 3에 나타내는 프레임 본체를 구성하는 시트 지지 프레임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시트 지지 프레임에 시트를 통과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3에 나타내는 바구니를 뒤쪽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4에 나타내는 사용 상태에 있는 유모차의 프레임 본체를, 절첩 상태로 변형시켜가는 일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절첩 상태에 있는 프레임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절첩 상태에서 사용 상태로 변형시키는 일 과정에 있어서의 유모차의 상태를, 도 5에 나타내는 단면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시트 지지체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3은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시트 지지체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4는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로크 수단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나타내는 선 XV-XV를 따른 프레임 본체의 단면도.
도 16은 도 14에 나타내는 유모차에 있어서, 세이프티 플레이트가 더 설치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나타내는 유모차에 있어서, 세이프티 플레이트를 노크 핀을 덮는 위치까지 회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8은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로크 수단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9는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로크 수단의 다른 변형예를 더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도 19에 나타내는 선 XX-XX를 따른 프레임 본체의 단면도.
이하, 도 1 내지 도 20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1)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유모차(1)는, 절첩식의 유모차이고, 절첩된 상태의 유모차(1)는, 상하 방향(d2)으로 컴팩트한 크기로 된다. 또한, 유모차(1)에서는, 전륜(5) 및 후륜(6)을 지지한 프레임 본체(2)에, 시트(시트 유닛)(3)가 장착되어 있다.
또,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유모차(1) 및 프레임 본체(2)에 대한 「전」, 「후」, 「상」 및 「하」의 용어는, 특별히 지시가 없는 경우, 사용 상태(C1)에 있는 유모차(1)에 승차하는 유유아를 기준으로 한 「전」, 「후」, 「상」 및 「하」를 의미한다. 따라서, 「전후 방향(d1)」이란, 도 1에 있어서의 지면(紙面)의 왼쪽 아래와 오른쪽 위를 잇는 방향에 상당한다. 그리고, 특별히 지시가 없는 한, 「전」이란, 승차한 유유아가 향하는 측이고, 도 1에 있어서의 지면의 왼쪽 아래편이 「앞쪽」으로 된다. 한편, 「상하 방향(d2)」이란 전후 방향(d1)에 직교함과 함께 유모차(1)의 접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유모차(1)의 접지면이 수평면인 경우, 「상하 방향(d2)」이란 수직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폭 방향(가로 방향)(d3)」이란, 「전후 방향(d1)」 및 「상하 방향(d2)」 모두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또한, 「우」 및 「좌」에 대해서도, 각각, 유모차(1)에 승차하는 유유아를 기준으로 한 폭 방향(d3)에 있어서의 「우」 및 「좌」인 것을 의미한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1)를 시트(3)를 분리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 본체(2)를 구성하는 요소로서, 전륜(5)을 지지한 좌우의 전각 프레임(10) 및 후륜(6)을 지지한 좌우의 후각 프레임(20)이 설치되어 있다. 각 전각 프레임(10)은, 캐스터(7a)를 개재해서 전륜(5)을 회전 가능하며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한편, 각 후각 프레임(20)은, 차륜 유지체(7b)를 개재해서 후륜(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선회 가능하게는 지지하고 있지 않다.
각 전각 프레임(10)에, 상측 슬라이더(30) 및 하측 슬라이더(40)를 통해 핸들 프레임(50)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즉, 핸들 프레임(50)은, 좌우의 전각 프레임(10)과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당해 좌우의 전각 프레임(10)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핸들 프레임(50)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리드부(51)가 설치되고, 한 쌍의 리드부(51)의 상단끼리를 조작부(52)가 연결하고 있다. 조작부(52)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사용 상태(C1)에 있는 유모차(1)를 주행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하는 부분이다. 도시하는 예에서는, 직선 형상의 좌우의 리드부(51)의 상단 간에, 만곡된 조작부(52)가 가설되고, 핸들 프레임(50)은, 대략 U자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좌우의 리드부(51)는, 각각, 대응하는 측에 위치하는 상측 슬라이더(30) 및 하측 슬라이더(40)에 삽입되어 있다. 상측 슬라이더(30) 및 하측 슬라이더(40)는, 핸들 프레임(50)과 전각 프레임(10)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해지도록 이들을 연결하는 부품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슬라이더(30)는, 하측 슬라이더(40)보다도 위쪽편 즉 조작부(52)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측 슬라이더(30)는, 전각 프레임(10)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측 슬라이더(30)는, 전각 프레임(10)에 연동해서 이동 가능하다. 한편, 상측 슬라이더(30)에는, 도 4에 나타내는 측면에서 볼 때 전각 프레임(10)의 상단이 고정된 개소보다도 앞쪽으로 되는 위치에, 가이드 구멍(31)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구멍(31)에는, 핸들 프레임(50)의 리드부(51)가 헐겁게 삽입되어 있다. 가이드 구멍(31)에 리드부(51)를 헐겁게 삽입함으로써, 핸들 프레임(50)이 전각 프레임(10)을 따라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 가능해진다.
한편, 하측 슬라이더(40)는, 핸들 프레임(50)의 리드부(51)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하측 슬라이더(40)는, 핸들 프레임(50)에 연동해서 이동 가능하다. 한편, 하측 슬라이더(40)에는, 도 4에 나타내는 측면에서 볼 때 리드부(51)의 하단이 고정된 개소보다도 뒤쪽으로 되는 위치에, 가이드 구멍(41)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구멍(41)에는, 전각 프레임(10)이 헐겁게 삽입되어 있다. 가이드 구멍(41)에 전각 프레임(10)을 헐겁게 삽입함으로써, 핸들 프레임(50)이 전각 프레임(10)을 따라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 가능해진다.
