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6112A - 매립 게이트 전극의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매립 게이트 전극의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6112A
KR20100106112A KR1020090024573A KR20090024573A KR20100106112A KR 20100106112 A KR20100106112 A KR 20100106112A KR 1020090024573 A KR1020090024573 A KR 1020090024573A KR 20090024573 A KR20090024573 A KR 20090024573A KR 20100106112 A KR20100106112 A KR 20100106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orming
gate electrode
semiconductor substrate
tr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4097B1 (ko
Inventor
정은지
김현수
김병희
김대용
손웅희
문광진
이장희
송민상
이은옥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4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097B1/ko
Priority to TW098133750A priority patent/TWI459446B/zh
Priority to US12/626,959 priority patent/US8173506B2/en
Publication of KR20100106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6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008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 H01L21/28017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 H01L21/28026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 H01L21/28035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the final conductor layer next to the insulator being silicon, e.g. polysilicon, with or without impurities
    • H01L21/28044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the final conductor layer next to the insulator being silicon, e.g. polysilicon, with or without impurities the conductor comprising at least another non-silicon conductive layer
    • H01L21/28052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the final conductor layer next to the insulator being silicon, e.g. polysilicon, with or without impurities the conductor comprising at least another non-silicon conductive layer the conductor comprising a silicide layer formed by the silicidation reaction of silicon with a metal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2Diffusion of impurity materials, e.g. doping materials, electrode materials, into or out of a semiconductor body, or between semiconductor regions; Interactions between two or more impurities; Redistribution of impurities
    • H01L21/225Diffusion of impurity materials, e.g. doping materials, electrode materials, into or out of a semiconductor body, or between semiconductor regions; Interactions between two or more impurities; Redistribution of impurities using diffusion into or out of a solid from or into a solid phase, e.g. a doped oxide layer
    • H01L21/2251Diffusion into or out of group IV semiconductors
    • H01L21/2254Diffusion into or out of group IV semiconductors from or through or into an applied layer, e.g. photoresist, nitrides
    • H01L21/2255Diffusion into or out of group IV semiconductors from or through or into an applied layer, e.g. photoresist, nitrides the applied layer comprising oxides only, e.g. P2O5, PSG, H3BO3, doped 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56Disposition, e.g. buried gate electrode
    • H01L29/4236Disposition, e.g. buried gate electrode within a trench, e.g. trench gate electrode, groove gate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234Bipolar junction transistors [BJT]
    • H01L29/66325Bipolar junction transistors [BJT] controlled by field-effect, e.g.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s [IGBT]
    • H01L29/66333Vertical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s
    • H01L29/66348Vertical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s with a recessed g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매립 게이트 전극의 형성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매립 게이트 전극의 형성 방법은 반도체 기판 내에 트렌치를 형성한다. 상기 트렌치가 형성된 상기 반도체 기판 위에 게이트 산화막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산화막 위에 제1 게이트 전극층을 형성한다.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층 위로 상기 트렌치를 메우도록 실리콘층을 형성한다. 상기 실리콘층의 측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층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리세스한다.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층의 일부가 리세스된 상기 반도체 기판 위에 금속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금속층이 형성된 상기 반도체 기판을 열처리하여 상기 실리콘층의 상부에 금속 실리사이드층을 형성한다.
매립 게이트 전극, 실리콘 저마늄, 리세스, 금속 실리사이드층

Description

매립 게이트 전극의 형성방법{Method for formation of buried gate electrod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매립형 게이트 전극을 갖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 기판 아래로 워드라인(또는 게이트 전극)이 매립된 매립 워드라인 셀 어레이 트랜지스터(BCAT: burried cell array transistor)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매립 워드라인 셀 구조를 사용할 경우 0.5F 피치/간격의 워드라인을 형성할 수 있고 따라서 셀 면적의 감소가 가능하다. 매립 워드라인 셀 구조의 매립형 게이트는 적층형 게이트나 리세스형 게이트보다 상대적으로 큰 유효채널 길이를 제공하며, 반도체 기판의 상부로 돌출된 부분이 없으므로 평탄화에 유리하다. 또한, 매립형 게이트는 게이트 전극의 패터닝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금속 게이트를 형성하는데 유리하다.
매립 워드라인 셀 트랜지스터의 워드라인 매립용 트렌치에 형성될 금속 게이트 물질로서 CVD TiN 이 시도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몇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30nm 이하의 4F2 공정을 위해서는 기대되는 비저항보다 TiN 의 비저항이 높아서 트렌치의 깊이가 깊어져야 한다. 또한, CVD TiN 의 소스 가스로 사용되는 TiCl4의 염소(Cl) 성분이 게이트 산화막에 침투하여 누설 전류 특성을 나쁘게 할 수 있다. 또한, 기판 상부로 게이트 전극이 형성되는 주변 회로 영역의 게이트 형성 공정에서 셀 영역의 매립 게이트의 TiN 이 불균일하게 리세스될 수 있다.
