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2158B1 - 고정물 기움 방지용 장치 - Google Patents

고정물 기움 방지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2158B1
KR101422158B1 KR1020130003062A KR20130003062A KR101422158B1 KR 101422158 B1 KR101422158 B1 KR 101422158B1 KR 1020130003062 A KR1020130003062 A KR 1020130003062A KR 20130003062 A KR20130003062 A KR 20130003062A KR 101422158 B1 KR101422158 B1 KR 101422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ixture
fastening
present
cent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3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0878A (ko
Inventor
윤진기
송충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3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158B1/ko
Publication of KR20140090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0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고정물 기움 방지용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물 기움 방지용 장치는, 블록에 임시 고정되는 고정물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물 기움 방지용 장치로서, 고정물의 상측에 설치되는 중심부재와, 중심부재에 결합되며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체결고리와, 체결고리와 블록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물을 블록에 고정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정물 기움 방지용 장치{DEVICE FOR PREVENTING FIXED OBJECT FROM TILTING}
본 발명은 고정물 기움 방지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을 건조할 때는 선체를 형성하는 다양한 크기의 블록을 턴오버(turn over)하는 작업은 필수적이며, 선박이 점차 대형화되면서 이러한 작업량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조선 등의 산업분야에서는 상당한 무게를 갖는 다양한 구조물이나 제작물 등을 뒤집는 방법으로서 플로팅 크레인(floating crane)이나 크롤러 크레인(crawler crane)을 이용하여 블록을 뒤집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선체를 형성하는 블록은 좌우 넓이가 다양하나 대략 30 내지 40미터 정도이며, 무게는 약 500 내지 700톤에 달한다.
이러한 블록들의 내부와 외부에는 예를 들어 의장 작업과 같은 다양한 작업이 수행되는데, 이러한 작업 공간에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접근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블록을 뒤집는 작업(상류화라고 지칭함)은 필수적이다.
이렇게 블록을 뒤집을 때,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블록을 뒤집기 위해, 블록의 상면(여기서, 상면은 턴오버 작업이 완료된 후 지면을 향하는 하면이 됨)에는 리프팅 와이어를 체결할 수 있도록 도르레가 임시로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도르레는 블록을 턴오버하는 작업 중에만 사용되며, 턴오버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도르레를 블록에서 다시 제거하는 작업이 수행된다.
그러나, 블록을 턴오버할 때마다 각각의 블록에 도르레를 임시로 고정하였다가 다시 제거하는데 많은 인력과 시간 및 노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블록 하나에 도르레 하나를 설치하는데도 많은 결속 와이어와 기타 고정 러그가 필요함에 따라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공보 제10-0215109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블록 턴오버 작업시 블록에 임시로 고정되는 고정물을 보다 용이하게 설치하고 분리할 수 있으며, 블록의 턴오버시 고정물이 한쪽으로 기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정물 기움 방지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블록에 임시 고정되는 고정물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물 기움 방지용 장치로서, 상기 고정물의 상측에 설치되는 중심부재와; 상기 중심부재에 결합되며,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체결고리와; 상기 체결고리와 상기 블록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고정물을 상기 블록에 고정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고정물 기움 방지용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고정물은 복수개가 상기 블록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물 기움 방지용 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고정물이 상기 블록 상에 고정되도록, 상호 인접한 중심부재 각각의 체결고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체결고리 간을 상호 지지시키는 링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의 양단부에는 상기 제1 관통홀과 연결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물은 상기 블록을 턴오버(turn over)하기 위한 도르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심부재는 상기 도르레의 원형 형상에 상응하여 곡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블록 턴오버 작업시 블록에 임시로 고정되는 고정물을 보다 용이하게 설치하고 분리할 수 있으며, 블록의 턴오버시 고정물이 한쪽으로 기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물 기움 방지용 장치가 도르레의 상측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물 기움 방지용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물 기움 방지용 장치가 블록에 임시 고정된 고정물을 블록에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물 기움 방지용 장치의 변형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정물 기움 방지용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물 기움 방지용 장치가 도르레의 상측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물 기움 방지용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물 기움 방지용 장치가 블록에 임시 고정된 고정물을 블록에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물 기움 방지용 장치(100)는, 블록(10)에 임시 고정된 고정물(20)이 상기 블록(10)의 이동시 한쪽으로 기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고정물(20)의 상측에 설치되는 중심부재(110)와, 이러한 중심부재(110)에 결합되며, 하중 인가를 위한 제1 관통홀(122)이 형성되는 체결고리(120)와, 이러한 체결고리(120)와 블록(10)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물(20)을 블록(10)에 고정시키는 연결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물(20)의 상측에 간단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중심부재(110)의 체결고리(120)에 미리 준비된 연결부재(130)를 체결하여 블록(10)에 고정시킴으로써, 블록(10) 턴오버(turn over) 작업시 블록(10)에 임시로 고정되는 고정물(20)을 보다 용이하게 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블록(10)에 지지된 연결부재(130)를 통해 중심부재(110)에 하중이 작용함에 따라(이를 통해, 하중이 고정물(20)에 인가됨으
