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5659B1 - 다기능 운송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5659B1
KR100955659B1 KR1020080016874A KR20080016874A KR100955659B1 KR 100955659 B1 KR100955659 B1 KR 100955659B1 KR 1020080016874 A KR1020080016874 A KR 1020080016874A KR 20080016874 A KR20080016874 A KR 20080016874A KR 100955659 B1 KR100955659 B1 KR 100955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auxiliary frame
frame
main frame
sad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6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1548A (ko
Inventor
권용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지비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지비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지비하이텍
Priority to KR1020080016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5659B1/ko
Publication of KR20090091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1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4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three whee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6Frames for tri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운송장치는 이륜 또는 삼륜식 운송장치에 있어서, 메인 프레임의 일단에 구비되어 접거나 탈착되며, 전, 후방의 회전 및 길이가 조절되는 안장;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측 선단과 양측 끝단을 각각 연결한 연결부위가 접힘 또는 펼침 동작하며 탈착되는 후방 핸들;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을 간단하게 접고 펼치는 과정과 함께 부가적으로 해당 구조물을 설치하거나 해체하여 유아에서부터 노약자까지 하나의 물품으로 유모차, 삼륜 자전거, 이륜 자전거, 쇼핑 카트, 보조 보행기, 킥보드 등과 같은 여러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기능, 운송장치, 안장, 전/후방 핸들, 착탈

Description

다기능 운송장치{MULTIFUNCTION TRANSFER APPARATUS}
본 발명은 다기능 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을 간단하게 접고 펼치는 과정과 함께 부가적으로 해당 구조물을 설치하거나 해체하여 유아에서부터 노약자까지 하나의 물품으로 유모차, 삼륜 자전거, 이륜 자전거, 쇼핑 카트, 보조 보행기, 킥보드 등과 같은 여러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송장치라 함은 사람이나 물건 등을 실어 나르기 위한 기능을 하며, 크게는 선박에서 시작하여 작게는 자전거까지 이에 해당된다.
종래의 운송장치인 킥보드, 자전거, 쇼핑 카드, 유모차 및 보조 보행기 등은 각각의 독립적인 기능을 하며 사용 용도가 한정되므로 각각이 필요할 때 개별적으로 구매하여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프레임을 간단하게 접고 펼치는 과정과 함께 부가적으로 해당 구조물을 설치하 거나 해체하여 유아에서부터 노약자까지 하나의 물품으로 유모차, 삼륜 자전거, 이륜 자전거, 쇼핑 카트, 보조 보행기, 킥보드 등과 같은 여러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한 다기능 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륜 또는 삼륜식 운송장치에 있어서, 메인 프레임의 일단에 구비되어 접거나 탈착되며, 전, 후방의 회전 및 길이가 조절되는 안장;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측 선단과 양측 끝단을 각각 연결한 연결부위가 접힘 또는 펼침 동작하며 탈착되는 후방 핸들;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안장 또는 후방 핸들, 안장 그리고 후방 핸들의 구비 여부와 별도의 부가적으로 해당 구조물을 설치하여 킥보드, 유모차, 쇼핑 카트, 보조 보행기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기능 운송장치는 프레임을 간단하게 접고 펼치는 과정과 함께 부가적으로 해당 구조물을 설치하거나 해체하여 유아에서부터 노약자까지 하나의 물품으로 유모차, 삼륜 자전거, 이륜 자전거, 쇼핑 카트, 보조 보행기, 킥보드 등과 같은 여러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기능 운송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들을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기능 운송장치는 유아기 때는 탈착식 차양이 포함된 유모차(도 9 참조)로 사용하다가 성장하면 뒤에서 밀어주는 삼륜 자전거(흔히 말하는 유모차 겸용 세 발 자전거: 도 3 참조)로 사용하다가 이륜 자전거 또는 후방 핸들을 분리하고 전방 핸들이 구비된 자전거(도 11 참조)로 사용 가능하다.
