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052B1 - 전지조립체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전지조립체의 연결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0052B1
KR101800052B1 KR1020130147912A KR20130147912A KR101800052B1 KR 101800052 B1 KR101800052 B1 KR 101800052B1 KR 1020130147912 A KR1020130147912 A KR 1020130147912A KR 20130147912 A KR20130147912 A KR 20130147912A KR 101800052 B1 KR101800052 B1 KR 101800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top cap
battery
embossed portion
embo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7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2838A (ko
Inventor
이동섭
이정규
문준호
오환준
이향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30147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0052B1/ko
Publication of KR20150062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지조립체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전극조립체가 수용된 캔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탑캡을 구비한 복수개의 전지조립체와; 상기 전지조립체에 구비된 탑캡에 용접 결합되면서 복수개의 전지조립체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는 스트립을 포함하며, 상기 탑캡에 용접 결합되는 상기 스트립의 표면에는 상기 탑캡에 접촉되는 복수개의 제1 엠보싱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전지조립체의 연결구조{Connection structure of battery assemble}
본 발명은 탑캡과 스트립을 연결하는 전지조립체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탑캡에 접촉되는 스트립의 표면에 엠보싱부를 형성하여 낮은 출력값으로도 용접 강도를 증대시키는 전지조립체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하며, 이러한 이차전지는 셀룰라 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의 첨단 전자기기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리튬이차전지는 작동전압이 3.6V로서, 전자장비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니켈-카드뮴 전지나 니켈-수소 전지보다 3배나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밀도가 높다는 측면에서 급속도로 신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전지조립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조립체(10), 전극조립체(10)를 수용하는 캔(20), 캔(2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는 탑캡(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전극조립체(10)는 양극과 음극 및 이들 두 전극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가 권취되어 마련된다.
여기서 전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복수개의 전지조립체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게 되는데 이때 복수개의 전지조립체는 스트립(40)을 통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전지조립체의 연결구조는 특허등록번호 제10-0358224에 자세히 개시되어 있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전지조립체의 연결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조립체의 탑캡(30)에 스트립(40)을 접촉시킨 상태로 용접봉을 통해 용접하며, 이에 복수개의 전지조립체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전지조립체의 연결구조는 탑캡(30)과 스트립(40)이 면접촉된 상태로 용접되기 때문에 낮은 출력값을 제공할 경우 탑캡(30)과 스트립(40)의 접촉 면적이 크기 때문에 용접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특허등록번호 제10-0358224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지조립체의 탑캡에 접촉되는 스트립의 표면에 접촉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한 엠보싱부를 형성하며, 상기 엠보싱부에 저항값이 집중되면서 낮은 출력값으로도 용접 강도를 증대시키는 전지조립체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전지조립체의 연결구조는 탑캡에 용접 결합되는 스트립의 표면에 제1 엠보싱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1 엠보싱부에 저항값이 집중되도록 함으로써 낮은 출력값으로도 용접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조립체의 연결구조는 전극조립체가 수용된 캔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탑캡을 구비한 복수개의 전지조립체와; 상기 전지조립체에 구비된 탑캡에 용접 결합되면서 복수개의 전지조립체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는 스트립을 포함하며, 상기 탑캡에 용접 결합되는 상기 스트립의 표면에는 상기 탑캡에 접촉되는 복수개의 제1 엠보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탑캡에는 상기 스트립의 표면에 접촉되는 제2 엠보싱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엠보싱부는 상기 제1 엠보싱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스트립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엠보싱부는 상기 탑캡과 상기 스트립 사이에 지그재그로 교차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엠보싱부는 상기 스트립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 엠보싱부는 상기 탑캡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립은 니켈 플레이트, 구리 플레이트, 니켈 도금층이 도금된 구리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엠보싱부는 동일한 크기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엠보싱부는 상기 스트립의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엠보싱부는 상기 제1 엠보싱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지조립체의 탑캡에 접촉되는 스트립의 표면에 제1 엠보싱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 엠보싱부에 저항값을 집중시킬 수 있어 낮은 출력값으로도 용접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에 탑캡과 스트립을 견고하게 용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지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지조립체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조립체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조립체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탑캡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전지조립체의 연결구조는 탑캡에 용접 결합되는 스트립에 엠보싱부를 형성하며, 이 엠보싱부에 저항값이 집중됨에 따라 낮은 출력값으로도 용접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조립체 연결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전지조립체(100)와, 전지조립체에 포함된 탑캡에 용접 결합되면서 복수개의 전지조립체(100)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는 스트립(200)을 포함한다.
전지조립체(100)는 음극, 분리막, 양극 분리막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전극조립체(110)와, 전극조립체(110)가 수용되는 캔(120)과, 캔(120)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탑캡(130)을 포함한다.
스트립(200)은 일단이 전지조립체(100)에 구비된 탑캡(130)에 용접 결합되고, 타단이 타 전지조립체에 구비된 캔 또는 탑캡에 용접 결합되면서 복수개의 전지조립체(100)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한다.
한편 스트립(200)은 니켈 플레이트, 구리 플레이트, 니켈 도금층이 도금된 구리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스트립(200)은 전도성이 우수한 니켈 플레이트로 마련되며, 이에 용접 결합시 탑캡(130)과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탑캡(130)에 용접 결합되는 스트립(200)의 일면에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탑캡(130)에 접촉되는 복수개의 제1 엠보싱부(210)가 형성된다.
즉, 제1 엠보싱부(210)가 탑캡(130)에 접촉됨에 따라 탑캡(130)과 스트립(200)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며, 이에 제1 엠보싱부(210)에 저항값이 집중되면서 낮은 출력값으로도 스트립(200)의 제1 엠보싱부(210)를 탑캡(130)에 견고하게 용접할 수 있다.
여기서 탑캡(130)에는 제1 엠보싱부(210)에 접촉되는 제2 엠보싱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엠보싱부(131)를 통해 탑캡(130)과 스트립(200)의 용접 부분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엠보싱부(131)는 제1 엠보싱부(210) 사이에 삽입되어 스트립(200)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엠보싱부(210)(131)는 도 4를 참조하면, 탑캡(130)과 스트립(200) 사이에 지그재그로 교차되게 구비되며, 이에, 탑캡(130)과 스트립(200) 사이에 지그재그로 용접 부분을 형성하여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제1 엠보싱부(210)는 스트립(2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엠보싱부(131)는 탑캡(13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엠보싱부(210)는 스트립(200) 제작시 함께 성형하게 되고, 제2 엠보싱부(131)는 탑캡(130)의 제작시 함께 성형하게 됨에 따라 제작의 용이성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엠보싱부(210)(131)는 동일한 크기와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탑캡(130)과 스트립(200)을 대응시키면 제1 엠보싱부(210)와 제2 엠보싱부(131)가 탑캡(130)과 스트립(210)에 각각 밀착되어 용접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조립체의 연결구조는 제작의 용이한 스트립(210)에 제1 엠보싱부(210)를 형성하고, 제1 엠보싱부(210)를 탑캡(130)에 접촉시킨 상태로 용접 결합함으로써 탑캡(130)과 스트립(210)을 안정적으로 용접 결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유사한 구성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200')에 형성된 제1 엠보싱부(2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200')의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제1 엠보싱부(210')와 탑캡(미도시)의 밀착력을 증대시켜서 용접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탑캡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탑캡(130')에 형성된 제2 엠보싱부(131')는 스트립(미도시)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제2 엠보싱부(131')와 스트립의 밀착력을 증대시켜서 용접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엠보싱부(131')는 스트립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 제1엠보싱부(210')와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탑캡과 스트립의 용접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100: 전지조립체
130: 탑캡
131: 제2 엠보싱부
200: 스트립
210: 제1 엠보싱부

