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88152A1 -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88152A1
WO2014088152A1 PCT/KR2013/000686 KR2013000686W WO2014088152A1 WO 2014088152 A1 WO2014088152 A1 WO 2014088152A1 KR 2013000686 W KR2013000686 W KR 2013000686W WO 2014088152 A1 WO2014088152 A1 WO 201408815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heel
plate
pressing
compress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068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송병문
Original Assignee
세풍전자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풍전자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풍전자공업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408815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8815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or stretc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or stretchers
    • A61G3/08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wheelchair fixing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mounted on a vehicle which is a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a bus or a subway to stably fix the wheel of the electric wheelchair, and a phenomenon in which the electric wheelchair is released from a safety accident of the vehicl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electric wheelchair fixing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preventing the same.
  • a conventional wheelchair is largely divided into a manual wheel chair that is moved by a user by turning the wheel handle through muscle strength by an arm, and an electric wheel chair that is electrically driven by generating power according to its own electricity supply.
  • Patent Registration No. 839569 (2008.06.12.) Of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eans of transportation including buses, trains, ships, the upper surface
  • a base panel for mounting device components First and second pressure rods attached to the base panel,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ounted to face each other,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panel by first and second pivots; It is attached to the base panel,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rod, a rack gear is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and one end of the mobile upper and lower plates connected to the second pressure rod by a pivot ;
  • a pinion gear meshed with the rack gear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lates to transmit rotational driving force to the rack gears;
  • a motor coupled to the shaft of the pinion gear to generate a rotational driving force to the pinion gear; It is rotatably coupled between the first pressing rod and the moving upper / lower plate, and when the moving upper / lower plate is moved so that the second pressing rod is
  • Patent No. 928081 (2009.11.16.) Of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a means of transportation including a bus or a train, and a base for mounting device components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 a pinion gear and a pressurizing drive unit configured to be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and convert a rotational motion into a linear motion are included, and the wheels of the wheelchair are mutually pressurized by the inner / outer pressure plate coupled to the end of the pressurizing drive unit.
  • Wheel fixing devices for wheelchairs are known which are provided on a mov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y have an excellent fixation force as fixed to prevent rolling mo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wheel of the electric wheel chair to the vehicle stably fixed to ensure the convenience and safety of the electric wheel chair user using public transport, the wheel of the electric wheel chair It is to provide a vehicle electric wheelchair fixing device that can greatly improve the fixing performance to hold the wheelchair by configuring to be fixed to the lower and rear parts, respectively, its purpose.
  •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applied to a single power source to be simultaneously squeezed from side to side to form a simple structure and to contact the surface of the wheels of the wheelchair to squeeze with a high fixing force at the same time to secure the wheel portion of the wheel electric motor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torized wheelchair fixing device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wheelchair.
  • the vehicle electric wheelchair fixing devic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ross-section of a "c" shape and is fixedly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and has a wheel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wheels of the wheelchair are opened to enter in one direction and move up and down.
  • a second compression unit mounted on the upper facility space of the body case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first compression unit and pressing both sides against the rear portion of the wheel entering the wheel accommodation space.
  • the body case further comprises a power detecting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pressing unit and the second pressing unit by detecting whether the wheel entered into the wheel accommodation space.
  • the power detecting unit includes a contact switch provided with a restoring spring so that a wheel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wheel accommodation space of the body case and a pressing action is performed inside, and a sensing sensor sensing whether the wheel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witch. .
  • the first compression unit and the second compression unit are a pair of first compression means and the second compression means which is installed in a symmetrical structure facing each other around the wheel receiving space, the first compression means and the first A first plate and a second plat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rimping means and rotatably installed by a hinge shaft, and a first plate connected to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d operatively energized. It comprises a drive means and a second drive means.
  • the first pressing means and the second pressing means forms a wall surface of the wheel accommodation space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wheel to be pressurized, the first pressing plate and the second pressing plate provided with a pin hole, and the first A first support plate and a second support plate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late and the second plate to support a pressing action of the first press plate and the second press plate, the first press plate and the first support plate Wheel portions of the wheels positioned in the wheel accommodation spaces between the second compression plates and the second support plates, respectively, and protruding toward the pin access holes of the first compression plates and the second compression plates. It consists of a first escape prevention pin and a second escape prevention pin for fixing the.
  • the first compression plate and the second compression plate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a distance from the left and right to the facility space in the body case, and the first compression plate and the second compression plate according to the force applied to the second compression plate and A first tilting means and a second tilting means are formed so that the second pressing plate can be tilted.
  • the first tilting means and the second tilting means may include a first support block and a second support block fixedly installed in a facility space in the body case corresponding to one surface of the first compression plate and the second compression plate; It is composed of a spring position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support block and the first compression plate and between the second support block and the second compression plate.
  • the second pressing plate may be configured in a block shape having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wheel having a concave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wheel.
  • the first release preventing pin and the second release preventing pin constitute a compression spring provided at the rear to protrude toward the front until contact with the wheel.
  • the first release preventing pin is configured in a pair with a left and right distance to the first pressing plate.
  • the first driving means and the second driving means is a rack bracket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left plate i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respectively, and provided with a rack gear to linearly move from side to side;
  • a pinion bracket engaged with the bracket and rotatably rotatable and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right plate i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respectively, mounted on the pinion bracket and applying power to the pinion gear. It consists of a drive motor.
  •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locking means installed on the second pressing portion and presses and fixes the rear surface against the rear portion of the wheel entered the wheel accommodation space.
  • the locking means has a fixed block in which a receiving groove is formed to form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on one side, and a driving cylinder that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xed block and the fixed block is reciprocally moved back and forth. Is done.
  • the electric wheelchair fixing device for a vehicle can secure the electric wheelchair in a locked state in a vehicle, which is a public means of transport, to protect a user who is inconvenient and to use public transportation in a convenient manner. Gain effects that can be planned.
  • the electric wheelchair fixing device for a vehicle improves the fixing performance of holding the wheelchair by fixing the lower and rear portions with respect to the wheels of the electric wheel chair, respectively, to prevent shaking caused dur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and to greatly improve stability. It can be effected.
  • the electric wheel chair fixing device for a vehicle has a simple structure to control the left and right crimping means from a single drive motor to facilitate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required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effect to secure price competitiveness There is.
  • the electric wheel chair fix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wheel of the electric wheel chair to fix the wheel portion of the wheel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electric wheel chair from safety accidents, such as overturning of the vehicle to prevent injury to the user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inimize the damage of expensive electric wheelchair.
  • the lock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 locking means in the first crimping portion, there is an effect of more effectively preventing the departure of the wheel of the electric wheel chair and maximizing safety.
  • FIG. 1 is a perspective photograph showing a typical electric wheelchair by way of example.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crimping portion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means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 crimping portion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plan view parti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press plate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use of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first crimping portion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first crimping portion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second crimping portion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ross-section of the "c" shape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is fixedly installed, and has a wheel accommodation space open to the wheel of the wheelchair in one direction to enter and partitioned up and down each divided space
  • a first compression unit mounted on the lower facility space of the body case and pressing both sides of the wheel against the lower portion of the wheel entering the wheel accommodation space;
  • a second compression unit mounted on the upper facility space of the body case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first compression unit and pressing both sides against the rear portion of the wheel entered into the wheel accommodation space.
  • the body cas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ic wheel chair fixing device for a vehicle further comprises a power detecting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pressing unit and the second pressing unit by detecting the acceptance of the wheel entered into the wheel accommodation space. It is done.
  • the power detecting unit includes a contact switch provided with a restoring spring so that the wheel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wheel receiving space of the body case and the inner side can be pressed, and a sensing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wheel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witch.
  • An electric wheel chair fixing device for a vehicle is characterized by a technical configuration.
  • first compression unit and the second compression unit is a pair of first compression means and the second compression means which is installed in a symmetrical structure facing each other around the wheel receiving space, the first compression means and the A first plate and a second plat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crimping means and rotatably installed by a hinge shaft, and connected to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d operatively energized.
  • An electric wheel chair fixing device for a vehicle including a first driving means and a second driving means is characterized by a technical configuration.
  • the first pressing means and the second pressing means forms a wall surface of the wheel accommodation space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wheel is formed to be pressurized, the first pressing plate and the second pressing plate provided with a pin hole, and the second A first support plate and a second support plate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to support the pressing action of the first press plate and the second press plate, the first press plate and the first plate Wheels of the wheels located in the wheel receiving space, respectively located between the support plate and between the second pressing plate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protruding toward the pin access hole of the first pressing plate and the second pressing plate
  • An electric wheelchair fixing device for a vehicle including a first release preventing pin and a second release preventing pin for fixing a portion is characterized by a technical configuration.
  • first pressing plate and the second pressing plate are installed at a distance from the left and right to the facility space in the body case, respectively, the first pressing plate according to the force applied to the first pressing plate and the second pressing plate
  • an electric wheelchair fixing device for a vehicle including a first tilting means and a second tilting means formed such that the second pressing plate is inclined.
