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2624A - 경구 투여 조성물 - Google Patents

경구 투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2624A
KR20100102624A KR1020107014211A KR20107014211A KR20100102624A KR 20100102624 A KR20100102624 A KR 20100102624A KR 1020107014211 A KR1020107014211 A KR 1020107014211A KR 20107014211 A KR20107014211 A KR 20107014211A KR 20100102624 A KR20100102624 A KR 20100102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fat
citrus
reducing action
carotenoi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4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9976B1 (ko
Inventor
가쓰유키 무카이
요시유키 시라쿠라
Original Assignee
유니티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339460A external-priority patent/JP557701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22784A external-priority patent/JP5830214B2/ja
Application filed by 유니티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티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2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2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58Fatty acids; Fats; Products containing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9Colouring agents, e.g. pigmenting or dye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23L33/11Plant sterols or derivatives thereof, e.g. phytoster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4Amides, e.g. hydroxamic acids of a carboxylic acid with an aminoalcohol, e.g. cer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Diabet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안전성이 높고, 내장 지방이나 피하 지방과 같은 체지방과 중성 지방의 저감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 각각 상기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 의약품, 사료가 기재되어 있다. 특히, 카로테노이드와 스핑고 지질 또는 카로테노이드와 플라보노이드 및/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바람직하게는 크립토크산틴과 스핑고 지질 또는 크립토크산틴과 플라보노이드 및/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경구 투여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크립토크산틴 및/또는 스핑고 지질 및/또는 플라보노이드는 감귤류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감귤류는 온주귤이다. 상기 조성물은 체지방 저감 작용 및/또는 중성 지방 저감 작용을 갖는다.

Description

경구 투여 조성물{Composition for oral administration}
본 발명은, 체지방 저감 작용이나 중성 지방 저감 작용 등에 효과가 있으며, 식품, 의약품, 사료로서 섭취할 수 있는 카로테노이드와 스핑고 지질 또는 카로테노이드와 플라보노이드 및/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하여 안전성이 높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본에 있어서, 평성 20년 4월부터 의료보험자(국민건강보험·피용자 보험)에 있어서, 40세 이상의 피보험자·피부양자를 대상으로 하는, 메타볼릭 신드롬(metabolic syndrome)에 착안한 건강 검진 및 보건 지도의 사업 실시가 의무화되어 있다. 5년후에 성과를 판정하여, 결과가 불량한 건강 보험자에게는 재정적인 페널티가 부과되도록 되어 있다. 후생노동성은, 중년 남성에서는 두사람 중 한사람이 메타볼릭 신드롬이라고 예상하고 있으며, 약 2,000만명이 메타볼릭 신드롬과 예비군에 해당한다.
최근, 지방의 몸에 대한 영향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고, 특히 내장 지방의 축적이 비만뿐만 아니라, 생활 습관병이나 고지혈증, 내당능 이상, 고혈압 등 높은 상관 관계가 있는 것이 시사되어, 내장 지방을 축적시키지 않는 것이 많은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고 생각되고 있다. 이러한 생각에 기초한 병태가 메타볼릭 신드롬이다. 내장 지방의 감소에는 식사의 개선이나 일상적인 운동을 실시하는 것과 같은 생활 환경을 변화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식생활의 구미화나 생활 습관의 변화에 따라, 식사는 고칼로리가 되고, 또한 운동을 하기 위한 시간의 확보가 어려운 상태에 있다.
현재 일본에서는 고령화에 따라, 고액화되는 의료비를 억제하기 위해 예방 의료에 주목이 모이고 있다. 상기의 질병은 발증하면 다액의 치료 비용과 치료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예방 의료적인 관점에서 내장 지방을 감소시킴으로써, 질병의 발병 리스크를 경감시키고자 여러 가지 건강 식품이나 서플리먼트가 시판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건강 식품에서는 통상의 섭취로는 충분한 효과를 기대하는 것은 곤란하며, 대량으로 섭취하면 어느 정도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부작용이 높아진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것에 의해 소량의 섭취로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내장 지방의 감소 작용을 가진 식품의 개발이 강하게 기대되고 있다.
그러한 체지방, 특히 내장 지방을 저감시키는 효과를 갖는 기존의 식품으로서는, 카테킨이나 아스타크산틴을 들 수 있다. 카테킨은 녹차나 홍차, 초콜렛 등에 함유되며, 체지방의 연소에 효과가 있다고 되어 있다(특허 문헌 1). 그러나 함유량을 늘리면 떫은 맛이 증가하기 때문에, 상품으로의 첨가는 크게 제한되고 있다. 또한 아스타크산틴도 체지방의 연소 효과를 나타내지(특허 문헌 2)만, 아스타크산틴 자체가 체내에 받아들이기 어려우며, 또한 단독으로의 효과는 높지 않기 때문에, 지방 감소에 유효한 양을 섭취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β-크립토크산틴 단독으로 비만을 예방할 수 있는 배양 세포를 사용한 시험의 보고(특허 문헌 3·비특허 문헌 1)가 있지만, 우리들이 시험해 본 결과, 단독으로의 작용은 약하고, 지방 감소에 유효한 양을 접수(接收)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326932호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7-153845호 특허 문헌 3: 국제공개 제2005/112904호 팜플렛
비특허 문헌 1: 제28회 일본비만학회 프로그램·초록집 P288
이상과 같은 현상을 감안하여, 내장 지방이나 피하 지방과 같은 체지방을 통상의 섭취량으로 저감시키는 작용을 갖는 식품, 의약품, 사료의 제공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안전성이 높고, 체지방 저감 작용 및 중성 지방 저감 작용을 갖는 식품, 의약품, 사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카로테노이드와 스핑고 지질 또는 카로테노이드와, 플라보노이드 및/또는 그 유도체를 병용하면 그 상승 작용에 의해,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기대할 수 있는 기능성 이상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또한, 이들의 병용은 감귤류 식물을 원료로 하여 사용하면, 용이하게 추출·농축이 가능한 것을 밝혀내었다.
