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1508A - 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1508A
KR20100081508A KR20090000790A KR20090000790A KR20100081508A KR 20100081508 A KR20100081508 A KR 20100081508A KR 20090000790 A KR20090000790 A KR 20090000790A KR 20090000790 A KR20090000790 A KR 20090000790A KR 20100081508 A KR20100081508 A KR 20100081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vex portion
battery module
cap plate
conv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00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5834B1 (ko
Inventor
김성배
김용삼
한대원
변상원
안병규
Original Assignee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90000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5834B1/ko
Priority to EP20090180829 priority patent/EP2204863B1/en
Priority to AT09180829T priority patent/ATE537570T1/de
Priority to JP2010000159A priority patent/JP5208976B2/ja
Priority to US12/652,022 priority patent/US9136520B2/en
Priority to CN201010003006.6A priority patent/CN101841056B/zh
Publication of KR20100081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1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5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5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7Protection against reversal of polar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6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30Preventing polarity revers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지 모듈은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접촉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제2 단자와 구별될 수 있도록 요부 또는 철부로 이루어진 구별부를 갖는 이차 전지들, 및 상기 이차 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이웃하는 이차 전지들의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에 고정되고, 상기 구별부와 끼움 결합되는 확인부를 갖는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이차 전지, 연결부재, 확인부, 구별부, 요부, 철부

Description

전지 모듈{BATTERY MODULE}
본 발명은 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차 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조를 개선한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저용량의 이차 전지는 휴대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이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대용량 전지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고에너지 밀도의 비수전해액을 이용한 고출력 이차 전지가 개발되고 있으며, 상기한 고출력 이차 전지는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컨대,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에 사용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이차 전지를 직렬로 연결하여 대용량의 이차 전지로 구성된다.
또한, 하나의 대용량 이차 전지는 통상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이차 전지로 이루어지며, 이차 전지는 원통형과 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형 이차 전지는 양극과 음극이 세퍼레이터(separator)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군과 전극군이 내장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 케이스를 밀폐하며 전 극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 홀이 형성된 캡 플레이트, 전극군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단자 홀에 삽입되어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극 단자를 포함한다.
전극 단자는 너트에 의하여 캡 플레이트에 고정되는데, 외부의 지속적인 진동이나 충격으로 인하여 너트가 풀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는 이차 전지 내부의 접촉 저항을 유발하여 이차 전지의 출력이 저하되고 수명이 감소되는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이차 전지들은 연결 플레이트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전지 모듈을 구성한다. 전극 단자는 상부에 결합된 너트에 의하여 캡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너트 위에 연결 플레이트가 체결되고, 연결 플레이트 위에 너트가 체결되어 연결 플레이트와 전극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너트로 연결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구조는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즉, 진동이나 충격으로 너트가 풀어지면 전극 단자와 연결 플레이트의 전기적인 접촉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이 지속적인 진동이 전달되는 장치에 이차 전지나 전지 모듈이 장착될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가 더욱 크게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단자를 판 형태로 형성하고, 연결 플레이트를 용접으로 고정하는 구조가 제안되고 있는 데, 용접으로 고정하는 구조의 경우 한번 고정하면 다시 해체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이웃하는 이차 전지의 양극과 음극을 직렬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의 구별이 어려워서 조립 공정에 상당한 어려움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진동 및 충격에 강하고 효율적으로 조립을 수행할 수 있는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제2 단자와 구별될 수 있도록 요부(凹部) 또는 철부(凸部)로 이루어진 구별부를 갖는 이차 전지들과 상기 이차 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이웃하는 이차 전지들의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에 고정되고, 상기 구별부와 끼움 결합되는 확인부를 갖는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이차 전지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배치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군과, 상기 전극군이 내장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개구에 결합되는 캡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단자 또는 상기 제2 단자를 상기 캡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리벳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차 전지는 상기 전극군과 상기 제1 단자 또는 상기 제2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리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드부재는 상기 제1 단자 또는 상기 제2 단자와 함께 리벳으로 상기 캡 플레이트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제2 단자에 형성되지 않은 요부 또는 철부로 이루어진 구별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는 이웃하는 이차 전지의 제1 단자 및 제2 단자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단자 또는 상기 제2 단자를 향하는 면에 접촉 돌기를 갖고 상기 접촉 돌기에서 용접으로 접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단자는 제1 요부로 이루어진 구별부를 갖고, 상기 제2 단자는 제2 요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요부는 상기 제2 요부와 형성된 위치 또는 형상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는 제1 철부로 이루어진 구별부를 갖고, 상기 제2 단자는 제2 철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철부는 상기 제2 철부와 형성된 위치 또는 형상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단자는 철부를 갖고, 상기 제2 단자는 요부를 구비하며, 상기 확인부는 상기 철부 및 상기 요부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는 제1 철부들로 이루어진 구별부를 갖고, 상기 제2 단자는 제2 철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철부들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철부들 사이의 거리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구별부가 형성된 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면에 상기 구별부의 위치 또는 형상을 나타내는 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돌기, 홈, 무늬, 기호, 문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구별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이웃하는 이차 전지들의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의 상면에 용접으로 접합되고, 상기 제1 단자의 상면에는 제1 철부로 이루어진 구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단자의 상면에는 제1 철부와 상이한 형상의 제2 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철부 및 상기 제2 철부에 끼움 결합되는 연결홈으로 이루어진 확인부를 갖고, 상기 제1 철부와 상기 확인부가 용접으로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발전를 수행하는 전극군이 내장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에 결합되는 캡 플레이트와, 상기 캡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단자 및 제2 단자와,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캡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캡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단자를 절연하며, 요부 또는 철부로 이루어진 구별부를 갖는 제1 단자 절연부재, 및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캡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캡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단자를 절연하는 제2 단자 절연부재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및 이웃하는 이차 전지들의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에 고정되어 상기 이차 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구별부와 끼움 결합되는 확인부를 갖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단자 절연부재는 상기 제1 단자보다 더 넓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단자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면을 갖고, 상기 구별부는 돌출된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 절연부재는 제1 철부로 이루어진 구별부를 갖고, 상기 제2 단자 절연부재는 제2 철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철부는 상기 제2 철부와 형성된 위 치 또는 형상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별부는 상기 제2 단자 절연부재에는 형성되지 아니한 철부 또는 요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단자와 제2 단자에 형성된 요부의 위치 및 형상을 달리하거나, 제1 단자에만 철부를 형성함으로써 양극성을 갖는 단자와 음극성을 갖는 단자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조립함에 있어서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부재를 단자들에 용접으로 고정함으로써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하여 연결부재와 단자들 사이의 접촉 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요부 또는 철부로 이루어진 구별부에 확인부가 끼움 결합되므로 이러한 부분이 연결부재를 지지하여 연결부재가 단자에서 흔들리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촉저항이 감소하여 전지 모듈의 출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이차 전지의 수명이 향상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Ⅱ-Ⅱ선을 따라 잘라 본 이차 전지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차 전지(100)는 양극(111)과 음극(112) 사이에 절연체인 세퍼레이터(113)를 개재하여 귄취된 전극군(110)과, 전극군(110)이 내장되는 케이스(150)와, 전극군(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자(140)와 제2 단자(130), 및 케이스(150)에 형성된 개구부에 결합되는 캡 플레이트(120)를 포함한다.
