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319B1 -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319B1
KR102497319B1 KR1020210168087A KR20210168087A KR102497319B1 KR 102497319 B1 KR102497319 B1 KR 102497319B1 KR 1020210168087 A KR1020210168087 A KR 1020210168087A KR 20210168087 A KR20210168087 A KR 20210168087A KR 102497319 B1 KR102497319 B1 KR 102497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unit
autonomous vehicle
dock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8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현근
도유미
장정아
김석현
Original Assignee
(사)한국지체장애인협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한국지체장애인협회 filed Critical (사)한국지체장애인협회
Priority to KR1020210168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3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or stretchers
    • A61G3/08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12Remote contr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20Displays or moni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율주행자동차의 운행시에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자율주행차량에 탑승한 상태에서 자율주행차량의 탑승시에 휠체어를 자동으로 고정하고, 휠체어 이용 장애인이 하차시에 휠체어를 자동으로 해제할 수 있는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Wheelchair boarding device for driverless autonomous vehicle using mobile device for wheelchair users}
본 발명은 휠체어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율주행자동차의 운행시에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자율주행차량에 탑승한 상태에서 자율주행차량의 탑승시에 휠체어를 자동으로 고정하고, 휠체어 이용 장애인이 하차시에 휠체어를 자동으로 해제할 수 있는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 이용 장애인은 특별교통수단을 호출하여 이동할 수 있다. 특별교통수단은 휠체어 이용 장애인이 탑승하고, 고정장치로 휠체어를 안정적으로 고정한 뒤에 이동하게 된다. 이때 운전자가 휠체어를 고리 등으로 고정시키고 안전벨트를 이용자에게 채우고, 목적지에 도달한 이후에 상기 운전자가 하차하여 상기 특별교통수단에서 휠체어가 지면으로 이동된 이후에 안전하게 이동 가능할 때까지 장애인을 도와준다.
또한, 자동차로 주행하는 경우에 규정상 자동차에 휠체어가 탑승한 후에 휠체어에 설치된 안전고리를 이용하여 휠체어를 차량에 고정한 상태에서 차량을 운행해야 한다. 이에 따라 일반 운전자가 있는 차량의 경우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이 휠체어와 함께 차량에 탑승한 경우 운전자가 수작업으로 휠체어에 설치된 안전고리에 차량에 설치된 고정장치를 통해 휠체어를 수동으로 고정하고, 목적지에 도착한 후에는 운전자가 반대로 휠체어의 안전고리에 고정된 고정장치를 수작업으로 해제하여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이 차량에서 하차하였다.
최근에는 자율주행차량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 차량이 특별교통수단으로 이용할 경우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이동 방식에 영향을 주게 된다.
휠체어 이용 장애인이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 차량을 호출할 경우 기존의 특별교통수단의 경우 대부분 자율주행차량과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인터랙션을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자율주행차의 경우 운전자가 없어 규정상 자율주행차를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이 호출하여 인터랙션을 수행한 후에 휠체어와 함께 장애인이 자율주행차량에 탑승하면 휠체어에 설치된 안전고리를 자율주행차량에 자동으로 고정하고, 반대로 목적지에 도착한 이후에는 휠체어에 설치된 안전고리와 자율주행차량의 연결을 자동으로 해제할 수 있는 휠체어 고정장치에 대한 기술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현재 휠체어는 자동과 수동으로 운행하는 방식과 장애인의 장애 정도나 신체사이즈에 맞추어 다양한 크기와 종류가 매우 다양함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종류의 휠체어를 자율주행차량에 자동으로 고정하고 해제할 수 있는 휠체어 고정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85746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율주행자동차의 운행시에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자율주행차량에 탑승한 상태에서 자율주행차량의 탑승시에 휠체어를 자동으로 고정하고, 휠체어 이용 장애인이 하차시에 휠체어를 자동으로 해제함에 따라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편의와 안정성을 보호하고, 자율주행차의 유지관리비용과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휠체어 이용 장애인이 이용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는 휠체어 이용 장애인이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자율주행 차량을 호출한 후에 목적지로 이동 및 승하차를 실시할 때 상기 자율주행 차량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휠체어의 진입에 따른 위치 및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자율주행 차량이 주행되는 동안 상기 휠체어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상기 휠체어에 구비된 연결부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고정하는 고정 유닛;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고정 유닛의 작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휠체어가 상기 고정 유닛에 정상적으로 고정된 상태인지 판단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의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휠체어의 후륜을 제1 방향에서 고정하는 제1 고정유닛; 및 상기 휠체어의 전륜을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에서 고정하는 제2 고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의 상기 제1 고정유닛의 제1 방향은 상기 자율주행 차량의 전방과 후방을 향하는 방향에 해당되고, 상기 제2 고정유닛의 제2 방향은 상기 자율주행 차량의 좌측과 우측을 향하는 방향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의 상기 제1 고정유닛은 서로 마주보며 수평 하게 이격된 한 쌍의 제1 베이스 프레임에 좌우 양측 단부가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 이동부; 상기 제1 