  • first tilting means and the second tilting means and the first support block and the second support block fixedly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in the body case corresponding to one surface of the first pressing plate and the second pressing plate;
  • Technical features of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a vehicle electric wheelchair fixing device including a spring position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support block and the first pressing plate and between the second support block and the second pressing plate.
  • the second press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a vehicle electric wheelchair fixing device made of a block shape having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wheel concave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wheel.
  • first release preventing pin and the second release preventing pi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ic wheel chair fixing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compression spring provided on the rear so as to project toward the front until contact with the wheel.
  • the first release prevention pi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electric wheelchair fixed device configured in a pair with a left and right distance to the first pressing plate.
  • first driving means and the second driving mean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left plate i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d the rack gear is provided with a rack gear to be linearly moved left and right, and the A pinion bracket which is engaged with the rack bracket and is rotatable so as to be rotatable and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right plate i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respectively, mounted on the pinion bracket and applying power to the pinion gear.
  • An electric wheelchair fixing device for a vehicle including a drive motor is characterized by a technical configura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ic wheel chair fixing apparatus for a vehicle further comprises a locking means for pressing the rear surface against the rear portion of the wheel entered the wheel accommodation space and entered into the wheel accommodation space.
  • the locking means is a fixed block having a receiving groove is formed to form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on one side, the drive is connected to one side to the fixed block and the fixed block is capable of reciprocating back and forth
  • An electric wheelchair fixing device for a vehicle including a cylinder is characterized by a technical configuration.
  • the electric wheel chair fixing device for a vehicle is for fixing an electric wheel chair 1 in a vehicle.
  •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electric wheel chair 1 is briefly supported to support a user in a sitting posture.
  • Body frame (3) a relatively large diameter rear wheel (W) is installed to the rear to move the body frame (3), and is installed in front to maintain the body frame (3) in a stable position on the rear wheel (W) It is made to have a relatively small front wheel (5).
  • an exemplary embodiment of an electric wheelchair fixing apparatus for a vehicle includes a body case 10, a first compression unit 100, and a second compression unit 200.
  • the body case 10 is installed to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lace of the vehicle, and is fixedly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That is, the body case 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olt holes (not shown in the figure) to b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it is coupled to the bolt mounting.
  • the body case 10 is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 of a "c" shape, and the rear wheel of the wheelchai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wheel (W)) in one direction allows entry of the general wheel (W).
  • the wheel accommodation space 11 is opened to have a width larger than the width.
  • the wheel accommodation space 11 has a length and a large width extending in the entry direction sufficiently to accommodate the auxiliary wheels when the wheel (W) in the wheelchair and the auxiliary wheel (not shown in the drawing) is equipped with It is preferable to construct.
  • the body case 10 is provided with a facility space 13 up and down but divided into an upper facility space 13 and a lower facility space 13 to form a multi-layer structure to form a divided space.
  • the facility space 13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facility space 13 of the body case 10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crimping unit 100 is operable, the facility space 13 provided on the upper side
  • the second crimping unit 200 is installed in an operable structure.
  • the body case 10 has a structure that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etween the base plat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and the cover formed to have an empty space, that is, the installation space 13 therein, the installation space 13 of the body case 10 ) Is preferably configured to form an openable structure.
  • the body case 10 further includes a power detecting unit 15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oward the first compression unit 100 and the second compression unit 200 provided in the facility space (13). To configure.
  • the power detecting unit 15 performs a function of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wheel (W) entered into the wheel accommodation space 11 of the body case 10, the contact switch 16 and the detection sensor 17. ).
  • the contact switch 16 is locat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wheel (W) of the wheel receiving space 11 of the body case 10 enters the wheel (W) is installed so as to be in contact.
  • the contact switch 16 may be installed in the body case 10 in which the first crimping part 100 is located, or in the body case 10 in which the second crimping part 200 is located. It is possible.
  • the contact switch 16 is hingedly installed so that a predetermined angle can be rotated by the contact of the wheel (W) entered into the wheel accommodation space (11).
  • the detection sensor 17 detects the contact of the wheel (W) by the pressing action of the contact switch 16. That is, when the wheel (W)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witch 16 is located so that the contact with the contact switch 16 detects the acceptance of the wheel (W).
  • the first compression unit 100 performs a function of pressing and fixing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wheel W entered into the wheel accommodation space 11 of the body case 10.
  • the first crimping part 100 is mounted in the lower facility space 13 of the facility space 13 of the body case 10, and the first compression means 110 and , The first plate 120 and the first driving means 130.
  • the first compression means 110 and the first plate 120 is a pair in a symmetrical structure but made of the same structure and configuration.
  • the first compression means 110 is installed in a pair of left and right symmetrical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wheel receiving space 11, the first compression plate 111 and the first support plate 113 and the first It is composed of a release prevention pin (115).
  • the first pressing plate 111 is formed in a boar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provided to form both wall surfaces in the wheel accommodation space 11 of the body case 10.
  • the first pressing plate 11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wheel (W) entered into the wheel accommodation space 11 is formed to be pressurized with a constant force.
  • the first pressing plate 111 is located in the first release preventing pin 115 is located in the installation space 13 of the body case 10 is a space capable of moving toward the wheel (W) pin access hole (H1) It is provided.
  • the first pressing plate 111 it is preferable to form an adhesive pad (not shown) formed of a material having high elasticity and high friction on one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wheel (W).
  • the first pressing plate 117 is configured to tilt the first pressing plate 111 according to a position at which a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pressing plate 111.
  • the first tilting means 117 is located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one side (facilities space 13) of the first pressing plate 111 in the installation space 13 in the body case 10 a certain distance from side to side. Are installed separately.
  • the first tilting means 117 is a first support block 118 fixed to the installation space 13 in the body case 10 corresponding to one surface of the first pressing plate 111 and the first
  • the first support block 118 and the first pressing plate 111 is composed of a spring (S1) position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the wheel W does not enter straight into the wheel accommodation space 11 of the body case 10, even if the wheel W enters into a distorted s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 the surface contact of the first pressing plate 111 is easy to achieve the same fixing performance.
  • the first support plate 113 is located in the facility space 13 of the body case 10 is formed to support the pressing action of the first pressing plate 111.
  • the first support plate 113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plate 120.
  • the first release preventing pin 115 protrudes toward the wheel portion of the wheel W entered into the wheel accommodation space 11 and serves to fix it.
  • the first release preventing pin 115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pin access hole H1 between the first pressing plate 111 and the first supporting plate 113.
  • the first release preventing pin 115 passes through the pin access hole (H1) of the first pressing plate 111 to fix the wheel portion of the wheel (W) located in the wheel accommodation space 11 (W) It is installed so as to protrude toward).
  • the first release preventing pin 115 and the pin access hole (H1)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as possible in the first pressing plate 111 to secure the wheel portion of the wheel (W). .
  • a compression spring P1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irst release preventing pin 115.
  • the first release preventing pin 115 protrudes toward the wheel and is compressed, the first release preventing pin 115 is configured to be protruded forward by the compression spring P1 until it comes in contact with the wheel W.
  • the first release preventing pins 115 are configured in pairs with a left and right distance to the first pressing plate 111. That is, the removal prevention pin 115 is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heel (W) wheel portion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wheel (W) by walking on both sides.
  • first release preventing pins 115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layers on the first pressing plate 111 up and down.
  • 14-inch wheels are mainly us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wheel (W), but 16-inch wheels are also commercially available.
  • the first release preventing pins 115 may be disposed up and down to be positioned below. The first release preventing pin 115 is fixed to contact with the 14-inch wheel as well as the 16-inch wheel is configured to be fixed by the first release preventing pin 115 located above.
  • One end of the first plate 12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crimping means 11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means 130 to drive the first driving means 130. It operates by acting to give a force to the first pressing means (110).
  • the first plate 120 has a hinge shaft (C1) is rotatably installed. That is, the first plate 120 is rotated about the hinge axis (C1), but one front end portion provided with the first pressing means 110 from the drive of the first driving means 130 is the hinge shaft (C1) It works to spread or gather based on).
  • the first driving means 130 is located at the rear with respect to the wheel accommodation space 11 and operably energizes the first compression means 110 located at both sides of the wheel accommodation space 11. .
  • the first driving unit 130 is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pair of the first plate 120 which is positioned in a symmetrical structure at the same time.
  • the first driving unit 130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first plate 120 so that a force can be transmitted to the first pressing unit 110. 131 and the pinion bracket 133 and the drive motor 135.
  • the rack bracket 131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left plate 120a in the first plate 120.
  • the rack bracket 131 has a rack gear 132 having a plurality of tee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able to linearly move from side to side.
  • the rack bracket 131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137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rack gear 132 to maintain the connection relationship with the pinion bracket 133.
  • the pinion bracket 133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right plate 120b in the first plate 120 and is engaged with the rack gear 132 of the rack bracket 131 so as to be rotatable. 134 is configured.
  • a lower portion of the pinion bracket 133 is provided with a guide protrusion 138 protruding toward the guide groove 137 and configured to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rack gear 132 and the pinion gear 134 may maintain a constantly engaged connection relationship, and thus mutual driving may be smoothly performed.
