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8747B1 -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 Google Patents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8747B1
KR100788747B1 KR1020070028711A KR20070028711A KR100788747B1 KR 100788747 B1 KR100788747 B1 KR 100788747B1 KR 1020070028711 A KR1020070028711 A KR 1020070028711A KR 20070028711 A KR20070028711 A KR 20070028711A KR 100788747 B1 KR100788747 B1 KR 100788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lope
stage plate
motor
disa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8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텍
Priority to KR1020070028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87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8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8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1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r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7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with compartment for horizontally storing the ramp or li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 B60P1/431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the ramp being stored under the loading floor when not in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 B60P1/43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the loading floor or a part thereof being movable to form the ra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 B60P1/43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the ramp being used for more than one height of loading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용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리어 도어 안쪽에 접이식 전동 슬로프가 장착되어 승차 및 하차 시에 슬로프를 펼쳐 휠체어를 탄 상태로 안전하게 승차 또는 하차할 수 있게 구성한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은 차량 내부에 장착되어 열린 리어 도어를 통해 지면까지 경사지게 펼쳐지거나 또는 차량 내부로 접히는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하며, 상기 전동식 슬로프는, 펼쳐졌을 때에 지면에 접하는 1단 플레이트와, 상기 1단 플레이트와 상기 차량에 양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어 상기 차량 안쪽으로 접히거나 또는 상기 차량 밖으로 펼쳐지도록 선회하는 2단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장애인용 차량, 전동식 슬로프, 모터, 구동부, 잠금기

Description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Welfare Vehicle with A Electromotion Type of Slope}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을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리어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를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전동식 슬로프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어패널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a에 도시된 전동식 슬로프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3a에 도시된 차량 내부에 고정된 휠체어고정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휠체어고정기를 이용하여 휠체어를 견인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전동식 슬로프의 작동에 따른 감지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차량의 저면에 장착된 모터를 나타낸 차량 저면도이 며,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모터와 링크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휠체어 3 : 프레임
100 : 차량 101 : 리어 도어
102 : 조명등 103 : 바닥 샤시
104 : 돌출부 110 : 전동식 슬로프
111 : 1단 플레이트 112 : 2단 플레이트
113 : 3단 플레이트 115, 116 : 힌지
117 : 안내돌기 118 : 잠금돌기
120 : 구동부 121 : 모터
122 : 회전축 123 : 핀
131 : 링크 133 : 장공
135 : 스프라켓 137 : 체인
140 : 잠금기 141 : 잠금해제버튼
143 : 열림와이어 150 : 제어패널
151 : 제1 전환스위치 152 : 제2 전환스위치
160 : 감지센서 161 : 리미트 스위치
171 : 휠체어고정기 173 : 벨트
175 : 후크
본 발명은 장애인용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어 도어 안쪽에 접이식 전동 슬로프가 장착되어 승차 및 하차 시에 슬로프를 펼쳐 휠체어를 탄 상태로 안전하게 승차 또는 하차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 장거리를 이동할 경우에 차량을 이용하는데, 휠체어를 이용하여 차량까지 이동한 후 휠체어에서 차량으로 옮겨 타고서 목적지까지 이동한다. 그리고 목적지에서 장애인은 차량으로 실고 온 휠체어로 옮겨 탄 후에 최종 목적지까지 이동한다.
하지만 일반 차량은 휠체어를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휠체어를 실고 장거리 이동할 경우 장애인용 차량을 이용하여야 하는 것이 편리하다.
종래의 장애인용 차량은 열린 승차 도어를 통해 리프터가 차량 밖으로 나오며, 장애인이 휠체어를 탄 상태로 차량 밖으로 나온 리프터에 옮겨 탄 후 리프터의 작동에 의해 차량 내부로 이동해 들어가 승차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리프터를 이용함에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리프터의 작동상태를 보면, 승차 시에 수직으로 상향이동한 후에 회전하여 차량 내부로 들어가고, 반대로 하차 시에는 회전하여 차량 밖으로 나온 후에 지면까지 하향 이동한다. 이와 같은 리프터의 작동에 있어서 수직방향으로 급격하게 상 승 또는 하강하게 되고, 수직 이동과 회전 이동이 상호 전환되기 때문에 추락의 위험이 있어 안심감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노약자의 경우에는 극히 불안을 느낀다.
