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0875A -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 및 대중교통 차량 - Google Patents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 및 대중교통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0875A
KR20230030875A KR1020210113066A KR20210113066A KR20230030875A KR 20230030875 A KR20230030875 A KR 20230030875A KR 1020210113066 A KR1020210113066 A KR 1020210113066A KR 20210113066 A KR20210113066 A KR 20210113066A KR 20230030875 A KR20230030875 A KR 20230030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pedal
mobility
cylinder
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3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0875A/ko
Publication of KR20230030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08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or stretchers
    • A61G3/08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20/00Adaptations of particular transporting means
    • A61G2220/16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4Personal mobilit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34Wheel ch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4Wheelchai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대중교통 차량(1)에 적용된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10)은 좌/우측 지지 포스트(40A,40B)로 구획된 장비 탑재 공간(3)의 바닥 프레임(5)에 노출된 페달(21)과 연동된 실린더 유닛(25)으로 가변 바닥(29)이 바닥 프레임(5)의 함몰된 바닥 채널(5a)을 노출시켜 휠체어(100)의 바퀴(101) 또는 개인 모빌리티(200)의 바퀴(201)를 삽입시켜 주고, 좌/우측 지지 포스트(40A,40B)와 결합된 백가드(33)의 상/하부 백 가드(33A,33B)에 의한 손잡이 고정 간극(33C)으로 휠체어(100)의 손잡이(103)를 고정하며, 백가드(33)의 고정 홀더(39) 또는 손잡이 홈(34)으로 개인 모빌리티(200)의 손잡이(203)를 고정함으로써 거동 약자의 대중교통 이동권 보장고하 개인 모빌리티 사용성도 가능하게 하고, 특히 요급과급 시스템과 연계한 백 가드(33)의 충전 콘센트(50)로 차량 배터리를 이용한 전동 휠체어(100) 및 개인 모빌리티(200)의 배터리 충전도 가능한 특징이 구현된다.

Description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 및 대중교통 차량{Mobility Rack System and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 Thereof}
본 발명은 대중교통 차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휠체어부터 개인 모빌리티까지 편리한 조작으로 탈/장착이 가능한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이 적용된 대중교통 차량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저상 버스나 전기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 차량에는 법규로 거동 약자를 위한 좌석 공간인 휠체어 고정 장치의 설치가 의무화되고 있다.
일례로 상기 휠체어 고정 장치는 전기 버스나 저상 버스에 마련된 휠체어 주차공간에서 휠체어 락 고정 장치와 휠체어 락 벨트 보관함으로 구성되고, 상기 휠체어 락 고정장치는 공간 바닥면에 마련되어 있다.
그러므로 휠체어가 휠체어 주차공간에 위치된 후 보관함에서 휠체어 락 벨트를 꺼내고, 상기 휠체어 락 벨트를 락 고정 장치와 결합시킴으로써 버스 주행 중 휠체어가 흔들리거나 위치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상 버스나 전기 버스에서 휠체어가 고정됨으로써 휠체어를 사용하는 거동 약자에게도 대중교통 이용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국내공개특허 KR 10-2021-0074044(2021.06.21)
하지만, 상기 휠체어 고정 장치는 휠체어 고정을 위해선 보관함 열고 벨트 꺼내서 바퀴와 몸체에 고정하는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시간도 많이 소요되고 있다.
더구나 상기 휠체어 고정 장치는 사용성이 불편한 것 이외에도, 고정 장치의 사용에 반드시 도움을 주어야 하는 운전자의 대다수가 그 사용법도 숙지하지 않고 있는 문제도 가지고 있다.
나아가 최근 들어 1인용 모빌리티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경우, 저상 버스나 전기 버스의 휠체어 주차공간 사용에 대한 1인용 모빌리티 수요 충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거동 약자의 대중교통 이동권을 보장해 주는 휠체어 고정 공간을 휠체어부터 개인 모빌리티로 사용성을 확장시켜 주고, 특히 페달 조작의 탈/장착으로 편리한 조작성이 제공되면서 요급과급 시스템과 연계하여 차량 배터리로 전동 휠체어 및 개인 모빌리티의 배터리 충전도 가능한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 및 대중교통 차량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은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 사이를 백가드로 연결하고, 휠체어의 손잡이를 끼워 고정해 주는 손잡이 고정 간극이 상기 백가드에 형성된 손잡이 고정 장치; 및 상기 좌측 프레임을 결합한 좌측 지지 포스트와 상기 우측 프레임을 결합한 우측 지지 포스트로 장비 탑재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휠체어 또는 개인 모빌리티가 상기 장비 탑재 공간에 위치되는 지지 포스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백가드는 상부 백 가드와 하부 백 가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백 가드와 상기 하부 백 가드는 분리 가이더와 연결된 상/하 분리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상/하 분리 구조는 상기 상부 백 가드 또는 상기 하부 백 가드가 상기 분리 가이더로 안내되는 이동으로 상기 손잡이 고정 간극을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분리 가이더는 아우터 레일과 이너 레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우터 레일은 상기 상부 백 가드와 결합으로 함께 이동되는 상부 아우터 레일, 및 상기 하부 백 가드와 결합으로 함께 이동되는 하부 아우터 레일로 구성되며, 상기 이너 레일은 상기 아우터 레일과 상기 하부 아우터 레일로 감싸이고, 수직하게 세워져 상기 상부 백 가드의 상승 이동 또는 상기 하부 백 가드의 하강 이동을 안내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분리 가이더는 상기 백가드의 일측에 구비된 제1 분리 가이더와 타측에 구비된 제2 분리 가이더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분리 가이더는 홀더 노브 또는 홀더 핸들을 구비하고, 상기 홀더 노브 또는 상기 홀더 핸들은 상기 분리 가이더와 고정 상태를 해제 상태로 전환시켜준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홀더 노브는 나사 결합 구조로 상기 분리 가이더와 고정 상태를 