이동부의 연장된 일측에서 상기 연결부를 향해 이동되고, 단부에 제1 록킹부가 구비된 제1 도킹부; 및 상기 수평 프레임의 연장된 타측에서 상기 연결부를 향해 이동되고 단부에 제2 록킹부가 구비된 제2 도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의 상기 제1,2 도킹부는 상기 제1 이동부의 폭 방향 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를 향해 사선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의 상기 제1 도킹부는 축 방향에서 가해진 외력을 탄성 복원력으로 지지하기 위해 구비된 제1 충격 흡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도킹부는 축 방향에서 가해진 외력을 탄성 복원력으로 지지하기 위해 구비된 제2 충격 흡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부에 상기 제1,2 도킹부에 구비된 제1,2 록킹부가 결합된 이후에 상기 제1,2 도킹부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 방향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연결부와 소정의 인장력이 유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의 상기 제1,2 도킹부와 함께 상기 제2 고정유닛은 상기 휠체어가 고정되기 위해 이동하는 이동 경로상에 구비된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휠체어의 좌측 전륜의 외측면과 결합되어 록킹된 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하는 제3 도킹부; 및 상기 제3 도킹부와 수평 방향에서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휠체어의 우측 전륜의 외측면과 결합되어 록킹된 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하는 제4 도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의 상기 제3 도킹부는 상기 휠체어의 좌측 전륜의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좌측 전륜의 좌우 양측에서 밀착되는 제1 지지 블록; 상기 제1 지지 블록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부; 및 상기 제1 지지 블록에 상기 휠체어의 좌측 전륜이 결합된 이후에 상기 제1 지지 블록의 좌우 양측에서 상기 좌측 전륜을 향해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이 이루어지는 제1 지지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의 상기 제3 도킹부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제4 도킹부는 상기 휠체어의 좌측 전륜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우측 전륜의 좌우 양측에서 밀착되는 제2 지지 블록; 상기 제2 지지 블록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제3 이동부; 및 상기 제2 지지 블록에 상기 휠체어의 우측 전륜이 결합된 이후에 상기 제2 지지 블록의 좌우 양측에서 상기 우측 전륜을 향해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이 이루어지는 제2 지지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의 상기 제1 이동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최하측 위치가 기준 위치로 셋팅되고, 상기 제1,2 도킹부는 상기 연결부를 향해 인출 또는 인입이 이루어지되, 상기 휠체어의 하측에서 상기 연결부를 향해 사선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연결부와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의 상기 제1 충격 흡수부는 상기 제1 도킹부의 축 방향에 삽입된 제1 스프링; 상기 제1 스프링의 일측 단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 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충격 흡수부는 상기 제2 도킹부의 축 방향에 삽입된 제2 스프링; 및 상기 제2 스프링의 일측 단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 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의 상기 제3,4 도킹부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3,4 도킹부의 수평 방향 이격 간격을 서로 동일하게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 간격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는 휠체어가 자율주행 차량에 탑승한 후에 상기 자율주행차량에 자동으로 고정되고, 목적지에 도착한 후에 자율주행차량으로부터 휠체어 고정을 자동으로 해제하여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의 편의와 안정성을 보호하고 관련 규정을 만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는 휠체어의 크기와 종류 및 자동과 수동유무에 관계없이 모든 휠체어를 자율주행차량에 자동으로 고정하고 해제할 수 있어 제조비용과 설치비용이 절감되어 장애인 이용 자율주행차의 유지관리비용과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는 휠체어가 모든 자율주행차에 설치가 가능하여 호환성이 향상되어 설치비용과 설치시간을 감소하고, 소형화를 통해 자율주행차 내부의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하여 탑승자의 편의를 향상하고 수출 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휠체어의 일 예를 도시한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해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이 자율주행차량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제1 고정유닛을 도시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제1 고정유닛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제1 고정유닛의 작동 상태도를 나타낸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제2 고정유닛의 작동 상태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물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참고로 도 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휠체어의 일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도 이며, 도 3 내지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해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이 자율주행차량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제1 고정유닛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제1 고정유닛의 측면도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는 휠체어(100) 이용 장애인이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자율주행 차량(10)을 호출한 후에 목적지로 이동 및 승하차를 실시할 때 상기 자율주행 차량(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휠체어(100)의 후륜(110)과 전륜(120)을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고정 및 지지하여 상기 휠체어(100)에 탑승한 장애인이 안전하게 이동시키고자 한다.
