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741B1 - 어린이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어린이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741B1
KR102001741B1 KR1020170176758A KR20170176758A KR102001741B1 KR 102001741 B1 KR102001741 B1 KR 102001741B1 KR 1020170176758 A KR1020170176758 A KR 1020170176758A KR 20170176758 A KR20170176758 A KR 20170176758A KR 102001741 B1 KR102001741 B1 KR 102001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in
child
elastic wire
suppor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1447A (ko
Inventor
지안 춘 리
하이타오 우
샤오롱 이
Original Assignee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filed Critical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Publication of KR20180081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1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62B7/083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the wheel axes being moved from each other during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8Resilient suspensions of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6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the handle bar being parallel to the front leg
    • B62B7/06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the handle bar being parallel to the front leg the handle bar moves in parallel relation during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Flexible Shafts (AREA)

Abstract

어린이 지지 장치는 스탠딩 프레임, 및 상기 스탠딩 프레임 상에 지지되는 주버널 지지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주버널 지지 조립체는 좌측과 우측을 가지며, 상기 좌측과 우측 사이에서 연장되는 탄성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와이어는 상기 주버널 지지 조립체의 상하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어린이용 베어링 지지부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어린이 지지 장치 {CHILD SUPPORT APPARATUS}
본 출원은 출원일이 2017년 1월 6일인 중국 특허 출원 번호 제201710010158.0호, 출원일이 2017년 1월 20일인 중국 특허 출원 제201710041957.4호 및 출원일이 2017년 11월 16일인 중국 특허 출원 제201711139543.1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어린이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어린이 유모차는 야외 활동을 위해 아기 및 어린이를 편리하게 운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어린이 유모차에 대한 전형적인 디자인은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편리하고 안전하게 조작될 수 있고, 접힌 상태에서 컴팩트한 크기를 가지며, 상이한 사용 구성에 적용 가능할 수 있는 프레임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시장에서 입수할 수 있는 어린이 유모차는 착석 위치 또는 수면 위치에 있는 어린이를 수용하기 위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상이한 구성으로 전환될 수 있는 시트를 가질 수 있다. 사용 중에 시트는 어린이에게 편안한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그러나, 프레임 구조로 뻗어져 부착되는 패브릭을 사용하는 종래의 시트 구조는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 중에 어린이를 수용하기 위한 편안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적어도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개선된 디자인이 필요하다.
본 출원은 어린이에게 보다 편안한 지지를 제공할 수 있는 어린이 지지 장치를 기술한다. 어린이 지지 장치는 스탠딩 프레임; 및 상기 스탠딩 프레임 상에 지지되는 주버널(juvenile) 지지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주버널 지지 조립체는 좌측과 우측을 가지며, 상기 좌측과 우측 사이에서 연장되는 탄성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와이어는 상기 주버널 지지 조립체의 상하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어린이용 베어링 지지부를 형성한다.
여기에 기술된 어린이 지지 장치의 이점은 사용 중에 스탠딩 프레임으로부터 주버널 지지 조립체로 전달될 수 있는 바람직하지 않은 진동 및/또는 충격 에너지의 일부를 분산시키기 위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탄성 와이어의 능력을 포함하며, 이로써 어린이를 보다 편안하게 지지한다.
도 1은 어린이 지지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다른 각도에서의 도 1의 어린이 지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어린이 지지 장치에 구비된 로킹 기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어린이 지지 장치의 해제 액추에이터 및 안전 로크의 조립체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중간 접힌 상태의 도 1의 어린이 지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완전 접힌 상태의 도 1의 어린이 지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어린이용 쿠션형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어린이 지지 장치의 주버널 지지 조립체에 합체된 탄성 와이어에 대한 형상의 다양한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9는 어린이용 쿠션형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탄성 와이어를 포함하는 주버널 지지 조립체를 갖는 어린이 지지 장치의 다양한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출원은 스탠딩 프레임 및 스탠딩 프레임 상에 지지되는 주버널 지지 조립체를 포함하는 어린이 지지 장치를 설명한다. 상기 주버널 지지 조립체는 좌우 측면을 가지며, 좌우의 측면 사이에 연장된 탄성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와이어는 상기 어린이 지지 장치의 상하 방향을 따라 탄성 변형 가능한 어린이용 베어링 지지부를 형성한다. 탄성 와이어는 쿠션 역할을 하여 어린이를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어린이 지지 장치의 실시예는 어린이 유모차 장치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설명된 주버널 지지 조립체는 어린이 유모차 장치, 유아 스윙 또는 로커와 같은 어린이 모션 장치 등을 제한 없이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의 어린이 지지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주버널 지지 조립체는 착석 위치 및/또는 안락 위치와 같은 상이한 위치에 있는 어린이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유아용 유모차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지지 장치(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어린이 지지 장치(100)는 스탠딩 프레임(102), 스탠딩 프레임(102)과 연결된 핸들 프레임(104) 및 스탠딩 프레임(102) 상에 지지되는 주버널 지지 조립체(106)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탠딩 프레임(102)은 서로 연결된 2개의 레그 프레임(108, 110)을 포함할 수 있다. 