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8028B1 -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8028B1
KR101038028B1 KR1020090050727A KR20090050727A KR101038028B1 KR 101038028 B1 KR101038028 B1 KR 101038028B1 KR 1020090050727 A KR1020090050727 A KR 1020090050727A KR 20090050727 A KR20090050727 A KR 20090050727A KR 101038028 B1 KR101038028 B1 KR 101038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motor
brake
upside down
drive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0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2094A (ko
Inventor
강희정
Original Assignee
강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희정 filed Critical 강희정
Priority to KR1020090050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8028B1/ko
Publication of KR20100132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2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8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8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63B21/005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8User-manipulated weights using user's bod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72Limiting the applied force, torque, movement or spe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탑승한 받침대를 정,역회시키는 구동수단을 브레이크 모터를 사용하여, 이 브레이크 모터의 샤프트 선단부를 받침대에 고정시켜 종래 문제점으로 지적된 샤프트와 받침대 사이에 위치한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발생된 슬립현상을 제거하여 유격발생을 줄이고, 또한 브레이크 모터 후방에 일체로 장착된 브레이크가 모터의 샤프트를 즉시 회전 및 정지시켜 받침대 정지위치를 정확하게 수행하여 위치 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모터(14)의 후방에 브레이크(15)가 일체로 장착된 브레이크 모터(16)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15)는 전원이 공급될 때 자력이 발생한 전자석(15a)이 아마추어(15b)를 잡아당겨 상기 아마추어(15b)가 라이닝(15c)에서 벗어나게 하여 구동모터(14)의 샤프트(14a)를 회전시키고, 전원이 단전되어 전자석(15a)에 자력이 발생하지 않을 때 제1탄성부재(15i)가 아마추어(15b)를 라이닝(15c)에 밀착시켜 구동모터(14)의 샤프트(14a)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브레이크 모터, 물구나무서기, 거꾸리, 꺼꾸리, 헬스, 운동기구

Description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Electric motion inversion table}
본 발명은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탑승한 받침대를 정,역회시키는 구동수단을 브레이크 모터를 사용하여, 이 브레이크 모터의 샤프트 선단부를 받침대에 고정시켜 종래 문제점으로 지적된 샤프트와 받침대 사이에 위치한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발생된 슬립현상을 제거하여 유격발생을 줄이고, 또한 브레이크 모터 후방에 일체로 장착된 브레이크가 모터의 샤프트를 즉시 회전 및 정지시켜 받침대 정지위치를 정확하게 수행하여 위치 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구나무서기용 운동장치, 일명 거꾸리 운동장치는 받침대에 탑승한 사용자의 다리를 위로 향하게 하고 머리를 아래로 향하게 하여 신체를 거꾸로 위치시켜 중력을 반대로 작용시키는 운동기구로서, 혈액 순환 촉진 및 자세 교정 등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이러한 거꾸리 운동장치에 의한 물구나무서기 운동은 매달리는 효과까지 얻을 수 있어서, 평상시 항상 눌려있던 척추 관절 등 이 이완되어 요통 치유에 상당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거꾸리 운동장치의 초기 형태는 받침대에 탑승한 사용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받침대를 회전시켜 신체를 거꾸로 하거나 원위치시키는 구조였기 때문에 팔힘이 약한 여성이나 노약자 등은 신체를 거꾸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거나 또는 원위치로 복원시키기가 힘들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모터에 의해 받침대를 정,역회전시키는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이 중에서 최근에 출원번호(20-2005-0004222)로 출원된 거꾸리 운동장치(1)는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이스(2) 양측에 세움설치된 지지대(3)에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받침대(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4)는 지지대(3)의 수납실(3a)에 설치된 모터(M)와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받침대(4)에 탑승한 사용자가 손잡이(3b)에 형성된 스위치(3c)를 조작하여 모터(M)를 정,역방향으로 제어하여 자신의 신체를 거꾸로 또는 원위치시키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1)의 동력전달체계(5)를 살펴보면, 모터(M)의 샤프트에 형성된 구동기어(5a)가 종동샤프트(5b)에 형성된 종동기어(5c)와 치합되고, 종동샤프트(5b)에 형성된 웜(5d)이 웜기어(5e)와 치합되며, 상기 웜기어(5e)는 수납실(3a) 측면을 차단하는 회전판(3a-1)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판(3a-1)은 받침대(4)와 고정된다.