한편, TiN 금속 게이트 위에 실리사이드를 추가로 적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실리사이드는 비저항이 매우 낮아서 낮은 트렌치 깊이로도 저항 타겟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다. 하지만 실리사이드를 좁은 선폭의 게이트에 적용할 경우에 실리사이드가 불균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워드라인 저항의 산포가 불균일해지는 문제가 있고, 또한 좁은 선폭의 트렌치 내에서는 실리사이드가 형성되면서 실리사이드 내부에 보이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게이트 산화막의 신뢰성을 높이고, 워드라인의 낮은 저항을 확보할 수 있는 매립 게이트 전극의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매립 게이트 전극의 형성 방법은 반도체 기판 내에 트렌치를 형성한다. 상기 트렌치가 형성된 상기 반도체 기판 위에 게이트 산화막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산화막 위에 제1 게이트 전극층을 형성한다.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층 위로 상기 트렌치를 메우도록 실리콘층을 형성한다. 상기 실리콘층의 측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층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리세스한다.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층의 일부가 리세스된 상기 반도체 기판 위에 금속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금속층이 형성된 상기 반도체 기판을 열처리하여 상기 실리콘층의 상부에 금속 실리사이드층을 형성한다.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층은 실리콘-저마늄(SiGe)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함수의 조절 또는 저항의 개선을 위하여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층은 불순물이 도입될 수 있다.
저항의 개선을 위하여 상기 실리콘층은 불순물이 도입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산화막은 실리콘 산화막 또는 고유전율 유전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 기판 위에 마스크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크층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삼고 상기 반도체 기판을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렌치를 메우도록 상기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층이 형성된 상기 반도체 기판 위로 상기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크층 패턴을 CMP 마스크 또는 식각 마스크로 삼고 상기 실리콘층의 상면이 상기 트렌치 내의 상기 반도체 기판의 표면에 이르도록 상기 실리콘층을 CMP 또는 에 치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층을 리세스하는 단계는 상기 실리콘층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갖는 습식 식각에 의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층이 리세스된 부분은 채우지 않도록 상기 금속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금속층의 물질은 Ti, Co, Ni, NiTa, NiPt, V, Er, Zr, Hf, Mo 그리고 Yb 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렌치를 형성하기 전에 상기 반도체 기판 내에 소스/드레인 영역을 위한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매립 게이트 전극의 형성 방법은 셀 영역과 주변회로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위에 제1 게이트 산화막을 형성한다. 상기 제1 게이트 산화막 위에 제1 도전층 그리고 제1 마스크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셀 영역에 개구부를 갖는 적층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적층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삼고 상기 반도체 기판을 식각하여 상기 셀 영역의 상기 반도체 기판 내에 트렌치를 형성한다. 상기 트렌치가 형성된 상기 반도체 기판 위에 제2 게이트 산화막을 형성한다. 상기 제2 게이트 산화막 위에 제1 매립 게이트 전극층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매립 게이트 전극층 위로 상기 트렌치를 메우도록 실리콘층을 형성한다. 상기 실리콘층의 측면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트렌치의 상부로부터 상기 제1 매립 게이트 전극층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리세스한다.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층의 일부가 리세스된 상기 반도체 기판 위에 금속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금속층이 형성된 상기 반도체 기판을 열처리하여 상기 실리콘층의 상부에 금속 실리사이드층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 실리사이드층을 형성하지 않은 상기 금속층을 제거한다.
상기 제1 매립 게이트 전극층은 실리콘-저마늄(SiGe)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실리사이드층 위로 상기 트렌치 내에 제2 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마스크층이 형성된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1 도전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주변회로 영역에 적층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마스크층을 형성한 후 상기 제1 도전층 위에 제2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1 도전층을 패터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도전층 및 상기 제2 도전층을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층은 다결정 실리콘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층은 텅스텐, 텅스텐 실리사이드 또는 내열성 금속의 실리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마스크층은 상기 제1 마스크층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게이트 산화막과 접하는 게이트 전극층으로 실리콘 저마늄층을 사용하여 게이트 산화막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고, 등가 게이트 산화막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저항을 낮출 수 있다. 그리고 금속 실리사이드 형성시 실리콘층의 측면이 오픈되어 금속 실리사이드 내에 보이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여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a 내지 도 1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 워드라인 트랜지스터의 메립 게이트 전극의 형성방법을 공정 순서대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본 실시예에서 매립 게이트 전극은 매립 워드라인을 형성한다.
