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675B1 -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675B1
KR102192675B1 KR1020190106584A KR20190106584A KR102192675B1 KR 102192675 B1 KR102192675 B1 KR 102192675B1 KR 1020190106584 A KR1020190106584 A KR 1020190106584A KR 20190106584 A KR20190106584 A KR 20190106584A KR 102192675 B1 KR102192675 B1 KR 102192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horizontal frame
wheelchai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희
Original Assignee
박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희 filed Critical 박성희
Priority to KR1020190106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6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or stretchers
    • A61G3/08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5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the patient is supported by a specific part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 바닥에 결합 설치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상부에 수직하게 결합 설치하는 기둥부재, 기둥부재에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며, 기둥부재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수평프레임부, 수평프레임부의 단부에 결합 설치하며, 수평프레임부를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로 연장되게 배치하면서 휠체어의 앉아있는 탑승자의 머리 부분과 등부분 및 휠체어를 지지하는 받침프레임부, 기둥부재와 수평프레임부에 연결되게 설치하며, 수평프레임부를 기둥부재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하거나 회전된 위치에서 고정이 이루어지게 하는 회전조절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Fixing device for wheelchair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어 휠체어의 등받이부와 탑승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가 차량 내부에 탑승하는 경우 차량의 움직임과 도로의 사정에 따라 휠체어가 의도하지 않게 이동이 될 수 있으므로 이를 안전하게 지지하여 줄 지지수단을 필요로 하게 된다. 특히, 장애인 운전자용 차량에 휠체어가 탑승하는 경우에는 휠체어의 유동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휠체어를 지지하여 줄 필요성이 더욱 커진다.
그러나, 휠체어의 등받이부는 낮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차량의 흔들림이나 충격에 따라 탑승자의 머리가 꺽이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휠체어 및 탑승자의 머리를 함께 지지하여 줄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휠체어를 고정하여 주는 장치에 대한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34018호(2004.05.21)에 '이동체용 휠체어 고정장치'가 제시된다.
그러나, 종래의 휠체어 고정장치는, 휠체어의 바퀴만을 고정함으로 휠체어의 등받이부나 탑승자에 대한 지지나 편의성을 제공하는 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에 휠체어를 배치시,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함과 더불어 휠체어의 등받이부와 탑승자의 후두부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 바닥에 결합 설치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수직하게 결합 설치하는 기둥부재, 상기 기둥부재에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며, 기둥부재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수평프레임부, 상기 수평프레임부의 단부에 결합 설치하며, 수평프레임부를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로 연장되게 배치하면서 휠체어의 앉아있는 탑승자의 머리 부분과 등부분 및 휠체어를 지지하는 받침프레임부, 상기 기둥부재와 수평프레임부에 연결되게 설치하며, 수평프레임부를 기둥부재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하거나 회전된 위치에서 고정이 이루어지게 하는 회전조절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차량의 내부 바닥에 결합 설치하는 바닥슬라이딩레일, 상기 바닥슬라이딩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며, 상면에 기둥부재의 하단이 수직상태로 고정 결합하는 기둥연결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부는, 상기 기둥부재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프레임, 상기 기둥부재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힌지프레임의 일측에 결합 설치하며, 일측에는 리미트 걸림돌기가 형성된 봉 형태의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에 삽입상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일측에는 리미트 걸림돌기가 삽입 배치되는 이동조절 리미트홈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관 