즉 본 발명의 제1 형태는, 카로테노이드와 스핑고 지질을 포함하고, 체지방 및/또는 중성 지방 저감 작용이 있는 경구 투여 조성물이며, 바람직하게는, 카로테노이드가 크립토크산틴 및/또는 그 지방산 에스테르인 조성물이며, 카로테노이드 및/또는 스핑고 지질이 감귤류 유래이며, 바람직하게는, 감귤류가 온주귤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형태는, (1) 감귤류 식물을 착즙하는 것 및, 그 잔사로부터 카로테노이드 및/또는 스핑고 지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수득하는 것을 포함, 또는, (2) 감귤류 식물을 효소 처리하여 카로테노이드 및/또는 스핑고 지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수득하는 것 포함, 또는, (3) 감귤류 식물과 유기 용제를 접촉시키는 것 및, 당해 유기 용제 중에 카로테노이드 및/또는 스핑고 지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한 어느 하나의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형태는, 카로테노이드와, 플라보노이드 및/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체지방 저감 작용 및/또는 중성 지방 저감 작용을 갖는 경구 투여 조성물을 요지로 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카로테노이드가, 크립토크산틴 및/또는 그 지방산 에스테르인 것이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플라보노이드 및/또는 그 유도체가, 헤스페리딘, 그 유도체 및 헤스페레틴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이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카로테노이드와, 플라보노이드 및/또는 그 유도체가, 감귤류 유래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형태는, (1) 감귤류 식물을 착즙하는 것, 그 잔사로부터, 카로테노이드와, 플라보노이드 및/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수득하는 것을 포함, 또는, (2) 감귤류 식물을 효소 처리하여, 카로테노이드와, 플라보노이드 및/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수득하는 것을 포함, 또는, (3) 감귤류 식물과 유기 용제 접촉시키는 것 및, 당해 유기 용제 중에, 카로테노이드와, 플라보노이드 및/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한 어느 하나의 체지방 저감 작용 및/또는 중성 지방 저감 작용을 갖는 경구 투여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5 형태는, 상기한 경구 투여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식품, 의약품, 사료를 요지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6 형태는, 상기한 경구 투여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체지방 저감 방법 및/또는 중성 지방 저감 방법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7 형태는, 체지방 및/또는 중성 지방 저감제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한 경구 투여 조성물의 사용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은 체지방 저감 작용·중성 지방 저감 작용을 나타내고, 안전성이 높고, 다양한 식품, 의약품, 사료에 배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소량으로 작용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배합 설계가 용이하다고 하는 작용 효과를 수득할 수 있다.
도 1은 L4/L5 횡단부의 복강내 지방 면적의 추이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2는 L4/L5 횡단부의 피하 지방 면적의 추이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3은 L4/L5 횡단부의 전체 지방 면적의 추이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4는 체중의 추이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5는 웨스트의 추이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6은 중성 지방(TG)의 추이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7은 체중의 추이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8은 혈청 트리글리세리드 양의 추이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9는 내장 지방 중량의 추이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10은 체중의 추이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11은 혈중 트리글리세리드의 추이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12는 내장 지방 중량의 추이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13은 체중의 추이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14는 혈중 트리글리세리드의 추이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15는 내장 지방 중량의 추이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16은 체중의 추이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17은 혈중 트리글리세리드의 추이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18은 내장 지방 중량의 추이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19는 체중의 추이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20은 혈중 트리글리세리드의 추이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21은 내장 지방 중량의 추이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22는 체중의 변화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23은 혈중 트리글리세리드의 추이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24는 내장 지방 중량의 추이를 도시하는 도이다.
또한, 도면 중, *: p<0.05, **: p<0.01을 나타낸다.
이하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비율, 백분율 등은 모두 질량에 기초하는 것이며, 이것은 중량에 기초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카로테노이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α-카로텐, β-카로텐, γ-카로텐, 크립토크산틴, 아스타크산틴, 칸타크산틴, 루테인, 제아크산틴, 리코펜, 튜나크산틴, 후코크산틴 등, 및 이들 지방산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지방산 에스테르로서는 상기 카로테노이드류의 팔미토일에스테르, 미리스토일에스테르, 라우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크립토크산틴 및 그 지방산 에스테르가 체지방 저감 작용·중성 지방 저감 작용이 높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크립토크산틴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α-크립토크산틴, β-크립토크산틴 및 이들의 지방산 에스테르체나 구조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유도체도 포함된다. 지방산 에스테르체의 지방산 길이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예를 들면, 라우르산(C12), 미리스트산(C14), 팔미트산(C16), 스테아르산(C18) 등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크립토크산틴의 공급원으로서는, 감귤류인 것이 바람직하여, 생산량이 많고, 일본 고래(古來)의 과일인 온주귤(Citrus unshiu. Marc) 유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스핑고 지질이란, 스핑고신이라고 칭하는 탄소수 14 내지 24 정도로 이루어지는 아미노알콜 또는 이것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장쇄 아미노알콜과, 장쇄 지방산 등의 지방산이 아미드가 결합한 1군의 화합물을 말하고, 여기에 당류가 결합한 화합물이나, 인산기가 결합한 화합물 등도 포함된다. 지방산은 포화 지방산, 불포화 지방산 중 어느 것이라도 되며, 직쇄 또는 측쇄라도 되며, 1 이상의 하이드록실기가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아미노알콜의 하이드록실기에는, 당, 인산, 시알산, 콜린, 에탄올아민 등이 결합하고 있어도 된다. 당류로서는, 글루코스, 만노스, 갈락토스, 락토스 등이 결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글루코스가 결합하고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인산기가 결합한 것에서는, 인산기를 개재하여 이노시톨, 또한 당이 결합한 스핑고 지질도 포함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쇄 길이의 것이나 구조의 것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스핑고 지질이라고 불리는 모든 것이 포함된다. 또한, 그 유래는 천연물 유래라도 화학 합성에 의해 수득되는 종래 기지의 스핑고 지질 및 그 유도체라도 된다. 