먼저, 도 1a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 위에 마스크층(113)을 형성한다. 마스크층(113)은 반도체 기판(100)과 식각 선택비를 갖는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마스크층(113)은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질화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마스크층(113)은 후속 공정의 요구에 따라 실리콘막,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질화막 중 둘 이상의 적층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마스크층(113)은 다른 물질층을 포함하여 단일막 또는 적층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사진 식각 공정에 의하여 마스크층(113)을 패터닝하여 마스크층 패턴(113)을 형성한다. 마스크층(113)을 실리콘 질화막으로 형성하는 경우, 마스크층(113) 형성 전에 반도체 기판(100) 위에 패드 산화막(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마스크층(113)을 형성하기 전에 반도체 기판(100) 내에 소스/드레인 영역을 위한 불순물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매립 게이트를 형성한 후에 소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마스크층 패턴(113)을 식각 마스크로 삼고 반도체 기판(100)을 식각하여 반도체 기판(100) 내에 트렌치(105)를 형성한다. 식각은 건식 식각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트렌치(105)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100) 위로 게이트 산화막(114)을 형성한다. 게이트 산화막(114)은 트렌치(105)의 바닥과 측벽 위에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산화막(114)은 실리콘 산화막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고유전율 산화막(high-k dielectric)으로 형성할 수 있다. 실리콘 산화막은 열산화 방식, CVD 방식 또는 ALD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고유전율 산화막은 HfO2, HfSiO4, HfAlO, ZrO2, ZrSiO4, TaO2, Al2O3, BST 또는PZT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고유전율 산화막은 CVD 방식 또는 ALD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게이트 산화막(114) 위에 제1 게이트 전극층(122)을 형성한다. 제1 게이트 전극층(122)은 게이트 산화막(114) 위에 내벽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게이트 전극층(122)은 SiGe층(122)으로 형성할 수 있다. SiGe층(122)은 일함수를 조절하고 전도도를 높이기 위하여 불순물로 도핑된 다결정 SiGe 일 수 있다. SiGe층(122)은 CVD 또는 ALD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SiGe층(122)은 다중층으로 구성될 게이트 전극 중 게이트 산화막(114)과 직접 접촉하며 문턱전압에 기여하는 층으로서 MOSFET에 요구되는 문턱 전압에 적절한 일함수를 갖는다.
다결정 실리콘층과 게이트 산화막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다결정 실리콘층 내의 공핍(depletion) 현상이 SiGe층과 게이트 산화막의 계면에서는 감소하며, 등가 게이트 산화막 두께(EOT: equivalent oxide thickness)를 낮출 수 있다. SiGe층은 고유전율 산화막에 사용할 경우 다결정 실리콘보다 열역학적으로 안정하다. 또한, SiGe층은 다결정 실리콘보다 저항이 낮으므로 게이트 전극의 저항을 낮출 수 있다. 한편, SiGe층 형성시에는 Cl과 같이 게이트 산화막을 열화시키는 부산물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d를 참조하면, SiGe층(122) 위로 트렌치(105)를 채우도록 제2 게이트 전극층(124)을 형성한다. 제2 게이트 전극층(124)은 저항을 낮추기 위하여 불순물로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층(124)의 일부는 금속 실리사이드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층(124)은 CVD 또는 ALD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1e를 참조하면, 다결정 실리콘층(124)의 상면이 트렌치(105) 안의 반도체 기판(100)의 표면까지 내려오도록 다결정 실리콘층(124)을 CMP 또는 에치백한다. 이때 CMP 공정만을 수행하거나 에치백 공정만을 수행하거나 또는 CMP 공정 및 에치백 공정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결정 실리콘층(124)의 상면의 높이를 반도체 기판(100)의 표면으로 조절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반도체 기판(100)의 표면 위 또는 반도체 기판(100)의 표면 아래로 더 내려오도록 할 수 있다.
다결정 실리콘층(124)의 일부의 제거시 마스크층 패턴(113) 상면 위의 SiGe층(122) 및 게이트 산화막(114)도 함께 제거될 수 있다. 트렌치(105) 내부의 SiGe층(122)은 다결정 실리콘층(124)과 함께 반도체 기판(100)의 표면까지 내려오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트렌치(105) 내부의 SiGe층(122)이 마스크층(113)의 측벽에 남도록 할 수 있다.