상기 휠체어 이용 장애인은 기존의 운전자가 있는 장애인 이동차량이 아닌 자율주행 차량을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호출을 실시하고, 정해진 시간에 탑승 및 이동을 손쉽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휠체어(100)에는 후술할 고정 유닛(300)과 결합되는 연결부(102)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102)는 타원 형태 또는 링 형태 또는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으며 특별히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태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 예는 휠체어(100)의 진입에 따른 위치 및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부(200)와, 상기 자율주행 차량(10)이 주행되는 동안 상기 휠체어(100)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상기 휠체어(100)에 구비된 연결부(102)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고정하는 고정 유닛(300) 및 상기 감지부(200)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고정 유닛(300)의 작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휠체어(100)가 상기 고정 유닛(300)에 정상적으로 고정된 상태인지 판단하기 위한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200)는 도면에 도시된 위치 또는 제1 고정유닛(310)에 위치될 수 있으나, 상기 휠체어(100)가 고정 유닛(300)으로 이동되는 이동 경로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200)는 일 예로 휠체어(100)의 이동에 따른 이격 거리를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가 사용되나 이와 유사한 기능을 갖는 센서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200)는 휠체어(100)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모션센서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며, 통상적으로 움직임을 감지하는 기능을 갖는 센서가 다양하게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휠체어(100) 이용 장애인이 자율주행 차량(10)에 탑승하기 위해서는 호출 신호를 접수한 상기 자율주행 차량(10)이 도착한 이후에 자동으로 이동 게이트(12)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픈된다.
상기 휠체어(100) 이용 장애인은 상기 이동 게이트(12)로 탑승한 이후에 별도로 구비된 승강 유닛(미도시) 또는 휠체어 이동 레일(미도시)를 통해 상기 자율주행 차량(10)의 내부를 향해 자동으로 이동된다.
상기 휠체어(100) 이용 장애인은 자율주행 차량(10)의 내부로 이동된 이후에 고정 유닛(300)이 설치된 위치까지 별도로 구비된 이동 레일(미도시)을 통해 자동으로 이동된다.
상기 고정 유닛(300)은 상기 휠체어(100)의 후륜(110)을 제1 방향에서 고정하는 제1 고정유닛(310)과, 상기 휠체어(100)의 전륜(120)을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에서 고정하는 제2 고정유닛(3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자율주행 차량의 전방과 후방을 향하는 방향에 해당되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자율주행 차량의 좌측과 우측을 향하는 방향에 해당된다.
상기 휠체어(100)가 제1 방향과 제2 방향에서 각각 고정될 경우 자율주행 차량의 이동에 따른 관성력이 상기 휠체어(100)에 전달되는 경우에도 특정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흔들림이 최소화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안정적인 이동이 유지된다.
상기 제1 방향은 자율주행 차량이 출발하거나, 도로를 따라 주행하다가 브레이킹을 실시할 경우에도 휠체어(100)의 전방과 후방에서의 움직임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이동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은 자율주행 차량이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실시하거나, 유턴을 실시할 때 상기 휠체어(100)의 좌우측으로 가해지는 움직임을 방지하거나 최소화 시켜 안정적인 이동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자율주행 차량을 이용하여 목적지로 이동하는 장애인을 외부의 갑작스런 충격 또는 흔들림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하고 만족도를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유닛(310)은 서로 마주보며 수평 하게 이격된 한 쌍의 제1 베이스 프레임(312)에 좌우 양측 단부가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 이동부(314)와, 상기 제1 이동부(314)의 연장된 일측에서 상기 연결부(102)를 향해 이동되고, 단부에 제1 록킹부(316a)가 구비된 제1 도킹부(316)와, 상기 수평 프레임(114)의 연장된 타측에서 상기 연결부(102)를 향해 이동되고 단부에 제2 록킹부(318a)가 구비된 제2 도킹부(318)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312)은 제1 이동부(314)의 안정적인 이동을 위해 구비되고, 상기 제1 이동부(314)는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312)의 좌우 양측 단부에 결합되어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진다.
제1 베이스 프레임(312)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프레임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태 또는 이격 간격으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부(314)는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312)에 랙 피니언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볼 스크류 방식 또는 LM 가이드 방식 중의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특별히 특정 결합 방식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첨부된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도킹부(316)와 제2 도킹부(318)는 상기 제1 이동부(314)의 폭 방향 에서 좌우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102)를 향해 사선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진다.
휠체어(100)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만 사용되지 않고 다양한 사양의 휠체어가 사용될 수 있어 제1,2 도킹부(316, 318)가 상기 제1 이동부(314)에서 좌우 양측으로 동시에 이동될 수 있어 다양한 폭을 갖는 휠체어에 대한 안정적인 고정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1,2 도킹부(316, 318)는 좌우 양측에서 이동되기 위해 LM가이드 또는 볼 스크류와 같은 추가 구성품이 설치될 수 있으며 특별히 특정 구성품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1 이동부(314)는 제1 베이스 프레임(312)의 최하측 위치가 기준 위치로 셋팅 되고, 상기 제1,2 도킹부(316, 318)는 상기 연결부(102)를 향해 외측으로 인출되거나, 기준 위치를 향해 인입이 이루어지되, 상기 휠체어의 하측에서 상기 연결부(102)를 향해 사선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연결부(102)와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이동부(314)가 기준 위치에 셋팅되는 이유는 휠체어(100)를 고정할 때 전술한 위치에서 상측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이동한 이후에 상기 제1,2 도킹부(316, 318)가 상기 연결부(102)를 향해 사선으로 이동이 이루어질 경우 휠체어(10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데 보다 유리해지기 때문이다.
