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4018B1 - 이동체용 휠체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체용 휠체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4018B1
KR100434018B1 KR10-2001-0053382A KR20010053382A KR100434018B1 KR 100434018 B1 KR100434018 B1 KR 100434018B1 KR 20010053382 A KR20010053382 A KR 20010053382A KR 100434018 B1 KR100434018 B1 KR 100434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gear
wheel
wheelchair
suppor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3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8814A (ko
Inventor
김동우
임구
사토쇼지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주기계
가부시키가이샤 오떼꾸쟈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주기계, 가부시키가이샤 오떼꾸쟈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주기계
Priority to KR10-2001-0053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4018B1/ko
Publication of KR20030018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8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4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40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or stretchers
    • A61G3/08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20/00Adaptations of particular transporting means
    • A61G2220/14Ca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휠체어용 고정장치가 개시된다. 그러한 휠체어용 고정장치는 그 상부에 지지축이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 판넬과, 상기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내측레버와, 상기 내측레버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내측레버 회전시 차륜에 접촉함으로써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내측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내측레버와 마주보면서 차륜진입영역을 제공하는 상태로 장착되는 외측레버와, 상기 외측레버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외측레버 회전시 차륜에 접촉함으로써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외측 플레이트와, 그리고 상기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내측레버 상면에 장착된 모터 조립체의 제1 기어와 치합된 제2 기어를 갖고 타단부는 외측레버와 접촉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레버의 상단에 장착된 모터 조립체의 제1 기어와 그와 치합된 제2 기어를 통해 전달된 구동력으로 상기 내측 및 외측레버를 회전시킴으로써 그 양단부가 상기 내측 및 외측레버에 연결된 상기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를 차륜에 접촉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이동체용 휠체어 고정장치{APPARATUS FOR FIXING A WHEELCHAIR}
본 발명은 휠체어를 차량, 철도, 항공기 또는 선상 등의 이동체상에서 고정 하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 내부 구동기구를 간단화 함으로서 용이하게 작동할 수 있는 이동체용 휠체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휠체어를 이동체상에 고정하지 않으면 휠체어가 이동체의 유동에 따라 이동하게 됨으로써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휠체어를 상기와 같은 이동체상에 적절하게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도 1에는 본원 출원인이 1995년 2월 23일 "이동체용 휠체어 고정장치" 라는 명칭으로 일본국에 출원한(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8-230550 호) 장치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체용 휠체어 고정장치는 지지축(1)에 대하여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내측 및 외측레버(3,2)와, 내측 및 외측레버(3,2)에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된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5,4)와, 외측레버(2)와 내측레버(3)를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레버 구동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휠체어 고정장치는 외측 플레이트(4)와 내측 플레이트 (5)를 서로 수평방향으로 접근, 이간이 가능하도록 간극을 두고 대향 배치함과 동시에, 외측 플레이트(4)와 내측 플레이트(5) 사이에는 간극 내로 진입한 휠체어의차륜에 눌려 작동하는 차륜감지장치(6)를 갖추고, 차륜감지장치(6)의 작동에 의하여 그 간극에 위치시킨 휠체어의 차륜을 외측 플레이트(4)와 내측 플레이트(5)로 압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 플레이트(5)와 내측레버(3) 사이에는 내측 플레이트(5)와의 거리가 탄성적으로 변화될 수 있도록 부설된 고정용 핀 유니트(7)를 형성하고, 그 고정용 핀 유니트(7)는 스프링에서 돌출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여러 개의 고정용 핀을 구비하여 내측 플레이트(5)에 부하가 걸리면, 고정용 핀이 내측 플레이트(5)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외측 플레이트(4) 측으로 돌출 되도록 되어 있다.
