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9044A - 권상용 치구 - Google Patents

권상용 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9044A
KR20230089044A KR1020210177375A KR20210177375A KR20230089044A KR 20230089044 A KR20230089044 A KR 20230089044A KR 1020210177375 A KR1020210177375 A KR 1020210177375A KR 20210177375 A KR20210177375 A KR 20210177375A KR 20230089044 A KR20230089044 A KR 20230089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beam
pair
coupling means
rotating member
hoi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7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균
이준열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7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9044A/ko
Publication of KR20230089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0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8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상용 치구는, 천장에서 길이 방향인 제1 방향을 따라 설치된 한 쌍의 레일 상에서 수평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한 쌍의 크레인에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권상용 치구에 있어서, 한 쌍의 크레인의 하부에서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블록 로더, 블록 로더의 하부에서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 및 블록 로더의 하부에서 회전부재와 연결 로프를 통해 연결되는 리프팅 빔을 포함하고, 리프팅 빔의 하부에는 결합 수단을 통해 대상물이 파지되며, 회전부재를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부재와 연결된 리프팅 빔 및 대상물이 함께 회전된다.

Description

권상용 치구{LIFTING JIG}
본 발명은 권상용 치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천장 크레인 2대를 연동하여 고중량물의 권상, 이동 및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권상용 치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선박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구조물의 제원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프로펠러 샤프트와 같은 고중량물의 이동 및 권상이 요구됨에 따라 대상물의 하중을 견디기 위해 천장 크레인을 2대 연동하여 사용하는 작업 방식이 채택되었다.
하지만, 장비의 설치 위치에 따라 대상물의 적절한 회전이 요구되는데 크레인을 2대 연동하여 대상물을 권상 작업하는 경우, 작업장 내에서 대상물의 회전이 불가한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크레인 구조를 보강하여 공장을 신설하거나 크레인의 신규 투자가 불가피한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에,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천장 크레인을 그대로 적용하되, 대상물의 권상, 이동 및 회전이 모두 가능한 권상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297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천장 크레인 2대를 연동하여 고중량물의 권상, 이동 및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권상용 치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장에서 길이 방향인 제1 방향을 따라 설치된 한 쌍의 레일 상에서 수평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한 쌍의 크레인에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권상용 치구에 있어서, 한 쌍의 크레인의 하부에서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블록 로더, 블록 로더의 하부에서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 및 블록 로더의 하부에서 회전부재와 연결 로프를 통해 연결되는 리프팅 빔을 포함하고, 리프팅 빔의 하부에는 결합 수단을 통해 대상물이 파지되며, 회전부재를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부재와 연결된 리프팅 빔 및 대상물이 함께 회전된다.
또한, 연결 로프는 리프팅 빔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리프팅 빔의 상부에는 연결 로프와 체결되는 복수의 제1 체결홀이 형성되며, 연결 로프는, 리프팅 빔의 하부에 파지되는 대상물의 크기 및 하중에 따라, 복수의 제1 체결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리프팅 빔과 회전부재 사이의 체결 각도가 조절된다.
또한, 결합 수단은 리프팅 빔의 일단부와 타단부에서 대상물을 파지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고, 리프팅 빔의 하부에는 결합 수단과 체결되는 복수의 제2 체결홀이 형성되고, 결합 수단은, 대상물의 길이에 따라, 복수의 제2 체결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한 쌍의 결합 수단 사이의 체결 거리가 조절된다.
또한, 리프팅 빔은, 양단부의 하부에서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한 쌍으로 구비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고, 한 쌍의 받침부재는, 필요 시 회전하여 리프팅 빔과 수직하게 위치되어, 리프팅 빔의 하부를 지지하고, 사용 완료 후에는 리프팅 빔의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회전시켜, 근접하는 설비와의 간섭을 억제한다.
또한, 리프팅 빔은, 양단부의 전면 및 후면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결합 수단이 체결되는 후크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천장 크레인 2대를 연동하여 고중량물의 권상,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상용 치구가 종래의 크레인에 적용된 예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상용 치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빔과 연결 로프 및 결합 수단의 체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상용 치구에 대상물이 파지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재의 저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 구성들의 크기, 두께 및 형상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었으며, 실제 권상용 치구에서는 이와 다른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배선의 연결 구조는 편의를 위해 간략하게 도시된 것으로써, 이와 다른 연결 형태가 적용될 수 있으며, 소정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하여 상부, 하부, 측부 등을 표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장치의 회전이나 배치에 따라 지칭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상용 