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116B1 -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9116B1
KR101909116B1 KR1020170015548A KR20170015548A KR101909116B1 KR 101909116 B1 KR101909116 B1 KR 101909116B1 KR 1020170015548 A KR1020170015548 A KR 1020170015548A KR 20170015548 A KR20170015548 A KR 20170015548A KR 101909116 B1 KR101909116 B1 KR 101909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unit
wheelchair
compression head
in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0556A (ko
Inventor
송병문
Original Assignee
세풍이엔피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풍이엔피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풍이엔피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5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116B1/ko
Publication of KR20180090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or stretchers
    • A61G3/08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나 지하철 등과 같은 차량 내 탑승한 전동휠체어의 바퀴를 일정한 압력으로 로킹(locking)하여 이동중 전동휠체어의 고정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안정성을 확보하고, 휠체어 바퀴를 향한 적정 압력으로의 구동을 효율적으로 자동제어함을 제공하도록, 차량의 바닥면에 부착하여 고정 설치되고, 일측에 휠체어의 바퀴가 진입가능하게 형성된 휠유입로를 구비하는 본체케이스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휠유입로 상에 휠체어 바퀴가 접촉가능하게 위치하되 전 후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휠유입로 내 휠체어 바퀴의 완전한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휠스위치부와; 상기 휠유입로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여 좌우 대칭된 구조로 위치하고, 상기 휠유입로 내 진입된 휠체어 바퀴의 양쪽 측면을 가압 고정하는 압착헤드부와; 상기 본체케이스 상에 설치되어 상기 압착헤드부에 연결된 구조를 이루며, 상기 휠스위치부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구동하되 상기 압착헤드부가 상기 휠유입로에 대응하여 전후로 직선이동가능하게 구동하는 로킹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구동부는 상기 압착헤드부를 전체적으로 감아 연결된 와이어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와이어부재를 당기거나 풀어줄 수 있게 구동하는 메인구동유닛과, 상기 메인구동유닛의 풀림 구동시 상기 압착헤드부를 초기 위치로 당겨 복원시키는 복원구동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Electric Wheelchair Fix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나 지하철 등과 같은 차량 내 탑승한 전동휠체어의 바퀴를 일정한 압력으로 로킹(locking)하여 이동중 전동휠체어의 고정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안정성을 확보하고, 휠체어 바퀴를 향한 적정 압력으로의 구동을 효율적으로 자동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장애인이나 노약자, 환자 등과 같이 다리를 마음대로 움직일 수 없어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로부터 사회생활이나 직장 및 여가 생활에 독립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사람이 앉은 채로 이동가능한 구조를 갖는 다양한 형태의 휠체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통상적인 휠체어에는 사용자가 팔에 의한 근력을 통해 바퀴손잡이를 파지한 상태로 계속해서 돌리는 수동적인 제어에 의해 움직이는 수동휠체어와, 자체적인 전기공급에 따라 동력을 생성시켜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전동방식의 전동휠체어로 크게 구분하게 된다.
그런데 휠체어에 앉은 상태로 버스나 지하철, 기차 등과 같은 대중교통수단인 차량에 탑승하는 경우 휠체어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없으므로 차량 이동상황에서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큰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차량에 탑승한 휠체어를 부동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고정하여 차량의 이동시에도 휠체어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휠체어 고정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특허청의 등록특허공보 제839569호(2008.06.12.)에는 버스나 기차, 선박을 포함한 이동수단의 바닥면에 부착되며, 그 상면에 장치 부품을 장착하는 베이스 판넬과; 상기 베이스 판넬 상에 부착되며, 일정거리 이격되고 서로 마주보게 장착되고, 제1,2피봇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베이스 판넬 상에 결합된 제1,2가압로드와; 상기 베이스 판넬 상에 부착되며, 상기 제1,2가압로드에 대해 수직되게 설치되며, 그 하단에 랙기어가 형성되어져 있고, 그 일단이 상기 제2가압로드에 연결피봇으로 연결된 이동 상/하판과; 상기 이동 상/하판에 형성된 랙기어에 치합되어 랙기어에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의 축에 결합되어 피니언기어에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와; 상기 제1가압로드와 상기 이동 상/하판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가압로드가 중앙으로 모이게 상기 이동 상/하판이 이동될 때 상기 제1가압로드도 중앙으로 모이도록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링크로 구성됨에 따라 바퀴의 양쪽 측면을 동시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에 구비된 링크식 휠체어 고정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휠체어 고정장치에 대한 다른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983106호(2010.09.13.)에는 버스나 기차를 포함한 이동수단의 바닥면에 부착되며, 그 상면에 장치 부품을 장착하는 베이스 판넬과; 상기 베이스 판넬 상에 부착되며, 휠체어 휠의 진입을 차단하기 위한 내벽체와; 상기 베이스 판넬 상에 부착되며, 일정거리 이격되고 서로 마주보게 장착되고, 그 내측에서 상호 대향되게 좌측 및 우측 가압판의 유출입을 구동시키는 가압구동부를 그 내부에 내장시키는 좌측 및 우측 케이스와; 상기 좌측 및 우측 케이스의 내측면에 각각 마주보게 장착되어져 있고, 가압구동부와 결합되어 유출입되는 좌측 및 우측 브라켓과; 상기 좌측 및 우측 브라켓의 전면에 부착되며, 탄성재질로 구성되어 휠체어의 휠을 가압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좌측 및 우측 가압판이 구성된 휠체어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케이스에 장착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스퍼기어와, 상기 스퍼기어에 치합되며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랙기어로 구성된 가압구동부와; 상기 랙기어와 좌측 및 우측 가압판의 사이에 연결되어, 좌측 및 우측 가압판의 수평, 수직관절 운동을 행하는 다관절 연결부가 포함되며, 그 다관절 연결부는 상기 랙기어의 단부에 결합되며, 그 전방 양측에 결합홈이 형성된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그 후면에 형성된 회동판과;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고정시키기 위한 핀과; 상기 회동판의 중앙 소정부에 돌출된 연결대와; 상기 좌측 브라켓의 전면 소정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연결로드와; 