해제 상태로 전환시켜주며, 상기 홀더 핸들은 젖힘 결합 구조로 상기 분리 가이더와 고정 상태를 해제 상태로 전환시켜준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백가드는 고정 홀더 또는 손잡이 홈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홀더 또는 상기 손잡이 홈은 상기 개인 모빌리티의 손잡이를 고정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 홀더는 상기 백가드의 표면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푸시 락 버튼 구조로 상기 손잡이의 일부 부위를 감싸 고정하며, 상기 손잡이 홈은 상기 백가드의 표면에서 함몰된 상태에서 함몰 깊이로 상기 손잡이의 일부 부위를 감싸 고정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백가드는 충전 콘센트를 구비하고, 상기 충전 콘센트는 상기 휠체어의 배터리 또는 상기 개인 모빌리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은 수직하게 세워진 좌측 지지 포스트와 우측 지지 포스트의 간격으로 형성된 장비 탑재 공간의 바닥 프레임에 페달이 노출되고, 상기 페달의 눌림에 의한 실린더 유닛의 작동을 통해 내려온 가변 바닥으로 상기 바닥 프레임의 함몰된 바닥 채널을 노출시켜 휠체어의 바퀴 또는 개인 모빌리티의 바퀴가 삽입되는 바퀴 고정 장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페달은 차량용 풋 페달 구조로 작동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실린더 유닛은 상기 페달의 조작을 페달 피봇 로드로 연동하여 팽창 또는 수축되는 페달 실린더, 상기 가변 바닥을 지지하는 승강 실린더, 및 상기 페달 실린더와 상기 승강 실린더를 연결하고, 상기 팽창 시 상기 승강 실린더가 하강하도록 상기 승강 실린더의 유체를 상기 페달 실린더로 빼내주며, 상기 수축 시 상기 승강 실린더가 상승하도록 상기 페달 실린더의 유체를 상기 승강 실린더로 보내주는 연결 라인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페달 실린더와 상기 승강 실린더는 유압실린더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페달 피봇 로드는 상기 페달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와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 로드는 상기 페달의 누름에 의한 상기 페달 피봇 로드의 움직임으로 상기 페달 실린더에서 빠져 나와 상기 팽창의 상태를 형성하며, 리턴 스프링과 연동된 상기 페달의 복원에 의한 상기 페달 피봇 로드의 움직임으로 상기 페달 실린더로 들어가 상기 수축의 상태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승강 실린더는 상기 가변 바닥의 일측 부위를 지지하는 전방 승강 실린더 및 타측 부위를 지지하는 후방 승강 실린더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바퀴 고정 장치는 상기 장비 탑재 공간에서 간격을 두고 상기 바닥 프레임에 설치된 제1 바퀴 고정 장치와 제2 바퀴 고정 장치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중교통 차량은 장비 탑재 공간으로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이 위치되고; 상기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은, 수직하게 세워져 상기 장비 탑재 공간을 휠체어 또는 개인 모빌리티가 위치되는 공간으로 구획하는 한 쌍의 좌/우측 지지 포스트; 상기 장비 탑재 공간의 바닥 프레임에 페달이 노출되고, 상기 페달의 조작과 연동된 실린더 유닛으로 상기 바닥 프레임의 함몰된 바닥 채널의 안쪽 공간으로 가변 바닥이 내려가 상기 휠체어의 바퀴 또는 상기 개인 모빌리티의 바퀴가 삽입되는 바퀴 고정 장치, 상기 좌/우측 지지 포스트와 결합으로 소정 높이에 위치된 백가드의 상/하부 백 가드로 손잡이 고정 간극을 형성하여 상기 휠체어의 손잡이를 고정하며, 상기 백가드에 고정 홀더 또는 손잡이 홈을 형성하여 상기 개인 모빌리티의 손잡이를 고정하는 손잡이 고정 장치, 및 상기 백가드에 노출되어 배터리 충전용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 콘센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손잡이 고정 장치는 상기 좌/우측 지지 포스트에 결합되는 한 쌍의 좌/우측 프레임 사이에 상기 백가드를 위치시켜 “ㄷ"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대중교통 차량에 적용된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은 하기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구현한다.
첫째, 저상 버스나 전기버스의 거동 약자의 대중교통 이동권 보장을 위해 마련된 휠체어 고정 공간이 휠체어를 넘어 개인 모빌리티로 그 사용성이 확장될 수 있다. 둘째, 페달 조작 방식으로 휠체어 탈/장착의 조작 편리성이 제공됨으로써 교통약자 스스로 또는 약간의 도움만으로 이용 가능하다. 셋째, 저상 버스나 전기버스에 마련된 휠체어 고정 공간이 개인 모빌리티에도 적용됨으로써 1인 모빌리티 이용자가 장거리 또는 열악한 도로 상황에서 버스에 넣고 이동가능하다. 넷째, 저상 버스나 전기버스에 탑승한 경우 휠체어 고정 공간에서 차량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동 휠체어 및 개인 모빌리티의 배터리 충전이 가능한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섯째, 전동 휠체어 및 개인 모빌리티의 배터리 충전을 요급과급 시스템과 연계함으로써 경제적 효용성이 증가될 수 있다. 여섯째, 휠체어 및 모빌리티의 손잡이 구조를 이용한 고정방식 변형으로 휠체어 고정 공간에 대한 외관 향상이 가능하고, 특히 다양한 종류의 모빌리티를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차량의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의 바퀴 고정 장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의 손잡이 고정 장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고정 장치의 변형 구성 예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에 휠체어가 거치된 상태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고정 장치의 작동 상태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를 거치한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의 단면 상태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에 개인 모빌리티가 거치되어 충전되는 상태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에서 개인 모빌리티의 손잡이를 다르게 거치한 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 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10)은 장비 탑재 공간(3)을 이용하여 대중교통 차량(1)에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대중교통 차량(1)은 저상 버스 및 전기 버스로 설명되나, 승합차량도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10)은 바퀴 고정 장치(20)의 대/소 바퀴 형상 구분 없는 바닥 채널(5a), 손잡이 고정 장치(30)의 손잡이 형상 구분 없는 손잡이 고정 간극(33C)(도 3 참조)을 이용함으로써 장비 탑재 공간(3)에서 장비 고정이 쉽고 사용성도 편리하면서 휠체어(100) 및 개인 모빌리티(200)(도 6 내지 도 9 참조)로 확장 가능한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으로 특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10)은 바퀴 고정 장치(20), 손잡이 고정 장치(30), 지지 포스트(40) 및 충전 콘센트(50)로 구성된다.
