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173B1 -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173B1
KR101759173B1 KR1020150122610A KR20150122610A KR101759173B1 KR 101759173 B1 KR101759173 B1 KR 101759173B1 KR 1020150122610 A KR1020150122610 A KR 1020150122610A KR 20150122610 A KR20150122610 A KR 20150122610A KR 101759173 B1 KR101759173 B1 KR 101759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link
vehicle
hinge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5730A (ko
Inventor
정찬우
강병무
Original Assignee
(주)화담알앤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담알앤알 filed Critical (주)화담알앤알
Priority to KR1020150122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173B1/ko
Publication of KR20170025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or stretchers
    • A61G3/08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와 휠체어를 고정하는 고정 장치가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정확하게 고정될 수 있는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 내면에 탑재되는 휠체어를 차량 후단부 측면으로 이동하는 회전 베이스에 장착되어 휠체어를 차량 운전석 또는 보조석에 하되, 상기 회전 베이스에 부착되어 상기 휠체어를 상하로 이송하는 리프팅 장치, 상기 리프팅 장치에 부착되어 상기 휠체어를 차량의 운전석 또는 보조석으로 안내하는 수평 구동 장치 및 상기 수평 구동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휠체어를 고정하는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장치가 지면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 장치를 고정하는 록킹장치; 및 상기 고정 장치에 설치되어 휠체어를 고정하는 조작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Guiding device of wheelchai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트렁크에서 인출된 휠체어를 차량의 측면으로 안내하는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애인이 차량에 탑승하는 경우에는 휠체어 등을 포함하는 장애인용 보조 장치들을 동시에 수납해야 하므로, 일반적인 차량에 장애인들을 위한 별도의 장치들을 부가하여 탑승의 안전성 및 편리성을 도모하며, 상기와 같은 별도의 장치 구성은 다수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등록특허 제898390호에는 차량 후측으로 휠체어 탑재용 리프트나 슬로프가 장착되는 일정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일정공간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가이드프레임이 구비되며, 돌출부가 형성된 리어 플로워와, 상기 리어 플로워의 하부면과 상기 리어 플로워가 서로 접하는 어퍼패드와, 상기 어퍼패드와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리어 플로워를 지지하는 리어 서스펜션부가 장착된 휠체어 탑재용 장애인 차량에 있어서, 상기 어퍼패드와 코일스프링 사이에 일측으로 상기 코일스프링이 삽입되는 안착부와, 타측으로 어퍼패드에 삽입되고 일정높이를 가지는 높이보정대로 구성된 높이보정어퍼패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재용 장애인 차량를 들 수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794551호에는 리어 도어 안쪽에 접이식 슬로프가 장착되어 승차 및 하차 시에 슬로프를 펼쳐 휠체어를 탄 상태로 안전하게 승차 또는 하차할 수 있게 구성된 장애인용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탑승된 휠체어가 주행 도중에 흔들리지 않도록 안전하게 고정시켜 주는 휠체어 안전고정기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을 제공하는 목적을 위하여, 휠체어 안전고정기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은 차량 내부에 장착되어 열린 리어 도어를 통해 지면까지 경사지게 펼쳐지거나 또는 차량 내부로 접히는 슬로프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내부에는 휠체어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 개의 안전고정기가 장착되며, 상기 안전고정기에서 벨트를 풀어 상기 휠체어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휠체어를 고정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안전고정기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615692호에는 신체장애자의 휠체어를 차량의 지붕에 배치된 수납공간에 접은 상태로 수납하는 것으로, 접혀진 휠체어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본체를 차량의 지붕에 부착하는 부착수단과, 본체와 차량의 승강구 위쪽의 위치 사이를 전후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와, 상기 승강구로부터 휠체어를 승강시키는 리프트 상에 설치된 리프트 수단과, 상기 리프트 수단에 의해 승강되는 휠체어를 접기 위한 상기 리프트 수단과 연결되는 휠체어 접는 수단과, 상기 접혀진 휠체어를 지지하는 휠체어 홀더와, 상기 휠체어를 갖는 휠체어 홀더를 회전하므로써 수납부에 맞추어지도록 휠체어의 자세를 변경하는 자세변경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의 휠체어 수납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466446호에는 휠체어의 승강을 위한 승강판이 차량 플로어 하부의 보관부에 입,출 가능하게 구비되어지는 차량용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은, 설치시 선단부가 지면에 착지되어지는 메인승강판 및 상기 메인승강판의 후단측에 절첩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진 보조승강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승강판의 후단부에는 보관부에서 이탈이 방지되어지도록 수평 이동되어지는 지지 브라켓이 힌지 연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들은 다소 복잡한 전용 장치들이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되는 구조로 휠체어 인출 자체는 목적한 바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추가적인 구성들이 차량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되어 많은 차량의 개조가 수행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RV차량 등에서 차량의 뒷문을 열고, 장치를 작동 시키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측면에 휠체어를 안착하는 구성들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구성은 차량의 후면에 회전축을 일정 경사로 고정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 차량 배면에서 차량 측면에 휠체어를 인출하는 구성들이 다수 제안되었다.