그 후, 유아가 어린이로 성장하여 유모차가 필요 없을 경우 안장을 볼트 및 너트를 풀어 제거하거나 볼트를 풀어서 접은 후 장바구니 또는 별도로 제공되는 카트 바구니 등을 장착하여 쇼핑 카트(도 10 참조)로 사용하거나 핸들을 분리한 상태에서 후방 핸들을 접어 보조 보행기(도 3 참조)로 사용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안장 및 후방 핸들을 분리한 상태에서 전방 핸들만 메인 프레임에 구비하면 킥보드(도 12 참조)로 사용할 수 있다.
< 실시 예 1 >
본 실시 예의 다기능 운송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00), 안장(200) 및 후방 핸들(300)로 크게 구성되며, 이 구성요소를 모두 구비하면서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상기 안장(200)을 볼트(224a) 및 너트(224b)를 풀어 제거하거나 상기 볼트(224a)를 너트(224b)에서 약간 풀고 접은 후 카트 바구니를 장착하면 쇼핑 카트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안장(200)을 펼친 상태에서 기본적으로 안전벨트가 구비된 유모차용 안장(200)과 안전바(도면에 미도시)를 장착하면 유모차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구성요소를 부가시키지 않고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후방 핸들(300)을 세운 상태로 구비하면 보행 보조기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삼륜이면서 앞바퀴 페달 구동식 또는 이륜이면서 뒷바퀴 체인 구동식 중 어느 하나가 접목되어 선택될 수 있으며, 그 상면 중심부에 후술할 안장(200)이 구비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앞바퀴 페달 구동식에 대해서만 예시한다.
한편,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그 선단 하부에 앞바퀴(112)가 고정되는 전륜 프레임(110)이 구비되고 그 후단 양측에 뒷바퀴(114)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체인을 설치하여 2륜 구동시 앞바퀴와 동일선상인 후단에 뒷바퀴가 구비되면서 중심 잡기가 용이하도록 상기 뒷바퀴 양단에 상하 구멍의 높이가 상이한 좌우 플레이트에 각각 보조 바퀴를 고정시켜 높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앞바퀴(112)에는 자전거로 사용시 페달을 탈착 가능하거나 앞바퀴 쪽인 내측으로 접을 수 있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는 그 후단 양측에 구비되는 뒷바퀴(114)의 회전을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도록 발로 잠금 또는 해제하는 스토퍼(120)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120)는 양측 중 적어도 하나의 뒷바퀴(114)에 안쪽으로 기어(114a)가 동일 축선 상에 연결 형성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후단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어 뒷바퀴(114)를 고정하는 축에 돌기(122)가 상기 기어(114a)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스토퍼(12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도 1 및 도 7 참조)
한편, 상기 스토퍼(120)를 발로 밟아 하향 회전시키면 상기 돌기(122)가 기어(114a)의 이(齒) 사이로 이동하면서 뒷바퀴(114)의 회전됨을 간섭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스토퍼(120)를 발등으로 들어올리면 상기 돌기(122)가 기어(114a)의 이에서 이탈되어 상기 뒷바퀴(114)의 회전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기능 운송장치는 자전거 기능을 겸비할 수 있으며 이 이외에 앞바퀴(112)의 회전됨을 선택적으로 차단한 후 사용하는 유모차, 쇼핑카트 및 보조 보행기의 기능시 앞바퀴(112)가 고정되는 전륜 프레임(110)의 회전을 방지하는 한 쌍의 회전부재(11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111)는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선단에 구비되면서 그 하부에 회전 가능한 상기 전륜 프레임(11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핸들 지지대(102)의 그 양 측벽에 턱(103)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턱(103)의 간격과 동일하면서 앞바퀴(112)의 회전이 요구되거나 제2 실시 예에서와 같이 필요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턱(103)에 밀착하여 이 전륜 프레임(110)의 회전됨을 차단하도록 상기 전륜 프레임(110)의 양단에 돌기(111a)가 각각 형성된다. (도 8b 참조)
한편, 상기 핸들 지지대(102)는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선단에 볼트(102a) 및 너트(102b)로 연결 고정된다.