따라서, 모터(M)의 구동에 의해 구동기어(5a)가 정,역회전하면, 종동기어(5c), 웜(5d), 웜기어(5e), 회전판(3a-1)이 연동해서 회전하게 되므로, 결국 상기 회전판(3a-1)에 고정된 받침대(4)가 정,역회전하여 탑승자를 거꾸로 또는 원위치로 복원시키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1)는 구동기어(5a)와 받침대(4) 사이에 위치한 동력전달수단이 종동기어(5c), 종동샤프트(5b), 웜(5d), 및 웜기어(5e)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많은 기어들의 치합에 의해 동력전달 손실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특히, 종동샤프트(5b)는 구동기어(5a)와 종동기어(5c)에 의해 수직하중, 웜(5d)과 웜기어(5e)에 의한 수평하중이 동시에 발생하여,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도 6과 같이 종동샤프트(5b)는 심한 슬립현상에 의한 유격이 발생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종동샤프트(5b)에 심한 유격이 발생하면 상기 유격이 도 5와 같이 받침대(4)에 그대로 전달되어 모터(M)가 구동할 때 정,역회전하는 받침대(4)는 덜컹거리거나 심한 진동이 발생하고, 이러한 현상은 거꾸리 운동장치를 사용하면 할수록 점점 심해져 결국 고장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를 거꾸로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받침대(4)를 정지시킬 때 받침대(4)가 흔들려 거꾸로 매달려 있는 사용자는 당황하게 되고, 또한 흔들리는 받침대(4)는 지정된 위치에 멈추지 않아 사용자는 다시 정지 위치를 조절해야 하는 등 사용상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가 탑승한 받침대를 정,역회시키는 구동수단을 브레이크 모터를 사용하여, 이 브레이크 모터의 샤프트 선단부를 받침대에 고정시켜 종래 문제점으로 지적된 샤프트와 받침대 사이에 위치한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발생된 슬립현상을 제거하여 유격발생을 줄일 수 있는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브레이크 모터 후방에 일체로 장착된 브레이크가 모터의 샤프트를 즉시 회전 및 정지시켜 받침대 정지위치를 정확하게 수행하여 위치 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브레이크 모터 샤프트 전방에 이 샤프트의 회전속도를 감속할 수 있는 감속기를 장착하여 받침대의 정,역회전속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는 베이스 양측에 세움설치된 지지대에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받침대가 회전가능하게 설 치되고, 상기 받침대는 지지대에 설치된 구동수단과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받침대에 탑승한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하여 구동수단을 정,역방향으로 제어하여 자신의 신체를 거꾸로 또는 원위치시키도록 하는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모터의 후방에 브레이크가 일체로 장착되는 브레이크 모터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는 전원이 공급될 때 자력이 발생한 전자석이 아마추어를 잡아당겨 상기 아마추어가 라이닝에서 벗어나게 하여 모터의 샤프트를 회전시키고, 전원이 단전되어 전자석에 자력이 발생하지 않을 때 탄성부재가 아마추어를 라이닝에 밀착시켜 모터의 샤프트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는 상기 브레이크 모터 샤프트 전방에 기어들의 치합으로 구성되어 모터의 샤프트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가 더 장착되고, 상기 감속기의 최전방 기어는 받침대 기어와 치합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모터와 일체로 브레이크가 장착된 브레이크 모터를 사용하고, 상기 브레이크 모터의 샤프트를 받침대 기어에 바로 치합시켜, 종래 동력전달수단을 제거함으로써 기어들의 치합에 의한 슬립현상 및 동력전달 손실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받침대가 회전 및 정지할 때 부드럽 게 동작하여 진동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받침대는 회전할 때 슬립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지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정지되어 종래와 같이 위치를 다시 설정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감속기를 이용하여 받침대의 정,역회전 속도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를 보인 실제품 사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의 