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2957B1 -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2957B1
KR102642957B1 KR1020230176022A KR20230176022A KR102642957B1 KR 102642957 B1 KR102642957 B1 KR 102642957B1 KR 1020230176022 A KR1020230176022 A KR 1020230176022A KR 20230176022 A KR20230176022 A KR 20230176022A KR 102642957 B1 KR102642957 B1 KR 102642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vehicle
cylinder
vertical cylind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6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민
전서현
정찬영
Original Assignee
(주)엘더스티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더스티앤엘 filed Critical (주)엘더스티앤엘
Priority to KR1020230176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9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or stretchers
    • A61G3/08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or stretchers
    • A61G3/0816Accommodating or securing stretchers
    • A61G3/0866Accommodating or securing stretchers on height adjustable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61G2203/76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for nesting or stac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61G2203/78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for clam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20/00Adaptations of particular transporting means
    • A61G2220/14Ca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차량 내에서 휠체어가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특히 휠체어의 바퀴 형상에 관계없이 휠체어가 범용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 및 해제 조작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는 휠체어바퀴가 위치 가능한 차량의 내부 바닥 내에 신장 또는 신축 조작 가능한 다수개의 수직실린더기구가 격자 형태로 배열되어 형성되되 상기 수직실린더기구 내의 스프링에 의한 탄성에 의해 상기 수직실린더기구가 동시 신장되어 차량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면서 상기 휠체어바퀴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고정홈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실린더기구 내로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상기 수직실린더기구가 동시에 신축되어 고정되면서 차량의 내부 바닥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격자형 휠체어바퀴 고정유닛; 상기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수직실린더기구의 고정을 해소시켜 상기 수직실린더기구가 스프링에 의한 탄성에 의해 동시 신장되도록 한 후 상기 수직실린더기구의 신장상태가 고정유지되도록 하는 휠체어 고정용 조작버튼; 및 상기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수직실린더기구의 고정을 해소시킴과 동시에 수직실린더기구 내로 공압이 공급되어 동시 신축되도록 한 후 상기 수직실린더기구의 신축상태가 고정유지되도록 하는 휠체어 고정해제용 조작버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APPARATUS FOR FIXING WHEELCHAIR IN VEHICLE}
개시된 내용은 예를 들어 버스와 같은 차량 내에 휠체어를 고정시키기 위한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에 관련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환자나 장애인과 같이 거동이 불편한 사람은 이동을 위해 휠체어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휠체어 이용자가 장거리를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로 버스 또는 승합차와 같은 차량 내로 승차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차량의 내부에는 휠체어가 점유 가능한 공간이 마련되고, 이 공간에는 차량에 탑재된 휠체어의 바퀴 또는 바디를 벨트 등을 이용하여 결속하거나 클립으로 걸어 고정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의 일 예로, 한국 실용신안공개 제20-1998-0047380호(1998.09.25. 공개)에는 버스의 플로워 패널에 가이드 레일을 부착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측면에 조임벨트가 구성되고, 상기 조임벨트와 대응되어 조임편이 구비되는 고정결착구가 형성되어 휠체어의 스포크 사이에 상기 조임벨트가 위치되어 플로워 패널에 휠체어가 유동되지 않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고정장치가 있는 버스가 개시된다.
또한 한국 특허공개 제10-1997-0032773호(1997.07.22. 공개)에는 버스 실내의 바닥판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이 일단에 부착된 고정측 벨트부와, 이 고정측 벨트부의 타단에 연결되는 길이조정부와, 이 길이조정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걸림수단이 구비된 걸림측 벨트부로 구성된 벨트를 버스 실내의 바닥판에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휠체어 고정구조가 개시된다.