더욱이, 상기 핸들 지지대(102)에는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에 따라 후술할 제2 실시 예의 전방 핸들을 구비하지 않으면 보호차원을 위해 마감이 요구되며 이 전방 핸들을 체결시키는 상단 나선부(110a)가 노출되는 것을 마감하기 위해 판상으로 중심부에 상기 상단 나선부(110a)가 통하는 홀이 형성된 고정대(104), 상기 상단 나선부(110a)에 체결되면서 수평 방향으로 볼트(B)에 의해 체결되어 상단 나선부(110a)를 가압하는 너트캡(106),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선단과의 연결부위를 감싸는 절곡된 판상인 회전대(108)를 그 외측에서 볼트(102a) 및 너트(102b)로 체결 고정하며 상측에서 핸들 지지대(102)를 포함하여 감싸는 커버(C)로 구성된다.
상기 안장(200)은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볼트(224a) 및 너트(224b) 등으로 고정되는 안장 고정구(210)와 상기 안장 고정구(210)와 상기 안장 본체(230)의 저면을 연결하는 안장 연장부(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장 고정구(210)는 판상으로 그 상면에 한 쌍으로 직립된 원판 형태의 이격부재(212)가 형성되되 그 대향되는 내면에 미세한 간격을 갖는 래칫(Ratchet: 212a)이 중심을 기점으로 한 방사 형태로 각각 형성된다.
상기 안장 연장부(220)는 상기 이격부재(212)에 삽입되도록 대응되는 원판 형상으로 양 측면에 상기 래칫(212a)과 이가 물리면서 대응되는 래칫(222a)이 방사 형태로 각각 형성되는 삽입부재(222)가 구비되며 상기 삽입부재(222)의 상단에 상기 안장 몸체(230)와 연결되는 바(Bar) 형태이다.
여기서, 상기 안장 고정구(210)의 이격부재(212)에 상기 안장 연장부(220)의 삽입부재(222)가 삽입된 상태로 체결되며 상기 이격부재(212)를 통해 상기 삽입부재(222)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도록 볼트(224a)와 너트(224b)가 구비되어 상호 체결된다.
한편, 상기 안장(200)의 회전 각도 조절시 우선 상기 너트(224b)를 약간 풀어 볼트(224a)와 분리시킨 상태에서 상기 안장 연장부(220)를 전, 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호 결합된 래칫(212a, 222a)의 이 간격이 미세하여 가압되지 않으면 이동이 가능하며, 설정 각도로 고정시킬 경우 재차 볼트(224a)와 너트(224b)를 견고하게 체결시켜 상호 결합된 래칫(212a, 222a)을 가압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안장(200)은 상기 후방 핸들(300)에서의 파지부(340)처럼 높이에 따른 길이 조절이 동일한 방식에 의해 가능하며 상세한 설명은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상기 후방 핸들(300)은 도 1, 2, 3 및 도 5a,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선단과 후단 양측을 볼팅 고정하는 상하 고정구(330a)에 의해 양측을 각각 연결한 연결부위가 접힘 또는 펼침 동작하며, 상황에 따라 탈착되되 제1 보조 프레임(310), 제2 보조 프레임(320) 및 제3 보조 프레임(330)으로 세분화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보조 프레임(31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형태이면서 하측 방향으로 굴곡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선단 양측에서 각각 회전되도록 그 선단이 상기 핸들 지지대(102)의 양단에 볼트(102a) 및 너트(102b)로 연결된다.
