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7640A - 농약 입제 및 농약 제제 - Google Patents

농약 입제 및 농약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7640A
KR20100087640A KR1020100005515A KR20100005515A KR20100087640A KR 20100087640 A KR20100087640 A KR 20100087640A KR 1020100005515 A KR1020100005515 A KR 1020100005515A KR 20100005515 A KR20100005515 A KR 20100005515A KR 20100087640 A KR20100087640 A KR 20100087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esticide
granules
glycol ether
gran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3711B1 (ko
Inventor
사토루 마에다
마사오 오가와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87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7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7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01N25/14Powders or granules wettabl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6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28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 A01N47/36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containing the group >N—CO—N< directly attached to at least one heterocyclic ring; Thio analogue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1-(2-클로로이미다조[1, 2-a]피리딘-3-일술포닐)-3-(4, 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요소, 광물질 담체, 축합인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및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를 함유하는 농약 입제는, 1-(2-클로로이미다조[1, 2-a]피리딘-3-일술포닐)-3-(4, 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요소의 농약 입제에서의 보존 안정성이 우수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약 입제 및 농약 제제{PESTICIDE GRANULES AND PESTICIDE PREPARATION}
본 발명은, 농약 입제에 관한 것이다.
1-(2-클로로이미다조[1, 2-a]피리딘-3-일술포닐)-3-(4, 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요소는, 특허문헌 1에 제초제의 유효성분으로서 기재된 화합물이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소64-38091
본 발명은, 1-(2-클로로이미다조[1, 2-a]피리딘-3-일술포닐)-3-(4, 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요소를 함유하는 농약 입제로서, 1-(2-클로로이미다조[1, 2-a]피리딘-3-일술포닐)-3-(4, 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요소의 농약 입제에서의 보존 안정성이 우수한 농약 입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1-(2-클로로이미다조[1, 2-a]피리딘-3-일술포닐)-3-(4, 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요소, 광물질 담체, 축합인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및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를 함유하는 농약 입제가, 장기 보존 후에도 1-(2-클로로이미다조[1, 2-a]피리딘-3-일술포닐)-3-(4, 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요소의 분해가 적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1] ∼ [8]의 것이다.
[1] 1-(2-클로로이미다조[1, 2-a]피리딘-3-일술포닐)-3-(4, 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요소, 광물질 담체, 축합인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및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를 함유하는 농약 입제.
[2] 농약 입제 전량에 대하여,
1-(2-클로로이미다조[1, 2-a]피리딘-3-일술포닐)-3-(4, 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요소 0.1 ∼ 10 중량%,
광물질 담체 5 ∼ 80 중량%,
축합인산염 0.1 ∼ 15 중량%,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0.1 ∼ 10 중량%
또한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0.1 ∼ 10 중량%를 함유하는 [1]에 기재된 농약 입제.
[3] 광물질 담체가, 탄산칼슘 및 벤토나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1] 또는 [2]에 기재된 농약 입제.
[4] 축합인산염이, 트리폴리인산나트륨인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농약 입제.
[5] 1-(2-클로로이미다조[1, 2-a]피리딘-3-일술포닐)-3-(4, 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요소, 광물질 담체, 축합인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및 디알킬술포호박산에스테르염을 함유하는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농약 입제.
[6] 1-(2-클로로이미다조[1, 2-a]피리딘-3-일술포닐)-3-(4, 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요소, 광물질 담체, 축합인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및 플라스틱 미소 중공체를 함유하는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농약 입제.
[7] 1-(2-클로로이미다조[1, 2-a]피리딘-3-일술포닐)-3-(4, 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요소, 광물질 담체, 축합인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및, 브로모부티드 또는 펜톡사존을 함유하는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농약 입제.
[8] [1]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농약 입제가 수용성 필름에 포장되어 이루어지는 농약제제.
본 발명의 농약 입제는, 장기 보존 후에 있어서의 1-(2-클로로이미다조[1, 2-a]피리딘-3-일술포닐)-3-(4, 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요소의 잔존율이 높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는, 1-(2-클로로이미다조[l, 2-a]피리딘-3-일술포닐)-3-(4, 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요소, 광물질 담체, 축합인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및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를 함유하는 것이다.
1-(2-클로로이미다조[1, 2-a]피리딘-3-일술포닐)-3-(4, 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요소 (이하, 이마조술푸론(imazosulfuron)이라 기재한다.)는, 일반명이 이마조술푸론이다. 이마조술푸론은, 일본국 특개소64-38091호 공보에 제초제의 유효성분으로서 기재된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에는, 이마조술푸론이 본 발명의 농약 입제에 대하여 통상 0.1 ∼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3 ∼ 8 중량% 함유된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에 사용되는 광물질 담체로서는, 예를 들면, 카올리나이트, 딕카이트(dickite), 나크라이트, 할로이사이트(halloysite) 등의 카올린 광물 ; 크리소타일, 리자다이트, 안티고라이트, 에임자이트 등의 사문석 ; 벤토나이트, 사포나이트, 헥토라이트, 소코나이트, 베이델라이트(beidellite) 등의 스멕타이트 ; 파이로필라이트, 탤크, 납석, 백운모, 펜자이트, 세리사이트, 일라이트 등의 운모 ; 크리스토발라이트, 쿼츠 등의 실리카 ; 애타풀자이트, 세피올라이트 등의 함수 규산 마그네슘 ; 돌로마이트, 탄산칼슘 미세 분말 등의 탄산칼슘 ; 깁섬, 석고 등의 황산염 광물 ; 제올라이트, 응회석, 버미큘라이트, 라포나이트, 규조토, 산성 백토, 및 활성 백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에는, 광물질 담체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되어 함유된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에 함유되는 광물질 담체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벤토나이트와 탄산칼슘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벤토나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쿠니겔 V1(쿠니미네 공업사제), 쿠니겔 V2(쿠니미네 공업사제), 쿠니본드(쿠니미네 공업사제), 벤토나이트 호타카(호쥰사제), 벤토나이트 묘기(호쥰사제), 벤토나이트후지(호쥰사제) 및 간사이 벤토나이트(가네산 공업사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에 함유되는 광물질 담체의 양은, 본 발명의 농약 입제에 대하여 통상 5 ∼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 60 중량% 이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에는 상기한 광물질 담체 이외에 또 다른 고체 담체를 함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고체 담체로서는, 예를 들면, 식물질 담체 및 합성 담체를 들 수 있다.