또한, 리프터는 유압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차량 내부에 유압시스템을 구비한 키트 박스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키트 박스가 차량 내부에 장착됨으로써, 차량 내부 공간이 협소해져 답답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리프터는 차량 원래의 바닥 샤시에 장착되기 때문에 휠체어의 고도가 높아지게 되고, 그로 인해 휠체어에 앉은 장애인의 시야가 차량 측면 샤시에 가려 시야확보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완만한 경사각을 가진 전동식 슬로프가 차량의 후미와 지면을 연결하고 슬로프를 따라 승차 또는 하차함으로써, 갑작스런 방향 전환이 없어 장애인이 보다 안전감을 느낄 수 있게 구성한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은 승차한 장애인의 후미에 장착되며, 또한 차량의 원래 바닥 샤시를 낮게 개조함으로써 장애인의 전방 및 측방의 시야 확보가 양호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은 모터에 의해 슬로프가 작동하며, 모터를 차량 외부에 장착하여 차량 내부의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게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은 차량 내부에 장착되어 열린 리어 도어를 통해 지면까지 경사지게 펼쳐지거나 또는 차량 내부로 접히는 전동식 슬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동식 슬로프는, 펼쳐졌을 때에 지면에 접하는 1단 플레이트와, 상기 1단 플레이트와 상기 차량에 양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어 상기 차량 안쪽으로 접히거나 또는 상기 차량 밖으로 펼쳐지도록 선회하는 2단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동식 슬로프는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며, 상기 구동부는, 차량 바닥 샤시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모터와, 상기 2단 플레이트의 측면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2단 플레이트를 선회시키는 링크와, 상기 2단 플레이트의 측면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프라켓과, 한 쪽 단부는 상기 링크의 타단에 고정되고 다른 쪽 단부는 상기 1단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길이 중간이 상기 스프라켓에 걸쳐진 체인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2단 플레이트에는 3단 플레이트가 힌지 결합되어 상기 2단 플레이트가 펼쳐지거나 접힐 때에 차량의 바닥과 상기 2단 플레이트의 사이 틈을 폐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링크에는 길이방향의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에는 2단 플레이트의 측면에 형성된 안내돌기가 끼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 내부에는 휠체어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 개의 고정기가 장착되며, 상기 고정기에서 벨트를 풀어 상기 벨트 끝에 고정된 후크로 상기 휠체어를 고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동식 슬로프의 측면에는 잠금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차량 내부에는 상기 전동식 슬로프가 접혔을 때에 상기 잠금돌기가 삽입되어 잠금하는 잠금기가 고정되며, 상기 잠금기에는 잠금 해제되도록 잠금해제버튼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터의 회전축 둘레에는 상기 링크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장착되며, 상기 감지센서에 상기 링크가 접촉하면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감지센서는 2개의 리미트 스위치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잠금기에는 잠금해제를 위해 열림와이어가 상기 잠금기 외부로 연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의 바닥에는 휠체어에 탄 장애인이 안전하게 잡을 수 있게 손잡이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휠체어가 탑승된 공간의 바닥을 차량의 바닥보다 낮춰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의 내측벽에는 예비 타이어가 세워져 고정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을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리어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를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전동식 슬로프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및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어패널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a에 도시된 전동식 슬로프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3a에 도시된 차량 내부에 고정된 휠체어고정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휠체어고정기를 이용하여 휠체어를 견인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전동식 슬로프의 작동에 따른 감지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차량의 저면에 장착된 모터를 나타낸 차량 저면도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모터와 링크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100)은, 전동식 슬로프(이하 '슬로프'라고 함)(110)가 차량 내부 후단에 리어 도어(101)와 대응하게 접힌 상태로 세워져 위치하고, 승차 및 하차 시에는 리어 도어(101)가 개방된 상태에서 접혀진 슬로프(110)가 펼쳐져 차량 후미와 지면에 걸쳐 경사지게 위치한다.
