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1671A -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 - Google Patents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1671A
KR20100111671A KR1020107014451A KR20107014451A KR20100111671A KR 20100111671 A KR20100111671 A KR 20100111671A KR 1020107014451 A KR1020107014451 A KR 1020107014451A KR 20107014451 A KR20107014451 A KR 20107014451A KR 20100111671 A KR20100111671 A KR 20100111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meth
resin composition
vinyl group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4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잉빙 루오
히로토 마쓰모토
슈지 오카모토
Original Assignee
소켄 케미칼 앤드 엔지니어링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켄 케미칼 앤드 엔지니어링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소켄 케미칼 앤드 엔지니어링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00111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167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4C4-(meth)acrylate, e.g. but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or tert-but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34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068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4Forming conductive coatings; Forming coatings having anti-stat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for coatings strippable as coherent films, e.g. temporary coatings strippable as coherent fil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6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having an anti-static effect, e.g. electrically conducting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필경도가 4H 이상이라고 하는 충분한 경도의 하드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우수한 대전 방지성을 구비하고, 또한 이것을 사용한 필름에 우수한 표면 박리성을 부여할 수 있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당해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은, 다음의 성분(A)∼(C), (A)4급 암모늄기를 구비하는 비닐기 함유 단량체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를 공중합 하여 얻어지는 (메타)아크릴계 코폴리머, (B)3관능 이상의 비닐기를 구비하는 폴리우레탄 올리고머 및/또는 (C)2∼6관능의 비닐기를 구비하는 아크릴계 모노머를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또한 다음의 성분(A')∼(C), (A')4급 암모늄기를 구비하는 비닐기 함유 단량체, 폴리디메틸실록산기 또는 불소화 알킬기를 구비하는 비닐기 함유 단량체 및 이들과 공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를 공중합 하여 얻어지는 (메타)아크릴계 코폴리머, (B)3관능 이상의 비닐기를 구비하는 폴리우레탄 올리고머 및/또는 (C)2∼6관능의 비닐기를 구비하는 아크릴계 모노머를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또한 다음의 성분(A)∼(D), (A)4급 암모늄기를 구비하는 비닐기 함유 단량체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를 공중합 하여 얻어지는 (메타)아크릴계 코폴리머, (B)3관능 이상의 비닐기를 구비하는 폴리우레탄 올리고머 및/또는 (C)2∼6관능의 비닐기를 구비하는 아크릴계 모노머, (D)상기 (A)∼(C)와 상용 가능한 실리콘 폴리머를 함유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RESIN COMPOSITIONS FOR FORMING HARD COATING LAYER}
본 발명은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hard coating層 形成用 樹脂組成物)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대전 방지성(帶電 防止性)이나 표면 박리성(表面 剝離性)도 우수한 하드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용할 수 있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액정 디스플레이(LCD)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를 비롯한 화상표시장치(畵像表示裝置)의 보급율은 현저하게 확대되고 있다. 이들 디스플레이의 화면표시부(畵面表示部) 또는 표시체(表示體)에서는, 그 글래스면(glass面)을 보호하기 위하여 하드코팅(hard coating) 처리한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글래스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필름으로서는, 기계 특성, 내열성, 투명성 등에 있어서 우수한 특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이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 또는 시클로올레핀폴리머(COP) 필름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PET를 비롯하여 플라스틱은 보통 전기 절연성(電氣絶緣性)이기 때문에 필름 표면이 대전(帶電)되어 먼지 등이 부착되기 쉬워져서, 그 취급에 있어서는 깨끗한 분위기(雰圍氣)의 설정 등 주의가 필요하다.
한편 상기한 하드코팅 처리는, 단독으로는 B 이하의 연필경도(鉛筆硬度)(JIS K6894) 밖에 구비하지 않은 아크릴 등의 수지재료(樹脂材料)에, EB(전자빔(electric beam))나 UV(자외선(紫外線))의 조사(照射) 또는 가열 등을 하여 이들을 경화(硬化)시키고, 그 경도를 연필경도 2H 이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글래스면 보호용 필름은 정전기(靜電氣)를 띠기 쉽고, 그에 따르는 오염 부착에 의하여 화면정보가 인식되기 어려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에 있어서 이러한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로서는, 3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기((meta)acryloyl基)를 구비하는 자외선 또는 방사선 경화형 수지(放射線 硬化型 樹脂), 도전성 폴리머(導電性 polymer) 및 (메타)아크릴로일기 및 수산기(水酸基)를 구비하는 상용화제(相溶化劑)로 이루어지는 도료조성물(塗料組成物)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1). 그러나 이것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피막(皮膜)은, 대전 방지성(帶電防止性)이 나쁘고 또한 경도도 연필경도에서 H 정도로 높은 것은 아니었다.
마찬가지로 4급 암모늄염(4級 ammonium鹽)을 구비하는 단량체(單量體), 가교성 올리고머(架橋性 olygomer), 다관능(多官能)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metha)acryl酸 esther) 및 광중합 개시제(光重合開始劑)로 이루어지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조성물(紫外線 硬化型 樹脂組成物)도 알려져 있지만(특허문헌2), 이 조성물을 사용한 경화물 피막(硬化物皮膜)도 대전 방지성이 나쁘고 또한 경도도 연필경도에서 HB 정도로 낮았다.
따라서 실용상 만족할 수 있는 대전 방지성이나 경도 또는 이것을 이용한 표면보호 필름을 제거할 때의 표면 박리성이 우수한 하드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는 수단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었다.
