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80531A1 -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80531A1
WO2022080531A1 PCT/KR2020/014102 KR2020014102W WO2022080531A1 WO 2022080531 A1 WO2022080531 A1 WO 2022080531A1 KR 2020014102 W KR2020014102 W KR 2020014102W WO 2022080531 A1 WO2022080531 A1 WO 202208053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ed
rear wheel
handle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410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유상진
Original Assignee
유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진 filed Critical 유상진
Priority to PCT/KR2020/01410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080531A1/ko
Publication of WO202208053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8053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2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9/00Children's cycles
    • B62K9/02Tricycl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ol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oller having a moving structure that enables conversion to a bicycle or a kickboard.
  • the most basic thing is a stroller. It has a basic structure in which the seat is coupled, and a storage body that can easily store light and small items such as children's products is provided under the frame located under the seat.
  • the stroller is divided into a stroller with a fixed frame or a stroller that can fold the frame based on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re was a downside to usability.
  • a stroller that can fold the frame occupies a lot of space because the folding structure is complicated or the folding structure is bulky.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stored or left unattend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oller having a moving structure that enables conversion to a bicycle or a kickboar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oller that can be easily folded by one operation.
  • Stroller a seat portion provided with a seat;
  • An upper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the sheet, a lower support frame rotatably connected by a hinge portion of the upper support frame, and a frame support for maintaining a fixed state between the upper support frame and the lower support frame support frame;
  • a guide frame that foldably supports the lower support frame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ront wheel coupling part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guide frame in an 'L' shape, and the guide frame
  • a drive frame including a rear wheel coupling part having coupling shaft part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 a front wheel supported by a support fork in the front wheel coupling part, and a rear wheel installed in the rear wheel coupling part through a rear wheel coupling shaft It includes a mobile structure.
  • the lower support frame includes a first frame rotatably connected by a hinge portion of the upper support frame, and a second frame rotatably hinged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is slidably mounted on the guide frame and is supported so as to be fold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 the guide frame includes a first guide part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movably accommodated therein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second guide part coupled to the first guide part; and a movement guide ball for guiding a joint portion having a coupling sleeve to which the second frame of the lower support frame and the roller are coupled.
  • the support fork is formed in the form of a module to which the front wheel is couple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ront wheel coupling part, and the support fork is provided with a pair of support fork parts. A pair of front wheels is installed.
  • the frame support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frame of the upper support frame and the lower support frame, and includes a locking device slidably mounted to the upper support frame at an upper end thereof, As the locking device is unlocked, the upper end of the frame supporter may move along the upper support frame.
  •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rear wheel connecting shaft and includes a frame connecting mechanism to which the first frame of the lower support frame is fixed.
  • the frame connecting mechanism is inserted into the rear wheel connection shaft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a rear wheel locking part connected to the rear wheel so as to be able to lock the rear wheel, and the rear wheel locking part, and the first frame It includes a suspension coupled to the lower end and bufferably supporting the first frame.
  • the rear wheel coupling portion a first shaft extending between the both sides of the coupling shaft portion and both ends extending outwardly through the center of the coupling shaft portion; a brake wheel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rst shaft; and a pressing plate hingedly connected to the guide frame, disposed on the brake wheel, and selectively contacting the brake wheel to enable braking of the brake wheel.
  • the rear wheel connection shaft includes a shaft coupling part integrally coupled with the coupling shaft part at one end and a second shaft rotating at the other end, and the rear wheel is coupled to the second shaft .
  • the upper frame is divided into two and coupled to be foldable by a hinge portion, and a lever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frame is provided with a lever for controlling rotation of the hinge portion of the divided portion.
  • the upper end of the driving frame is provided with a handle coupling portion to which a handle enabling steering of the support fork can be coupled.
  • the movable structure further includes a saddle frame coupled to the driving frame and a saddle coupled to the saddle frame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frame is separated, and the support fork includes a front wheel central shaft. It further includes a pedal connected to, the handle is coupled to the handle coupling portion, it is available as a three-wheeled bicycle.
  • the saddle frame includes a horizontal plate and a vertical plate hinged to the horizontal plate, and is formed in a form that can be folded and stored when not in use.
  • the rear wheel in the movable structur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rear wheel coupling part of the driving frame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frame is separated, and the rear wheel is install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first shaft. and the handle is coupled to the handle coupling part, so that it can be used as a kickboard.
  • it further includes a kickboard footrest fitted to the guide frame.
  • the handle includes a multi-stage steering shaft capable of height adjustment at the low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steering shaft is coupled to the handle coupling portion.
  • the handle includes grip portions form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at both ends, and a handle fixing portion for using the handle as a safety bar is formed on the seat portion to be used as a safety bar. It is coupled to the government or the handle coupling portion.
  • the stroller can be converted into a bicycle or a kickboard by providing a driving frame that can be a frame of a bicycle or a kickboard in the moving structure of the stroller. Therefore, when a child passes the age of use of the stroller, it is possible to use the stroller as a tricycle or a kickboard without discarding it, thereby reducing costs as well as saving resource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s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bi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rear wheel and the rear wheel connecting shaft in the moving structure of the s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upport f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bile structure is converted into a three-wheeled bicycle in the s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obile structure is converted into a kickboard in the s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between a footrest and a guide frame in a moving structure used as a kick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between a rear wheel and a first shaft in a moving structure used as a kick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view showing a folding operation sequence of the s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troller 1 includes a seat portion 100 , a support frame 200 , and a moving structure 300 .
  • the seat part 100 is formed so that a child can be boarded.
  • the seat unit 100 may include a sheet 110 and a shading membrane 120 .
  • the seat 110 is a portion on which an infant rides, and may be formed of a fabric material or the like.
  • a handle fixing part 111 for fixing the handle 400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at 110 .
  • the handle fixing part 111 may be coupled to and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support frame 210 .
  • the handle 400 is coupled to the handle fixing unit 111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 110 , and the handle 4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andle fixing unit 111 .
  • the handle 400 is disposed together with the seat unit 110 and used as a safety bar when used as the stroller 1, and is separated from the handle fixing unit 111 when converted to a bicycle 2 or a kickboard 3 to drive frame It may be connected to the front wheel coupling portion 342 of the 330 for steering.
  • the awning screen 120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seat 110 and is formed to block sunlight or rain to protect infants.
  • the support frame 200 includes an upper support frame 210 , a lower support frame 220 , and a frame support 230 .
  • the support frame 200 has a movable structure 300 coupled to a lower end thereof, a handle 211 is provided at an upper end thereof, and supports the seat 110 .
  • the support frame 2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ovable structure 300 .
  • the upper support frame 210 has an inverted 'U' shape provided with a handle 211 at the upper end, and supports the seat 110 from both sides.
  • the lower support frame 220 is hinge-connected through the hinge portion 240 of the upper support frame 210 , and the movable structure 30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thereof.
  • the hinge part 240 is installed on a shaft that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upper support frame 210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support frame 220 to share, the upper support frame 210 and the lower support frame 220 . rotatably connected.
  • the hinge part 240 By the hinge part 240 , the upper support frame 210 may be folded with respect to the lower support frame 220 , and the angle of the upper support frame 210 may be adjusted.
  • the frame support 230 may be installed to be supported between the upper support frame 210 and the lower support frame 220 .
  • the frame support 230 is formed to maintain a fixed state between the upper support frame 210 and the lower support frame 220 .
  • the lower end of the frame support 230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hinge 231 of the lower support frame 220 , and the other side is installed to be slidably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support frame 210 .
  • the frame support 230 is provided with a locking device 232 at an upper end that is a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support frame 210 .
  • the frame support 230 is maintained in a fixed state with respect to the upper support frame 210 by locking the locking device 232 .
  • the locking device 232 is unlocked so that the frame support 230 slides along the upper support frame 210 , and the upper support frame is centered on the hinge 240 .
  • the locking device 232 is a locking means that is locked or unlocked with respect to the upper support frame 210 , and various types of locking devices may be adopted and used.