한국 특허등록공고 제10-1963704호(2019.07.31. 공고)에는 차량의 바닥에 매립 고정되고 휠체어 전방측 바퀴가 진입하여 수용될 수 있는 바퀴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고정본체; 상기 바퀴 수용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휠체어 전방측 바퀴를 지지하는 편평한 상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의 저면에 수직하게 기립 형성되는 수직부재로 형성되어 'T' 형태를 취하는 'T' 형 지지판과, 상기 'T'형 지지판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T'형 지지판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완충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지지부; 및 중앙 지점이 절곡된 링크 형태로 절곡된 지점이 힌지핀에 의해 상기 고정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회전링크와, 상기 회전링크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T' 형 지지판의 상부부재의 저면과 접촉하는 롤러와, 상기 회전링크의 타단과 소정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결합되는 편평한 고정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바퀴 수용공간의 형성방향으로 'T'형 지지판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회전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설치용 휠체어 고정장치가 개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의 경우에는 휠체어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못하고 흔들림이 생기게 되고 고정 및 해제 조작이 불편하며 휠체어마다 서로 상이한 다양한 바퀴 형상으로 인해 휠체어를 범용적으로 고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실용신안공개 제20-1998-0047380호(1998.09.25. 공개) 한국 특허공개 제10-1997-0032773호(1997.07.22. 공개) 한국 특허등록공고 제10-1963704호(2019.07.31. 공고)
차량 내에서 휠체어가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특히 휠체어의 바퀴 형상에 관계없이 휠체어가 범용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 및 해제 조작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은 휠체어바퀴가 위치 가능한 차량의 내부 바닥 내에 신장 또는 신축 조작 가능한 다수개의 수직실린더기구가 격자 형태로 배열되어 형성되되 상기 수직실린더기구 내의 스프링에 의한 탄성에 의해 상기 수직실린더기구가 동시 신장되어 차량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면서 상기 휠체어바퀴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고정홈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실린더기구 내로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상기 수직실린더기구가 동시에 신축되어 고정되면서 차량의 내부 바닥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격자형 휠체어바퀴 고정유닛; 상기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수직실린더기구의 고정을 해소시켜 상기 수직실린더기구가 스프링에 의한 탄성에 의해 동시 신장되도록 한 후 상기 수직실린더기구의 신장상태가 고정유지되도록 하는 휠체어 고정용 조작버튼; 및 상기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수직실린더기구의 고정을 해소시킴과 동시에 수직실린더기구 내로 공압이 공급되어 동시 신축되도록 한 후 상기 수직실린더기구의 신축상태가 고정유지되도록 하는 휠체어 고정해제용 조작버튼을 포함하는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격자형 휠체어바퀴 고정유닛의 수직실린더기구는 내주면에 다단연속고정턱이 구비된 수직사각통홈이 함입형성되는 단위격자형성용 외통과, 상기 단위격자형성용 외통의 수직사각통홈의 중심에 구비되고 내부 중앙에는 상기 스프링이 끼워지는 중심봉이 구비되는 내부고정실린더와, 상기 내부고정실린더의 중심봉에 끼워져 상기 내부고정실린더의 상측으로 돌출 가능하고 상기 내부고정실린더 내에 위치되는 하단 둘레에는 상기 스프링의 상단에 의해 지지되는 피스톤이 결합되는 실린더로드와, 하부에는 상기 내부고정실린더가 관통결합되고 내부 상단에는 상기 실린더로드의 상단이 고정연결되어 상기 내부고정실린더와 상기 단위격자형성용 외통 사이에서 상하이동되는 외부이동실린더와, 상기 외부이동실린더의 하단 둘레에 2개 이상 설치되고 상기 단위격자형성용 외통의 다단연속고정턱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결합해제되도록 외측 또는 내측방향으로 이동조작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격자형 휠체어바퀴 고정유닛의 수직실린더기구는 상기 외부이동실린더의 외부 둘레에 끼워지는 탄성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외부이동실린더의 하단 둘레에는 상기 고정돌기의 반경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2개 이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가이드홈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안착되되 