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7826B1 - 휠체어용 보조동력모듈 탈부착장치 - Google Patents

휠체어용 보조동력모듈 탈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7826B1
KR101737826B1 KR1020160042715A KR20160042715A KR101737826B1 KR 101737826 B1 KR101737826 B1 KR 101737826B1 KR 1020160042715 A KR1020160042715 A KR 1020160042715A KR 20160042715 A KR20160042715 A KR 20160042715A KR 101737826 B1 KR101737826 B1 KR 101737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ower module
wheelchair
auxiliary pow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희
곽윤창
조영준
배종남
Original Assignee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42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8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7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by a modular detachable dr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2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 A61G5/02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having particular propulsion mechanisms
    • A61G5/022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having particular propulsion mechanisms acting on wheels, e.g. on tires or hand ri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2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 A61G5/027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by using auxiliary detachabl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having a specific drive-type
    • A61G5/04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having a specific drive-type at least three driven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1Arrangements for steering
    • H01M2/102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용 보조동력모듈의 탈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동 휠체어를 전동 휠체어로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보조동력모듈을 휠체어에 간편하게 탈착시킬 수 있는 휠체어용 보조동력모듈 탈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동 휠체어를 전동 휠체어 형태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배터리와 전동모터와 기어박스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보조동력모듈을 상기 수동 휠체어에 탈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보조동력모듈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면에 상기 수동 휠체어의 양측 하부에 각각 전후 설치되는 프레임의 외면 하측을 감싸는 하부프레임홈이 함몰 형성된 하부연결체; 상기 하부연결체의 상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면에 상기 프레임의 외면 상측을 감싸는 상부프레임홈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부연결체의 상부에 밀착되는 상부연결체; 상기 상부연결체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연결체를 상기 하부연결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상부연결체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단부를 가압 고정하여 상기 하부연결체와 상기 상부연결체의 고정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캡;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보조동력모듈 탈부착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휠체어용 보조동력모듈 탈부착장치{Install device for auxiliary power module of wheelchair for removable devices}
본 발명은 휠체어용 보조동력모듈의 탈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동 휠체어를 전동 휠체어로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보조동력모듈을 휠체어에 간편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는 휠체어용 보조동력모듈 탈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환자나 노약자 및 장애인 등과 같은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앉아서 이동할 수 있도록 의자 형태의 휠체어 본체에 이동바퀴가 달린 보행보조장치이다.
이러한 휠체어는 크게 사용자가 두 팔을 이용하여 이동바퀴를 돌려서 이동하는 수동식과, 사용자가 조이스틱을 조작하면 전동으로 이동바퀴가 돌아가면서 이동하는 전동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수동 휠체어는 사용자가 스스로 두 팔을 이용하여 이동바퀴를 회전시켜 수동으로 이동해야 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한 이점이 있고, 전동 휠체어는 사용자가 컨트롤러를 통해 전동모터를 구동시키면 이동바퀴가 회전하면서 자동으로 이동하므로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따라서 수동 휠체어는 상기한 이점에 의해 이동 약자에게 저렴하게 제공되고 있지만, 스스로 이동바퀴를 회전시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약자의 비율이 매우 낮아 이동 약자의 대부분이 전동 휠체어가 사용해야 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전동 휠체어는 수동 휠체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가격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가정 형편이 어려운 이동 약자가 구매하여 사용하기에는 경제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수동 휠체어에 부착하여 수동 휠체어를 전동 휠체어와 같이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터리와 전동모터와 기어박스와 전동바퀴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보조동력모듈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보조동력모듈은 수동 휠체어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구조가 복잡하여 특정한 프레임을 구조를 가진 수동 휠체어에만 장착 가능하거나 일반 수동 휠체어에 별도의 장착구조물을 부가적으로 더 설치해야만 장착 가능하다.