  • the lower support frame 220 includes a first frame 221 and a second frame 222 .
  • the first frame 221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side by a hinge unit 240 with respect to the upper support frame 210, and the lower side is connected to the rear wheel connection shaft 321 for axially connecting the rear wheel 320.
  • a frame connection mechanism 322 for fixing the lower end of the first frame 221 may be provided on the rear wheel connection shaft 321 .
  • the second frame 222 is installed so that the upper side is rotatably hinged with respect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first frame 221 , and the lower side is movably supported on the guide frame 331 of the moving structure 300 . do.
  • the support frame 200 configured in this way is configured to be foldable with respect to the movable structure 300 in a state in which the sheet 110 is coupled together.
  • the upper support frame 210 is divided into two and is formed to be foldable.
  • a hinge portion 241 may be provided at the divided portion, and a lever 212 for controlling rotation of the hinge portion 241 of the divided portion is provided on the handle 211 .
  • the lever 212 By operating the lever 212,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upper support frame 210 are foldable with respect to each other,
  •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ving structure 300 of the s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connecting mechanism 322 is shown in the omitted state,
  • Figure 4 is the rear wheel and rear wheels in the moving structure of the s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connecting shaft.
  • the mobile structure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
  • the movable structure 300 is a moving part while supporting the support frame 220 of the stroller 1 .
  • the moving structure 300 of the stroller 1 includes a driving frame 330 and a front wheel 310 and a rear wheel 320 coupled to the driving frame 330 .
  • the driving frame 330 may be a frame of the bicycle 2 or the kickboard 3 .
  • the driving frame 330 includes a guide frame 331 on which the support frame 200 is supported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ront wheel coupling part 342 to which the front wheel 310 is connected, and a rear wheel coupling to which the rear wheel 320 is connected. part 345 .
  • the guide frame 331 supports the second frame 222 of the lower support frame 220 to be slidably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frame 331 .
  • the guide frame 331 has a roller 332 therein, and the second frame 222 is connected to the roller 332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frame 331 .
  • the movement of the second frame 222 by the roller 332 is related to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support frame 200 of the baby carriage with respect to the moving structure 300 .
  • the guide frame 331 may be provided with a basket 500 for storing items when used as the stroller 1 .
  • the guide frame 331 includes a first guide part 331a and a second guide part 331b.
  • the first guide portion 331a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roller 332 is accommodated therein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 the second guide part 331b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first guide part 331a.
  • the second guide part 331b is formed as a plate-shaped member coupled to the first guide part 331a.
  • the guide frame 331 includes a joint portion 333 connecting the roller 332 and the second frame 222 .
  • a movement guide hole 331c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guide portion 331b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joint portion 333 coupled to the roller 332 disposed on the first guide portion 331a.
  • the joint part 333 has a first coupling sleeve 333a to which the second frame 222 is coupled to the upper end, and a second coupling sleeve to which the roller 332 installed in the first guide part 331a is coupled to the lower end. (333b).
  • the second frame 222 and the roller 332 are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joint portion 333 to operate integrally. Accordingly, the second frame 222 of the lower support frame 220 may slide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guide frame 331 .
  • the movement guide hole 331c is exemplified as being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guide part 331b,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guide part 331a.
  • the coupling sleeve 333b coupled to the second frame 222 of the joint part 333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movement guide hole 331c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guide part 331a.
  • the driving frame 330 includes a front wheel coupling portion 342 .
  • the front wheel coupling part 342 is provided in front of the guide frame 331 to support the front wheel 310 .
  • the front wheel coupling part 342 is formed in a 'L'-shaped frame, and extends obliquely up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guide frame 331 and the upper end 343 to which the support fork 312 supporting the front wheel 310 is coupled. ) is provided.
  • the front wheel 31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343 while being coupled to the support fork 312 .
  • the support fork 312 rotatably supports the front wheel 310 .
  • a handle coupling part 344 to which the handle 400 is coupled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343 .
  • the handle coupling part 344 is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support fork 312 , and the handle 400 is coupled to enable steering of the front wheel 310 .
  • the handle coupling part 344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oupling hole formed in the shaft portion of the support fork 312 .
  • the handle 400 is coupled when the moving structure 300 of the stroll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verted into a bicycle 2 or a kickboard 3 .
  • the handle 400 may be a handle 400 separated from the seat portion 100 of the stroller.
  • the handle 4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andle coupling part 344 .
  • the support fork 312 is shown in the form of a module having one front wheel 31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s shown in FIG. 5, a pair of front wheels 310 It can be an equipped module. As shown in FIG. 5 , the support fork 312 includes a pair of support fork portions 312a and 312b, and the front wheel 310 may be coupled to each of the support fork portions 312a and 312b.
  • the support fork 312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343 in the form of a module coupled to the front wheel 310 .
  • the support fork 312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343 through a groove formed in the front of the upper end 343 .
  • FIG. 3 shows a state in which a module-shaped support fork 312 having one front wheel 310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upper end 343, which is to be converted into a form having a pair of front wheels 310.
  • the support fork 312 shown in FIG. 3 is separated from the upper end 343 , and the support fork 312 in the form of a module having a pair of front wheels 310 shown in FIG. 5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343 .
  • the footrest f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343 of the front wheel coupling part 342 .
  • a fastening part (not shown) for fixing the footrest f may be formed in the upper end 343 .
  • the footrest (f) is formed to be able to put the foot of the infant in the stroller (1).
  • the stroller 1 is converted to a tricycle 2 and a kickboard 3 and used, the tricycle 2 and the kickboard 3 do not use the footrest f, so the footrest f is separated.
  • the footrest (f) can be used as a saddle (s) in the three-wheeled bicycle bike (2).
  • a rear wheel coupling part 345 for connecting the rear wheel 320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guide frame 331 .
  • the rear wheel coupling portion 345 includes coupling shaft portions 346 formed on both sides at the rear end of the guide frame 331 .
  • the rear wheel 320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shaft portion 346 through the rear wheel connection shaft 321 , or the rear wheel 320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coupling shaft portion 346 .
  • the rear wheel coupling portion 345 has a cylindrical brake wheel 348 that is rotatably installed by the first shaft 347 and a press plate 349 that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brake wheel 348 . ) may be included.
  • the brake wheel 348 is installed integrally coupled to the first shaft 347 between the coupling shaft portions 346 on both sides.
  • the first shaft 347 extends between the coupling shaft portions 346 on both sides, and both ends extend outwardly through the center of the coupling shaft portion 346 .
  • a first shaft 347 is coupled to operate with a brake wheel 348 .
  • the pressing plate 349 is formed to be curved along the upper portion of the brake wheel 348 , and is hinged to the rear end of the guide frame 331 .
  • the pressure plate 349 is elastically suppor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rake wheel 348 . Therefore, only when the user presses the pressure plate 349, it contacts the brake wheel 348 to achieve braking.
  • a friction plate (not shown)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pressure plate 349 , that is, to a surface facing the brake wheel 348 to improve braking force.
  • the pressure plate 349 moves downward, a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between it and the brake wheel 348 and braking is performed. Since the brake wheel 348 rotates together with the first shaft 347 , when a braking force is applied to the brake wheel 348 , the braking force is also applied to a portion coupled to operate together with the first shaft 347 .
  • the brake wheel 348 and the pressing plate 349 form a foot brake device to enable stable braking.
  • the rear wheel 320 in the stroller 1 is coupled to the rear wheel connecting shaft 321 and the frame connecting mechanism 322 .
  • the rear wheel connection shaft 321 is coupled to each of the coupling shaft portions 346 on both sides.
  • a first shaft 347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brake wheel 348 extends to the coupling shaft portion 346 formed at both ends at the rear side of the guide frame 331 .
  • the rear wheel connecting shaft 321 is coupled when the moving structure 300 is used for the stroller 1 and the tricycle 2 .
