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8279A - 음료 농축물 - Google Patents

음료 농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8279A
KR20100108279A KR1020100027104A KR20100027104A KR20100108279A KR 20100108279 A KR20100108279 A KR 20100108279A KR 1020100027104 A KR1020100027104 A KR 1020100027104A KR 20100027104 A KR20100027104 A KR 20100027104A KR 20100108279 A KR20100108279 A KR 20100108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centrate
cartridge
alginate
thick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3526B1 (ko
Inventor
에이드리언 매시
툴레이 매시
클레먼스 미쇼
헐린 블란지
Original Assignee
크라프트 푸즈 알앤디,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라프트 푸즈 알앤디, 인크. filed Critical 크라프트 푸즈 알앤디, 인크.
Publication of KR20100108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8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15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 B67D1/0016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n intermediate container before dispensing, i.e. pre-mix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43Liquid, semi-liquid or non-dried semi-solid coffee extract preparations; Coffee gels; Liquid coffee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5Concentrates of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5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from seaweeds, e.g. alginates, agar or carrageen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62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55Means for influencing the liquid flow inside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15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 B67D1/0021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Tea And Coffe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성 매질을 카트리지로 도입하기 위한 입구, 음료를 카트리지로부터 방출하기 위한 입구 하류의 출구, 및 입구를 출구에 연결하는 유로를 포함하는 카트리지이며, 여기서 유로는 그 내부에 1종 이상의 증점제를 총 약 0.01 내지 약 5 중량% 함유하는 비-겔화된 음료 액체 농축물을 포함하는 것인 음료 제조 시스템을 위한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상기 카트리지는 음료 액체 농축물이 로딩된 챔버의 하류에 2 ㎟ 이하의 횡단면적을 갖는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료 농축물은 메틸 셀룰로스 및 적어도 1종의 알기네이트를 1:5 내지 5:1의 중량비로 포함하여, 개선된 관능적 특성, 예컨대 식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 농축물 {Beverage concentrates}
본 발명은 증점제를 포함하는 음료 농축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음료 제조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증점제를 포함하는 음료 농축물 및 증진된 관능적 특성을 제공하는 증점제의 혼합물을 갖는 음료 농축물에 관한 것이다.
음료 분배 시스템은 음료 농축물의 사용에 의존하여 음료를 제공한다. 음료 분배 시스템은 음료 농축물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및 음료 분배 기계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 시에, 음료 농축물은 전형적으로 음료 분배 시스템 내부에서 수성 매질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희석되어 음료를 제공하고, 이것은 이어서 음료 분배 시스템으로부터 출구를 통해 분배된다. 상기 음료는 때로는 추가의 수성 유동체, 예를 들어 우유로 추가 희석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음료 농축물은 소비자에게 음료를 제공하는 편리하고 효율적인 방식을 제공한다.
음료 분배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카트리지는 전형적으로 음료 농축물을 포함하는 1개 이상의 챔버를 포함한다. 카트리지 및 음료 분배 시스템은 음료 농축물이 카트리지 내에서 수성 매질과 혼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별법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수성 매질과의 혼합은 음료 분배기 그 자체 내의 카트리지 외부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든, 음료 분배 시스템은 음료 농축물을 포함하는 챔버(들) 하류의 음료를 방출하기 위한 출구 및 출구에 농축물 챔버(들)를 연결하는 유로를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에는 카트리지 자체 내 또는 음료 제조 시스템 내의 다른 곳에 음료 농축물을 수성 매질과 혼합하여 음료를 형성하기 위한 수단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수성 매질은 전형적으로 유동체 또는 액체, 예컨대 물 또는 우유일 수 있다.
음료 분배 시스템의 한 유형은 음료 농축물을 제공하기 위한 1회분 카트리지를 이용하는 것이다. 상기 카트리지는 실질적으로 공기- 및 물-불투과성인 물질로 밀봉 형성될 수 있다. 음료를 카트리지 내에서 혼합조제 및/또는 희석시키기 위해서, 카트리지는 수성 매질을 카트리지로 도입하기 위한 입구, 음료를 카트리지로부터 방출하기 위한 입구 하류의 출구, 및 입구를 출구에 연결하는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의 입구와 출구를 연결하는 유로 내에, 예를 들어 챔버 내에 음료 농축물이 제공됨으로써, 카트리지는 음료 농축물을 수성 유동체와 혼합하기 위한 통합된 수단을 편리하게 제공한다.
이전에는, 특정한 증점제가 음료 분배 장치를 위한 음료 농축물에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WO 02/074143은 음료 혼합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검 및 전분의 사용을 기재하고 있다. 이들 검 및 전분은 고체 농축물, 예를 들어 상이한 성분들이 함께 뭉쳐져 있는 고체 농축물에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별개로, US 2008/0014315는 우유 조성물 및 히드로콜로이드 조성물을 포함하는 포말-생성 조성물, 향미제, 및 감미제를 포함하는 원료 시럽을 기재한다.
본 발명은 수성 매질을 카트리지로 도입하기 위한 입구, 음료를 카트리지로부터 방출하기 위한 입구 하류의 출구, 및 입구를 출구에 연결하는 유로를 포함하는 카트리지이며, 여기서 유로는 그 내부에 1종 이상의 증점제를 총 약 0.01 내지 약 5 중량% 함유하는 비-겔화된 음료 액체 농축물을 포함하는 것인, 음료 제조 시스템을 위한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용해된 알기네이트 및/또는 열 가역성 겔화 증점제를 포함하는 음료 액체 농축물을 함유하는 카트리지를 통해 수성 매질을 통과시켜 상기 음료 액체 농축물을 희석시킴으로써 음료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음료를 용기에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며, 여기서 음료 액체 농축물 대 수성 매질의 전체 중량비는 약 10:1 내지 약 1:10인,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분배하는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음료 농축물을 포함하는 농축물 챔버, 음료를 방출하기 위한 농축물 챔버 하류의 출구, 및 농축물 챔버와 출구를 연결하고, 음료 농축물을 수성 매질과 혼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유로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이며, 여기서 유로는 X의 최대 횡단면적 및 Y의 최소 횡단면적을 갖고, Y에 대한 X의 비는 약 20 이상이고, 음료 농축물은 비-겔화된 음료 액체 농축물, 또는 알기네이트 및/또는 열 가역성 겔화 증점제를 포함하는 고체 음료 농축물인 음료 분배 시스템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메틸 셀룰로스 및 적어도 1종의 알기네이트를 1:5 내지 5: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증점제를 포함하는 음료 농축물이며, 여기서 메틸 셀룰로스 및 적어도 1종의 알기네이트는 약 0.01 내지 약 5 중량%의 합한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음료 농축물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메틸 셀룰로스 및 적어도 1종의 알기네이트의 중량비가 1:5 내지 5:1인, 음료 농축물로부터 제조된 음료의 관능적 특성, 바람직하게는 식감을 개선시키기 위한 나트륨 알기네이트 및 메틸 셀룰로스의 용도를 추가로 제공한다.
도 1은 열 가역성 겔화 증점제 (메틸 셀룰로스)에 대한 점도/온도 관계를 나타낸다.
도 2는 증점제들의 특정한 조합물의 식감을 조사한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이제 추가로 설명할 것이다. 이하의 절에는 본 발명의 상이한 측면들이 보다 상세하게 한정되어 있다. 이렇게 한정된 각각의 측면은 분명하게 반대로 지시되지 않는 한 임의의 다른 측면 또는 측면들과 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지시된 임의의 특징은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지시된 임의의 다른 특징 또는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음료 농축물에서 증점제의 사용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조사 동안, 발명자들은 특정한 증점제 또는 증점제들의 혼합물의 선택이 음료 농축물의 유리한 특성에 기여할 수 있음을 인식하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증점제가 최종적으로 제조된 음료의 농후성 및 질감에 기여하는 것은 유리하지만, 일부 시스템에서는 증점제가 음료 농축물 상태에서 및/또는 음료가 음료 분배 시스템으로부터 분배되기 전에는 동일한 증점 효과를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함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증점제들의 조합물이 상기 유리한 증점 특성을 달성하는 동시에 최종적으로 제조된 음료의 놀라운 식감에도 기여함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 이점을 이제 3가지 측면과 관련하여 설명할 것이다. 이들 각 측면의 특징들은 특정적으로 언급하지 않는 한 임의의 다른 측면들과 자유롭게 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제1 측면에서, 본 발명자들은 음료 액체 농축물을 겔로 형성시키고/거나 과도한 농후성을 갖게 하는 증점제는 음료 농축물이 혼합조제되고/거나 희석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는 음료 농축물에 증점제를 첨가하는 본래 이유인 유리한 식감이 결핍된, 농도가 낮고 묽은 음료가 분배기로부터 분배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음료 액체 농축물이 겔의 형태를 취하고/거나 과도한 농후성을 갖게 되는 경우에는 음료 농축물을 1회분 카트리지로 로딩하는 것이 곤란함을 발견하였다.
제2 측면에서, 본 발명자들은 증점제가 음료 액체 농축물을 겔로 형성시키고/거나 과도한 농후성을 갖게 하는 경우, 음료 농축물을 수성 유동체와 혼합할 때 겔 조각이 형성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겔 조각은 유로 내 좁은 협착부를 차단함으로써, 음료 시스템으로부터 음료를 분배하는 데 요구되는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추가로, 음료 분배 시스템으로부터 분배되는 순간에 증점되는 고체 음료 농축물을 제공함으로써, 제조된 음료가 수성 유동체 및 음료 농축물을 혼합하는 지점과 음료 분배 시스템의 출구 사이의 유로 내 좁은 협착부를 통해 흐르도록 하는 데 필요한 압력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함을 발견하였다.
제3 측면에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상기 두 측면의 이점을 모두 가지며 추가로 제조된 음료에 놀라운 식감을 제공하는 2종의 증점제의 조합물을 발견하였다.