그리고 휠체어(1)가 위치하는 차량 내부공간에 있어서, 전방 쪽에는 휠체어고정기(171)가 고정되어 슬로프(110)를 통해 승차 또는 하차 시에 실수로 휠체어가 미끄러져 슬로프(110)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휠체어고정기(171)는 탑승된 휠체어(1)가 차량 내부에서 흔들리지 않게 고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장애인용 차량의 작동관계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승차할 경우에 리어 도어(101)를 열고 슬로프(110)를 펼친다. 그리고 휠체어고정기의(171) 후크(175)를 당겨 휠체어 프레임(3)에 걸고 슬로프(110)를 따라 보조자가 휠체어(1)를 밀어 승차시킨다. 그리고 탑승이 완료된 상태에서 개방된 리어 도어(101) 안쪽으로 슬로프(110)를 접고, 접혀진 슬로프(110)를 잠금한 상태에서 리어 도어(101)를 닫는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로프(110)는, 펼쳐졌을 때에 지면에 접하는 1단 플레이트(111)와, 1단 플레이트(111)에 힌지(115) 결합되며 1단 플레이트(111)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며 차량(100)의 바닥 샤시(103) 저면에 힌지(116) 결합되어 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선회하는 2단 플레이트(112) 및, 2단 플레이트(112)에 힌지 결합되며 2단 플레이트(112)가 펼쳐지거나 접힐 때에 차량(100)의 바닥 샤시(103)와 2단 플레이트(112)의 사이 틈을 폐쇄하는 3단 플레이트(113)를 포함하며, 1단 플레이트(111)와 2단 플레이트(112)는 폭 양단이 수직 상향으로 절곡되어 슬로프(110)를 따라 승차하거나 하차하는 휠체어(1)가 슬로프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2단 플레이트(112)가 상향으로 선회하여 세워지면 1단 플레이트(111)는 힌지(115) 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 2단 플레이트(112) 바깥쪽으로 선회하여 2단 플레이트(112)와 평행하게 접혀 위치하지만, 3단 플레이트(113)는 2단 플레이트(112)와 수직하게 위치하여 차량(100)의 바닥 샤시(103)와 2단 플레이트(112)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폐쇄한다. 반대로 구동부(120)에 의해 2단 플레이트(112)가 하향으로 선회하면 2단 플레이트(112)에 장착된 1단 플레이트(111)는 펼쳐지면서 2단 플레이트(112)를 따라 하향으로 선회하여 지면에 접하게 된다.
아래에서는 2단 플레이트(112)를 선회하는 구동부(12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구동부(120)는, 도 9에 보이듯이, 차량(100)의 바닥 샤시(103) 저면에 장착된 상태로 그 회전축(122)이 바닥 샤시(103)를 관통해 슬로프(110) 쪽을 향해 위치하며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감속모터(이하 '모터'라 함)(121)와, 2단 플레이트(112)의 측면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모터(121)의 회전축(122)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모터(121)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상향 또는 하향으로 선회하며 2단 플레이트(112)를 선회시키는 링크(131)와, 2단 플레이트(112)의 측면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프라켓(135)과, 한 쪽 단부는 상기 링크(131)의 타단에 고정되고 다른 쪽 단부는 1단 플레이트(111)에 고정되며 길이 중간이 상기 스프라켓(135)에 걸쳐진 체인(137)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링크(131)의 타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133)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133)에는 2단 플레이트(112)의 측면에 돌출된 안내돌기(117)가 끼워져 위치한다.
또한 모터(121)의 회전축(122)은 도 5에 보이듯이, 2단 플레이트(112)가 차량(100)의 바닥 샤시(103)에 힌지(116) 결합된 지점보다 전방 상부 쪽에 위치하여 그 위치점이 상호 다르다. 따라서 모터(121)가 회전함에 따라 2단 플레이트(112)가 함께 선회하는데, 모터(121)의 회전축(122)과 2단 플레이트(112)의 힌지(116)와의 거리 차이를 안내돌기(117)가 장공(133)을 따라 이동하면서 보상한다. 이는 안내돌기(117)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에 상대적으로 링크(131)가 장공(13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같으며, 이와 같은 링크(131)의 이동에 의해 체인(137)이 이동하면서 슬로프(110)가 펼쳐질 때에 체인(137)이 1단 플레이트(111)를 견인하여 펼쳐지게 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21)가 정회전하여 2단 플레이트(112)가 상향으로 선회하여 세워지면 안내돌기(117)는 장공(133)을 따라 모터(121)의 회전축(122) 방향으로 이동해 위치하고, 링크(131)의 타단과 스프라켓(135)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1단 플레이트(111)가 접혀질 수 있을 만큼 체인(137)은 느슨해진다.