즉, 종래의 보조동력모듈은 상기한 장착구조로 인해 일반 수동 휠체어에 장착하여 전동식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이 극히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노약자나 장애인 등의 사용자가 보조동력모듈을 일반 수동 휠체어에 별도의 장착구조물 없이도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장착구조를 개선하고 보완해야 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8203호, 2015.09.25.자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수동 휠체어를 전동 휠체어 형태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보조동력모듈을 별도의 부가장치 없이 통상의 수동 휠체어에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휠체어용 보조동력모듈 탈부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보조동력모듈 탈부착장치는 수동 휠체어를 전동 휠체어 형태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배터리와 전동모터와 기어박스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보조동력모듈을 상기 수동 휠체어에 탈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보조동력모듈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면에 상기 수동 휠체어의 양측 하부에 각각 전후 설치되는 프레임의 외면 하측을 감싸는 하부프레임홈이 함몰 형성된 하부연결체; 상기 하부연결체의 상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면에 상기 프레임의 외면 상측을 감싸는 상부프레임홈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부연결체의 상부에 밀착되는 상부연결체; 상기 상부연결체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연결체를 상기 하부연결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상부연결체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단부를 가압 고정하여 상기 하부연결체와 상기 상부연결체의 고정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캡;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상부연결체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레버와, 상기 고정레버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레버의 회전에 따라 견인 길이가 단축되면서 상기 하부연결체의 단부 하측에 형성된 걸림단을 상기 상부연결체 측으로 견인하여 상기 상부연결체와 상기 하부연결체를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클립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프레임홈과 상부프레임홈의 내측에는 하부패드와 상부패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보조동력모듈 탈부착장치는 수동 휠체어를 전동 휠체어 형태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배터리와 전동모터와 기어박스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보조동력모듈을 상기 수동 휠체어에 탈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보조동력모듈의 양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고 상면에 상기 수동 휠체어의 양측 하부에 각각 전후 설치된 프레임의 외면 하측을 감싸는 하부프레임홈이 함몰 형성되고 단부에 하부리브가 좌우로 돌출 형성되는 하부연결체; 상기 하부연결체의 상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면에 상기 프레임의 외면 상측을 감싸는 상부프레임홈이 함몰 형성되고 단부에 하부리브보다 길이가 짧은 상부리브가 좌우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부연결체와 결합되는 상부연결체; 상기 하부리브와 상기 상부리브를 내부로 수용하여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구된 리브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연결체와 상기 하부연결체가 상하로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위치에 따라 상기 하부리브와 상기 상부리브를 동시에 수용하여 상기 상부연결체를 상기 하부연결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블록; 및 상기 고정블록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리브와 상기 상부리브가 상기 리브수용공간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잠금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고정블록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잠금레버와, 상기 리브수용공간의 타측에 상기 잠금레버의 회전에 따라 수직으로 승강하면서 상기 하부리브와 상기 상부리브를 단속하는 단속핀과, 상기 단속핀의 단부와 고정블럭의 내측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단속핀을 수직으로 하강시켜 상기 하부리브와 상기 상부리브가 상기 리브수용공간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프레임홈과 상부프레임홈의 내측에는 하부패드와 상부패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보조동력모듈 탈부착장치는 수동 휠체어를 전동 휠체어 형태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배터리와 전동모터와 기어박스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보조동력모듈을 상기 수동 휠체어에 탈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보조동력모듈의 양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관통홀에 관통되는 관통편이 일단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편의 단부에 환턱이 형성되며 타단에 삽입편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편에 제1핀공이 좌우로 관통 형성되는 제1연결구; 상기 삽입편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일단에 형성되고 일단에 상기 제1핀공과 대응되는 제2핀공이 좌우로 관통 형성되며 타단에 상기 수동 휠체어의 양측 하부에 각각 전후로 설치된 프레임의 외면을 감싸도록 일측이 개구 가능한 결합지그가 설치된 제2연결구; 상기 결합지그의 개구 측을 막아 상기 제2연결구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편; 상기 관통홀의 외측에서 상기 관통편을 상하로 압지하여 상기 제1연결구를 상기 보조동력모듈에 고정시키는 고정핀; 및 상기 삽입편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핀공과 상기 제2핀공을 동시에 통과하여 상기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를 연결하는 연결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수동 휠체어를 전동 휠체어로 사용하기 위한 보조동력모듈을 통상의 수동 휠체어에 별도의 장착구조물 없이도 간편하게 장착하고 분리할 수 있으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수동 휠체어를 전동 휠체어로 사용 가능하여 경제적인 부담을 크게 덜어 주고 탈부착으로 인한 어려움을 완전히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보조동력모듈 탈부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장착과정을 차례대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보조동력모듈 탈부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고정블록과 잠금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및 종단면도.