일례로 상기 바퀴 고정 장치(20)는 장비 탑재 공간(3)의 바닥 프레임(5)에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 고정 장치(30)는 지지 포스트(40)와 결합되어 바닥 프레임(5)의 위쪽 공간에서 대중교통 차량(1)의 측부를 이루는 벽 프레임(7)에 근접 위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손잡이 고정 장치(30)는 바퀴 고정 장치(20)에 대해 그 설치 높이가 조절될 수 있고, 이러한 설치 높이 조절 방식은 휠체어(100) 및 개인 모빌리티(200)의 높이에 의한 장비 탑재 공간(3)의 사용 제한을 피해 갈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지지 포스트(40)는 좌/우측 지지 포스트(40A,40B)로 구분되고, 상기 좌측 지지 포스트(40A)는 바닥 프레임(5)의 일측에서 수직하게 세워져 대중교통 차량(1)의 상부를 이루는 천정 부위에 고정된 상태에서 손잡이 고정 장치(30)의 좌측 프레임(32A)(도 3 참조)과 결합되며, 상기 우측 지지 포스트(40B)는 바닥 프레임(5)의 타측에서 수직하게 세워져 대중교통 차량(1)의 상부를 이루는 천정 부위에 고정된 상태에서 손잡이 고정 장치(30)의 우측 프레임(32B)(도 3 참조)와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좌측 지지 포스트(40A)와 상기 우측 지지 포스트(40B)의 각각은 봉 형상을 적용하나 그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좌측 지지 포스트(40A)와 상기 우측 지지 포스트(40B)의 설치 간격은 휠체어(100) 및 개인 모빌리티(200)(도 6 내지 도 9 참조)의 폭 넓이에 의한 장비 탑재 공간(3)의 사용 제한을 피해 갈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충전 콘센트(50)는 대중교통 차량(1)의 배터리와 전기회로를 형성함으로써 장비 탑재 공간(3)에 거치된 전동 휠체어 및 개인 모빌리티의 배터리 충전용 전원을 공급하여 준다.
그러므로 상기 충전 콘센트(50)는 손잡이 고정 장치(30)의 백 가드(33)(도 3 참조)에 구비됨으로 예시되나, 좌/우측 프레임(32A,32B)(도 3 참조)의 어느 쪽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2는 상기 바퀴 고정 장치(20)를 구성하는 세부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퀴 고정 장치(20)는 제1 바퀴 고정 장치(20-1)와 제2 바퀴 고정 장치(20-2)로 구성되고, 상기 제1,2 바퀴 고정 장치(20-1,20-2)의 각각은 페달 유닛(21,22,23) 및 실린더 유닛(25)을 동일한 구성요소로 하여 동일한 작용과 효과를 발생하여 준다. 이 경우 상기 제1,2 바퀴 고정 장치(20-1,20-2)의 설치 간격은 휠체어 및 개인 모빌리티의 종류에 국한되도록 제1 바퀴 고정 장치(20-1)와 제2 바퀴 고정 장치(20-2) 간 간격 조절로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페달 유닛(21,22,23)은 페달(21), 페달 피봇 로드(22) 및 리턴 스프링(23)으로 구성된다.
일례로 상기 페달(21)은 장비 탑재 공간(3)의 후방쪽에 위치되어 바닥 프레임(5)에서 경사 구조로 돌출된다. 상기 페달 피봇 로드(22)는 페달(21)과 실린더 유닛(25) 중 페달 실린더(26)의 실린더 로드와 연결됨으로써 페달(21)의 눌림으로 밀림이동(즉, 후방쪽으로 이동)되고, 밀림이동이 페달 실린더(26)의 실린더 로드를 잡아 당겨 빼내(즉, 인출)줌으로써 페달(21)이 눌려질 때 페달 실린더(26)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리턴 스프링(23)은 페달(21)의 눌림으로 압축 변형 후 페달(21)의 눌림 해제 시 페달(21)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켜 주는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켜 준다. 이 경우 상기 리턴 스프링(23)은 코일 스프링을 적용할 수 있으나 판 스프링 구조도 적용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페달 유닛(21,22,23)은 상용차량에 적용된 풋 페달(foot brake) 방식의 힌지 구조 페달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린더 유닛(25)은 페달 실린더(26), 연결 라인(27), 승강 실린더(28) 및 가변 바닥(29)으로 구성되며, 상기 페달 실린더(26)와 상기 승강 실린더(28)는 연결 라인(27)으로 연결되고, 상기 페달 실린더(26)는 페달(21)의 눌림으로 팽창 시 연결 라인(27)을 통해 승강 실린더(28)를 수축시킴으로써 승강 실린더(28)를 내려주거나 페달(21)의 복귀로 수축 시 연결 라인(27)을 통해 승강 실린더(28)를 팽창시킴으로써 승강 실린더(28)를 올려 준다.