이 상태에서 모터(121)가 역회전하면 2단 플레이트(112)가 하향으로 선회하여 펼쳐지며, 안내돌기(117)는 장공(133)을 따라 모터(121)의 회전축(12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링크(131)의 타단과 스프라켓(135)의 간격이 멀어지면서 체인(137)이 모터(121)의 회전축(122) 쪽으로 이동하면서 1단 플레이 트(111)를 견인하여 펼쳐지게 한다.
상기 스프라켓(135)에는 체인(137)이 이탈하지 않도록 브라켓(138)이 감싸인다. 따라서 체인(137)은 항상 스프라켓(135)에 걸쳐진 상태로 위치하며,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슬로프(110)가 접혔을 때에도 체인(137)은 느슨한 상태로 스프라켓(135)에 걸쳐 위치한다.
한편, 상기 모터(121)의 회전축(122)은 슬로프(110)가 완전히 접히거나 펼쳐지는 최대 회전각도 만큼 회전하지 않고 최대 회전각도보다 작은 범위로 회전하며, 상기 회전축(122)의 회전각도와 최대 회전각도의 차는 슬로프(110)의 자중 및 보조자의 힘에 의해 펼쳐지거나 접히게 된다.
즉, 모터(121)는 2단 플레이트(112)가 완전히 펼쳐질 때까지 회전하지 않고 완전히 펼쳐지는 회전각도보다 작은 각도범위에서 회전하며 나머지 각도만큼의 회전은 슬로프(110)의 자중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이는 펼쳐졌을 때에 지면의 높이차에 따라 모터(121)에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며 슬로프(11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슬로프(110)가 모터(121)에 의해 접혔을 때에 보조자가 최종적으로 슬로프(110)를 차량 쪽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슬로프(110)의 측면에 돌출된 잠금돌기(118)가 차량(100)의 바닥 샤시(103)에 고정된 잠금기(140)가 삽입되어 잠금된다.
한편, 슬로프(110)의 모터(121)는 제어패널(150)의 제1 전환스위치(151)에 의해 작동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환스위치(151)를 '올림'으로 밀어 올리면 모터(121)는 정회전하여 슬로프(110)를 접고, '내림'으로 내리면 모터(121)는 역회전하여 슬로프(110)는 펼친다. 보조자가 제1 전환스위치(151)를 '올림' 또는 '내림'으로 밀어 올리거나 내려 모터(121)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상태에서 제1 전환스위치(151)에서 손을 때면 슬로프(110)는 현 상태로 정지한다. 즉 제1 전환스위치(151)를 '올림' 또는 '내림'으로 계속 접속시킨 상태를 유지하여야 슬로프(110)가 지속적으로 작동한다.
이와 같이 제1 전환스위치(151)에 의해 모터(121)에 연결된 링크(131)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함에 있어서, 링크(131)는 감지센서(160)에 의해 감지되어 설정된 회전각도만큼 회전한다. 다시 말해, 링크(131)가 감지센서(160)에 의해 감지되면 모터(121)의 작동은 정지하게 되고 그 이후부터는 슬로프(110)의 자중에 의해 작동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센서(160)는 2개의 리미트 스위치(161)로 이루어지며, 링크(131)가 상기 모터(121)에 의해 선회하는 설정된 회전각도에 리미트 스위치(161)가 각각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리미트 스위치(161)에 링크(131)가 접하면 모터(121)는 정지한다.
구체적으로 링크(131)가 하향으로 선회하면서 리미트 스위치(161)와 접하면 리미트 스위치(161)에서 전기적신호가 발생하고 그 신호에 의해 모터(121)의 회전은 정지한다. 이때부터는 슬로프(110)가 자중에 의해 하향으로 선회하여 완전히 펼쳐지면서 차량 후미와 지면을 연결하는 상태로 펼쳐진다.