  • the drive motor 135 is mounted on the pinion bracket 133 and applies power to the pinion gear 134.
  • a connection gear for transmitting power from the drive motor 135 to the pinion gear 134 includes a reduction gear on the shaft of the drive motor 135, and the reduction gear and the pinion gear 134. Drive with a bevel gear connecting each other.
  • the second pressing part 200 performs a function of pressing and fixing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rear portion of the wheel W entered into the wheel accommodation space 11 of the body case 10.
  • the second pressing part 200 is mounted in the upper facility space 13 of the body case 10 so as to be located at the upper rear of the first pressing part 100.
  • the second crimping unit 200 is mounted in the upper facility space 13 of the facility space 13 of the body case 10.
  • the second compression unit 200 has a pair of second compression means 210 installed in a symmetrical structure facing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wheel accommodation space 11 and the first compression unit 210.
  • the second plate 22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pressing means 210 and rotatably installed by the hinge shaft C2, and the second plate 220 is connected to the second plate 220 and is operatively applied with power. It consists of the second driving means 230.
  • the second pressing means 210 is configured to compress both sides of the wheel (W) entered into the wheel accommodation space 11 of the body case 10, the second pressing plate 211 and the second The support plate 213 and the second separation prevention pin 215 is composed.
  • the second pressing plate 211 is formed in a board shap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wheel (W) is located in direct contact.
  • the second pressing plate 211 is the pinch hole (H2) is a space capable of moving toward the wheel (W) in the installation space 13 of the body case 10 is the second release preventing pin 215 is located It is formed to have.
  • an adhesive pad (not shown) formed of a material having high elasticity and high friction on one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wheel (W).
  • the second pressing plate 211 is installed at a distance from the left and right to the facility space 13 in the body case 10, respectively, and the second pressing plate according to the force applied to the second pressing plate 211.
  • a second tilting means 217 is formed so that 211 can be tilted.
  • the second tilting means 217 is the second support block 218 is fixed to the installation space 13 in the body case 10 corresponding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pressing plate 211 and the first
  • the second support block 218 and the second pressing plate 211 is composed of a spring (S2) position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the second pressing plate 211 may be configured in a block shape having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wheel W having a concave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wheel W. As shown in FIG. 6,
  • the wheel W can be pressed and fixed more strongly, and the wheel portion of the wheel W can be caught to prevent the wheel from being separated in case of emergency. Do.
  • the second supporting plate 213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plate 220 and is formed to support the pressing action of the second pressing plate 211.
  • the second release preventing pin 215 compresses the wheel W located in the wheel accommodation space 11 by the second pressing plate 211 and fixes the wheel portion of the wheel W.
  • the second release preventing pin 215 is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pressing plate 211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213 to protrude toward the pin access hole H2 of the second pressing plate 211. Is installed. That is, the second release preventing pin 215 passes through the pin access hole H2 of the first pressing plate 111 so as to fix the wheel portion of the wheel W located in the wheel accommodation space 11. It is installed so as to project toward W).
  • the second release preventing pin 215 and the pin access hole (H2) is located in the front portion where the wheel (W) enters from the second pressing plate 211 to fix the wheel portion of the wheel (W)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so that.
  • a compression spring P2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second release preventing pin 215. That is, when the second release preventing pin 215 protrudes toward the wheel and compresses, the second release preventing pin 215 is configured to be protruded forward by the compression spring P2 until it contacts the wheel W.
  • One end of the second plate 22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crimping means 21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late 220 is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means 230 to drive the second driving means 230. Since it is operated by the second crimping means 210 performs a function to give a force.
  • the second plate 220 is rotatably installed with a hinge axis (C2). That is, the second plate 220 is rotated about the hinge axis C2, but one front end portion of the hinge shaft C2 provided with the second compression means 210 is driven from the driving of the second driving means 230. It works to spread or gather based on).
  • the second driving means 230 is connected to the second plate 220 and is configured to apply power to each other.
  • the second driving means 230 is a rack bracket 231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left plate 220a in the second plate 220 and provided with a rack gear 232 to linearly move from side to side. And a pinion bracket 233 coupled to the rack bracket 231 and having a pinion gear 234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right plate 220b in the second plate 220 and the pinion. It is mounted to the bracket 233 and consists of a drive motor 235 for applying power to the pinion gear 234.
  • first compression means 110 and the second compression means 210 inside the first driving means 130 by the contact of the first pressing plate 111 and the second pressing plate 211, respectively.
  • a pressure sensor A for stopping driving of the driving motors 135 and 235 of the second driving means 230.
  • the first pressure plate 111 and the second pressing plate 211 is provided with the pressure detecting sensor (A)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rear surface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wheel W).
  • the pressure detecting sensor (A) When sufficient pressure is applied by the force transmitted from the first driving means 130 and the second driving means 230, the back surface of the first pressing plate 111 and the second pressing plate 211 may be Since the contact with the pressure sensor (A),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135, 235 is stopped from the detection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A).
  • the wheel (W) (rear wheel or auxiliary wheel) enters the wheel receiving space 11 of the body case 10 power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witch 16 of the sensing unit 15, the first pressing unit 100 and the second pressing unit 200 operate simultaneously to press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and the rear part of the wheel W, respectively.
  • the anti-separation pin 115 and the second anti-separation pin 215 respectively protrude to fix the wheel portion of the wheel W together with the wheel W.
  • the driving of the first compression unit 100 and the second compression unit 200 is driven by receiving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first driving unit 130 and the second driving unit 230, respectively.
  • the power applied from the first driving unit 130 may have a first plate having a symmetrical structure on both sides thereof.
  • a force is applied to push the left plate 120a and the right plate 120b of the plate 120 outward at the same time, and the first plate 120 rotates about the hinge axis C1, respectively, to first press means. Since the pushing force is applied to the wheel (W) entered in the inner direction, that is, the wheel accommodation space (11) to 110, the wheel (W) is fixed in close contact.
  • the first pressing plate 111 is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wheel (W) while the first release preventing pin 115 is projected toward the pin access hole (H1) Secure the wheel of (W).
  • the power applied from the second driving means 230 is the left plate (220a) and the right plate ( A force for simultaneously pushing 220b) outward is applied, and the second plate 220 rotates about the hinge axis C2 while the second pressing means 210 moves toward the wheel accommodation space 11.
  • the second pressing means 210 the second pressing plate 211 is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wheel (W)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release preventing pin 215 protrudes toward the pin access hole (H2) Secure the wheel of (W).
  • the rack brackets 131, 231 and the pinion brackets 133, 233 are rack gears 132, 232 and pinion.
  • the pinion gears 134 and 234 are rotated clockwise from the driving motor 135 and 235 while the gears 134 and 234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pinion gears 134 and 234 and the rack gear 132 are rotated.
  • the electric wheel chair fix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electric wheelchair in a locked state in the vehicle as a public transport means to protect the user who is inconvenient and to use the public transportation means convenientl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mote life security for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fixing performance of holding the wheelchair by fixing the lower part and the rear part of the wheel of the electric wheelchair,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haking caused dur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and to greatly improve the stability.
  •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a simple structure to control the left and right crimping means from one drive motor is easy to manufacture and reduce the number of parts required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price competitiveness.
  •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heel of the electric wheel chair to fix the wheel portion of the wheel while fixing the primary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electric wheel chair from safety accidents such as overturning of the vehicle to prevent injury to the user and damage of expensive electric wheelchair It is possible to minimize.
  • the locking means 300 has a fixed block 310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wheel (W) on one side,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fixed block 310 and the fixed block 310 to reciprocate back and forth to power
  • the driving cylinder 320 is applied.
  • the fixing block 310 is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311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to form a width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wheel (W) to partially wrap the wheel (W).
  • the locking means 300 may be configured to be provided only on any one of the second pressing means 210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fixing block 310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to the left and right sides. It is also possible to comprise so that each may be provided.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except for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electric wheel chair fixing device for a vehicle accommodates the wheels of the electric wheel chair in the vehicle and stably secures the user of the electric wheel chair to use the public transportation means conveniently and safely, especially in the lower part and the rear part of the wheel, respectively.
  • As a device capable of fixing but contacting the surface at the same time to the wheel at the same time to effectively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electric wheel chair even in the safety accident of the vehicle there is an industrial applicability in the transportation field where various public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a bus is appli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나 지하철과 같이 대중교통수단인 차량에 장착하여 전동휠체어의 바퀴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차량의 안전사고로부터 전동휠체어가 이탈되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함을 제공하도록, "ㄷ"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차량의 바닥면에 부착하여 고정 설치되고, 한쪽 방향으로 휠체어의 바퀴가 진입가능하게 개방된 휠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상하로 구획하여 각각 구분된 설비공간을 구비토록 복층구조로 형성되는 몸체케이스와; 상기 몸체케이스의 하측 설비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휠수용공간에 진입된 바퀴의 하부에 대해 양쪽 측면을 가압하는 제1압착부와; 상기 제1압착부의 상부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케이스의 상측 설비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휠수용공간에 진입된 바퀴의 뒷부분에 대해 양쪽 측면을 가압하는 제2압착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본 발명은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나 지하철과 같이 대중교통수단인 차량에 장착하여 전동휠체어의 바퀴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차량의 안전사고로부터 전동휠체어가 이탈되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장애인이나 노약자, 환자 등과 같이 다리를 마음대로 움직일 수 없어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로부터 사회생활이나 직장 및 여가 생활에 독립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사람이 앉은 채로 이동가능한 구조를 갖는 다양한 형태의 휠체어를 사용한다. 나아가 통상적인 휠체어에는 사용자가 팔에 의한 근력을 통해 바퀴손잡이를 돌리는 것에 의해 움직이는 수동휠체어와, 자체적인 전기공급에 따라 동력을 생성시켜 움직일 수 있는 전동방식의 전동휠체어로 크게 구분하여 사용된다.