또한, 하측 슬라이더(40)에는, 도 4에 나타내는 측면에서 볼 때 가이드 구멍(41)보다도 뒤쪽으로 되는 위치에서, 후각 프레임(20)의 상단이 피벗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후각 프레임(20)의 상단은, 하측 슬라이더(40)의 전각 프레임(10)에 대한 상대 위치에 연동해서 회동한다.
상측 슬라이더(30)와 후각 프레임(20)에 링크 브래킷(60)이 가설되어 있다. 좌우의 링크 브래킷(60)은, 대응하는 측의 상측 슬라이더(30)와 후각 프레임(20) 사이를 연장하며, 또한, 상측 슬라이더(30)와 후각 프레임(20) 각각에 대해서 상대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링크 브래킷(60)이 후각 프레임(20)에 접속된 위치는, 후각 프레임(20) 중의, 하측 슬라이더(40)에 접속된 부분과 후륜(6)을 지지하는 부분 사이로 되는 중간 부분이다. 이 경우, 사용 상태에 있는 유모차(1)을 측면에서 볼 때, 링크 브래킷(60)과 후각 프레임(20)의 상대 회동 중심(RC2)은, 후각 프레임(20)과 하측 슬라이더(40)의 상대 회동 중심(RC1)보다도 뒤쪽이며 아래쪽에 위치하고, 또한, 링크 브래킷(60)과 상측 슬라이더(30)의 상대 회동 중심(RC3)보다도 뒤쪽이며 아래쪽에 위치해 있다.
일례로서, 이들 링크 브래킷(60)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제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전각 프레임(10), 후각 프레임(20) 및 핸들 프레임(50)은, 일례로서,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제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측 슬라이더(30) 및 하측 슬라이더(40)는, 수지제의 성형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로 되돌아가서, 하측 슬라이더(40)에는, 전각 프레임(10)을 따라서 위쪽으로 돌출한 연장 돌출편(42)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장 돌출편(42)에, 전각 프레임(10)으로부터 연장 돌출한 로크 핀(13)이 삽입되어 있다. 도 5에, 연장 돌출편(42)에 로크 핀(13)이 삽입된 상태를 단면도로서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장 돌출편(42)는, 박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어느 정도 변형 가능한 정도의 가요성(可撓性)을 지닌다. 연장 돌출편(42)는, 위쪽으로 향할수록 폭 방향(d3)에 있어서 전각 프레임(10)으로부터 이간해 간다. 환언하면, 연장 돌출편(42)은, 위쪽으로 향함에 따라서 폭 방향(d3)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벌어져 간다.
연장 돌출편(42)의 중간 부분에는, 삽입 구멍(43)이 설치되어 있고, 이 삽입 구멍(43)에 로크 핀(13)이 삽입되어 있다. 로크 핀(13)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전각 프레임(10)으로부터 폭 방향(d3)을 따라서 외측에 축부(13a)가 연장 돌출하고, 축부(13a)의 선단에 머리부(13b)가 설치되어 있다. 머리부(13b)의 외경은, 축부(13a)의 외경보다도 크고, 연장 돌출편(42)의 삽입 구멍(43)의 외경보다도 작다.
다음으로, 시트(3)를 지지하는 시트 지지체(70)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시트 지지체(70)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지지체(70)가, 하측 슬라이더(40)에 부착되어 있다. 시트 지지체(70)와 핸들 프레임(50)에, 시트(3)가 가설됨으로써, 시트(3)가 펼쳐진 상태에서 프레임 본체(2)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특히, 도 5에 나타내는 시트 지지체(70)는, 프레임 형상으로 성형된 시트 지지 프레임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시트(3)의 아래쪽에서 당해 시트(3)를 지지한다.
시트 지지 프레임(70)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좌우의 하측 슬라이더(40)에 각각 지지된 좌우의 전후 프레임 요소(71)가 설치되고, 좌우의 전후 프레임 요소(71)의 뒤쪽 부분(71c)끼리를 후측 연결 프레임 요소(72)가 연결하고 있다. 좌우의 전후 프레임 요소(71)의 뒤쪽 부분(71c)끼리를 후측 연결 프레임 요소(72)가 연결함으로써, 시트 지지 프레임(70)을 경량으로 구성하면서 시트 지지 프레임(70)의 강성(剛性)을 높이는 것에 기여한다.
좌우의 전후 프레임 요소(71)는, 폭 방향(d3)에 대향하고, 전후 방향(d1)을 따르고 있다. 한편, 후측 연결 프레임 요소(72)는, 양단 부근이 만곡되는 한편 중간 부분이 폭 방향(d3)을 따르고 있다. 도시하는 예에서는, 직선 형상의 좌우의 전후 프레임 요소(71)의 후단 간에, 만곡된 후측 연결 프레임 요소(72)가 가설되고, 시트 지지 프레임(70)은, 대략 U자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또, 도시하는 예에서는, 좌우의 전후 프레임 요소(71)와 후측 연결 프레임 요소(72)는, 일체로서 구성되어 있지만, 별개의 부품으로서 구성되어 이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각 전후 프레임 요소(71)의 앞쪽 부분(71a)은,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즉, 각 전후 프레임 요소(71)의 앞쪽 부분(71a)은, 다른 프레임 본체(2)를 구성하는 부품에 구속되어 있지 않다. 또한, 각 전후 프레임 요소(71)는, 그 앞쪽 부분(71a)과 뒤쪽 부분(71c) 사이로 되는 중간 부분(71b)에서, 하측 슬라이더(40)에 핀(73)을 통해 지지되어 있다. 즉, 시트 지지 프레임(70)은, 좌우의 하측 슬라이더(40)에 각각 하나씩의 핀(73)을 통해 연결되어 있을 뿐이고, 어느 정도 자세(방향)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계속해서, 시트 지지 프레임(70)과 핸들 프레임(50)의 조작부(52)에 가설된 시트(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3)를 구성하는 요소로서, 앉음부(3a)가 설치되고, 앉음부(3a)로부터 등받이부(3b)가 기립되어 있다. 앉음부(3a)는, 유모차(1)에 승차하는 유유아의 둔부를 주로 지지하게 된다. 한편, 등받이부(3b)는, 유유아의 등에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유유아의 양 측방까지 에워 둘러싸고 있다.