상기 연결대와 연결로드에 형성된 힌지공에 결합된 힌지핀으로 구성되어 휠체어의 휠 안착 상태에 무관하게 휠을 다각도로 가압할 수 있게 되어, 휠체어의 휠을 상기 가압구동부(50)의 단부에 결합된 상기 좌측 및 우측 가압판의 상호 가압에 의해 구름운동을 방지하도록 고정시킴에 따라 휠의 진입상태를 감지하여 구동하는 일관된 구동동작으로 고장이 적고 우수한 고정력을 갖는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 중에 등록특허공보 제839569호의 경우에는 휠 즉 바퀴를 향해 접촉은 이루어지나 면대면 접촉이 아닌 일부 지점만의 점 접촉에 따른 압착에 불과할 뿐 아니라 랙 기어와 피니언 기어 간에 맞물려 단순히 랙 기어의 직선운동에 의해서만 바퀴의 고정상태를 유지시키므로 바퀴를 향해 가해지는 고정압력이 매우 취약하여 고정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상기한 종래기술의 경우 사용자의 버튼조작만으로 장치가 구동하기 때문에 휠체어 바퀴의 불안정한 상태에서의 작동을 초래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등록특허공보 제983106호의 경우에는 휠체어 바퀴를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동력원을 구비토록 구성하기 때문에 장치의 내부구성에 따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원가 및 유지관리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한 등록특허공보 제839569호와 등록특허공보 제983106호의 경우에는 양자 모두 휠체어 바퀴를 향한 구동제어가 단순히 온/오프 신호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휠체어 바퀴를 향한 고정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 부재하여 압착수단의 고정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0839569호 (2008.06.12.) KR 등록특허공보 제10-0983106호 (2010.09.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 내 전동휠체어 바퀴를 수용하되 휠체어 바퀴의 진입상태를 인식하여 구동하며 하나의 구동원으로부터 일괄적으로 로킹 구동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장치의 제조비용 및 유지관리비용을 최소화함은 물론 휠체어 바퀴의 고정성능을 높이고, 휠체어 바퀴에 대응하여 불안정한 상태에서의 장치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휠체어 바퀴를 향한 적정압력으로의 로킹 구동을 감지하여 구동제어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장치와 휠체어 바퀴의 상호 간에 장치의 구동안정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휠체어 바퀴를 향한 고정효율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는 차량의 바닥면에 부착하여 고정 설치되고, 일측에 휠체어의 바퀴가 진입가능하게 형성된 휠유입로를 구비하는 본체케이스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휠유입로 상에 휠체어 바퀴가 접촉가능하게 위치하되 전 후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휠유입로 내 휠체어 바퀴의 완전한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휠스위치부와; 상기 휠유입로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여 좌우 대칭된 구조로 위치하고, 상기 휠유입로 내 진입된 휠체어 바퀴의 양쪽 측면을 가압 고정하는 압착헤드부와; 상기 본체케이스 상에 설치되어 상기 압착헤드부에 연결된 구조를 이루며, 상기 휠스위치부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구동하되 상기 압착헤드부가 상기 휠유입로에 대응하여 전후로 직선이동가능하게 구동하는 로킹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구동부는 상기 압착헤드부를 전체적으로 감아 연결된 와이어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와이어부재를 당기거나 풀어줄 수 있게 구동하는 메인구동유닛과, 상기 메인구동유닛의 풀림 구동시 상기 압착헤드부를 초기 위치로 당겨 복원시키는 복원구동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휠스위치부는 상기 휠유입로의 전방에 설치되고 휠체어 바퀴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제1휠스위치부와, 상기 제1휠스위치부의 후방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압착헤드부로부터 고정가능한 위치까지 휠체어 바퀴가 진입하였음을 감지하는 제2휠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구동부는 상기 제1휠스위치부와 상기 제2휠스위치부가 모두 감지된 상태에서만 정상구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압착헤드부는 상기 휠유입로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로킹구동부 중 상기 와이어부재의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로킹구동부의 구동으로 직선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압착헤드부와, 상기 휠유입로를 기준으로 상기 제1압착헤드부의 반대편에 설치되고 상기 제1압착헤드부를 향해 연장된 상기 와이어부재가 감싸도록 경유하여 상기 제1압착헤드부와 함께 직선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압착헤드부를 구성한다.
상기 제1압착헤드부는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제1유동유닛과, 상기 제1유동유닛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휠유입로 내 진입된 휠체어 바퀴에 대응하여 가압가능하게 면 접촉하며 상측에 핀가이드공을 구비하는 제1압착플레이트와, 상기 제1유동유닛의 전방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압착플레이트의 핀가이드공에 대응하여 돌출가능하여 상기 휠유입로 내 진입된 휠체어 바퀴의 휠 부분을 고정하는 휠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압착헤드부에는 상기 제1유동유닛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부재를 지지가능한 제1가이드홈을 형성하되 상기 제1가이드홈 상에 상기 와이어부재가 걸림 상태로 안내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제1헤드풀리를 구비한다.
상기 압착헤드부에는 상기 제1압착헤드부 상에 장착되고 휠체어 바퀴를 향한 가압구동시 상기 제1압착플레이트의 밀림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로킹구동부에 구동정지를 위한 로킹감지신호를 전달하는 헤드감지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제2압착헤드부는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제2유동유닛과, 상기 제2유동유닛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휠유입로 내 진입된 휠체어 바퀴에 대응하여 가압가능하게 면 접촉하는 제2압착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유동유닛에는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부재를 지지가능한 제2가이드홈을 구비하되 상기 제2가이드홈 상에 상기 와이어부재가 걸림 상태로 안내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제2헤드풀리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구동유닛은 상기 와이어부재의 일단이 결합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부재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게 회전가능하되 상부에 기어부재를 구비하는 메인풀리와, 상기 메인풀리의 기어부재에 맞물려 회전력을 인가하는 메인구동모터를 형성한다.
상기 복원구동유닛은 상기 본체케이스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연결기어를 구비하며 일단에 가이드돌출편을 형성하는 복원지지풀리와, 상기 복원지지풀리의 가이드돌출편 상에 결합 설치되고 반대쪽 끝단이 상기 압착헤드부에 고정 결합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복원지지풀리에 대응하여 위치하되 상기 연결기어 상에 맞물려 회전복원력을 인가하는 복원스프링풀리를 구성한다.