그런데 휠체어에 앉은 상태로 버스나 지하철, 기차 등과 같은 대중교통수단인 차량에 탑승하는 경우 휠체어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없으므로 차량의 유동에 따라 이동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없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차량에 탑승한 휠체어를 적절하게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고정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특허청의 등록특허공보 제839569호(2008.06.12.)에는 버스나 기차, 선박을 포함한 이동수단의 바닥면에 부착되며, 그 상면에 장치 부품을 장착하는 베이스 판넬과; 상기 베이스 판넬 상에 부착되며, 일정거리 이격되고 서로 마주보게 장착되고, 제1,2피봇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베이스 판넬 상에 결합된 제1,2가압로드와; 상기 베이스 판넬 상에 부착되며, 상기 제1,2가압로드에 대해 수직되게 설치되며, 그 하단에 랙기어가 형성되어져 있고, 그 일단이 상기 제2가압로드에 연결피봇으로 연결된 이동 상/하판과; 상기 이동 상/하판에 형성된 랙기어에 치합되어 랙기어에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의 축에 결합되어 피니언기어에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와; 상기 제1가압로드와 상기 이동 상/하판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가압로드가 중앙으로 모이게 상기 이동 상/하판이 이동될 때 상기 제1가압로드도 중앙으로 모이도록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링크로 구성됨에 따라 바퀴의 양쪽 측면을 동시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에 구비된 링크식 휠체어 고정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휠체어 고정장치에 대한 다른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특허청의 등록특허공보 제928081호(2009.11.16.)에는 버스나 기차를 포함한 이동수단의 바닥면에 부착되며, 그 상면에 장치 부품을 장착하는 베이스 판넬과; 상기 베이스 판넬 상에 부착되며, 휠체어 휠의 진입을 차단하기 위한 내벽체와; 상기 베이스 판넬 상에 부착되며, 일정거리 이격되고 서로 마주보게 장착되고, 그 내측에서 상호 대향되게 내/외측 가압판의 유출입을 구동시키는 가압구동부를 그 내부에 내장시키는 내/외측 케이스와; 상기 내/외측 케이스의 내측면에 각각 마주보게 장착되어져 있고, 가압구동부와 결합되어 유출입되는 내/외측 브라켓과; 상기 내/외측 브라켓의 전면에 부착되며, 탄성재질로 구성되어 휠체어의 휠을 가압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내/외측 가압판과; 상기 내/외측 케이스에 장착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치합된 다수의 기어가 내장되어 구동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의 종동기어에 결합되어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에 치합되며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랙기어로 구성된 가압구동부가 포함되어, 휠체어의 휠을 상기 가압구동부의 단부에 결합된 상기 내/외측 가압판의 상호 가압에 의해 구름운동을 방지하도록 고정시킴에 따라 우수한 고정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의 휠 고정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 중에 등록특허공보 제839569호의 경우에는 휠 즉 바퀴를 향해 접촉은 이루어지나 면대면 접촉이 아닌 일부 지점만의 점 접촉에 따른 압착에 불과하므로 고정력이 매우 취약하여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등록특허공보 제928081호의 경우에는 좌우로 동력원을 1~2개씩 각각 설비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원가가 불필요하게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상기한 등록특허공보 제839569호와 등록특허공보 제928081호의 경우에는 양자 모두 수동휠체어에만 적용가능한 구조 및 크기를 이루기 때문에 전동휠체어의 고정이 불가능하여 한정된 구조에만 가능할 뿐 전동휠체어를 적용하기에는 사용상의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등록특허공보 제839569호와 등록특허공보 제928081호의 크기를 달리 적용하여 구성하는 경우에도 전동휠체어 바퀴는 휠 형상이 달라 다수의 핀에 의해 바퀴의 휠을 거는 작용이 어려움은 물론 바퀴를 면 접촉에 따라 압착하는 것만으로는 휠체어의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고, 차량의 전복사고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고정장치로부터 바퀴가 이탈될 우려가 커 사용자가 큰 인명피해를 입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경제성장과 함께 계속해서 사용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는 전동휠체어를 대중교통수단인 차량 내에서 고정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고정장치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에 전동휠체어의 바퀴를 수용하여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전동휠체어 사용자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확보하고, 전동휠체어의 바퀴를 아랫부분과 뒷부분에서 각각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휠체어를 잡아주는 고정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하나의 동력원에 적용하여 좌우로 동시에 압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 간단한 구조를 이루고 휠체어의 바퀴에 면 접촉하여 높은 고정력으로 압착하는 동시에 바퀴의 휠 부분을 고정하여 차량의 안전사고에도 전동휠체어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는 "ㄷ"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차량의 바닥면에 부착하여 고정 설치되고, 한쪽 방향으로 휠체어의 바퀴가 진입가능하게 개방된 휠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상하로 구획하여 각각 구분된 설비공간을 구비토록 복층구조로 형성되는 몸체케이스와; 상기 몸체케이스의 하측 설비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휠수용공간에 진입된 바퀴의 하부에 대해 양쪽 측면을 가압하는 제1압착부와; 상기 제1압착부의 상부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케이스의 상측 설비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휠수용공간에 진입된 바퀴의 뒷부분에 대해 양쪽 측면을 가압하는 제2압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몸체케이스에는 상기 휠수용공간으로 진입한 바퀴의 수용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1압착부 및 상기 제2압착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원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전원감지부는 상기 몸체케이스의 휠수용공간에 바퀴가 접촉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에 누름 작용가능하도록 복원스프링이 구비되는 접촉스위치와, 상기 접촉스위치에 바퀴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구비한다.
상기 제1압착부 및 상기 제2압착부는 상기 휠수용공간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게 좌우 대칭된 구조로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압착수단 및 제2압착수단과, 상기 제1압착수단 및 상기 제2압착수단의 한쪽에 각각 연결되고 힌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에 연결 설치되고 상호 작동가능하게 동력을 인가하는 제1구동수단 및 제2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압착수단 및 상기 제2압착수단은 상기 휠수용공간의 벽면을 이루고 바퀴의 측면에 밀착되어 가압가능하게 형성되며 핀출입공이 구비되는 제1압착판 및 제2압착판과,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 한쪽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1압착판 및 상기 제2압착판의 가압작용을 지지하는 제1지지판 및 제2지지판과, 상기 제1압착판과 상기 제1지지판의 사이 및 상기 제2압착판과 상기 제2지지판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제1압착판 및 상기 제2압착판의 핀출입공을 향해 돌출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휠수용공간에 위치한 바퀴의 휠 부분을 고정하는 제1이탈방지핀 및 제2이탈방지핀으로 구성한다.
상기 제1압착판 및 상기 제2압착판에는 상기 몸체케이스 내의 설비공간에 좌우로 거리를 두고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압착판 및 상기 제2압착판에 가해지는 힘에 따라 상기 제1압착판 및 상기 제2압착판이 기울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틸팅수단 및 제2틸팅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제1틸팅수단 및 상기 제2틸팅수단은 상기 제1압착판 및 상기 제2압착판의 한쪽 면과 대응하여 상기 몸체케이스 내의 설비공간에 고정 설치되는 제1지지블록 및 제2지지블록과, 상기 제1지지블록과 상기 제1압착판의 사이 및 상기 제2지지블록과 상기 제2압착판의 사이에 서로 접하도록 위치하는 스프링으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2압착판은 바퀴에 접하는 한쪽 면이 바퀴의 형상에 대응하여 오목한 곡면을 갖는 블록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이탈방지핀 및 상기 제2이탈방지핀은 바퀴에 접촉할 때까지 전방을 향해 돌출가능하게 후방에 구비되는 압착스프링을 구성한다.
상기 제1이탈방지핀은 상기 제1압착판에 좌우 거리를 두고 한 쌍으로 구성한다.
