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7680B1 - 안전성이 강화된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안전성이 강화된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7680B1
KR101177680B1 KR1020120002621A KR20120002621A KR101177680B1 KR 101177680 B1 KR101177680 B1 KR 101177680B1 KR 1020120002621 A KR1020120002621 A KR 1020120002621A KR 20120002621 A KR20120002621 A KR 20120002621A KR 101177680 B1 KR101177680 B1 KR 101177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ower
rotating plate
unit
driv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2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호
김현호
Original Assignee
김현호
김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호, 김선호 filed Critical 김현호
Priority to KR1020120002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76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680B1/ko
Priority to PCT/KR2013/000156 priority patent/WO201310577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63B21/005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22Resisting devices with rotary bodies
    • A63B21/222Resisting devices with rotary bodies by overcoming gyroscopic forces, e.g. by turning the spin ax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63B21/4015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to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29Benches specifically adapted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76Standing on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8Standing on the ha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개시된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는, 등받이부 및 발고정부를 구비한 회전판, 상기 회전판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한 동력발생유닛, 상기 회전판과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회전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동력발생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동력발생유닛은, 평상 시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축과 이격 설치되어 있으나 단전(斷電) 시에 상기 구동모터의 축과 연결시켜 상기 구동모터의 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킬 수 있는 보조구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성이 강화된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a Hand-standing machine enhanced safety}
본 발명은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 전원 상태에서도 구동이 가능하여 안전성이 향상된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에 대한 것이다.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는 헬스 클럽이나 가정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헬스 운동장치로서, 전원을 이용하여 회전판을 원하는 경사 각도로 회전시켜 꺼꾸로 매달려 물구나무서기를 하거나 수평이나 약간 경사지게 회전시킨 후 윗몸 일으키기를 할 수 있는 헬스 운동장치를 말한다.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고 마사지 기능 등 다양한 기능들을 추가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꺼꾸로 매달려 물구나무서기를 하는 도중 전력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안전성의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는 모터의 동력을 기어 및 감속기를 통해 회전축에 전달하는 구조이므로, 작동 중 단전될 경우 맞물려 있는 기어나 감속기가 맞물린 상태로 정지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힘으로 꺼꾸로 회전된 회전판을 원상태로 복구시킬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혼자서 이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단전될 경우 회전판에 꺼꾸로 매달린 상태에서 탈출하기 어렵고, 이것은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의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0376503호에서는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를 사용하다가 단전되는 경우 사용자가 측면에 설치된 수동기구를 힘으로 돌려 구동기어와 피동기어의 맞물림을 해제시킬 수 있는 전동 꺼꾸리 운동기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의 장치는 꺼꾸로 매달린 상태의 사용자가 많은 힘을 가해 기어의 맞물림을 해제시키는 것도 쉽지 않지만, 기어의 맞물림을 해체하면 회전판을 구속하는 힘이 갑자기 사라지기 때문에 무게가 쏠리는 쪽으로 쉽게 요동치기 쉬우며 회전판이 불안정하게 움직이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 않고는 사용자 혼자서 회전판을 원상태로 안전하게 돌리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꺼꾸로 매달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몸을 움직여 회전판을 원상태로 돌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실용신안공보 실1994-0007713호 공개특허공보 특2001-0007877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76503호 등록실용신안 제0140035호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도중 단전될 경우, 구동모터 고장 시 등 비상상황 발생 시, 사용자 혼자서도 큰 힘을 들이지 않고 편리하게 탈출할 수 있는 안전성이 강화된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는, 등받이부 및 발고정부를 구비한 회전판, 상기 회전판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한 동력발생유닛, 상기 