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105778A1 - 안전성이 강화된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안전성이 강화된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05778A1
WO2013105778A1 PCT/KR2013/000156 KR2013000156W WO2013105778A1 WO 2013105778 A1 WO2013105778 A1 WO 2013105778A1 KR 2013000156 W KR2013000156 W KR 2013000156W WO 2013105778 A1 WO2013105778 A1 WO 201310577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haft
rotating plate
power
drive mot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015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현호
김선호
Original Assignee
Kim Hyun Ho
Kim Seon Ho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Kim Hyun Ho, Kim Seon Ho filed Critical Kim Hyun Ho
Publication of WO201310577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0577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63B21/005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22Resisting devices with rotary bodies
    • A63B21/222Resisting devices with rotary bodies by overcoming gyroscopic forces, e.g. by turning the spin ax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63B21/4015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to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29Benches specifically adapted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76Standing on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8Standing on the hand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orized bobbin exercis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torized bobbin exercise device that can be driven even in a non-powered state improved safety.
  • Electric gymnastics exercise equipment is widely used in gyms and homes, it is a fitness exercise equipment that can rotate the rotating plate to the desired inclination angle by using power to hang upside down or rotate the body horizontally or slightly inclined Refers to an exercise devic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when the power is cut off during use,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when the drive motor failure, safety enhanced electric power that can be easily escaped without great effort by the user alone It is to provide an exercise device.
  • the electric locomotive exercis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rotating plate having a backrest and a foot fixing part, a support frame rotatably supporting the rotating plate, is installed on the supporting frame, A power generating unit having a driving motor to generate the connecting member, the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supporting frame and the rotating plate while being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ng plate, and a control unit installed on the supporting frame and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power generating unit.
  • the power generating unit is usually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shaft of the drive motor, but is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drive motor in the case of power failure, the auxiliary drive unit that can rotate the rotating plate by rotating the shaft of the drive motor It further comprises.
  •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with a first to third switches, the first switch is rotated with the connecting member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late, the second switch controls the foot fixing portion, the third The switch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auxiliary drive unit when the power is cut off.
  • the auxiliary driving unit includes: a first driving motor having a shaft hol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cases, the first and second cases, and a motor shaft formed with gears;
  • a power transmission unit for receiving the power from the auxiliary drive motor to selectively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to the shaft of the drive motor.
  • the power transmission unit may include a gear roller receiving power, a buffer rolle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gear roller, a first shaft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gear roller, and a second shaft connected to the buffer roller.
  • the elastic member includes a first coil spring provided on the first shaft and a second coil spring provided on the second shaft, and the washer member fixed to the first shaft while restricting movement of the first coil spring. It may further include.
  • the first shaft is installed to protrude out of the first case through the hole of the first case
  • the second shaft is installed to protrude out of the second case through the hole of the second case
  • Presses the first shaft the second shaft may be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driving motor.
  • the electric locomotive exercis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scape easily and conveniently by the user's own power even when an emergency occurs such as a driving motor failure, a first switch failure or a power failure during the exercise of hanging upside down. There is an advantage.
  •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evice is operated only by pressing the third switch and the first shaft at the same time, the probability of unintentional operation of the auxiliary drive unit is less likely to occur, ensuring safety in use.
  • FIG. 1 is a side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ic locomotive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ontrol unit in the electric locomotive exercise apparatus shown in Figure 1,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power generating unit in the electric bobbin exercise device shown in FIG.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parate components of the auxiliary drive unit in the electric locomotive exercise device shown in Figure 1,
  • FIG. 5 and 6 are views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2,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connection with a shaft of a drive motor, and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connected with a shaft of a drive motor.
  •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ser uses the electric locomotive exercise device of FIG. 1.
  • the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third switches are provided, the first switch is rotated with the connecting member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late, the second switch controls the foot fixing portion,
  • the third switch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auxiliary drive unit when the power is cut off.
  • the auxiliary driving unit includes a first driving motor having a shaft hol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cases, the first and second cases having a shaft hole, and includes a gea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power transmission unit for receiving and selectively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to the shaft of the drive motor.
  • the power transmission unit may include a gear roller receiving power, a buffer rolle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gear roller, a first shaft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gear roller, and a second shaft connected to the buffer roller.