상기 구성은 비교적 단순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동작 또한 단순한 등의 높은 장점이 있으나, 차량의 후단부에 휠체어가 인출되므로, 실제 장애인이 휠체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휠체어를 차량 운전석 또는 조수석으로 이동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된 특허출원 제2014-0094465호를 들 수 있다. 상기 특허는 차량의 후단부에 탑재된 휠체어를 먼저 차량의 측면으로 회전시킨 후, 하강 동작에 의하여 도로에 접촉시키고, 이후 텔레스코픽 장치에 의하여 운전석 또는 조수석으로 안내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어, 장애인의 휠체어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의 특허는 기본적인 특성에서 효율적인 동작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으나, 접혀진 휠체어의 고정 구성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또한 휠체어를 고정하는 고정장치가 상하 리프팅 장치에 고정되지 않아 일부 진동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휠체어와 휠체어를 고정하는 고정 장치가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정확하게 고정될 수 있는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 내면에 탑재되는 휠체어를 차량 후단부 측면으로 이동하는 회전 베이스에 장착되어 휠체어를 차량 운전석 또는 보조석에 하되, 상기 회전 베이스에 부착되어 상기 휠체어를 상하로 이송하는 리프팅 장치, 상기 리프팅 장치에 부착되어 상기 휠체어를 차량의 운전석 또는 보조석으로 안내하는 수평 구동 장치 및 상기 수평 구동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휠체어를 고정하는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장치가 지면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 장치를 고정하는 록킹장치; 및 상기 고정 장치에 설치되어 휠체어를 고정하는 조작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장치는: 2개의 측면패널; 상기 측면패널을 연결하는 복수의 가이드롤; 및 상기 측면패널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록킹 장치는: 상기 리프팅 장치에 안착되며, 홈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 구동 장치가 최소 스트로크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롤 중 하나의 가이드롤이 상기 홈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리프팅 장치에 고정되는 록킹지지부; 상기 록킹지지부에 힌지결합하는 고정링크; 상기 록킹지지부에 힌지 결합하는 작동링크; 상기 작동링크와 상기 고정링크에 끝단이 힌지 결합하는 연결링크; 및 상기 록킹지지부에 힌지결합하고, 작동 로드의 끝단이 상기 작동링크에 힌지 결합하는 작동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 액추에이터의 동작에 따라 상기 고정링크가 상기 안착부와 접촉 및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장치는: 상기 고정 장치에 일끝단이 힌지결합하는 가압링크; 상기 고정 장치에 힌지 결합하는 조작링크; 상기 가압링크의 타단과 상기 조작링크의 일단에 각각 힌지 결합하는 중간링크; 및 상기 가압링크와 조작링크가 결합하는 힌지에 결합하는 가압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압링크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가압봉이 상기 휠체어 바퀴의 외면과 접촉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링크와 상기 고정 장치를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는, 차량 후면에서 측면으로 회전 구동 후, 하강 및 전진 동작을 수행하는 고정 장치에 접혀진 휠체어의 고정을 위한 별도의 수동 장치를 부가하여 고정 장치에 휠체어를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상하 이송하는 리프팅 장치에 상기 고정 장치가 명확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결합장치를 추가하여 전체 가이드 장치의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 및 휄체어의 위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훨체어 가이드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평 구동 장치의 작동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수평 구동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고정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록킹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조작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접혀진 휠체어(1)가 차량(2) 후단부 측면에 위치한 후, 작동하여 차량의 운전석(조수석) 측면으로 이동시켜 장애인이 별도의 보조원 없이 휠체어(1)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2)은 RV차량이 바람직하며, 상기 차량(2) 내부에서 휠체어(1)가 차량(2) 후단부 측면으로 인출되는 방식은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며, 예를 들면, 차량(1) 내부에 수직에서 일정 경사지게 형성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횔체어(1) 안착부가 회전하여 차량(2)의 측면에 최종적으로 위치하는 구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구성은 구조적으로 단순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1)가 차량 측면에 일정 높이 위치한 구성에 작동하며, 차량(2) 후면에서 회전하여 휠체어(1)를 차량 측면으로 위치시키 회전 베이스(10)에 부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장치(100)는 상기 회전 베이스(10)에 고정되어, 상기 휠체어(1)를 상하로 리프팅하는 리프팅 장치(20), 상기 리프팅 장치(20)의 끝단에 부착되어 휠체어(1)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구동 장치(50), 상기 수평 구동 장치(50)의 끝단에 부착되어 상기 휠체어(1)를 고정하는 고정 장치(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프팅 장치(20)의 일단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베이스(10)에 고정되고, 타단에는 상기 수평 구동 장치(50)가 고정되는 선형 액추에이터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선형 액추에이터는 전기로 구동하며, 내부적으로 랙 앤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을 회전하는 모터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다른 전기식 선형 액추에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리프팅 장치(20)는 스트로크의 길이가 길지 않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선형 액추에이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팅 장치(20)는 끝단에 지면과 부착을 확인할 수 있는 근접 센서(21)를 포함하여 상기 리프팅 장치(20)의 작동을 중단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근접 센서(21)의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리프팅 장치(20)의 하강 동작을 중지시키면 된다.