양극(111) 및 음극(112)은 박판의 금속 호일로 형성된 집전체에 활물질이 도포된 영역인 코팅부와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는 영역인 무지부(111a, 112a)를 포함한다. 무지부(111a, 112a)는 양극(111) 및 음극(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극(111) 및 음극(112)의 측단에 형성된다. 그리고 양극(111) 및 음극(112)은 절연체인 세퍼레이터(113)를 사이에 개재한 후 권취되어 젤리-롤 형태의 전극군(110)을 이룬다.
이러한 전극군(110)의 무지부(111a, 112a)에는 제1 단자(140)와 제2 단자(130)가 리드부재(128)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리드부재(128)와 캡 플레이트(120) 사이에는 절연을 위한 하부 절연부재(129)가 설치된다.
제1 단자(140)는 음극 무지부(112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양극 단자를 이루며, 제2 단자(130)는 음극 무지부(111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음극 단자를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단자(140)가 음극 단자가 되고, 제2 단자(130)가 양극 단자가 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단자(140)가 양극 단자가 되고, 제2 단자(130)가 음극 단자가 될 수도 있다.
케이스(150)는 내부에 공간을 갖고, 일 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각형(prismatic type) 케이스로 이루어진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케이스는 원통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캡 플레이트(120)는 얇은 판으로 이루어지는데, 캡 플레이트(120)에는 설정된 내부 압력에 따라 개방될 수 있도록 노치가 형성된 벤트부(126)와 전해액 주입구를 밀봉하는 마개(125)가 설치된다.
제1 단자(140) 및 제2 단자(13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캡 플레이트(120)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제1 단자(140) 및 제2 단자(130)는 리벳(121)으로 캡 플레이트(120)에 고정되는데, 리벳(121)은 캡 플레이트(120)를 관통하는 기둥부(121a)와 기둥부(121a)의 상단과 하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지지하는 헤드부(121b, 121c)를 포함한다.
리벳(121)의 하단에 위치하는 헤드부(121c)의 하면에는 리드부재(128)가 용접으로 고정되는데, 리드부재(128)는 리벳(121)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상부판(128a)과 상부판(128a)에서 아래로 돌출되어 무지부(111a, 112a)에 고정되는 부착판(128b)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판(128a)이 리벳(121)의 헤드부(121c)에 용접으로 고정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리드부재(128)도 단자들(130, 140)과 함께 리벳(121)으로 캡 플레이트(120)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판(128a)에는 리벳(121)이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고, 기둥부(121a)가 상부판(128a)을 관통하고, 헤드부(121c)는 상부판(128a)의 하면에 위치하여 상부판(128a)을 캡 플레이트(120) 쪽으로 가압하게 된다.
캡 플레이트(120)와 단자들(130, 140)의 사이에는 단자 절연부재(123)와 하부 개스킷(127)이 개재되어 캡 플레이트(120)와 단자들(140)을 절연시킨다.
하부 개스킷(127)은 단자 홀에 끼워져 설치되며, 단자 절연부재(123)는 캡 플레이트(120)와 단자들(130, 140) 사이에 설치된다. 단자 절연부재(123)는 단자들(130, 140) 보다 더 넓게 형성되며, 중앙에는 리벳(121)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의 단자들(130, 140)은 리벳(121)으로 캡 플레이트(120)에 고정되는 바. 종래에 너트에 의하여 결합되는 구조에 비하여 진동에 더 강하다.
리벳(121)이 설치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리벳(121)은 단자들(130, 140)과 캡 플레이트(120)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부와 하부에서 강한 압력으로 가압되며, 이때 양단에 헤드부(121b, 121c)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압착되는 과정에서 단자들(130, 140)는 캡 플레이트(120)에 강하게 밀착되고, 진동으로 인하여 단자들(130, 140)이 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벳(121)이 리드부재(128)에 끼워진 상태에서 가압될 경우 리드부재(128)까지 한꺼번에 고정되어 외부의 진동으로 인하여 접촉저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차 전지(100)의 전체적인 출력이 향상된다. 이차 전지(100)에 있어서 접촉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한데, 접촉저항은 이차 전지(100)의 출력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저항열을 발생시켜서 이차 전지(100)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차 전지(100)의 온도가 상승하면 내부에서 이상 반응이 일어나고 이에 따라 이차 전지(100)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리벳(121)이 진동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아니하므로 접촉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자(140) 및 제2 단자(130)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직사각형은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는 단변부와 단변부보다 더 큰 길이를 갖는 장변부로 이루어진다.
제1 단자(140)는 장변부에 형성된 제1 요부(凹部)(141)와 요부(141)에 인접한 단변부에 형성된 철부(凸部)(145)를 포함하는 구별부를 갖는다.