상기 제1구동수단 및 상기 제2구동수단은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에서 각각 좌측 플레이트의 후단부에 결합되고 랙기어가 구비되어 좌우로 직선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랙브라켓과, 상기 랙브라켓에 치합되어 회전운동가능하게 피니언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에서 각각 우측 플레이트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피니언브라켓과, 상기 피니언브라켓에 장착되고 상기 피니언기어에 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2압착부에 설치되고 상기 휠수용공간에 진입된 바퀴의 뒷부분에 대해 뒷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잠금수단은 한쪽에 바퀴의 외주면에 대응된 형상을 이루며 감쌀 수 있도록 수용홈이 형성되는 고정블록과, 상기 고정블록에 한쪽이 연결되고 상기 고정블록이 전후로 왕복운동가능하게 동력을 인가하는 구동실린더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에 의하면 대중교통수단인 차량 내에 전동휠체어를 잠금 상태로 고정할 수 있어 몸이 불편한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대중교통수단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어 사회적 약자에 생활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는 전동휠체어의 바퀴에 대해 아랫부분과 뒷부분을 각각 고정하여 휠체어를 잡아주는 고정성능을 향상시키므로 차량의 이동과정에서 발생하는 흔들림을 방지하고 안정성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는 하나의 구동모터로부터 좌우 압착수단을 제어하도록 간단한 구조로 구성하여 제조과정이 용이하고 소요부품 수를 줄여 생산비용을 절감하므로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는 전동휠체어의 바퀴에 밀착하여 1차로 고정하면서 바퀴의 휠 부분을 고정하여 차량의 전복 등 안전사고로부터 전동휠체어의 이탈을 방지하므로 사용자에 대한 인명피해를 방지하고 고가인 전동휠체어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는 제1압착부에 잠금수단을 구성하므로 전동휠체어 바퀴의 이탈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동휠체어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시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1압착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제1,2구동수단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2압착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2압착판의 다른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1압착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1압착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2압착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본 발명은 "ㄷ"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차량의 바닥면에 부착하여 고정 설치되고, 한쪽 방향으로 휠체어의 바퀴가 진입가능하게 개방된 휠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상하로 구획하여 각각 구분된 설비공간을 구비토록 복층구조로 형성되는 몸체케이스와; 상기 몸체케이스의 하측 설비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휠수용공간에 진입된 바퀴의 하부에 대해 양쪽 측면을 가압하는 제1압착부와; 상기 제1압착부의 상부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케이스의 상측 설비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휠수용공간에 진입된 바퀴의 뒷부분에 대해 양쪽 측면을 가압하는 제2압착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케이스에는 상기 휠수용공간으로 진입한 바퀴의 수용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1압착부 및 상기 제2압착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원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감지부는 상기 몸체케이스의 휠수용공간에 바퀴가 접촉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에 누름 작용가능하도록 복원스프링이 구비되는 접촉스위치와, 상기 접촉스위치에 바퀴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압착부 및 상기 제2압착부는 상기 휠수용공간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게 좌우 대칭된 구조로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압착수단 및 제2압착수단과, 상기 제1압착수단 및 상기 제2압착수단의 한쪽에 각각 연결되고 힌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에 연결 설치되고 상호 작동가능하게 동력을 인가하는 제1구동수단 및 제2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압착수단 및 상기 제2압착수단은 상기 휠수용공간의 벽면을 이루고 바퀴의 측면에 밀착되어 가압가능하게 형성되며 핀출입공이 구비되는 제1압착판 및 제2압착판과,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 한쪽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1압착판 및 상기 제2압착판의 가압작용을 지지하는 제1지지판 및 제2지지판과, 상기 제1압착판과 상기 제1지지판의 사이 및 상기 제2압착판과 상기 제2지지판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제1압착판 및 상기 제2압착판의 핀출입공을 향해 돌출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휠수용공간에 위치한 바퀴의 휠 부분을 고정하는 제1이탈방지핀 및 제2이탈방지핀을 포함하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압착판 및 상기 제2압착판에는 상기 몸체케이스 내의 설비공간에 좌우로 거리를 두고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압착판 및 상기 제2압착판에 가해지는 힘에 따라 상기 제1압착판 및 상기 제2압착판이 기울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틸팅수단 및 제2틸팅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틸팅수단 및 상기 제2틸팅수단은 상기 제1압착판 및 상기 제2압착판의 한쪽 면과 대응하여 상기 몸체케이스 내의 설비공간에 고정 설치되는 제1지지블록 및 제2지지블록과, 상기 제1지지블록과 상기 제1압착판의 사이 및 상기 제2지지블록과 상기 제2압착판의 사이에 서로 접하도록 위치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압착판은 바퀴에 접하는 한쪽 면이 바퀴의 형상에 대응하여 오목한 곡면을 갖는 블록형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이탈방지핀 및 상기 제2이탈방지핀은 바퀴에 접촉할 때까지 전방을 향해 돌출가능하게 후방에 구비되는 압착스프링을 포함하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이탈방지핀은 상기 제1압착판에 좌우 거리를 두고 한 쌍으로 구성되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구동수단 및 상기 제2구동수단은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에서 각각 좌측 플레이트의 후단부에 결합되고 랙기어가 구비되어 좌우로 직선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랙브라켓과, 상기 랙브라켓에 치합되어 회전운동가능하게 피니언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에서 각각 우측 플레이트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피니언브라켓과, 상기 피니언브라켓에 장착되고 상기 피니언기어에 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압착부에 설치되고 상기 휠수용공간에 진입된 바퀴의 뒷부분에 대해 뒷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수단은 한쪽에 바퀴의 외주면에 대응된 형상을 이루며 감쌀 수 있도록 수용홈이 형성되는 고정블록과, 상기 고정블록에 한쪽이 연결되고 상기 고정블록이 전후로 왕복운동가능하게 동력을 인가하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는 차량에 탑승한 전동휠체어(1)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전동휠체어(1)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간단히 살펴보면, 앉은 자세의 사용자를 지지하는 바디프레임(3)과, 바디프레임(3)을 움직일 수 있도록 후방에 설치되는 비교적 큰 직경의 뒷바퀴(W)와, 바디프레임(3)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전방에 설치되며 뒷바퀴(W)에 비해 비교적 작은 앞바퀴(5)를 구비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케이스(10)와, 제1압착부(100)와, 제2압착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케이스(10)는 차량의 실내 정해진 장소에 설비토록 장착되는 것으로, 차량의 바닥면에 부착하여 고정 설치된다. 즉 상기 몸체케이스(10)는 차량의 바닥면에 설치할 수 있도록 다수의 볼트구멍(도면에 미도시)을 구비하고, 볼트로 결합하여 장착한다.
상기 몸체케이스(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ㄷ"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한쪽 방향으로 휠체어의 뒷바퀴(이하 바퀴(W)라 함)가 진입가능하게 일반적인 바퀴(W)의 폭보다는 큰 폭을 갖도록 개방된 휠수용공간(11)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휠수용공간(11)은 휠체어에 바퀴(W)와 함께 보조바퀴(도면에 미도시)가 설비되어 있는 경우 보조바퀴를 함께 수용할 수 있도록 진입방향으로 충분히 연장된 길이와 큰 폭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케이스(10)는 상하로 설비공간(13)을 구비하되 상측 설비공간(13)과 하측 설비공간(13)으로 구획하여 구분된 공간을 이루도록 복층구조로 형성한다.
상기 몸체케이스(10)의 설비공간(13) 중 하측에 구비되는 설비공간(13)에는 상기 제1압착부(100)가 작동가능한 구조로 설비되고, 상측에 구비되는 설비공간(13)으로는 상기 제2압착부(200)가 작동가능한 구조로 설비된다.
상기 몸체케이스(10)는 차량의 바닥면에 접하는 베이스판과 내부에 빈 공간 즉 설비공간(13)을 구비토록 형성되는 커버 간에는 서로 분리가능한 구조를 이루어 상기 몸체케이스(10)의 설비공간(13)을 개방가능한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케이스(10)에는 상기 설비공간(13)에 구비된 상기 제1압착부(100) 및 상기 제2압착부(200)를 향해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전원감지부(1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전원감지부(15)는 상기 몸체케이스(10)의 휠수용공간(11)으로 진입한 바퀴(W)의 수용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접촉스위치(16)와 감지센서(17)로 구성한다.
상기 접촉스위치(16)는 상기 몸체케이스(10)의 휠수용공간(11) 중 바퀴(W)가 진입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위치하므로 바퀴(W)가 진입하여 접촉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접촉스위치(16)는 상기 제1압착부(100)가 위치한 상기 몸체케이스(10)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제2압착부(200)가 위치한 상기 몸체케이스(10)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접촉스위치(16)는 상기 휠수용공간(11)으로 진입한 바퀴(W)의 접촉으로 일정각도 회전될 수 있도록 힌지 결합하여 설치된다.
상기에서 접촉스위치(16)에 밀착된 바퀴(W)가 상기 휠수용공간(11)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접촉스위치(16)는 다시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게 내측에 누름 작용가능하도록 복원스프링(18)이 구비된다.
