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0949A - 행거 케이블의 꼬임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행거 케이블의 꼬임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0949A
KR20190030949A KR1020170118633A KR20170118633A KR20190030949A KR 20190030949 A KR20190030949 A KR 20190030949A KR 1020170118633 A KR1020170118633 A KR 1020170118633A KR 20170118633 A KR20170118633 A KR 20170118633A KR 20190030949 A KR20190030949 A KR 20190030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cable
power communication
communication cab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2512B1 (ko
Inventor
황인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18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512B1/ko
Publication of KR20190030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항만 크레인의 행거에 고정된 케이블과 케이블을 탄력적으로 연결하여 케이블간의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케이블의 움직임에 의한 설비와 케이블간의 엉킴이나 케이블과 케이블간의 꼬임을 방지하도록, 트롤리의 행거와 행거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와이어와 상기 행거에 의해 지지되는 전력통신케이블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부, 및 상기 각 고정부 사이에 설치되어 탄력적으로 신축되어 상기 전력통신케이블과 상기 연결와이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를 포함하는 행거 케이블의 꼬임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행거 케이블의 꼬임 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TWIST OF HANGER CABLE}
항만 크레인의 행거와 행거 사이에 배치된 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하는 장치를 개시한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원료 및 연료는 선박으로 이송되어 항만 크레인으로 하역 작업을 한다. 하역 작업 시 크레인의 운전실과 하역 바게트가 부설된 트롤리가 반복하여 왕복 이동을 한다. 상기 트롤리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행거가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행거에는 크레인의 운전실이나 트롤리에 전원공급 및 통신을 위한 케이블 또는 전선이 고정된다.
상기 트롤리에 설치되는 전력통신케이블은 상기 행거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행거의 이동에 따라 펼쳐지거나 접히면서 움직이게 된다.
상기 트롤리가 고속으로 운행하면서 원료 및 연료를 담은 상기 하역 바게트를 이송한다. 상기 트롤리의 이동에 따라 하부의 행거들도 이동하게 된다. 상기 행거의 이동과 동시에 행거에 고정된 전력통신케이블도 움직이게 된다. 상기 행거의 고속 이동으로 상기 전력통신케이블에 큰 충격이 가해진다.
또한, 상기 행거와 행거 사이에는 이들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와이어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와이어는 탄성와이어와 스틸와이어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연결와이어는 행거의 주행 시 행거 사이의 완충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와이어의 설치로 상기 전력통신케이블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상기 행거의 고속 주행 시 상기 전력통신케이블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외부 진동 또는 바람에 의해 전력통신케이블이나 상기 연결와이어가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행거와 행거 사이에서 하부에 배치된 상기 전력통신케이블이 상부로 튀어 올라 상부에 배치된 상기 연결와이어와 서로 엉켜서 꼬일 수 있다.
상기 전력통신케이블은 상기 행거와 행거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기 때문에 전력통신케이블 간에도 꼬임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연결와이어를 이루는 상기 탄성와이어와 스틸와이어도 서로 꼬이게 되어 상기 행거의 주행을 방해할 수 있다. 상기 스틸와이어 및 탄성와이어가 상부로 튀어 오르면서 트롤리 설비와 엉킬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의 꼬임은 케이블 자체를 끊어지게 하거나 케이블의 피복이 손상되어 상기 트롤리의 작동을 멈추게 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과 행거와 같은 트롤리 설비가 서로 엉키면서 설비의 파손이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의 꼬임으로 인한 설비의 파손은 결국 하역작업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여 하역작업의 작업성 및 생산성을 저해할 수 있다. 상기 트롤리를 포함하는 하역장비는 고공에 위치하기 때문에 케이블의 손상으로 인한 유지 및 보수 작업이 매우 어렵다. 케이블의 꼬임으로 손상된 케이블 교체 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항만 크레인의 행거에 고정된 케이블과 케이블을 탄력적으로 연결하여 케이블간의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케이블의 움직임에 의한 설비와 케이블간의 엉킴이나 케이블과 케이블간의 꼬임을 방지하는 행거 케이블의 꼬임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행거 케이블의 꼬임 방지장치는, 트롤리의 행거와 행거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와이어와 상기 행거에 의해 지지되는 전력통신케이블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부, 및 상기 각 고정부 사이에 설치되어 탄력적으로 신축되어 상기 전력통신케이블과 상기 연결와이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는 양 단이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고정부 사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신축 가능한 탄성체 로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는 양 단이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압축 탄성력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는 양 단이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복수개의 링크 동작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는 신축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와이어는 상기 행거의 사이에서 높이 차를 가지며 각각 설치되는 탄성와이어와 스틸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와이어와 스틸와이어 사이에 탄력적으로 신축되는 상기 간격유지부가 설치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전력통신케이블은 상기 행거의 사이에서 높이 차를 가지며 적어도 상하 2단 이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전력통신케이블과 전력통신케이블 사이에 탄력적으로 신축되는 상기 간격유지부가 설치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하 배치된 각 단에서 측방향으로 나란히 구비된 복수의 상기 전력통신케이블을 하나로 고정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케이블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및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고정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력통신케이블을 감싸는 케이블 보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는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간격유지부의 양 단에 연결되는 고리형 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는 내측에 각각의 상기 전력통신케이블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고정홈이 구비된 구조일 수 있다.