제1 요부(141)는 장변부의 모서리에서 깍여져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지며, 홈은 장변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다. 또한, 철부(145)는 단변부의 모서리에서 돌출된 돌기로 이루어지며 돌기는 단변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다. 구별부를 형성하는 제1 요부(141) 및 철부(145)는 제1 단자를 제2 단자와 구별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2 단자(130)는 단변부에 제2 요부(131)를 갖는데, 제2 요부(131)는 단변부의 모서리에서 깍여져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지며, 홈은 단변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는 단자들(130, 140)에 형성된 요부(131, 141)의 위치 및 형상이 서로 상이하다. 또한, 제1 단자(140)에는 철 부(145)가 형성되나, 제2 단자(130)에는 철부가 형성되지 아니한다. 이와 같이 제1 단자(140)와 제2 단자(130)에 형성된 요부(131, 141)의 위치 및 형상을 달리하거나, 제1 단자(140)에만 철부(145)를 형성하면, 양극성을 갖는 단자와 음극성을 갖는 단자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지 모듈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연결부재에 의하여 이차 전지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를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이차 전지들(100, 100')을 직렬로 연결하여 형성한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측 이차전지(100)의 제2 단자(130)와 이와 이웃하는 이차 전지(100')의 제1 단자(140)가 가까이 위치하도록 간격을 두고 배치한 상태에서 제1 단자(140)와 제2 단자(130)에 연결부재(160)를 설치한다. 연결부재(160)는 대략 판 형상을 이루어지며, 요부(131, 141) 또는 철부(145)와 끼움 결합되는 확인부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확인부는 홈 또는 돌기로 이루어지는 바, 확인부는 제1 단자(140)의 제1 요부(141)에 끼움 결합되는 제1 연결돌기(167)와 제1 단자(140)의 철부(145)에 끼움 결합되는 제1 연결 홈(162), 및 제2 단자(130)의 제2 요부(131)에 끼움 결합되는 제2 연결돌기(163)를 포함한다.
제1 연결돌기(167)는 제1 단자(140)의 제1 요부(14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 연결홈(162)은 제1 단자(140)의 철부(145)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2 연결돌기(163)는 제2 단자(130)의 요부(13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단자의 요부(131, 141) 또는 철부(145)와 결합되는 확인부를 형성하면, 양극끼리 또는 음극끼리 배치된 경우에는 연결부재(160)가 단자에 결합되지 않으므로 오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오결합 문제는 본 실시예와 같이 연결부재를 단자들에 용접으로 고정할 때 매우 중요한데, 너트로 연결부재를 고정하는 경우에는 너트를 풀어서 다시 결합시킬 수 있지만, 용접으로 고정하는 경우에는 한번 용접한 후, 다시 분리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한편, 연결부재(160)의 마주하는 양단에는 리벳(121)의 헤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파여진 오목부(161)가 형성되며, 연결부재(160)의 상면에는 용접을 위한 부재등이 끼워질 수 있도록 홈(165)이 형성된다.
또한, 연결부재(160)의 하면에는 용접 시에 단자의 상면과 접촉되는 접촉 돌기(164)가 형성되는데, 접촉 돌기(164)에 열이 집중되어 접촉 돌기(164)를 녹임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단자(130, 140)들과 용접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900)은 이차 전지들(100)과 이차 전지들(1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들(160, 180)을 포함한다. 나란하게 배열된 이차 전지들(100)은 연결부재(160, 180)에 의하여 직렬로 연결되는데, 이웃하는 이차 전지들(100)의 제1 단자(140)와 제2 단자(130)가 엇갈리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연결부재(160, 180)가 용접으로 단자들(130, 140)에 용접으로 접합되어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900)은 제1 단자(140)와 제2 단자(130)의 요부(131, 141) 및 철부(145)의 형상 및 위치를 상이하게 형성함으로써 연결부재(160, 180)를 설치함에 있어서 양극성 단자와 음극성 단자가 혼동되지 않도록 하였다.
연결부재는 제1 연결부재(160)와 제2 연결부재(180)로 이루어지는데, 전지 모듈(900)에서 왼쪽 부분(도 6 기준)에는 제1 연결부재(160)가 설치되고, 오른쪽 부분에는 제2 연결부재(180)가 설치된다. 각각의 연결부재(160, 180)에는 제1 단자(140)에 형성된 제1 요부(141)와 제2 단자(130)에 형성된 제2 요부(131)에 끼움 결합되는 연결돌기들과 제1 단자(140)의 철부(145)에 끼움결합되는 연결홈이 형성된다. 그러나 연결부재들(160, 180)에 있어서 연결돌기와 연결홈의 설치 위치는 서로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900)은 조립함에 있어서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부재(160, 180)를 단자들(130, 140)에 용접으로 고정함으로써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하여 연결부재(160, 180)와 단자들(130, 140) 사이의 접촉 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요부(131, 141)와 철부(145)에 확인부가 끼움 결합되므로 이러한 부분이 연결부재(160, 180)를 지지하여 연결부재(160, 180)가 단자(130, 140)에서 흔들리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 라 접촉저항이 감소하여 전지 모듈의 출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이차 전지의 수명이 향상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전지 모듈은 복수 개의 이차 전지들(200, 200')과 이차 전지들(200, 2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260)를 포함한다. 또한, 이차 전지(200)는 케이스(250)와 케이스(250)에 결합된 캡 플레이트(220), 및 캡 플레이트(22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단자(240)와 제2 단자(230)를 포함한다. 제1 단자(240) 및 제2 단자(23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캡 플레이트(220)와의 사이에 단자 절연부재(223)를 개재한 상태에서 캡 플레이트(220)에 리벳(221)으로 고정된다.
단자들(230, 240)은 대략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직사각형은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단변부와 단변부보다 길이가 긴 장변부로 이루어진다. 제1 단자(240)의 단변부 일측 모서리에는 제1 철부(245)가 위쪽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2 단자(130)의 장변부 일측 모서리에는 제2 철부(235)가 위쪽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1 철부(245)가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식별하는 구별부가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자(240)와 제2 단자(230)에 모두 철부(235, 245)를 형성하더라도 철부(235, 245)의 형성 위치를 달리 함으로써 양극성 단자와 음극성 단자를 구별할 수 있다.
연결부재(260)의 마주하는 양단에는 리벳(221)이 삽입될 수 있도록 파여진 오목부(261)가 형성되며, 단자들(230, 240)과 대향하는 면에는 제1 철부(245)와 제 2 철부(235)가 끼움 결합되는 확인부가 형성된다.
