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2361A - 케이블 교체가 용이한 언로더용 컨트롤 케이블 행거 - Google Patents

케이블 교체가 용이한 언로더용 컨트롤 케이블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2361A
KR20040042361A KR1020020070638A KR20020070638A KR20040042361A KR 20040042361 A KR20040042361 A KR 20040042361A KR 1020020070638 A KR1020020070638 A KR 1020020070638A KR 20020070638 A KR20020070638 A KR 20020070638A KR 20040042361 A KR20040042361 A KR 20040042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able
hanger
rail
cable
coup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70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2361A/ko
Publication of KR20040042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2361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2Stationary loaders or unloaders, e.g. for s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언로더 트롤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 케이블을 걸기 위한 행거에 관한 것이다. 붐(10)의 레일(24)에 컨트롤 케이블(18)을 건 상태로 상기 레일(24)을 따라 활주 가능한 상기 행거(260)는 상기 레일(24)의 양 측면의 홈 내에 삽입되는 적어도 한 쌍의 대향 롤(360); 상기 롤(360)을 개재하여 상기 레일(24)에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측의 지지수단(380, 400)에 의해 서로 고정되는 한 쌍의 측판(320A, 320B); 상기 지지수단(380, 400)에 설치되어 하측으로 연장된 하향판(330); 및 상기 하향판(330)의 양측에 부착되고, 컨트롤 케이블(18)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적어도 한 쌍의 케이블 받침대(440)를 구비한다. 상기 컨트롤 케이블 행거는 분해 및 결합이 용이하게 구성되어 컨트롤 케이블의 교체작업을 단순화시킴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교체가 용이한 언로더용 컨트롤 케이블 행거{HANGER IN USE WITH UNLOADER FOR ENSURING EASY REPLACEMENT OF CONTROL CABLE}
본 발명은 언로더 트롤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 케이블을 걸기 위한 행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컨트롤 케이블 행거는 분해 및 결합이 용이하게 구성되어 컨트롤 케이블의 교체작업을 단순화시킴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연원료(연료 및 원료)는 해상과 육상을 통해 수송된다. 예컨대 해상으로 선박을 통해 운송되는 경우, 크레인 또는 언로더를 통해 하역되어 벨트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이송 야드에 적치된 다음 각 공정으로 보내진다.
이러한 하역작업을 위한 언로더 또는 크레인의 일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로더는 일정 높이에 수평으로 설치된 붐(10)의 상부를 따라 트롤리(12)가 활주하고 그에 따라 붐(10)의 하측에서 버킷(14)이 이동하게 된다. 버킷(14)은 좌우, 상하 이송 및 개방/폐쇄의 사이클로 이루어지는 작업을 수행하면서 적재물을 선박(22)으로부터 하역하며, 이러한 작업 사이클은 통상45초 정도가 소요된다.
한편 운전자는 붐(10)의 일측에 설치된 운전실(16)에서 이와 같은 트롤리(12) 및 버킷(14)의 동작을 제어하게 되며, 이러한 제어 작업은 운전실(16)과 트롤리(12) 및 전기실을 연결하는 컨트롤 케이블(18)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컨트롤 케이블(18)은 붐(10)의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이 트롤리(12)를 따라 상당히 긴 붐(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컨트롤 케이블(18)은 상당히 긴 길이 예컨대 120m에 이르는 길이를 갖게 된다. 따라서 컨트롤 케이블(18)은 트롤리(12)를 따라 이동할 때 신축적으로 접철되어야 한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로서, 이러한 컨트롤 케이블(18)을 절첩할 수 있도록 붐(10)의 중간 중간에 장착된 복수의 컨트롤 케이블 행거(26)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케이블 행거(26)는 붐(10)의 레일(24)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컨트롤 케이블(18)이 당겨지면 그에 따라 레일(24)상에서 활주하면서 컨트롤 케이블(18)의 신축적인 절첩 작용을 돕게 된다. 한편 행거(26)들 사이에는 철심이 있는 탄성 코드(28)가 설치되어 행거(26)들 사이의 거리를 조절한다. 이는 예컨대 초당 3 내지 4m의 고속으로 컨트롤 케이블(18)이 당겨질 때 행거(26)의 관성에 의해 컨트롤 케이블(18)에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케이블(18)들은 서로 엉키지 않도록 행거(26)들 중간에서 고정기(3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 3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컨트롤 케이블 행거(26)를 상세히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26)는 붐의 레일(24)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행거(26)는 레일(24)의 양측 홈에 삽입된 두 쌍의 대향 롤(36)을 구비하며, 이들 롤(36)은 고정 핀(34)에 의해 한 쌍의 좌우 측판(32A, 32B)에 결합된다. 한편 좌우 측판(32A, 32B)은 네 개의 지지봉(40)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데, 이들 가운데 하나만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지지봉(40)은 나사(39)에 의해 측판(32A, 32B)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롤(36), 측판(32A, 32B) 및 지지봉(40)의 결합 구조에 의해 행거(26)는 레일(24)에 안정적으로 부착되고 레일(24)을 따라 활주할 수 있게 된다.