도 5는 도 3의 장착과정을 차례대로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보조동력모듈 탈부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장착과정을 차례대로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은 수동 휠체어를 전동 휠체어로 사용 가능하게 하는 배터리와 전동모터와 기어박스 및 컨트롤러 등을 포함하는 보조동력모듈을 수동 휠체어에 장착하기 위한 휠체어용 보조동력모듈 탈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보조동력모듈 탈부착장치는 통상의 구조를 가진 수동 휠체어의 본체에 별도의 부가 구조물이 없이 사용자가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보조동력모듈의 상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수동 휠체어의 본체 하부 양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부착부재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보조동력모듈의 탈부착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보조동력모듈의 탈부착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연결체(10)와 상부연결체(20)와 고정부재(30) 및 잠금캡(4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연결체(10)는 보조동력모듈(300)의 양측에 각각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어 프레임(210)의 외면 하측을 둘러싸는 것이다.
이때 하부연결체(10)는 보조동력모듈(300)의 양측에 각각 전후 방향으로 하나가 길게 설치되거나 복수 개가 일정간격으로 분리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하부연결체(10)는 상면에 프레임(210)의 외면 하측을 감싸는 하부프레임홈(11)이 함몰 형성되고 내측에 프레임(210)을 유격이나 미끄러짐 없이 압착 고정할 수 있도록 하부패드(12)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연결체(20)는 하부연결체(10)의 상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부연결체(10)와의 밀착을 통해 프레임(210)의 외면 상측을 둘러싸는 것이다.
여기서 상부연결체(20)는 하부연결체(10)의 전후 길이가 길게 설치된 경우 하부연결체(10)의 상부에 복수 개가 전후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하부연결체(10)의 전후 길이가 짧고 복수 개로 분리된 경우 하부연결체(10)의 상부에 한 개씩 설치된다.
그리고 상부연결체(20)는 하면에 프레임(210)의 외면 상측을 감싸는 상부프레임홈(21)이 함몰 형성되고 내측에 프레임(210)을 유격이나 미끄러짐 없이 압착 고정할 수 있도록 상부패드(22)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재(30)는 상부연결체(20)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부연결체(20)를 하부연결체(10)에 고정시켜 프레임(210)이 하부프레임홈(11)과 상부프레임홈(2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고정부재(30)는 상부연결체(2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레버(31)와, 고정레버(31)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정레버(31)의 회전에 따라 견인 길이가 단축되면서 하부연결체(10)의 단부 하측에 형성된 걸림단(13)을 상부연결체(20) 측으로 견인하여 상부연결체(20)와 하부연결체(10)를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클립(32)으로 구성된다.
상기 잠금캡(40)은 상부연결체(2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정부재(30)의 단부를 가압하여 상부연결체(20)와 하부연결체(10) 간의 고정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잠그는 것이다.
즉, 잠금캡(40)은 고정레버(31) 측으로 회전되면서 고정레버(31)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레버(31)의 단부를 가압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르면 도 2의 a와 같이 프레임(210)의 외면 하측을 하부연결체(10)의 하부프레임홈(11)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도 2의 b와 같이 상부연결체(20)의 상부프레임홈(21)에 프레임(210)이 삽입되도록 상부연결체(20)를 하부연결체(10)에 밀착시킨 후 도 2의 c와 같이 고정부재(30)를 조작하여 하부연결체(10)를 상부연결체(20)에 고정시킨 다음 도 2의 d와 같이 잠금캡(40)으로 고정부재(30)를 잠그면 보조동력모듈(300)을 수동 휠체어(200)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과정을 역으로 행하면서 보조동력모듈(300)을 수동 휠체어(200)에서 간편하게 분리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보조동력모듈의 탈부착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연결체(50)와 상부연결체(60)와 고정블럭(70) 및 잠금부재(80)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연결체(50)는 보조동력모듈(300)의 양측에 각각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어 프레임(210)의 외면 하측을 둘러싸는 것이다.