나아가, 고정용 핀 유니트(7)로부터 여러 개의 고정용 핀이 타이어를 누르거나 또는 차륜림에 걸리므로, 차륜의 직경 또는 타이어 크기 등이 다른 각종 휠체어 에 적응할 수 있으며, 휠체어의 이동을 확실하게 고정 구속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휠체어 고정장치는 레버 구동수단으로 외측레버(2)와 내측레버(3)에 각각 지지된 제 1 및 제 2 장력 수취부(8,9)와, 한쪽 끝이 고정측에 지지되어, 제 1 및 제 2 장력 수취부(8,9)를 경유하는 장력전달부재(10)와, 이 장력전달부재(10)의 타면에 연결되어 장력을 부여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휠체어 고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다수의 부품과 이러한 부품들에 의한 복잡한 작동 메카니즘을 가짐으로써 고장 및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고장 및 오작동시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둘째,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됨으로써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이러한 다수의 부품을 조립하게 됨으로 공간을 많이 차지함으로써 크기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체인 및 스프라켓에 의하여 소음이 발생되며, 장력 조정에 따른 기계적 수명손실을 고려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레버 구동수단의 구조를 간단화 하고 부품수를 줄임으로써 제조공정을 간단화 하고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는 이동체용 휠체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체인 및 스프라켓 등의 부품을 줄임으로써 소음을 절감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동체용 휠체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크기를 소형화함으로써 공간 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고 수평방향 이동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는 이동체용 휠체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체용 휠체어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휠체어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고정장치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체용 휠체어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이동용 휠체어 고정장치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이동용 휠체어 고정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구동기구 중 내측레버와 기어레버의 연결상태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내측레버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기어레버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평면도.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외측레버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
도 10은 이동체용 휠체어 고정장치에 차륜이 진입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 상태도.
도 11은 도 10의 측면도.
도 12는 도 5에 도시된 고정용 핀 유니트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구조도.
도 13은 이동체용 휠체어에 차륜이 비스듬히 진입한 경우를 보여주는 평면 상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그 상부에 지지축이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 판넬; 상기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내측레버; 상기 내측레버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내측레버 회전시 차륜에 접촉함으로써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내측 플레이트; 상기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내측레버와 마주보면서 차륜진입영역을 제공하는 상태로 장착되는 외측레버; 상기 외측레버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외측레버 회전시 차륜에 접촉함으로써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외측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내측레버 상면에 장착된 모터 조립체의 제1 기어와 치합된 제2 기어를 갖고 타단부는 외측레버와 접촉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레버의 상단에 장착된 모터 조립체의 제1 기어와 그와 치합된 제2 기어를 통해 전달된 구동력으로 상기 내측 및 외측레버를 회전시킴으로써 그 양단부가 상기 내측 및 외측레버에 연결된 상기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를 차륜에 접촉하도록 하는 휠체어용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용 휠체어의 고정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휠체어 고정장치는 도2 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은 휠체어(20)의 차륜(22)이 외적요인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구름운동을 구속하는 것으로서, 도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휠체어 고정장치는 차량 실내의 바닥에 고정되는 베이스 판넬(23)과, 상기 베이스 판넬(23)의 상면에 장착되어 휠체어 차륜(22)의 진입영역(21)을 형성하면서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내측 및 외측 케이스(25,24)와, 상기 내측 및 외측 케이스(25,24)의 후단부에 장착되는 바디 케이스(26)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를 갖는 휠체어 고정장치는 휠체어(20)의 차륜(22)이 상기 내측 및 외측 케이스(25,24)의 사이에 형성된 진입영역(21)에 있게되면,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40,39)가 내측으로 이동하여 차륜(22)을 압착함으로써 휠체어(20)를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휠체어 고정장치는 상기 케이스(24,25,26)들을 제거하면 도 4 내지 도9 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즉, 상기 베이스 판넬(23)의 소정 위치에는 지지축(27)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축(27)에는 내측레버(30)와 외측레버(29)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내측레버(30)와 외측레버(29)의 단부에는 내측 플레이트(40) 및 외측 플레이트(39)가 각각 장착된다. 그리고, 이러한 내측레버(30)와 외측레버(29)는 레버 구동수단에 의하여 중심선(100) 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함으로써 상기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40,39)가 차륜(22)의 양측부를 압착하여 고정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내측레버(30)는 "ㄴ"자 형상을 가지며, 일단부에는 제1 관통홀(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관통홀(31)은 상기 지지축(27)에 삽입됨으로서 상기 내측레버(30)는 상기 지지축(27)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외측레버(29)는 "ㄱ"자 형상을 가지며 일측에는 제2 관통홀(43)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27)에 삽입됨으로써 회전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외측레버(29)의 중간부에는 수동개방용 핀(44)이 상하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내측 및 외측레버(30,29)는 레버구동수단에 의하여 작동하게 된다.
