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9868A - 컵 홀더용 지름허용기구 및 이것을 이용한 컵 홀더 - Google Patents

컵 홀더용 지름허용기구 및 이것을 이용한 컵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9868A
KR20100109868A KR1020100029160A KR20100029160A KR20100109868A KR 20100109868 A KR20100109868 A KR 20100109868A KR 1020100029160 A KR1020100029160 A KR 1020100029160A KR 20100029160 A KR20100029160 A KR 20100029160A KR 20100109868 A KR20100109868 A KR 20100109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cup holder
flap member
bas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9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4620B1 (ko
Inventor
아츠시 오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00109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adjustable clamp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과제) 컵 홀더용 지름허용기구 및 이것을 이용한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컵 홀더 내로 삽입되는 컵에 맞닿는 맞닿음부재(50)를 2단 이상으로 함으로써 컵의 지름에 대한 허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해결수단) 컵 홀더용 지름허용기구(30)는 베이스(40)와 맞닿음부재(50)와 탄지수단{예를 들면, 1개의 비틀림 코일스프링(60)}을 구비하고 있다. 맞닿음부재(50)는 베이스(40)에 그 개구부(41)에서 출입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컵 삽입부(21)에 면하는 돌출구(71)를 가지는 중공의 제 1 플랩부재(70)와; 제 1 플랩부재(70)의 중공부(72) 내에 끼워짐과 아울러 돌출구(71)에서 출입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돌출구(71)에서 돌출되어 컵 삽입부(21)에 삽입된 컵(C)의 외주면에 맞닿는 제 2 플랩부재(80);를 적어도 구비한다.

Description

컵 홀더용 지름허용기구 및 이것을 이용한 컵 홀더{DIAMETER TOLERANCE APPARATUS FOR CUP HOLDER AND CUP HOLD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컵 홀더용 지름허용기구{이하, 간단히 '지름허용기구'라고도 한다} 및 이것을 이용한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컵 홀더 내로 삽입되는 컵에 맞닿는 맞닿음부재를 2단(段) 이상으로 함으로써 컵의 지름에 대한 허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종래의 컵 홀더용 지름허용기구로서는, 컵 홀더 내로 삽입되는 컵에 맞닿는 맞닿음부재를 1단(段)으로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식별번호「0009」참조).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 2006-1428호 공보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지름허용기구에서는 맞닿음부재가 1단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맞닿음부재의 돌출량을 증가시키려고 할 경우, 맞닿음부재의 퇴피(退避)방향으로의 안 길이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각 청구항에 각각 기재된 각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청구항 1)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컵 홀더 내로 삽입되는 컵에 맞닿는 맞닿음부재를 2단 이상으로 함으로써 컵의 지름에 대한 허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제 1 플랩부재의 중공부 내에 제 2 플랩부재가 텔레스코픽 타입(TELESCOPIC TYPE : 여러 단을 포개어 끼우는 타입)으로 끼워지는 구조로 함으로써, 퇴피방향(즉, 수납방향)으로의 안 길이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맞닿음부재의 돌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청구항 2)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1개의 비틀림 코일스프링을 사용하여 제 1 플랩부재와 제 2 플랩부재를 돌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편한 컵 홀더용 지름허용기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3, 4)
청구항 3,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유닛화된 컵 홀더용 지름허용기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5)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컵 홀더용 지름허용기구가 조립된 컵 홀더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각 청구항에 각각 기재된 각 발명은 상기한 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각 발명의 특징점을 도면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괄호 내의 도면부호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사용된 도면부호를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 도면번호도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사용된 도면번호를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청구항 1)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로, 컵 홀더용 지름허용기구(30)에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구성을 구비한다.
(1) 베이스(40)
베이스(40)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컵 홀더(10)에 고정되며, 상기 컵 홀더(10)의 컵 삽입부(21)에 면하는 개구부(41)를 가지는 것이다.