이들 각각의 측면을 이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서, 본 발명자들은 카트리지에 음료 농축물을 제공하여 그 안에서 음료를 희석 및/또는 혼합조제하는 것이 소비자에게 편리함을 인식하였다. 사용 시에, 상기 카트리지는 음료 제조 기계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어서, 수성 매질, 예를 들어 물 및/또는 증기가 음료 제조 기계로부터 카트리지 내로 도입된다. 수성 매질이 카트리지 내에서 음료 농축물과 혼합된 후, 혼합된 음료가 카트리지로부터 분배된다. 임의로, 우유와 같은 다른 성분들이 첨가되어 최종 음료를 생성할 수도 있다. 카트리지 및 음료 제조 기계의 조합은 음료 제조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방식으로 제조된 음료에는 커피, 차 및 핫 초콜릿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에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 "혼합조제" 및 "희석"은, 예를 들어 커피 및 차의 혼합조제, 및 예를 들어 초콜릿 농축물의 희석 둘 다를 나타낸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본 발명자들은, 일부 음료는 증점제를 첨가함으로써 유익할 수 있음을 인식하였다. 예를 들어, 일부 향 커피는 그 음료에 증점제를 첨가함으로써 유익할 수 있다. 커피에 첨가되는 항료의 예에는 코코아 (초콜릿 포함), 바닐라, 알콜류 (리큐어 향료 포함), 캐러멜, 민트, 유제품, 허브, 향신료 (계피 포함), 견과류 및/또는 베리류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어서, 본 발명자들은 카트리지에 포함된 음료 농축물에 증점제를 사용함으로써, 음료 제조 시스템을 사용하여 보다 농후하고 고급스러운 식감을 갖는 음료를 용이하고 신뢰성 있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지를 조사하였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서, 본 발명자들은 음료 분배 장치를 위한 카트리지 내의 음료 액체 농축물에 대한 증점제의 사용을 조사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대부분의 증점제가 액체 성분을 포함하는 음료 농축물과의 사용에 적합하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이론에 속박됨이 없이, 본 발명자들은 식품 증점제가 음료 농축물에 함유된 액체 성분에 용해되는 경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증점제는 용해되는 경우에 조성물을 증점시키는 작용을 하여 겔을 형성시키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수성 매질을 점성 농축물 또는 겔 음료 농축물에 첨가하는 경우, 수성 매질이 음료 농축물과 혼합되는 데 유의한 시간이 소요됨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수성 매질과 음료 농축물의 확산 혼합은 방해받거나 유의하게 감속될 수 있고, 대신 음료 농축물의 농후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성 매질로부터 음료 농축물로의 열 전달이 혼합에 앞서 요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음료를 소정 농도로 혼합조제/희석시키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든 음료 농축물이 수성 매질과 혼합되지도 않아서, 분배 시에 모든 음료 농축물이 용기로 전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문제는 음료 농축물이 임의의 고체를 함유하는 경우에 악화되는데, 부적절한 혼합으로 인해 (고체가 가용성 고체인 경우) 모든 고체가 용해되지 않거나 모든 고체가 최종 음료의 맛에 기여하지 않을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증점제를 포함하는 음료 액체 농축물이 비-겔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점이 유리함을 발견하였는데, 그 이유는 음료 액체 농축물이 카트리지로 도입된 수성 유동체와 용이하게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음료를 소정 농도로 혼합조제/희석시키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키고 혼합조제 신뢰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 측면에서, 본 발명은 음료 제조 시스템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카트리지를 제공하며, 여기서 카트리지는 음료 농축물을 포함하고, 사용 시에 음료 농축물이 수성 매질과 혼합되어 음료를 혼합조제하도록 구성된다. 카트리지는 음료 제조 기계와 함께 사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료 농축물은, 최종 음료에 소정의 증점 효과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증점제를 함유하는 비-겔화된 음료 액체 농축물이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음료 농축물은 액체 음료 농축물이다. "액체 농축물"은 1종 이상의 액체 성분을 포함하는 농축물을 나타낸다. "액체 성분"은 상온 (예를 들어, 실온, 예컨대 20℃)에서 액체인 성분을 나타낸다. 음료 농축물 중에 함유된 액체 성분은, 예를 들어 물을 포함할 수 있고;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액체 성분은, 예를 들어 옥수수 시럽 (예를 들어, 글루코스 시럽) 및/또는 단당류, 이당류 또는 다당류를 함유하는 다른 시럽을 포함할 수 있다. 초콜릿-기재 음료의 제조에 사용되는 액체 성분의 예는 액체 초콜릿, 예컨대 EP 1440910 (그 전체 내용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됨)에 기재된 액체 초콜릿이다. 바람직하게는, 음료 농축물 중에 함유된 액체 성분의 총량은 약 40 내지 약 100 중량%, 예를 들어 약 60 내지 약 99 중량%, 예컨대 약 80 내지 약 97 중량%, 예를 들어 약 90 내지 약 95 중량%이다. 상기 중량%는 음료 농축물의 총 중량의 백분율, 즉 액체 및 고체 성분의 합한 중량의 백분율로서 주어진다. 특히, 액체 성분의 양이 많아질수록 혼합조제/희석 시간 및 혼합조제 신뢰성이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때때로 일부 성분은 혼합조제/희석 시까지 향을 보존하기 위해 고체로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커피 추출물은 고체 형태, 예를 들어 가용성 커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혼합조제 향을 개선하기 위해 부분 불용성 고체, 예컨대 로스트 및 분쇄 커피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음료 액체 농축물은, 예를 들어 약 0 내지 약 60 중량%, 예를 들어 약 2 내지 약 40 중량%, 예컨대 약 3 내지 약 20 중량%, 예를 들어 약 5 내지 약 10 중량%의 고체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액체 농축물은 비-겔화된 상태이다. 용어 "겔" 및 "겔화"는 20℃에서 안정 상태 조건 하에 유동을 나타내지 않는 계를 지칭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익히 공지되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음료 액체 농축물의 점도는 약 4000 mPa.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00 mPa.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0 mPa.s 이하, 예컨대 약 200 mPa.s 이하이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점도가 음료 농축물과 수성 유동체의 용이한 혼합에 기여함을 발견하였다. 한편, 음료 액체 농축물의 점도는 약 1 mPa.s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 mPa.s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 mPa.s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최소 점도가, 음료 농축물이 희석되면서도 여전히 목적한 혼합조제 농도의 최종 음료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증점제 이외의 음료 농축물 내 성분들의 농도로부터 얻어지는 경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20℃ 및 100 rpm에서의 점도의 바람직한 범위에는 약 1 내지 약 4000 mPa.s, 예를 들어 약 10 내지 약 1000 mPa.s, 예컨대 약 10 mPa.s 내지 약 500 mPa.s가 포함된다.
점도는 브룩필드(Brookfield) DVII 점도계에 의해 측정된다. 증점제는, 음료 농축물이 20℃에서 상기 점도를 갖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에 논의되는 바람직한 증점제 (알기네이트 및/또는 열 가역성 겔화 증점제)의 농도는 상기 점도를 달성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점도는 스핀들(spindle) 3을 이용하여 100 rpm에서 측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증점제는 액체 성분(들) 중에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용해되고/거나 액체 성분 중에 콜로이드 형태로 함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 농축물이 고체 및 액체 성분 둘 다를 함유하는 경우, 이는 연속 상 (액체 성분(들)) 및 불연속 상 (고체 성분(들))을 갖는 것으로 기술될 수 있고, 증점제는 연속 상에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함유된다 (완전히 용해되거나 콜로이드로서 함유됨). 증점제가 콜로이드 형태로 함유된 경우, 이는 시간이 경과해도 음료 농축물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7일간 20℃에서 밀폐 용기 내에 방치 시, 액체 성분으로부터의 증점제 분리 및/또는 용기 바닥으로의 증점제 침강이 전혀 또는 실질적으로 나타나지 않음).
바람직하게는, 증점제의 약 50 내지 약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0 내지 약 100 중량%, 예를 들어 약 100 중량%가 액체 성분(들)/연속 상에 함유될 수 있다 (용해되거나 콜로이드 형태로 함유됨). 특히, 액체 성분 중에 용해된 증점제의 양이 많을수록 보다 신속하고 신뢰성있는 음료 혼합조제가 달성될 수 있다. 증점제는, 음료 농축물의 성분들을 카트리지에 첨가하기 전에, 예를 들어 혼합기, 예컨대 진공 혼합기 내에서 혼합함으로써 음료 농축물에 용해시킬 수 있다.
증점제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수많은 방식에 의해서 액체 농축물의 연속 상 중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점제는 실질적으로 또는 완전히 수화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증점제에 대해 수화 기술, 예컨대 당 수화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증점제 및 농축물의 액체 성분에 대해 고전단 혼합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증점제를 예비-수화시킴으로써, 혼합조제된 음료가 음료 카트리지로부터 분배되기 전의 시점에 모든 증점제가 용해될 가능성이 높아짐을 발견하였다.
바람직하게는, 음료 농축물은 약 0.01 내지 약 5 중량%의 증점제를 포함한다. 상기 중량%는 증점제의 총 농도 및/또는 2종의 바람직한 증점제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논의되는 알기네이트 및/또는 열 가역성 겔화 증점제)의 총 농도를 가리킨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음료 농축물은 약 0.01 중량% 내지 약 2 중량%의 증점제,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1 중량%의 증점제, 예를 들어 약 0.2 중량% 내지 약 0.8 중량%의 증점제,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0.5 중량%의 증점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자들은, 너무 낮은 농도에서는 증점제의 증점 효과가 감소되지만, 높은 농도에서는 증점제가 액체 성분 중에 덜 용이하게 용해되는 경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증점제"는 당업계에 익히 공지되어 있다. 이들은 음료의 농후성을 증가시키는 증점 작용제이다. 증점제는 (20℃에서) 고체 형태로 제공되어 액체 중에 용해 또는 분산될 수 있거나, 액체 중에 예비-용해 또는 예비-분산된 고체 증점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어 음료의 무게감(body) 및 식감 특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추가로, 특정 증점제가 음료 액체 농축물의 과증점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바람직한 특성을 갖는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증점제에는 알기네이트 및/또는 열 가역성 겔화 증점제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음료 액체 농축물은 알기네이트 및/또는 열 가역성 겔화 증점제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들 증점제는 음료 농축물이 카트리지로 도입된 수성 매질과 용이하게 혼합되지 않는 현상 없이 카트리지로 혼입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증점제는 알기네이트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론에 속박됨이 없이, 본 발명자들은 알기네이트가 칼슘 이온 (Ca2 +)과 혼합되는 경우에 증점 작용을 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알기네이트는 음료 액체 농축물 중에 비-결합 형태로 용해되어 비-겔화된 농축물을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칼슘 이온을 포함하는 수성 유동체가 첨가되면, 이 수성 유동체가 음료 농축물과 혼합되고, 그제야 증점 작용이 시작된다. 예를 들어, 칼슘 이온은 수성 유동체에 의도적으로 첨가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수돗물 중의 '경성' 불순물로서, 수성 유동체 중에 이미 존재할 수 있다. 다르게는, 알기네이트를 칼슘 이온을 포함하지 않는 수성 유동체에 용해시킬 수 있다. 이어서, 카트리지로부터 분배된 음료를, 예를 들어 우유와 함께 공급된 용기 내의 칼슘 이온 공급원과 혼합시킬 수 있다.
용어 "알기네이트"는 당업계에 익히 공지되어 있다. 시판용 알기네이트는 다양한 해초 공급원으로부터 유래된다. 상이한 해초는 상이한 단량체 조성 및 블록 구조의 알기네이트를 생성하므로, 알기네이트의 칼슘 반응성은 그의 공급원에 좌우될 수 있다. 특히, 알기네이트는 D-만누론산 및 L-글루론산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선형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단량체는 개별 단량체 단위의 블록 (M-블록 또는 G-블록)으로서, 또는 단량체가 교대 순서로 근접해 있는 영역으로서 알기네이트 분자 중에 존재할 수 있다. 알기네이트는 그들이 함유하는 만누론산 및 글루론산의 비율에 따라 "고도 M(high M)" 또는 "고도 G(high G)"로서 지칭될 수 있다. 고도 M 알기네이트의 한 예로는 캘리포니아 해변에서 수확한 자이언트 켈프, 마크로시스티스 피리페라(Macrocystis pyrifera)로부터 얻은 것이 있다. 알기네이트의 증점 메커니즘은, 칼슘 이온과 같은 2가 이온의 협력적 결합에 대해 이상적인 치수를 갖는 다이아몬드형 구멍을 생성하는 2개의 버클링된 G-블록 영역의 배열이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에서, 고도 M 알기네이트 (예를 들어, M 함량이 M 및 G 단위 총수의 비율로서 50%를 초과하는 것)는 그의 제어가능한 증점 특징 때문에 사용될 수 있다.
알기네이트는 가용성 알기네이트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20℃의 물에 가용성이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알기네이트는 20℃의 물에 완전히 용해된다. 가용성 알기네이트의 예는 당업계에 익히 공지되어 있다. 이들에는 나트륨, 칼륨 및 암모늄 알기네이트가 포함된다. 그러나, 예비-겔화된 칼슘 알기네이트는 물에 가용성이 아닐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알기네이트는 나트륨 알기네이트인데, 본 발명자들은 나트륨 알기네이트가 증점 작용에서의 그것의 특성 및 신뢰성에 있어서 특히 다용도임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알기네이트가 그것의 증점 특성 때문에 다른 증점제보다 사용하기에 바람직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특히, 알기네이트는 칼슘 이온의 존재 하에서 신속하고 제어가능하게 증점 작용을 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반면에 다른 증점제, 예를 들어 카라게닌 증점제는 음료 냉각 시에 겨우 서서히 증점 작용을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므로, 알기네이트를 사용함으로써, 최종 음료는 시간의 경과에도 그의 점도가 실질적으로 변화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소비자에게 유리하다.