반대로, 모터(121)가 정회전하여 링크(131)가 상향으로 선회하면서 다른 리 미트 스위치(161)와 접하게 된다. 그러면 모터(121)의 정회전은 정지하게 되는데, 이때 슬로프(110)는 도 5에 보이듯이 세워진 상태로 2단 플레이트(112)와 1단 플레이트(111)가 평행하게 접혀진 상태가 된다. 이후에 보조자가 슬로프(110)를 차량(100) 안쪽으로 밀어 잠금돌기(118)가 잠금기(140)에 잠금되게 한다. 역순으로 슬로프(110)를 펼치기 위해서는, 잠금기(140)의 잠금해제를 위해 잠금기(140)에 형성된 잠금해제버튼(141)을 눌러 잠금을 해제한다. 그 이후에는 모터(121)의 역회전에 의해 슬로프(110)가 펼쳐진다.
한편, 슬로프(110)를 통해 탑승된 휠체어(1)는 차량(100)의 바닥 샤시(103)에 위치한다. 여기에서 차량(100)의 바닥 샤시(103)는 원래 차량의 바닥 샤시보다 낮게 개조하여 휠체어(1)에 탄 장애인이 차량(100)의 창문을 통해 외부를 관찰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개조된 바닥 샤시(103)의 중간은 상면으로 돌출부(104)를 형성하여 바닥 샤시(103)를 보강한다.
또한 바닥 샤시(103)의 전방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휠체어고정기(171)가 장착된다.
휠체어고정기(171)는 이미 상용화된 장치들로서, 벨트(173)의 단부에는 후크(175)가 고정되고, 벨트(173)가 휠체어고정기(171)에 감긴 상태로 보조자가 후크(175)를 당기면 감긴 벨트(173)가 풀리고, 반대로 후크(175)를 놓으면 벨트(173)가 감기며, 갑작스럽게 벨트(173)를 당기면 벨트(173)가 풀리지 않고 멈추는 기능을 갖는다.
바닥 샤시(103) 전방에 고정된 휠체어고정기(171)는 전동식이며, 제어패 널(150)에 위치한 제2 전환스위치(152)를 '안전모드' 또는 '승차모드'로 전환하면서 제어하는데, 제2 전환스위치(152)를 '안전모드'로 전환하면, 휠체어고정기(171)의 벨트(173)는 풀리지 않게 되고, '승차모드'로 전환하면 벨트(173)가 서서히 풀리게 된다.
한편, 바닥 샤시(103)에는 휠체어에 탄 장애인이 안전하게 잡을 수 있는 손잡이(107)가 형성되고, 휠체어고정기(171)의 후크(175)가 걸쳐지도록 돌기(106)가 형성된다. 돌기(106)를 형성한 이유는 보조자가 리어 도어(101)를 열고 휠체어고정기(171)의 후크(175)를 당기기 위해서는 휠체어고정기(171)가 고정된 차량(100) 내부 전방까지 들어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런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바닥 샤시(103) 후미에 돌기(106)를 형성하고, 돌기(106)에 휠체어고정기(171)의 후크(175)를 걸어 둠으로써, 보조자는 리어 도어(101)를 열고 도 7에 보이듯이, 바로 돌기(106)에 걸린 후크(175)를 당겨 휠체어 프레임(3)에 걸 수 있다. 이때 제2 전환스위치(152)는 '승차모드'로 전환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슬로프(110)의 2단 플레이트(112)에는 잠금돌기(118)가 구동부(120)의 반대쪽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잠금돌기(118)는 모터(121)의 회전에 의해 슬로프(110)가 접힌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보조자가 접힌 슬로프(110)를 잠금기(140) 쪽으로 밀었을 때에 잠금돌기(118)가 잠금기(140)에 삽입되어 잠금되고, 잠금해제를 위해서는 잠금기(140)에 설치된 잠금해제버튼(141)을 누르면 잠금해제되어 모터(121)에 의해 슬로프(110)가 펼쳐질 수 있다.
또한 리어 도어(101) 안쪽면에는 조명등(102)이 장착되어 야간에도 안전하게 승차 및 하차할 수 있게 구성된다. 잠금돌기(118)가 잠금기(140)에 잠금되지 않은 상태에서 리어 도어(101)를 닫았을 경우에 경고음이 발생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은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의 작동관계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장애인이 승차 또는 하차할 경우 운전자는 키박스의 상태를 'ACC'로 전환하여 차량(100) 배터리를 통해 슬로프(110)가 작동할 수 있게 한다.