식물질 담체로서는, 예를 들면, 왕겨, 소맥분, 목분, 전분, 쌀겨, 밀기울, 대두분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담체로서는, 예를 들면, 습식법 실리카, 건식법 실리카, 습식법 실리카의 소성품, 표면 개질 실리카, 가공 전분(마츠다니 화학제 파인 플로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에 함유되는 축합인산염이란, 축합인산의 염이다. 축합인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인산, 트리폴리인산 및 피로인산을 들 수 있다. 그 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나트륨염, 칼륨염 등의 알칼리금속염, 및 암모늄염을 들 수 있다. 축합인산염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인산나트륨, 트리폴리인산나트륨, 및 피로인산나트륨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트리폴리인산나트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에 함유되는 축합인산염의 양은, 통상 0.1 ∼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 10 중량% 이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에 함유되는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이란, 탄소수가 1 ∼ 4인 알킬기(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등)에서 1 ∼ 2개 치환된 나프탈렌술폰산 염(예를 들면, 나트륨염 등의 알칼리금속염)이다.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모르웨트 EFW 파우더(Morwet EFW Powder(상품명), 라이온·아쿠조사 : 알킬나프탈렌술폰산나트륨염), 모르웨트 D-425(Morwet D-425(상품명), 및 라이온·아쿠조사 : 알킬나프탈렌술폰산나트륨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에 함유되는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의 양은, 통상 0.1 ∼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 5 중량% 이다.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란, 식
HOCR1R2CC ≡ CCR1R2OH
(식에서, R1, R2, R3, 및 R4는, 수소원자, 알킬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아세틸렌글리콜에 에틸렌옥사이드가 부가 중합되어 이루어지는 화합물이다. 아세틸렌글리콜에 에틸렌옥사이드가 부가되어 있는 에틸렌옥사이드의 양은, 아세틸렌글리콜 1 몰에 대하여 통상 4 ∼ 10 몰이다.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로서는, 예를 들면 포르핀 E1010(닛신화학공업사제,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몰수 : 10 몰), 및 포르핀 E1004(닛신화학공업사제,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몰수 : 4 몰)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에 함유되는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의 양은, 통상 0.1 ∼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 5 중량% 이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에는, 이마조술푸론 이외에, 다른 농약 유효성분이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다른 농약 활성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제초제의 유효성분, 식물 성장 조절제의 유효성분, 살균제의 유효성분, 살충제의 유효성분, 살진드기제의 유효성분, 및 살선충제의 유효성분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에 함유되는 다른 농약 활성성분의 양은, 이마조술푸론과 다른 농약 활성성분의 합계 함유량으로서, 통상 0.1 ∼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 50 중량%이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에 함유할 수 있는 제초제의 유효성분으로서는, 술포닐요소 제초 활성화합물, 카바메이트 제초 활성화합물, 클로로아세트아닐리드 제초 활성화합물, 트리아진 제초 활성화합물, 산아미드 제초 활성화합물, 요소 제초 활성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술포닐요소 제초 활성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벤술푸론메틸, 피라조술푸론에틸, 아짐술푸론, 술포술푸론, 및 프로필리술푸론을 들 수 있다.
카바메이트 제초 활성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디알레이트, 부틸레이트, 트리알레이트, 펜메디팜, 클로로프로팜, 아슈람, 페니소팜, 벤티오카브, 몰리네이트, 에스프로카르브, 피리부티카르브, 디메필레이트 및 스엡(swep)을 들 수 있다.
클로로아세트아닐리드 제초 활성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파클로르, 메타저클로르, 아라클로르, 아세토클로르, 메토라클로르, 부타클로르, 프레틸라클로르, 및 테닐클로르를 들 수 있다.
트리아진 제초 활성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시마진, 아트라진, 프로파진, 시아나진, 아메토린, 시메토린, 디메타메토린, 및 프로메토린을 들 수 있다.
산아미드 제초 활성화합물 또는 요소 제초 활성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이속사벤, 디푸르페니칸, 디우론, 리뉴론, 플루오메튜론(fluometuron), 디페녹스론(difenoxuron), 메틸다임론, 이소프로튜론, 이소우론(isouron), 테부티우론, 메타벤즈티아주론, 프로파닐, 메페나세트, 클로메프롭, 나프로아닐리드, 브로모부티드, 다임론, 쿠밀론(cumyluron) 및 에토벤자니드를 들 수 있다.
또, 그 밖의 제초 활성화합물로서, 벤타존, 트리디판, 인다노판, 아미트롤, 카르펜트라존에틸, 술펜트라존(sulfentrazone), 펜클로라졸에틸, 펜트라자미드, 이속사플루톨, 클로마존, 말레인산 하이드라지드, 피리데이트, 클로리다존, 노르플루라존, 피리티오박, 브로마실, 타바시르, 메트리부진, 옥사클로메폰, 신메티린, 플루미클로락펜틸, 시니돈에틸, 플루미옥사딘, 플루티아세트메틸, 아자페니딘, 벤프레세이트, 옥사디아존, 옥사디알길, 펜톡사존, 시할로포프부틸, 카펜스트롤, 피리미노박메틸, 비스피리박나트륨(bispyribac-sodium), 피리미술판, 피리벤족심, 피리프탈리드, 인다노판, ACN, 벤조비시클론, 디티오필, 다라폰, 클로르티아미드 및 페녹스슬람을 들 수 있다.
식물 성장 조절제의 유효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히멕사졸, 파클로부트라졸, 우니코나졸-P, 이나벤피드, 및 프로헥사디온칼슘을 들 수 있다.
살균제의 유효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할로알킬티오 살균 활성화합물(캡탄 등), 유기인 살균 활성화합물(IBP, EDDP, 톨클로포스메틸 등), 벤즈이미다졸 살균 활성화합물(베노밀, 카르벤다짐, 티오파네이트메틸 등), 카르복시아미드 살균 활성화합물(메프로닐, 플루트라닐, 티플루저미드, 플라메토필, 테크로프타람, 펜시클론, 카르프로파미드, 디클로시메트 등), 아실알라닌 살균 활성화합물(메타락실 등), 아졸 살균 활성화합물(트리플루미졸, 이프코나질(ipconazole), 페푸라조에이트, 프로글로라즈 등), 메톡시아크릴 살균 활성화합물(아족시스트로빈, 메토미노스트로빈 등),항생물질(바리다마이신 A, 브라스트사이진 S, 카스가마이신, 폴리옥신 등), 및 그 밖의 살균 활성화합물(프사라이드, 프로베나졸, 이소프로티오란, 트리시클라졸, 피로퀼론, 페림존, 아시벤조랄 S 메틸, 디클로메딘, 옥소리닉산, 페나진옥시드, TPN, 이프로디온 등)을 들 수 있다.