로써), 블록(10)의 턴오버 작업시 고정물(20)이 한쪽으로 기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블록(10)을 턴오버할 때마다 각각의 블록(10)에 고정물(20)를 임시로 고정하였다가 다시 제거하는데 필요하던 많은 인력과 시간 및 노력 등을 절감할 수 있으며, 블록(10) 하나에 임시 고정물(20) 하나를 설치하는데 소요되던 많은 결속 와이어나 기타 고정 러그(lug) 등이 필요 없어짐에 따라 작업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물 기움 방지용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중심부재(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10)에 지지된 연결부재(130)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고정물(20)에 효과적으로 인가함으로써, 고정물(20)을 블록에 보다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반대로 고정물(20)을 블록(10)에서 분리시에도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부재이다.
이러한 중심부재(110)는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고정물(2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심부재(110)는 고정물(2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고정물(20)이 블록(10)에 상측에 형성된 도르레(sheave)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블록(10)에 임시 고정되었다가 분리되는 고정물(20)로서, 블록(10)을 턴오버(turn over)하기 위한 도르레(20)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고정물(20)이 도르레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고정물(20)은 윈치(winch)와 같은 와이어 권취 권양기 등 다양한 형태의 물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심부재(110)가 도르레(20)의 원형 형상에 상응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중심부재(110)는 도르레(20)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측면에서 볼 때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블록(10)에 임시로 고정되는 고정물, 즉 도르레(20)에는 앞서 배경기술에서도 설명된 바와 같이 블록(20)을 뒤집기 위한 리프팅 와이어(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체결고리(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재(11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체결고리(120)에는, 블록(10)에 지지된 연결부재(130)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이 중심부재(110)로 인가될 수 있도록, 하중 인가를 위한 제1 관통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고리(1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에 복수개가 배열될 수 있으며, 이렇게 형성된 체결고리(120)의 제1 관통홀(122)에 후술할 연결부재(130)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고리(120)와 블록(10) 사이에 개재되어 블록(10)에 임시 고정되는 고정물인 도르레(20)를 블록(10)에 고정시키는 부재이다. 이를 위해, 연결부재(130)의 일단부는 블록(10)에 연결되고, 연결부재(130)의 타단부는 체결고리(120)의 제1 관통홀(122)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연결부재(130)는 예를 들어 와이어, 케이블, 로프, 체인, 호스 등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1에서는 연결부재(130)가 와이어(wire)인 경우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10)에 하나의 고정물(20)이 설치된 경우와 달리, 경우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고정물(20)이 블록(1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복수개의 고정물(20)이 블록(10) 상에 고정될 경우, 이들 고정물(20)이 블록(10)에 보다 용이하게 설치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물 기움 방지용 장치(100)는 링크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링크부재(1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인접한 중심부재(110) 각각의 체결고리(120)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 체결고리(120) 간을 상호 지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링크부재(140)는 판상의 길이를 가진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막대 형상의 링크부재(140)의 양단부에는 체결고리(120)의 제1 관통홀(122)와 연결될 수 있도록 제2 관통홀(14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인접한 중심부재(110) 각각의 체결고리(120) 사이에 링크부재(140)를 연결한 다음,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중심부재(110)의 체결고리(120)에 연결부재(130)를 연결하고 이를 블록(10)에 지지시킴으로써, 복수개의 고정물(20, 본 실시예의 경우 도르레를 지칭함)을 한번에 블록(10)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물 기움 방지용 장치(100)의 변형례(101)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재(110)의 상측에 형성되는 체결고리(120)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101)에서는, 체결고리(120)가 중심부재(110)의 길이방향 양측을 따라 복수개가 일렬로 배열된 경우를 제시하고 있다. 이외에도,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고리(120)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물(20)의 상측에 간단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중심부재(110)의 체결고리(120)에 미리 준비된 연결부재(130)를 체결하여 블록(10)에 고정시킴으로써, 블록(10) 턴오버(turn over) 작업시 블록(10)에 임시로 고정되는 고정물(20)을 보다 용이하게 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블록(10)에 지지된 연결부재(130)를 통해 중심부재(110)에 하중이 작용함에 따라(이를 통해, 하중이 고정물(20)에 인가됨으로써), 블록(10)의 턴오버 작업시 고정물(20)이 한쪽으로 기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블록(10)을 턴오버할 때마다 각각의 블록(10)에 고정물(20)를 임시로 고정하였다가 다시 제거하는데 필요하던 많은 인력과 시간 및 노력 등을 절감할 수 있으며, 블록(10) 하나에 임시 고정물(20) 하나를 설치하는데 소요되던 많은 결속 와이어나 기타 고정 러그(lug) 등이 필요 없어짐에 따라 작업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블록 20: 고정물
100: 고정물 기움 방지용 장치
110: 중심부재 120: 체결고리
122: 제1 관통홀 130: 연결부재
140: 링크부재 142: 제2 관통홀