  • the rear wheel connection shaft 321 has a shaft coupling part 325 coupled to the coupling shaft part 346 on one side, and a second shaft 338 coupled to the rear wheel 320 on the other side.
  • a fastening hole 326 that can be integrally fastened through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may be formed in the coupling shaft portion 346 and the shaft coupling portion 325 . It is possible to fix the shaft coupling part 325 and the coupling shaft part 336 of the rear wheel connection shaft 321 by fastening the bolts in a state in which the male and female coupling holes are matched.
  • the second shaft 338 is supported by shaft support means (not shown) such as bearings within the rear wheel connection shaft 321 to rotate.
  • the frame connection mechanism 322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ear wheel connection shaft 321 .
  • the first frame 221 of the lower support frame 220 is supported on the rear wheel connection shaft 321 by the frame connection mechanism 322 .
  • the frame connection mechanism 322 is install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suspension 322b for bufferably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first frame 221 and the rear wheel connection shaft 321 , and is coupled to the rear wheel 320 to lock the rear wheel 320 . It includes a rear wheel locking part 322a that is possible.
  • the suspension 322b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ar wheel locking part 322a,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frame 221 is fixedly formed.
  • the suspension 322b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means for preventing the first frame 221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from the fitted state.
  • the rear wheel locking part 322a includes a lock lever, and is configured to lock the rear wheel 320 by the operation of the lock lever.
  • the rear wheel locking part 322a is used in a known stroller.
  • the stroller 1 may convert the movable structure 300 into a bicycle 2 or a kickboard 3 in a state in which the seat part 100 and the support frame 200 are separated.
  • the driving frame 330 becomes the frame of the bicycle 2 or the kickboard 3 , and the components of the moving structure 300 may be separated, moved, combined, or added.
  • FIGS. 6 to 10 such a conversion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0 .
  •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moving structure of the stroll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o a three-wheeled bicycle (2).
  • the seat part 100 and the support frame 200 are separated and removed from the moving structure 300 .
  • the moving structure 300 for a bicycle includes a driving frame 330 , a front wheel 310 coupled to the support fork 312 in the front wheel coupling part 342 , and a rear wheel coupling part. It includes a rear wheel 320 coupled to and installed by a rear wheel connection shaft 312 at 345 .
  • the frame connecting mechanism 322 are removed.
  • the handle 400 is connected to the handle coupling part 344 provided at the upper end 343 of the front wheel coupling part 342 .
  • the handle 400 may be coupled to the handle coupling part 344 in a state in which the steering shafts 410 and 420 are coupled to the lower side.
  • the handle 400 is fixed to the handle fixing part 111 and disposed on the seat part 100 when used as a stroller (1), and is separated from the handle fixing part 111 when used as a bicycle (2) and the steering shaft 410, 420 is coupled to the handle coupling portion 344 in a state coupled to the lower end.
  • the steering shafts 410 and 420 are coupled to the support fork 312 through the handle coupling part 344 , and the steering of the current 310 is enabled by the handle 400 .
  • the steering shafts 410 and 420 may be multi-stage steering shafts so that the lengths of the plurality of steering shafts 410 and 420 are adjusted.
  • One steering shaft 420 may be inserted or drawn out to the other adjacent steering shaft 410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in multiple stages.
  • the steering shafts 410 and 420 have different diameters, but one steering shaft 410 forms a first fixing part 411 at the upper end so that the length of the other steering shaft 420 can be adjusted.
  • the other steering shaft 420 also forms a second fixing part 421 at the upper end to enable adjustment of the insertion depth of the handle 400 .
  • the first fixing part 411 and the second fixing part 421 are fixed or unlocked locking means, and various locking means may be adopted and used.
  • a pedal p is installed on the front wheel central shaft 311 supporting the front wheel 310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fork 312 .
  • the pedal (p) is a means for rotating the front wheel (310) when using the moving structure (300) in a three-wheeled bicycle.
  • the handle 400 includes a grip portion 401 form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grip part 401 in the handle 4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bolt portion 401a supported by the body of the handle 400 is provided inside the grip portion 401 , and a nut portion 401b corresponding to the bolt portion 401a is provided inside the grip portion 401 . is provided, and a bolt groove 401c for length adjustment is provided at the outer end of the grip portion 401 .
  • the bolt groove 401c formed at the end of the grip portion 401 By turning the bolt groove 401c formed at the end of the grip portion 401 , the length of the grip portion 401 protruding to both sides of the handle 400 may be adjusted.
  •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grip part 401 is adjusted to the maximum shortest, and when the handle 400 is used for steering a bicycle and a kickboard,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grip part 401 is adjusted to the maximum length. can be adjusted
  • the handle 400 can be commonly used in the stroller 1 , the bicycle 2 , and the kickboard 3 .
  • the moving structure 300 of the bicycle 2 includes a saddle frame 350 .
  • the saddle frame 350 is coupled to the driving frame 330 .
  • the saddle frame 350 is separated and stored separately when the moving structure 300 is used as a moving means of the stroller 1 , and is coupled to the driving frame 330 when used as the bicycle 2 .
  • the saddle frame 350 may include a horizontal plate 352 and a vertical plate 353 of a predetermined length to be formed in a 'L' shape.
  • the horizontal plate 352 and the vertical plate 35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hinge 354 .
  • the saddle frame 350 includes a coupling flange 351 for coupling with the driving frame 330 .
  • a coupling flange 351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front wheel coupling part 342 is formed at the end of the horizontal plate 352
  • a coupling flange 351 coupled to the guide frame 331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vertical plate 352 .
  • the coupling flange 351 has a coupling hole
  • the driving frame 330 has a coupling hole at a portion coupled to the coupling flange 351 .
  • the saddle frame 350 is separated from the movable structure 300 and stored completely folded, while in use, it is spread out in a 'L' shape and fastening members such as bolts are used. to be fixed to the driving frame 330 .
  • It includes a saddle (s) coupled to the saddle frame 350 when used as a bicycle (2), and a saddle coupling hole for fixing the saddle (s) is formed in the horizontal plate 352 .
  • a plurality of saddle coupling holes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plate 352 so that the saddle (s) can be placed and fix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 the footrest f provided on the upper end 343 of the front wheel coupling part 342 when used as the stroller 1 may be used as a saddle s in the tricycle 2 .
  • the footrest f coupled to the upper end 343 of the front wheel coupling part 342 and fixing it to the saddle frame 370 it becomes the saddle s of the three-wheeled bicycle 2 .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kickboard 3 converted from the stroll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coupling state between the kickboard footboard 450 and the guide frame 331 of the kickboard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ar wheel 320 is coupled to the rear wheel coupling part 345 of the driving frame 330 when used as a kickboard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 process of converting the stroll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o a kickboard 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
  • the seat part 100 and the support frame 200 are separated from the moving structure 300 .
  • the roller 332 and the joint part 333 for movably supporting the second frame 222 with respect to the guide frame 230 can be separated together.
  • the rear wheel coupling shaft 321 is separated from the rear wheel coupling part 345 , and the rear wheel 320 is directly coupled to the coupling shaft part 346 of the rear wheel coupling part 345 .
  • the moving structure 300 for the kickboard 2 is coupled to the driving frame 330 and the front wheel 310 and the rear wheel coupling part 345 that are installed by being coupled to the support fork 312 in the front wheel coupling part 342 . It includes a rear wheel 320 that is. In comparison with the moving structure 300 for the stroller 1 , the roller 332 , and the joint part 333 , the rear wheel connection shaft 321 , and the frame connection mechanism 322 are removed.
  • the handle 400 is attached to the handle coupling part 344 provided at the upper end 343 of the front wheel coupling part 342 . ) is connected.
  • the handle 400 may be coupled to the handle coupling part 344 with the steering shafts 410 and 420 coupled to the lower end thereof.
  • the handle 400 and the steering shafts 410 and 420 are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method of converting the stroller 1 into the tricycle 2 .
  • a kickboard footrest 450 on which a passenger's feet can be placed may be installed on the guide frame 331 .
