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0748A - 가공선용 텐션 밸런서 및 가공선용 텐션 밸런서 설치보조장치 - Google Patents

가공선용 텐션 밸런서 및 가공선용 텐션 밸런서 설치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0748A
KR20100100748A KR1020107006317A KR20107006317A KR20100100748A KR 20100100748 A KR20100100748 A KR 20100100748A KR 1020107006317 A KR1020107006317 A KR 1020107006317A KR 20107006317 A KR20107006317 A KR 20107006317A KR 20100100748 A KR20100100748 A KR 20100100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balancer
pair
yoke
casing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6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3307B1 (ko
Inventor
오사무 사사
Original Assignee
닛폰 하츠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 하츠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 하츠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0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0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6Compensation means for variation in lengt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Warping, Beaming, Or Leasing (AREA)

Abstract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저렴한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 및 가공선용 텐션 밸런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구된 양단부, 슬릿(30) 및 한 쌍의 제1 개구(40)를 구비하는 고정통(10)과, 요크(20)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통은 일단부가 텐션 밸런서(100)의 케이싱(110)에 맞닿게 설치되고, 상기 요크는 상기 텐션 밸런서의 섀클형 연결부(101)의 한 쌍의 제1 관통공(102) 및 상기 한 쌍의 제1 개구 각각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1).

Description

가공선용 텐션 밸런서 및 가공선용 텐션 밸런서 설치보조장치{TENSION BALANCER FOR AERIAL CABLE AND TENSION BALANCER INSTALLATION AUXILIARY DEVICE FOR AERIAL CABLE}
본 발명은, 가공선(架空線), 특히 트롤리선(trolley line), 조가선(吊架線, messenger wire), 보조조가선 등의 가공전차선에 항상 적절한 장력을 부여하는 텐션 밸런서(tension balancer) 및 상기 텐션 밸런서를 가공선에 설치하기 위한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공전차선(架空電車線)에는 전철의 안전주행을 유지하기 위해서 항상 적절한 장력을 부여하여 해당 가공전차선이 느슨해지거나 절단 등을 방지한다. 이는 기온 변동에 따른 신장이나 지주(支柱) 등이 기울어져서 쓰러지는 이유로 인해 가공전차선의 장력이 변화되면 사고 등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일반적으로 가공전차선에는 용수철식의 텐션 밸런서나 도르래식 텐션 밸런서가 설치되지만, 간단하고 취급이 용이하여 최근에는 용수철식 텐션 밸런서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용수철식 텐션 밸런서에는 코일 용수철식 텐션 밸런서나 가스 용수철식 텐션 밸런서가 있다(특허문헌 1, 2 참조).
여기서, 텐션 밸런서를 가공전차선에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일반적인 텐션 밸런서의 설치 작업을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어떠한 텐션 밸런서(100)를 가공전차선에 설치할 때에도,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메라(장선기, 張線器)(200), 요크(201) 및 와이어(202)를 이용하여 미리 중공로드(rod)(113)를 소정 길이 인출하고, 용수철을 압축시킨 상태로 설치한다. 가공전차선의 설치를 위해서, 텐션 밸런서(100)의 중공로드(113) 첨단에는 섀클(shackle)형 연결부(문고리라고도 한다.)(101)가 구비되고, 섀클형 연결부(101)에는 요크(201)를 삽입하는 요크 관통공(102)이 형성되어 있다. 요크 관통공(102)에 요크(201)를 삽입하고, 요크(201)에 형성된 시메라 와이어 삽입공(203)에 와이어(202)를 삽입하여, 시메라(200)로 와이어(202)를 감아 올려 중공로드(113)를 인출한다. 그리고 섀클형 연결부(101)에 가공전차선을 계지함으로써 텐션 밸런서(100)가 설치된다.