(2) 맞닿음부재(50)
맞닿음부재(50)는 도 1∼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40)에 상기 개구부(41)에서 출입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컵 삽입부(21) 내로 돌출되어 상기 컵 삽입부(21)에 삽입된 컵(C)의 외주면에 맞닿는 것이다.
(3) 탄지수단{예를 들면, 1개의 비틀림 코일스프링(60)}
탄지수단{예를 들면, 비틀림 코일스프링(60)}은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40)와 상기 맞닿음부재(50)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맞닿음부재(50)를 상기 개구부(41)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탄지수단으로서 비틀림 코일스프링(60)을 예시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판스프링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 비틀림 코일스프링(60)을 1개 사용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개 사용하여도 좋다.
둘째로, 상기 맞닿음부재(50)는 도 1∼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다음의 구성을 구비한다.
(4) 제 1 플랩부재(70)
제 1 플랩부재(70)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40)에 상기 개구부(41)에서 출입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컵 삽입부(21)에 면하는 돌출구(71)를 가지는 중공의 것이다.
(5) 제 2 플랩부재(80)
제 2 플랩부재(80)는 도 1∼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1 플랩부재(70)의 중공부(72) 내에 끼워짐과 아울러 상기 돌출구(71)에서 출입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돌출구(71)에서 돌출되어 상기 컵 삽입부(21)에 삽입된 컵(C)의 외주면에 맞닿는 것이다.
또한, 맞닿음부재(50)를 제 1 플랩부재(70)과 제 2 플랩부재(80)의 2단으로 돌출되도록 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3단 이상으로 하여도 좋다.
(청구항 2)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로, 상기 탄지수단은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비틀림 코일스프링(60)으로 구성한다.
둘째로, 상기 비틀림 코일스프링(60)의 일단부를 상기 베이스(40)에 맞닿게 하고, 타단부를 상기 제 2 플랩부재(80)에 맞닿게 하고 있다.
(청구항 3, 4)
청구항 3,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맞닿음부재(50) 및 탄지수단{예를 들면, 비틀림 코일스프링(60)}은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40)에 대해서 조립되어 유닛화되어 있다.
(청구항 5)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컵 홀더(10)에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컵 홀더용 지름허용기구(30)가 조립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에 기재된 바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컵 홀더 내로 삽입되는 컵에 맞닿는 맞닿음부재를 2단 이상으로 함으로써 컵의 지름에 대한 허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제 1 플랩부재의 중공부 내에 제 2 플랩부재가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끼워지는 구조로 함으로써 퇴피방향(수납방향)의 안 길이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맞닿음부재의 돌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청구항 2)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1개의 비틀림 코일스프링을 사용하여 제 1 플랩부재와 제 2 플랩부재를 돌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편한 컵 홀더용 지름허용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3, 4)
청구항 3,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청구항 3,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유닛화된 컵 홀더용 지름허용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5)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컵 홀더용 지름허용기구가 조립된 컵 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지름허용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지름허용기구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컵 홀더의 일부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대응하는 컵 홀더의 다른 일부 단면도
도 4는 지름허용기구의 맞닿음부재가 퇴피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컵 홀더의 일부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대응하는 컵 홀더의 다른 일부 단면도
도 6은 네킹부가 형성되어 있는 컵을 빼낼 때의 지름허용기구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컵 홀더의 일부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대응하는 컵 홀더의 다른 일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도면부호 "10"은 컵 홀더를 나타내며, 상기 컵 홀더(10)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차실 내에 부착되어 캔, 페트병, 병, 종이컵 등{이하, 간단히 컵(C)이라 한다}을 삽입하여 유지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컵 홀더(10)의 부착위치는 차실 내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컵 홀더(10)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별하면 다음과 같은 각 부재를 구비한다.
(1) 컵 홀더 본체(20)
(2) 지름허용기구(30)
또한, 컵 홀더(10)의 각 부재는 상기한 (1) 및 (2)에 한정되지 않는다.