즉, 레버구동수단은 상기 내측레버(30)에 장착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조립체(32)와, 상기 지지축(27)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양단부가 상기 내측 및 외측레버(30,29)에 각각 접촉하여 상기 모터 조립체(32)가 구동할 때 회전함으로써 상기 내측 및 외측레버(30,29)를 회전시키는 기어레버(28)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 조립체(32)는 상기 내측레버(30)의 중간부 상면에 장착된다. 그리고, 이 모터 조립체(32)의 회전축(35)에는 제1 기어(36)가 장착되며, 상기 제1 기어(36)는 후술하는 기어레버(28)의 제2 기어(37)에 치합된다.
상기 기어레버(28)는 그 중간부에 제3 관통홀(38)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 (27)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지지축(27)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기어레버(28)의 일단부에는 제2 기어(37)가 형성되어 상기 모터 조립체(32) 회전축(35)의 제1 기어(36)와 치합된다.
그리고, 상기 기어레버(28)의 타단부에는 걸림홈(45)이 형성되어 상기 외측레버(29)의 수동개방용 핀(44)에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내측레버(30)의 모터 조립체(32)가 구동하게 되면, 상기 모터 조립체 회전축(35)의 제1 기어(3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기어레버 (28)의 제2 기어(37)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기어레버 (28)가 지지축(27)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기어레버(28)의 걸림홈(45) 부분이 상기 외측레버(29)의 수동개방용 핀(44)을 전방으로 밀게 된다.
결국, 상기 외측레버(29)의 선단부가 중심선(100)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외측 플레이트(39)가 진입된 차륜(22;도2)의 일측부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내측레버(30)에 장착되어 있는 모터 조립체(32)가 기어레버(28)에 치합되어 있음으로 상기 기어레버(28)의 회전시 상기 내측레버(30)는 상대적으로 중심선(100)의 내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내측 플레이트(40) 및 고정용 핀 유니트(41)가 진입된 차륜(22;도2)의 일측면에 접촉함으로써 제동력을 발생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내측 및 외측레버(30,29)는 레버구동수단에 의하여 휠 체어 고정장치의 중심선(100)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때 상기 내측레버(30)의 단부에 장착된 내측 플레이트(40)와 고정용 핀 유니트(41)와, 외측레버(29)의 단부에 장착된 외측 플레이트(39)가 차륜(22;도2)의 양측부에 압착됨으로서 휠체어 (20;도2)를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내측 플레이트(40) 및 고정용 핀 유니트(41)는 도5, 도10 내지 도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레버(30)의 타단부에 샤프트(63)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내측레버(30)의 회전시 같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고정용 핀 유니트(41)는 내측레버(30)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핀블럭(51)과, 상기 핀블럭(51)의 내부에 배치되어 차륜(22)과 접촉하여 제동력을 발생하는 다수개의 고정용 핀(52)과, 상기 다수개의 고정용 핀(52)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53)과, 상기 핀블럭(51)의 전방에 장착되어 차륜(22) 고정시 일차적으로 차륜(22)에 접촉하는 내측 플레이트(40)를 포함한다.