알기네이트는 2가 양이온에 실질적으로 결합하고 있지 않지만 2가 양이온, 예를 들어 칼슘 (Ca2 +)에 결합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기네이트는 약 70 중량% 내지 약 100 중량%, 예를 들어 90 중량% 내지 100 중량%, 예컨대 약 100 중량%가 2가 양이온 (예를 들,어 칼슘)에 결합하지 않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2가 양이온 (예를 들어, 칼슘)에 결합하지 않은 양은, 예를 들어 조성물을 실온에서 칼슘 이온 용액 (예를 들어, 1 몰 농도의 칼슘 이온을 갖는 용액)으로 적정하고; 조성물의 점도가 새로운 칼슘 이온의 첨가에 따라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지점을 기록하고; 이어서 상기 양을 대조군 나트륨 알기네이트의 농도를 그것의 점도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지점까지 증점시키는 데 요구되는 칼슘 이온 용액의 양의 분수로서 표현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증점제는 열 가역성 겔화 증점제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증점제는 보다 높은 온도에서 증가된 점도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특성은 가역성 열 겔화라 칭해진다. 예를 들어, 이러한 증점제는 음료 농축물에 용해될 경우에 20℃에서보다 80℃에서 더 높은 점도, 예를 들어 상기 기재된 점도 측정 조건을 사용할 때 (그러나 온도는 변화시키지 않음) 2배, 예컨대 3배 더 점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증점제가 실온에서는 농축된 형태 내에 겔 또는 매우 점성인 조성물을 형성하지 않지만 보다 높은 온도에서는 그것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증점제는 카트리지에 첨가된 수성 유동체가 '고온', 즉 약 50℃ 내지 약 100℃, 예를 들어 약 70℃ 내지 약 90℃, 예컨대 약 80℃로 제공될 경우 특히 유리하다. 별법으로는, 수성 유동체를 카트리지에 '저온' (즉, 5℃ 내지 50℃, 예를 들어 약 20℃)으로 도입한 다음, 카트리지로부터 분배된 음료를, 예를 들어 고온 액체 (예를 들어, 우유)의 첨가에 의해서, 이후에 가열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수성 유동체가 음료 농축물과 접촉하게 되는 시점에, 농축물이 겔 또는 고도의 점성이 아니다. 음료 농축물이 신속하게 가열되는 동안, 보다 높은 온도에서 열 가역성 증점제의 증점 효과가 음료 농축물과 수성 유동체의 혼합을 방해하는 시간을 갖기 전에, 음료 농축물이 수성 유동체와 완전히 혼합되는 시간을 갖는다.
2종의 열 가역성 증점제의 예는 메틸 셀룰로스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스 (HPMC)이다. 이들은 다우 케미칼즈(Dow Chemicals)로부터 상표명 메토셀(MethoCel)로 입수가능하다. 메틸 셀룰로스는 그의 식감 특성 때문에 특히 바람직한 열 가역성 겔화 증점제이다. 그의 열/점도 프로파일은 도 1에 예시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음료 액체 농축물은 메틸 셀룰로스 및 알기네이트 둘 다를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증점제 조합물이 최종적으로 제조된 음료에 유리한 식감을 제공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음료 농축물이 알기네이트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농축물에 칼슘 이온 격리제가 제공될 수 있다. 칼슘 이온 격리제는 칼슘 이온과 착체를 이룸으로써, 알기네이트와 착체를 이루는 데 이용될 수 있는 칼슘 이온의 농도를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칼슘 이온 격리제는, 예를 들어 물 중의 '경성' 불순물로서 수성 유동체 중에 존재하는 칼슘 이온과 착체를 이루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칼슘 이온 격리제의 예에는 트리-나트륨 시트레이트, 디-나트륨 포스페이트, 디-칼륨 포스페이트, 나트륨 오르토포스페이트, 테트라-나트륨 피로포스페이트 및 나트륨 헥사메타 포스페이트가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칼슘 이온 격리제는 알기네이트에 대해 1:10 내지 10:1, 예를 들어 1:5 내지 5:1, 예컨대 1:2 내지 2:1의 비로 존재한다. 본 발명자들은 칼슘 이온 격리제가 이러한 제한범위 내에서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농도가 낮은 경우에는 격리제의 작용 유효성이 감소할 수 있으며; 농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는 알기네이트의 증점 효과를 유발하는 데 요구되는 칼슘의 양이 유의하게 증가할 수 있다.
음료 농축물에 포함될 수 있는 추가의 부가 성분의 예에는 분쇄 커피, 커피 추출물 (인스턴트 커피 포함), 차 잎, 차 추출물, 초콜릿 고형물 및 향료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음료 농축물은 향미 시럽, 코코아 (코코아 원두로부터 유래된 임의의 부분, 예컨대 코코아 매스, 코코아 닙, 코코아 분말 포함), 허브, 향신료 및 향료, 예컨대 바닐라, 스트로베리, 라즈베리, 오렌지, 멜론, 캐러멜, 크림 및 비스킷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음료 농축물 내 액체 성분 중 하나는 1종 이상의 당류 (단당류, 이당류 또는 다당류)를 포함하는 액체이다. 예를 들어, 적합한 액체 성분은 단당류 시럽 또는 이당류 시럽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성분은 옥수수 시럽 (예를 들어, 글루코스 시럽)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액체 성분은 약 10 중량% 내지 약 90 중량%, 예를 들어 약 30 중량% 내지 약 75 중량%, 예를 들어 약 60 중량%의 양으로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자들은 증점제를 1종 이상의 당류를 포함하는 액체와 예비-블렌딩함으로써, 증점제가 액체 중에 유리하게 분산 및/또는 용해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액체는 분말 입자를 분리시켜, 분말 입자에 수성 매질이 첨가될 경우에 이들이 함께 응집하지 않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음료 농축물 증점제는 80 내지 99 중량%의 액체 성분 및 1 내지 20 중량%의 고체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성분은 0.01 내지 5 중량%의 용해된 증점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증점제는 알기네이트 및/또는 열 가역성 겔화 증점제이거나 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알기네이트 및/또는 열 가역성 겔화 증점제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되어 0.01 내지 5 중량%의 농도일 수 있다. 액체 성분 및/또는 고체 성분은 1종 이상의 향료, 예컨대 코코아 (초콜릿 포함), 바닐라, 알콜류 (리큐어 향료 포함), 캐러멜, 민트, 시나몬, 견과류 및/또는 베리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고체 성분은 커피 추출물, 예컨대 가용성 커피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실제 카트리지를 참조하면, 카트리지는 수성 매질을 카트리지로 도입하기 위한 입구, 음료를 카트리지로부터 방출하기 위한 입구 하류의 출구, 및 입구를 출구에 연결하는 음료 유로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카트리지"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음료 농축물을 포함하는 임의의 패키지, 컨테이너, 샤쉐, 용기, 또는 혼합조제 또는 희석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카트리지는 경질, 반-경질 또는 연질일 수 있다. 카트리지는 실질적으로 공기- 및 물-불투과성인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는 밀봉된 채로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구 및 출구는 막 (예를 들어, 라미네이트)에 의해 덮여있을 수 있으며, 이를 사용 시에 천공하여 수성 유동체를 도입하고 음료를 분배할 수 있다. 음료 농축물은, 예를 들어 유로에 포함된 챔버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성분, 예컨대 필터가 카트리지에 임의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카트리지는 EP 1440908호 (그 전체 내용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됨)에 기재되어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카트리지는 바람직하게는 1회분 카트리지이다. 특히, 본 발명자들은 점도를 조절하기 위해 음료 농축물을 가열하지 않고는 예비-겔화되거나 매우 점성인 음료 농축물을 카트리지에 로딩하는 것이 곤란함을 추가로 발견하였다. 전문가용 가열 장비를 로딩 기구에 포함시킬 필요 없는 보다 단순한 로딩 기구가 사용될 수 있도록, 약 0℃ 내지 약 50℃, 예를 들어 약 10℃ 내지 약 35℃의 음료 농축물을 카트리지에 로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음료 농축물이 그것의 특정한 증점 특성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극복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음료 농축물을 포함하는 음료 유로의 부피는 바람직하게는 약 5 ml 내지 약 500 ml,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 ml 내지 약 100 ml이다. 따라서, 소비자는 1회분 음료를 제공받고 1회 사용 후 카트리지를 처분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에 제공된 음료 농축물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약 1 g 내지 50 g,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 g 내지 25 g이다.
바람직하게는, 음료 농축물의 부피 대 음료 농축물을 포함하는 음료 유로의 부피의 비는 약 1:1 내지 약 1:100, 예컨대 약 1:2 내지 약 1:4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1:20, 예컨대 약 1:3 내지 약 1:10이다. 따라서, 수성 유동체가 음료를 혼합조제하기 위해 카트리지로 편리하게 도입될 수 있다.
사용 시에는, 증점제를 포함하는 비-겔화된 음료 액체 농축물을 함유하는 카트리지를 통해 수성 매질을 통과시켜 상기 음료 액체 농축물을 희석시킴으로써 음료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음료를 용기에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며, 여기서 음료 액체 농축물 대 카트리지로 도입된 수성 매질의 전체 중량비는 약 10:1 내지 약 1:10인 방법에 의해, 카트리지로부터 음료가 분배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자들은 약 10:1 내지 약 1:10, 예를 들어 약 5:1 내지 약 1:10, 예컨대 약 1:1 또는 약 1:2 내지 약 1:8의 희석 범위가, 소비자에게 편리하고 소형인 카트리지 중의 음료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편리하고 신뢰성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사용 시에, 수성 매질은 실온 이상의 온도로 카트리지에 도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에 도입 시 수성 매질의 온도는 약 50℃ 내지 약 100℃, 예를 들어 약 70℃ 내지 약 90℃, 예컨대 약 80℃일 수 있다. 수성 매질은 음료 분배기에 제공된 가열기에 의해 상기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음료 농축물과 수성 매질의 혼합물을 또 다른 수성 매질, 예컨대 우유와 혼합하는 추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 역시, 예를 들어 용기 내에서 수행할 수 있다. 수성 매질이 카트리지에 고온으로 첨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방법은 또한 음료 농축물과 수성 매질의 혼합물이 협착부를 통해 통과한 후에 이를 5O℃ 내지 약 1OO℃, 예를 들어 약 70℃ 내지 약 95℃, 예컨대 약 85℃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 역시, 예를 들어 음료 분배기 자체 내에서 또는 용기 내에서, 예를 들어 음료 농축물과 수성 매질의 혼합물을 가열된 유동체, 예컨대 우유에 첨가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서 사용되는 음료 분배기는 물 가열기, 물 펌프, 임의로 공기 압축기, 제어 처리장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헤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는 사용 시에 카트리지를 고정시키기 위한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 기계에는 또한 물 탱크가 제공될 수 있다.