《컵 홀더 본체(20)》
컵 홀더 본체(20)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컵(C)을 삽입할 수 있는 컵 삽입부(21)를 가진다. 컵 삽입부(21)는 상면이 개구되고 하면이 폐색되는 바닥부를 가진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그 내경을 컵(C)의 최대 외경에 맞춰서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컵 홀더 본체(20)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차실 내에 고정된다.
또한, 컵 삽입부(21)를 바닥부가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바닥부가 없는 원통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지름허용기구(30)》
지름허용기구(30)는 도 1∼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컵 홀더 본체(20)에 부착되며, 컵 삽입부(21) 내에 삽입된 컵(C)의 지름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함으로써 컵(C)의 요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지름허용기구(30)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별하면 다음과 같은 각 부재를 구비한다.
(1) 베이스(40)
(2) 맞닿음부재(50)
(3) 비틀림 코일스프링(60)(탄지수단)
또한, 지름허용기구(30)의 각 부재는 상기한 (1)∼(3)에 한정되지 않는다.
《베이스(40)》
베이스(40)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컵 홀더(10)에 고정되며, 상기 컵 홀더(10)의 컵 삽입부(21)에 면하는 개구부(41)를 가지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40)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前面)에 개구부(41)를 가지며, 상하면과 좌우 측면과 배면이 벽으로 둘러싸인 상하로 긴 중공의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40)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41)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각 부분을 구비한다.
또한, 베이스(40)의 각 부분은 다음의 (1)∼(4)에 한정되지 않는다.
(1) 부착편(42)
부착편(42)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41)의 좌우 양측의 상하에, 즉 좌측벽의 상하 위치 및 우측벽의 상하 위치에서 각각 외측으로 합계 4개가 돌출되어 있다. 부착편(42)은 베이스(40)를 컵 홀더 본체(20)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2) 제 1 홈(43)
제 1 홈(43)은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맞닿음부재(50)의 제 1 플랩부재(70)를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 1 홈(43)은 좌우 측벽에 관통되게 형성되되, 홈폭을 일정하게 하면서 제 1 플랩부재(70)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홈(43)은 개구부(41)측에서 배면측으로 향하여 갈수록 점차 하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3) 제 2 홈(44)
제 2 홈(44)은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홈(43)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 1 홈(43)과 협동하여 제 1 플랩부재(70)를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 2 홈(44)은 제 1 홈(43)과 마찬가지로 좌우 측벽에 관통되게 형성되되, 그 하측 가장자리는 제 1 홈(43)과 평행하게 개구부(41)측에서 배면측으로 향하여 갈수록 점차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측 가장자리는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4) 절결부(45)
절결부(45)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면의 상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되, 좌우로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맞닿음부재(50)》
맞닿음부재(50)는 도 1∼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40)에 상기 개구부(41)에서 출입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컵 삽입부(21) 내로 돌출되어 상기 컵 삽입부(21)에 삽입된 컵(C)의 외주면에 맞닿는 것이다. 맞닿음부재(50)는 후술하는 비틀림 코일스프링(60)(탄지수단)과 함께 베이스(40)에 대해서 조립되어 유닛화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맞닿음부재(50)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구성을 적어도 구비한다. 또한, 다음의 (1) 및 (2)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1) 제 1 플랩부재(70)
(2) 제 2 플랩부재(80)
또한, 맞닿음부재(50)의 구성은 상기한 (1) 및 (2)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맞닿음부재(50)를 제 1 플랩부재(70)와 제 2 플랩부재(80)의 2단으로 돌출되도록 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3단 이상으로 하여도 좋다.
《비틀림 코일스프링(60)(탄지수단)》
비틀림 코일스프링(60)은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 사용되며, 베이스(40)와 맞닿음부재(50)의 사이에 배치되어 맞닿음부재(50)를 개구부(41)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지하기 위한 것으로, 탄지수단의 일례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틀림 코일스프링(60)의 일단부를 베이스(40)에 맞닿게 하고, 타단부를 제 2 플랩부재(80)에 맞닿게 하고 있다. 또, 비틀림 코일스프링(60)의 중앙의 코일부분은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제 1 플랩부재(70)의 스프링 지지축(73)에 지지된다.