회전판과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회전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동력발생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동력발생유닛은, 평상 시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축과 이격 설치되어 있으나 단전(斷電) 시에 상기 구동모터의 축과 연결시켜 상기 구동모터의 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킬 수 있는 보조구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유닛은, 제 1 내지 제 3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 1 스위치는 상기 연결부재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제어하고, 상기 제 2 스위치는 상기 발고정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 3 스위치는 단전 시 상기 보조구동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조구동유닛은, 축 구멍이 형성된 제 1 및 제 2 케이스,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기어가 형성된 모터 축을 구비한 보조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동력을 전달 받는 기어롤러, 상기 기어롤러의 일 측에 연결된 완충롤러, 상기 기어롤러의 타 측에 연결된 제 1 축 및 상기 완충롤러에 연결된 제 2 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유닛에 가한 외력을 제거할 때, 상기 동력전달유닛을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 1 축에 설치된 제 1 코일스프링과, 상기 제 2 축에 설치된 제 2 코일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코일스프링의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제 1 축에 고정된 와셔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축은 상기 제 1 케이스의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 2 축은 상기 제 2 케이스의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제 2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사용자가 상기 제 1 축을 가압하면 상기 제 2 축은 상기 구동모터의 축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는, 사용 도중에 특히 꺼꾸로 매달려 운동하는 도중에 구동모터가 고장 나거나 제 1 스위치가 고장이 나거나 정전이 되는 등 비상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사용자 혼자의 힘으로 쉽고 편리하게 탈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3 스위치와 제 1 축을 동시에 눌러야 작동되는 장치이므로, 보조구동유닛의 의도되지 않은 작동이 발생할 확률이 적어 사용상 안전성이 확보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를 도시한 측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에서 제어유닛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3 은, 도 1에 도시된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에서, 동력발생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에서 보조구동유닛의 각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2의 Ⅴ-Ⅴ라인을 따라 절개한 도면으로서, 도 5는 구동모터의 축과 연결 전 상태를, 도 6은 구동모터의 축과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사용자가 도 1의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 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로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10)는, 회전판(31), 지지프레임(15), 연결부재(17,19), 제어유닛(14) 및, 동력발생유닛(12)을 포함한다.
회전판(31)은 등받이부(34)와 발고정부(20)를 구비하며, 등받이부(34)와 발고정부(20) 사이의 간격은 사용자의 키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다. 회전판(31)은 이미 공지된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지지프레임(15)은 두 개의 베이스 프레임(18), 두 개의 수직 프레임(16), 3개의 연결프레임(21)으로 구성된다. 지지프레임(15)은 제어유닛(14), 동력발생유닛(12) 및 회전판(31)을 지지하며, 회전판(31)이 회전되는 동안에도 요동이 없도록 회전판(31)을 견고하게 지지한다.
연결부재(17,19)는, 지지프레임(15)의 상단에 고정된 동력발생유닛(12)과 회전판(31) 사이에 설치된 좌측 연결부재(17), 제어유닛(14)과 회전판(31) 사이에 설치된 우측 연결부재(19)이 있으며, 회전판(31)과 같이 회전되면서 이들을 서로 연결시키며 이들의 구성은 동일하다. 좌측 및 우측 연결부재(17,19)에는 손잡이(30,32)가 돌출되어 있다. 우측손잡이(32)의 단 부에는 제 1 스위치(22)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스위치(22)는 상용 전원과 상시 연결되어 있으며 회전판(31)의 회전을 제어한다. 제 1 스위치(22)를 누르는 방향으로 회전판(31)은 회전된다.
제어유닛(14)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원통형커버(23)와 반구형 커버(25)로 밀폐되어 있고, 제 1 내지 제 3 스위치(22,24,26)를 포함한다. 제 1 스위치(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우측 연결부재(19)에 설치된 우측손잡이(32) 단 부에 설치되어 있고, 제 2 스위치(24) 및 제 3 스위치(26)는 원통형커버(23)에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스위치(22)는 상시 전원과 연결되어 있으며 회전판(31)을 회전시키고, 제 2 스위치(24)는 회전판의 발고정부(20)를 제어한다. 즉 발을 끼우거나 분리할 때 제 2 스위치(24)를 조작한다. 제 2 스위치(24)는 원통형커버(23)의 전면 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 3 스위치(26)는 사용자가 꺼꾸로 매달린 상태에서도 조작이 편리하도록, 원통형 커버(23)에서 제 2 스위치(24)와 반대측 위치 즉 원통형커버(23)의 후면 부에 설치되며, 비상시 사용하는 스위치이다. 제 3 스위치(26)는 배터리(42)와 연결되어 전원을 받으며, 후술되는 보조구동모터(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2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호 44는 콘덴서이다.
동력발생유닛(12) 은,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원통형 커버(35)와 반구형 커버(36)로 밀폐되어 있으며, 구동모터(38), 감속기(40), 보조구동유닛(100)을 포함한다.
구동모터(38) 및 감속기(4)0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보조구동유닛(100)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 1 케이스(106) 및 제 2 케이스(108), 보조구동모터(110), 동력전달유닛(101)을 포함한다.