음료 분배기의 하우징은 분배 스테이션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 음료의 분배가 수행된다. 분배 스테이션은 물받이를 형성하는 속이 빈 내부를 갖는 용기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분배기의 헤드는 용기 받침대 위 하우징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헤드의 홀더는 제1 측면의 카트리지를 수용하여 정확한 배향으로 카트리지를 고정함으로써 물이 카트리지를 통해 통과할 수 있도록 성형될 수 있다. 홀더 및 헤드에는, 사용 시에 물이 우회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카트리지의 말단주변부 둘레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헤드는 카트리지를 통한 물의 흐름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설계됨으로써, 음료가 카트리지의 최저 표면을 통해 카트리지를 빠져나가도록 할 수 있다. 별법으로, 헤드는 카트리지를 통한 물의 흐름이 위쪽을 향하도록 설계됨으로써, 음료가 처음에는 카트리지의 최상 표면을 통해 카트리지를 빠져나가지만 그 후에는 궁극적으로 용기를 향해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하우징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고, 시작/정지 버튼 및 다수의 상태 표시기를 포함한다. 물 탱크는 하우징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고, 사용 시 하우징의 후면 중간에 위치한 탱크 스테이션에 연결된다. 물 펌프는 물 탱크와 물 가열기 사이에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 처리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물 가열기는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가열기는 바람직하게는 물 펌프로부터 나온 물을 1분 이내에 대략 20℃의 출발 온도에서 약 85℃의 작동 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다.
음료 제조 기계의 제어 처리장치는 처리 모듈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처리장치는 물 가열기, 물 펌프, 공기 압축기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그 작동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음료 분배기의 예는 PCT/GB2005/004113 (그 내용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됨)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연구 동안, 음료 분배기에서의 증점제를 포함하는 음료 농축물의 사용과 관련된 추가의 문제점을 인식하였다. 구체적으로, 발명자들은 일부 음료 분배기가 액체 음료 농축물이 수성 유동체와 혼합되는 지점과 음료 분배기의 출구 사이의 유로 내에 협착부를 포함한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사용 시에, 겔화된 농축물이 수성 유동체에 완전히 용해되지 않고 일부 겔이 남아 있는 경우, 겔이 유로의 협착부에 걸려 음료 분배기를 차단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추가적으로 또는 다르게는, 음료가 너무 농후한 경우, 음료 농축물과 수성 유동체의 혼합물을 협착부를 통해 밀어넣는 데 요구되는 압력이 너무 높아진다.
따라서, 제2 측면에서, 본 발명은 음료 농축물을 포함하는 농축물 챔버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음료를 방출하기 위한 농축물 챔버 하류의 출구, 및 농축물 챔버와 출구를 연결하고, 음료 농축물을 수성 매질과 혼합하여 음료를 형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유로를 포함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이며, 여기서 유로는 X의 최대 횡단면적 및 Y의 최소 횡단면적을 갖고, Y에 대한 X의 비는 약 20 이상이고, 음료 농축물은 비-겔화된 음료 액체 농축물, 또는 알기네이트 및/또는 열 가역성 겔화 증점제를 포함하는 고체 음료 농축물인 음료 분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비-겔화된 농축물의 바람직한 특성은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대해 앞서 기재된 것과 동일하다.
제2 측면에서 사용되는 카트리지는 유로에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음료 유로에 연결된 출구가 제공될 수 있다. 이는 1회분 또는 다회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음료 농축물은 제1 측면에 따른 카트리지 내에 제공된다. 바꾸어 말하면, 카트리지에는 입구 및 출구, 및 농축물을 수성 유동체와 혼합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카트리지는 제1 측면에서 정의된 카트리지일 수 있다. 이 경우, 카트리지에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Y에 대한 X의 비를 갖는 협착부 또는 구멍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협착부 또는 구멍은 카트리지의 입구와 출구 사이의 유로에 포함된 (혼합조제 전/희석 전) 음료 농축물을 포함하는 챔버의 하류에 제공될 수 있다.
비-겔화된 음료 액체 농축물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알기네이트를 포함하는 고체 음료 농축물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음)을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고체 농축물의 사용은 액체 농축물에 비해 증가된 혼합조제/희석 시간 및 신뢰성 낮은 혼합조제와 같은 단점을 가질 수 있지만, 본 발명자들은 고체 알기네이트 및/또는 고체 열 가역성 겔화 증점제를 사용함으로써, 음료가 음료 분배기로부터 분배될 때까지 음료의 증점 지연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특히, 알기네이트는 칼슘 이온의 존재 하에 증점 작용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알기네이트는 고체 농축물로 제공되는 경우, 수성 유동체 중에 용해되어 용기로 분배될 수 있다. 이어서, 칼슘 이온을 포함하는 액체, 예를 들어 우유가 용기에 첨가될 수 있다. 그제야, 알기네이트는 칼슘 이온과 착체를 이룸으로써 증점 작용을 한다. 따라서, 음료가 음료 분배기 밖의 용기로 분배될 때까지 음료의 증점이 지연될 수 있다. 상기 방식에서, 음료는 유로 내 협착부를 통해 통과하기 전에는 증점되지 않고, 오직 그 후에만 증점된다. 따라서, 협착부를 통해 음료가 통과하는 데 필요한 압력이 감소되어, 음료 분배기를 통한 음료의 통과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발명자들은 열 가역성 겔화 증점제가 더 높은 온도에서는 그들의 점도를 증가시킨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따라서, 증점제는 고체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예를 들어 협착부를 통해 통과된 저온의 유동체 (예를 들어, 5℃ 내지 50℃의 온도를 갖는 것)에 (예를 들어, 콜로이드 형태로) 용해되고, 그 다음 저온의 유동체와 함께 (음료 제조 시스템 내에서 또는 용기 자체 내에서) 혼합됨으로써, 용해된 증점제가 협착부를 통해 통과한 후에 농후성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고체 농축물"은 실질적으로 액체 성분 (즉, 20℃에서의 액체)을 함유하지 않는 농축물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고체 함량이 약 95 중량% 이상, 예컨대 약 98 중량% 이상, 예를 들어 99 중량% 이상, 예컨대 약 100 중량%일 수 있다. 고체 농축물은 혼합조제/희석이 덜 편리한 반면에, 액체 농축물이 적합하게 포장되지 않는 한, 액체 농축물보다 긴 유통기한을 갖는 경향이 있다.
고체 농축물의 바람직한 특성 (예를 들어, 알기네이트의 중량%, 바람직한 부가 성분 및 칼슘 이온 격리제의 함유)은 제1 측면의 음료 액체 농축물에 대해 앞서 기재된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2 측면은 제1 측면의 액체 음료 농축물 대신, 알기네이트 및/또는 열 가역성 겔화 증점제를 포함하는 고체 농축물을 제공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카트리지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농축물이 어떤 형태를 취하든, 바람직하게는 음료 농축물은 약 0.01 내지 약 5 중량%의 증점제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음료 농축물은 약 0.01 중량% 내지 약 2 중량%의 증점제,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1 중량%의 증점제, 예를 들어 약 0.2 중량% 내지 약 0.8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0.5 중량%의 증점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자들은, 너무 낮은 농도에서는 증점제의 증점 효과가 감소되지만, 높은 농도에서는 증점제가 액체 성분 중에 덜 용이하게 용해되는 경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바람직하게는, 알기네이트 및/또는 열 가역성 겔화 증점제가 제공되는 경우, 이들은 상기 중량 범위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카트리지는 경질, 반-경질 또는 연질일 수 있다. 카트리지는 실질적으로 공기- 및 물-불투과성인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는 음료 제조 시스템에의 연결부를 제외하고 밀봉되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의 입구 및 출구 (존재하는 경우)는 막 (예를 들어, 라미네이트)에 의해 덮여있을 수 있으며, 이를 사용 시에 천공하여 수성 유동체를 도입하고 음료를 분배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는 음료 농축물을 수성 유동체와 혼합하기 위한 수단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음료 농축물은 편리하게는 1회분 초과의 양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 분배기에는 다회분의 음료 농축물 및 수성 유동체와의 혼합을 위해 유로에 음료 농축물의 계량된 양을 제공하기 위한 계량 장치를 포함하는 카트리지가 제공될 수 있다.
Y에 대한 X의 비는 유로 내 협착부에 대한 척도가 된다. 유로의 횡단면은 유로 자체에 대해 수직으로 측정됨을 유념한다. 유로가 일련의 평행 유로로 나뉘고, 사용 시에 음료 농축물/제조된 음료가 모든 평행 유로를 통해 통과하도록 유로가 구성된 경우에는, 개별적인 평행 유로의 횡단면을 합하여 유로의 총 횡단면을 구한다.
바람직하게는, Y에 대한 X의 비는 약 50 이상, 예컨대 약 100 이상, 예를 들어 약 150 이상이다. 특히, 협착부가 보다 현저해짐에 따라, 제2 측면에 따른 증점제 사용의 이점은 한층 더 커진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Y에 대한 X의 비는 약 2000 이하, 예컨대 1000 이하, 예컨대 약 500 이하, 예를 들어 약 350 이하이다. 이로 인해 액체가 음료 분배기를 통해 흐르도록 하는 데 과도한 압력이 요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Y에 대한 X의 비의 바람직한 범위는 약 20 내지 약 2000, 예를 들어 약 50 내지 약 5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350, 예컨대 약 250이다.
제2 측면은 또한 협착부의 실제 횡단면적과 관련하여 표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명자들은 다른 증점제는 약 2 ㎟ 이하의 횡단면적의 유로의 구멍을 갖는 음료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경우, 겔 조각이 구멍을 막을 수 있고/거나 구멍을 통해 액체를 밀어넣는 데 보다 큰 압력이 요구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증점제는 이러한 구멍의 사용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제2 측면은 음료 농축물의 카트리지, 음료를 방출하기 위한 음료 농축물 카트리지 하류의 출구, 음료 농축물의 카트리지를 출구에 연결하는 유로, 및 음료 농축물의 카트리지에 통합되어 있거나 유로에 포함되어 있는, 음료 농축물을 수성 매질과 혼합하여 음료를 형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이며, 여기서 유로는 2 ㎟ 이하의 횡단면적을 갖는 구멍을 포함하고, 음료 농축물은 비-겔화된 음료 액체 농축물, 또는 알기네이트 및/또는 열 가역성 겔화 증점제를 포함하는 음료 농축물인 음료 분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멍은 약 1 ㎟ 이하, 예를 들어 약 0.5 ㎟ 이하의 횡단면적 (X)을 갖는다. 특히, 구멍이 작아질수록, 제2 측면에 따른 증점제 사용의 이점은 한층 더 커진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액체가 음료 분배기를 통해 흐르도록 하는 데 과도한 압력이 요구되지 않도록, 구멍은 약 0.05 ㎟ 이상의 횡단면적을 갖는다. 예를 들어, 구멍은 약 0.1 ㎟ 이상, 예컨대 약 0.2 ㎟ 이상의 횡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최소 횡단면적의 바람직한 범위는 약 0.05 ㎟ 내지 약 2 ㎟, 예컨대 약 0.1 ㎟ 내지 약 0.5 ㎟이다.
예를 들어, 구멍은 0.36 ㎟의 횡단면적을 가질 수도 있고 (예를 들어, 변이 0.6 mm인 정사각형 구멍); 구멍은 또한 0.24 ㎟의 횡단면적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변이 0.6 mm 및 0.4 mm인 직사각형 구멍). 예를 들어, 이러한 구멍은 발포 수단, 예컨대 이덕터(eductor)일 수 있다. 구멍은 정사각형 및 직사각형이 아닌 다른 모양을 취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유로의 최대 횡단면적 (Y)은 1000 ㎟ 이하, 예컨대 500 ㎟ 이하, 예컨대 2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이하이다. 예를 들어, 유로는 87.8 ㎟의 최대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유로는 5 ㎟ 이상, 예컨대 10 ㎟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 예를 들어 50 ㎟ 이상의 최대 횡단면적 (Y)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한도 내에서, 예를 들어 음료 제조 시스템을 통한 액체의 수송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음료 제조 시스템의 작동이 편리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최대 횡단면적 (Y)은 5 내지 1000 ㎟, 예컨대 10 내지 500 ㎟일 수 있다.