측판(32A, 32B)의 전방 모서리에는 구형 탄성체(38)가 부착되어 있어서 행거(26)가 다른 인접한 행거와 충돌할 때 생기는 충격을 완화하게 된다. 또한 측판(32A, 32B)의 외면에는 탄성 코드(28)를 고정시키기 위한 코드 핀(42)이 설치되어 있다.
측판(32A, 32B)의 하측은 좁아져서 각각 다리(33A, 33B)를 형성하고, 이들 다리(33A, 33B) 사이에는 2개의 받침대(44)가 위아래로 설치되어 있다. 받침대(44)는 반쪽 원통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다리(33A, 33B)에 나사(39)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받침대(44)의 원통형부의 외면에는 복수의 컨트롤 케이블(18)이 올려져 있고, 이들 컨트롤 케이블(18)은 케이블 고정용 브래킷(46)에 의해 받침대(44)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블 고정용 브래킷(46)은 나사(48)에 의해 받침대(44)에 결합된다.
한편 트롤리(12)의 고속 주행이 반복되면 컨트롤 케이블(18)은 열화되어 손상된다. 또한 탄성 코드(28)의 열화에 따른 기능 불량에 의해서도 컨트롤 케이블(18)은 불시에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손상되거나 끊어진 컨트롤 케이블을 교체해야 한다.
이와 같은 컨트롤 케이블 교체작업은 후속하는 도 4를 참조하여 기재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상되거나 끊어진 컨트롤 케이블(18')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먼저 하나의 측판(32B)을 결합시키는 나사(39)를 풀어 측판(32B)을 지지봉(30) 및 지지대(44)로부터 분리한다. 이어서, 지지대(44)에 결합된 케이블 고정용 브래킷(46)을 나사(48)의 해제를 통해 지지대(44)로부터 분리한다. 그런 다음 손상된 컨트롤 케이블(18')을 지지대(44)로부터 떼어낸 다음 새로운 컨트롤 케이블(18'')을 지지대(44)에 안착시킨다. 후속하여 전술한 과정과 역순으로 케이블 고정용 브래킷(46)을 지지대(44)에 결합시키고, 측판(32B)을 지지봉(30) 및 지지대(44)에 결합시켜 컨트롤 케이블 교체작업을 완료한다.
전술한 컨트롤 케이블의 교체작업은 예컨대 지상 25 내지 30m의 고소에서 이루어지고 행거의 하중이 크기 때문에 예기치 못한 행거의 낙하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이 상시 존재한다. 또한 하나의 컨트롤 케이블을 교체하는 데에 있어서 행거의 측판과 고정 브래킷을 분리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조업지연에 따른 효율이 저하되며 선박의 경우에는 체선료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본 발명의 목적은 컨트롤 케이블 행거를 용이하게 분해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손상된 컨트롤 케이블의 교체작업을 단순화함으로써 작업시간을 절약하여 조업효율의 저하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트롤 케이블의 교체를 위한 행거의 분해 및 조립작업을 단순화함으로써 행거의 예기치 못한 낙하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언로더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라 설치된 복수의 컨트롤 케이블 행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컨트롤 케이블 행거의 사시도.
도 4는 컨트롤 케이블을 교체하기 위해 분해된 도 3의 컨트롤 케이블 행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케이블 행거의 사시도.