Claims (10)

  1. 전극조립체가 수용된 캔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탑캡을 구비한 복수개의 전지조립체와;
    상기 전지조립체에 구비된 탑캡에 용접 결합되면서 복수개의 전지조립체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는 스트립을 포함하며,
    상기 탑캡에 용접 결합되는 상기 스트립의 표면에는 상기 탑캡에 접촉되는 복수개의 제1 엠보싱부가 형성되고,
    상기 탑캡에는 상기 스트립의 표면에 접촉되는 제2 엠보싱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엠보싱부는 상기 탑캡과 상기 스트립 사이에 지그재그로 교차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엠보싱부는 동일한 크기와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조립체의 연결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엠보싱부는 상기 스트립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조립체의 연결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엠보싱부는 상기 탑캡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조립체의 연결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은 니켈 플레이트, 구리 플레이트, 니켈 도금층이 도금된 구리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조립체의 연결구조.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엠보싱부는 상기 스트립의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조립체의 연결구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엠보싱부는 상기 제1 엠보싱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조립체의 연결구조.
KR1020130147912A 2013-11-29 2013-11-29 전지조립체의 연결구조 KR101800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912A KR101800052B1 (ko) 2013-11-29 2013-11-29 전지조립체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912A KR101800052B1 (ko) 2013-11-29 2013-11-29 전지조립체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838A KR20150062838A (ko) 2015-06-08
KR101800052B1 true KR101800052B1 (ko) 2017-11-21

Family

ID=53500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7912A KR101800052B1 (ko) 2013-11-29 2013-11-29 전지조립체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005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7052A (ja) 1998-08-31 2000-03-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間接続構造
JP2010161075A (ja) 2009-01-06 2010-07-22 Sb Limotive Co Ltd 電池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7052A (ja) 1998-08-31 2000-03-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間接続構造
JP2010161075A (ja) 2009-01-06 2010-07-22 Sb Limotive Co Ltd 電池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838A (ko) 2015-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2238B1 (ko) 전지 모듈
KR100590006B1 (ko) 이차 전지와 이에 사용되는 전극 조립체
KR101075304B1 (ko)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KR100905390B1 (ko) 전극조립체의 내부 유동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킨파우치형 이차전지
JP2011146379A (ja) 二次電池
KR102397122B1 (ko) 전지 모듈
WO2013132978A1 (ja) 組電池
KR102317503B1 (ko) 배터리 팩
KR101578794B1 (ko) 우수한 결합력의 전극리드-전극 탭 결합부를 포함하는 전지셀
CN109196685B (zh) 电池模块
KR102123674B1 (ko) 전극단자 접속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팩
US9461295B2 (en) Rechargeable battery including terminal portion having auxiliary plate for reducing current flow along short circuit current path
KR102427427B1 (ko) 배터리,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및 전기 자동차
KR20130000750A (ko) 이종 접합 탭을 가지는 배터리
KR100599714B1 (ko) 이차 전지
KR102211369B1 (ko) 배터리 모듈
KR20150043093A (ko) 전극리드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CN103066237B (zh) 降低外部连接所需的接头体积的方法
KR101805232B1 (ko) 리벳에 의한 결합구조를 갖는 배터리 셀
KR101800052B1 (ko) 전지조립체의 연결구조
KR101528003B1 (ko) 전극 탭 상호 접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전기화학소자
JPWO2019124109A1 (ja) バスバー及び電池積層体
US20210104796A1 (en)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and assembled battery including the same
US9831486B2 (en) Battery module
KR101906923B1 (ko)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모듈의 레이저 용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