이때 하부연결체(50)는 보조동력모듈(300)의 양측에 각각 전후 방향으로 하나가 길게 설치되거나 복수 개가 일정간격으로 분리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하부연결체(50)는 하면에 프레임(210)의 외면 상측을 감싸는 하부프레임홈(51)이 함몰 형성되고 단부에 하부리브(52)가 좌우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측에 프레임(210)을 유격이나 미끄러짐 없이 압착 고정할 수 있도록 하부패드(54)가 설치되고 하부리브(52)의 외측 단부 하면에 하부분리방치턱(53)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연결체(60)는 하부연결체(50)의 상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부연결체(50)와의 밀착을 통해 프레임(210)의 외면 상측을 둘러싸는 것이다.
여기서 상부연결체(60)는 하부연결체(50)의 전후 길이가 길게 설치된 경우 하부연결체(50)의 상부에 복수 개가 전후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하부연결체(50)의 전후 길이가 짧고 복수 개로 분리된 경우 하부연결체(50)의 상부에 한 개씩 설치된다.
그리고 상부연결체(60)는 하면에 프레임(210)의 외면 상측을 감싸는 상부프레임홈(61)이 함몰 형성되고 내측에 프레임(210)을 유격이나 미끄러짐 없이 압착 고정할 수 있도록 상부패드(64)가 설치된다.
또한, 상부연결체(60)의 단부에는 하부리브(52)보다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상부리브(62)가 좌우로 돌출 형성되고 상부리브(62)의 외측 단부 상면에는 상부분리방지턱(63)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블록(70)은 상부연결체(60)와 하부연결체(50)가 상하로 밀착된 상태에서 하부리브(52)와 상부리브(62)를 내측으로 수용하여 상부연결체(60)를 하부연결체(50)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정블록(70)에는 하부리브(52)와 상부리브(62)를 내부로 수용한 상태에서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구된 리브수용공간(71)이 구비된다.
따라서 고정블록(70)은 개구된 일측을 통해 하부리브(52)와 상부리브(62)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고, 슬라이딩된 위치에 따라 하부리브(52)와 상부리브(62)를 동시에 리브수용공간(71) 내측으로 수용하면서 상부연결체(60)를 하부연결체(50)에 고정시킨다.
단, 고정블록(70)이 하부리브(52)와 상부리브(62)의 외측 단부를 통해 분리되지 않도록 하부분리방지턱(53)과 상부분리방지턱(63)이 이루는 높이가 리브수용공간(71)의 입구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상기 잠금부재(80)는 고정블록(70)에 설치되어 하부리브(52)와 상부리브(62)가 리브수용공간(71)에 동시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고정블록(70)의 고정상태를 잠그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잠금부재(8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블록(7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잠금레버(81)와, 리브수용공간(71)의 타측에 잠금레버(81)의 회전에 따라 수직으로 승강하면서 하부리브(52)와 상부리브(62)를 단속하는 단속핀(82)과, 단속핀(82)의 단부와 고정블럭(70)의 내측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단속핀(82)을 수직으로 하강시켜 하부리브(52)와 상부리브(62)가 리브수용공간(71)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는 스프링(83)으로 구성된다.
즉, 잠금레버(81)를 가압하여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스프링(83)이 압축되면서 단속핀(82)이 상승한 상태가 되면서 고정블록(70)의 좌우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다가 하부리브(52)와 상부리브(62)가 리브수용공간(71)에 동시에 삽입된 상태에서 잠금레버(81)에 가해진 압력을 해제하면 스프링(83)이 탄성 복귀되어 인장되면서 단속핀(82)이 하강하여 고정블록(70)의 개구 측을 막으므로 고정블록(70)의 좌우 슬라이딩을 방지하여 상부연결체(60)가 하부연결체(50)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르면 도 5의 a와 같이 프레임(210)의 외면 하측을 하부연결체(50)의 하부프레임홈(51)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도 5의 b와 같이 상부연결체(60)의 상부프레임홈(61)에 프레임(210)이 삽입되도록 상부연결체(60)를 하부연결체(50)에 밀착시킨 후 도 5의 c와 같이 잠금부재(80)를 조작하면서 고정블록(70)을 슬라이딩시켜 하부리브(52)와 상부리브(62)가 동시에 고정블럭(70)의 내측에 수용시키면 보조동력모듈(300)을 수동 휠체어(200)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과정을 역으로 행하면서 보조동력모듈(300)을 수동 휠체어(200)에서 간편하게 분리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보조동력모듈의 탈부착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구(90)와 제2연결구(100)와 고정편(110)과 고정핀(120) 및 연결핀(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연결구(90)는 보조동력모듈(30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1연결구(90)는 일단에 보조동력모듈(300)의 양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관통홀(310)에 삽입되는 관통편(91)이 형성되고 타단에 후술할 제2연결구(100)에 삽입되는 삽입편(93)이 형성된다.
