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9625A -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이를 포함한 연료전지용 전극과 전해질막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 Google Patents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이를 포함한 연료전지용 전극과 전해질막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9625A
KR20100069625A KR1020090125700A KR20090125700A KR20100069625A KR 20100069625 A KR20100069625 A KR 20100069625A KR 1020090125700 A KR1020090125700 A KR 1020090125700A KR 20090125700 A KR20090125700 A KR 20090125700A KR 20100069625 A KR20100069625 A KR 20100069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substituted
unsubstituted
hyperbranched polymer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5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4085B1 (ko
Inventor
최성우
안철희
박정옥
임미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69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9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0622Polycondensat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8G73/0627Polycondensat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ly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hydroxy compounds or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G65/3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hydroxy compounds or their metallic derivatives derived from phenols
    • C08G65/4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hydroxy compounds or their metallic derivatives derived from phenols from phenols (I) and other compounds (II), e.g. OH-Ar-OH + X-Ar-X, where X is halogen atom, i.e. leaving group
    • C08G65/408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hydroxy compounds or their metallic derivatives derived from phenols from phenols (I) and other compounds (II), e.g. OH-Ar-OH + X-Ar-X, where X is halogen atom, i.e. leaving group forming cyclic polymers or olig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8Polybenzimid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83/00Macromolecular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2/00 - C08G81/00
    • C08G83/002Dendritic macromolecules
    • C08G83/005Hyperbranched macromolec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06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based on organic and/or in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18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5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 than those involving carbon-to-carbon bonds, e.g. obtained by polyconden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63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catalytic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27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carbon, oxygen and other atoms, e.g. sulfonated polyethersulfones [S-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3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nitrogen, e.g. sulfonated polybenzimidazoles [S-PBI], polybenzimidazoles with phosphoric acid, sulfonated polyamides [S-PA] or sulfonated polyphosphazenes [S-PP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0Polymers characterized by their physical structure
    • C08J2300/202Dendritic macromolecules, e.g. dendrimers or hyperbranched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J2361/00 - C08J237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L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1/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polysulf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uel Cell (AREA)
  • Inert Electrodes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 Polyether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분지화도(degree of branching)가 0.05 이상 1 이하인 하이퍼브랜치 폴리머로서, 덴드리틱 유닛, 선형 유닛 및 터미널 유닛을 포함하는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이를 포함한 연료전지용 전극 및 전해질막과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이를 포함한 연료전지용 전극과 전해질막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Hyperbranched polymer, electrode for fuel cell comprising the hyperbranche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comprising the hyperbranched polymer, and fuel cell using at least one of the electrode and the electrolyte membrane}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이를 포함한 연료전지용 전극과 전해질막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가 제시된다.
전해질로서 고분자 전해질막을 사용한 연료전지는, 동작온도가 비교적 저온인 동시에 소형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전기 자동차나 가정용 분산 발전시스템의 전원으로서 기대되고 있다.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고분자 전해질막으로서는, 나피온(등록상표)으로 대표되는 퍼플루오로카본술폰산계 폴리머막이 사용되고 있다. 이 타입의 고분자 전해질막이 프로톤 전도를 발현하기 위해서는, 수분이 필요하기 때문에 가습이 필요하다. 또한, 전지 시스템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100℃ 이상의 온도에서의 고온 운전이 요구되지만, 이 온도에서는 전해질막내의 수분이 증발하여 고갈하고, 고체 전해질로서의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가 있다.
이들 종래의 기술에 기인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가습이면서 100℃ 이상의 고온에서 작동할 수 있는 무가습 전해질막이 개발되어 있다. 상기 무가습 전해질막의 구성 재료로서 인산이 도핑된 폴리벤즈이미다졸 등의 재료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퍼플루오로카본술폰산계 폴리머막을 이용한 저온 작동전지에서는, 전극, 특히 캐소드에서의 발전에 따라 생성된 물 (생성수)에 의해 전극 내에서의 가스확산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서, 발수재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을 혼합하여 소수성을 부여한 전극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고온(150-200℃)에서 작동시키는 인산형 연료전지에서는, 전해질로서 액체인 인산을 사용하지만, 이 액상의 인산이 전극 내에 다량으로 존재하여 가스 확산을 저해시킨다. 그러므로, 전극 촉매에 발수재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을 혼합하고, 전극 내의 세공이 인산에 의하여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극촉매층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고온 무가습 전해질인 인산을 유지하는 폴리벤즈이미다졸(PBI)을 전해질막에 사용한 연료전지에서는, 전극과 전해질막간의 계면 접촉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액상의 인산을 전극에 함침시키는 것이 시도되었고 금속 촉매의 로딩 함량을 높이는 시도가 이루어졌지만, 충분한 특성을 끌어낸다고는 할 수 없는 상황이라서 개선의 여지가 많다.
또한 인산이 도핑된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캐소드에 공기를 공급하는 경우, 최적화된 전극 조성을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1주일 정도의 활성 화시간이 요구된다. 이는 캐소드의 공기를 산소로 대체함으로써 성능 향상은 물론 활성화 시간을 줄일 수는 있지만 상용화를 고려해볼 때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상기 PBI를 이용한 호모 폴리머 전해질막은 고온에서의 기계적 특성 및 화학적 안정성, 인산 보액 능력이 충분치 않아 개선의 여지가 많다.
내열성이 우수한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이를 포함한 연료전지용 전극과 전해질막 및 이를 이용하여 셀 전압 성능이 개선된 연료전지가 개시된다.
분지화도(degree of branching)가 0.05 이상 1 이하인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가,
하기 화학식 1의 덴드리틱 유닛, 하기 화학식 2의 선형 유닛 및 하기 화학식 3의 터미널 유닛을 포함하는 하이퍼브랜치 폴리머가 제공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77930111-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09077930111-PAT00002
[화학식 3]
Figure 112009077930111-PAT00003
상기식중, R은 불소, C1-C20 불소화된 알킬기, C6-C20 불소화된 아릴기, C2-C20 불소화된 헤테로아릴기, C6-C20 불소화된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C2-C20 불소화된 헤테로고리기이다.
상술한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와 벤조옥사진계 모노머의 가교 반응 생성물인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가교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와 벤조옥사진계 모노머를 포함하는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혼합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술한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벤조옥사진계 모노머 및 가교성 화합물의 가교 반응 생성물인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가교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또는 상술한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가교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이 제공된다.
상술한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상술한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혼합물 및 상술한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가교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해질막이 제공된다.
캐소드; 애노드;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막을 구비하며,
상기 캐소드, 애노드 및 전해질막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상술한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또는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가교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가 제공된다.
내열성과 내인산성이 우수한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이를 이용한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가교체가 제공된다.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또는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가교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 및 전해질막을 채용하면 셀 성능이 개선된 연료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분지화도(degree of branching)가 0.05 이상 1 이하인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가,
하기 화학식 1의 덴드리틱 유닛(dendritic unit), 하기 화학식 2의 선형 유닛 (linear unit) 및 하기 화학식 3의 터미널 유닛(terminal unit)을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77930111-PAT00004
[화학식 2]
Figure 112009077930111-PAT00005
[화학식 3]
Figure 112009077930111-PAT00006
상기식중, R은 불소, C1-C20 불소화된 알킬기, C6-C20 불소화된 아릴기, C2-C20 불소화된 헤테로아릴기, C6-C20 불소화된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C2-C20 불소화된 헤테로고리기이다.
상기 분지화도(degree of branching)는 덴드리틱 유닛, 선형 유닛 및 터미널 유닛의 총수에 대한 덴드리틱 유닛과 터미널 유닛의 총수의 비를 나타낸다. 일예를 들어, 만약 분지화도가 0이면, 선형 고분자, 분지화도가 1이면 덴드리머의 경우 선형 유닛과 터미널 유닛은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 분지화도는 핵자기공명 스펙트럼에서 덴드리틱 유닛, 선형 유닛, 터미널 유닛에 각각 관련된 피크의 적분치 비로부터 계산가능하다.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는 AB2 형태의 단량체로부터 합성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3가지 형태의 반복단위, 즉 덴드리틱 유닛, 선형 유닛 및 터미널 유닛을 갖는다.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는 수평균 분자량이 8,000 내지 15,000이다.
상기 R은 불소, 트리플루오로메틸기, 3,5-디플루오로페닐기 또는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그룹중의 하나이고,
Figure 112009077930111-PAT00007
상기 분지화도가 0.05 내지 0.9이다.
상기 덴드리틱 유닛, 선형 유닛 및 터미널 유닛과 결합되는 코아 유닛이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된다.
[화학식 4]
Figure 112009077930111-PAT00008
상기식중, Y는 -SO2-, -C(CH3)2-, -C(CF3)2-, -N=N- 또는 -O-이고,
m은 0 내지 3의 수이고, n은 0 내지 1의 수이다.
상기 화학식 4의 코어 유닛이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유닛일 수 있다.
