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4845B1 - 차량용 휠체어 충격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휠체어 충격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4845B1
KR101554845B1 KR1020150081396A KR20150081396A KR101554845B1 KR 101554845 B1 KR101554845 B1 KR 101554845B1 KR 1020150081396 A KR1020150081396 A KR 1020150081396A KR 20150081396 A KR20150081396 A KR 20150081396A KR 101554845 B1 KR101554845 B1 KR 101554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rail
wheel
wheelchair
wheelchai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권
Original Assignee
박성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권 filed Critical 박성권
Priority to KR1020150081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48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or stretchers
    • A61G3/08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탑재된 휠체어의 바퀴와 차체 바닥 사이에 설치된다. 이 충격흡수장치는 차량의 바닥에 고정되고, 휠체어바퀴의 일부위가 끼워지는 골을 구비하는 고정레일;과 골의 바닥에 고정된 탄성부재와, 탄성부재의 상부에 고정되어 휠체어바퀴가 얹혀지는 받침대를 구비하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완충부는 골에 수용되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휠체어 충격흡수장치{Shock absorbing device for wheel chair of vehicle}
본 발명은 휠체어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차량에 탑재되어 요동하는 휠체어를 안정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휠체어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움직임이 불편하여 휠체어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경우 장거리 이동시 자동차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때 휠체어 이용자는 휠체어가 함께 자동차에 탑승한 상태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미 일정 공간에 휠체어를 탑재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이 공간에 휠체어(10)를 탑재하게 된다. 이때, 차량에 탑재된 휠체어(10)는 휠체어(10)의 바퀴 또는 바디(body)를 벨트(belt)로 감거나 다른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었다.
그러나, 휠체어(10)가 차량에 탑재된 상태에서 차량이 이동하는 경우, 차량의 진동이 고스란히 휠체어(10)에 전달되고, 이 진동에 의해 휠체어(10)가 착석한 이용자의 승차감이 현저히 낮아지기 때문에 휠체어(10)에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9349호(2014.06.20. 공고)
상기된 요구를 감안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바닥에 충격흡수장치를 설치하고, 이 충격흡수장치에 휠체어가 얹혀지도록 함으로써, 차량 이동시 휠체어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휠체어에 착석한 이용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하도록 한 차량용 휠체어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충격흡수장치는, 차량의 바닥에 고정되고, 휠체어바퀴의 일부위가 끼워지는 골을 구비하는 고정레일;과 골의 바닥에 고정된 탄성부재와, 탄성부재의 상부에 고정되어 휠체어바퀴가 얹혀지는 받침대를 구비하고, 골에 수용되도록 설치된는 완충부;를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고정레일의 전부측 부위가 상향 굴곡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레일의 후부에 후미가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휠체어바퀴의 일부위가 끼워지는 골을 구비한 회전레일;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회전레일이 고정레일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레일과 고정레일의 중첩된 부위이면서 회전축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 고정레일과 회전레일을 관통시켜 장착되는 고정핀;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받침대의 전부와 후부 근처에 위치하여 받침대의 전/후 방향으로의 흔들림을 제한하도록 설치된 고정부재를 더 구비하고, 고정부재는 판형상이고, 휠체어바퀴가 관통하여 위치하도록 일면의 일부위에 가공된 제1바퀴통과홀과, 제1바퀴통과홀을 제외한 부위의 제1방지턱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충격흡수장치는, 차량의 바닥에 고정되고,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이면서 전/후 양측면 일부에 휠체어바퀴가 관통하여 위치하도록 가공된 제2바퀴통과홀과, 제2바퀴통과홀을 제외한 부위의 제2방지턱을 구비한 고정몸체;와 고정몸체의 바닥에 고정된 탄성부재와, 탄성부재의 상부에 고정되어 휠체어바퀴가 얹혀지는 받침대를 구비하고, 고정몸체에 수용된 완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고정몸체의 전부에는 전방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과, 휠체어바퀴가 끼워지도록 경사면에 구비된 수용홈을 구비한 제1수용몸체를 더 구비하고, 제1수용몸체가 별도 제작되어 고정몸체에 장착되거나 고정몸체와 일체로 제작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몸체의 후부에 착탈되고, 