도 1f를 참조하면, 트렌치(105) 측벽의 SiGe층(122)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리세스시킨다. SiGe층(122)의 선택적 제거는 습식 식각을 이용할 수 있다. SiGe 과 실리콘에 대하여 산화 특성이 다른 산화제를 포함하는 습식 식각 용액에서 SiGe 만을 선택적으로 산화시켜서 식각할 수 있다. 따라서 SiGe층(122)의 선택적 제거시 다결정 실리콘층(124)은 제거되지 않는다. 게이트 산화막(114)과 다결정 실리콘층(124) 사이의 SiGe층(122)의 일부가 제거된 부분에 의하여 깊이 h 만큼 다결정 실리콘층(124)의 측면이 노출된다.
도 1g를 참조하면, SiGe층(122)가 리세스된 반도체 기판(100) 위로 금속 실리사이드 형성을 위한 금속층(126)을 형성한다. 금속층(126)은 트렌치(105) 안의 다결정 실리콘층(124) 위를 채우도록 형성된다.
금속층(126)은 Ti, Co, Ni, NiTa, NiPt, V, Er, Zr, Hf, Mo 또는 Yb 과 같은 내열성 금속(refractory metal)으로 형성할 수 있다. 금속층(126)은 PVD 또는 CVD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게이트 산화막(114)과 다결정 실리콘층(124) 사이 에서 SiGe층(122)이 리세스된 부분은 그 간격이 좁으므로 금속층(126)이 채워지지 않는다.
도 1h를 참조하면, 금속층(126)이 다결정 실리콘층(124)과 반응하여 금속 실리사이드층(127)을 형성하도록 열처리를 수행한 후 다결정 실리콘층(124)과 반응하지 않은 금속층(126)은 제거한다. 금속 실리사이드층(127)은 다결정 실리콘층(124)의 상부에 형성된다. 금속 실리사이드층(127)은 증착한 금속물질에 따라서 TiSi2, CoSi2, NiSi, NiTaSi, NiPtSi, VSi2, ErSi, ZrSi2, HfSi, MoSi2, CrSi 또는 YbSi 가 형성될 수 있다.
다결정 실리콘층이 금속층을 포함한 다른 물질층에 의하여 완전히 갇힌(confined) 상태에서 금속 실리사이드화 반응이 일어나면, 형성되는 금속 실리사이드 내에 보이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SiGe층(122)이 리세스된 부분에 의하여 다결정 실리콘층(124)의 측면이 노출되어 금속 실리사이드화 반응이 열린 상태에서 일어나며, 따라서 금속 실리사이드층(127) 내에 보이드가 생성되지 않는다.
도 1i를 참조하면, 금속 실리사이드층(127)의 형성 후 마스크층 패턴(113)을 제거한다. 마스크층 패턴(113)이 실리콘 질화막으로 형성된 경우 마스크층 패턴(113)은 질산 용액을 사용한 습식각에 의하여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실리콘 저마늄층과 금속 실리사이드층을 채용하고 금속 실리사이드층을 실리콘층의 측면이 노출된 환경에서 형성함으로써, 게이트 산화막의 열 화를 방지하고 등가 게이트 산화막 두께를 낮출 수 있으며 게이트 전극 및 워드 라인의 저항을 낮추고 저항 산포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l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메립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게이트 전극의 형성방법을 공정 순서대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셀 영역에 매립 게이트를 형성하고 주변 회로 영역에 적층 게이트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매립 게이트 전극은 매립 워드라인을 형성한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200) 위에 제1 게이트 산화막(211), 제1 도전층(212) 및 제1 마스크층(213)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제1 게이트 산화막(211)은 실리콘 산화막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고유전율 산화막(high-k dielectric)으로 형성할 수 있다. 실리콘 산화막은 열산화 방식, CVD 방식 또는 ALD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고유전율 산화막은 HfO2, HfSiO4, HfAlO, ZrO2, ZrSiO4, TaO2, Al2O3, BST 또는PZT 를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고유전율 산화막은 CVD 방식 또는 ALD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도전층(212)은 예를 들면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도전층(212)의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층은 CVD 방법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1 마스크층(213)은 제1 도전층(212) 및 반도체 기판(200)과 식각 선택비를 갖는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마스크층(213)은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질화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사진 식각 공정에 의하여 제1 마스크층(213), 제1 도전층(212) 및 제1 게이트 산화막(211)을 패터닝하여 제1 마스크층(213), 제1 도전층(212) 및 제1 게이트 산화막(211)으로 이루어진 적층 패턴(210)을 형성한다. 적층 패턴(210)은 셀 영역에는 트렌치 형성을 위한 개구부를 갖지만 주변 회로 영역에는 개구부를 갖지 않도록 형성한다. 셀 영역에서 적층 패턴(210)은 게이트 전극용 트렌치 형성을 위한 마스크 패턴의 역할을 하고, 주변 회로 영역에서 적층 패턴(210) 내의 제1 도전층(212)은 적층 게이트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1 게이트 산화막(211)을 형성하기 전에 셀 영역의 반도체 기판(200) 내에 셀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불순물 영역(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적층 패턴(210)을 마스크로 삼고 반도체 기판(200)을 식각하여 셀 영역의 반도체 기판(200) 내에 트렌치(205)를 형성한다. 이때 주변 회로 영역은 적층 패턴(210)에 의하여 덮혀 있어서 반도체 기판(200) 내에 트렌치가 형성되지 않는다.