상기 핀블록(51)에는 다수개의 수납홀(56)이 형성되며, 이러한 다수개의 수납홀(56) 각각에는 상기 고정용 핀(52)이 수납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수납홀 (56)은 전방부에는 소직경부(54)가, 후방부에는 대직경부(55)가 형성된다. 이러한다수개의 수납홀(56)에 수납되는 다수개의 고정용 핀(52)은 원통형상이며, 후방부에는 걸림턱(57)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수납홀(56)의 대직경부(55) 내부에는 스프링(53)이 내재되어 상기 고정용 핀(52)의 후단부를 탄력적으로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다수개의 고정용 핀(52)은 다수개의 수납홀(56)에 각각 수납되어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걸림턱(57)에 의하여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고정용 핀(52)은 내측 플레이트(40)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홀(60)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또한, 다수개의 고정용 핀(52)의 주변부에는 복수개의 슬라이드 핀(58)이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드 핀(58)의 구조는 상기 고정용 핀(52)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이러한 슬라이드 핀(58)은 고정나사(59)에 의하여 상기 내측 플레이트(40)에 일체로 체결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고정용 핀 유니트(41)는 무부하 상태에서는 고정용 핀 유니트(41)의 핀 블럭(51)과 내측 플레이트(40)가 소정 간극(G)을 유지한다. 반면에, 상기 내측레버(30)가 중심선(10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일차적으로 상기 내측 플레이트(40)가 차륜(22)의 일측부에 접촉하게 된다. 접촉 후, 상기 내측 플레이트(40)는 차륜(22)의 일측부에 접촉한 상태이고 내측레버(30)는 지속적으로 중심선(10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으로 슬라이드 핀(58)의 스프링이 압축된다.
이때, 상대적으로 상기 고정용 핀(52)이 상기 내측 플레이트(40)의 관통홀 (60)을 각각 관통하여 내측방향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진입된 차륜(22)의 일측부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제동력을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용 핀(52)은 복열로 되어 있음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륜(22)의 측면 형상에 따라 적절하게 접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외측레버(29)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외측 플레이트(39)가 도5 및 도9 에 도시된다. 이러한 외측 플레이트(39)는 외측레버(29)의 타단부에 외측 샤프트(46)를 통하여 일체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레버(29)에는 리미트 스위치 브라켓(47)이 설치되며 이 리미트 스위치 브라켓(47)에는 리미트 스위치(47)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외측 플레이트(39)의 후방에는 슬라이드 스프링(49)이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외측 플레이트(39)가 차륜(22;도2)의 일측부에 접촉하여 가압되면 상기 슬라이드 스프링(49)이 압축된다. 그리고, 이러한 압축 상태가 지속되면 상기 슬라이드 스프링(49)이 외측 샤프트(46)에 의해 압축되고 결국 외측 샤프트(46)가 리미트 스위치(48)를 눌러 작동시킨다. 리미트 스위치(48)가 작동하면, 제어부(도시안됨)에 신호가 전달됨으로써 모터 조립체(32)의 구동이 정지된다. 따라서,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40,39)의 이동이 정지됨으로써 차륜(22;도2)의 고정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기어레버(28)와 외측레버(29) 사이에는 리턴 스프링(50)이 설치되고, 외측레버(29)에 개방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한편, 도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판넬(23)의 바디 케이스(26) 전방에는 차륜감지수단(70)이 설치되어 차륜(22;도2)의 진입여부를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차륜감지수단(70)은 베이스 판넬(23) 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브라켓(71)과, 상기 브라켓(71)에 핀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차륜감지 플레이트(72)와, 상기 차륜감지 플레이트(72)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도시안됨)과, 상기 차륜감지 플레이트(72)가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이를 감지하는 스위치(7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차륜감지수단(70)은 상기 차륜감지 플레이트(72)에 소정의 힘이 가해지면 핀을 중심으로 차륜감지 플레이트(72)가 회전된다. 그리고, 이러한 회전에 의하여 상기 차륜감지 플레이트(72)가 상기 스위치(73)를 눌러서 작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73)는 콘트롤러 (controller;도시안됨)에 접속되고, 콘트롤러에는 인디케이터 램프(indicator Lamp;도시안됨)가 접속되어 스위치(73)가 작동하였을 때 인디케이터 램프가 점등되도록 되어 있다. 인디케이터 램프는 조작자가 보기 쉬운 유니트의 근방, 또는 운전석 등에 배치된다.