형태의 연장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면과 연결되도록 연장프레임의 일측에 체결 설치하며, 지지프레임 상에서 연장프레임의 위치를 고정되게 하는 길이고정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프레임부는, 상기 수평프레임부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수평프레임부에 결합 설치하며, 휠체어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대, 상기 수평프레임부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하부지지대의 상단에 결합 설치하며, 탑승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상부지지대, 상기 상부지지대의 상부에 설치하며, 탑승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조절부는, 상기 기둥부재의 상단에 고정상태로 결합 설치하며, 내주면에는 내측톱니가 형성된 링 형태의 걸림지지체, 상기 수평프레임부에 고정상태로 결합 설치하며, 방사상으로 가이드홈이 복수 형성된 가이드판,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이동되게 설치하며, 일측에는 내측톱니에 이맞춤되는 걸림톱니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걸림해제당김홈이 형성된 복수의 고정체결체, 상기 가이드판의 상면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며,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조절돌기가 형성된 조절캠, 상기 고정체결체 및 조절캠과 연결되도록 가이드판에 결합 설치하며, 고정체결체와 걸림지지체가 이맞춤상태로 유지되게 고정체결체를 밀림시킴과 더불어 조절캠이 탑승자에 의한 회전된 상태에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조절캠과 연결되도록 수평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며, 조절돌기가 걸림해제당김홈에 배치되게 하면서 고정체결체와 걸림지지체의 이맞춤이 해제되면서 수평프레임부가 기둥부재 상에서 회전되도록 탑승자가 조절캠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회전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는, 기둥부재의 상부로 수직하게 결합 배치된 수평프레임부에 받침프레임부의 하부지지대 및 상부지지대가 연결된 상태로 결합 설치하는 바, 제작 및 차량 내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불어 기둥부재의 위치이동 및 수평프레임부의 회전을 통해 받침프레임부 위치 변경이 용이해져 차량 내 휠체어의 위치에 상관없이 받침프레임부를 통한 휠체어 및 탑승자의 등 부분 및 머리 부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수평프레임부 및 받침프레임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A부분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수평프레임부 및 받침프레임부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는, 베이스부(100), 기둥부재(200), 수평프레임부(300), 받침프레임부(400), 회전조절부(5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부(100)는 이후 설명될 기둥부재(200)를 차량(도면 미도시)의 내부 바닥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지지하는 부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부(100)는 기둥부재(200)와 수평프레임부(300)에 의해 연결 지지되는 받침프레임부(400)를 차량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위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베이스부(100)는 차량의 내부 바닥,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의 차체 바닥프레임에 고정상태로 결합 설치한다. 여기서, 베이스부(100)는 바닥결합프레임(110), 기둥연결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슬라이딩레일(110)은 차량 내부의 차체 바닥프레임에 안착상태로 고정 결합한다. 이러한, 바닥슬라이딩레일(110)은 기둥연결프레임(120)을 연결 지지한 상태로 차량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한다. 여기서, 바닥슬라이딩레일(110)은 기둥연결프레임(120)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하면서 안정적인 상태로 연결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를 상호 이격상태로 나란하게 배치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기둥연결프레임(120)은 기둥부재(200)를 연결 지지하는 판 형태의 프레임이다. 이러한, 기둥연결프레임(120)의 하부는 바닥슬라이딩레일(1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안착상태로 연결 설치한다. 이때, 기둥연결프레임(120)의 저면에는 바닥슬라이딩레일(1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도록 연결레일부(121)가 형성된다. 그리고, 기둥연결프레임(120)의 상면 일측에는 기둥부재(200)의 하단을 고정상태로 결합 지지한다. 또한, 기둥연결프레임(120)의 일측에는 바닥슬라이딩레일(110)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 설치된 상태에서 탑승자에 의한 위치 이동 및 이동상태에서 위치를 고정되게 하는 위치고정부(130)를 결합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바닥위치고정부(130)는 기둥연결프레임(120)의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결합 설치하며, 기둥연결프레임(120)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체결공(132)이 형성된 위치고정연결대(131)과, 위치고정연결대(131)의 체결공(132)에 축 부분이 나사 결합되는 위치고정볼트(133)를 포함한다. 