장애인이 승차할 경우, 보조자는 하차하여 리어 도어(101)를 개방하고, 잠금기(140)의 잠금해제버튼(141)을 눌러 슬로프(110)가 펼쳐질 수 있게 잠금을 해제한다. 그리고 제어패널(150)의 제1 전환스위치(151)를 '내림'쪽으로 누른다. 그러면 제1 전환스위치(151)에서 발생한 전기적신호에 의해 모터(121)는 역회전하고, 모터(121)에 연결된 링크(131)가 하향으로 선회하면서 슬로프(110) 또한 하향으로 선회하면서 펼쳐진다. 슬로프(110)가 설정된 회전각도까지 펼쳐지면 링크(131)가 감지센서(160)의 리미트 스위치(161)에 접하게 되고, 리미트 스위치(161)에서 발생한 전기적신호에 의해 모터(121)는 정지한다. 이때 슬로프(110)는 완전히 펼쳐지지 않은 상태로서, 이 상태에서 슬로프(110)는 자중에 의해 하향으로 선회하여 1단 플레이트(111)가 지면에 접하게 된다.
펼쳐진 슬로프(110)는 차량(100)의 후미와 지면을 경사지게 연결하고 있어 휠체어(1)에 탄 장애인이 슬로프(110)를 타고 승차 가능하다.
이때 보조자는 장애인을 승차시키기 이전에, 제2 전환스위치(152)를 '승차모드'로 전환하여 휠체어고정기(171)의 벨트(173)가 풀릴 수 있게 한다. 그런 다음, 차량(100) 후미의 돌기(106)에 걸쳐진 휠체어고정기(171)의 후크(175)를 당겨 휠체어 프레임(3)에 건다. 그리고 제어패널(150)의 제2 전환스위치(152)를 '안전모드'로 전환한다. 그리면 휠체어고정기(171)의 벨트는 감겨질 뿐 풀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보조자가 슬로프(110)를 통해 휠체어(1)를 밀고 올라가는 중에 실수로 휠체어(1)를 놓치더라도 휠체어(1)는 후방으로 밀려 내리지 않게 되어 안전하게 장애인을 승차시킬 수 있다.
한편, 휠체어(1)의 탑승이 완료되면, 운전자는 차량(100) 내부에 안전벨트를 체결하여 장애인을 안전하게 지지한다.
이와 같이 휠체어(1)를 고정한 상태에서 운전자는 제어패널(150)의 제1 전환스위치(151)를 '올림'으로 밀어 올려 펼쳐진 슬로프(110)를 접는다. 슬로프(110)가 접혀지면 보조자는 최종적으로 슬로프(110)를 밀어 슬로프(110)의 측면에 돌출된 잠금돌기(118)를 잠금기(140)에 삽입시켜 잠금한다. 다음으로, 운전자는 개방된 리어 도어(101)를 닫고 목적지로 이동한다.
목적지 도착 후, 하차 시에는 리어 도어(101)를 열고 잠금기(140)의 잠금해제버튼(141)을 눌러 잠금을 해제한다. 그리고 승차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하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에 있어서, 차량(100)의 바닥 샤시(103)는 차체 원래의 바닥샤시를 개조한 것으로서, 원래의 바닥 샤시보다 낮게 구성된다. 따라서 원래 바닥 샤시의 저면에 고정된 예비 타이어(109)를 차량 내부로 옮겨 차량 내측벽에 세워 고정한다. 이와 같이 차량(100)의 바닥 샤시(103)를 원래 바닥 샤시보다 낮출 수 있게 개조함으로써, 휠체어(1)에 앉은 장애인이 차량(100)의 창문을 통해 밖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에 있어서, 슬로프(110) 고장으로 인해 작동이 불가능할 경우에 수동으로 슬로프(110)를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21)의 회전축(122)과 링크(131)를 핀(123)으로 연결한다.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핀(123)으로 결합된 모터(121)의 회전축(122)과 링크(131)가 연동하지만, 비정상적인 상태 즉 수동으로 슬로프(110)를 펼쳐야 할 경우에는 모터(121)의 회전축(122)과 링크(131)를 연결하는 핀(123)을 제거함으로써, 링크(131)가 모터(121)의 회전축(122)을 중심으로 독립적으로 선회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보조자가 모터(121)의 동력 없이 수동으로 슬로프(110)를 펼치거나 접을 수 있다.