제 1 케이스(106) 및 제 2 케이스(108)는 보조구동모터(110)와 동력전달유닛(101)을 밀폐하여 보호하는 케이스로서, 각각 축 구멍(128,130)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축 구멍(128,130)에는 베어링(124,126)이 장착 고정되어 있으며, 베어링(124, 126)을 관통하여 동력전달유닛(101)의 제 1 및 제 2 축(104,102)이 삽입되어 제 1 및 제 2 케이스 외부로 돌출된다.
보조구동모터(110)는 전기적으로 배터리(42)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 1 및 제 2 케이스(106,108) 내부에 장착된다. 보조구동모터(110)의 일 측으로는 모터 축(112)이 돌출되어 있으며, 모터 축(112)과 기어롤러(114)는 직각 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고 감속을 크게 하기 위해 웜기어의 형상을 갖는다.
동력전달유닛(101)은 보조구동모터(110) 및 모터 축(112)에 대하여 수직으로 교차되도록 설치되며, 제 1 및 제 2 축(104,102), 제 1 및 제 2 코일스프링(116,118), 와셔부재(122), 완충롤러(120) 및 기어롤러(114)를 구비한다.
제 1 축(104)은 동력전달유닛(101)을 사용자가 밀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원형단면을 갖도록 구성된다. 제 2 축(102)은 6각형 단면을 갖고, 완충롤러(120)의 일 측에 고정된다. 6각 단면을 갖는 축을 사용하는 것은 종래기술의 구동모터의 일 측으로 돌출된 구동모터(38)의 축(62)이 6각형 단면을 갖는 홈을 구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 2 축(102)은 구동모터의 축(62)에 형성된 홈의 단면형상에 따라 다양한 단면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구동모터 축(62)의 홈이 4각 단면이면, 이에 맞물리도록 4각형 단면을 갖는 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제 2 축(102)의 단면은 맞물림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5각형 또는 6각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2 축(102)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동모터의 축(62) 홈도 이와 동일한 단면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코일스프링(116)은 제 1 축(104)에 설치되며, 일 단이 와셔부재(122)에 고정되고 타 단은 기어롤러(114)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제 1 코일스프링(116)은 제 1 축(104)이 제 2 커버(108)의 외부로 적당한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하며 과도하게 돌출되거나 너무 적게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제 2 코일스프링(118)은 제 2 축(102)에 설치된다. 사용자가 제 1 축(104)을 누르면 제 2 코일스프링(118)은 압축되고 제 1 코일스프링(116)은 신장된다.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제 2 코일스프링(118)과 제 1 코일스프링(116)의 복원력에 의해 동력전달유닛(101)을 구동모터 축(62)과 연결을 해제시킨다.
와셔부재(122)는 제 1 축(104)이 와셔부재 내부를 관통하여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도 5와 같이 베어링(126)의 일 단부가 고정되고 타 단부는 기어롤러(114)에 고정 설치된다.
완충롤러(120)는 제 2 축(118)에 장착되어 함께 회전된다. 기어롤러(114) 회전하면 같이 회전하고 정지하면 같이 정지된다. 그러나, 완충롤러(120)를 제 2 축(102)과 연결되지 않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즉 완충롤러(120)와 제 2 축(102) 사이에 베어링(미도시)을 설치하여 완충롤러(120)가 제 2 축(102)에 대하여 공 회전 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완충롤러(120)는 독자적으로 회전되지 못하도록 표면에 나사 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다. 완충롤러(120)의 외경은 기어롤러(114)의 외경 보다 작게 구성된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모터 축(112)과 수직으로 교차하더라도 모터 축(112)과 완충롤러(120) 간에는 약간의 간격이 있고 서로 접촉되지 않는다.
기어롤러(114)는 표면에 웜기어의 형상이며, 상술한 보조구동모터(110)의 모터 축(112)과 맞물리거나 분리된다. 90도로 동력을 전달하는 베벨기어의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감속비를 크게 하기 위해 모터축(112)과 기어롤러(114)는 웜기어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어롤러(114)는 도 5와 같은 평상시의 위치에서는 모터축(112)과 연결되지 않지만, 도 6과 같이 위치 이동한 상태에서는 모터축(112)과 기어롤러(114)는 웜과 웜휠과 같이 직각으로 맞물려 동력을 전달한다.
보조구동모터(110)와 동력전달유닛(101)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대(142) 및 가이드돌기(165,152)에 의해 제 1 및 제 2 케이스(106,108)에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10)의 작동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평상 시 사용자는 회전판(31)에 몸을 기대고 제 2 스위치(24)를 이용하여 발고정부(20)에 발을 고정시킨 후 제 1 스위치(22)를 이용하여 회전판(31)을 기울여 가며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10)를 사용한다.