상기 로킹구동부에는 상기 압착헤드부로부터 휠체어 바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상기 압착헤드부의 최대 이동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메인구동유닛을 구동정지시키는 로킹스위치부를 구성한다.
상기 로킹스위치부는 상기 본체케이스 상에 설치되되 일단이 상기 압착헤드부 상에 결합하여 상기 압착헤드부의 이동위치에 따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의 일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압착헤드부의 최대 이동위치에서 상기 링크부재를 접촉 감지하는 링크감지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로킹구동부에는 상기 압착헤드부의 초기 위치에 접촉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메인구동유닛의 풀림 구동에 따른 상기 압착헤드부의 복귀를 감지하여 상기 메인구동유닛을 구동 정지시키는 스톱감지수단을 구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본체케이스의 휠유입로 상에 위치하되 상기 휠스위치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압착헤드부로부터 가압가능한 로킹지점에 휠체어 바퀴가 위치할 수 있게 안내하는 휠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휠스토퍼는 상기 본체케이스 상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상에 일단이 축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휠고정부재와, 상기 휠고정부재의 축 상에 구비되되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휠고정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휠고정부재에 회전복원력을 인가하는 토션스프링을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에 의하면 전후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휠체어 바퀴의 완전한 진입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휠체어가 불안정하게 고정됨을 미연에 방지하면서 장치구동의 정확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휠체어 바퀴에 압력을 가해 면 접촉하여 압착 고정하면서 바퀴 휠 부분을 향해 돌출되어 걸림 접촉하도록 구성하므로, 차량의 전복 등 안전사고로부터 전동휠체어의 이탈을 방지하여 사용자에 대한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는 압착헤드에 대한 와이어의 당김 또는 풀림 구동에 따라 휠체어 바퀴의 로킹을 일괄적으로 구동제어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 생산비용을 절감하여 가격경쟁력을 확보하며, 휠체어 바퀴를 향한 압착구동시 양측에서의 동일한 힘이 균형을 도모하면서 휠체어 바퀴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의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는 풀림 구동시 압착헤드를 초기 위치로 빠르게 복원시킬 수 있게 구성하므로, 장치 구동의 신속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그에 따른 휠체어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는 휠체어 바퀴를 향한 가압구동시 적정가압상태인 로킹 여부를 감지하여 장치의 작동을 자동제어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장치의 구동에 따른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우수한 고정효율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는 휠체어 바퀴의 진입시 로킹 지점에 위치하도록 안내하므로, 장치의 작동오류를 방지함은 물론 휠체어 바퀴를 향한 고정성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휠스위치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메인구동유닛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복원구동유닛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로킹스위치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 휠스토퍼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은 차량의 바닥면에 부착하여 고정 설치되고, 일측에 휠체어의 바퀴가 진입가능하게 형성된 휠유입로를 구비하는 본체케이스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휠유입로 상에 휠체어 바퀴가 접촉가능하게 위치하되 전 후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휠유입로 내 휠체어 바퀴의 완전한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휠스위치부와; 상기 휠유입로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여 좌우 대칭된 구조로 위치하고, 상기 휠유입로 내 진입된 휠체어 바퀴의 양쪽 측면을 가압 고정하는 압착헤드부와; 상기 본체케이스 상에 설치되어 상기 압착헤드부에 연결된 구조를 이루며, 상기 휠스위치부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구동하되 상기 압착헤드부가 상기 휠유입로에 대응하여 전후로 직선이동가능하게 구동하는 로킹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구동부는 상기 압착헤드부를 전체적으로 감아 연결된 와이어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와이어부재를 당기거나 풀어줄 수 있게 구동하는 메인구동유닛과, 상기 메인구동유닛의 풀림 구동시 상기 압착헤드부를 초기 위치로 당겨 복원시키는 복원구동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100)와, 휠스위치부(200)와, 압착헤드부(300)와, 와이어부재(413)를 구비한 로킹구동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케이스(1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반적인 구성(예를 들면, 휠스위치부(200), 압착헤드부(300), 로킹구동부(400) 등)들을 장착 또는 수용할 수 있게 구성하고,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도록 형성한다. 즉 상기 본체케이스(100)에는 차량의 바닥면에 부착된 구조를 이루도록 다수의 볼트로 결합하여 고정 설치하되 상기 휠스위치부(200)가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110)와, 상기 압착헤드부(300) 및 상기 로킹구동부(400)를 내측에 미노출상태로 수용시킬 수 있는 내측 설비공간이 형성된 좌/우측 케이스(120)를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본체케이스(100)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에 휠체어의 바퀴(H)가 진입가능하게 형성된 휠유입로(150)를 구비한다.
상기 휠유입로(150)는 전후방으로 모두 개방된 구조를 이루므로, 다양한 유형 및 크기의 휠체어 바퀴(H)를 탄력적으로 수용할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 본체케이스(100)에는 휠체어가 진입되는 전방을 향하여 하향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유도케이스(125)를 구비하므로, 상기 휠유입로(150)를 향한 휠체어 바퀴(H)의 원활한 진입을 안내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휠스위치부(200)는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휠유입로(150) 내 바퀴(H)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휠유입로(150) 바닥면 상에 위치하여 상기 휠유입로(150)를 향해 진입하는 휠체어 바퀴(H)가 접촉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휠스위치부(2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휠유입로(150)의 바닥면 상에 위치하여 휠체어 바퀴(H)가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게 형성되되 눌림 작용 여부에 따라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가이드부재(210)와, 상기 가이드부재(210)의 한쪽 측단에 구비되고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조인트부재(220)와, 상기 조인트부재(220)에 대응하여 접촉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로킹구동부(400)에 신호를 전달가능하게 형성되는 스위치부재(230)로 구성한다. 즉 상기 휠스위치부(200)는 상기 휠유입로(150) 내 진입한 휠체어 바퀴(H)가 상기 가이드부재(210)에 누름 접촉하면 상기 가이드부재(210)의 측단에 연결된 상기 조인트부재(220)가 상기 스위치부재(230)에 접촉하여 휠체어 바퀴(H)의 진입 신호를 감지한다.