확인부는 제1 철부(245)와 결합되는 제1 연결홈(264)과 제2 철부(235)와 결합되는 제2 연결홈(262)을 포함한다. 연결홈들(262, 264)은 연결부재(260)의 하면에서 상면까지 이어져 형성되며, 이에 따라 연결부재(260)를 단자들(230, 240)에 설치할 때, 연결홈들(262, 264)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단자(240)와 제2 단자(230)에 형성되는 철부(235, 245)의 위치를 달리하고, 연결부재(260)에는 이러한 철부(235, 245)를 끼움하는 확인부를 형성함으로써 동일한 극성을 갖는 단자끼리 오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복수개의 이차 전지들(300, 300')과 이차 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360)를 포함한다.
또한, 이차 전지(300)는 케이스(350)와 케이스(350)에 결합된 캡 플레이트(320), 및 캡 플레이트(32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단자(330)와 제2 단자(340)를 포함한다. 제1 단자(330) 및 제2 단자(34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캡 플레이트(320)와의 사이에 단자 절연부재(323)를 개재한 상태에서 캡 플레이트(320)에 리벳(321)으로 고정된다.
단자들(330, 340)은 대략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 단자(330)의 상면에는 사각형 돌기로 이루어진 제1 철부(335)가 형성되고, 제2 단 자(340)의 상면에는 원형 돌기로 이루어진 제2 철부(345)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철부(365)가 제2 철부(345)에 비하여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별부를 이룬다.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단자(330)와 제2 단자(340)에 형상이 상이한 철부(335, 345)를 형성하면, 비록 철부(335, 345)를 동일한 위치에 형성하더라도 철부(335, 345)의 형상에 따라 양극성을 갖는 단자와 음극성을 갖는 단자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다.
연결부재(360)의 양단에는 리벳(321)이 삽입될 수 있도록 파여진 오목부(361)가 형성되며, 단자들과 대향하는 면에는 제1 철부(335)가 삽입되는 사각형상의 제1 연결홈(365)과 제2 철부(345)가 삽입되는 원형의 제2 연결홈(362)을 포함하는 확인부를 갖는다.
철부들(335, 345)이 연결홈들(362, 365)에 끼워진 상태에서 철부들(335, 345)과 연결홈들(362, 365)을 용접으로 접합하여 연결부재를 단자들에 고정된다.
또한, 연결부재(360)의 상면(단자를 향하는 면과 반대방향을 향하는 면)에는 사각 홈이 형성된 위치의 상부에 사각 돌기로 이루어진 제1 표시부(364)가 형성되며, 원형 홈이 형성된 위치의 상부에 원형 돌기로 이루어진 제2 표시부(363)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표시부들을 형성하면, 연결홈(362, 365)들의 형상 및 위치를 위에서 파악할 수 있으므로 철부(335, 345)와 결합될 수 있는 연결홈(362, 365)을 쉽게 파악하여 이들을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단자(330)에 형성된 제1 철부(335)와 제2 단자(340)에 형성된 제2 철부(345)의 형상이 상이하고, 연결부재(360)에는 이러한 철부들(335, 345)을 끼움하는 확인부가 형성되므로 동일한 극성을 갖는 단자끼리 오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전지 모듈은 복수 개의 이차 전지들(400, 400')과 이차 전지들(400, 4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460)를 포함한다. 또한, 이차 전지(400)는 케이스(450)와 케이스(450)에 결합된 캡 플레이트(420)와 캡 플레이트(42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단자(430)와 제2 단자(440)를 포함한다. 제1 단자(430) 및 제2 단자(44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캡 플레이트와(420)의 사이에 단자 절연부재(423)를 개재한 상태에서 캡 플레이트(420)에 리벳(421)으로 고정된다.
이차 전지(400)는 이웃하는 이차 전지(400')와 연결부재(460)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연결부재(460)는 이웃하는 이차 전지들의 제1 단자(430)와 제2 단자(440)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단자들(430, 440)은 대략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 단자(430)의 모서리에는 제2 단자(440)와 구별될 수 있는 구별부로서 요부(435)가 형성되고, 제2 단자(440)는 요부 또는 철부가 형성되지 아니한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연결부재(460)의 양단에는 리벳(421)이 삽입될 수 있도록 파여진 오목 부(461)가 형성되며, 단자들과 대향하는 면에는 요부(435)에 끼움 결합되는 연결돌기(465)로 이루어진 확인부가 형성된다. 연결돌기(465)는 연결부재(460)의 하면에 형성되는데, 열결부재(460)가 형성된 부분의 상면에는 연결돌기(465)의 형성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467)가 형성된다. 표시부(467)는 기호로 이루이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부(467)가 "+"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표시부는 돌기, 홈, 무늬, 기호, 문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단자(430)에만 요부(435)를 형성하면, 요부(435)의 형성 여부를 통해서 양극성을 갖는 단자와 음극성을 갖는 단자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으며, 연결부재(460)에 요부(435)에 끼움 결합되는 연결돌기(465)를 형성함으로써 동일한 극성을 갖는 단자들을 잘못 연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460)의 상면에 표시부(467)를 형성함으로써 연결돌기(465)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조립을 보다 쉽게할 수 있다.
전지모듈의 조립에서 표시부(467)가 형성되지 아니하면 연결부재(460)를 결합함에 있어서 돌기의 위치를 일일이 확인해야 하고, 종종 시행착오를 거쳐서 조립을 할 수 밖에 없는데, 본 실시예와 같이 표시부(467)를 형성하면 종래에 비하여 보다 빠르게 조립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전지 모듈은 복수 개의 이차 전지들(500, 500')과 이차 전지들(500, 5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560)를 포함한다. 또한, 이차 전지(500)는 케이스(550)와 케이스(550)에 결합된 캡 플레이트(520)와 캡 플레이트(52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단자(530)와 제2 단자(540)를 포함한다. 제1 단자(530) 및 제2 단자(44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캡 플레이트(520)와의 사이에 단자 절연부재(523)를 개재한 상태에서 캡 플레이트(520)에 리벳(521)으로 고정된다.