WO 03/055950 A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5-98049호
일반적으로 하드코팅 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피막은, 사용 중의 긁히기 흠집 방어 등의 면에서는 연필경도 2∼3H로는 불충분하고, 그 이상의 단단함으로 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연필경도가 4H 이상이 되는 충분한 경도의 하드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우수한 대전 방지성을 구비하고 또한 이것을 사용한 필름에 우수한 표면 박리성(表面剝離性)을 부여할 수 있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을 얻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한 결과, 4급 암모늄기를 구비하는 비닐기 함유 단량체와, 이와 공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를 사용하여 조제되는 (메타)아크릴계 코폴리머에, 3관능 이상의 비닐기를 구비하는 폴리우레탄 올리고머 및 2∼6관능의 비닐기를 구비하는 아크릴계 모노머를 가하여 얻어진 수지조성물은, 충분한 경도의 하드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고 또한 우수한 대전 방지성 등의 물성을 구비한다는 것을 찾아내었다. 또한 상기 (메타)아크릴계 코폴리머에 폴리디메틸실록산기나 불소화 알킬기를 도입함으로써, 더 우수한 표면 박리성을 구비하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이 얻어진다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은, 다음의 성분(A)∼(C),
(A)4급 암모늄기(4級 ammonium基)를 구비하는 비닐기 함유 단량체(vinyl基 含有 單量體) 및 이와 공중합(共重合) 가능한 (메타)아크릴계 단량체((metha)acryl系 單量體)를 공중합 하여 얻어지는 (메타)아크릴계 코폴리머((metha)acryl系 co-polymer),
(B)3관능 이상의 비닐기를 구비하는 폴리우레탄 올리고머(polyurethane oligomer) 및/또는
(C)2∼6관능의 비닐기를 구비하는 아크릴계 모노머(acryl系 monomer)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hard coating層 形成用 樹脂組成物)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다음의 성분(A')∼(C),
(A')4급 암모늄기를 구비하는 비닐기 함유 단량체, 폴리디메틸실록산기(polydimethylsiloxane基) 또는 불소화 알킬기(弗素化 alkyl基)를 구비하는 비닐기 함유 단량체 및 이들과 공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를 공중합 하여 얻어지는 (메타)아크릴계 코폴리머,
(B)3관능 이상의 비닐기를 구비하는 폴리우레탄 올리고머 및/또는
(C)2∼6관능의 비닐기를 구비하는 아크릴계 모노머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의 성분(A)∼(D),
(A)4급 암모늄기를 구비하는 비닐기 함유 단량체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를 공중합 하여 얻어지는 (메타)아크릴계 코폴리머,
(B)3관능 이상의 비닐기를 구비하는 폴리우레탄 올리고머 및/또는
(C)2∼6관능의 비닐기를 구비하는 아크릴계 모노머,
(D)상기(A)∼(C)와 상용(相溶) 가능한 실리콘 폴리머(silicon polymer)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서 얻어진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을 기재(基材)에 도포(塗布)하고, 경화(硬化)하게 하여 얻어지는 편광 필름(偏光 film)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은, 이것을 도포 후 중합시킴으로써 충분한 경도를 구비하고, 또한 실용상 만족할 수 있는 대전 방지성이나 우수한 표면 박리성을 구비하는 하드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성분(A)으로서 사용되는 (메타)아크릴계 코폴리머((meta)acryl系 co-polymer)는, 4급 암모늄기를 구비하는 비닐기 함유 단량체(vinyl基 含有 單量體)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계 단량체((meta)acryl系 單量體)를 공중합 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이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4급 암모늄기를 구비하는 비닐기 함유 단량체(이하, 「모노머(a)」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및 모노머(a)와 공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계 단량체(이하, 「모노머(b)」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를 보통의 방법에 따라 공중합 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들 모노머 중에서 모노머(a)는 트리알킬암모늄기 등의 4급 암모늄기와 비닐기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2-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3-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미노알킬기 함유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류 ; 2-(디메틸아미노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디에틸아미노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3-(디메틸아미노에톡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미노알콕시알킬기 함유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류 ; N-(2-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N-(2-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N-(2-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N-아미노알킬기 함유 (메타)아크릴아미드류 등의 (메타)아크릴계 모노머를, 염화메틸렌, 황산디메틸, 황산디에틸, 탄산디메틸, 탄산디에틸 등에 의하여 4급화한 4급염으로서 얻어지는 것이다.
모노머(a)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2-히드록시-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2-히드록시-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2-히드록시-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틸암모늄브로마이드, 2-히드록시-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부틸암모늄클로라이드, 2-히드록시-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에틸부틸암모늄클로라이드, 2-히드록시-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디메틸페닐암모늄클로라이드, 2-히드록시-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디메틸시클로헥실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2-히드록시-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2-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의 염화메틸렌에 의한 4급염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노머(b)로서는 상기 모노머(a) 이외의 (메타)아크릴계 모노머이며, 그 구체적인 예로서는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프로필, 아크릴산 부틸, 아크릴산 히드록시 에틸, 아크릴산 히드록시 프로필, 메타아크릴산 메틸, 메타아크릴산 에틸, 메타아크릴산 프로필, 메타아크릴산 부틸, 메타아크릴산 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산 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 히드록시부틸 등의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2-(methacryloyloxy)ethylsuccinate),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핵사히드로산(2-(methacryloyloxy)ethylhexahydrophthalate)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메타아크릴산 메틸, 메타아크릴산 부틸, 메타아크릴산 히드록시에틸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A)인 (메타)아크릴계 코폴리머의 제조는, 구체적으로는 0.5 내지 80질량%(이하 간단하게 「%」로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의 모노머(a), 20 내지 99.5%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의 모노머(b)를, 필요에 따라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 알콜, 이소프로필 알콜, 메틸에틸케톤, 메틸셀로솔브(methylcellosolve) 등의 적당한 용매나 반응개시제와 함께 반응용기에 넣고, 이것을 50 내지 90 정도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정도의 온도에서, 2 내지 8시간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시간 정도 반응시키면 좋다. 또한 이 반응은 용액중합(溶液重合), 현탁중합(縣濯重合), 유화중합(乳化重合) 등 주지된 방법으로 할 수 있지만, 반응성 및 상용성(相溶性)의 점으로부터 용액중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성분(A)은, 그 중량평균분자량(重量平均分子量)이 10,000 내지 150,000 정도, 바람직하게는 50,000 내지 100,000 정도의 것이고, 모노머(a)에 기인하는 4급 암모늄기를 구비하는 것이기 때문에 우수한 대전방지(帶電防止) 성능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성분(A')로서 사용되는 (메타)아크릴계 코폴리머는, 상기한 모노머(a), 모노머(b) 이외에 폴리디메틸실록산기(polydimethylsiloxane基) 구비하는 비닐기 함유 단량체((메타)아크릴로일기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organopolysiloxane) ; 이하, 모노머(c)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는 불소화 알킬기를 구비하는 비닐기 함유 단량체(이하, 모노머(d)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를 보통의 방법에 따라 공중합 시킴으로써 제조되는 것이다.