레그 프레임(108)은 예시적인 전방 레그 프레임일 수 있고, 레그 프레임(110)은 예시적인 후방 레그 프레임일 수 있다. 각 레그 프레임(108 및 110)은 각각, 레그 프레임(108)에 대한 2개의 측면 세그먼트(108A) 및 레그 프레임(110)에 대한 2개의 측면 세그먼트(110A)와 같이, 스탠딩 프레임(102)의 좌측 및 우측에 대칭으로 배치된 2개의 측면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레그 프레임(108)의 2개의 측면 세그먼트(108A)는 레그 프레임(110)의 2개의 측면 세그먼트(110A)에 각각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어, 레그 프레임(108 및 110)은 어린이 지지 장치(100)의 접힘 및 펼침 동안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피봇 연결부(112)(예를 들어, 피봇 축을 포함함)는 측면 세그먼트(108A)의 상단부를 측면 세그먼트(110A)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2개의 레그 프레임(108, 110)은 각각 바닥면 상에서 어린이 지지 장치(100)의 변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복수의 휠 조립체(113)를 가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탠딩 프레임(102)은 스탠딩 프레임(102)의 좌측 및 우측에 대칭으로 배치된 2개의 슬라이딩 슬리브(114) 및 2개의 연결 바(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슬라이딩 슬리브(114)는 레그 프레임(110)의 2개의 측면 세그먼트(110A)와 활주 가능하게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측면 세그먼트(110A)를 따라 피봇 연결부(112)쪽으로 또는 그로부터 멀리 활주될 수 있다. 각각의 연결 바(116)는 2개의 피봇 연결부(118, 120)를 통해 레그 프레임(108)의 하나의 슬라이딩 슬리브(114) 및 일측 세그먼트(108A)에 피봇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2개의 대향 단부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핸들 프레임(104)은 2개의 피봇 연결부(122)를 통해 스탠딩 프레임(102)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성의 일 예에 따르면, 핸들 프레임(104)은 좌우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2개의 측면 부분(104A)을 포함할 수 있고, 2개의 측면 부분(104A)과 연결되는 그립 부분(104B)을 포함한다. 2개의 측면 부분(104A)은 각각 2개의 피봇 연결부(122)를 통해 2개의 슬라이딩 슬리브(114)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핸들 프레임(104)은 어린이 지지 장치(100)의 저장 또는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접힐 수 있는 구조를 더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 프레임(104)의 각 측면 부분(104A)은 피봇 연결부(128)를 통해 그립 부분(104B)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는 세그먼트(12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세그먼트(126)는 하나의 피봇 연결부(122)를 통해 하나의 대응하는 슬라이딩 슬리브(112)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립 부분(104B)는 세그먼트(126)에 대해 회전하여 핸들 프레임(104)을 접거나 펼칠 수 있고, 이에 따라 어린이 지지 장치(100)가 붕괴될 때 핸들 프레임(104)의 길이는 보다 컴팩트한 저장을 위해 유리하게 감소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어린이 지지 장치(100)는 주버널 지지 조립체(106)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 2개의 측면 바 부분(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측면 바 부분(130)은 피봇 연결부(112)를 통해 스탠딩 프레임(102)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연결 바(132)를 통해 핸들 프레임(104)의 하나의 측면 부분(104A)에 결합될 수 있다. 피봇 연결부(112)는 또한 레그 프레임(108)의 측면 세그먼트(108A)를 레그 프레임(110)의 측면 세그먼트(110A)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하기 때문에, 각각의 측면 바 부분(130)은 이로써 2개의 레그 프레임(108, 110)에 피봇 가능하게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연결 바(132)는 피봇 연결부(134)를 통해 핸들 프레임(104)의 그립 부분(104B)에 그리고 피봇 연결부(136)를 통해 측면 바 부분(130)에 피봇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2개의 단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측면 바 부분(130)은 측면 바 부분(130)을 따라 피봇 연결부(112, 136) 사이에 위치되는 피봇 연결부(138)를 통해 핸들 프레임(104)의 하나의 세그먼트(126)에 피봇 가능하게 더 연결될 수 있다.
구성의 일 예에 따르면, 2개의 측면 바 부분(130)은 주버널 지지 조립체(106)의 전방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는 횡방향 부분(140)과 더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2개의 측면 바 부분(130)과 횡방향 부분(140)은 스탠딩 프레임(102) 및 핸들 프레임(104)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U자형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핸들 프레임(104), 2개의 레그 프레임(108, 110) 및 2개의 측면 바 부분(130)을 이동 가능하게 서로 연결함으로써, 어린이 지지 장치(100)의 접힘 및 펼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보는 사람은 어린이 지지 장치(100)를 접기 위해 횡방향 부분(140)을 파지하여 위로 당길 수 있다. 횡방향 부분(140)이 위쪽으로 당겨지면, 어린이 지지 장치(100)는 바닥면 위로 들어 올려질 수 있고, 중력 작용은 어린이 지지 장치(100)를 접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핸들 프레임(104)의 그립 부분(104B)은 피봇 연결부(128)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세그먼트(126) 위로 접을 수 있고, 2개의 레그 프레임(108,110)은 피봇 연결부(112)를 중심으로 서로를 향해 회전할 수 있고, 2개의 측면 바 부분(130)은 핸들 프레임(104)의 그립 부분(104B) 및 세그먼트(126) 및 2개의 레그 프레임(108, 110)에 대해 각각 회전할 수 있어서, 횡방향 부분(140)을 위쪽으로 배향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어린이 지지 장치(100)의 예시적인 접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와 관련하여,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어린이 지지 장치(100)에 제공된 로킹 기구(142)를 더 설명한다. 도 1 및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린이 지지 장치(100)의 좌측 및 우측 각각은 사용을 위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어린이 지지 장치(100)를 로킹하도록 작동 가능한 로킹 기구(142)를 포함할 수 있다. 로킹 기구(142)는 래치(144) 및 스프링(146)을 포함할 수 있다. 래치(144)는 핸들 프레임(104)의 세그먼트(126) 내측에서 미끄러질 수 있게 조립될 수 있고, 세그먼트(126)에 대하여 미끄러질 수 있어 핸들 프레임(104)의 그립 부분(104B)에 고정식으로 부착된 연결 판(148)를 결합 및 결합 해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래치(144)는 연결 판(148) 상에 제공된 노치(150)와 결합하여 그립 부분(104B)이 세그먼트(126) 위로 접혀지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을 위한 펼쳐진 상태에서 어린이 지지 장치(100)를 로킹할 수 있다. 래치(144)가 노치(150)로부터 결합 해제되면, 그립 부분(104B)은 어린이 지지 장치(100)를 붕괴시키기 위해 세그먼트(126) 위로 회전하여 접힐 수 있다. 스프링(146)은 래치(144) 및 세그먼트(126) 내부에 제공된 앵커 피처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스프링(146)은 노치(150)와의 맞물림을 위해 래치(144)를 편향시킬 수 있어서, 사용을 위한 펼쳐진 상태에서 어린이 지지 장치(100)를 로킹한다.