상기 휠스위치부(20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휠유입로(150) 내 휠체어 바퀴(H)의 완전한 진입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전후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구조로서, 제1휠스위치부(200a) 및 제2휠스위치부(200b)를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제1휠스위치부(200a)는 상기 휠유입로(150)의 전방에 설치되어 휠체어 바퀴(H)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2휠스위치부(200b)는 상기 제1휠스위치부(200a)를 기준으로 후방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휠체어 바퀴(H)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되 상기 압착헤드부(300)로부터 고정가능한 위치까지 휠체어 바퀴(H)가 진입하였음을 감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휠스위치부(200)는 상기 제1휠스위치부(200a) 및 상기 제2휠스위치부(200b)의 감지상태에 따라 상기 로킹구동부(400)가 정상적으로 구동될 수 있게 구성한다. 즉 상기 휠유입로(150) 내 진입한 휠체어 바퀴(H)로부터 상기 제1휠스위치부(200a) 및 상기 제2휠스위치부(200b)가 한번에 모두 눌려 감지된 상태에서만 상기 로킹구동부(400)가 정상구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휠스위치부(200)를 구성하게 되면, 전후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휠체어 바퀴(H)의 완전한 진입 여부를 감지하여 휠체어가 불안정하게 고정됨을 미연에 방지하면서 장치구동의 정확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압착헤드부(300)는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휠유입로(150) 내 진입된 휠체어 바퀴(H)의 양쪽 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압착헤드부(300)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휠유입로(150)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여 좌우 대칭된 구조로 위치하는 구성으로서, 제1압착헤드부(310) 및 제2압착헤드부(320)로 구성한다.
상기 제1압착헤드부(310)는 상기 휠유입로(150)의 일측(도 2 및 도 4에서 좌측)에 설치되고, 상기 로킹구동부(400)의 와이어부재(413) 일단이 고정 연결됨에 따라 상기 로킹구동부(400)의 구동으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압착헤드부(31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로킹구동부(400)의 구동으로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제1유동유닛(311)과, 휠체어 바퀴(H)에 면 압착가능하게 구비된 제1압착플레이트(313)와, 상기 제1압착플레이트(313)와 함께 휠체어 바퀴(H)를 고정하되 휠 부분을 고정하는 휠고정핀(315)을 구성한다.
상기 제1유동유닛(311)은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베이스플레이트(110) 상에 설치된 가이드레일(R)을 따라 직선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로킹구동부(400)로부터 전달되는 힘의 방향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직선이동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제1압착헤드부(310)에서 상기 제1유동유닛(311)에는 하부에 상기 로킹구동부(400)의 와이어부재(413)가 결합상태를 이루게 연결가능한 제1헤드풀리(317)를 구비토록 형성한다.
상기 제1헤드풀리(317)에는 상기 와이어부재(413)를 지지가능한 제1가이드홈(318)을 형성하되 상기 제1가이드홈(318) 상에 상기 와이어부재(413)가 걸림 상태로 안내될 수 있게 형성하므로, 상기 로킹구동부(400)의 구동에 따른 와이어부재(413)의 이탈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면서 상기 제1압착헤드부(310)의 원활한 작동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압착플레이트(313)는 소정의 두께 및 강성을 갖는 판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유동유닛(311)의 전방에 설치된다.
상기 제1압착플레이트(313)는 상기 제1유동유닛(311)의 이동으로 전후로 이동되되, 상기 휠유입로(150) 내 진입된 휠체어 바퀴(H)에 대응하여 가압가능하게 면 접촉하므로, 휠체어 바퀴(H)를 압착고정한다.
상기 제1압착플레이트(313)에는 휠체어 바퀴(H)와 접촉하는 한쪽 접촉면 상에 고탄성력 및 고마찰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밀착패드(도면에 미도시)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압착플레이트(313)에는 상측에 복수 개의 핀가이드공(314)을 구비토록 형성한다.
상기 핀가이드공(314)은 상기 휠고정핀(315)의 돌출가능한 공간을 확보하면서 상기 휠고정핀(315)의 직선방향을 향한 돌출 여부를 안내한다.
상기 휠고정핀(315)은 상기 제1유동유닛(311)의 전방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압착플레이트(313)의 핀가이드공(314)에 대응하여 돌출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상기 휠유입로(150) 내 진입된 휠체어 바퀴(H)의 휠 부분이 걸릴 수 있게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압착헤드부(310)에는 상기 제1유동유닛(311)과 상기 제1압착플레이트(313) 간에 서로 연결하는 가이드핀(319)을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휠유입로(150)를 향한 상기 제1유동유닛(311)의 이동으로 상기 제1압착플레이트(313)가 휠체어 바퀴(H) 상에 면 접촉하되 상기 제1유동유닛(311)이 계속해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핀(319)이 상기 제1유동유닛(311)의 내측으로 유입되는데, 이때 휠체어 바퀴(H)를 고정하기 위한 힘이 상기 제1압착플레이트(313)에 가중됨과 동시에 상기 휠고정핀(315)이 상기 핀가이드공(314)을 통과하여 휠체어 바퀴(H)를 향해 돌출된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유동유닛(311)의 내측에는 상기 휠고정핀(315) 및 상기 가이드핀(319)의 후방을 각각 지지하면서 개개의 위치복원력을 생성시킬 수 있는 압착스프링을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제2압착헤드부(320)는 상기 제1압착헤드부(310)와 더불어 휠체어 바퀴(H)에 고정 밀착력을 생성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휠유입로(150)를 기준으로 상기 제1압착헤드부(310)의 반대편에 설치된다.
상기 제2압착헤드부(320)는 상기 로킹구동부(400)에 의하여 상기 제1압착헤드부(310)와 함께 일괄적으로 작동하는 구조로서, 상기 제1압착헤드부(310)를 향해 연장하여 고정된 상기 와이어부재(413)가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경유하여 상기 제1압착헤드부(310)와 함께 상기 휠유입로(150)를 향해 직선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2압착헤드부(320)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로킹구동부(400)의 구동으로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제2유동유닛(321)과, 휠체어 바퀴(H)에 면 압착가능하게 구비된 제2압착플레이트(323)를 구성한다.
상기 제2유동유닛(321)에 있어서도 상기 제1유동유닛(311)과 마찬가지로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베이스플레이트(110) 상에 설치된 가이드레일(R)을 따라 직선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압착헤드부(320)에서 상기 제2유동유닛(321)에는 하부에 상기 로킹구동부(400)의 와이어부재(413)가 결합상태로 경유하게 연결되는 제2헤드풀리(327)를 구비토록 형성한다.