일측에 랙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의 일측에는 구동모터가 고정설치되되 상기 구동모터에는 상기 랙기어에 맞물려지는 피니언기어가 연결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직실린더기구 내로 공급되는 공압은 상기 내부고정실린더의 상측과 상기 실린더로드의 피스톤 사이로 공급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휠체어 고정용 조작버튼과 상기 휠체어 고정해제용 조작버튼은 상기 차량 내에서 상기 격자형 휠체어바퀴 고정유닛의 인접 위치에 설치되거나 또는 운전석의 인접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에 의하면, 휠체어바퀴가 위치 가능한 차량의 내부 바닥 내에 신장 또는 신축 조작 가능한 다수개의 수직실린더기구가 격자 형태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격자형 휠체어바퀴 고정유닛으로 인해 휠체어의 고정 시에는 수직실린더기구 내의 스프링에 의한 탄성에 의해 수직실린더기구가 동시 신장되어 차량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면서 휠체어바퀴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고정홈을 형성하고 휠체어의 고정해제 시에는 수직실린더기구 내로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수직실린더기구가 동시에 신축되어 고정되면서 차량의 내부 바닥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원위치됨에 따라 차량 내에서 휠체어가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특히 휠체어의 바퀴 형상에 관계없이 휠체어가 범용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상에서와 같은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에 의하면, 휠체어 사용자가 격자형 휠체어바퀴 고정유닛의 인접 위치에 설치되는 휠체어 고정용 조작버튼과 휠체어 고정해제용 조작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차량 운전자가 운전석의 인접 위치에 설치되는 휠체어 고정용 조작버튼과 휠체어 고정해제용 조작버튼을 누르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격자형 휠체어바퀴 고정유닛에 의한 휠체어의 고정 및 해제 조작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에 의한 휠체어 고정 시의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에 의한 휠체어 고정해제 시의 사시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에 있어서, 격자형 휠체어바퀴 고정유닛의 작동단면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에 있어서, 격자형 휠체어바퀴 고정유닛의 수직실린더기구의 작동단면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에 있어서, 수직실린더기구의 고정돌기의 작동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1)는 예를 들어 버스와 같은 차량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휠체어(2)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격자형 휠체어바퀴 고정유닛(10)과, 휠체어 고정용 조작버튼(20)과, 휠체어 고정해제용 조작버튼(30)을 포함한다.
여기서, 격자형 휠체어바퀴 고정유닛(10)은 휠체어(2)의 고정 필요 시에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차량의 내부 바닥 상에 휠체어바퀴(3)가 수용 가능한 고정홈을 형성하여 휠체어(2)가 임의로 이동이지 않게 고정시키고 휠체어(2)의 고정 해제 시에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차량의 내부 바닥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여 휠체어(2)의 진입과 진출을 가능하게 역할을 하는 것으로, 휠체어바퀴(3)가 위치 가능한 차량의 내부 바닥 내에 신장 또는 신축 조작 가능한 다수개의 수직실린더기구(11)가 격자 형태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격자 형태로 배열된 다수개의 수직실린더기구(11)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진입된 휠체어바퀴(3)가 상부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수직실린더기구(11) 내의 스프링(13b)에 의한 탄성에 의해 동시 신장되어 차량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면서 휠체어바퀴(3)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고정홈을 형성함으로써 차량 내에서 휠체어(2)가 임의로 이동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하며, 특히 휠체어바퀴(3)의 형상에 관계없이 휠체어(2)가 범용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격자 형태로 배열된 다수개의 수직실린더기구(11)는 수직실린더기구(11) 내로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동시에 신축되어 고정되면서 차량의 내부 바닥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함으로써 휠체어바퀴(3)의 진입 및 진출을 가능하게 한다.