어린이 지지 장치(100)의 좌측 및 우측 각각에 전술한 래치(144) 및 스프링(146)으로 구성된 동일한 로킹 기구(142)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어린이 지지 장치(100)는 케이블(154)을 통해 각각의 래치(144)와 각각 연결된 해제 액추에이터(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성의 일례에 따르면, 해제 액추에이터(152)는 버튼일 수 있고, 횡방향 부분(140)과 미끄럼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각각의 케이블(154)은 그와 관련된 래치(144)와 연결된 제1 단부, 및 해제 액추에이터(152)에 제공된 가이드 슬롯(152A)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조립된 제2 단부를 가질 수 있다. 해제 액추에이터(152)가 눌려지면, 각각의 케이블(154)의 제2 단부는 대응하는 안내 슬롯(152A)을 따라 활주하도록 가압될 수 있으며, 이는 케이블(154)이 그에 결합된 래치(144)를 당겨서 어린이 지지 장치(100)를 로킹 해제하기 위해 노치(150)로부터 미끄러져 결합 해제되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린이 지지 장치(100)는 해제 액추에이터(152)에 인접한 위치에서 횡방향 부분(140)과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안전 로크(1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로크(156)는 좌측 및 우측으로의 슬라이딩 움직이미을 위해 횡방향 부분(140)과 조립될 수 있다. 안전 로크(156)는 2개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안전 로크(156)가 해제 액추에이터(152)와 결합하여 로킹 해제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제1 위치, 및 안전 로크(156)가 해제 액추에이터(152)로부터 결합 해제되어 해제 액추에이터(152)가 가압되어 어린이 지지 장치(100)를 로킹 해제할 수 있는 제2 위치. 안전 로크(156)는 안전 로크(156)를 전술한 제1 위치로 바이어스할 수 있도록 작동할 수 있는 스프링(도시되지 않음)과 추가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주버널 지지 조립체(106)는 탄성 와이어(158) 및 패브릭(160)(도 1 및 도 2에서 가상 선으로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와이어(158)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탄성 와이어(158)를 위한 재료의 예는 강철, 금속 합금, 플라스틱, 또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성 와이어(158)는 주버널 지지 조립체(106)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고정되는 탄성 와이어(158)의 2개의 대향 단부(162)를 갖는 주버널 지지 조립체(106)의 좌측과 우측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와이어(158)의 2개의 단부(162)는 각각 2개의 측면 바 부분(130)에 고정식으로 부착될 수 있고, 탄성 와이어(158)는 2개의 측면 바 부분(130) 위로 연장될 수 있다. 탄성 와이어(158)는 주버널 지지 조립체(106)의 상하 방향(164)을 따라 탄성 변형 가능한 어린이용 베어링 지지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 와이어(158)는 상하 방향(164)을 따른 탄성 와이어(158)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복수의 힌지를 각각 형성하는 2개의 대향 단부(162) 사이에 복수의 굴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예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 도시된 탄성 와이어(158)는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선회하는 2개의 절곡부(166) 및 대체로 수평으로 선회하는 2개의 절곡부(168)를 가질 수 있다. 2개의 절곡부(166)의 각각은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2개의 절곡부(168)는 각각 L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탄성 와이어(158)는 일 단부(162)에서 다른 단부(162)까지 순차적으로 하나의 굴곡부(166)를 형성할 수 있고, 하나의 굴곡부(168)를 형성하고, 횡방향을 따라 대체로 선형으로 연장하고, 다른 굴곡부(168)를 형성하고 결국 다른 굴곡부(166)를 형성한다. 어린이 지지 장치(100)가 사용을 위해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탄성 와이어(158)는 피봇 연결부(112, 118 및 120)보다 더 높게 연장될 수 있다.
패브릭(160)은 도 1 및 도 2에서 가상 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고, 프레임 구조의 특징을 보다 잘 나타내기 위해 다른 도면에서는 생략되었다. 패브릭(160)은 탄성 와이어(158)를 가로질러 신장될 수 있고, 탄성 와이어(158)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어서 주버널 지지 조립체(106)의 외부 외피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어린이가 주버널 지지 조립체(106) 상에 수용되면, 어린이는 탄성 와이어(158)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되는 패브릭(160) 상에 놓일 수 있다. 사용 시에, 탄성 와이어(158)가 탄성 변형되도록 하는 것은 스탠딩 프레임(102)으로부터 주버널 지지 조립체(106)로 전달되어 어린이에게 보다 편안한 지지를 제공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진동 및/또는 충격 에너지의 일부를 방산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9 내지 도 12는 탄성 와이어(158)에 적합한 형태의 다른 몇 가지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탄성 와이어(158)는 탄성 와이어(158)의 상하 방향(164)을 따른 탄성 편향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굴곡부를 가질 수 있다.
도 9의 예에서는, 탄성 와이어(158)는 2개의 대향 단부(162) 사이에 파동 형상(170)을 형성하도록 구부러진다. 도 9에 도시된 탄성 와이어(158)는 주버널 지지 조립체(106)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부착된 2개의 단부(162) 및 주버널 지지 조립체(106)의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되는 파동 형상(170)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의 예에서는, 탄성 와이어(158)는 2개의 대향 단부(162) 사이에서 나선형 형상(172)을 형성하도록 구부러진다. 도 10에 도시된 탄성 와이어(158)는 주버널 지지 조립체(106)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부착된 2개의 단부(162) 및 주버널 지지 조립체(106)의 중심 영역에 위치된 나선형(172)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의 예에서는, 탄성 와이어(158)는 상이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섹션(174, 176)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구부러진다. 도 10에 도시된 탄성 와이어(158)는 주버널 지지 조립체(106)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부착된 2개의 단부(162)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섹션(174)은 주버널 지지 조립체(106)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의 축을 따라 서로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섹션(176)은 주버널 지지 조립체(106)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연장되는 횡방향 축을 따라 서로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도 12의 예에서는, 탄성 와이어(158)는 2개의 대향 단부(162) 사이에 아크 형상(178)을 형성하도록 구부러진다. 도 12에 도시된 탄성 와이어(158)는 주버널 지지 조립체(106)의 좌우측에 각각 부착된 2개의 단부(162)로 배치될 수 있으며, 아크 형상(178)은 주버널 지지 조립체(106)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바람직한 쿠션 효과에 따라, 여기에 기술된 2개 이상의 탄성 와이어(158)가 주버널 지지 조립체(106)에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탄성 와이어(158)는 여기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형상을 포함하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이하, 도 13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여기에 기술된 탄성 와이어(158)를 사용하는 주버널 지지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는 어린이 지지 장치의 다른 예들을 설명한다.
도 13은 여기에 설명된 탄성 와이어(158)를 포함하는 다른 어린이 지지 장치(2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어린이 지지 장치(200)는 어린이 유모차 장치이며, 스탠딩 프레임(202), 스탠딩 프레임(202)에 연결된 핸들 프레임(204), 및 스탠딩 프레임(202) 상에 지지되는 탄성 와이어(158)로 구성된 주버널 지지 조립체(206)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탠딩 프레임(202)은 서로 연결된 2개의 레그 프레임(208, 210)을 포함할 수 있다. 레그 프레임(208)은 예시적인 전방 레그 프레임일 수 있고, 레그 프레임(210)은 예시적인 후방 레그 프레임일 수 있다. 각 레그 프레임(208, 210)은, 예를 들면, 레그 프레임(208)에 대한 2개의 측면 세그먼트(208A) 및 레그 프레임(210)에 대한 2개의 측면 세그먼트(210A)와 같이, 스탠딩 프레임(202)의 좌측 및 우측에 대칭으로 배치된 2개의 측면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레그 프레임(208)의 2개의 측면 세그먼트(208A)는 2개의 피봇 연결부(212)를 통해 레그 프레임(210)의 2개의 측면 세그먼트(210A)에 각각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어, 레그 프레임(208 및 210)은 어린이 지지 장치(200)의 접힘 및 펼침 중에 서로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레그 프레임(208, 210)은 바닥면 상에서 어린이 지지 장치(200)의 변위를 용이하게 하기위한 복수의 휠 조립체(213)를 각각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13을 참조하면, 핸들 프레임(204)은 2개의 피봇 연결부(212)를 통해 스탠딩 프레임(202)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성의 일례에 따르면, 핸들 프레임(204)은 좌우측에서 대칭적으로 배치된 2개의 측면 부분(204A), 및 2개의 측면 부분(204A)에 연결되는 그립 부분(204B)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측면 부분(204A)는 2개의 피봇 연결부(212)를 통해 2개의 레그 프레임(208, 210)에 각각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핸들 프레임(204)과 2개의 레그 프레임(208, 210)은 피봇 연결부(212)에 의해 한정된 공통 피봇 축(214) 주위로 서로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핸들 프레임(204)은 어린이 지지 장치(200)의 저장 또는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접힐 수 있는 구조를 더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측면 부분(204A)은 피봇 연결부(228)를 통해 그립 부분(204B)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세그먼트(226)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세그먼트(226)는 각각 2개의 피봇 연결부(212)를 통해 스탠딩 프레임(202)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립 부분(204B)는 피봇 연결부(228)에 대해 세그먼트(226)에 대해 회전하여, 핸들 프레임(204)을 접거나 펼칠 수 있고, 이로써 어린이 지지 장치(200)가 붕괴될 때 핸들 프레임(204)의 길이는 보다 컴팩트한 저장을 위해 유리하게 감소될 수 있다.