또한, 콘트롤러에는 작동 스위치로서, 휠체어 고정 스위치(도시안됨) 및 휠체어 개방 스위치(도시안됨)가 접속되고, 이 스위치 상태에 따라서 모터 조립체 (32)가 제어된다.
한편, 도5 및 도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어레버(28)의 하부에는 락 스위치(Lock Switch;61)와 언락 스위치(Unlock Switch;62)가 장착된다. 이러한 스위치들(61,62)은 휠체어(20;도2)의 차륜(22;도2)이 위치 되지 않은 상태, 즉 손가락 등이 끼였을 경우 모터 조립체(32)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내측 및 외측레버 (30,29)가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내측 및 외측레버(30,29)가 소정 간격이하로 작동하게 되면, 락 스위치(61)에 의해서 중심선(100) 방향으로 회전이 중지되어 압착이 방지 된다. 이 락 스위치(61)는 내측 및 외측레버(30,29)의 회동시 간극이 일정치 이하로 되면 내측레버(30)에 의해 눌려져 작동되므로 사람의 손 등이 끼였을 경우 등에 대하여 안전 장치의 역할을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고정장치의 작동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 내지 도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휠체어(20)의 한쪽 차륜(22)을 내측 플레이트(40)와 외측 플레이트(39)의 사이로 진입시킨다.
차륜(22)이 차륜감지 플레이트(72)에 접촉하면 차륜감지 플레이트(72)가 복귀 스프링(도시안됨)의 반력에 대항하여 후방으로 젖혀짐으로써 차륜감지 스위치 (73)가 작동한다. 이때, 인디케이터 램프(도시안됨)가 점등되어 휠체어(20)의 고정가능 상태를 알린다.
이후, 휠체어 고정 스위치(도시안됨)가 눌리면 모터 조립체(32)가 작동하며, 모터 조립체(32)의 회전축(35)의 제1 기어(36)는 기어 레버(28)의 제2 기어(37)와 치합된 상태임으로, 상기 제1 기어(36)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기어레버(28)가 지지축(27)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어레버(28)의 타단부가 외측레버(29)의 수동개방 핀(44)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외측레버(29)는 지지축(27)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중심선(100)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결과, 외측레버(29)에 연결된 외측 플레이트(39)가 핸들차륜(22a)에 접촉하여 핸들차륜(22a)을 고정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내측레버(30)도 중심선(100)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내측레버 (30)에 연결된 내측 플레이트(40)가 일차적으로 차륜(22)에 접촉하게 된다.
모터 조립체(32)가 작동을 계속하여 내측레버(30)가 중심선(100) 방향으로 더 회전하게 되면, 내측 플레이트(40)는 차륜(22)에 접촉한 상태임으로 더 회전할 수 없으나, 슬라이드 핀(58)에 의하여 연결된 상기 고정용 핀 유니트(41)는 계속하여 중심선(100)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경향이 있다. 결국, 상기 내측 플레이트(40)에 고정된 슬라이드 핀(58)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압축 스프링(76)을 가압하게 됨으로 고정용 핀 유니트(41)의 핀 블럭(51)과 내측 플레이트(40) 와의 간극(G)이 작아지고, 결국에는 양자가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내측 플레이트(40)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다수의 고정용 핀(52)은 그 선단부가 내측 플레이트(40)의 관통홀(60)을 통과하여 외면으로 돌출한다. 따라서, 상기 다수개의 고정용 핀(52)은 차륜(22)의 스포크등 일측부에 압착된다. 이때, 상기 고정용 핀(52)은 최대로 고정용 핀(52)의 걸림턱(57)이 소직경부(54)의 어깨에 닿는 위치까지 돌출 가능하다. 또한 타이어 등에 닿은 고정용 핀(52)은 그 압축 스프링(53)을 작아지도록 눌러서 들어간 위치에서 멈춘다.