  • the guide frame 331 may be fitted and fixed in a groove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kickboard footboard 450 .
  •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in which the rear wheel 320 is coupled to the rear wheel coupling part 345 of the driving frame 330 when the stroller 1 is converted into a kickboard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 the rear wheel 320 i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shaft 347 passing through the coupling shaft portion 346 on both sides of the rear wheel coupling portion 345 .
  • the first shaft 347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oupling shaft portion 346 is fitted into the center hole of the rear wheel 320 .
  • a coupling key 347a is formed on the first shaft 347 , and a keyway 320a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key 347a is formed in the center hole of the rear wheel 320 .
  • the coupling key 347a is fixed to the keyway 325a of the rear wheel 320 so that the rear wheel 320, the first shaft 347 and the brake wheel 348 rotate together.
  • the rear wheel 320 may be braked.
  • the brake wheel 348 directly serves as the rear wheel of the kickboard 3 .
  • the rear wheel 320 is not coupled.
  • FIG. 11 is a view showing a folding operation sequence of the stroll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9 ,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stroller 1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 the seat part 100 is removed from the stroller 1 .
  • the second frame 222 of the lower support frame 220 slides backward along the guide frame 331 . Since the second frame 222 is coupled through the joint portion 333 with the roller 332 installed in the guide frame 331, the slide movement backward along the guide frame 331 together with the roller 332 is make it possible
  • the locking device 232 of the frame support 230 that is supported between the upper support frame 210 and the lower support frame 220 in the support frame 200 to maintain a fixed state is unlocked.
  • the hinge 240 is It is possible to fold the upper support frame 210 with respect to the lower support frame 220 while rotating.
  • the lever 212 of the handle 211 located on the upper support frame 210 is operated so that the divided portion of the upper support frame 210 can be folded by the hinge part 241 .
  • the handle 211 may be completely fold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support frame 210 is folded.
  • the front wheel 310 After the front wheel 31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front wheel 310 and the footrest (f) are used as supports to stand up.
  • the stroll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folded and stored.
  • the stroller 1 separates the support frame 200 on which the seat part 100 is mounted from the stroller 1 as necessary, and separates some components from the moving structure 300, or the position It can be converted into a tricycle (2) or a kickboard (3) by changing, further assembling some components.
  • the driving frame 330 of the moving structure 300 may be used in the stroller 1 , the tricycle 2 or the kickboard 3 .
  • the stroller (1) can be used as a tricycle (2) or a kickboard (3) without disposing of the entirety, thereby providing resources Savings can be achieved and environmental pollution can be reduc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가 구비된 시트부; 상기 시트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프레임과,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의 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지지프레임과,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과 상기 하부지지 프레임간의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프레임 지지체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구조체로서,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을 폴딩 가능하게 지지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전방으로 'ㄱ'자 연결되는 전륜 결합부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후단 양측으로 형성되는 결합축부를 구비한 후륜 결합부를 포함하는 구동 프레임과, 상기 전륜 결합부에 지지포크에 지지되어 설치되는 전륜과, 상기 후륜 결합부에 후륜 연결축을 통해 설치되는 후륜을 포함하는 이동구조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모차
본 발명은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전거 또는 킥보드로 변환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구조체를 갖는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아, 유아를 포함한 취학 전의 어린이와 함께 산책, 외출 등을 할 때 가장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으로는 유모차를 들 수 있는데, 유모차는, 하단부에 바퀴가 결합되고 상단부에 손잡이가 구비된 프레임의 중앙부에 시트가 결합되는 기본적인 구조를 가지며, 시트의 아래에 위치하는 프레임 하부에는 어린이용품 등과 같은 경량의 소형물건을 간단히 수납할 수 있는 수납체가 구비되기도 한다.
유모차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기본으로 하여 프레임이 고정된 유모차 또는 프레임을 폴딩할 수 있는 유모차 등으로 구분되는데, 프레임이 고정된 유모차는, 유모차의 용도로만 사용할 수 있다는 사용상의 제약이 있는바, 그 활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프레임을 폴딩할 수 있는 유모차는, 폴딩 구조가 복잡하거나 폴딩 구조의 부피가 커서 많은 공간을 점유하게 되며, 유모차를 승용차에 실어서 운반하거나 사용하지 않을 때 폴딩하여 보관하는 것이 쉽지 않아 폴딩하지 않은 상태로 보관하거나 방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유모차의 사용 기간이 짧아짐에 따라, 유모차가 고장 등에 의해서 폐기되는 것이 아니라, 거의 새것이나 다름없음에도 자녀의 유모차 사용 연령이 지나서 버려지는 것이 대부분이라서, 이렇게 버려지거나 사용되지 않는 유모차들로 인해 심각한 자원 낭비와 환경 오염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129335호(2009.12.16)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전거 또는 킥보드로 변환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구조체를 갖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번의 조작에 의해 손쉽게 접을 수 있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모차는, 시트가 구비된 시트부; 상기 시트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프레임과,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의 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지지프레임과,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과 상기 하부지지 프레임간의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프레임 지지체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구조체로서,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을 폴딩 가능하게 지지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전방으로 'ㄱ'자 연결되는 전륜 결합부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후단 양측으로 형성되는 결합축부를 구비한 후륜 결합부를 포함하는 구동 프레임과, 상기 전륜 결합부에 지지포크에 지지되어 설치되는 전륜과, 상기 후륜 결합부에 후륜 연결축을 통해 설치되는 후륜을 포함하는 이동구조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은,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의 힌지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하여 폴딩가능하게 지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롤러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1 가이드부에 결합되는 제2 가이드부와,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의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롤러가 결합되는 결합슬리브를 가지는 조인트부를 안내하는 이동 가이드공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포크는 상기 전륜이 결합된 모듈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전륜 결합부의 상기 상단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포크는 한 쌍의 지지포크 부분을 구비하여 한 쌍의 전륜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 지지체는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과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의 상기 제1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단에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잠금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잠금장치의 잠금 해제에 따라 상기 프레임 지지체의 상단은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후륜 연결축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의 상기 제1 프레임이 고정되는 프레임 연결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 연결기구는, 상기 후륜 연결축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후륜을 잠금 가능하도록 상기 후륜과 연결된 후륜잠금부와, 상기 후륜잠금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을 완충가능하게 지지하는 서스펜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후륜 결합부는, 상기 양측 결합축부 사이에 연장되고 양단이 상기 결합축부의 중심을 통해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축; 상기 제1 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레이크 휠;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브레이크 휠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브레이크 휠에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브레이크 휠의 제동을 가능하게 하는 누름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후륜 연결축은, 일측 단부에 상기 결합축부와 일체로 결합되는 축결합부를 구비하고 타측 단부에 회전하는 제2 축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축에 상기 후륜이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부 프레임은 둘로 분할되어 힌지부에 의해 폴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단으로 구비된 손잡이에는 상기 분할 부위의 힌지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레버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 프레임의 상기 상단부에는 상기 지지포크의 조향을 가능하게 하는 핸들이 결합될 수 있는 핸들 결합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동구조체는 상기 지지프레임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 프레임에 결합된 안장 프레임과, 상기 안장 프레임에 결합된 안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포크에는 전륜 중심축과 연결되는 페달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들 결합부에 상기 핸들이 결합되어, 삼륜 자전거로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안장프레임은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에 힌지 연결된 수직판을 구비하여, 비사용시에 접어 보관가능한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동구조체는 상기 지지프레임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 프레임의 상기 후륜 결합부에 상기 후륜이 직접 연결되어 사용되되, 상기 후륜은 상기 제1축과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핸들 결합부에 상기 핸들이 결합되어 킥보드로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끼워지는 킥보드 발판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핸들은 하단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식 조향축을 구비하고, 상기 조향축의 하단이 상기 핸들 결합부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핸들은 양단으로 길이 조절가능하게 형성된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부에는 상기 핸들이 고정되어 안전바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핸들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핸들은 상기 핸들 고정부 또는 상기 핸들 결합부에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의하면, 유모차의 이동 구조체가 자전거 또는 킥보드의 프레임이 될 수 있는 구동 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유모차를 자전거 또는 킥보드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어린이가 유모차 사용연령을 지나는 경우 유모차를 폐기하지 않고 삼륜 자전거나 킥보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용 절감은 물론, 자원 절약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모차로 사용할 때 손쉽게 접어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이동 구조체에서 후륜과 후륜 연결축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포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서 이동 구조체를 삼륜 자전거로 변환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서 이동 구조체를 킥보드로 변환한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로 사용되는 이동구조체에서 발판과 가이드 프레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로 사용되는 이동구조체에서 후륜과 제1 축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폴딩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1)는, 시트부(100), 지지프레임(200), 이동 구조체(300)를 포함한다.