상기 근접 센서(21)는 리프팅 장치(20)에 부착될 수 있으나, 필요한 경우 다른 부재, 예를 들면 고정 장치(80)에 부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수평 구동 장치(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상기 리프팅 장치(20)에 부착되며, 타단은 고정 장치(80)가 부착되며, 차량(2)의 길이 방향으로 스트로크를 가지며, 상기 고정 장치(80)를 수평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평 구동 장치(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팅 장치(20)에 고정되는 베이스(51), 상기 베이스(51) 내부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구동 모터(52), 상기 구동 모터(52)의 회전축에 결합하는 피니언(53), 상기 피니언(53)과 결합하는 구동기어(54), 상기 구동기어(54)과 치합하는 유연성 랙(55), 상기 유연성 랙(55)의 이동에 따라 스트로크가 변하는 텔레스코픽 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 모터(52)가 회전하면, 상기 회전력이 상기 구동기어(54)로 전달되어 상기 구동기어(54)가 회전하고, 상기 구동기어(54)가 회전하면, 상기 유연성 랙(55)이 이동한다.
필요한 경우, 상기 피니언(53)과 상기 구동기어(54) 사이에 기어를 추가하여 변속비를 높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연성 랙(55)이 상기 베이스(51)에 감기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51)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권취되도록 상기 베이스(51) 내부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51) 하단에는 베이스 배관(61)이 부착되고, 상기 베이스 배관(61) 내부에는 다수의 중간 배관(62)들이 순차적으로 삽입되며, 상기 중간 배관(62)의 마지막 내경에는 로드(63)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유연성 랙(55)의 끝단은 상기 로드(63)의 일단에 부착되며, 각 중간 배관(62)의 끝단에는 상기 유연성 랙(55)이 통과하는 가이드 부시(65)가 결합하며, 상기 베이스 배관(61), 중간 배관(62) 및 로드(63)는 삽입된 배관에서 빠지지 않도록 연결부 등에 스토퍼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연성 랙(55)은 측면 방향으로 변형 가능하고 길이가 긴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51) 내부에서는 권취되는 형태로 위치하고, 베이스(51)외부로 인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 부시(65)와 배관(61, 62)의 내경 크기에 따라 측면 변형이 제한되어 상기 배관(61, 22) 및 로드(63)를 인출할 수 있는 힘이 전달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모터(52)를 회전시키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로드(63)가 전진 또는 후진하여 전체 스트로크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최소 스트로크와 최대 스트로크의 비가 상대적으로 커서 작은 공간으로 수평 구동 장치(50)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수평 구동 장치(50) 중 로드(63)의 끝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1)를 고정하는 고정장치(80)가 연결된다.
상기 고정장치(80)는 측면으로 접혀진 휠체어(1)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2개의 측면패널(82)과 상기 측면패널(82)을 연결하는 다수의 가이드롤(83) 및 하단판(85)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하부의 2개의 가이드롤(83)에는 이동용 바퀴(81)가 부착된다. 이때 휠체어(1)는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롤(83)에 안착되며, 특히 휠체어 바퀴 부위가 상기 가이드롤(83)에 접촉하도록 상기 가이드롤(83)을 배치하며, 상기 수평 구동 장치(50)는 상기 하단판(85)에 연결된다.
즉, 상기 리프팅 장치(20)는 상기 고정장치(80)의 바퀴(81)가 지면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며, 이후에는 수평 구동 장치(50)에 의하여 상기 고정장치(80)를 밀어서 운전석 옆까지 이동한다.