Figure 112009077930111-PAT00009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는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5]
Figure 112009077930111-PAT00010
상기식중, R은 불소, 트리플루오로메틸기, 3,5-디플루오로페닐기 또는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그룹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Figure 112009077930111-PAT00011
상기 화학식 5의 화합물로는, 하기 화학식 6 또는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하기 화학식 7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화학식 6의 화합물에 비하여 불소 또는 불소 관능기 도입량이 증가된다.
[화학식 6]
Figure 112009077930111-PAT00012
상기 화학식 6의 화합물은 분지화도가 0.05 내지 0.9이고, 예를 들어 0.63 내지 0.9이고, 수평균 분자량은 8,000 내지 12,000이다.
[화학식 7]
Figure 112009077930111-PAT00013
상기식중, R'은 펜타플루오로페닐기이고, 분지화도가 0.05 내지 0.9이고, 특히 0.63 내지 0.9이고, 수평균 분자량은 12,000 내지 15,000 범위이다.
이하,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일구현예로서 상술한 화학식 6 및 7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화학식 6의 화합물은 불소화된 폴리에테르로서 3,5-디플루오로페놀에 용매를 부가하고 이를 염기와 반응하는 에테르화 반응 과정을 거쳐 합성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톨루엔,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NMP)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그 함량은 3,5-디플루오로페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500 내지 3000 중량부이다. 용매의 함량이 상기 범위일 때 에테르화 반응의 반응성이 우수하다.
상기 염기로는 탄산칼륨(K2CO3), 수산화칼륨(KOH) 등을 이용하고, 염기의 함량은 3,5-디플루오로페놀 1몰을 기준으로 하여 1.5 내지 2몰을 사용한다.
상기 반응 온도는 175 내지 205℃ 범위이다. 반응 온도가 상기 범위일 때, 화학식 6의 화합물의 수율이 우수하다.
상기 과정에 따라 제조된 화학식 6의 하이퍼브랜치 폴리머는 분지화도가 0.63 내지 0.9이고, 수평균 분자량이 8,000 내지 12,000이다.
화학식 7의 화합물은 출발물질로서 상기 과정에 따라 얻은 화학식 6의 화합물을 이용하고 팔라듐 촉매와 펜타플루오로페닐보로닉 애시드를 사용하는 스즈끼 커플링 반응(Suzuki coupling reaction)에 따라 단일용기내 반응(one-pot reaction)을 거쳐 얻을 수 있다.
화학식 6의 화합물에 용매를 부가하고, 여기에 Pd(PPh3)4(Ph는 페닐을 나타냄), 염기, 펜타플루오로페닐보로닉애시드를 부가하고 반응을 65 내지 80℃ 에서 실시한다.
상기 염기로는 탄산칼륨(K2CO3), 수산화칼륨(KOH) 등을 이용하고, 염기의 함량은 화학식 6의 화합물 1몰을 기준으로 하여 0.65 내지 0.8몰을 사용한다.
상기 과정에 따라 제조된 화학식 7의 하이퍼브랜치 폴리머는 분지화도가 0.63 내지 0.9이고, 수평균 분자량이 12,000 내지 15,000이다.
상기 화학식 6 및 7의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분지화도 및 수평균 분자량은 반응 용매의 종류, 반응 시간 및 반응온도에 따라 가변적이다.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는 단일 거대분자로서 합성이 용이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그리고 불소 또는 불소 관능기를 함유하여 산소 친화력의 증대로 산소 투과도가 개선되면서 내열성, 내구성, 인산 보유력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와 벤조옥사진계 모노머를 포함하는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혼합물이 제공된다.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혼합물에는 가교성 화합물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와 벤조옥사진계 모노머의 가교반응 생성물인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가교체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벤조옥사진계 모노머 및 가교성 화합물의 가교 반응 생성물인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가교체가 제공된다.
상기 가교성 화합물로는, 폴리벤즈이미다졸(PBI), 폴리벤즈티아졸, 폴리벤조옥사졸, 폴리이미드계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벤즈이미다졸의 예로서 하기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Figure 112009077930111-PAT00014
Figure 112009077930111-PAT00015
상기식중 n은 10 이상의 정수, 예를 들어, 100 이상의 정수이며, 상기 고분자의 수평균 분자량은 100만 이하이다.
그리고 상기 가교성 화합물의 함량은 벤조옥사진계 모노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95 중량부이다.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함량은 벤조옥사진계 모노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10 중량부이다.
상기 가교성 화합물의 함량 및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함량이 상기 범위일 때, 최종적으로 얻은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가교체의 인산의 함침능력이 우수하다.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가교체는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와 벤조옥사진계의 혼합물 또는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벤조옥사진계 모노머 및 가교성 화합물의 혼합물을 50 내지 250°C 범위, 예를 들어 80-220°C 에서 열처리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출발물질로서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와 벤조옥사진계 모노머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상술한 열처리 과정을 거치게 되면, 벤조옥사진계 모노머의 중합 반응이 일어나서 벤조옥사진계 모노머의 중합체가 형성되고, 상기 벤조옥사진계 모노머의 중합체 및/또는 벤조옥사진계 모노머와, 하이퍼브랜치 폴리머간의 가교 반응 생성물이 형성된다.
출발물질로서,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벤조옥사진계 모노머 및 가교성 화합물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상술한 열처리 과정을 거치게 되면, 벤조옥사진계 모노머의 중합 반응이 일어나서 벤조옥사진계 모노머의 중합체가 형성되고, 상기 벤조옥사진계 모노머의 중합체 및/또는 벤조옥사진계 모노머가
가교성 화합물 및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와 가교 반응이 진행되어 이들의 가교 반응 생성물이 형성된다. 이 과정중 벤조옥사진계 모노머,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및 가교성 화합물의 그래프트 중합 반응 생성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과정은 필요에 따라 거치지 않아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와 벤조옥사진계의 혼합물 또는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벤조옥사진계 모노머 및 가교성 화합물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전극 및/또는 전해질막을 제조하는 경우, 전지 동작중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와 벤조옥사진계의 혼합물 또는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벤조옥사진계 모노머 및 가교성 화합물의 혼합물의 가교 반응이 진행될 수도 있다.
상기 벤조옥사진계 모노머는 특별하게 제한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8 내지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8]
Figure 112009077930111-PAT00016
상기 화학식중, R1, R2, R3,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20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20 사이클로알킬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고리기, 할로겐 원자, 하이드록시기, 또는 시아노기이고,
R5는 할로겐화된 C1-C20 알킬기, 할로겐화된 C1-C20 알콕시기, 할로겐화된 C2-C20 알케닐기, 할로겐화된 C2-C20 알키닐기, 할로겐화된 C6-C20 아릴기, 할로겐화된 C6-C20 아릴옥시기, 할로겐화된 C7-C20 아릴알킬기, 할로겐화된 C2-C20 헤테로아릴기, 할로겐화된 C2-C20 헤테로아릴옥시기, 할로겐화된 C2-C20 헤테로아릴알킬기, 할로겐화된 C4-C20 탄소고리기, 할로겐화된 C4-C20 탄소고리알킬기, 할로겐 화된 C2-C20 헤테로고리기, 또는 할로겐화된 C2-C20 헤테로고리알킬기이고,
[화학식 9]
Figure 112009077930111-PAT00017
상기식중 R5'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콕시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알케닐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알키닐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6-C20 아릴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6-C20 아릴옥시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7-C20 아릴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옥시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4-C20 탄소고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4-C20 탄소고리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고리기, 또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고리알킬기이고,
R6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 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 알키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렌기, -C(=O)-, -SO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화학식 10]
Figure 112009077930111-PAT00018
상기식중, A, B, C, D, E는 모두 탄소이거나 또는 A, B, C, D, E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은 질소(N)이고, 그 나머지는 탄소(C)이고,
R1 및 R2는 서로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하며,
상기 고리가 C6-C10 사이클로알킬기, C3-C10 헤테로아릴기, 융합된 C3-C10 헤테로아릴기, C3-C10 헤테로고리기 또는 융합된 C3-C10 헤테로고리기이고,
[화학식 11]
Figure 112009077930111-PAT00019
상기식중, A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20 헤테로고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4-C20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킬기이고,
R2 및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20 알킬기, C1-C20 알콕시기, C6-C20 아릴기, C6-C20 아릴옥시기, C1-C20 헤테로아릴기, C1-C20 헤테로아릴옥시기, C4-C20 사이클로알킬기, C1-C20 헤테로고리기,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또는 하이드록시기이고,
[화학식 12]
Figure 112009077930111-PAT00020
상기식중,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C1-C20 알킬기, C1-C20 알콕시기, C6-C20 아릴기, C6-C20 아릴옥시기 또는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그룹이고,
Figure 112009077930111-PAT00021
상기식중, R3은 수소, C1-C20 알킬기, C1-C20 알콕시기, C6-C20 아릴기, C6-C20 아릴옥시기, 할로겐화된 C6-C20 아릴기, 할로겐화된 C6-C20 아릴옥시기, C1-C20 헤테로아릴기, C1-C20 헤테로아릴옥시기, 할로겐화된 C1-C20 헤테로아릴기, 할로겐화된 C1-C20 헤테로아릴옥시기, C4-C20 사이클로알킬기, 할로겐화된 C4-C20 사이클로알킬기, C1-C20 헤테로고리기, 또는 할로겐화된 C1-C20 헤테로고리기이다.