  • a gear roller receiving power When removing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for moving the power transmission unit to its original position.
  • the elastic member includes a first coil spring provided on the first shaft and a second coil spring provided on the second shaft, and the washer member fixed to the first shaft while restricting movement of the first coil spring. It may further include.
  • the first shaft is installed to protrude out of the first case through the hole of the first case
  • the second shaft is installed to protrude out of the second case through the hole of the second case, Presses the first shaft, the second shaft may be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driving motor.
  • first, second,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 the motorized locomotion apparatus 10 includes a rotating plate 31, a support frame 15, connecting members 17 and 19, a control unit 14, and a power source. And a generating unit 12.
  • Rotating plate 31 has a backrest 34 and the foot fixing portion 20, the backrest 34 and
  • the interval between the footing portions 2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Since the rotating plate 31 is already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support frame 15 is composed of two base frames 18, two vertical frames 16, and three connection frames 21.
  • the support frame 15 supports the control unit 14, the power generating unit 12, and the rotating plate 31, and the rotating plate so that there is no swing even while the rotating plate 31 is rotated.
  • the connecting members 17 and 19 may include the power generating unit 12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15.
  • left connecting member 17 installed between the rotating plate 31, the right connecting member 19 provided between the control unit 14 and the rotating plate 31,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ng plate 31 to connect them to each other
  •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Handles on left and right connecting members 17 and 19
  • the first switch 22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right handle 32.
  • the first switch 22 is always connected to the commercial power source and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late 31.
  • the rotating plate 31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pushing the first switch 22.
  • control unit 14 the cylindrical cover 23 and the hemispherical cover
  • the first switch 22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right handle 32 installed on the right connecting member 19, and the second switch 24 and the third switch 26 are cylindrical covers 23. Installed i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witch 22 is connected to the constant power source and rotates the rotary plate 31, and the second switch 24 controls the foot fixing part 20 of the rotary plate. That is, the second switch 24 is operated when the foot is inserted or removed.
  • the second switch 24 is provid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cylindrical cover 23.
  • the third switch 26 is install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second switch 24 in the cylindrical cover 23, that is, at the rear part of the cylindrical cover 23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it even when the user is suspended upside down. to be.
  • the third switch 26 is connected to the battery 42 to receive power,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uxiliary drive motor 110 to be described later.
  • Reference numeral 44 which is not described in FIG. 2, is a capacitor.
  • the power generating unit 12 includes a cylindrical cover 35 and a hemispherical cover.
  • Hermetically sealed at 36, the drive motor 38, the speed reducer 40, and the auxiliary drive unit 100 are included.
  • the auxiliary drive unit 100 includes a first case 106 and a second case 108, an auxiliary drive motor 110,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101.
  • the first case 106 and the second case 108 are cases for sealing and protecting the auxiliary drive motor 110 a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01, and shaft holes 128 and 130 are formed, respectively.
  • Bearings 124 and 126 are fixed to each of the shaft holes 128 and 130, and the first and second shafts 104 and 102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01 are inserted through the bearings 124 and 126 to insert the first and second shafts. 2 It protrudes out of the case.
  • the auxiliary drive motor 1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42 and is mounted in the first and second cases 106 and 108. One side of the auxiliary drive motor 110, the motor shaft 112
  • the motor shaft 112 and the gear roller 114 has the shape of a worm gear to transmit power in a right angle direction and increase the deceleration.
  •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01 is installed to vertically intersect the auxiliary drive motor 110 and the motor shaft 112, and includes first and second shafts 104 and 102, first and second coil springs 116 and 118, and washers.
  • a member 122, a buffer roller 120, and a gear roller 114 are provided.
  • the first shaft 104 is used when the user pushes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01, and is configured to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 the second shaft 102 has a hexagonal cross section and is fixed to one side of the buffer roller 120.
  • the reason why the shaft having a hexagonal cross section is used is that the shaft 62 of the driving motor 38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conventional driving motor has a groove having a hexagonal cross section.
  • the second shaft 102 may be configured to have various cross sections accor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groove formed in the shaft 62 of the drive motor. That is, if the groove of the drive motor shaft 62 is a quadrilateral cross section, it may be configured as a shaft having a quadrilateral cross section so as to engage with it.