구멍 또는 협착부는, 음료 분배기로부터 분배된 음료에 임의의 발포성을 제공하는 발포 수단, 예컨대 이덕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포 수단, 예컨대 이덕터는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음료 분배기에 대한 카트리지 내에 (예를 들어, 카트리지의 유로 내에), 예를 들어 (혼합조제 전/희석 전) 음료 농축물을 포함하는 챔버의 하류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음료 농축물의 카트리지, 음료를 방출하기 위한 음료 농축물 카트리지 하류의 출구, 음료 농축물의 카트리지를 출구에 연결하는 유로, 및 음료 농축물의 카트리지에 통합되어 있거나 유로에 포함되어 있는, 음료 농축물을 수성 매질과 혼합하여 음료를 형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이며, 여기서 유로는 이덕터를 포함하고, 음료 농축물은 비-겔화된 음료 액체 농축물, 또는 알기네이트 및/또는 열 가역성 겔화 증점제를 포함하는 음료 농축물인 음료 분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또한 음료 시스템으로부터 음료를 분배하는 방법으로 확장되는데, 여기서 음료 시스템은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증점제를 포함하는 비-겔화된 음료 액체 농축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는 유로에 의해 음료 시스템의 출구로 연결되고, 상기 방법은 카트리지의 챔버(들) 내에서 또는 챔버(들)를 출구에 연결하는 음료 시스템의 유로 내에서 음료 농축물을 수성 매질과 혼합하는 단계;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구멍 또는 협착부 (예컨대, 이덕터)를 통해 음료 농축물과 수성 매질의 혼합물을 통과시키는 단계; 및 음료를 용기에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음료 농축물 대 카트리지로 도입된 수성 매질의 총 중량비는 약 10:1 내지 약 1:10이다.
상기 방법은 용기에 칼슘 함유 액체, 예를 들어 우유-기재 액체를 제공 또는 첨가하고/거나 이를 음료 제조 시스템 내에서 음료 농축물 및 수성 매질의 혼합물과 혼합하는 추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또한 음료 농축물과 수성 매질의 혼합물이 협착부를 통해 통과한 후에 이를 50℃ 내지 약 100℃, 예를 들어 약 70℃ 내지 약 95℃, 예컨대 약 85℃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 역시, 예를 들어 음료 분배기 자체 또는 용기 내에서, 예를 들어 음료 농축물과 수성 매질의 혼합물을 가열된 유동체, 예컨대 우유에 첨가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추가로, 음료 농축물로부터 제조된 음료에 유리한 식감을 제공하는 증점제의 조합물을 조사하였다. 단독으로 및 조합하여 시험된 모든 증점제 중에서, 본 발명자들은 메틸 셀룰로스와 알기네이트의 조합물이 소비자들에게 놀랍게도 유리한 식감을 제공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3 측면에서 증점제를 포함하는 음료 농축물을 제공하며, 여기서 증점제는 메틸 셀룰로스 및 1종 이상의 알기네이트를 1:5 내지 5:1의 중량비로 포함하고, 메틸 셀룰로스 및 1종 이상의 알기네이트는 약 0.01 내지 약 5 중량%의 합한 양으로 존재한다.
상기 제3 측면의 음료 농축물의 바람직한 특성 (예를 들어, 알기네이트의 중량%, 바람직한 부가 성분 및 칼슘 이온 격리제의 함유)은 제1 측면의 음료 액체 농축물의 특성과 동일하다. 제3 측면의 음료 농축물은 제1 측면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액체 농축물일 수도 있지만, 고체 농축물일 수도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실시예
실시예 1
하기 작동예는 최종적으로 100-150 mL의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2개의 캡슐: 94℃의 뜨거운 물 50 mL로 혼합조제된 우유 21.5 g을 함유하는 1개의 캡슐, 및 94℃의 뜨거운 물 50 mL로 혼합조제된 농축 액체 기재 레서피 20 g을 함유하는 1개의 캡슐로 제조된 주문형(on-demand) 음료에서 본 발명의 이점을 증명한다.
기준 농축 액체 기재 레서피는
이소-글루코스 약 63%,
물 약 30%,
100% 가용성 커피 약 5.%,
향료 약 1.2%
를 포함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액체 음료 농축물은 나트륨 알기네이트 및 메틸 셀룰로스를 상기 기재한 레서피에 첨가함으로써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농축된 액체 농축물은, 별도의 용기에서 나트륨 알기네이트 및 디-나트륨 포스페이트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시판 알기네이트 0.25%; 시판 메틸 셀룰로스 0.25%; 트리-나트륨 시트레이트 0.20%와 엑스트라 파인 슈가 2.02%를, 이들의 분산 및 용해를 돕기 위해 균질한 블렌드를 갖도록 예비-블렌딩함으로써 제조하였다. 물을 진공 혼합기에 공급하였다. 혼합기 내의 압력이 -160 mPa에 도달하면, 블렌드를 진공 하에 파이프를 통하여 혼합기로 공급하였다. 상기 압력에서의 혼합은 혼합물로의 공기 혼입을 방지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이것은 무스(mousse)를 형성할 것이다. 검 용해를 보조하고 덩어리 형성을 피하도록 교반 및 재순환을 프로그래밍하였다. 이어서, 압력을 -500 mPa로 증가시킨 후, 이소-글루코스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가용성 커피를 동일한 압력, 교반 및 재순환 조건에서 진공 혼합기로 공급하였다. 이어서, 재순환 및 진공을 중지한 후, 향료를 첨가하였다. 교반 및 재순환과 함께 -500 mpa에서 모든 성분들과의 최종 혼합을 수행한 후, 생성물을 다음 방법 단계로 보냈다. 혼합의 질을 제어하기 위하여, 100 rpm의 속도 및 30-70%의 토크의 스핀들 S3로 20℃에서 브룩필드 DVII 점도계로 점도를 측정하였다.
혼합조제 후 음용시, 전체 음료는 기준 농축 액체 기재 레서피에 비해 본 발명의 액체 음료 농축물에서, 보다 크림 같은 식감과 함께 질감 면에서 보다 농후하고 부드러웠으며 증진된 관능적 특성을 제공하였다.
DOD (Degree of Difference; 차이의 정도) 방법론을 사용하여 4개의 상이한 샘플 사이의 향 가변성을 측정하였고, 여기서 기준으로부터의 DOD를 1-11의 등급으로 평가하였는데, 여기서 1은 대조군과 동일한 것이고, 11은 대조군과 매우 상이한 것이다. 상이한 샘플들은 다음을 함유하였다:
1. 나트륨 알기네이트 (0.25%) 및 메틸 셀룰로스 (0.25%)의 혼합물 (대조군,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레서피)
2. 증점제 없음;
3. 메틸 셀룰로스 (0.25%) 단독; 및
4. 나트륨 알기네이트 (0.25%) 단독.
맹검 대조군 및 샘플의 무작위 제시를 포함하는 DOD 시험을 수행하였다. 맹검 대조군은 2종의 증점제의 혼합물이었다. 시험은 5명의 훈련된 패널리스트 및 2회의 반복으로 수행하였다. 유의성 수준의 계산은 이원 아노바(Two-way ANOVA) (중복 있음) 및 10% 위험 수준에서의 던네트(Dunnett) 시험에서 10회 측정의 평균으로 행하였다.
DOD 시험의 결과를 도 2 및 표 1에 나타냈다:
샘플 1 2 3 4
식감 -0.11 -0.78 -1.22 -0.56
크림 같음 0 -0.89 -0.89 0.22
농후성 0.22 -1 -1.44 -0.44
입안 코팅 0.11 -0.44 -0.78 -0.56
목넘김 0 -0.44 -0.78 0
전체적 DOD 2 4.11 4.67 4.22
상기 결과는 아래 사항을 보여준다:
● 증점제를 함유하지 않은 샘플은 전체적 DOD에서 유의하게 상이한 것으로 파악되고, 덜 농후한 경향이 있으며, 입안 및 목 코팅이 덜하고;
● 메틸 셀룰로스 단독 함유 샘플은 2종의 증점제의 조합물을 함유하는 기준 샘플보다 유의하게 덜 농후하고 입안 코팅이 덜하다는 점에서 유의하게 상이하며;
● 알기네이트 단독 함유 샘플은 전체적 DOD에서 유의하게 상이한 것으로 파악되고, 2종의 증점제의 조합물을 함유하는 기준 샘플보다 덜 농후한 경향이 있으며, 입안 코팅이 덜하고, 질감 면에서 약간 더 크림 같다.
실시예 2
하기 실시예는 카트리지 내에서 음료 농축물과 수성 매질을 효율적으로 혼합시키기 위해 증점제를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 지를 증명한다. 본 실시예는 또한 음료 시스템의 출구 쪽으로의 유로 내에 증점제 및 협착부를 포함하는 농축물을 사용함에 있어 특정 증점제가 어떻게 차이를 유발할 수 있는 지를 보여준다.
약 50 ml 부피의 카트리지를 제공하였다. 하기 증점제를 함유하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음료 액체 농축물로 충전하는 것을 시도하였다:
1.1 크산탄 검 (CP 켈코(Kelco) 제품) 0.05 - 0.2% (총 음료 중량에 대해)
1.2 저-메톡실 펙틴 (CP 켈코 제품) 0.05 - 0.5%
1.3 카파-카라게닌 검 (CP 켈코 제품) 0.05 - 0.35%
1.4 요타 카라게닌 (CP 켈코 제품) 0.05 - 0.35%
1.5 람다 카라게닌 (CP 켈코 제품) 0.05 - 0.6%
1.6 나트륨 알기네이트 (그린스테드(Grinstead) 제품) 0.045 - 0.5%
1.7 메틸 셀룰로스 (다우 제품) 0.045 - 0.25%
1.8 히드록시 프로필메틸 셀룰로스 (다우 제품) 0.1 - 0.5%
크산탄 검은 농축물을 상당히 증점시킴으로써, 음료 카트리지를 충전하기 어렵게 하고 높은 캡슐 잔류물을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추가로, 캡슐의 출구에 제공된 이덕터를 통해 혼합조제된 음료를 밀어넣는 것이 곤란해진 것으로 밝혀졌다.
저-메톡실 펙틴은 겔을 형성함으로써, 음료 카트리지를 충전하는 것을 곤란하게 하고 느린 혼합조제 과정을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추가로, 캡슐의 출구에 제공된 이덕터를 통해 혼합조제된 음료를 밀어넣는 것이 곤란해진 것으로 밝혀졌다.
카파-카라게닌 및 요타-카라게닌은 농축물을 상당히 증점시킴으로써, 음료 카트리지를 충전하기 곤란하게 하고 느린 혼합조제 과정을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추다로, 캡슐의 출구에 제공된 이덕터를 통해 혼합조제된 음료를 밀어넣는 것이 곤란해진 것으로 밝혀졌다.
람다 카라게닌은 겔화시키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음료에 알기네이트 또는 메틸 셀룰로스와 동일한 질감을 부여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나트륨 알기네이트, 메틸 셀룰로스 및 히드록시 프로필메틸 셀룰로스는 카트리지에 성공적으로 로딩되고 혼합조제될 수 있었다.

Claims (15)

  1. 수성 매질을 카트리지로 도입하기 위한 입구, 음료를 카트리지로부터 방출하기 위한 입구 하류의 출구, 및 입구를 출구에 연결하는 유로를 포함하는 카트리지이며,
    여기서 유로는 그 내부에 1종 이상의 증점제를 총 약 0.01 내지 약 5 중량% 함유하는 비-겔화된 음료 액체 농축물을 포함하는 것인, 음료 제조 시스템을 위한 카트리지.