상기 모노머(c)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다음의 식(1)과 같은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식I]
Figure pct00001
(단 R1∼R7은 알킬기 또는 아릴기, R8은 C3∼C10의 알킬렌기, R9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n은 10∼200의 정수이다)
상기 식(I)에 있어서, R1∼R7은 전부 메틸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R8은 프로필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노머(c)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메타크릴록시프로필 폴리디메틸실록산, 아크릴록시프로필 폴리디메틸실록산, 메타크릴록시부틸 폴리디메틸실록산, 아크릴록시부틸 폴리디메틸실록산, 메타크릴록시프로필 폴리메틸페닐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모노머(d)는 수소원자가 불소원자로 치환된 알킬기를 구비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이고, 예를 들면 퍼플루오르옥틸에틸아크릴레이트, 퍼플루오르옥틸에틸메타크릴레이트, 퍼플루오르헥실에틸아크릴레이트, 퍼플루오르헥실에틸메타크릴레이트, N-메틸퍼플루오르옥틸술폰아미드에틸아크릴레이트, N-메틸퍼플루오르옥틸술폰아미드에틸메타크릴레이트, N-메틸퍼플루오르헥실술폰아미드에틸아크릴레이트, N-메틸퍼플루오르헥실술폰아미드에틸메타크릴레이트, N-프로필퍼플루오르헥실술폰아미드에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퍼플루오르옥틸술폰아미드에틸아크릴레이트, 퍼플루오르헵틸카본아미드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알킬기의 수소원자가 모두 불소원자로 치환된 퍼플루오르옥틸에틸메타크릴레이트가 사용된다.
또한 성분(A')의 제조방법은 성분(A)의 제조방법과 대략 동일하지만, 제조에 있어서의 모노머의 양은, 모노머(a)가 0.5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이고, 모노머(b)가 20 내지 99.5%,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이고, 모노머(c)가 0.5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이고, 모노머(d)가 0.5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이다. 또한 상기 모노머와의 상용성이 좋은 용매의 선택에도 주의를 요한다.
한편 본 발명의 성분(B)인 3관능 이상의 비닐기를 구비하는 폴리우레탄 올리고머(polyurethane oligomer)로서는, 예를 들면 식(2)에 나타나 있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polyisocyanate)와 적어도 1개의 수산기를 구비하는 단관능 또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올리고머를 들 수 있다.
[식2]
Figure pct00002
(식에 있어서 R은 탄소수 1∼10의 알킬렌기, 페닐렌기 또는 치환 페닐렌기를 나타낸다)
상기의 성분(B)으로서는, 3관능 이상의 비닐기를 구비하는 폴리우레탄 올리고머는 시판품(市販品)을 사용할 수 있다. 시판되고 있는 상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신나카무라 화학공업(주)(Shin-Nakamura Chemical Co., Ltd.)의 제품, 상품명 : NK 올리고 U-4HA, U-6HA, U-6LPA, U-15HA, UA-32P, U-324A 등을 들 수 있다.
이 성분(B)은, 다음에 설명하는 성분(C)과 맞물려서 충분한 단단함을 부여하는 작용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성분(C)인 2∼6관능의 비닐기를 구비하는 아크릴계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시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트리스(아크릴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에틸렌시드 변성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알킬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알킬 변성 시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시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및 이들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특히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에 대한 하나의 태양은, 상기 성분(A) 또는 성분(A')과, 성분(B) 및/또는 성분(C)을 배합하고, 필요에 따라 이것에 중합개시제(重合開始劑)를 첨가한 것이다. 성분(B) 및 성분(C)은 단독으로 성분(A) 또는 성분(A')과 조합시킬 수 있지만, 양자를 병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태양의 바람직한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은, 예를 들면 0.5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의 성분(A) 또는 성분(A'), 0.5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의 성분(B), 0.05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의 성분(C) 및 0.05 내지 10%의 중합개시제(단 각 성분의 총량은 100%를 넘지 않는다)를, 예를 들면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이나,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등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등의 적당한 용제에 현탁, 분산시켜서, 필요에 따라 다른 임의 성분을 함유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의 제2태양으로서, 상기 성분(A), 성분(B) 및/또는 성분(C)의 이외에 성분(D)으로서 이들 성분(A)∼(C)과 반응 가능한 실리콘 폴리머를 배합하고, 필요에 따라 이것에 중합개시제를 첨가한 것을 들 수 있다.