일례로 상기 페달 실린더(26)는 인/출입되는 실린더 로드가 페달 피봇 로드(22)와 연결됨으로써 페달(21)의 눌림에 의한 페달 피봇 로드(22)의 밀림이동으로 실린더 로드가 빠져 인출되고, 페달 실린더(26)는 실린더 로드의 빠짐으로 팽창됨으로써 승강 실린더(28)를 내려 준다. 이를 위해 상기 페달 실린더(26)는 공압 실린더를 적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 라인(27)은 페달 실린더(26)에서 승강 실린더(28)로 이어져 유체 이동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승강 실린더(28)는 연결 라인(27)으로 유체가 주입되거나 빠져나가 승강(즉, 유체 주입) 또는 하강(즉, 유체 빠짐)됨으로써 가변 바닥(29)을 위로 올리거나 밑으로 내려준다.
그러므로 상기 연결 라인(27)과 상기 승강 실린더(28)는 바닥 프레임(5)의 바닥 채널(5a)의 안쪽 공간에 수용되어 외부 노출되지 않는다.
특히 상기 연결 라인(27)은 한 쌍의 전/후방 연결 라인(27a,27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 실린더(28)는 한 쌍의 전/후방 승강 실린더(28a.28b)로 이루어진다. 이로부터 가변 바닥(29)은 보다 안정적인 지지를 통해 승/하강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방 연결 라인(27a)은 전방 승강 실린더(28a)를 페달 실린더(26)와 연결시켜 주고, 상기 후방 연결 라인(27b)은 후방 승강 실린더(28b)를 페달 실린더(26)와 연결시켜 준다. 이 경우 상기 전/후방 연결 라인(27a,27b)의 각각은 페달 실린더(26)의 실린더 하우징에서 동일한 부위로 연결되어 하우징 내부와 연통된다.
또한, 상기 전방 승강 실린더(28a)는 바닥 채널(5a)의 안쪽 공간에서 전방부위로 위치되어 가변 바닥(29)의 전방부위와 연결되며, 상기 후방 승강 실린더(28b)는 바닥 채널(5a)의 안쪽 공간에서 후방부위(즉, 페달쪽 위치)로 위치되어 가변 바닥(29)의 후방부위와 연결된다.
그러므로 상기 전/후방 연결 라인(27a,27b)은 배선 길이 측면에서, 상기 전방 연결 라인(27a)이 상기 후방 연결 라인(27b) 보다 긴 길이를 가짐으로써 라인 길이 차만큼 전방 승강 실린더(28a)와 후방 승강 실린더(28b)의 승/하강 이동 속도가 차이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전/후방 연결 라인(27a,27b)의 길이 차는 페달 실린더(26)의 배열 위치를 통해 해소될 수 있는데, 일례로 상기 페달 실린더(26)가 전방 승강 실린더(28a)와 후방 승강 실린더(28b)의 중간 위치에 놓임으로써 전/후방 연결 라인(27a,27b)의 길이를 동일하게 하여 승/하강 이동 속도가 차이를 없애 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변 바닥(29)은 편평한 판 형성의 직선 막대로 이루어져 바닥 프레임(5)의 바닥 채널(5a)과 일치된 형상을 이루고, 페달 미 작동 시 바닥 프레임(5)과 일치 상태(즉, 초기 상태의 상승 위치)를 유지하다가 페달 작동 시 바닥 프레임(5)과 바닥 하강상태(즉, 작동 상태의 하강 위치)로 전환된다.
한편 도 3 및 도 4는 상기 손잡이 고정 장치(30)를 구성하는 세부 구성요소 및 일부 구성요소의 변형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손잡이 고정 장치(30)는 서로 연결되어 “ㄷ" 구조를 형성하는 백 가드 프레임(31)과 백 가드(33)로 이루어지고, 상기 백 가드(33)를 이용하여 분리 가이더(35)와 홀더 노브(38) 및 고정 홀더(39)가 구비된다.
일례로 상기 백 가드 프레임(31)은 각각 “ㄴ”구조를 이루는 한 쌍의 좌/우측 프레임(32A,32B)으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 프레임(32A)이 백 가드(33)의 한쪽 부위와 상기 우측 프레임(32B)이 백 가드(33)의 반대쪽 부위로 연결됨으로써 손잡이 고정 장치(30)를 “ㄷ" 구조를 형성한다.
특히 상기 좌측 프레임(32A)은 좌측 지지 포스트(40A)로 상기 우측 프레임(32B)은 우측 지지 포스트(40B)로 각각 지지됨으로써 장비 탑재 공간(3)d[서 바닥 프레임(5)과 소정 높이를 형성하고, 필요 시 좌/우측 지지 포스트(40A,40B)와 고정 높이 조절로 고정됨으로써 바닥 프레임(5)과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이 경우 높이 조절 후 고정 방식은 볼트 또는 스크류 조절 구조(도시되 않음)를 적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백 가드(33)는 직선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직선 판 길이 중 좌/우측 프레임(32A,32B)과 연결된 좌/우 양끝의 삽입 길이를 제외한 백 가드 길이를 노출 구간으로 하여 상/하 분리 구조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백 가드(33)는 상/하 분리 구조를 한 쌍의 상/하부 백 가드(33A,33B)로 형성하고, 상기 상부 백 가드(33A)와 상기 하부 백 가드(33B) 사이를 분리 가이더(35)로 연결함으로써 분리 가이더(35)의 조작으로 벌어져 휠체어(100) 및 개인 모빌리티(200)의 손잡이(103,203)(도 6 내지 도 9 참조)가 고정되는 손잡이 고정 간극(33C)을 형성하여 준다.