시트(3)의 앉음부(3a)는, 시트 지지 프레임(70)에 부착되고, 시트(3)의 등받이부(3b)가, 핸들 프레임(50)의 조작부(52)에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크게 떨어진 프레임 본체(2)의 2개의 영역에 시트(3)를 가설함에 의해, 시트(3)를 펼친 상태에서 유지하는 것에 기여한다.
도 7에, 시트 지지 프레임(70)에 시트(3)의 앉음부(3a)를 통과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3)의 앉음부(3a)는, 좌우의 측면 가장자리 부분의 2개소에서 시트 지지 프레임(70)에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3)의 앉음부(3a)에, 좌우의 전후 프레임 요소(71)의 앞쪽 부분(71a)을 각각 수용하는 2개의 통 형상 부분(3c)이 설치되어 있다. 각 통 형상 부분(3c)은, 앉음부(3a)를 이루는 직물재를 되접은 가장자리부에 솔기를 설치함에 의해 형성되고, 전후 방향(d1)에 있어서의 뒤쪽으로 개구하고 있다.
도 1로 되돌아가서, 시트(3)의 등받이부(3b)에는, 그 상단 근방에 부착구(3d)가 설치되어 있다. 시트(3)의 등받이부(3b)의 상단 근방을 부착구(3d)를 이용해서 핸들 프레임(50)의 조작부(52)에 휘감음에 의해, 시트(3)의 등받이부(3b)를 핸들 프레임(50)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시트(3)의 등받이부(3b)의 앞쪽의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전면 가장자리 보강 벨트(3e)가 부착되어 있다. 전면 가장자리 보강 벨트(3e)는, 등받이부(3b)의 앞쪽의 가장자리부를 보강한다. 도 1에 나타내는 전면 가장자리 보강 벨트(3e)는, 앉음부(3a)의 근방으로부터 리드부(51)의 상단 근방까지 연장되고, 리드부(51)의 상단 부근에 호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걸린다.
게다가, 등받이부(3b)에는, 상하 방향(d2)을 따라서 연장되는 배면 보강 벨트(3f)가 부착되어 있다. 배면 보강 벨트(3f)는, 유유아가 뒤쪽으로 기댈 때에 시트(3)가 당해 유유아를 지지하는 것을 보조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배면 보강 벨트(3f)는, 시트 지지 프레임(70)의 후측 연결 프레임 요소(72)와, 핸들 프레임(50)의 조작부(52)에, 각각 버클(3g)을 통해 가설되어 있다. 또, 배면 보강 벨트(3f)가 후측 연결 프레임 요소(72)에 부착된 상태가, 도 8에 나타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트 지지 프레임(70)은, 좌우의 하측 슬라이더(40)에 각각 하나씩의 핀(73)을 개재해서 연결되어 있을 뿐이고, 시트(3)를 부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자세가 안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시트(3)가 시트 지지 프레임(70)과 핸들 프레임(50)에 펼쳐 설치되기 때문에, 시트 지지 프레임(70)이 시트(3)의 앉음부(3a)에 구속되어, 시트 지지 프레임(70)의 자세가 안정되게 된다. 즉, 시트(3)에 의해서 시트 지지 프레임(70)을 구속할 수 있기 때문에, 시트 지지 프레임(70)을 하측 슬라이더(40)에 구속하기 위한 전용 부품을 생략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모차(1)를 구성하는 부품수를 감소시켜서 유모차(1)의 구성의 간략화 및 경량화에 공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8은, 바구니(4)를 뒤쪽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3)의 앉음부(3a)에 바구니(4)가 부착되어 있다. 바구니(4)는, 짐을 수용해서 유모차(1)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더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구니(4)는, 시트(3)의 형상을 유지하는 것에도 기여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구니(4)는, 시트(3)의 앉음부(3a)의 앞쪽 부분에 부착되고, 시트 지지 프레임(70)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바구니(4)의 뒤쪽 부분이, 시트 지지 프레임(70)에 가설된 한 쌍의 지지 벨트(8)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특히,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폭 방향(d3)으로 이간해서 배치된 한 쌍의 지지 벨트(8)가, 각각의 일단에서, 시트 지지 프레임(70)의 후측 연결 프레임 요소(72)에 배플(8a)을 개재해서 부착되어 있다. 각 지지 벨트(8)의 다른 단은, 바구니(4)의 뒤쪽 부분에 꿰매 붙여져 있다. 이와 같이 해서, 바구니(4)는, 폭 방향(d3)으로 이간한 2개의 지지 벨트(8)를 통해, 시트 지지 프레임(70)의 후측 연결 프레임 요소(72)에 지지되어 있다.