도 6은 컨트롤 케이블을 교체하기 위해 분해된 도 5의 컨트롤 케이블 행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의 설명>
10: 붐12: 트롤리
14: 버킷18, 18', 18'': 컨트롤 케이블
24: 붐의 레일26, 260: 행거
32, 320: 측판330: 하향판
36, 360: 롤40, 400: 지지봉
44, 440: 지지대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제공되는 컨트롤 케이블 행거는 붐의 레일에 컨트롤 케이블을 건 상태로 상기 레일을 따라 활주 가능한 행거이며, 상기 레일의 양 측면의 홈 내에 삽입되는 적어도 한 쌍의 대향 롤; 상기 롤을 개재하여 상기 레일에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측의 지지수단에 의해 서로 고정되는 한 쌍의 측판; 상기 지지수단에 설치되어 하측으로 연장된 하향판; 및 상기 하향판의 양측에 부착되고, 컨트롤 케이블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적어도 한 쌍의 케이블 받침대를 구비한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과 연계되어 설명되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특징 및 장점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한편 이해의 편의상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전술한 종래의 기술과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케이블 행거의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260)는 언로더 붐의 레일(24)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행거(260)는 레일(24)의 양측 홈에 삽입된 두 쌍의 대향 롤(360)을 구비하며, 이들 롤(360)은 고정 핀(340)에 의해 한 쌍의 좌우 측판(320A, 320B)에 결합된다. 한편 좌우 측판(320A, 320B)은 네 개의 지지봉(400)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데, 이들 가운데 둘만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지지봉(400)은 나사(390)에 의해 측판(320A, 320B)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롤(360), 측판(320A, 320B) 및 지지봉(400)의 결합 구조에 의해 행거(260)는 레일(24)에 안정적으로 부착되고 레일(24)을 따라 활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측판(320A, 320B)의 전방 모서리에는 구형 탄성체(380)가 부착되어 있어서 행거(260)가 다른 인접한 행거와 충돌할 때 생기는 충격을 완화하게 된다. 또한 측판(320A, 320B)의 외면에는 탄성 코드(28)를 고정시키기 위한 코드 핀(420)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봉(400)의 중간에는 하향판(350)이 고정되어 있다. 하향판(350)은 상부에 네 개의 구멍이 형성되고 이들 구멍을 지지봉(400)들이 관통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하향판(350)의 양측에는 각각 2개의 받침대(440)가 위아래로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받침대(440)는 반쪽 원통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나사 결합, 용접 등의 수단에 의해 하향판(35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받침대(440)의 원통형부의 외면에는 복수의 컨트롤 케이블(18)이 올려져 있고, 이들 컨트롤 케이블(18)은 케이블 고정용 브래킷(460)에 의해 받침대(440)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블 고정용 브래킷(460)은 나사(480)에 의해 받침대(440)에 결합된다.
한편 받침대(440)는 편의 2단으로 도시하고 기재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1단, 3단 또는 그 이상의 단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변형은 롤(360), 지지봉(400) 및 케이블 고정용 브래킷(460)의 경우에도 역시 동일하다.
한편 컨트롤 케이블(18)은 종래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열화되어 손상되거나 탄성 코드(28)의 열화에 따른 기능 불량에 의해 불시에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손상되거나 끊어진 컨트롤 케이블의 교체작업은 후속하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컨트롤 케이블을 교체하기 위해 분해된 도 5의 컨트롤 케이블 행거의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상되거나 끊어진 컨트롤 케이블(18')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먼저 하나의 지지대(440) 예컨대 우측 지지대(440)에 결합된 케이블 고정용 브래킷(460)을 나사(480)의 해제를 통해 지지대(440)로부터 분리한다. 그런 다음 손상된 컨트롤 케이블(18')을 지지대(440)로부터 떼어낸 다음 새로운 컨트롤 케이블(18'')을 지지대(440)에 안착시킨다. 후속하여 전술한 과정과 역순으로 케이블 고정용 브래킷(460)을 지지대(440)에 결합시키면 컨트롤 케이블 교체작업을 완료한다. 이와 같은 작업과정은 좌측 지지대(440)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행거(260)는 지지대(440)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지지봉(400)에 부착된 단일의 하향판(350)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측판(32A, 32B)으로부터 하향 연장되고 좁아진한 쌍의 대향된 다리(33A, 33B)를 사용하여 그 사이에 지지대(44)를 부착시키는 종래 기술의 구성과는 구별된다.