본 장치에 따르면, 항만 크레인의 하역 작업 중 발생하는 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하여 설비사고를 막아줄 수 있다. 설비와의 케이블 꼬임 및 케이블 간의 꼬임으로 발생하는 설비파손 및 케이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항만 크레인의 하역 작업 시 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블의 꼬임으로 인한 설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항만의 하역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역작업의 능률이 향상되어 작업비용 및 선박의 수송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행거 케이블의 꼬임 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행거 케이블의 꼬임 방지장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간격유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간격유지부의 또 다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행거 케이블의 꼬임 방지장치가 와이어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또 다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고정부에 연결되는 간격유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행거 케이블의 꼬임 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행거 케이블의 꼬임 방지장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만 크레인의 트롤리 행거(2)와 행거(2)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와이어(3)과 상기 행거(2)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전력통신케이블(4) 사이에 설치되어 케이블간의 꼬임을 방지하는 행거 케이블의 꼬임 방지장치(1)를 개시한다.
상기 행거 케이블의 꼬임 방지장치(1)는, 트롤리의 행거(2)와 행거(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와이어(3)와 상기 행거(2)에 의해 지지되는 전력통신케이블(4)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부(10), 및 상기 각 고정부(10) 사이에 설치되어 탄력적으로 신축되어 상기 전력통신케이블(4)과 상기 연결와이어(3)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20)는 상기 연결와이어(3)과 전력통신케이블(4) 사이에 배치되어 케이블간의 간격을 신축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20)는 전력통신케이블(4)과 전력통신케이블(4) 사이에 배치되어 케이블간의 간격을 신축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20)는 높이 차를 가지면서 설치되는 상기 연결와이어(3)과 전력통신케이블(4) 사이에 배치되어 하부쪽 전력통신케이블(4)이 상부로 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간격유지부(20)가 상하로 배치된 연결와이어(3)과 전력통신케이블(4)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킴으로써 전력통신케이블(4)이 튀어 올라 상부의 연결와이어(3)과 엉키거나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와이어(3)이 튀어 올라 행거(2) 및 주변설비와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력통신케이블(4)은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력통신케이블(4)과 전력통신케이블(4) 사이에 상기 간격유지부(20)가 설치되어 서로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20)가 전력통신케이블(4)과 전력통신케이블(4) 사이에 설치되어 신축 가능한 상태로 서로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의 전력통신케이블(4)이 상부로 튀어 올라 상부의 전력통신케이블(4)과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력통신케이블(4)은 상기 행거(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행거(2)에는 높이 차를 두고 복수의 브라켓(5)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5)에 상기 전력통신케이블(4)이 올려져 고정된다. 상기 전력통신케이블(4)의 고정을 위하여 전력통신케이블(4) 상부에 탄성부재(6)와 클램프(7)가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전력통신케이블(4)은 상기 브라켓(5)에 올려진 상태로 상기 클램프(7)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행거(2)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상기 연결와이어(3)은 상기 행거(2)의 사이에서 높이 차를 가지며 각각 설치되는 탄성와이어(3A)과 스틸와이어(3B)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와이어(3A)과 스틸와이어(3B) 사이에 탄력적으로 신축되는 상기 간격유지부(20)가 설치되는 구조이다.