게다가,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시트(3)의 앉음부(3a)의 뒤편에 한 쌍의 밴드 형상편(3h)이 각각 2개소에서 꿰매 붙여져 있고, 시트(3)의 앉음부(3a)와 각 밴드 형상편(3h) 사이에 삽입 공간(3i)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지지 벨트(8)는, 각각에 대응하는 삽입 공간(3i)을 통해서 후측 연결 프레임 요소(72)에 부착되어 있다. 좌우의 지지 벨트(8)가 각각에 대응하는 시트(3)의 삽입 공간(3i)을 통해서 후측 연결 프레임 요소(72)에 부착됨에 의해, 시트(3)의 앉음부(3a)를 후측 연결 프레임 요소(72)에 끌어당겨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례로서, 시트 지지 프레임(70)은, 경량 및 강도의 관점에서,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제 파이프로 구성되고, 시트(3)의 앉음부(3a), 등받이부(3b) 및 바구니(4)는, 유유아에 쾌적한 감촉과 쾌적한 승차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직물 형상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시트(3)의 전면 가장자리 보강 벨트(3e), 배면 보강 벨트(3f) 및 지지 벨트(8)는, 경량 및 강도의 관점에서, 일례로서 직포(織布)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유모차(1)를 절첩하는 조작에 대하여, 도 9 및 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도 3에 나타내는 사용 상태(C1)에 있는 프레임 본체(2)를, 절첩 상태로 변형시켜 가는 일 과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0은, 절첩 상태(C2)에 있는 프레임 본체(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우선, 도 5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연장 돌출편(42)을 변형시켜서, 연장 돌출편(42)의 삽입 구멍(43)으로부터 로크 핀(13)을 뽑아낸다. 이것에 의해, 전각 프레임(10)의 하측 슬라이더(40)에 대한 로크가 해제된다. 계속해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 프레임(50)을 전각 프레임(10)에 대해서 슬라이딩시켜 아래쪽으로 내리눌러 간다. 핸들 프레임(50)의 슬라이딩에 수반하여, 핸들 프레임(50)에 고정된 하측 슬라이더(40) 및 하측 슬라이더(40)에 부착된 시트 지지 프레임(70)도, 아래쪽으로 내려간다. 또한, 시트 지지 프레임(70)과 핸들 프레임(50)에 가설된 시트(3)도, 핸들 프레임(50)에 연동해서 슬라이딩해 간다.
한편, 상측 슬라이더(30)가 전각 프레임(1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핸들 프레임(50)의 슬라이딩에 수반하여, 상측 슬라이더(30)와 하측 슬라이더(40) 사이의 간격이 커져간다. 2개의 슬라이더(30, 40)의 간격의 증대에 수반하여, 상측 슬라이더(30)와 후각 프레임(20)의 중간 부분에 가설된 링크 브래킷(60)이 링크로서 기능하여, 후각 프레임(20)을 하측 슬라이더(40)에 대해서 회동시킨다. 이 회동 동작에 의해서, 후각 프레임(20)이 후륜(6)을 핸들 프레임(50)에 접근시켜 간다. 또한, 이 회동 동작에 의해서, 후각 프레임(20)이 후륜(6)을 전륜(5)으로부터 이간시켜 간다.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후각 프레임(20)이 후륜(6)을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시키고, 후각 프레임(20)과 하측 슬라이더(40)의 상대 회동 중심(RC1)을 기준으로 해서 후륜(6)을 전륜(5)의 반대측에 위치시키도록 움직인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첩 상태(C2)까지 도달하면, 핸들 프레임(50)이 전각 프레임(10)과 광범위한 범위에서 겹쳐, 상하 방향(d2)에 있어서의 치수가 작아진다. 또한, 후각 프레임(20)이 전각 프레임(10)과 평행하게 됨과 함께, 후각 프레임(20)에 지지된 후륜(6)이 상기 상대 회동 중심(RC1)을 기준으로 해서 전륜(5)의 반대측으로 되는 위치까지 이동하여, 전후 방향(d1)에 있어서의 치수가 작아진다.
또, 프레임 본체(2)를 절첩 상태(C2)에서 사용 상태(C1)로 전개하는데는, 전술한 절첩 조작과 반대 수순을 밟으면 된다. 즉, 우선, 핸들 프레임(50)을 전각 프레임(10)에 대해서 슬라이딩시켜 위쪽으로 끌어올려간다. 핸들 프레임(50)의 끌어올림에 수반하여, 상측 슬라이더(30)와 후각 프레임(20)의 중간 부분에 가설된 링크 브래킷(60)이, 후각 프레임(20)을 하측 슬라이더(40)에 대해서 회동시켜, 후륜(6)이 핸들 프레임(50)으로부터 이간해 간다.