이 후에 다시 약간만 모터 조립체(32)를 작동시킴으로써 내측 플레이트(40)와 외측 플레이트(39) 에 의해 차륜(22)에 압착력이 가해진다. 여기에서, 외측레버 (29)에 장착된 리미트 스위치(48)가 작동되고 그 작동신호를 받아 콘트롤러가 모터 조립체(32)를 정지시킨다. 이로써 고정조작이 완료된다.
만약, 휠체어(20)의 차륜(22)이 위치 되지 않은 상태로 간극을 압착하게 되면 락 스위치(61)에 의해서 압착이 중지 된다. 이 락 스위치(61)는 내측 및 외측레버(30,29)의 회동시 간극이 일정치 이하로 되면 내측레버(30)에 의해 눌려져 작동되므로 사람의 손 등이 끼였을 경우 등에 대하여 안전 장치의 역할을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외측 플레이트(39)는 외측레버(29)에 대하여, 내측 플레이트(40)는 고정용 핀 유니트(41)를 통해서 내측레버(30)에 대하여, 각각 핀으로 지지되고 있다. 따라서, 도4 및 도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20)의 차륜(22)이 내측 케이스(25)와 외측 케이스(24) 사이로 비스듬히 진입한 경우에도 내측 플레이트(40)와 외측 플레이트(39)에 의하여 면으로 압착된다.
이상과 같이 고정된 상태에서 휠체어(20)의 차륜(22)은 차량의 통상 주행 중에 발생되는 전후방향 또는 가로방향의 가감속도에 대하여 내측 플레이트(40) 및 외측 플레이트(39)의 압착력을 토대로 하는 마찰력에 의해 충분히 고정된다. 또한, 전후방향의 과대한 가감속도 등에 의하여 휠체어(20)가 이동하려고 할 때에도 다수의 고정용 핀(52;도12) 중의 여러 개가 차륜 림에 걸린다.
한편, 휠체어(20)를 고정장치(21)로부터 해제하는 경우에는 휠체어 개방 스위치(도시안됨)를 누른다. 이로써, 콘트롤러는 모터 조립체(32)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킨다. 이렇게 하여 모터 조립체(32)의 제1 기어(36)와 기어 레버(28)의 제2기어(37)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내측 레버(30)는 지지축(27)을 중심으로 중심선 (100)의 외측방향으로 회전동작이 이루어지고, 기어 레버(28) 또한 지지축(27)을 중심으로 회전동작 한다. 이때, 외측레버(29)는 리턴 스프링(50)에 의해 중심선 (100) 외측방향으로 회전동작이 이루어진다.
이 결과, 외측레버(29)에 연결된 외측 플레이트(39)가 핸들차륜(22a)으로부터 면압이 해제되면, 외측레버(29)는 리턴 스프링(50)에 의하여 열리므로 외측 플레이트(39)가 외측 케이스(24)에 격납된다.
또한, 내측레버(30)는 중심선(100)의 외측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때 고정용 핀 유니트(41)의 압축상태가 해제됨으로 핀 블록(51)이 내측 플레이트(40)에서 떨어지고, 이어서 고정용 핀 유니트(41)와 내측 플레이트(40)가 함께 차륜(22)에서 떨어진다. 차륜(22)에서 떨어진 내측 플레이트(40)가 내측 케이스(25) 안으로 격납되면, 내측레버(30)에 의해 언락 스위치(62)가 눌려져, 모터 조립체(32)의 구동이 정지하게 된다.
상기한 과정을 거쳐 휠체어 고정장치의 개방조작이 완료된다. 이 후에는 아무런 장해 없이 내측 플레이트(40)와 외측 플레이트(39)로부터 차륜(22)이 자유로워지므로 휠체어(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고, 내측레버(30)와 외측레버(29)에 의하여 내측 플레이트(40)와 외측 플레이트(39)를 서로 대향하도록 이동시켜, 휠체어(20)의 차륜(22)을 면 사이에 끼워 압착력을 토대로 하는 마찰력을 주고, 또한 내측 플레이트(40)에 고정용 핀 유니트(41)를 부설하여, 차륜(22)을 압착할 때다수의 고정용 핀(52)이 스프링 힘에 의하여 내측 플레이트(40)에서 돌출 되도록 해서, 여러 개의 고정용 핀(52)이 타이어를 누르거나 또는 차륜(22) 림에 걸리도록 하였으므로, 휠체어(20)는 통상의 주행에서 발생되는 가감속도 등에 대하여 충분히 고정 구속된다.