텐션 밸런서(100)를 가공전차선에 설치하는 것은, 통상 열차의 운행이 적은 심야의 열차 통과 시간대를 피하여 단시간에 이루어진다. 또한, 높은 곳에서의 작업이므로 작업원의 부담이 크고, 특히 시메라(200) 등으로 와이어(202)를 감아 올리는 작업은 작업원의 부담이 크다. 한편, 공장 출하 시 미리 중공로드(113)가 소정 길이 인출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면, 이로 인해 작업원의 부담이 경감되어 작업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특허문헌 3은 텐션 밸런서의 고정장치(1)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고정장치(1)는, 특허문헌 3의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반원형 당접부재(2)와 상기 당접부재(2)의 반대측을 누르는 누름 밴드(5)에 의해서 텐션 밸런서(100)에 고정시키고, 텐션 밸런서(100)의 설치 후에 해당 고정장치(1)를 분리시키기 위해서, 고정 요크(4) 양단의 볼트와 한 쌍의 항압간(抗壓杆)(3)을 이어(ear)(2a)에 고정하고 있는 총 4개의 볼트를 분리해야 하므로(특허문헌 3 참조) 작업효율이 그다지 개선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는 회수하여 재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매우 고가이고, 또한, 사용자는 다음 회수 시까지 고정장치를 보관해야 하는 필요가 있으며, 특히, 신간선(新幹線)의 가공전차선용 고정장치는 전체 길이가 500㎜ 이상으로 크기 때문에 보관장소의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특허문헌1]특개제2008-114850호공보 [특허문헌2]특개제2000-255288호공보 [특허문헌3]특개제2004-42780호공보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면, 저렴한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 및 가공선용 텐션 밸런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개구된 양단부와 슬릿 및 한 쌍의 제1 개구를 구비하는 고정통과 요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통은 일 단부가 텐션 밸런서의 케이싱에 맞닿게 설치되며, 상기 요크는 상기 텐션 밸런서의 섀클형 연결부의 한 쌍의 제1 관통공 및 상기 한 쌍의 제1 개구 각각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개구된 양단부와 가공선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슬릿 및 2n(여기서, n은 자연수) 쌍의 제2 개구를 구비하는 고정통과, n 쌍의 제2 관통공을 구비하는 요크와,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통은 일단부가 텐션 밸런서의 케이싱에 맞닿게 설치되고, 상기 요크는 상기 텐션 밸런서의 섀클형 연결부의 한 쌍의 제1 관통공 각각을 관통하여 장착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2n 쌍의 제2 개구 각각 및 상기 n 쌍의 제2 관통공 각각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싱(casing)과, 가공선에 계지하기 위한 섀클형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는 로드(rod)와, 고정통 및 요크를 포함한 설치보조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섀클형 연결부는 한 쌍의 제1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통은 개구된 양단부와 상기 가공선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슬릿과 한 쌍의 제1 개구를 구비하고 일단부가 상기 케이싱에 맞닿게 설치되며, 상기 요크는 상기 로드의 상기 한 쌍의 제1 관통공 및 상기 한 쌍의 제1 개구 각각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밸런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싱과, 가공선에 계지하기 위한 섀클형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 안에 설치되는 로드와, 고정통과 요크 및 고정부재를 포함한 설치보조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섀클형 연결부는 한 쌍의 제1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통은 개구된 양단과 슬릿과 2n(n은 자연수) 쌍의 제2 개구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케이싱에 맞닿게 설치되고, 상기 요크는 n 쌍의 제2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로드의 상기 한 쌍의 제1 관통공 각각을 관통하여 장착되며, 상기 로드는 장착된 상기 요크의 상기 n 쌍의 제2 관통공 각각이 상기 2n 쌍의 제2 개구 각각과 같은 축상에 위치 하도록 상기 케이싱에서 제1 길이로 인출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2n 쌍의 제2 개구 및 상기 n 쌍의 제2 관통공 각각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밸런서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저렴하게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 및 가공선용 텐션 밸런서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를 아래 쪽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의 평면 단면도, 도 4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의 첨단 측에서 본 개략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의 고정통(10)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1)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1)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1)의 고정통(10)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1)의 고정통(10)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1)의 고정통(10)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일반적인 텐션 밸런서의 설치 시 작업을 간략하게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실시예들 사이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실시예)
[설치보조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를 아래 쪽에서 본 개략도이다. 또한,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의 개략 단면도로써, 도 3은 평면 단면도이고, 도 4는 수직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의 첨단 측에서 본 개략 평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의 고정통(10)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텐션 밸런서(tension balancer)용 설치보조장치(1)는 고정통(10) 및 요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텐션 밸런서 설치보조장치(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통(10)이 케이싱(casing)(110)에 맞닿도록 설치된다. 또한, 요크(20)는 텐션 밸런서(100)의 중통(111, 112) 및 로드(113)가 케이싱(110)에서 인출된 상태로, 고정통(10)이 형성된 한 쌍의 제1 개구(40) 및 로드(113) 첨단에 형성된 섀클(shackle)형 연결부(101)의 한 쌍의 제1 관통공(102)을 관통하는 상태로 장착된다. 요크(20)가 제1 개구(40) 및 제1 관통공(102)을 관통하고 있는 상태는 도 3에 도시하였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요크(20)가 제1 개구(40)를 관통하고 있는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고정통(10)은 양단이 개구된 통 형상의 부재로, 소정 폭을 갖는 슬릿(30)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통(10)이 장착되는 텐션 밸런서(100)는, 원통형의 복수 개의 통이 텔레스코픽(telescopic) 형태로 설치된 텐션 밸런서(100)를 형성하기 위해서, 고정통(10) 역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통(10)의 지름은 장착되는 텐션 밸런서(100)의 케이싱(110) 지름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는, 고정통(10)을 텐션 밸런서(100)에 장착했을 경우, 개구된 일단부가 케이싱(110)에 맞닿고 케이싱(110)에서 탈락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고정통(10)의 형상은 장착되는 텐션 밸런서(10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통이 이용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통(10)의 일단부가 케이싱(110)에 맞닿게 텐션 밸런서(100)에서 탈락되지 않도록 하는, 텐션 밸런서(100)의 형상과 고정통(10)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고정통(10)이 어떠한 형상을 갖더라도 상술한 소정 폭을 갖는 슬릿(30)을 형성하여 이용할 수 있다.