핸들 프레임(50)을 더 끌어올려가면, 하측 슬라이더(40)의 연장 돌출편(42)이 전각 프레임(10)에 고정된 로크 핀(13)에 맞닿는다. 도 11에, 하측 슬라이더(40)의 연장 돌출편(42)이 로크 핀(13)에 맞닿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장 돌출편(42)은, 위쪽으로 향함에 따라서 폭 방향(d3)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벌려져 가기 때문에, 그 상단이 로크 핀(13)에 맞닿으면, 연장 돌출편(42)이 변형되어 폭 방향(d3)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더 밀려나온다. 그 후, 핸들 프레임(50)을 더 끌어올리면, 연장 돌출편(42)의 삽입 구멍(43)에 로크 핀(13)의 머리부(13b)가 들어가, 도 5에 나타나는 상태로 된다. 도 5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로크 핀(13)에 연장 돌출편(42)이 계지되어, 전각 프레임(10)이 하측 슬라이더(40)에 대해서 구속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사용 상태(C1)와 절첩 상태(C2) 사이에서 변형 가능하게 한 절첩식의 유모차(1)로서, 전륜(5) 및 후륜(6)을 지지한 프레임 본체(2)와, 프레임 본체(2)에 지지된 시트(3)를 구비하고, 프레임 본체(2)는, 전륜(5)을 지지한 전각 프레임(10)과, 전각 프레임(10)에 대해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해지도록, 상측 슬라이더(30) 및 하측 슬라이더(40)를 통해 전각 프레임(10)에 부착된 핸들 프레임(50)과, 후륜(6)을 지지함과 함께, 하측 슬라이더(40)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후각 프레임(20)과, 일 측에 있어서 상측 슬라이더(30)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다른 측에 있어서, 후각 프레임(20) 중의 하측 슬라이더(40)에 접속된 부분보다도 후륜(6)측으로 되는 부분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링크 브래킷(60)을 갖는다. 이와 같은 형태에 따르면, 절첩식의 유모차(1)를 구성하는 부품수를 감소시켜서 유모차(1)의 구성을 간략화 및 경량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프레임 본체(2)는, 하측 슬라이더(40)에 지지된 시트 지지 프레임(70)을 더 갖고, 시트(3)는, 시트 지지 프레임(70)과 핸들 프레임(50) 사이에 가설되어 있다. 이 경우, 하측 슬라이더(40)를 핸들 프레임(50)에 고정함에 의해, 핸들 프레임(50)을 전각 프레임(10)에 대해서 슬라이딩시키면, 시트 지지 프레임(70)이 핸들 프레임(50)에 연동해서 움직인다. 결과로서, 시트(3)를 과도하게 접지 않고 유모차(1)를 절첩할 수 있기 때문에, 시트(3)를 손상시키지 않는 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시트 지지 프레임(70)은, 좌우의 하측 슬라이더(40)에 지지된 좌우의 전후 프레임 요소(71)와, 좌우의 전후 프레임 요소(71)의 뒤쪽 부분(71c)끼리를 연결하는 후측 연결 프레임 요소(72)를 포함하고, 시트(3)는, 좌우의 전후 프레임 요소(71) 및 후측 연결 프레임 요소(72)의 각각에 가설되어 있다. 좌우의 전후 프레임 요소(71)의 뒤쪽 부분(71c)끼리를 후측 연결 프레임 요소(72)가 연결함으로써, 시트 지지 프레임(70)을 경량으로 구성하면서 시트 지지 프레임(70)의 강성을 높이는 것에 기여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 전후 프레임 요소(71)의 앞쪽 부분(71a)은, 자유단으로 되어 있고, 각 전후 프레임 요소(71)는, 그 앞쪽 부분(71a)과 뒤쪽 부분(71c) 사이로 되는 중간 부분(71b)에서 하측 슬라이더(40)에 핀(73)을 통해 지지되어 있다. 시트 지지 프레임(70)이 좌우의 하측 슬라이더(40)에 핀(73)을 통해 연결되는 경우, 시트(3)를 부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자세가 안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시트(3)가 시트 지지 프레임(70)과 핸들 프레임(50)에 펼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 지지 프레임(70)이 시트(3)에 구속되어, 시트 지지 프레임(70)의 자세가 안정되게 된다. 즉, 시트(3)에 의해서 시트 지지 프레임(70)을 구속할 수 있기 때문에, 시트 지지 프레임(70)을 하측 슬라이더(40)에 구속하기 위한 전용 부품을 생략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모차(1)를 구성하는 부품수를 감소시켜서 유모차(1)의 구성의 간략화 및 경량화에 공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측 슬라이더(30)가 전각 프레임(10)에 고정되고, 하측 슬라이더(40)가 핸들 프레임(50)에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상측 슬라이더(30)를 전각 프레임(10)과 일체로 움직일 수 있고, 하측 슬라이더(40)를 핸들 프레임(50)과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또, 상측 슬라이더(30)에는, 핸들 프레임(50)이 헐겁게 삽입되는 가이드 구멍(31)이 설치되어 있다. 상측 슬라이더(30)의 가이드 구멍(31)에 핸들 프레임(50)을 헐겁게 삽입함으로써, 핸들 프레임(50)이 전각 프레임(10)을 따라서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하측 슬라이더(40)에도, 전각 프레임(10)이 헐겁게 삽입되는 가이드 구멍(41)이 설치되어 있다. 하측 슬라이더(40)의 가이드 구멍(41)에 전각 프레임(10)을 헐겁게 삽입함으로써, 핸들 프레임(50)이 전각 프레임(10)을 따라서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사용 상태(C1)에서 절첩 상태(C2)로 변형시키면, 핸들 프레임(50)이 전각 프레임(10)과 겹치는 범위가 넓어지도록 당해 전각 프레임(10)에 대해서 슬라이딩함과 함께, 후각 프레임(20)이 후륜(6)을 핸들 프레임(50)에 접근시키도록 하측 슬라이더(40)에 대해서 상대 회동한다. 이와 같은 형태에 따르면, 절첩 상태(C2)에 있어서, 유모차(1)를 전후 방향(d1) 및 상하 방향(d2)의 양쪽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로크 핀(13)이, 전각 프레임(10)에 설치된 걸어 맞춤부로서 기능하고, 연장 돌출편(42)이, 하측 슬라이더(40)에 설치되고, 걸어 맞춤부(13)와 걸어 맞춤하는 피걸어 맞춤부로서 기능하고, 로크 핀으로 이루어지는 걸어 맞춤부(13)와, 연장 돌출편으로 이루어지는 피걸어 맞춤부(42)에 의해서, 사용 상태(C1)에 있어서 전각 프레임(10)을 하측 슬라이더(40)에 대해서 구속하는 로크 수단(9)이 규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태에 따르면, 사용 상태(C1)에 있어서 전각 프레임(10)이 하측 슬라이더(40)에 대해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 상태(C1)를 안정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지지 벨트(8)가, 시트(3)의 앉음부(3a)와 시트 지지 프레임(70)의 후측 연결 프레임 요소(72)에 가설되어 있고, 앉음부(3a)를 후측 연결 프레임 요소(72)에 끌어당기고 있다. 시트(3)의 앉음부(3a)를 후측 연결 프레임 요소(72)에 끌어당김으로써, 시트(3)의 앉음부(3a)를 앉기에 편한 적절한 각도로 지지하는 것에 기여한다.