  •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shaft 102 is preferably configured to have a pentagon or hexagon to facilitate engagement and separation, and the groove of the shaft 62 of the drive motor is also provided to accommodate the second shaft 102. It is preferable to comprise so that it may have the same cross section.
  • the first coil spring 116 is installed on the first shaft 104, one end is fixed to the washer member 122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gear roller 114.
  • the first coil spring 116 allows the first shaft 104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cover 108 by an appropriate length and not to protrude excessively or too little.
  • the second coil spring 118 is installed on the second shaft 102. When the user presses the first shaft 104, the second coil spring 118 is compressed and the first coil spring 116 is extended. When the pressing force is remove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01 is disconnected from the drive motor shaft 62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econd coil spring 118 and the first coil spring 116.
  • the washer member 122 is installed so that the first shaft 104 can slide through the inside of the washer member. As shown in FIG. 5, one end of the bearing 126 is fixed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a gear roller.
  • the buffer roller 120 is mounted on the second shaft 118 and rotates together. When the gear roller 114 rotates, it rotates together and when it stops, it stops together. However, the buffer roller 120 may be installed so as not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shaft 102. That is, a bearing (not shown)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buffer roller 120 and the second shaft 102 so that the buffer roller 120 may be co-rotat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shaft 102. In this embodiment, the buffer roller 120 has a smooth surface that is not threaded on the surface so as not to rotate independently. The outer diameter of the buffer roller 120 is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gear roller 114. Therefore, even though the motor shaft 112 perpendicularly crosses as shown in FIG. 5, there is a slight gap between the motor shaft 112 and the buffer roller 120 and does not contact each other.
  • the gear roller 114 is in the shape of a worm gear on the surface, and the motor shaft of the auxiliary drive motor 110 described above.
  • the motor shaft 112 and the gear roller 114 preferably have the shape of a worm gear.
  • the gear roller 114 is in the usual position as shown in FIG.
  • the auxiliary drive motor 110 a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01 are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cases 106 and 108 by the support 142 and the guide protrusions 165 and 152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 the user may move the first switch 22 even if the rotating plate 31 is rotated to change the inclination of the body. There is no problem to operate.
  • the user looks at the rear of the electric locomotive exercise apparatus 10 as shown in FIG. 7, and the body is suspended upside down while relying on the foot fixed to the foot fixing part 20.
  • the user presses the second shaft 104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2 protruding out of the hemispherical cover, and the shaft 62 of the drive motor and the auxiliary drive unit ( After connecting 100, the third switch 26 may be operated to return the rotating plate 31 to its original state (see FIGS. 1 and 6).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before pressing the first axis 104
  •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user presses the first axis 104.
  • the second coil spring 118 is compressed as shown in FIG. 6 while the gear roller 114 and the motor shaft are compressed.
  • the 112 is engaged and the second shaft 102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shaft 62 of the drive motor to connect the shaft 62 and the second shaft 102 of the drive motor.
  • the third switch 26 When the user operates the third switch 26 while pressing the first shaft 104, power is applied to the auxiliary driving motor 110 through the battery 42 to operate the auxiliary driving motor 110. Rotational force of the auxiliary drive motor 110 is engaged gear
  • the rotating force of the gear roller 114 is transmitted to the roller 114 and is transmitted to the shaft 62 of the drive motor through the second shaft 102 to move the rotating plate 31. Therefore, the user can escape safely after the rotary plate 31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even in an emergency in which power is cut off.