이 태양에서 사용되는 성분(A)∼(C)과 상용 가능한 실리콘 폴리머(silicon polymer)(성분(D))로서는, 식(1)에 나타나 있는 모노머와 그 이외의 공중합 가능한 아크릴 모노머를 공중합 하여 얻어진 폴리머 이외에, 실록산 단위(RnSiO-)를 구비하는 (메타)아크릴 모노머가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오가노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고, 이 중에서 반응성 및 다른 폴리머와의 상용성의 점으로부터 식(1)에 나타나 있는 모노머를 중합하여 얻어진 호모 폴리머(homo polymer)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실리콘 폴리머로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실리콘 폴리머로서 시판되고 있는 상품으로서는, 일본의 가네카(주)(KANEKA CORPORATION) 제품 상품명 : MS 폴리머 S-203H, 일본의 소켄가가쿠(주)(Soken Chemical & Engineering Co.,Ltd) 제품 상품명 : 액트 플로우 C-GBF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2태양의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의 바람직한 제조방법은, 상기한 태양의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과 대략 동일하지만, 각 성분의 배합량은, 성분(A)이 0.5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성분(B)이 0.5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성분(C)이 0.05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 성분(D)이 0.5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합개시제가 0.05 내지 10%이다(단 각 성분의 총량은 100%를 넘지 않는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이하, 「수지조성물」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은,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즉 우선 수지조성물을, 글래스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필름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필름,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OP) 필름 등 상에 도공(塗工)하여 수지조성물층을 형성한다. 계속하여 이 수지조성물층에 광(光), 자외선, 전자선, 열 등의 중합개시수단을 작용시켜서, 당해 수지조성물층을 경화(硬化)시킴으로써 필름 상에 하드코팅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지조성물의 바람직한 사용의 일례로서는, 편광 필름(偏光 film) 상에 대하여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즉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아세탈 및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의 감화물 등의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에, 요오드, 2색성 염료(二色性 染料) 등의 편광 성분을 함유시켜서 신장 필름을 형성한다. 다음에 그 신장 필름의 양면에 아크릴수지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필름 등을 적층하여 다층 필름인 편광 필름을 조제한다. 이 편광 필름 상에 본 발명의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을 도공하여 수지조성물층을 형성하고, 최후에 이 수지조성물층에 광, 자외선, 열 등의 중합개시수단을 작용시킴으로써 당해 수지조성물을 경화시켜서, 필름 상에 하드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수지조성물의 도공은, 도포액을 롤러로부터 흘러내리게 하여 기재(基材)에 직접 도포 등 공지의 수단으로 할 수 있고, 그 도공 두께는, 일반적으로는 0.1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이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광중합 개시제(光重合開始劑)로서는, 광의 작용에 의하여 라디컬을 발생하는 모노라면 특별하게 한정하는 경우는 없다. 예를 들면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몰포리노프로판-1-온, 2-히드록시-4'-히드록시에톡시-2-메틸프로피오페논, 4-페녹시디클로로아세트페논, 4-t-부틸디클로로아세트페논, 디에톡시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4-이소프로필렌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1-히드록시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2-히드록시-4'-히드록시에톡시-2-메틸프로피오페논 및 1-히드록시클로헥실페닐케톤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을 중합개시수단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그 강도는 100 내지 1,500mJ/cm2 정도이고, 자외선을 중합개시수단으로 하는 경우에는, 150 내지 450nm 정도 파장의 자외선을 100 내지 1,500mJ/cm2 정도의 강도로 사용하면 좋다. 자외선 조사 전에 필요에 따라 가열을 하여 경화의 완전을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선을 중합개시수단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경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충분한 경도를 구비하고, 또한 실용상 만족할 수 있는 대전 방지성이나 우수한 표면 박리성을 구비하는 하드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이 생각되고 있다.
우선, 양이온성기(cation性基)인 4급 암모늄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 수지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대전방지 성능이 얻어지지만,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로서 충분한 단단함을 얻기 위해서는 이것으로는 불충분하여, 2∼6관능기를 구비하는 아크릴 모노머와 3관능기 이상의 비닐기를 구비하는 우레탄 올리고머(polyurethane oligomer)를 수지조성물에 첨가함으로써 충분한 단단함이 얻어지게 된다.
또한 폴리디메틸실록산기 또는 불소화 알킬기를 베이스가 되는 폴리머에 함유시키거나, 조성물 중에 실리콘 폴리머를 더 배합함으로써 투명성(透明性)을 더 향상시킴과 아울러, 박리성(剝離性) 등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실시예
다음에 실시예, 제조예, 비교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 등에 조금도 제약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1
(메타)아크릴아미드((metha)acrylamide)로부터 유도되는 4급 아민성 관능기를 구비하는 수지의 제조 :
온도계, 교반기(攪拌機), 수냉 콘덴서(水冷 condenser) 및 질소가스 흡입구를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부틸메타크릴레이트 45g(0.32mol),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36g(0.23mol),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5g(0.04mol) 및 메탄올 85g을 넣고 65℃에서 6시간 반응시켰다. 이어서 이 반응물에 4급 염화제(鹽化劑)인 디메틸황산 29g(0.23mol)을 약 1시간 반에 걸쳐서 적하(滴下)하고, 적하 종료 후에 그대로 반응을 계속하고, 4시간에 걸쳐서 냉각하였다. 생성물은 고형분(固形分) 농도 50%이고, 얻어진 폴리머는 4급 아민성 관능기를 구비하는 (메타)아크릴 코폴리머((metha)acryl co-polymer)이었다(이하,「수지A-1」라고 한다).
제조예2
4급 아민성 관능기를 구비하는 (메타)아크릴 수지의 제조 :
온도계, 교반기, 수냉 콘덴서 및 질소가스 흡입구를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부틸메타크릴레이트 55g(0.39mol),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4급 염화물 30g(0.14mol),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5g(0.04mol) 및 메탄올 100g을 넣고 65℃에서 6시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물을 냉각시켜서 4급 아민성 관능기를 구비하는 (메타)아크릴 코폴리머를 얻었다(이하, 「수지A-2」라고 한다).