이러한 스핑고 지질은, 식품용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쌀, 밀, 우유, 옥수수, 비트, 곤약, 사과, 노랑느타리·말굽 버섯 등의 각종 버섯, 아세트산균 등 유래의 것이 입수 가능하기 때문에, 이들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감귤류 유래의 스핑고 지질, 특히 바람직하게는 온주귤 유래의 스핑고 지질이 바람직하다. 감귤류 유래의 스핑고 지질에는, 당을 포함하지 않는 유리형의 스핑고 지질이 많이 포함되기 때문에, 체지방 저감 및 중성 지방 저감 작용이 강하기 때문에 이들 유래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 조성물에 함유되는 플라보노이드 및/또는 그 유도체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헤스페리딘, 나린딘, 루틴 및 이들의 유도체인 α-글루코실화헤스페리딘, α-글루코실화나린딘, α-글루코실화루틴 및 헤스페리딘, 나린딘, 루틴의 아글리콘인 헤스페레틴, 나린게닌, 켈세틴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헤스페리딘, 그 유도체 또는 헤스페레틴이 체지방 저감 또는 중성 지방 저감 작용이 높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감귤류란, 귤과 등에 속하는 식물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요캉(Citrus iyo), 온주귤, 오렌지, 카보스(Citrus sphaerocarpa), 카와바타, 키슈귤(Citrus kinokuni), 키요미, 금귤(Citrus Fortunella), 그레이프 후루츠, 오렌지 자스민(Murraya paniculata), 삼보감(Citrus sulcata), 시콰사(Citrus depressa Hayata), 자바라(Citrus jabara), 스위티(oroblanco), 스다치(Citrus sudachi), 다이다이(Citrus. sinensis var. daidai), 타치바나(Citrus tachibana), 한라봉, 감하감귤, 핫사쿠(Citrus hassaku), 발렌시아 오렌지, 대왕밀감(Citrus grandis, Citrus maxima), 일향하(Citrus tamurana hort. ex T. Tanaka), 포멜로(Citrus maxima), 만다린(Citrus reticulata), 만다린 오렌지, 야쓰시로, 유자(Citrus junos), 라임(Citrus aurantifolia), 레몬(Citrus limon), 탱자(Poncirus trifoliate)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 조성물에 있어서는, 카로테노이드와 플라보노이드 및/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한은 그 비율에 관해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카로테노이드를 0.00001 내지 70%(질량비),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50%(질량비),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0%(질량비)로, 플라보노이드 및/또는 그 유도체를 0.01 내지 90%(질량비),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70%(질량비),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질량비)의 비율로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 조성물에 있어서는, 카로테노이드와 스핑고이드 염기와 또는 카로테노이드와 플라보노이드류 이외의 내장 지방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보고되어 있는 물질을 함유시켜도 된다. 그 경우의 배합량은 카로테노이드와 스핑고이드 지질 또는 카로테노이드 및 플라보노이드류 이외의 물질의 양으로서 0.01 내지 90%(질량비)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로테노이드 및 플라보노이드류 이외의 내장 지방 저감 효과를 갖는 물질로서는, 지금까지의 공지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ω3계 불포화 지방산, 후코크산틴, L-아라비노스, DHA, EPA, 캡사이신, L-카르니틴 등을 단독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경구 투여 조성물은, 경구로 섭취함으로써 내장 지방·피하 지방 등의 체지방, 트리글리세리드로 대표되는 중성 지방 등의 저감 작용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 조성물을 섭취하는 방법으로서는, 본 조성물을 단독으로 그대로 섭취해도 되고, 분말, 정제, 과립, 캡슐제, 소프트 캡슐제, 겔, 페이스트, 시럽, 현탁액, 유화액, 드링크제 등으로 가공하여 섭취해도 된다.
다음에, 상기한 체지방 저감 작용 및/또는 중성 지방 저감 작용을 갖는 경구 투여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그러한 제조 방법으로서는, 감귤류 식물을 착즙하고 그 잔사로부터, 카로테노이드와 스핑고 지질, 플라보노이드 및/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수득하는 방법, 감귤류 식물에 효소를 첨가하여 효소 처리하여, 카로테노이드와 스핑고 지질, 플라보노이드 및/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수득하는 방법, 및 감귤류 식물에 유기 용제를 첨가하여 당해 유기 용제 중에, 카로테노이드와, 스핑고 지질, 플라보노이드 및/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추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하, 순차적으로 이들의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추출 및 효소 처리용 원료로서 사용하는 감귤류 식물은, 감귤류 식물의 부위는 불문하지만, 이 중에서도 함유량이 많은 부위로서 과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귤류 식물의 과실은, 그대로라도 되며, 이들에 대해 갈아 으깨기, 파쇄, 분쇄, 가열, 탈수, 건조 등의 물리적 처리를 실시한 것이라도 된다. 이러한 처리를 실시하면 효소 처리 효율, 추출 효율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과실의 착즙 잔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실의 착즙 잔사는, 인라인 착즙기, 쵸퍼 헬퍼 착즙기, 브라운 착즙기 등에 의해 과실을 착즙한 후, 패들형 또는 스크류형의 피니셔 등으로 여과 또는 체별, 또는 원심 분리에 의해 과즙을 조제한 착즙 잔사를 모음으로써 조제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감귤류 식물의 착즙 잔사는, 착즙기에 의해 착즙한 후의 과즙을 원심 분리 처리하여 수득되는, 미세한 펄프분인 착즙 잔사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미세한 펄프분에는, 또한 크립토크산틴 및 스핑고 지질 또는 카로테노이드와 플라보노이드 및/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함유량이 높기 때문에, 바람직한 원료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 공정에 사용하는 유기 용제로서는, 원료인 감귤류 또는 그 가공품으로부터 체지방 저감 작용을 갖는 획분이 수득되고, 본 발명을 손상시키는 것이 아니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1종류의 용제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복수의 용제를 혼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그러한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콜류,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다가 알콜,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등의 에스테르류, 아세토니트릴,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클로로포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펜탄, 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벤젠, 톨루엔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에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피리딘류,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에테르류, 초임계 이산화탄소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본 발명에 있어서는 식품 용도에 사용하기 위해서, 안전성의 관점에서, 아세톤, 에탄올, 헥산,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유기 용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혼합물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유기 용제에 물이나 계면활성제 등의 첨가물을 첨가할 수도 있다.
추출에 사용하는 유기 용제의 양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추출물로부터 크립토크산틴 및 스핑고 지질을 추출하기에 충분한 양이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피추출물의 고형분 중량에 대해 0.5 내지 100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배가 양호하다. 추출의 온도는 사용하는 용제의 비점에도 의하지만, 예를 들면 에탄올을 사용한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0 내지 80℃가 양호하다. 추출 온도가 이 범위 이하이면 추출 효율이 저하되고, 또한 이 범위 이상이면 용제의 휘발을 초래하여, 더욱 에너지 사용량이 증가될 뿐이다. 추출 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추출 효율과 작업성에서 바람직하게는 10분 내지 24시간이 양호하다.
