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4695B1 -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4695B1
KR102284695B1 KR1020190063024A KR20190063024A KR102284695B1 KR 102284695 B1 KR102284695 B1 KR 102284695B1 KR 1020190063024 A KR1020190063024 A KR 1020190063024A KR 20190063024 A KR20190063024 A KR 20190063024A KR 102284695 B1 KR102284695 B1 KR 102284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driving
link
grip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7158A (ko
Inventor
송병문
Original Assignee
세풍이엔피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풍이엔피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풍이엔피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3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695B1/ko
Publication of KR20200137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or stretchers
    • A61G3/08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20/00Adaptations of particular transporting means
    • A61G2220/14Ca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의 진입 여부에 따라 휠체어바를 상하 회전방향에서 그립 고정하여 휠체어 사용자의 사용이 간편하며 차량 주행 중 휠체어를 효율적으로 잠금 고정함을 제공하도록, 내측에 구동공간을 구비하고, 상단부 전방에 휠체어의 휠체어바를 수용하는 진입구를 형성하는 본체케이스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구동공간 내 설치하고, 상기 진입구 상에 휠체어바를 잠금 고정할 수 있게 구동하는 잠금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그립부는, 휠체어바를 기준으로 전방 상향방향으로 회전구동하여 휠체어바를 고정하는 제1잠금그립부와, 상기 제1잠금그립부의 양측에 위치하고 휠체어바를 기준으로 전방 하향방향으로 회전구동하여 휠체어바를 고정하는 제2잠금그립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Apparatus for Fixing a Wheelchair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휠체어의 진입 여부에 따라 휠체어바를 상하 회전방향에서 그립 고정하여 휠체어 사용자의 사용이 간편하며 차량 주행 중 휠체어를 효율적으로 잠금 고정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동이 힘든 장애인의 이동수단인 복지차량은 휠체어나 전동휠체어를 실을 수 있게 전용화된 차량으로서, 기본적으로 휠체어나 전동휠체어에 사람이 탑승하지 않은 상태로 싣고 다닐 수 있게 구성하며, 최근에는 장애인의 복지가 향상되면서 복지차량뿐만 아니라 일반 버스나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에도 휠체어나 전동휠체어 등을 탑승하여 장애인과 함께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게 안전시설을 갖춘 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버스나 복지차량 등의 차량에 갖춰진 안전시설로는 차량의 주행 중 휠체어나 전동휠체어가 움직이지 않도록 휠체어를 잠금 고정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휠체어 고정장치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휠체어 고정장치와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434018호(2004.05.21.)에는 상부에 지지축이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 판넬; 상기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내측레버; 상기 내측레버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내측레버 회전시 차륜에 접촉함으로써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내측 플레이트; 상기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내측레버와 마주보면서 차륜진입영역을 제공하는 상태로 장착되는 외측레버; 상기 외측레버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외측레버 회전시 차륜에 접촉함으로써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외측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내측레버 상면에 장착된 모터 조립체의 제1 기어와 치합된 제2 기어를 갖고 타단부는 외측레버와 접촉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레버의 상단에 장착된 모터 조립체의 제1 기어와 그와 치합된 제2 기어를 통해 전달된 구동력으로 상기 내측 및 외측레버를 회전시킴으로써 그 양단부가 상기 내측 및 외측레버에 연결된 상기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를 차륜에 접촉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제조비 절감 및 오작동 감소를 도모할 수 있는 휠체어용 고정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974245호(2010.07.30.)