  • the third switch 26 is not pressed. Since the auxiliary drive motor 110 does not operate, there is no risk of malfunction. In addition, even if the auxiliary drive motor 110 is operated by pressing the third switch 26 by mistake, the motor shaft 112 and the gear roller 114 are normally engaged with each other and no malfunction occurs. Therefore, there is less risk of malfunction in normal use as well as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ily escaped by magnetic force during power cu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개시된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는, 등받이부 및 발고정부를 구비한 회전판, 상기 회전판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한 동력발생유닛, 상기회전판과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회전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동력발생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동력발생유닛은, 평상 시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축과 이격 설치되어 있으나 단전 시에 상기 구동모터의 축과 연결시켜 상기 구동모터의 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킬 수 있는 보조구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성이 강화된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
본 발명은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 전원 상태에서도 구동이 가능하여 안전성이 향상된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에 대한 것이다.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는 헬스 클럽이나 가정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헬스 운동장치로서, 전원을 이용하여 회전판을 원하는 경사 각도로 회전시켜 꺼꾸로 매달려 물구나무서기를 하거나 수평이나 약간 경사지게 회전시킨후 윗몸 일으키기를 할 수 있는 헬스 운동장치를 말한다.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고 마사지 기능 등 다양한 기능들을 추가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꺼꾸로 매달려 물구나무서기를 하는 도중 전력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안전성의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는 모터의 동력을 기어 및 감속기를 통해 회전축에 전달하는 구조이므로, 작동 중 단전될 경우 맞물려 있는 기어나 감속기가 맞물린 상태로 정지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힘으로 꺼꾸로 회전된 회전판을 원상태로 복구시킬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혼자서 이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단전될 경우 회전판에 꺼꾸로 매달린 상태에서 탈출하기 어렵고, 이것은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의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0376503호에서는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를 사용하다가 단전되는 경우 사용자가 측면에 설치된 수동기구를 힘으로 돌려 구동기어와 피동기어의 맞물림을 해제시킬 수 있는 전동 꺼꾸리 운동기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의 장치는 꺼꾸로 매달린 상태의 사용자가 많은 힘을 가해 기어의 맞물림을 해제시키는 것도 쉽지 않지만, 기어의 맞물림을 해체하면 회전판을 구속하는 힘이 갑자기 사라지기 때문에 무게가 쏠리는 쪽으로 쉽게 요동치기 쉬우며 회전판이 불안정하게 움직이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 않고는 사용자 혼자서 회전판을 원상태로 안전하게 돌리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꺼꾸로 매달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몸을 움직여 회전판을 원상태로 돌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도중 단전될 경우, 구동모터 고장 시 등 비상상황 발생 시, 사용자 혼자서도 큰 힘을 들이지 않고 편리하게 탈출할 수 있는 안전성이 강화된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는, 등받이부 및 발고정부를 구비한 회전판, 상기 회전판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한 동력발생유닛, 상기 회전판과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회전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동력발생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동력발생유닛은, 평상 시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축과 이격 설치되어 있으나 단전 시에 상기 구동모터의 축과 연결시켜 상기 구동모터의 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킬 수 있는 보조구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유닛은, 제 1 내지 제 3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 1 스위치는 상기 연결부재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제어하고, 상기 제 2 스위치는 상기 발고정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 3 스위치는 단전 시 상기 보조구동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조구동유닛은, 축 구멍이 형성된 제 1 및 제 2 케이스,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기어가 형성된 모터 축을 구비한 보조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동력을 전달 받는 기어롤러, 상기 기어롤러의 일 측에 연결된 완충롤러, 상기 기어롤러의 타 측에 연결된 제 1 축 및 상기 완충롤러에 연결된 제 2 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유닛에 가한 외력을 제거할 때, 상기 동력전달유닛을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 1 축에 설치된 제 1 코일스프링과, 상기 제 2 축에 설치된 제 2 코일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코일스프링의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제 1 축에 고정된 와셔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축은 상기 제 1 케이스의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 