상기 감지센서(17)는 상기 접촉스위치(16)의 누름 작용에 의해 바퀴(W)의 접촉 여부를 감지한다. 즉 바퀴(W)가 접촉할 경우 상기 접촉스위치(16)에 접촉될 수 있도록 위치하고 상기 접촉스위치(16)와의 접촉 여부에 따라 바퀴(W)의 수용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제1압착부(100)는 상기 몸체케이스(10)의 휠수용공간(11)에 진입된 바퀴(W)의 하부에 대해 양쪽 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압착부(1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몸체케이스(10)의 설비공간(13) 중 하측 설비공간(13)에 장착되어 위치하는 것으로서, 제1압착수단(110)과, 제1플레이트(120)와, 제1구동수단(1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제1압착수단(110) 및 상기 제1플레이트(120)는 좌우 대칭된 구조로 한 쌍을 이루되 서로 동일한 구조 및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압착수단(110)은 상기 휠수용공간(11)을 중심으로 좌우로 한 쌍을 이루며 서로 대칭된 구조로 설치되고, 제1압착판(111)과 제1지지판(113) 및 제1이탈방지핀(115)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압착판(111)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케이스(10)의 휠수용공간(11)에 있어서 양쪽 벽면을 이루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압착판(111)은 상기 휠수용공간(11)에 진입된 바퀴(W)의 측면을 향해 밀착되어 일정한 힘으로 가압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압착판(111)에는 상기 제1이탈방지핀(115)이 위치하여 상기 몸체케이스(10)의 설비공간(13)에서 바퀴(W)를 향해 유동가능한 공간인 핀출입공(H1)을 구비한다.
상기 제1압착판(111)에는 바퀴(W)와 접촉하는 한쪽 접촉면 상에 고탄성력 및 고마찰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밀착패드(도면에 미도시)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압착판(111)에는 힘이 가해지는 위치에 따라 상기 제1압착판(111)이 기울어질 수 있도록 제1틸팅수단(117)이 구성된다.
상기 제1틸팅수단(117)은 상기 몸체케이스(10) 내의 설비공간(13)에서 상기 제1압착판(111)의 한쪽(설비공간(13) 쪽) 면에 접하도록 위치하고 좌우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1틸팅수단(117)은 상기 제1압착판(111)의 한쪽 면과 대응하여 상기 몸체케이스(10) 내의 설비공간(13)에 고정설치되는 제1지지블록(118)과, 상기 제1지지블록(118)과 상기 제1압착판(111)의 사이에 서로 접하도록 위치하는 스프링(S1)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1틸팅수단(117)을 구성하게 되면, 몸체케이스(10)의 휠수용공간(11)으로 바퀴(W)가 똑바로 진입하지 않고 일정각도로 틀어진 상태로 진입하더라도 바퀴(W)에 대한 제1압착판(111)의 면접촉이 용이하여 동일한 고정성능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지지판(113)은 상기 몸체케이스(10)의 설비공간(13)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압착판(111)의 가압작용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지지판(113)은 상기 제1플레이트(120)의 한쪽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 설치된다.
상기 제1이탈방지핀(115)은 상기 휠수용공간(11)으로 진입된 바퀴(W)의 휠 부분을 향해 돌출되어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이탈방지핀(115)은 상기 제1압착판(111)과 상기 제1지지판(113)의 사이에서 상기 핀출입공(H1)에 대응하도록 위치한다.
상기 제1이탈방지핀(115)은 상기 휠수용공간(11)에 위치한 바퀴(W)의 휠 부분을 고정하도록 상기 제1압착판(111)의 핀출입공(H1)을 통과하여 바퀴(W)를 향해 돌출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에서 제1이탈방지핀(115)과 핀출입공(H1)은 바퀴(W)의 휠 부분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압착판(111)에서 가능한 위쪽 부분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이탈방지핀(115)의 후방에는 압착스프링(P1)을 구비한다. 즉 상기 제1이탈방지핀(115)은 바퀴를 향해 돌출되어 압착하는 경우 바퀴(W)에 접촉할 때까지 상기 압착스프링(P1)에 의해 유동적으로 전방을 향해 돌출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제1이탈방지핀(115)은 상기 제1압착판(111)에 좌우 거리를 두고 한 쌍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이탈방지핀(115)은 바퀴(W) 휠 부분의 내측 면을 걸어 고정하되 양쪽에서 걸어 바퀴(W)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에서 바퀴(W)의 종류에 따라 휠 부분이 막혀 있는 경우 휠 상에 구비되는 단턱에 걸려 바퀴(W)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이탈방지핀(115)은 상기 제1압착판(111) 상에 상하로 층을 이루며 복수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바퀴(W)의 크기에 따라 14인치의 휠이 주로 사용되지만 16인치의 휠도 상용되고 있는바, 상기와 같이 제1이탈방지핀(115)을 상하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아래쪽에 위치한 제1이탈방지핀(115)은 14인치의 휠에 접촉하여 고정가능함은 물론 16인치의 휠의 경우 위쪽에 위치한 제1이탈방지핀(115)에 의해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플레이트(120)는 한쪽 끝단이 상기 제1압착수단(110)의 한쪽에 연결되고 반대쪽 끝단은 상기 제1구동수단(130)에 연결되어, 상기 제1구동수단(130)의 구동에 의해 작동하므로 상기 제1압착수단(110)에 힘을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플레이트(120)는 힌지축(C1)을 구비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제1플레이트(120)는 상기 힌지축(C1)을 중심으로 회전하되 상기 제1구동수단(130)의 구동으로부터 상기 제1압착수단(110)이 구비된 한쪽 전단부가 상기 힌지축(C1)을 기준으로 벌어지거나 모이도록 작동한다.
상기 제1구동수단(130)은 상기 휠수용공간(11)을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휠수용공간(11)의 양쪽 측면에 위치한 상기 제1압착수단(110)을 작동가능하게 동력을 인가한다.
상기 제1구동수단(130)은 좌우 대칭된 구조로 위치하는 한 쌍의 상기 제1플레이트(120)를 상호 동시에 작동가능하게 연결 설치된다.
상기 제1구동수단(130)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압착수단(110)에 힘이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플레이트(120)를 작동시키는 구성으로서, 랙브라켓(131)과 피니언브라켓(133) 및 구동모터(135)로 이루어진다.
상기 랙브라켓(131)은 상기 제1플레이트(120)에서 좌측 플레이트(120a)의 후단부에 연결 결합된다.
상기 랙브라켓(131)에는 상부에 좌우로 직선운동가능하게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이를 갖는 랙기어(132)가 형성된다.
상기 랙브라켓(131)에는 상기 피니언브라켓(133)과의 연결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랙기어(132)의 한쪽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37)이 형성된다.
상기 피니언브라켓(133)은 상기 제1플레이트(120)에서 우측 플레이트(120b)의 후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랙브라켓(131)의 랙기어(132)에 치합되어 회전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피니언기어(134)가 구성된다.
상기 피니언브라켓(133)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홈(137)을 향해 돌출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활주가능하게 구성되는 가이드돌기(138)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돌기(138)를 구성하게 되면, 상기 랙기어(132)와 상기 피니언기어(134) 간에 상시 치합된 연결관계를 유지할 수 있어 상호 구동이 원활하게 이뤄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모터(135)는 상기 피니언브라켓(133)에 장착되고 상기 피니언기어(134)에 동력을 인가한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구동모터(135)로부터 상기 피니언기어(134)에 동력을 전달하는 연결관계에는 상기 구동모터(135)의 축에 감속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감속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134)를 상호 연결하는 베벨기어를 구비하여 구동한다.
상기 제2압착부(200)는 상기 몸체케이스(10)의 휠수용공간(11)에 진입된 바퀴(W)의 뒷부분에 대해 양쪽 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2압착부(200)는 상기 제1압착부(100)의 상부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케이스(10)의 상측 설비공간(13)에 장착된다.
상기 제2압착부(2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몸체케이스(10)의 설비공간(13) 중 상측 설비공간(13)에 장착되어 위치한다.
상기 제2압착부(20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휠수용공간(11)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게 좌우 대칭된 구조로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압착수단(210)과, 상기 제2압착수단(210)의 한쪽에 연결되고 힌지축(C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플레이트(220)와, 상기 제2플레이트(220)에 연결 설치되고 상호 작동가능하게 동력을 인가하는 제2구동수단(2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압착수단(210)은 상기 몸체케이스(10)의 휠수용공간(11)으로 진입된 바퀴(W)의 양쪽 측면을 압착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서, 제2압착판(211)과 제2지지판(213) 및 제2이탈방지핀(215)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압착판(211)은 판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바퀴(W)의 측면을 향해 밀착하여 직접적으로 접촉가능하게 위치한다.
상기 제2압착판(211)에는 상기 제2이탈방지핀(215)이 위치하여 상기 몸체케이스(10)의 설비공간(13)에서 바퀴(W)를 향해 유동가능한 공간인 핀출입공(H2)을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압착판(211)에는 바퀴(W)와 접촉하는 한쪽 접촉면 상에 고탄성력 및 고마찰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밀착패드(도면에 미도시)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압착판(211)에는 상기 몸체케이스(10) 내의 설비공간(13)에 좌우로 거리를 두고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2압착판(211)에 가해지는 힘에 따라 상기 제2압착판(211)이 기울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틸팅수단(217)을 구성한다.