또한, 추출 조작은 1회만의 회분 조작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추출후의 잔사에 다시 신규 용제를 첨가하고, 추출 조작을 실시할 수도 있고, 추출 용제를 복수회 피추출물에 접촉시킬 수도 있다. 즉, 추출 조작으로서는, 회분 조작, 반연속 조작, 향류 타단계 접촉 조작 중 어느 방식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속슬렛 추출, 환류 추출 등 공지의 추출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추출후의 잔사의 분리 제거도 공지의 방법으로 실시하면 되며, 구체적으로는 흡인 여과, 필터 프레스, 실린더 프레스, 디캔터, 원심분리기, 여과원심기 등을 사용하면 양호하다. 또한, 계속해서 불순물류를 제거해도 된다. 불순물의 제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물 세정, 유기 용매 세정, 실리카 겔 칼럼이나 수지 칼럼, 역상 칼럼 등을 통과시키는 방법, 활성탄 처리, 극성이 상이한 용매에 의한 분배, 재결정법, 진공 증류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추출액은, 그 후, 알칼리 처리, 농축이나 칼럼 등에 의한 정제, 건조, 분말화, 담체, 유화제 등으로의 혼합 등의 처리를 함으로써, 모든 식품, 의약품, 사료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감귤류 식물의 효소 처리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효소는, 감귤류에 포함되는 유기물, 특히 세포벽 등을 구성하는 생체 고분자 등을 분해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아밀라제, 글루코아밀라제, 셀룰라제, 헤미셀룰라제, 펙티나제, 만나나제, 크실라나제, 프로테아제, 펩티다제, 리파제, 마세레이션(maceration) 엔자임(세포벽 붕괴 효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당질 가수분해 효소인 셀룰라제, 헤미셀룰라제, 펙티나제, 만나나제, 크실라나제, 마세레이션 엔자임이 스핑고 지질을 농축하는 효율이 높기 때문에 바람직한 효소이다. 첨가하는 효소제는, 이들의 정제 효소를 사용해도 좋고, 이들의 활성을 나타내는 미생물 균체나 배양물, 이들의 조정제물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시판 효소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펙티나제에는, 스미팀 PX[참조: 신니혼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스미팀 SPC[참조: 신니혼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펙티넥스 SRL[참조: 노보자임즈재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스미팀 PMAC[참조: 신니혼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헤미셀룰라제에는, 셀룰로신 GM5[참조: HBI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셀룰로신 HC[참조: HBI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셀룰라제에는, 셀룰라제 Y-NC[참조: 야쿠르트야쿠힌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엔티론 MCH[참조: 라쿠토우가세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셀룰라제 R10[참조: 야쿠르트야쿠힌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스미팀 CAP[참조: 신니혼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셀룰라제 TP-3[참조: 교와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프로테아제에는, 프로테아제 M[참조: 아마노엔자임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오리엔타제 20A[참조: HBI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첨가하는 효소제는, 이들 정제 효소를 사용해도 되고, 이들의 활성을 나타내는 미생물 균체나 배양물, 이들의 조성 생물을 사용해도 된다. 이들 효소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류 이상의 효소를 혼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첨가하는 효소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효소의 반응성에 따라서 첨가하면 된다. 예를 들면, 펙티나제를 사용한 경우라면, 착즙 잔사 100g에 대해 1 내지 100,000유니트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10,000유니트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효소를 첨가한 후, 교반 등에 의해 효소와 피추출물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효소 반응을 진행시킨다. 이 때의 반응 온도로서는, 효소가 실활되지 않고, 부패가 일어나기 어려운 조건, 또한 스핑고 지질과 카로테노이드 또는 플라보노이드 및 그 유도체가 상실되지 않는 조건하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온도는 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80℃,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70℃가 양호하다. 반응의 pH로서는 효소의 최적 조건하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으며, pH 2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pH 2.5 내지 8로 하는 것이 양호하다. 반응 시간은 사용하는 착즙 잔사와 효소의 양에 의존하지만, 통상적으로 1 내지 48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작업상 바람직하다. 반응시, 이 반응물을 교반하면서 반응을 실시해도 좋고, 정치 반응이라도 양호하다.
효소 처리 종료후, 효소 처리된 반응물 그대로를 사용해도 좋고, 얼마간의 가공을 실시한 것을 사용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반응물을 고액 분리한 잔사, 고액 분리한 잔사를 건조시킨 것, 고액 분리하지 않고 반응물 그대로를 건조시킨 것 등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효소 처리 반응물을 고액 분리하고, 추가로 물을 첨가한 후, 다시 고액 분리함으로써, 효소 처리로 생성한 당 등의 반응 생성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물 세정법을 사용하면, 불순물을 간단히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계속해서 불순물류를 제거해도 된다. 불순물의 제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물 세정·유기 용제 세정, 알칼리 처리 등의 화학 처리나 실리카 겔 칼럼이나 수지 칼럼, 역상 칼럼 등을 통과시키는 방법, 활성탄 처리, 극성이 다른 용매에 의한 분배, 재결정법, 진공증류법 등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수득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양한 기능성을 발휘하게 되지만, 경구로 섭취함으로써 그 중에서도 내장 지방·피하 지방 등의 체지방, 트리글리세리드로 대표되는 중성 지방 등의 저감 작용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섭취하는 방법으로서는, 본 조성물을 단독으로 그대로 섭취해도 되고, 분말, 정제, 과립, 캡슐제, 소프트 캡슐제, 겔, 페이스트, 시럽, 현탁액, 유화액, 드링크제 등으로 가공하여 섭취해도 된다. 섭취하는 경우의 섭취량의 목표는, 대상자의 연령·성별·체중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되지만, 통상, 성인의 경우, 1일당 투여량은, (1) 카로테노이드를 0.01mg 내지 1g 및, 스핑고 지질을 0.01mg 내지 10g, 또는, (2) 카로테노이드를 0.01mg 내지 1g, 및, 플라보노이드 및/또는 그 유도체를 0.01mg 내지 10g이다. 바람직한 투여량은, (1) 카로테노이드를 0.1mg 내지 100mg, 및, 스핑고 지질을 0.1mg 내지 1g, 또는, (2) 카로테노이드를 0.1mg 내지 100mg, 및, 플라보노이드 및/또는 그 유도체를 0.1mg 내지 1g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섭취하여, 발명의 효과가 수득되는 기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하지 않지만, 연간 섭취 일수가 1일 이상 365일 이하, 바람직하게는 14일 이상 365일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0일 이상 365일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대상은 그 효과가 발휘되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온혈 동물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포유류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발명은, 상기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음식품 및 의약품이다. 의약품으로서는, 주사액, 수액, 산제, 정제, 과립제, 캡슐제, 환제, 장용제, 현탁제, 시럽제, 내복액제, 트로키제, 유제, 외용액제, 습포제, 점비제, 점이제, 점안제, 흡입제, 연고제, 로션제, 좌제, 경장 영양제 등의 형태로 섭취할 수 있다. 이들은, 그 증상에 따라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함유량은, 0.1 내지 90%의 범위에서 적절히 결정하면 양호하지만, 상기한 1일당 섭취량의 기준을 섭취할 수 있도록 제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음식품이란, 일반 식품 외에, 특정 보건용 식품, 건강 식품, 기능성 식품, 의약 부외품 등 모든 식품 및/또는 음료가 포함된다. 당해 식품 및/또는 음료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상기 의약품적인 형태에 더하여, 빵, 우동, 메밀국수, 밥 등 주식이 되는 것, 치즈, 비엔나, 소세지, 햄, 어개 가공품 등의 식품류, 아이스크림, 쿠키, 케이크, 젤리, 푸딩, 캔디, 츄잉 검, 요구르트, 구미, 초콜렛, 비스켓 등의 과자류, 청량 음료수, 잼 등의 조미료류, 주류, 영양 드링크, 커피, 차, 우유, 과즙 음료, 청량 음료 등의 음료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함유량은, 0.1 내지 70%의 범위에서 적절히 결정하면 되지만, 상기한 1일당 섭취량의 기준을 섭취할 수 있도록 배합량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료로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예를 들면, 옥수수, 밀, 보리, 호밀 등의 곡류, 밀기울, 쌀겨 등의 쌀겨류, 콘글루텐밀, 콘잼밀 등의 박류, 탈지 분유, 훼이, 어분, 골분 등의 동물성 사료류, 맥주 효모 등의 효모류, 인산칼슘, 탄산칼슘 등의 칼슘류, 비타민류, 유지류, 아미노산류, 당류 등을 배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사료의 형태로서는, 펫푸드, 가축 사료, 양식어용 사료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조성물의 함유량은, 0.01 내지 20%의 범위에서 적절히 결정하면 되며, 1일당, 체중 1kg당 (1) 카로테노이드를 0.001mg 내지 100mg, 스핑고 지질을 0.01mg 내지 1g, 또는, (2) 카로테노이드를 0.001mg 내지 100mg, 플라보노이드 및/또는 그 유도체를 0.1mg 내지 1g 섭취할 수 있도록, 사료 원료 등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에 본 실험의 실시예를 기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의해 그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크립토크산틴의 측정은,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사용하였다. HPLC 장치로서, LC-10A[참조: 시마즈세사쿠쇼 제조]를 사용하고, ResolveC18(φ3.9×150mm, 워터즈사 제조) 칼럼을 접속하고, 메탄올을 등량 가한 시료를 도입하였다. 이동상에는, 메탄올:아세트산에틸=7:3, 칼럼 온도 30℃, 유속 1.0ml/min, 검출 파장 450nm으로 분석하였다.