치구가 종래의 크레인에 적용된 예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권상용 치구는 종래의 작업장에서 사용되는 크레인(20)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특히, 2대가 연동되어 마련된 한 쌍의 크레인(20)에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크레인(20)은 작업장의 천장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한 쌍의 레일(21)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새들(22)과, 한 쌍의 새들(22) 사이에 결합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거더(23) 및 거더(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권상 대상물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전동호이스트가 구비된 이동 대차(24)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권상용 치구는, 상기와 같이 크레인(20) 2대를 연동하는 경우에 특히 권상 대상물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나, 그 사용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크레인(20)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상용 치구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상용 치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상용 치구(100)는, 블록 로더(110), 회전부재(120) 및 리프팅 빔(13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블록 로더(110)는, 한 쌍의 크레인(20)의 하부에서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블록 로더(110)의 일단과 타단이 상술한 한 쌍의 크레인(20) 각각의 거더(23) 하부에서 이동 대차(24)에 권상되도록 마련되며, 이동 대차(24)를 통해 거더(23)의 길이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블록 로더(110)가 이동 가능하다.
즉, 레일(21) 상에서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더(23)의 길이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블록 로더(110)가 이동 가능하므로 작업장 내에서 블록 로더(110)의 이동이 제1 방향 및 제2 방향 모두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회전부재(120)는, 블록 로더(110)의 하부에서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일 예로서, 회전부재(120)는 블록 로더(110)의 내부에 구비된 베어링 구조를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어서, 리프팅 빔(130)은, 블록 로더(110)의 하부에서 회전부재(120)와 연결 로프(30)를 통해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블록 로더(110)의 길이 방향인 제2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리프팅 빔(130)의 하부에는 결합 수단(40)을 통해 대상물(50)이 파지되며, 회전부재(120)를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부재(120)와 연결된 리프팅 빔(130) 및 대상물(50)이 함께 회전되게 된다.
일 예로서, 본 발명의 권상용 치구(100)는, 약 100ton 크레인(20) 2대가 연동된 한 쌍의 크레인(20) 하부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크레인(20)의 하부에 약 140ton의 블록 로더(110)의 단부가 권상되고 블록 로더(110)의 하부에 약 120ton 리프팅 빔(130)이 파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100ton 크레인(20) 1대의 용량으로 고중량물의 권상이 어려웠던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권상 대상물(50)의 회전까지 가능한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도면에서 회전부재(120)의 형상은 양단이 갈고리 형상을 갖도록 하여 연결 로프(30)가 양단에 걸리도록 마련됨에 따라 회전부재(120)와 리프팅 빔(130) 사이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도시하였다.
다만, 회전부재(12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 로프(30)가 용이하게 체결되어 하부에서 리프팅 빔(130)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형태라면 모두 적용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권상용 치구(100)가 상술한 구성들을 포함함에 따라, 작업장 내부에 대상물(50)을 인양한 이후, 방향 전환이 자유로우므로 각 장비 혹은 설비들이 배치된 방향에 따라 대상물(50)을 대응되는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설비를 증축하거나 신설할 필요 없이 기존의 작업장 내 동일한 설비에 본 발명의 권상용 치구(100)만을 적용시켜 고중량물의 작업이 가능해지는 이점을 가진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상용 치구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아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상용 치구를 이용하여 대상물(50)을 파지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빔과 연결 로프(30) 및 결합 수단(40)의 체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리프팅 빔(130)의 상부에는 연결 로프(30)와 체결되는 복수의 제1 체결홀(13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결합 수단(40)과 체결되는 복수의 제2 체결홀(132)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로프(30)는 리프팅 빔(13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연결 로프(30)의 단부에는 리프팅 빔(130)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1 체결홀(131)에 체결이 가능하도록 걸림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걸림부재의 형태는 걸쇠, 행크 또는 샤클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연결 로프(30)는 복수 개로 제공되어, 회전부재(120)와 리프팅 빔(130) 사이에 복수 개가 체결될 수도 있으며, 이 외에도, 연결 로프(30)를 통한 연결 형태는 대상물(50)의 하중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리프팅 빔(130)의 하부에 파지되는 대상물(50)의 크기 및 하중에 따라, 연결 로프(30)가 복수의 제1 체결홀(131)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체결됨에 따라, 리프팅 빔(130)과 회전부재(120) 사이의 체결 각도가 조절되게 된다.
