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439B1 - 차량의 휠체어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휠체어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439B1
KR101956439B1 KR1020170005912A KR20170005912A KR101956439B1 KR 101956439 B1 KR101956439 B1 KR 101956439B1 KR 1020170005912 A KR1020170005912 A KR 1020170005912A KR 20170005912 A KR20170005912 A KR 20170005912A KR 101956439 B1 KR101956439 B1 KR 101956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ker
wheelchair
rotating member
interference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5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3980A (ko
Inventor
오도영
김근우
조용성
손승녀
어효경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 filed Critical 사단법인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
Priority to KR1020170005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439B1/ko
Publication of KR20180083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or stretchers
    • A61G3/08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치 조작으로 제2회전 부재를 회전시켜 제1회전 부재의 간섭을 해제하면 이 제1회전 부재가 중력으로 회전하면서 스트라이커의 고정을 해제하여 휠체어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하고, 또한 스트라이커의 간섭으로 제1회전 부재를 회전시켜 제2회전 부재에 걸려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스트라이커의 고정과 고정 해제를 쉽게 구현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하여 쉽고 저렴하게 제작하면서도 안정적으로 휠체어를 고정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차량의 휠체어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휠체어 고정 장치{LOCKING APPARATUS FOR WHEELCHAIR IN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휠체어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위치 조작에 따라 중력을 이용하여 쉽게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고, 또한 휠체어를 차량에 탑재하면 스트라이커의 간섭으로 쉽게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근래 들어 장애인의 복지가 향상되면서 복지 차량뿐만 아니라 일반 버스 그리고 지하철 등도 휠체어나 전동휠체어 등을 탑재하여 장애인과 함께 원하는 곳까지 편안하게 갈 수 있도록 안전시설을 갖춘다. 특히, 버스나 복지 차량의 경우, 주행 중 휠체어가 움직이지 않도록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주행 중 이송 장치가 움직이거나 고정 상태에서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0794551호
리어 도어 안쪽에 접이식 슬로프가 장착되어 승차 및 하차 시에 슬로프를 펼쳐 휠체어를 탄 상태로 안전하게 승차 또는 하차할 수 있게 구성된 장애인용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탑승된 휠체어가 주행 도중에 흔들리지 않도록 안전하게 고정시켜 주는 휠체어 안전고정기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휠체어 안전고정기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은 차량 내부에 장착되어 열린 리어 도어를 통해 지면까지 경사지게 펼쳐지거나 또는 차량 내부로 접히는 슬로프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내부에는 휠체어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 개의 안전고정기가 장착되며, 상기 안전고정기에서 벨트를 풀어 상기 휠체어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휠체어를 고정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390414호
장애인 차량용 휠체어 유동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어 휠체어의 등받이부와 사용자의 머리 뒷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장애인 차량용 휠체어 유동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 차량용 휠체어 유동 방지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받는 회전관을 포함하는 구동부; 및 일측이 상기 회전관에 결합이 되고 타측에는 상부지지보가 형성되는 회전 지주와, 상기 상부지지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이 되는 상부보조프레임과 상기 상부보조프레임에 결합이 되는 머리받이판을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396908호
버스나 지하철과 같이 대중교통수단인 차량에 장착하여 전동휠체어의 바퀴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차량의 안전사고로부터 전동휠체어가 이탈되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함을 제공하도록, "ㄷ"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차량의 바닥면에 부착하여 고정 설치되고, 한쪽 방향으로 휠체어의 바퀴가 진입가능하게 개방된 휠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상하로 구획하여 각각 구분된 설비공간을 구비토록 복층구조로 형성되는 몸체케이스와; 상기 몸체케이스의 하측 설비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휠수용공간에 진입된 바퀴의 하부에 대해 양쪽 측면을 가압하는 제1압착부와; 상기 제1압착부의 상부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케이스의 상측 설비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휠수용공간에 진입된 바퀴의 뒷부분에 대해 양쪽 측면을 가압하는 제2압착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이런 기존의 고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휠체어를 고정하는 고정장치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에 어려움이 있고, 또한 고장 나거나 이를 수리하는 데도 큰 비용과 시간이 필요하다.
(2) 특히, 휠체어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와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각각 따로 구성해야 하므로, 그만큼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어려우면서도 비용이 많이 필요하다.