다시 도 13을 참조하면, 어린이 지지 장치(200)는 주버널 지지 조립체(206)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 2개의 측면 바 부분(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측면 바 부분(230)은 피봇 연결부(232)를 통해 스탠딩 프레임(202)에, 피봇 연결부(234)를 통해 핸들 프레임(204)의 하나의 측면 부분(204A)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봇 연결부(232)는 레그 프레임(210)의 일 측면 세그먼트(210A)에 고정되게 부착된 결합 부분(236)과 측면 바 부(230)를 피봇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피봇 연결부(234)는 핸들 프레임(204)의 세그먼트(226)에 고정되게 부착된 연결 부분(238)와 측면 바 부분(230)을 피봇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2개의 측면 바 부분(230)은 주버널 지지 조립체(206)의 전방에 배치된 횡방향 부분(240)에 더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어린이 지지 장치(200)는 상기 주버널 지지 조립체(206)의 좌우 측면으로 연장되는 대략 U자형의 가드 부재(2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가드 부재(242)는 핸들 프레임(204)의 측면 부분(204A)에 고정적으로 부착된 2개의 결합 부분(238)과 각각 연결되는 2개의 대향 단부를 구비할 수 있다. 가드 부재(242)는 주버널 지지 조립체(206)에 앉아있는 어린이의 측방향 및 전방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주버널 지지 조립체(206)는 상하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어린이용 베어링 지지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탄성 와이어(158)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 와이어(158)의 2개의 단부(162)는 2개의 측면 바 부분(230)에 각각 고정식으로 부착될 수 있고, 탄성 와이어(158)는 2개의 측면 바 부분(230) 위로 연장될 수 있다. 탄성 와이어(158)는 도 13의 구체적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여기에 설명된 임의의 형상이 적합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어린이 지지 장치(200)가 사용을 위해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탄성 와이어(158)는 피봇 연결부(212)보다 높게 연장될 수 있고, 횡방향 부분(240)은 탄성 와이어(158)의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가드 부재(242)는 탄성 와이어(158) 위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주버널 지지 조립체(206)는 탄성 와이어(158)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상술된 바와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버널 지지 조립체(206)의 외측 외피를 형성할 수 있는 패브릭(명확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탄성 와이어(158)를 포함하는 다른 어린이 지지 장치(3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어린이 지지 장치(300)는 어린이 유모차 장치이며, 스탠딩 프레임(302), 스탠딩 프레임(302)에 연결된 핸들 프레임(304), 및 스탠딩 프레임(302) 상에 지지되는 탄성 와이어(158)로 구성된 주버널 지지 조립체(306)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탠딩 프레임(302)은 2개의 아암 레스트(312)를 통해 서로 연결된 2개의 레그 프레임(308, 3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레그 프레임(308)은 전방 레그 프레임이고 레그 프레임(310)은 후방 레그 프레임이다. 레그 프레임(308, 310) 각각은 스탠딩 프레임(302)의 좌측 및 우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2개의 측면 세그먼트, 예를 들어 레그 프레임(308)에 대한 2개의 측면 세그먼트(308A) 및 레그 프레임(310)에 대한 2개의 측면 세그먼트(310A)를 포함할 수 있다. 좌우측 각각에서, 레그 프레임(308)의 측면 세그먼트(308A) 및 레그 프레임(310)의 측면 세그먼트(310A)는 각각 하나의 아암 레스트(312)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어, 레그 프레임(308 및 310)은 어린이 지지 장치(300)의 접힘 및 펼침 동안 서로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레그 프레임(308, 310)은 바닥면 상에서 어린이 지지 장치(300)의 변위를 용이하게 하기위한 복수의 휠 조립체(313)를 각각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14를 참조하면, 핸들 프레임(304)은 2개의 연결 바(316)를 통해 스탠딩 프레임(302)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성의 일례에 따르면, 핸들 프레임(304)은 좌우측에서 대칭적으로 배치된 2개의 측면 부분(304A), 및 2개의 측면 부분(304A)과 연결되는 그립 부분(304B)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각각에서, 핸들 프레임(304)의 측면 부분(304A)는 연결 바(316)를 통해 레그 프레임(310)의 측면 세그먼트(310A)에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 바(316)의 두 대향 단부는 각각 피봇 연결부(318)를 통해 핸들 프레임(304)의 측면 부분(304A)에, 그리고 피봇 연결부(320)를 통해 레그 프레임(310)의 측면 세그먼트(310A)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핸들 프레임(304)은 어린이 지지 장치(300)의 저장 또는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접힐 수 있는 구조를 더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측면 부분(304A)은 피봇 연결부(328)를 통해 그립 부분(304B)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세그먼트(326)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세그먼트(326)는 각각 2개의 연결 바(316)를 통해 스탠딩 프레임(302)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립 부분(304B)은 핸들 프레임(304)을 접거나 펼치기 위해 피봇 연결부(328) 주위로 세그먼트(326)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다시 도 14를 참조하면, 어린이 지지 장치(300)는 주버널 지지 조립체(306)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 2개의 측면 바 부분(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측면 바 부분(330)은 각각 피봇 연결부(332) 및 캐리어 바(334)를 통해 스탠딩 프레임(30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피봇 연결부(332)는 예를 들어 측면 바 부분(330)에 고정적으로 부착되고 레그 프레임(308)의 대응하는 측부 세그먼트(308A)와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결합 부분(33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측면 바 부분(330)는 핸들 프레임(304)의 측면 부분(304A)을 연결 바(316)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하는 동일한 피봇 연결부(318)를 통해 캐리어 바(334)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핸들 프레임(304)의 측면 부분(304A), 연결 바(316), 캐리어 바(334) 및 측면 바 부분(330)은 어린이 지지 장치(300)의 각각의 좌측 및 우측 측면에서 피봇 연결부(318)에 의해 한정된 공통 피봇 축을 중심으로 서로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캐리어 바(334)는 피봇 연결부(318)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피봇 연결부(338)를 통해 아암 레스트(312)에 피봇 가능하게 더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 구조는 어린이를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게 하여 어린이 지지 장치(300)를 다른 방향으로 푸시하기 위해 2개의 상이한 위치 사이에서 핸들 프레임(304)의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주버널 지지 조립체(306)는 상하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어린이용 베어링 지지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탄성 와이어(158)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와이어(158)의 2개의 단부(162)는 2개의 측면 바 부분(330)에 각각 고정식으로 부착될 수 있고, 탄성 와이어(158)는 2개의 측면 바 부분(330) 위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예에서, 탄성 와이어(158)의 2개의 단부(162)는 주버널 지지 조립체(306)의 전방에서 2개의 측면 바 부분(330)에 고정식으로 연결된 2개의 연결 부분(336)에 고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탄성 와이어(158)가 도 14의 특정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여기에 설명된 임의의 형상이 적합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주버널 지지 조립체(306)는 탄성 와이어(158)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는 패브릭(명확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탄성 와이어(158)를 포함하는 다른 어린이 지지 장치(4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어린이 지지 장치(400)는 어린이 유모차 장치이며, 스탠딩 프레임(402), 스탠딩 프레임(402)에 연결된 핸들 프레임(404), 및 스탠딩 프레임(402) 상에 지지되는 탄성 와이어(158)로 구성된 주버널 지지 조립체(406)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탠딩 프레임(402)은 2개의 아암 레스트(412)를 통해 서로 연결된 2개의 레그 프레임(408, 4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레그 프레임(408)은 전방 레그 프레임이고 레그 프레임(410)은 후방 레그 프레임이다. 