이때 관통편(91)의 단부에는 지름이 확대된 환턱(92)이 형성되고 삽입편(93)에는 좌우로 관통하는 제1핀공(94)이 형성된다.
상기 제2연결구(100)는 제1연결구(90)와과 연결을 통해 보조동력모듈(300)을 수동 휠체어(200)의 프레임(210)에 연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2연결구(100)는 일단에 제1연결구(90)의 타단이 삽입되는 삽입홈(101)이 형성되고 일단에 제1연결구(90)의 제1핀공(94)과 대응되는 제2핀공(102)이 좌우로 관통 형성되며 타단에 프레임(210)의 외면을 감싸도록 일측이 개구 가능한 결합지그(103)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편(110)은 결합지그(103)의 개구 측에 설치되어 결합지그(103)의 개구 측을 막아 결합지그(103)에 프레임(210)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핀(120)은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보조동력모듈(300)의 관통홀(310) 외측에서 관통홀(310)을 관통한 관통편(91)을 상하로 압지하여 제1연결구(90)가 보조동력모듈(300)에서 분리되지 않게 고정하는 것이다.
이때 관통편(91)의 단부에 지름이 확대되는 환턱(92)이 형성됨에 따라 고정핀(120)이 관통편(91)을 상하로 압지하게 되면 관통편(91)이 관통홀(310)의 내측으로 통과하지 못하여 고정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상기 연결핀(130)은 일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연결구(90)의 삽입편(93)이 제2연결구(100)의 삽입홈(10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핀공(94)과 제2핀공(102)을 동시에 좌우로 보조동력모듈에 고정된 제1연결구(90)와 프레임(210)에 고정된 제2연결구(100)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르면 도 7의 a와 같이 제2연결구(100)를 수동 휠체어(200)의 프레임(210)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도 7의 b와 같이 제1연결구(90)의 삽입편(93)을 제2연결구(100)의 삽입홈(101)에 삽입하고 제1연결구(90)의 관통편(91)을 보조동력모듈(300)의 관통홀(310)로 관통시킨 후 도 7의 c와 같이 고정핀(120)과 연결핀(130)으로 제1연결구(90)를 보조동력모듈(300)에 고정하고 제1연결구(90)와 제2연결구(100)를 연결하면 보조동력모듈(300)을 수동 휠체어(200)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과정을 역으로 행하면서 보조동력모듈(300)을 수동 휠체어(200)에서 간편하게 분리할 수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 하부연결체
11: 하부프레임홈
12: 하부패드
13: 걸림단
20: 상부연결체
21: 상부프레임홈
22: 상부패드
30: 고정부재
31: 고정레버
32: 고정클립
40: 잠금캡
50: 하부연결체
51: 하부프레임홈
52: 하부리브
53: 하부분리방치턱
54: 하부패드
60: 상부연결체
61: 상부프레임홈
62: 상부리브
63: 상부분리방지턱
64: 상부패드
70: 고정블럭
71: 리브수용공간
80: 잠금부재
81: 잠금레버
82: 단속핀
83: 스프링
90: 제1연결구
91: 관통편
92: 환턱
93: 삽입편
94: 제1핀공
100: 제2연결구
101: 삽입홈
102: 제2핀공
103: 결합지그
110: 고정편
120: 고정핀
130: 연결핀
200: 수동 휠체어
210: 프레임
300: 보조동력모듈
310: 관통홀

Claims (7)

  1. 수동 휠체어를 전동 휠체어 형태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배터리와 전동모터와 기어박스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보조동력모듈을 상기 수동 휠체어에 탈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보조동력모듈(30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면에 상기 수동 휠체어(200)의 양측 하부에 각각 전후 설치되는 프레임(210)의 외면 하측을 감싸는 하부프레임홈(11)이 함몰 형성된 하부연결체(10);
    상기 하부연결체(10)의 상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면에 상기 프레임(210)의 외면 상측을 감싸는 상부프레임홈(21)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210)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부연결체(10)의 상부에 밀착되는 상부연결체(20);
    상기 상부연결체(20)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연결체(20)를 상기 하부연결체(1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0); 및