상기 제2헤드풀리(327)에는 상기 와이어부재(413)를 지지가능한 제2가이드홈(328)을 형성하되 상기 제2가이드홈(328) 상에 상기 와이어부재(413)가 걸림 상태로 안내될 수 있게 형성하므로, 상기 로킹구동부(400)의 구동에 따른 와이어부재(413)의 이탈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면서 상기 제2압착헤드부(320)의 원활한 작동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압착플레이트(323)는 상기 제2유동유닛(321)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휠유입로(150) 내 진입된 휠체어 바퀴(H)에 대응하여 가압가능하게 면 접촉하므로, 휠체어 바퀴(H)를 압착고정한다.
상기 제2압착플레이트(323)는 상기 제1압착플레이트(313)보다는 낮은 높이로 형성하여 바퀴부분만을 면 접촉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제2압착플레이트(323)에도 상기 제1압착플레이트(313)와 마찬가지로 고탄성력 및 고마찰력을 갖는 재질의 밀착패드(도면에 미도시)를 구비토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압착헤드부(300)에서는 상기 로킹구동부(400)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휠유입로(150) 내 위치한 휠체어 바퀴(H)를 가압 고정하되 상기 압착헤드부(300)로부터 휠체어 바퀴(H)에 가해지는 힘이 13kgf를 이루도록 설정제어한다. 즉 상기 로킹구동부(400)는 상기 압착헤드부(300)를 통하여 휠체어 바퀴(H)를 잡는 힘이 13kgf가 되면 로킹(locking)되었음을 감지하여 상기 로킹구동부(400)의 작동을 정지하게 된다.
상기 압착헤드부(300)에는 휠체어 바퀴(H)를 잡아 고정하는 힘에 따라 로킹 상태를 감지하는 헤드감지수단(330)을 구성한다.
상기 헤드감지수단(330)은 상기 제1압착헤드부(310) 상에 장착되고 휠체어 바퀴(H)를 향한 가압구동시 상기 제1압착플레이트(313)의 밀림 접촉 힘을 감지하여 설정된 힘(13kgf)이 감지되면 상기 로킹구동부(400)에 구동정지를 위한 로킹감지신호를 전달한다.
예를 들면, 상기 헤드감지수단(330)은 상기 제1압착헤드부(310)의 제1압착플레이트(313)를 밀어주는 스프링의 상수를 조절하여 13kgf보다 작은 힘에서는 상기 제1압착플레이트(313)가 밀리지 않으며, 13kgf이상의 힘이 가해짐에 따른 상기 제1압착플레이트(313)의 밀림을 감지하여 상기 헤드감지수단(330)이 작동하므로, 상기 로킹구동부(400)에 로킹감지신호를 인가하여 구동정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헤드감지수단(330)을 구성하게 되면, 휠체어 바퀴(H)를 향한 가압구동시 적정가압상태인 로킹 여부를 감지하여 장치의 작동을 자동제어하므로 장치의 구동에 따른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우수한 고정효율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로킹구동부(400)는 상기 휠스위치부(200)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압착헤드부(300)가 작동할 수 있게 제어하되 상기 압착헤드부(300)가 상기 휠유입로(150)에 대응하여 전후로 직선이동가능하게 구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로킹구동부(400)는 상기 본체케이스(10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부재(413)를 통해 상기 압착헤드부(300)에 연결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 로킹구동부(4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압착헤드부(300)에 연결된 와이어부재(413)를 당기거나 풀어줄 수 있게 구동하는 메인구동유닛(410)과, 상기 압착헤드부(300)의 위치복원을 위해 구동하는 복원구동유닛(420)을 구성한다.
상기 메인구동유닛(410)의 와이어부재(413)는 상기 압착헤드부(300) 중 상기 제1압착헤드부(310) 상에 일단이 연결되되, 상기 제2압착헤드부(320)의 제2헤드풀리(327) 및 상기 제1압착헤드부(310)의 제1헤드풀리(317)를 순차적으로 거쳐 상기 압착헤드부(300)를 전체적으로 감아 연결하므로, 상기 메인구동유닛(41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압착헤드부(310) 및 상기 제2압착헤드부(320)가 모두 일괄적으로 작동한다.
상기 메인구동유닛(41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부재(413)를 당기거나 풀어줄 수 있게 구동하는 구조로서, 상기 와이어부재(413)의 일단이 결합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부재(413)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게 회전가능하되 상부에 기어부재(412)를 구비하는 메인풀리(411)와, 상기 메인풀리(411)의 기어부재(412)에 맞물려 회전력을 인가하는 메인구동모터(415)를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메인구동유닛(410)과 상기 압착헤드부(300)의 사이에는 상기 본체케이스(100) 상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부재(413)의 원활한 이동을 안내할 수 있게 구비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풀리(418)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원구동유닛(420)은 상기 메인구동유닛(410)의 풀림 구동 즉 상기 와이어부재(413)를 풀어주도록 구동할 때 상기 와이어부재(413)가 풀린 만큼 상기 압착헤드부(300)를 초기 위치로 당겨 복원시킬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복원구동유닛(42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압착헤드부(310) 및 상기 제2압착헤드부(320)에 각각 대응하여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복원구동유닛(420)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케이스(100)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연결기어(423)를 구비하며 일단에 가이드돌출편(422)을 형성하는 복원지지풀리(421)와, 상기 복원지지풀리(421)의 가이드돌출편(422) 상에 결합 설치되고 반대쪽 끝단이 상기 압착헤드부(300)에 고정 결합하는 연결부재(425)와, 상기 복원지지풀리(421)에 대응하여 위치하되 상기 연결기어(423) 상에 맞물려 회전복원력을 인가하는 복원스프링풀리(427)를 구성한다.
상기 연결부재(425)는 상기 와이어부재(413)와 동일한 재질의 와이어를 적용하여 구성하거나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판스프링을 적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부재(425)는 상기 복원지지풀리(421)의 가이드돌출편(422)에 일단이 고정 결합하고, 상기 연결부재(425)의 반대쪽 끝단은 상기 압착헤드부(300)의 제1유동유닛(311) 또는 제2유동유닛(321) 상에 고정 결합하여 상호 연결관계를 조성토록 구성한다.