비틀림 코일스프링(60)의 일단부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쇠형상으로 절곡되어 베이스(40)의 배면의 내면에 맞닿도록 하고 있다. 또, 비틀림 코일스프링(60)의 일단부와 맞닿는 베이스(40)의 배면의 내면에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쿠션부재(90)를 부착하고 있다. 쿠션부재(90)는 비틀림 코일스프링(60)의 일단부에 탄성적으로 맞닿음으로써 이음의 발생을 방지하고 있다. 비틀림 코일스프링(60)의 타단부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제 2 플랩부재(80)의 제 4 축(82)에 맞닿도록 하고 있다.
또한, 탄지수단으로서 비틀림 코일스프링(60)을 예로 나타내었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판스프링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 비틀림 코일스프링(60)을 1개 사용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개 사용하여도 좋다.
《제 1 플랩부재(70)》
제 1 플랩부재(70)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40)에 상기 개구부(41)에서 출입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컵 삽입부(21)에 면하는 돌출구(71)를 가진 중공의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플랩부재(70)는 배면이 개구되고, 전방의 돌출구(71)측으로 향하여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되어 있으며,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사다리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플랩부재(70)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구(71)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각 부분을 구비한다. 또한, 제 1 플랩부재(70)의 각 부분은 다음의 (1)∼(6)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중공부(72)
중공부(72)는 도 1,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플랩부재(70)의 내부에 형성되며, 제 2 플랩부재(80)가 수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2) 스프링 지지축(73)
스프링 지지축(73)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측벽의 내면에서 중공부(72)측으로 향해서 서로 대향되게 각각 돌출되어 있다. 좌우의 스프링 지지축(73)에 비틀림 코일스프링(60)의 코일부분의 양단을 끼워맞춤으로써, 비틀림 코일스프링(60)이 제 1 플랩부재(70)에 부착된다.
(3) 제 1 축(74)
제 1 축(74)은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측벽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서로 대향되게 돌출되어 있다. 제 1 축(74)은 베이스(40)의 제 1 홈(43)에 끼워져서 상기 제 1 홈(43)을 따라서 이동한다.
(4) 제 2 축(75)
제 2 축(75)은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축(74)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 1 축(74)과 마찬가지로 좌우 측벽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서로 대향되게 돌출되어 있다. 제 2 축(75)은 베이스(40)의 제 2 홈(44)에 끼워져서 상기 제 2 홈(44)을 따라서 이동한다.
제 1 축(74)이 제 1 홈(43)의 전방에 위치하고 제 2 축(75)이 제 2 홈(44)의 전방에 위치한 위치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플랩부재(70)가 베이스(40)의 개구부(41)에서 최대한으로 돌출된다. 이것에 대해서, 제 1 축(74)이 제 1 홈(43)의 후방에 위치하고 제 2 축(75)이 제 2 홈(44)의 후방에 위치한 위치에서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플랩부재(70)가 베이스(40)의 개구부(41)에서 퇴피하여 베이스(40)의 내부에 수납된다. 한편, 제 1 축(74)이 제 1 홈(43)의 전방에 위치하고 제 2 축(75)이 제 2 홈(44)의 후방에 위치한 위치에서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플랩부재(70)는 제 1 축(74)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전한다. 이 때, 제 1 플랩부재(70)의 후단부의 상측 일부가 베이스(40)의 절결부(45)에 끼워진다.