살충제의 유효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유기인 살충 활성화합물(펜티온, 페니트로티온, 피리미포스메틸, 다이아지온, 크날포스, 이속사티온, 피리다펜티온, 클로르피리포스메틸, 바미드티온, 마라티온, 펜토에이트, 디메토에이트, 디설포톤(disulfoton), 모노크로토포스, 테트라클로르빈포스, 클로르펜빈포스, 프로파포스, 아세페이트, 트리클로르폰, EPN, 피라클로포스 등), 카르바메이트 살충 활성화합물(카르바릴, 메톨카르브, 이소프로카르브, BPMC, 프로폭술, XMC, 카르보푸란, 카르보술판, 벤프라카르브, 프라티오카르브, 메소밀, 티오디카르브 등), 피레스로이드 살충 활성화합물(시클로프로트린, 에토펜프록스 등), 네라이스톡신 살충 활성화합물(카르탑, 벤술탑, 티오시클람 등), 네오니코티노이드 살충 활성화합물(이미다클로프리드, 니텐피람, 아세타미프리드, 티아메톡삼, 티아클로프리드, 디노테프란, 크로티아니딘 등), 부프로페진, 테부페노자이드, 피프로닐 및 에티프롤을 들 수 있다.
살진드기제의 유효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헥시티아족스, 피리다벤, 펜피록시메이트, 테부펜피라드, 클로르페나필, 에톡사졸, 및 피리미디펜을 들 수 있다.
살선충제의 유효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포스티아제이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에 함유되는 다른 농약 활성성분으로서는, 펜톡사존(pentoxazone) 및/또는 부로모부티드(bromobutide)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에는, 부유 조제가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에 부유 조제가 함유됨으로써, 본 발명의 농약 입제를 수면에도 시용하였을 때에, 본 발명의 농약 입제의 수면에서의 부유성이 향상한다. 이와 같은 부유 조제로서는, 예를 들면 무기질 부유 조제 및 유기질 부유 조제를 들 수 있다. 무기질 부유 조제로서는, 예를 들면 중공 유리, 경석 및 파라이트를 들 수 있다. 유기질 부유 조제로서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미소 중공체 그 밖의 발포 합성수지 ; 폴리에틸렌 분말, 폴리프로필렌 분말 등의 합성수지 분말 ; 파라핀왁스 ; 왁스에스테르 ; 콜크 및 목분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에서는, 플라스틱 미소 중공체 및 중공 유리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플라스틱 미소 중공체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비닐리덴-아크릴로니트릴수지, 아크릴로니트릴수지, 및 아크릴수지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에 함유될 수 있는 부유 조제의 평균 입자지름은, 체적 중위지름(Volume Median Diameter)이 통상 0.1 ∼ 1000 ㎛, 바람직하게는 1 ∼ 500 ㎛ 이다.
플라스틱 미소 중공체는 시판되고 있다. 시판되고 있는 플라스틱 미소 중공체로서는, 예를 들면 마츠모토 마이크로스페어F-30E(상품명 ; 평균 입자지름이 30∼ 6O ㎛인 염화비닐리덴-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미소 중공체 ; 미소 중공체 10 중량%와 물 90 중량%의 혼합물로서 판매되고 있다 ; 마츠모토 유지 제약사제),및 마츠모토 마이크로스페어F-80E(상품명 ; 평균 입자지름이 90 ∼ 110 ㎛인 염화비닐리덴-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 미소 중공체 ; 미소 중공체 15 중량%와 물 85 중량%의 혼합물로서 판매되고 있다 ; 마츠모토 유지 제약사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가 부유 조제를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본 발명의 농약 입제에 대하여 통상 1 ∼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 40 중량%이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에는, 계면활성제가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에 계면활성제가 함유됨으로써, 본 발명의 농약 입제의 제조성의 향상, 시용시의 본 발명의 농약 입제의 붕괴성, 및 시용시의 본 발명의 농약 입제의 확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에 함유시킬 수 있는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카르본산 계면활성제, 및 디알킬술포호박산 에스테르염을 들 수 있다.
폴리카르본산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말레인산과 스틸렌술폰산과의 공중합물 ; 이소부틸렌 또는 디이소부틸렌과 말레인산과의 공중합물 ; 말레인산과 아크릴산과의 공중합물 ; 아크릴산의 중합물 ; 및 그것들의 염을 들 수 있다. 이 경우의 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나트륨염, 칼륨염 등의 알칼리금속염 ; 칼슘염, 마그네슘염 등의 알칼리토류 금속염 ; 및 암모늄염을 들 수 있다. 폴리카르본산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말레인산-아크릴산 공중합체의 나트륨염을 들 수 있다. 폴리카르본산 계면활성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톡사논GR-31A(산요화성공업사제, 폴리카르본산나트륨염), 톡사논GR-30(산요화성공업사제, 폴리카르본산나트륨염), 및 뉴카르겐WG-5(다케모토 유지사제, 폴리카르본산나트륨염)을 들 수 있다. 폴리카르본산 계면활성제가 본 발명의 농약 입제에 함유되는 경우, 그 함유량은, 본 발명의 농약 입제에 대하여 통상 0.1 ∼ 10 중량% 이다.