2 축은 상기 제 2 케이스의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제 2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사용자가 상기 제 1 축을 가압하면 상기 제 2 축은 상기 구동모터의 축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는, 사용 도중에 특히 꺼꾸로 매달려 운동하는 도중에 구동모터가 고장 나거나 제 1 스위치가 고장이 나거나 정전이 되는 등 비상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사용자 혼자의 힘으로 쉽고 편리하게 탈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3 스위치와 제 1 축을 동시에 눌러야 작동되는 장치이므로, 보조구동유닛의 의도되지 않은 작동이 발생할 확률이 적어 사용상 안전성이 확보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를 도시한 측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에서 제어유닛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에서, 동력발생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에서 보조구동유닛의 각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2의 Ⅴ-Ⅴ라인을 따라 절개한 도면으로서, 도 5는 구동모터의 축과 연결 전 상태를, 도 6은 구동모터의 축과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사용자가 도 1의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 설명
10: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
12: 동력발생유닛
14: 제어유닛
15: 지지프레임
17, 19: 좌측 및 우측 연결부재
31: 회전판
100: 보조구동유닛
101: 동력전달유닛
110: 보조구동모터
112: 모터축
114: 기어롤러
120: 완충롤러
104, 102: 제 1 및 제 2 축
본원 발명 상기 제어유닛은, 제 1 내지 제 3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 1 스위치는 상기 연결부재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제어하고, 상기 제 2 스위치는 상기 발고정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 3 스위치는 단전 시 상기 보조구동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조구동유닛은, 축 구멍이 형성된 제 1 및 제 2 케이스,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기어가 형성된 모터 축을 구비한 보조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동력을 전달 받는 기어롤러, 상기 기어롤러의 일 측에 연결된 완충롤러, 상기 기어롤러의 타 측에 연결된 제 1 축 및 상기 완충롤러에 연결된 제 2 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유닛에 가한 외력을 제거할 때, 상기 동력전달유닛을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 1 축에 설치된 제 1 코일스프링과, 상기 제 2 축에 설치된 제 2 코일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코일스프링의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제 1 축에 고정된 와셔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축은 상기 제 1 케이스의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 2 축은 상기 제 2 케이스의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제 2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사용자가 상기 제 1 축을 가압하면 상기 제 2 축은 상기 구동모터의 축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 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로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10)는, 회전판(31), 지지프레임(15), 연결부재(17,19), 제어유닛(14) 및, 동력발생유닛(12)을 포함한다.
회전판(31)은 등받이부(34)와 발고정부(20)를 구비하며, 등받이부(34)와
발고정부(20) 사이의 간격은 사용자의 키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다. 회전판(31)은 이미 공지된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지지프레임(15)은 두 개의 베이스 프레임(18), 두 개의 수직 프레임(16), 3개의 연결프레임(21)으로 구성된다. 지지프레임(15)은 제어유닛(14),동력발생유닛(12) 및 회전판(31)을 지지하며, 회전판(31)이 회전되는 동안에도 요동이 없도록 회전판
(31)을 견고하게 지지한다.
연결부재(17,19)는, 지지프레임(15)의 상단에 고정된 동력발생유닛(12)과
회전판(31) 사이에 설치된 좌측 연결부재(17), 제어유닛(14)과 회전판(31) 사이에 설치된 우측 연결부재(19)이 있으며, 회전판(31)과 같이 회전되면서 이들을 서로 연결시키며 이들의 구성은 동일하다. 좌측 및 우측 연결부재(17,19)에는 손잡이
(30,32)가 돌출되어 있다. 우측손잡이(32)의 단 부에는 제 1 스위치(22)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스위치(22)는 상용 전원과 상시 연결되어 있으며 회전판(31)의 회전을 제어한다. 제 1 스위치(22)를 누르는 방향으로 회전판(31)은 회전된다.
제어유닛(14)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원통형커버(23)와 반구형 커버
(25)로 밀폐되어 있고, 제 1 내지 제 3 스위치(22,24,26)를 포함한다. 제 1 스위치 (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우측 연결부재(19)에 설치된 우측손잡이(32) 단 부에 설치되어 있고, 제 2 스위치(24) 및 제 3 스위치(26)는 원통형커버(23)에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스위치(22)는 상시 전원과 연결되어 있으며 회전판(31)을 회전시키고, 제 2 스위치(24)는 회전판의 발고정부(20)를 제어한다. 즉 발을 끼우거나 분리할 때 제 2 스위치(24)를 조작한다. 제 2 스위치(24)는 원통형커버(23)의 전면 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 3 스위치(26)는 사용자가 꺼꾸로 매달린 상태에서도 조작이 편리하도록, 원통형 커버(23)에서 제 2 스위치(24)와 반대측 위치 즉 원통형커버(23)의 후면 부에 설치되며, 비상시 사용하는 스위치이다. 제 3 스위치(26)는 배터리(42)와 연결되어 전원을 받으며, 후술되는 보조구동모터(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2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호 44는 콘덴서이다.
동력발생유닛(12) 은,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원통형 커버(35)와 반구형커버
(36)로 밀폐되어 있으며, 구동모터(38), 감속기(40), 보조구동유닛(100)을 포함한다.
구동모터(38) 및 감속기(40)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보조구동유닛(100)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 1 케이스(106) 및 제 2 케이스(108), 보조구동모터(110), 동력전달유닛(101)을 포함한다.