후방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과, 휠체어바퀴가 끼워지도록 경사면에 구비된 수용홈을 구비한 제2수용몸체;와 제2수용몸체 하부와 고정몸체 하부의 일부 중첩된 부위를 관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핀;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받침대는 얹혀진 휠체어바퀴의 일부위를 수용하는 수용홀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된 탄성부재는 스프링, 고무와, 공기를 수용한 탄성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에 탑재된 휠체어의 바퀴에 충격흡수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차량 이동시 휠체어에 전달되는 진동을 충격흡수장치가 흡수하게 되고, 휠체어에 착석한 이용자의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차량에 휠체어가 탑재된 상태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충격흡수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받침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충격흡수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고정부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충격흡수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9은 도 7에 도시된 층격흡수장치의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충격흡수장치는 휠체어바퀴(20)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일측부위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 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충격흡수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받침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충격흡수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고정부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충격흡수장치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레일(100), 완충부(110), 회전레일(120)과 고정핀(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고정레일(100)과 회전레일(120)은 휠체어바퀴(2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형상으로 제작된다. 좀 더 자세하게는, 고정레일(100)과 회전레일(120)의 단면은 도 2에서와 같이 대략 "U"자 형상이면서 양측 단부가 외향 굴곡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전/후 방향은 휠체어바퀴(20)의 전/후진 방향으로 하고, 정면은 전방에서 후방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하며, 기타 방향은 전/후 방향 및 정면을 기준으로 설정한다.
고정레일(100)은 차량 바닥에 고정되고, 완충부(110)가 설치되며, 휠체어바퀴(20)가 완충부(110)에 얹혀지도록 안내하는 골(101)을 구비한다. 고정레일(100)의 형상을 자세히 설명하면, 도 2에서 보듯이, 정면에서 보면 전/후/상면이 개방되고, 차량의 바닥에 볼팅 체결, 나사 체결, 본딩 용접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면이 평평하며, 하면과 양측면 사이로 휠체어바퀴(20)가 지나가는 골(101)을 구비한다. 또한, 고정레일(100)은 골(101)을 지나가는 휠체어바퀴(20)의 전진을 제한하도록 전부측 일부위가 상향 굴곡될 수 있다. 또, 고정레일(100)에서 차량 바닥에 고정되는 부위에 마련된 골(101)에는 도 3과 도 5에서와 같이 완충부(110)가 설치된다.
완충부(110)는 받침대(111), 탄성부재와 고정부재(112)로 이루어진다. 자세히 설명하면, 고정레일(100)의 골(101) 일부위에 탄성부재가 고정되고, 이 탄성부재의 상부에 받침대(111)가 얹혀져 고정된다.
여기서, 받침대(111)는 도 4에서 보듯이 휠체어바퀴(20)가 얹혀지면서 골(101)에 수용될 수 있는 정도의 폭과 길이를 가지는 평평한 판자 형태로 제작된다. 이 받침대(111)는 휠체어바퀴(20)가 얹혀진 상태에서 보다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휠체어바퀴(20)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수용홀(11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수용홀(113)의 전/후부위 저면은 휠체어바퀴(20)의 곡률에 맞게 경사지게 가공될 수도 있다.
또한, 탄성부재는 휠체어바퀴(20)의 상/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부재로, 일례로 스프링(114)일 수 있고, 이외에 고무이거나 공기가 수용된 탄성체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스프링(114)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스프링(114)은 받침대(111)가 수용홀(113)을 구비한 경우 양측에 설치하고, 수용홀(113)이 배제된 경우 중앙에도 더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대(111)에 휠체어바퀴(20)가 얹혀진 상태에서 이동하는 차량의 진동이 전달되면 받침대(111) 역시 흔들리게 되고, 이때 받침대(111)의 양측방향으로의 움직임은 고정레일(100)의 양측벽이 제한하게 되므로, 전/후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고정부재(112)가 설치된다. 이 고정부재(112)는 도 5에서와 같이, 골(101)에 설치되면서 받침대(111)의 전/후측 단부와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고정부재(112)는 도 6에서와 같이 판(板)형상이면서 휠체어바퀴(20)가 관통하여 위치할 수 있도록 일부위에 가공된 제1바퀴통과홀(112b)과, 이 제1바퀴통과홀(112b)을 가공하면서 마련된 제1방지턱(112a)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방지턱(112a)이 받침대(111)의 전/후 움직임을 방지하게 된다.