디알킬술포호박산에스테르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디알킬술포호박산에스테르염으로서 호박산 구조의 2개의 카르복실기가 각각 직쇄 또는 분기 C6-C10 포화알콜로 에스테르화된 것을 들 수 있다. 그 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나트륨염을 들 수 있다. 디알킬술포호박산에스테르염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네오콜 SW-CP(상품명 ; 디-2-에틸헥실술포호박산에스테르나트륨염 ; 다이이치 공업 제약사제), 네오콜 YSK(상품명 ; 디-2-에틸헥실술포호박산에스테르나트륨염 ; 다이이치 공업 제약사제), 뉴카르겐 EP-60P(상품명 ; 다케모토 유지사제), 뉴카르겐 EP-70G (상품명 ; 타케모토 유지사제), 뉴카르겐 EX-70(상품명 ; 다케모토 유지사제), 에어롤 CT-1(상품명 ; 도호 화학사제), 산모린 OT-70(상품명 ; 산요화성공업사제), 및 DOS-75P(상품명 ; 니혼 유지사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에 디알킬술포호박산에스테르염이 본 발명의 농약 입제에 함유되는 경우, 함유량은, 본 발명의 농약 입제에 대하여 통상 0.1 ∼ 10 중량% 정도이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에는 결합제가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결합제로서는, 예를 들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염 등의 셀룰로스 유도체 ; 및 알긴산나트륨, 크산탄감, 아라비아감 등의 수용성 고분자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결합제가 본 발명의 농약 입제에 함유되는 경우, 함유량은, 본 발명의 농약 입제에 대하여 통상 0.1 ∼ 10 중량% 이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에는, 필요에 따라 방부제, 조립성(造粒性) 향상제, 붕괴제, 용제, 안정화제 및 착색료의 첨가제가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는,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1) 이마조술푸론, 광물질 담체, 축합인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및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및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농약 입제에 함유되는 임의의 성분을 혼합한다.
(2) 이 혼합물에 적량(혼합물 전량에 대하여 통상 3 ∼ 50 중량%)의 물을 가하여 혼련한다.
(3) 얻어진 혼련물을 조립한다.
(4) 얻어진 조립물을 건조하여, 필요에 따라 해쇄, 사분(sift), 정립(整粒) 등을 행한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를 제제(製劑)할 때의 조립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압출조립법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를 제제할 때의 압출 조립에서는, 통상 0.5 ∼ 5.0 mmφ, 바람직하게는 0.7 ∼ 2.0 mmφ의 스크린이 사용된다. 압출 조립에 의해 얻어지는 입자는, 통상 30 ∼ 90℃ 바람직하게는 30 ∼ 80℃에서 건조된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의 입자 길이는, 통상 0.5 ∼ 10.0 mm, 바람직하게는 0.7 ∼ 7.0 mm 정도이다. 여기서 입자 길이란, 입자가 취할 수 있는 최대 길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를 제조할 때에, (2)의 혼련공정에서 사용되는 연합기로서는, 예를 들면, 바티컬그래뉼레이터, 하이스피드믹서, 니더, 나우터믹서 및 레디게믹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를 제조할 때에, (3)의 조립공정에서 사용되는 조립기로서는, 예를 들면 스크류형 압출 조립기, 롤형 압출 조립기, 디스크펠레터형 압출 조립기, 펠렛밀형 압출 조립기, 바스킷형 압출 조립기, 플레이드형 압출 조립기, 오시레이팅형 압출 조립기, 기어식 압출 조립기, 및 링다이스식 압출 조립기를 들 수 있다. 조립기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트윈·돔그란(후지파우달사제) 및 싱글·돔그란(후지파우달사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는, 통상의 농약 입제와 마찬가지로 수동 살포, 기계 살포에 의하여 논, 밭 등의 시용 장소에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는, 본 발명의 농약 입제를 수용성 필름에 포장한 농약제제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가 포장된 농약제제는, 논두렁에서 논에 투입함으로써, 수용성 필름이 용해되어, 본 발명의 농약 입제가 논으로 확산되는 처리방법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가 외관 비중이 0.2 ∼ 0.6 g/㎤인 경우, 본 발명의 농약 입제가 수면으로 부유하기 쉬워진다. 이 결과, 농약 활성성분을 논 전체로 확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의 외관 비중은 본 발명의 농약 입제에 부유 조제를 함유시킴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를 포장하는 수용성 필름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콜 또는 그 유도체 ; 풀루란(pullulan) ;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염 등의 수용성의 셀룰로스 유도체 ; 및 폴리옥시에틸렌옥사이드 또는 그 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를 수용성 필름으로 포장하는 경우, 본 발명의 농약 입제의 포장량은, 1포당 통상 10 ∼ 200 g, 바람직하게는 10 ∼ 100 g이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는, 시용장소 10000 ㎡당 이마조술푸론이 통상 1 ∼ 8000 그램, 바람직하게는 10 ∼ 5000 그램의 비율로 시용된다.
본 발명의 농약 입제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형태를 들 수 있다.
이마조술푸론 0.1 ∼ 10 중량%, 광물질 담체 5 ∼ 80 중량%, 축합인산염 0.l ∼ 15 중량%,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0.1 ∼ 1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0.1 ∼ 10 중량%를 함유하는 농약 입제.
이마조술푸론 0.1 ∼ 10 중량%, 탄산칼슘과 벤토나이트의 합계량 5 ∼ 80 중량%, 축합인산염 0.1 ∼ 15 중량%,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0.1 ∼ 1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0.1 ∼ 10 중량%를 함유하는 농약 입제.
이마조술푸론 0.1 ∼ 10 중량%, 광물질 담체 5 ∼ 80 중량%, 트리폴리인산나트륨 0.1 ∼ 15 중량%,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0.1 ∼ 1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0.1 ∼ 10 중량%를 함유하는 농약 입제.
이마조술푸론 0.1 ∼ 10 중량%, 탄산칼슘과 벤토나이트의 합계량 5 ∼ 80 중량%, 트리폴리인산나트륨 0.1 ∼ 15 중량%,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0.1 ∼ 1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0.1 ∼ 10 중량%를 함유하는 농약 입제.
이마조술푸론 0.1 ∼ 10 중량%, 광물질 담체 5 ∼ 80 중량%, 축합인산염 0.1 ∼ 15 중량%,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0.1 ∼ 1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0.1 ∼ 10 중량%, 디알킬술포호박산에스테르염 0.1 ∼ 10 중량%를 함유하는 농약 입제.
이마조술푸론 0.1 ∼ 10 중량%, 광물질 담체 5 ∼ 80 중량%, 축합인산염 0.1 ∼ 15 중량%,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0.1 ∼ 1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0.1 ∼ 10 중량%, 플라스틱 미소 중공체 1 ∼ 50 중량%를 함유하는 농약 입제.
이마조술푸론과 브로모부티드 및/또는 펜톡사존의 합계량 0.1 ∼ 80 중량%, 광물질 담체 5 ∼ 80 중량%, 축합인산염 0.1 ∼ 15 중량%,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0.1 ∼ 1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0.1 ∼ 10 중량%를 함유하는 농약 입제.