실제품 내부 사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모터의 전자석이 아마추어를 라이닝에서 분리시켜 모터를 구동시키는 상태를 보인 상세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모터의 아마추어가 전자석에서 벗어나 라이닝에 밀착되어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상태를 보인 상세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모터의 실제품 사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모터 뚜껑을 개방하여 브레이크를 보인 실제품 사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모터의 브레이크를 확대한 실제품 사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모터의 감속기를 확대한 실제품 사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모터의 감속기 구동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모터 샤프트 단부를 확대한 사진이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10)는, 베이스(11) 양측에 세움설치된 지지대(12)에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받침대(13)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13)는 지지대(12)에 설치된 구동수단과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받침대(13)에 탑승한 사용자가 손잡이(13b)에 형성된 스위치(13b)를 조작하여 구동수단을 정,역방향으로 제어하여 자신의 신체를 거꾸로 또는 원위치시키게 된다.
이러한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10)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동수단은 구동모터(14)의 후방에 브레이크(15)가 일체로 장착된 브레이크 모터(16)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15)는 전원이 공급될 때 자력이 발생한 전자석(15a)이 아마추어(15b)를 잡아당겨 상기 아마추어(15b)가 라이닝(15c)에서 벗어나게 하여 구동모터(14)의 샤프트(14a)를 회전시키고, 전원이 단전되어 전자석(15a)에 자력이 발생하지 않을 때 제1탄성부재(15i)가 아마추어(15b)를 라이닝(15c)에 밀착시켜 구동모터(14)의 샤프트(14a)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브레이크 모터(16)의 샤프트(14a) 전방에 기어들의 치합으로 구성되어 구동모터(14)의 샤프트(14a)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17)가 더 장착되고, 상기 감속기(17)의 최전방 제3종동기어(17e)의 보울트(17e-2)는 너트(20)에 의해 회전판(13a)의 고정블록(21)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레이크 모터(16)는 공지의 것으로 후방에 장착된 브레이크(15)가 전방에 위치한 구동모터(14)의 샤프트(14a)를 정확한 위치에 부드럽게 정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산업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브레이크 모터(16)는 공지된 바와 같이 전방에 구동모터(14), 후방에 브레이크(15)가 일체로 장착되는데, 상기 구동모터(14)는 전원이 공급되면 코일에 자력이 발생하고 코일의 자력과 영구자석에 의해 샤프트(14a)가 회전하는 것으로 당업자라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구조이므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브레이크(15)는 상기 구동모터(14) 후방에 일체로 장착된 것으로, 이 또한 공지되었으나 본 발명의 동작설명을 위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브레이크(15)는 도 11 내지 도 12와 같이 구동모터(14)의 하우징(14b) 후방장착되는데, 상기 하우징(14b)으로 돌출된 구동모터(14) 샤프트(14a)에는 허브(15e)가 키(15f)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허브(15e)에는 라이닝(15c)이 샤프트(14a)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끼움 고정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4b)의 후방에는 고정브래킷(15g)이 고정되고, 이 고정브래킷(15g)에는 샤프트(14a)와 평행하게 적어도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3개의 안내봉(15h)이 고정된다. 