제조예3
폴리디메틸실록산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 수지의 제조 :
온도계, 교반기, 수냉 콘덴서 및 질소가스 흡입구를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하기 식(3)에 나타나 있는 a-부틸-(3-메타크릴록시프로필)폴리디메틸실록산(일본의 지소(주)(CHISSO CORPORATION) 제품, 「FM-0711」)을 100g(0.1mol),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3g(0.33mol),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7.5g(0.06mol), 티오글리세롤 6g(0.055mol) 및 아세트산에틸 60g을 넣고 80℃에서 6시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물을 냉각시켜서 폴리디메틸실록산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 코폴리머를 얻었다(이하, 「수지A-3」이라고 한다).
[식3]
Figure pct00003
제조예4
4급 아민성 관능기 및 불소화 알킬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 수지의 제조 :
온도계, 교반기, 수냉 콘덴서 및 질소가스 흡입구를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부틸메타크릴레이트 37g(0.26mol),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5g(0.03mol),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4급 염화물 22g(0.10mol), 일반식 (4)에 나타나 있는 퍼플루오르옥틸에틸메타크릴레이트(일본 메크토론(주)(NIPPON MEKTRON, LTD.) 제품, 「CHEMINOXFAMAC-8」) 35g(0.1mol) 및 메탄올 100g을 넣고 65℃에서 6시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물을 냉각시켜서 4급 아민성 관능기 및 불소화 알킬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 코폴리머를 얻었다(이하, 「수지A-4」라고 한다 ; 고형분 농도 50%).
[식4]
Figure pct00004
제조예5
4급 아민성 관능기, 폴리실록산기 및 불소화 알킬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 수지의 제조 :
온도계, 교반기, 수냉 콘덴서 및 질소가스 흡입구를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부틸메타크릴레이트 43g(0.3mol),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4급 염화물 50g(0.23mol), 퍼플루오르옥틸에틸메타크릴레이트(일본 메크토론(주) 제품, 「CHEMINOXFAMAC-8」)를 0.5g, a-부틸-(3-메타크릴록시프로필)폴리디메틸실록산(일본의 지소(주) 제품, 「FM-0711」)을 0.5g 및 메탄올 100g을 넣고 65℃에서 6시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물을 냉각시켜서 4급 아민성 관능기, 폴리실록산기 및 불소화 알킬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 코폴리머를 얻었다(이하, 「수지A-5」라고 한다).
실시예1
하드코팅용 수지조성물의 제조(1) :
제조예1에서 얻어진 수지A-1과, 1분자 중에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3개 이상 구비하는 우레탄 올리고머인 U-15HA(일본의 신나카무라 가가쿠(주)(Shin-Nakamura Chemical Co.,Ltd.) 제품)와 1분자 중에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6개를 구비하는 (메타)아크릴 모노머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일본의 교에이사 가가쿠(주)(KYOEISHA CHEMICAL Co.,LTD) 제품)를 고형분 환산에 의하여 15 : 20 : 65가 되도록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 100중량부에, 1.2중량부의 광개시제(光開始劑)(일본의 지바·스페셜티·케미컬즈(주)(Ciba Specialty Chemicals Inc.) 제품, 「일가큐어 184(IRGACURE 184)」)를 더하여 혼합하고, 이어서 100중량부의 메틸셀로솔브와 메탄올의 혼합용제(80 : 20)에서 희석하여 하드코팅용 수지조성물(E-1)을 얻었다. 이것을 TAC 필름 기재 상에 도포한 후에 UV 조사하여 얻어진 하드코팅 필름은 대전 방지성과 표면 박리성을 구비하는 것이었다.
실시예2
하드코팅용 수지조성물의 제조(2) :
제조예2에서 얻어진 수지A-2와, 실시예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우레탄 올리고머 및 (메타)아크릴 모노머를, 고형분 환산에 의하여 15 : 20 : 65가 되도록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 100중량부에 실시예1과 동일한 광개시제를 1.2중량부 더하고, 또한 100중량부의 메틸셀로솔브와 메탄올의 혼합용제(80 : 20)에서 희석하여 하드코팅용 수지조성물(E-2)을 얻었다. 이것을 TAC 필름 기재 상에 도포한 후에 UV 조사하여 얻어진 하드코팅 필름은 대전 방지성과 표면 박리성을 구비하는 것이었다.
실시예3
하드코팅용 수지조성물의 제조(3) :
제조예2에서 얻은 수지A-2와, 제조예3에서 얻은 수지A-3에, 실시예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우레탄 올리고머 및 (메타)아크릴 모노머를 그들의 고형분 환산에 의하여 15 : 2 : 20 : 63이 되도록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 100중량부에 실시예1과 동일한 광개시제를 1.2중량부 더하고, 또한 100중량부의 메틸셀로솔브와 메탄올의 혼합용제(80 : 20)에서 희석하여 하드코팅용 수지조성물(E-3)을 얻었다. 이것을 TAC 필름 기재 상에 도포한 후에 UV 조사하여 얻어진 하드코팅 필름은 대전 방지성과 표면 박리성을 구비하는 것이었다.
실시예4
하드코팅용 수지조성물의 제조(4) :
제조예4에서 얻어진 수지A-4와, 실시예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우레탄 올리고머 및 (메타)아크릴 모노머를 고형분 환산에 의하여 20 : 10 : 70이 되도록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 100중량부에 실시예1과 동일한 광개시제를 6중량부 더하고, 또한 100중량부의 메틸셀로솔브와 메탄올의 혼합용제(80 : 20)에서 희석하여 하드코팅용 수지조성물(E-4)을 얻었다. 이것을 TAC 필름 기재 상에 도포한 후에 UV 조사하여 얻어진 하드코팅 필름은 대전 방지성과 표면 박리성을 구비하는 것이었다.