여기서, 위치고정볼트(133)의 회전방향에 따라 축 하단 부분이 차량 내부의 바닥에 밀착상태로 가압력이 발생될 경우, 기둥연결프레임(120)은 바닥슬라이딩레일(11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기둥부재(200)는 수평프레임부(300)와 받침프레임부(400)를 차량 내부의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 배치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게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기둥부재(200)는 직선형의 봉 형태로 이루어지며, 기둥부재(200)는 베이스부(100)의 기둥연결프레임(120) 상면에 수직하게 배치하며, 기둥부재(200)의 하단은 기둥연결프레임(120)의 상면에 고정되게 결합 설치한다. 여기서, 기둥부재(200)의 하단에는 기둥연결프레임(120)의 상면에 고정 결합시, 수평프레임부(300)와 받침프레임부(400)의 하중과 더불어 휠체어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기둥연결프레임(120)과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보강브라켓(210)을 결합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평프레임부(300)는 기둥부재(200)의 상단에 수직하게 설치한 상태로 받침프레임부(400)를 연결 지지하는 프레임 부분이다. 여기서, 수평프레임부(300)은 기둥부재(20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여, 차량 내부에 탑승된 휠체어의 위치에 상관없이 받침프레임부(400)의 안정적인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한다. 더불어, 상기 수평프레임부(300)는 차량 내부에 탑승된 휠체어의 위치에 따라 받침프레임부(400)을 기둥부재(200)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평프레임부(300)는 힌지프레임(310), 지지프레임(320), 연장프레임(330), 길이고정볼트(340)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프레임(310)은 기둥부재(20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힌지프레임(310)은 밀폐된 원통 박스형상을 가지며, 힌지프레임(310)의 하단에는 회전 가능하게 봉 형태의 회전축부(311)를 하방으로 연장되게 연결 설치하는데, 이러한 회전축부(311)는 힌지프레임(310)을 기둥부재(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함과 더불어 회전조절부(500)와 연결한다.
상기 지지프레임(320)은 기둥부재(200)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지지프레임(320)은 연장프레임(330)의 내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배치할 수 있도록 봉 형태를 가지며, 지지프레임(320)의 길이방향 일단은 힌지프레임(310)의 일측에 고정되게 결합한다. 그리고, 지지프레임(320)의 외측면 일측에는 연장프레임(330)의 이동조절 리미트홈(331) 상에 삽입되는 리미트 걸림돌기(321)를 돌출되게 구비한다. 이러한, 리미트 걸림돌기(321)는 연장프레임(330)을 지지프레임(32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서 길이조절시, 최대길이 및 최소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연장프레임(330)이 지지프레임(320) 상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걸림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장프레임(330)은 지지프레임(320)으로부터 연장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재이다. 여기서, 연장프레임(330)은 양단을 개방시킨 관 형태로 형성되고, 지지프레임(320)의 외측에 삽입상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러한, 연장프레임(330)의 일측에는 지지프레임(320)의 리미트 걸림돌기(321)를 삽입상태로 배치되게 할 수 있도록 이동조절 리미트홈(331)이 형성된다. 여기서, 이동조절 리미트홈(331)은 연장프레임(3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슬릿 형태로 형성된다. 이같이, 이동조절 리미트홈(331)은 리미트 걸림돌기(321)의 이동 가능한 길이를 설정되게 함으로써, 지지프레임(320)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프레임(330)의 위치를 이에 대응되게 안정적인 슬라이딩 이동상태로 설정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길이고정볼트(340)는 지지프레임(32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된 연장프레임(330)의 위치를 고정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이러한, 길이고정볼트(340)는 연장프레임(330)의 일측에 체결 설치하며, 길이고정볼트(340)의 축 단부는 지지프레임(320)의 외측면에 연결되게 배치한다. 따라서, 길이고정볼트(340)가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길이고정볼트(340)의 축 단부를 지지프레임(320)의 외측면에 접한 상태로 가압력을 가할 경우, 연장프레임(330)의 지지프레임(32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지 않는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프레임부(300)의 힌지프레임(310) 하단 및 기둥부재(200)의 상단에는 상호 마주보는 상태로 외측으로 연장되게 고정판부(201,301)가 결합 구비되고, 고정판부(201,301)에는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홈(202,30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힌지프레임(310)의 고정판부(201)에 형성된 고정홈(202)을 통해 기둥부재(200)의 고정판부(301)에 형성된 고정홈(302)에 삽입 배치되면서 힌지프레임(310)을 기둥부재(200)에 고정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고정핀(303)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받침프레임부(400)는 차량 내부에 탑승 배치시킨 휠체어 및 휠체어에 앉아있는 탑승자의 머리 부분과 등부분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받침프레임부(400)는 수평프레임부(300)의 단부, 보다 상세하게 연장프레임(330)의 일측에 결합 설치한다. 