(3) 구조가 복잡한 만큼 이를 유지 보수하는 데도 큰 비용이 시간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0794551호 (등록일 : 2008.01.08) 한국등록특허 제1390414호 (등록일 : 2014.04.23) 한국등록특허 제1396908호 (등록일 : 2014.05.13)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스위치 조작으로 제2회전 부재를 회전시켜 제1회전 부재의 간섭을 해제하면 이 제1회전 부재가 중력으로 회전하면서 스트라이커의 고정을 해제하여 휠체어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하고, 또한 스트라이커의 간섭으로 제1회전 부재를 회전시켜 제2회전 부재에 걸려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스트라이커의 고정과 고정 해제를 쉽게 구현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하여 쉽고 저렴하게 제작하면서도 안정적으로 휠체어를 고정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차량의 휠체어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휠체어 고정 장치는, 차량 안에 장착한 지지대(B)에 장착하여 장애인이 이용하는 휠체어(T)에 장착한 스트라이커(S)를 통해 이 휠체어(T)를 위치 고정하는 장치에서, 한쪽에 스트라이커(S)가 들어올 수 있게 수납 구멍(110)과 개폐할 수 있는 덮개(120)를 갖춘 본체(100); 상기 본체(100)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며, 한쪽에 상기 수납 구멍(110)과 중첩하여 스트라이커(S)를 수납할 수 있게 수납 홈(210)을 갖춘 제1회전 부재(200); 상기 본체(100)에 탄성 스프링의 탄성 지지를 받아 상기 제1회전 부재(200)를 향해 회전하여 회전 간섭을 받도록 설치한 제2회전 부재(300); 및 상기 제2회전 부재(300)가 제1회전 부재(200)와 마주하지 않는 방향으로 강제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해제 수단(400);을 포함하되;, 상기 제1회전 부재(200)는 제2회전 부재(300)와 회전 간섭을 받을 때는 수납 홈(210)의 개방 부분이 지면을 향하도록 회전하여 스트라이커(S)를 고정하고, 제2회전 부재(300)와 회전 간섭이 해제되면 자중으로 회전하여 수납 홈(210)이 수납 구멍(110)과 나란하게 위치하여 스트라이커(S)가 이탈할 수 있게 회전하며, 상기 수납 구멍(110)으로 진입하는 스트라이커(S)와의 간섭으로 자중으로 회전하는 반대 방향으로 강제 회전하여 수납 홈(210)에 스트라이커(S)가 걸리게 하면서 제2회전 부재(300)에 걸려 더는 회전하지 않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해제 수단(400)은, 링크, 케이블, 링케이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B)에는, 상기 스트라이커(S)와 마주하는 위치에 전자석(500)을 갖춰서 이 스트라이커(S)가 수납 구멍(110) 안으로 수납됨에 따라 전자기력으로 이 스트라이커(S)를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하고;, 상기 전자석(500)은, 상기 지지대(B)에 장착하여 휠체어(T)가 다가오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의 감지 신호나, 스트라이커(S)가 수납 구멍(110)에 수납할 수 있게 하려고 제2회전 부재(300)를 강제 회전시키는 상기 해제 수단(400)의 조작으로 전자기력을 발생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휠체어 고정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제1회전 부재가 중력을 이용하여 회전하면서 스트라이커의 고정을 해제하므로, 스트라이커의 고정 해제를 위한 별도의 해제 수단이 필요하지 않아 그만큼 고정 장치의 구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2) 또한, 탄성 지지를 받아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한 제2회전 부재가 제1회전 부재와 회전 간섭을 일으키게 하여 스트라이커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므로, 스트라이커의 고정 구조를 최소화할 수 있다.
(3) 이에, 회전 간섭을 일으키는 제2회전 부재의 회전만으로 제1회전 부재가 중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스트라이커의 고정이 쉽게 해제되므로, 고정장치의 전체 구성을 간단하게 구성하면서도 쉽고 편리하게 제1회전 부재를 회전시켜 스트라이커의 고정과 해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를 장착한 지지대를 설치한 차량의 실내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려고 덮개를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려고 확대한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로 스트라이커를 고정하는 상태를 동작 순서대로 보여주려고 확대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휠체어 고정 장치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본체(100), 제1회전 부재(200), 제2회전 부재(300), 그리고 해제 수단(40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제1회전 부재(200)는 본체(100)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고, 고정이 해제되면 중력의 힘으로 회전하여 스트라이커(S)의 걸림을 해제하게 구성하고, 상기 제2회전 부재(300)는 탄성 지지를 받아 회전하면서 회전 간섭을 통해 이 제1회전 부재(20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걸림과 고정 작용을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T"는 장애인이 승차하여 사용하는 휠체어를, "S"는 휠체어에 장착하여 장애인용 복지 차량이나 버스 등에 실었을 때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스트라이커를, "B"는 차량의 실내에 장착하여 이처럼 차량에 실은 휠체어의 스트라이커를 수용하여 고정 지지하게 하는 지지대를 각각 나타낸다.