슬릿(30)은 텐션 밸런서(100)를 가공선(架空線)에 계지하여 설치가 종료되는 단계에서, 고정통(10)을 가공선에서 떼어내기 위한 슬릿이다. 따라서, 슬릿의 폭(W)은 텐션 밸런서(100)가 설치되는 가공선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며 가공선의 폭에 따라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텐션 밸런서(100)의 장력 등을 표시하기 위해서, 눈금판(目盛板)(121)이나 지침판(指針板) 등이 지지암(支持arm)(120)을 개입시켜 장착되어 있는 텐션 밸런서(100)의 경우, 이러한 지지(120)이 개입된 크기를 고려하여 슬릿 폭(W)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통(10)의 개구된 일단부에는 소정 형상의 제1 개구(40)가 고정통(10)의 직경 방향을 따라 서로 동축 상에서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이 배치된다. 제1 개구(40)는 제조된 텐션 밸런서(100)의 설치 작업을 경감하기 위해서, 텐션 밸런서(100)의 중공로드(이하, '로드'라고 한다)(113)를 소정 길이 인출하고 계지하기 위한 요크(20)를 삽입하는 개구이다. 따라서, 제1 개구(40)의 형상은 요크(2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개구(40)의 크기는 요크(20)를 장착하기 쉽도록 약간 크게 형성되며, 특히 수평 방향으로 큰 유격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텐션 밸런서(100)의 설치 시에 로드(113)에는 가공선의 중량 등이 걸린다. 따라서, 요크(20)의 수평 방향에의 접동능력을 확보하고, 설치 작업을 하기 쉽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텐션 밸런서(100)에 상기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1)를 설치할 때, 요크(20)의 수평 방향 접동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제1 개구(40)는 로드(113)가 제1 길이로 케이싱(110)에서 인출되었을 때, 로드(113)에 부속되는 섀클형 연결부재(101)에 개구된 제1 관통공(102)이 위치하는 지점에 대응되는 위치로 고정통(10)에 설치된다. 즉, 제1 개구(40)의 케이싱측 단부는, 고정통(10)이 케이싱(110)에 맞닿는 일단부로부터, 로드(113)가 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관통공(102)의 케이싱측(110) 단부가 위치하는 케이싱(110)으로부터의 길이에 출하 시 요구되는 로드(113)의 인출 길이(이 길이가 제1 길이에 상당한다)를 가산한 길이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개설된다. 따라서, 출하 시 상기 소정 길이 로드(113)를 인출하면, 제1 개구(40)와 제1 관통공(102)이 거의 일렬로 위치하게 되어, 요크(20)를 제1 개구(40) 및 제1 관통공(102) 각각을 관통시켜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덧붙여 제1 개구(40)가 개설되는 위치는 요구되는 로드(113)의 인출 길이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통(10)의 슬릿(30)에 대향하는 위치에 아이너트(eyenut)(50)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이너트(50)는 작업 시 고정통(10)이 낙하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정통(10)을 가공선에 이어지는 와이어 등을 계지하는 부재이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크(20)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고정통(10)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와이어 등의 요크계류부재(60)를 설치하여 와이어의 일단을 요크(20)에 형성된 관통공(21)에 계착(繫着)할 수 있다. 요크(20)에는 시메라(장선기, 張線器) 와이어 삽입공이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것도 있는데, 그 경우에는 시메라 와이어 삽입공을 이용할 수 있다.