이차 전지(500)는 이웃하는 이차 전지(500')와 연결부재(560)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연결부재(560)는 이웃하는 이차 전지들(500, 500')의 제1 단자(530)와 제2 단자(540)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단자들(530, 540)은 대략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 단자(530)의 상면에는 제2 단자(540)와 구별될 수 있는 구별부로서 철부(535)가 형성된다. 한편, 제2 단자(540)는 철부가 형성되지 아니한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 단자는 돌기를 형성하기 위해서 제2 단자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구별부는 두 개의 철부(535)로 이루어지는데, 철부(535)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 단자(530)의 표면에서 연결부재(560)를 향하여 수직으로 돌출된다. 철부들(535)은 리벳(521)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된다.
또한, 연결부재(560)의 양단에는 리벳(521)이 삽입될 수 있도록 파여진 오목부(561)가 형성되며, 단자들과 대향하는 면에는 철부(535)에 끼움 결합되는 연결홈(565)으로 이루어진 확인부가 형성된다. 연결홈(565)은 연결부재(560)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이에 따라 연결부재(560)의 상면에도 연결홈(565)이 표시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단자(530)에만 철부(535)를 형성하면, 양극성을 갖는 단자와 음극성을 갖는 단자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560)에 철부(535)에 끼움 결합되는 연결홈(565)을 형성하면, 동일한 극성을 갖는 단자들을 잘못 연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철부(535)가 리벳(521)을 사이에 두고 이격 형성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대하여 연결 부재(56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결부재(560)와 단자들(530, 540) 사이의 접촉이 불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전지 모듈은 복수 개의 이차 전지들(600, 600')과 이차 전지들(600, 6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660)를 포함한다.
또한, 이차 전지(600)는 케이스(650)와 케이스(650)에 결합된 캡 플레이트(620)와 캡 플레이트(62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단자(630)와 제2 단자(640)를 포함한다. 제1 단자(630) 및 제2 단자(64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캡 플레이트(620)와의 사이에 단자 절연부재(523)를 개재한 상태에서 캡 플레이트(620)에 리벳(621)으로 고정된다.
이차 전지(600)는 이웃하는 이차 전지(600')와 연결부재(660)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연결부재(660)는 이웃하는 이차 전지들(600, 600')의 제1 단자(630)와 제2 단자(640)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단자들(630, 640)은 대략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 단 자(630)의 상면에는 제2 단자(640)와 구별될 수 있는 구별부로서 제1 철부들(635)이 형성되며, 제2 단자(640)는 제1 철부(635)와 상이한 위치에 제2 철부들(645)이 형성된다.
구별부는 두 개의 제1 철부(635)로 이루어지는데, 제1 철부(635)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 단자(630)의 표면에서 연결부재(660)를 향하여 수직으로 돌출된다. 제1 철부들(635)은 리벳(621)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된다. 또한, 제2 철부들(645)도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지만, 제1 철부(635)와 제2 철부(645)는 형성된 위치가 서로 상이하다. 즉, 제1 철부(635) 사이의 거리는 제2 철부(645) 사이의 거리보다 더 넓게 형성된다.
또한, 연결부재(660)의 양단에는 리벳(621)이 삽입될 수 있도록 파여진 오목부(661)가 형성되며, 단자들과 대향하는 면에는 제1 철부(635)에 끼움 결합되는 제1 연결홈들(665)로 이루어진 확인부가 형성된다. 또한, 연결부재(660)에는 제2 철부(645)와 끼움 결합되는 제2 연결홈들(663)이 형성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철부들 사이의 거리와 제2 철부들 사이의 거리가 서로 상이하므로 제1 연결홈들(665) 사이의 거리(D1)는 제2 연결홈들(663) 사이의 거리(D2) 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철부들(635, 645) 사이의 거리 및 이와 끼움 결합되는 연결홈들(663, 665) 사이의 거리가 서로 상이하므로, 동일한 극성을 갖는 단자끼리 오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자(630) 및 제2 단자(640)의 철부들(635, 645)과 연결부재(660) 의 연결홈들(665, 663)이 끼움 결합되므로 연결부재(66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전지 모듈은 복수 개의 이차 전지들(700, 700')과 이차 전지들(700, 7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760)를 포함한다.
또한, 이차 전지(700)는 케이스(750)와 케이스(750)에 결합된 캡 플레이트(720)와 캡 플레이트(72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단자(730)와 제2 단자(740)를 포함한다. 제1 단자(730) 및 제2 단자(74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캡 플레이트(720)에 리벳(721)으로 고정된다.
이차 전지(700)는 이웃하는 이차 전지(700')와 연결부재(760)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연결부재(760)는 이웃하는 이차 전지들(700, 700')의 제1 단자(730)와 제2 단자(740)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단자들(730, 740)은 대략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 단자(730)와 캡 플레이트(720)의 사이에는 절연을 위한 제1 단자 절연부재(733)가 설치되고, 제2 단자(740)와 캡 플레이트(720) 사이에는 절연을 위한 제2 단자 절연부재(743)가 설치된다.
단자 절연부재들(733, 743)은 단자들(730, 740)보다 더 넓게 형성되어 상면이 단자들(730, 74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제1 단자 절연부재(733)의 상면에는 제1 단자(730)가 제2 단자(740)와 구별될 수 있는 구별부로서 제1 철부(733a) 가 형성되는 바, 제1 철부(733a)는 제1 단자(73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면에 형성된다.
제2 단자 절연부재(743)의 상면에는 제1 철부(733a)와 상이한 형상을 갖는 제2 철부(743a)가 형성된다. 제1 철부(733a)는 제1 단자 절연부재(733)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2 철부(743a)는 제2 단자 절연부재(743)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 철부(733a)는 제1 단자(730)보다 더 안쪽에 형성되고, 제2 철부(743a)는 제2 단자(740)보다 더 바깥쪽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철부(733a)는 제2 철부(743a)와 그 형성된 위치도 상이하여 제1 단자(730)와 제2 단자(740)가 용이하게 구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단자 절연부재(733)에 철부로 이루어진 구별부가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구별부는 요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단자 절연부재(733)와 제2 단자 절연부재(743) 모두에 철부가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단자 절연부재에만 철부가 형성되고, 제2 단자 절연부재에는 요부가 형성되거나, 아무것도 형성되지 아니할 수 있다.