상기 제2 보조 프레임(32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형태이면서 상기 제1 보조 프레임(310)의 양측 끝단에서 각각 선단이 제1, 2 폴딩부(312, 322)에 의해 각각 연결되어 연장되며, 그 끝단 내주면에 외주면이 삽입되어 사용자의 신장에 맞게 길이가 조절되는 파지부(340)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파지부(340)는 뒤쪽에 위치한 사람이 미는 유모차나 뒤에서 미 는 자전거 또는 보조 보행기 기능을 접목시키기 위해 손으로 잡는 기능을 하며, 그 양측 끝단이 서로 분리되거나 서로 결합된 상태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파지부(340)의 길이 조절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일 예로 진공 청소기의 길이 조절식 청소기 헤드 등과 같이 상기 제2 보조 프레임(320)의 길이 조절 간격마다 관통 홀이 일렬로 다수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340)의 내부에서 상기 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되 이 홀과 상응하도록 돌기가 형성되면서 외측 방향으로 텐션(Tension)이 가해지는 텐션부재에 의해 외력으로 파지부(340)를 잡아당기거나 밀면 상기 홀에서 텐션부재가 텐션이 가해지는 반대 방향으로 후진하여 이탈되면서 이웃한 타 홀로 이동한 후 위치가 복원력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 2 보조 프레임(310, 320)의 후단 및 끝단 2지점과 상호 연결되도록 이와 대응되는 상기 제2 보조 프레임(320)의 끝단 및 선단 2지점이 제1, 2 폴딩부(312, 322)에 의해 각각 힌지(312a, 314, 322a, 322b, 332a)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폴딩부(312)는 단면 형상이 절곡된 "ㄷ" 자로 형성되어 하단이 개구되며 상기 제1 보조 프레임(310)의 후단에 막힌 상단이 고정형 힌지(312a)로 고정되고 상기 제2 보조 프레임(320)의 앞쪽 끝단은 상기 제1 폴딩부(312)의 개구된 하단에서 분리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분리형 힌지(314)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폴딩부(322)는 단면 형상이 절곡된 "ㄷ" 자로 형성되어 상단이 개구되며 상기 제1 보조 프레임(310)의 뒤쪽 끝단에 개구된 상단이 고정형 힌지(322a)로 고정되고 상기 제2 보조 프레임(320)의 선단은 막힌 하단에 고정형 힌 지(322b)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 2 폴딩부(312, 322)는 상기 제1 보조 프레임(310)과 상기 제2 보조 프레임(320)을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연결 고정하면서 제2 보조 프레임(320)을 접어서 세우거나 펼쳐 연장시키면서 경사지게 한다.
상기 제3 보조 프레임(330)은 그 상단이 양쪽에 위치된 상기 제2 보조 프레임(320)을 각각 지지함과 아울러 간격이 유지되게 하면서 하단이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후단 양측에 각각 직립된 상태로 고정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상단에 상기 제2 보조 프레임(320)의 양측 도중인 상기 제2 폴딩부(322) 내측에 후술할 조인트부(332)가 위치된다.
상기 조인트부(332)는 "ㄷ" 자 형상으로 개구된 하단이 상기 제3 보조 프레임(330)의 상단에 고정형 힌지(332a)로 연결되어 회전이 가능하며 중심쪽 내부에 이 제2 보조 프레임(320)이 삽입되어 대응되도록 원형 홈이 형성되고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보조 프레임(320)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조인트부(332)이 회전되는 이유는 상기 제1, 2 보조 프레임(310, 320)을 상호 접고 펼칠 때 연결된 제2 보조 프레임(320)이 회전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제3 보조 프레임(330)은 그 상단에 한 쌍의 제3 보조 프레임(330)의 양측 간격을 일률적으로 조절하는 폭 조절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폭 조절부는 연결바(334) 및 조절부재(336)로 구성된다. (도 1 및 도 6 참조)
상기 연결바(334)는 상기 제3 보조 프레임(330)의 대향되는 내측면 각각에 수평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며 이웃한 각각의 외주면에 나사산 방향이 다른 왼나사 와 오른나사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조절부재(336)는 원통 형상으로 내부 양단 내주면에 상기 연결바(334)의 양측 나사부(왼나사 및 오른나사)에 일률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나사부와 대응되면서 중심부를 기점으로 나사산 방향이 다른 왼나사와 오른나사가 각각 형성된다.
결국, 상기 조절부재(336)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와 상기 연결바(334)가 나선 체결된 상태이므로 나사선이 다른 연결바(334)를 내측 또는 외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며 이 연결바(334)와 연결된 상기 제3 보조 프레임(330) 역시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간격이 변경된다.