제 1 케이스(106) 및 제 2 케이스(108)는 보조구동모터(110)와 동력전달유닛(101)을 밀폐하여 보호하는 케이스로서, 각각 축 구멍(128,130)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축 구멍(128,130)에는 베어링(124,126)이 장착 고정되어 있으며, 베어링(124, 126)을 관통하여 동력전달유닛(101)의 제 1 및 제 2 축(104,102)이 삽입되어 제 1 및 제 2 케이스 외부로 돌출된다.
보조구동모터(110)는 전기적으로 배터리(42)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 1 및 제 2 케이스(106,108) 내부에 장착된다. 보조구동모터(110)의 일 측으로는 모터축(112)
이 돌출되어 있으며, 모터 축(112)과 기어롤러(114)는 직각 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고 감속을 크게 하기 위해 웜기어의 형상을 갖는다.
동력전달유닛(101)은 보조구동모터(110) 및 모터축(112)에 대하여 수직으로 교차되도록 설치되며, 제 1 및 제 2 축(104,102), 제 1 및 제 2 코일스프링(116,118), 와셔부재(122), 완충롤러(120) 및 기어롤러(114)를 구비한다.
제 1 축(104)은 동력전달유닛(101)을 사용자가 밀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원형단면을 갖도록 구성된다. 제 2 축(102)은 6각형 단면을 갖고, 완충롤러(120)의 일 측에 고정된다. 6각 단면을 갖는 축을 사용하는 것은 종래 기술의 구동모터의 일 측으로 돌출된 구동모터(38)의 축(62)이 6각형 단면을 갖는 홈을 구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 2 축(102)은 구동모터의 축(62)에 형성된 홈의 단면형상에 따라 다양한 단면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구동모터 축(62)의 홈이 4각 단면이면, 이에 맞물리도록 4각형 단면을 갖는 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제 2 축(102)의 단면은 맞물림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5각형 또는 6각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2 축(102)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동모터의 축(62) 홈도 이와 동일한 단면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코일스프링(116)은 제 1 축(104)에 설치되며, 일 단이 와셔부재(122)에 고정되고 타 단은 기어롤러(114)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제 1 코일스프링(116)은 제 1 축(104)이 제 2 커버(108)의 외부로 적당한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하며 과도하게 돌출되거나 너무 적게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제 2 코일스프링(118)은 제 2 축(102)에 설치된다. 사용자가 제 1 축(104)을 누르면 제 2 코일스프링(118)은 압축되고 제 1 코일스프링(116)은 신장된다.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제 2 코일스프링(118)과 제 1 코일스프링(116)의 복원력에 의해 동력전달 유닛(101)을 구동모터 축(62)과 연결을 해제시킨다.
와셔부재(122)는 제 1 축(104)이 와셔부재 내부를 관통하여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도 5와 같이 베어링(126)의 일 단부가 고정되고 타 단부는 기어롤러
(114)에 고정 설치된다.
완충롤러(120)는 제 2 축(118)에 장착되어 함께 회전된다. 기어롤러(114) 회전하면 같이 회전하고 정지하면 같이 정지된다. 그러나, 완충롤러(120)를 제 2 축(102)과 연결되지 않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즉 완충롤러(120)와 제 2 축(102) 사이에 베어링(미도시)을 설치하여 완충롤러(120)가 제 2 축(102)에 대하여 공 회전 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완충롤러(120)는 독자적으로 회전되지 못하도록 표면에 나사 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다. 완충롤러(120)의 외경은 기어롤러(114)의 외경 보다 작게 구성된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모터축(112)과 수직으로 교차하더라도 모터축(112)과 완충롤러(120) 간에는 약간의 간격이 있고 서로 접촉되지 않는다.
기어롤러(114)는 표면에 웜기어의 형상이며, 상술한 보조구동모터(110)의 모터축
(112)과 맞물리거나 분리된다. 90도로 동력을 전달하는 베벨기어의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감속비를 크게 하기 위해 모터축(112)과 기어롤러(114)는 웜기어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어롤러(114)는 도 5와 같은 평상시의 위치에
서는 모터축(112)과 연결되지 않지만, 도 6과 같이 위치 이동한 상태에서는 모터축
(112)과 기어롤러(114)는 웜과 웜휠과 같이 직각으로 맞물려 동력을 전달한다.