에는 버스나 기차, 선박을 포함한 이동수단의 바닥면에 부착되며, 그 상면에 장치 부품을 장착하고, 휠체어의 바퀴를 수용하기 위한 휠 수용공간이 중앙에 구비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상에 상기 휠수용공간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게 장착되고, 그 베이스판 상에 고정된 좌측 및 우측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베이스판 상에 그 일단이 결합된 좌측 및 우측 지지바와; 상기 좌측 지지바의 타단에 수직되게 힌지 결합된 구동판과; 상기 우측 지지바의 타단에 수직되게 힌지 결합되며, 상기 구동판의 하부로 설치된 랙기어와; 상기 구동판의 상면에 장착되어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좌측 및 우측 지지바를 상호 모아지게 하거나 벌어지게 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판의 하부로 노출되어 상기 랙기어와 체결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피니언기어로 구성된 휠체어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그 축에 감속기어가 축결되어져 있고, 그 감속기어는 베벨기어에 체결되며, 그 베벨기어의 하면은 상기 피니언기어와 결합되게 구성됨에 따라 경제적이며 큰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이동수단에 구비된 회전구동방식의 휠체어 고정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모두 휠체어나 전동휠체어의 바퀴를 잡아서 고정하기 때문에 휠체어나 전동휠체어의 고정효율이 떨어지고, 바퀴에 직접적으로 압력을 가해지면서 바퀴에만 집중적으로 하중이 가해져 바퀴를 포함한 주변 부속품의 손상 및 파손을 초래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외부 조작에 따라 동력이 전달되어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자동으로만 제어하기 때문에 조작기능에 문제가 발생한 비상상황에서의 분리가 어려워 안전사고시 긴급대처가 불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0434018호 (2004.05.21.) KR 등록특허공보 제10-0974245호 (2010.07.3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휠체어 후방의 휠체어바를 상하 회전방향으로의 회전으로 고르게 그립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차량 내 휠체어 사용자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높이며, 휠체어의 잠금 고정효율을 높이면서 휠체어의 이탈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휠체어의 잠금 고정상태에서 수동으로 잠금 해제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비상상황이 발생함에 따른 휠체어의 탄력적인 분리를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는 내측에 구동공간을 구비하고, 상단부 전방에 휠체어의 휠체어바를 수용하는 진입구를 형성하는 본체케이스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구동공간 내 설치하고, 상기 진입구 상에 휠체어바를 잠금 고정할 수 있게 구동하는 잠금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그립부는, 휠체어바를 기준으로 전방 상향방향으로 회전구동하여 휠체어바를 고정하는 제1잠금그립부와, 상기 제1잠금그립부의 양측에 위치하고 휠체어바를 기준으로 전방 하향방향으로 회전구동하여 휠체어바를 고정하는 제2잠금그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잠금그립부는, 상기 본체케이스의 진입구에 대응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그립수단과, 상기 본체케이스 내 설치하고 상기 그립수단의 회전 구동을 위한 동력을 인가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본체케이스의 구동공간 내 설치하고 상기 그립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을 상호 연결하되 상기 그립수단의 상향 또는 하향 회전구동을 위한 상기 구동수단의 동력을 구분 전달하게 연결하는 그립링크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잠금그립부에서는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제1잠금그립부 및 상기 제2잠금그립부를 일괄 구동하게 구성한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본체케이스 상에 상하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상기 그립링크수단을 연결토록 횡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는 링크구동축과, 상기 그립수단의 구동을 위하여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링크구동축과 상기 구동모터 간에 서로 연결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링크구동축에 전달하는 기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구동축은 상기 잠금그립부 중 상기 제1잠금그립부에 대응된 상기 그립링크수단에만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이 전달되게 연결하는 제1링크구동축과, 상기 잠금그립부 중 상기 제2잠금그립부에 대응된 상기 그립링크수단에만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이 전달되게 연결하는 제2링크구동축을 구성한다.