제 1 스위치(22)는 좌, 우측 연결부재(17,19)와 회전판(31)과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회전판(31)이 회전되어 몸의 기울기가 달라지더라도 제 1 스위치(22)를 조작하는 데 문제가 없다. 회전판(31)이 완전히 꺼꾸로 세워진 상태에서 사용자는 도 7과 같이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10)의 후방을 바라보게 되며 발고정부(20)에 고정된 발을 의지한 채로 몸은 꺼꾸로 매달린 상태가 된다.
이런 상태에서 단전이 되거나 구동모터(38)가 고장 나는 경우, 사용자는 반구형 커버 밖으로 돌출된 동력전달유닛(12)의 제 2축(104)을 눌러 구동모터의 축(62)과 보조구동유닛(100)을 연결시킨 후 제 3 스위치(26)를 조작하여 회전판(31)을 원래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도 1 및 도 6 참조).
도 5는 제 1 축(104)을 누르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사용자가 제 1 축(104)을 누르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꺼꾸로 매달려 운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갑자기 단전이 되는 등 비상 사태가 발생하여 사용자가 제 1 축(104)을 누르면, 도 6과 같이 제 2 코일스프링(118)이 압축되면서 기어롤러(114)와 모터 축(112)이 맞물리고 제 2 축(102)은 구동모터의 축(62) 홈에 삽입되어 구동모터의 축(62)과 제 2 축(102)이 연결된다. 사용자가 제 1 축(104)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제 3 스위치(26)를 조작하면 배터리(42)를 통해 보조구동모터(110)로 전원이 인가되어 보조구동모터(110)가 작동한다. 보조구동모터(110)의 회전력은 맞물린 기어롤러(114)에 전달되고 기어롤러(114)의 회전력은 제 2 축(102)을 통해 구동모터의 축(62)으로 전달되어 회전판(31)을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원이 단전되는 비상상황에서도 안전하게 회전판(31)을 원위치 한 후 탈출할 수 있다.
만약 구동모터(38)가 작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수로 제 1 축(104)을 눌러 기어롤러(114)와 모터 축(112)이 서로 맞물린다 하더라도, 제 3 스위치(26)를 누르지 않으면 보조구동모터(110)가 작동하지 않으므로 오작동할 우려가 없다. 또한, 실수로 제 3 스위치(26)를 눌러 보조구동모터(110)를 작동시킨다 할지라도 평상 시에는 모터 축(112)과 기어롤러(114)가 맞물려 있지 오작동이 역시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평상시 사용시 오작동할 우려가 적을 뿐 아니라 단전 시에 자력으로 쉽게 탈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 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 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
12: 동력발생유닛
14: 제어유닛
15: 지지프레임
17, 19: 좌측 및 우측 연결부재
31: 회전판
100:보조구동유닛
101:동력전달유닛
110: 보조구동모터
112: 모터 축
114:기어롤러
120: 완충롤러
104, 102: 제 1 및 제 2 축

Claims (7)

  1. 등받이부 및 발고정부를 구비한 회전판;
    상기 회전판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한 동력발생유닛;
    상기 회전판과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회전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동력발생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동력발생유닛은, 평상 시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축과 이격 설치되어 있으나 단전(斷電) 시에 상기 구동모터의 축과 연결시켜 상기 구동모터의 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킬 수 있는 보조구동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제 1 내지 제 3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 1 스위치는 상기 연결부재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제어하고, 상기 제 2 스위치는 상기 발고정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 3 스위치는 단전 시 상기 보조구동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구동유닛은,
    축 구멍이 형성된 제 1 및 제 2 케이스;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기어가 형성된 모터 축을 구비한 보조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동력을 전달 받는 기어롤러;
    상기 기어롤러의 일 측에 연결된 완충롤러;
    상기 기어롤러의 타 측에 연결된 제 1 축; 및
    상기 완충롤러에 연결된 제 2 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유닛에 가한 외력을 제거할 때, 상기 동력전달유닛을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 1 축에 설치된 제 1 코일스프링과, 상기 제 2 축에 설치된 제 2 코일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코일스프링의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제 1 축에 고정된 와셔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은 상기 제 1 케이스의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 2 축은 상기 제 2 케이스의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제 2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사용자가 상기 제 1 축을 가압하면 상기 제 2 축은 상기 구동모터의 축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