회전레일(120)은 고정레일(100)의 후부에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고정레일(100)의 상향 굴곡진 전부와 더불어 받침대(111)에 진입한 휠체어바퀴(20)의 전/후측 일부위를 파지함으로써 휠체어바퀴(20)가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부재이다. 이 회전레일(120)은 휠체어바퀴(20)의 일부위가 끼워질 수 있도록 고정레일(100)의 골(101)을 구비하도록 제작된다. 따라서, 회전레일(120)은 골(101)만 구비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고정레일(100)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 회전레일(120)은 고정레일(100)에 회전축(102)을 중심으로 축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향 또는 하향 회전된 상태에서 회전레일(120)과 고정레일(100)의 겹쳐진 부위를 관통하는 고정핀(13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고정핀(130)은 고정레일(100)과 회전레일(120)이 겹쳐진 부위에 대해 양측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고정핀(130)은 고정레일(100)에 회전축(102)를 중심으로 축회전하도록 회전레일(120)이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축(102)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부위에서 고정레일(100)과 회전레일(120)을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레일(100)에 대해 회전레일(120)이 회전한 상태에서 고정핀(130)이 고정레일(100)과 회전레일(120)의 양측부를 관통함으로써, 회전레일(120)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다. 또는 고정핀(130)이 고정레일(100)의 양측부만 관통하고, 고정핀(130)에 회전레일(120)이 얹혀져 회전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에 따르면, 휠체어바퀴(20)가 전진하여 고정레일(100)의 전방측 부위의 골(101)에 끼워지면 완충부(110)의 받침대(111)에 얹혀지게 되어 차량으로부터 휠체어에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부(110)가 흡수하게 되고, 고정레일(100)의 전부측 부위와 회전레일(120)에 의해 휠체어바퀴(20)의 이동을 방지하게 된다.
<제2실시 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충격흡수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9은 도 7에 도시된 층격흡수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충격흡수장치는 고정몸체(200), 제1수용몸체(210), 제2수용몸체(220), 완충부(110)와 고정핀(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실시 예에 대비하여 보면 고정레일(100)과 회전레일(120) 대신 대략 박스 형태의 고정몸체(200), 제1,2수용몸체(210,220)가 구비되고, 고정몸체(200)로 대체되면서 완충부(110)의 고정부재(112)가 배제되는 정도의 차이가 있다. 그리고, 완충부(110)와 고정핀(130)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상술된 바를 토대로 하고, 필요시 간략히 언급하기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완충부(110)와 고정핀(130)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제1실시 예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요소로 한다.
고정몸체(200)는 도 7과 도 8에서 보듯이, 내부 바닥면에 설치된 탄성부재와, 탄성부재의 상부에 장착된 받침대(111)를 수용하고, 하부가 볼팅 체결, 나사 체결, 본딩 용접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견고히 차량 바닥에 고정된다. 여기서, 탄성부재는 스프링(114)을 일례로 하여 설명한다. 이 고정몸체(200)의 형상을 자세히 설명하면 도 7에서와 같이, 대략 박스 형상이면서 상면이 개방되고, 전/후면의 일부위에 휠체어바퀴(20)가 관통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제2바퀴통과홀(201)을 구비하며, 제2바퀴통과홀(201)이 가공되면서 전/후면의 양측부에 제2방지턱(202)이 마련되도록 제작된다. 따라서, 받침대(111)의 양측 방향의 움직임은 고정몸체(200)의 양측면에 의해 제한되고, 전/후 방향의 움직임은 제2방지턱(202)에 의해 제한된다.
제1수용몸체(210)는 도 7과 도 9에서와 같이 고정몸체(200)의 전부에 마련된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1수용몸체(210)는 하부가 고정몸체(200)에 연결되고, 측면상 앞부분이 높은 대략 삼각형상이이다. 이 제1수용몸체(210)의 상부가 제2방지턱(202)과 이격되면서 경사면(211)을 구비하고, 경사면(211)에 제2바퀴통과홀(201)을 통과한 상태로 배치된 휠체어바퀴(20)의 일부위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212)이 가공된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제1수용몸체(210)는 별도 제작되어 고정몸체(200)에 장착될 수도 있고, 고정몸체(200)에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수용몸체(210)는 고정몸체(200)에 얹혀진 휠체어바퀴(20)의 전진을 제한할 수 있다.