상기 기어모듈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링크구동축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 상태로 맞물려 회전 가능하게 형성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모듈에는 상기 링크구동축의 일단에 설치하고 상기 종동기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되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 상태인 상기 종동기어를 상기 구동기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어분리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그립링크수단은, 상기 구동수단 상에 연결 결합하여 회전방향으로 유동하는 회전연결링크와, 상기 회전연결링크와 상기 그립수단을 상호 연결하게 수직 연장 형성하여 상하 직선방향으로 승강 유동하는 승강연결링크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측에 좌우로 구분하여 각각 설치하고 휠체어의 진입시 좌우 뒤틀림각도를 인식하는 밸런스감지부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에 의하면 휠체어 중 후방 휠체어바에 대응하여 다중 그립 구조로 잠금 고정하므로, 휠체어의 변형을 방지하며, 휠체어의 우수한 고정효율을 도모하여 사용상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면서 비상시 휠체어바가 이탈될 염려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는 휠체어바를 잠금 고정하는 그립의 고정상태를 수동으로 잠금 해제할 수 있는 기어분리구조를 이루게 구성하므로, 비상상황에서 휠체어의 잠금 상태를 수동 조작에 의해 탄력적으로 분리하여 사용자를 안전사고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는 휠체어의 진입에 따른 좌우 뒤틀림각도를 인식하므로, 휠체어의 바람직한 진입을 안내함과 동시에 휠체어 진입의 뒤틀림각도 허용범위를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잠금그립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잠금그립부를 나타내는 배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기어모듈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기어모듈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잠금그립부 중 제1잠금그립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잠금그립부 중 제2잠금그립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본 발명은 내측에 구동공간을 구비하고, 상단부 전방에 휠체어의 휠체어바를 수용하는 진입구를 형성하는 본체케이스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구동공간 내 설치하고, 상기 진입구 상에 휠체어바를 잠금 고정할 수 있게 구동하는 잠금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그립부는, 휠체어바를 기준으로 전방 상향방향으로 회전구동하여 휠체어바를 고정하는 제1잠금그립부와, 상기 제1잠금그립부의 양측에 위치하고 휠체어바를 기준으로 전방 하향방향으로 회전구동하여 휠체어바를 고정하는 제2잠금그립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100)와, 잠금그립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케이스(1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반적인 외형을 이루며, 차량 내 바닥면에 하부가 고정 설치되게 구성한다.
상기 본체케이스(100)는 상기 잠금그립부(200)을 장착 지지하면서 내측에 상기 잠금그립부(200)의 구동을 위하여 외부로부터 밀폐된 구동공간을 구비하는 메인케이스(110)와, 상기 메인케이스(110)의 양측에 연결 결합하며 상기 잠금그립부(200)의 부가적인 구성들을 수용하는 보조케이스(120)로 구분하여 구성한다.
상기 본체케이스(100)에는 상단부 전방에 개방된 구조로서, 휠체어의 휠체어바(7)를 수용하는 진입구(111)를 형성한다.
상기 본체케이스(100)에는 휠체어가 후진으로 진입할 때 휠체어의 진입상태를 인식하는 밸런스감지부(150)를 구성한다.
상기 밸런스감지부(150)는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내측에 좌우로 구분하여 각각 설치하여 복수 개의 인식센서(151)를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밸런스감지부(150)에서는 상기 잠금그립부(200)를 기준으로 좌우에서 각각 구분된 신호를 감지하므로, 휠체어의 진입시 좌우 뒤틀림각도를 인식한다.
상기 밸런스감지부(150)에서는 휠체어 진입의 좌우 뒤틀림각도가 좌우로 1~15°까지의 각도범위만 허용하여 상기 잠금그립부(200)의 구동에 의해 잠금 고정하고, 휠체어 진입에 따른 좌우 뒤틀림각도가 15°초과한 경우 휠체어의 재진입을 알리는 알림신호를 전달하게 음성출력기(도면에 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밸런스감지부(150)를 구성하게 되면, 휠체어의 진입에 따른 좌우 뒤틀림각도를 인식하므로, 휠체어의 바람직한 진입을 안내함과 동시에 휠체어 진입의 뒤틀림각도 허용범위를 증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잠금그립부(200)는 차량 내 휠체어가 부동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잠금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잠금그립부(2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구동공간 내 구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하되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주변에 접근하여 상기 진입구(111) 상에 진입한 휠체어바(7)를 잠금 고정할 수 있게 구동한다.
상기 잠금그립부(200)는 다중 그립 구조로서, 제1잠금그립부(200a) 및 제2잠금그립부(200b)로 구분 구성한다.
상기 제1잠금그립부(200a)는 상기 진입구(111)를 향해 진입한 휠체어바(7)를 기준으로 전방 상향방향으로 회전구동하여 휠체어바(7)를 잠금 고정한다.