상기 안내봉(15h)에는 라이닝(15c)과 밀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도체의 성질을 갖는 판형상의 아마추어(15b)가 끼움 설치되고, 상기 아마추어(15b) 외측에는 코일(C)이 매립된 전자석(15a)이 상기 안내봉(15h)에 끼움되고, 상기 전자석(15a)이 안내봉(15h)에서 빠지지 않도록 안내봉(15h) 단부에는 너트(N)가 체결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아마추어(15b)를 경계로 그 양측 안내봉(15h)에는 아마추어(15b)를 라이닝(15c)에 밀착 또는 분리시키는 제1,2탄성부재(15i)(15j)가 끼워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브레이크(15)는 상기 코일(C)에 전원이 공급되면 전자석(15a)에 자력이 발생하게 되므로, 상기 전자석(15a)은 라이닝(15c)에 밀착된 아마추어(15b)를 잡아당겨 밀착하게 되므로 아마추어(15b)는 라이닝(15c)에서 벗어나 결국 구동모터(14)의 샤프트(14a)는 자유상태가 되어 받침대(13)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탄성부재(15i)는 전자석(15a)에 자력이 제거될 때 아마추어(15b)를 라이닝(15c)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탄성을 제공하게 되고, 제2탄성부재(15j)는 전자석(15a)에 자력이 발생할 때 아마추어(15b)를 전자석(15a) 방향으로 밀어 아마추어(15b)가 전자석(15a)에 밀착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제2탄성부재(15j)에 의해 전자석(15a)에 자력이 발생할 때 전자석(15a)이 라이닝(15c)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아마추어(15b)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구동모터(14)의 전방에 구동모터(14)의 샤프트(14a)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17)가 더 장착되는데, 이 감속기(17)의 구성은 구동모터(14)의 하우징(14b) 전방에 고정된 제1플레이트(17a), 상기 구동모터(14)의 샤프트(14a)에 형성된 구동기어(17b)와 치합되는 제1종동기어(17c), 상기 제1종동기어(17c)와 치합되는 제2종동기어(17d), 상기 제2종동기어(17d)와 치합되고 그 외측면에는 돌출된 샤프트에 평면부(17e-1)가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17e-1) 외측에 보울트(17e-2)가 형성된 제3종동기어(17e), 상기 제3종동기어(17e)의 외측에 위치되고 간격유지부재(18)에 의해 제1플레이트(17a)와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는 제2플레이트(19), 및 회전판(13a) 내측면에 고정되고 그 중앙부분이 상기 제3종동기어(17e)의 평면부(17e-1)에 삽입되고 보울트(17e-2)에 체결되는 너트(20)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블록(21)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2종동기어(17c)(17d)는 제1,2아이들기어(17c-1)(17d-1)가 형성되고, 이들은 제2,3종동기어(17d)(17e)와 치합되어 구동모터(14)의 샤프트(14a)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게 된다. 이러한 감속기(17)는 공지의 구조와 같다.
그리고, 상기 고정블록(21)은 도 18과 같이 상기 제3종동기어(17e)에 돌출된 샤프트의 평면부(17e-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측면이 평면형상을 갖도록 구멍(21a)이 관통된다. 이와 같이 측면이 평면형상으로 관통되면, 상기 고정블록(21)의 구멍(21a)에 삽입된 제3종동기어(17e)의 샤프트는 공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받침대(13)에 탑승한 상태에서 손잡이(13b) 단부에 형성된 스위치(13b)를 조작하여 브레이크 모터(16)를 구동시켜 받침대(13)를 회전시킬 때 전원이 공급된 전자석(15a)은 자력을 발생하여 아마추어(15b)를 잡아당겨 밀착시키게 되므로 라이닝(15c)은 자유상태가 되므로 구동모터(14)의 샤프트(14a)를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받침대(13)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해 스위치(13b)를 조작하게 되면 전원이 단락된 전자석(15a)은 자력이 제거되므로 제1탄성부재(15i)는 아마추어(15b)를 라이닝(15c)에 밀착시켜 구동모터(14)의 샤프트(14a)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전자석(15a)에 전원공급 유무에 따라 간단하게 구동모터(14)의 샤프트(14a)를 회전 또는 정지시킴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감속기(17)의 제3종동기어(17e)에 돌출된 샤프트가 회전판(13a) 내측면에 고정된 고정블록(21)에 공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으므로 구동모터(14)의 샤프트(14a)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게 된다.