또, 전술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변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및 이하의 설명에서 이용하는 도면에서는, 전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하여, 전술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서 이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지지체(70)가 하측 슬라이더(40)에 핀(73)을 통해 부착된 시트 지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예를 나타냈지만, 시트 지지체(70)의 형태는 이와 같은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1 및 도 12에, 시트 지지체(70)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다.
이 중,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시트 지지체(70)는, 핸들 프레임(50)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핸들 프레임(50)의 각 리드부(51)가, 대응하는 하측 슬라이더(40)에 고정된 개소로부터 앞쪽으로 연장 돌출해 있고, 이 연장 돌출한 부분이 시트 지지체(70)를 각각 구성한다. 이 시트 지지체(70)에, 시트(3)의 앉음부(3a)가 부착된다.
도 1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시트 지지체(70)는, 하측 슬라이더(40)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하측 슬라이더(40)가, 대응하는 핸들 프레임(50)에 고정된 개소로부터 더 앞쪽으로 연장 돌출해 있고, 이 연장 돌출한 부분이 시트 지지체(70)를 구성한다. 이 시트 지지체(70)에, 시트(3)의 앉음부(3a)가 부착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수단(9)이, 전각 프레임(10)에 고정된 로크 핀(13)과, 로크 핀(13)이 삽입되는 연장 돌출편(42)으로 이루어지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와 같은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4 내지 도 20을 참조해서, 로크 수단(9)의 다른 구성예를 순서대로 설명한다.
이 중,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전각 프레임(10)에 노크 핀 유닛(14)이 부착되고, 노크 핀 유닛(14)이 하측 슬라이더(40)에 설치된 삽입 구멍(44)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노크 핀 유닛(14)를 구성하는 요소로서, 일단에 있어서 서로 연결된 한 쌍의 요동 플레이트(14a)가 전각 프레임(10) 내에 배치되고, 이 한 쌍의 요동 플레이트(14a)의 연결 개소는, 전각 프레임(10)에 고정되어 있다. 각 요동 플레이트(14a)의 다른 단으로부터 노크 핀(14b)이 돌출해 있고, 전각 프레임(10)에 설치된 노출 구멍(15)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유모차(1)를 사용 상태(C1)에서 절첩 상태(C2)로 변형시키기 위해서는, 노크 핀(14b)을 전각 프레임(10) 내에 밀어넣은 후에, 핸들 프레임(50) 및 하측 슬라이더(40)를 전각 프레임(10)에 대해서 내리눌러가면 된다. 한편, 반대로, 유모차(1)를 절첩 상태(C2)에서 사용 상태(C1)로 변형시키기 위해서는, 핸들 프레임(50) 및 하측 슬라이더(40)를 전각 프레임(10)에 대해서 끌어올리면, 노크 핀(14b)이 하측 슬라이더(40)에 맞닿으면 당해 하측 슬라이더(40)에 밀려 전각 프레임(10) 내에 밀어 넣어진다. 그 후, 핸들 프레임(50)을 더 끌어올리면, 노크 핀(14b)과 하측 슬라이더(40)의 삽입 구멍(44)이 대면하고, 노크 핀(14b)이 하측 슬라이더(40)의 삽입 구멍(44) 내에 수용된다. 이것에 의해, 전각 프레임(10)이 하측 슬라이더(40)에 대해서 로크된다.
다음으로,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노크 핀(14b)을 밀어 넣는 세이프티 플레이트(91)가 설치되어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세이프티 플레이트(91)는, 하측 슬라이더(40)의 폭 방향(d3)에 있어서의 외측을 향하는 면을 따른 판 형상편이다. 세이프티 플레이트(91)는, 핸들 프레임(50)에 피벗 부착되어 있어, 도 17에 나타내는 가드 위치와, 도 16에 나타내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특히, 세이프티 플레이트(91)에는, 로크 상태에 있어서의 노크 핀(14b)을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 구멍(91a)이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이프티 플레이트(91)가 가드 위치에 있는 경우, 세이프티 플레이트(91)가 노크 핀(14b) 및 하측 슬라이더(40)의 삽입 구멍(44)를 덮어, 이들을 노출시키지 않는다. 이 때문에, 도 17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노크 핀(14b)을 조작할 수 없어, 전각 프레임(10)과 하측 슬라이더(40)의 로크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이프티 플레이트(91)가 해제 위치에 있는 경우, 세이프티 플레이트(91)의 노출 구멍(91a)과 노크 핀(14b) 및 하측 슬라이더(40)의 삽입 구멍(44)이 대면하여, 노크 핀(14b)을 노출시킨다. 이 때문에, 도 16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노크 핀(14b)을 조작할 수 있어, 전각 프레임(10)과 하측 슬라이더(40)의 로크를 해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 1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로크 수단(9)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전각 프레임(10)에 로크 핀(16)이 고정되고, 이 로크 핀(16)에 계류되는 훅 부품(46)이 하측 슬라이더(40)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훅 부품(46)을 로크 핀(16)에 계류함으로써, 전각 프레임(10)을 하측 슬라이더(40)에 대해서 로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로크 수단(9)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하측 슬라이더(40)에 노크 핀 유닛(47)이 부착되고, 전각 프레임(10)에 노크 핀 유닛(47)을 수용하는 삽입 구멍(17)이 설치되어 있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크 핀 유닛(47)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삽입 구멍(17)에 수용되는 노크 핀(47a)이 설치되고, 이 노크 핀(47a)은 하측 슬라이더(40)에 수용되어 있다. 하측 슬라이더(40)에는, 노크 핀(47a)과 대면하는 위치에 구멍(48)이 설치되어 있고, 이 구멍(48)으로부터 노크 핀(47a)에 부착된 핸들(47b)이 노출되어 있다. 또한, 하측 슬라이더(40) 내에 스프링(47c)이 수용되어 있고, 이 스프링(47c)은 노크 핀(47a)의 주위를 둘러싸고 당해 노크 핀(47a)을 삽입 구멍(17) 내를 향해서 가압하고 있다.