보조구동모터(110)와 동력전달유닛(101)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대(142) 및 가이드돌기(165,152)에 의해 제 1 및 제 2 케이스(106,108)에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10)의 작동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평상 시 사용자는 회전판(31)에 몸을 기대고 제 2 스위치(24)를 이용하여 발고정부
(20)에 발을 고정시킨 후 제 1 스위치(22)를 이용하여 회전판(31)을 기울여 가며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10)를 사용한다.
제 1 스위치(22)는 좌, 우측 연결부재(17,19)와 회전판(31)과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회전판(31)이 회전되어 몸의 기울기가 달라지더라도 제 1 스위치(22)를 조작하는 데 문제가 없다. 회전판(31)이 완전히 꺼꾸로 세워진 상태에서 사용자는 도 7과 같이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10)의 후방을 바라보게 되며 발고정부(20)에 고정된 발을 의지한 채로 몸은 꺼꾸로 매달린 상태가 된다.
이런 상태에서 단전이 되거나 구동모터(38)가 고장 나는 경우, 사용자는 반구형 커버 밖으로 돌출된 동력전달유닛(12)의 제 2축(104)을 눌러 구동모터의 축(62)과 보조구동유닛(100)을 연결시킨 후 제 3 스위치(26)를 조작하여 회전판(31)을 원래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도 1 및 도 6 참조).
도 5는 제 1 축(104)을 누르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사용자가 제 1 축(104)을 누르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꺼꾸로 매달려 운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갑자기 단전이 되는 등 비상 사태가 발생하여 사용자가 제 1 축(104)을 누르면, 도 6과 같이 제 2 코일스프링(118)이 압축되면서 기어롤러(114)와 모터축
(112)이 맞물리고 제 2 축(102)은 구동모터의 축(62) 홈에 삽입되어 구동모터의 축(62)과 제 2 축(102)이 연결된다. 사용자가 제 1 축(104)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제 3 스위치(26)를 조작하면 배터리(42)를 통해 보조구동모터(110)로 전원이 인가되어 보조구동모터(110)가 작동한다. 보조구동모터(110)의 회전력은 맞물린 기어
롤러(114)에 전달되고 기어롤러(114)의 회전력은 제 2 축(102)을 통해 구동모터의 축(62)으로 전달되어 회전판(31)을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원이 단전되는 비상상황에서도 안전하게 회전판(31)을 원위치한 후 탈출할 수 있다.
만약 구동모터(38)가 작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수로 제 1 축(104)을 눌러 기어롤러(114)와 모터축(112)이 서로 맞물린다 하더라도, 제 3 스위치(26)를 누르지 않으면 보조구동모터(110)가 작동하지 않으므로 오작동할 우려가 없다. 또한, 실수로 제 3 스위치(26)를 눌러 보조구동모터(110)를 작동시킨다 할지라도 평상시에는 모터 축(112)과 기어롤러(114)가 맞물려 있지 오작동이 역시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평상시 사용시 오작동할 우려가 적을 뿐 아니라 단전 시에 자력으로 쉽게 탈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 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 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꺼꾸로 매달려 운동하는 도중에 구동모터가 고장 나거나 정전이 발생하는 경우 등 비상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사용자가 혼자의 힘으로 쉽고 편리하게 탈출할 수 있어 안전성이 높으므로 산업상 그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은 기술인 것이다.