KR1020120002621A 2012-01-09 2012-01-09 안전성이 강화된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 KR101177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621A KR101177680B1 (ko) 2012-01-09 2012-01-09 안전성이 강화된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
PCT/KR2013/000156 WO2013105778A1 (ko) 2012-01-09 2013-01-09 안전성이 강화된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621A KR101177680B1 (ko) 2012-01-09 2012-01-09 안전성이 강화된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7680B1 true KR101177680B1 (ko) 2012-08-27

Family

ID=46887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2621A KR101177680B1 (ko) 2012-01-09 2012-01-09 안전성이 강화된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77680B1 (ko)
WO (1) WO2013105778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5021A (ko) * 2012-11-15 2015-07-22 티센크루프 마린 시스템즈 게엠베하 잠수함
KR101815427B1 (ko) * 2017-08-31 2018-01-08 김선호 안전성이 향상된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
KR101884157B1 (ko) 2018-04-30 2018-07-31 최수미 전동식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KR102133793B1 (ko) 2019-08-26 2020-07-14 최수미 적외선 방식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KR20210092955A (ko) 2020-01-17 2021-07-27 김재하 멀티 코어운동을 위한 헬스장치
KR102409224B1 (ko) 2022-01-13 2022-06-15 주식회사 코헬스코 듀얼 자세 운동이 가능한 거꾸리 운동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503Y1 (ko) * 2004-09-21 2005-03-10 안배현 전동식 꺼꾸리 헬스 운동구
KR200431988Y1 (ko) 2006-09-05 2006-11-27 이광호 전동식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손잡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8947A (ko) * 2001-05-23 2001-08-22 권구범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계기구의 상체를 활용한 전신훈련방법
KR200431989Y1 (ko) * 2006-09-05 2006-11-27 이광호 전동식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구동장치
KR101038028B1 (ko) * 2009-06-09 2011-05-30 강희정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503Y1 (ko) * 2004-09-21 2005-03-10 안배현 전동식 꺼꾸리 헬스 운동구
KR200431988Y1 (ko) 2006-09-05 2006-11-27 이광호 전동식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손잡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5021A (ko) * 2012-11-15 2015-07-22 티센크루프 마린 시스템즈 게엠베하 잠수함
KR101954488B1 (ko) * 2012-11-15 2019-03-05 티센크루프 마린 시스템즈 게엠베하 잠수함
KR101815427B1 (ko) * 2017-08-31 2018-01-08 김선호 안전성이 향상된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
KR101884157B1 (ko) 2018-04-30 2018-07-31 최수미 전동식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KR102133793B1 (ko) 2019-08-26 2020-07-14 최수미 적외선 방식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KR20210092955A (ko) 2020-01-17 2021-07-27 김재하 멀티 코어운동을 위한 헬스장치
KR102409224B1 (ko) 2022-01-13 2022-06-15 주식회사 코헬스코 듀얼 자세 운동이 가능한 거꾸리 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05778A1 (ko) 201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7680B1 (ko) 안전성이 강화된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
KR200382969Y1 (ko) 전동식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CN106531491B (zh) 自动转换开关的操作机构
KR101815427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
JP6180013B2 (ja) 観覧車
CN112451318B (zh) 一种基于滑块传动的助力行走装置
CN103750682A (zh) 产品三维展示台
KR20080020866A (ko) 보조보행기
JP4107665B2 (ja) 歩行訓練装置
KR20210000939A (ko) 기구적 자기강화 작용을 이용한 수동 휠체어 이동 보조 장치
KR101195953B1 (ko) 전동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수동선회 전환장치
JP2016164040A (ja) キャスタ、及び移動用自助具
CN214232484U (zh) 一种充电站灭火器存放装置
US9192540B1 (en) Electric inversion table
KR100956139B1 (ko) 운전 기능이 향상된 전동 무빙 카트
CN207571396U (zh) 一种减轻使用者头部负重的vr眼镜
CN103657005B (zh) 一种具有安全保护归位装置的倒立机
CN108578090B (zh) 一种智能推椅
CN105288959A (zh) 倒立机
CN203677872U (zh) 一种具有安全保护归位装置的倒立机
CN111803975B (zh) 可折叠平衡板迷宫
CN203458791U (zh) 平衡仪
KR20220026454A (ko) 상지 및 하지 운동기구
CN218793689U (zh) 多档位消防报警救援机构
JP2017144029A (ja) 歩行運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