각 레그 프레임(408 및 410)은 각각, 레그 프레임(408)에 대한 2개의 측면 세그먼트(408A) 및 레그 프레임(410)에 대한 2개의 측면 세그먼트(410A)와 같이, 스탠딩 프레임(402)의 좌측 및 우측에 대칭으로 배치된 2개의 측면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좌우측 각각에서, 레그 프레임(408)의 측면 세그먼트(408A) 및 레그 프레임(410)의 측면 세그먼트(410A)는 각각 하나의 아암 레스트(412)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어, 레그 프레임(408 및 410)은 어린이 지지 장치(400)의 접힘 또는 펼침 동안 서로에 대해 회전도리 수 있다. 또한, 2개의 레그 프레임(408, 410)은 바닥면 상에서 어린이 지지 장치(400)의 변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복수의 휠 조립체(413)를 각각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15를 참조하면, 핸들 프레임(404)은 2개의 연결 부분(416)을 통해 스탠딩 프레임(402)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구성예에 따르면, 핸들 프레임(404)은 좌우측에서 대칭적으로 배치된 2개의 측면 부분(404A), 및 2개의 측면 부분(404A)에 연결되는 그립 부분(404B)을 포함할 수 있다. 좌우측 각각에서, 핸들 프레임(404)의 측면 부분(404A)는 하나의 연결 부분(416)을 통해 레그 프레임(410)의 측면 세그먼트(410A)에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 부분(416)은 피봇 연결부(418)를 통해 핸들 프레임(404)의 측면 부분(404A)에 그리고 피봇 연결부(420)를 통해 레그 프레임(410)의 측면 세그먼트(410A)에 피봇 가능하게 각각 연결된다. 또한, 핸들 프레임(404)의 각각의 측면 부분(404A)은 피봇 연결부(422)를 통해 하나의 아암 레스트(412)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린이 지지 장치(400)는 주버널 지지 조립체(406)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 2개의 측면 바 부분(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측면 바 부분(430)은 피봇 연결부(432) 및 하나의 연결 부분(416)을 통해 스탠딩 프레임(40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피봇 연결부(432)는 예를 들어 측면 바 부(430)에 고정적으로 부착되고 레그 프레임(408)의 대응하는 측면 세그먼트(408A)와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 부분(43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측면 바 부분(430)은 피봇 연결부(418, 420)와는 다른 피봇 연결부(438)를 통해 연결 부분(416)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주버널 지지 조립체(406)는 상하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어린이용 베어링 지지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탄성 와이어(158)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와이어(158)의 2개의 단부(162)는 2개의 측면 바 부분(430)에 각각 고정식으로 부착될 수 있고, 탄성 와이어(158)는 2개의 측면 바 부분(430) 위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와이어(158)의 2개의 단부(162)는 주버널 지지 조립체(406)의 전방에서 2개의 측면 바 부분(430)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2개의 연결 부분(436)에 고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탄성 와이어(158)는 도 15의 구체적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여기에 설명된 임의의 형상이 적합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주버널 지지 조립체(406)는 탄성 와이어(158)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는 패브릭(명확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탄성 와이어(158)를 포함하는 다른 어린이 지지 장치(5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어린이 지지 장치(500)는 어린이 유모차 장치이며, 스탠딩 프레임(502), 스탠딩 프레임(502)에 연결된 핸들 프레임(504), 및 스탠딩 프레임(502) 상에 지지되는 탄성 와이어(158)로 구성된 주버널 지지 조립체(506)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탠딩 프레임(502)은 좌우측에서 2개의 피봇 조인트(512)를 통해 서로 연결된 2개의 레그 프레임(508, 5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레그 프레임(508)은 전방 레그 프레임이고 레그 프레임(510)은 후방 레그 프레임이다. 각 레그 프레임(508, 510)은, 예를 들어 레그 프레임(508)에 대한 2개의 측면 세그먼트(508A) 및 레그 프레임(510)에 대한 2개의 측면 세그먼트(510A)와 같이, 스탠딩 프레임(502)의 좌측 및 우측에 대칭으로 배치된 2개의 측면 세그먼트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좌우측 각각에서, 레그 프레임(508)의 측면 세그먼트(508A)와 레그 프레임(510)의 측면 세그먼트(510A)는 피봇 조인트(512)를 통해 서로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어, 레그 프레임(508 및 510)은 어린이 지지 장치(500)의 접힘 및 펼침 동안 서로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레그 프레임(508, 510)은 어린이 지지 장치(500)의 바닥면 상에서의 변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복수의 휠 조립체(513)를 각각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16을 참조하면, 핸들 프레임(504)은 2개의 피봇 조인트(512)를 통해 스탠딩 프레임(502)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성의 일례에 따르면, 핸들 프레임(504)은 좌우측에서 대칭으로 배치된 2개의 측면 부분(504A), 및 2개의 측면 부분(504A)과 연결된 그립 부분(504B)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각각에서, 핸들 프레임(504)의 측면 부분(504A)는 각각 하나의 피봇 조인트(512)를 통해 레그 프레임(508)의 측면 세그먼트(508A) 및 레그 프레임(510)의 측면 세그먼트(510A)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핸들 프레임(504) 및 레그 프레임(508 및 510)은 어린이 지지 장치(500)의 접힘 및 펼침 동안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버널 지지 조립체(506)는 상하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어린이용 베어링 지지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탄성 와이어(158)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와이어(158)의 2개의 대향 단부(162)는 각각 주버널 지지 조립체(506)의 좌측 및 우측에서 레그 프레임(508)의 2개의 측면 세그먼트(508A)에 고정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와이어(158)의 각 단부(162)는 레그 프레임(508)의 각각의 측면 세그먼트(508A)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와이어 앵커링 부분(520)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탄성 와이어(158)는 탄성 와이어(158)의 뒤에서 대체로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고 레그 프레임(510)의 2개의 측면 세그먼트(510A)와 연결될 수 있는 보드(522)에 연결될 수 있다. 