  2. 수성 매질을 카트리지로 도입하기 위한 입구, 음료를 카트리지로부터 방출하기 위한 입구 하류의 출구, 및 입구를 출구에 연결하는 유로를 포함하는 카트리지이며,
    여기서 유로는 그 내부에 알기네이트 및/또는 열 가역성 겔화 증점제를 포함하는 음료 액체 농축물을 포함하고, 농축물 중 증점제의 총 농도는 약 0.01 내지 약 5 중량%인, 음료 제조 시스템을 위한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가역성 겔화 증점제가 메틸 셀룰로스 및 히드록시 프로필메틸 셀룰로스 중 1종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카트리지.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알기네이트가 나트륨 알기네이트, 칼륨 알기네이트 및 암모늄 알기네이트 중 1종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카트리지.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료 액체 농축물이 알기네이트 및 메틸 셀룰로스를 약 1:5 내지 약 5:1의 중량비로 포함하며, 여기서 메틸 셀룰로스 및 적어도 1종의 알기네이트는 약 0.01 내지 약 5 중량%의 합한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카트리지.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로가 음료 액체 농축물이 로딩된 챔버를 포함하고, 음료 액체 농축물이 로딩된 챔버의 하류에 2 ㎟ 이하의 횡단면적을 갖는 구멍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카트리지.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료 농축물이 커피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가용성 커피를 포함하는 것인 카트리지.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료 농축물이 알기네이트를 포함하고, 칼슘 이온 격리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카트리지.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료 농축물 내의 증점제가, 바람직하게는 당 수화와 같은 수화 기술 및/또는 고 전단 혼합에 의해 액체 성분 중에서 수화되는 것인 카트리지.
  10. 용해된 알기네이트 및/또는 열 가역성 겔화 증점제를 포함하는 음료 액체 농축물을 함유하는 카트리지를 통해 수성 매질을 통과시켜 상기 음료 액체 농축물을 희석시킴으로써 음료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음료를 용기에 분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이며,
    여기서 음료 액체 농축물 대 수성 매질의 전체 중량비는 약 10:1 내지 약 1:10인,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분배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약 50℃ 내지 약 100℃의 온도에서 수성 매질을 카트리지에 도입하는 방법.
  12. 음료 농축물을 포함하는 농축물 챔버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음료를 방출하기 위한 농축물 챔버 하류의 출구, 및
    농축물 챔버와 출구를 연결하고, 음료 농축물을 수성 매질과 혼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유로
    를 포함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이며,
    여기서 유로는 2 ㎟ 이하의 횡단면적을 갖는 농축물 챔버 하류의 구멍을 포함하고, 음료 농축물은 1종 이상의 증점제를 총 약 0.01 내지 약 5 중량% 함유하는 비-겔화된 음료 액체 농축물, 또는 알기네이트 및/또는 열 가역성 겔화 증점제를 총 약 0.01 내지 약 5 중량% 함유하는 고체 농축물인 음료 분배 시스템.
  13. 음료 농축물을 포함하는 농축물 챔버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음료를 방출하기 위한 농축물 챔버 하류의 출구, 및
    농축물 챔버와 출구를 연결하고, 음료 농축물을 수성 매질과 혼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유로
    를 포함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이며,
    여기서 유로는 X의 최대 횡단면적 및 Y의 최소 횡단면적을 갖고, Y에 대한 X의 비는 약 20 이상이고, 음료 농축물은 비-겔화된 음료 액체 농축물, 또는 알기네이트 및/또는 열 가역성 겔화 증점제를 포함하는 고체 음료 농축물인 음료 분배 시스템.
  14. 메틸 셀룰로스 및 적어도 1종의 알기네이트를 1:5 내지 5: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증점제를 포함하는 음료 농축물이며, 여기서 메틸 셀룰로스 및 적어도 1종의 알기네이트는 약 0.01 내지 약 5 중량%의 합한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음료 농축물.
  15. 메틸 셀룰로스 및 나트륨 알기네이트를 1:5 내지 5: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음료 농축물로부터 제조된 음료의 관능적 특성, 바람직하게는 식감을 개선시키기 위한 음료 농축물.
KR1020100027104A 2009-03-27 2010-03-26 음료 농축물 KR1012335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250901.7 2009-03-27
EP09250901.7A EP2233051B1 (en) 2009-03-27 2009-03-27 Beverage concentra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279A true KR20100108279A (ko) 2010-10-06
KR101233526B1 KR101233526B1 (ko) 2013-02-14

Family

ID=40887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104A KR101233526B1 (ko) 2009-03-27 2010-03-26 음료 농축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3) US9101163B2 (ko)
EP (2) EP2583595B1 (ko)
JP (1) JP5380341B2 (ko)
KR (1) KR101233526B1 (ko)
CN (2) CN101857180B (ko)
BR (1) BRPI1000597A8 (ko)
CA (3) CA2697823C (ko)
ES (2) ES2471448T3 (ko)
PL (1) PL2583595T3 (ko)
RU (1) RU2436720C1 (ko)
UA (1) UA93636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925B1 (ko) * 2013-06-24 2018-07-18 크라프트 푸즈 알앤디, 인크. 가용성 음료 괴상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583595T3 (pl) 2009-03-27 2018-09-28 Koninklijke Douwe Egberts B.V. Układ dozowania napojów
US8293299B2 (en) * 2009-09-11 2012-10-23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Containers and methods for dispensing multiple doses of a concentrated liquid, and shelf stable Concentrated liquids
KR101868779B1 (ko) * 2011-07-27 2018-06-20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셀룰로스 에테르를 포함하는 식용 조성물 및 유제품의 지방 대체물로서의 이의 용도
US11013248B2 (en) 2012-05-25 2021-05-25 Kraft Foods Group Brands Llc Shelf stable, concentrated, liquid flavorings and methods of preparing beverages with the concentrated liquid flavorings
US9783361B2 (en) 2013-03-14 2017-10-10 Starbucks Corporation Stretchable beverage cartridges and methods
BR112015025167A2 (pt) 2013-04-09 2017-12-12 Kraft Foods R&D Inc aditivo para alimentos e bebidas
GB201311912D0 (en) * 2013-07-03 2013-08-14 Mars Inc Beverage preparation capsules for delivery of functional ingredients
US9902556B2 (en) * 2013-07-10 2018-02-27 Nestec S.A. Capsule for beverage preparation
CH708961A2 (de) * 2013-12-02 2015-06-15 Domaco Dr Med Aufdermaur Ag Wasserlösliches Gel zur Zubereitung eines trinkfertigen Getränks und Herstellungsverfahren.
US20150327718A1 (en) 2014-02-14 2015-11-19 Remington Designs, Ll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olute extraction
US10442610B2 (en) 2014-03-11 2019-10-15 Starbucks Corporation Pod-based restrictors and methods
US10342378B2 (en) * 2014-04-16 2019-07-09 Red River Tea Company Still beverage brewing method
US9938075B2 (en) 2014-11-26 2018-04-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everage cartridge containing pharmaceutical actives
US10007275B2 (en) * 2014-12-29 2018-06-26 Diversey, Inc. Dilution adjustment system and method
US9877495B2 (en) 2015-01-09 2018-01-30 Starbucks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sweetened soluble beverage product
PT109305A (pt) * 2016-04-07 2017-10-09 Novadelta - Comércio E Indústria De Cafés S A Máquina e processo de preparação de bebidas com base em cartuchos de concentrado de bebida
JP7219217B2 (ja) * 2016-09-06 2023-02-07 トリスコ アイキャップ プロプライアタリー リミティド 貯蔵及び送達システム
CA3041722A1 (en) 2016-11-09 2018-05-17 Pepsico, Inc. Carbonated beverage makers, methods, and systems
CA3144629A1 (en) * 2019-06-24 2020-12-30 Lavazza Professional North America Llc Smart beverage system,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CN111096383B (zh) * 2019-12-31 2023-12-12 苏州金猫咖啡有限公司 一种速溶咖啡粉的制备方法
CN113679245A (zh) * 2020-05-19 2021-11-23 统一企业股份有限公司 冻饮的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4049A (en) 1885-08-11 Walter h
US1311844A (en) 1919-07-29 Food composition and in process of preparing same
US1230091A (en) 1916-11-20 1917-06-12 Joseph Moses Ward Kitchen Food composition.
US1576735A (en) 1921-10-08 1926-03-16 Reginald A Fessenden Infusor
US1887905A (en) 1929-11-14 1932-11-15 Schweigart Hans-Adalbert Process for making a food substance from cocoa, sugar, and water
US2405861A (en) 1941-09-19 1946-08-13 Albright & Wilson Production of alginate solutions
US2589801A (en) 1947-08-28 1952-03-18 Grindrod George Method for producing cacao-milk beverage material
US2778739A (en) 1954-07-16 1957-01-22 Sealpak Corp Package for beverage infusion material
US3083101A (en) 1959-04-06 1963-03-26 Noury Jean Refill for filtration coffee-pot
FR1364608A (fr) 1963-03-04 1964-06-26 Moyens nouveaux pour obtenir des boissons avec des cartouches pré-conditionnées
US3336857A (en) 1965-05-27 1967-08-22 Corning Glass Works Invertible drip coffee maker
GB1170868A (en) * 1967-05-24 1969-11-19 Gen Mills Inc Drink mixes based on puffed sugar
FR1537031A (fr) 1967-06-26 1968-08-23 Procédé et dispositif pour obtenir une boisson à partir d'un produit de base pulvérulent ou liquide
GB1215840A (en) 1968-05-09 1970-12-16 Universal Oil Prod Co Apparatus for piercing containers for use in beverage producing machines
US3607297A (en) 1969-03-13 1971-09-21 Osvaldo Fasano Method for producing beverages
US3806607A (en) 1969-08-28 1974-04-23 American Cyanamid Co Chocolate flavored beverages containing cocoa and dioctyl sodium sulfosuccinate
US3821420A (en) 1971-04-14 1974-06-28 Cons Foods Corp Stabilized cocoa flavored syrup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3833740A (en) 1971-06-17 1974-09-03 Jacobs Joh & Co One-portion pack for the preparation of ground roasted coffee ready for drinking
US3790029A (en) 1971-09-01 1974-02-05 W Ward Apparatus for dispensing and mixing liquids
BE782645A (nl) 1972-04-26 1972-08-16 Veken Germaine V D Verbeteringen aan koffiefilters of dergelijke met eenmalig gebruik.
FR2322796A1 (fr) 1975-09-05 1977-04-01 Manaresi Adriana Capsule pour la confection de produits a distribuer sous l'effet d'un fluide sous pression
IE47040B1 (en) 1977-08-08 1983-11-30 Douwe Egberts Tabaksfab Concentrate container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concenttrates
IT7821703V0 (it) 1978-05-03 1978-05-03 Illy Caffe S P A Macchina per fare una tazza di caffe'.
IT1210982B (it) 1981-02-03 1989-09-29 Giuseppe Stefano Piana Capsula a perdere, per la confezione di preparati idrosolubili in dosi, atti a consentire la preparazione di bevande calde in genere.
US4382402A (en) 1981-04-01 1983-05-10 Alvarez Donald E Portable coffee maker
SE8302444L (sv) 1982-05-13 1983-11-14 Mars Ltd Utmatningsanordning
US4775048A (en) 1983-05-05 1988-10-04 Alfredo Baecchi Dispensing unit for manually-operated hot drink dispensing machine with pre-manufactured throwaway capsules of two sizes
DK151558C (da) 1984-05-22 1988-08-15 Douwe Egberts Tabaksfab Engangsemballage til opbevaring og transport af et flydende eller viskoest produkt
FI83197C (fi) 1984-10-23 1991-06-10 Mars G B Ltd Dryckpaose.