상기 고정장치(80)가 운전석 옆까지 이동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휠체어(1)를 분리한 후, 펼쳐서 훨체어(1)를 사용하면 된다.
훨체어(1)의 사용이 완료된 경우, 사용자는 운전석에 탑승한 후, 휠체어(1)를 접어서 상기 고정장치(80)에 안착한 후, 수평 이동 장치(50)를 역으로 가동한 후, 상기 리프팅 장치(30)를 역으로 가동하면, 도 1과 같이 차량(2) 후단 측면에 휠체어(1)가 위치하므로, 이후 회전 베이스(10)를 역으로 작동하면, 전체 장치의 동작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 리프팅 장치(20)에는 상기 고정 장치(80)를 고정하기 위한 록킹 장치(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록킹장치(1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팅 장치(20)에 고정되는 안착부(11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안착부(111)에 형성된 홈에 상기 고정 장치(80)의 폭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롤(83) 중 하나가 안착된다.
즉, 상기 수평 구동 장치(50)가 최소의 스트로크 상태인 경우 상기 가이드롤(83)이 상기 안착부(111)에 안착된다.
또한 상기 록킹 장치(110)는 록킹지지부(112)가 상기 리프팅 장치(20)에 고정되며, 상기 록킹지지부(112)는 상기 고정 장치(80)와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지지부(112)에 끝단에 고정링크(113)가 힌지결합하고, 록킹지지부(112) 중앙부에 작동링크(114)가 힌지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작동링크(114)는 상기 고정링크(113)과 연결링크(115)에 의하여 힌지결합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록킹지지부(112), 작동링크(114), 연결링크(115) 및 고정링크(113)는 4절 링크 기구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록킹지지부(112)에는 작동 액추에이터(116)의 일단이 힌지 결합하고, 상기 작동 액추에이터(116)의 작동부는 상기 작동링크(114)에 힌지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작동 액추에이터(116)의 스트로크가 변경되며, 상기 고정링크(113)가 회전하여 상기 가이드롤(83)을 가압 또는 해제하여 고정 장치(80)를 리프팅 장치(20)에 추가적인 고정 및 해방한다.
특히 상기 고정링크(113)가 해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가이드롤(83) 하단에 위치하므로, 상기 고정 장치(80)의 수평 이동 궤적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록킹장치(110)는 상기 리프팅 장치(20)가 차량(1)의 측면으로 회전된 후, 하강 시에 상기 고정 장치(80)를 리프팅 장치(20)에 고정시키고, 바닥에 접촉 시 상기 작동 액추에이터(116)를 해방한 후, 수평으로 상기 고정 장치(80)를 이동하도록 제어하면, 전체 장치의 동작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 장치(80)에는 상기 휠체어(1)를 고정하기 위한 수동형 조작장치(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작장치(1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장치(80) 중 휠체어(1)의 바퀴부분과 접촉하는 가이드롤(83) 측면에 힌지결합하는 가압링크(121), 상기 고정 장치(80)에 힌지결합하는 조작링크(122), 상기 조작링크(122)의 끝단과 일단이 힌지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가압링크(121)의 끝단과 힌지 결합하는 중간링크(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링크(121)와 중간링크(123)의 끝단은 가압봉(125)이 결합되며, 상기 가압링크(121)는 전면 및 배면에 복수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조작링크(122)를 회전시키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봉(125)이 휠체어(1)의 바퀴의 원주면을 가압하여 휠체어(1)을 고정하고, 반대로 회전하는 경우, 휠체어(1) 고정이 해제된다.