도 2c를 참조하면, 셀 영역에 트렌치(205)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200) 위로 제2 게이트 산화막(214)을 형성한다. 제2 게이트 산화막(214)은 셀 영역의 트렌치(205)의 바닥과 측벽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게이트 산화막(214)은 실리콘 산화막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고유전율 산화막(high-k dielectric)으로 형성할 수 있다. 실리콘 산화막은 열산화 방식, CVD 방식 또는 ALD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고유전율 산화막은 예를 들면 HfO2, HfSiO4, HfAlO, ZrO2, ZrSiO4, TaO2, Al2O3, BST 또는PZT 를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고유전율 산화막은 CVD 방식 또는 ALD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제2 게이트 산화막(214) 위에 제1 게이트 전극층(222)을 형성한다. 제1 게이트 전극층(222)은 SiGe층(222)으로 형성할 수 있다. SiGe층(222)은 일함수를 조절하고 전도도를 높이기 위하여 불순물로 도핑된 다결정 SiGe 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핑된 다결정 SiGe은 CVD 또는 ALD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셀 영역의 트렌치(205) 안의 SiGe층(222)은 제2 게이트 산화막(214) 위에 내벽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SiGe층(222)은 다중층으로 구성될 셀 영역의 매립 게이트 전극 중 제2 게이트 산화막(214)과 직접 접촉하며 문턱전압에 기여하는 층이다.
앞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결정 실리콘층과 게이트 산화막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다결정 실리콘층 내의 공핍(depletion) 현상이 SiGe층과 게이트 산화막의 계면에서는 감소하며, 등가 게이트 산화막의 두께를 낮출 수 있다. 또한, SiGe층은 고유전율 산화막에 사용할 경우 다결정 실리콘보다 열역학적으로 안정하다. 한편, SiGe층은 다결정 실리콘보다 저항이 낮으므로 셀 영역의 게이트 전극의 저항을 낮출 수 있다. SiGe층 형성시에는 Cl과 같이 게이트 산화막을 열화시키는 부산물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d를 참조하면, SiGe층(222) 위로 셀 영역의 트렌치(205)를 채우도록 제2 게이트 전극층(224)을 형성한다. 제2 게이트 전극층(224)은 저항을 낮추기 위하여 불순물로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층(224)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층(224)은 CVD 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층(224)은 금속 실리사이드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2e를 참조하면, 다결정 실리콘층(224)의 상면이 트렌치(205) 안의 반도체 기판(200)의 표면까지 내려오도록 다결정 실리콘층(224)을 CMP 또는 에치백한다. 이때 CMP 공정만을 수행하거나 에치백 공정만을 수행하거나 또는 CMP 공정 및 에치백 공정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결정 실리콘층(224)의 상면의 높이를 반도체 기판(200)의 표면으로 조절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반도체 기판(200)의 표면 위 또는 반도체 기판(200)의 표면 아래로 더 내려오도록 할 수 있다.
다결정 실리콘층(224)의 일부의 제거시 적층 패턴(210) 상면 위의 SiGe층(222) 및 제2 게이트 산화막(214)도 함께 제거될 수 있다. 트렌치(205) 내부의 SiGe층(222)은 다결정 실리콘층(224)과 함께 반도체 기판(100)의 표면까지 내려오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트렌치(205) 내부의 SiGe층(222)이 제1 마스크층(213)의 측벽에 남도록 할 수 있다.