도 1은 종래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발명에 따른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 측면도
도 3은 종래 발명에 따른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의 실제품 사진
도 4는 종래 발명에 따른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의 내부를 보인 실제품 사진
도 5는 종래 발명에 따른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의 받침대에 유격이 발생하여 흔들리는 현상을 보인 측면도
도 6은 종래 발명에 따른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의 유격발생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를 보인 실제품 사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의 실제품 내부 사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의 내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의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모터의 전자석이 아마추어를 라이닝에서 분리시켜 모터를 구동시키는 상태를 보인 상세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모터의 아마추어가 전자석에서 벗어나 라이닝에 밀착되어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상태를 보인 상세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모터의 실제품 사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모터 뚜껑을 개방하여 브레이크를 보인 실제품 사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모터의 브레이크를 확대한 실제품 사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모터의 감속기를 확대한 실제품 사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모터의 감속기 구동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모터 샤프트 단부를 확대한 사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 13 : 받침대
14 : 구동모터 15 : 브레이크
15a : 전자석 15b : 아마추어
15c : 라이닝 15e : 허브
15h : 안내봉 15i : 제1탄성부재
15j : 제2탄성부재 16 : 브레이크 모터 17 : 감속기

Claims (4)

  1. 베이스 양측에 세움설치된 지지대(12)에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받침대(13)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13)는 지지대에 설치된 구동수단과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받침대(13)에 탑승한 사용자가 스위치(13b)를 조작하여 구동수단을 정,역방향으로 제어하여 자신의 신체를 거꾸로 또는 원위치시키도록 하는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모터(14)의 후방에 브레이크(15)가 일체로 장착된 브레이크 모터(16)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15)는 전원이 공급될 때 자력이 발생한 전자석(15a)이 아마추어(15b)를 잡아당겨 상기 아마추어(15b)가 라이닝(15c)에서 벗어나게 하여 구동모터(14)의 샤프트(14a)를 회전시키고, 전원이 단전되어 전자석(15a)에 자력이 발생하지 않을 때 제1탄성부재(15i)가 아마추어(15b)를 라이닝(15c)에 밀착시켜 구동모터(14)의 샤프트(14a)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모터(16)는 샤프트(14a) 전방에 기어들의 치합으로 구성되어 구동모터(14)의 샤프트(14a)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17) 가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17)는 구동모터(14)의 하우징(14b) 전방에 고정된 제1플레이트(17a);
    상기 구동모터(14)의 샤프트(14a)에 형성된 구동기어(17b)와 치합되는 제1종동기어(17c);
    상기 제1종동기어(17c)와 치합되는 제2종동기어(17d);
    상기 제2종동기어(17d)와 치합되고 그 외측면에는 돌출된 샤프트에 평면부(17e-1)가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17e-1) 외측에 보울트(17e-2)가 형성된 제3종동기어(17e);
    상기 제3종동기어(17e)의 외측에 위치되고 간격유지부재(18)에 의해 제1플레이트(17a)와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는 제2플레이트(19);
    및 회전판(13a) 내측면에 고정되고 그 중앙부분이 상기 제3종동기어(17e)의 평면부(17e-1)에 삽입되고 보울트(17e-2)에 체결되는 너트(20)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블록(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제1,2종동기어(17c)(17d)는 제1,2아이들기어(17c-1)(17d-1)가 형성되고, 이들은 제2,3종동기어(17d)(17e)와 치합되어 구동모터(14) 의 샤프트(14a)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며,
    상기 고정블록(21)은 제3종동기어(17e)에 돌출된 샤프트의 평면부(17e-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측면이 평면형상을 갖도록 구멍이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