일례로 상기 분리 가이더(35)는 한 쌍의 제1,2 분리 가이더(35A,35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분리 가이더(35A)는 상/하부 백 가드(33A,33B)의 한쪽부분(즉, 좌측부분)을 상기 제2 분리 가이더(35B)는 반대쪽부분(즉, 우측부분)을 연결함으로써 제1,2 분리 가이더(35A,35B)가 결합 상태에서 손잡이 고정 간극(33C)을 형성하도록 분리시켜 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2 분리 가이더(35A,35B)의 각각은 아우터 레일(36)과 이너 레일(37)로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아우터 레일(36)은 상/하부 백 가드(33A,33B)를 고정하며, 상기 이너 레일(37)은 아우터 레일(36)로 감싸여 아우터 레일(36)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여 준다.
특히 상기 아우터 레일(36)은 한 쌍의 상/하부 아우터 레일(36a,36b)로 구분되고, 상기 상부 아우터 레일(36a)은 상부 백 가드(33A)와 결합되어 상부 백 가드(33A)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하부 아우터 레일(36b)은 하부 백 가드(33A)와 결합되어 하부 백 가드(33A)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이너 레일(37)은 대중교통 차량(1)의 측부를 이루는 벽 프레임(7)에 수직한 상태로 세워져 고정 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홀더 노브(38)는 수나사를 형성한 볼트 축이 아우터 레일(36)의 암나사 홀과 나사 체결되고, 체결 상태에서 볼트 축 끝부위가 이너 레일(37)의 표면을 가압하여 고정시켜 준다. 즉, 상기 홀더 노브(38)는 나사 결합 구조로 그 회전 방향에 따라 분리 가이더(35)와 고정 상태를 해제 상태로 전환시켜준다.
일례로 상기 고정 홀더(39)는 백 가드(33)의 안쪽 공간으로 위치되고, 상/하부 백 가드(33A,33B) 중 상부 백 가드(33A)에 위치되나 필요 시 하부 백 가드(33B)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 홀더(39)는 모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 홀더(39)를 손잡이 홈(34)으로 변경하고, 상기 홀더 노브(38)를 홀더 핸들(38-1)로 변경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일례로 상기 손잡이 홈(34)은 백 가드(33)의 표면을 함몰시켜 수직 홈으로 형성함으로써 개인 모빌리티(200)의 손잡이(203)(도 9 참조)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이를 통해 손잡이 고정 장치(30)의 외관 디자인을 향상하면서 동시에 고정 홀더(39)의 조작 없이도 개인 모빌리티(200)를 거치할 수 있는 편리성이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홀더 핸들(38-1)은 한쪽 부위가 토셔널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의 탄발지지로 앞으로 젖혀 진 후 다시 초기 상태로 복원되는 방식으로 조작된다. 즉, 상기 홀더 핸들(38-1)은 젖힘(Swing-away) 결합 구조로 그 젖힙 방향에 따라 분리 가이더(35)와 고정 상태를 해제 상태로 전환시켜준다.
특히 상기 홀더 핸들(38-1)은 한 쌍의 상/하부 홀더 핸들(38-1A,38-1B)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홀더 핸들(38-1A)은 상부 백 가드(33A)의 핸들 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이너 레일(37)의 상부 핸들 고정 돌기(37a)와 결합되며, 상기 하부 홀더 핸들(38-1B)은 하부 백 가드(33B)의 핸들 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이너 레일(37)의 하부 핸들 고정 돌기(37b)와 결합된다.
그러므로 상기 상/하부 홀더 핸들(38-1A,38-1B)은 백 가드(33)의 표면을 같이 사용함으로써 평시 핸들 상태(도 4의 상단 그림)와 같이 백 가드(33)의 표면과 일치로 홀더 핸들(38-1)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므로 손잡이 고정 장치(30)의 외관 디자인을 향상하여 줄 수 있다. 반면, 상기 상/하부 홀더 핸들(38-1A,38-1B)은 상/하부 백 가드(33A,33B)의 핸들 홈에 삽입한 손가락으로 앞으로 젖혀주는 간단 한 조작만으로 사용시 핸들 상태(도 4의 하단 그림)와 같이 아우터 레일(36)과 이너 레일(37)의 고정 해제 상태로 전환시켜줌으로써 조작 편리성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상/하부 홀더 핸들(38-1A,38-1B)은 사용시 핸들 상태에서 평시 핸들 상태로 전환이 토셔널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의 복원력을 통해 이루어짐으로써 상/하부 백 가드(33A,33B)의 핸들 홈에 삽입한 손가락을 빼는 단순히 동작만으로 작동이 완료된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은 상기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10)에서 휠체어(100)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휠체어(100)가 장비 탑재 공간(3)에 들어오면 휠체어사용자 및/또는 동행자는 페달(21)의 조작으로 바퀴 고정 장치(20)를 작동시키면서 홀더 노브(38)의 조작으로 손잡이 고정 장치(30)를 작동시켜 준다. 이 경우 상기 페달(21)과 상기 홀더 노브(38)의 조작 순서는 정해진 것이 아니라 휠체어(100)의 거치 및 고정에 맞춰 이루어진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바퀴 고정 장치(20)의 작동은 페달(21)을 눌러줌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페달(21)은 페달 피봇 로드(22)와 결합 구조에서, 상기 페달(21)을 한번 밟아 실린더 유닛(25)의 페달 실린더(26)의 실린더 로드를 빼내어 페달 실린더 상사점으로 위치시켜 주며, 반면 다시 밟으면 페달 실린더 상사점 전환으로 락(Lock)이 풀려 실린더 로드가 들어가기 때문이다. 특히 상기 페달(21)의 복귀 과정에서 리턴 스프링(23)은 스프링 반력을 제공한다.