(5) 제 3 홈(76)
제 3 홈(76)은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제 2 플랩부재(80)를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제 3 홈(76)은 좌우 측벽의 내면에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되, 홈폭을 일정하게 하면서 제 2 플랩부재(80)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제 3 홈(76)은 거의 수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6) 제 4 홈(77)
제 4 홈(77)은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홈(76)과 협동하여 후술하는 제 2 플랩부재(80)를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제 4 홈(77)은 제 3 홈(76)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 3 홈(76)과 마찬가지로 좌우 측벽의 내면에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되, 제 3 홈(76)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제 4 홈(77)의 후단부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홈폭을 넓게 하고 있다.
《제 2 플랩부재(80)》
제 2 플랩부재(80)는 도 1∼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1 플랩부재(70)의 중공부(72) 내에 끼워짐과 아울러 상기 돌출구(71)에서 출입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돌출구(71)에서 돌출되어 상기 컵 삽입부(21)에 삽입된 컵(C)의 외주면에 맞닿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플랩부재(80)는 배면이 개구되고, 전방측으로 향하여 갈 수록 점차 좁아지게 되어 있으며,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플랩부재(80)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각 부분을 구비한다. 또한, 제 2 플랩부재(80)의 각 부분은 다음의 (1) 및 (2)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제 3 축(81)
제 3 축(81)은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측벽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서로 대향되게 돌출되어 있다. 제 3 축(81)은 제 1 플랩부재(70)의 제 3 홈(76)에 끼워져서 상기 제 3 홈(76)을 따라서 이동한다.
(2) 제 4 축(82)
제 4 축(82)은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축(81)의 상측 전방에 위치하며, 제 3 축(81)과 마찬가지로 좌우 측벽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서로 대향되게 돌출되어 있다. 제 4 축(82)은 제 1 플랩부재(70)의 제 4 홈(77)에 끼워져서 상기 제 4 홈(77)을 따라서 이동한다.
제 3 축(81)이 제 3 홈(76)의 전방에 위치하고 제 4 축(82)이 제 4 홈(77)의 전방에 위치한 위치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플랩부재(80)가 제 1 플랩부재(70)의 돌출구(71)에서 최대한으로 돌출된다. 이것에 대해서, 제 3 축(81)이 제 3 홈(76)의 후방에 위치하고 제 4 축(82)이 제 4 홈(77)의 중간에 위치한 위치에서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플랩부재(80)가 제 1 플랩부재(70)의 돌출구(71)에서 퇴피하여 제 1 플랩부재(70)의 중공부(72) 내에 수납된다. 한편, 제 3 축(81)이 제 3 홈(76)의 후방에 위치하고 제 4 축(82)이 제 4 홈(77)의 후방에 위치한 위치에서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플랩부재(80)는 제 3 축(81)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전한다. 이 때, 제 4 축(82)은 제 4 홈(77)의 홈폭이 넓은 후단부의 상측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작동예 1》
계속해서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지름허용기구(30)의 작동상태의 일례(작동예 1)에 대해서 도 2 및 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컵 홀더 본체(20)의 컵 삽입부(21)에 컵(C)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지수단으로서의 비틀림 코일스프링(60)의 탄지력에 의해서 제 1 플랩부재(70)와 제 2 플랩부재(80)가 2단계로 컵 삽입부(21) 내로 최대한으로 돌출되게 된다.
《작동예 2》
지름허용기구(30)의 작동상태의 다른 일례(작동예 2)에 대해서 도 4 및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비교적 지름이 큰 컵(C)을 컵 삽입부(21)에 삽입하면, 상기 컵(C)의 외주면에 의해서 제 2 플랩부재(80)가 눌려짐으로써, 우선 제 2 플랩부재(80)가 제 1 플랩부재(70)의 중공부(72) 내로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끼워지고, 이와 동시에 제 2 플랩부재(80)가 수납된 제 1 플랩부재(70)가 베이스(40)의 개구부(41)에서 퇴피함으로써 상기 베이스(40)의 내부에 수납된다.
이 때, 제 2 플랩부재(80)가 비틀림 코일스프링(60)의 탄지력에 의해서 컵(C)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맞닿게 됨으로써, 컵 삽입부(21) 내에서의 컵(C)의 요동이 방지된다.