실시예5
하드코팅용 수지조성물의 제조(5) :
제조예5에서 얻어진 수지A-5와, 실시예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우레탄 올리고머 및 (메타)아크릴 모노머를 고형분 환산에 의하여 15 : 20 : 65가 되도록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 100중량부에 실시예1과 동일한 광개시제를 1.2중량부 더하고, 또한 100중량부의 메틸셀로솔브와 메탄올의 혼합용제(80 : 20)에서 희석하여 하드코팅용 수지조성물(E-5)을 얻었다. 이것을 TAC 필름 기재 상에 도포한 후에 UV 조사하여 얻어진 하드코팅 필름은 대전 방지성과 표면 박리성을 구비하는 것이었다.
실시예6
하드코팅용 수지조성물의 제조(6) :
제조예1에서 얻어진 수지A-1과, DPE-6A(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 일본의 교에이사 가가쿠(주) 제품)를 고형분 환산에 의하여 15 : 85가 되도록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 100중량부에 실시예1과 동일한 광개시제를 1.2중량부 더하고, 또한 100중량부의 메틸셀로솔브와 메탄올의 혼합용제(80 : 20)에서 희석하여 하드코팅용 수지조성물(E-6)을 얻었다. 이것을 TAC 필름 기재 상에 도포한 후에 UV 조사하여 얻어진 하드코팅 필름은 대전 방지성과 표면 박리성을 구비하는 것이었다.
실시예7
하드코팅용 수지조성물의 제조(7) :
제조예1에서 얻어진 수지A-1과, UA-306H(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헥사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우레탄프레폴리머 : 일본의 교에이사 가가쿠(주) 제품)를 고형분 환산에 의하여 15 : 85가 되도록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 100중량부에 실시예1과 동일한 광개시제를 1.2중량부 더하고, 또한 100중량부의 메틸셀로솔브와 메탄올의 혼합용제(80 : 20)에서 희석하여 하드코팅용 수지조성물(E-7)을 얻었다. 이것을 TAC 필름 기재 상에 도포한 후에 UV 조사하여 얻어진 하드코팅 필름은 대전 방지성과 표면 박리성을 구비하는 것이었다.
비교예1
비교 하드코팅용 수지조성물의 제조(1) :
제조예1에서 얻어진 수지A-1 100중량부를, 메틸셀로솔브와 메탄올의 혼합용제(80 : 20) 100중량부로 희석하여 비교 하드코팅용 수지조성물(C-1)을 얻었다.
비교예2
비교 하드코팅용 수지조성물의 제조(2) :
수지A-1을 제조예4에서 얻은 수지A-4로 바꾼 것 이외에는 비교예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 하드코팅용 수지조성물(C-2)을 얻었다.
비교예3
비교 하드코팅용 수지조성물의 제조(3) :
수지A-1을 제조예5에서 얻은 수지A-5로 바꾼 것 이외에는 비교예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 하드코팅용 수지조성물(C-3)을 얻었다.
비교예4
비교 하드코팅용 수지조성물의 제조(4) :
실시예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우레탄 올리고머 및 (메타)아크릴 모노머를, 중량 환산에 의하여 20 : 80이 되도록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 100중량부에 실시예1과 동일한 광개시제를 1.2중량부 더하고, 또한 100중량부의 메틸셀로솔브와 메탄올의 혼합용제(80 : 20)에서 희석하여 하드코팅용 수지조성물(C-4)을 얻었다.
시험예1
성능평가시험(1) :
실시예1∼7 및 비교예1∼4에서 얻어진 하드코팅용 수지조성물(용액)을, 두께 80㎛의 TAC 필름의 상에 바코터 No.14를 사용하여 건조경화(乾燥硬化) 후의 막두께가 10㎛가 되도록 도공하고, 80℃에서 5분간 건조시켰다. 계속하여 적산조사량(積算照射量) 300mJ/cm2의 강도(强度)에서 자외선 조사를 하여 경화도포막(硬化塗布膜)을 형성시켜서 도포막의 성능에 대하여 평가를 하였다. 이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도포막 경도 :
경화도포막에 대하여 JIS K 5600-5-4에 준하여 연필경도(鉛筆硬度)를 측정하였다.
대전 방지성/표면 전기저항값 측정 :
테라 OHM 미터(Tera OHM Meter ; model VE-30 : 일본의 가와구치 덴기 웍스(Kawaguchi Electric Works) 제품)을 사용하여 항온항습(恒溫恒濕) 조건 하에서 도포막의 표면전기저항을 측정하였다.
<결과>
Figure pct00005
시험예2
성능평가시험(2):
시험예1에서 얻은 경화도포막 몇 개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표면 박리성 및 플라스틱 밀착성을 시험하였다. 이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표면 박리성 :
경화도포막의 표면에 시판되는 셀로판 테이프를 밀착시켜서 손으로 테이프를 벗기고, 벗길 때의 소요되는 박리력(剝離力)을 감각에 의하여 도포막의 표면 박리성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박리감각
0 : 테이프가 가볍게 벗겨진다.
△ : 테이프를 벗길 때에 저항을 느낀다.
X : 테이프를 벗길 때에 강한 저항을 느낀다.