본체(100)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지지대(B)에 장착하며, 내부에 다른 구성을 수용할 수 있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는, [도 1]과 같이, 덮개(120)를 갖춰서 다른 구성을 장착하거나 유지 보수 등을 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 덮개(120)는 볼트 등을 이용하여 본체(100)에 체결하여 고정하거나, 턱 등을 이용하여 걸림 작용을 하게 하여 빠지지 않고 고정과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한쪽에 수납 구멍(110)을 형성한다. 수납 구멍(110)은 스트라이커(S)가 본체(100) 안으로 들어오게 하여 후술할 제1회전 부재(200)가 이 스트라이커(S)를 고정하여 휠체어(T)를 고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구멍을 말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수납 구멍(110)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본체(100)를 지지대(B)에 장착했을 때 스트라이커(S)가 움직이는 방향, 즉 휠체어(T)가 움직임에 따라 이 스트라이커(S)가 안정적으로 끼워질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한다.
제1회전 부재(200)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상술한 본체(100)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다. 이러한 제1회전 부재(200)는 한쪽에 수납 홈(210)을 형성한다. 수납 홈(210)은 한쪽을 개방하게 형성하며, 상기 제1회전 부재(200)를 회전하면 상술한 수납 구멍(110)과 겹쳐지게 형성하여 이 수납 구멍(110) 안으로 들어온 스트라이커(S)를 이 수납 홈(210)으로 고정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제1회전 부재(200)는,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한쪽에 간섭 부분(220)을 돌출 성형한다. 간섭 부분(220)은 중력을 받아 제1회전 부재(200)가 쉽게 회전하게 하고, 또한 후술할 제2회전 부재(300)와 회전 간섭을 받아 이 제1회전 부재(200)의 회전을 제한할 때 사용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간섭 부분(22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중력을 받아 회전할 때 상술한 수납 홈(210)이 수납 구멍(110)과 겹쳐져서 스트라이커(S)의 걸림이 해제될 수 있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회전 부재(300)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탄성 스프링의 탄성 지지를 받아 상술한 제1회전 부재(200)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본체(100)에 장착한다.
이때, 상기 제2회전 부재(300)는, [도 2]와 같이 탄성 스프링의 탄성 지지를 받아 상술한 간섭 부분(220)과 회전 간섭을 일으켜서 제1회전 부재(200)의 회전을 제한하고, [도 3]과 같이 바깥으로 회전하면 간섭 부분(220)과 회전 간섭이 없어져서 제1회전 부재(200)가 중력으로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회전 부재(300)는 코일 스프링이나 태엽스프링과 같은 탄성 스프링을 갖추고, 이러한 탄성 스프링의 힘으로 제1회전 부재(200)를 향해 어느 정도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할 해제 수단(400)을 통해 탄성 지지를 받는 반대 방향으로 강제 회전하게 하여 이러한 제1회전 부재(200)와의 회전 간섭을 없앨 수 있게 장착된다.
해제 수단(400)은,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상술한 제2회전 부재(300)를 지지하여 강제로 회전시킬 수 있게 장착한다. 이때, 제2회전 부재(300)는 [도 2]와 같이 탄성 스프링의 탄성 지지를 받아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하여 제1회전 부재(200)와 회전 간섭을 받게 구성하고, 해제 수단(400)은 이처럼 회전 간섭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도 3]과 같이, 때에 따라 상기 해제 수단(400)은 제2회전 부재(30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회전 부재(200)가 중력을 받아 회전하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해제 수단(400)은 이처럼 제2회전 부재(300)의 회전을 제한하고, 때에 따라 강제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상기 해제 수단(400)은 링크나 케이블 그리고 링케이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레버 형태로 장착하여 레버를 젖힘에 따라 작동하게 구성할 수도 있고, 전동식으로 작동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해제 수단(400)은 휠체어(T)를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에 고정하고자 할 때나 고정한 휠체어(T)의 고정을 해제할 때 등에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B)에는, [도 1]과 같이, 전자석(500)을 더 추가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석(500)은 휠체어(T)가 지지대(B)에 근접하여 상술한 회전 부재로 스트라이커(S)를 고정한 상태에서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부수적으로 스트라이커(S)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에, 상기 전자석(500)은 휠체어(T)가 지지대(B)에서 멀리 떨어진 때는 전원 오프 상태이고, 휠체어(T)가 지지대(B)에 가까이 근접했거나 스트라이커(S)가 고정 장치에 고정되었을 때는 전자기력을 발생하여 스트라이커(S)를 고정해 주게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대(B)에 근접 센서를 장착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위치 또는 변위 센서의 일종으로 물체가 접근했을 때 위치 등을 검출하는 데 사용하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센서를 말한다.