그리고 상기 뒷바퀴(114) 또는 앞, 뒷바퀴(112, 114)에 휠커버(11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다기능 운송장치의 작동 과정은 상기 메인 프레임(100), 안장(200) 및 후방 핸들(300) 중 안장(200)을 제거하거나 접은 후 상기 메인 프레임(100) 상단에 카트 바구니를 장착하면 쇼핑 카트 대용 등으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안장(200)을 세우거나 눕힌 상태에서 유모차용 안장과 안전바를 장착하면 유모차 대용 등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구성요소를 부가시키지 않고 상기 후방 핸들(300)을 펼쳐 세우면 보행 보조기 대용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우선, 쇼핑 카트 등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후방 핸들(300)이 펼쳐져 있으면 상기 제1 폴딩부(312)에서 상기 분리형 힌지(314)를 분리한 다음 상기 파지부(340) 를 잡고 그와 연결된 제2 보조 프레임(320)을 전방을 향해 밀 경우 상기 제1 보조 프레임(310)과 제2 보조 프레임(320)의 연결부위가 아래쪽으로 굽혀지며 상기 제1 폴딩부(312)의 상부 고정형 힌지(312a)와 상기 제2 폴딩부(322)의 상, 하부 고정형 힌지(322a, 322b)를 기점으로 회전하면서 제2 보조 프레임(320)이 상기 제3 보조 프레임(330)의 상단에 구비되는 조인트부(332)의 원형 홈을 따라 슬라이딩하고 이에 제1, 2 보조 프레임(310, 320)의 연결부위 즉, 제2 폴딩부(322)가 90°로 회전하여 메인 프레임(100)까지 위치되면서 상기 파지부(340)가 상기 제3 보조 프레임(330)의 상측에 위치된다.
다음으로, 유모차 등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쇼핑 카트로 사용할 때와는 반대로 접혀있는 상기 제1, 2 보조 프레임(310, 320)을 펼쳐야 하며 이 경우 상기 제2 보조 프레임(320)의 파지부(340)를 잡은 다음 잡아당기면 접혔던 제1, 2 보조 프레임(310, 320)의 연결부위가 펴지면서 경사진 일직선으로 위치되면 제1 폴딩부(312)의 하단에 분리형 힌지(314)를 삽입 고정하여 상기 제2 보조 프레임(320)의 앞쪽 끝단이 상기 제1 폴딩부(312)에 고정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보행 보조기 등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쇼핑 카트로 사용할 때와 마찬가지로 상기 후방 핸들(300)를 접어 상기 제1, 2 보조 프레임(310, 320)의 연결부위인 제1, 2 폴딩부(312, 322)가 하방으로 접히면서 상기 파지부(340)가 상기 제3 보조 프레임(330)과 평행하도록 위치시킨다.
< 실시 예 2 >
본 실시 예의 다기능 운송장치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00), 전방 핸들(400), 안장(200) 및 후방 핸들(300)로 크게 구성되며, 이 구성요소를 구비하면서 상기 안장(200)을 펼친 후 상기 후방 핸들(300)을 제거하면 전방 핸들(400)을 잡고 혼자 타는 자전거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모두 적용하면 뒤에서 후방 핸들(300)을 잡고 보호자가 밀어주는 자전거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안장(200)과 후방 핸들(300)을 동시에 제거하면 킥보드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이외에 앞선 실시 예에서처럼 유모차에 적용시키되 상기 전방 핸들(400)을 탑승하는 유아 방향으로 회전시켜 별도의 안전벨트 없이 유아를 보호하는 기능이 가능하고, 상기 전방 핸들(400)이 있는 상태에서 카트 바구니를 장착하여 쇼핑 카트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전방 핸들(400)이 장착된 상태로 후방 핸들(300)을 접으면 보행 보조기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프레임(100), 안장(200) 및 후방 핸들(300)은 제1 실시 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방 핸들(400)은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선단에 구비된 핸들 지지대(102)를 통해 하측의 전륜 프레임(110)과 연결되며 전, 후방으로 회전되면서 길이 조절되는 조향 핸들로, 상황에 따라 탈착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전방 핸들(400)은 지지대 고정부(410)와 핸들 몸체(420) 및 체결수단(426)으로 세분화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 고정부(410)는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선단에 볼트(102a) 및 너트(102b)로 고정된 핸들 지지대(102)의 저면에 구비된 전륜 프레임(110)의 상단 나선부(110a)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선홈(도면에 미도시)이 그 저면에 형성되고 단차진 그 중심부 상면에 하단이 연결된 한 쌍의 원판 형태인 전방 이격부재(412)에 의해 가운데 홈(413)이 형성되며 상기 홈(413)의 양측 내벽에 중심을 기점으로 한 방사 형태의 미세한 래칫(412a)이 형성된다.