상기 복원스프링풀리(427)는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복원지지풀리(421)의 연결기어(423) 상에 맞물려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원기어부재(412)와, 상기 복원기어부재(412)의 하부 축 상에 구비되어 복원력을 생성시키는 복원스프링(428)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로킹구동부(400)에 복원구동유닛(420)을 구성하게 되면, 풀림 구동시 압착헤드부(300)를 초기 위치로 빠르게 복원시키므로 장치 구동의 신속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그에 따른 휠체어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로킹구동부(400)에는 상기 헤드감지수단(330)과 함께 상기 로킹구동부(400)의 메인구동유닛(410)을 자동으로 구동정지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로킹스위치부(430)를 구성한다.
상기 로킹스위치부(43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압착헤드부(300)로부터 휠체어 바퀴(H)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상기 압착헤드부(300)의 최대 이동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메인구동유닛(410)을 구동정지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서, 링크부재(431) 및 링크감지수단(433)을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링크부재(431)는 상기 본체케이스(100)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이 상기 압착헤드부(300) 중 상기 제1압착헤드부(310) 상에 결합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압착헤드부(310)의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431)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압착헤드부(310)에 연결결합되는 상기 링크부재(431)의 일단에는 장공(432)을 형성하여 상기 제1압착헤드부(310)의 직선이동에 따른 상기 링크부재(431)의 원활한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형성한다.
상기 링크감지수단(433)은 상기 본체케이스(100) 상에 설치된 상기 링크부재(431)의 일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즉 상기 링크감지수단(433)의 설치위치는 상기 압착헤드부(300)로부터 휠체어 바퀴(H)가 로킹될 수 있는 상기 제1압착헤드부(310)의 최대 이동위치를 이루며, 상기 링크감지수단(433)에 상기 링크부재(431)가 접촉 감지되는 경우 상기 압착헤드부(300)에 따른 로킹 상태가 이루어졌음을 판단가능하므로, 상기 로킹구동부(400)의 메인구동유닛(410)에 구동정지를 위한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또한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로킹구동부(400)에는 상기 압착헤드부(300)로부터 휠체어 바퀴(H)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시간 즉 상기 메인구동유닛(410)이 구동하여 상기 압착헤드부(300)로부터 로킹이 될 때까지의 시간을 회로를 통해 설정하는 로킹타임회로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로킹타임회로부에는 상기 메인구동유닛(410)의 구동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를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로킹스위치부(430) 및 로킹타임회로부를 구성하게 되면, 로킹구동부(400)의 작동을 자동제어하므로 헤드감지수단(330)의 오작동에 따른 작업의 오류를 방지하여 장치의 구동에 따른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우수한 고정효율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로킹구동부(400)에는 상기 메인구동유닛(410)의 와이어부재(413) 풀림 구동에 따른 상기 압착헤드부(300)의 복귀를 감지하여 상기 메인구동유닛(410)을 자동으로 구동 정지시키는 스톱감지수단(440)을 구성한다.
상기 스톱감지수단(440)은 상기 본체케이스(100) 상에 설치되되 상기 압착헤드부(300) 중 상기 제1압착헤드부(310)의 초기 구동대기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1압착헤드부(310)의 제1헤드풀리(317)가 접촉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제1압착헤드부(310)가 구동 전 초기 위치로 돌아가 상기 제1헤드풀리(317)가 상기 스톱감지수단(440)에 접촉하므로, 상기 압착헤드부(300)가 원위치로 복귀하였음을 감지하여 상기 메인구동유닛(41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간단히 살펴보면, 먼저 휠체어 바퀴(H)가 본체케이스(100)의 휠유입로(150) 내 진입하여 휠스위치부(200)가 눌리면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스위치(도면에 미도시)를 눌러 장치를 작동시킨다. 이때 로킹구동부(400)에 신호가 전달되면 메인구동유닛(410)의 메인구동모터(415)가 구동하면서 메인풀리(411)가 회전하며, 상기 메인풀리(411)에 연결된 와이어부재(413)의 한쪽 끝이 상기 메인풀리(411)에 감기게 되면서 상기 와이어부재(413)가 당겨져 압착헤드부(300)를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압착헤드부(300) 즉 상기 제1압착헤드부(310)와 상기 제2압착헤드부(320)가 휠체어 바퀴(H)를 향해 이동하여 가압 고정하게 되고, 상기 압착헤드부(300)로부터 휠체어 바퀴(H)를 잡는 힘이 13Kgf가 되면 헤드감지수단(330)이 작동하여 로킹 여부를 판단함에 따라 상기 로킹구동부(400)의 메인구동모터(415)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압착헤드부(300)를 통해 휠체어 바퀴(H)가 고정된 상태 즉 로킹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상기 압착헤드부(300)에 따른 로킹 상태를 해제할 때에는, 사용자가 조작스위치를 다시금 누르면 상기 로킹구동부(400)에 신호가 전달되어 상기 메인구동유닛(410)의 메인구동모터(415)가 반대방향으로 구동하면서 상기 메인풀리(411)를 반대로 회전시켜 상기 메인풀리(411)에 감겨있던 와이어부재(413)를 풀어주어 상기 압착헤드부(300)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로킹구동부(400) 중 복원구동유닛(420)이 상기 메인구동유닛(410)과 함께 작동하는데, 복원스프링풀리(427)에 연결된 복원지지풀리(421)가 회전하고, 상기 메인구동유닛(410)을 통해 와이어부재(413)가 풀린 만큼 상기 압착헤드부(300)를 초기 위치 방향으로 당겨주면서 상기 압착헤드부(300)에 따른 휠체어 바퀴(H)의 로킹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에 의하면 전후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휠체어 바퀴의 완전한 진입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휠체어가 불안정하게 고정됨을 미연에 방지하면서 장치구동의 정확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휠체어 바퀴에 압력을 가해 면 접촉하여 압착 고정하면서 바퀴 휠 부분을 향해 돌출되어 걸림 접촉하도록 구성하므로, 차량의 전복 등 안전사고로부터 전동휠체어의 이탈을 방지하여 사용자에 대한 인명피해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압착헤드에 대한 와이어의 당김 또는 풀림 구동에 따라 휠체어 바퀴의 로킹을 일괄적으로 구동제어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 생산비용을 절감하여 가격경쟁력을 확보하며, 휠체어 바퀴를 향한 압착구동시 양측에서의 동일한 힘이 균형을 도모하면서 휠체어 바퀴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의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휠유입로(150) 상에 위치하되 상기 휠스위치부(200)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압착헤드부(300)로부터 가압가능한 로킹지점에 휠체어 바퀴(H)가 위치할 수 있게 안내하는 휠스토퍼(5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휠스토퍼(500)는 상기 휠유입로(150) 상에 휠체어 바퀴(H)의 진입방향 전후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즉 상기 휠스토퍼(500)는 상기 제1휠스위치부(200a) 및 상기 제2휠스위치부(200b)의 일측에 각각 대응하여 구비되고, 서로 대칭된 구조로 설치되게 구성한다.