KR1020090050727A 2009-06-09 2009-06-09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 KR101038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727A KR101038028B1 (ko) 2009-06-09 2009-06-09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727A KR101038028B1 (ko) 2009-06-09 2009-06-09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094A KR20100132094A (ko) 2010-12-17
KR101038028B1 true KR101038028B1 (ko) 2011-05-30

Family

ID=43507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727A KR101038028B1 (ko) 2009-06-09 2009-06-09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80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897B1 (ko) 2011-01-20 2012-10-18 김삼생 전동식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안전장치
KR200466287Y1 (ko) * 2012-07-17 2013-04-08 김선호 브레이크 유닛을 구비한 전동식 꺼꾸리 운동장치용 모터조립체
WO2013105778A1 (ko) * 2012-01-09 2013-07-18 Kim Hyun Ho 안전성이 강화된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383Y1 (ko) * 2015-03-03 2017-01-18 황연자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KR20220157702A (ko) * 2021-05-21 2022-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운동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3965U (ja) * 1982-06-21 1983-12-23 久保田 三輪 横方向自動回転運動機
JP2001087326A (ja) * 1999-09-21 2001-04-03 Makoto Inayoshi 回転倒立装置
KR20030000613A (ko) * 2001-06-26 2003-01-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제조 장치
KR200300613Y1 (ko) 2002-10-23 2003-01-14 김팽원 체인식척추견인장치
KR20030076125A (ko) * 2002-03-22 2003-09-26 배성진 헬스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3965U (ja) * 1982-06-21 1983-12-23 久保田 三輪 横方向自動回転運動機
JP2001087326A (ja) * 1999-09-21 2001-04-03 Makoto Inayoshi 回転倒立装置
KR20030000613A (ko) * 2001-06-26 2003-01-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제조 장치
KR20030076125A (ko) * 2002-03-22 2003-09-26 배성진 헬스기구
KR200300613Y1 (ko) 2002-10-23 2003-01-14 김팽원 체인식척추견인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897B1 (ko) 2011-01-20 2012-10-18 김삼생 전동식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안전장치
WO2013105778A1 (ko) * 2012-01-09 2013-07-18 Kim Hyun Ho 안전성이 강화된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
KR200466287Y1 (ko) * 2012-07-17 2013-04-08 김선호 브레이크 유닛을 구비한 전동식 꺼꾸리 운동장치용 모터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094A (ko) 201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8028B1 (ko) 전동식 거꾸리 운동장치
US6991609B2 (en) Massage assembly and massage machine incorporating same
TWI279229B (en) Massager
TWI547665B (zh) 攝像機及其轉向機構
KR20080053933A (ko) 조명 효과를 가지는 바디 마사지기
JP2010241334A (ja) 車両用シートの表示装置
JP2007534371A (ja) マッサージキャリッジ
US6669291B1 (en) Massaging device for a chair with resilient straps
CN105472208A (zh) 摄像机及其转向机构
KR101029061B1 (ko) 마사지장치
CN103767400A (zh) 辅助摆动装置
CN105383335B (zh) 一种电动汽车座椅及其升降驱动装置
KR101622474B1 (ko) 전동식 거꾸리의 회전판 고정장치
CN210096530U (zh) 一种用于防止输血袋或输血瓶凝血的装置
JP2001132815A (ja) 正逆回転モータの切り換えギア装置
KR101384509B1 (ko) 전동식 꺼꾸리용 구동장치 및 전동식 꺼꾸리
JP6321567B2 (ja) 扇風機の首振り機構
JP2005329760A (ja) 開閉式モニタ装置
JP4179053B2 (ja) マッサージ機
KR200246874Y1 (ko) 벨트 맛사지 기구
CN211272042U (zh) 一种v手型深度抓捏式4d按摩机芯和按摩机
JP4250916B2 (ja) マッサージ機
GB2065463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rocking device
JP4225123B2 (ja) マッサージ機
JP4146566B2 (ja) マッサージ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