따라서 컨트롤 케이블 교체작업시, 측판(320A, 320B)을 분해할 필요가 없고 케이블 고정용 브래킷(460)만을 지지대(440)로부터 분리하면 되므로 전술한 종래 기술의 행거(26)에 비해 행거의 분해 및 조립작업이 대폭 간편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교체가 용이한 언로더용 컨트롤 케이블 행거는 분해 및 조립이 단순하고 용이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컨트롤 케이블의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그 작업시간을 단축시킨다.
이와 같이 작업이 용이해지고 시간이 단축됨으로써 인원과 작업중단시간이 절감되어 효율 및 원가가 감소된다.
또한 컨트롤 케이블의 교체를 위한 행거의 분해 및 조립작업을 단순화됨으로써 행거의 예기치 못한 낙하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이 방지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붐(10)의 레일(24)에 컨트롤 케이블(18)을 건 상태로 상기 레일(24)을 따라 활주 가능한 행거(260)에 있어서,
    상기 레일(24)의 양 측면의 홈 내에 삽입되는 적어도 한 쌍의 대향 롤(360);
    상기 롤(360)을 개재하여 상기 레일(24)에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측의 지지수단(380, 400)에 의해 서로 고정되는 한 쌍의 측판(320A, 320B);
    상기 지지수단(380, 400)에 설치되어 하측으로 연장된 하향판(330); 및
    상기 하향판(330)의 양측에 부착되고, 컨트롤 케이블(18)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적어도 한 쌍의 케이블 받침대(4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케이블 행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케이블(18)을 상기 받침대(44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나사(480)에 의해 상기 받침대(440)에 결합되는 고정용 브래킷(46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케이블 행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재(440)는 용접 또는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하향판(33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케이블 행거.
KR1020020070638A 2002-11-14 2002-11-14 케이블 교체가 용이한 언로더용 컨트롤 케이블 행거 Withdrawn KR200400423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638A KR20040042361A (ko) 2002-11-14 2002-11-14 케이블 교체가 용이한 언로더용 컨트롤 케이블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638A KR20040042361A (ko) 2002-11-14 2002-11-14 케이블 교체가 용이한 언로더용 컨트롤 케이블 행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361A true KR20040042361A (ko) 2004-05-20

Family

ID=37339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638A Withdrawn KR20040042361A (ko) 2002-11-14 2002-11-14 케이블 교체가 용이한 언로더용 컨트롤 케이블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23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949A (ko) * 2017-09-15 2019-03-25 주식회사 포스코 행거 케이블의 꼬임 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949A (ko) * 2017-09-15 2019-03-25 주식회사 포스코 행거 케이블의 꼬임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79308B (zh) 塔式起重机及其平衡臂拉杆结构及该结构的安装方法
US10787327B2 (en) Multi-bar linkage mechanism based conveyor
US4106641A (en) Universal gantry crane
CN209887429U (zh) 一种输油管道安全连接装置
US10773907B2 (en) Method for operating multi-bar linkage mechanism based conveyor
KR20090082391A (ko) 다리형 크레인
CA1174644A (en) Crane boom top plate lateral support
CN113401799A (zh) 一种巨型薄甲板总段的吊装方法
US4756040A (en) Retractable curtain for automatic car washes
CN201901526U (zh) 移动式起重机及其支脚垫板
KR20040042361A (ko) 케이블 교체가 용이한 언로더용 컨트롤 케이블 행거
CN118992859B (zh) 一种施工升降机的吊杆结构
CN102285580A (zh) 一种起重设备
CN109956417A (zh) 断路器装卸平台手车
CN106103333B (zh) 用于移动起重机的悬臂系统以及移动起重机
CN109779271B (zh) 一种建筑工程施工用卸料钢平台
CN217578086U (zh) 一种多线集中布局翻车机厂房内超重件的起升装置
ITTV20130093A1 (it) Telaio multifilo per il taglio di blocchi di materiale lapideo in lastre
CN205662226U (zh) 一种用于加速腔对中安装的吊装装置
RU243893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подъема и подвески грузов на летательный аппарат
JP4975300B2 (ja) 複数のクレーンを用いた吊り上げ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吊り上げ用治具
CN201850091U (zh) 塔式起重机的平衡臂拉杆结构及塔式起重机
CN209740495U (zh) 一种受限空间的设备安装工具
CN101575068A (zh) 一种吊具
CN208251201U (zh) 一种二次吊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