요크(20)는 텐션 밸런서(100)의 로드(113)에 형성된 섀클형 연결부(101)의 한 쌍의 제1 관통공(102) 및 고정통(10)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개구(40)를 관통시키고, 텐션 밸런서(100)에서 인출된 로드(113)를 소정 위치에 계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텐션 밸런서(100) 설치 작업은 시메라(200), 요크(201), 와이어(202) 등을 이용하고, 섀클형 연결부(101)의 제1 관통공(102)에 요크(201)를 관통시키고, 요크의 양단에 와이어(202)를 걸어서 시메라(200)로 견인하는 방식으로 설치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의 요크(20)는 이러한 기존의 요크(201)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설치 작업 시 요크(201)를 사용하기 위해서, 섀클형 연결부(101)에는 한 쌍의 제1 관통공(10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1)는 텐션 밸런서(100)에 새로운 가공을 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요크(20)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관통공(21)에 볼트(70) 등을 삽입하여 너트(71)로 정지시키고, 폭 방향으로의 요크(20)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통(10) 및 요크(20)는 SS400 또는 STK400 등의 구조용 강관을 이용하여 형성하고, 녹 방지를 위해서 표면을 도금처리 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고정통(10)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출된 로드(113)에 따라 텐션 밸런서의 용수철의 반발력 등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조용 강관 대신, 아연 도금 강관을 이용하는 경우 도금처리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통(10)의 형상은 원형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통(10)의 일단부가 케이싱(110)에 맞닿고 텐션 밸런서(100)에서 탈락되지 않도록 하는 크기를 갖고, 예를 들어, 타원형이나, 삼각기둥, 사각기둥 등의 다각 기둥 형태도 가능하다.
[설치보조장치의 장착 및 제거]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제1 실시예에 따른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1)의 장착 및 제거에 대해 설명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텐션 밸런서용 보조장치(1)는 텐션 밸런서(100)의 공장 출하 시에 장착된다.
텐션 밸런서(100)의 설치 작업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가공선에 필요한 장력에 대응되도록 소정 길이만 미리 로드(113)를 케이싱(110)에서 인출하고, 그 상태에서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1)에 의해서 고정된다.
우선, 완성된 텐션 밸런서(100)의 첨단측에서 고정통(10)을 장착한다. 다음으로, 섀클형 연결부(101)의 첨단의 가공선 계지공(103)에 와이어를 설치하고, 와이어를 기계적으로 견인하여 로드(113)를 소정 길이 케이싱(110)에서 인출한다. 이 때, 텐션 밸런서(100)에 설치된 용수철 등의 탄성수단은 압축된 상태이다. 고정통(10)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개구(40)는 로드(113)가 소정 길이 케이싱(110)에서 인출되었을 때, 섀클형 연결부(101)의 한 쌍의 제1 관통공(102)과 대략 수평 위치가 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로드(113)를 소정 길이 케이싱(113)에서 인출하면, 제1 개구(40)와 제1 관통공(102)의 4개는 대략 일렬로 정렬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요크(20)를 상기 4개를 관통하도록 삽입한다. 견인을 중지하면, 로드(113)는 텐션 밸런서(100) 내에 설치된 탄성수단의 반발력으로 케이싱(110) 방향으로 끌어당겨져서 되돌려진다. 요크(20)가 제1 개구(40) 및 제1 관통공(102) 각각의 케이싱(110) 측 단부에 맞닿으면서 로드(113)의 복귀가 정지하게 된다. 와이어를 가공선 계지공(103)으로부터 떼어내면, 로드(113)가 소정 길이 인출된 상태로 텐션 밸런서(100)를 출하할 수 있다.