제1,2 도킹부(316, 318)는 일 예로 인입 또는 인출이 용이한 피스톤이 사용되나 다른 구성으로 변경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킹부(316)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끝단에 제1 록킹부(316a)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록킹부(316a)는 일 예로 고리 형태로 형성되나 다른 형태로 변경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2 도킹부(316, 318)는 상기 제1 이동부(314)와 결합된 위치에 볼 조인트(Ball joint)가 구비되어 있어 다양한 방향으로 손쉽게 이동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2 도킹부(318)에도 외측으로 연장된 끝단에 제2 록킹부(318a)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록킹부(318a)는 일 예로 고리 형태로 형성되나 다른 형태로 변경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2 도킹부(316, 318)는 작동전에는 인입된 상태가 유지되고, 휠체어(100)를 고정할 경우에만 외측으로 인출된다.
상기 제1 도킹부(316)는 축 방향에서 가해진 외력을 탄성 복원력으로 지지하기 위해 구비된 제1 충격 흡수부(316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도킹부(318)는 축 방향에서 가해진 외력을 탄성 복원력으로 지지하기 위해 구비된 제2 충격 흡수부(318b)를 더 포함한다.
상기 휠체어(100)는 자체 무게와 장애인의 몸무게를 더할 경우 100kg 전후의 무게가 유지되는 고중량물에 해당되므로 상기 제1 고정유닛(310)에 의해 록킹 결합된 이후에 상기 자율주행차량이 이동될 때 제1,2 고정유닛(310, 320)의 축 방향에 국부적으로 가해지는 외력을 댐핑하여 휠체어(100)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 할 경우 보다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해지게 된다.
일 예로 상기 제1 충격 흡수부(316b)는 상기 제1 도킹부(316)의 축 방향에 삽입된 제1 스프링(316b1)과, 상기 제1 스프링(316b1)의 일측 단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 링(316b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스프링(316b1)은 코일 스프링이 사용되고, 휠체어(100) 및 장애인의 몸무게에 따라 권선비와 스프링 상수가 셋팅되어 제1 도킹부(316)의 축 방향에서 가해지는 외력을 댐핑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링(316b2)은 제1 도킹부(316)의 변위 변화에 따라 상기 제1 스프링(316b1)의 단부를 지지하여 축 방향에서의 안정적인 댐핑을 도모한다.
상기 제2 충격 흡수부(318b)는 상기 제2 도킹부(318)의 축 방향에 삽입된 제2 스프링(316b1)과, 상기 제2 스프링(318b1)의 일측 단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 링(318b2)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충격 흡수부(318b)는 제1 충격 흡수부(316b)와 마찬가지로 구성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스프링(318b1)이 탄성 변형되면서 충격을 댐핑한다. 상기 제2 스프링(316b1)과 제2 지지 링(318b2) 또한, 제1 스프링(316b1)과 제1 지지 링(316b2)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연결부(102)에 상기 제1,2 록킹부(316a, 318a)가 결합된 이후에 상기 제1,2 도킹부(316, 318)를 제1 베이스 프레임 방향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연결부(102)와 소정의 인장력이 유지된 상태를 유지한다(도 8 참조).
이 경우 연결부(102)에는 소정의 인장력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제1,2 록킹부(316a, 318a)가 연결부(102)의 내측에 단순히 걸린 상태가 유지되지 않고 소정의 인장력이 가해지게 되어 록킹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제2 고정유닛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제2 고정유닛(320)은 휠체어(100)가 고정되기 위해 이동하는 이동 경로상에 구비된 케이스(321)의 내부에서 상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휠체어(100)의 좌측 전륜의 외측면과 결합되어 록킹된 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하는 제3 도킹부(322)와, 상기 제3 도킹부(322)와 수평 방향에서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휠체어(100)의 우측 전륜의 외측면과 결합되어 록킹된 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하는 제4 도킹부(324)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321)는 자율주행 차량(10)의 내측에 매립되는 구성품으로 내부에 상기 제3,4 도킹부(322, 324)가 구비된다. 상기 제2 고정유닛(320)은 휠체어(100)의 전륜을 고정하기 위해 구비되고, 전술한 제1 고정유닛(310)과 다르게 제2 방향(휠체어의 좌측과 우측)을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제3,4 도킹부(322, 324)는 상기 케이스(321)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된 후에 휠체어(100)의 전륜 좌측과 우측에 각각 록킹되어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321)에는 제3 도킹부(322)와 마주보는 상측에 휠체어(100)의 좌측 전륜이 부분 안착되는 제1 도킹 홀(321a)이 개구되고, 상기 제4 도킹부(324)와 마주보는 상측에도 휠체어(100)의 우측 전륜이 부분 안착되는 제2 도킹 홀(321b)이 형성된다.