탄성 와이어(158)는 도 16의 특정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여기에 설명된 임의의 형상이 적합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주버널 지지 조립체(506)는 탄성 와이어(158)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는 패브릭(명확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린이 지지 장치(500)가 사용을 위해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탄성 와이어(158) 및 보드(522)는 피봇 조인트(512) 아래에 위치될 수 있으며, 어린이를 위한 쿠션형 지지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7은 여기에 기술된 탄성 와이어(158)를 포함하는 다른 어린이 지지 장치(6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어린이 지지 장치(600)는 어린이 유모차 장치이며, 스탠딩 프레임(602), 스탠딩 프레임(602)에 연결된 핸들 프레임(604), 및 스탠딩 프레임(602) 상에 지지되는 탄성 와이어(158)로 구성된 주버널 지지 조립체(606)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탠딩 프레임(602)은 2개의 레그 프레임(608, 6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레그 프레임(608)은 전방 레그 프레임이고 레그 프레임(610)은 후방 레그 프레임이다. 각 레그 프레임(608, 610)은 예를 들어, 레그 프레임(608)에 대한 2개의 측면 세그먼트(608A) 및 레그 프레임(610)에 대한 2개의 측면 세그먼트(610A)와 같이, 스탠딩 프레임(602)의 좌측 및 우측에 대칭으로 배치된 2개의 측면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 프레임(604)은 좌우측에서 대칭으로 배치된 2개의 측면 부분(604A)과, 2개의 측면 부분(604A)와 연결된 그립 부분(604B)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각각에서, 레그 프레임(608)의 측면 세그먼트(608A) 및 레그 프레임(610)의 측면 세그먼트(610A)는 각각 2개의 별개의 피봇 연결부(612 및 612)를 통해 핸들 프레임(604)의 측면 부분(604A)에 피봇 가능하게 각각 연결될 수 있으므로, 핸들 프레임(604)과 레그 프레임(508, 510)은 어린이 지지 장치(600)의 접힘 및 펼침 동안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더욱이, 2개의 레그 프레임(608 및 610)은 각각 어린이 지지 장치(600)의 바닥면 상에서의 변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복수의 휠 조립체(613)를 가질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주버널 지지 조립체(606)는 시트 보드(616) 및 탄성 와이어(158)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 보드(616)는 2개의 피봇 연결부(618) 및 2개의 연결 바 부분(620)을 통해 스탠딩 프레임(602)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및 우측 각각에서, 시트 보드(616)는 2개의 피봇 연결부(618)를 통해 레그 프레임(608)의 2개의 측면 세그먼트(608A)에 각각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2개의 연결 바 부분(620)을 통해 레그 프레임(610)의 2개의 측면 세그먼트(610A)에 결합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각각에서, 각 연결 바 부분(620)은 레그 프레임(610)의 시트 보드(616) 및 일 측면 세그먼트(610A)와 각각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립체에 의해, 핸들 프레임(604), 레그 프레임(608, 610), 시트 보드(616) 및 연결 바 부분(620)은 어린이 지지 장치(600)의 접힘 및 펼침을 위해 서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탄성 와이어(158)는 시트 보드(616)에 고정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 보드(616)는 2개의 브래킷(622)을 가질 수 있고, 탄성 와이어(158)는 시트 보드(161) 위에 배치될 수 있고 탄성 와이어(158)의 2개의 단부(162)는 각각 2개의 브래킷(622)에 고정된다. 탄성 와이어(158)는 도 17의 특정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여기에 설명된 임의의 형상이 적합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주버널 지지 조립체(606)는 탄성 와이어(158)의 전방에서 2개의 브래킷(622)과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횡방향 부분(624)을 포함할 수 있다. 횡방향 부분(624)은 어린이를 위한 조절 식 레그 지지 부재로서 작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 와이어(158)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도록 패브릭(명확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음)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린이 지지 장치(600)는 레그 프레임(608)의 2개의 측면 세그먼트(608A) 및 레그 프레임(610)의 2개의 측면 세그먼트(610A)에 각각 연결된 가드 부재(6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린이 지지 장치(600)가 사용을 위해 펼쳐질 때, 가드 부재(626)는 주버널 지지 조립체(606) 위로 연장될 수 있고 주버널 지지 조립체(606) 상에 앉아있는 어린이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탄성 와이어(158)를 포함하는 다른 어린이 지지 장치(7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어린이 지지 장치(700)는 어린이 유모차 장치이며, 스탠딩 프레임(702), 스탠딩 프레임(702)에 연결된 핸들 프레임(704), 및 스탠딩 프레임(702) 상에 지지되는 탄성 와이어(158)로 구성된 주버널 지지 조립체(706)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탠딩 프레임(702)은 2개의 레그 프레임(708, 7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레그 프레임(708)은 전방 레그 프레임이고 레그 프레임(710)은 후방 레그 프레임이다. 각 레그 프레임(708, 710)은, 각각, 레그 프레임(708)에 대한 2개의 측면 세그먼트(708A) 및 레그 프레임(710)에 대한 2개의 측면 세그먼트(710A)와 같이, 스탠딩 프레임(702)의 좌측 및 우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2개의 측면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 프레임(704)은 좌우측에서 대칭으로 배치된 2개의 측면 부분(704A)과, 2개의 측면 부분(704A)과 연결된 그립 부분(704B)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각각에서, 레그 프레임(708)의 측면 세그먼트(708A) 및 레그 프레임(710)의 측면 세그먼트(710A)는 각각 2개의 별개의 피봇 연결부(712 및 714)를 통해 핸들 프레임(704)의 측면 부분(704A)에 피봇 가능하게 각각 연결될 수 있어, 핸들 프레임(700) 및 레그 프레임(708, 710)은 어린이 지지 장치(700)의 접힘 및 펼침 동안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더욱이, 2개의 레그 프레임(708, 710)은 각각 바닥면 상에서 어린이 지지 장치(700)의 변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복수의 휠 조립체(713)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주버널 지지 조립체(706)는 어린이 지지 장치(700) 상에 제공된 2개의 연결 마운트(716) 상에 설치되고 및 이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제거 가능한 유닛으로서 제공되며, 2개의 연결 마운트(716)는 핸들 프레임(704)의 2개의 측면 부분(704A)에 고정된다. 도 19는 주버널 지지 조립체(706)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버널 지지 조립체(706)는 주버널 지지 조립체(706)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된 2개의 측면 연결 부분(718), 2개의 프레임 부분(720, 722) 및 가드 부재(724)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프레임 부분(720, 722) 각각은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2개의 측면 연결 부분(718)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가드 부재(724)는 양 단부가 2개의 측면 연결 부분(718)과 각각 연결되는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측면 연결 부분(718)은 어린이 지지 장치(700) 상에 제공된 하나의 연결 마운트(716)와 결합될 수 있도록 작동 가능한 커넥터(726)를 가질 수 있다. 주버널 지지 조립체(706)가 어린이 지지 장치(700)에 설치될 때, 2개의 측면 연결 부분(718) 상의 커넥터(726)는 어린이 지지 장치(700)에 제공된 2개의 연결 마운트(716)와 각각 결합 및 로킹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와이어(158)는 가드 부재(724) 아래에 배치될 수 있으며, 탄성 와이어(158)의 두 단부(162)는 각각 2개의 측면 연결 부분(718)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탄성 와이어(158)는 도 18 및 도 19의 특정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여기에 설명된 임의의 형상이 적합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 와이어(158)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기 위해 패브릭(명확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음)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어린이 지지 장치의 장점은 진동 및/또는 충격 에너지를 분산시키기 위해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와이어를 갖는 주버널 지지 조립체를 포함한다. 따라서, 어린이 지지 장치는 사용 중에 어린이를 더욱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다.