또한 잠금기(140)에는 잠금해제버튼(141)이 고장 났을 경우에 잠금기(140)의 잠금해제를 위해 열림와이어(143)를 잠금기(140) 외부로 연장시켜 둔다. 이와 같은 잠금기(140)는 차량의 도어 또는 트렁크의 잠금기와 동일한 기능으로서, 이미 상용화된 구성요소를 이용한 것으로서 잠금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본 발명의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에 승차 또는 하차함에 있어서, 완만한 슬로프를 따라 승차 또는 하차함으로써 급격한 방향 전환이 없어 리프터 보다 안전하며 장애인 또한 승하차 시에 보다 안심감을 느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리프터는 기계 장치에 의해 작동하지만, 본 발명의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은 슬로프를 따라 승하차함으로써, 기계 오작동에 따른 추락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은 슬로프를 통해 승차 및 하차함에 있어 다양한 안전장치를 구비하고 있어 보조자가 자칫 실수를 하더라도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은 차량의 바닥 샤시를 원래 차량 샤시보다 낮게 개조함으로써, 차량의 전방과 측방의 창문을 통해 충분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은 슬로프가 모터의 동력에 의해 작동하지만, 자칫 고장을 일으켰을 경우를 대비하여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상기 모터는 차량 외부에 장착됨으로써, 차량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차량(100) 내부에 장착되어 열린 리어 도어(101)를 통해 지면까지 경사지게 펼쳐지거나 또는 차량 내부로 접히는 전동식 슬로프(110)는,
    펼쳐졌을 때에 지면에 접하는 1단 플레이트(111)와, 상기 1단 플레이트(111)와 상기 차량에 양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어 상기 차량 안쪽으로 접히거나 또는 상기 차량 밖으로 펼쳐지도록 선회하는 2단 플레이트(112) 및, 상기 전동식 슬로프(110)를 접거나 펼치는 구동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120)는,
    차량 바닥 샤시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모터(121)와,
    상기 2단 플레이트(112)의 측면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모터(121)의 회전축(122)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모터(121)의 회전에 의해 상기 2단 플레이트(112)를 선회시키는 링크(131)와,
    상기 2단 플레이트(112)의 측면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프라켓(135)과,
    한 쪽 단부는 상기 링크(131)의 타단에 고정되고 다른 쪽 단부는 상기 1단 플레이트(111)에 고정되며 길이 중간이 상기 스프라켓(135)에 걸쳐진 체인(1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2단 플레이트(112)에는 3단 플레이트(113)가 힌지 결합되어 상기 2단 플레이트(112)가 펼쳐지거나 접힐 때에 차량의 바닥과 상기 2단 플레이트(112)의 사이 틈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131)에는 길이방향의 장공(133)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133)에는 2단 플레이트(112)의 측면에 형성된 안내돌기(117)가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부에는 휠체어(1)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 개의 고정기(171)가 장착되며, 상기 고정기(171)에서 벨트(173)를 풀어 상기 벨트 끝에 고정된 후크(175)로 상기 휠체어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식 슬로프(110)의 측면에는 잠금돌기(118)가 돌출되고, 상기 차량 내부에는 상기 전동식 슬로프가 접혔을 때에 상기 잠금돌기(118)가 삽입되어 잠금하는 잠금기(140)가 고정되며, 상기 잠금기(140)에는 잠금 해제되도록 잠금해제버튼(14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121)의 회전축(122) 둘레에는 상기 링크(131)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60)가 장착되며, 상기 감지센서(160)에 상기 링크(131)가 접촉하면 상기 모터(121)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160)는 2개의 리미트 스위치(16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기(140)에는 잠금해제를 위해 열림와이어(143)가 상기 잠금기(140) 외부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바닥에는 휠체어(1)에 탄 장애인이 안전하게 잡을 수 있게 손잡이(10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1)가 탑승된 공간의 바닥을 차량의 바닥보다 낮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내측벽에는 예비 타이어(109)가 세워져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KR1020070028711A 2007-03-23 2007-03-23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KR100788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711A KR100788747B1 (ko) 2007-03-23 2007-03-23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711A KR100788747B1 (ko) 2007-03-23 2007-03-23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8747B1 true KR100788747B1 (ko) 2007-12-26