결합 수단(40)은 리프팅 빔(13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서 대상물(50)을 파지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수단(40)은 벨트 혹은 케이블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대상물(50)을 용이하게 파지하여 리프팅 빔(130)에 결합시킬 수 있는 형태라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즉, 결합 수단(40)이 대상물(50)의 길이에 따라 복수의 제2 체결홀(132)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체결됨에 따라, 한 쌍의 결합 수단(40) 사이의 체결 거리가 조절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들을 적용하면, 대상물(50)의 크기 및 하중을 고려하여 연결 로프(30) 및 결합 수단(40)과 리프팅 빔(130) 사이의 적합한 체결 위치를 선택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대상물(50)을 보다 안정적으로 파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상용 치구에 대상물(50)이 파지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대상물(50)의 길이가 긴 경우, 리프팅 빔(130)의 다수의 제1 체결홀(131) 중 바깥쪽 제1 체결홀(131)에 연결 로프(30)를 체결시키고, 바깥쪽 제2 체결홀(132)에 결합 수단(4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 로프(30)의 체결 각도를 작게 형성하고 한 쌍의 결합 수단(40) 사이의 체결 거리를 최대한 길게 확보함으로써, 대상물(50)을 더욱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서, 반대로 대상물(50)의 길이가 짧은 경우, 리프팅 빔(130)의 다수의 제1 체결홀(131) 중 안쪽 제1 체결홀(131)에 연결 로프(30)를 체결시키고, 안쪽의 제2 체결홀(132)에 결합 수단(40)을 결합시킬 수 있으며, 혹은 도면과 같이 가장 안쪽에 구비된 후크부재(140)에 결합 수단(4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 로프(30)의 체결 각도를 크게 형성하고 한 쌍의 결합 수단(40) 사이의 체결 거리를 최대한 가깝게 확보함으로써, 짧은 길이의 대상물(50)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후크부재(140)는 리프팅 빔(130)의 양단부의 전면 및 후면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결합 수단(40)이 체결되는 구성으로, 리프팅 빔(130) 외에도, 상술한 블록 로더의 전면과 후면에도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결합 수단(40)이 벨트의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 벨트가 리프팅 빔(130)의 전면 및 후면에 마련된 후크에 체결되어 대상물(50)의 하부를 파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상물(50)의 크기, 형상 및 하중에 따라 파지에 적합한 형태의 결합 수단(40)을 선택할 수 있으며, 체결홀 또는 후크부재(140)에 선택적으로 체결됨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대상물(50)을 파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제1 체결홀(131)과 제2 체결홀(132) 및 후크부재(140)의 형상 및 배치 위치는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로프와 결합 수단(40)을 통해 회전부재(120), 리프팅 빔(130) 및 권상 대상물(50)을 상호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형상 및 배치 위치라면 모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빔(130)은, 양단부의 하부에서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한 쌍으로 구비되는 받침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한 쌍의 받침부재(150)는, 필요 시 회전하여 리프팅 빔(130)과 수직하게 위치되어, 리프팅 빔(130)의 하부를 지지하고, 사용 완료 후에는 리프팅 빔(130)의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회전시켜, 근접하는 설비와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받침부재(150)는 도면과 같은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각도에 따라 리프팅 빔(130)의 외부로 돌출되어 지면상에서 리프팅 빔(13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평상시에는 리프팅 빔(130)의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가 작업면 혹은 지면에 리프팅 빔(130)을 내려놓거나 안착시켜야 하는 경우, 받침부재(150)를 리프팅 빔(13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프팅 빔(130)이 작업면 혹은 지면과 충돌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 및 지지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상용 치구를 사용하면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최근 선박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프로펠러 샤프트와 같은 고중량물의 작업이 요구됨에 따라, 기존의 크레인만으로 권상 작업이 불가능하여 공장을 신설하거나 구조를 보강하는 등 신규 크레인의 증설이 불가피한 단점이 있어 왔다.
이에, 대상물의 하중을 견디기 위해 천장 크레인을 2대 연동하여 사용하는 작업 방식이 채택되었으나, 권상 대상물의 회전이 불가한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상용 치구를 적용하면, 기존에 2대를 연동하여 사용되던 크레인에 본 발명의 회전부재와 블록 로더 및 리프팅 빔의 구성만을 추가함에 따라 대상물의 권상, 이동 및 회전이 모두 가능해진다.
따라서, 기존의 설비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설비 증축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대상물을 다양한 각도로 회전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권상 대상물의 크기와 하중을 고려하여 리프팅 빔과 회전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로프의 체결 각도와 대상물을 파지하는 결합 수단의 체결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대상물을 더욱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더하여, 리프팅 빔의 하부에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받침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리프팅 빔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사용 후 리프팅 빔의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회전시켜, 근접한 설비와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권상용 치구의 적용 분야는 천장 크레인을 사용한 대상물의 권상 및 이동 작업이 수행되는 분야에 가장 적합하며, 특히, 선박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공장 증축 및 크레인 용량이 부족한 유사 공장에서도 본 발명의 권상용 치구의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적용 분야가 상술한 분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상 설비 혹은 육상 설비를 이용한 다양한 작업 현장에서 천장 크레인을 사용하여 고중량물의 권상, 이동 및 회전을 필요로 하는 곳이라면 모두 적용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권상용 치구의 형상 및 제공 형태가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권상용 치구
110 : 블록 로더
120 : 회전부재
130 : 리프팅 빔
131 : 제1 체결홀
132 : 제2 체결홀
140 : 후크부재
150 : 받침부재
20 : 크레인
21 : 레일
22 : 새들
23 : 거더
24 : 이동 대차
30 : 연결 로프
40 : 결합 수단
50 : 대상물