한편, 연결부재(760)의 양단에는 리벳(721)이 삽입될 수 있도록 파여진 오목부(761)가 형성되며, 단자들과 대향하는 면에는 제1 철부(733a)에 끼움 결합되는 제1 연결홈(765)으로 이루어진 확인부가 형성된다. 또한, 연결부재(760)에는 제2 철부(743a)와 끼움 결합되는 제2 연결홈(76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단자 절연부재(733)에 제1 단자(730)와 제2 단자(740)를 구별하는 구별부를 형성함으로써 제1 단자(730)와 제2 단자(740)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으며, 동일한 극성을 갖는 단자끼리 오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자 절연부재(733) 및 제2 단자 절연부재(743)의 철부들(733a, 743a)과 연결부재(760)의 연결홈들(765, 763)이 끼움 결합되므로 연결부재(76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Ⅱ-Ⅱ선을 따라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지 모듈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연결부재에 의하여 이차 전지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를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도시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차 전지 120: 캡 플레이트
121: 리벳 140: 제1 단자
130: 제2 단자 131, 141: 요부
145: 철부 150: 케이스
160: 연결부재 162: 연결홈
163, 167: 연결돌기 164: 접촉 돌기
364, 363: 표시부 900: 전지 모듈

Claims (19)

  1. 외측으로 돌출되며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제2 단자와 구별될 수 있도록 요부(凹部) 또는 철부(凸部)로 이루어진 구별부를 갖는 이차 전지들;
    상기 이차 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이웃하는 이차 전지들의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에 고정되고, 상기 구별부와 끼움 결합되는 확인부를 갖는 연결 부재;
    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전지 모듈.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전지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배치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군;
    상기 전극군이 내장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구에 결합되는 캡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단자 또는 상기 제2 단자를 상기 캡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리벳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전지는 상기 전극군과 상기 제1 단자 또는 상기 제2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리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드부재는 상기 제1 단자 또는 상기 제2 단자와 함께 리벳으로 상기 캡 플레이트에 고정된 전지 모듈.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제2 단자에 형성되지 않은 요부 또는 철부로 이루어진 구별부를 갖는 전지 모듈.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는 이웃하는 이차 전지의 제1 단자 및 제2 단자에 용접으로 고정된 전지 모듈.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단자 또는 상기 제2 단자를 향하는 면에 접촉 돌기를 갖고
    상기 접촉 돌기에서 용접으로 접합된 전지 모듈.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는 제1 요부로 이루어진 구별부를 갖고, 상기 제2 단자는 제2 요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요부는 상기 제2 요부와 형성된 위치 또는 형상이 상이한 전지 모듈.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는 제1 철부로 이루어진 구별부를 갖고, 상기 제2 단자는 제2 철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철부는 상기 제2 철부와 형성된 위치 또는 형상이 상이한 전지 모듈.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는 철부를 갖고, 상기 제2 단자는 요부를 구비하며, 상기 확인부는 상기 철부 및 상기 요부와 끼움 결합되는 전지 모듈.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는 제1 철부들로 이루어진 구별부를 갖고, 상기 제2 단자는 제2 철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철부들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철부들 사이의 거리와 상이한 전지 모듈.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구별부가 형성된 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면에 상기 구별부의 위치 또는 형상을 나타내는 표시부를 갖는 전지 모듈.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돌기, 홈, 무늬, 기호, 문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전지 모듈.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구별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전지 모듈.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이웃하는 이차 전지들의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의 상면에 용접으로 접합되고,
    상기 제1 단자의 상면에는 제1 철부로 이루어진 구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단자의 상면에는 제1 철부와 상이한 형상의 제2 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철부 및 상기 제2 철부에 끼움 결합되는 연결홈으로 이루어진 확인부를 갖고,
    상기 제1 철부와 상기 확인부가 용접으로 접합된 전지 모듈.
  16. 발전를 수행하는 전극군이 내장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구에 결합되는 캡 플레이트;
    상기 캡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단자와 제2 단자;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캡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캡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단자를 절연하며, 요부(凹部) 또는 철부(凸部)로 이루어진 구별부를 갖는 제1 단자 절연부재; 및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캡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캡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단자를 절연하는 제2 단자 절연부재;
    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및
    이웃하는 이차 전지들의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에 고정되어 상기 이차 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구별부와 끼움 결합되는 확인부를 갖는 연결 부재;
    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단자 절연부재는 상기 제1 단자보다 더 넓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단자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면을 갖고, 상기 구별부는 돌출된 상면에 형성된 전지 모듈.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절연부재는 제1 철부로 이루어진 구별부를 갖고, 상기 제2 단자 절연부재는 제2 철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철부는 상기 제2 철부와 형성된 위치 또는 형상이 상이한 전지 모듈.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별부는 상기 제2 단자 절연부재에는 형성되지 아니한 철부 또는 요부로 이루어진 전지 모듈.