시트부(100)는 유아를 탑승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시트부(100)는 시트(110) 및 차양막(120)을 포함할 수 있다.
시트(110)는 유아가 탑승하는 부분으로, 직물 소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시트(110)의 하측에는 핸들(400)의 고정을 위한 핸들 고정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핸들 고정부(111)는 상부 지지프레임(210)의 하단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핸들(400)은 시트(110)의 바닥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핸들 고정부(111)에 결합되며, 핸들(400)은 핸들 고정부(11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핸들(400)은 유모차(1)로 사용될 때 시트부(110)와 함께 배치되어 안전바로 사용되며, 자전거(2) 또는 킥보드(3)로 변환될 때에는 핸들 고정부(111)로부터 분리되어 구동 프레임(330)의 전륜 결합부(342)에 조향을 위해 연결될 수 있다.
차양막(120)은 시트(110) 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햇빛이나 비를 차단하여 유아를 보호할 수 있게 형성된다.
지지프레임(200)은 상부 지지프레임(210), 하부 지지프레임(220), 프레임 지지체(230)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200)은 하단부에 이동 구조체(300)가 결합되고, 상단부에 손잡이(211)가 구비되며, 시트(110)를 지지하게 된다. 지지프레임(200)은 이동 구조체(30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부 지지프레임(210)은 상단부에 손잡이(211)가 구비된 역'U'자 형상으로, 시트(110)를 양측에서 지지하게 된다.
하부 지지프레임(220)은 상부 지지프레임(210)의 힌지부(240)를 통해 힌지 연결되며, 하단부에 이동 구조체(300)가 결합된다. 힌지부(240)는 상부 지지프레임(210)의 하단부 양측과 하부 지지프레임(220)의 상단부 양측이 서로 결합되어 공유하는 축 상에 설치되어, 상부 지지프레임(210)과 하부 지지프레임(220)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한다. 힌지부(240)에 의해, 상부 지지프레임(210)은 하부 지지프레임(220)에 대하여 폴딩될 수 있고, 상부 지지프레임(2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프레임 지지체(230)는 상부 지지프레임(210)과 하부 지지프레임(220) 사이에 지지되게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 지지체(230)는 상부 지지프레임(210)과 하부 지지프레임(220) 간의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형성된다. 프레임 지지체(230)의 하단은 하부 지지프레임(220)의 힌지(23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측이 상부 지지프레임(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프레임 지지체(230)는 상부 지지프레임(210)과 결합되는 부분인 상단에 잠금장치(232)를 구비한다. 유모차(1)의 운행 중에는 잠금장치(232)의 잠금에 의해 프레임 지지체(230)가 상부 지지프레임(210)에 대해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반면에, 유모차(1)를 폴딩할 경우에는 잠금장치(232)를 잠금 해제하여 프레임 지지체(230)가 상부 지지프레임(2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며 힌지부(240)를 중심으로 상부 지지프레임(210)을 제1 프레임(221)에 대해 회전시켜 폴딩할 수 있게 된다. 잠금장치(232)는 상부 지지프레임(210)에 대해 록(lock) 또는 언록(unlock)되는 잠금수단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잠금장치가 채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지지프레임(220)은 제1 프레임(221)과 제2 프레임(222)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221)은, 상측이 상부 지지프레임(210)에 대해 힌지부(24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측이 후륜(320)을 축연결하는 후륜 연결축(321) 상에 연결된다. 후륜 연결축(321)에는 제1 프레임(221)의 하단을 고정하는 프레임 연결기구(322)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프레임(222)은, 상측이 상기 제1 프레임(221)의 중간 부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며, 하측이 이동 구조체(300)의 가이드 프레임(331) 상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지지프레임(200)은 시트(110)가 함께 결합된 상태로 이동 구조체(300)에 대해 폴딩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상부 지지프레임(210)은 둘로 분할되어 폴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분할 부위에 힌지부(24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손잡이(211)에는 분할 부위의 힌지부(241)의 회전을 제어하는 레버(212)가 구비된다. 레버(212) 조작에 의해 상부 지지프레임(210)의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은 서로에 대해 폴딩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이동 구조체(300)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로서, 프레임 연결기구(322)가 생략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이동 구조체에서 후륜과 후륜 연결축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이동 구조체(3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 구조체(300)는 유모차(1)의 지지프레임(220)을 지지하며 이동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유모차(1)의 이동 구조체(300)는 구동 프레임(330)과 구동 프레임(330)에 결합된 전륜(310) 및 후륜(320)을 포함한다. 구동 프레임(330)은 자전거(2) 또는 킥보드(3)의 프레임이 될 수 있다.
구동 프레임(330)은 지지프레임(200)이 지지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프레임(331)과, 전륜(310)이 연결되는 전륜 결합부(342)와, 후륜(320)이 연결되는 후륜 결합부(345)를 포함한다.
가이드 프레임(331)은 하부 지지프레임(220)의 제2 프레임(222)을 가이드 프레임(3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가이드 프레임(331)은 내부에 롤러(332)를 구비하고, 롤러(332)에 제2 프레임(222)이 연결되어 가이드 프레임(33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롤러(332)에 의한 제2 프레임(222)의 이동은 유모차의 지지프레임(200)이 이동 구조체(300)에 대해 접히는 동작에 관련된다.
또한 가이드 프레임(331)에는 유모차(1)로 사용시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바구니(500)가 놓여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이드 프레임(331)은 제1 가이드부(331a)와 제2 가이드부(331b)를 포함한다.
제1 가이드부(331a)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롤러(332)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제2 가이드부(331b)는 제1 가이드부(331a)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2 가이드부(331b)는 제1 가이드부(331a)에 결합되는 판형 부재로 형성된다.
가이드 프레임(331)은 롤러(332)와 제2 프레임(222)을 연결시키는 조인트부(333)를 포함한다. 제2 가이드부(331b)의 상면에는 제1 가이드부(331a)에 배치된 롤러(332)와 결합된 조인트부(333)의 이동이 안내되는 이동 가이드공(331c)이 형성된다.
조인트부(333)는 상단으로 제2 프레임(222)이 결합되는 제1 결합슬리브(333a)를 구비하고, 하단으로 제1 가이드부(331a)에 설치된 롤러(332)가 결합되는 제2 결합슬리브(333b)를 구비한다. 조인트부(333)에 의해 제2 프레임(222)과 롤러(332)가 일체로 결합되어 일체로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하부 지지프레임(220)의 제2 프레임(222)은 가이드 프레임(331)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이동 가이드공(331c)은 제2 가이드부(331b)의 상면에 형성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가이드부(331a)의 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인트부(333)의 제2 프레임(222)과 결합되는 결합슬리브(333b)는 제1 가이드부(331a)의 측면에 형성된 이동 가이드공(331c)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동 프레임(330)은 전륜 결합부(342)를 포한한다. 전륜 결합부(342)는 가이드 프레임(331)의 전방에 구비되어 전륜(310)을 지지한다.
전륜 결합부(342)는 'ㄱ'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데, 가이드 프레임(331)의 전단으로부터 경사지게 상부로 연장되고 전륜(310)을 지지하는 지지포크(312)가 결합되는 상단부(343)를 구비한다.