그러면 상기 페달 실린더(26)는 페달(21)의 눌림에 의한 팽창 시 전/후방 승강 실린더(28a,28b)의 유체(즉, 유압)를 전/후방 연결 라인(27a,27b)을 통해 빼내준다. 반면, 페달(21)의 눌림 해제에 의한 수축 시 페달 실린더(26)의 유체(즉, 유압)를 전/후방 연결 라인(27a,27b)을 통해 전/후방 승강 실린더(28a,28b)로 다시 보내 준다.
이어 상기 가변 바닥(29)은 바닥 프레임(5)의 바닥 채널(5a)과 일치된 형상을 이룬 상태에서 전/후방 승강 실린더(28a,28b)의 유체 빠짐(즉, 유압 저하)으로 전/후방 승강 실린더(28a,28b)와 함께 바닥 프레임(5)의 바닥 채널(5a)로 들어가는 바닥 하강상태(즉, 작동 상태의 하강 위치)로 전환된다. 반면, 상기 가변 바닥(29)은 페달 미 작동(즉, 페달 복귀) 시 전/후방 승강 실린더(28a,28b)의 상승 위치에서 지지되어 바닥 프레임(5)과 일치 상태(즉, 초기 상태의 상승 위치)를 유지한다.
그 결과 도 7과 같이, 상기 가변 바닥(29)은 바닥 프레임(5)과 바닥 하강 상태로 전환됨으로써 휠체어(100)의 바퀴(101)를 인입하고, 이를 통해 바퀴(101)가 바닥 채널(5a)에서 고정되어 휠체어(100)가 유동되지 않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손잡이 고정 장치(30)의 작동은 상/하부 홀더 노브(38A,38B)를 풀어 줌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상/하부 홀더 노브(38A,38B)는 제1,2 분리 가이더(35A,35B)와 나사 결합 구조에서, 상기 상부 홀더 노브(38A)는 상부 아우터 레일(36a)의 암나사 홀과 체결되며, 상기 하부 홀더 노브(38B)는 하부 아우터 레일(36b)의 암나사 홀과 체결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상기 상/하부 홀더 노브(38A,38B)의 각각은 볼트 해제 시 아우터 레일(36)과 이너 레일(37)을 고정 해제 상태로 전환시켜주고, 상기 고정 해제 상태는 이너 레일(37)에 대해 아우터 레일(36)이 상부 이동이나 하부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반면, 상기 상/하부 홀더 노브(38A,38B)의 각각은 볼트 체결 시 아우터 레일(36)과 이너 레일(37)을 고정 상태로 형성한다.
이와 같은 볼트 해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백 가드(33A)를 위로 올려 주거나 또는 하부 백 가드(33B)를 밑으로 내려주면, 상기 상부 백 가드(33A)가 이너 레일(37)을 따라 위로 올라가는 상부 아우터 레일(36a)과 함께 위로 상승되거나 또는 상기 하부 백 가드(33B)가 이너 레일(37)을 따라 밑으로 내려가는 하부 아우터 레일(36b)과 함께 밑으로 내려간다.
그 결과 도 7과 같이, 상기 상/하부 백 가드(33A,33B)는 손잡이 고정 간극(33C)을 형성함으로써 휠체어(100)의 손잡이(103)를 위치시킬 수 있고, 이어 손잡이 고정 간극(33C)이 좁아지도록 상기 상부 백 가드(33A)를 밑으로 내려 주거나 또는 하부 백 가드(33B)를 위로 올려 준 후 상/하부 홀더 노브(38A,38B)의 각각을 볼트 체결 상태로 다시 조작함으로써 손잡이(103)가 상/하부 백 가드(33A,33B)로 고정되어 휠체어(100)가 유동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8및 도 9는 상기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10)에서 개인 모빌리티(200)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개인 모빌리티(200)는 바퀴 고정 장치(20)를 통해 바퀴(201가 바닥 프레임(5)의 바닥 채널(5a)에 인입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바퀴 고정 장치(20)의 작동은 도 5를 통해 기술된 과정으로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상기 개인 모빌리티(200)의 손잡이(203)는 고정 홀더(39)의 조작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정 홀더(39)의 조작을 도 6을 통해 설명하면, 상기 고정 홀더(39)는 백 가드(33) 중 상/하부 백 가드(33A,33B)의 어느 한 위치에 고정된 일측부위를 힌지 축으로 하여 젖혀지는 푸시 락 버튼 구조로 작동됨으로써 고정 홀더(39)의 타측 부위를 이용한 푸시(F)와 회전(R)의 간단한 동작으로 사용 가능한 편리성과 함께 고정 홀더(39)의 열림 상태를 형성하여 준다.
그 결과 상기 개인 모빌리티(200)의 손잡이(203)를 젖혀진 고정 홀더(39)에 위치시킨 후 회전(R)의 조작으로 고정 홀더(39)를 복귀시킴으로써 손잡이(203)가 고정 홀더(39)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인 모빌리티(200)는 배터리 기반이므로 충전 콘센트(50)로 충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충전 동작은 개인 모빌리티(200)의 충전 코드를 충전 콘센트(50)에 꼽아 주는 단순 동작만으로 개인 모빌리티(200)의 배터리가 대중교통 차량(1)의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될 수 있는 편리함이 제공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개인 모빌리티(200)는 손잡이 홈(34)을 이용함으로써 고정 홀더(39)의 조작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개인 모빌리티(200)의 손잡이(203)를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손잡이 홈(34)이 백 가드(33)의 표면을 함몰시켜 수직 홈으로 형성함으로써 개인 모빌리티(200)의 손잡이(203)가 삽입되어 고정되기 E0oans이다.