《작동예 3》
지름허용기구(30)의 작동상태의 또다른 일례(작동예 3)에 대해서 도 4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컵(C)에는 도 4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외주면을 따라서 원호형상으로 오목하게 된 네킹부(a)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상기 네킹부(a)가 형성되어 있는 컵(C)을 컵 삽입부(21)에 삽입하면,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우선 제 1 플랩부재(70)가 컵(C)에 있어서의 네킹부(a)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외주면에 의해서 눌려짐으로써, 비틀림 코일스프링(60)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베이스(40)의 개구부(41)에서 퇴피하게 된다. 그리고, 네킹부(a)와 제 1 플랩부재(70)가 일치하는 위치에서는 제 1 플랩부재(70)가 비틀림 코일스프링(6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일단 돌출되게 된다. 그 후, 컵(C)을 컵 삽입부(21) 내로 더 깊게 삽입하면, 네킹부(a)가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플랩부재(70)를 통과하게 된다. 이 때, 일단 돌출되었던 제 1 플랩부재(70)가 컵(C)에 있어서의 네킹부(a)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외주면에 의해서 눌려짐으로써, 다시 베이스(40)의 개구부(41)에서 퇴피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네킹부(a)가 형성되어 있는 컵(C)을 컵 삽입부(21)에서 빼낼 때에는, 네킹부(a)와 제 1 플랩부재(70)가 일치하는 위치에서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 1 플랩부재(70)가 비틀림 코일스프링(6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돌출되게 된다. 이 때, 돌출된 제 1 플랩부재(70)가 컵(C)의 네킹부(a)에 끼워진 상태로 걸리기 때문에, 컵(C)을 빼내는 방향으로의 힘에 저항이 걸리게 된다. 여기서, 컵(C)을 더 강한 힘으로 빼내게 되면, 제 1 플랩부재(70)와 제 2 플랩부재(80)가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돌출된 제 1 플랩부재(70)가 컵(C)의 네킹부(a)에서 퇴피하는 것처럼 하여 빠지게 된다.
따라서, 제 1, 제 2 플랩부재(70,80)가 회전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제 1, 제 2 플랩부재(70,80)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서, 네킹부(a)가 형성되어 있는 컵(C)을 빼내는 힘을 현저하게 경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10 - 컵 홀더 20 - 홀더 본체
21 - 컵 삽입부 30 - 지름허용기구
40 - 베이스 41 - 개구부
42 - 부착편 43 - 제 1 홈
44 - 제 2 홈 45 - 절결부
50 - 맞닿음부재 60 - 비틀림 코일스프링(탄지수단)
70 - 제 1 플랩부재 71 - 돌출구
72 - 중공부 73 - 스프링 지지축
74 - 제 1 축 75 - 제 2 축
76 - 제 3 홈 77 - 제 4 홈
80 - 제 2 플랩부재 81 - 제 3 축
82 - 제 4 축 90 - 쿠션부재
C - 컵 a - 네킹부

Claims (5)

  1. 컵 홀더(10)에 고정되며, 상기 컵 홀더(10)의 컵 삽입부(21)에 면하는 개구부(41)를 가지는 베이스(40)와; 상기 베이스(40)에 상기 개구부(41)에서 출입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컵 삽입부(21) 내로 돌출되어 상기 컵 삽입부(21)에 삽입된 컵(C)의 외주면에 맞닿는 맞닿음부재(50)와; 상기 베이스(40)와 상기 맞닿음부재(50)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맞닿음부재(50)를 상기 개구부(41)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지하기 위한 탄지수단;을 구비하는 컵 홀더용 지름허용기구(30)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재(50)는
    상기 베이스(40)에 상기 개구부(41)에서 출입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컵 삽입부(21)에 면하는 돌출구(71)를 가지는 중공의 제 1 플랩부재(70)와,
    상기 제 1 플랩부재(70)의 중공부(72) 내에 끼워짐과 아울러 상기 돌출구(71)에서 출입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돌출구(71)에서 돌출되어 상기 컵 삽입부(21)에 삽입된 컵(C)의 외주면에 맞닿는 제 2 플랩부재(80)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용 지름허용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지수단은 1개의 비틀림 코일스프링(60)으로 구성되며, 상기 비틀림 코일스프링(60)의 일단부를 상기 베이스(40)에 맞닿게 하고, 타단부를 제 2 플랩부재(80)에 맞닿게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용 지름허용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재(50) 및 상기 탄지수단은 상기 베이스(40)에 대해서 조립되어 유닛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용 지름허용기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재(50) 및 상기 탄지수단은 상기 베이스(40)에 대해서 조립되어 유닛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용 지름허용기구.