도 2f를 참조하면, 셀 영역의 트렌치(205) 측벽의 SiGe층(222)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SiGe층(222) 일부의 선택적 제거는 습식 식각을 이용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SiGe 과 실리콘에 대하여 산화 특성이 다른 산화제를 포함하는 습식 식각 용액에서 SiGe 만을 선택적으로 산화시켜서 식각할 수 있다. 따라서 SiGe층(222) 일부의 선택적 제거시 다결정 실리콘층(224)은 제거되지 않는다. SiGe층(222) 일부의 선택적 제거에 의하여 다결정 실리콘층(224)의 상면으로부터 SiGe층(222)의 상면까지 깊이 h 만큼 다결정 실리콘층(224)의 측면이 노출된다. 상기 깊이 h 는 SiGe층(222)의 선택적 식각량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도 2g를 참조하면, 셀 영역의 트렌치(205) 내의 SiGe층(222)의 일부가 제거된 반도체 기판(200) 위로 금속 실리사이드 형성을 위한 금속층(226)을 형성한다. 금속층(226)은 셀 영역의 트렌치(205)의 다결정 실리콘층(224) 위를 채우도록 형성된다.
금속층(226)은 Ti, Co, Ni, NiTa, NiPt, V, Er, Zr, Hf, Mo 또는 Yb 과 같은 내열성 금속(refractory metal)으로 형성할 수 있다. 금속층(226)은 PVD 또는 CVD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SiGe층(222) 일부가 제거된 부분은 그 간격이 좁으므로 금속층(226)이 채워지지 않는다.
도 2h를 참조하면, 금속층(226)이 다결정 실리콘층(224)과 반응하여 금속 실리사이드층(227)을 형성하도록 열처리를 수행한 후 다결정 실리콘층(224)과 반응하지 않은 금속층(226)은 제거한다. 금속 실리사이드층(227)은 TiSi2, CoSi2, NiSi, NiTaSi, NiPtSi, VSi2, ErSi, ZrSi2, HfSi, MoSi2, CrSi 또는 YbSi 가 형성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결정 실리콘층이 금속층을 포함한 다른 물질층에 의하여 완전히 갇힌 상태에서 금속 실리사이드화 반응이 일어나면, 형성되는 금속 실리사이드 내에 보이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SiGe층(222)이 리세스된 부분에 의하여 다결정 실리콘층(224)의 측면이 노출되어 금속 실리사이드화 반응이 열린 상태에서 일어나며, 따라서 금속 실리사이드층(227) 내에 보이드가 생성되지 않는다.
도 2i를 참조하면, 금속 실리사이드층(227)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00) 위에 제2 마스크층(231)을 형성한다. 제2 마스크층(231)은 제1 도전층(212)과 식각 선택비를 갖는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제2 마스크층(231)은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질화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2j를 참조하면, 제1 도전층(212)을 정지막으로 삼고 제2 마스크층(231) 및 제1 마스크층(211)을 에치백 또는 CMP 하여 셀 영역의 트렌치(205) 내에만 제2 마스크층(231)을 남긴다. 그러면, 셀 영역과 주변 회로 영역의 제1 도전층(212)의 상면이 노출된다.
도 2k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도전층(212) 위로 제2 도전층(232)을 형성한다. 제2 도전층(232)은 텅스텐 또는 텅스텐실리사이드로 형성하거나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내열성 금속의 금속 실리사이드로 형성할 수 있다.
도 2l를 참조하면, 제1 도전층(212) 및 제2 도전층(232)을 패터닝하여 주변 회로 영역의 적층 게이트 전극(230)을 형성한다.
한편, 주변 회로 영역의 적층 게이트 전극(230) 양측으로 반도체 기판(200) 내에 소스/드레인 영역을 위한 불순물 영역(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주변회로 영역의 게이트 전극을 2층의 적층 구조로 형 성하였으나 선택적으로 단일층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 워드라인 트랜지스터의 메립 게이트 전극의 형성방법을 공정 순서대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2a 내지 도 2l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메립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게이트 전극의 형성방법을 공정 순서대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반도체 기판 105, 205: 트렌치
113: 마스크 패턴 114: 게이트 산화막
122, 222: 제1 게이트 전극층 124, 224: 제2 게이트 전극층
126, 226: 금속층 127, 227: 금속 실리사이드층
211: 제1 게이트 산화막 212: 제1 도전층
213: 제1 마스크층 214: 제1 게이트 산화막
231: 제2 마스크층 232: 제2 도전층

Claims (18)

  1. 반도체 기판 내에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가 형성된 상기 반도체 기판 위에 게이트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산화막 위에 제1 게이트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층 위로 상기 트렌치를 메우도록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실리콘층의 측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층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리세스하는 단계;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층의 일부가 리세스된 상기 반도체 기판 위에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층이 형성된 상기 반도체 기판을 열처리하여 상기 실리콘층의 상부에 금속 실리사이드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매립 게이트 전극의 형성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층은 실리콘-저마늄(SiGe)으로 형성하는 매립 게이트 전극의 형성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층은 일함수 조절을 조절하고 저항을 낮추기 위하여 불순물이 도입된 매립 게이트 전극의 형성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층은 저항을 낮추기 위하여 불순물이 도입된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하는 매립 게이트 전극의 형성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산화막은 실리콘 산화막 또는 고유전율 유전막으로 형성하는 매립 게이트 전극의 형성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 기판 위에 마스크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크층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삼고 상기 반도체 기판을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매립 게이트 전극의 형성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를 메우도록 상기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층이 형성된 상기 반도체 기판 위로 상기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크층 패턴을 CMP 마스크 또는 식각 마스크로 삼고 상기 실리콘층의 상면이 상기 트렌치 내의 상기 반도체 기판의 표면에 이르도록 상기 실리콘층을 CMP 또는 에치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매립 게이트 전극의 형성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층을 리세스하는 단계는 상기 실리콘층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갖는 습식 식각에 의하여 수행하는 매립 게이트 전극의 형성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층이 리세스된 부분은 채우지 않도록 상기 금속층을 형성하는 매립 게이트 전극의 형성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의 물질은 Ti, Co, Ni, V, NiTa, NiPt, Er, Zr, Hf, Mo 및 Yb 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매립 게이트 전극의 형성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를 형성하기 전에 상기 반도체 기판 내에 소스/드레인 영역을 위한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매립 게이트 전극의 형성 방법..