여기서, 받침프레임부(400)는 하부지지대(410), 상부지지대(420), 헤드레스트(43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지지대(410)는 차량에 탑승 배치된 휠체어를 지지하는 프레임이다. 이러한, 하부지지대(410)는 수평프레임부(300)를 기준으로 수평프레임부(300)의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연장프레임(330)의 외측면에 고정되게 결합 설치한다. 여기서, 하부지지대(410)는 사각판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상부지지대(420)는 휠체어에 앉아있는 탑승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프레임이다. 이러한, 상부지지대(420)는 수평프레임부(300)를 기준으로 수평프레임부(300)의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하부지지대(410)의 상단에 결합 설치한다. 즉, 상부지지대(420)는 하부지지대(410)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게 설치한다. 여기서, 상부지지대(420)는 사각판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부지지대(420)의 전면부, 즉 탑승자의 등 부분에 대향되는 면부는 하부지지대(410)의 전면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탑승자의 등 부분을 안정적인 밀착상태로 지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부지지대(420)의 일측에는 탑승자의 파지를 가능하게 하면서, 회전조절부(500)에 의해 수평프레임부(300)이 기둥부재(200) 상에서 회전 가능시 수평프레임부(300)를 회전시키면서 상부지지대(420) 및 하부지지대(4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손잡이부(421)를 결합 구비한다. 더불어, 상부지지대(420)의 상단에는 헤드레스트(43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홈(도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지지대(410) 및 상부지지대(420)는 휠체어와의 충돌에 따른 손상방지 및 탑승자의 등 부분에 안락함을 줄 수 있도록 외측에 별도의 시트부재를 결합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같이, 상기 받침프레임부(400)는 하부지지대(410)와 상부지지대(420)가 상호 연결된 상태로 수평프레임부(300)에 결합 설치하는 바, 휠체어 및 휠체어에 앉아있는 탑승자에 대한 지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더불어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하부지지대(410)와 상부지지대(420)가 상호 연결된 상태로 하나의 구조로 수평프레임부(300)에 결합 설치하는 바,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며 차량 충돌과 같은 사고발생시에도 휠체어 및 탑승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추가적인 부상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헤드레스트(430)는 휠체어에 앉아있는 탑승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헤드레스트(430)는 상부지지대(420)의 상단에 연결 설치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가이드홈에 헤드레스트(430)의 폴을 승강가능하게 연결 설치한다. 이때, 헤드레스트(430)는 탑승자의 머리 부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구조일 수도 있다. 여기서, 헤드레스트(430)의 전후방향 위치조절이 가능한 구조는 이미 차량에 적용되고 있는 공지의 차량용 헤드레스트 구조를 적용할 수 있는 바, 상세한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회전조절부(500)는 수평프레임부(300)를 기둥부재(200)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하거나 회전된 위치에서 고정이 이루어지게 하는 부분이다. 즉, 회전조절부(500)는 탑승자에 의해 별도의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수평프레임부(300)가 기둥부재(200)에 고정상태로 유지되게 하고, 탑승자에 의한 조작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수평프레임부(300)가 기둥부재(200) 상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같이, 회전조절부(500)는 차량 내 휠체어의 위치에 따라 받침프레임부(400)를 휠체어 및 탑승자에 안정적으로 접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수평프레임부(300)를 회전시킨 후 고정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회전조절부(500)는 기둥부재(200)와 수평프레임부(300)의 힌지프레임(310)에 연결되게 설치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회전조절부(500)는 걸림지지체(510), 가이드판(520), 고정체결체(530), 조절캡(540), 탄성부재(550), 회전레버(560)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지지체(510)는 기둥부재(200)의 상단에 고정상태로 결합 설치하는 원형링 형태의 부재이다. 