상기 제1,2 도킹 홀(321a, 321b)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에 대해 직교되게 개구되어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배치 상태 및 크기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3 도킹부(322)는 상기 휠체어(100)의 좌측 전륜의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좌측 전륜의 좌우 양측에서 밀착되는 제1 지지 블록(322a1)과, 상기 제1 지지 블록(322a1)에 상기 휠체어(100)의 좌측 전륜이 결합된 이후에 상기 제1 지지 블록(322a1)의 좌우 양측에서 상기 좌측 전륜을 향해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이 이루어지는 제1 지지 액츄에이터(322a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지지 블록(322a1)은 일 예로 좌측 전륜과 밀착될 경우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고무 또는 플라스틱 또는 비금속 또는 복합재질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별히 전술한 재질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액츄에이터(322a2)는 제1 지지 블록(322a1)을 좌측 전륜의 좌우측 위치에서 각각 가압하여 록킹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제1 지지 블록(322a1)은 휠체어(100)의 좌측 전륜이 부분 삽입되도록 U자 단면 형태가 유지되고, 하측 중앙에 구비된 결합 핀(P)을 기준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질 수 있으며 상기 좌측 전륜을 향해 제1 지지 액츄에이터(322a2)에 의해 각각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좌측 전륜은 제1 지지 블록(322a1)이 도면 기준 좌측 전륜의 좌우 양측에서 각각 밀착되고, 상기 제1 지지 액츄에이터(322a2)에 의해 소정의 압력으로 밀착되어 록킹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결합 핀(P)에는 도면에는 미도시 하였으나 탄성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제1 지지 액츄에이터(322a2)가 작동 해제될 경우 상기 제1 지지블록(322a1)이 초기 위치로 자동 복귀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블록(322a1)은 상측의 벌어진 각도가 도면에 도시된 각도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어 다양한 직경을 갖는 휠체어의 전륜을 안정적으로 록킹 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부(322a3)는 상기 제1 지지 블록(322a1)을 상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며, 공압 또는 유압으로 작동되는 통상의 액츄에이터가 사용된다.
상기 제1 지지 액츄에이터(322a2)는 제어부(400)에 의해 작동 상태가 제어되고, 상기 제1 지지 블록(322a1)에 삽입된 좌측 전륜과의 밀착 정도에 따라 가압력이 서로 다르게 제어되어 상기 좌측 전륜의 파손 및 변형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는 휠체어에 구비된 좌측 또는 우측 전륜의 다양한 직경 및 세부적인 사양을 고려하여 위와 같이 제어한다.
상기 제4 도킹부(324)는 상기 휠체어(100)의 좌측 전륜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우측 전륜의 좌우 양측에서 밀착되는 제2 지지 블록(324a1)과, 상기 제2 지지 블록(324a1)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제3 이동부(324a3)와, 상기 제2 지지 블록(324a1)에 상기 휠체어(100)의 우측 전륜이 결합된 이후에 상기 제2 지지 블록(324a1)의 좌우 양측에서 상기 우측 전륜을 향해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이 이루어지는 제2 지지 액츄에이터(324a2)를 포함한다.
상기 제4 도킹부(324)는 전술한 제3 도킹부(322)와 함께 작동되면서 상기 휠체어의 전륜(120)을 선택적으로 록킹하여 자율주행 차량이 이동될 때 움직임을 방지한다.
본 실시 예는 상기 제3,4 도킹부(322, 334)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3,4 도킹부(322, 324)의 수평 방향 이격 간격을 서로 동일하게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 간격 조절부(326)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간격 조절부(326)는 다양한 휠체어(10)의 사양에 따른 용이한 고정을 위해 구비되고, 상기 제3,4 도킹부(322, 324)의 이격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특별히 특정 구성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 예는 상기 장애인에게 상기 자율주행 차량(10)의 이동 정보와 상기 휠체어(10)의 고정 상태 정보를 시각과 청각으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5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정보 제공부(500)는 일 예로 모니터를 통해 현재 자율주행 차량(10)의 이동 경로와 속도 및 도착 예정 시간이 제공되고, 장애인에게 시각과 청각으로 정보 제공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의 고정 유닛((300)은 오염 방지 효과가 우수한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층을 형성시켜 오염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무기 나노 입자; 실린 화합물; 계면활성제; 바인더; 분산제; 및 용매를 포함한다.