상기 제2틸팅수단(217)은 상기 제2압착판(211)의 한쪽 면과 대응하여 상기 몸체케이스(10) 내의 설비공간(13)에 고정설치되는 제2지지블록(218)과, 상기 제2지지블록(218)과 상기 제2압착판(211)의 사이에 서로 접하도록 위치하는 스프링(S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압착판(211)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퀴(W)에 접하는 한쪽 면이 바퀴(W)의 형상에 대응하여 오목한 곡면을 갖는 블록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제2압착판(211)을 블록형으로 구성하게 되면, 바퀴(W)를 보다 강하게 압착하여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바퀴(W)의 휠부분이 걸려 유사시 바퀴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지지판(213)은 상기 제2플레이트(220)의 한쪽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2압착판(211)의 가압작용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이탈방지핀(215)은 상기 제2압착판(211)에 의해 상기 휠수용공간(11)에 위치한 바퀴(W)를 압착하는 동시에 바퀴(W)의 휠 부분을 고정한다.
상기 제2이탈방지핀(215)은 상기 제2압착판(211)과 상기 제2지지판(213)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압착판(211)의 핀출입공(H2)을 향해 돌출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제2이탈방지핀(215)은 상기 휠수용공간(11)에 위치한 바퀴(W)의 휠 부분을 고정하도록 상기 제1압착판(111)의 핀출입공(H2)을 통과하여 바퀴(W)를 향해 돌출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이탈방지핀(215)과 상기 핀출입공(H2)은 바퀴(W)의 휠 부분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압착판(211)에서 바퀴(W)가 진입되는 앞쪽 부분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이탈방지핀(215)의 후방에는 압착스프링(P2)을 구비한다. 즉 상기 제2이탈방지핀(215)은 바퀴를 향해 돌출되어 압착하는 경우 바퀴(W)에 접촉할 때까지 상기 압착스프링(P2)에 의해 유동적으로 전방을 향해 돌출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제2플레이트(220)는 한쪽 끝단이 상기 제2압착수단(210)의 한쪽에 연결되고 반대쪽 끝단은 상기 제2구동수단(230)에 연결되어, 상기 제2구동수단(230)의 구동에 의해 작동하므로 상기 제2압착수단(210)에 힘을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2플레이트(220)는 힌지축(C2)을 구비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제2플레이트(220)는 상기 힌지축(C2)을 중심으로 회전하되 상기 제2구동수단(230)의 구동으로부터 상기 제2압착수단(210)이 구비된 한쪽 전단부가 상기 힌지축(C2)을 기준으로 벌어지거나 모이도록 작동한다.
상기 제2구동수단(230)은 상기 제2플레이트(220)에 연결 설치되고 상호 작동가능하게 동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구동수단(230)은 상기 제2플레이트(220)에서 좌측 플레이트(220a)의 후단부에 결합되고 랙기어(232)가 구비되어 좌우로 직선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랙브라켓(231)과, 상기 랙브라켓(231)에 치합되어 회전운동가능하게 피니언기어(234)를 구비하고 상기 제2플레이트(220)에서 우측 플레이트(220b)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피니언브라켓(233)과, 상기 피니언브라켓(233)에 장착되고 상기 피니언기어(234)에 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235)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2구동수단(230)의 구성인 랙브라켓(231)과 피니언브라켓(233) 및 구동모터(235)에 있어서는 상기한 제1구동수단(130)의 구성인 랙브라켓(131)과 피니언브라켓(133) 및 구동모터(135)와 동일한 구조 및 구성으로 적용하여 실시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 제1압착수단(110) 및 제2압착수단(210)의 내측에는 각각 상기 제1압착판(111) 및 상기 제2압착판(211)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제1구동수단(130) 및 상기 제2구동수단(230)의 구동모터(135)(235)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압력감지센서(A)가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압착판(111) 및 상기 제2압착판(211)의 뒷면(바퀴(W)에 접하는 면의 반대쪽 면)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압력감지센서(A)를 구비한 후 상기 제1구동수단(130) 및 상기 제2구동수단(230)으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충분한 압력이 부여된 경우 상기 제1압착판(111) 및 상기 제2압착판(211)의 뒷면이 상기 압력감지센서(A)에 접촉하므로 상기 압력감지센서(A)의 감지신호로부터 상기 구동모터(135)(235)의 구동이 정지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도 7에서처럼 몸체케이스(10)의 휠수용공간(11)으로 바퀴(W)(뒷바퀴 또는 보조바퀴)가 진입하여 전원감지부(15)의 접촉스위치(16)에 접촉하면 제1압착부(100)와 제2압착부(200)가 동시에 작동하여 바퀴(W)의 하부와 뒷부분의 양쪽 측면을 각각 가압하되 제1이탈방지핀(115) 및 제2이탈방지핀(215)이 각각 돌출되어 바퀴(W)와 함께 바퀴(W)의 휠 부분을 동시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제1압착부(100) 및 상기 제2압착부(200)의 구동은 제1구동수단(130) 및 제2구동수단(230)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각각 전달받아 구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압착부(100)의 작동관계를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제1구동수단(130)에서 인가되는 동력은 양쪽으로 대칭된 구조를 갖는 제1플레이트(120)의 좌측 플레이트(120a)와 우측 플레이트(120b)를 동시에 바깥쪽 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이 적용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120)는 각각 힌지축(C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제1압착수단(110)에 안쪽 방향 즉 휠수용공간(11)으로 진입된 바퀴(W)를 향해 압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미는 힘이 적용되므로 바퀴(W)를 밀착하여 고정한다. 이때 상기 제1압착수단(110)의 경우 바퀴(W)의 양쪽 측면에 제1압착판(111)이 밀착되는 동시에 제1이탈방지핀(115)이 핀출입공(H1)을 향해 돌출되면서 바퀴(W)의 휠 부분을 고정한다.
또한 상기 제2압착부(200)의 작동관계를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제2구동수단(230)에서 인가되는 동력은 제2플레이트(220)의 좌측 플레이트(220a)와 우측 플레이트(220b)를 동시에 바깥쪽 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이 가해지고, 상기 제2플레이트(220)는 힌지축(C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제2압착수단(210)을 휠수용공간(11)을 향한 방향으로 밀어 바퀴(W)의 뒷부분의 측면에 압력을 가하면서 고정한다. 이때 상기 제2압착수단(210)의 경우 바퀴(W)의 양쪽 측면에 제2압착판(211)이 밀착되는 동시에 제2이탈방지핀(215)이 핀출입공(H2)을 향해 돌출되면서 바퀴(W)의 휠 부분을 고정한다.
그리고 제1구동수단(130) 및 제2구동수단(230)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랙브라켓(131)(231)과 피니언브라켓(133)(233)은 랙기어(132)(232)와 피니언기어(134)(234)가 서로 치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135)(235)로부터 피니언기어(134)(23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피니언기어(134)(234)와 랙기어(132)(232) 간에 반작용력이 적용되면서 서로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작용에 의해 상기 제1압착수단(110) 및 상기 제2압착수단(210)으로부터 바퀴(W)를 잠금 상태로 고정하고, 피니언기어(134)(234)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랙브라켓(131)(231)과 피니언브라켓(133)(233)이 각각 안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압착수단(110) 및 상기 제2압착수단(210)을 이동시켜 바퀴(W)를 잠금 해제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에 의하면, 대중교통수단인 차량 내에 전동휠체어를 잠금 상태로 고정할 수 있어 몸이 불편한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대중교통수단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어 사회적 약자에 생활안정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전동휠체어의 바퀴에 대해 아랫부분과 뒷부분을 각각 고정하여 휠체어를 잡아주는 고정성능을 향상시키므로 차량의 이동과정에서 발생하는 흔들림을 방지하고 안정성을 매우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모터로부터 좌우 압착수단을 제어하도록 간단한 구조로 구성하여 제조과정이 용이하고 소요부품 수를 줄여 생산비용을 절감하므로 가격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전동휠체어의 바퀴에 밀착하여 1차로 고정하면서 바퀴의 휠 부분을 고정하여 차량의 전복 등 안전사고로부터 전동휠체어의 이탈을 방지하므로 사용자에 대한 인명피해를 방지하고 고가인 전동휠체어의 파손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압착부(200)의 제2압착수단(210) 상에 설치되고 상기 휠수용공간(11)에 진입된 바퀴(W)의 뒷부분에 대해 뒷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잠금수단(3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잠금수단(300)은 한쪽에 바퀴(W)의 뒤쪽 외주면에 접하는 고정블록(310)과, 상기 고정블록(310)에 한쪽이 연결되고 상기 고정블록(310)이 전후로 왕복운동가능하게 동력을 인가하는 구동실린더(32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블록(310)에는 바퀴(W)에 대응된 폭과 형상을 이루며 바퀴(W)를 부분적으로 감쌀 수 있도록 소정의 깊이를 갖는 수용홈(311)이 형성된다.