Claims (5)

  1. 천장에서 길이 방향인 제1 방향을 따라 설치된 한 쌍의 레일 상에서 수평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한 쌍의 크레인에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권상용 치구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크레인의 하부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블록 로더;
    상기 블록 로더의 하부에서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블록 로더의 하부에서 상기 회전부재와 연결 로프를 통해 연결되는 리프팅 빔을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 빔의 하부에는 결합 수단을 통해 대상물이 파지되며,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와 연결된 상기 리프팅 빔 및 상기 대상물이 함께 회전되는 권상용 치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로프는 상기 리프팅 빔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리프팅 빔의 상부에는 상기 연결 로프와 체결되는 복수의 제1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 로프는,
    상기 리프팅 빔의 하부에 파지되는 상기 대상물의 크기 및 하중에 따라, 복수의 상기 제1 체결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상기 리프팅 빔과 상기 회전부재 사이의 체결 각도가 조절되는 권상용 치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리프팅 빔의 일단부와 타단부에서 상기 대상물을 파지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리프팅 빔의 하부에는 상기 결합 수단과 체결되는 복수의 제2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대상물의 길이에 따라, 복수의 상기 제2 체결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상기 한 쌍의 결합 수단 사이의 체결 거리가 조절되는 권상용 치구.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빔은,
    양단부의 하부에서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한 쌍으로 구비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받침부재는,
    필요 시 회전하여 상기 리프팅 빔과 수직하게 위치되어, 상기 리프팅 빔의 하부를 지지하고,
    사용 완료 후에는 상기 리프팅 빔의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회전시켜, 근접하는 설비와의 간섭을 억제하는 권상용 치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빔은,
    양단부의 전면 및 후면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결합 수단이 체결되는 후크부재를 포함하는 권상용 치구.
KR1020210177375A 2021-12-13 2021-12-13 권상용 치구 KR202300890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375A KR20230089044A (ko) 2021-12-13 2021-12-13 권상용 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375A KR20230089044A (ko) 2021-12-13 2021-12-13 권상용 치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044A true KR20230089044A (ko) 2023-06-20

Family

ID=86995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375A KR20230089044A (ko) 2021-12-13 2021-12-13 권상용 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904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977A (ko) 2015-06-30 2017-01-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크레인용 블록 로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977A (ko) 2015-06-30 2017-01-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크레인용 블록 로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1421B2 (en) Offshore vessel
US7112010B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erecting an offshore wind turbine assembly
US7328811B2 (en) Even reeving system
CN104968597A (zh) 用于放置结构的组件的装置和方法
CN107399676A (zh) 一种双梁桥式起重机
KR20180001175U (ko) 턴오버 지그
KR20150008532A (ko) 크레인의 리프팅 장치
KR20230089044A (ko) 권상용 치구
US10654691B2 (en) Overhead crane with remotely located winch
JP6825774B2 (ja) アンローダ及びそのグラブバケットの交換方法
WO2015152235A1 (ja) クレーンの製造方法及びクレーンの上架構造体の上架システム
WO2016013635A1 (ja) 門型クレーンの固定方法、及び、門型クレーンの固定構造
CN211569845U (zh) 一种机械臂用吊装件
JP6223888B2 (ja) 橋形クレーン
CN211496571U (zh) 自平衡吊具
JP5673134B2 (ja) 昇降装置、揺れ防止治具及び吊り治具
CN206511798U (zh) 大型构件运输架的专用吊具
JP2020111432A (ja) クレーンとワイヤリング方法
CN212475830U (zh) 一种角铁滑车用的轨道支架
KR20150000608A (ko) 라이저 갠트리 크레인 설치 방법
KR102027282B1 (ko) 크레인용 블록 로더
CN109899009B (zh) 海洋钻井平台排管机的安装方法
CN215854585U (zh) 发动机吊具
JP2007099402A (ja) 長尺材用吊具
JP2021019412A (ja) 鉄塔主柱の金車支持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