  12. 셀 영역과 주변회로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위에 제1 게이트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게이트 산화막 위에 제1 도전층 및 제1 마스크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셀 영역에 개구부를 갖는 적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적층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삼고 상기 반도체 기판을 식각하여 상기 셀 영역의 상기 반도체 기판 내에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가 형성된 상기 반도체 기판 위에 제2 게이트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게이트 산화막 위에 제1 매립 게이트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매립 게이트 전극층 위로 상기 트렌치를 메우도록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실리콘층의 측면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트렌치의 상부로부터 상기 제1 매립 게이트 전극층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리세스하는 단계;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층의 일부가 리세스된 상기 반도체 기판 위에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층이 형성된 상기 반도체 기판을 열처리하여 상기 실리콘층의 상부에 금속 실리사이드층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 실리사이드층을 형성하지 않은 상기 금속층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매립 게이트 전극의 형성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매립 게이트 전극층은 실리콘-저마늄(SiGe)층으로 형성하는 매립 게이트 전극의 형성 방법.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실리사이드층 위로 상기 트렌치 내에 제2 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마스크층이 형성된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1 도전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주변회로 영역에 적층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매립 게이트 전극의 형성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스크층을 형성한 후 상기 제1 도전층 위에 제2 도전층을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전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주변회로 영역에 적층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도전층 및 상기 제2 도전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주변회로 영역에 적층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매립 게이트 전극의 형성 방법.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층은 다결정 실리콘층을 포함하는 매립 게이트 전극의 형성 방법.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층은 텅스텐, 텅스텐 실리사이드 또는 내열성 금속의 실리사이드를 포함하는 매립 게이트 전극의 형성 방법.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스크층은 상기 제1 마스크층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하는 매립 게이트 전극의 형성 방법.
KR1020090024573A 2009-03-23 2009-03-23 매립 게이트 전극의 형성방법 KR101584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573A KR101584097B1 (ko) 2009-03-23 2009-03-23 매립 게이트 전극의 형성방법
TW098133750A TWI459446B (zh) 2009-03-23 2009-10-05 形成埋入閘極之方法
US12/626,959 US8173506B2 (en) 2009-03-23 2009-11-30 Method of forming buried gate electrode utilizing formation of conformal gate oxide and gate electrode lay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573A KR101584097B1 (ko) 2009-03-23 2009-03-23 매립 게이트 전극의 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112A true KR20100106112A (ko) 2010-10-01
KR101584097B1 KR101584097B1 (ko) 2016-01-12

Family

ID=42738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573A KR101584097B1 (ko) 2009-03-23 2009-03-23 매립 게이트 전극의 형성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173506B2 (ko)
KR (1) KR101584097B1 (ko)
TW (1) TWI459446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658B1 (ko) * 2009-06-09 2012-01-2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WO2014081518A1 (en) * 2012-11-20 2014-05-30 Micron Technology, Inc. Transistors, memory cells and semiconductor constructions
US9064956B2 (en) 2012-08-31 2015-06-23 SK Hynix Inc. Semiconductor device having buried gate,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nd module and system having the same
US9236439B2 (en) 2014-01-02 2016-01-12 SK Hynix Inc.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CN108346666A (zh) * 2017-01-23 2018-07-31 联华电子股份有限公司 半导体元件及其制作方法
WO2022108868A1 (en) * 2020-11-20 2022-05-27 Applied Materials, Inc. Conformal silicon-germanium film deposi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31114B4 (de) * 2009-06-30 2011-07-07 Globalfoundries Dresden Module One LLC & CO. KG, 01109 Halbleiterelement, das in einem kristallinen Substratmaterial hergestellt ist und ein eingebettetes in-situ n-dotiertes Halbleitermaterial aufweis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KR101087895B1 (ko) * 2009-07-31 2011-11-3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096875B1 (ko) * 2009-12-09 2011-12-2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매립 게이트를 갖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JP2011129760A (ja) * 2009-12-18 2011-06-30 Elpida Memory Inc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
KR101194973B1 (ko) * 2010-04-27 2012-10-2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 및 그 형성방법
KR101735810B1 (ko) 2010-08-20 2017-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반도체 장치