그러므로 상기 손잡이 홈(34)이 적용되는 경우, 손잡이 고정 장치(30)는 외관 디자인을 향상하면서 동시에 고정 홀더(39)의 조작 없이도 개인 모빌리티(200)를 거치할 수 있는 편리성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손잡이 홈(34)은 백가드(33)의 표면 위로 돌출되어 외관이 불량하고 승객이 기대었을 때 이물감이 느켜지는 고정 홀더(39)의 단점도 해소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대중교통 차량(1)에 적용된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10)은 좌/우측 지지 포스트(40A,40B)로 구획된 장비 탑재 공간(3)의 바닥 프레임(5)에 노출된 페달(21)과 연동된 실린더 유닛(25)으로 가변 바닥(29)이 바닥 프레임(5)의 함몰된 바닥 채널(5a)을 노출시켜 휠체어(100)의 바퀴(101) 또는 개인 모빌리티(200)의 바퀴(201)를 삽입시켜 주고, 좌/우측 지지 포스트(40A,40B)와 결합된 백가드(33)의 상/하부 백 가드(33A,33B)에 의한 손잡이 고정 간극(33C)으로 휠체어(100)의 손잡이(103)를 고정하며, 백가드(33)의 고정 홀더(39) 또는 손잡이 홈(34)으로 개인 모빌리티(200)의 손잡이(203)를 고정함으로써 거동 약자의 대중교통 이동권 보장고하 개인 모빌리티 사용성도 가능하게 하고, 특히 요급과급 시스템과 연계한 백 가드(33)의 충전 콘센트(50)로 차량 배터리를 이용한 전동 휠체어(100) 및 개인 모빌리티(200)의 배터리 충전도 가능하다.
1 : 대중교통 차량
3 : 장비 탑재 공간 5 : 바닥 프레임
5a : 바닥 채널 7 : 벽 프레임
10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
20 : 바퀴 고정 장치 20-1,20-2 : 제1,2 바퀴 고정 장치
21 : 페달 22 : 페달 피봇 로드
23 : 리턴 스프링 25 : 실린더 유닛
26 : 페달 실린더 27 : 연결 라인
27a,27b : 전/후방 연결 라인
28 : 승강 실린더 28a. 28b : 전/후방 승강 실린더
29 : 가변 바닥
30 : 손잡이 고정 장치
31 : 백 가드 프레임 32A,32B : 좌/우측 프레임
33 : 백 가드 33A,33B : 상/하부 백 가드
33C : 손잡이 고정 간극 34 : 손잡이 홈
35 : 분리 가이더 35A,35B : 제1,2 분리 가이더
36 : 아우터 레일 36a,36b : 상/하부 아우터 레일
37 : 이너 레일 37a,37b : 상/하부 핸들 고정 돌기
38 : 홀더 노브 38A,38B : 상/하부 홀더 노브
38-1 : 홀더 핸들 38-1A,38-1B : 상/하부 홀더 핸들
39 : 고정 홀더
40 : 지지 포스트 40A,40B : 좌/우측 지지 포스트
50 : 충전 콘센트
100 : 휠체어
101,201 : 바퀴 103,203 : 손잡이
200 : 개인 모빌리티

Claims (22)

  1. 휠체어의 손잡이를 끼워 고정해 주는 손잡이 고정 간극이 형성된 백가드를 갖춘 손잡이 고정 장치; 및
    상기 백가드의 한쪽을 결합한 좌측 지지 포스트와 상기 백가드의 반대쪽을 결합한 우측 지지 포스트로 장비 탑재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휠체어 또는 개인 모빌리티가 상기 장비 탑재 공간에 위치되는 지지 포스트;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고정 장치는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으로 상기 백가드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백가드는 상부 백 가드와 하부 백 가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백 가드와 상기 하부 백 가드는 분리 가이더와 연결된 상/하 분리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상/하 분리 구조는 상기 상부 백 가드 또는 상기 하부 백 가드가 상기 분리 가이더로 안내되는 이동으로 상기 손잡이 고정 간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분리 가이더는 아우터 레일과 이너 레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우터 레일은 상기 상부 백 가드와 결합으로 함께 이동되는 상부 아우터 레일, 및 상기 하부 백 가드와 결합으로 함께 이동되는 하부 아우터 레일로 구성되며,
    상기 이너 레일은 상기 아우터 레일과 상기 하부 아우터 레일로 감싸이고, 수직하게 세워져 상기 상부 백 가드의 상승 이동 또는 상기 하부 백 가드의 하강 이동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분리 가이더는 상기 백가드의 일측에 구비된 제1 분리 가이더와 타측에 구비된 제2 분리 가이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분리 가이더는 홀더 노브 또는 홀더 핸들을 구비하고,
    상기 홀더 노브 또는 상기 홀더 핸들은 상기 분리 가이더와 고정 상태를 해제 상태로 전환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홀더 노브는 나사 결합 구조로 상기 분리 가이더와 고정 상태를 해제 상태로 전환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홀더 핸들은 젖힘(Swing-away) 결합 구조로 상기 분리 가이더와 고정 상태를 해제 상태로 전환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백가드는 고정 홀더 또는 손잡이 홈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홀더 또는 상기 손잡이 홈은 상기 개인 모빌리티의 손잡이를 고정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고정 홀더는 상기 백가드의 표면으로 돌출되고,
    푸시 락 버튼 구조로 상기 손잡이의 일부 부위를 감싸 고정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홈은 상기 백가드의 표면에서 함몰되고,
    함몰 깊이로 상기 손잡이의 일부 부위를 감싸 고정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백가드는 충전 콘센트를 구비하고,
    상기 충전 콘센트는 상기 휠체어의 배터리 또는 상기 개인 모빌리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전력을 공급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
  13. 수직하게 세워진 좌측 지지 포스트와 우측 지지 포스트의 간격으로 형성된 장비 탑재 공간의 바닥 프레임에 페달이 노출되고,
    상기 페달의 눌림에 의한 실린더 유닛의 작동을 통해 내려온 가변 바닥으로 상기 바닥 프레임의 함몰된 바닥 채널을 노출시켜 휠체어의 바퀴 또는 개인 모빌리티의 바퀴가 삽입되는 바퀴 고정 장치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페달은 차량용 풋 페달(Foot Pedal) 구조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유닛은
    상기 페달의 조작을 페달 피봇 로드로 연동하여 팽창 또는 수축되는 페달 실린더,
    상기 가변 바닥을 지지하는 승강 실린더, 및