KR20090000790A 2009-01-06 2009-01-06 전지 모듈 KR101015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0790A KR101015834B1 (ko) 2009-01-06 2009-01-06 전지 모듈
EP20090180829 EP2204863B1 (en) 2009-01-06 2009-12-28 Battery module
AT09180829T ATE537570T1 (de) 2009-01-06 2009-12-28 Batteriemodul
JP2010000159A JP5208976B2 (ja) 2009-01-06 2010-01-04 電池モジュール
US12/652,022 US9136520B2 (en) 2009-01-06 2010-01-04 Battery module
CN201010003006.6A CN101841056B (zh) 2009-01-06 2010-01-06 电池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0790A KR101015834B1 (ko) 2009-01-06 2009-01-06 전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508A true KR20100081508A (ko) 2010-07-15
KR101015834B1 KR101015834B1 (ko) 2011-02-23

Family

ID=41718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00790A KR101015834B1 (ko) 2009-01-06 2009-01-06 전지 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36520B2 (ko)
EP (1) EP2204863B1 (ko)
JP (1) JP5208976B2 (ko)
KR (1) KR101015834B1 (ko)
CN (1) CN101841056B (ko)
AT (1) ATE537570T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9791A (ko) * 2010-12-10 2012-08-13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전지 및 집전체
KR101285978B1 (ko) * 2010-09-10 2013-07-12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배터리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WO2013157823A1 (ko) * 2012-04-16 2013-10-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양극과 음극의 용접 부위 형상이 다른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WO2013157827A1 (ko) * 2012-04-16 2013-10-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서로 다른 형상의 양극과 음극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및 이차전지
KR101483700B1 (ko) * 2011-11-11 2015-01-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50089830A (ko) * 2014-01-28 2015-08-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모듈
US9142823B2 (en) 2012-11-23 2015-09-22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and module of the same
US9537121B2 (en) 2011-03-18 2017-01-03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pack having a flexible collecting tab extending through a cap plate
US9887436B2 (en) 2013-07-09 2018-02-06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WO2018043880A1 (ko) * 2016-08-30 2018-03-08 삼성에스디아이(주) 이차 전지
CN112687966A (zh) * 2020-11-19 2021-04-20 风帆有限责任公司 一种防止蓄电池极群组装缺陷的方法
KR20230000343A (ko) * 2021-06-24 2023-01-02 비나텍주식회사 리벳 구조로 결합된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
KR20230000357A (ko) * 2021-06-24 2023-01-02 비나텍주식회사 리벳 볼트로 결합된 전극리드를 가지는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60818B2 (en) * 2009-10-05 2013-06-11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9105911B2 (en) 2009-12-28 2015-08-11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CN102110798B (zh) * 2009-12-28 2015-04-08 三星Sdi株式会社 电池模块
KR101093932B1 (ko) * 2010-01-26 2011-12-13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CN101834313B (zh) * 2010-05-12 2012-07-04 郭治 一种带有气体释放和防爆弹出安全阀的锂离子电池
JP2012009319A (ja) * 2010-06-25 2012-01-12 Hitachi Vehicle Energy Ltd 二次電池および組電池
WO2012009091A1 (en) * 2010-07-16 2012-01-19 Coda Automotive, Inc. Battery with improved terminals
EP2424008B1 (en) * 2010-08-31 2015-03-11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KR20130096247A (ko) * 2010-08-31 2013-08-29 파나소닉 주식회사 조전지
KR20120028078A (ko) * 2010-09-14 2012-03-22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전지
JP5699578B2 (ja) 2010-12-10 2015-04-15 株式会社Gsユアサ 電池
JP6024095B2 (ja) * 2010-12-10 2016-11-09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蓄電素子の製造方法、及び、端子の製造方法
JP5920650B2 (ja) 2010-12-28 2016-05-18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JP5945904B2 (ja) 2010-12-28 2016-07-05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の製造方法
JP2012164634A (ja) 2011-01-20 2012-08-30 Gs Yuasa Corp 蓄電素子
JP5880930B2 (ja) * 2011-01-28 2016-03-0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池接続アセンブリ
EP2675763B1 (de) 2011-02-18 2017-12-13 Schott AG Durchführung
US8748034B2 (en) 2011-04-14 2014-06-10 Gs Yuasa International Ltd. Battery including baffling member including one of projecting portion and recessed portion extending from lid plate
US8632912B2 (en) 2011-04-14 2014-01-21 Gs Yuasa International Ltd. Battery including baffling member and sealing material that seals auxiliary terminal to lid plate
KR101255542B1 (ko) * 2011-05-12 2013-04-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KR20130039178A (ko) * 2011-10-11 2013-04-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9553294B2 (en) 2011-12-16 2017-01-24 Gs Yuasa International Ltd. Electric storage device,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ic storage device, and bus bar used for electric storage device
CN103165837B (zh) * 2011-12-16 2017-12-22 株式会社杰士汤浅国际 蓄电装置及其制造方法以及该蓄电装置中使用的汇流条
JP6065368B2 (ja) * 2012-02-01 2017-01-25 株式会社Gsユアサ 組電池
JP5924522B2 (ja) * 2012-02-07 2016-05-25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蓄電素子群
JP2013240219A (ja) * 2012-05-16 2013-11-28 Sharp Corp 蓄電池システムおよび蓄電池システム構築方法
JP5868265B2 (ja) * 2012-05-25 2016-02-2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単電池および組電池
WO2014064888A1 (ja) * 2012-10-26 2014-05-01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電源装置を備える電動車両並びに蓄電装置、電源装置の製造方法
FR2997563B1 (fr) * 2012-10-30 2017-01-1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Outil de controle d'un assemblage de cellules electriques pour former une batterie
KR20140089979A (ko) * 2013-01-08 2014-07-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WO2014203344A1 (ja) * 2013-06-19 2014-12-2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角形二次電池
JP6269383B2 (ja) 2013-09-24 2018-01-31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JP6146238B2 (ja) * 2013-09-25 2017-06-1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複数の角型蓄電装置の組付構造
KR101800052B1 (ko) 2013-11-29 2017-1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조립체의 연결구조
DE102014200188A1 (de) * 2014-01-09 2015-07-09 Robert Bosch Gmbh Kabelbaum zum elektrisch leitfähigen Verbinden und elektronischen Überwachen mehrerer Batteriezellen
KR102101751B1 (ko) * 2014-01-20 2020-04-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팩
KR102213663B1 (ko) * 2014-06-02 2021-02-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2016031806A (ja) * 2014-07-28 2016-03-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及び端子間連結部材
DE112015004047T5 (de) 2014-09-04 2017-07-13 Gs Yuasa International Ltd. Energiespeichervorrichtung und Prüfverfahren für Energie-Speichervorrichtung