상기 탄성와이어(3A)과 스틸와이어(3B)은 행거(2)의 주행 시 행거(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와이어(3A)과 스틸와이어(3B)은 상기 전력통신케이블(4)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탄성와이어(3A)과 상기 스틸와이어(3B)은 서로 높이 차를 가지고 설치되기 때문에 하부의 스틸와이어(3B)이 상부로 튀어 올라 탄성와이어(3A)과 엉킬 수 있다. 상기 탄성와이어(3A)과 상기 스틸와이어(3B) 사이에 설치된 상기 간격유지부(20)가 서로의 엉킴을 막아줄 수 있다.
상기 전력통신케이블(4)은 상기 행거(2)의 사이에서 높이 차를 가지며 적어도 상하 2단 이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전력통신케이블(4)과 전력통신케이블(4) 사이에 탄력적으로 신축되는 상기 간격유지부(20)가 설치되는 구조일 수 있다.
즉, 상기 전력통신케이블(4)이 상기 행거(2)의 사이에서 3단으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전력통신케이블(4)과 전력통신케이블(4) 및 전력통신케이블(4)의 각 사이에 상기 간격유지부(20)가 설치된다. 상기 전력통신케이블(4)과 상기 전력통신케이블(4) 사이에 설치된 상기 간격유지부(20)가 서로의 꼬임을 막아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10)는 상하 배치된 각 단에서 측방향으로 나란히 구비된 복수의 상기 전력통신케이블(4)을 하나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0)는 복수개가 배치되는 전력통신케이블(4)을 상하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고정할 수 있다. 하나의 고정부(10)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전력통신케이블(4)을 하나로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10)는 상기 케이블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 및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를 고정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0)는 케이블을 중심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케이스(11) 및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케이스(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 사이에 상기 탄성와이어(3A)과 스틸와이어(3B) 및 전력통신케이블(4)이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 사이에 케이블이 고정된 상태로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0)는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을 감싸는 케이블 보호부재(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보호부재(30)는 케이블과 직접 접촉되어 케이블의 피복 손상을 막아준다. 상기 케이블 보호부재(30)는 루버 스펀지와 같은 탄성체로 제작된다.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는 그 내측에 설치되는 상기 케이블 보호부재(30)를 통해 케이블을 보다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는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간격유지부(20)의 양 단부가 연결되는 고리형 볼트(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1) 및 하부 케이스(12)의 판면 중앙에는 체결홀(10a)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 케이스(11) 및 하부 케이스의 체결홀(10a)에 상기 고리형 볼트(40)가 나사 결합된다.
상기 상부 케이스(11) 및 하부 케이스(12)에 고정된 상기 고리형 볼트(40)를 통해 상기 간격유지부(2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20)의 양 단이 각각 상기 고리형 볼트(4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유지부(20)는 양 단이 상기 고정부(10)에 연결되어 고정부(10) 사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신축 가능한 탄성체 로프(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 로프(21)의 양 단이 상기 고리형 볼트(40)의 고리에 연결 설치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간격유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격유지부(20)는 양 단이 상기 고정부(10)에 연결되어 압축 탄성력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코일 스프링(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20)가 코일 스프링(22)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코일 스프링(22)이 상기 고정부(10)와 고정부(10) 사이에 설치되어 케이블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코일 스프링(22)의 양 단이 상기 고리형 볼트(40)에 연결 설치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22)은 상기 케이블의 움직임에 따라 늘어나거나 축소되면서 케이블과 케이블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간격유지부의 또 다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격유지부(20)는 양 단이 상기 고정부(10)에 연결되어 복수개의 링크(23a) 동작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는 신축링크(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20)가 신축링크(23)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신축링크(23)가 상기 고정부(10)와 고정부(10) 사이에 설치되어 케이블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신축링크(23)의 양 단이 상기 고리형 볼트(40)에 연결 설치된다.