상기 제2잠금그립부(200b)는 상기 제1잠금그립부(200a)와 함께 휠체어바(7)를 잠금 고정하되 상기 제1잠금그립부(200a)의 양측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휠체어바(7)의 다른 지점을 잠금 고정한다.
상기 제2잠금그립부(200b)는 상기 제1잠금그립부(200a)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휠체어바(7)를 잠금 구속한다. 즉, 상기 제2잠금그립부(200b)는 휠체어바(7)를 기준으로 전방 하향방향으로 회전구동하여 휠체어바(7)를 고정한다.
상기 잠금그립부(20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휠체어바(7)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위한 구동 구조를 갖는 구성으로서, 그립수단(210)과, 구동수단(220) 및 그립링크수단(230)을 구성한다.
상기 그립수단(210)은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진입구(111)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상기 본체케이스(10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그립수단(210)은 대략 원형을 이루되 전방에 휠체어바(7)가 유입될 수 있게 일면이 개구된 지지구(211)를 형성한다.
상기 지지구(211)는 내측으로 면적이 점점 좁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그립수단(210)의 지지구(211)를 향한 휠체어바(7)의 원활한 진입과 함께 상기 지지구(211) 내 휠체어바(7)가 접촉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기 그립수단(210)은 상기 본체케이스(10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하되 상기 구동수단(220)으로부터 잠금 해제를 위한 구동시 탄력적으로 위치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213)을 구비한다.
상기 구동수단(220)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케이스(100) 중 상기 보조케이스(120) 내 설치하고, 상기 그립수단(210)의 회전 구동을 위한 동력을 인가한다.
상기 잠금그립부(200)에서는 상기 구동수단(220)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제1잠금그립부(200a) 및 상기 제2잠금그립부(200b)를 일괄 구동하게 구성한다. 즉, 상기 구동수단(220)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하여 상기 제1잠금그립부(200a) 및 상기 제2잠금그립부(200b)가 모두 일괄적으로 구동하게 구성한다.
상기 구동수단(220)은 상기 잠금그립부(200)의 그립링크수단(230) 즉 상기 제1잠금그립부(200a)의 그립링크수단(230) 및 상기 제2잠금그립부(200b)의 그립링크수단(230)을 일괄적으로 연결하는 링크구동축(221)과, 상기 그립수단(210)의 구동을 위하여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223)와, 상기 링크구동축(221)과 상기 구동모터(223) 간에 서로 연결하는 기어모듈(225)을 구성한다.
상기 링크구동축(221)은 상기 잠금그립부(200)의 모든 그립링크수단(230) 즉 상기 제1잠금그립부(200a)의 그립링크수단(230) 및 상기 제2잠금그립부(200b)의 그립링크수단(230)을 모두 연결토록 횡 방향으로 연장 형성한다.
상기 링크구동축(221)은 상기 본체케이스(10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본체케이스(100) 상에 상하 간격을 두고 배치한다. 즉, 상기 링크구동축(221)은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하는 제1링크구동축(221a)과, 상기 제1링크구동축(221a)과 간격을 두고 하측에 배치하는 제2링크구동축(221b)으로 구성한다.
상기 제1링크구동축(221a)은 상기 잠금그립부(200) 중 상기 제1잠금그립부(200a)에 대응된 상기 그립링크수단(230)에만 상기 구동모터(223)의 동력이 전달되게 연결한다. 즉, 상기 제1링크구동축(221a)은 상기 잠금그립부(200)의 모든 상기 그립링크수단(230)을 횡 방향으로 연결하지만 상기 제1잠금그립부(200a)에 대응된 상기 그립링크수단(230)에만 결속 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게 구성한다.
상기 제2링크구동축(221b)은 상기 잠금그립부(200) 중 상기 제2잠금그립부(200b)에 대응된 상기 그립링크수단(230)에만 상기 구동모터(223)의 동력이 전달되게 연결한다. 즉, 상기 제2링크구동축(221b)은 상기 제1링크구동축(221a)과 마찬가지로 상기 잠금그립부(200)의 모든 상기 그립링크수단(230)을 횡 방향으로 연결하지만 상기 제2잠금그립부(200b)에 대응된 상기 그립링크수단(230)에만 결속 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게 구성한다.