그런데, 유모차(1)를 사용 상태(C1)에서 절첩 상태(C2)로 변형시키기 위해서는, 손잡이(47b)를 당겨서 노크 핀(47a)을 전각 프레임(10)의 삽입 구멍(17)으로부터 빼낸 후에, 핸들 프레임(50) 및 하측 슬라이더(40)를 전각 프레임(10)에 대해서 내리 눌러가면 된다. 한편, 반대로, 유모차(1)를 절첩 상태(C2)에서 사용 상태(C1)로 변형시키기 위해서는, 핸들 프레임(50) 및 하측 슬라이더(40)를 전각 프레임(10)에 대해서 끌어올리면, 노크 핀(47a)이 전각 프레임(10)에 맞닿으면 당해 전각 프레임(10)에 밀려 하측 슬라이더(40) 내에 밀어 넣어진다. 그 후, 핸들 프레임(50)을 더 끌어올리면, 노크 핀(47a)과 전각 프레임(10)의 삽입 구멍(17)이 대면하고, 노크 핀(47a)이 스프링(47c)의 작용에 의해서 전각 프레임(10)의 삽입 구멍(17) 내에 밀려나온다. 이것에 의해, 전각 프레임(10)이 하측 슬라이더(40)에 대해서 로크된다.
또, 전술한 설명에서는, 로크 수단(9)이 조작자에 의해서 직접 조작됨에 의해서 로크가 해제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와 같은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로크 수단(9)이 핸들 프레임(50)의 조작부(52)에 설치된 원격 조작 수단에 연결되고, 이 원격 조작 수단을 조작함에 의해서 로크 수단(9)의 로크를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형태에 따르면, 조작자가 핸들 프레임(50)의 조작부(52)를 파지(把持)한 상태여도, 원격 조작 수단을 조작함으로써 로크 수단(9)의 로크를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유모차(1)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원격 조작 수단의 일례로서는, 로크 수단(9)에 와이어나 로드나 철사 등을 통해 연결된 레버나 버튼 스위치를 들 수 있다. 또한, 원격 조작 수단은, 한 손으로 조작 가능한 타입의 것이어도 되며, 양 손으로 조작 가능한 타입의 것이어도 된다.
또, 전술한 로크 수단(9)은, 도 5 및 도 14 내지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수단(9)이, 사용 상태(C1)에 있어서 전각 프레임(10)을 하측 슬라이더(40)에 대해서 구속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와 같은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로크 수단(9)는, 사용 상태(C1)에 있어서 핸들 프레임(50)을 상측 슬라이더(30)에 대해서 구속해도 된다. 또한, 전각 프레임(10)을 하측 슬라이더(40)에 대해서 구속하는 로크 수단과 핸들 프레임(50)을 상측 슬라이더(30)에 대해서 구속하는 로크 수단의 양쪽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Claims (7)

  1. 사용 상태와 절첩 상태 사이에서 변형 가능하게 한 절첩식의 유모차로서,
    전륜(前輪) 및 후륜(後輪)을 지지한 프레임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에 지지된 시트
    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본체는,
    상기 전륜을 지지한 전각(前脚) 프레임과,
    상기 전각 프레임에 대해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상측 슬라이더 및 하측 슬라이더를 통해 상기 전각 프레임에 부착된 핸들 프레임과,
    상기 후륜을 지지함과 함께, 상기 하측 슬라이더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후각(後脚) 프레임과,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상측 슬라이더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다른 측에 있어서, 상기 후각 프레임 중의 상기 하측 슬라이더에 접속된 부분보다도 상기 후륜측으로 되는 부분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링크 브래킷과,
    상기 하측 슬라이더에 각각 지지된 시트 지지체를 갖고,
    상기 시트는, 상기 시트 지지체와 상기 핸들 프레임 사이에 가설(架設)되고,
    상기 시트 지지체는, 좌우의 상기 하측 슬라이더에 지지된 좌우의 전후 프레임 요소와, 상기 좌우의 전후 프레임 요소의 뒤쪽 부분끼리를 연결하는 후측 연결 프레임 요소를 포함하는 시트 지지 프레임이고,
    핸들 프레임은,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리드부와, 상기 한 쌍의 리드부의 상단끼리를 연결하는 조작부를 갖고,
    상기 시트는, 상기 좌우의 전후 프레임 요소에 부착된 앉음부와, 상기 앉음부에 접속하고 상기 핸들 프레임에 부착된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에 부착된 배면 보강 벨트를 갖고,
    상기 배면 보강 벨트는, 상기 시트 지지체의 상기 후측 연결 프레임 요소와, 상기 핸들 프레임의 상기 조작부에 가설되어 있는 유모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지지 프레임은, 방향이 변화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하측 슬라이더에 지지되어 있는 유모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상기 좌우의 전후 프레임 요소 및 상기 후측 연결 프레임 요소의 각각에 가설되어 있는 유모차.