이마조술푸론 0.1 ∼ 10 중량%, 탄산칼슘과 벤토나이트의 합계량 5 ∼ 80 중량%, 축합인산염 0.1 ∼ 15 중량%,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0.1 ∼ 1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0.1 ∼ 10 중량%, 디알킬술포호박산에스테르염 0.1∼ 10 중량%를 함유하는 농약 입제.
이마조술푸론 0.1 ∼ 10 중량%, 광물질 담체 5 ∼ 80 중량%, 트리폴리인산나트륨 0.1 ∼ 15 중량%,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0.1 ∼ 1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0.1 ∼ 10 중량%, 디알킬술포호박산에스테르염 0.1 ∼ 10 중량%를 함유하는 농약 입제.
이마조술푸론 0.1 ∼ 10 중량%, 탄산칼슘과 벤토나이트의 합계량 5 ∼ 80 중량%, 트리폴리인산나트륨 0.1 ∼ 15 중량%,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0.1 ∼ 1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0.1 ∼ 10 중량%, 디알킬술포호박산에스테르염 0.1 ∼ 10 중량%를 함유하는 농약 입제.
이마조술푸론 0.1 ∼ 10 중량%, 탄산칼슘과 벤토나이트의 합계량 5 ∼ 80 중량%, 축합인산염 0.1 ∼ 15 중량%,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0.1 ∼ 1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0.1 ∼ 10 중량%, 플라스틱 미소 중공체 1 ∼ 50 중량%를 함유하는 농약 입제.
이마조술푸론 0.1 ∼ 10 중량%, 광물질 담체 5 ∼ 80 중량%, 트리폴리인산나트륨 0.1 ∼ 15 중량%,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0.1 ∼ 1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0.1 ∼ 10 중량%, 플라스틱 미소 중공체 1 ∼ 50 중량%를 함유하는 농약 입제.
이마조술푸론 0.1 ∼ 10 중량%, 탄산칼슘과 벤토나이트의 합계량 5 ∼ 80 중량%, 트리폴리인산나트륨 0.1 ∼ 15 중량%,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0.1 ∼ 1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0.1 ∼ 10 중량%, 플라스틱 미소 중공체 1 ∼ 50 중량%를 함유하는 농약 입제.
이마조술푸론과 브로모부티드 및/또는 펜톡사존의 합계량 0.1 ∼ 80 중량%, 탄산칼슘과 벤토나이트의 합계량 5 ∼ 80 중량%, 축합인산염 0.1 ∼ 15 중량%,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0.1 ∼ 1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0.1 ∼ 10 중량%를 함유하는 농약 입제.
이마조술푸론과 브로모티드 및/또는 펜톡사존의 합계량 0.1 ∼ 80 중량%, 광물질 담체 5 ∼ 80 중량%, 트리폴리인산나트륨 0.1 ∼ 15 중량%,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0.1 ∼ 1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0.1 ∼ 10 중량%를 함유하는 농약 입제.
이마조술푸론과 브로모부티드 및/또는 펜톡사존의 합계량 0.1 ∼ 80 중량%, 탄산칼슘과 벤토나이트의 합계량 5∼80 중량%, 트리폴리인산나트륨 0.1 ∼ 15 중량%,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0.1 ∼ 1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0.1 ∼ 10 중량%를 함유하는 농약 입제.
이마조술푸론 0.3 ∼ 8 중량%, 광물질 담체 10 ∼ 60 중량%, 축합인산염 1 ∼ 10 중량%,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1 ∼ 5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1 ∼ 5 중량%를 함유하는 농약 입제.
이마조술푸론 0.3 ∼ 8 중량%, 탄산칼슘과 벤토나이트의 합계량 10 ∼ 60 중량%, 축합인산염 1 ∼ 10 중량%,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1 ∼ 5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1 ∼ 5 중량%를 함유하는 농약 입제.
이마조술푸론 0.3 ∼ 8 중량%, 광물질 담체 10 ∼ 60 중량%, 트리폴리인산나트륨 1 ∼ 10 중량%,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1 ∼ 5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1 ∼ 5 중량%를 함유하는 농약 입제.
이마조술푸론 0.3 ∼ 8 중량%, 탄산칼슘과 벤토나이트의 합계량 10 ∼ 60 중량%, 트리폴리인산나트륨 1 ∼ 10 중량%,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1 ∼ 5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1 ∼ 5 중량%를 함유하는 농약 입제.
이마조술푸론 0.3 ∼ 8 중량%, 광물질 담체 10 ∼ 60 중량%, 축합인산염 1 ∼ 10 중량%,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1 ∼ 5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1 ∼ 5 중량%, 디알킬술포호박산에스테르염 0.1 ∼ 10 중량%를 함유하는 농약 입제.
이마조술푸론 0.3 ∼ 8 중량%, 광물질 담체 10 ∼ 60 중량%, 축합인산염 1 ∼ 10 중량%,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1 ∼ 5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1 ∼ 5 중량%, 플라스틱 미소 중공체 5 ∼ 40 중량%를 함유하는 농약 입제.
이마조술푸론과 브로모부티드 및/또는 펜톡사존의 합계량 1 ∼ 50 중량%, 광물질 담체 10 ∼ 60 중량%, 축합인산염 1 ∼ 10 중량%,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1 ∼ 5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1 ∼ 5 중량%를 함유하는 농약 입제.
이마조술푸론 0.3 ∼ 8 중량%, 탄산칼슘과 벤토나이트의 합계량 10 ∼ 60 중량%, 축합인산염 1 ∼ 10 중량%,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1 ∼ 5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1 ∼ 5 중량%, 디알킬술포호박산에스테르염 0.1 ∼ 10 중량%를 함유하는 농약 입제.
이마조술푸론 0.3 ∼ 8 중량%, 광물질 담체 10 ∼ 60 중량%, 트리폴리인산나트륨 1 ∼ 10 중량%,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1 ∼ 5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1 ∼ 5 중량%, 디알킬술포호박산에스테르염 0.1 ∼ 10 중량%를 함유하는 농약 입제.
이마조술푸론 0.3 ∼ 8 중량%, 탄산칼슘과 벤토나이트의 합계량 10 ∼ 60 중량%, 트리폴리인산나트륨 1 ∼ 10 중량%,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1 ∼ 5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1 ∼ 5 중량%, 디알킬술포호박산에스테르염 0.1 ∼ 10 중량%를 함유하는 농약 입제.