스핑고 지질의 측정에는, InertsilSIL100A 칼럼[참조: 디엘사이언스사 제조]을 접속한 HPLC 장치 LC-10A를 사용하고, 광산란 검출기(500ELSD, ALLTECH사 제조)로 검출하였다. 이동상에는, 클로로포름과 클로로포름/메탄올(1/1)의 2액에 의한 선형 구배(linear gradient)를 사용하고, 유속 1.0ml/min, 37℃에서 측정하였다.
플라보노이드 및/또는 그 유도체의 함량의 측정은,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에 의해 실시하였다. 즉, HPLC 장치로서, LC-10A[참조: 시마즈세사쿠쇼 제조]를 사용하고, AsahipakODP-50(φ4.6×150mm, 아사히가세이고교사 제조) 칼럼을 접속하고, 0.1N NaOH에 용해시킨 시료를 증류수로 10배로 희석하여 도입하였다. 이동상에는, 물:아세토니트릴=8:2, 칼럼 온도 30℃, 유속 1.5ml/min, 검출 파장285nm으로 분석하였다.
실시예 1
온주귤을 인라인 착즙기로 착즙하고, 피니셔(0.5mm 스크린)로 여별한 과즙에 대해, 원심분리기(알파·라발 가부시키가이샤 BRPX417)에 의해 경원심 분리(2,500×g·분)를 실시하였다. 경원심 분리의 상청부에 대해, 동원심분리기에 의해 중원심 분리(4,000×g·분)를 실시하고, 침전부를 회수하였다. 그 착즙 잔사(귤 쥬스 미세 펄프, 수분율 85%) 8kg을 동결 건조시키고, 분쇄기로 분쇄한 분말 1.2kg 중에 에탄올 4.5L을 가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추출을 실시하였다. 여과하여 에탄올 획분을 회수하고, 증발기를 사용하여 에탄올을 증류 제거한 후, 300ml의 물을 가하여 교반한 후, 여과하여 수불용성 성분을 회수하고, 동일한 조작을 2회 반복하였다. 그 결과, 온주귤 추출물 10g이 수득되었다. 이 추출물 중에는, 크립토크산틴이 4중량%, 스핑고 지질이 20중량% 포함되어 있었다.
시험예 1-1
BMI가 25 내지 30인 중정도 비만 남성 26명(평균 연령 40.7세)에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크립토크산틴과 스핑고 지질을 포함하는 추출물을 유화제와 함께 혼합하여, 유화 제제를 제조하였다. 이 유화 제제를 쥬스로 가공하고, 매일 2개(추출물로서 12.5mg/일(β-크립토크산틴 0.5mg/일, 스핑고 지질 2.5mg/일))의 쥬스를 12주간 섭취하였다. 시험은, 각 군 13명으로 하고, 비교로서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쥬스(비교예 1-1)로서 이중맹검법으로 실시하였다. CT 스캔 촬영은 L4/L5 추간판 횡단부를 중심으로 실시하고, 내장 지방 계측 소프트 Fat Scan Ver3.0[참조: N2시스템사 제조]을 사용하여, 복강내 지방 면적, 피하 지방 면적, 전체 지방 면적을 계측하였다. 또한, 체중, 웨스트, 중성 지방에 관해서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내장 지방 면적, 피하 지방 면적, 전체 지방 면적, 체중, 웨스트, 중성 지방에 관해서, 비교예 1-1 또는 섭취 개시전에 대해 유의차가 확인되었다. 각각의 결과를 도 1,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에 도시한다. 명백하게, 내장 지방, 피하 지방 등의 체지방과 중성 지방에 관해서 저감 작용이 확인되었다. 또한, 체지방 저감의 또 다른 결과로서 체중과 웨스트에 관해서도 저감이 확인되었다.
시험예 1-2
2형 당뇨병 모델 동물로서 확립되어 있는 KK-Ay/TacJc1계의 암컷 마우스(6주령: 니혼쿠레아 가부시키가이샤)을 1군 6마리로 군 분류하고, β-크립토크산틴(시코쿠야시마야쿠힌 제조, 순도 95%)과 글루코실세라미드(유니티카 제조 곤약 세라미드, 순도 3%)를 고지방 사료에 각각, 0.2%와 4%의 비율로 섞고, 물과 함께 자유 섭취시켰다. 대조군으로서, 아무 것도 첨가하지 않은 고지방 사료(니혼쿠레아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CLEA Rodent Diet Quick Fat)(비교예 1-2), β-크립토크산틴만을 0.2% 첨가한 고지방 사료(비교예 1-3), 글루코실세라미드만을 4% 첨가한 고지방 사료(비교예 1-4)를 마우스에게 주고, 시험을 실시하였다.
투여는 4주간 실시하고, 투여전 및 투여후 7, 14, 21, 28일에 체중과 트리글리세리드 양을 측정하였다. 또한, 마우스를 투여 개시로부터 29일째에 도살하고, 내장 지방, 즉 복강의 백색 지방 조직을 채취하고 중량을 비교하였다. 각각의 결과를 도 7, 도 8, 도 9에 도시한다.