이러한, 걸림지지체(510)의 내주면에는 고정체결체(530)의 걸림톱니(531)와 이맞춤되도록 내측톱니(511)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이같이, 걸림지지체(510)는 걸림톱니(531)와 이맞춤상태시 수평프레임부(300)의 힌지프레임(310)이 기둥부재(200) 상에서 회전하지 않는 고정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상기 가이드판(520)은 조절캠(540)의 회전방향에 따른 고정체결체(530)의 이동시, 고정체결체(5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판 부분이다. 이러한, 가이드판(520)은 수평프레임부(300)의 힌지프레임(310) 하단에 고정상태로 결합 설치한다. 여기서, 가이드판(520)의 중앙부에는 힌지프레임(310)의 회전축부(311)가 관통되도록 관통공(522)이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판(520)의 상면에는 고정체결체(53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가이드홈(521)이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홈(521)은 관통공(522)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체결체(530)는 가이드판(520)의 가이드홈(521)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판 부분이다. 이러한, 고정체결체(530)의 일측 단부, 즉 걸림지지체(510)의 내주면에 대향되는 면부에는 내측톱니(511)에 이맞춤되는 걸림톱니(531)가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톱니(531)는 탄성부재(550)와 조절캠(540)에 의해 고정체결체(530)가 걸림지지체(510)의 내주면 방향으로 밀림상태로 밀착시, 걸림톱니(531)와 이맞춤되면서, 수평프레임부(300)가 기둥부재(200) 상에서 회전하지 않는 고정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그리고, 고정체결체(530)의 타측 단부, 즉 조절캠(540)에 대향되는 면부에는 걸림해제당김홈(532)이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해제당김홈(532)은 탑승자의 회전레버(560) 회전에 의한 조절캠(540)의 대응 회전시, 탄성부재(550)에 의한 당김힘에 의해 고정체결체(530)를 조절캠(54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걸림지지체(510)의 내측톱니(511)와 고정체결체(530)의 걸림톱니(531)의 이맞춤상태가 해제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조절캠(540)은 고정체결체(530)에 연결된 상태로 가이드판(520)의 상면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러한, 조절캠(540)은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축연결공(542)이 형성된다. 축연결공(542)은 수평프레임부(300)의 회전축부(311)를 관통시킨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지게 한다. 그리고, 조절캠(540)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조절돌기(541)가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조절돌기(541)는 고정체결체(530)의 걸림해제당김홈(532)에 위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체결체(530)의 걸림톱니(531)와 걸림지지체(510)의 내측톱니(511)가 상호 이맞춤상태로 배치되도록 고정체결체(530)를 걸림지지체(510) 방향으로 밀림힘을 전달되게 한다.
상기 탄성부재(550)는 조절캠(530)을 탑승자에 의해 별도의 힘을 가하면서 회전시키지 않을 경우에 고정체결체(530)의 걸림톱니(531)와 걸림지지체(510)의 내측톱니(511)를 상호 이맞춤상태로 유지되게 고정체결체(530)를 밀림되게 함과 더불어 조절캠(530)이 탑승자에 의해 회전된 상태에서 탑승자의 회전힘이 해제시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복원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탄성부재(550)는 코일 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지며, 고정체결체(530) 및 조절캠(540)과 연결되도록 가이드판(520) 상부에 결합 설치한다.
상기 회전레버(560)는 탑승자에 의한 조절캠(540)의 회전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하는 부분이다. 즉, 회전레버(560)는 조절돌기(541)를 고정체결체(530)의 걸림해제당김홈(532)에 배치되게 하면서 고정체결체(530)와 걸림지지체(510)의 이맞춤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하여, 수평프레임부(300)의 힌지프레임(310)이 기둥부재(200) 상단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조절캠(540)의 회전 위치를 탑승자가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회전레버(560)는 수평프레임(300)의 힌지프레임(3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며, 하단은 회전축부(311)의 상단에 결합하는 축부(561)와, 힌지프레임(310)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로 축부(561)의 상단에 결합하는 손잡이부(562)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회전조절부(500)에 의한 수평프레임부(300)의 회전위치 조절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탑승자에 의해 회전레버(560)의 손잡이부(562)로 회전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탄성부재(550)에 의해 고정체결체(530)가 탄성지지됨과 동시에 조절캠(540)의 조절돌기(541)가 고정체결체(530)를 걸림지지체(510) 방향으로 밀림시킴으로써, 걸림지지체(510)의 내측톱니(511)와 고정체결체(530)의 걸림톱니(531)가 상호 이맞춤상태로 유지되어, 수평프레임부(300)의 힌지프레임(310)는 기둥부재(200)의 상단에 고정상태가 유지된다.