이마조술푸론 0.3 ∼ 8 중량%, 탄산칼슘과 벤토나이트의 합계량 10 ∼ 60 중량%, 축합인산염 1 ∼ 10 중량%,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1 ∼ 5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1 ∼ 5 중량%, 플라스틱 미소 중공체 5 ∼ 40 중량%를 함유하는 농약 입제.
이마조술푸론 0.3 ∼ 8 중량%, 광물질 담체 10 ∼ 60 중량%, 트리폴리인산나트륨 1 ∼ 10 중량%,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1 ∼ 5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1 ∼ 5 중량%, 플라스틱 미소 중공체 5 ∼ 40 중량%를 함유하는 농약 입제.
이마조술푸론 0.3 ∼ 8 중량%, 탄산칼슘과 벤토나이트의 합계량 10 ∼ 60 중량%, 트리폴리인산나트륨 1 ∼ 10 중량%,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1 ∼ 5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1 ∼ 5 중량%, 플라스틱 미소 중공체 5 ∼ 40 중량%를 함유하는 농약 입제.
이마조술푸론과 브로모부티드 및/또는 펜톡사존의 합계량 1 ∼ 50 중량%, 탄산칼슘과 벤토나이트의 합계량 10 ∼ 60 중량%, 축합인산염 1 ∼ 10 중량%,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1 ∼ 5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1 ∼ 5 중량%를 함유하는 농약 입제.
이마조술푸론과 브로모부티드 및/또는 펜톡사존의 합계량 1 ∼ 50 중량%, 광물질 담체 10 ∼ 60 중량%, 트리폴리인산나트륨 1 ∼ 10 중량%,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1 ∼ 5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1 ∼ 5 중량%를 함유하는 농약 입제.
이마조술푸론과 브로모부티드 및/또는 펜톡사존의 합계량 1 ∼ 50 중량%, 탄산칼슘과 벤토나이트의 합계량 10 ∼ 60 중량%, 트리폴리인산나트륨 1 ∼ 10 중량%,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1 ∼ 5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1 ∼ 5 중량%를 함유하는 농약 입제.
이마조술푸론 1 ∼ 5 중량%, 탄산칼슘과 벤토나이트의 합계량 40 ∼ 80 중량%, 트리폴리인산나트륨 3 ∼ 7 중량%,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1 ∼ 5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1 ∼ 5 중량%, 플라스틱 미소 중공체 1 ∼ 5 중량%를 함유하는 농약 입제.
이마조술푸론과 브로모부티드 및/또는 펜톡사존의 합계량 30 ∼ 40 중량%, 탄산칼슘과 벤토나이트의 합계량 40 ∼ 50 중량%, 트리폴리인산나트륨 3 ∼ 7 중량%, 일킬나프탈렌술폰산염 1 ∼ 5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1 ∼ 5 중량%, 플라스틱 미소 중공체 1 ∼ 5 중량%를 함유하는 농약 입제.
이마조술푸론 1 ∼ 5 중량%와 브로모부티드 및/또는 펜톡사존의 합계량 30 ∼ 35 중량%, 탄산칼슘과 벤토나이트의 합계량 40 ~ 50 중량%, 트리폴리인산나트륨3 ∼ 7 중량%,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1 ∼ 5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1 ∼ 5 중량%, 플라스틱 미소 중공체 1 ∼ 5 중량%를 함유하는 농약 입제.
(실시예)
이하, 제조예 및 시험예 등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조예 및 참고 제조예를 나타낸다. 또한, 부(部)란 중량부를 나타낸다.
(제조예 1)
이마조술푸론 2.25부, 브로모부티드와 벤토나이트 묘기(호쥰사제 벤토나이트)의 75 : 25(중량비)의 혼합물 30부, 펜톡사존과 탄산칼슘의 50 : 50(중량비)의 혼합물 19.5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셀로겐7A, 다이이치공업제약사제) 3부, 트리폴리인산나트륨(시모노세키 미츠이화학사제) 5부, 마츠모토 마이크로스페어F-30E(평균 입자지름이 30 ∼ 60 ㎛인 염화비닐리덴-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에서 생긴 미소 중공체 10 중량%와 물 90 중량%의 혼합물, 마츠모토유지제약사제) 18부, 벤토나이트(쿠니겔 V1, 쿠니미네 공업사제) 2.5부, 및 탄산칼슘(도기타탄칼 #250, 도와석회공업사제) 25.45부를 버티컬그래뉼레이터(FM-VG-05형, 파우렉사제)에 넣고 혼합하였다.
여기에, 알킬나프탈렌술폰산나트륨(MORWET EFW POWDER, 라이온·아그조사제) 3부와 물 4부로 이루어지는 수용액, 폴리카르본산나트륨(톡사논 GR-31A, 산요화성공업사제) 2부,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디올(올핀E1010, 닛신화학공업사제) 3부, 디알킬술포호박산에스테르나트륨(네오콜 SW-CP, 다이이치공업제약사제) 2.5부 및 물 1.5부의 혼합물을 가하였다. 이들 혼합물을, 버티컬 그래뉼레이터로 혼련하였다.
얻어진 혼련물을 1.5 mmφ의 스크린을 장착하여 바스킷 조립기(RG-5M형, 기쿠스이 제작소사제)로 압출 조립하였다. 얻어진 조립물을 정립하고, 이어서 건조기(MIDGET-DRYER MD-B-400형, 후지전기공업사제)를 사용하여 60℃의 공기를 송풍하여 건조시키고, 농약 입제(이하, 본 발명 입제 1이라 기재한다.)를 얻었다.
(제조예 2)
이마조술푸론 2.25부,
브로모부티드와 벤토나이트 묘기(호쥰사제 벤토나이트)의 75 : 25(중량비)의 혼합분말)의 혼합물 30부, 펜톡사존과 탄산칼슘의 50 : 50(중량비)의 혼합물 19.5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셀로겐 7A, 다이이치공업제약사제) 3부, 트리폴리인산나트륨(시모노세키 미츠이화학사제) 5부, 마츠모토 마이크로스페어F-30E(평균 입자지름이 30 ∼ 60 ㎛인 염화비닐리덴-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에서 생긴 미소 중공체 10 중량%와 물 90 중량%의 혼합물, 마츠모토 유지제약사제) 18부, 벤토나이트(쿠니겔 V1, 쿠니미네 공업사제) 2.5부 및 탄산칼슘(도기타 탄칼#250, 도와 석회공업사제) 27.95부를 버티컬 그래뉼레이터(FM-VG-05형, 파우렉사제)에 넣고 혼합하였다.