상기 잠금수단(300)은 좌/우측에 각각 위치한 상기 제2압착수단(210) 중 어느 한쪽에만 구비토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고정블록(310)을 좌/우측으로 분할하여 좌/우측에 각각 구비토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한 다른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면, 전동휠체어 바퀴의 이탈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안전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동 휠체어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등록청구범위와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는 차량 내에 전동휠체어의 바퀴를 수용하여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때문에 전동휠체어의 사용자로 하여금 대중교통수단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바퀴의 아랫부분과 뒷부분에서 각각 고정하되 바퀴에 면 접촉하는 동시에 휠 부분을 고정하여 차량의 안전사고에도 전동휠체어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치로서 버스 등과 같이 다양한 대중교통수단이 적용되는 운송분야에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13)

  1. "ㄷ"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차량의 바닥면에 부착하여 고정 설치되고, 한쪽 방향으로 휠체어의 바퀴가 진입가능하게 개방된 휠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상하로 구획하여 각각 구분된 설비공간을 구비토록 복층구조로 형성되는 몸체케이스와;
    상기 몸체케이스의 하측 설비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휠수용공간에 진입된 바퀴의 하부에 대해 양쪽 측면을 가압하는 제1압착부와;
    상기 제1압착부의 상부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케이스의 상측 설비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휠수용공간에 진입된 바퀴의 뒷부분에 대해 양쪽 측면을 가압하는 제2압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케이스에는 상기 휠수용공간으로 진입한 바퀴의 수용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1압착부 및 상기 제2압착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원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원감지부는, 상기 몸체케이스의 휠수용공간에 바퀴가 접촉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에 누름 작용가능하도록 복원스프링이 구비되는 접촉스위치와, 상기 접촉스위치에 바퀴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압착부 및 상기 제2압착부는, 상기 휠수용공간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게 좌우 대칭된 구조로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압착수단 및 제2압착수단과, 상기 제1압착수단 및 상기 제2압착수단의 한쪽에 각각 연결되고 힌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에 연결 설치되고 상호 작동가능하게 동력을 인가하는 제1구동수단 및 제2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압착수단 및 상기 제2압착수단은, 상기 휠수용공간의 벽면을 이루고 바퀴의 측면에 밀착되어 가압가능하게 형성되며 핀출입공이 구비되는 제1압착판 및 제2압착판과,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 한쪽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1압착판 및 상기 제2압착판의 가압작용을 지지하는 제1지지판 및 제2지지판과, 상기 제1압착판과 상기 제1지지판의 사이 및 상기 제2압착판과 상기 제2지지판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제1압착판 및 상기 제2압착판의 핀출입공을 향해 돌출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휠수용공간에 위치한 바퀴의 휠 부분을 고정하는 제1이탈방지핀 및 제2이탈방지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압착판 및 상기 제2압착판에는, 상기 몸체케이스 내의 설비공간에 좌우로 거리를 두고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압착판 및 상기 제2압착판에 가해지는 힘에 따라 상기 제1압착판 및 상기 제2압착판이 기울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틸팅수단 및 제2틸팅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틸팅수단 및 상기 제2틸팅수단은, 상기 제1압착판 및 상기 제2압착판의 한쪽 면과 대응하여 상기 몸체케이스 내의 설비공간에 고정 설치되는 제1지지블록 및 제2지지블록과, 상기 제1지지블록과 상기 제1압착판의 사이 및 상기 제2지지블록과 상기 제2압착판의 사이에 서로 접하도록 위치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압착판은 바퀴에 접하는 한쪽 면이 바퀴의 형상에 대응하여 오목한 곡면을 갖는 블록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이탈방지핀 및 상기 제2이탈방지핀은 바퀴에 접촉할 때까지 전방을 향해 돌출가능하게 후방에 구비되는 압착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이탈방지핀은 상기 제1압착판에 좌우 거리를 두고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11.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수단 및 상기 제2구동수단은,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에서 각각 좌측 플레이트의 후단부에 결합되고 랙기어가 구비되어 좌우로 직선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랙브라켓과, 상기 랙브라켓에 치합되어 회전운동가능하게 피니언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에서 각각 우측 플레이트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피니언브라켓과, 상기 피니언브라켓에 장착되고 상기 피니언기어에 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압착부에 설치되고 상기 휠수용공간에 진입된 바퀴의 뒷부분에 대해 뒷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한쪽에 바퀴의 외주면에 대응된 형상을 이루며 감쌀 수 있도록 수용홈이 형성되는 고정블록과, 상기 고정블록에 한쪽이 연결되고 상기 고정블록이 전후로 왕복운동가능하게 동력을 인가하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PCT/KR2013/000686 2012-12-05 2013-01-29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WO201408815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346 2012-12-05
KR1020120140346A KR101396908B1 (ko) 2012-12-05 2012-12-05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88152A1 true WO2014088152A1 (ko) 2014-06-12

Family

ID=50883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0686 WO2014088152A1 (ko) 2012-12-05 2013-01-29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96908B1 (ko)
WO (1) WO201408815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4134A (zh) * 2019-01-18 2019-03-29 付京涛 一种无障碍轿厢及电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501B1 (ko) 2015-08-10 2018-01-30 (주)조은정밀 장애인 골프용 휠체어 고정장치
KR101956439B1 (ko) 2017-01-13 2019-03-08 사단법인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 차량의 휠체어 고정 장치
KR101963704B1 (ko) * 2017-10-31 2019-07-31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 설치용 휠체어 고정장치
KR102037602B1 (ko) * 2018-04-20 2019-10-28 사단법인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 저상 버스용 고정 바를 갖춘 휠체어 잠금장치
KR102298247B1 (ko) 2019-08-27 2021-09-06 세풍이엔피공업 주식회사 휠체어 후방에 부착고정되는 휠체어고정횡바 및 이를 이용한 이동차량 휠체어고정시스템
KR102497319B1 (ko) * 2021-11-30 2023-02-07 (사)한국지체장애인협회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5394Y2 (ja) * 1992-09-10 1994-11-24 日本リフト株式会社 車椅子固定装置
KR20030018814A (ko) * 2001-08-31 2003-03-06 주식회사 삼주기계 이동체용 휠체어 고정장치
US20070154275A1 (en) * 2005-10-13 2007-07-05 Permobil Ab Base unit and system for docking and securing a wheelchair in a vehicle
KR20100019743A (ko) * 2008-08-11 2010-02-19 (주)세퍼스 시스템 이동수단에 구비된 회전 구동방식의 휠체어 고정장치
US20120219376A1 (en) * 2009-11-16 2012-08-30 Bowman Donald Wheel restrai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8272A (ja) * 1995-03-03 1996-09-17 Araco Corp 車椅子の固定装置
KR100839569B1 (ko) * 2008-01-09 2008-06-19 (주)세퍼스 이동수단에 구비된 링크식 휠체어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5394Y2 (ja) * 1992-09-10 1994-11-24 日本リフト株式会社 車椅子固定装置
KR20030018814A (ko) * 2001-08-31 2003-03-06 주식회사 삼주기계 이동체용 휠체어 고정장치
US20070154275A1 (en) * 2005-10-13 2007-07-05 Permobil Ab Base unit and system for docking and securing a wheelchair in a vehicle
KR20100019743A (ko) * 2008-08-11 2010-02-19 (주)세퍼스 시스템 이동수단에 구비된 회전 구동방식의 휠체어 고정장치
US20120219376A1 (en) * 2009-11-16 2012-08-30 Bowman Donald Wheel restraint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4134A (zh) * 2019-01-18 2019-03-29 付京涛 一种无障碍轿厢及电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6908B1 (ko) 2014-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88152A1 (ko)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US9775771B2 (en) Apparatus for reanimation of a patient
WO2016186270A1 (ko) 착석형 보행 재활로봇
GB2291801A (en) Apparatus for moving disabled persons
US7296960B2 (en) Coupling system for attachment of a seat to allow securing and/or lifting thereof
WO2020256352A1 (ko) 무동력 차체용 구동유닛을 구비한 탑승장치
WO2002039944A3 (en) Multipurpose roll-in emergency cot
WO2020096397A1 (ko) 로프 제동장치
WO2016060477A1 (ko) 절첩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WO2021167296A1 (ko)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
KR101909116B1 (ko)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WO2020262997A2 (ko) 기구적 자기강화 작용을 이용한 수동 휠체어 이동 보조 장치
WO2015163635A1 (ko) 상지 근력 강화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키트
JPH11268635A (ja) プラットホーム用可動柵
WO2021201458A1 (ko)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
WO2018084386A1 (ko) 스윙 체어
WO2020045692A1 (ko) 안전 휠체어 장치
WO2022034952A1 (ko)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
CN109498379B (zh) 具有座板收放系统的助行器
CN112294575A (zh) 一种可移动病床装置
CN113244072A (zh) 一种基于人工智能的人员搬运设备
KR101737826B1 (ko) 휠체어용 보조동력모듈 탈부착장치
WO2023229217A1 (ko) 이승 보조 장치
WO2019054693A1 (ko) 프리휠을 이용한 주행용 드라이빙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주행 장치
KR200296764Y1 (ko) 휠체어 리프트용 안전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5984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5984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