[화학식 13]
Figure 112009077930111-PAT00022
상기식중, R2와 R3, 또는 R3 R4는 서로 연결되어 하기 화학식 2A로 표시되는 그룹이고,
R5와 R6 또는 R6 R7은 서로 연결되어 하기 화학식 2A로 표시되는 그룹이고,
[화학식 2A]
Figure 112009077930111-PAT00023
R1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콕시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알케닐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알키닐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6-C20 아릴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6-C20 아릴옥시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7-C20 아릴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옥시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4-C20 탄소고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4-C20 탄소고리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고리 기, 또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고리알킬기이고,
*는 화학식 1의 R2와 R3, R3 R4, R5와 R6 , R6 R7와 각각 연결되는 위치를 표시한다.
상기 R1은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그룹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Figure 112009077930111-PAT00024
Figure 112009077930111-PAT00025
상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벤조옥사진계 모노머의 예로서,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9077930111-PAT00026
Figure 112009077930111-PAT00027
Figure 112009077930111-PAT00028
Figure 112009077930111-PAT00029
Figure 112009077930111-PAT00030
Figure 112009077930111-PAT00031
Figure 112009077930111-PAT00032
Figure 112009077930111-PAT00033
Figure 112009077930111-PAT00034
Figure 112009077930111-PAT00035
Figure 112009077930111-PAT00036
Figure 112009077930111-PAT00037
Figure 112009077930111-PAT00038
Figure 112009077930111-PAT00039
Figure 112009077930111-PAT00040
Figure 112009077930111-PAT00041
Figure 112009077930111-PAT00042
Figure 112009077930111-PAT00043
Figure 112009077930111-PAT00044
Figure 112009077930111-PAT00045
Figure 112009077930111-PAT00046
Figure 112009077930111-PAT00047
Figure 112009077930111-PAT00048
Figure 112009077930111-PAT00049
Figure 112009077930111-PAT00050
Figure 112009077930111-PAT00051
Figure 112009077930111-PAT00052
Figure 112009077930111-PAT00053
Figure 112009077930111-PAT00054
Figure 112009077930111-PAT00055
Figure 112009077930111-PAT00056
Figure 112009077930111-PAT00057
Figure 112009077930111-PAT00058
Figure 112009077930111-PAT00059
Figure 112009077930111-PAT00060
Figure 112009077930111-PAT00061
Figure 112009077930111-PAT00062
Figure 112009077930111-PAT00063
Figure 112009077930111-PAT00064
Figure 112009077930111-PAT00065
Figure 112009077930111-PAT00066
Figure 112009077930111-PAT00067
Figure 112009077930111-PAT00068
Figure 112009077930111-PAT00069
Figure 112009077930111-PAT00070
Figure 112009077930111-PAT00071
Figure 112009077930111-PAT00072
Figure 112009077930111-PAT00073
상기 화학식 9로 표시되는 벤조옥사진계 모노머의 예로서,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9077930111-PAT00074
Figure 112009077930111-PAT00075
Figure 112009077930111-PAT00076
Figure 112009077930111-PAT00077
Figure 112009077930111-PAT00078
상기식중 R2는 페닐기, -CH2-CH=CH2, 또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그룹이다.
Figure 112009077930111-PAT00079
예를 들면, 상기 화학식 9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Figure 112009077930111-PAT00080
Figure 112009077930111-PAT00081
Figure 112009077930111-PAT00082
Figure 112009077930111-PAT00083
상기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벤조옥사진계 모노머의 예로서,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들이 있다.
Figure 112009077930111-PAT00084
상기식중, R은 수소 또는 C1-C10 알킬기이고,
Figure 112009077930111-PAT00085
Figure 112009077930111-PAT00086
Figure 112009077930111-PAT00087
상기 화학식에서 상기
Figure 112009077930111-PAT00088
가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그룹중의 하나이다.
Figure 112009077930111-PAT00089
상기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벤조옥사진계 모노머의 예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중에서 선택된다.
Figure 112009077930111-PAT00090
Figure 112009077930111-PAT00091
Figure 112009077930111-PAT00092
Figure 112009077930111-PAT00093
Figure 112009077930111-PAT00094
Figure 112009077930111-PAT00095
Figure 112009077930111-PAT00096
Figure 112009077930111-PAT00097
Figure 112009077930111-PAT00098
Figure 112009077930111-PAT00099
Figure 112009077930111-PAT00100
Figure 112009077930111-PAT00101
Figure 112009077930111-PAT00102
Figure 112009077930111-PAT00103
Figure 112009077930111-PAT00104
Figure 112009077930111-PAT00105
Figure 112009077930111-PAT00106
Figure 112009077930111-PAT00107
Figure 112009077930111-PAT00108
Figure 112009077930111-PAT00109
Figure 112009077930111-PAT00110
Figure 112009077930111-PAT00111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벤조옥사진계 모노머의 예로서,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들이 있다.
상기 화학식 11의 A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그룹중의 하나일 수 있다.
Figure 112009077930111-PAT00112
상기식중 R1은 수소, C1-C20 알킬기, C1-C20 알콕시기, C6-C20 아릴기, C6- C20 아릴옥시기, 할로겐화된 C6-C20 아릴기, 할로겐화된 C6-C20 아릴옥시기, C1-C20 헤테로아릴기, C1-C20 헤테로아릴옥시기, 할로겐화된 C1-C20 헤테로아릴기, 할로겐화된 C1-C20 헤테로아릴옥시기, C4-C20 사이클로알킬기, 할로겐화된 C4-C20 사이클로알킬기, C1-C20 헤테로고리기, 또는 할로겐화된 C1-C20 헤테로고리기이다.
상기 인 함유 벤조옥사진계 모노머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Figure 112009077930111-PAT00113
Figure 112009077930111-PAT00114
상기식중, R1은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그룹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Figure 112009077930111-PAT00115
상기 화학식 11의 화합물들은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중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Figure 112009077930111-PAT00116
Figure 112009077930111-PAT00117
Figure 112009077930111-PAT00118
Figure 112009077930111-PAT00119
Figure 112009077930111-PAT00120
Figure 112009077930111-PAT00121
Figure 112009077930111-PAT00122
상기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벤조옥사진계 모노머의 예로서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있다.
Figure 112009077930111-PAT00123
Figure 112009077930111-PAT00124
상기식중, R2는 C1-C10 알킬기, C1-C10 알콕시기, C6-C10 아릴기, 또는 C6-C10 아릴옥시기이고,
Figure 112009077930111-PAT00125
상기식중, R4 및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C6-C10 아릴기이고,
상기 화학식중 R3은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그룹중에서 선택된다.
Figure 112009077930111-PAT00126
상기 화학식 12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중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Figure 112009077930111-PAT00127
Figure 112009077930111-PAT00128
상기 화학식중 R3은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그룹중에서 선택된다.
Figure 112009077930111-PAT00129
상기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벤조옥사진계 모노머의 예로서,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9077930111-PAT00130
Figure 112009077930111-PAT00131
Figure 112009077930111-PAT00132
상기식중, R1은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그룹중의 하나이다.
(
Figure 112009077930111-PAT00133
Figure 112009077930111-PAT00134
Figure 112009077930111-PAT00135
Figure 112009077930111-PAT00136
Figure 112009077930111-PAT00137
Figure 112009077930111-PAT00138
Figure 112009077930111-PAT00139
Figure 112009077930111-PAT00140
Figure 112009077930111-PAT00141
상기 화학식 1의 덴드리틱 유닛, 상기 화학식 2의 선형 유닛 및 상기 화학식 3의 터미널 유닛을 포함하는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가교체 또는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이 제공된다.
상기 전극은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가교체와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혼합물중에서 선택된 하나와, 촉매를 포함하는 촉매층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를 구성하는 코아 유닛은 화학식 4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가교체 및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혼합물은 전극의 결합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통상적인 결합제 없이도 전극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가교체 또는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혼합물의 부가로 종래의 경우에 비하여 감소된 촉매의 로딩 함량을 사용하면서도 전극 성능이 향상된다.
상기 전극은, 전극내 산소 투과도를 향상시켜 최고 성능을 발현하기 까지의 활성화시간이 줄어들며, 도핑된 인산에 전극에 보다 용이하게 젖어들 수 있도록 도 와줄 수 있는 내열성 및 내인산성을 동시에 갖는다.
상술한 전극을 채용한 연료전지는 고온 무가습 조건하에서 동작가능하며 열적 안정성이 보강될 뿐만 아니라 개선된 발전 성능을 발현시킬 수 있다.