    상기 상부연결체(2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재(30)의 단부를 가압 고정하여 상기 하부연결체(10)와 상기 상부연결체(20)의 고정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캡(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보조동력모듈 탈부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0)는
    상기 상부연결체(2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레버(31)와, 상기 고정레버(31)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레버(31)의 회전에 따라 견인 길이가 단축되면서 상기 하부연결체(10)의 단부 하측에 형성된 걸림단(13)을 상기 상부연결체(20) 측으로 견인하여 상기 상부연결체(20)와 상기 하부연결체(10)를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클립(3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보조동력모듈 탈부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홈(11)과 상부프레임홈(21)의 내측에는
    하부패드(12)와 상부패드(2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보조동력모듈 탈부착장치.
  4. 수동 휠체어를 전동 휠체어 형태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배터리와 전동모터와 기어박스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보조동력모듈을 상기 수동 휠체어에 탈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보조동력모듈(300)의 양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고 상면에 상기 수동 휠체어(200)의 양측 하부에 각각 전후 설치된 프레임(210)의 외면 하측을 감싸는 하부프레임홈(51)이 함몰 형성되고 단부에 하부리브(52)가 좌우로 돌출 형성되는 하부연결체(50);
    상기 하부연결체(50)의 상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면에 상기 프레임(210)의 외면 상측을 감싸는 상부프레임홈(61)이 함몰 형성되고 단부에 하부리브(52)보다 길이가 짧은 상부리브(62)가 좌우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210)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부연결체(50)와 결합되는 상부연결체(60);
    상기 하부리브(52)와 상기 상부리브(62)를 내부로 수용하여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구된 리브수용공간(71)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연결체(60)와 상기 하부연결체(50)가 상하로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위치에 따라 상기 하부리브(52)와 상기 상부리브(62)를 동시에 수용하여 상기 상부연결체(60)를 상기 하부연결체(50)에 고정시키는 고정블록(70); 및
    상기 고정블록(70)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리브(52)와 상기 상부리브(62)가 상기 리브수용공간(7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잠금부재(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보조동력모듈 탈부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80)는
    상기 고정블록(7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잠금레버(81)와, 상기 리브수용공간(71)의 타측에 상기 잠금레버(81)의 회전에 따라 수직으로 승강하면서 상기 하부리브(52)와 상기 상부리브(62)를 단속하는 단속핀(82)과, 상기 단속핀(82)의 단부와 고정블럭(70)의 내측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단속핀(82)을 수직으로 하강시켜 상기 하부리브(52)와 상기 상부리브(62)가 상기 리브수용공간(72)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는 스프링(8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보조동력모듈 탈부착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홈(51)과 상부프레임홈(61)의 내측에는
    하부패드(54)와 상부패드(6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보조동력모듈 탈부착장치.