전륜(310)은 지지포크(312)에 결합된 상태로 상단부(343)에 연결된다. 지지포크(312)는 전륜(31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상단부(343)에는 핸들(400)이 결합되는 핸들 결합부(344)가 구비된다.
핸들 결합부(344)는 지지포크(312)로부터 연장된 부분으로, 핸들(400)이 결합되어 전륜(310)의 조향을 가능하게 한다. 핸들 결합부(344)는 지지포크(312)의 축부분에 형성된 결합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핸들(400)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1)의 이동구조체(300)를 자전거(2) 또는 킥보드(3)로 변환할 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핸들(400)은 유모차의 시트부(100)로부터 분리된 핸들(400)일 수 있다. 핸들(400)은 핸들 결합부(344)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 내지 도 3 에서 지지포크(312)는 하나의 전륜(310)을 구비한 모듈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전륜(310)을 구비한 모듈이 될 수 있다.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지지포크(312)는 한 쌍의 지지포크 부분(312a, 312b)을 구비하고, 각각의 지지포크 부분(312a, 312b)에 전륜(310)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포크(312)는 전륜(310)과 결합된 모듈 형태로 상단부(343)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포크(312)는 상단부(343)의 전방으로 형성된 홈을 통해 상단부(343)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하나의 전륜(310)을 구비한 모듈 형태의 지지포크(312)가 상단부(343)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한 쌍의 전륜(310)을 구비한 형태로 변환하고자 하는 경우, 도 3에서 보이는 지지포크(312)를 상단부(343)로부터 분리하고, 도 5 에 도시된 한 쌍의 전륜(310)을 구비한 모듈 형태의 지지포크(312)를 상단부(343)에 끼워 결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1)에서, 전륜 결합부(342)의 상단부(343)에는 발판(f)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단부(343)에는 발판(f)의 고정을 위한 체결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발판(f)은 유모차(1)에서 유아의 발을 올려놓을 수 있게 형성된다. 유모차(1)를 삼륜 자전거(2) 및 킥보드(3)로 변환하여 사용할 경우, 삼륜 자전거(2) 및 킥보드(3)에서는 발판(f)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발판(f)은 분리된다. 후술하지만 발판(f)은 삼륜 자건거(2)에서 안장(s)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프레임(331)의 후단에는 후륜(320)의 연결을 위한 후륜 결합부(345)가 형성된다.
후륜 결합부(345)는 가이드 프레임(331)의 후단에서 양측으로 형성된 결합축부(346)를 포함한다. 결합축부(346)에는 후륜 연결축(321)를 통해 후륜(320)이 결합되거나 후륜(320)이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후륜 결합부(345)는 제1 축(347)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형의 브레이크 휠(348)과, 브레이크 휠(348)의 상부에 설치되는 누름판(349)을 포함할 수 있다.
브레이크 휠(348)은 양측의 결합축부(346) 사이에서 제1 축(347)에 일체로 결합되어 설치된다. 제1 축(347)은 양측의 결합축부(346) 사이에서 연장되고, 양단이 결합축부(346)의 중심부를 통해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1 축(347)은 브레이크 휠(348)과 함께 동작하도록 결합된다.
누름판(349)은 브레이트 휠(348)의 상부를 따라 굴곡지게 형성되고, 가이드 프레임(331)의 후단에 힌지 결합된다. 누름판(349)은, 브레이크 휠(348)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누름판(349)을 누르는 경우에만 브레이크 휠(348)과 접촉하여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누름판(349)의 내측 즉, 브레이크 휠(348)과 마주보는 표면에는 제동력의 향상을 위해 마찰판(미도시)이 부착될 수 있다. 누름판(349)의 하강 이동시 브레이크 휠(348)과의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고 제동이 이루어진다. 브레이크 휠(348)은 제1 축(347)과 함께 회전하므로 브레이크 휠(348)에 제동력이 인가되면, 제1 축(347)과 함께 동작하도록 결합된 부분에도 제동력이 인가된다.
브레이트 휠(348)과 누름판(349)은 풋 브레이크 장치를 형성하여 안정적인 제동을 가능하게 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모차(1)에서 후륜(320)은 후륜 연결축(321), 프레임 연결기구(322)와 결합된다.
후륜 연결축(321)은 양측의 결합축부(346) 각각에 결합된다. 가이드 프레임(331)의 후측에서 양단으로 형성된 결합축부(346)에는 브레이크 휠(348)의 중심을 관통한 제1 축(347)이 연장된다. 후륜 연결축(321)은 이동 구조체(300)가 유모차(1)와 삼륜 자전거(2)를 위해 사용될 때 결합된다.
후륜 연결축(321)은 일측에 결합축부(346)와 결합되는 축결합부(325)를 구비하며, 타측에 후륜(320)과 결합되는 제2 축(338)을 구비한다. 결합축부(346)와 축결합부(325)에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일체로 체결할 수 있는 체결공(326)이 형성될 수 있다. 후륜 연결축(321)의 축결합부(325)와 결합축부(336)를 암수 결합하고 체결공들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볼트를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제2 축(338)은 후륜 연결축(321) 내에서 베어링 등의 축지지수단(미도시)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하게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연결기구(322)는 후륜 연결축(321)에 일측으로 설치된다. 하부 지지프레임(220)의 제1 프레임(221)은 프레임 연결기구(322)에 의해 후륜 연결축(321)에 지지된다.
프레임 연결기구(322)는 제1 프레임(221)의 하단을 완충가능하게 지지하는 서스펜션(322b)과 후륜 연결축(321)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후륜(320)과 결합되어 후륜(320)을 잠금가능하하는 후륜잠금부(322a)를 포함한다.
서스펜션(322b)은 후륜잠금부(322a)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1 프레임(221)의 하단이 고정가능하게 형성된다. 서스펜션(322b)에는 제1 프레임(221)이 끼워진 상태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후륜잠금부(322a)는 잠금레버를 포함하며, 잠금레버의 동작에 의해 후륜(320)을 잠금할 수 있게 구성된다. 후륜잠금부(322a)는 공지의 유모차에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1)는, 시트부(100) 및 지지프레임(200)을 분리한 상태에서 이동 구조체(300)를 자전거(2) 또는 킥보드(3)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구동 프레임(330)이 자전거(2) 또는 킥보드(3)의 프레임이 되며, 이동 구조체(300) 일부의 구성요소를 분리하거나, 위치 이동하여 결합하거나, 추가할 수 있다. 아래에서 도 6 내지 도 10 을 참조하여 이러한 변환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1)의 이동 구조체를 삼륜 자전거(2)로 변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유모차(1)를 삼륜 자전거(2)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동 구조체(300)로부터 시트부(100) 및 지지프레임(200)을 분리하여 제거한다.
이동 구조체(300)로부터 지지프레임(200)을 제거할 때, 제2 프레임(222)을 가이드 프레임(331)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332) 및 조인트부(333)와, 제1 프레임(221)을 후륜 연결축(321)에 연결하는 프레임 연결기구(322)가 함께 제거될 수 있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를 위한 이동 구조체(300)는, 구동 프레임(330)과, 전륜 결합부(342)에 지지포크(312)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전륜(310), 후륜 결합부(345)에 후륜 연결축(312)에 의해 결합되어 설치되는 후륜(320)을 포함한다. 유모차(1)를 위한 이동 구조체(300)와 대비할 때, 롤러(332), 및 조인트부(333), 프레임 연결기구(322)가 제거된 상태이다.
삼륜 자전거(2)로의 변환을 위해서는, 전륜 결합부(342)의 상단부(343)에 구비된 핸들 결합부(344)에 핸들(400)이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핸들(400)은 하측으로 조향축(410, 420)이 결합된 상태로 핸들 결합부(344)에 결합될 수 있다. 핸들(400)은 유모차(1)로 사용시 핸들 고정부(111)에 고정되어 시트부(100)에 배치되며, 자전거(2)로 사용시에는 핸들 고정부(111)로부터 분리되고 조향축(410, 420)이 하단에 결합된 상태로 핸들 결합부(344)에 결합된다.