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컵 홀더용 지름허용기구(30)가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KR1020100029160A 2009-04-01 2010-03-31 컵 홀더용 지름허용기구 및 이것을 이용한 컵 홀더 KR1010546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89570A JP5295840B2 (ja) 2009-04-01 2009-04-01 カップホルダー用の径許容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カップホルダー
JPJP-P-2009-089570 2009-04-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868A true KR20100109868A (ko) 2010-10-11
KR101054620B1 KR101054620B1 (ko) 2011-08-04

Family

ID=42828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9160A KR101054620B1 (ko) 2009-04-01 2010-03-31 컵 홀더용 지름허용기구 및 이것을 이용한 컵 홀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07504B2 (ko)
JP (1) JP5295840B2 (ko)
KR (1) KR101054620B1 (ko)
CN (1) CN102378705B (ko)
WO (1) WO201011398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33282A1 (ko) * 2013-02-26 2014-09-04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 컵 홀더의 플랩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21657B2 (ja) * 2012-03-30 2015-05-20 豊田合成株式会社 カップホルダ
JP5982722B2 (ja) * 2013-03-29 2016-08-31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カップホルダー
CN103171476B (zh) * 2013-04-17 2015-07-15 上海延锋江森座椅有限公司 用于杯托的可变直径容许机构和使用该机构的杯托
FR3010954B1 (fr) * 2013-09-24 2016-12-2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orte gobelet de vehicule
FR3010953B1 (fr) * 2013-09-24 2015-10-2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orte gobelet apte a recevoir differents contenants pour vehicule
JP6146344B2 (ja) * 2014-03-04 2017-06-14 豊田合成株式会社 カップホルダ
JP2016008089A (ja) 2014-06-23 2016-01-18 レーリグ パシフィック カンパニー プラスチック製ビア樽
KR101655662B1 (ko) * 2015-03-26 2016-09-07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 컵홀더의 플랩 조립체
DE102017008726B4 (de) 2017-09-16 2023-05-17 Mercedes-Benz Group AG Getränkehalter mit Doppelflügel
JP6606572B2 (ja) * 2017-10-12 2019-11-13 森六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飲料容器保持装置
JP6851949B2 (ja) * 2017-10-12 2021-03-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CN111873882B (zh) * 2020-06-09 2022-02-15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杯具固定结构及具有其的车辆
JP7488746B2 (ja) 2020-10-16 2024-05-22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カップホルダ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9554A (en) * 1996-05-20 1998-05-12 General Motors Corporation Tray assembly
DE19950889A1 (de) * 1999-10-22 2001-04-26 Bayerische Motoren Werke Ag Halter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DE20108250U1 (de) * 2001-05-16 2002-09-19 Fischer Artur Werke Gmbh Getränkehalter für eine taillierte Flasche
DE20208253U1 (de) * 2002-05-28 2003-10-09 Fischer Automotive Sys Gmbh Halter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JP2005059833A (ja) 2003-07-25 2005-03-10 Toyoda Gosei Co Ltd ホルダ