상기 기어모듈(225)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링크구동축(221)과 상기 구동모터(223) 간에 서로 연결하여 상기 구동모터(223)의 동력을 상기 링크구동축(221)에 전달한다.
상기 기어모듈(225)은 상기 구동모터(223)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기어(226)와, 상기 링크구동축(221)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기어(226)에 치합 상태로 맞물려 회전 가능하게 형성하는 종동기어(227)를 구성한다.
상기 종동기어(227)는 상기 링크구동축(221)에서 상기 제1링크구동축(221a)의 일단에 설치하는 제1종동기어(227a)와, 상기 제2링크구동축(221b)의 일단에 설치하는 제2종동기어(227b)를 구비한다.
상기 제1종동기어(227a)는 상기 구동기어(226)에 직접적으로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제2종동기어(227b)와 상기 구동기어(226)의 사이에는 반전기어(228)를 구비하여 상기 제2종동기어(227b)는 상기 반전기어(228)에 의하여 상기 구동기어(226)와 간접적으로 맞물려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기어모듈(225)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상기 구동모터(223)의 회전구동에 의하여 상기 기어모듈(225)의 구동기어(226)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종동기어(227a)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링크구동축(221a)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2종동기어(227b)는 상기 반전기어(228)에 의하여 상기 구동기어(226)와 동일한 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링크구동축(221b)을 상기 제1링크구동축(221a)과는 달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기어모듈(225)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동기어(226)와 치합 상태인 상기 종동기어(227) 즉 상기 제1종동기어(227a) 및 상기 제2종동기어(227b)를 각각 상기 구동기어(226)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어분리수단(229)을 구성한다.
상기 기어분리수단(229)은 상기 링크구동축(221)의 일단에 설치하고 상기 종동기어(227)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구성한다. 즉, 상기 기어분리수단(229)은 상기 링크구동축(221)의 일단에 상기 종동기어(227)를 위치 가변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종동기어(227)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기어(226) 쪽을 향해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반발스프링(229a)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케이스(100)에는 외측에서 상기 종동기어(227)를 향해 관통하여 별도의 누름수단(예를 들면, 드라이버나 막대 등)으로 상기 종동기어(227)를 누를 수 있는 푸쉬공(229b)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기어분리수단(229)을 구성하게 되면, 휠체어바(7)를 잠금 고정하는 그립의 고정상태를 수동으로 잠금 해제할 수 있는 기어분리구조를 이루므로, 비상상황에서 휠체어의 잠금 상태를 수동 조작에 의해 탄력적으로 분리하여 사용자를 안전사고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그립링크수단(230)은 상기 구동수단(220)의 동력에 의하여 상기 그립수단(210)의 회전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그립링크수단(230)은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구동공간 내 설치한다.
상기 그립링크수단(230)은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220) 상에 연결 결합하여 회전방향으로 유동하는 회전연결링크(231)와, 상기 회전연결링크(231)와 상기 그립수단(210)을 상호 연결하는 승강연결링크(233)를 구성한다.
상기 회전연결링크(231)는 상기 구동수단(220) 중에서 상기 링크구동축(221) 상에 연결 결합하고, 상기 링크구동축(221)과의 연결지점을 기준으로 후방 상향 및 하향 경사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승강연결링크(233) 상에 힌지 결합하는 링크바(232)를 형성한다.
상기 링크구동축(221) 중 상기 제1링크구동축(221a)에는 상기 제1잠금그립부(200a)에 대응된 상기 그립링크수단(230)의 회전연결링크(231)만 결속 연결하여 회전 유동하며, 상기 제2잠금그립부(200b)에 대응된 상기 그립링크수단(230)의 회전연결링크(231)에는 상기 제1링크구동축(221a)의 동력이 미전달상태로 단순 연결된 구조를 이룬다.
반면, 상기 링크구동축(221) 중 상기 제2링크구동축(221b)에는 상기 제2잠금그립부(200b)에 대응된 상기 그립링크수단(230)의 회전연결링크(231)만 결속 연결하여 회전 유동하며, 상기 제1잠금그립부(200a)에 대응된 상기 그립링크수단(230)의 회전연결링크(231)에는 상기 제2링크구동축(221b)의 동력이 미전달상태로 단순 연결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 승강연결링크(233)는 상기 회전연결링크(231)와 상기 그립수단(210)을 연결하게 수직 연장 형성한다.