체중은, 시험예 1-2군에 있어서 7일째부터 비교예 1-2, 비교예 1-4에 비해 체중이 감소 경향에 있으며, 14, 21, 28일째는 유의적으로 감소되고 있었다(도 7). 트리글리세리드 양도 시험예 1-2에서는 21일째 이후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것이 확인되었다(도 8). 또한, 복강 지방 조직 중량은 비교예 1-2 및 비교예 1-4에 비해 시험예 1-2와 비교예 1-3에서는 유의적으로 저하되고 있었다. 또한, 시험예 1-2의 지방 조직 중량은, 비교예 1-3에 비해 유의적으로 적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도 9).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카로테노이드와 스핑고 지질을 동시에 배합함으로써, 단독보다도 상당히 강한 체지방 및 중성 지방의 저감 작용이 확인되며, 양 성분의 배합에 의해 저용량으로 안정성이 높은 경구 투여 조성물이 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온주귤로부터 과즙을 짠 후의 잔사(귤쥬스박, 수분율 약 90%) 800g에 식품 가공용의 펙티나제 효소제인 스미팀 PX(신니혼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펙티나제 5,000유니트/g, 아라바나제 90유니트/g) 1g과 셀룰라제/헤미셀룰라제 효소제인 셀룰라제 Y-NC(야쿠르트야쿠힌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셀룰라제 30,000유니트/g) 1g을 첨가하고, 잘 섞어서 실온에서 8시간 동안 정치 반응을 실시하였다. 이 반응액을 원심 분리하여 상청을 제거한 후, 물을 첨가하여 교반하고, 다시 원심 분리에 의해 상청을 제거하였다. 이 침전물을 동결 건조기에 의해 건조시키고, 믹서형 분쇄기로 분쇄·분말화하여 본 발명의 경구 투여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본 분말 중에는 β-크립토크산틴(프리체 환산)이 0.5질량%, β-카로텐이 0.05질량%, 헤스페리딘이 15질량% 포함되어 있었다. 이 조성물을 2형 당뇨병 자연 발증 마우스에 경구 투여하여, 내장 지방인 백색 지방 세포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시험예 2-1
2형 당뇨병 모델 동물로서 확립되어 있는 KK-Ay/TacJc1계의 암컷 마우스(6주령: 니혼쿠레아 가부시키가이샤)을 1군 6마리로 군 분류하고, 실시예 1에서 수득된 조성물을 고지방 사료에 4%의 비율로 섞고, 물과 함께 자유 섭취시켰다. 대조군에는 고지방의 사료만을 섭취시켰다.
투여는 4주간 실시하고, 투여전 및 투여후 7, 14, 21, 28일에 체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0에 도시하였다. 14일부터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 체중이 저감 경향에 있으며, 21, 28일째는 유의적으로 저감되었다.
시험예 2-2
시험예 1-1에서 사용한 마우스의 체중의 계측과 동시에 채혈을 실시하여, 혈중의 트리글리세리드의 양을 트리글리세리드 E-테스트와코[참조: 와코쥰야쿠 제조]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1에 도시하였다.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 21, 28일에 있어서 트리글리세리드의 값이 유의적으로 저감되었다.
시험예 2-3
시험예 2-1에서 사용한 마우스를 투여 개시로부터 29일째에 도살하고, 내장 지방, 즉 복강의 백색 지방 조직을 채취하고, 질량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도 12에 도시하였다.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 지방 조직의 질량이 유의적으로 저감되었다.
실시예 3
시험예 2-1에서 나타낸 고지방의 사료에, 시판 β-크립토크산틴[참조: 엑스트라신테스사 제조]을 0.02질량% 및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참조: 토요세이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을 0.6질량% 함유시키고, 본 발명의 경구 투여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시험예 3-1
실시예 3에서 수득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시험예 2-1과 같은 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도 13에 도시하였다.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 21일부터 체중의 저감 경향이 나타나며, 투여 28일째에는 유의적으로 저감되었다.
시험예 3-2
시험예 3-1에서 사용한 마우스의 체중의 계측과 동시에 채혈을 실시하고, 혈중의 트리글리세리드의 양을 시험예 2-2와 같은 방법에 의해 계측하였다. 그 결과를 도 14에 도시하였다.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 21, 28일에 있어서 트리글리세리드의 값이 유의적으로 저감되었다.
시험예 3-3
시험예 3-1에서 사용한 마우스를 투여 개시로부터 29일째에 도살하고, 시험예 2-3과 같이 복강의 백색 지방 조직을 채취하고, 질량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도 15에 도시하였다.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 지방 조직의 질량이 유의적으로 저감되었다.
비교예 2
이미 내장 지방 저감 작용이 알려져 있는 후코크산틴을 함유하는 미역 추출물을, 시험예 2-1에 함유되어 있는 β-크립토크산틴 농도 0.02질량%와 동등해지도록 상기의 고지방 사료에 섞어 비교예 2로 하고, 시험예 2-1, 2-2, 2-3과 같은 시험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각각의 결과를, 도 16, 도 17, 도 18에 도시하였다. 체중 변화에 관해서는, 21일부터 체중의 저감 경향에 있으며, 28일에는 유의적으로 저감되었다(도 16). 혈중 트리글리세리드 양에 관해서는 대조군에 비해에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도 17). 29일후의 복강의 백색 지방 조직의 질량에 관해서는, 대조군에 비해 내장 지방의 질량이 유의적으로 저감되었다(도 18).
이상의 결과로부터, 후코크산틴을 함유하는 미역 추출물보다도, β-크립토크산틴과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체중, 혈중 트리글리세리드 양, 복강의 백색 지방 조직의 질량의 저감 효과가 강한 것이 명확해졌다.
비교예 3
시판 β-크립토크산틴[참조: 엑스트라신테스사 제조]을 0.02질량% 함유하도록 고지방의 사료를 조정하여 비교예 3으로 하고, 시험예 2-1, 2-2, 2-3과 같은 시험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각각의 결과를, 도 19, 도 20, 도 21에 도시하였다. 체중 변화에 관해서는, 대조군에 비해 28일째는 유의적으로 저감되었다(도 19). 혈중 트리글리세리드 양에 관해서는 대조군에 비해 21, 28일째는 유의적으로 저감되었다(도 20). 29일후의 복강의 백색 지방 조직의 질량에 관해서는,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 지방 조직의 질량이 유의적으로 저감되었다(도 21).
이상의 결과로부터, β-크립토크산틴 단독의 작용보다도, β-크립토크산틴과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을 병용하는 작용은 체중, 혈중 트리글리세리드 양, 복강의 백색 지방 조직의 질량의 저감 효과가 강한 것이 명확해졌다.
비교예 4
시판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참조: 토요세이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을 0.6질량% 함유하도록 고지방의 사료를 조정하여 비교예 4로 하고, 시험예 2-1, 2-2, 2-3과 같은 시험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각각의 결과를, 도 22, 도 23, 도 24에 도시하였다. 체중 변화에 관해서는, 투여군과 대조군에 유의적인 차는 확인되지 않았다(도 22). 혈중 트리글리세리드 양에 관해서는 투여군과 대조군에 유의적인 차는 확인되지 않았다(도 23). 29일후의 복강의 백색 지방 조직의 질량에 관해서는, 투여군과 시험군간에 내장 지방의 저감은 확인되지 않았다(도 24).