KR102008317B1 (ko) * 2012-03-07 2019-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140025632A (ko) * 2012-08-21 2014-03-0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658483B1 (ko) * 2012-08-21 2016-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TWI497609B (zh) * 2013-04-10 2015-08-21 Inotera Memories Inc 半導體記憶體製程
KR102295641B1 (ko) 2015-03-02 2021-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543181B1 (ko) * 2016-11-04 2023-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KR102551745B1 (ko) 2016-11-09 2023-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CN109427685B (zh) 2017-08-24 2020-11-10 联华电子股份有限公司 动态随机存取存储器的埋入式字符线及其制作方法
US11036129B2 (en) * 2018-07-31 2021-06-1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Photomask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CN111180395B (zh) * 2018-11-09 2022-06-17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半导体器件的形成方法
KR102102062B1 (ko) 2018-12-13 2020-04-1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누설전류 특성이 개선된 매립형 채널 어레이 트랜지스터
US11711914B2 (en) 2021-04-07 2023-07-25 Winbond Electronics Corp. Semiconductor structure having buried gate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VA20020005A1 (it) * 2002-01-25 2003-07-25 St Microelectronics Srl Flusso di processo per la realizzazione di un transitore mos di potenza a trench di gate con canale di dimensioni scalate
US7323745B2 (en) * 2004-01-26 2008-01-29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Top drain MOSFET
US7582931B2 (en) * 2004-06-04 2009-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cessed gate electrodes having covered layer interface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KR100685678B1 (ko) 2005-03-29 2007-02-2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리세스채널어레이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7180310A (ja) 2005-12-28 2007-07-12 Toshiba Corp 半導体装置
US7682891B2 (en) * 2006-12-28 2010-03-23 Intel Corporation Tunable gate electrode work function material for transistor applications
JP2008198762A (ja) * 2007-02-13 2008-08-28 Nec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7772668B2 (en) * 2007-12-26 2010-08-10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Shielded gate trench FET with multiple channels
TWI441335B (zh) * 2009-04-10 2014-06-11 Anpec Electronics Corp 溝渠式半導體元件及其製作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658B1 (ko) * 2009-06-09 2012-01-2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US9064956B2 (en) 2012-08-31 2015-06-23 SK Hynix Inc. Semiconductor device having buried gate,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nd module and system having the same
US9356029B2 (en) 2012-08-31 2016-05-31 SK Hynix Inc. Semiconductor device having buried gate,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nd module and system having the same
WO2014081518A1 (en) * 2012-11-20 2014-05-30 Micron Technology, Inc. Transistors, memory cells and semiconductor constructions
US9236439B2 (en) 2014-01-02 2016-01-12 SK Hynix Inc.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CN108346666A (zh) * 2017-01-23 2018-07-31 联华电子股份有限公司 半导体元件及其制作方法
US11502180B2 (en) 2017-01-23 2022-11-15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WO2022108868A1 (en) * 2020-11-20 2022-05-27 Applied Materials, Inc. Conformal silicon-germanium film de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40184A1 (en) 2010-09-23
US8173506B2 (en) 2012-05-08
TWI459446B (zh) 2014-11-01
KR101584097B1 (ko) 2016-01-12
TW201036042A (en) 201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097B1 (ko) 매립 게이트 전극의 형성방법
EP3327753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10297511B2 (en) Fin-FET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5126930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70005463A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반도체 장치
JP4744576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7335834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1508832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20100117163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007227851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41467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5117740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7872316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7045448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5147588B2 (ja) 半導体装置
JP5525127B2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227165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013270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294799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228761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194732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
JP2008258354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008787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30100606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090109303A (ko) 금속 산화물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