한편, 텐션 밸런서(100)를 가공선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우선, 텐션 밸런서(100)의 후단부에 섀클형 연결부재 등의 고정부재를 개입시키고, 텐션 밸런서(100)를 지주에 설치한다. 다음으로, 요크(20)에 와이어(202)를 접속하여, 시메라(200)로 로드(113)를 견인하고, 가공선에 설치한다. 설치된 텐션 밸런서(100)의 로드(113)에는 가공선의 중량 등이 걸리고, 로드(113)는 가공선 측에 견인된다. 더불어, 제1 관통공(102)도 가공선 측으로 이동하고, 요크(20)는 제1 개구(40)의 케이싱 측 단부와 맞닿는 부분이 개방된다. 와이어를 제거하고, 요크(20)를 떼어낸다. 고정통(10)이 이동자재가 된다. 따라서, 고정통(10)을 가공선 측으로 이동시키고 슬릿(30)을 이용하여 고정통(10)을 가공선에서 떼어낸다. 이와 같은 조작에 의해 간단하게 본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1)을 떼어낼 수 있다. 특히 텐션 밸런서(100)의 설치 작업은 시메라(200) 등을 사용하여 로드(113)를 필요 길이 이상으로 케이싱에서 인출하여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미리 필요 길이 정도로 로드(113)를 인출하여 두면 현장의 작업을 큰 폭으로 경감시킬 수 있다.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1)는 간단한 구조로 현장에서의 설치 작업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1)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가 설치된 텐션 밸런서(100)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장에서의 설치 작업의 부담을 큰 폭으로 경감할 수 있으며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차량 운행이 적은 야간에 차량 운행 사이에 틈을 내 작업하는 가공전차선용 텐션 밸런서에 큰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1)는 간단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기존의 보조장치에 비해 제조 비용을 큰 폭으로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요크(20)는 일반적인 시메라(200)에 사용 하는 요크(2001)을 유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 상승 억제에 유리하다. 또한, 고정통(10) 역시 일반적인 강관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점들로 인해 비용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러한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를 갖춘 텐션 밸런서의 비용 상승 역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텐션 밸런서(100)는 낮은 비용(Low cost)으로 설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텐션 밸런서라고 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1)는 1개의 요크(20)로 소정 길이 케이싱(110)에서 인출된 로드(113)를 고정시킨다. 고정된 로드(113)에는 케이싱(110)에 복귀시키는 힘이 작용한다. 이 때, 요크(20)는 한 쌍의 제1 개구(40)의 케이싱(110) 측 단부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한 쌍의 제1 개구(40)의 케이싱(110) 측 단부에는 힘이 집중된다. 여기서, 이러한 힘을 분산시키기 위해서, 제1 개구(40)의 쌍의 수를 변화시키고, 요크(20)를 제1 개구(40)의 쌍의 수에 따라 설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1)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1)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크(20)를 2개 설치하여 제1 개구(40)의 쌍 수를 2 쌍으로 형선한 실시예이다. 이하,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1)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 한다. 덧붙여, 이하 제2 실시예의 설명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1)는 고정통(10)에 2 쌍의 제1 개구(40a, 40b)가 형성된다. 또한, 텐션 밸런서(100)의 섀클형 연결부(102)에 형성되는 제1 관통공(102) 역시 2 쌍 설치된다. 따라서,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1)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텐션 밸런서(100)에 대응하는 섀클형 연결부(102)를 설치하는 필요가 있다. 또한, 요크(20A, 20B)가 설치된다.
2 쌍의 제1 개구(40a, 40b)는 수평 방향의 중심축이 동일한 한편, 고정통(10)의 직경방향에 각각의 중심축이 평행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2 쌍의 개구 각각의 형상 및 크기는 기본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 쌍 중 한 쌍의 형상을 다른 한 쌍과 다른 것으로 하거나, 또는, 한 쌍의 크기를 다른 한 쌍과 다른 크기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 겨우, 섀클형 연결부(102)의 2 쌍의 제1 관통공(102) 역시 각각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다.
한편, 2개의 요크(20A, 20B)는 각각의 제1 개구(40a, 40b)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된다. 각각의 요크(20A, 20B)는 관통공(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요크(20A, 20B)에 요크계류부재(60)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덧붙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1)의 장착 및 제거 방법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1)를 장착하면,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1)를 구비하는 텐션 밸런서(100)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1) 및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1)를 구비하는 텐션 밸런서(100)는 2 쌍의 제1 개구(40a, 40b)의 케이싱(110) 측 단부로 각각의 요크(20A, 20B)의 이동을 계지하므로, 로드(113)를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고정통(10)의 파손에 대해서, 제1 실시예에 따른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1)보다 강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중량의 경감을 위해서 고정통(10)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으며, 또는 고정통(10)에 노치부나 관통개구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두 개의 요크(20A, 20B)가 구비되므로, 수송 시 하나의 요크가 탈락되더라도, 확실하게 로드(113)를 인출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제3의 실시예)
또한, 한 쌍의 제1 개구(40)의 케이싱(110) 측 단부에 걸리는 힘을 분산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따른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1)의 개략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1)는 제1 실시예와는 달리, 고정통(10)에 제1 개구(40)를 갖지 않는다. 대신, 고정통(10)에 2n(여기서, n은 자연수) 쌍의 제2 개구(41)가 형성된다. 그리고 요크(20)의 계지를 볼트(80)와 너트(81)로 수행한다. 도 8에서 U자 볼트(80)로 너트(81)를 계지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텐션 밸런서의 후단부는 개구되고 케이싱(110) 내에 저판이 설치되어 U자 볼트 및 너트로 저판의 이동이 기재된다. 따라서, 이러한 U자 볼트 및 너트를 유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으며, U자 볼트(80) 및 너트(81)를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제2 개구(41)는 직경방향에 동축 상에 대응되어 배치된다. 또한, 요크(20)에는 2n(여기서, n은 자연수) 쌍의 제2 개구(41) 사이의 간격에 맞추어 설치된 관통공(22)이 n(여기서, n은 자연수) 쌍 설치된다.