제2수용몸체(220)는 도 7과 도 9에서와 같이 제1수용몸체(210)와 동일하거나 유사하하면서 대칭 배치되고, 뒷부분의 높이가 높은 대략 삼각형상이면서 경사면(211)과 수용홈(212)을 구비한 형태로 제작되고, 고정몸체(200)에 착탈 가능하도록 별도 제작된다. 이때, 제2수용몸체(220)의 하부가 고정몸체(200)의 하부에 중첩된 상태에서 고정핀(130)이 관통하여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제2수용몸체(220)가 제거된 상태에서 휠체어바퀴(20)가 전진하여 제1수용몸체(210)의 수용홈(212)에 끼워지면, 고정몸체(200)의 제2바퀴통과홀(201)을 통과한 상태가 되면서 자연히 완충부(110)의 받침대(111) 위에 얹혀지게 된다. 이후, 제2수용몸체(220)를 고정핀(130)으로 고정몸체(200)에 장착한다. 이때, 제2수용몸체(220)의 수용홈(212)에 휠체어바퀴(20)의 일부위가 끼워진다.
상술된 바에 따르면, 휠체어바퀴(20)가 전진하여 제1수용몸체(210)까지 이동하게 되면 완충부(110)에 얹혀지게 되어 차량에서 휠체어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부(110)가 흡수하게 되고, 제1수용몸체(210)와 제2수용몸체(220)에 의해 휠체어바퀴(20)의 이동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고정레일 101:골
110:완충부 111:받침대
112:고정부재 112a:제1방지턱
112b:제1바퀴통과홀 113:수용홀
114:스프링 120:회전레일
130:고정핀 200:고정몸체
201:제2바퀴통과홀 202:제2방지턱
210:제1수용몸체 211:경사면
212:수용홈 220:제2수용몸체.

Claims (10)

  1. 차량의 바닥에 고정되고, 휠체어바퀴(20)의 일부위가 끼워지는 골(101)을 구비하는 고정레일(100);
    상기 골(101)의 바닥에 고정된 탄성부재와, 탄성부재의 상부에 고정되어 휠체어바퀴(20)가 얹혀지는 받침대(111)를 구비하고, 골(101)에 수용되도록 설치된 완충부(110);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111)의 전부와 후부 근처에 위치하여 받침대(111)의 전/후 방향으로의 흔들림을 제한하도록 설치된 고정부재(112)를 더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재(112)는 판형상이고, 휠체어바퀴(20)가 관통하여 위치하도록 일면의 일부위에 가공된 제1바퀴통과홀(112b)과, 제1바퀴통과홀(112b)을 제외한 부위의 제1방지턱(112a)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휠체어 충격흡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일(100)의 전부측 부위가 상향 굴곡되어 이루어진 차량용 휠체어 충격흡수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일(100)의 후부에 후미가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휠체어바퀴(20)의 일부위가 끼워지는 골(101)을 구비한 회전레일(120);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휠체어 충격흡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레일(120)이 고정레일(100)에 회전축(102)을 중심으로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레일(120)과 고정레일(100)의 중첩된 부위이면서 회전축(102)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 상기 고정레일(100)과 회전레일(120)을 관통시켜 장착되는 고정핀(130);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휠체어 충격흡수장치.
  5. 삭제
  6. 차량의 바닥에 고정되고,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이면서 전/후 양측면 일부에 휠체어바퀴(20)가 관통하여 위치하도록 가공된 제2바퀴통과홀(201)과, 제2바퀴통과홀(201)을 제외한 부위의 제2방지턱(202)을 구비한 고정몸체(200);
    상기 고정몸체(200)의 바닥에 고정된 탄성부재와, 탄성부재의 상부에 고정되어 휠체어바퀴(20)가 얹혀지는 받침대(111)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몸체(200)에 수용된 완충부(110)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111)는 얹혀진 휠체어바퀴(20)의 일부위를 수용하는 수용홀(113)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휠체어 충격흡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200)의 전부에는 전방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211)과, 휠체어바퀴(20)가 끼워지도록 경사면(211)에 구비된 수용홈(212)을 구비한 제1수용몸체(210)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수용몸체(210)가 별도 제작되어 고정몸체(200)에 장착되거나 고정몸체(200)와 일체로 제작되어 이루어진 차량용 휠체어 충격흡수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200)의 후부에 착탈되고, 후방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211)과, 휠체어바퀴(20)가 끼워지도록 경사면(211)에 구비된 수용홈(212)을 구비한 제2수용몸체(220);와 상기 제2수용몸체(220) 하부와 고정몸체(200) 하부의 일부 중첩된 부위를 관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핀(130);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휠체어 충격흡수장치.