조향축(410, 420)은 핸들 결합부(344)를 통해 지지포크(312)에 결합되고, 핸들(400)에 의해 전류(310)의 조향이 가능하게 된다.
조향축(410, 420)은 복수의 조향축(410, 420)이 길이 조절하게 다단식 조향축일 수 있다. 하나의 조향축(420)이 인접한 다른 하나의 조향축(410)에 삽입 또는 인출되어 다단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조향축(410, 420)은 그 직경이 서로 다른 것을 적용하되, 하나의 조향축(410)은 상단부에 제1 고정부(411)를 형성하여 다른 조향축(420)의 길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다른 조향축(420)도 상단부에 제2 고정부(421)를 형성하여 핸들(400)의 삽입 깊이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제1 고정부(411)와 제2 고정부(421)는 고정 또는 고정 해제되는 잠금수단으로서, 다양한 잠금수단이 채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지지포크(312)의 양측으로 전륜(310)을 지지하는 전륜 중심축(311)에는 페달(p)이 설치된다. 페달(p)은 삼륜 자전거로 이동 구조체를(300)를 사용할 때 전륜(310)을 회전시키는 수단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핸들(400)은 길이 조절가능하게 형성된 그립부(401)를 포함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400)에서 그립부(401)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그립부(401) 내측으로 핸들(400)의 몸체에 지지되는 볼트부(401a)가 구비되고, 그립부(401) 내측에는 상기 볼트부(401a)에 대응되는 너트부(401b)가 구비되고, 그립부(401)의 외측 단부에는 길이 조절을 위한 볼트홈(401c)이 구비된다. 그립부(401)의 단부에 형성된 볼트홈(401c)을 돌려 그립부(401)가 핸들(400) 양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핸들(400)이 유모차에서 안전바로 사용될 때는 그립부(401)의 돌출 길이를 최대로 짧게 조정하고, 핸들(400)이 자전거 및 킥보드의 조향을 위해 사용될 때는 그립부(401)의 돌출 길이를 최대로 길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핸들(400)의 그립부(401)를 길이 조절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핸들(400)을 유모차(1) 및 자전거(2), 킥보드(3)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자전거(2)의 이동 구조체(300)는 안장 프레임(350)을 포함한다. 안장 프레임(350)은 구동 프레임(330)에 결합된다. 안장 프레임(350)은 이동 구조체(300)가 유모차(1)의 이동 수단으로 사용될 때는 분리되어 별도로 보관되며, 자전거(2)로 사용시 구동 프레임(330)에 결합된다.
안장 프레임(350)은 소정 길이의 수평판(352)과 수직판(353)을 구비하여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판(352) 및 수직판(353)은 힌지(354)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안장 프레임(350)은 구동 프레임(33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 플랜지(351)를 포함한다. 수평판(352)의 단부에 전륜 결합부(342)의 측면에 결합되는 결합 플랜지(351)가 형성되고, 수직판(352)의 단부에 가이드 프레임(331)에 결합되는 결합플랜지(351)가 형성된다. 결합 플랜지(351)는 체결공을 가지며, 구동 프레임(330)은 결합 프랜지(351)와 결합되는 부분에 체결공을 가진다.
수평판(352)와 수직판(353)은 힌지(354)에 연결되므로, 서로에 대해 접힘가능하다. 따라서, 유모차(1) 또는 킥보드(3)로 사용할 경우 안장 프레임(350)을 이동 구조체(300)로부터 분리하여 완전히 접어 보관하는 한편, 사용시에는 'ㄱ'자 형상으로 펼쳐서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구동 프레임(330)에 고정할 수 있다.
자전거(2)로의 사용시 안장 프레임(350)에 결합되는 안장(s)을 포함하며, 수평판(352)에는 안장(s)의 고정을 위한 안장 결합공이 형성된다. 안장(s)을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수평판(35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안장결합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유모차(1)로 사용 시에 전륜 결합부(342)의 상단부(343)에 제공된 발판(f)을 삼륜 자전거(2)에서는 안장(s)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전륜 결합부(342)의 상단부(343)에 결합된 발판(f)을 분리하여 안장 프레임(370)에 고정함으로써, 삼륜 자전거(2)의 안장(s)이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1)로부터 변환된 킥보드(3)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3)의 킥보드 발판(450)과 가이드 프레임(331)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킥보드(3)로 사용시 구동 프레임(330)의 후륜 결합부(345)에 후륜(320)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8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따른 유모차(1)를 킥보드(3)로 변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 에 도시된 유모차(1)로부터 킥보드(3)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동 구조체(300)로부터 시트부(100) 및 지지프레임(200)을 분리한다. 이동 구조체(300)로부터 지지프레임(200)을 분리할 때, 제2 프레임(222)을 가이드 프레임(230)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332) 및 조인트부(333)를 함께 분리할 수 있다. 후륜 결합부(345)로부터 후륜 연결축(321)이 분리되며, 후륜 결합부(345)의 결합축부(346)에 후륜(320)이 직접 결합된다.
킥보드(2)를 위한 이동 구조체(300)는, 구동 프레임(330)과, 전륜 결합부(342)에 지지포크(312)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전륜(310), 후륜 결합부(345)에 결합되는 후륜(320)을 포함한다. 유모차(1)를 위한 이동 구조체(300)와 대비할 때, 롤러(332), 및 조인트부(333), 후륜 연결축(321), 프레임 연결기구(322)가 제거된 상태이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구조체(300)를 킥보드(3)로 변환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전륜 결합부(342)의 상단부(343)에 구비된 핸들 결합부(344)에 핸들(400)이 연결된다.
핸들(400)은 하단에 조향축(410, 420)이 결합된 상태로 핸들 결합부(344)에 결합될 수 있다. 핸들(400)과 조향축(410, 420)은 유모차(1)를 삼륜 자전거(2)로 변환하는 방식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도 9 를 참조하면, 가이드 프레임(331) 상에는 탑승자의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킥보드 발판(450)이 설치될 수 있다. 킥보드 발판(450)의 하면으로 형성된 홈에 가이드 프레임(331)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유모차(1)를 킥보드(3)로 변환할 때 구동 프레임(330)의 후륜 결합부(345)에 후륜(320)이 결합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륜 결합부(345)의 양측의 결합축부(346)를 관통하는 제1 축(347)에 후륜(320)이 각각 결합된다. 이 때 결합축부(346)의 중심부에 위치한 제1 축(347)이 후륜(320)의 중심공에 끼워진다. 제1 축(347)에는 결합키(347a)가 형성되고, 후륜(320)의 중심공에 상기 결합키(347a)에 대응되는 키홈(320a)이 형성된다. 결합키(347a)가 후륜(320)의 키홈(325a)에 고정되어 후륜(320), 제1 축(347) 및 브레이크 휠(348)이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누름판(349)을 눌러 브레이크 휠(348)에 제동력을 가함으로써, 후륜(320)을 제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1)를 킥보드(3)로 변환할 때, 브레이크 휠(348)이 직접 킥보드(3)의 후륜 역할을 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 경우 후륜(320)은 결합되지 않는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1)의 폴딩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유모차(1)의 폴딩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지프레임(200)의 폴딩 동작을 보여주기 위해, 유모차(1)에서 시트부(100)를 제거한 상태로 도시하였다.