이상의 결과로부터,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의 단독 작용보다도, β-크립토크산틴과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을 병용하는 작용은 체중, 혈중 트리글리세리드 양, 복강의 백색 지방 조직의 질량의 저감 효과가 강한 것이 명백해졌다.
실시예 4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분말 조성물을 이하의 원료와 배합 비율로 잘 혼합한 후에 성형하고, 오븐에서 구워 귤 플레이버를 갖는 비스켓을 정합하였다.
원료
분말 조성물 5%
소맥분 50%
설탕 20%
액란 5%
버터 18.5%
탄산칼슘 1%
식염 0.5%
실시예 5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분말 조성물을 이하의 원료와의 배합 비율로 잘 혼합한 후,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원료
분말 조성물 40%
난각 칼슘 5%
결정 셀룰로스 10%
환원 맥아당 43%
자당 지방산에스테르 2%
실시예 6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분말 조성물을 이하의 원료와의 배합 비율로 잘 혼합하여, 양돈용 사료를 제조하였다. 단, 비타민·미네랄 혼합물은 1kg 중에 질산티아민 1.5mg, 리보플라빈 10.5mg, 염산피리독신 0.75mg, 니코틴산아미드 9mg, D-판토텐산칼슘 16.4mg, 염산콜린 86.4mg, 비타민 A 10,000IU, 비타민 D 32,000IU, 아세트산토코페롤 10mg, Mn 50mg, Fe 50mg, Cu 10mg, Zn 50mg, I 1mg을 포함한다.
원료
분말 조성물 2%
옥수수 65%
대두박 16.5%
밀기울 15.2%
탄산칼슘 0.6%
인산2석회 0.05%
염산나트륨 0.3%
비타민·미네랄 혼합물 0.35%
실시예 7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분말 조성물 100g에 에탄올 1L을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여과하여 에탄올 가용 성분(β-크립토크산틴 등)을 추출·분리하였다. 이 획분을 증발기로 에탄올을 증류 제거·농축하여, 온주귤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 추출물 중에는 β-크립토크산틴(프리체 환산)이 5%, β-카로텐이 0.5% 포함되어 있었다.
이 추출물과 이하의 원료를 잘 혼합하여 100ml으로 하고, 드링크제를 제조하였다.
원료
온주귤 추출물 10mg
포도당 가당 액당 500mg
니코틴산아미드 20mg
비타민 B1 질산산 5mg
비타민 B2 인산에스테르 5mg
비타민 B6 5mg
무수 카페인 50mg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 5mg
실시예 8
실시예 7에서 제조한 귤 추출물과 이하의 재료를 잘 혼합하여 100ml으로 하고, 귤 풍미의 젤리를 제조하였다.
원료
온주귤 추출물 20mg
그래뉼당 20g
젤라틴 4g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 10mg
실시예 9
실시예 7에서 제조한 온주귤 추출물과 이하의 재료를 잘 혼합하여, β-크립토크산틴을 강화한 저칼로리 아이스크림을 제조하였다.
원료
온주귤 추출물 20mg
두부 80g
우유 30ml
난황 25g
옥수수전분 20g
환원수엿 10g
수크랄로스 40mg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 20mg
β-크립토크산틴 2mg
바닐라 에센스 0.01mg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확하다.
본 출원은, 2007년 12월 28일 출원의 일본 특허출원(특원2007-339460), 및, 2008년 2월 1일 출원의 일본 특허출원(특원2008-022784)에 기초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도입된다.
본 발명은, 체지방 저감 작용이나 중성 지방 저감 작용 등에 효과가 있으며, 식품, 의약품, 사료로서 섭취할 수 있는 카로테노이드와 스핑고 지질 또는 카로테노이드와 플라보노이드 및/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하여 안정성이 높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Claims (16)

  1. 카로테노이드와 스핑고 지질을 포함하는 체지방 저감 작용 및/또는 중성 지방 저감 작용을 갖는 경구 투여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카로테노이드가 크립토크산틴인, 경구 투여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카로테노이드 및/또는 스핑고 지질이 감귤류 유래인,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감귤류가 온주귤인, 조성물.
  5. 감귤류 식물을 착즙하고, 그 잔사로부터 카로테노이드 및/또는 스핑고 지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수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
  6. 감귤류 식물을 효소 처리하여 카로테노이드 및/또는 스핑고 지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수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
  7. 감귤류 식물과 유기 용제를 접촉시키는 것 및, 당해 유기 용제 중에 카로테노이드 및/또는 스핑고 지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
  8. 카로테노이드와, 플라보노이드 및/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체지방 저감 작용 및/또는 중성 지방 저감 작용을 갖는 경구 투여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카로테노이드가 크립토크산틴 및/또는 그 지방산 에스테르인, 체지방 저감 작용 및/또는 중성 지방 저감 작용을 갖는 경구 투여 조성물.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플라보노이드 및/또는 그 유도체가 헤스페리딘, 그 유도체 및 헤스페레틴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체지방 저감 작용 및/또는 중성 지방 저감 작용을 갖는 경구 투여 조성물.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로테노이드와, 플라보노이드 및/또는 그 유도체가 감귤류 유래인, 체지방 저감 작용 및/또는 중성 지방 저감 작용을 갖는 경구 투여 조성물.
  12. 감귤류 식물을 착즙하는 것 및, 그 잔사로부터, 카로테노이드와, 플라보노이드 및/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수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8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체지방 저감 작용 및/또는 중성 지방 저감 작용을 갖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
  13. 감귤류 식물을 효소 처리하여, 카로테노이드와, 플라보노이드 및/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수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8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체지방 저감 작용 및/또는 중성 지방 저감 작용을 갖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
  14. 감귤류 식물과 유기 용제를 접촉시키는 것 및, 당해 유기 용제 중에, 카로테노이드와, 플라보노이드 및/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8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체지방 저감 작용 및/또는 중성 지방 저감 작용을 갖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
  15. 제1항 내지 제4항 또는 제8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식품.
  16. 제1항 내지 제4항 또는 제8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약품 또는 사료.