상기 휠스토퍼(500)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베이스플레이트(110) 상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부재(510)와, 상기 지지부재(510) 상에 일단이 축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휠고정부재(520)와, 상기 휠고정부재(520)의 축 상에 구비되되 상기 지지부재(510) 및 상기 휠고정부재(520)에 연결되어 상기 휠고정부재(520)에 회전복원력을 인가하는 토션스프링(530)을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지지부재(510)의 일측에는 휠체어 바퀴(H)의 원활한 이동성을 도모할 수 있게 외측으로 볼록한 만곡형태의 곡면을 갖는 만곡면(515)을 형성한다.
상기 휠고정부재(520)는 일단이 상기 지지부재(510) 상에 축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90°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 휠고정부재(520)는 상기 토션스프링(530)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재(510)를 기준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상측을 향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며, 휠체어 바퀴(H)의 진입에 따른 접촉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휠고정부재(520)는 상기 지지부재(510) 상에 일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휠고정부재(520)는 상기 만곡면(515)이 형성된 상기 지지부재(510)의 반대편으로만 회전가능하여 상기 만곡면(515)을 따라 진입하는 휠체어 바퀴(H)와의 접촉에 따른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만 회전하고, 상기 지지부재(510)의 만곡면(515) 반대쪽에서 힘이 가해지는 경우 휠체어 바퀴(H)의 이동을 정지토록 접촉지지하여 스토퍼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에서 휠고정부재(520)는 휠체어 바퀴(H)의 진입으로 휠체어 바퀴(H)와의 접촉에 따른 힘이 가해짐에 따라 회전하되 휠체어 바퀴(H)가 진입방향으로 다시 나가게 되면 상기 토션스프링(530)에 따른 회전복원력이 작용하여 위치복원되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상기한 다른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는 것에 의하면, 휠체어 바퀴의 진입시 로킹 지점에 위치하도록 스토퍼기능을 수행하므로, 장치의 작동오류를 방지함은 물론 휠체어 바퀴를 향한 고정성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등록청구범위와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 본체케이스 110 : 베이스플레이트
120 : 케이스 150 : 휠유입로 200 : 휠스위치부
200a : 제1휠스위치부 200b : 제2휠스위치부 210 : 가이드부재
220 : 조인트부재 230 : 스위치부재 300 : 압착헤드부
310 : 제1압착헤드부 311 : 제1유동유닛 313 : 제1압착플레이트
314 : 핀가이드공 315 : 휠고정핀 317 : 제1헤드풀리
318 : 제1가이드홈 320 : 제2압착헤드부 321 : 제2유동유닛
323 : 제2압착플레이트 327 : 제2헤드풀리 328 : 제2가이드홈
330 : 헤드감지수단 400 : 로킹구동부 410 : 메인구동유닛
411 : 메인풀리 412 : 기어부재 413 : 와이어부재
415 : 메인구동모터 418 : 가이드풀리 420 : 복원구동유닛
421 : 복원지지풀리 422 : 가이드돌출편 423 : 연결기어
425 : 연결부재 427 : 복원스프링풀리 427 : 복원스프링
430 : 로킹스위치부 431 : 링크부재 433 : 링크감지수단
440 : 스톱감지수단 500 : 휠스토퍼 510 : 지지부재
520 : 휠고정부재 530 : 토션스프링 H : 휠체어 바퀴

Claims (13)

  1. 차량의 바닥면에 부착하여 고정 설치되고, 일측에 휠체어의 바퀴가 진입가능하게 형성된 휠유입로를 구비하는 본체케이스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휠유입로 상에 휠체어 바퀴가 접촉가능하게 위치하되 전 후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휠유입로 내 휠체어 바퀴의 완전한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휠스위치부와; 상기 휠유입로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여 좌우 대칭된 구조로 위치하고, 상기 휠유입로 내 진입된 휠체어 바퀴의 양쪽 측면을 가압 고정하는 압착헤드부와; 상기 본체케이스 상에 설치되어 상기 압착헤드부에 연결된 구조를 이루며, 상기 휠스위치부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구동하되 상기 압착헤드부가 상기 휠유입로에 대응하여 전후로 직선이동가능하게 구동하는 로킹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착헤드부는 상기 휠유입로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로킹구동부 중 와이어부재의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로킹구동부의 구동으로 직선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압착헤드부와, 상기 휠유입로를 기준으로 상기 제1압착헤드부의 반대편에 설치되고 상기 제1압착헤드부를 향해 연장된 상기 와이어부재가 감싸도록 경유하여 상기 제1압착헤드부와 함께 직선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압착헤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구동부는 상기 압착헤드부를 전체적으로 감아 연결된 와이어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와이어부재를 당기거나 풀어줄 수 있게 구동하는 메인구동유닛과, 상기 메인구동유닛의 풀림 구동시 상기 압착헤드부를 초기 위치로 당겨 복원시키는 복원구동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휠스위치부는, 상기 휠유입로의 전방에 설치되고 휠체어 바퀴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제1휠스위치부와, 상기 제1휠스위치부의 후방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압착헤드부로부터 고정가능한 위치까지 휠체어 바퀴가 진입하였음을 감지하는 제2휠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구동부는 상기 제1휠스위치부와 상기 제2휠스위치부가 모두 감지된 상태에서만 정상구동하도록 이루어지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압착헤드부는,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제1유동유닛과, 상기 제1유동유닛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휠유입로 내 진입된 휠체어 바퀴에 대응하여 가압가능하게 면 접촉하며 상측에 핀가이드공을 구비하는 제1압착플레이트와, 상기 제1유동유닛의 전방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압착플레이트의 핀가이드공에 대응하여 돌출가능하여 상기 휠유입로 내 진입된 휠체어 바퀴의 휠 부분을 고정하는 휠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압착헤드부에는 상기 제1유동유닛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부재를 지지가능한 제1가이드홈을 형성하되 상기 제1가이드홈 상에 상기 와이어부재가 걸림 상태로 안내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제1헤드풀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압착헤드부에는 상기 제1압착헤드부 상에 장착되고 휠체어 바퀴를 향한 가압구동시 상기 제1압착플레이트의 밀림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로킹구동부에 구동정지를 위한 로킹감지신호를 전달하는 헤드감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압착헤드부는,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제2유동유닛과, 상기 제2유동유닛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휠유입로 내 진입된 휠체어 바퀴에 대응하여 가압가능하게 면 접촉하는 제2압착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유동유닛에는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부재를 지지가능한 제2가이드홈을 구비하되 