섀클형 연결부(102)에 요크(20)를 장착한 후, 고정통(10)을 텐션 밸런서(100)에 장착한다. 요크(20)에 와이어를 걸쳐서 기계적으로 로드(113)를 견인하여 제2 개구(41) 및 관통공(22)이 일렬로 배열된 상태에서, U자 볼트를 제2 개구(41) 및 관통공(22)을 관통하도록 장착하고 너트(81)로 체결한다. 견인을 중지하고 와이어를 제거하면, 로드(113)는 케이싱(110) 측에 견인되지만, 2n 쌍의 제2 개구로 이동이 제한된다. 4개의 제2 개구(41)에 의해 힘이 분산되고 있기 때문에 고정통(10)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통(10)에 큰 개구를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고정통(10) 자체의 강도도 확보할 수 있다.
덧붙여서, 설치하는 U자 볼트(80)의 개수를 늘리는 것으로, 보다 견고하게 계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1)에, 본 실시예에 따른 U자 볼트(80) 및 너트(81)를 부가하여 고정을 더욱 견고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변형 실시예)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및 제3의 실시예에 따른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1)의 변형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1)의 고정통(10)의 변형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1)는 가공전차선에 설치되는 텐션 밸런서(100)에 이용된다. 가공전차선용의 텐션 밸런서는 요구되는 장력이 크기 때문에 텐션 밸런서(100)의 중량이 매우 무겁다. 특히, 신간선(新幹線)의 가공전선용 텐션 밸런서(100)는 전체 길이가 750㎜ 이상이고 중량도 20㎏을 넘는다. 따라서,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1)의 중량이 무거우면, 작업효율을 악화시킨다. 그리고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1)의 전 중량은 고정통(10)의 중량에 좌우된다. 여기서, 고정통(10)을 경량화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고정통(10)에는 매우 큰 힘이 걸리기 때문에 강도를 확보해야 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통(10)에 노치부(11)를 형성할 수 있다. 요크(20)를 지지하는 제1 개구(40)에 영향이 적은 상부에 노치부(11)를 형성함으로써 중량을 절감할 수 있다. 다만, 노치부(11)의 설치 위치는 상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설치 개수 역시 1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위치에 적절하게 실질적으로 다양한 개수의 노치부(11)를 형성하여 중량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도 10은 고정통(10)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이다. 본 변형 실시예는 고정통(10)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오토바이 등에 이용되는 머플러와 같이, 고정통(10)에 다수의 관통개구(12)를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는 복수의 관통개구(12)를 일렬로 복수 열 설치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11은 고정통(10)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는 동일 형상의 복수의 관통개구(12)를 메쉬(mesh) 형태가 되도록 설치한 예이다. 이러한 설치 방법에 따라 고정통(10)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1: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
10: 고정통
20: 요크
30: 슬릿
40: 제1 개구
41: 제2 개구
100: 텐션 밸런서(tension balancer)
101: 섀클형(shackle) 연결부
102: 제1 관통공
110: 케이싱
113: 로드(rod)

Claims (16)

  1. 개구된 양단부, 슬릿 및 한 쌍의 제1 개구를 구비하는 고정통과,
    요크,
    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통은 일단부가 텐션 밸런서의 케이싱에 맞닿게 설치되고,
    상기 요크는 상기 텐션 밸런서의 섀클(shackle)형 연결부의 한 쌍의 제1 관통공 및 상기 한 쌍의 제1 개구 각각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
  2. 개구된 양단부, 가공선(架空線)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슬릿 및 2n(여기서, n은 자연수) 쌍의 제2 개구를 구비하는 고정통과,
    n 쌍의 제2 관통공을 구비하는 요크와,
    고정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통은 일단부가 텐션 밸런서의 케이싱에 맞닿게 설치되고,
    상기 요크는 상기 텐션 밸런서의 섀클형 연결부의 한 쌍의 제1 관통공을 각각 관통하여 장착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2n 쌍의 제2 개구 각각 및 상기 n 쌍의 제2 관통공 각각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통은 상기 케이싱에서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상기 한 쌍의 제1 개구를 포함하는 복수 쌍의 개구군(開口群)을 구비하고,
    상기 요크는 개구군에 대응되는 복수 개가 설치되고,
    각각의 요크가 상기 텐션 밸런서의 섀클형 연결부의 복수 쌍의 제1 관통공 각각 및 상기 복수 쌍의 개구군 각각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통은 단면 형상이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통은 1이상의 노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통은 1이상의 관통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통은 아이너트부(eyenut)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통은 상기 요크를 상기 고정통에 계류하기 위한 1 이상의 계류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밸런서용 설치보조장치.