또한, 상기 전자석(500)을 자화하는 데는 상술한 해제 수단(400)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의 해제 수단(400)은 스트라이커(S)를 고정하려고 제2회전 부재(300)를 회전시켰을 때, 이 해제 수단(400)을 통해 전자석(500)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게 구성하므로 전자기화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는, [도 2]와 같이, 차 안으로 휠체어(T)가 들어올 때는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는다. 이때는, 제1회전 부재(200)가 제2회전 부재(300)에 회전 간섭을 받는 상태로 있게 된다.
이어, [도 3]과 같이, 스트라이커(S)가 수납 구멍(110)에 근접하면 해제 수단(400)을 해제한다. 해제 수단(400)은 제2회전 부재(30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회전 부재(200)의 걸림을 해제한다. 이에, 상기 제1회전 부재(200)는 자중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수납 홈(210)이 수납 구멍(110)과 중첩되면서 그 사이로 스트라이커(S)가 들어오게 된다.
이때, 스트라이커(S)는, [도 4]와 같이, 수납 구멍(110) 안으로 밀려 들어오면서 제1회전 부재(200)를 시계 방향으로 강제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해제 수단(400)의 동작으로 자화되 전자석(500)에서 생긴 자력으로 스트라이커(S)가 전자석(500)에 달라붙어 고정된다.
마지막으로, [도 5]와 같이, 강제로 회전하는 제1회전 부재(200)는 탄성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원래 위치로 되돌아온 제2회전 부재(300)에 걸려 스트라이커(S)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는 지지대 양쪽에 각각 하나씩 설치한 예를 보여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휠체어의 중량 등을 고려하여 하나 또는 적어도 두 개를 설치할 수 있음을 해당 업계 종사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본체
110 : 수납 구멍
120 : 덮개
200 : 제1회전 부재
210 : 수납 홈
220 : 간섭 부분
300 : 제2회전 부재
400 : 해제 수단
B : 지지대
S: 스트라이커
T : 휠체어

Claims (3)

  1. 차량 안에 장착한 지지대(B)에 장착하여 장애인이 이용하는 휠체어(T)에 장착한 스트라이커(S)를 통해 이 휠체어(T)를 위치 고정하는 장치에서,
    한쪽에 스트라이커(S)가 들어올 수 있게 수납 구멍(110)과 개폐할 수 있는 덮개(120)를 갖춘 본체(100); 상기 본체(100)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며, 한쪽에 상기 수납 구멍(110)과 중첩하여 스트라이커(S)를 수납할 수 있게 수납 홈(210)을 갖춘 제1회전 부재(200); 상기 본체(100)에 탄성 스프링의 탄성 지지를 받아 상기 제1회전 부재(200)를 향해 회전하여 회전 간섭을 받도록 설치한 제2회전 부재(300); 및 상기 제2회전 부재(300)가 제1회전 부재(200)와 마주하지 않는 방향으로 강제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해제 수단(400);을 포함하되,
    상기 제1회전 부재(200)는 제2회전 부재(300)와 회전 간섭을 받을 때는 수납 홈(210)의 개방 부분이 지면을 향하도록 회전하여 스트라이커(S)를 고정하고, 제2회전 부재(300)와 회전 간섭이 해제되면 자중으로 회전하여 수납 홈(210)이 수납 구멍(110)과 나란하게 위치하여 스트라이커(S)가 이탈할 수 있게 회전하며, 상기 수납 구멍(110)으로 진입하는 스트라이커(S)와의 간섭으로 자중으로 회전하는 반대 방향으로 강제 회전하여 수납 홈(210)에 스트라이커(S)가 걸리게 하면서 제2회전 부재(300)에 걸려 더는 회전하지 않게 구성하되,
    상기 지지대(B)에는, 상기 스트라이커(S)와 마주하는 위치에 전자석(500)을 갖춰서 이 스트라이커(S)가 수납 구멍(110) 안으로 수납됨에 따라 전자기력으로 이 스트라이커(S)를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하고,
    상기 전자석(500)은, 상기 지지대(B)에 장착하여 휠체어(T)가 다가오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의 감지 신호나, 스트라이커(S)가 수납 구멍(110)에 수납할 수 있게 하려고 제2회전 부재(300)를 강제 회전시키는 상기 해제 수단(400)의 조작으로 전자기력을 발생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휠체어 고정 장치.