전극내에서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함량은 촉매 1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0.65 중량부, 예를 들어, 0.01 내지 0.05 중량부이다.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가교체 및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혼합물의 함량은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함량과 마찬가지로 촉매 1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0.65 중량부, 예를 들어, 0.01 내지 0.05 중량부이다.
만약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가교체 및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혼합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일 때, 전극의 젖음상태를 개선하면서 산소 투과도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촉매로는 백금(Pt) 단독 또는 금, 팔라듐, 로듐, 이리듐, 루테늄, 주석, 몰리브데늄, 코발트, 크롬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일종 이상의 금속과 백금의 합금 혹은 백금과 금, 팔라듐, 로듐, 이리듐, 루테늄, 주석, 몰리브데늄, 코발트, 크롬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일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촉매 금속이 카본계 담체에 담지된 담지 촉매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백금(Pt), 백금코발트(PtCo) 및 백금루테늄(PtRu)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촉매 금속이거나 또는 상기 촉매 금속이 카본계 담체에 담지된 담지 촉매를 사용한다.
상기 전극은 연료전지 전극 제조시 통상적으로 사용가능한 결합제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결합제로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FEP (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스티렌 부타디엔 러버(SBR), 폴리우레탄 (polyurethan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한다.
상기 결합제의 함량은 촉매 1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001 내지 0.5 중량부이다. 결합제가 상기 함량 범위로 사용되면 전극의 젖음 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연료전지용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용매에 촉매를 분산하여 분산액을 얻는다. 이 때 용매로는 N-메틸피롤디돈(NMP),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등을 사용하며, 그 함량은 촉매 1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10 중량부이다.
상기 분산액에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예를 들어, 화학식 6 또는 7의 하이퍼브랜치 폴리머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부가 및 혼합하여 교반한다.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가교체를 포함하는 전극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를 포함하는 혼합물에는 벤조옥사진계 모노머만을 더 부가하거나 또는 벤조옥사진계 모노머와 가교성 화합물을 더 부가한다.
상기 용매로는 N-메틸피롤디돈(NMP),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등을 사용한다.
상기 혼합물을 카본 지지체 표면에 코팅하여 전극을 완성한다.
상기 카본 지지체는 유리 기판상에 고정하는 것이 코팅 작업하기가 용이하 다. 그리고 상기 코팅 방법으로는 특별하게 제한되지는 않으나. 닥터 블래이드를 이용한 코팅, 바 코팅(Bar coating), 스크린 프린팅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을 코팅후 건조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용매를 제거하는 과정으로서 20 내지 150 °C의 온도 범위에서 실시한다. 그리고 건조 시간은 건조 온도에 따라 달라지며, 10 내지 60분 범위내에서 실시한다.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가교체를 포함하는 전극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혼합물을 코팅후 건조하는 과정을 거친 후, 50 내지 250℃에서 열처리하는 과정을 더 거친다.
또한 상기 전극은 촉매층이 인산 및 C1-C20 유기 포스폰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프로톤 전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톤 전도체의 함량은 전극의 총중량 100 중량부 대비 10 내지 1000 중량부로 사용된다. 상기 산의 농도는 특별하게 제한되지는 않으나, 인산을 사용하는 경우, 85중량%의 인산 수용액을 사용하며, 인산 함침 시간은 80℃에서 2.5시간 내지 14시간 범위이다.
상기 C1-C20 유기 포스폰산의 예로서 메틸포스폰산, 에틸포스폰산 등이 있다.
상술한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상술환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혼합물 및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가교체를 함유하는 연료전지용 전해질막이 제공된다.
상기 전해질막은 폴리벤즈이미다졸 단독으로 된 전해질막을 사용한 경우의 문제점인 고온에서의 기계적, 화학적 안정성 결여에서 초래되는 핀-홀 현상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와 아울러 전극에서의 산소 투과도가 증가되고 전극내 용존 산소 량이 증가되어 활성화 시간이 감소된다.
이하, 상기 전해질막 및 그 제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하이퍼브랜치 폴리머를 포함하는 전해질막은, 폴리벤즈이미다졸 대신 하이퍼브랜치 폴리머만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통상적인 폴리벤즈이미다졸을 이용한 전해질막의 제조공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가교체를 포함하는 전해질막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전해질막은 상술한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와 벤조옥사진계 모노머를 블랜딩하거나 또는 상술한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벤조옥사진계 모노머 및 가교성 화합물을 블랜딩한 후, 이를 50 내지 250°C, 예를 들어 80-220°C 에서 경화 반응을 실시한다. 이어서, 이에 산과 같은 프로톤 전도체를 함침하여 전해질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교성 화합물의 종류 및 함량과,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함량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전해질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테이프 캐스팅법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통상적인 코팅법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코팅법의 예로는 지지체상에 닥터 블래이드를 이용하여 상기 혼합물을 캐스팅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닥터 블래이드로는 250 - 500㎛ 갭을 갖는 것을 사용한다.
만약 상기 막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닥터 블래이드를 이용한 캐스팅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경화후, 산을 함침하는 단계 이전에 지지체로부터 전해질막을 분리 하여 지지체를 제거하는 단계가 더 실시된다. 이와 같이 지지체를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60 내지 80℃의 증류수에 담그는 과정을 거친다.
상기 지지체로는 전해질막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다 사용가능하며, 지지체의 예로서, 유리 기판, 폴리이미드 필름 등을 사용한다. 테이프 캐스팅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테이프 캐스팅된 막을 경화하기 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지지체로부터 분리한 후, 경화를 위한 오븐에 넣으므로 지지체가 불필요하므로 지지체를 제거하는 단계가 불필요하다.
또한 하이퍼블랜치 폴리머와 벤조옥사진계 모노머의 혼합물 또는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와, 벤조옥사진계 모노머와 가교성 화합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이용하여 막을 테이프 캐스팅법에 의하여 형성하는 경우, 혼합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더 거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막을 열처리하여 경화 반응을 실시한 다음, 이를 산과 같은 프로톤 전도체에 함침하여 전해질막을 형성한다.
이하, 연료전지용 전극-막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용어 "전극-막 어셈블리(MEA: Membrane and electrode assembly)"는 전해질막을 중심으로 이 양 면에 촉매층과 확산층으로 구성된 전극이 적층되어 있는 구조를 가르킨다.
상기 MEA는, 상술한 전극 촉매층을 구비하고 있는 전극을 상기 과정에 따라 얻은 전해질막의 양면에 위치시킨 후 고온과 고압에서 접합하여 형성하고 여기에 연료 확산층을 접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해질막으로는, 연료전지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해질막, 예를 들어, 폴리벤즈이미다졸 전해질막, 폴리벤조옥사진-폴리벤즈이미다졸 공중합체 전해질막,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다공질막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또는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가교체를 포함하는 전해질막을 사용할 수 있다.
전해질막으로서 상술한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또는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가교체를 포함하는 전해질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삼상 계면이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 상용성(compatibility) 개선에 따른, 접촉 저항이 감소됨으로써 연료전지의 셀 성능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접합을 위한 가열온도 및 압력은 전해질막이 연화되는 온도까지 가열한 상태에서 0.1 내지 3 ton/cm2, 특히 약 1 ton/cm2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실행한다.
그 후, 상기 전극-막 어셈블리에 각각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장착하여 연료 전지를 완성하게 된다. 여기에서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연료 공급용 홈을 갖고 있으며, 집전체 기능을 갖고 있다.
연료전지는 특별하게 그 용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구현예에 의하면,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로 사용된다.
화학식에서 사용되는 치환기의 정의에 대하여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화학식에서 사용되는 아릴기는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되어, 하나 이상의 고리를 포함하는 탄소원자수 6 내지 20개의 카보사이클 방향족 시스템을 의미하며 상기 고리들은 펜던트 방법으로 함께 부착되거나 또는 융합될 수 있다. 아릴이라는 용어는 페닐, 나프틸, 테트라히드로나프틸과 같은 방향족 라디칼을 포함한다. 상기 아릴기는 할로알킬렌, 니트로, 시아노, 알콕시 및 저급 알킬아미노와 같은 치환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릴기중 하나 이상의 수소원자는 상술한 알킬기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치환기로 치환가능하다.
화학식에서 사용되는 헤테로아릴기는 N, O, P 및 S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나머지 고리원자가 C인 탄소수 1 내지 20의 1가 모노사이클릭 또는 비사이클릭 방향족 2가 유기 화합물을 의미한다. 상기 헤테로원자중 하나 이상의 수소원자는 상술한 아릴기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치환기로 치환가능하다.
화학식에서 사용되는 알킬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부틸, sec-부틸, 펜틸, iso-아밀, 헥실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알킬중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상술한 아릴기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치환기로 치환가능하다.
화학식에서 사용되는 헤테로고리기는 질소, 황, 인, 산소 등과 같은 헤테로원자를 함유하고 있는 5 내지 10 원자로 이루어진 고리기를 지칭하며, 이러한 헤테로고리기중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상술한 아릴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치환가능하다.
화학식에서 사이클로알킬기는 탄소수 6 내지 20의 탄소 고리를 나타내며, 이러한 사이클로알킬기중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상술한 아릴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치환가능하다.