상기 신축링크(23)는 상기 케이블의 움직임에 따라 링크(23a)가 접히거나 펼쳐지면서 케이블과 케이블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행거 케이블의 꼬임 방지장치가 와이어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또 다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고정부에 연결되는 간격유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행거 케이블의 꼬임 방지장치의 간격유지부(20)는 복수개의 전력통신케이블(4)을 고정하여 전력통신케이블(4)이 상부로 튀어 올라 또 다른 전력통신케이블(4)이나 설비와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행거(2)와 행거(2) 사이에서 지지되는 복수개의 전력통신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0)는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 사이에 복수개의 전력통신케이블(4)을 배치한 후,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를 서로 조립함으로써 전력통신케이블(4)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20)는 상기 행거(2)와 행거(2) 사이에 설치되는 와이어(8)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20)는 양 단에 설치되어 고리형 볼트(40)에 체결되기 위한 후크(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24)는 상기 간격유지부(20)의 양 단에 설치되어 일측 후크(24)는 상기 고정부(10)의 상부 케이스(11)에 연결될 수 있다. 타측 후크(15)는 상기 와이어(8)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15)는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고리형 볼트(40)에 연결되거나 상기 하부 케이스(12)의 고리형 볼트(4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20)는 일정 길이의 에라스틱(고무줄)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부(10)와 와이어(8)를 탄력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20)는 상기 고정부(10)와 와이어(8)의 간격을 유지하게 하여 하부의 전력통신케이블(4)이 상부로 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는 내측에 상기 전력통신케이블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고정홈(11a, 12a)이 구비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의 결합으로 상기 고정홈(11a, 12a)은 전력통신케이블(4)이 고정되는 홀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는 볼트(13) 및 너트(14)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1) 또는 하부 케이스(12)의 중앙부에 고리형 볼트(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리형 볼트(40)를 통해 상기 간격유지부(20)가 연결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항만 크레인의 하역 작업 중 발생하는 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하여 설비사고를 막아줄 수 있다. 설비와의 케이블 꼬임 및 케이블 간의 꼬임으로 발생하는 설비파손 및 케이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항만 크레인의 하역 작업 시 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블의 꼬임으로 인한 설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항만의 하역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역작업의 능률이 향상되어 작업비용 및 선박의 수송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 : 케이블의 꼬임 방지장치 2 : 행거
3 : 연결와이어 3A : 탄성와이어
3B : 스틸와이어 4 : 전력통신케이블
5 : 브라켓 6 : 탄성부재
7 : 클램프 8 : 와이어
10 : 고정부 10a : 체결홀
11 : 상부 케이스 11a : 고정홈
12 : 하부 케이스 12a : 고정홈
13 : 볼트 14 : 너트
20 : 간격유지부 21 : 탄성체 로프
22 : 코일 스프링 23 : 신축링크
23a : 링크 24 : 후크
30 : 케이블 보호부재 40 : 고리형 볼트

Claims (11)

  1. 트롤리의 행거와 행거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와이어와 상기 행거에 의해 지지되는 전력통신케이블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부; 및
    상기 각 고정부 사이에 설치되어 탄력적으로 신축되어 상기 전력통신케이블과 상기 연결와이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를 포함하는 행거 케이블의 꼬임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는 양 단이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 사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신축 가능한 탄성체 로프를 포함하는 행거 케이블의 꼬임 방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는 양 단이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압축 탄성력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행거 케이블의 꼬임 방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는 양 단이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복수개의 링크 동작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는 신축링크를 포함하는 행거 케이블의 꼬임 방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와이어는 상기 행거의 사이에서 높이 차를 가지며 각각 설치되는 탄성와이어와 스틸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와이어와 상기 스틸와이어 사이에 탄력적으로 신축되는 상기 간격유지부가 설치되는 구조의 행거 케이블의 꼬임 방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통신케이블은 상기 행거의 사이에서 높이 차를 가지며 적어도 상하 2단 이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전력통신케이블과 상기 전력통신케이블 사이에 탄력적으로 신축되는 상기 간격유지부가 설치되는 구조의 행거 케이블의 꼬임 방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하 배치된 각 단에서 측방향으로 나란히 구비된 복수의 상기 전력통신케이블을 하나로 고정하는 구조의 행거 케이블의 꼬임 방지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력통신케이블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및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를 고정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행거 케이블의 꼬임 방지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력통신케이블을 감싸는 케이블 보호부재를 더 포함하는 행거 케이블의 꼬임 방지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는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간격유지부의 양 단에 연결되는 고리형 볼트를 더 포함하는 행거 케이블의 꼬임 방지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는 내측에 각각의 상기 전력통신케이블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고정홈이 구비된 구조의 행거 케이블의 꼬임 방지장치.