플라스틱 밀착성 :
JIS K 5600-5-6에 준하여, 경화도포막에 가로·세로의 길이가 1mm인 사각형을 100개 만들어서 점착테이프에 의하여 밀착시험을 하고, 이 사각형의 박리상태를 관찰하여 잔존한 사각형의 수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Figure pct00006
본 발명의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은, 이것을 도포 후에 중합시킴으로써 충분한 경도를 구비하고, 또한 실용상 만족할 수 있는 대전 방지성이나 우수한 표면 박리성을 구비하는 하드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수지조성물은, LCD나 PDP 등의 화상표시장치의 글래스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필름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7)

  1. 다음의 성분(A)∼(C),
    (A)4급 암모늄기(4級 ammonium基)를 구비하는 비닐기 함유 단량체(vinyl基 含有 單量體) 및 이와 공중합(共重合) 가능한 (메타)아크릴계 단량체((metha)acryl系 單量體)를 공중합 하여 얻어지는 (메타)아크릴계 코폴리머((metha)acryl系 co-polymer),
    (B)3관능 이상의 비닐기를 구비하는 폴리우레탄 올리고머(polyurethane oligomer) 및/또는
    (C)2∼6관능의 비닐기를 구비하는 아크릴계 모노머(acryl系 monomer)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hard coating層 形成用 樹脂組成物).
  2. 제1항에 있어서,
    성분(A)의 배합량이 0.5∼50질량%, 성분(B)의 배합량이 0.5∼90질량%, 성분(C)의 배합량이 0.05∼90질량%(단, 성분(A), (B) 및 (C)의 총량은 100질량%를 넘지 않는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성분(A)의 (메타)아크릴계 코폴리머가, 1∼80질량%의 4급 암모늄기를 구비하는 비닐기 함유 단량체 및 이들과 공중합 가능한 20∼99질량%의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를 공중합 시킴으로써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A)의 (메타)아크릴계 코폴리머의 분자량이 10,000∼15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A)의 조제에 사용되는 4급 암모늄기를 구비하는 비닐기 함유 단량체가, 폴리디알킬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4급 염화물(polydialkylaminoethylmethacrylate 4級 鹽化物) 및 폴리디알킬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4급 염화물의 수화물(水化物; hydrate)로 이루어지는 군(群)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C)에 있어서 2∼6관능의 비닐기를 구비하는 아크릴계 모노머가,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dipentaerythritolpentaacrylate) 및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dipentaerythritolhexaacrylat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개시제(重合開始劑)로서, 열중합개시제(熱重合開始劑), 광중합개시제(光重合開始劑), 자외선 중합개시제(紫外線 重合開始劑) 또는 방사선 중합개시제(放射線 重合開始劑)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
  8. 다음의 성분(A')∼(C),
    (A')4급 암모늄기를 구비하는 비닐기 함유 단량체, 폴리디메틸실록산기(polydimethylsiloxane基) 또는 불소화 알킬기(弗素化 alkyl基)를 구비하는 비닐기 함유 단량체 및 이들과 공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를 공중합 하여 얻어지는 (메타)아크릴계 코폴리머,
    (B)3관능 이상의 비닐기를 구비하는 폴리우레탄 올리고머 및/또는
    (C)2∼6관능의 비닐기를 구비하는 아크릴계 모노머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성분(A')의 배합량이 0.5∼50질량%, 성분(B)의 배합량이 0.5∼90질량%, 성분(C)의 배합량이 0.05∼90질량%(단, 성분(A'), (B) 및 (C)의 총량은 100질량%를 넘지 않는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성분(A')의 (메타)아크릴계 코폴리머가, 1∼80질량%의 4급 암모늄기를 구비하는 비닐기 함유 중합체, 0.5∼40질량%의 폴리디메틸실록산기 또는 불소화 알킬기를 구비하는 비닐기 함유 단량체 및 이들과 공중합 가능한 1∼98질량%의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를 공중합 시킴으로써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
  11. 제8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성분(A')의 조제에 사용되는 폴리디메틸실록산기를 구비하는 비닐기 함유 단량체가, 메타크릴록시프로필폴리디메틸실록산(methacryloxypropylpolydimethylsiloxane), 아크릴록시프로필폴리디메틸실록산(acryloxypropylpolydimethylsiloxane) 및 메타크릴록시부틸폴리디메틸실록산(methacryloxybutylpolydimethylsiloxane)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
  12. 제8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성분(A')의 조제에 사용되는 불소화 알킬기를 구비하는 비닐기 함유 단량체가, 퍼플루오르옥틸에틸아크릴레이트(perfluorooctylethylacrylate) 및 퍼플루오르옥틸에틸메타크릴레이트(perfluorooctylethylmethacrylat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중합개시제로서, 열중합개시제, 광중합개시제, 자외선 중합개시제 또는 방사선 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
  14. 다음의 성분(A)∼(D),
    (A)4급 암모늄기를 구비하는 비닐기 함유 단량체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를 공중합 하여 얻어지는 (메타)아크릴계 코폴리머,
    (B)3관능 이상의 비닐기를 구비하는 폴리우레탄 올리고머 및/또는
    (C)2∼6관능의 비닐기를 구비하는 아크릴계 모노머,
    (D)상기(A)∼(C)와 상용(相溶) 가능한 실리콘 폴리머(silicon polymer)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성분(A)의 배합량이 0.5∼50질량%, 성분(B)의 배합량이 0.5∼90질량%, 성분(C)의 배합량이 0.05∼90질량%, 성분(D)의 배합량이 0.5∼30질량%(단, 성분(A), (B), (C) 및 (D)의 총량은 100질량%를 넘지 않는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중합개시제로서, 열중합개시제, 광중합개시제, 자외선 중합개시제 또는 방사선 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의 어느 한 항의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을 기재(基材)에 도포(塗布)하고, 경화(硬化)시켜서 얻어지는 편광 필름(偏光 film).