  2. 제1 항에서,
    상기 해제 수단(400)은,
    링크, 케이블, 링케이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휠체어 고정 장치.
  3. 삭제
KR1020170005912A 2017-01-13 2017-01-13 차량의 휠체어 고정 장치 KR101956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912A KR101956439B1 (ko) 2017-01-13 2017-01-13 차량의 휠체어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912A KR101956439B1 (ko) 2017-01-13 2017-01-13 차량의 휠체어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980A KR20180083980A (ko) 2018-07-24
KR101956439B1 true KR101956439B1 (ko) 2019-03-08

Family

ID=63059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5912A KR101956439B1 (ko) 2017-01-13 2017-01-13 차량의 휠체어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4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158A (ko) * 2019-05-29 2020-12-09 세풍이엔피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802B1 (ko) 2001-12-18 2004-07-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휠 체어 고정장치
JP2012095810A (ja) 2010-11-01 2012-05-24 Hi-Lex Corporation 車椅子固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7647A (ja) * 1996-02-01 1997-08-12 Marubishi Kogyo Kk 車両用車椅子固定装置
KR100794551B1 (ko) 2007-04-09 2008-01-17 주식회사 오텍 휠체어 안전고정기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KR100839569B1 (ko) * 2008-01-09 2008-06-19 (주)세퍼스 이동수단에 구비된 링크식 휠체어 고정장치
KR101390414B1 (ko) 2012-09-04 2014-05-27 덕원이엔티 주식회사 장애인 차량용 휠체어 유동 방지장치
KR101396908B1 (ko) 2012-12-05 2014-05-19 세풍전자공업주식회사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KR101416213B1 (ko) * 2012-12-11 2014-07-08 모터웰 주식회사 휠체어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802B1 (ko) 2001-12-18 2004-07-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휠 체어 고정장치
JP2012095810A (ja) 2010-11-01 2012-05-24 Hi-Lex Corporation 車椅子固定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158A (ko) * 2019-05-29 2020-12-09 세풍이엔피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KR102284695B1 (ko) 2019-05-29 2021-08-03 세풍이엔피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980A (ko) 2018-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4551B1 (ko) 휠체어 안전고정기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US8959838B1 (en) Cargo vehicle security system and method of use
JPH10236213A (ja) コンパクトタイプの可動式傾斜路組立体
JP4513094B2 (ja) 車椅子固定装置
US7097407B2 (en) Mounting structure for mounting foldable two-wheel vehicle on four-wheel vehicle
KR101956439B1 (ko) 차량의 휠체어 고정 장치
NO160176B (no) Anordning for vertikal og horisontal transport av lasten inn i og utav et kjoeretoey eller lignende.
JPWO2014092119A1 (ja) 被搭載物の搭載装置
US7736104B2 (en) Docking and securement system for wheeled mobility devices
KR101023520B1 (ko) 장애인용 차량
KR101764141B1 (ko) 차량용 휠체어 안전 고정장치
JP2007176186A (ja) 車両用ステップ装置
KR100814684B1 (ko) 수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US20200214913A1 (en) Mobility device restraining apparatus
KR101291249B1 (ko)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휠체어 고정장치
JPH11268635A (ja) プラットホーム用可動柵
AU2008202212B2 (en) Vehicle mounted, wheelchair boarding apparatus
JP5497608B2 (ja) 自動車用ドア
JP4203891B2 (ja) シート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車両
JP3259039B2 (ja) 車椅子搬送機能をもつ補助動力付自転車
KR101428272B1 (ko) 버스용 플랩도어 이너 핸들
KR100788747B1 (ko)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JP2003199793A (ja) バックドア開閉装置
JP2007090912A (ja) 車両用後付回転手摺り
US2016009002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a scooter in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