KR1020170118633A 2017-09-15 2017-09-15 행거 케이블의 꼬임 방지장치 KR102022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633A KR102022512B1 (ko) 2017-09-15 2017-09-15 행거 케이블의 꼬임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633A KR102022512B1 (ko) 2017-09-15 2017-09-15 행거 케이블의 꼬임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949A true KR20190030949A (ko) 2019-03-25
KR102022512B1 KR102022512B1 (ko) 2019-11-25

Family

ID=65907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633A KR102022512B1 (ko) 2017-09-15 2017-09-15 행거 케이블의 꼬임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5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24711A (zh) * 2020-09-25 2020-11-13 长沙岱联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运输的电缆滑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0517A (ja) * 1994-08-29 1996-03-12 Seibu Denki Kogyo Kk ケーブル架渉用金車装置
KR20040042361A (ko) * 2002-11-14 2004-05-20 주식회사 포스코 케이블 교체가 용이한 언로더용 컨트롤 케이블 행거
KR100899184B1 (ko) * 2008-12-23 2009-05-27 (주)유진씨엔이 송전가공 선로형 상간 스페이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0517A (ja) * 1994-08-29 1996-03-12 Seibu Denki Kogyo Kk ケーブル架渉用金車装置
KR20040042361A (ko) * 2002-11-14 2004-05-20 주식회사 포스코 케이블 교체가 용이한 언로더용 컨트롤 케이블 행거
KR100899184B1 (ko) * 2008-12-23 2009-05-27 (주)유진씨엔이 송전가공 선로형 상간 스페이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24711A (zh) * 2020-09-25 2020-11-13 长沙岱联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运输的电缆滑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2512B1 (ko) 201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2687B1 (ko) 이지행거
CN102701066A (zh) 用于吊装大型容器的组装模块的吊装方法
CA1044618A (en) Elevator system with retainer device for plurality of traveling cables
KR20190030949A (ko) 행거 케이블의 꼬임 방지장치
KR102344183B1 (ko)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
JP4975300B2 (ja) 複数のクレーンを用いた吊り上げ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吊り上げ用治具
CN215474773U (zh) 重物运输用承载装置
JP6344778B2 (ja) 架線バイパス工事用資材取り付けユニット及び架線バイパス工事用資材取り付けユニットを運搬するための台車
JP2005333789A (ja) ネット形設による吊金式移線工法
US3443019A (en) Spacer damper
JP2016055959A (ja) エレベータ装置
JP3161094U (ja) 架空地線と電力線を同時に移線する搬送装置
KR20040106563A (ko) 엘리베이터 로프의 파지 구조체
JP4041108B2 (ja) 架空ケーブルの布設工法及びケーブル吊上用治具
JP6581046B2 (ja) エレベーター
KR101422158B1 (ko) 고정물 기움 방지용 장치
JP4271989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ケーブル装置
JP2014101151A (ja) パネルの吊り上げ装置
JP6429620B2 (ja) 荷振れ防止装置
JP2012001353A (ja) 玉掛け索の絡み防止具及びこれを用いた荷役装置
JP7114158B2 (ja) クレーン
CN215974631U (zh) 一种起重机吊具电缆的敷设装置、起重机
JP2013109275A (ja) Opgw接続箱の移設金具及びその取り扱い方法
JP2012085463A (ja) ポリマー套管用の吊り治具、及び、ポリマー套管用吊り治具とポリマー套管との接続構造
KR20130020382A (ko) 볼라드 권양용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