상기 승강연결링크(233)는 상기 회전연결링크(231)의 회전방향으로의 유동 여부에 따라 상하 직선방향으로 승강 유동한다.
상기 승강연결링크(233)는 3개가 한 쌍을 이루며 개개의 상기 그립수단(210)에 연결 결합하여 안정적인 구동성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그립링크수단(230)은 상기 그립수단(210) 및 상기 구동수단(220)을 상호 연결하되 상기 그립수단(210)의 상향 또는 하향 회전구동을 위한 상기 구동수단(220)의 동력을 구분 전달하게 연결한다. 즉, 상기 그립링크수단(230)은 도 7에서처럼, 상기 구동수단(220)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제1잠금그립부(200a)의 그립수단(210)이 아래에서 위로 상향 회전구동하게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그립링크수단(230)은 도 8에서처럼, 상기 구동수단(220)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제2잠금그립부(200b)의 그립수단(210)이 위에서 아래로 하향 회전구동하게 동력을 전달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에 의하면, 휠체어 중 후방 휠체어바에 대응하여 다중 그립 구조로 잠금 고정하므로, 휠체어의 변형을 방지하며, 휠체어의 우수한 고정효율을 도모하여 사용상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면서 비상시 휠체어바가 이탈될 염려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 본체케이스 110 : 메인케이스 111 : 진입구
120 : 보조케이스 150 : 밸런스감지부 151 : 인식센서
200 : 잠금그립부 200a : 제1잠금그립부 200b : 제2잠금그립부
210 : 그립수단 211 : 지지구 213 : 복원스프링
220 : 구동수단 221 : 링크구동축 221a : 제1링크구동축
221b : 제2링크구동축 223 : 구동모터 225 : 기어모듈
226 : 구동기어 227 : 종동기어 227a : 제1종동기어
227b : 제2종동기어 228 : 반전기어 229 : 기어분리수단
229a : 반발스프링 229b : 푸쉬공 230 : 그립링크수단
231 : 회전연결링크 232 : 링크바 233 : 승강연결링크

Claims (7)

  1. 내측에 구동공간을 구비하고, 상단부 전방에 휠체어의 휠체어바를 수용하는 진입구를 형성하는 본체케이스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구동공간 내 설치하고, 상기 진입구 상에 휠체어바를 잠금 고정할 수 있게 구동하는 잠금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그립부는, 휠체어바를 기준으로 전방 상향방향으로 회전구동하여 휠체어바를 고정하는 제1잠금그립부와, 상기 제1잠금그립부의 양측에 위치하고 휠체어바를 기준으로 전방 하향방향으로 회전구동하여 휠체어바를 고정하는 제2잠금그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잠금그립부는, 상기 본체케이스의 진입구에 대응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그립수단과, 상기 본체케이스 내 설치하고 상기 그립수단의 회전 구동을 위한 동력을 인가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본체케이스의 구동공간 내 설치하고 상기 그립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을 상호 연결하되 상기 그립수단의 상향 또는 하향 회전구동을 위한 상기 구동수단의 동력을 구분 전달하게 연결하는 그립링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그립부에서는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제1잠금그립부 및 상기 제2잠금그립부를 일괄 구동하게 구성하는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본체케이스 상에 상하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상기 그립링크수단을 연결토록 횡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는 링크구동축과, 상기 그립수단의 구동을 위하여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링크구동축과 상기 구동모터 간에 서로 연결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링크구동축에 전달하는 기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구동축은 상기 잠금그립부 중 상기 제1잠금그립부에 대응된 상기 그립링크수단에만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이 전달되게 연결하는 제1링크구동축과, 상기 잠금그립부 중 상기 제2잠금그립부에 대응된 상기 그립링크수단에만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이 전달되게 연결하는 제2링크구동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어모듈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링크구동축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 상태로 맞물려 회전 가능하게 형성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모듈에는 상기 링크구동축의 일단에 설치하고 상기 종동기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되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 상태인 상기 종동기어를 상기 구동기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어분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립링크수단은, 상기 구동수단 상에 연결 결합하여 회전방향으로 유동하는 회전연결링크와, 상기 회전연결링크와 상기 그립수단을 상호 연결하게 수직 연장 형성하여 상하 직선방향으로 승강 유동하는 승강연결링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7. 