상기 제2가이드홈 상에 상기 와이어부재가 걸림 상태로 안내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제2헤드풀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구동유닛은, 상기 와이어부재의 일단이 결합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부재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게 회전가능하되 상부에 기어부재를 구비하는 메인풀리와, 상기 메인풀리의 기어부재에 맞물려 회전력을 인가하는 메인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원구동유닛은, 상기 본체케이스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연결기어를 구비하며 일단에 가이드돌출편을 형성하는 복원지지풀리와, 상기 복원지지풀리의 가이드돌출편 상에 결합 설치되고 반대쪽 끝단이 상기 압착헤드부에 고정 결합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복원지지풀리에 대응하여 위치하되 상기 연결기어 상에 맞물려 회전복원력을 인가하는 복원스프링풀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킹구동부에는 상기 압착헤드부로부터 휠체어 바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상기 압착헤드부의 최대 이동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메인구동유닛을 구동정지시키는 로킹스위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로킹스위치부는, 상기 본체케이스 상에 설치되되 일단이 상기 압착헤드부 상에 결합하여 상기 압착헤드부의 이동위치에 따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의 일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압착헤드부의 최대 이동위치에서 상기 링크부재를 접촉 감지하는 링크감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킹구동부에는 상기 압착헤드부의 초기 위치에 접촉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메인구동유닛의 풀림 구동에 따른 상기 압착헤드부의 복귀를 감지하여 상기 메인구동유닛을 구동 정지시키는 스톱감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12.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의 휠유입로 상에 위치하되 상기 휠스위치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압착헤드부로부터 가압가능한 로킹지점에 휠체어 바퀴가 위치할 수 있게 안내하는 휠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휠스토퍼는, 상기 본체케이스 상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상에 일단이 축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휠고정부재와, 상기 휠고정부재의 축 상에 구비되되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휠고정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휠고정부재에 회전복원력을 인가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KR1020170015548A 2017-02-03 2017-02-03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KR101909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548A KR101909116B1 (ko) 2017-02-03 2017-02-03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548A KR101909116B1 (ko) 2017-02-03 2017-02-03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556A KR20180090556A (ko) 2018-08-13
KR101909116B1 true KR101909116B1 (ko) 2018-12-10

Family

ID=63250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548A KR101909116B1 (ko) 2017-02-03 2017-02-03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91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209A (ko) 2019-08-27 2021-03-09 세풍이엔피공업 주식회사 휠체어 후방에 부착고정되는 휠체어고정횡바 및 이를 이용한 이동차량 휠체어고정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75977B2 (en) 2019-02-15 2022-07-05 Samsung Medison Co., Ltd. Ultrasound diagnost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DE102019205419A1 (de) * 2019-04-15 2020-10-1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und Anordnung zum Sichern eines Transportgu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1929B2 (ja) * 1995-02-23 2003-03-31 株式会社オーテックジャパン 移動体用車椅子固定装置
KR101554845B1 (ko) * 2015-06-09 2015-09-21 박성권 차량용 휠체어 충격흡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569B1 (ko) 2008-01-09 2008-06-19 (주)세퍼스 이동수단에 구비된 링크식 휠체어 고정장치
KR100983106B1 (ko) 2008-03-13 2010-09-20 (주)세퍼스 시스템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1929B2 (ja) * 1995-02-23 2003-03-31 株式会社オーテックジャパン 移動体用車椅子固定装置
KR101554845B1 (ko) * 2015-06-09 2015-09-21 박성권 차량용 휠체어 충격흡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209A (ko) 2019-08-27 2021-03-09 세풍이엔피공업 주식회사 휠체어 후방에 부착고정되는 휠체어고정횡바 및 이를 이용한 이동차량 휠체어고정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556A (ko) 2018-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116B1 (ko)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KR100918674B1 (ko) 지하철 승강장의 안전발판
KR101408162B1 (ko) 전자동 유모차
JP5059606B2 (ja) 移動体駆動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自動引き出し装置
US20150314720A1 (en) Device and method for securing a mobility device in a vehicle
KR20150063274A (ko) 고령자를 위한 낙상감지 센서 내장형 좌변기용 안전 손잡이
KR101177680B1 (ko) 안전성이 강화된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
JP2001328529A (ja) プラットホーム用ステップ装置
CN210631416U (zh) 一种多功能轮椅床
JP4107665B2 (ja) 歩行訓練装置
JP2006328636A (ja) 扉の自動閉鎖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自動ドア装置
JP3937115B2 (ja) 防火シャッターの安全装置
KR100983106B1 (ko)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
KR102216343B1 (ko) 노출각도 조절이 가능한 아이소픽스 장치
JP3420442B2 (ja) 車椅子用固定装置
JP2001191823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CN108150031B (zh) 一种门定位系统
JP4460562B2 (ja) 階段昇降機のシートロック装置
US20230234619A1 (en) Safe foothold apparatus for platform
JP4030476B2 (ja) 戸閉り安全装置
JPH09170389A (ja) シャッターの障害物感知装置
KR200285689Y1 (ko) 전동차용 승강장 안전장치
JPH11151277A (ja) 自立歩行支援機
KR20080009774A (ko)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의 휠 고정장치
JP2003253958A (ja) 開戸の自動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