  7. 수동 휠체어를 전동 휠체어 형태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배터리와 전동모터와 기어박스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보조동력모듈을 상기 수동 휠체어에 탈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보조동력모듈(300)의 양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관통홀(310)에 관통되는 관통편(91)이 일단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편(91)의 단부에 환턱(92)이 형성되며 타단에 삽입편(93)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편(93)에 제1핀공(94)이 좌우로 관통 형성되는 제1연결구(90);
    상기 삽입편(93)이 삽입되는 삽입홈(101)이 일단에 형성되고 일단에 상기 제1핀공(94)과 대응되는 제2핀공(102)이 좌우로 관통 형성되며 타단에 상기 수동 휠체어(200)의 양측 하부에 각각 전후로 설치된 프레임(210)의 외면을 감싸도록 일측이 개구 가능한 결합지그(103)가 설치된 제2연결구(100);
    상기 결합지그(103)의 개구 측을 막아 상기 제2연결구(100)를 상기 프레임(210)에 고정시키는 고정편(110);
    상기 관통홀(210)의 외측에서 상기 관통편(91)을 상하로 압지하여 상기 제1연결구(90)를 상기 보조동력모듈(300)에 고정시키는 고정핀(120); 및
    상기 삽입편(93)이 상기 삽입홈(10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핀공(94)과 상기 제2핀공(102)을 동시에 통과하여 상기 제1연결구(90)와 제2연결구(100)를 연결하는 연결핀(1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보조동력모듈 탈부착장치.
KR1020160042715A 2016-04-07 2016-04-07 휠체어용 보조동력모듈 탈부착장치 KR101737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715A KR101737826B1 (ko) 2016-04-07 2016-04-07 휠체어용 보조동력모듈 탈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715A KR101737826B1 (ko) 2016-04-07 2016-04-07 휠체어용 보조동력모듈 탈부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7826B1 true KR101737826B1 (ko) 2017-05-19

Family

ID=59049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715A KR101737826B1 (ko) 2016-04-07 2016-04-07 휠체어용 보조동력모듈 탈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78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7943A (ko) * 2022-10-25 2024-05-03 (주)로보라이프 수동 휠체어의 전동화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658Y1 (ko) 1999-04-02 2001-04-02 최태윤 휠체어의 전동장치
JP2001327544A (ja) 2000-03-15 2001-11-27 Fuji Heavy Ind Ltd 車椅子の補助動力装置
KR200277358Y1 (ko) 2002-02-26 2002-06-01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착탈이 가능한 전동부를 갖는 휠체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658Y1 (ko) 1999-04-02 2001-04-02 최태윤 휠체어의 전동장치
JP2001327544A (ja) 2000-03-15 2001-11-27 Fuji Heavy Ind Ltd 車椅子の補助動力装置
KR200277358Y1 (ko) 2002-02-26 2002-06-01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착탈이 가능한 전동부를 갖는 휠체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7943A (ko) * 2022-10-25 2024-05-03 (주)로보라이프 수동 휠체어의 전동화 장치
KR102665397B1 (ko) 2022-10-25 2024-05-13 (주)로보라이프 수동 휠체어의 전동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4991B2 (en) Motorized scooter wheelchair attachment device
CN107735056B (zh) 用于有效地穿上和脱下外骨骼的机构
BRPI0510609A (pt) dispositivo para transferência de um paciente
KR101737826B1 (ko) 휠체어용 보조동력모듈 탈부착장치
CN109394436B (zh) 一种可分离式担架车
US6945821B2 (en) Connector
CN202797529U (zh) 绑带式移动插座固定结构
CN216185700U (zh) 电动滑板车
CN112274876B (zh) 绝缘瓷瓶辅助攀爬工具
KR101722118B1 (ko) 의자부와 바퀴부의 분리가 가능한 휠체어 장치
CN211023433U (zh) 一种中医内科用电热康复护理带
KR101574656B1 (ko) 아이젠을 구비한 자전거용 신발
CN110664554B (zh) 配设有辅助行走装置的轮椅
KR20230043366A (ko) 수동식 휠체어용 자동 제동 장치
CN212289380U (zh) 一种轮子结构
CN216185764U (zh) 一种城市自行车防抱死刹车结构
CN217823837U (zh) 一种便携式航空配电箱
CN213218323U (zh) 一种具有扳手功能的上车扶手
CN214597085U (zh) 一种电力系统架线辅助装置
WO2012036388A2 (ko) 조임 길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 안전벨트 압박완화장치
CN218248159U (zh) 一种快拆型放疗固定装置
CN211097298U (zh) 一种特殊儿童双手协调度训练器具
KR200178877Y1 (ko) 휴대용 핸드 브레이크 스틱
CN211155796U (zh) 一种核磁共振床体配套辅助工具
CN220535871U (zh) 一种步行补助器刹车制动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