또한, 내측 플레이트(40)와 외측 플레이트(39)는 각각 내측레버(30)와 외측레버(29)에 대하여 핀으로 지지함으로써 회전운동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차륜(22)의 폭이 다른 휠체어에서도 언제나 면 압착이 가능함과 동시에, 만약 휠체어의 차륜(22)이 비스듬한 방향으로 진입한 경우에도 그대로의 상태에서 확실하게 차륜(22)을 고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고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지지축에 내측레버 및 외측레버를 회전가능한 구조로 장착하여 휠체어의 차륜을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음으로 그 구조를 간단화 하여 제조비가 절감되고, 제조공정이 단축되며, 오작동이 발생할 경우가 적다.
둘째,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의 사이 공간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일정 범위 이내의 차륜을 고정할 있고, 또한 차륜이 비스듬히 위치해도 그에 알맞게 차륜을 면으로 압착시킬 수 있다.
셋째, 내측 플레이트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고정용 핀을 구비함으로서 차륜 압착시 일차적으로 내측 플레이트가 압착되고, 이차적으로 다수개의고정용 핀이 차륜에 압착됨으로 과대한 가감속도가 가해져도 차륜이 확실하게 고정된다.

Claims (5)

  1. 그 상부에 지지축이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 판넬;
    상기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내측레버;
    상기 내측레버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내측레버 회전시 차륜에 접촉함으로써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내측 플레이트;
    상기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내측레버와 마주보면서 차륜진입영역을 제공하는 상태로 장착되는 외측레버;
    상기 외측레버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외측레버 회전시 차륜에 접촉함으로써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외측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내측레버 상면에 장착된 모터 조립체의 제1 기어와 치합된 제2 기어를 갖고 타단부는 외측레버와 접촉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레버의 상단에 장착된 모터 조립체의 제1 기어와 그와 치합된 제2 기어를 통해 전달된 구동력으로 상기 내측 및 외측레버를 회전시킴으로써 그 양단부가 상기 내측 및 외측레버에 연결된 상기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를 차륜에 접촉하도록 하는 휠체어용 고정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레버의 타단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외측레버에는 수동형 개방핀이 장착됨으로써, 상기 기어레버의 걸림홈이 상기 수동형개방핀을 가압하는 휠체어용 고정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레버의 하부에는 락 스위치 및 언락 스위치가 장착되어 상기 내측레버가 상기 락 및 언락 스위치에 접촉함으로서 상기 내측 및 외측레버의 간격을 조절가능한 휠체어용 고정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레버에 대해서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외측 플레이트와, 상기 외측 플레이트의 회전운동을 지지하는 지지축에 접촉되어 휠 파지력을 검지하는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외측 플레이트와 외측레버의 간격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슬라이드 스프링을 포함하는 휠체어용 고정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레버와 상기 외측레버를 탄력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차륜의 고정상태 해제시 상기 외측레버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휠체어용 고정장치.