상기 핸들 몸체(420)는 상기 지지대 고정부(410)의 전방 이격부재(412)에 형성된 홈(413)에 삽입되도록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전방 삽입부재(422)와 상기 전방 삽입부재(422)의 상단에 사용자가 파지하는 전방 파지부(430)가 삽입되어 위치 고정되는 전방 연장부(422)로 형성되며, 상기 전방 삽입부재(422)의 양측 외벽에 상기 래칫(412a)과 물리도록 대향되는 중심을 기점으로 한 방사 형태의 래칫(422a)이 하단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 핸들(400)은 앞선 제1 실시 예에서와 같이 자전거 기능 이외에 유모차 기능을 수행할 때 앞바퀴(112)의 회전됨을 차단하기 위해 앞바퀴(112)가 고정되는 전륜 프레임(110)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부재(11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111)는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선단에 구비되면서 그 하부에 회전 가능한 상기 전륜 프레임(11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핸들 지지대(102)의 그 전면 양단에 턱(103)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턱(103)의 간격과 동일하면서 수동에 의한 회전시 상기 턱(103)에 밀착하여 이 전륜 프레임(110)의 회전됨을 차단하도록 수직선상 위치인 상기 전륜 프레임(110)의 양단에 링 형태로 고정되면서 일측에 돌기(111a)가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전방 핸들(400)은 앞선 제1 실시 예의 후방 핸들(300)에 구비되는 파지부(340)의 길이 조절과 동일하게 전방 연장부(422)의 끝단 내주면에 외주면이 삽입되어 사용자의 신장에 맞게 길이가 조절되는 전방 파지부(430)가 더 구비되며 손으로 잡는 상기 전방 파지부(430)는 그 양측 끝단이 연결된 상태로 예시하였으나 분리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방 파지부(430)의 길이 조절은 상기 안장(200)의 길이 조절과 제2 보조 프레임(320)의 파지부(340)와 같이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체결수단(426)은 상기 전방 이격부재(412)의 홈(413)에 형성된 래칫(412a)과 상기 핸들 몸체(420)에 형성된 래칫(422a)과의 물리는 각을 고정 즉, 상기 전방 핸들(400)의 위치를 탑승한 사람의 키나 유모차 기능시 안전벨트 대용으로 사용할 경우 탑승자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해 상기 핸들 지지대(102)의 상단인 전방 이격부재(412)와 상기 핸들 몸체(420)의 하단인 전방 삽입부재(424)를 연결 고정하는 볼트(426a)와 너트(426b)이다.
결국, 상기 전방 핸들(400)은 그 회전 각도 조절시 상기 안장(200)의 전후 방향에 대한 회전 각도 조절 과정과 동일하며, 우선 상기 너트(426b)를 풀어 볼트(426a)와 분리시킨 상태에서 상기 전방 연장부(422)에 삽입된 전방 파지부(430) 를 전, 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호 결합된 래칫(412a, 422a)의 이 간격이 미세하면서 가압하지 않아 이동이 가능하며 설정 각도로 고정시킬 경우 재차 볼트(426a)와 너트(426b)를 견고하게 체결시키면 된다.
더욱이, 상기 전방 핸들(400)에는 상기 전방 파지부(430)가 양측 분리형 또는 양측 연결형 중 어느 하나로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앞바퀴(112)를 제동시키는 브레이크(도면에 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방 핸들(400)의 분리시 상기 핸들 지지대(102)에는 이 전방 핸들(400)을 체결시키는 상단 나선부(110a)가 노출되는 것을 마감하기 위해 판상으로 중심부에 상기 상단 나선부(110a)가 통하는 홀이 형성된 고정대(104), 상기 상단 나선부(110a)에 체결되면서 수평 방향으로 볼트(B)에 의해 체결되어 상단 나선부(110a)를 가압하는 너트캡(106), 상기 메인 프레임(100)이 프레임 형태일 경우 메인 프레임(100)의 선단과의 연결부위를 감싸는 절곡된 판상인 회전대(108)를 그 외측에서 볼트(102a) 및 너트(102b)로 체결 고정하며 상측에서 핸들 지지대(102)를 포함하여 감싸는 커버(C)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다기능 운송장치의 작동 과정은 상기 메인 프레임(100), 안장(200), 후방 핸들(300) 및 전방 핸들(400) 중 상기 안장(200)과 후방 핸들(300)을 분리하면 킥보드로 사용 가능하고, 안장(200)을 펼치면 탑승한 아이가 혼자 탈 수 있는 자전거로 사용 가능하고, 상기 안장을 펼친 상태에서 후방 핸들(300)을 장착하면 뒤에서 밀어주는 자전거 기능을 하게 된다.