US10403875B2 (en) * 2015-04-14 2019-09-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usbar assembly for vehicle traction battery
JP6686340B2 (ja) * 2015-09-15 2020-04-22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KR20180072221A (ko) * 2016-12-21 2018-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US20180205059A1 (en) * 2017-01-16 2018-07-19 Gs Yuasa International Ltd. Method of manufacturing energy storage apparatus, energy storage device, and energy storage apparatus
JP2018116926A (ja) * 2017-01-16 2018-07-26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の製造方法、蓄電素子、及び蓄電装置
WO2019234834A1 (ja) * 2018-06-05 2019-12-12 株式会社 東芝 接続構造及び組電池
CN110911594A (zh) * 2018-09-14 2020-03-24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及其汇流构件和汇流组件
EP4131304A4 (en) 2020-03-31 2024-02-28 Panasonic Ip Man Co Ltd ELECTRIC STORAGE MODULE
CN116487130B (zh) * 2023-05-15 2024-05-10 东莞市精安新材料有限公司 一种绝缘片及其在锂电池中的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59463A (en) 1924-01-24 1928-02-14 Gould Storage Battery Co Electrical connecter
US4291106A (en) * 1980-05-27 1981-09-22 General Electric Company Battery linkage system
US4317497A (en) * 1980-07-28 1982-03-02 General Motors Corporation Battery tray for electric vehicle
GB8432260D0 (en) 1984-12-20 1985-01-30 Lucas Ind Plc Electric storage battery
JP3696454B2 (ja) * 1999-09-29 2005-09-21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ーの電源線接続構造
DE10064648C2 (de) * 1999-12-28 2003-09-18 Honda Motor Co Ltd Batterieeinheit
JP3929839B2 (ja) * 2001-06-28 2007-06-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及び電池パック
JP2004265840A (ja) 2003-03-04 2004-09-24 Fuji Heavy Ind Ltd バッテリの端子接続構造
DE10326906B4 (de) * 2003-06-14 2008-09-11 Varta Automotive Systems Gmbh Akkumulato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ichten Kontaktklemmendurchführung
JP4593930B2 (ja) 2004-01-20 2010-12-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パック
JP2005353547A (ja) * 2004-06-14 2005-12-22 Sanyo Electric Co Ltd 電源装置
KR100560514B1 (ko) 2004-06-23 2006-03-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0684743B1 (ko) 2004-10-28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KR100627294B1 (ko) * 2004-10-28 2006-09-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KR100590045B1 (ko) * 2004-11-30 2006-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의 조립 방법
KR100590044B1 (ko) 2004-12-02 2006-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CN2807484Y (zh) 2005-06-24 2006-08-16 深圳市比克电池有限公司 锂离子电池盖板组件和电池
KR101239456B1 (ko) * 2005-07-05 2013-03-06 파나소닉 주식회사 전지 간 접속장치
KR100684763B1 (ko) * 2005-07-29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과 이차 전지 모듈의 단위 전지 연결구
KR100649568B1 (ko) 2005-09-05 2006-11-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2007157382A (ja) 2005-12-01 2007-06-21 Matsushita Battery Industrial Co Ltd 組電池
JP2007280831A (ja) * 2006-04-10 2007-10-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源装置
KR100906253B1 (ko) * 2006-05-01 2009-07-07 주식회사 엘지화학 과전류의 인가시 파괴되는 파단부가 형성되어 있는전극단자를 포함하고 있는 이차전지
JP5137354B2 (ja) 2006-07-31 2013-02-06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
JP2008091183A (ja) 2006-09-30 2008-04-17 Sanyo Electric Co Ltd 角型電池と組電池
JP5122857B2 (ja) * 2007-04-23 2013-01-16 株式会社東芝 電池モジュール及び電池モジュールの接続方法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78530B2 (en) 2010-09-10 2014-07-15 Samsung Sdi Co., Ltd. Battery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KR101285978B1 (ko) * 2010-09-10 2013-07-12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배터리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KR20120089791A (ko) * 2010-12-10 2012-08-13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전지 및 집전체
US9537121B2 (en) 2011-03-18 2017-01-03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pack having a flexible collecting tab extending through a cap plate
KR101483700B1 (ko) * 2011-11-11 2015-01-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10103385B2 (en) 2012-04-16 2018-10-16 Lg Chem, Ltd.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cathode and anode having different welding portion shapes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WO2013157823A1 (ko) * 2012-04-16 2013-10-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양극과 음극의 용접 부위 형상이 다른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WO2013157827A1 (ko) * 2012-04-16 2013-10-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서로 다른 형상의 양극과 음극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및 이차전지
US9142823B2 (en) 2012-11-23 2015-09-22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and module of the same
US9887436B2 (en) 2013-07-09 2018-02-06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KR20150089830A (ko) * 2014-01-28 2015-08-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모듈
WO2018043880A1 (ko) * 2016-08-30 2018-03-08 삼성에스디아이(주) 이차 전지
US11575183B2 (en) 2016-08-30 2023-02-07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CN112687966A (zh) * 2020-11-19 2021-04-20 风帆有限责任公司 一种防止蓄电池极群组装缺陷的方法
CN112687966B (zh) * 2020-11-19 2022-01-14 风帆有限责任公司 一种防止蓄电池极群组装缺陷的方法
KR20230000343A (ko) * 2021-06-24 2023-01-02 비나텍주식회사 리벳 구조로 결합된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
KR20230000357A (ko) * 2021-06-24 2023-01-02 비나텍주식회사 리벳 볼트로 결합된 전극리드를 가지는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41056B (zh) 2014-07-02
EP2204863A1 (en) 2010-07-07
ATE537570T1 (de) 2011-12-15
JP5208976B2 (ja) 2013-06-12
US9136520B2 (en) 2015-09-15
CN101841056A (zh) 2010-09-22
US20100173178A1 (en) 2010-07-08
KR101015834B1 (ko) 2011-02-23
JP2010161075A (ja) 2010-07-22
EP2204863B1 (en) 201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5834B1 (ko) 전지 모듈
KR102629053B1 (ko) 집전부재를 갖는 이차 전지
EP2228852B1 (en) Rechargeable battery comprising current collecting plates with improved structure
KR101201745B1 (ko) 이차 전지
KR101023104B1 (ko) 이차 전지
KR101125640B1 (ko)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KR101702979B1 (ko) 이차전지
JP5297471B2 (ja) 二次電池
JP5424422B2 (ja) 電池モジュール
KR101166025B1 (ko) 배터리 모듈
KR102253021B1 (ko) 퓨즈부를 갖는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KR102371192B1 (ko) 이차 전지
EP2043180B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1649135B1 (ko) 이차 전지
KR102425218B1 (ko) 이차 전지
US8592079B2 (en) Rechargeable battery
KR101574082B1 (ko) 이차 전지
KR20110037866A (ko) 이차전지
KR20110041872A (ko) 이차 전지
KR101683208B1 (ko)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KR20130054845A (ko) 이차 전지
KR20180027266A (ko) 이차전지
KR20140124247A (ko) 이차 전지
KR102425219B1 (ko) 이차 전지
KR101733741B1 (ko) 접속부재를 갖는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