GB8612868D0 (en) 1986-05-27 1986-07-02 Mars G B Ltd Beverage packages
CH668545A5 (fr) 1986-06-27 1989-01-13 Nestle Sa Procede d'extraction de cartouches fermees pour la preparation de boissons.
JPS6392317A (ja) 1986-10-06 1988-04-22 株式会社 ニフコ コ−ヒ−等の簡易抽出器
GB8630757D0 (en) 1986-12-23 1987-02-04 Gen Foods Ltd Beverage packages
FI881056A (fi) 1987-03-27 1988-09-28 Amerplast Oy Foerfarande foer tillverkning av livsmedelsfoerpackning.
FR2624100B1 (fr) 1987-12-02 1990-06-01 Bouche Alain Boite a verrouillage
US4925683A (en) 1987-12-10 1990-05-15 Nestec S.A. Beverage capsules
EP0324072B1 (en) 1987-12-10 1992-03-11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Beverage capsules
US4867993A (en) 1988-02-08 1989-09-19 Nordskog Robert A Disposable beverage brewing chamber
GB8806670D0 (en) 1988-03-21 1988-04-20 Gen Foods Ltd Beverage preparing machines
GB8806666D0 (en) 1988-03-21 1988-04-20 Gen Foods Ltd Method for preparing beverages & beverage preparing machines
GB8806668D0 (en) 1988-03-21 1988-04-20 Gen Foods Ltd Method for preparing beverages & beverage preparing machines
US4990352A (en) 1988-03-21 1991-02-05 General Foods Limited Method for preparing beverages
US4921712A (en) 1988-08-19 1990-05-01 Malmquist Neil A Automatic low volume beverage brewing system
US4875408A (en) 1989-02-27 1989-10-24 Mcgee Frank C Beverage maker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US5082676A (en) 1989-05-15 1992-01-21 Hag Gf Aktiengesellschaft Coffee cassette
GB8924764D0 (en) 1989-11-02 1989-12-20 Mars G B Ltd Dispensing machine
GB9007149D0 (en) 1990-03-30 1990-05-30 Gen Foods Kraft Ltd Comestibles containing packages
GB9007133D0 (en) 1990-03-30 1990-05-30 Gen Foods Kraft Ltd Comestibles containing packages
GB9007132D0 (en) 1990-03-30 1990-05-30 Gen Foods Kraft Ltd Packages containing comestibles
EP0468078B1 (fr) 1990-07-27 1993-08-25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Procédé d'extraction de cartouches fermées et dispositif pour sa mise en oeuvre
ES2078276T3 (es) 1990-07-27 1995-12-16 Nestle Sa Dispositivo de extraccion de cartuchos cerrados.
ES2047777T3 (es) 1990-07-27 1994-03-01 Nestle Sa Inserto adaptable a un portacartuchos.
ES2066058T3 (es) 1990-07-27 1995-03-01 Nestle Sa Procedimiento de extraccion de cartuchos abiertos de cafe, cartucho de cafe y dispositivo de extraccion para efectuar el procedimiento.
DE4192762C2 (de) 1990-10-31 2002-09-19 Monodor Sa Apparat und Kapsel zur Herstellung eines flüssigen Produktes
US5897899A (en) 1991-05-08 1999-04-27 Nestec S.A. Cartridges containing substances for beverage preparation
ZA924490B (en) 1991-07-05 1993-03-31 Nestle Sa A flexible package with a stiffening element and a process for its production
DE69216159T2 (de) 1991-07-05 1997-04-10 Nestle Sa Stabile Kaffeekassett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ATE114576T1 (de) 1991-07-05 1994-12-15 Nestle Sa Flexible offene verpack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DE69114277T2 (de) 1991-07-05 1996-06-27 Nestle Sa Gerät zum Extrahieren von Kartuschen, brauchbar für jede Espressomaschine.
ATE129617T1 (de) 1991-07-05 1995-11-15 Nestle Sa Gerät zum extrahieren von kartuschen.
EP0610341B1 (en) * 1991-10-28 1996-09-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everage thickener/emulsifier system
DK0602203T3 (da) 1992-07-06 1997-09-08 Nestle Sa Lukket smidig pose og fremgangsmåde ved deres fremstilling.
US6068871A (en) 1992-07-06 2000-05-30 Nestec S.A. Beverage preparation from a substance compacted into a cake and contained in a sachet
DK0604615T3 (da) 1992-07-20 1999-06-14 Nestle Sa Fremgangsmåde ved ekstraktion fra bøjelige, lukkede poser og tilhørende apparat
US5325765A (en) 1992-09-16 1994-07-05 Keurig, Inc. Beverage filter cartridge
US5840189A (en) 1992-09-16 1998-11-24 Keurig, Inc. Beverage filter cartridge
US5603254A (en) 1993-06-02 1997-02-18 Nestec S.A. Apparatus for extracting substances contained in sealed pliant bags
GB9316717D0 (en) 1993-08-11 1993-09-29 Gen Foods Ltd Cartridge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fo whipped beverages
FR2709655B1 (fr) 1993-09-06 1995-11-24 Cafes Cie Mediterraneenne Machine à café express utilisant un conditionnement de café moulu du type pastille pré-dosée.
WO1995007648A1 (en) 1993-09-17 1995-03-23 Mars G.B. Limited Beverage brewing
US5531604A (en) 1994-07-12 1996-07-02 Huang; Huang C. Electric connector
US5794519A (en) 1994-09-22 1998-08-18 Eugster/Frismag Ag Brewing head for coffee portion capsules of an espresso machine
US5531152A (en) 1995-01-05 1996-07-02 Grimac Royal Falcon Corp. Platen assembly for coffee maker using pre-dosaged coffee filter packets
US5638740A (en) 1995-02-24 1997-06-17 Cai; Zhihua Apparatus for brewing espresso and cappuccino
CA2180419A1 (en) 1995-08-02 1997-02-03 Simon M. Gotham Cappuccino brewing kit
US5627150A (en) 1995-10-16 1997-05-06 Ecolab Inc. Paperboard container for solid block detergents
IT1282934B1 (it) 1995-11-06 1998-04-01 C M A Spa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el caffe', cappuccino o bevande infuse simili, in dosi singole o multiple
IT1277108B1 (it) 1995-12-19 1997-11-04 Opem Srl Macchina per produrre, da film continuo, cialde di caffe' rotonde, e non, per macchine automatiche da caffe' espresso
US5638741A (en) 1996-05-06 1997-06-17 Cisaria; Salvatore Group module for coffee machine
DE69615001T2 (de) 1996-05-10 2002-03-21 Nestle Sa Geschlossene Patrone mit Zonen verminderter Dicke
NL1003716C2 (nl) 1996-07-31 1998-02-05 Sara Lee De Nv Werkwijze, systeem en inrichting voor het bereiden van een voor consumptie geschikte drank zoals koffie.
US5773056A (en) 1996-09-12 1998-06-30 Guittard Chocolate Company High cocoa/chocolate liquor syrups with improved flow properties
US5882717A (en) * 1996-10-30 1999-03-16 Kraft Foods, Inc. Soluble espresso coffee
NL1006039C2 (nl) 1997-05-13 1998-11-16 Sara Lee De Nv Inrichting voor het bereiden van koffie met een kleinbellige schuimlaag.
ATE287219T1 (de) 1997-06-10 2005-02-15 Nestle Sa Milchcreme
US6347725B1 (en) 1997-07-15 2002-02-19 Nestec S.A. Closed flexible sachet
GB9715921D0 (en) 1997-07-28 1997-10-01 Mars Uk Ltd Beverage-producing packages
US5974950A (en) 1997-09-24 1999-11-02 Innovations Amk, Inc. Electronic coded coffee packets sealed in a gas flushed envelope, a beverage brewing machine using same as well as a method for brewing
NL1007171C2 (nl) 1997-09-30 1999-03-31 Sara Lee De Nv Samenstel voor gebruik in een koffiemachine voor het bereiden van koffie, houder en pouch van dat samenstel.
NL1007169C2 (nl) 1997-09-30 1999-03-31 Sara Lee De Nv Inrichting voor het bereiden van koffie.
US5895672A (en) 1998-01-13 1999-04-20 Cooper; Barry Patrick Wesley Product and process for preparing a tea extract
CA2344406A1 (en) 1998-09-18 2000-03-30 Haarmann + Reimer G.M.B.H. Encapsulated odiferous substances and/or aromas with special releasing characteristics
JP2000093309A (ja) 1998-09-24 2000-04-04 Sanden Corp 粉末飲料密封カートリッジ
EP1000574A1 (fr) 1998-11-16 2000-05-17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Procédé et dispositif d'extraction d'une capsule fermée
US6142063A (en) 1999-01-19 2000-11-07 Keurig, Inc. Automated beverage brewing system
US6079315A (en) 1999-01-19 2000-06-27 Keurig, Inc. Beverage filter cartridge holder
PT1028068E (pt) 1999-02-12 2003-06-30 Nestle Sa Cartucho de recarga para dispositivo de distribuicao de bebidas e dispositivo adaptado a esse cartucho
US6245371B1 (en) 1999-03-02 2001-06-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brewing a fluid extract using an inclined filter pouch containing flavor extractable particles
JP2000262405A (ja) 1999-03-18 2000-09-26 Soc Prod Nestle Sa 飲料抽出用密封カートリッジ
IT1307241B1 (it) 1999-04-08 2001-10-30 Lavazza Luigi Spa Cialda a perdere per l'uso in una macchina per l'estrazione el'erogazione di bevande.
EP1046366B2 (de) 1999-04-23 2009-01-07 Saeco IPR Limited Einrichtung zum Zuführen von abgepackten Portionen gemahlenen Kaffees in eine Brüheinheit
US6062127A (en) 1999-08-13 2000-05-16 Klosinski; Boguslaw Portable espresso maker
NL1012847C2 (nl) 1999-08-17 2001-02-20 Sara Lee De Nv Inrichting voor het bereiden van koffie.
JP2001061663A (ja) 1999-08-24 2001-03-13 Toyo Seikan Kaisha Ltd 飲料調製用密封容器
ES2232061T3 (es) 1999-08-31 2005-05-16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Dispositivo para la extraccion de una sustancia para la preparacion de una bebida.