상기 무기 나노 입자의 평균 직경이 3 내지 5㎛이다. 상기 범위 내의 평균 직경이 작은 무기 파우더를 이용함에 따라, 코팅층을 형성하더라도 촉감을 저해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무기 나노 입자는 티탄산 바륨(barium titanate), 실리카(SiO2), 티타네이트(TiO2)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티탄산 바륨이지만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실란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21138471236-pat00001
여기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상기 실란 화합물은 -OCF3 치환기를 다수 포함하고 있고, 상기 -OCF3 치환기에 의해 코팅층 내에 불소 피막을 형성하여 방오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링커로 탄소수 1 내지 100의 알킬렌기를 포함하고 있어 에스테르기를 중심으로 양 측면에 -OCF3 치환기가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어, 코팅 층 내에 무기 나노 입자와의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함에 따라, 방오 효과를 더욱 상승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링커는 탄소수 5 내지 10의 알킬렌기로, 즉 n은 5 내지 10의 정수로, 상기 범위 내에서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코팅층의 두께 범위 내에서 방오 효과를 최대한으로 높일 수 있는 불소 피막의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n이 5 미만인 경우, 무기 나노 입자와 -OCF3 치환기간의 간섭 효과로 인해 방오 효과가 저해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n이 1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코팅층 내의 무기 나노 입자와 불소 피막간의 거리가 멀어져 간섭 효과 발생은 방지할 수 있으나 불소 피막과 무기 나노 입자의 조합에 의한 방오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베타인계 계면활성제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알킬베타인계, 아미드베타인계, 술포베타인계, 히드록시술포베타인계, 아미도술포베타인계 및 포스포베타인계, 이미다졸리늄베타인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바인더는 아크릴계 바인더, 우레탄계 바인더, 실리콘계 바인더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실리콘계 바인더이며, 보다 더 구체적으로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하이드로실록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분산제는 카본계 필러의 분산제로 당업계에서 채용하는 공지된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에스테르계 분산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분산제, 폴리올레핀계 분산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분산제, 폴리아릴레이트계 분산제, 폴리아미드계 분산제, 폴리아미드이미드계 분산제, 폴리아릴설폰계 분산제, 폴리에테르이미드계 분산제, 폴리에테르설폰계 분산제, 폴리페닐렌 설피드계 분산제, 폴리이미드계 분산제; 폴리에테르케톤계분산제, 폴리벤족사졸계 분산제, 폴리옥사디아졸계 분산제, 폴리벤조티아졸계 분산제, 폴리벤즈이미다졸계 분산제, 폴리피리딘계 분산제, 폴리트리아졸계 분산제, 폴리피롤리딘계 분산제, 폴리디벤조퓨란계 분산제, 폴리설폰계 분산제, 폴리우레아계 분산제, 폴리우레탄계 분산제, 폴리포스파젠계 분산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용매는 물, 알코올류 용매, 할로겐 함유 탄화수소류 용매, 케톤류 용매, 셀로솔브류 용매 및 아미이드류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무기 나노입자; 실란 화합물; 계면활성제; 바인더; 분산제; 및 용매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기 나노 입자 5 내지 20 중량부; 실란 화합물 20 내지 50 중량부; 계면활성제 10 내지 20 중량부; 바인더 30 내지 50 중량부; 및 분산제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추출물의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 임계적 의의가 있는 정도의 상승효과가 발현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거의 없게 된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무기 나노 입자; 실란 화합물; 계면활성제; 바인더; 분산제; 및 용매를 혼합 후, 100 내지 150 rpm으로 교반하여 제조한다. 제조된 코팅 조성물은 1,500 내지 2,000cps의 점도를 나타내며, 상기 점도 범위 내에서 기재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 시 일정한 형상의 유지가 가능하여 공지된 코팅법을 이용하여 코팅을 용이하게 한다.
[제조예 1: 코팅 조성물의 제조]
평균 직경이 3 내지 5㎛인 티탄산 바륨(barium titanate),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란 화합물, 알킬베타인계 계면활성제, 폴리하이드로실록산 바인더, 물 및 폴리에스테르계 분산제를 혼합하고, 100 rpm의 속도로 10 내지 30분동안 교반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1]
Figure 112021138471236-pat00002
(여기서, n 은 10의 정수이다.)
상기 코팅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은 모두 구매하여 코팅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었다. 보다 구체적인 코팅 조성물의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BB1 BB2 BB3 BB4 BB5 BB6 BB7 BB8 BB9 BB10 BB11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티탄산 바륨 1 5 10 15 20 25 15 15 15 15 15
실란 화합물 10 20 30 40 50 60 40 40 40 40 40
계면활성제 5 10 13 16 20 30 16 16 16 16 16
바인더 20 30 35 45 50 60 45 45 45 45 45
분산제 1 5 7 8 10 20 8 8 8 8 8
5×5cm 시편을 BB1 내지 BB11의 코팅 조성물에 침지시키고, 90 내지 95℃에서 60분 동안 건조시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실험예 1: 외관 평가]
상기 BB1 내지 BB11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시편을 코팅 시키기 전에 25℃에서 Brookfield점도계를 이용하여 점도를 측정하고 코팅층을 형성한 이후, 외관을 관찰하였다.