여기에, 알킬나프탈렌술폰산나트륨(MORWET EFW POWDER, 라이온·아그조사제) 3부와 물 4부로 이루어지는 수용액, 폴리카르본산나트륨(톡사논 GR-31A, 산요화성공업사제) 2부,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디올(올핀 E1010, 닛신화학공업사제) 3부, 및 물 5.5부의 혼합물을 가하였다. 이들 혼합물을 버티컬 그래뉼레이터로 혼련하였다.
얻어진 혼련물을 1.5 mmφ의 스크린을 장착한 바스킷 조립기(RG-5M형, 기쿠스이 제작소사제)로 압출 조립하였다. 얻어진 조립기를 정립하고, 이어서 건조기(MID GET-DRYER MD-B-400형, 후지전기공업사제)를 사용하여 60℃의 공기를 송풍하여 건조시켜, 농약 입제(이하, 본 발명 입제 2라고 기재한다.)를 얻었다.
(참고 제조예 1)
이마조술푸론 2.25부,
브로모부티드와 벤토나이트 묘기(호쥰사제 벤토나이트)의 75 : 25(중량비)의 혼합물 30부, 펜톡사존과 탄산칼슘의 50 : 50(중량비)의 혼합물 19.5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셀로겐 7A, 다이이치공업제약사제) 3부, 트리폴리인산나트륨(시모노세키 미츠이화학사제) 5부, 마츠모토 마이크로스페어F-30E(평균 입자지름이 30 ∼ 60 ㎛인 염화비닐리덴-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으로 생긴 미소 중공체 10 중량%와 물 90 중량%의 혼합물, 마츠모토유지제약사제) 18부, 벤토나이트(쿠니겔 V1, 쿠니미네 공업사제) 2.5부 및 탄산칼슘(도기타 탄칼 #250, 도와 석회 공업사제) 28.45부를 버티컬 그래뉼레이터(FM-VG-05형, 파우렉사제)에 넣고 혼합하였다.
여기에, 폴리카르본산나트륨(톡사논 GR-31A, 산요화성공업사제) 2부,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디올(올핀 E1010, 닛신화학공업사제) 3부, 디알킬술포호박산에스테르나트륨(네오콜 SW-CP, 다이이치공업제약사제) 2.5부 및 물 5.5부의 혼합물을 가하였다. 이들 혼합물을 버티컬 그래뉼레이터로 혼련하였다.
얻어진 혼련물을 1.5 mmφ의 스크린을 장착한 바스킷 조립기(RG-5M형, 기쿠스이 제작소사제)로 압출 조립하였다. 얻어진 조립물을 정립하고, 이어서 건조기(MIDGET-DRYER MD-B-400형, 후지전기공업사제)를 사용하여 60℃의 공기를 송풍하여 건조시켜, 농약 입제(이하, 대조 입제 1이라 기재한다.)를 얻었다.
(참고 제조예 2)
이마조술푸론 2.25부,
브로모부티드와 벤토나이트 묘기(호쥰사제 벤토나이트)의 75 : 25(중량비)의 혼합물 30부, 펜톡사존과 탄산칼슘의 50 : 50(중량비)의 혼합물 19.5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셀로겐 7A, 다이이치공업제약사제) 3부, 트리폴리인산나트륨(시모노세키 미츠이화학사제) 5부, 마츠모토 마이크로스페어F-30E(평균 입자지름이 30 ∼ 60 ㎛인 염화비닐리덴-아크릴로니트릴공중합으로 생긴 미소 중공체 10 중량%와 물 90 중량%의 혼합물, 마츠모토유지제약사제) 18부, 벤토나이트(쿠니겔 V1,쿠니미네 공업사제) 2.5부 및 탄산칼슘(도기타 탄칼 #250, 도와 석회 공업사제) 25.45부를 버티컬 그래뉼레이터(FM-VG-05형, 파우렉사제)에 넣고 혼합하였다.
여기에, 폴리카르본산나트륨(톡사논 GR-31A, 산요화성공업사제) 2부,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디올(올핀 E1010, 닛신화학공업사제) 3부, 디알킬술포호박산에스테르나트륨(네오콜 SW-CP, 다이이치공업제약사제) 2.5부, 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뉴카르겐 A-41-B, 다케모토 유지사제) 3부 및 물 5.5부의 혼합물을 가하였다. 이들 혼합물을, 버티컬 그래뉼레이터로 혼련하였다.
얻어진 혼련물을 1.5 mmφ의 스크린을 장착한 바스킷 조립기(RG-5M형, 기쿠스이 제작소사제)로 압출 조립하였다. 얻어진 조립물을 정립하고, 이어서 건조기(MIDGET-DRYER MD-B-400형, 후지전기공업사제)를 사용하여 60℃의 공기를 송풍하여 건조시켜, 농약 입제(이하, 대조 입제 2라고 기재한다.)를 얻었다.
다음에 시험예를 나타낸다.
(시험예 1)
본 발명 입제 1
약 40 g을 폴리비닐알콜필름(VF-HP#4000, 크라레사제)에 포장하였다. 이 농약제제 1을 포장한 자루를, 다시 알루미라미네이트 자루에 봉입하였다. 이 알루미라미네이트된 자루를 40℃에서 4개월간 보존하였다. 그 후, 알루미라미네이트 자루 및 수용성 필름 자루를 개봉하였다. 보존 후의 본 발명 입제 1에 함유되는 이마조술푸론의 함유량을 측정하였다.
본 발명 입제 1 대신에 대조 입제 1 및 대조 입제 2를 사용하여, 동일한 조작을 행하였다.
식 (1)에 의해 이마조술푸론의 잔존율을 구하였다.