  9. 케이싱(casing)과,
    가공선에 계지하기 위한 섀클형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는 로드(rod)와,
    고정통 및 요크를 포함한 설치보조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섀클형 연결부는 한 쌍의 제1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통은 개구된 양단부와 상기 가공선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슬릿과 한 쌍의 제1 개구를 구비하고, 일단부가 상기 케이싱에 맞닿게 설치되며,
    상기 요크는 상기 로드의 상기 한 쌍의 제1 관통공 및 상기 한 쌍의 제1 개구 각각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밸런서.
  10. 케이싱과,
    가공선에 계지하기 위한 섀클형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는 로드와,
    고정통, 요크 및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설치보조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섀클형 연결부는 한 쌍의 제1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통은 개구된 양단과 슬릿과 2n(여기서, n은 자연수) 쌍의 제2 개구를 구비하고, 일단부가 상기 케이싱에 맞닿게 설치되고,
    상기 요크는 n 쌍의 제2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로드의 상기 한 쌍의 제1 관통공 각각을 관통하여 장착되고,
    상기 로드는 장착된 상기 요크의 상기 n 쌍의 제2 관통공 각각이 상기 2n 쌍의 제2 개구 각각과 같은 축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싱에서 제1 길이로 인출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2n 쌍의 제2 개구 및 상기 n 쌍의 제2 관통공 각각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밸런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섀클형 연결부재는 복수 쌍의 상기 제1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통은 상기 케이싱에서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상기 한 쌍의 제1 개구를 포함한 복수 쌍의 개구군을 구비하고,
    상기 요크는 복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요크 각각이 상기 로드의 상기 복수 쌍의 제1 관통공 및 상기 복수 쌍의 개구군 각각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밸런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통은 단면 형상이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밸런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통은 1이상의 노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밸런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통은 1이상의 관통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밸런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통은 아이너트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밸런서.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통은 상기 요크를 상기 고정통에 계류하기 위한 1이상의 계류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밸런서.