KR10-2001-0053382A 2001-08-31 2001-08-31 이동체용 휠체어 고정장치 KR100434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382A KR100434018B1 (ko) 2001-08-31 2001-08-31 이동체용 휠체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382A KR100434018B1 (ko) 2001-08-31 2001-08-31 이동체용 휠체어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814A KR20030018814A (ko) 2003-03-06
KR100434018B1 true KR100434018B1 (ko) 2004-06-04

Family

ID=27721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3382A KR100434018B1 (ko) 2001-08-31 2001-08-31 이동체용 휠체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401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245B1 (ko) 2008-08-11 2010-08-05 (주)세퍼스 시스템 이동수단에 구비된 회전 구동방식의 휠체어 고정장치
KR101188406B1 (ko) 2012-06-14 2012-10-08 (유)로드원씨엔씨 장애우의 운동을 위한 휠체어 고정장치
KR20200137158A (ko) 2019-05-29 2020-12-09 세풍이엔피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KR20210033611A (ko) 2019-09-19 2021-03-29 세풍이엔피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081B1 (ko) * 2008-01-09 2009-11-23 (주)세퍼스 시스템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의 휠 고정장치
KR100983106B1 (ko) * 2008-03-13 2010-09-20 (주)세퍼스 시스템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
KR101127542B1 (ko) * 2009-09-11 2012-03-27 (주)세퍼스 시스템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
CN102038585B (zh) * 2010-11-01 2012-04-18 胡达广 自定位轮椅承载平台
KR101396908B1 (ko) * 2012-12-05 2014-05-19 세풍전자공업주식회사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0550A (ja) * 1995-02-23 1996-09-10 Otec Japan:Kk 移動体用車椅子固定装置
JPH1176310A (ja) * 1997-08-29 1999-03-23 Hino Shatai Kogyo Kk 車椅子固定装置
JP2001030822A (ja) * 1999-07-21 2001-02-06 Autech Japan Inc 移動体用車椅子固定装置
JP2001087317A (ja) * 1999-09-22 2001-04-03 Torao Hirai 車椅子固定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0550A (ja) * 1995-02-23 1996-09-10 Otec Japan:Kk 移動体用車椅子固定装置
JPH1176310A (ja) * 1997-08-29 1999-03-23 Hino Shatai Kogyo Kk 車椅子固定装置
JP2001030822A (ja) * 1999-07-21 2001-02-06 Autech Japan Inc 移動体用車椅子固定装置
JP2001087317A (ja) * 1999-09-22 2001-04-03 Torao Hirai 車椅子固定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245B1 (ko) 2008-08-11 2010-08-05 (주)세퍼스 시스템 이동수단에 구비된 회전 구동방식의 휠체어 고정장치
KR101188406B1 (ko) 2012-06-14 2012-10-08 (유)로드원씨엔씨 장애우의 운동을 위한 휠체어 고정장치
KR20200137158A (ko) 2019-05-29 2020-12-09 세풍이엔피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KR20210033611A (ko) 2019-09-19 2021-03-29 세풍이엔피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814A (ko) 200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4018B1 (ko) 이동체용 휠체어 고정장치
KR100839569B1 (ko) 이동수단에 구비된 링크식 휠체어 고정장치
JPH07121675B2 (ja) 自動車における安全ベルト抑止装置のベルトを事前に緊締する緊締手段またはガスバッグ抑止装置のための解放機構
KR100974245B1 (ko) 이동수단에 구비된 회전 구동방식의 휠체어 고정장치
KR101127542B1 (ko)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
KR100983106B1 (ko)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
KR100339292B1 (ko) 이동체용 휠체어 고정장치
JPH0829643B2 (ja) キャスターのロック装置
JPH064128Y2 (ja) 無段変速機用操作装置
US5462340A (en) Preloader for a webbing retractor
JP2571719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19980060443U (ko) 자동차의 급제동 보조장치
JPH0715075Y2 (ja) 自動変速機用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装置
JPH08230550A (ja) 移動体用車椅子固定装置
JPS62218261A (ja) 車両用パ−キング装置
KR20080009774A (ko)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의 휠 고정장치
JP4087735B2 (ja) 車両ロック装置
JPH11189185A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の盗難防止装置
JP2571723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200153025Y1 (ko) 자동차의 회전식 급제동 보조장치
KR100974249B1 (ko) 이동수단에 구비된 볼트 구동방식의 휠체어 고정장치
JP3143612B2 (ja) 自動変速機用シフトレバーのロック装置
JPH09136622A (ja) 自動車の制動構造及びこの構造を用いた自動車
JPH0542900Y2 (ko)
KR100206043B1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