격자형 휠체어바퀴 고정유닛(10)의 격자단위 셀을 형성하는 수직실린더기구(11)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주면에 다단연속고정턱(12b)이 구비된 수직사각통홈(12a)이 함입형성되는 단위격자형성용 외통(12)과, 단위격자형성용 외통(12)의 수직사각통홈(12a)의 중심에 구비되고 내부 중앙에는 스프링(13b)이 끼워지는 중심봉(13a)이 구비되는 내부고정실린더(13)와, 내부고정실린더(13)의 중심봉(13a)에 끼워져 내부고정실린더(13)의 상측으로 돌출 가능하고 내부고정실린더(13) 내에 위치되는 하단 둘레에는 스프링(13b)의 상단에 의해 지지되는 피스톤(14b)이 결합되는 실린더로드(14)와, 하부에는 내부고정실린더(13)가 관통결합되고 내부 상단에는 실린더로드(14)의 상단이 고정연결되어 내부고정실린더(13)와 단위격자형성용 외통(12) 사이에서 상하이동되는 외부이동실린더(15)와, 외부이동실린더(15)의 하단 둘레에 2개 이상 설치되고 단위격자형성용 외통(12)의 다단연속고정턱(12b)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결합해제되도록 외측 또는 내측방향으로 이동조작되는 고정돌기(1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격자형 휠체어바퀴 고정유닛(10)의 격자단위 셀을 형성하는 수직실린더기구(11)는 외부이동실린더(15)의 외부 둘레에 끼워지는 탄성커버(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위격자형성용 외통(12)은 중앙에 수직사각통홈(12a)이 함입형성된 직육면채로 형성되되, 인접하는 수직실린더기구(11)의 단위격자형성용 외통(12)과 상호 결합 또는 결속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인접하는 수직실린더기구(11)의 단위격자형성용 외통(12)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 내주면에 다단연속고정턱(12b)이 구비된 수직사각통홈(12a)은 직육면체 상에 다수의 횡과 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위격자형성용 외통(12)은 차량의 내부 바닥 내에 고정설치된다.
내부고정실린더(13)는 외부이동실린더(15)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하단은 단위격자형성용 외통(12)의 수직사각통홈(12a) 내에 동심원 형태로 고정되고, 상단은 단위격자형성용 외통(12)의 상단 보다 더 높게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단에는 후술될 실린더로드(14)의 기밀적 관통을 위한 통공이 형성되고, 내부 중앙에는 스프링(13b)이 끼워지는 중심봉(13a)이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수직 연장된된다.
실린더로드(14)는 후술될 외부이동실린더(15)를 상하이동시키기 위한 일종의 작동봉에 해당하는 것으로, 하단은 중심봉(13a)에 끼워져 스프링(13b)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는 플랜지(14a)가 형성되고, 상단은 외부이동실린더(15)의 내부 상단에 고정연결된다. 또한 실린더로드(14)는 내부고정실린더(13)의 상단 측면을 통한 공압 공급시에 하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스프링(13b)에 지지되는 하단의 상부면에는 내부고정실린더(13)의 내주벽면에 접하는 피스톤(14b)이 결합된다. 이 때 내부고정실린더(13)의 상단 측면을 통해 공급되는 공압은 결과적으로 내부고정실린더(13)의 상측과 실린더로드(14)의 피스톤(14b) 사이로 공급되면서 실린더로드(14)의 피스톤(14b)을 하부로 밀어 이동시킴과 동시에 실린더로드(14)에 연결된 외부이동실린더(15)를 하향 이동시키게 된다.
외부이동실린더(15)는 실린더로드(14)의 상단에 내부 상단이 연결되어 상하이동되면서 실제 단위격자형성용 외통(12)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면서 휠체어바퀴(3)의 형상에 대응되게 높이가 변형되어 지지함에 따라 다른 수직실린더기구(11)의 외부이동실린더(15)와 함께 휠체어바퀴(3)의 고정홈을 형성하는 것으로, 외형은 상부면이 폐쇄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되, 하단에는 고정돌기(16)의 설치를 위한 고정돌기 설치림(15a)이 지지다리(15b)에 의해 이격되게 연결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외부이동실린더(15)의 하단 둘레, 다시 말해서 고정돌기 설치림(15a)에는 고정돌기(16)의 반경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2개 이상의 가이드홈(15c)이 형성된다.