Claims (5)

  1. 블록에 임시 고정되는 고정물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물 기움 방지용 장치로서,
    상기 고정물의 상측에 설치되는 중심부재와;
    상기 중심부재에 결합되며,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체결고리와;
    상기 체결고리와 상기 블록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고정물을 상기 블록에 고정시키는 연결부재; 및
    상기 고정물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고정물이 상기 블록 상에 고정되도록, 상호 인접한 중심부재 각각의 체결고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체결고리 간을 상호 지지시키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고정물 기움 방지용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의 양단부에는 상기 제1 관통홀과 연결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는, 고정물 기움 방지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물은 상기 블록을 턴오버(turn over)하기 위한 도르레를 포함하는, 고정물 기움 방지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재는 상기 도르레의 원형 형상에 상응하여 곡선 형태로 이루어지는, 고정물 기움 방지용 장치.
KR1020130003062A 2013-01-10 2013-01-10 고정물 기움 방지용 장치 KR101422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062A KR101422158B1 (ko) 2013-01-10 2013-01-10 고정물 기움 방지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062A KR101422158B1 (ko) 2013-01-10 2013-01-10 고정물 기움 방지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878A KR20140090878A (ko) 2014-07-18
KR101422158B1 true KR101422158B1 (ko) 2014-07-22

Family

ID=51738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3062A KR101422158B1 (ko) 2013-01-10 2013-01-10 고정물 기움 방지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15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1657U (ko) * 1997-11-29 1999-06-25 정몽규 V-벨트풀리의 커버
KR101153444B1 (ko) 2009-08-28 2012-06-27 대한민국 산불진화용 차량의 소방호스보호커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1657U (ko) * 1997-11-29 1999-06-25 정몽규 V-벨트풀리의 커버
KR101153444B1 (ko) 2009-08-28 2012-06-27 대한민국 산불진화용 차량의 소방호스보호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878A (ko) 2014-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009B1 (ko) 현수교 거더의 시공방법 및 현수교 거더의 시공장비
KR101405010B1 (ko) 현수교의 보강형 인상을 위한 갠트리
KR101762832B1 (ko) 선박용 계류 장치
KR101422158B1 (ko) 고정물 기움 방지용 장치
KR101908402B1 (ko) 크레인의 제조방법 및 크레인의 상가(上架)구조체의 상가(上架) 시스템
JP2015054777A (ja) ジブ用吊り具
KR20090022045A (ko) 대형블럭의 플로팅도크 탑재방법 및 이를 이용한해상건조공법
JP4975300B2 (ja) 複数のクレーンを用いた吊り上げ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吊り上げ用治具
CN105712173B (zh) 一种多联装包装箱模块化吊装与运输加固装置
KR101919525B1 (ko) 시브 와이어 탈선 방지 장치
US3886883A (en) Apparatus for disposing longitudinals for constructing hull blocks
JP3161094U (ja) 架空地線と電力線を同時に移線する搬送装置
RU2458850C1 (ru) Стрела грузоподъемной машины
KR20200141573A (ko) 파이프라인 설치용 스팅거 및 이를 포함하는 파이프라인 설치시스템
JP2002284487A (ja) 異径シーブのロープ外れ止め具
KR20190030949A (ko) 행거 케이블의 꼬임 방지장치
KR20160083545A (ko) 선박용 엔진 리프팅 장치
KR102052350B1 (ko) 선박 블록 턴오버 방법
KR101850695B1 (ko) 선박 리프팅용 지그
JP4426932B2 (ja) 乗客コンベアの揚重装置
KR200253225Y1 (ko) 캐리지 스토퍼
JP2007099402A (ja) 長尺材用吊具
KR20230089044A (ko) 권상용 치구
JPH08143267A (ja) 吊り上げラグ付き長大物用スキッド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長大物の移送方法
JP2006213501A (ja) 構造物の吊上げ用治具及びこれを用いた構造物の吊上げ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