US6350484B1 (en) 1999-10-27 2002-02-26 Vitachlor Corporation Liquid beverage concentrate
CA2325978A1 (en) 1999-11-16 2001-05-16 Robert Hale Beverage filter cartridge system
GB0003355D0 (en) * 2000-02-14 2000-04-05 Kraft Jacobs Suchard Limited Cartridge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whipped beverages
US6607762B2 (en) 2000-02-18 2003-08-19 Keurig, Incorporated Disposable single serve beverage filter cartridge
US6645537B2 (en) 2000-02-18 2003-11-11 Keurig, Incorporated Beverage filter cartridge
US6589577B2 (en) 2000-02-18 2003-07-08 Keurig, Inc. Disposable single serve beverage filter cartridge
PT1129624E (pt) 2000-03-02 2003-09-30 Nestle Sa Sistema de concentrado de cafe macchiato
DK1151707T3 (da) 2000-05-04 2004-11-01 Nestle Sa Indretning til udtrækning af en substans, omfattende en bevægelig del
US6468576B1 (en) 2000-06-23 2002-10-22 Nestec S.A. Frozen slush liquid concentrate and method of making same
CZ20012835A3 (cs) 2000-08-30 2002-04-17 Fianara International B. V. Kávovar k vaření kávového práąku předbaleného v zásobníku
WO2002019875A1 (en) 2000-09-06 2002-03-14 Mars U.K.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brewing beverages
AU2002211489A1 (en) 2000-10-06 2002-04-15 Boyd Coffee Company Encoded coffee packet
AU2002220520A1 (en) 2000-11-30 2002-06-11 Novo-Nordisk A/S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ed built-to-order assembly
US6740345B2 (en) 2000-12-22 2004-05-25 Edward Zhihua Cai Beverage making cartridge
DE20100166U1 (de) 2001-01-05 2001-03-29 Melitta Haushaltsprodukte Portionspackung zur Herstellung eines Brühgetränkes
GB2397492B (en) 2003-01-24 2005-10-12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7418899B2 (en) 2001-02-08 2008-09-02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20030039731A1 (en) 2001-03-16 2003-02-27 The Procter & Gamble Co. Beverage brewing devices
WO2002074144A2 (en) 2001-03-16 2002-09-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everage brewing system
ATE366072T1 (de) 2001-03-16 2007-07-15 Procter & Gamble Aufbrühgeräte zur herstellung von sahnigen getränken
US6832542B2 (en) 2001-03-23 2004-12-21 Nestec S.A. Method and device for preparing a hot beverage
DE10116239A1 (de) 2001-03-31 2002-10-17 Eugster Frismag Ag Romanshorn Maschinell lesbare Kennung, System zu deren Erfassung sowie Prüfverfahren für die maschinell lesbare Kennung
SI1247481T1 (en) 2001-04-03 2005-02-28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Extraction apparatus with integrated cartridge supply system
US6606938B2 (en) 2001-04-06 2003-08-19 Keurig, Incorporated Two step puncturing and venting of single serve filter cartridge in a beverage brewer
US6708600B2 (en) 2001-04-06 2004-03-23 Keurig, Incorporated Puncturing and venting of single serve beverage filter cartridge
US6658989B2 (en) 2001-04-11 2003-12-09 Keurig, Incorporated Re-usable beverage filter cartridge
US6644173B2 (en) 2001-04-11 2003-11-11 Keuring, Incorporated Beverage filter cartridge holder
US6655260B2 (en) 2001-04-11 2003-12-02 Keurig, Incorporated Beverage filter cartridge holder
CA2443591A1 (en) 2001-04-18 2002-10-31 Keurig, Incorporated System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single serve beverage brewer
ATE420584T1 (de) 2001-04-27 2009-01-15 Mars Inc Verfahren, apparat und system zur herstellung von geschäumten getränken
GB2374795B (en) 2001-04-27 2005-08-03 Mars Inc Multicomponent beverage making apparatus and method
GB2374816B (en) 2001-04-27 2004-12-15 Mars Uk Ltd Production of foamed drinks
GB2374856B (en) 2001-04-27 2004-11-03 Mars Uk Ltd Production of edible foams
GB2379624B (en) 2001-09-18 2005-07-20 Mars Inc Berverage making appartus and method
KR100904099B1 (ko) 2001-05-07 2009-06-24 무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초고온 우유 농축물 패키지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40142131A1 (en) 2001-05-14 2004-07-22 Edwards David Brian Compositions
US7638150B2 (en) * 2002-08-02 2009-12-29 Simply Thick Llp Process for preparing concentrate thickener compositions
WO2003011051A1 (en) * 2001-08-02 2003-02-13 Phagia-Gel Technologies, Llc Process for preparing concentrate thickener compositions
NL1019013C2 (nl) 2001-09-21 2003-03-26 Sara Lee De Nv Bereiding van cappuccino.
WO2003030696A1 (en) 2001-10-05 2003-04-17 Hp Intellectual Corp. Coffee maker
US20030180431A1 (en) 2001-10-22 2003-09-25 The Procter Gamble Co. Flavored coffee compositions with stable flavors and method of making
EP1310199B1 (fr) 2001-11-09 2007-01-24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Dispositif et méthode pour la sélection et l'extraction d'une capsule pour la préparation d'une boisson
GB2382976B (en) 2001-12-11 2005-07-20 Mars Inc Beverage brewing method and apparatus
EP3121134B1 (en) 2002-01-16 2021-11-03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Closed capsule with opening mean
US6786134B2 (en) 2002-02-07 2004-09-07 The Coca-Cola Company Coffee and tea dispenser
KR100535744B1 (ko) 2002-03-07 2006-01-10 넥솔테크(주) 액상식품 추출용 밀봉 용기
CA2421128C (en) 2002-03-14 2008-05-20 Robert Hale Beverage cartridge and filter assembly
NL1020835C2 (nl) 2002-06-12 2003-12-15 Sara Lee De Nv Pad vervaardigd van een netmateriaal.
ES2226531B1 (es) 2002-07-04 2006-05-16 Francisco Navarro Alcantara Procedimiento, maquina y pack para la elaboracion y expedicion de bebidas calientes y frias.
FR2842092B1 (fr) 2002-07-12 2004-12-24 Seb Sa Machine a cafe fonctionnant avec des doses
US6824810B2 (en) * 2002-10-01 2004-11-30 The Procter & Gamble Co. Creame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7607385B2 (en) 2003-01-24 2009-10-27 Kraft Foods R & D, Inc. Machin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7533603B2 (en) 2003-01-24 2009-05-19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GB2397505B (en) 2003-01-24 2006-01-04 Kraft Foods R & D Inc System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7097074B2 (en) 2003-01-24 2006-08-29 Kraft Foods R&D, Inc. Machin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AU2004205385A1 (en) * 2003-01-24 2004-08-05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cartridge
US7213506B2 (en) 2003-01-24 2007-05-08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7219598B2 (en) 2003-01-24 2007-05-22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7231869B2 (en) * 2003-01-24 2007-06-19 Kraft Foods R & D Inc. Machin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7255039B2 (en) 2003-01-24 2007-08-14 Kraft Foods R & D, Inc. Machin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7322277B2 (en) 2003-01-24 2008-01-29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7316178B2 (en) 2003-01-24 2008-01-08 Kraft Foods R & D, Inc. Machin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7340990B2 (en) 2003-01-24 2008-03-11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7592027B2 (en) 2003-01-24 2009-09-22 Kraft Foods R & D, Inc.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7640843B2 (en) 2003-01-24 2010-01-05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7243598B2 (en) 2003-01-24 2007-07-17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7533604B2 (en) 2003-01-24 2009-05-19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id system
GB2407758B (en) * 2003-01-24 2006-07-12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7328651B2 (en) 2003-01-24 2008-02-12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PL205266B1 (pl) * 2003-01-24 2010-03-31 Kraft Foods R & D Inc Nabój, sposób dozowania napoju z naboju, napój, sposób wytwarzania naboju, układ z nabojem do dozowania wielu napojów, sposób wytwarzania napoju, układ wytwarzania napojów
US7287461B2 (en) 2003-01-24 2007-10-30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GB2397494B (en) 2003-01-24 2005-03-02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cartridge
US8481000B2 (en) * 2003-01-31 2013-07-09 Simply Thick, Llc Thickened beverages for dysphagia
EP1599395B1 (en) * 2003-03-03 2007-0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infusion pods containing insoluble materials
EP1723069B1 (en) 2004-01-20 2013-06-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ater dispenser with water filter for a refrigerator
RU2297477C2 (ru) 2004-02-17 2007-04-20 Всероссий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По Переработке Лубяных Культур (Вниилк)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лубяного волокна
GB2413480B (en) 2004-02-17 2006-08-30 Kraft Foods R & D Inc An insert and a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JP2006033803A (ja) 2004-06-15 2006-0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圧制御発振器、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pll回路および無線通信機器
SG155900A1 (en) 2004-09-08 2009-10-29 Takasago Perfumery Co Ltd Concentrated coffee extrac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GB0423545D0 (en) 2004-10-22 2004-11-24 Kraft Foods R & D Inc Pod for preparing a beverage
US20060093720A1 (en) 2004-10-28 2006-05-04 Ed Tatz Pumpable, semi-solid low calorie sugar substitute compositions
JP4648287B2 (ja) * 2005-11-09 2011-03-09 クラシエフーズ株式会社 シェイク用即席ゲル化粉末、組合せ菓子及びそれを用いたゼリー状食品の製法
US20080014315A1 (en) 2006-07-14 2008-01-17 Delease Patricia Foam-creating compositions, foaming beverag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eparation thereof
IL178519A (en) 2006-10-15 2016-04-21 Shlomo Magdassi Edible paint preparation
WO2008057224A2 (en) 2006-10-27 2008-05-15 Aspen Enterprises, Ltd. Shelf-stable liquid beverage concentrate
DE602007001147D1 (de) * 2007-03-06 2009-07-02 Nestec Sa System zur Herstellung eines Getränkes aus einer Kapsel und Verfahren
US20090041911A1 (en) 2007-08-09 2009-02-12 Aly Gamay Methods for delivering transparent shelf-stable liquid drink concentrates
PL2583595T3 (pl) 2009-03-27 2018-09-28 Koninklijke Douwe Egberts B.V. Układ dozowania napojów
US8474368B2 (en) * 2009-05-13 2013-07-02 Curwood, Inc. Mineral composite beverage brewing cup and cartrid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925B1 (ko) * 2013-06-24 2018-07-18 크라프트 푸즈 알앤디, 인크. 가용성 음료 괴상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677713T3 (es) 2018-08-06
CA2911995C (en) 2016-12-20
CA2697823C (en) 2016-01-26
RU2436720C1 (ru) 2011-12-20
CN105661242A (zh) 2016-06-15
EP2233051A1 (en) 2010-09-29
JP2010228812A (ja) 2010-10-14
BRPI1000597A8 (pt) 2017-03-28
EP2583595B1 (en) 2018-07-11
US9101163B2 (en) 2015-08-11
PL2583595T3 (pl) 2018-09-28
CA2697823A1 (en) 2010-09-27
RU2010111709A (ru) 2011-10-10
CA2949049A1 (en) 2010-09-27
CN101857180B (zh) 2016-02-10
US20150250214A1 (en) 2015-09-10
CN101857180A (zh) 2010-10-13
BRPI1000597A2 (pt) 2011-03-22
ES2471448T3 (es) 2014-06-26
EP2583595A1 (en) 2013-04-24
KR101233526B1 (ko) 2013-02-14
US20100247714A1 (en) 2010-09-30
US20130196036A1 (en) 2013-08-01
JP5380341B2 (ja) 2014-01-08
UA93636C2 (ru) 2011-02-25
CA2911995A1 (en) 2010-09-27
EP2233051B1 (en) 2014-05-07
US9113654B2 (en) 2015-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3526B1 (ko) 음료 농축물
TW200916033A (en) Method for preparation of a creamy milk based beverage from a capsule and kit for such preparation
CN102238879A (zh) 制备全谷物饮料的方法
CN105795304A (zh) 具有泡沫生成成分的饮料组合物
BRPI0718804A2 (pt) Emulsificantes para alimentos e bebidas
KR20100093052A (ko) 밀폐 용기 중의 탄산 가스 함유 소프트 젤리 음료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6425910B2 (ja) 起泡性を有するシロップ
WO2018116993A1 (ja) 容器詰めとろみ付き炭酸飲料の製造方法および容器詰めとろみ付き炭酸飲料
JP2009067886A (ja) 高ゲル強度ジェランガムの新規用途
CN108740930A (zh) 罗汉果甜苷复配组合物及其应用
JP2016131552A (ja) 即席泡状固形ゼリーデザート用粉末
WO2003028472A1 (fr) Procede permettant d'ameliorer les proprietes physiques du the vert en poudre, et preparations a base de the vert en poudre dote de proprietes physiques ameliorees
CN102573503A (zh) 含有黄烷酮的食品组合物
US20240049737A1 (en) Creamer
JP6758619B2 (ja) 組成物
WO2023041641A1 (en) Foamer ingredient in the form of a powd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732423B2 (ja) ゲル状物含有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食品の製造方法
JP2006193662A (ja) 増粘組成物用添加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