고정돌기(16)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이드홈(15c)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안착되되 일측에 랙기어(16a)가 형성되며 가이드홈(15c)의 일측에는 구동모터(16b)가 고정설치되되 구동모터(16b)에는 랙기어(16a)에 맞물려지는 피니언기어(16c)가 연결될 수 있다.
탄성커버(17)는 외부이동실린더(15)의 외부 둘레에 끼워짐에 따라 외부이동실린더(15)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휠체어바퀴(3)의 외형에 대응되는 변형을 가능하게 하며, 휠체어바퀴(3)와의 마찰력 증대를 통해 휠체어바퀴(3)의 슬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차량의 내부에는 휠체어 고정용 조작버튼(20)이 설치된다. 고정용 조작버튼(20)은 사용자의 가압 조작 시에 고정돌기(16)를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수직실린더기구(11)의 고정을 해소시킴에 따라 수직실린더기구(11)가 스프링(13b)에 의한 탄성에 의해 동시 신장되도록 하여 휠체어바퀴(3)의 외형에 대응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도록 한 후, 다시 고정돌기(16)를 다시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단위격자형성용 외통(12)의 다단연속고정턱(12b)에 걸리도록 함에 따라 수직실린더기구(11)의 신장상태가 고정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전술한 차량의 내부에는 휠체어 고정해제용 조작버튼(30)이 설치된다. 고정해제용 조작버튼(30)은 사용자의 가압 조작 시에 고정돌기(16)를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수직실린더기구(11)의 고정을 해소시킴과 동시에 내부고정실린더(13)의 상측과 실린더로드(14)의 피스톤(14b) 사이로 공압을 공급하여 수직실린더기구가 동시 신축되도록 하여 차량의 내부 바닥과 동일 편염이 형성되도록 한 후, 다시 고정돌기(16)를 다시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단위격자형성용 외통(12)의 다단연속고정턱(12b)에 걸리도록 함에 따라 수직실린더기구(11)의 신축상태가 고정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휠체어 고정용 조작버튼(20)과 휠체어 고정해제용 조작버튼(30)은 휠체어 탑승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차량 내에서 격자형 휠체어바퀴 고정유닛(10)의 인접 위치에 설치되거나 또는 차량의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운전석의 인접 위치에 설치되거나, 또는 격자형 휠체어바퀴 고정유닛(10)의 인접 위치와 운전석의 인접 위치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1)는 휠체어 고정용 조작버튼(20)과 휠체어 고정해제용 조작버튼(30)의 조작에 따른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격자형 휠체어바퀴 고정유닛(10)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1)의 경우에는 휠체어바퀴(3)가 위치 가능한 차량의 내부 바닥 내에 신장 또는 신축 조작 가능한 다수개의 수직실린더기구(11)가 격자 형태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격자형 휠체어바퀴 고정유닛(10)을 포함함에 따라, 휠체어(2)의 고정 시에는 수직실린더기구(11) 내의 스프링(13b)에 의한 탄성에 의해 수직실린더기구(11)가 동시 신장되어 차량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면서 휠체어바퀴(3)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고정홈을 형성하고, 휠체어(2)의 고정해제 시에는 수직실린더기구(11) 내로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수직실린더기구(11)가 동시에 신축되어 고정되면서 차량의 내부 바닥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원위치되는 작동을 통해, 차량 내에서 휠체어(2)가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되고, 특히 휠체어바퀴(3)의 형상에 관계없이 휠체어(2)가 범용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1)의 경우에는, 휠체어 사용자가 격자형 휠체어바퀴 고정유닛(10)의 인접 위치에 설치되는 휠체어 고정용 조작버튼(20)과 휠체어 고정해제용 조작버튼(30)을 누르거나 또는 차량 운전자가 운전석의 인접 위치에 설치되는 휠체어 고정용 조작버튼(20)과 휠체어 고정해제용 조작버튼(30)을 누르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격자형 휠체어바퀴 고정유닛(10)에 의한 휠체어의 고정 및 해제 조작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2 : 휠체어