KR1020107014211A 2007-12-28 2008-08-28 경구 투여 조성물 KR1014499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339460 2007-12-28
JP2007339460A JP5577019B2 (ja) 2007-12-28 2007-12-28 経口投与組成物
JP2008022784A JP5830214B2 (ja) 2008-02-01 2008-02-01 経口投与組成物
JPJP-P-2008-022784 2008-02-01
PCT/JP2008/065466 WO2009084275A1 (ja) 2007-12-28 2008-08-28 経口投与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624A true KR20100102624A (ko) 2010-09-24
KR101449976B1 KR101449976B1 (ko) 2014-10-14

Family

ID=40824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4211A KR101449976B1 (ko) 2007-12-28 2008-08-28 경구 투여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100273727A1 (ko)
EP (1) EP2226071B1 (ko)
KR (1) KR101449976B1 (ko)
CN (1) CN101909610B (ko)
WO (1) WO20090842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64330B2 (ja) * 2010-05-24 2014-07-30 ハウスウェルネスフーズ株式会社 メタボリックシンドローム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組成物
CN101947215A (zh) * 2010-06-21 2011-01-19 澳门大学 陈皮中黄酮类化合物在制备抑制血管新生药物中的应用
GB201120772D0 (en) 2011-12-02 2012-01-11 Ip Science Ltd Cocoa-based food products
JP5749300B2 (ja) * 2013-07-30 2015-07-15 日本甜菜製糖株式会社 粉末セラミドの製造方法
EP3277269A4 (en) * 2015-04-02 2018-11-14 Omniactive Health Technologies Ltd. Method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rdiometabolic syndrome and compositions used therein
TWI736755B (zh) * 2017-04-03 2021-08-21 大江生醫股份有限公司 包含植物萃取物的組成物及其減少紫外線所致皮膚損傷之用途
WO2020092905A1 (en) * 2018-11-01 2020-05-07 The Board Of Supervisors Of Louisiana State University And Agricultural And Mechanical College Synergy for increasing energy expenditure and insulin sensitivity
CN109480114A (zh) * 2018-12-18 2019-03-19 山东汉欧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预防宠物肥胖的食品及制备方法
CN109938301B (zh) * 2019-03-19 2022-02-01 重庆市中药研究院 一种具有降血糖作用的发酵柚皮口含片及其制备方法
KR102279861B1 (ko) 2019-04-26 2021-07-20 박재규 청귤류로부터 5-o-디메틸노빌레틴의 추출/분리 및 만성 알코올성 지방간 손상보호 조성물
CN111011642A (zh) * 2019-12-25 2020-04-17 昭通市众生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无抗生态饲料及其生产工艺
CN111631324A (zh) * 2020-06-29 2020-09-08 长沙昆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柑桔幼果提取物的蛋鸡饲料添加剂及其应用
IT202100020369A1 (it) * 2021-07-30 2023-01-30 Wavemed S R L Composizione somministrabile per via orale e parenterale, per la prevenzione o trattamento della cellulit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21287A3 (en) * 1987-12-18 1990-11-22 City of Hope Inhibition of lipogenesis
JP3359298B2 (ja) * 1998-05-06 2002-12-24 株式会社愛媛柑橘資源開発研究所 かんきつ果汁由来のカロチノイド高含有粉末の製造方法
JP3756438B2 (ja) 2001-03-02 2006-03-15 花王株式会社 容器詰飲料
US8148431B2 (en) * 2002-10-25 2012-04-03 Kemin Health, L.C. Osteogenesis promoter containing β-cryptoxanthin as the active ingredient
JP2006325602A (ja) * 2002-10-25 2006-12-07 Ehime Inryo:Kk β−クリプトキサンチンを有効成分とする骨形成促進剤
GB0314624D0 (en) * 2003-06-23 2003-07-30 Advanced Bionutrition Europ Lt Inflammatory disease treatment
CN1956711B (zh) * 2004-05-20 2010-06-09 爱科来株式会社 过氧化物酶体增殖物激活受体(ppar)活化剂以及使用了该活化剂的药品、补充剂、功能性食品及食品添加剂
JP2006083151A (ja) * 2004-09-16 2006-03-30 Oriza Yuka Kk 骨粗鬆症予防、改善用組成物
JP2006089452A (ja) * 2004-09-27 2006-04-06 Oriza Yuka Kk 美白・美容用組成物
JP4845363B2 (ja) * 2004-10-01 2011-12-28 ユニチカ株式会社 経口投与組成物及び美白剤
JP4799895B2 (ja) * 2004-12-15 2011-10-26 電源開発株式会社 カロチノイド色素、スフィンゴ糖脂質、ユビキノンq−10の生産方法
WO2006068041A1 (ja) * 2004-12-20 2006-06-29 Okayasu Shoten Co., Ltd. 体内脂肪の分解促進作用を有する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食品又は食品配合剤
JP5613953B2 (ja) * 2005-02-08 2014-10-29 学校法人中村学園 温州ミカンパルプ含有機能性材料の用途
JP2007091693A (ja) * 2005-09-30 2007-04-12 Oriza Yuka Kk 保湿用組成物
JP2007153845A (ja) * 2005-12-07 2007-06-21 Yamaha Motor Co Ltd 脂肪蓄積抑制剤
JP2007223914A (ja) * 2006-02-21 2007-09-06 Unitika Ltd 経口投与組成物
NZ601174A (en) * 2006-04-07 2013-10-25 Megmilk Snow Brand Co Ltd Fat accumulation inhibi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26071A1 (en) 2010-09-08
WO2009084275A1 (ja) 2009-07-09
EP2226071A4 (en) 2011-06-01
EP2226071B1 (en) 2016-04-13
CN101909610B (zh) 2013-12-04
US20100273727A1 (en) 2010-10-28
CN101909610A (zh) 2010-12-08
US20120282358A1 (en) 2012-11-08
KR101449976B1 (ko) 201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9976B1 (ko) 경구 투여 조성물
EP1332759B1 (en) Pharmaceutical and nutritional compositions containing a di- or oligosaccharide as insulin secretion promoter
JP5830214B2 (ja) 経口投与組成物
US20090258111A1 (en) Highly bioavailable oral administration composition of cryptoxanthin
AU2017337936B2 (en) Novel Lactobacillus Sakei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U2013308395A1 (en) Extraction method
JP2007223914A (ja) 経口投与組成物
JP5924592B2 (ja) 抗疲労用組成物
JP4401659B2 (ja) インスリン分泌促進剤
JP5713332B2 (ja) 抗疲労用組成物
JP5248023B2 (ja) カルシウム吸収促進組成物
JP5925751B2 (ja) 経口投与組成物
JP2006104090A (ja) 抗骨粗鬆症組成物
JP5577019B2 (ja) 経口投与組成物
JP5192215B2 (ja) 免疫賦活組成物
WO2007034958A1 (ja) 穀類由来の成分を有効成分とする血管新生阻害の作用を有する組成物
JP6113092B2 (ja) 経口投与組成物
JP2010202553A (ja) レチノイン酸受容体(rar)活性化剤
JP2013059349A (ja) カルシウム吸収促進組成物
KR20140021499A (ko) 불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 비만용 조성물
US20120315345A1 (en) Functional food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anti-obesity comprising capsanthin and fatty-acyl ester of capsanthin having anti-adipogenic activity
KR20140136126A (ko) 대황 추출물 또는 대황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변비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