이하, 하기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하기 실시예로만 한정되 는 것은 아니다.
[반응식 1]
Figure 112009077930111-PAT00142
상기 반응식 1은 하기 합성예 1에 따라 제조된 HPE 및 하기 합성예 2에 따라 제조된 HPEF의 합성경로를 나타낸 반응식이다.
합성예 1: 화학식 6의 화합물 (HPE)의 제조
3,5-디플로로페놀 5g을 디메틸아세트아미드 130ml에 용해하고, 여기에 K2CO3 8g 및 톨루엔 65ml를 부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175℃에서 교반하여 반응시키고 딘스탁 트랩을 사용하여 톨루엔을 제거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에 톨루엔 65ml를 더 부가하고, 175℃에서 교반한 다음, 딘스탁트랩을 사용하여 톨루엔을 제거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205℃로 올려서 4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상기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상온으로 식힌 다음, 반응 결과물을 물을 이용하여 침전물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침전물을 여과 및 진공오븐에서 건조하여 화학식 6의 HPE (Hyperbranched Polymer having a phenoxide unit at its building block: HPE)를 수득하였다.
상기 목적물을 핵자기공명분석법(NMR)을 이용하여 구조 및 분지화도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는 도 1a에 나타난 바와 같다. 13C-NMR 분석시 사용된 NMR 기기는 Bruker사의 Avance 500 제품이고, 500MHZ를 사용하였다.
상기 HPE의 분지화도는 약 0.63이었다. 도 1a에서 D, L 및 T는 상기 덴트리틱 유닛 관련 피크(D), 선형 유닛 관련 피크(L) 및 터미널 유닛 관련 피크(T)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분지화도는 도 1a에 나타난 덴트리틱 유닛 관련 피크(D), 선형 유닛 관련 피크(L) 및 터미널 관련 유닛(T)의 피크의 총 적분치에 대한 덴드리틱 유닛 피크와 터미널 유닛 관련 피크의 총 적분치의 비를 계산하여 정한 것이다
합성예 2: 화학식 7의 화합물 (HPEF)의 제조
상기 합성예 1에 따라 합성된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HPE 1g, 펜타플로로 보로닉에시드 2g을 THF 30ml에 용해하고, 여기에 2M K2CO3 수용액 10ml를 부가하여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Pd(PPh3)4(Ph는 페닐을 나타냄) 0.38g을 부가하고, 그 결과물을 24시간 환류하였다.
반응이 완결되면, 반응 결과물을 상온으로 식힌 다음, 헥산을 이용하여 침전물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침전물을 메탄올, 물 및 메탄올순으로 워싱처리한 다음, 이를 오븐에 건조하여 HPEF(Hyperbranched Polymer having a phenoxide unit at its building block and a pentafluorophenyl group at its main terminal: HPEF)을 수득하였다.
핵자기공명분석법(NMR)을 이용하여 구조 및 분지화도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는 도 1b에 나타난 바와 같다. 13C-NMR 분석시 NMR 분석시 사용된 NMR 기기는 Varian사의 Unity NOVA600제품이고, 600MHZ를 사용하였다.
상기 화학식 7의 화합물 HPEF의 분지화도는 약 0.63이었다. 도 1b에서 D, L 및 T는 상기 덴트리틱 유닛 관련 피크(D), 선형 유닛 관련 피크(L) 및 터미널 유닛 관련 피크(T)를 각각 나타낸 것이고, 분지화도는 도 1a에 대한 경우와 동일하게 계산된 것이다.
상기 합성예 1에 따라 얻은 HPE 및 합성예 2에 따라 얻은 HPEF의 19F-NMR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도 1c에 나타내었다. 19F-NMR 분석시 NMR 분석시 사용된 NMR 기기는 Varian사의 Unity NOVA600제품이고, 600MHZ를 사용하였다.
상기 합성예 1에 따라 얻은 HPE 및 합성예 2에 따라 얻은 HPEF의 1H-NMR을 실시하였고, 이 때 상기 HPE 및 HPEF를 용해하는 용매로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d8을 이용하였다.
상기 1H-NMR 결과는 도 1d에 나타내었다. 1H-NMR 분석시 NMR 분석시 사용된 NMR 기기는 Varian사의 Unity NOVA600제품이고, 600MHZ를 사용하였다.
열중량분석기를 이용하여 상기 합성예 1에 따라 얻은 HPE 및 합성예 2에 따라 얻은 HPEF의 열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열적 특성 분석 조건은, 승온속도가 10℃/분에서 800℃까지 승온하였고, 질소 유량은 35 ml/min이었다.
도 2를 참조하여, 합성예 1에 따라 얻은 HPE과 합성예 2에 따라 얻은 HPEF의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합성예 1에 따라 얻은 HPE 및 합성예 2에 따라 얻은 HPEF의 분자량을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를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표 1]
구분 Mn Mw Mp Mz Mz+1 다분산지수
(polydispersity)
HPE 8358 20446 32098 30796 92345 2.44
HPEF 11711 21885 32398 32650 54132 1.88
상기 표 1에서 Mn은 수평균 분자량, Mw은 중량평균분자량, Mp는 피크 중량 평균 분자량, Mz는 Z 중량평균 분자량, Mz+1은 z+1 중량평균 분자량을 나타낸다.
상기 표 1로부터, HPEF가 HPE에 비하여 분자량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 : 연료전지용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의 제조
교반 용기에 카본에 50 중량% PtCo가 담지된 촉매 1g 및 용매 NMP 3g을 부가하고 이를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교반하여 슬러리를 만들었다. 상기 슬러리에 상기 합성예 1에 따라 얻은 화학식 6의 화합물 HPE의 NMP 용액을 부가하여 HPE 0.025g이 되도록 첨가하여 더 교반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에 5 중량%의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의 NMP 용액을 부가하여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가 0.025g이 되도록 첨가하여 10분동안 혼합하여 캐소드 촉매층 형성용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카본 페이퍼를 4×7 cm2로 잘라 유리판 위에 고정하고 닥터 블래이드 (Sheen instrument)로 코팅하고 이 때 갭 간격은 600㎛로 조절하였다.
상기 카본 페이퍼 상부에 상기 캐소드 촉매층 형성용 슬러리를 코팅하고, 이를 상온에서 1시간 건조하고, 80℃에서 1시간 건조하고, 120℃에서 30분 건조하고 150℃에서 15분동안 건조하여 캐소드(연료극)를 제조하였다. 상기 캐소드에 함유된 PtCo중 Pt의 담지량은 약 1.7mg/cm2이었다.
애노드로는 하기 과정에 따라 얻은 전극을 이용하였다.
교반 용기에 카본에 50 중량% Pt가 담지된 촉매 2g 및 용매 NMP 9g을 부가하고 이를 고속 교반기를 이용하여 2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에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0.05g을 NMP 1g에 용해한 용액을 부가하여 2분동안 더 교반하여 애노드 촉매층 형성용 슬러리를 제작한다. 이를 미세다공층(microporous layer)이 코팅된 카본 페이퍼(carbon paper)위에 바 코터기(bar coater)로 코팅하여 제작하였다.
이와 별도로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벤조옥사진계 모노머 A 60 중량부,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벤조옥사진계 모노머 B 3 중량부, 폴리벤즈이미다졸을 37 중량부로 하여 블랜딩한 후, 이를 약 220℃ 범위에서 경화 반응을 실시하였다.
Figure 112009077930111-PAT00143
벤조옥사진계 모노머 A
Figure 112009077930111-PAT00144
벤조옥사진계 모노머 B (R2는 페닐임)
이어서, 이에 85중량% 인산을 80℃에서 4시간 이상 함침하여 전해질막을 형성하였다. 여기에서 인산의 함량은 전해질막 총중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480 중량부였다.
상기 캐소드와 애노드 사이에 상기 전해질막을 개재하여 MEA를 제작하였다. 여기에서 그리고 상기 캐소드와 애노드는 인산 함침 없이 사용하였다.
상기 캐소드와 애노드간의 기체 투과를 막기 위하여 주 가스켓용으로 200㎛ 두께의 테프론막과, 서브 가스켓용으로 20㎛ 두께의 테프론막을 전극과 전해질막 계면에 겹쳐 사용하였다. 그리고 MEA에 가해지는 압력은 토크 렌치를 사용하여 조절하였고, 1, 2, 3 N-m Torque까지 단계적으로 증가하면서 조립하였다.
온도 150℃, 전해질막에 대해 가습하지 않는 조건으로, 애노드에 수소(유속: 100 ccm), 캐소드에 공기(250 ccm)를 유통시켜 발전시키고, 전지 특성의 측정을 행하였다. 이 때 인산을 도핑한 전해질을 사용하므로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연료전지의 성능이 향상되므로 작동 전압이 최고점에 도달할 때까지 에이징한 후 최종 평가한다. 그리고 상기 캐소드와 애노드의 면적은 2.8×2.8=7.84 cm2으로 고정하고 캐소드와 애노드의 두께는 각각 약 430㎛, 약 390㎛이었다.