먼저, 하부 지지프레임(220)의 제2 프레임(222)이 가이드 프레임(331)을 따라 후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제2 프레임(222)은 가이드 프레임(331) 내에서 설치된 롤러(332)와 조인트부(333)를 통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롤러(332)와 함께 가이드 프레임(331)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
이때, 지지프레임(200)에서 상부 지지프레임(210)과 하부 지지프레임(220) 사이에 지지되어 고정 상태를 유지하는 프레임 지지체(230)의 잠금장치(232)가 잠금 해제된다. 프레임 지지체(230)에 구비된 잠금장치(232)의 잠금 해제에 의해 프레임 지지체(230)의 상단이 손잡이(211) 방향으로 상부 지지프레임(2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면 힌지부(240)가 회전하면서 하부 지지프레임(220)에 대해 상부 지지프레임(210)을 폴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부 지지프레임(210)에 위치한 손잡이(211)의 레버(212)를 작동시켜 힌지부(241)에 의해 상부 지지프레임(210)의 분할 부분이 폴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손잡이(211)는 상부 지지프레임(210)이 폴딩된 방향으로 완전히 폴딩할 수 있다.
전륜(310)을 소정 각도로 회전시킨 다음 전륜(310)과 발판(f)을 지지대로 활용하여 세울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1)는 손쉽게 폴딩하여 접어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1)는 필요에 따라 유모차(1)에서 상기 시트부(100)가 장착된 지지프레임(200)을 분리하고, 이동 구조체(300)로부터 일부의 구성요소를 분리하거나, 위치 변경, 일부 구성요소를 추가 조립하는 것에 의해 삼륜 자전거(2) 또는 킥보드(3)로 변환할 수 있다.
이동 구조체(300)의 구동 프레임(330)은 유모차(1), 삼륜 자전거(2) 또는 킥보드(3)에서 겸용될 수 있다. 유모차(1)를 사용하던 유아가 성장하여 자전거(2)나 킥보드(3)가 필요할 때 유모차(1)를 전체를 폐기하지 않고 삼륜 자전거(2)나 킥보드(3)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원 절약을 도모하고,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7)

  1. 시트가 구비된 시트부;
    상기 시트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프레임과,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의 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지지프레임과,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과 상기 하부지지 프레임간의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프레임 지지체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구조체로서,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을 폴딩 가능하게 지지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전방으로 'ㄱ'자 연결되는 전륜 결합부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후단 양측으로 형성되는 결합축부를 구비한 후륜 결합부를 포함하는 구동 프레임과, 상기 전륜 결합부에 지지포크에 지지되어 설치되는 전륜과, 상기 후륜 결합부에 후륜 연결축을 통해 설치되는 후륜을 포함하는 이동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은,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의 힌지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하여 폴딩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롤러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1 가이드부에 결합되는 제2 가이드부와,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의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롤러가 결합되는 결합슬리브를 가지는 조인트부를 안내하는 이동 가이드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포크는 상기 전륜이 결합된 모듈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전륜 결합부의 상기 상단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포크는 한 쌍의 지지포크 부분을 구비하여 한 쌍의 전륜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지지체는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과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의 상기 제1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단에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잠금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잠금장치의 잠금 해제에 따라 상기 프레임 지지체의 상단은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 연결축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의 상기 제1 프레임이 고정되는 프레임 연결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연결기구는
    상기 후륜 연결축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후륜을 잠금 가능하도록 상기 후륜과 연결된 후륜잠금부와, 상기 후륜잠금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을 완충가능하게 지지하는 서스펜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 결합부는
    상기 양측 결합축부 사이에 연장되고 양단이 상기 결합축부의 중심을 통해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축;
    상기 제1 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레이크 휠;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브레이크 휠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브레이크 휠에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브레이크 휠의 제동을 가능하게 하는 누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 연결축은, 일측 단부에 상기 결합축부와 일체로 결합되는 축결합부를 구비하고 타측 단부에 회전하는 제2 축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축에 상기 후륜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둘로 분할되어 힌지부에 의해 폴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단으로 구비된 손잡이에는 상기 분할 부위의 힌지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레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프레임의 상기 상단부에는 상기 지지포크의 조향을 가능하게 하는 핸들이 결합될 수 있는 핸들 결합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구조체는 상기 지지프레임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 프레임에 결합된 안장 프레임과, 상기 안장 프레임에 결합된 안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포크에는 전륜 중심축과 연결되는 페달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들 결합부에 상기 핸들이 결합되어, 삼륜 자전거로 사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프레임은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에 힌지 연결된 수직판을 구비하여, 비사용시에 접어 보관가능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구조체는 상기 지지프레임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 프레임의 상기 후륜 결합부에 상기 후륜이 직접 연결되어 사용되되, 상기 후륜은 상기 제1축과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구동 프레임의 상기 상단부에는 상기 지지포크의 조향을 가능하게 하는 핸들이 결합될 수 있는 핸들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핸들 결합부에 상기 핸들이 결합되어 킥보드로 사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끼워지는 킥보드 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6. 제1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하단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식 조향축을 구비하고, 상기 조향축의 하단이 상기 핸들 결합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7. 제1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양단으로 길이 조절가능하게 형성된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부에는 상기 핸들이 고정되어 안전바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핸들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핸들은 상기 핸들 고정부 또는 상기 핸들 결합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PCT/KR2020/014102 2020-10-15 2020-10-15 유모차 WO2022080531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4102 WO2022080531A1 (ko) 2020-10-15 2020-10-15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4102 WO2022080531A1 (ko) 2020-10-15 2020-10-15 유모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80531A1 true WO2022080531A1 (ko) 2022-04-21

Family

ID=81209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4102 WO2022080531A1 (ko) 2020-10-15 2020-10-15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2080531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546Y1 (ko) * 2007-06-11 2007-12-11 이종천 유모차용 동력발생장치
KR20120002290A (ko) * 2010-06-30 2012-01-05 이재완 완충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KR20160114440A (ko) * 2015-03-24 2016-10-05 릴레이인터내셔널 주식회사 변형 가능한 운송 장치 및 이것에 구비된 조인트 모듈
JP2017030559A (ja) * 2015-07-31 2017-02-09 コンビ株式会社 折り畳み式の乳母車
KR20190121717A (ko) * 2019-08-06 2019-10-28 유상진 유모차
KR20210041492A (ko) * 2019-10-07 2021-04-15 유상진 유모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546Y1 (ko) * 2007-06-11 2007-12-11 이종천 유모차용 동력발생장치
KR20120002290A (ko) * 2010-06-30 2012-01-05 이재완 완충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KR20160114440A (ko) * 2015-03-24 2016-10-05 릴레이인터내셔널 주식회사 변형 가능한 운송 장치 및 이것에 구비된 조인트 모듈
JP2017030559A (ja) * 2015-07-31 2017-02-09 コンビ株式会社 折り畳み式の乳母車
KR20190121717A (ko) * 2019-08-06 2019-10-28 유상진 유모차
KR20210041492A (ko) * 2019-10-07 2021-04-15 유상진 유모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07114A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WO2016153093A1 (ko) 변형 가능한 운송 장치 및 이것에 구비된 조인트 모듈
WO2019198968A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
WO2012118263A1 (en) Walking assistance system
WO2010147310A2 (ko) 수동 주행기구
WO2020101113A1 (ko) 유아용 웨건
WO2019203505A1 (ko) 유모차
WO2014148721A1 (ko) 주행중 앉은 자세로 자전거의 안장 각도를 조절하는 장치
KR102439207B1 (ko) 유모차
WO2017179745A1 (ko) 위치변경이 가능한 유아용 카시트
WO2013025028A1 (ko)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
WO2019054652A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WO2022080531A1 (ko) 유모차
WO2017023145A1 (ko) 후방 조향 장치가 구비된 전동차
WO2016104950A1 (ko) 오토슬라이딩 타입의 마사지장치
WO2015105395A1 (ko) 유모차
WO2018194322A1 (ko) 스쿼트 자전거
WO2014088152A1 (ko)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WO2020204517A1 (ko) 접이식 사륜 핸드카트
WO2019117481A1 (ko) 킥보드 장치
KR100955659B1 (ko) 다기능 운송장치
WO2016060477A1 (ko) 절첩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WO2016171497A1 (ko) 자전거
WO2022010111A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유아용 웨건
EP3981668A1 (en) S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5777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5777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