    상기 페달 실린더와 상기 승강 실린더를 연결하고, 상기 팽창 시 상기 승강 실린더가 하강하도록 상기 승강 실린더의 유체를 상기 페달 실린더로 빼내주며, 상기 수축 시 상기 승강 실린더가 상승하도록 상기 페달 실린더의 유체를 상기 승강 실린더로 보내주는 연결 라인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페달 실린더와 상기 승강 실린더는 유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페달 피봇 로드는 상기 페달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와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 로드는 상기 페달의 누름에 의한 상기 페달 피봇 로드의 움직임으로 상기 페달 실린더에서 빠져 나와 상기 팽창의 상태를 형성하며, 리턴 스프링과 연동된 상기 페달의 복원에 의한 상기 페달 피봇 로드의 움직임으로 상기 페달 실린더로 들어가 상기 수축의 상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승강 실린더는 상기 가변 바닥의 일측 부위를 지지하는 전방 승강 실린더 및 타측 부위를 지지하는 후방 승강 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
  19.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바퀴 고정 장치는 상기 장비 탑재 공간에서 간격을 두고 상기 바닥 프레임에 설치된 제1 바퀴 고정 장치와 제2 바퀴 고정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
  20. 장비 탑재 공간;
    수직하게 세워져 상기 장비 탑재 공간을 휠체어 또는 개인 모빌리티가 위치되는 공간으로 구획하는 지지 포스트;
    상기 장비 탑재 공간의 바닥 프레임에 페달이 노출되고, 상기 페달의 조작과 연동된 실린더 유닛으로 상기 바닥 프레임의 함몰된 바닥 채널의 안쪽 공간으로 가변 바닥이 내려가 상기 휠체어의 바퀴 또는 상기 개인 모빌리티의 바퀴가 삽입되는 바퀴 고정 장치,
    상기 지지 포스트와 결합으로 상기 휠체어의 손잡이 또는 상기 개인 모빌리티의 손잡이를 고정하는 손잡이 고정 장치, 및
    상기 손잡이 고정 장치에서 노출되어 배터리 충전용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 콘센트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 차량.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지지 포스트는 한 쌍의 좌/우측 지지 포스트와 결합으로 소정 높이에 위치된 백가드로 상기 장비 탑재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 고정 장치는 상기 백가드의 한 쌍의 상/하부 백 가드로 손잡이 고정 간극을 형성하여 상기 휠체어의 손잡이를 고정하며, 상기 백가드에 고정 홀더 또는 손잡이 홈을 형성하여 상기 개인 모빌리티의 손잡이를 고정하며;
    상기 충전 콘센트는 상기 백가드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 차량.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고정 장치는 상기 좌/우측 지지 포스트에 결합되는 한 쌍의 좌/우측 프레임사이에 상기 백가드를 위치시켜 “ㄷ"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 차량.
KR1020210113066A 2021-08-26 2021-08-26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 및 대중교통 차량 KR202300308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066A KR20230030875A (ko) 2021-08-26 2021-08-26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 및 대중교통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066A KR20230030875A (ko) 2021-08-26 2021-08-26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 및 대중교통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875A true KR20230030875A (ko) 2023-03-07

Family

ID=85513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066A KR20230030875A (ko) 2021-08-26 2021-08-26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 및 대중교통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08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957B1 (ko) * 2023-12-06 2024-03-05 (주)엘더스티앤엘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044A (ko) 2019-12-11 2021-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설치용 휠체어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044A (ko) 2019-12-11 2021-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설치용 휠체어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957B1 (ko) * 2023-12-06 2024-03-05 (주)엘더스티앤엘 차량용 휠체어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84584B (zh) 电动滑板车
KR20230030875A (ko) 모빌리티 거치 시스템 및 대중교통 차량
CN109927829A (zh) 一种电动滑板车
US6042330A (en) Electrically actuated lifting and transferring apparatus
CN205396412U (zh) 电动滑板车
CN205543904U (zh) 一种具有双端辅助伸缩杆结构的便携电力维修箱
CN106184553B (zh) 一种折叠车锁紧机构及折叠车
CN100540389C (zh) 可折叠电动自行车
CN116766233A (zh) 一种模块化可拓展的教育机器人
CN109316270B (zh) 一种双手残疾人士专用系纽扣装置
CN114641428B (zh) 电池收容装置以及电动车辆
CN209091918U (zh) 折叠式电动轮椅车的锁定装置
CN212346944U (zh) 具有双折叠功能的电动轮椅车
CN211971309U (zh) 一种交联聚乙烯绝缘电缆生产用牵引装置
CN210364209U (zh) 一种可骑行电动旅行箱
CN111759603A (zh) 具有双折叠功能的电动轮椅车
CN201347025Y (zh) 推拉式特种车辆上车梯
CN108528601B (zh) 一种微型电动车
CN208248039U (zh) 一种便于老人上车的客车上车扶手
CN213964242U (zh) 一种新型助行车
CN217260490U (zh) 一种用于滑板车的折叠机构及滑板车
CN206761846U (zh) 一种步进式爬楼梯轮椅
CN209738946U (zh) 一种用于公交车的无障碍通行踏板装置
CN211929951U (zh) 一种方便检修的高压配电柜
CN213473418U (zh) 多功能老年人助行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