어린이 지지 장치의 구현이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다. 이들 실시예는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변형, 수정, 추가 및 개선이 가능하다. 이들 및 다른 변형, 수정, 추가 및 개선은 다음의 청구범위에 정의된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할 수 있다.

Claims (18)

  1. 어린이 지지 장치에 있어서,
    스탠딩 프레임;
    상기 스탠딩 프레임 상에 지지되는 주버널(juvenile) 지지 조립체 - 상기 주버널 지지 조립체는 좌측과 우측을 가지며, 상기 좌측과 우측 사이에서 연장되는 탄성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와이어는 상기 주버널 지지 조립체의 상하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어린이용 베어링 지지부를 형성함 - , 및
    상기 주버널 지지 조립체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2개의 측면 바 부분 - 상기 스탠딩 프레임은 제1 및 제2 레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측면 바 부분의 각각은 상기 스탠딩 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탄성 와이어는 2개의 측면 바 부분에 각각 부착된 2개의 대향 단부를 가지며, 상기 탄성 와이어는 2개의 측면 바 부분 위로 연장됨 -
    을 포함하는 것인, 어린이 지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측면 바 부분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레그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와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인, 어린이 지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측면 바 부분은 각각 횡방향 부분과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횡방향 부분은 상기 탄성 와이어의 전방으로 연장하도록 위치될 수 있는 것인, 어린이 지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 지지 장치는 상기 스탠딩 프레임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측면 바 부분 각각은 상기 핸들 프레임 및 스탠딩 프레임에 각각 연결되는 것인, 어린이 지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레그 프레임은 공통의 피봇 축을 중심으로 서로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인, 어린이 지지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측면 바 부분은 2개의 연결 바를 통해 핸들 프레임에 각각 연결되고, 각각의 연결 바는 2개의 단부가 각각 하나의 측면 바 부분 및 핸들 프레임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인, 어린이 지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와이어의 위로 연장되는 가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드 부재는 상기 주버널 지지 조립체 상에 앉아있는 어린이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어린이 지지 장치.
  8. 어린이 지지 장치에 있어서,
    스탠딩 프레임; 및
    상기 스탠딩 프레임 상에 지지되는 주버널 지지 조립체 - 상기 주버널 지지 조립체는 좌측과 우측을 가지며, 상기 좌측과 우측 사이에서 연장되는 탄성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와이어는 상기 주버널 지지 조립체의 상하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어린이용 베어링 지지부를 형성함 -
    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딩 프레임은 제1 및 제2 레그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와이어는 상기 주버널 지지 조립체의 좌측 및 우측에서 상기 제1 레그 프레임에 고정적으로 각각 부착된 2개의 대향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와이어의 2 개의 대향 단부 각각은 상기 제 1 레그 프레임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와이어 앵커링 부분에 각각 부착되는 것인, 어린이 지지 장치.
  9. 어린이 지지 장치에 있어서,
    스탠딩 프레임; 및
    상기 스탠딩 프레임 상에 지지되는 주버널 지지 조립체 - 상기 주버널 지지 조립체는 좌측과 우측을 가지며, 상기 좌측과 우측 사이에서 연장되는 탄성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와이어의 2 개의 대향 단부는 상기 주버널 지지 조립체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탄성 와이어는 상기 주버널 지지 조립체의 상하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어린이용 베어링 지지부를 형성함 -
    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딩 프레임은 제1 및 제2 레그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버널 지지 조립체는 피봇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1 레그 프레임에 그리고 연결 바 부분을 통해 상기 제2 레그 프레임에 각각 연결되는 시트 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와이어는 상기 시트 보드 위에 배치되는 것인, 어린이 지지 장치.
  10. 어린이 지지 장치에 있어서,
    스탠딩 프레임;
    상기 스탠딩 프레임에 연결되는 핸들 프레임;
    상기 핸들 프레임 상에 제공되는 2 개의 연결 마운트; 및
    상기 2 개의 연결 마운트 상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주버널 지지 조립체 - 상기 주버널 지지 조립체는 상기 주버널 지지 조립체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2 개의 측면 결합 부분, 및 상기 좌측과 우측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2 개의 측면 결합 부분에 고정적으로 각각 부착되는 2 개의 대향 단부를 갖는 탄성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2 개의 측면 결합 부분의 각각은 하나의 연결 마운트와 결합하도록 작동 가능한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와이어는 상기 주버널 지지 조립체의 상하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어린이용 베어링 지지부를 형성함 -
    를 포함하는 것인, 어린이 지지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버널 지지 조립체는 상기 탄성 와이어를 커버하는 패브릭을 더 포함하는 것인, 어린이 지지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와이어는 2개의 대향 단부 사이의 복수의 굴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굴곡부는 각각 상하 방향을 따른 탄성 와이어의 탄성 편향을 허용하는 복수의 힌지를 형성하는 것인, 어린이 지지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와이어는 상기 주버널 지지 조립체의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뻗어있는 파동 형상을 형성하도록 굴곡되는 것인, 어린이 지지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와이어는 복수의 제1 및 제2 섹션을 포함하는 형태로 굴곡되고, 상기 제1 섹션은 상기 주버널 지지 조립체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서로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2 섹션은 상기 주버널 지지 조립체의 횡방향 축을 따라 서로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길이 방향 축은 상기 주버널 지지 조립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횡방향 축은 상기 주버널 지지 조립체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연장되는 것인, 어린이 지지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와이어는 나선형을 형성하도록 굴곡되는 것인, 어린이 지지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와이어는 강철로 이루어지는 것인, 어린이 지지 장치.