JP2005349959A (ja) * 2004-06-10 2005-12-22 Inoac Corp 容器ホルダ
JP4275101B2 (ja) * 2004-06-11 2009-06-10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車両用収納物保持装置
JP4440714B2 (ja) * 2004-06-17 2010-03-24 株式会社ニフコ 容器保持ユニット及びカップホルダ装置
KR100569342B1 (ko) * 2004-08-16 2006-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컵홀더 지지구조
KR100600130B1 (ko) * 2004-08-24 2006-07-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컵홀더
KR100600132B1 (ko) * 2004-10-02 2006-07-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컵홀더 지지구조
US7487945B2 (en) * 2005-02-18 2009-02-10 Visteon Technologies, Inc. Size adjustable cup holder in a motor vehicle
JP2007084022A (ja) * 2005-09-26 2007-04-05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カップホルダ
KR100668882B1 (ko) * 2005-09-30 2007-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컵 홀더
KR100747356B1 (ko) * 2006-07-28 2007-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컵홀더
DE202006013840U1 (de) * 2006-09-09 2006-11-16 Dr. Schneider Engineering Gmbh Haltebacken für Vorrichtungen zum Halten von Getränkedosen
KR100837086B1 (ko) * 2007-01-02 2008-06-11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컵홀더
JP2008213588A (ja) * 2007-03-01 2008-09-18 Toyoda Gosei Co Ltd 容器ホルダ装置および容器サポートユニット
JP2009035038A (ja) * 2007-07-31 2009-02-19 Daikyo Nishikawa Kk 容器ホルダ
DE102007050787A1 (de) * 2007-10-24 2009-04-30 Fischer Automotive Systems Gmbh & Co. Kg Halter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US7789265B2 (en) * 2007-12-13 2010-09-07 Honda Motor Co., Ltd. Tab structure for controlling cups in vehicles
DE102009008479A1 (de) * 2009-02-11 2010-08-12 Fischer Automotive Systems Gmbh & Co. Kg Halter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33282A1 (ko) * 2013-02-26 2014-09-04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 컵 홀더의 플랩 조립체
US9469231B2 (en) 2013-02-26 2016-10-18 Nifco Korea Inc. Flap assembly of vehicle cup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241181A (ja) 2010-10-28
KR101054620B1 (ko) 2011-08-04
US20120091303A1 (en) 2012-04-19
WO2010113980A1 (ja) 2010-10-07
US8807504B2 (en) 2014-08-19
JP5295840B2 (ja) 2013-09-18
CN102378705A (zh) 2012-03-14
CN102378705B (zh)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4620B1 (ko) 컵 홀더용 지름허용기구 및 이것을 이용한 컵 홀더
KR100581819B1 (ko) 용기유지유닛 및 컵 홀더 장치
JP4583291B2 (ja) 筆記具用クリップ
JP6309117B2 (ja) ストッパ装置
KR102496649B1 (ko) 트렁크 리드용 힌지조립체
WO2007139364A1 (en) Self closing device for a slide
JP3188168U (ja) 眼鏡フレーム
CN203780144U (zh) 一种能够收纳中心针的圆规
US11395546B2 (en) Slide device
JP4473403B2 (ja) ラッチ装置
KR100513556B1 (ko) 러기지 박스
CN116437255A (zh) 一种耳机组件的耳机盒及耳机组件
JP7141992B2 (ja) カップホルダ
JP3918590B2 (ja) カップホルダ
JP6089652B2 (ja) カップホルダー
CN217239653U (zh) 一种电池固定机构及电动车
JP6130729B2 (ja) 電池収納構造および電池収納方法
JP2019018901A (ja) カード等収納ケース
WO2021015063A1 (ja) ドリンクホルダ構造
JP2005349988A (ja) 車両用蓋開閉機構
US6458481B1 (en) Tolerance and size adaptive spacer for spacing a battery cell
JP4035517B2 (ja) 器具の取付構造
KR100422870B1 (ko) 차량의 콘솔트레이커버용 힌지장치
JP2001210290A (ja) 電池パック
KR100850985B1 (ko) 차량의 글로브 박스용 댐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