기재의 표면에 평탄하게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와 굴곡진 정도에 따라 하기와 같은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를 진행하였다.
○: 평탄한 코팅층 형성
△: 일부 굴곡진 형태로 코팅층을 형성
×: 많은 부분에서 굴곡진 형태로 코팅층을 형성
BB1 BB2 BB3 BB4 BB5 BB6
점도(cps) 500 1,120 1,560 1,800 1,920 2,250
외관 평가 Х Х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에 코팅층을 형성하고 외관을 평가한 결과, 코팅 조성물의 함량 범위에 따라 점도가 다르게 측정되었으며 점도 범위에 따라 균일 코팅층 형성 여부에서 큰 차이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내오염성 평가]
실험번호 BB1 내지 BB6로 표면이 코팅된 시편을 마찰견뢰도 시험기(모델명 DL-2007)에 위치하고, 오염포(Test fabric, 품명 IEC carbon black/mineral oil, EMPA社)를 피오염 시료 표면에 위치하여, 10회 왕복 마찰 실시하고 피오염된 시료를 육안 비교하여 하기 표 2과 같이 오염 등급을 부여하였다.
평기 기준은 하기와 같다.
◎: 피오염물이 전혀 보이지 않음
○: 피오염물이 약간 보이거나 거의 눈에 띄지 않음
△: 피오염이 약간 심하게 보임
×: 피오염이 상당히 심하게 보임
BB1 BB2 BB3 BB4 BB5 BB6
내오염성 Х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BB1은 피오염이 상당히 심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BB 2 및 BB 6의 경우에는 피오염이 약간 심하게 나타났다. 반면 BB3 내지 BB5에서는 피오염물이 전혀 보이지 않거나, 피오염물이 거의 눈에 띄지 않아, 내오염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 : 자율주행 차량
100 : 휠체어
102 : 연결부
200 : 감지부
300 : 고정 유닛
310 : 제1 고정유닛
314 : 제1 이동부
316 : 제1 도킹부
316a : 제1 록킹부
316b, 318b : 제1,2 충격 흡수부
318 : 제2 도킹부
318a : 제2 록킹부
320 : 제2 고정유닛
322 : 제3 도킹부
322a1 : 제1 지지블록
322a2 : 제1 지지 액츄에이터
324 : 제4 도킹부
324a1 : 제2 지지블록
324a2 : 제2 지지 액츄에이터
400 : 제어부

Claims (10)

  1. 휠체어 이용 장애인이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자율주행 차량을 호출한 후에 목적지로 이동 및 승하차를 실시할 때 상기 자율주행 차량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휠체어의 진입에 따른 위치 및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자율주행 차량이 주행되는 동안 상기 휠체어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상기 휠체어에 구비된 연결부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고정하는 고정 유닛;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고정 유닛의 작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휠체어가 상기 고정 유닛에 정상적으로 고정된 상태인지 판단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휠체어의 후륜을 제1 방향에서 고정하는 제1 고정유닛; 및
    상기 휠체어의 전륜을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에서 고정하는 제2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유닛의 제1 방향은 상기 자율주행 차량의 전방과 후방을 향하는 방향에 해당되고,
    상기 제2 고정유닛의 제2 방향은 상기 자율주행 차량의 좌측과 우측을 향하는 방향에 해당되며,
    상기 제1 고정유닛은,
    서로 마주보며 수평 하게 이격된 한 쌍의 제1 베이스 프레임에 좌우 양측 단부가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 이동부;
    상기 제1 이동부의 연장된 일측에서 상기 연결부를 향해 이동되고, 단부에 제1 록킹부가 구비된 제1 도킹부; 및
    수평 프레임의 연장된 타측에서 상기 연결부를 향해 이동되고 단부에 제2 록킹부가 구비된 제2 도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도킹부는 상기 제1 이동부의 폭 방향 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를 향해 사선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킹부는 축 방향에서 가해진 외력을 탄성 복원력으로 지지하기 위해 구비된 제1 충격 흡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도킹부는 축 방향에서 가해진 외력을 탄성 복원력으로 지지하기 위해 구비된 제2 충격 흡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부에 상기 제1,2 도킹부에 구비된 제1,2 록킹부가 결합된 이후에 상기 제1,2 도킹부를 제1 베이스 프레임 방향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연결부와 소정의 인장력이 유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도킹부와 함께 상기 제2 고정유닛은,
    상기 휠체어가 고정되기 위해 이동하는 이동 경로상에 구비된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휠체어의 좌측 전륜의 외측면과 결합되어 록킹된 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하는 제3 도킹부; 및
    상기 제3 도킹부와 수평 방향에서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휠체어의 우측 전륜의 외측면과 결합되어 록킹된 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하는 제4 도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도킹부는,
    상기 휠체어의 좌측 전륜의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좌측 전륜의 좌우 양측에서 밀착되는 제1 지지 블록;
    상기 제1 지지 블록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부; 및
    상기 제1 지지 블록에 상기 휠체어의 좌측 전륜이 결합된 이후에 상기 제1 지지 블록의 좌우 양측에서 상기 좌측 전륜을 향해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이 이루어지는 제1 지지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도킹부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제4 도킹부는,