실시예 2 : 연료전지용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의 제조
캐소드 제조시, 화학식 6의 화합물 HPE 대신 화학식 7의 화합물 HPEF를 사용하고,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대신 폴리우레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캐소드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연료전지용 전극, 전해질막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의 제조
교반 용기에 카본에 50 중량% PtCo가 담지된 촉매 1g 및 용매 NMP 3g을 부가하고 이를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교반하여 슬러리를 만들었다. 상기 슬러리에 상기 합성예 2에 따라 얻은 화학식 7의 화합물 HPEF의 NMP 용액을 부가하여 HPEF 0.025g이 되도록 첨가하여 더 교반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에 5 중량%의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의 NMP 용액을 부가하여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가 0.025g이 되도록 첨가하여 10분동안 혼합하여 캐소드 촉매층 형성용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카본 페이퍼를 4×7 cm2로 잘라 유리판 위에 고정하고 닥터 블래이드 (Sheen instrument)로 코팅하고 이 때 갭 간격은 600㎛로 조절하였다.
상기 카본 페이퍼 상부에 상기 캐소드 촉매층 형성용 슬러리를 코팅하고, 이를 상온에서 1시간 건조하고, 80℃에서 1시간 건조하고, 120℃에서 30분 건조하고 150℃에서 15분동안 건조하여 캐소드(연료극)를 제조하였다. 상기 캐소드에 함유된 PtCo중 Pt의 담지량은 약 1.7mg/cm2이었다. 애노드로는 하기 과정에 따라 얻은 전극을 이용하였다.
교반 용기에 카본에 50 중량% Pt가 담지된 촉매 2g 및 용매 NMP 9g을 부가하고 이를 고속 교반기를 이용하여 2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에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0.05g을 NMP 1g에 용해한 용액을 부가하여 2분동안 더 교반하여 애노드 촉매층 형성용 슬러리를 제작한다. 이를 미세다공층(microporous layer)이 코팅된 카본 페이퍼(carbon paper)위에 바 코터기(bar coater)로 코팅하여 제작하였다.
이와 별도로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벤조옥사진계 모노머 4FPh-2AP 60 중 량부와 m-PBI 37 중량부와 화학식 7의 화합물 HPEF 3 중량부를 블랜딩한 후, 이를 약 220℃ 범위에서 경화 반응을 실시하였다.
Figure 112009077930111-PAT00145
4FPh-2AP
이어서, 이에 85중량% 인산을 80℃에서 4시간 이상 함침하여 전해질막을 형성하였다. 여기에서 인산의 함량은 전해질막 총중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480 중량부였다.
상기 캐소드와 애노드 사이에 상기 전해질막을 개재하여 MEA를 제작하였다. 여기에서 그리고 상기 캐소드와 애노드는 인산 함침 없이 사용하였다.
상기 캐소드와 애노드간의 기체 투과를 막기 위하여 주 가스켓용으로 200㎛ 두께의 테프론막과, 서브 가스켓용으로 20㎛ 두께의 테프론막을 전극과 전해질막 계면에 겹쳐 사용하였다. 그리고 MEA에 가해지는 압력은 토크 렌치를 사용하여 조절하였고, 1, 2, 3 N-m Torque까지 단계적으로 증가하면서 조립하였다.
온도 150℃, 전해질막에 대해 가습하지 않는 조건으로, 애노드에 수소(유속: 100 ccm), 캐소드에 공기(250 ccm)를 유통시켜 발전시키고, 전지 특성의 측정을 행하였다. 이 때 인산을 도핑한 전해질을 사용하므로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연료전지 의 성능이 향상되므로 작동 전압이 최고점에 도달할 때까지 에이징한 후 최종 평가한다. 그리고 상기 캐소드와 애노드의 면적은 2.8×2.8=7.84 cm2으로 고정하고 캐소드와 애노드의 두께는 카본 페이퍼의 산포 때문에 변화가 있으나, 캐소드의 전극의 두께는 각각 약 430㎛, 약 390㎛이었다.
실시예 4: 연료전지용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의 제조
캐소드 제조시 화학식 6의 화합물 HPE 대신 화학식 7의 화합물 HPEF를 사용하고, 캐소드에서의 Pt의 담지량이 약 1.16mg/cm2이 되도록 캐소드 제조시 PtCo의 함량이 변화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캐소드 및 연료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연료전지용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의 제조
캐소드에서의 Pt의 담지량이 약 1.35mg/cm2이 되도록 캐소드 제조시 PtCo의 함량이 변화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캐소드 및 연료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연료전지용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의 제조
캐소드 제조시 합성예 1에 따라 얻은 화학식 6의 화합물 HPE를 부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캐소드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라 연료전지에 있어서, 전류밀도에 따른 셀 전압 변화를 조사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은 비교예 1의 경우에 비하여 셀 전압 특성이 개선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연료전지에 있어서, 전류밀도에 따른 셀 전압 변화를 조사하였고, 그 평가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의하면, 실시예 1 및 2의 연료전지는 비교예 1의 경우에 비하여 셀 전압 특성이 향상되고 캐소드 결합제로서 폴리우레탄을 사용한 실시예 2에 따른 연료전지가 캐소드 결합제로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를 사용한 실시예 1의 경우에 비하여 셀 전압 특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 1, 2, 4, 5 및 비교예 1에 따른 연료전지에 있어서, 캐소드 백금 로딩량에 따른 셀 전압 특성을 비교하였고, 그 결과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다.
도 5를 참조하여, 실시예 1 및 2의 연료전지는 비교예 1의 경우와 비교하여 셀 전압 특성이 개선되었다. 그리고 실시예 4 및 실시예 5의 전지는 비교예 1의 경우와 비교하여 작은 백금 함량을 사용하고서도 셀 성능이 동등하거나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 3 및 비교예 1에 따른 연료전지에 있어서, 전류밀도에 따른 셀 전압 특성과 시간 경과에 따른 셀 전압 특성을 조사하여 도 6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실시예 3의 셀 전압 특성이 비교예 1의 경우와 비교하여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 3에 따른 연료전지에 있어서, 산소 용해도 특성을 조사하였다.
상기 산소 용해도 특성은 하기 방법에 따라 평가한다.
인산과, HPEF를 인산에 용해하여 얻은 0.1중량%의 HPEF 함유 인산 용액에 각각 아르곤 또는 산소를 퍼지하고, 이들의 산소 환원 반응을 0V 내지 1.2V 범위에서 스캔하여 0.2V와 0.4V 사이에 측정되는 전류값을 비교하여 평가한다. 이 때 전류값은 절대치 수치를 비교하여 절대치 수치가 큰 쪽이 산소 용해도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한다. 상기 인산으로는 약 85중량%의 인산 용액을 사용한다.
상기 산소 용해도 특성 평가 결과를 도 8a 및 도8b에 나타내었다.
도 8a는 인산과, 0.1중량%의 HPEF 함유 인산 용액에 각각 아르곤을 퍼지하고, 이들의 산소 환원 반응을 실시한 결과이고, 도 8b는 인산과, 0.1중량%의 HPEF 함유 인산 용액에 각각 산소를 퍼지하고, 이들의 산소 환원 반응을 실시한 결과이다.
도 8a를 참조하여, 인산 용액 및 0.1중량%의 HPEF의 인산 용액 모두 산소환원 반응이 측정되지 않았다.