Claims (7)

  1. 등받이부 및 발고정부를 구비한 회전판;
    상기 회전판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한 동력발생유닛;
    상기 회전판과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회전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동력발생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동력발생유닛은,
    평상 시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축과 이격 설치되어 있으나 단전 시에 상기 구동모터의 축과 연결시켜 상기 구동모터의 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킬 수 있는 보조구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제 1 내지 제 3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 1 스위치는 상기 연결부재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제어하고, 상기 제 2 스위치는 상기 발고정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 3 스위치는 단전 시 상기 보조구동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구동유닛은,
    축 구멍이 형성된 제 1 및 제 2 케이스;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기어가 형성된 모터 축을 구비한 보조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동력을 전달 받는 기어롤러;
    상기 기어롤러의 일 측에 연결된 완충롤러;
    상기 기어롤러의 타 측에 연결된 제 1 축; 및
    상기 완충롤러에 연결된 제 2 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유닛에 가한 외력을 제거할 때, 상기 동력전달유닛을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 1 축에 설치된 제 1 코일스프링과, 상기 제 2 축에 설치된 제 2 코일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코일스프링의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제 1 축에 고정된 와셔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은 상기 제 1 케이스의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 2 축은 상기 제 2 케이스의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제 2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사용자가 상기 제 1 축을 가압하면 상기 제 2 축은 상기 구동모터의 축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
PCT/KR2013/000156 2012-01-09 2013-01-09 안전성이 강화된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 WO201310577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621 2012-01-09
KR1020120002621A KR101177680B1 (ko) 2012-01-09 2012-01-09 안전성이 강화된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05778A1 true WO2013105778A1 (ko) 2013-07-18

Family

ID=46887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0156 WO2013105778A1 (ko) 2012-01-09 2013-01-09 안전성이 강화된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77680B1 (ko)
WO (1) WO20131057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20918B3 (de) * 2012-11-15 2014-03-13 Thyssenkrupp Marine Systems Gmbh Unterseeboot
KR101815427B1 (ko) * 2017-08-31 2018-01-08 김선호 안전성이 향상된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
KR101884157B1 (ko) 2018-04-30 2018-07-31 최수미 전동식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KR102133793B1 (ko) 2019-08-26 2020-07-14 최수미 적외선 방식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KR20210092955A (ko) 2020-01-17 2021-07-27 김재하 멀티 코어운동을 위한 헬스장치
KR102409224B1 (ko) 2022-01-13 2022-06-15 주식회사 코헬스코 듀얼 자세 운동이 가능한 거꾸리 운동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57713A1 (en) * 2001-05-23 2004-08-12 Gu-Beom Kweon Hand-standing exercise machine
KR200376503Y1 (ko) * 2004-09-21 2005-03-10 안배현 전동식 꺼꾸리 헬스 운동구
KR200431989Y1 (ko) * 2006-09-05 2006-11-27 이광호 전동식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구동장치
KR101038028B1 (ko) * 2009-06-09 2011-05-30 강희정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988Y1 (ko) 2006-09-05 2006-11-27 이광호 전동식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손잡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57713A1 (en) * 2001-05-23 2004-08-12 Gu-Beom Kweon Hand-standing exercise machine
KR200376503Y1 (ko) * 2004-09-21 2005-03-10 안배현 전동식 꺼꾸리 헬스 운동구
KR200431989Y1 (ko) * 2006-09-05 2006-11-27 이광호 전동식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구동장치
KR101038028B1 (ko) * 2009-06-09 2011-05-30 강희정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7680B1 (ko) 2012-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05778A1 (ko) 안전성이 강화된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
WO2011159016A2 (ko) 핸즈프리형 전동스쿠터
WO2017204419A1 (ko) 재활 훈련 장치
WO2011099717A2 (ko) 접철식 자전거
WO2017131292A1 (ko) 착탈식 전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
WO2011102671A2 (ko) 팔운동을 병행하는 헬스 자전거
CN203154230U (zh) 电动减重训练架
WO2012033294A2 (ko) 바퀴 구동수단이 구비된 인라인 스케이트
WO2018030802A1 (ko) 그네형 회전 체험 시스템
WO2016204319A1 (ko) 마우스형 재활 훈련 장치
WO2018120534A1 (zh) 电动助力滑板及其控制方法
WO2024091056A1 (ko) 스마트 책상
WO2013048129A2 (ko) 런닝머신
WO2020262997A2 (ko) 기구적 자기강화 작용을 이용한 수동 휠체어 이동 보조 장치
WO2018101637A1 (ko)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
KR101424109B1 (ko) 보행 보조장치
WO2014137076A1 (ko) 무체인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WO2016047978A1 (ko) 자전거 운동기구
WO2013035905A1 (ko) 운동기구
CN107176256A (zh) 一种助行车刹车系统
WO2012153939A9 (ko) 환자용 침대의 착탈식 전동장치
WO2014189302A1 (ko) 전방향 보행보조 로봇
WO2012138206A2 (ko) 다리스트레칭 운동기구
WO2011136541A2 (ko) 슬라이딩 보드
WO2019164259A1 (ko) 휠체어 수동 및 전동 전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73631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73631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