    상기 휠체어의 좌측 전륜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우측 전륜의 좌우 양측에서 밀착되는 제2 지지 블록;
    상기 제2 지지 블록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제3 이동부; 및
    상기 제2 지지 블록에 상기 휠체어의 우측 전륜이 결합된 이후에 상기 제2 지지 블록의 좌우 양측에서 상기 우측 전륜을 향해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이 이루어지는 제2 지지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
KR1020210168087A 2021-11-30 2021-11-30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 KR102497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087A KR102497319B1 (ko) 2021-11-30 2021-11-30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087A KR102497319B1 (ko) 2021-11-30 2021-11-30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7319B1 true KR102497319B1 (ko) 2023-02-07

Family

ID=85221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8087A KR102497319B1 (ko) 2021-11-30 2021-11-30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731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0008A (ko) * 2001-12-18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휠 체어 고정장치
KR101305336B1 (ko) * 2012-02-01 2013-09-06 자동차부품연구원 휠체어 자율 주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96908B1 (ko) * 2012-12-05 2014-05-19 세풍전자공업주식회사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KR101857461B1 (ko) 2017-03-29 2018-05-14 사단법인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 휠체어 고정상태 판단시스템
JP2018186859A (ja) * 2017-04-28 2018-11-29 株式会社Subaru 車両
KR20190106845A (ko) * 2019-08-26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율 주행 차량의 탑승자 인식 및 승하차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2192675B1 (ko) * 2019-08-29 2020-12-17 박성희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KR20210143734A (ko) * 2019-03-28 2021-11-29 발레다 컴퍼니 엘엘씨 이동성 디바이스 고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0008A (ko) * 2001-12-18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휠 체어 고정장치
KR101305336B1 (ko) * 2012-02-01 2013-09-06 자동차부품연구원 휠체어 자율 주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96908B1 (ko) * 2012-12-05 2014-05-19 세풍전자공업주식회사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KR101857461B1 (ko) 2017-03-29 2018-05-14 사단법인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 휠체어 고정상태 판단시스템
JP2018186859A (ja) * 2017-04-28 2018-11-29 株式会社Subaru 車両
KR20210143734A (ko) * 2019-03-28 2021-11-29 발레다 컴퍼니 엘엘씨 이동성 디바이스 고정 시스템
KR20190106845A (ko) * 2019-08-26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율 주행 차량의 탑승자 인식 및 승하차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2192675B1 (ko) * 2019-08-29 2020-12-17 박성희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4467B2 (en) Coated fabric products
US7709092B2 (en) Solar control multilayer film
EP2499293B1 (en) Coated fabric products
US20020066392A1 (en) System, method, and support mechanism for supporting objects
EP0203824B1 (en) Winding or retractor device
KR102497319B1 (ko)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
AU2018202327A1 (en) Elevator belt with additive layer
US7658577B2 (en) Fastening device for fastening a movable element
US9238932B2 (en) Slide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JP2001288948A (ja) 自動車のリリース可能なドアストップ
CN114728698A (zh) 飞机座椅模块
CN110893809A (zh) 用于头枕的延伸辅助装置
CA2508685A1 (en) Self-centering device for compensation ropes or chains of an elevator
US20060097210A1 (en) Composite armature for vehicle actuator valve
WO2013011947A1 (ja) 透明粘接着剤層付飛散防止部材
CN110407057A (zh) 电梯安全机构致动装置
KR20180094920A (ko) 특히 햇빛 차단을 위한, 적층된 금속 섬유층을 포함하는 물품, 및 상기 물품을 획득하기 위해 금속층을 접목하는 방법
KR200485400Y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회전형 손끼임 방지구
AU2017268032B2 (en) Coating process
CN217101054U (zh) 一种聚丙烯薄膜运输防护装置
WO2012045601A1 (en) Door braking system
CN218986510U (zh) 车辆电子设备的固定装置
CN215793607U (zh) 防静电装置
CN202065398U (zh) 带挡圈的聚氨酯衬套总成
US11667244B2 (en) Movable clothes hange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