이 밖에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상기 안장(200)을 제거 또는 접은 후 카트 바구니를 설치하여 쇼핑 카트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자전거, 킥보드 등의 사용이 요구될 경우 상기 전방 핸들(400)은 탑승자가 손으로 잡는 과정에서 파지 위치의 조절을 위해 전, 후방으로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이는 우선 상기 너트(426b)를 풀어 볼트(426a)와 분리시킨 상태에서 상기 전방 연장부(422)를 전, 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가압되지 않으면서 상호 결합된 래칫(412a, 422a)의 이 간격이 미세하여 이동이 가능하며 설정 각도로 고정시킬 경우 재차 볼트(426a)와 너트(426b)를 견고하게 체결시키면 된다.
한편, 상기 전방 파지부(430)를 잡아당기면 상기 전방 연장부(422)에서 이동되므로 탑승자가 사용하기 편한 위치만큼 상기 전방 핸들(400)의 각도 이외에 길이를 줄이거나 늘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운송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상기 다기능 운송장치에서 후방 핸들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다기능 운송장치에서 앞바퀴가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상기 다기능 운송장치의 후방 핸들의 연결부위가 펼치고 접히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상기 후방 핸들의 제3 보조 프레임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다기능 운송장치에서 뒷바퀴에 구비된 스토퍼를 도시한 부분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운송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기능 운송장치인 적용 예인 유모차, 쇼핑 카트, 자전거 및 킥보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메인 프레임 102: 핸들 지지대
110: 전륜 프레임 111: 회전부재
200: 안장 300: 후방 핸들
10: 제1 보조 프레임 312: 제1 폴딩부
320: 제2 보조 프레임 322: 제2 폴딩부
330: 제3 보조 프레임 322: 조인트부
400: 전방 핸들

Claims (9)

  1. 이륜 또는 삼륜식 운송장치에 있어서,
    메인 프레임의 일단에 구비되어 접거나 탈착되며, 전, 후방의 회전 및 길이가 조절되는 안장;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측 선단과 양측 끝단을 각각 연결한 연결부위가 접힘 또는 펼침 동작하며 탈착되는 후방 핸들; 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 핸들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선단 양측에서 각각 회전되도록 선단이 연결되는 제1 보조 프레임;
    상기 제1 보조 프레임 양측 끝단에서 각각 선단이 연결되어 연장되며, 상기 제1 보조 프레임의 후단 및 끝단 2지점과 상호 연결되도록 이와 대응되는 앞쪽 끝단 및 선단 2지점이 제1, 2 폴딩부에 의해 각각 힌지 고정되되 상기 제1 폴딩부의 하단에서 분리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분리형 힌지에 의해 연결되고, 제2 보조 프레임의 끝단 내주면에 외주면이 삽입되어 길이가 조절되면서 양측 끝단이 연결 또는 분리 형태로 구비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제2 보조 프레임; 및
    상기 제2 보조 프레임의 양측 도중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끝단 양측에 직립된 상태로 간격 유지를 위해 각각 연결되되 상기 제2 보조 프레임이 접한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되는 조인트부가 각각 상단에 구비되는 제3 보조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송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보조 프레임은 양측 간격을 일률적으로 조절하는 폭 조절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폭 조절부는 상기 제3 보조 프레임의 내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각각 연결되며 이웃한 각각의 외주면에 나사산 방향이 다른 왼나사와 오른나사가 형성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의 양측 나사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나사부와 대응되면서 중심부를 기점으로 내부의 나사산 방향이 다른 왼나사와 오른나사가 각각 형성되는 조절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송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선단에 전, 후방으로 회전되면서 길이 조절 및 탈착되는 조향식 전방 핸들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송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핸들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선단인 핸들 지지대에 구비된 전륜 프레임의 상단 나선부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선홈이 그 하단에 형성되고 그 상단 중심부에 홈이 형성 되며 상기 홈의 양측 내벽에 미세한 래칫이 형성되는 지지대 고정부;