3 : 휠체어바퀴
10 : 격자형 휠체어바퀴 고정유닛
11 : 수직실린더기구
12 : 단위격자형성용 외통
12a : 수직사각통홈
12b : 다단연속고정홈
13 : 내부고정실린더
13a : 중심봉
13b : 스프링
14 : 실린더로드
14a : 플랜지
14b : 피스톤
15 : 외부이동실린더
15a : 고정돌기 설치림
15b : 지지다리
15c : 가이드홈
16 : 고정돌기
16a : 랙기어
16b : 구동모터
16c : 피니언기어
17 : 탄성커버
20 : 휠체어 고정용 조작버튼
30 : 휠체어 고정해제용 조작버튼

Claims (6)

  1. 휠체어바퀴가 위치 가능한 차량의 내부 바닥 내에 신장 또는 신축 조작 가능한 다수개의 수직실린더기구가 격자 형태로 배열되어 형성되되 상기 수직실린더기구 내의 스프링에 의한 탄성에 의해 상기 수직실린더기구가 동시 신장되어 차량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면서 상기 휠체어바퀴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고정홈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실린더기구 내로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상기 수직실린더기구가 동시에 신축되어 고정되면서 차량의 내부 바닥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격자형 휠체어바퀴 고정유닛;
    상기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수직실린더기구의 고정을 해소시켜 상기 수직실린더기구가 스프링에 의한 탄성에 의해 동시 신장되도록 한 후 상기 수직실린더기구의 신장상태가 고정유지되도록 하는 휠체어 고정용 조작버튼; 및
    상기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수직실린더기구의 고정을 해소시킴과 동시에 수직실린더기구 내로 공압이 공급되어 동시 신축되도록 한 후 상기 수직실린더기구의 신축상태가 고정유지되도록 하는 휠체어 고정해제용 조작버튼을 포함하는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자형 휠체어바퀴 고정유닛의 수직실린더기구는 내주면에 다단연속고정턱이 구비된 수직사각통홈이 함입형성되는 단위격자형성용 외통과, 상기 단위격자형성용 외통의 수직사각통홈의 중심에 구비되고 내부 중앙에는 상기 스프링이 끼워지는 중심봉이 구비되는 내부고정실린더와, 상기 내부고정실린더의 중심봉에 끼워져 상기 내부고정실린더의 상측으로 돌출 가능하고 상기 내부고정실린더 내에 위치되는 하단 둘레에는 상기 스프링의 상단에 의해 지지되는 피스톤이 결합되는 실린더로드와, 하부에는 상기 내부고정실린더가 관통결합되고 내부 상단에는 상기 실린더로드의 상단이 고정연결되어 상기 내부고정실린더와 상기 단위격자형성용 외통 사이에서 상하이동되는 외부이동실린더와, 상기 외부이동실린더의 하단 둘레에 2개 이상 설치되고 상기 단위격자형성용 외통의 다단연속고정턱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결합해제되도록 외측 또는 내측방향으로 이동조작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격자형 휠체어바퀴 고정유닛의 수직실린더기구는 상기 외부이동실린더의 외부 둘레에 끼워지는 탄성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부이동실린더의 하단 둘레에는 상기 고정돌기의 반경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2개 이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가이드홈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안착되되 일측에 랙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의 일측에는 구동모터가 고정설치되되 상기 구동모터에는 상기 랙기어에 맞물려지는 피니언기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직실린더기구 내로 공급되는 공압은 상기 내부고정실린더의 상측과 상기 실린더로드의 피스톤 사이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 고정용 조작버튼과 상기 휠체어 고정해제용 조작버튼은 상기 차량 내에서 상기 격자형 휠체어바퀴 고정유닛의 인접 위치에 설치되거나 또는 운전석의 인접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KR1020230176022A 2023-12-06 2023-12-06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KR102642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6022A KR102642957B1 (ko) 2023-12-06 2023-12-06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6022A KR102642957B1 (ko) 2023-12-06 2023-12-06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2957B1 true KR102642957B1 (ko) 2024-03-05