이후, 차량의 실내로 휠체어를 탑승시킨 후, 받침프레임부(400)의 하부지지대(410)와 상부지지대(420) 및 헤드레스트(430)로 휠체어 및 탑승자의 등 부분과 머리 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위치 변경이 필요한 경우, 탑승자는 회전레버(560)의 손잡이부(562)를 파지한 상태로 회전되게 한다. 그러면, 축부(561) 및 회전축부(311)를 통해 회전력이 조절캠(540)으로 전달되고, 조절캠(540)이 회전시 조절돌기(541)가 고정체결체(530)의 걸림해제당김홈(532)으로 삽입 배치된다. 이후, 조절돌기(541)에 의한 고정체결체(530)의 밀림 지지상태가 해제된 상태로 탄성부재(500)가 고정체결체(530)를 조절캠(540)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면서, 걸림지지체(510)의 내측톱니(511)와 고정체결체(530)의 걸림톱니(531)가 상호 이맞춤상태에 해제되는 바, 탑승자는 수평프레임부(300)를 기둥부재(200) 상에서 회전시켜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탑승자가 회전레버(560)의 손잡이부(562)에 대한 파지상태 및 회전상태를 해제할 경우, 탄성부재(500)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조절캠(540)은 최초 위치로 복원되도록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고정체결체(530)도 다시 걸림지지체(510) 방향으로 밀림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다시 걸림지지체(510)의 내측톱니(511)와 고정체결체(530)의 걸림톱니(531)가 상호 이맞춤상태로 유지되어, 수평프레임부(300)의 힌지프레임(310)는 회전된 위치에서 기둥부재(200)의 상단에 고정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의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는, 기둥부재(200)의 상부로 수직하게 결합 배치된 수평프레임부(300)에 하부지지대(410) 및 상부지지대(420)가 연결된 상태로 결합 설치하는 바, 제작 및 차량 내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불어 기둥부재(200)의 위치이동 및 수평프레임부(300)의 회전을 통해 받침프레임부(400) 위치 변경이 용이해져 차량 내 휠체어의 위치에 상관없이 받침프레임부(400)를 통한 휠체어 및 탑승자의 등 부분 및 머리 부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베이스부 110: 바닥슬라이딩레일
120: 기둥연결프레임 200: 기둥부재
210: 보강브라켓 300: 수평프레임부
310: 힌지프레임 320: 지지프레임
330: 연장프레임 340: 길이고정볼트
400: 받침프레임부 410: 하부지지대
420: 상부지지대 430: 헤드레스트
500: 회전조절부 510: 걸림지지체
520: 가이드판 530: 고정체결체
540: 조절캠 550: 탄성부재
560: 회전레버

Claims (5)

  1. 차량의 내부 바닥에 결합 설치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수직하게 결합 설치하는 기둥부재와;
    상기 기둥부재에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며, 기둥부재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수평프레임부와;
    상기 수평프레임부의 단부에 결합 설치하며, 수평프레임부를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로 연장되게 배치하면서 휠체어의 앉아있는 탑승자의 머리 부분과 등부분 및 휠체어를 지지하는 받침프레임부; 및
    상기 기둥부재와 수평프레임부에 연결되게 설치하며, 수평프레임부를 기둥부재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하거나 회전된 위치에서 고정이 이루어지게 하는 회전조절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차량의 내부 바닥에 결합 설치하는 바닥슬라이딩레일과,
    상기 바닥슬라이딩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며, 상면에 기둥부재의 하단이 수직상태로 고정 결합하는 기둥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부는,
    상기 기둥부재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프레임과,
    상기 기둥부재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힌지프레임의 일측에 결합 설치하며, 일측에는 리미트 걸림돌기가 형성된 봉 형태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에 삽입상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일측에는 리미트 걸림돌기가 삽입 배치되는 이동조절 리미트홈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관 형태의 연장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면과 연결되도록 연장프레임의 일측에 체결 설치하며, 지지프레임 상에서 연장프레임의 위치를 고정되게 하는 길이고정볼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프레임부는,
    상기 수평프레임부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수평프레임부에 결합 설치하며, 휠체어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대와,
    상기 수평프레임부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하부지지대의 상단에 결합 설치하며, 탑승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상부지지대, 및