  4. 제3항에 있어서,
    각 전후 프레임 요소의 앞쪽 부분은, 자유단으로 되어 있고,
    각 전후 프레임 요소는, 그 앞쪽 부분과 뒤쪽 부분 사이로 되는 중간 부분에서, 대응하는 하측 슬라이더에 핀을 통해 지지되어 있는 유모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슬라이더는, 상기 전각 프레임에 고정되며, 또한, 상기 핸들 프레임이 헐겁게 삽입되는 가이드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측 슬라이더는, 상기 핸들 프레임에 고정되며, 또한, 상기 전각 프레임이 헐겁게 삽입되는 가이드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유모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각 프레임을 상기 하측 슬라이더에 대해서 구속하는 로크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로크 수단은, 상기 전각 프레임에 설치된 걸어 맞춤부와, 상기 하측 슬라이더에 설치되고, 상기 걸어 맞춤부와 걸어 맞춰지는 피걸어 맞춤부를 갖는 유모차.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기 절첩 상태로 변형시키면, 상기 핸들 프레임이 상기 전각 프레임과 겹치는 범위가 넓어지도록 당해 전각 프레임에 대해서 슬라이딩함과 함께, 상기 후각 프레임이 상기 후륜을 상기 핸들 프레임에 접근시키도록 상기 하측 슬라이더에 대해서 상대 회동하는 유모차.
KR1020160092390A 2015-07-31 2016-07-21 절첩식 유모차 KR1023932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52609A JP6599158B2 (ja) 2015-07-31 2015-07-31 折り畳み式の乳母車
JPJP-P-2015-152609 2015-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167A KR20170015167A (ko) 2017-02-08
KR102393208B1 true KR102393208B1 (ko) 2022-05-03

Family

ID=57985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390A KR102393208B1 (ko) 2015-07-31 2016-07-21 절첩식 유모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99158B2 (ko)
KR (1) KR102393208B1 (ko)
CN (1) CN106394643B (ko)
TW (1) TWI6800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63965B1 (fr) * 2017-03-14 2023-07-14 Dorel France Sa Voiture d'enfant pliante a chariots coulissants
CN109515507B (zh) * 2017-09-19 2024-04-09 珠海阳光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推车车架及儿童推车
JP6923930B2 (ja) * 2018-07-31 2021-08-25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
CN109131521B (zh) * 2018-09-28 2024-02-23 昆山爱果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收合联动顺畅且收合材积小的婴儿车
CN109334749B (zh) * 2018-10-26 2024-02-23 昆山爱果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婴儿车架及设有该车架的婴儿车
CN110126903A (zh) * 2019-04-22 2019-08-16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推车
RU2744777C1 (ru) * 2019-10-07 2021-03-15 Сан Чин ЛЮ Прогулочная коляска
WO2022080531A1 (ko) * 2020-10-15 2022-04-21 유상진 유모차
CN114435455A (zh) * 2020-11-04 2022-05-06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婴儿车及其车手换向机构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71422A3 (en) * 1986-12-09 1988-09-14 JANE, Sociedad Anonima Improvements in foldable frames for children's pushchairs
ES2026363A6 (es) * 1990-10-22 1992-04-16 Jane Sa Chasis plegable para coches-silla infantiles.
US5472224A (en) * 1992-04-04 1995-12-05 Jane, S.A. Foldable baby carriage frame and cradle seat couplable to same
ES1028379Y (es) * 1994-06-17 1995-06-16 Jane Sa Chasis plegable para coches-silla infantiles.
US5669625A (en) * 1995-03-29 1997-09-23 Jane, S.A. Folding child's pushchair
US5553885A (en) * 1995-04-25 1996-09-10 Chang; Cheng-Tso Foldable stroller frame
US5938230A (en) * 1998-08-04 1999-08-17 Link Treasure Limited Foldable stroller
JP5693916B2 (ja) * 2010-10-29 2015-04-01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708012A (zh) 2017-03-01
KR20170015167A (ko) 2017-02-08
CN106394643B (zh) 2020-07-24
CN106394643A (zh) 2017-02-15
JP6599158B2 (ja) 2019-10-30
JP2017030559A (ja) 2017-02-09
TWI680073B (zh) 2019-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3208B1 (ko) 절첩식 유모차
JP5232437B2 (ja) 幌付折畳式乳母車
CN111907576B (zh) 多人座婴幼儿推车
EP2052943A1 (en) Foldable pushcart and foldable baby carriage
CN210882284U (zh) 一种座椅背靠可联动收合的婴儿车
US6843498B2 (en) Stroller
EP2052945A1 (en) Foldable pushcart
KR102037861B1 (ko) 유모차 및 시트 유닛
WO2018051807A1 (ja) ベビーカー
JP5953123B2 (ja) 押し棒スライド式乳母車
JP5020655B2 (ja) ベビーカー
KR20040071618A (ko) 접이식 유모차
JP2007098996A (ja) ベビーカーの手押し杆
JP2015013566A (ja) 乳母車
KR102069105B1 (ko) 유모차
KR20070037347A (ko) 유모차의 핸들
JP5953139B2 (ja) 折り畳み式乳母車
KR102001741B1 (ko) 어린이 지지 장치
CA2657144A1 (en) Foldable pushcart and foldable baby carriage
KR102331278B1 (ko) 유모차
KR102371058B1 (ko) 유모차
KR101600198B1 (ko) 자동차의 어린이 안전시트
JP5629110B2 (ja) 座席付手押し車
JP2005132245A (ja) 折畳式乳母車
JP2015016818A (ja) ベビー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