KR1020107014451A 2008-01-07 2008-01-07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 KR201001116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50019 WO2009087752A1 (ja) 2008-01-07 2008-01-07 ハードコート層形成用樹脂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671A true KR20100111671A (ko) 2010-10-15

Family

ID=40852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4451A KR20100111671A (ko) 2008-01-07 2008-01-07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09087752A1 (ko)
KR (1) KR20100111671A (ko)
CN (1) CN101918464A (ko)
WO (1) WO200908775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46606B2 (en) 2013-02-20 2019-04-02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Transparent flexible hard coated film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20190123601A (ko) 2018-04-24 2019-11-01 주식회사 고려이노테크 플렉서블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플렉서블 하드코팅 필름
KR20190123602A (ko) 2018-04-24 2019-11-01 주식회사 고려이노테크 내오염성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내오염성 하드코팅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35834B (zh) * 2011-09-06 2015-09-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抗静电性硬涂膜、偏振片和图像显示装置
CN103146291B (zh) * 2013-03-28 2015-01-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紫外光固化光油及其制备方法
JP2016147808A (ja) * 2013-06-11 2016-08-18 株式会社Lixil 抗菌・防汚材料および成形品
JP2015189799A (ja) * 2014-03-27 2015-11-02 三菱化学株式会社 硬化性樹脂組成物、ハードコート材及び硬化物
CN115717337A (zh) * 2017-04-17 2023-02-28 康奈尔大学 无氟防油涂层及其制作方法和用途
CN111518255B (zh) * 2020-04-01 2022-04-05 华东师范大学 一种透明疏水含硅氟聚氨酯涂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3305A (ja) * 1991-03-26 1994-03-15 Mitsubishi Rayon Co Ltd 耐擦傷性及び帯電防止性に優れた合成樹脂成形品用被覆剤組成物
JP3068284B2 (ja) * 1991-10-04 2000-07-24 帝人株式会社 帯電防止性合成樹脂成形品
JP3115718B2 (ja) * 1992-10-21 2000-12-11 ダイセル・ユーシービー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
JP3424274B2 (ja) * 1993-08-16 2003-07-07 東洋紡績株式会社 感光性樹脂組成物
JPH07316467A (ja) * 1994-05-27 1995-12-05 Nippon Oil & Fats Co Ltd 帯電防止コーティング樹脂組成物、帯電防止高分子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法
JP3792339B2 (ja) * 1997-04-03 2006-07-05 三菱化学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被覆組成物
JP2001002744A (ja) * 1999-06-21 2001-01-09 Natoko Kk 紫外線硬化性組成物及び表面機能材料
JP2002256035A (ja) * 2000-12-25 2002-09-11 Dow Corning Toray Silicone Co Ltd ビニル系共重合体エマルジョンおよび塗料添加剤
JP3936588B2 (ja) * 2001-01-26 2007-06-27 株式会社リコー シリコーンオイル相溶性重合体を含む電気泳動分散液及び画像表示媒体
JP3924154B2 (ja) * 2001-11-12 2007-06-06 東レ・ダウコーニング株式会社 有機樹脂用添加剤、それを含有する硬化性有機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物
JPWO2003055950A1 (ja) * 2001-12-26 2005-05-12 日本製紙株式会社 塗料組成物及び帯電防止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4636773B2 (ja) * 2002-03-19 2011-02-23 日本製紙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層形成用塗料組成物及び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4261421B2 (ja) * 2004-05-20 2009-04-30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
JP4362093B2 (ja) * 2004-08-06 2009-11-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帯電防止膜形成用の電離放射線硬化性組成物と帯電防止膜および帯電防止膜を備えた構造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46606B2 (en) 2013-02-20 2019-04-02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Transparent flexible hard coated film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20190123601A (ko) 2018-04-24 2019-11-01 주식회사 고려이노테크 플렉서블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플렉서블 하드코팅 필름
KR20190123602A (ko) 2018-04-24 2019-11-01 주식회사 고려이노테크 내오염성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내오염성 하드코팅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9087752A1 (ja) 2011-05-26
CN101918464A (zh) 2010-12-15
WO2009087752A1 (ja) 200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11671A (ko)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조성물
KR101098529B1 (ko) 고경도 하드코팅 필름 조성물
CN110452405B (zh) 制备硬涂膜的方法
JP5050473B2 (ja) フッ素系重合体および樹脂組成物
JP6795793B2 (ja) 含ケイ素高分岐ポリマー
KR101494348B1 (ko) 플루오르계 중합체 및 수지 조성물
JP4003800B2 (ja) フィルム保護層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ム
JP5125507B2 (ja) 樹脂組成物、硬化膜及び積層体
WO2016208999A1 (ko) 표시 장치용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13173871A (ja) 組成物、帯電防止性コート剤及び帯電防止性積層体
JP5083444B2 (ja) フッ素系重合体および樹脂組成物
CN109929292B (zh) 用于可热成型硬涂层应用的uv固化丙烯酸类树脂组合物
TW200911845A (en) Urethane compound, curable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nd cured product of the composition
JP6103477B2 (ja) 多官能チオ(メタ)アクリレート樹脂、これを含有する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ハードコート樹脂組成物とこれを硬化して得られた硬化膜、硬化膜が積層された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を用いたプラスチック射出成型品及び加工製品。
JP2012062385A (ja) フィルム保護層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フィルム
KR101565630B1 (ko) 무용제형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1137155A (ja) ハードコーティング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む積層体
KR20120002366A (ko)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하드코팅 필름
EP2540786A1 (en) Coating agent composition
JPWO2005092991A1 (ja) 活性エネルギ線硬化性被覆用組成物及び成形品
US6265133B1 (en) Radiation curable resin composition
JP2007216525A (ja) 透明保護パネル
JP2008056872A (ja) ハードコート層形成用樹脂組成物
JP5955729B2 (ja) トップコート用光硬化型樹脂組成物
JP6531969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及び、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