도 8b를 참조하여, 인산 용액 및 0.1중량%의 HPEF 함유 인산 용액에 산소를 퍼지한 경우에는 0.2 내지 0.4V 범위에서 산소 환원 반응이 일어남을 관측할 수 있었고, 0.1중량%의 HPEF 함유 인산 용액을 사용한 경우가 인산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산소 환원 반응의 전류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인산에 HPEF를 첨가하면 인산의 산소 용해도가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 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a은 합성예 1에 따른 화학식 6의 HPE의 13C-NMR 스펙트럼이고,
도 1b는 합성예 2에 따른 화학식 7의 HPEF의 13C-NMR 스펙트럼이고,
도 1c는 합성예 1에 따라 얻은 HPE 및 합성예 2에 따라 얻은 HPEF의 19F-NMR을 나타낸 것이고,
도 1d는 상기 합성예 1에 따라 얻은 HPE 및 합성예 2에 따라 얻은 HPEF의 1H-NMR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합성예 1에 따라 얻은 HPE 및 합성예 2에 따라 얻은 HPEF의 열적 특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연료전지에 있어서, 전류밀도에 따른 셀 전압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에 따른 연료전지에 있어서, 전류밀도에 따른 셀 전압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에 따른 연료전지에 있어서, 캐소드 백금 로딩량에 따른 셀 전압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실시예 3 및 비교예 1에 따른 연료전지에 있어서, 전류밀도에 따른 셀 전압 특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실시예 3 및 비교예 1에 따른 연료전지에 있어서, 시간 경과에 따른 셀 전압 특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8a 및 8b는 실시예 3에 따른 연료전지에 있어서, 산소 용해도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33)

  1. 분지화도(degree of branching)가 0.05 이상 1 이하인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가,
    하기 화학식 1의 덴드리틱 유닛, 하기 화학식 2의 선형 유닛 및 하기 화학식 3의 터미널 유닛을 포함하는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화학식 1]
    Figure 112009077930111-PAT00146
    [화학식 2]
    Figure 112009077930111-PAT00147
    [화학식 3]
    Figure 112009077930111-PAT00148
    상기식중, R은 불소, C1-C20 불소화된 알킬기, C6-C20 불소화된 아릴기, C2-C20 불소화된 헤테로아릴기, C6-C20 불소화된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C2-C20 불소화된 헤테로고리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덴드리틱 유닛, 선형 유닛 및 터미널 유닛과 결합되며,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코아 유닛을 더 포함하는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화학식 4]
    Figure 112009077930111-PAT00149
    상기식중, Y는 -SO2-, -C(CH3)2-, -C(CF3)2-, -N=N- 또는 -O-이고,
    m은 0 내지 3의 수이고, n은 0 내지 1의 수이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4의 코아 유닛이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그 룹인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Figure 112009077930111-PAT0015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은 불소, 트리플루오로메틸기, 3,5-디플루오로페닐기 또는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그룹중의 하나인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Figure 112009077930111-PAT00151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분지화도가 0.63 내지 0.9인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가,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화학식 5]
    Figure 112009077930111-PAT00152
    상기식중, R은 불소, 트리플루오로메틸기, 3,5-디플루오로페닐기 또는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그룹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Figure 112009077930111-PAT00153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가,
    하기 화학식 6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화학식 6]
    Figure 112009077930111-PAT00154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가,
    하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화학식 7]
    Figure 112009077930111-PAT00155
    상기식중, R'은 펜타플루오로페닐기이다.
  9.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와 벤조옥사진계
    모노머의 가교 반응 생성물인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가교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벤조옥사진계 모노머가,
    하기 화학식 8 내지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가교체.
    [화학식 8]
    Figure 112009077930111-PAT00156
    상기 화학식중, R1, R2, R3,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20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20 사이클로알킬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고리기, 할로겐 원자, 하이드록시기, 또는 시아노기이고,
    R5는 할로겐화된 C1-C20 알킬기, 할로겐화된 C1-C20 알콕시기, 할로겐화된 C2-C20 알케닐기, 할로겐화된 C2-C20 알키닐기, 할로겐화된 C6-C20 아릴기, 할로겐화된 C6-C20 아릴옥시기, 할로겐화된 C7-C20 아릴알킬기, 할로겐화된 C2-C20 헤테로아릴기, 할로겐화된 C2-C20 헤테로아릴옥시기, 할로겐화된 C2-C20 헤테로아릴알킬기, 할로겐화된 C4-C20 탄소고리기, 할로겐화된 C4-C20 탄소고리알킬기, 할로겐화된 C2-C20 헤테로고리기, 또는 할로겐화된 C2-C20 헤테로고리알킬기이고,
    [화학식 9]
    Figure 112009077930111-PAT00157
    상기식중 R5'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콕시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알케닐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알키닐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6-C20 아릴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6-C20 아릴옥시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7-C20 아릴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옥시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4-C20 탄소고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4-C20 탄소고리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고리기, 또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고리알킬기이고,
    R6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 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 알키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렌기, -C(=O)-, -SO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화학식 10]
    Figure 112009077930111-PAT00158
    상기식중, A, B, C, D, E는 모두 탄소이거나 또는 A, B, C, D, E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은 질소(N)이고, 그 나머지는 탄소(C)이고,
    R1 및 R2는 서로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하며,
    상기 고리가 C6-C10 사이클로알킬기, C3-C10 헤테로아릴기, 융합된 C3-C10 헤테로아릴기, C3-C10 헤테로고리기 또는 융합된 C3-C10 헤테로고리기이고,
    [화학식 11]
    Figure 112009077930111-PAT00159
    상기식중, A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20 헤테로고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4-C20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킬기이고,
    R2 및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20 알킬기, C1-C20 알콕시기, C6-C20 아릴기, C6-C20 아릴옥시기, C1-C20 헤테로아릴기, C1-C20 헤테로아릴옥시기, C4-C20 사이클로알킬기, C1-C20 헤테로고리기,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또는 하이드록시기이고,
    [화학식 12]
    Figure 112009077930111-PAT00160
    상기식중,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C1-C20 알킬기, C1-C20 알콕시기, C6-C20 아릴기, C6-C20 아릴옥시기 또는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그룹이고,
    Figure 112009077930111-PAT00161
    상기식중,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20 알킬기, C1-C20 알콕시기, C6-C20 아릴기, C6-C20 아릴옥시기, 할로겐화된 C6-C20 아릴기, 할로겐화된 C6-C20 아릴옥시기, C1-C20 헤테로아릴기, C1-C20 헤테로아릴옥시기, 할로겐화된 C1-C20 헤테로아릴기, 할로겐화된 C1-C20 헤테로아릴옥시기, C4-C20 사이클로알킬기, 할로겐화된 C4-C20 사이클로알킬기, C1-C20 헤테로고리기, 또는 할로겐화된 C1-C20 헤테로고리기이다.
    [화학식 13]
    Figure 112009077930111-PAT00162
    상기식중, R2와 R3, 또는 R3 R4는 서로 연결되어 하기 화학식 2A로 표시되는 그룹이고,
    R5와 R6 또는 R6 R7은 서로 연결되어 하기 화학식 2A로 표시되는 그룹이고,
    [화학식 2A]
    Figure 112009077930111-PAT00163
    R1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콕시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알케닐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알키닐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6-C20 아릴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6-C20 아릴옥시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7-C20 아릴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옥시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4-C20 탄소고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4-C20 탄소고리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고리 기, 또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고리알킬기이고,
    *는 화학식 1의 R2와 R3, R3 R4, R5와 R6 , R6 R7와 각각 연결되는 위치를 표시한다.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와 벤조옥사진계 모노머에 가교성
    화합물이 더 포함되는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가교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성 화합물이,
    폴리벤즈이미다졸(PBI), 폴리벤즈티아졸, 폴리벤조옥사졸 및 폴리이미드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가교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성 화합물의 함량이,
    벤조옥사진계 모노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95 중량부인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가교체.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함량이,
    벤조옥사진계 모노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10 중량부인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가교체.
  15.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의 하이퍼브랜치 폴리머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
  16. 제9항 내지 제14항중 어느 한 항의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가교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
  17.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의 하이퍼브랜치 폴리머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18. 제9항 내지 제14항중 어느 한 항의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가교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19. 캐소드; 애노드;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막을 구비하며,
    상기 캐소드, 애노드 및 전해질막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의 하이퍼브랜치 폴리머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 및 애노드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촉매와, 상기 촉매 1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001 내지 0.65 중량부의 하이퍼브랜치 폴리머를 포함하는 촉매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가,
    백금(Pt) 단독;
    백금과, 금, 팔라듐, 로듐, 이리듐, 루테늄, 주석, 몰리브데늄, 코발트, 크롬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는 백금 합금; 또는
    백금과, 금, 팔라듐, 로듐, 이리듐, 루테늄, 주석, 몰리브데늄, 코발트, 크롬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의 혼합물인 연료전지.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가,
    카본계 담체에 담지된 촉매 금속을 포함하는 담지 촉매인 연료전지.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층에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FEP (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스티렌 부타디엔 러버(SBR), 폴리우레탄 (polyurethan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결합제가 더 포함되는 연료전지.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가 폴리우레탄인 연료전지.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 애노드 및 전해질막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이,
    인산 및 C1-C20 유기 포스폰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프로톤 전도체를 더 포함하는 연료전지.
  26. 캐소드; 애노드;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막을 구비하며,
    상기 캐소드, 애노드 및 전해질막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제9항 내지 제14항중 어느 한 항의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가교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 및 애노드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촉매와, 상기 촉매 1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001 내지 0.65 중량부의 하이퍼브랜치 폴리머를 포함하는 촉매층을 구비하는 연료전지.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가,
    백금(Pt) 단독;
    백금과, 금, 팔라듐, 로듐, 이리듐, 루테늄, 주석, 몰리브데늄, 코발트, 크롬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일종 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는 백금 합금; 또는
    백금과, 금, 팔라듐, 로듐, 이리듐, 루테늄, 주석, 몰리브데늄, 코발트, 크롬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일종 이상의 금속의 혼합물인 연료전지.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가,
    카본계 담체에 촉매 금속이 담지된 담지 촉매인 연료전지.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층에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FEP (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스티렌 부타디엔 러버(SBR) 및 폴리우레탄 (polyurethan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결합제가 더 포함되는 연료전지.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가 폴리우레탄인 연료전지.
  32.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 애노드 및 전해질막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인산 및 C1-C20 유기 포스폰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프로톤 전도체를 더 포함하는 연료전지.
  33.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와 벤조옥사진계 모노머를 포함하는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의 혼합물.