Family

ID=39148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8711A KR100788747B1 (ko) 2007-03-23 2007-03-23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87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224B1 (ko) 2014-05-03 2015-10-13 박택주 장애인휠체어 단차해소 안전슬루프
CN114340948A (zh) * 2019-06-25 2022-04-12 兰珀创新公司 可折叠输送机系统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3962A (ja) 1997-10-13 1999-04-27 Otec Japan:Kk 車両の車椅子用昇降装置
JPH11113966A (ja) 1997-10-13 1999-04-27 Marubishi Company:Kk 車椅子固定装置
JP2003312354A (ja) 2002-04-25 2003-11-06 Toyota Auto Body Co Ltd 車両のスロープ装置
JP2004168115A (ja) 2002-11-18 2004-06-17 Kanto Auto Works Ltd 福祉車両
WO2006031484A2 (en) 2004-09-10 2006-03-23 The Braun Corporation Bi-fold wheelchair ramp
US7033127B2 (en) 2001-04-27 2006-04-25 Vantage Mobility International, Llc Powered, folding ramp for minivan
JP2006137321A (ja) 2004-11-12 2006-06-01 Honda Motor Co Ltd 車両のスロープ構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3962A (ja) 1997-10-13 1999-04-27 Otec Japan:Kk 車両の車椅子用昇降装置
JPH11113966A (ja) 1997-10-13 1999-04-27 Marubishi Company:Kk 車椅子固定装置
US7033127B2 (en) 2001-04-27 2006-04-25 Vantage Mobility International, Llc Powered, folding ramp for minivan
JP2003312354A (ja) 2002-04-25 2003-11-06 Toyota Auto Body Co Ltd 車両のスロープ装置
JP2004168115A (ja) 2002-11-18 2004-06-17 Kanto Auto Works Ltd 福祉車両
WO2006031484A2 (en) 2004-09-10 2006-03-23 The Braun Corporation Bi-fold wheelchair ramp
JP2006137321A (ja) 2004-11-12 2006-06-01 Honda Motor Co Ltd 車両のスロープ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224B1 (ko) 2014-05-03 2015-10-13 박택주 장애인휠체어 단차해소 안전슬루프
CN114340948A (zh) * 2019-06-25 2022-04-12 兰珀创新公司 可折叠输送机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4551B1 (ko) 휠체어 안전고정기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JP3156996B2 (ja) コンパクトタイプの可動式傾斜路組立体
US5380144A (en) Deployable vehicle access ramp
AU2003202922B2 (en) Safety belt system for wheelchair lifts
KR100218753B1 (ko) 개선된 수직으로 이동하는 자동차 미닫이문
US20030071434A1 (en) Dual function passenger access system for a vehicle
JP2005538896A (ja) 自動車ボディ及び自動車
US20230181393A1 (en) Manually foldable wheelchair ramp
KR100814684B1 (ko) 수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KR100788747B1 (ko)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WO2015098618A1 (ja) テールゲート付き車両
KR100992943B1 (ko) 휠체어 통로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US4143281A (en) Vehicle for the handicapped
CN113415767B (zh) 中大型客车用紧凑大行程无障碍升降机
JPS6291316A (ja) 自動車のドア構造
JPS6349654B2 (ko)
JPH10328239A (ja) 車両用乗降補助装置
JP2003339773A (ja) 車両用リフトアップシート
JP3616497B2 (ja) 自動車の乗降用アシストグリップ
EP1285815A1 (en) Safety folding footboard for camper vans, caravans, and similar vehicles
JP2003199793A (ja) バックドア開閉装置
JP2003063456A (ja) 車両のフロア構造
JP5217306B2 (ja) 車両用ロック装置
KR19990027955U (ko) 차고가 높은 차량의 승하차시 보조 발판장치
JP3402467B2 (ja) 車両のスロー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