[식 1]
잔존율(%) = 100 ×(보존 후의 입제 중의 이마조술푸론 함유량) / (보존 전의 입제 중의 이마조술푸론 함유량)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이마조술푸론의 잔존율(%)
본 발명 입제 1 100
대조 입제 1 83
대조 입제 2 94
(실험예 2)
1L의 3도 경수(염화칼슘 47.4 mg 및 염화마그네슘 6수화물 21.7 mg을 물에 용해하여 1L로 한 것)(12℃)가 들어 간 용량 1L의 비커(내경 : 10.5 cm)의 수면에, 입자 길이가 약 3 mm인 입제 10립을 조용히 넣었다. 30분 후에 공시 입제의 수면에서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결과는 이하의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수면 붕괴성의 평가]
+++ : 입제에 유래하는 응집물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 : 입제에 유래하는 응집물이 약간 존재한다
+ : 입제에 유래하는 응집물이 많이 존재한다
- : 입제가 거의 붕괴되지 않고 존재한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공시 입제 수면 붕괴성의 평가
본 발명 입제 1 +++
본 발명 입제 2 ++
본 발명의 농약 입제는, 농약 입제 중의 이마조술푸론의 보존 안정성이 우수한 것이다.

Claims (8)

1-(2-클로로이미다조[1, 2-a]피리딘-3-일술포닐)-3-(4, 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요소, 광물질 담체, 축합인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및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입제.
제 1항에 있어서,
농약 입제 전량에 대하여,
1-(2-클로로이미다조[1, 2-a]피리딘-3-일술포닐)-3-(4, 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요소 0.1 ∼ 10 중량%,
광물질 담체 5 ∼ 80 중량%,
축합인산염 0.1 ∼ 15 중량%,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0.1 ∼ 10 중량%
또한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0.1 ∼ 1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입제.
제 1항에 있어서,
광물질 담체가, 탄산칼슘 및 벤토나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입제.
제 1항에 있어서,
축합인산염이, 트리폴리인산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입제.
제 1항에 있어서,
1-(2-클로로이미다조[1, 2-a]피리딘-3-일술포닐)-3-(4, 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요소, 광물질 담체, 축합인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및 디알킬술포호박산에스테르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입제.
제 1항에 있어서,
1-(2-클로로이미다조[1, 2-a]피리딘-3-일술포닐)-3-(4, 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요소, 광물질 담체, 축합인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및 플라스틱 미소 중공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입제.
제 1항에 있어서,
1-(2-클로로이미다조[1, 2-a]피리딘-3-일술포닐)-3-(4, 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요소, 광물질 담체, 축합인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 및, 브로모부티드 또는 펜톡사존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입제.
제 1항에 기재된 농약 입제가 수용성 필름에 포장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제제.
KR1020100005515A 2009-01-28 2010-01-21 농약 입제 및 농약 제제 KR1016537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16426A JP5233698B2 (ja) 2009-01-28 2009-01-28 農薬粒剤
JPJP-P-2009-016426 2009-0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640A true KR20100087640A (ko) 2010-08-05
KR101653711B1 KR101653711B1 (ko) 2016-09-02

Family

ID=42705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515A KR101653711B1 (ko) 2009-01-28 2010-01-21 농약 입제 및 농약 제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233698B2 (ko)
KR (1) KR10165371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5202A (ja) * 1985-12-27 1987-07-10 Kumiai Chem Ind Co Ltd 除草粒剤組成物
JPH08225416A (ja) * 1994-12-22 1996-09-03 Takeda Chem Ind Ltd 安定化された農薬組成物
JP2000044411A (ja) * 1998-07-30 2000-02-15 Takeda Chem Ind Ltd 安定化された農薬固形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5507A (ja) * 1994-07-11 1995-06-27 Takeda Chem Ind Ltd 農薬粒剤
PE20001522A1 (es) * 1999-02-11 2000-12-29 American Cyanamid Co Composiciones extruidas livianas que contienen un portador ceramico liviano extruible, metodos de uso de las mismas y procesos para su preparacion
JP4623783B2 (ja) * 1999-10-19 2011-02-02 住友化学株式会社 農薬固形製剤
JP4919663B2 (ja) * 2003-09-26 2012-04-18 クミアイ化学工業株式会社 粒状農薬製剤
JP5137349B2 (ja) * 2005-08-10 2013-02-06 石原産業株式会社 水性懸濁状除草組成物
JP2008074836A (ja) * 2006-08-24 2008-04-03 Nissan Chem Ind Ltd 農業用水面施用粒状組成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5202A (ja) * 1985-12-27 1987-07-10 Kumiai Chem Ind Co Ltd 除草粒剤組成物
JPH08225416A (ja) * 1994-12-22 1996-09-03 Takeda Chem Ind Ltd 安定化された農薬組成物
JP2000044411A (ja) * 1998-07-30 2000-02-15 Takeda Chem Ind Ltd 安定化された農薬固形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3711B1 (ko) 2016-09-02
JP2010173952A (ja) 2010-08-12
JP5233698B2 (ja) 201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88778B2 (ja) 放出制御される粒状物および該粒状物を含む固型農薬製剤
JPWO2004036994A1 (ja) 水和性顆粒剤よりなる農園芸用粒状組成物
JP5709343B2 (ja) 水面浮遊性農薬粒状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水田処理用袋状農薬製剤
KR100831028B1 (ko) 입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3257952B2 (ja) 貯蔵安定性の向上した農薬粒剤およびその製法
CA2730199A1 (en) Method of manufacture of sustained-release formulation composition
CZ69394A3 (en) Process for preparing herbicidal granulated articles
EP1498030B1 (en) Granular agricultural-chemical composition
KR20090082109A (ko) 농약입제의 제조 방법
JP4216363B2 (ja) 成分が安定化された固体農薬組成物
KR20100087640A (ko) 농약 입제 및 농약 제제
JP6112290B2 (ja) 安定化される農薬組成物
KR101130503B1 (ko) 입상 농약제제
JP2011001361A (ja) 農薬粒剤
JP4919662B2 (ja) 均一拡散性粒状農薬製剤
KR102078887B1 (ko) 수면 부유성 과립 살충제, 및 이것을 함유하는 파우치형 농약 제제
KR20080110503A (ko) 과립형 농약 조성물
JPH06128102A (ja) 農業用粒状水和剤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法
JP4421309B2 (ja) 農園芸用顆粒水和剤
JPH08277201A (ja) 改良された農薬製剤
JP2000053501A (ja) 無水硫酸ナトリウム含有粒状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法
JP6923838B2 (ja) 安定化される農薬組成物
JP2003081704A (ja) 固体農薬組成物
JP2020007249A (ja) 安定化された固形状農薬組成物
JP2010116420A (ja) 農薬固形製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