KR1020090125700A 2008-12-16 2009-12-16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이를 포함한 연료전지용 전극과 전해질막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KR1016040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28180 2008-12-16
KR1020080128180 2008-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625A true KR20100069625A (ko) 2010-06-24
KR101604085B1 KR101604085B1 (ko) 2016-03-18

Family

ID=42102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5700A KR101604085B1 (ko) 2008-12-16 2009-12-16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이를 포함한 연료전지용 전극과 전해질막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22280B2 (ko)
EP (1) EP2202261B1 (ko)
JP (1) JP5657245B2 (ko)
KR (1) KR101604085B1 (ko)
AT (1) ATE543857T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51433B2 (en) 2010-02-04 2015-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lymer and cross-linked polymer composition, electrode and electrolyte membrane including cross-linked polymer, and fuel cell including electrode and electrolyte membrane
US9112232B2 (en) 2010-02-05 2015-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osition, polymer thereof, electrode and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and fuel cell including the same
US9178218B2 (en) 2010-02-09 2015-1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Hyper-branched polymer, electrode and electrolyte membrane including the hyper-branched polymer, and fuel cell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electrode and the electrolyte membrane
US9368803B2 (en) 2010-03-03 2016-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osition, method of preparing the composition, electrode including the composition, and fuel cell including the electrod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89581A1 (en) * 2010-02-04 2011-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ound, cross-linked material thereof, double cross-linked polymer thereof, and electrolyte membrane, electrode for fuel cell and fuel cell including same
EP2363820B1 (en) * 2010-03-04 2019-07-03 Karlsruher Institut für Technologie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he solvent accessible surface and its derivates of a molecule
EP2466675B1 (en) * 2010-12-14 2013-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ductive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ation, polymer thereof, and electrode, electrolyte membrane and fuel cell including the composition or polymer
JP5923291B2 (ja) * 2010-12-14 2016-05-24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伝導性作用基を有する化合物、その重合体、これを含んだ燃料電池用電極、これを含んだ燃料電池用電解質膜及びこれを採用した燃料電池
US9178237B2 (en) 2010-12-14 2015-1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ductive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ation, polymer thereof, and electrode, electrolyte membrane and fuel cell including the composition or polymer
CN102267940B (zh) * 2011-05-31 2013-11-13 湖北大学 一种含对称三芳基吡啶结构三胺及其超支化聚酰亚胺的合成
KR20130020000A (ko) 2011-08-18 2013-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공성막, 이를 포함하는 전해질막,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KR101882863B1 (ko) * 2013-01-10 2018-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고분자, 그 제조방법, 이로부터 형성된 복합체, 이를 포함한 전극과 복합막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US20150111126A1 (en) * 2013-10-19 2015-04-23 Daimler Ag Catalyst treatment for solid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s
CN104549514B (zh) * 2013-10-23 2017-03-01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合成碳酸丙烯酯的固体催化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549513B (zh) * 2013-10-23 2017-03-29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co2与环氧丙烷制备碳酸丙烯酯的催化剂的制备方法
CA3124239A1 (en) * 2016-05-03 2017-11-09 Opus 12 Incorporated Reactor with advanced architecture for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of co2, co, and other chemical compounds
SE540776C2 (en) * 2016-09-05 2018-11-06 Oboe Ipr Ab Ion pump with hyperbranched polymers
KR20210018783A (ko) 2018-01-22 2021-02-18 오푸스-12 인코포레이티드 이산화탄소 반응기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210147601A1 (en) * 2018-04-01 2021-05-20 Western Washington University Benzoxazine blends
CN109134859B (zh) * 2018-07-31 2021-01-08 湖南工业大学 一种含苯并噻唑结构的超支化聚酰亚胺及其制备方法和用途
BR112021010368A2 (pt) 2018-11-28 2021-08-24 Opus 12 Incorporated Eletrolisador e método de uso
CN112490023B (zh) * 2019-09-12 2022-06-21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凝胶电解质的制备方法及超级电容器的制备方法
EP4065753A1 (en) 2019-11-25 2022-10-05 Twelve Benefit Corporation Membrane electrode assembly for co x reduction
CN114957692B (zh) * 2022-05-25 2023-08-11 苏州大学 一种超支化聚苯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5109231B (zh) * 2022-06-29 2023-08-29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一种含膦自具微孔聚合物及其制备方法、以及膜电极及高温质子交换膜燃料电池
US11939284B2 (en) 2022-08-12 2024-03-26 Twelve Benefit Corporation Acetic acid product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99134A (en) 1960-10-05 1965-07-21 Nat Res Dev Poly (phenylene oxide)s
JPH05283082A (ja) 1992-04-02 1993-10-29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拡散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082507A (ja) 1998-09-07 2000-03-21 Fuji Photo Film Co Ltd 光電気化学電池
DE60012705T2 (de) 1999-09-22 2005-07-28 Japan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 Kawaguchi Katalysator für die oxidative polymerisation von fluorphenolen, verfahren zur oxidativen polymerisation von fluorphenolen und polyoxifluorphenylenderivate
JP2002252001A (ja) * 2000-12-22 2002-09-06 Asahi Glass Co Ltd ガス拡散電極及びこれを備えた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JP3744902B2 (ja) 2003-01-14 2006-02-15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側鎖に置換フェニルエーテルを有するポリ(オキシフェニレン)類の製造方法
JP2005070268A (ja) 2003-08-22 2005-03-17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光熱写真画像形成材料及びその熱現像方法
EP2218748B1 (en) * 2005-09-03 2012-10-10 Samsung SDI Co., Ltd. Polybenzoxazine-based compound, electrolyte membrane including the same, and fuel cell employing the electrolyte membrane
KR100718109B1 (ko) * 2005-10-10 2007-05-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덴드리머 고체산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KR101386162B1 (ko) * 2006-07-21 2014-04-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전극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KR100893523B1 (ko) * 2006-12-15 2009-04-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전극,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JP5283082B2 (ja) 2009-03-19 2013-09-04 ミクロ電子株式会社 木材乾燥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51433B2 (en) 2010-02-04 2015-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lymer and cross-linked polymer composition, electrode and electrolyte membrane including cross-linked polymer, and fuel cell including electrode and electrolyte membrane
US9112232B2 (en) 2010-02-05 2015-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osition, polymer thereof, electrode and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and fuel cell including the same
US9680156B2 (en) 2010-02-05 2017-06-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osition, polymer thereof, electrode and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and fuel cell including the same
US9178218B2 (en) 2010-02-09 2015-1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Hyper-branched polymer, electrode and electrolyte membrane including the hyper-branched polymer, and fuel cell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electrode and the electrolyte membrane
US9368803B2 (en) 2010-03-03 2016-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osition, method of preparing the composition, electrode including the composition, and fuel cell including the electrode
US10355284B2 (en) 2010-03-03 2019-07-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osition, method of preparing the composition, electrode including the composition, and fuel cell including the electr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57245B2 (ja) 2015-01-21
KR101604085B1 (ko) 2016-03-18
US20100159347A1 (en) 2010-06-24
EP2202261B1 (en) 2012-02-01
ATE543857T1 (de) 2012-02-15
US8722280B2 (en) 2014-05-13
JP2010144171A (ja) 2010-07-01
EP2202261A1 (en) 201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4085B1 (ko)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이를 포함한 연료전지용 전극과 전해질막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EP2062891B1 (en) Benzoxazine-based monomer, polymer thereof, electrode for fuel cell including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including the polymer, and fuel cell using the electrode
KR100818255B1 (ko) 폴리벤조옥사진계 화합물, 이를 포함한 전해질막 및 이를채용한 연료전지
KR101124506B1 (ko) 폴리아졸의 가교체,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KR100818253B1 (ko) 폴리벤조옥사진계 화합물, 이를 포함한 전해질막 및 이를채용한 연료전지
KR101015503B1 (ko) 인 함유 벤조옥사진계 모노머, 그 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EP2357185B1 (en) Naphthoxazine Benzoxazine-Based Monomer and Polymer Thereof
KR100745741B1 (ko) 연료전지용 막 전극 접합체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EP2058321B1 (en) Phosphorous containing monomer, polymer thereof, electrode for fuel cell including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including the polymer, and fuel cell using the electrode
KR20090045655A (ko)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US8715881B2 (en) Benzoxazine-based monomer, polymer thereof, electrode for fuel cell including the same,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including the same, and fuel cell using the same
US20110281200A1 (en) Compound and composition including compound, with fuel cell, fuel cell electrode and fuel cell electrolyte membrane using same
KR101088377B1 (ko) 벤조옥사진계 모노머, 그 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전극,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및 이를 채용한연료전지
KR101558536B1 (ko)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KR101670966B1 (ko)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이를 포함한 연료전지용 전극과 전해질막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KR101138872B1 (ko) 나프토옥사진계 모노머, 그 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KR101015504B1 (ko) 인 함유 벤조옥사진계 모노머, 그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KR20110126033A (ko)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전극,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5