    상기 홈에 삽입되되 하단 양측 외벽에 상기 래칫과 물리도록 대향되는 래칫이 하단에 형성되는 핸들 몸체; 및
    상기 홈에 형성된 래칫과 상기 핸들 몸체에 형성된 래칫과의 물리는 각도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지지대 고정부의 상단과 상기 핸들 몸체의 하단을 연결 고정하는 체결수단;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송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지지대는 그 전면 양단에 턱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전방 핸들의 회전됨을 차단하도록 상기 턱의 간격과 동일하면서 수직선상 위치인 상기 전륜 프레임의 양단에 돌기가 형성된 회전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송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카트 바구니 또는 유모차용 안장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송장치.
KR1020080016874A 2008-02-25 2008-02-25 다기능 운송장치 KR100955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874A KR100955659B1 (ko) 2008-02-25 2008-02-25 다기능 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874A KR100955659B1 (ko) 2008-02-25 2008-02-25 다기능 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548A KR20090091548A (ko) 2009-08-28
KR100955659B1 true KR100955659B1 (ko) 2010-05-06

Family

ID=41208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6874A KR100955659B1 (ko) 2008-02-25 2008-02-25 다기능 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56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089Y1 (ko) * 2011-09-26 2012-03-21 라귀복 유아용 삼륜 자전거
CN106627914A (zh) * 2016-12-21 2017-05-10 张学田 多功能童车
KR102031279B1 (ko) * 2018-04-18 2019-10-11 유상진 유모차
KR102439207B1 (ko) * 2019-10-07 2022-09-02 유상진 유모차
EP3981668B1 (en) * 2020-10-08 2023-04-19 Sang Jin Yoo Stroll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943Y1 (ko) * 2003-12-24 2004-03-24 왕나윤 유모차 겸용 세발 자전거
KR200390422Y1 (ko) * 2005-03-14 2005-07-25 신종락 유아를 자전차에 태울수 있는 캐리어
KR200413288Y1 (ko) * 2006-01-10 2006-04-06 김미강 세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943Y1 (ko) * 2003-12-24 2004-03-24 왕나윤 유모차 겸용 세발 자전거
KR200390422Y1 (ko) * 2005-03-14 2005-07-25 신종락 유아를 자전차에 태울수 있는 캐리어
KR200413288Y1 (ko) * 2006-01-10 2006-04-06 김미강 세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548A (ko) 200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0184B2 (en) Convertible stroller-cycle
US9321472B2 (en) Cart for use with pedal-cycle or other tilt-cornering vehicle
KR100955659B1 (ko) 다기능 운송장치
US7992889B2 (en) Convertible stroller-cycle
KR200298562Y1 (ko) 접철식 3륜 자전거
EP3024715B1 (en) Folding scooter
US6991243B2 (en) Platform scooter for larger children and handicapped persons
US6497426B2 (en) Convertible bicycle
WO2006127015A1 (en) Convertible stroller/tricycle
US11760403B2 (en) Stroller
IL169079A (en) Folding bicycles
KR200413288Y1 (ko) 세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
JP5368496B2 (ja) 折り畳み自転車
JP7305235B2 (ja) 折り畳み可能な自転車
EP3981668B1 (en) Stroller
GB2480659A (en) Bicycle seat convertible to a pushchair
KR102516072B1 (ko) 접이식 유아차
RU2782541C1 (ru) Складное персональ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KR200390422Y1 (ko) 유아를 자전차에 태울수 있는 캐리어
WO2004110852A2 (en) Folding bicycle apparatus and method
KR19990085803A (ko) 휴대용 절첩식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