    상기 상부지지대의 상부에 설치하며, 탑승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절부는,
    상기 기둥부재의 상단에 고정상태로 결합 설치하며, 내주면에는 내측톱니가 형성된 링 형태의 걸림지지체와,
    상기 수평프레임부에 고정상태로 결합 설치하며, 방사상으로 가이드홈이 복수 형성된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이동되게 설치하며, 일측에는 내측톱니에 이맞춤되는 걸림톱니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걸림해제당김홈이 형성된 복수의 고정체결체와,
    상기 가이드판의 상면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며,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조절돌기가 형성된 조절캠과,
    상기 고정체결체 및 조절캠과 연결되도록 가이드판에 결합 설치하며, 고정체결체와 걸림지지체가 이맞춤상태로 유지되게 고정체결체를 밀림시킴과 더불어 조절캠이 탑승자에 의한 회전된 상태에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조절캠과 연결되도록 수평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며, 조절돌기가 걸림해제당김홈에 배치되게 하면서 고정체결체와 걸림지지체의 이맞춤이 해제되면서 수평프레임부가 기둥부재 상에서 회전되도록 탑승자가 조절캠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회전레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KR1020190106584A 2019-08-29 2019-08-29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KR102192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584A KR102192675B1 (ko) 2019-08-29 2019-08-29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584A KR102192675B1 (ko) 2019-08-29 2019-08-29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2675B1 true KR102192675B1 (ko) 2020-12-17

Family

ID=74089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584A KR102192675B1 (ko) 2019-08-29 2019-08-29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26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319B1 (ko) * 2021-11-30 2023-02-07 (사)한국지체장애인협회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11270A (ja) * 2011-11-29 2013-06-10 Toyota Motor East Japan Inc 車椅子収容装置
JP5888155B2 (ja) 2012-07-10 2016-03-16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11270A (ja) * 2011-11-29 2013-06-10 Toyota Motor East Japan Inc 車椅子収容装置
JP5888155B2 (ja) 2012-07-10 2016-03-16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319B1 (ko) * 2021-11-30 2023-02-07 (사)한국지체장애인협회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량의 휠체어 탑승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21389Y2 (ja) 車載用の補助座席
EP3046802B1 (en) Child safety seat
KR100982796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US7108327B2 (en) Adjustable head restraint guide
US7185950B2 (en) Head restraint system
US20180304789A1 (en) Armrest module for automobile seat
US8398356B2 (en) Automotive wheelchair mobility system
EP3395608B1 (en) Automobile seat
JP2018506469A (ja) 保持固定具
US20080012403A1 (en) Vehicle seat
KR102192675B1 (ko)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WO2018148569A1 (en) Juvenile vehicle seat with adjustable headrest
KR101610632B1 (ko) 자가접근이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KR101371868B1 (ko) 워크인 시트
US20220097577A1 (en) Child safety seat assembly
KR102201315B1 (ko)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KR101619910B1 (ko) 시트용 길이 방향 조정 기구, 시트 부분의 경사 조정 기구 및 차량 시트
EP3122592B1 (en) Seat tilt control mechanism
JPH05301560A (ja) シートベルトのスルーガイド構造
CN208774582U (zh) 靠背释放系统和交通工具座椅
KR20200050626A (ko)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JP2021518306A (ja) 自動車シートに取り付け可能なチャイルドシート
KR100507306B1 (ko) 자동차의 시트용 롱 슬라이드 록킹구조
KR200490920Y1 (ko) 버스 승객용 좌석시트 장치
KR101592282B1 (ko) 자동차 시트의 암레스트 높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