  17. 제1항, 제8항, 제9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어린이 유모차 장치로 구현되는 것인, 어린이 지지 장치.
  18. 삭제
KR1020170176758A 2017-01-06 2017-12-21 어린이 지지 장치 KR1020017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010158.0 2017-01-06
CN201710010158 2017-01-06
CN201710041957 2017-01-20
CN201710041957.4 2017-01-20
CN201711139543.1 2017-11-16
CN201711139543.1A CN108275190B (zh) 2017-01-06 2017-11-16 婴儿载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1447A KR20180081447A (ko) 2018-07-16
KR102001741B1 true KR102001741B1 (ko) 2019-07-18

Family

ID=62801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758A KR102001741B1 (ko) 2017-01-06 2017-12-21 어린이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4275991A3 (ko)
JP (1) JP6630714B2 (ko)
KR (1) KR102001741B1 (ko)
CN (3) CN112758165B (ko)
ES (2) ES2969730T3 (ko)
PL (1) PL3831693T3 (ko)
TW (1) TWI6589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17266A (zh) * 2019-03-20 2020-09-29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收折机构及其幼儿载具
CN113879384A (zh) * 2020-07-02 2022-01-04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车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2992A (ja) * 2003-09-30 2005-04-21 Pigeon Corp 乳幼児用シート
KR101435541B1 (ko) * 2005-09-30 2014-09-02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유모차
KR101680817B1 (ko) * 2015-07-06 2016-11-29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모차 시트의 완충 및 착탈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212A (en) * 1891-06-02 -sager
US421284A (en) * 1890-02-11 Rocking-chair
CH374294A (de) * 1959-08-22 1963-12-31 Alofin Verwaltungs & Finanzier Zerlegbarer und umwandelbarer Kinderwagen
US3485507A (en) * 1967-12-22 1969-12-23 Frank Christof Accessory seat for toy vehicle
DE3620287A1 (de) * 1986-06-16 1987-12-17 Udo Beger Kinderwagen
US4762331A (en) * 1986-10-31 1988-08-09 Gee-I-Go, Inc. Combination automobile seat and stroller
JP2001328541A (ja) * 2000-05-18 2001-11-27 Combi Corp ベビーシート
JP4421274B2 (ja) * 2003-12-03 2010-02-24 コンビ株式会社 かごが装着可能なベビーカー
JP2005162050A (ja) * 2003-12-03 2005-06-23 Combi Corp ベビーカー
CA2564765C (en) * 2004-04-30 2013-04-09 Dynamic Brands, Llc Folding baby stroller
GB0818605D0 (en) * 2008-10-10 2008-11-19 Scs London Ltd Apparatus and method
CN102101491B (zh) * 2009-12-18 2013-10-16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可折叠式婴儿承载装置
KR101793220B1 (ko) * 2010-09-01 2017-11-02 브리택스 차일드케어 프로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개선된 접이식 유모차
US9193372B2 (en) * 2010-10-21 2015-11-24 Wonderland Nurserygoods Company Limited Infant stroller apparatus
GB2512175B (en) * 2011-11-17 2015-01-07 Wonderland Nursery Goods Collapsible infant carrier apparatus and its operating method
JP5992190B2 (ja) * 2012-03-27 2016-09-14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合同会社 折り畳み式乳母車
CN202574330U (zh) * 2012-05-16 2012-12-05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婴儿载具及其托架装置
US20150238024A1 (en) * 2014-02-24 2015-08-27 Sassy 14, Llc Baby seat with blanket
PL2965969T3 (pl) * 2014-06-30 2018-05-30 Wonderland Switzerland Ag Urządzenie dziecięcego wózka spacerowego
JP6363427B2 (ja) * 2014-08-18 2018-07-25 株式会社シーエー産商 バウンサー
CN204077750U (zh) * 2014-09-16 2015-01-07 张星亮 一种换向折叠童车
CN105984481B (zh) * 2015-02-11 2018-05-04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儿车架
CN105398482B (zh) * 2015-12-01 2018-01-23 昆山市贝尔儿童用品有限公司 婴儿折叠车
CN205632628U (zh) * 2016-05-11 2016-10-12 昆山威凯儿童用品有限公司 可折叠婴儿推车
CN205661504U (zh) * 2016-05-25 2016-10-26 王以琳 一种收合材积小的婴儿车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2992A (ja) * 2003-09-30 2005-04-21 Pigeon Corp 乳幼児用シート
KR101435541B1 (ko) * 2005-09-30 2014-09-02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유모차
KR101680817B1 (ko) * 2015-07-06 2016-11-29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모차 시트의 완충 및 착탈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1447A (ko) 2018-07-16
JP6630714B2 (ja) 2020-01-15
ES2969730T3 (es) 2024-05-22
ES2871109T3 (es) 2021-10-28
CN108275190A (zh) 2018-07-13
JP2018110849A (ja) 2018-07-19
CN112758165A (zh) 2021-05-07
TW201825334A (zh) 2018-07-16
CN112758165B (zh) 2023-08-08
TWI658959B (zh) 2019-05-11
PL3831693T3 (pl) 2024-03-11
CN111634320B (zh) 2022-10-14
CN108275190B (zh) 2021-01-29
EP4275991A2 (en) 2023-11-15
CN111634320A (zh) 2020-09-08
EP4275991A3 (en) 2024-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3902A (en) Foldable high chair
JP5194294B2 (ja) 乳幼児用ベッドの支持構造
US7950734B2 (en) Recliner with locking mechanism
JP4757594B2 (ja) ベビーカー
EP1327568A2 (en) Stroller with a reclining mechanism
JP4855035B2 (ja) ベビーカー
US6843498B2 (en) Stroller
TW200307616A (en) Nursing equipment
EP3345805B1 (en) Child support apparatus
TW201708012A (zh) 折疊式嬰兒車
KR102001741B1 (ko) 어린이 지지 장치
JP2022040116A (ja) チャイルドサポート装置
JP5258932B2 (ja) 幼児搬送装置
US5769448A (en) Foldable frame assembly for a two-seat stroller
JP2018043710A (ja) ベビーカー
KR102331278B1 (ko) 유모차
TWI755566B (zh) 嬰兒車及保持構件
JP7464371B2 (ja) 子供用育児器具
JP2007098998A (ja) 摺動制御装置
JP6758905B2 (ja) 乳母車
JP6109639B2 (ja) 乳母車
CN112297971A (zh) 儿童用育儿器具
JP5850738B2 (ja) ベビーカー
JP2004050958A (ja) ベビー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