  9. 삭제
  10.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114), 고무와, 공기를 수용한 탄성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차량용 휠체어 충격흡수장치.
KR1020150081396A 2015-06-09 2015-06-09 차량용 휠체어 충격흡수장치 KR101554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396A KR101554845B1 (ko) 2015-06-09 2015-06-09 차량용 휠체어 충격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396A KR101554845B1 (ko) 2015-06-09 2015-06-09 차량용 휠체어 충격흡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4845B1 true KR101554845B1 (ko) 2015-09-21

Family

ID=54248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396A KR101554845B1 (ko) 2015-06-09 2015-06-09 차량용 휠체어 충격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48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116B1 (ko) * 2017-02-03 2018-12-10 세풍이엔피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KR101963704B1 (ko) * 2017-10-31 2019-07-31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 설치용 휠체어 고정장치
KR102642957B1 (ko) * 2023-12-06 2024-03-05 (주)엘더스티앤엘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802B1 (ko) 2001-12-18 2004-07-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휠 체어 고정장치
CN102379782A (zh) * 2011-08-19 2012-03-21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将轮椅固定在车辆上的轮椅固定系统
JP5083410B2 (ja) * 2008-09-25 2012-11-28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椅子用リフ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802B1 (ko) 2001-12-18 2004-07-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휠 체어 고정장치
JP5083410B2 (ja) * 2008-09-25 2012-11-28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椅子用リフタ
CN102379782A (zh) * 2011-08-19 2012-03-21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将轮椅固定在车辆上的轮椅固定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116B1 (ko) * 2017-02-03 2018-12-10 세풍이엔피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KR101963704B1 (ko) * 2017-10-31 2019-07-31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 설치용 휠체어 고정장치
KR102642957B1 (ko) * 2023-12-06 2024-03-05 (주)엘더스티앤엘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91480B2 (ja) 子供用自動車座席のためのエネルギーおよび衝撃吸収装置
KR101554845B1 (ko) 차량용 휠체어 충격흡수장치
ES2615859T3 (es) Asiento de seguridad para niños con aparato de absorción de energía
US8651570B2 (en) Protective headrest
CN102398535A (zh) 用于车辆的座椅滑动装置
ES2935481T3 (es) Mesa para medios de transporte
RU268739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детском удерживающем кресле
CN107249929B (zh) 带有减振装置的婴幼儿座椅
JP6309104B2 (ja) 乗り物用シート、乗り物用シート部材及び乗り物
CN204210340U (zh) 汽车座椅及汽车
KR101888304B1 (ko) 다방향 완충장치가 구비된 유아용 카시트
JP6373093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の衝撃吸収構造
JP2006035965A (ja) 車両用シート構造
JP6053657B2 (ja) 車両用シートの頚支持装置
KR20200141779A (ko) 모듈 서스펜션이 구비된 하이브리드 카시트
KR20140061193A (ko) 차량시트의 완충장치
KR200420215Y1 (ko) 충격 흡수 기능을 갖는 헤드레스트
JP2008230557A (ja) シート座部及び車両用シート
JP2021023738A (ja) 車椅子搭載車両
KR101549787B1 (ko) 충격 완충장치가 구비된 자전거 안장
KR101884564B1 (ko) 완충장치가 구비된 카시트 테이블
KR102421680B1 (ko) 차량용 암레스트
RU2018145219A (ru) Детское автокресло безопасности с ременным поворотным соединением
KR101572375B1 (ko) 유아용 카시트
KR101315668B1 (ko) 자동차용 아이패드 수납용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