청구항 1,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측에 좌우로 구분하여 각각 설치하고 휠체어의 진입시 좌우 뒤틀림각도를 인식하는 밸런스감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KR1020190063024A 2019-05-29 2019-05-29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KR102284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024A KR102284695B1 (ko) 2019-05-29 2019-05-29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024A KR102284695B1 (ko) 2019-05-29 2019-05-29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158A KR20200137158A (ko) 2020-12-09
KR102284695B1 true KR102284695B1 (ko) 2021-08-03

Family

ID=73786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024A KR102284695B1 (ko) 2019-05-29 2019-05-29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469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8566A (ja) * 2008-10-06 2010-04-22 Kanehiro Sakaiya 車椅子固定装置
KR101857461B1 (ko) * 2017-03-29 2018-05-14 사단법인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 휠체어 고정상태 판단시스템
KR101956439B1 (ko) 2017-01-13 2019-03-08 사단법인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 차량의 휠체어 고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1413A (ja) * 1993-09-29 1995-04-18 House Foods Corp 棒状物把持装置
JPH09207647A (ja) * 1996-02-01 1997-08-12 Marubishi Kogyo Kk 車両用車椅子固定装置
KR100434018B1 (ko) 2001-08-31 2004-06-04 주식회사 삼주기계 이동체용 휠체어 고정장치
KR100974245B1 (ko) 2008-08-11 2010-08-05 (주)세퍼스 시스템 이동수단에 구비된 회전 구동방식의 휠체어 고정장치
KR101416213B1 (ko) * 2012-12-11 2014-07-08 모터웰 주식회사 휠체어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8566A (ja) * 2008-10-06 2010-04-22 Kanehiro Sakaiya 車椅子固定装置
KR101956439B1 (ko) 2017-01-13 2019-03-08 사단법인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 차량의 휠체어 고정 장치
KR101857461B1 (ko) * 2017-03-29 2018-05-14 사단법인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 휠체어 고정상태 판단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158A (ko) 202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95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wheelchair in a vehicle
US7296960B2 (en) Coupling system for attachment of a seat to allow securing and/or lifting thereof
EP3606489B1 (en) Height adjustable wheelchair docking system
KR101396908B1 (ko)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KR102284695B1 (ko)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WO2004035345A2 (en) A lift mechanism for a sealing device
CN107080632B (zh) 一种组合式折叠辅助上下车轮椅
CN211326557U (zh) 一种儿科用多功能就诊座椅
CN101912331B (zh) 救护车担架仓
JP2006122641A (ja) 車椅子昇降装置
US6880653B2 (en) Drive unit of electric vehicle
CN107571802A (zh) 方便残疾人乘坐的公交车
CN211685434U (zh) 电动移动车
KR102536900B1 (ko) 장애인 픽업유닛을 구비한 휠체어 시스템
KR101742904B1 (ko) 뛰어난 둔턱 주행성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 장치
CN217170862U (zh) 一种两轮车辆用安全辅助轮
KR100863176B1 (ko) 자동차용 휠체어 겸 시트의 전륜 절첩장치
CN213569401U (zh) 一种用于轮椅提升机用的翻板保护装置
CN113492941B (zh) 一种基于电动自行车的防侧翻装置
CN212395233U (zh) 一种组合式电动移位转运轮椅
US11998493B2 (en) Motor vehicle for a person with reduced mobility, which is easier to get into/out of
CN213676966U (zh) 一种电动摩托停车自主平衡装置
KR102586147B1 (ko) 주행 안정성 강화를 위한 전동스쿠터의 조향 바퀴 장치
KR20210033611A (ko)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CN107856721B (zh) 一种残疾人使用儿童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