또한, 상기 조작링크(122)는 휠체어(1) 고정 시 휠체어(1)의 측면에 위치하여 휠체어(1)의 측면 이동을 방지하는 추가의 기능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가압링크(121)와 상기 고정 장치(80) 사이에는 탄성부재(126)를 추가하여 구성하여 조작링크(122)의 귀환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1: 훨체어 2: 차량
10: 회전 베이스 20: 리프팅 장치
21: 근접 센서 50: 수평 구동 장치
51: 베이스 52: 구동 모터
53: 피니언 54: 구동 기어
55: 유연성 랙 60: 텔레스코픽 장치
61: 베이스 배관 62: 중간 배관
63: 로드 65: 가이드 부시
80: 고정 장치 81: 이동용 바퀴
82: 측면패널 83: 가이드롤
85: 하단판 100: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
110: 록킹장치 111: 안착부
112: 록킹지지부 113: 고정링크
114: 작동링크 115: 연결링크
116: 작동 액추에이터 120: 조작장치
121: 가압링크 122: 조작링크
123: 중간링크 125: 가압봉
126: 탄성부재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차량 내면에 탑재되는 휠체어를 차량 후단부 측면으로 이동하는 회전 베이스에 장착되어 휠체어를 차량 운전석 또는 보조석에 하되, 상기 회전 베이스에 부착되어 상기 휠체어를 상하로 이송하는 리프팅 장치, 상기 리프팅 장치에 부착되어 상기 휠체어를 차량의 운전석 또는 보조석으로 안내하는 수평 구동 장치 및 상기 수평 구동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휠체어를 고정하는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장치가 지면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 장치를 고정하는 록킹장치; 및
    상기 고정 장치에 설치되어 휠체어를 고정하는 조작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장치는:
    2개의 측면패널;
    상기 측면패널을 연결하는 복수의 가이드롤; 및
    상기 측면패널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단판;을 포함하며,
    상기 록킹 장치는:
    상기 리프팅 장치에 안착되며, 홈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 구동 장치가 최소 스트로크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롤 중 하나의 가이드롤이 상기 홈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리프팅 장치에 고정되는 록킹지지부;
    상기 록킹지지부에 힌지결합하는 고정링크;
    상기 록킹지지부에 힌지 결합하는 작동링크;
    상기 작동링크와 상기 고정링크에 끝단이 힌지 결합하는 연결링크; 및
    상기 록킹지지부에 힌지결합하고, 작동 로드의 끝단이 상기 작동링크에 힌지 결합하는 작동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 액추에이터의 동작에 따라 상기 고정링크가 상기 안착부와 접촉 및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작장치는:
    상기 고정 장치에 일끝단이 힌지결합하는 가압링크;
    상기 고정 장치에 힌지 결합하는 조작링크;
    상기 가압링크의 타단과 상기 조작링크의 일단에 각각 힌지 결합하는 중간링크; 및
    상기 가압링크와 조작링크가 결합하는 힌지에 결합하는 가압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압링크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가압봉이 상기 휠체어 바퀴의 외면과 접촉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크와 상기 고정 장치를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




KR1020150122610A 2015-08-31 2015-08-31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 KR101759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610A KR101759173B1 (ko) 2015-08-31 2015-08-31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610A KR101759173B1 (ko) 2015-08-31 2015-08-31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730A KR20170025730A (ko) 2017-03-08
KR101759173B1 true KR101759173B1 (ko) 2017-07-19

Family

ID=58403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610A KR101759173B1 (ko) 2015-08-31 2015-08-31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17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0335A (ja) * 1999-01-25 2000-08-02 Autech Japan Inc 車両用車椅子収納装置
JP2001315565A (ja) * 2000-03-01 2001-11-13 Tadanori Matsuda 車両用昇降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0335A (ja) * 1999-01-25 2000-08-02 Autech Japan Inc 車両用車椅子収納装置
JP2001315565A (ja) * 2000-03-01 2001-11-13 Tadanori Matsuda 車両用昇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730A (ko)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3323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US9463121B1 (en) Wheelchair assembly and system for ingress/egress to a vehicle using a door of a vehicle as support
US5096361A (en) Device for loading a folded wheelchair inside a motor vehicle
JP4746067B2 (ja) 自動車用乗降補助装置
WO2013038876A1 (ja) 車両シート装置
US20030098592A1 (en) Seat arrangement
KR101423323B1 (ko) 차량용 휠체어 이동 장치
KR20200071308A (ko) 휴대가 용이한 차량용 휠체어 리프트
KR101759173B1 (ko)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
JP4632120B2 (ja) 身体障害者車両用リフト装置
JP2009160303A (ja) 自動車用乗降補助装置
KR101072228B1 (ko) 자동차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높이 자동변경 장치
KR101212451B1 (ko) 장애인 차량용 슬라이딩 리프트
JP3137172U (ja) 昇降装置
KR20160012634A (ko)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
JP3042326B2 (ja) 車両用シートの昇降装置
JPH0134176B2 (ko)
JPH0789382A (ja) 車両又は自動車における座席の旋回・車外昇降装置
JPH08188079A (ja) 車両用リフターのプラットホームスライド装置
KR102536900B1 (ko) 장애인 픽업유닛을 구비한 휠체어 시스템
JP4321183B2 (ja) 車椅子の搬出入装置
JP2005145281A (ja) 車両の乗降補助装置
EP4039540A1 (en) Lifting mechanism for a foldable ramp for wheelchair access to a passenger car rear door and foldable ramp
JP5141958B2 (ja) 車両用昇降装置
JPH0736833Y2 (ja) 車両用リフタのロック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