Family

ID=90298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6022A KR102642957B1 (ko) 2023-12-06 2023-12-06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95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2773A (ko) 1995-12-27 1997-07-22 김태구 버스의 휠체어 고정구조
KR19980047380U (ko) 1996-12-28 1998-09-25 양재신 휠체어 고정장치가 있는 버스
KR0148308B1 (ko) * 1995-12-27 1998-11-02 김태구 버스의 휠체어 고정장치
KR101554845B1 (ko) * 2015-06-09 2015-09-21 박성권 차량용 휠체어 충격흡수장치
KR101963704B1 (ko) 2017-10-31 2019-07-31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 설치용 휠체어 고정장치
CN214243379U (zh) * 2020-10-23 2021-09-21 江苏君宿达电梯有限公司 一种医用电梯轮椅固定装置
KR20230030875A (ko) * 2021-08-26 2023-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 및 대중교통 차량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2773A (ko) 1995-12-27 1997-07-22 김태구 버스의 휠체어 고정구조
KR0148308B1 (ko) * 1995-12-27 1998-11-02 김태구 버스의 휠체어 고정장치
KR19980047380U (ko) 1996-12-28 1998-09-25 양재신 휠체어 고정장치가 있는 버스
KR101554845B1 (ko) * 2015-06-09 2015-09-21 박성권 차량용 휠체어 충격흡수장치
KR101963704B1 (ko) 2017-10-31 2019-07-31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 설치용 휠체어 고정장치
CN214243379U (zh) * 2020-10-23 2021-09-21 江苏君宿达电梯有限公司 一种医用电梯轮椅固定装置
KR20230030875A (ko) * 2021-08-26 2023-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 및 대중교통 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64314B2 (en) Wheeled carriage having auxiliary wheel spaced from center of gravity of wheeled base and cam apparatus controlling deployment of auxiliary wheel and deployable side rails for the wheeled carriage
US5052878A (en) Retractable bed for truck
KR960003408Y1 (ko) 차량정비용 리프트의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된 익스텐드 슬라이드판의 고정기구
KR20190119705A (ko) 테이블 가변형 콘솔장치
US20080010745A1 (en) Rail for hospital bed
JP4640588B2 (ja) 車両用昇降装置
KR102642957B1 (ko)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JP6091853B2 (ja) ベッド類の昇降装置及びこれを組み込んだストレッチャ
KR101764141B1 (ko) 차량용 휠체어 안전 고정장치
US8783638B2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wheel of a vehicle
JP5090225B2 (ja) テーブルリフタおよび基板処理装置
JP6714313B2 (ja) 車両構造
JP6633969B2 (ja) 車椅子収容装置
TW201907886A (zh) 改良式輪椅
JP3998943B2 (ja) 車両の乗降補助シート
KR20130006685U (ko) 자전거 거치대
KR101759173B1 (ko)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
GB2534868A (en) A vehicle exterior load carrier system
JP2599179Y2 (ja) スライド式ルーフキャリア
US11267404B2 (en) Storage device for a vehicle cab
JPH04818Y2 (ko)
TWM556589U (zh) 改良式輪椅
JP5688652B2 (ja) ストレッチャー等における車体フレームのブレーキ機構
JP3728004B2 (ja) 自動車用リフト装置
JP4247677B2 (ja) 車両用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