KR1020107006317A 2008-12-29 2009-10-15 가공선용 텐션 밸런서 및 가공선용 텐션 밸런서 설치보조장치 KR1012033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335731 2008-12-29
JP2008335731A JP4861398B2 (ja) 2008-12-29 2008-12-29 架空線用テンションバランサ及び架空線用テンションバランサ設置補助装置
PCT/JP2009/067862 WO2010076859A1 (ja) 2008-12-29 2009-10-15 架空線用テンションバランサ及び架空線用テンションバランサ設置補助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748A true KR20100100748A (ko) 2010-09-15
KR101203307B1 KR101203307B1 (ko) 2012-11-20

Family

ID=42309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6317A KR101203307B1 (ko) 2008-12-29 2009-10-15 가공선용 텐션 밸런서 및 가공선용 텐션 밸런서 설치보조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92649B2 (ko)
JP (1) JP4861398B2 (ko)
KR (1) KR101203307B1 (ko)
CN (1) CN101918240B (ko)
WO (1) WO20100768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28239B2 (ja) * 2007-12-06 2012-09-19 東北電力株式会社 テンションバランサー
JP5203051B2 (ja) * 2008-06-05 2013-06-05 日本発條株式会社 架空線用テンションバランサ装置およびその潤滑油飛散防止装置
JP5036063B2 (ja) * 2008-06-10 2012-09-26 日本発條株式会社 架空線用テンションバランサ装置および架空線用テンションバランサ防水カバー
KR102049134B1 (ko) * 2012-09-25 2019-11-26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가공선용 텐션 밸런서
US9504211B2 (en) * 2013-03-15 2016-11-29 Specialty Enterprises, Llc Planar linkage, methods of decoupling, mitigating shock and resonance, and controlling agricultural spray booms mounted on ground vehicles
ES2554054B1 (es) * 2014-06-12 2016-12-30 Sic Lazaro, S.L. Contrapeso para tensar el cable de una catenaria en una línea ferroviaria
USD859110S1 (en) * 2017-02-10 2019-09-10 Nagaki Seiki Co., Ltd. Wire-tensioning device for live-wire separating tool
USD855427S1 (en) * 2017-02-10 2019-08-06 Nagaki Seiki Co., Ltd. Wire-tensioning device for live-wire separating tool
USD937648S1 (en) * 2019-09-03 2021-12-07 Michael John Daniels Rotating tool attachment
CN117691528B (zh) * 2024-02-02 2024-04-12 国网山东省电力公司菏泽市定陶区供电公司 一种用于双排电缆线安装的电缆线束紧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666A (en) * 1892-08-30 Safety attachment for electric conducting-wires
JP3477038B2 (ja) * 1997-08-06 2003-12-10 株式会社電業 架空線用テンションバランサ
JP4087518B2 (ja) * 1998-11-25 2008-05-21 株式会社電業 架空線用テンションバランサ
JP4335994B2 (ja) * 1999-03-10 2009-09-30 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ガスばね式テンションバランサ
JP3590626B2 (ja) * 2002-07-11 2004-11-17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電車線用テンションバランサの固定装置
CN201009766Y (zh) * 2007-03-27 2008-01-23 史尧 并体式金属线索张力补偿器
JP4462634B2 (ja) * 2007-06-20 2010-05-12 生 西村 架空線用テンションバランサ
JP4596569B2 (ja) * 2007-12-26 2010-12-08 日本発條株式会社 架空線用テンションバラ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61398B2 (ja) 2012-01-25
CN101918240A (zh) 2010-12-15
WO2010076859A1 (ja) 2010-07-08
CN101918240B (zh) 2014-02-19
US8492649B2 (en) 2013-07-23
KR101203307B1 (ko) 2012-11-20
JP2010155577A (ja) 2010-07-15
US20110253443A1 (en) 201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3307B1 (ko) 가공선용 텐션 밸런서 및 가공선용 텐션 밸런서 설치보조장치
US9021644B2 (en) Method for replacing sloped cables, and temporary hanger for replacing sloped cables
US10690268B2 (en) Support and guiding apparatus for feeder lines for excavation devices
JP2011241633A (ja) Pc構築物の施工方法およびpc構築物の施工用金具
CN104459922A (zh) 地滑轮自动准直装置及准直方法
JP3044343B2 (ja) シュータを備えたケーブル受具
JP2012251318A (ja) 鉄塔の腕金メンテナンス方法
CN200985258Y (zh) 可调节式牵引装置
CN210259667U (zh) 一种汽车固定装置
KR100195654B1 (ko) 오일 냉각계의 튜브 다발 위치 전환장치
CN212609074U (zh) 一种能伸缩的压缩机底撬吊耳装置
CN215974631U (zh) 一种起重机吊具电缆的敷设装置、起重机
JP5105525B2 (ja) 電車線引止め装置
KR101401039B1 (ko) 플랜지 정렬 장치 및 플랜지 체결 방법
US10544011B2 (en) Hoisting frame for overweight lifting
CN216530468U (zh) 一种防滑组件及防滑型防振锤
JP2016103870A (ja) 架空地線用架線金具取替・延線兼用工具
IE86824B1 (en) Cable support bracket, cable assembly and attachment method
JP3232775U (ja) 引留装置取替用工具
CN204287566U (zh) 地滑轮自动准直装置
KR20190030949A (ko) 행거 케이블의 꼬임 방지장치
CN107769142B (zh) 一种输电线路防风偏拉索的拉力释放装置
CN108502757B (zh) 一种用于大型桥式吊车的主卷钢丝绳防缠绕装置
CN219587238U (zh) 一种可移动的钢绞线固定装置
CN215529472U (zh) 一种桥式起重机用防护电气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